[go: up one dir, main page]

KR102205691B1 - Vr 모션 플랫폼을 위한 멀미저감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Vr 모션 플랫폼을 위한 멀미저감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5691B1
KR102205691B1 KR1020180146233A KR20180146233A KR102205691B1 KR 102205691 B1 KR102205691 B1 KR 102205691B1 KR 1020180146233 A KR1020180146233 A KR 1020180146233A KR 20180146233 A KR20180146233 A KR 20180146233A KR 102205691 B1 KR102205691 B1 KR 1022056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ion
control data
data
sickness
cont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6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0973A (ko
Inventor
김동혁
최복동
이종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쓰리디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쓰리디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쓰리디아이
Priority to KR10201801462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5691B1/ko
Priority to US17/296,213 priority patent/US11928251B2/en
Priority to PCT/KR2019/011027 priority patent/WO2020105849A1/ko
Publication of KR20200060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09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56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569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Measur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or mobility of a limb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3/00Adaptive control systems, i.e. systems automatically adjusting themselves to have a performance which is optimum according to some preassigned criterion
    • G05B13/02Adaptive control systems, i.e. systems automatically adjusting themselves to have a performance which is optimum according to some preassigned criterion electric
    • G05B13/0205Adaptive control systems, i.e. systems automatically adjusting themselves to have a performance which is optimum according to some preassigned criterion electric not using a model or a simulator of the controlled system
    • G05B13/024Adaptive control systems, i.e. systems automatically adjusting themselves to have a performance which is optimum according to some preassigned criterion electric not using a model or a simulator of the controlled system in which a parameter or coefficient is automatically adjusted to optimise the perform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3Navigation within 3D models or im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66Image reproducers using viewer trac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arket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Physiology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VR 모션 플랫폼을 위한 멀미저감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VR 모션 플랫폼을 위한 멀미저감 장치의 제어방법은, VR(Virtual Reality) 콘텐츠에 포함된 콘텐츠 모션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입력된 콘텐츠 모션 데이터에 대응되는 모션 제어 데이터를 모션 디바이스에 전송하여 모션 디바이스의 운동을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모션 디바이스의 운동 상태에 대응되는 모션 감지 데이터를 소정의 센싱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모션 제어 데이터와 상기 모션 감지 데이터 간의 차이를 이용한 멀미 유발 구간을 선정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를 통해 선정된 멀미 유발 구간에서의 멀미 정도가 기 설정된 콘텐츠 재생 구간 동안 최소가 되도록 하기 위한 최종 모션 제어 데이터를 기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3D VR 콘텐츠 재생 처리시 상기 단계에서 저장된 상기 최종 모션 제어 데이터를 상기 모션 디바이스에 전송하여 모션 디바이스의 운동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VR 모션 플랫폼을 위한 멀미저감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MOTION SICKNESS DECREASE IN VR MOTION PLATFORM}
본 발명은 VR 모션 플랫폼을 위한 멀미저감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3D VR 콘텐츠 재생시 움직임을 발생시키는 VR 모션 플랫폼을 이용하는 경우 이용자에게 멀미 발생이 최소화되도록 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가상 현실(VR : Virtual Reality)을 이용한 서비스가 급증하고 있는데, 예를 들어 낙하산 등과 같은 훈련용은 물론이고 게임과 같은 오락용으로 가상 현실 콘텐츠를 제공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가상 현실은 컴퓨터 시스템 등을 사용한 인공적인 기술로 만들어낸 것으로서 실제와 유사하지만 실제가 아닌 어떤 특정한 환경이나 상황 혹은 그 기술 자체를 의미한다.
특히 3D 가상 현실 콘텐츠의 경우 실제가 아닌 컴퓨터 그래픽 상으로 만들어진 3차원의 공간에서 마치 이를 시청하는 사용자가 존재하는 착각을 불러일으키는 것으로서, 이러한 3D 가상 현실 콘텐츠 제공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은 크게 컴퓨터, HMD(Head Mounted Display), 모션 플랫폼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컴퓨터와 HMD에서 가상의 영상 환경을 만들고, 모션 플랫폼 장치에서는 가상의 환경장치와 유사한 모션 감각을 사람에게 인지 시킨다.
사람은 가상의 환경장치와 유사한 모션 감각을 입력 받으므로 보다 현실감을 느끼게 되는데, 문제는 일반적으로 VR 콘텐츠를 제공하는 업체와 모션 플랫폼을 제공하는 업체가 구비되어 있어서 모션 감각과 영상간에 이질감이 종종 발생하고 있다는 점이다.
즉, VR 콘텐츠 제작 시 모션플랫폼을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모션플랫폼의 응답률 및 모션 범위에 따라 영상과의 이질감이 발생되는데, 이는 이용자에게 어지럼증을 유발시키는 주요 요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VR 콘텐츠 이용자의 어지럼증을 최소화하는 기술 제공이 요청되고 있다.
