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202156B1 -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2156B1
KR102202156B1 KR1020190130011A KR20190130011A KR102202156B1 KR 102202156 B1 KR102202156 B1 KR 102202156B1 KR 1020190130011 A KR1020190130011 A KR 1020190130011A KR 20190130011 A KR20190130011 A KR 20190130011A KR 102202156 B1 KR102202156 B1 KR 1022021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thetic resin
resin pipe
pipe
cap
hollow ho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0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환
Original Assignee
일우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우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일우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300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21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21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215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06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with sleeve or socket formed by or in the pipe end
    • F16L47/08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with sleeve or socket formed by or in the pipe end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one pipe end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leeve or socket, the sealing rings being placed previously in the sleeve or sock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06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with sleeve or socket formed by or in the pipe end
    • F16L47/12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with sleeve or socket formed by or in the pipe end with additional lock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With Slee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합성수지관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나선파형 합성수지관과 연결관을 끼움결합방식에 의해 매우 간단하고 긴밀하게 연결시킴과 동시에, 합성수지관과 연결관의 수밀이 유지되도록 한 합성수지관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합성수지관의 끝단부에 캡이 결합되고, 캡과 합성수지관 외면에 밀착되어지도록 고무패킹튜브가 설치되며, 고무패킹튜브가 중공홀 내면에 수밀이 유지되며 밀착되도록 합성수지관의 끝단부가 연결관의 중공홀내로 끼움결합되고, 중공홀내로 끼움결합된 합성수지관에 밀착접촉되어 지지되도록 연결관의 결합구를 통해 분리방지블록이 삽입설치되어, 연결관과 합성수지관 및 분리방지블록이 연결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합성수지관 연결장치{Apparatus for connecting plastic pipes}
본 발명은 합성수지관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나선 파형으로 이루어진 합성수지관의 끝단에 캡을 설치하고, 캡에 고무패킹튜브를 설치한 후, 연결관의 중공홀내로 삽입하여 수밀성이 유지되도록 한 합성수지관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합성수지 또는 금속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 합성수지관은 지중에 매설되는 상, 하수관 또는 전선 보호관 등의 용도로 사용되어지고 있으며, 일정한 길이를 갖는 규격제품으로 출하되어, 현장에서 시공시 복수개를 연속연결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합성수지관의 연결작업은, 매우 힘들고 어려운 작업으로, 특히 합성수지관이 나선 파형관 또는 콜게이트 관과 같이 나선돌기부와 나선홈부로 이루어져 있을 경우, 그 연결작업은 평관에 비해 훨씬 어렵고 더 많은 시간을 요구하고 있다.
종래에는 나선관들을 서로 접속연결함에 있어 나선관의 외주에 요설되어 있는 나선홈에다 합성수지나 기타 재질로된 로우프등을 적당한 길이로 감아서 메꾸어 놓고 다시 그위에 접착제를 도포시켜준뒤 연결관을 끼워서 서로 연결된 나선관의 접속부위에 기밀성을 부여하는 방법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나선관과 연결관간의 감합을 밀접시키지 않으면 접착제에 의한 봉합(封合)이 완벽하게 되지 않으므로, 관의 접합부분에서 누설이 빈번하게 발생되고, 나선관과 연결관 간의 나합에도 힘이 들어서 그 연결작업에 많은 노력과 시간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서로 연결하고자 하는 나선관의 외주에 나사 맞춤하여 결합되는 연결관이 비교적 큰 틈새를 갖고 나사 맞춤되게 구성하고, 이 틈새에 합성수지발포물을 충진시켜서 충진된 발포물에 의해 나선관과 연결관 간의 결합강도를 강화시키는 동시에 완전한 기밀성이 유지되도록 하는 것도 있으나, 이는 발포물을 틈새에 충진함에 있어 연결관의 적당한 수개소에 발포를 주입을 위한 구멍을 뚫어서 이를 통해 발포물을 충진시켜야 하는 등 그 조립작업이 번거롭고, 연결관 자체강도를 약화시키는 결함이 있었다.
