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205309B1 - Battery Pack Comprising Terminal Block - Google Patents

Battery Pack Comprising Terminal Bloc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5309B1
KR102205309B1 KR1020160154910A KR20160154910A KR102205309B1 KR 102205309 B1 KR102205309 B1 KR 102205309B1 KR 1020160154910 A KR1020160154910 A KR 1020160154910A KR 20160154910 A KR20160154910 A KR 20160154910A KR 102205309 B1 KR102205309 B1 KR 1022053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wires
battery pack
terminal block
battery module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491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56944A (en
Inventor
김성곤
권유나
김태혁
노태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601549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5309B1/en
Publication of KR201800569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694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53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5309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3Cooling or keeping col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전지셀들이 적층 배열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양극 와이어 및 음극 와이어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둘 이상의 전지모듈들; 및 상기 전지모듈들이 배열된 상태로 상면에 탑재되는 베이스 플레이트(base plate);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전지모듈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전지모듈은, 나머지 전지모듈들에 대해, 전지셀들의 적층 배열 방향이 상이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배열되어 있으며, 전지셀 적층 배열 방향이 상이한 상기 전지모듈과, 이에 인접한 전지모듈이 연결되는 와이어들 사이에는, 상기 전지모듈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와이어들의 단부가 각각 결합되는 터미널 블록(terminal block)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are stacked and arranged, and two or more battery modules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positive electrode wire and a negative electrode wire; And a base plate mounted on an upper surface in a state in which the battery modules are arranged, wherein at least one battery module among the battery modules includes a stacking arrangement direction of battery cells with respect to the remaining battery modules. The battery modules are arranged differently on the base plate, and the battery modules having different battery cell stacking arrangement directions, and the wires to which the battery modules adjacent thereto are connected, each end of the wires are coupled to electrically connect the battery modules. It provides a battery pack, characterized in that the terminal block (terminal block) is located.

Description

터미널 블록을 포함하고 있는 전지팩 {Battery Pack Comprising Terminal Block}Battery Pack Comprising Terminal Block {Battery Pack Comprising Terminal Block}

본 발명은 터미널 블록을 포함하고 있는 전지팩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pack including a terminal block.

최근, 모바일 기기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에너지원으로서의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고, 그에 따라 다양한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이차전지에 대한 많은 연구가 행해지고 있다. 또한, 이차전지는 화석 연료를 사용하는 기존의 가솔린 차량, 디젤 차량 등의 대기오염 등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전기자동차(EV),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HEV),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Plug-In HEV) 등의 동력원으로서도 주목받고 있다.In recent years, as technology development and demand for mobile devices increase, the demand for rechargeable secondary batteries as an energy source is rapidly increasing, and accordingly, many studies on secondary batteries that can meet various demands have been conducted. In addition, the secondary battery is an electric vehicle (EV), a hybrid electric vehicle (HEV), and a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that is proposed as a solution to the air pollution of conventional gasoline vehicles and diesel vehicles that use fossil fuels. It is also attracting attention as a power source such as (Plug-In HEV).

따라서, 배터리 만으로 운행될 수 있는 전기자동차(EV), 배터리와 기존 엔진을 병용하는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HEV) 등이 개발되었고, 일부는 상용화되어 있다. EV, HEV 등의 동력원으로서의 이차전지는 주로 니켈 수소 금속(Ni-MH) 이차전지가 주로 사용되고 있지만, 최근에는 높은 에너지 밀도, 높은 방전 전압 및 출력 안정성의 리튬 이차전지를 사용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일부 상용화 단계에 있다.Accordingly, electric vehicles (EV) that can be operated with only batteries, hybrid electric vehicles (HEVs) that use batteries and existing engines together have been developed, and some are commercially available. Secondary batteries as power sources such as EVs and HEVs are mainly nickel hydride metal (Ni-MH) secondary batteries, but in recent years, studies using lithium secondary batteries with high energy density, high discharge voltage and output stability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And are in the stage of commercialization.

이러한 이차전지가 자동차의 동력원 또는 전력 저장 장치와 같이 대용량을 필요로 하는 디바이스 내지 장치에 사용되는 경우, 상기 이차전지는 다수의 전지셀들이 배열된 구조의 중대형 전지모듈들 내지 전지팩의 형태로 이용된다.When such a secondary battery is used in a device or device that requires a large capacity, such as a power source or a power storage device of an automobile, the secondary battery is used in the form of medium- to large-sized battery modules or battery packs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are arranged. do.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전지모듈은 복수의 전지셀들이 적층 배열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전지팩은 이러한 전지모듈들이 일정한 구조로 배열된 상태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구성된다.More specifically, the battery module has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are stacked and arranged, and the battery pack is configured by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while the battery modules are arranged in a certain structure.

이러한 경우에, 상기 각각의 전지모듈들은 양극 와이어 및 음극 와이어를 사용해 상호간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In this case, each of the battery modules has a structu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using a positive wire and a negative wire.

그러나, 이러한 중대형 전지팩은, 상기 전지팩이 적용되는 차량과 같은 디바이스의 다양한 운용 환경에 의해, 지속적인 진동 내지 충격에 보다 쉽게 노출될 수 밖에 없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전지팩을 구성하는 전지모듈에 인가되는 진동 내지 충격이 이러한 와이어 연결 구조를 통해, 인접한 전지모듈로 전달됨으로써, 다른 전지모듈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전지팩을 구성하는 전지모듈의 구조적 안정성을 저하시키거나, 나아가 상기 전지팩의 작동에 이상을 유발하는 등 안전성을 저하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uch a mid- to large-sized battery pack is inevitably exposed to continuous vibration or shock due to various operating environments of devices such as a vehicle to which the battery pack is applied, and accordingly, the battery module constituting the battery pack The applied vibration or shock is transmitted to the adjacent battery module through the wire connection structure, so that it may affect other battery modules, thereby reducing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battery module constituting the battery pack, or further There is a problem that may reduce safety, such as causing abnormalities in the operation of the battery pack.

더욱이, 이러한 전지팩은 보다 콤팩트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도록, 전지셀들 및 전지모듈들의 집적도가 높아, 상기 와이어 연결 구조가 매우 복잡해, 전지팩을 구성하기가 용이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전지팩의 제조에 소요되는 비용 및 시간이 증가할 수 있다.Moreover, such a battery pack has a high degree of integration of battery cells and battery modules so that it can be configured in a more compact structure, and the wire connection structure is very complex, so it is not easy to configure the battery pack. Accordingly, the battery The cost and time required to manufacture the pack may increase.