공개특허 제10-2012-0096970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실감형 VR 콘텐츠를 시청하는 경우 이용자의 멀미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VR 모션 플랫폼을 위한 멀미저감 장치는, VR(Virtual Reality) 콘텐츠에 포함된 콘텐츠 모션 데이터를 입력받는 콘텐츠 모션 데이터 입력부와; 상기 콘텐츠 모션 데이터 입력부에 입력된 콘텐츠 모션 데이터에 대응되는 모션 제어 데이터를 모션 디바이스에 전송하여 모션 디바이스의 운동을 제어하는 모션 디바이스 제어부와; 상기 모션 디바이스의 운동 상태에 대응되는 모션 감지 데이터를 소정의 센싱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센싱 데이터 수신부와; 상기 모션 제어 데이터와 상기 모션 감지 데이터 간의 차이를 이용한 멀미 유발 구간을 선정하는 멀미 유발 구간 선정부와; 상기 멀미 유발 구간 선정부에 의해 선정된 멀미 유발 구간에서의 멀미 정도가 기 설정된 콘텐츠 재생 구간 동안 최소가 되도록 하기 위한 최종 모션 제어 데이터를 기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생성하여 저장하는 최종 모션 제어 데이터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션 디바이스 제어부는 상기 3D VR 콘텐츠 재생 처리시 상기 최종 모션 제어 데이터를 상기 모션 디바이스에 전송하여 모션 디바이스의 운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VR 모션 플랫폼을 위한 멀미저감 장치의 제어방법은, VR(Virtual Reality) 콘텐츠에 포함된 콘텐츠 모션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입력된 콘텐츠 모션 데이터에 대응되는 모션 제어 데이터를 모션 디바이스에 전송하여 모션 디바이스의 운동을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모션 디바이스의 운동 상태에 대응되는 모션 감지 데이터를 소정의 센싱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모션 제어 데이터와 상기 모션 감지 데이터 간의 차이를 이용한 멀미 유발 구간을 선정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를 통해 선정된 멀미 유발 구간에서의 멀미 정도가 기 설정된 콘텐츠 재생 구간 동안 최소가 되도록 하기 위한 최종 모션 제어 데이터를 기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3D VR 콘텐츠 재생 처리시 상기 단계에서 저장된 상기 최종 모션 제어 데이터를 상기 모션 디바이스에 전송하여 모션 디바이스의 운동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실감형 VR 콘텐츠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에게 VR 콘텐츠의 화면상의 움직임과 실제 몸의 움직임 간의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어지럼증 즉, 멀미 증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미 저감 장치를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멀미 저감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미 저감 장치의 제어 흐름도이고,
도 5는 각기 다른 값의 최종 모션 제어 데이터 값을 이용하여 모션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경우의 각각의 모션 감지 데이터의 일 예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각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본 발명은 각 실시예에 포함되는 개별 구성, 개별 기능, 또는 개별 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편의상 청구 범위의 일부 청구항에는 '(a)'와 같은 알파벳을 포함시켰으나, 이러한 알파벳이 각 단계의 순서를 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각 실시예에서 언급하는 각 신호는 한 번의 연결 등에 의해 전송되는 하나의 신호를 의미할 수도 있지만, 후술하는 특정 기능 수행을 목적으로 전송되는 일련의 신호 그룹을 의미할 수도 있다. 즉, 각 실시예에서는 소정의 시간 간격을 두고 전송되거나 상대 장치로부터의 응답 신호를 수신한 이후에 전송되는 복수 개의 신호들이 편의상 하나의 신호명으로 표현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R 모션 플랫폼을 위한 멀미저감 장치(이하, '멀미 저감 장치'라 함)(100)를 포함하는 실감형 VR 콘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의 개략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시스템은 멀미 저감 장치(100), VR 콘텐츠 재생 장치(200), 모션 플랫폼(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VR 콘텐츠 재생 장치(200)는 VR 콘텐츠를 재생하여 표시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저장되어 있는 VR 콘텐츠를 추출하여 재생하면서 실감형 VR 콘텐츠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착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일 예로 HMD(210) : Head Mounted Display)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HMD(210)를 착용한 사용자들은 VR 콘텐츠를 시청할 수 있게 된다.
또한 VR 콘텐츠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모션 디바이스(310)가 동작하도록 하기 위한 데이터 즉, 콘텐츠 모션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는데, VR 콘텐츠 재생 장치(200)는 이러한 VR 콘텐츠에 포함되어 있는 콘텐츠 모션 데이터를 추출하여 멀미 저감 장치(100)에 전송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여기서 콘텐츠 모션 데이터는 VR 콘텐츠 영상에서 보여지는 화면에 대응되는 데이터로서, 예를 들어 VR 콘텐츠가 낙하산을 타고 내려오는 사람의 시점에서 촬영된 것이라면 해당 촬영자가 바라보는 방향에 따라 변하는 것일 수 있다.
VR 콘텐츠에 콘텐츠 모션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고 이를 추출하여 제공하는 기능 자체는 공지된 기술에 해당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모션 플랫폼(300)은 소정의 제어 신호에 따라 기 구비된 모션 디바이스(310)(일 예로 모터 등)를 동작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모션 플랫폼(300)은 앞서 설명한 콘텐츠 모션 데이터에 대응되는 소정의 모션 제어 데이터가 수신되면, 이러한 모션 제어 데이터에 따라 기 구비되거나 연결된 모션 디바이스(310)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모션 디바이스(31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HMD(210)를 착용하여 VR 콘텐츠를 시청한 시청자의 몸 또는 팔 , 다리 등을 VR 콘텐츠의 장면에 따라 움직이거나 이동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VR 콘텐츠 시청자가 앉을 수 있는 의자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또는 VR 콘텐츠 시청자의 몸의 일부에 장착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모션 디바이스(310) 그 자체는 공지된 기술에 해당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모션 플랫폼(300)에는 소정의 센싱 장치(320)가 포함될 수 있는데, 센싱 장치(320)는 모션 디바이스(310)의 운동 상태를 감지하고 그에 따른 센싱 신호를 생성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모션 디바이스(310)에 해당하는 모터의 회전 상태를 감지하여 그에 따른 센싱 신호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1에는 이러한 센싱 장치(320)가 모션 플랫폼(300)에 포함되어 있는 것을 일 예로 하였으나, 모션 플랫폼(300)과 구별된 독립된 장치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더 나아가 멀미 저감 장치(100)에 포함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멀미 저감 장치(100)는 VR 콘텐츠 재생 장치(200) 및 모션 플랫폼(300)과 통신하는 것으로서, VR 콘텐츠 재생 장치(200)로부터 콘텐츠 모션 데이터를 수신하고 그에 대응되는 모션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여 모션 플랫폼(300)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멀미 저감 장치(100)는 VR 콘텐츠 포함된 콘텐츠 모션 데이터를 기초로 1인칭 시점으로 촬영된 VR 콘텐츠 상에서 움직이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모션 디바이스(310)가 움직이도록 제어하기 위한 모션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여 모션 플랫폼(300)에 제공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HMD(210)를 착용하여 VR 콘텐츠를 시청하는 시청자는 VR 콘텐츠 시청시 자신의 몸이 함께 움직이는 것을 느낄 수 있으므로 실감형 효과가 극대화한다.