또한, 복수의 나선관 양단을 서로 맞대기 한 후 외주면에 밀봉시트(고무)를 감싸고 밀봉시트(고무)의 외주면에 금속밴드를 체결하여 합성수지관이 수밀성이 유지되면서 연결되어지도록 구성된 것도 있으나, 이러한 연결구조는 금속밴드의 양단부를 여러개의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체결하는 것이므로 체결작업이 번거롭고, 균일하게 체결하기도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러한 연결구조는 나선홈에 고무 팩킹을 나선형으로 감은 것이므로 나선홈을 타고 침투하는 압력수를 완벽하게 차단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294759(2013.08.02)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458394(2014.10.30)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157905(1999.07.07)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09-0008779(2009.01.22)
본 발명의 목적은 나선파형의 합성수지관과 연결관을 끼움결합방식에 의해 매우 간단하고 긴밀하게 연결시킴과 동시에, 합성수지관과 연결관의 수밀이 유지되도록 한 합성수지관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합성수지관의 끝단부와 연결관이 분리방지블록의 원터치 끼움방식에 의해 연결되도록 하여 합성수지관 연결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합성수지관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합성수지관의 끝단부에 캡이 결합되고, 캡과 합성수지관 외면에 밀착되어지도록 고무패킹튜브가 설치되며, 고무패킹튜브가 중공홀 내면에 수밀이 유지되며 밀착되도록 합성수지관의 끝단부가 연결관의 중공홀내로 끼움결합되고, 중공홀내로 끼움결합된 합성수지관에 밀착접촉되어 지지되도록 연결관의 결합구를 통해 분리방지블록이 삽입설치되어, 연결관과 합성수지관 및 분리방지블록이 연결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합성수지관의 끝단부에 캡이 설치되고, 캡과 합성수지관에 연결되어지도록 고무패킹튜브가 설치되되, 상기 캡에 고무패킹튜브의 일측이 지지되도록 되어 있어, 연결관의 중공홀내로 합성수지관이 삽입장착될 시, 고무패킹튜브의 밀림현상이 발생되지 않으며, 이를 통해 연결관과 합성수지관 사이의 수밀성이 향상되어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연결관의 중공홀내로 삽입되어지는 합성수지관의 끝단부가, 합성수지관, 캡, 고무패킹튜브의 순서로 적층되어지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합성수지관의 끝단 형상이 유지되어지면서 중공홀 내면과 고무패킹튜브의 밀착력이 증대되어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2개의 나선파형 합성수지관이 연결관을 중심으로 매우 간편하고 긴밀하게 연결되어지게 되므로, 연결부위를 통해 합성수지관 내로 물 또는 토사와 같은 이물질의 유입이 차단되어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고무패킹튜브가 캡에 의해 설치되어지므로, 합성수지관의 외면에 대한 고무패킹튜브의 설치작업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전체작업효율이 향상되어지는 등 많은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결합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보인 예시도(연결관 제외)
도 3 은 도 2 의 분해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캡 구성을 보인 단면예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방지블록의 결합과정을 보인 예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방지블록의 결합된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방지블록의 결합된 상태를 보인 또다른 예시도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결합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보인 예시도(연결관 제외)를, 도 3 은 도 2 의 분해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캡 구성을 