또한, 상기 전지팩을 구성하는 전지모듈 내지 전지셀들, 또는 상기 와이어 연결 구조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이처럼 복잡한 와이어 연결 구조로 인해, 이에 대한 교체 또는 수리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an abnormality occurs in the battery module, battery cells, or the wire connection structure constituting the battery pack, there is a problem in that replacement or repair thereof is not easy due to such a complicated wire connection structure.

특히, 이러한 문제점은 전지팩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지모듈이 전지셀들의 적층 배열 방향이 상이하도록 배열되는 경우, 더욱 심각해질 수 있다.In particular, this problem may become more serious when at least one battery module constituting the battery pack is arranged so that the stacking arrangement directions of the battery cells are different.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높은 실정이다.Therefore, there is a high need for a technology that can fundamentally solve this problem.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technical problems that have been requested from the past.

본 출원의 발명자들은 심도 있는 연구와 다양한 실험을 거듭한 끝에, 이후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전지셀들의 적층 배열 방향이 상이한 전지모듈과 이에 인접한 전지모듈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와이어들의 단부가 각각 결합되는 터미널 블록(terminal block)을 포함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전지모듈들을 연결하는 와이어들이 불연속적인 연결 구조로 형성되므로, 전지셀들의 적층 배열 방향이 상이한 전지모듈에 대한 전기적 연결을 보다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고, 하나의 전지모듈에 인가되는 진동 내지 충격이, 이에 인접한 전지모듈로 전달됨으로써, 상기 전지팩의 전체적인 안전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전지팩의 콤팩트한 구조에도 불구하고, 상기 전지팩을 구성하는 전지모듈들의 교체, 또는 수리 과정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어, 상기 과정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동시에, 상기 와이어들의 단부가 터미널 블록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전지팩 내의 나머지 구성 요소들에 대한 간섭을 최소화하고, 전지팩 내부 공간에 대한 활용성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After repeated in-depth research and various experiments,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application, as described later, in order to electrically connect battery modules with different stacking arrangement directions of battery cells and adjacent battery modules, each end of the wires By configuring to include a terminal block, since the wires connecting the battery modules are formed in a discontinuous connection structure, it is possible to more easily form an electrical connection to the battery modules having different stacking arrangement directions of the battery cells. , Vibration or shock applied to one battery module is transmitted to a battery module adjacent thereto, thereby minimizing the problem of deteriorating the overall safety of the battery pack, and despite the compact structure of the battery pack, the battery pack Since the replacement or repair process of the battery modules constituting the can be performed more easily, time and cost required for the process can be saved, and the ends of the wires can be maintained fixed to the terminal block. , It was confirmed that interference to the remaining components in the battery pack can be minimized, and the usability of the internal space of the battery pack can be increased, and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mpleted.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지팩은,The battery p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is purpose,

복수의 전지셀들이 적층 배열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양극 와이어 및 음극 와이어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둘 이상의 전지모듈들; 및Two or more battery modules composed of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are stacked and arranged,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positive electrode wire and a negative electrode wire; And

상기 전지모듈들이 배열된 상태로 상면에 탑재되는 베이스 플레이트(base plate); A base plate mounted on an upper surface with the battery modules arranged;

를 포함하고 있고,Contains,

상기 전지모듈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전지모듈은, 나머지 전지모듈들에 대해, 전지셀들의 적층 배열 방향이 상이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배열되어 있으며, At least one battery module among the battery modules is arranged on the base plate so that the stacking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battery cells is different from the remaining battery modules,

전지셀 적층 배열 방향이 상이한 상기 전지모듈과, 이에 인접한 전지모듈이 연결되는 와이어들 사이에는, 상기 전지모듈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와이어들의 단부가 각각 결합되는 터미널 블록(terminal block)이 위치하는 구조일 수 있다.A structure in which a terminal block to which ends of the wires are coupled to each other to electrically connect the battery modules is positioned between the battery modules having different battery cell stacking arrangement directions and the wires to which the adjacent battery modules are connected. I can.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전지모듈들은 전지셀들의 적층 배열 방향이 모두 동일하게 배열되어 있을 경우, 상기 전지모듈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와이어들은 동일한 방향으로 위치한 전지모듈들의 전극 단자 부위를 연결하므로, 보다 간단한 연결 구조를 통해, 상기 전지모듈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battery modules are all arranged in the same direction in which the battery cells are stacked, the wires electrically connecting the battery modules connect the electrode terminals of the battery modules located in the same direction, so a simpler connection Through the structure, it is possible to electrically connect the battery modules.

그러나, 상기 전지모듈들 중에서, 전지셀들의 적층 배열 방향이 상이하도록 배열되어 있는 전지모듈은 인접한 전지모듈과 상기 전극 단자 부위가 상이해질 수 밖에 없어, 이러한 와이어들의 연결 구조가 복잡해질 수 밖에 없으며, 이는 전지팩 내부의 공간 활용성을 저하시키거나, 전지팩의 다른 구성 요소들에 대한 간섭으로 인해 안전성을 저하시킬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However, among the battery modules, the battery modules that are arranged so that the stacking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battery cell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evitably make the adjacent battery module and the electrode terminal portion different, thus complicating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se wires, This may reduce the space utilization inside the battery pack, or may act as a factor that may reduce safety due to interference with other components of the battery pack.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전지팩은 전지셀들의 적층 배열 방향이 상이한 전지모듈과 이에 인접한 전지모듈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와이어들의 단부가 각각 결합되는 터미널 블록(terminal block)을 포함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전지모듈들을 연결하는 와이어들이 불연속적인 연결 구조로 형성되므로, 전지셀들의 적층 배열 방향이 상이한 전지모듈에 대한 전기적 연결을 보다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고, 하나의 전지모듈에 인가되는 진동 내지 충격이, 이에 인접한 전지모듈로 전달됨으로써, 상기 전지팩의 전체적인 안전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전지팩의 콤팩트한 구조에도 불구하고, 상기 전지팩을 구성하는 전지모듈들의 교체, 또는 수리 과정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어, 상기 과정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동시에, 상기 와이어들의 단부가 터미널 블록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전지팩 내의 나머지 구성 요소들에 대한 간섭을 최소화하고, 전지팩 내부 공간에 대한 활용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battery p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include terminal blocks to which ends of wires are respectively coupled to electrically connect battery modules having different stacking arrangement directions of battery cells and battery modules adjacent thereto, Since the wires connecting the battery modules are formed in a discontinuous connection structure, it is possible to more easily form an electrical connection to the battery modules in which the stacking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battery cells is different, and vibration or shock applied to one battery module , By being transferred to a battery module adjacent thereto, the problem of lowering the overall safety of the battery pack can be minimized, and despite the compact structure of the battery pack, replacement or repair process of the battery modules constituting the battery pack Since it can be performed more easily, it is possible to save the time and cost required for the process, and at the same time, the ends of the wires can be kept fixed to the terminal block, thereby preventing interference with the remaining components in the battery pack. It can minimize and increase the utilization of the space inside the battery pack.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전지모듈들은 최외곽에 배열되어 있는 전지셀들의 외면을 감싸는 구조의 한 쌍의 엔드 플레이트를 각각 포함하고 있고;In one specific example, the battery modules each include a pair of end plates of a structure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battery cells arranged at the outermost;