예를 들어 VR 콘텐츠가 롤러코스트 승객 1인칭 시점으로 촬영된 것인 경우, VR 콘텐츠 시청자는 VR 콘텐츠 화면상의 장면에 부합하는 모션 디바이스(310)의 동작 따라 자신의 몸이 이동하게 되므로 실제 롤러코스트를 타고 있는 것과 같은 경험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멀미 저감 장치(100)는 콘텐츠 모션 데이터를 그대로 모션 제어 데이터로 활용하여 모션 플랫폼(300)에 전송할 수도 있고, 또는 모션 디바이스(310)별 별도의 구동 드라이버 등을 이용하여 콘텐츠 모션 데이터에 대응되는 모션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여 모션 플랫폼(3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이러한 멀미 저감 장치(100)의 기능 즉, 콘텐츠 모션 데이터에 대응되는 모션 제어 데이터를 모션 플랫폼(300)에 전송하는 것 자체는 공지된 기술에 해당하고, 이하에서는 종래와 차별화되는 멀미 저감 장치(100)의 기능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미 저감 장치(100)는 모션 데이터 입력부(110), 모션 디바이스 제어부(120), 센싱 데이터 수신부(130), 멀미 유발 구간 선정부(140), 최종 모션 제어 데이터 생성부(150), 저장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저장부(160)는 멀미 저감 장치(100)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 정보, 프로그램 등을 포함할 수 있고, 특히 멀미 저감 장치(100)의 동작 중 발생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 정보 등을 추가로 저장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콘텐츠 모션 데이터 입력부(110)는 VR 콘텐츠 일 예로 3D(3 Dimension) VR 콘텐츠에 포함된 콘텐츠 모션 데이터를 입력받는 기능을 수행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VR 콘텐츠 재생 장치(200)는 자신에게 구비된 3D 콘텐츠로부터 콘텐츠 모션 데이터를 추출하여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콘텐츠 모션 데이터 입력부(110)는 이러한 콘텐츠 모션 데이터를 VR 콘텐츠 재생 장치(200)로부터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멀미 저감 장치(100)와 VR 콘텐츠 재생 장치(200)가 구분되어 있는 것을 일 예로 하고 있는데, VR 콘텐츠 재생 장치(200)의 기능이 멀미 저감 장치(100)에 포함될 수도 있고, 이 경우 콘텐츠 모션 데이터 입력부(110)는 소정의 콘텐츠 재생부(미 도시함)에 의해 3D 콘텐츠가 재생처리 되는 경우 그 콘텐츠 재생부로부터 콘텐츠 모션 데이터를 수신 입력받을 수도 있다.
모션 디바이스 제어부(120)는 콘텐츠 모션 데이터 입력부(110)에 입력된 콘텐츠 모션 데이터에 대응되는 모션 제어 데이터를 모션 디바이스(310)에 전송하여 모션 디바이스(310)의 운동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처럼 모션 제어 데이터를 모션 디바이스(310)에 전송하는 것 자체는 공지된 기술에 해당함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또한 모션 디바이스 제어부(120)는 3D VR 콘텐츠 재생 처리시 저장부(160)에 저장되어 있는 최종 모션 제어 데이터를 모션 디바이스(310)에 전송하여 모션 디바이스(310)의 운동을 제어하는 기능도 수행하는데, 최종 모션 제어 데이터에 관한 보다 수체적인 설명은 후술토록 한다.
센싱 데이터 수신부(130)는 모션 디바이스(310)의 운동 상태에 대응되는 모션 감지 데이터를 소정의 센싱 장치(320)로부터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센싱 장치(320)는 모션 디바이스(310)의 운동 상태(움직임 각도, 움직임 속도, 이동 거리 등)를 감지하고 그에 따른 일종의 센싱 데이터 즉, 모션 감지 데이터를 생성 및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이러한 정보를 수신하는 것이 센싱 데이터 수신부(130)이다.
멀미 유발 구간 선정부(140)는 모션 제어 데이터와 모션 감지 데이터 간의 차이를 이용한 멀미 유발 구간을 선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멀미 유발 구간 선정부(140)는 모션 제어 데이터의 크기가 변화하는 동안 모션 감지 데이터의 크기가 변화하지 않는 구간을 기준으로 멀미 유발 구간을 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션 제어 데이터에 따라 모션 디바이스(310)가 동작하던 중에 모션 디바이스(310)의 동작 범위가 초과되는 경우에는 비록 모션 제어 데이터가 입력되는 경우라도 해당 모션 디바이스(310)는 더 이상 움직이지 않게 되는데, 이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모션 제어 데이터의 크기가 변화하는 동안 모션 감지 데이터의 크기가 변화하지 않게 되고, 멀미 유발 구간 선정부(140)는 이러한 구간을 멀미 유발 구간으로 선정할 수 있는 것이다.
구체적인 예로써, 모션 디바이스(310)가 동작 범위 내에 있는 경우에는 사인 곡선(삼각함수 상의 사인 곡선)의 콘텐츠 모션 데이터에 따라 모션 감지 데이터 역시 사인 곡선을 갖게 되는데, 만일 모션 디바이스(310)의 동작 범위를 벗어난 콘텐츠 모션 데이터가 입력된 경우에는 해당 모션 디바이스(310)는 동작 범위 최대치에서 멈춘 채로 있게 되고 따라서 모션 감지 데이터는 더 이상 콘텐츠 모션 데이터의 사인 곡선을 따라가지 않게 되는 것이다.
본 출원인에 의한 실험 결과 사람은 시청하고 있는 영상에서의 움직임에 맞춰서 몸이 함께 움직이는 경우 어지럼증을 덜 느끼게 되는데, 따라서 본 실시예서 멀미 유발 구간 선정부(140)는 콘텐츠 모션 데이터와 모션 감지 데이터 간의 이러한 차이를 기초로 멀미 유발 구간을 판단하는 것이고, 특히 모션 제어 데이터의 크기가 변화하는 동안 모션 감지 데이터의 크기가 변화하지 않게 되는 구간을 멀미 유발 구간으로 선정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구간'의 의미는 VR 콘텐츠가 재생되고 있는 상태의 시간 도메인 상에서의 구간을 의미할 수 있다.