보인 단면예시도를,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방지블록의 결합과정을 보인 예시도를,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방지블록의 결합된 상태를 보인 예시도를,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방지블록의 결합된 상태를 보인 또다른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은 합성수지관의 끝단부(110)에 캡(10)이 결합되고, 캡(10)과 합성수지관(100) 외면에 밀착되어지도록 고무패킹튜브(20)가 설치되며, 캡(10)과 고무패킹튜브(20)가 설치된 합성수지관의 끝단부(110)가 연결관(30)의 중공홀(31)내로 삽입되어 수밀이 유지되도록 결합되고, 중공홀(31)내에 위치하는 고무패킹튜브(20)가 설치된 합성수지관(100)에 접촉지지되도록 연결관의 결합구(32)를 통해 분리방지블록(40)이 삽입설치되어, 연결관(30)에서 합성수지관(100)의 이탈이 방지되어지도록 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은 2개의 합성수지관(100)을 연결하는 합성수지관 연결장치(80)에 있어서;
합성수지관의 끝단부(110)에 결합설치되는 캡(10)과, 캡(10)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이 합성수지관(100)의 외면에 밀착접촉되어지도록 설치되는 고무패킹튜브(20)와, 캡(10)과 고무패킹튜브(20)가 설치된 합성수지관의 끝단부(110)가 양측에서 중공홀(31)내로 각각 삽입되는 연결관(30)과, 연결관의 중공홀(31)내에 위치하는 합성수지관(100)에 밀착되어지도록 연결관의 결합구(32)를 통해 삽입설치되는 분리방지블록(40)을 포함하도록 하여,
연결관 중공홀 내면(31a)과 고무패킹튜브(20)의 밀착접촉에 의해 수밀이 유지되고, 분리방지블록(40)에 의해 연결관의 중공홀(31)내에서 합성수지관(100)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합성수지관(100)은 나선 파형관 또는 콜 게이트 관이 사용되어지며, 끝단부(110)에 캡(10)이 일체로 결합설치된다. 즉, 상기 합성수지관(100)은 연결하고자 하는 대상에 해당된다. 이때, 상기 끝단부(110)는 연결관의 중공홀내로 삽입되어지는 부분을 의미한다.
상기 캡(10)은 합성수지관의 끝단에 연결설치되어 고무패킹튜브(20)를 지지하는 기능 및, 고무패킹튜브(20)를 연결관의 중공홀 내면(31a)에 밀착시키는 기능을 구비한다 .
상기 캡(10)은 도 1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타입으로 형성되고 외주면 둘레를 따라 패킹결합홈(13)이 구비된 캡본체(11)와, 캡본체(11)와 일체로 형성되고 내면에 관결합홈(14)이 형성된 캡결합체(12)를 포함한다.
상기 관결합홈(14)은 나선타입 또는 원통타입으로 형성되어질 수 있다. 즉, 상기 관결합홈(14)은 결합되어지는 합성수지관이 나선형 파형관일 경우, 나선타입으로 형성되어지고, 합성수지관이 콜게이트 관일 경우, 원통타입으로 형성되어질 수 있다.
상기 고무패킹튜브(20)는 소정의 신축탄성력을 구비하고 있으며, 연결관과의 수밀성이 유지되도록 캡과 합성수지관에 연결설치된다.
즉, 상기 고무패킹튜브(20)는 캡의 캡본체 외주면을 감싸면서 긴밀하게 밀착설치되는 원통타입의 패킹고정체(21)와, 캡본체의 패킹결합홈(13)내로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패킹고정체 내면(21a)에 돌출형성된 지지돌기(23)와, 패킹고정체와 일체로 형성되어 합성수지관의 외면에 긴밀하게 밀착설치되는 패킹본체(22)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고무패킹튜브(20)는, 자체 신축탄성력에 의해 캡본체(11) 및 합성수지관의 외면을 따라 긴밀하게 밀착설치되어지며,
연결관의 중공홀(31)내로 합성수지관의 끝단부(110)가 삽입될 시, 지지돌기(23)와 패킹결합홈(13)의 결합지지에 의해 밀림현상없이 합성수지관의 끝단부(110)와 함께 중공홀(31)내로 삽입되며, 이로 인해 수밀성이 향상되어지게 된다.
즉, 상기 고무패킹튜브(20)는 자체 신축탄성력에 의해 캡본체의 패킹결합홈(13)내로 지지돌기(23)가 밀착결합되어지고, 합성수지관의 외면에 패킹본체(22)가 밀착설치되어지게 된다.
도 2 는 고무패킹튜브(20)가 합성수지관에 설치된(씌워진) 형상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3 은 고무패킹튜브(20)의 패킹본체(22)가 말려진 형상이 도시되어 있다. 즉, 상기 고무패킹튜브의 패킹본체(22)는 스타킹과 같이 돌돌말려진 상태에서 합성수지관의 외면을 따라 펴지면서 씌워져 일체로 설치된다.