상기 터미널 블록은 전지셀 적층 배열 방향이 상이한 상기 전지모듈 또는 이에 인접한 전지모듈의 엔드 플레이트에 고정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The terminal block may have a structure fixed to an end plate of the battery module or a battery module adjacent to the battery module having a different battery cell stacking arrangement direction.

즉, 상기 터미널 블록은, 전지모듈을 보호할 수 있도록, 소정의 강도를 발휘할 수 있는 엔드 플레이트에 고정됨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전지모듈의 최외곽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와이어를 통한 인접한 전지모듈과의 전기적 연결 시, 보다 용이하게 상기 연결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That is, the terminal block is fixed to an end plate capable of exerting a predetermined strength to protect the battery module, thereby maintaining a more stable fixed state, and being located at the outermost side of the battery module, the wire When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adjacent battery module through, the connection structure may be more easily formed.

이때, 상기 터미널 블록은 전지모듈의 엔드 플레이트에 대해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 및 고정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terminal block may have a structure that is coupled and fixed to the end plate of the battery module in a detachable structure.

따라서, 상기 터미널 블록은 수리 또는 점검 시, 보다 용이하게 교체되거나, 엔드 플레이트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보다 용이하게 상기 수리 또는 점검이 수행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terminal block is repaired or inspected, it may be more easily replaced or the repair or inspection may be performed more easily in a state separated from the end plate.

한편, 상기 터미널 블록은, Meanwhile, the terminal block,

양극 와이어들과 음극 와이어들을 지지한 상태에서, 터미널 블록을 전지모듈의 엔드 플레이트에 고정시키기 위한 절연성 베이스부(insulative base part); 및An insulating base part for fixing the terminal block to the end plate of the battery module while supporting the positive wires and the negative wires; And

상기 베이스부 상에 형성되어 있으며, 양극 와이어들과 음극 와이어들의 단부가 각각 결합됨으로써, 전지모듈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전성 연결부(conductive connecting part);A conductive connecting part formed on the base part and electrically connecting the battery modules by coupling ends of the positive wires and the negative wires;

를 포함하는 구조일 수 있다.It may be a structure including.

다시 말해, 상기 터미널 블록은 절연성 베이스부가 전지모듈의 엔드 플레이트에 고정된 상태에서, 와이어들의 단부가 결합되는 도전성 연결부가, 상기 절연성 베이스부 상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와이어들을 안정적으로 고정 및 지지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terminal block may stably fix and support the wires by forming a conductive connection part to which ends of the wires are coupled to the insulating base part while the insulating base part is fixed to the end plate of the battery module. have.

이때, 상기 절연성 베이스부는 상기 도전성 연결부가 장착되는 장착 홈을 포함하고 있는 구조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insulating base portion may have a structure including a mounting groove in which the conductive connection portion is mounted.

따라서, 상기 도전성 연결부는 절연성 베이스부 상으로 돌출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전지팩을 보다 콤팩트한 구조로 형성하거나, 전지팩 내부 공간에 대한 활용성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상기 전지팩을 구성하는 다른 구성 요소들에 대한 간섭을 없애거나 최소화할 수 있는 동시에, 상기 도전성 연결부가 절연성 베이스부에 형성된 장착홈에 의해 감싸진 구조를 유지하므로, 상기 절연성 베이스부에 대해 보다 안정적인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Therefore, since the conductive connection part can maintain a state that does not protrude onto the insulating base part, the battery pack can be formed in a more compact structure, or the utility of the internal space of the battery pack can be increased, and the battery pack can be configured. Interference with other components can be eliminated or minimized, and at the same time, since the conductive connection portion is surrounded by a mounting groove formed in the insulating base portion, a more stable fixed state can be maintained with respect to the insulating base portion. have.

또한, 상기 절연성 베이스부는 절연성 고분자 수지로 이루어져 있고; In addition, the insulating base portion is made of an insulating polymer resin;

상기 도전성 연결부는 도전성 금속으로 이루어져 있는 구조일 수 있다.The conductive connection portion may have a structure made of a conductive metal.

따라서, 각각의 와이어들은 도전성 연결부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동시에, 상기 절연성 베이스부가 고정되어 있는 전지모듈의 엔드 플레이트에 대해서는 전기적 절연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내부 단락 및 이로 인한 안전성 저하의 문제점을 예방할 수 있다.Therefore, each of the wires is electrically connected by the conductive connection unit, and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maintain an electrical insulation state with respect to the end plate of the battery module to which the insulating base is fixed, thereby preventing internal short circuits and the resulting safety deterioration. have.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절연성 베이스부는, 양극 와이어들의 단부가 각각 결합되는 양극 도전성 연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제 1 베이스부와, 음극 와이어들의 단부가 각각 결합되는 음극 도전성 연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제 2 베이스부로 이루어진 구조일 수 있다.In one specific example, the insulating base portion includes a first base portion having an anode conductive connection portion to which ends of the anode wires are respectively coupled, and a second base portion having a cathode conductive connection portion to which ends of the cathode wires are respectively coupled. It may be a structure made of parts.