다른 예로써, 멀미 유발 구간 선정부(140)는 모션 제어 데이터의 크기가 변화하는 정도보다 모션 감지 데이터의 크기가 변화하는 정도가 기 설정된 값 이하인 구간을 기준으로 멀미 유발 구간을 선정할 수도 있다.
즉, 앞선 예에서와 같이 모션 감지 데이터가 전혀 변화하지 않는 것은 아니지만 그 변화 정도가 기 설정된 값 이하인 구간을 멀미 유발 구간으로 선정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최종 모션 제어 데이터 생성부(150)는 멀미 유발 구간 선정부(140)에 의해 선정된 멀미 유발 구간에서의 멀미 정도가 기 설정된 콘텐츠 재생 구간 동안 최소가 되도록 하기 위한 최종 모션 제어 데이터를 기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생성하여 저장부(160)에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멀미 유발 구간 선정부(140)가 모션 제어 데이터의 크기가 변화하는 동안 모션 감지 데이터의 크기가 변화하지 않는 구간을 기준으로 멀미 유발 구간을 선정한 경우, 최종 모션 제어 데이터 생성부(150)는 멀미 유발 구간에서 모션 감지 데이터의 크기가 지속적으로 변화하도록 모션 제어 데이터를 조정하고, 그 조정된 모션 제어 데이터를 최종 모션 제어 데이터로 생성 및 저장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멀미 유발 구간 선정부(140)가 모션 제어 데이터의 크기가 변화하는 정도보다 모션 감지 데이터의 크기가 변화하는 정도가 기 설정된 값 이하인 구간을 기준으로 멀미 유발 구간을 선정한 경우, 최종 모션 제어 데이터 생성부(150)는 멀미 유발 구간에서 모션 감지 데이터의 변화 정도가 기 설정된 값보다 커지도록 모션 제어 데이터를 조정하고, 그 조정된 모션 제어 데이터를 최종 모션 제어 데이터로 생성 및 저장할 수 있다.
모션 제어 데이터를 수정 또는 변경하여 최종 모션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면, 우선 최종 모션 제어 데이터 생성부(150)는 멀미 유발 구간을 포함하는 특정 구간의 모션 제어 데이터에 1 이하의 배율 값을 곱하여 최종 모션 제어 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구간은 멀미 유발 구간과 동일한 구간일 수도 있고, 또는 멀미 유발 구간을 기준으로 소정의 시간 단위로 좌우측으로 확장된 구간일 수도 있다.
이 경우 최종 모션 제어 데이터의 변화 진폭은 모션 제어 데이터의 변화 진폭 크기에 비해 작게 된다.
여기서, 배율 값은 멀미 유발 구간에서의 모션 제어 데이터 및 모션 감지 데이터 간의 차이와, 멀미 유발 구간을 포함하는 특정 구간의 모션 제어 데이터의 크기를 고려하여 동적으로 산출된 것일 수 있다.
다른 예로써, 최종 모션 제어 데이터 생성부(150)는 멀미 유발 구간을 포함하는 특정 구간의 모션 제어 데이터에 주파수 도메인상에서 필터링 처리를 수행하여 최종 모션 제어 데이터를 생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주파수 도메인상에서의 필터링 처리가 로우패스 필터에 해당하는 경우 최종 모션 제어 데이터의 변화 주파수는 모션 제어 데이터의 변화 주파수보다 낮게 된다.
또 다른 예로써, 최종 모션 제어 데이터 생성부(150)는 멀미 유발 구간을 포함하는 특정 구간의 모션 제어 데이터에 대해 지연 값을 더하거나 뺀 최종 모션 제어 데이터를 생성할 수도 있다.
모션 디바이스(310)가 3차원 움직임을 수행하는 장치인 경우 상술한 모션 제어 데이터와 최종 모션 제어 데이터는 모션 디바이스(310)가 3차원 좌표상에서 X축 회전, Y축 회전, Z축 회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각 축의 회전은 피치(PITCH), 롤(ROLL), 요(YAW)로 표현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처럼 최종 모션 제어 데이터가 저장부(160)에 저장된 상태에서 VR 콘텐츠가 수행되는 경우에는 앞서 설명한 모션 디바이스 제어부(120)는 그 저장된 최종 모션 제어 데이터를 추출하여 모션 플랫폼(300)에 전송하게 된다.
이에 따라 모션 디바이스(310)는 최종 모션 제어 데이터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여 결국 VR 시청자의 멀미 발생 가능성이 줄어들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미 저감 장치(100)의 전체적인 제어 과정을 설명한다.
우선, 멀미 저감 장치(100)는 VR 콘텐츠 재생 장치(200)로부터 콘텐츠 모션 데이터를 입력받고, 그 콘텐츠 모션 데이터에 대응되는 모션 제어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어서 멀미 저감 장치(100)는 생성한 모션 제어 데이터를 모션 디바이스(310)에 전송하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모션 디바이스(310)를 직접 제어하지 않는 경우에는 모션 플랫폼(3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모션 디바이스(310)는 구동을 하게 되는데, 이러한 모션 디바이스(310)의 동작 또는 구동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 또는 센싱 장치(320)로부터 모션 감지 데이터가 수신되면, 멀미 저감 장치(100)는 그 수신된 모션 감지 데이터와 모션 제어 데이터 그 자체 또는 그 변화량을 비교한다.
이러한 비교를 통해 멀미 저감 장치(100)는 시간축 상에서의 멀미 유발 구간을 선정하고, 해당 멀미 유발 구간에서 멀미 정도가 최소화되도록 하기 위한 최종 모션 제어 데이터를 생성 및 저장부(160)에 저장한다.
이후, 멀미 저감 장치(100)는 VR 콘텐츠 재생 처리가 이루어지는 경우 그 VR 콘텐츠에 대응되는 최종 모션 제어 데이터를 저장부(160)에서 추출하여 모션 디바이스(310) 또는 모션 플랫폼(300)에 전송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 단계 S5는 모션 디바이스(310)에 대한 일종의 시험 운행 단계라 할 수 있고, 단계 S17은 사용자가 실제 VR 콘텐츠를 시청할 때 모션 디바이스(310)를 제어하는 실제 이용 단계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멀미 저감 장치(100)는 시험 단계와 실제 이용 단계를 먼저 구분하고 그에 따른 자동 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멀미 저감 장치(100)는 VR 콘텐츠 재생 장치(200)로부터 콘텐츠 모션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해당 VR 콘텐츠에 대응되는 최종 모션 제어 데이터가 저장부(160)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최종 모션 제어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지 않다면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은 최종 모션 제어 데이터 생성 과정(멀미 유발 구간을 판정하고 그 구간에서 멀미 정도를 최소화하는 최종 모션 제어 데이터 생성 과정)을 수행하고, 확인 결과 최종 모션 제어 데이터가 이미 저장되어 있다면 그 저장되어 있는 최종 모션 제어 데이터를 저장부(160)로부터 추출하여 모션 디바이스(310) 또는 모션 플랫폼(300)에 전송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VR 콘텐츠 재생 장치(200)로부터 콘텐츠 모션 데이터 입력시 해당 VR 콘텐츠를 특정하는 식별자를 함께 수신할 수 있고, 이러한 콘텐츠 식별자를 최종 모션 제어 데이터 저장시 함께 매칭 저장하여 특정 VR 콘텐츠 재생시 그에 대응되는 최종 모션 제어 데이터의 존재 여부 및 추출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시험 단계와 실제 이용 단계에 대한 구분은 관리자의 명령 또는 선택에 따라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과정을 거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발생한다.
예를 들어 멀미 유발 구간을 포함하는 특정 구간의 모션 제어 데이터에 1 이하의 배율 값을 곱하여 최종 모션 제어 데이터를 산출하여 저장한 후, VR 콘텐츠 재생시 최종 모션 제어 데이터를 이용하여 모션 디바이스(310)를 제어하는 경우 모션 디바이스(310)는 기존의 콘텐츠 모션 데이터에 대응되는 모션 제어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어하는 경우와 비교할 때 움직임 크기 정도(진폭의 정도)가 더 작게 되지만 동작 범위를 초과함에 따라 멈추는 경우는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즉, 실감형 VR 콘텐츠를 이용하는 사용자 입장에서는 동일한 VR 콘텐츠 시청 구간에서 몸의 움직임을 덜 느끼기는 하지만, 움직임이 멈추는 횟수는 상당히 줄어들게 되고, 결국 실험에 의해 도출된 결론과 같이 멀미 발생 가능성이 상당히 떨어지게 되는 것이다.
참고로 도 5에는 모션 제어 데이터와, 각각의 배율을 적용하여 산출한 최종 모션 제어 데이터의 결과치 즉, 모션 감지 데이터를 나타내고 있다.
도 5에서 빨간색 선은 모션 제어 데이터를 나타낸 것이고, 주황색 선은 1.0배율을 적용한 최종 모션 제어 데이터를 나타낸 것이고, 노란색 선은 1.5배율을 적용한 최종 모션 제어 데이터를 나타낸 것이고, 초록색 선은 0.5배율을 적용한 최종 모션 제어 데이터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0.5배율을 적용한 최종 모션 제어 데이터의 그래프가 비록 진폭은 줄어들었지만, 완전히 움직임을 멈추는 경우(그래프상의 기울기가 0인 경우)는 가장 줄어들었음을 알 수 있다.
상술한 과정은 필터링 처리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예를 들어 멀미 유발 구간을 포함하는 특정 구간의 모션 제어 데이터에 주파수 도메인상에서 로우패스 필터 처리를 수행하여 최종 모션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여 저장한 후, VR 콘텐츠 재생시 해당 최종 모션 제어 데이터를 이용하여 모션 디바이스(310)를 제어하는 경우 모션 디바이스(310)는 기존의 콘텐츠 모션 데이터에 대응되는 모션 제어 데이터를 이용하는 경우와 비교할 때 움직임 빠르기 정도(주파수 크기)는 더 줄어들지만 동작 범위를 초과할 가능성은 줄어들고, 결국 멀미 발생 가능성은 더 떨어지게 되는 것이다.
더 나아가 멀미 유발 구간을 포함하는 특정 구간의 모션 제어 데이터에서 양수의 지연 값을 뺀 최종 모션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여 저장한 후, VR 콘텐츠 재생시 실제 VR 콘텐츠 상에서의 움직임이 발생했음에도 불구하고 모션 디바이스(310)의 움직임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를 예방할 수 있고, 이는 VR 콘텐츠 시청자의 멀미 발생 가능성을 줄이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멀미 유발 구간에 대한 선정과 최종 모션 제어 데이터의 생성이 멀미 저감 장치(100)에서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과정을 설명하였으나, 멀미 저감 장치(100)는 일종의 저작 툴을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에 따라 멀미 유발 구간의 선정과 최종 모션 제어 데이터의 생성을 처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2의 최종 모션 제어 데이터 생성부(150)는 사용자로부터 저작 툴의 기능을 통해 모션 제어 데이터의 수정을 입력받고, 그 수정 입력된 모션 제어 데이터를 이용하여 최종 모션 제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도 2의 멀미 유발 구간 선정부(140)는 모션 제어 데이터와 모션 감지 데이터 간의 차이에 기초한 멀미 유발 구간이 기 구비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즉, 관리자는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모션 제어 데이터의 시간 변화에 따른 그래프와 모션 감지 데이터의 시간 변화에 따른 그래프 및 동일한 시점의 그들 간의 차이에 따라 표시된 멀미 유발 구간을 확인하고, 해당 멀미 유발 구간에서 모션 제어 데이터의 시간축 상에서의 그래프를 직접 변경시키고, 그 변경된 그래프가 곧 최종 모션 제어 데이터가 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관리자에 의해 수동 조작으로 최종 모션 제어 데이터가 생성되는 전체적인 과정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멀미 저감 장치(100)는 일종의 저작 툴을 재생하여 관리자의 선택에 따라 하기의 사항을 수행한다고 가정한다.