다시 말해, 상기 절연성 베이스부는, 양극 도전성 연결부와 음극 도전성 연결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제 1 베이스부 및 제 2 베이스부로 별도로 구분되어 위치함으로써, 서로 간의 접촉에 의한 내부 단락을 방지하거나, 각각의 전극 와이어들을 연결하는 터미널 블록에 대한 교체 내지 수리하는 경우, 양극 와이어들의 단부 및 음극 와이어들의 단부를 모두 분리할 필요가 없으므로, 상기 터미널 블록에 대한 교체 내지 수리를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insulating base portion is separated into a first base portion and a second base portion in which an anode conductive connection portion and a cathode conductive connection portion are respectively formed, thereby preventing an internal short circuit due to contact with each other, or In the case of replacement or repair of the terminal block connecting the terminals, since it is not necessary to separate both ends of the anode wires and the ends of the cathode wires, replacement or repair of the terminal block may be performed more easily.

그러나, 상기 터미널 블록의 구조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도전성 연결부는, 양극 와이어들의 단부가 각각 결합되는 양극 연결부, 및 음극 와이어들의 단부가 각각 결합되는 음극 연결부로 이루어져 있고; However, the structure of the terminal block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conductive connection portion includes an anode connection portion to which ends of anode wires are respectively coupled, and a cathode connection portion to which ends of cathode wires are respectively coupled;

상기 절연성 베이스부는 양극 연결부와 음극 연결부가 서로 이격된 상태로 위치되어 있는 단일 부재로 이루어진 구조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insulating base portion may have a structure consisting of a single member in which the positive connection portion and the negative connection portion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한편, 상기 와이어들은 폭에 비해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판상형 구조의 금속 소재로 이루어진 코어부와 상기 코어부의 외면을 감싸는 절연성 피복부를 포함하고 있고;Meanwhile, the wires include a core portion made of a metal material having a plate-shaped structure having a length relatively longer than the width and an insulating covering portion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core portion;

상기 와이어들의 단부는 코어부가 노출된 상태에서, 상기 코어부가 도전성 연결부에 대면해 결합되는 구조일 수 있다.Ends of the wires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core portion faces and is coupled to the conductive connection portion while the core portion is exposed.

따라서, 상기 와이어들은 전지팩을 구성하는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절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동시에, 상기 코어부가 노출된 상태의 와이어들의 단부는 상기 코어부가 도전성 연결부에 대면해 결합됨으로써, 상기 터미널 블록의 도전성 연결부를 통해 각 전지모듈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wires can maintain an insulated state from other constituent elements constituting the battery pack, and at the same time, ends of the wires in the exposed state of the core portion are coupled to the core portion facing the conductive connection portion. Each battery module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hrough a conductive connection part.

또한, 상기 코어부는 판상형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도전성 연결부와의 결합 부위에 대한 접촉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결합 부위에서의 저항 증가를 방지하는 동시에, 이로 인한 출력 특성의 저하, 온도 상승과 같은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ore part has a plate-shaped structur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contact area with respect to the coupling part with the conductive connection part, thereby preventing an increase in resistance at the coupling part, resulting in a decrease in output characteristics and an increase in temperature. You can effectively prevent such problems.

이때, 상기 와이어들의 단부는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노출된 코어부가 도전성 연결부에 대면해 결합되는 구조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ends of the wires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exposed core portion faces and is coupled to the conductive connection portion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더욱 구체적으로, 하나의 전지모듈에 연결된 양극 와이어 단부와 이에 인접한 전지모듈에 연결된 양극 와이어 단부는, 상기 터미널 블록의 도전성 연결부에 대면해 결합됨으로써,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으나, 상기 양극 와이어들의 단부는 직접 접촉되지 않은 상태로서, 서로 소정의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More specifically, an end of a positive wire connected to one battery module and an end of a positive wire connected to a battery module adjacent thereto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by facing the conductive connection part of the terminal block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but the ends of the positive wires are It is not in direct contact and may have a structure that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따라서, 상기 와이어들의 단부와 도전성 연결부의 결합 부위에서 열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열로 인해 금속 소재의 코어부의 길이 내지 형상이 변형되더라도, 상기 이격된 공간이 이러한 코어부의 길이 내지 형상의 변형을 상쇄할 수 있으므로, 각각의 코어부들에 인가되는 응력에 의해 상기 와이어들의 단부가 터미널 블록의 도전성 연결부로부터 이탈되거나, 상기 도전성 연결부에 대한 코어부의 접촉 면적이 감소되는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Therefore, when heat is generated at the coupling part of the ends of the wires and the conductive connection part, even if the length or shape of the core part of the metallic material is deformed due to the heat, the spaced apart space will cancel the deformation of the length or shape of the core part.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a problem in that the ends of the wires are separated from the conductive connection part of the terminal block or the contact area of the core part to the conductive connection part is reduced by the stress applied to each of the core parts.

여기서, 상기 와이어들의 단부가 이격된 거리는 도전성 연결부에 대면해 결합되는 일측 와이어 단부의 코어부 길이에 대해 1% 내지 10%일 수 있다.Here, the distance between the ends of the wires may be 1% to 10% with respect to the length of the core portion of one end of the wire that faces the conductive connection and is coupled.

만일, 상기 와이어들의 단부가 이격된 거리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 지나치게 짧을 경우에는, 상기 이격된 거리가 충분하지 않아, 열에 의한 코어부의 길이 내지 형상의 변형을 상쇄할 수 없으며, 이와 반대로, 상기 상기 와이어들의 단부가 이격된 거리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 지나치게 클 경우에는, 상기 코어부가 터미널 블록의 도전성 연결부에 대면하여 결합되는 접촉 면적을 감소시켜 성능 저하를 유발하거나, 상기 터미널 블록의 크기가 지나치게 커져 전지팩 내부의 공간 활용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If the distance between the ends of the wires is too short outside the above range, the spaced distance is not sufficient, so that deformation of the length or shape of the core portion due to heat cannot be canceled. Conversely, the wire If the distance between the ends of the terminals is too large outside the above range, the contact area in which the core portion faces the conductive connection of the terminal block and is coupled to decrease to cause performance degradation, or the size of the terminal block is too large to cause a battery pack. It can reduce the space utilization inside.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와이어들의 단부 및 이에 대응되는 터미널 블록의 부위에는, 나사 구조로 결합되는 체결구들이 삽입되도록, 서로 연통되는 관통 구조의 체결공들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In one specific example, end portions of the wires and portions of a terminal block corresponding thereto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fastening holes having a through structure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are formed so that fasteners coupled with a screw structure are inserted.