멀미 저감 장치(100)는 VR 콘텐츠 재생 장치(200)로부터 콘텐츠 모션 데이터를 입력받고, 그 콘텐츠 모션 데이터에 대응되는 모션 제어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러한 과정은 관리자가 특정 VR 콘텐츠를 재생함에 따라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이어서 멀미 저감 장치(100)는 생성한 모션 제어 데이터를 모션 디바이스(310)에 전송하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모션 디바이스(310)를 직접 제어하지 않는 경우에는 모션 플랫폼(3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모션 디바이스(310)는 구동을 하게 되는데, 멀미 저감 장치(100)는 이러한 모션 디바이스(310)의 동작 또는 구동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 또는 센싱 장치(320)로부터 모션 감지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어서 멀미 저감 장치(100)는 모션 제어 데이터와 모션 감지 데이터를 동시에 관리자 화면상에 표시한다.
이때 멀미 저감 장치(100)는 모션 제어 데이터와 모션 감지 데이터 간의 차이에 기초하여 멀미 유발 구간을 선별한 후 화면상에 다른 구간과 구별되도록 표시할 수도 있다. 일 예로 특정 색상을 부가하여 구별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멀미 유발 구간 자체를 관리자가 직접 선정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어서 관리자는 직접 화면상에 표시된 모션 제어 데이터의 그래프를 데이터 입력 방식 또는 그래픽 방식 등을 이용하여 변경시킬 수 있는데, 이러한 관리자에 의한 변경 입력에 따라 멀미 저감 장치(100)는 모션 제어 데이터를 수정하고, 그 최종 수정된 데이터를 최종 모션 제어 데이터로 정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후, 멀미 저감 장치(100)는 VR 콘텐츠 재생 처리가 이루어지는 경우 그 VR 콘텐츠에 대응되는 최종 모션 제어 데이터를 저장부(160)에서 추출하여 모션 디바이스(310) 또는 모션 플랫폼(300)에 전송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멀미 저감 장치(100), VR 콘텐츠 재생 장치(200), 모션 플랫폼(300)이 각각 독립된 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일 예로 하였으나, 이들 중 적어도 두 개 이상이 하나의 장치에 통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술한 각 실시예를 수행하는 과정은 소정의 기록 매체(예를 들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에 저장된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기록 매체는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전자적 기록 매체, 하드 디스크와 같은 자기적 기록 매체, CD(Compact Disk)와 같은 광학적 기록 매체 등을 모두 포함한다.
이때, 기록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은 컴퓨터나 스마트폰 등과 같은 하드웨어 상에서 실행되어 상술한 각 실시예를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멀미 저감 장치의 기능 블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이러한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및 수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면 본 발명에 포함된다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100 : 멀미 저감 장치 200 : VR 콘텐츠 재생 장치
300 : 모션 플랫폼 110 : 모션 데이터 입력부
120 : 모션 디바이스 제어부 130 : 센싱 데이터 수신부
140 : 멀미 유발 구간 선정부 150 : 최종 모션 제어 데이터 생성부
160 : 저장부 210 : HMD
310 : 모션 디바이스 320 : 센싱 장치

Claims (18)

  1. 삭제
  2. VR 모션 플랫폼을 위한 멀미저감 장치가 수행하는 제어방법에 있어서,
    (a) VR(Virtual Reality) 콘텐츠에 포함된 콘텐츠 모션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와;
    (b) 상기 (a) 단계에서 입력된 콘텐츠 모션 데이터에 대응되는 모션 제어 데이터를 모션 디바이스에 전송하여 모션 디바이스의 운동을 제어하는 단계와;
    (c) 상기 모션 디바이스의 운동 상태에 대응되는 모션 감지 데이터를 소정의 센싱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d) 상기 모션 제어 데이터와 상기 모션 감지 데이터 간의 차이를 이용한 멀미 유발 구간을 선정하는 단계와;
    (e) 상기 (d) 단계를 통해 선정된 멀미 유발 구간에서의 멀미 정도가 기 설정된 콘텐츠 재생 구간 동안 최소가 되도록 하기 위한 최종 모션 제어 데이터를 기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f) 상기 VR 콘텐츠 재생 처리시 상기 (e) 단계에서 저장된 상기 최종 모션 제어 데이터를 상기 모션 디바이스에 전송하여 모션 디바이스의 운동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d) 단계에서는 상기 모션 제어 데이터의 크기가 변화하는 동안 상기 모션 감지 데이터의 크기가 변화하지 않는 구간을 기준으로 멀미 유발 구간을 선정하고,
    상기 (e) 단계에서는, 상기 멀미 유발 구간에서 상기 모션 감지 데이터의 크기가 지속적으로 변화하도록 상기 모션 제어 데이터를 조정하고, 그 조정된 모션 제어 데이터를 상기 최종 모션 제어 데이터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R 모션 플랫폼을 위한 멀미저감 장치의 제어방법.
  3. VR 모션 플랫폼을 위한 멀미저감 장치가 수행하는 제어방법에 있어서,
    (a) VR(Virtual Reality) 콘텐츠에 포함된 콘텐츠 모션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와;
    (b) 상기 (a) 단계에서 입력된 콘텐츠 모션 데이터에 대응되는 모션 제어 데이터를 모션 디바이스에 전송하여 모션 디바이스의 운동을 제어하는 단계와;
    (c) 상기 모션 디바이스의 운동 상태에 대응되는 모션 감지 데이터를 소정의 센싱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d) 상기 모션 제어 데이터와 상기 모션 감지 데이터 간의 차이를 이용한 멀미 유발 구간을 선정하는 단계와;
    (e) 상기 (d) 단계를 통해 선정된 멀미 유발 구간에서의 멀미 정도가 기 설정된 콘텐츠 재생 구간 동안 최소가 되도록 하기 위한 최종 모션 제어 데이터를 기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f) 상기 VR 콘텐츠 재생 처리시 상기 (e) 단계에서 저장된 상기 최종 모션 제어 데이터를 상기 모션 디바이스에 전송하여 모션 디바이스의 운동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d) 단계에서는 상기 모션 제어 데이터의 크기가 변화하는 정도보다 상기 모션 감지 데이터의 크기가 변화하는 정도가 기 설정된 값 이하인 구간을 기준으로 멀미 유발 구간을 선정하고,
    상기 (e) 단계에서는, 상기 멀미 유발 구간에서 상기 모션 감지 데이터의 변화 정도가 기 설정된 값보다 커지도록 모션 제어 데이터를 조정하고, 그 조정된 모션 제어 데이터를 상기 최종 모션 제어 데이터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R 모션 플랫폼을 위한 멀미저감 장치의 제어방법.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에서는, 상기 멀미 유발 구간을 포함하는 특정 구간의 모션 제어 데이터에 1 이하의 배율 값을 곱하여 최종 모션 제어 데이터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R 모션 플랫폼을 위한 멀미저감 장치의 제어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율 값은 상기 멀미 유발 구간에서의 상기 모션 제어 데이터 및 상기 모션 감지 데이터 간의 차이와, 상기 멀미 유발 구간을 포함하는 특정 구간의 모션 제어 데이터의 크기를 고려하여 동적으로 산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VR 모션 플랫폼을 위한 멀미저감 장치의 제어방법.
  6.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에서는, 상기 멀미 유발 구간을 포함하는 특정 구간의 모션 제어 데이터에 주파수 도메인상에서 필터링 처리를 수행하여 상기 최종 모션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R 모션 플랫폼을 위한 멀미저감 장치의 제어방법.
  7.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사용자 저작 툴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d) 단계에서는, 상기 모션 제어 데이터와 상기 모션 감지 데이터 간의 차이에 기초한 멀미 유발 구간이 기 구비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e) 단계는, (e1) 사용자로부터 상기 저작 툴의 기능을 통해 상기 모션 제어 데이터의 수정을 입력받는 단계와; (e2) 상기 (e1) 단계에서 수정 입력된 모션 제어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최종 모션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R 모션 플랫폼을 위한 멀미저감 장치의 제어방법.
  8.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 디바이스는 3차원 움직임을 수행하는 장치이고,
    상기 모션 제어 데이터와 상기 최종 모션 제어 데이터는 상기 모션 디바이스가 3차원 좌표상에서 X축 회전, Y축 회전, Z축 회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R 모션 플랫폼을 위한 멀미저감 장치의 제어방법.
  9. 제2항 또는 제3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10.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제2항 또는 제3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
  11. 삭제
  12. VR(Virtual Reality) 콘텐츠에 포함된 콘텐츠 모션 데이터를 입력받는 콘텐츠 모션 데이터 입력부와;
    상기 콘텐츠 모션 데이터 입력부에 입력된 콘텐츠 모션 데이터에 대응되는 모션 제어 데이터를 모션 디바이스에 전송하여 모션 디바이스의 운동을 제어하는 모션 디바이스 제어부와;
    상기 모션 디바이스의 운동 상태에 대응되는 모션 감지 데이터를 소정의 센싱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센싱 데이터 수신부와;
    상기 모션 제어 데이터와 상기 모션 감지 데이터 간의 차이를 이용한 멀미 유발 구간을 선정하는 멀미 유발 구간 선정부와;
    상기 멀미 유발 구간 선정부에 의해 선정된 멀미 유발 구간에서의 멀미 정도가 기 설정된 콘텐츠 재생 구간 동안 최소가 되도록 하기 위한 최종 모션 제어 데이터를 기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생성하여 저장하는 최종 모션 제어 데이터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션 디바이스 제어부는 상기 VR 콘텐츠 재생 처리시 상기 최종 모션 제어 데이터를 상기 모션 디바이스에 전송하여 모션 디바이스의 운동을 제어하고,
    상기 멀미 유발 구간 선정부는 상기 모션 제어 데이터의 크기가 변화하는 동안 상기 모션 감지 데이터의 크기가 변화하지 않는 구간을 기준으로 멀미 유발 구간을 선정하고,
    상기 최종 모션 제어 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멀미 유발 구간에서 상기 모션 감지 데이터의 크기가 지속적으로 변화하도록 상기 모션 제어 데이터를 조정하고, 그 조정된 모션 제어 데이터를 상기 최종 모션 제어 데이터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R 모션 플랫폼을 위한 멀미저감 장치.
  13. VR(Virtual Reality) 콘텐츠에 포함된 콘텐츠 모션 데이터를 입력받는 콘텐츠 모션 데이터 입력부와;
    상기 콘텐츠 모션 데이터 입력부에 입력된 콘텐츠 모션 데이터에 대응되는 모션 제어 데이터를 모션 디바이스에 전송하여 모션 디바이스의 운동을 제어하는 모션 디바이스 제어부와;
    상기 모션 디바이스의 운동 상태에 대응되는 모션 감지 데이터를 소정의 센싱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센싱 데이터 수신부와;
    상기 모션 제어 데이터와 상기 모션 감지 데이터 간의 차이를 이용한 멀미 유발 구간을 선정하는 멀미 유발 구간 선정부와;
    상기 멀미 유발 구간 선정부에 의해 선정된 멀미 유발 구간에서의 멀미 정도가 기 설정된 콘텐츠 재생 구간 동안 최소가 되도록 하기 위한 최종 모션 제어 데이터를 기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생성하여 저장하는 최종 모션 제어 데이터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션 디바이스 제어부는 상기 VR 콘텐츠 재생 처리시 상기 최종 모션 제어 데이터를 상기 모션 디바이스에 전송하여 모션 디바이스의 운동을 제어하고,
    상기 멀미 유발 구간 선정부는 상기 모션 제어 데이터의 크기가 변화하는 정도보다 상기 모션 감지 데이터의 크기가 변화하는 정도가 기 설정된 값 이하인 구간을 기준으로 멀미 유발 구간을 선정하고,
    상기 최종 모션 제어 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멀미 유발 구간에서 상기 모션 감지 데이터의 변화 정도가 기 설정된 값보다 커지도록 모션 제어 데이터를 조정하고, 그 조정된 모션 제어 데이터를 상기 최종 모션 제어 데이터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R 모션 플랫폼을 위한 멀미저감 장치.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 모션 제어 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멀미 유발 구간을 포함하는 특정 구간의 모션 제어 데이터에 1 이하의 배율 값을 곱하여 최종 모션 제어 데이터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R 모션 플랫폼을 위한 멀미저감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배율 값은 상기 멀미 유발 구간에서의 상기 모션 제어 데이터 및 상기 모션 감지 데이터 간의 차이와, 상기 멀미 유발 구간을 포함하는 특정 구간의 모션 제어 데이터의 크기를 고려하여 동적으로 산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VR 모션 플랫폼을 위한 멀미저감 장치.