즉, 상기 와이어들의 단부는 터미널 블록과 서로 연통되는 관통 구조의 체결공들에 나사 구조로 결합되는 체결구들이 삽입되어 결합됨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터미널 블록에 대한 와이어들의 단부의 결합 및 해체가 용이하므로, 이들 구성 요소들에 대한 교체 내지 수리를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That is, the ends of the wires are coupled by inserting fasteners that are screwed into fastening holes of a through structure communicating with the terminal block, thereby maintaining a more stable bonding state, and the ends of the wires to the terminal block Since it is easy to assemble and disassemble, replacement or repair of these components can be performed more easily.

또한, 상기 와이어들은 전지모듈의 외면에 밀착된 구조로 위치하는 구조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wires may have a structure positioned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battery module.

따라서, 상기 전지팩 내에서, 각각의 전지모듈들을 연결하는 와이어들을 보다 용이하게 정리해 내부 공간에 대한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각 전지모듈에 대한 와이어들의 연결 상태를 용이하게 파악 또는 확인할 수 있으므로, 이들에 대한 교체 내지 수리에 소요되는 시간을 효과적으로 절약할 수 있다.Therefore, in the battery pack, the wires connecting each battery module can be more easily arranged to improve the usability of the internal space, and the connection state of the wires to each battery module can be easily grasped or confirmed. ,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save time required for replacement or repair of these.

한편, 전지셀 적층 배열 방향이 상이한 상기 전지모듈은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서, 최외측에 배열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Meanwhile, the battery modules having different battery cell stacking arrangement directions may have a structure arranged at the outermost side of the base plate.

일반적으로, 중대형 전지팩은 자동차와 같은 디바이스의 한정된 공간에 탑재되며, 이에 따라, 상기 중대형 전지팩을 구성하는 전지모듈들은 상기 디바이스의 탑재 공간에 대응하여, 다양한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In general, a mid- to large-sized battery pack is mounted in a limited space of a device such as a vehicle, and accordingly, battery modules constituting the mid- to large-sized battery pack may be arranged in various forms corresponding to the mounting space of the device.

특히, 이러한 배열 구조의 변경이 불가피한 경우, 상기 전지모듈들은 전지팩 내에서의 배열 구조를 보다 간소화하고, 이에 따른 공간 활용성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최외측에 위치한 전지모듈의 전지셀 적층 배열 방향이 상이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In particular, when such a change in the arrangement structure is inevitable, the battery modules further simplify the arrangement structure in the battery pack, and thus increase the space utilization. It can be arranged to be different.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전지팩은 상기 전지셀 적층 배열 방향이 상이한 상기 전지모듈이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서, 최외측에 배열되어 있는 경우, 보다 우수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battery p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xhibit a more excellent effect when the battery modules having different battery cell stacking arrangement directions are arranged on the base plate and on the outermost side.

또한, 전지셀 적층 배열 방향이 상이한 상기 전지모듈은 전지셀들이 베이스 플레이트에 평행한 상태로 적층 배열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In addition, the battery modules having different battery cell stacking arrangement directions have a structure in which battery cells are stacked and arranged parallel to the base plate;

나머지 전지모듈들은 전지셀들이 베이스 플레이트에 수직한 상태로 적층 배열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구조일 수 있다.The remaining battery modules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battery cells are stacked and arranged in a vertical state on a base plate.

따라서, 상기 전지셀 적층 배열 방향이 상이한 상기 전지모듈을 제외한, 나머지 전지모듈들은 전극 단자 부위들이 동일한 가상의 일면 상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전지모듈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와이어들이 보다 간단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전지셀 적층 배열 방향이 상이한 상기 전지모듈은, 와이어들이 전지모듈의 외면과 베이스 플레이트에 밀착된 상태로, 이에 인접한 전지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refore, except for the battery modules in which the battery cell stacking arrangement direction is different, the remaining battery modules may have electrode terminal portions located on the same virtual surface. Accordingly, wires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battery modules are more The battery module may be configured in a simple structure, and the battery cell stacking arrangement direction is different, while the wires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battery module and the base plate, and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battery module adjacent thereto.

상기 구성 내지 구조를 제외한 전지팩의 나머지 구성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e remaining configurations of the battery pack excluding the above configurations and structures are known in the art,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herei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지팩은, 전지셀들의 적층 배열 방향이 상이한 전지모듈과 이에 인접한 전지모듈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와이어들의 단부가 각각 결합되는 터미널 블록(terminal block)을 포함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전지모듈들을 연결하는 와이어들이 불연속적인 연결 구조로 형성되므로, 전지셀들의 적층 배열 방향이 상이한 전지모듈에 대한 전기적 연결을 보다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고, 하나의 전지모듈에 인가되는 진동 내지 충격이, 이에 인접한 전지모듈로 전달됨으로써, 상기 전지팩의 전체적인 안전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전지팩의 콤팩트한 구조에도 불구하고, 상기 전지팩을 구성하는 전지모듈들의 교체, 또는 수리 과정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어, 상기 과정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동시에, 상기 와이어들의 단부가 터미널 블록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전지팩 내의 나머지 구성 요소들에 대한 간섭을 최소화하고, 전지팩 내부 공간에 대한 활용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battery p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erminal block to which ends of wires are respectively coupled to electrically connect battery modules having different stacking arrangement directions of battery cells and battery modules adjacent thereto. By configuring so that, since the wires connecting the battery modules are formed in a discontinuous connection structure, it is possible to more easily form an electrical connection to the battery modules having different stacking arrangement directions of the battery cells, and applied to one battery module. As vibration or shock is transmitted to the battery module adjacent thereto, the problem of lowering the overall safety of the battery pack can be minimized, and despite the compact structure of the battery pack, replacement of the battery modules constituting the battery pack, Alternatively, the repair process can be performed more easily, so that time and cost for the process can be saved, and at the same time, the ends of the wires can be kept fixed to the terminal block, so the remaining components in the battery pack There is an effect of minimizing interference to and increasing the usability of the space inside the battery pack.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지팩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는 도 1의 터미널 블록에 대한 와이어들의 연결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3 및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지팩의 터미널 블록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a battery p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nection structure of wires to the terminal block of FIG. 1;
3 and 4 are schematic diagrams schematically showing a terminal block structure of a battery pa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술하지만,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 1에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지팩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1 is a schematic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a battery p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전지팩(100)은 전지모듈들(111, 112)이 베이스 플레이트(120)의 상면에 배열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battery pack 100 has a structure in which battery modules 111 and 112 are arrang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120.

전지모듈들(111, 112)은 각각 복수의 전지셀들(101, 102)이 적층 배열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최외곽에는 엔드 플레이트(103)가 위치해 있다.Each of the battery modules 111 and 112 has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101 and 102 are stacked and arranged, and an end plate 103 is positioned at the outermost side.

전지팩(100)의 최외측에 위치한 제 1 전지모듈(111)은 전지셀(101)이 베이스 플레이트(120)에 평행한 상태로 위치해 있으며, 베이스 플레이트(120)의 상면으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적층 배열되어 있다.The first battery module 111 located on the outermost side of the battery pack 100 is located in a state in which the battery cells 101 are parallel to the base plate 120, and is stacked and arranged from the top surface of the base plate 120 to the top. Has been.

제 1 전지모듈(111)에 인접해 위치한 제 2 전지모듈(112)은 전지셀(102)이 베이스 플레이트(120)에 수직한 상태로 위치해 있으며, 제 1 전지모듈(111)의 전지셀(101)이 배열된 방향에 대해 수직인 전후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The second battery module 112 located adjacent to the first battery module 111 is located in a state in which the battery cell 102 is perpendicular to the base plate 120, and the battery cell 101 of the first battery module 111 ) Are arrang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rrangement direction.

제 1 전지모듈(111)에 인접한 제 2 전지모듈(112)의 엔드 플레이트(103)에는 터미널 블록(140)이 고정되어 있다.The terminal block 140 is fixed to the end plate 103 of the second battery module 112 adjacent to the first battery module 111.

터미널 블록(140)에는 제 1 전지모듈(111)에 연결된 양극 와이어(151)와 음극 와이어(152), 제 2 전지모듈(112)에 연결된 양극 와이어(153)와 음극 와이어(154)가 각각 결합됨으로써,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The terminal block 140 includes a positive wire 151 and a negative wire 152 connected to the first battery module 111, and a positive wire 153 and a negative wire 154 connected to the second battery module 112, respectively. As a result,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와이어들(151, 152, 153, 154)은 각각 제 1 전지모듈(111)과 제 2 전지모듈(112)의 외면에 밀착된 구조로 위치해 있다.The wires 151, 152, 153, and 154 are located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s of the first battery module 111 and the second battery module 112, respectively.

제 1 전지모듈(111)이 위치한 베이스 플레이트(120)의 단부에는, 베이스 플레이트(120)에 대해 수직으로 외주 벽(121)이 돌출되어 있다.At the end of the base plate 120 on which the first battery module 111 is located, an outer circumferential wall 121 protrudes perpendicular to the base plate 120.

베이스 플레이트(120)와 외주 벽(121)의 모서리 부위에는 전지팩(100)을 디바이스에 고정시키는 팩 고정용 체결구들이 삽입 및 결합되는 복수의 팩 고정용 체결공(122)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일정하게 천공되어 있다.At the corners of the base plate 120 and the outer wall 121, a plurality of pack fixing fasteners 122 into which pack fixing fasteners for fixing the battery pack 100 to the device are inserted and coupled to a predetermined distance It has been constantly perforated.

도 2에는 도 1의 터미널 블록에 대한 와이어들의 연결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FIG. 2 is a schematic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nection structure of wires to the terminal block of FIG. 1.

도 2를 참조하면, 터미널 블록(140)은 절연성 베이스부(141)와 도전성 연결부(142a, 142b)를 포함하고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terminal block 140 includes an insulating base portion 141 and conductive connection portions 142a and 142b.

절연성 베이스부(141)는 절연성 고분자 수지로 이루어져 있으며, 터미널 블록(140)을 전지모듈의 엔드 플레이트에 고정시켜, 와이어들(151, 152, 153, 154)의 결합 구조를 지지하는 단일 부재로 이루어져 있다.The insulating base 141 is made of an insulating polymer resin, and is composed of a single member that fixes the terminal block 140 to the end plate of the battery module to support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wires 151, 152, 153, 154. have.

도전성 연결부(142a, 142b)는 양극 와이어들(151, 153)의 단부가 결합되는 양극 연결부(142a)와 음극 와이어들(152, 154)의 단부가 결합되는 음극 연결부(142b)로 이루어져 있다.The conductive connection portions 142a and 142b are composed of an anode connecting portion 142a to which ends of the anode wires 151 and 153 are coupled and a cathode connecting portion 142b to which ends of the cathode wires 152 and 154 are coupled.

양극 연결부(142a)와 음극 연결부(142b)는 소정의 간격(D1)을 두고 서로 이격된 상태로 절연성 베이스부(141) 상에 위치해 있다.The positive connection part 142a and the negative connection part 142b are located on the insulating base part 141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ith a predetermined distance D1.

와이어들(151, 152, 153, 154)은 폭에 비해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판상형 구조의 금속 소재로 이루어진 코어부(150a) 및 코어부(150a)의 외면을 감싸는 절연성 피복부(150b)를 포함하고 있고, 와이어들(151, 152, 153, 154)의 단부는 코어부(150a)가 외부로 노출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The wires 151, 152, 153, 154 include a core portion 150a made of a metal material having a plate-shaped structure having a relatively long length compared to the width, and an insulating covering portion 150b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core portion 150a. And, the ends of the wires 151, 152, 153, and 154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core portion 150a is exposed to the outside.

노출된 코어부(150a)는 도전성 연결부(142a)에 대면해 결합되며, 코어부(150a) 및 이에 대응되는 터미널 블록(140)의 부위에는, 나사 구조로 결합되는 체결구들이 삽입되도록, 서로 연통되는 관통 구조의 체결공(150c)이 형성되어 있다.The exposed core portion 150a is coupled to face the conductive connection portion 142a, and the core portion 150a and the portion of the terminal block 140 corresponding thereto are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so that fasteners coupled with a screw structure are inserted. The fastening hole 150c of the through structure is formed.