  16.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 모션 제어 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멀미 유발 구간을 포함하는 특정 구간의 모션 제어 데이터에 주파수 도메인상에서 필터링 처리를 수행하여 상기 최종 모션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R 모션 플랫폼을 위한 멀미저감 장치.
  17.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멀미 유발 구간 선정부는 상기 모션 제어 데이터와 상기 모션 감지 데이터 간의 차이에 기초한 멀미 유발 구간이 기 구비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최종 모션 제어 데이터 생성부는 사용자로부터 저작 툴의 기능을 통해 상기 모션 제어 데이터의 수정을 입력받고, 그 수정 입력된 모션 제어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최종 모션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R 모션 플랫폼을 위한 멀미저감 장치.
  18.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 디바이스는 3차원 움직임을 수행하는 장치이고,
    상기 모션 제어 데이터와 상기 최종 모션 제어 데이터는 상기 모션 디바이스가 3차원 좌표상에서 X축 회전, Y축 회전, Z축 회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R 모션 플랫폼을 위한 멀미저감 장치.
KR1020180146233A 2018-11-23 2018-11-23 Vr 모션 플랫폼을 위한 멀미저감 방법 및 장치 Active KR1022056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6233A KR102205691B1 (ko) 2018-11-23 2018-11-23 Vr 모션 플랫폼을 위한 멀미저감 방법 및 장치
US17/296,213 US11928251B2 (en) 2018-11-23 2019-08-28 Motion sickness reduc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VR motion platform
PCT/KR2019/011027 WO2020105849A1 (ko) 2018-11-23 2019-08-28 Vr 모션 플랫폼을 위한 멀미저감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6233A KR102205691B1 (ko) 2018-11-23 2018-11-23 Vr 모션 플랫폼을 위한 멀미저감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0973A KR20200060973A (ko) 2020-06-02
KR102205691B1 true KR102205691B1 (ko) 2021-01-21

Family

ID=70774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6233A Active KR102205691B1 (ko) 2018-11-23 2018-11-23 Vr 모션 플랫폼을 위한 멀미저감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928251B2 (ko)
KR (1) KR102205691B1 (ko)
WO (1) WO20201058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15274B (zh) * 2020-08-26 2024-04-26 深圳市创凯智能股份有限公司 沉浸式虚拟现实系统显示方法、系统及可读存储介质
KR102591907B1 (ko) * 2021-09-15 2023-10-20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영상 컨텐츠와 모션 체어를 연동하는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시스템
KR102532438B1 (ko) * 2022-03-11 2023-05-16 모트렉스(주) 가상 오브젝트를 활용한 이동공간 메타버스 환경에서의 멀미 저감 방법 및 그 장치
TWI817553B (zh) * 2022-06-13 2023-10-01 中國鋼鐵股份有限公司 防禦性駕駛的訓練系統與訓練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36756B2 (ja) 2002-06-21 2006-10-25 川田工業株式会社 モーションベース用制御装置
KR101232422B1 (ko) 2011-02-24 2013-02-12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가상 스킨스쿠버 체감을 위한 모션 시뮬레이터 시스템
US20140176296A1 (en) * 2012-12-19 2014-06-26 HeadsUp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managing motion sickness
US20160027141A1 (en) * 2014-07-22 2016-01-28 Oculus Vr, Llc In-band latency detection system
US9999835B2 (en) * 2015-02-05 2018-06-19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Inc. Motion sickness monitoring and application of supplemental sound to counteract sickness
KR101564964B1 (ko) * 2015-02-05 2015-11-02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상현실 멀미를 감소시키는 전기 자극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KR20160113491A (ko) * 2015-03-20 2016-09-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모션 플랫폼 시스템
KR20170106161A (ko) * 2016-03-11 2017-09-20 주식회사 상화 가상현실 체험장치
KR102233099B1 (ko) * 2017-12-05 2021-03-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기계학습에 기반한 가상 현실 콘텐츠의 사이버 멀미도 예측 모델 생성 및 정량화 조절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928251B2 (en) 2024-03-12
US20220011854A1 (en) 2022-01-13
WO2020105849A1 (ko) 2020-05-28
KR20200060973A (ko) 2020-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62954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esenting virtual reality content to a user
KR102205691B1 (ko) Vr 모션 플랫폼을 위한 멀미저감 방법 및 장치
JP7583854B2 (ja) 仮想、拡張、または複合現実環境内で3dビデオを生成および表示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10657727B2 (en) Production and packaging of entertainment data for virtual reality
US10078917B1 (en) Augmented reality simulation
KR101576294B1 (ko) 가상 현실 시스템에서 사운드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12022357B1 (en) Content presentation and layering across multiple devices
US20120146894A1 (en) Mixed reality display platform for presenting augmented 3d stereo imag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20100094375A (ko) 영상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1687174B1 (ko) Vr 기기에서의 이벤트 발생에 의한 메시지 표시방법 및 그 장치
US20190347864A1 (en) Storage medium, content provid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providing stereoscopic content based on viewing progression
US1148078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20150121001A (ko) 햅틱 액추에이터 제어 파라미터들을 갖고 있는 시청각 콘텐츠의 아이템을 재생하기 위한 방법과 그 방법을 구현하는 장치
CN114053694A (zh) 应用服务器及其应用服务方法、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2018504014A (ja) 三次元の外観を有する画像の再生方法
US11989356B2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forming degree of freedom in mulsemedia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1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3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1218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1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1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1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