양극 와이어들(151, 153) 및 음극 와이어들(152, 154)의 단부는 도전성 연결부(142a, 142b) 상에서, 열에 의한 길이 및 형상의 변형을 상쇄할 수 있도록, 소정의 간격(D2)을 두고 각각의 단부가 이격되어 있다.The ends of the anode wires 151 and 153 and the cathode wires 152 and 154 are on the conductive connection portions 142a and 142b at a predetermined distance D2 so as to offset the deformation of the length and shape due to heat. Each end is spaced apart.

도 3 및 4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지팩의 터미널 블록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3 and 4 are schematic diagrams schematically showing a terminal block structure of a battery pa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도 3을 참조하면, 터미널 블록(340)의 절연성 베이스부(341) 상면에는 양극 연결부(342a) 및 음극 연결부(342b)로 이루어진 도전성 연결부(342a, 342b)가 각각 장착되는 장착 홈들(341a, 341b)이 내측으로 만입된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First, referring to FIG. 3, mounting grooves 341a in which conductive connection portions 342a and 342b consisting of an anode connection portion 342a and a cathode connection portion 342b are respectively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sulating base portion 341 of the terminal block 340. , 341b) is formed in a recessed structure.

장착 홈들(341a, 341b)의 깊이는 각각 양극 연결부(342a) 및 음극 연결부(342b)의 두께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The depths of the mounting grooves 341a and 341b have the same structure as the thickness of the positive connection part 342a and the negative connection part 342b, respectively.

따라서, 양극 연결부(342a)와 음극 연결부(342b)는 장착 홈들(341a, 341b) 내에 각각 장착되는 경우, 절연성 베이스부(341)의 상면으로 돌출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터미널 블록(340)의 크기를 최소화해, 전지팩 내부 공간의 활용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positive connection part 342a and the negative connection part 342b are respectively mounted in the mounting grooves 341a and 341b, they do not protrude to the upper surface of the insulating base part 341, and accordingly, the size of the terminal block 340 is increased. By minimizing it,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utilization of the space inside the battery pack.

양극 연결부(342a)와 음극 연결부(342b), 및 절연성 베이스부(341)의 서로 대응되는 부위에는, 나사 구조로 결합되는 체결구들이 삽입되도록, 서로 연통되는 관통 구조로 이루어진 체결공들(341c, 341d, 342c, 342d)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Fastening holes 341c having a through structure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so that fasteners coupled with a screw structure are inserted in por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of the positive connection part 342a and the negative connection part 342b, and the insulating base part 341, 341d, 342c, 342d) are formed respectively.

상기 구조를 제외한 나머지 구조는 도 2의 터미널 블록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Structures other than the above structure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terminal block of FIG. 2, and thus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도 4를 참조하면, 터미널 블록(440)의 절연성 베이스부(441, 441')는 제 1 베이스부(441)와 제 2 베이스부로 이루어져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insulating base portions 441 and 441 ′ of the terminal block 440 include a first base portion 441 and a second base portion.

제 1 베이스부(441)와 제 2 베이스부(441')의 상면에는 각각 장착 홈들(441a, 441b)이 형성되어 있으며, 장착 홈들(441a, 441b)에는 양극 와이어들의 단부가 각각 결합되는 양극 도전성 연결부(442a) 및 음극 와이어들의 단부가 각각 결합되는 음극 도전성 연결부(442b)가 장착되어 있다.Mounting grooves 441a and 441b are formed on the top surfaces of the first base part 441 and the second base part 441 ′, respectively, and the ends of the anode wires are coupled to each other in the mounting grooves 441a and 441b. The connection part 442a and the negative electrode conductive connection part 442b to which the ends of the negative wires are respectively coupled are mounted.

따라서, 양극 와이어 또는 음극 와이어 중에서, 하나의 와이어에 대한 교체 또는 수리가 필요할 경우, 각각 개별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으므로, 나머지 와이어에 대한 간섭 없이, 전지팩에 대한 점검 및 수리를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Therefore, if one of the positive wires or the negative wires needs to be replaced or repaired, each can be separated individually, so that inspection and repair of the battery pack can be performed more easily without interference with the remaining wires. have.

상기 구조를 제외한 나머지 구조는 도 3의 터미널 블록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Structures other than the above structure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terminal block of FIG. 3, and thus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을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Although it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ll be able to perform various applications and modific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above contents.

Claims (15)

복수의 전지셀들이 적층 배열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양극 와이어 및 음극 와이어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둘 이상의 전지모듈들; 및
상기 전지모듈들이 배열된 상태로 상면에 탑재되는 베이스 플레이트(base plate);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전지모듈들 중에서 제 1 전지 모듈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평행한 상태로 배치되고,
상기 전지모듈들 중에서 제 2 전지 모듈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수직한 상태로 배치되며,
상기 제 1 전지 모듈 및 제 2 전지 모듈은, 각각 최외곽에 배열되어 있는 전지셀의 외면을 감싸는 구조의 한 쌍의 엔드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엔드 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제 1 전지 모듈과 제 2 전지모듈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와이어들의 단부가 각각 결합되는 터미널 블록(terminal block)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
Two or more battery modules composed of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are stacked and arranged,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positive electrode wire and a negative electrode wire; And
Includes; a base plate mounted on an upper surface in a state in which the battery modules are arranged,
Among the battery modules, a first battery module is disposed in a state parallel to the base plate,
Among the battery modules, a second battery module is disposed in a state perpendicular to the base plate,
The first battery module and the second battery module each include a pair of end plates having a structure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battery cells arranged at the outermost,
A battery pack, characterized in that a terminal block to which ends of wires are coupled to each other to electrically connect the first battery module and the second battery module to each other is fixed to one of the end plates.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블록은 전지모듈의 엔드 플레이트에 대해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 및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The battery pack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erminal block is coupled and fixed to the end plate of the battery module in a detachable structur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블록은,
양극 와이어들과 음극 와이어들을 지지한 상태에서, 터미널 블록을 전지모듈의 엔드 플레이트에 고정시키기 위한 절연성 베이스부(insulative base part); 및
상기 베이스부 상에 형성되어 있으며, 양극 와이어들과 음극 와이어들의 단부가 각각 결합됨으로써, 전지모듈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전성 연결부(conductive connecting part);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terminal block,
An insulating base part for fixing the terminal block to the end plate of the battery module while supporting the positive wires and the negative wires; And
A conductive connecting part formed on the base part and electrically connecting the battery modules by coupling ends of the positive wires and the negative wires;
A battery pack comprising a.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성 베이스부는 상기 도전성 연결부가 장착되는 장착 홈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The battery pack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insulating base portion includes a mounting groove in which the conductive connection portion is mounted.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성 베이스부는 절연성 고분자 수지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도전성 연결부는 도전성 금속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
The method of claim 4,
The insulating base portion is made of an insulating polymer resin;
The battery pack,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ductive connection part is made of a conductive metal.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성 베이스부는, 양극 와이어들의 단부가 각각 결합되는 양극 도전성 연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제 1 베이스부와, 음극 와이어들의 단부가 각각 결합되는 음극 도전성 연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제 2 베이스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insulating base portion comprises: a first base portion having an anode conductive connection portion to which an end portion of the anode wires are coupled, and a second base portion having a cathode conductive connection portion to which an end portion of the cathode wires are respectively coupled. A battery pack,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part.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연결부는, 양극 와이어들의 단부가 각각 결합되는 양극 연결부, 및 음극 와이어들의 단부가 각각 결합되는 음극 연결부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절연성 베이스부는 양극 연결부와 음극 연결부가 서로 이격된 상태로 위치되어 있는 단일 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
The method of claim 4,
The conductive connection portion includes an anode connection portion to which ends of anode wires are respectively coupled, and a cathode connection portion to which ends of cathode wires are respectively coupled;
The insulating base portion is a battery pack,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single member in which the positive connection part and the negative connection par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들은 폭에 비해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판상형 구조의 금속 소재로 이루어진 코어부와 상기 코어부의 외면을 감싸는 절연성 피복부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와이어들의 단부는 코어부가 노출된 상태에서, 상기 코어부가 도전성 연결부에 대면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
The method of claim 4,
The wires include a core portion made of a metal material having a plate-shaped structure having a relatively long length compared to the width and an insulating covering portion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core portion;
The battery pack, wherein the ends of the wires are coupled to the core portion facing the conductive connection portion while the core portion is exposed.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들의 단부는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노출된 코어부가 도전성 연결부에 대면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The battery pack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the ends of the wire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the exposed core portion faces the conductive connection portion and is coupled.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들의 단부가 이격된 거리는 도전성 연결부에 대면해 결합되는 일측 와이어 단부의 코어부 길이에 대해 1% 내지 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The battery pack as claimed in claim 10, wherein the distance between the ends of the wires is 1% to 10% of the length of the core portion of the end of the wire facing the conductive conne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들의 단부 및 이에 대응되는 터미널 블록의 부위에는, 나사 구조로 결합되는 체결구들이 삽입되도록, 서로 연통되는 관통 구조의 체결공들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The battery pack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each of the end portions of the wires and portions of the terminal block corresponding thereto are formed with fastening holes having a through structure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so that fasteners coupled with a screw structure are inserted.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들은 전지모듈의 외면에 밀착된 구조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The battery pack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ires are located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battery module. 제 1 항에 있어서, 전지셀 적층 배열 방향이 상이한 상기 전지모듈은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서, 최외측에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The battery pack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ttery modules having different battery cell stacking arrangement directions are arranged on the outermost side of the base plate. 제 1 항에 있어서,
전지셀 적층 배열 방향이 상이한 상기 전지모듈은 전지셀들이 베이스 플레이트에 평행한 상태로 적층 배열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나머지 전지모듈들은 전지셀들이 베이스 플레이트에 수직한 상태로 적층 배열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
The method of claim 1,
The battery modules having different battery cell stacking arrangement directions have a structure in which battery cells are stacked and arranged parallel to the base plate;
The remaining battery modules are battery packs, characterized in that the battery cells are stacked and arranged vertically on the base plate.
KR1020160154910A 2016-11-21 2016-11-21 Battery Pack Comprising Terminal Block Active KR10220530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4910A KR102205309B1 (en) 2016-11-21 2016-11-21 Battery Pack Comprising Terminal Blo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4910A KR102205309B1 (en) 2016-11-21 2016-11-21 Battery Pack Comprising Terminal Bloc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6944A KR20180056944A (en) 2018-05-30
KR102205309B1 true KR102205309B1 (en) 2021-01-20

Family

ID=62299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4910A Active KR102205309B1 (en) 2016-11-21 2016-11-21 Battery Pack Comprising Terminal Bloc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530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4072524A (en) * 2022-11-16 2024-05-28 スズキ株式会社 Battery pack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53276A (en) * 2010-10-26 2015-03-19 ソニー株式会社 Battery unit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2819B1 (en) * 2014-05-13 2017-11-01 주식회사 엘지화학 Relay Assembly for Battery Pack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53276A (en) * 2010-10-26 2015-03-19 ソニー株式会社 Battery un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6944A (en) 2018-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201879B (en) Battery pack with compact structure
JP6025319B2 (en) Battery module
CN103843175B (en) Battery module assembly with improved reliability and battery pack using same
US9093686B2 (en) Battery pack of compact structure
US9997758B2 (en) Battery module having bus bar assembly and battery pack comprising the same
KR101252944B1 (en) Battery pack with enhanced radiating ability
US11456500B2 (en) Battery module, battery pack including battery module, and vehicle including battery pack
KR101230130B1 (en) Battery pack
KR101252963B1 (en) Battery pack with improved heat dissipation
KR20190080717A (en) Battery module
KR102092117B1 (en) Electrode Tab Coupling Member and Electrode Tab Coupling Assembly comprising the same
CN105706272A (en) Battery module equipped with sensing module with improved coupling structure
KR101913375B1 (en) Battery Module
KR20160061123A (en) Jig for charge and recharge of lithium secondary battery, system and apparatus utilizing it, and jig array method thereof
KR20230129053A (en) Battery, electric device, battery manufacturing method and device
KR102205309B1 (en) Battery Pack Comprising Terminal Block
KR101084986B1 (en) Medium and large battery packs with improved safety
JP2022545245A (en) battery module
KR101533991B1 (en) Battery Module Assembly
US11600844B2 (en) Solid-state battery cell and solid-state battery module
KR101797690B1 (en) Battery Pack Including Bus Bar Assembly Formed Protrusion Portion for Insulation
US20240194991A1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KR20250075165A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of the same
KR20250044009A (en) Battery pack and energy storage system
CN119698723A (en) Battery modul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12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041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6112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5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10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1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1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