상기 연결관(30)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홀(31)을 구비하는 원통형의 본체(33)와, 본체(33)의 내주면 중앙부에 돌출형성된 중앙걸림턱(34)과, 중공홀(31)과 연통되는 결합홀(35)이 본체(33)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결합구(32)를 포함한다.
즉, 상기 연결관(30)은 본체(33)가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중공홀 내면(31a)의 중앙에 위치되어지도록 중공홀 내면(31a)을 따라 중앙걸림턱(34)이 돌출형성되고, 중앙걸림턱(34)을 중심으로 본체(33)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결합홀(35)을 구비한 결합구(32)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결합홀은 중공홀과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결합구의 끝단에 분리방지블록(40)이 결합되어지는 단턱(36)이 돌출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연결관은 단턱(36)에 의해 분리방지블록(40)이 지지되어질 수 있는 재질, 일예로 합성수지관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분리방지블록(40)은 연결관(30)과 합성수지관(100)에 연결설치되어 연결관내 중공홀(31)에서 합성수지관(100)이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한다.
상기 분리방지블록(40)은, 도 1, 도 5 내지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관의 결합홀(35)을 통해 삽입되고, 연결관 중공홀 내면(31a)에 상단 일측에 구비된 걸림지지면(41a)이 밀착되어지면서 고무패킹튜브(20)가 설치된 합성수지관(100)에 밀착접촉면(41b)이 밀착되도록 설치되는 밀착블록(41)과, 밀착블록(41)과 일체로 형성되고, 연결관의 본체(33)에 구비된 결합구의 단턱(36)에 끝단걸림턱(42a)이 걸림결합되는 커버블록(42)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밀착블록의 걸림지지면(41a)과 커버블록의 끝단걸림턱(42a)은 각각 분리방지블록(40)의 양측에 위치되어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커버블록의 끝단걸림턱과 결합구 단턱은 상호 맞물려 걸림결합되어지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합성수지관의 끝단부(110)에 캡(10)이 결합되고, 캡(10)과 합성수지관(100)에 연결되어지도록 고무패킹튜브(20)가 설치되며, 캡(10)과 고무패킹튜브(20)가 설치된 양측 합성수지관의 끝단부(110)가 연결관의 양측에서 중공홀(31)내로 각각 삽입설치된다.
이때, 상기 고무패킹튜브(20)는, 캡의 패킹결합홈(13)에 지지돌기(23)가 끼움지지되고, 캡본체(11)를 감싸며 패킹고정체(21)가 밀착설치되며, 캡본체(11)에서 합성수지관의 끝단부(110)에 연결되어지도록 패킹본체(22)가 밀착설치되어지게 된다.
상기 합성수지관(100)은 끝단부(110)에 설치된 캡(10)이 연결관 중공홀(31)내에 형성된 중앙걸림턱(34)에 접촉되어지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고무패킹튜브(20)는 패킹결합홈(13)에 지지돌기(23)가 끼움지지되도록 패킹고정체를 설치한 후, 합성수지관의 끝단부가 패킹본체(22)에 의해 감싸지도록 패킹본체(22)를 합성수지관의 길이방향으로 당기어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캡(10)과 고무패킹튜브(20)가 합성수지관의 끝단부(110)에 설치되면, 합성수지관(100)과 캡(10) 및 고무패킹튜브(20)가 적층되어지게 되어, 합성수지관의 외면에 형성된 나선 또는 원통돌출부(101) 보다 고무패킹튜브(20)가 약간 돌출되어지게 되므로, 연결관의 중공홀(31)내로 합성수지관이 끝단부(110)가 삽입될 시, 중공홀의 내면(31a)에 고무패킹튜브(20)가 긴밀하게 밀착되어, 연결관(30)과 합성수지관(100)이 수밀성을 유지하면서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연결관(30)의 양측에 합성수지관(10)이 연결되면, 연결관의 중공홀 내면(31a)과 결합홀(35)의 연결모서리(31b)에 밀착블록의 접촉지지면(41a) 일측이 접촉되어지도록, 연결관의 결합홀(35)를 통해 분리방지블록이 삽입되고, 접촉지지면(41a)과 연결모서리(31b)의 접촉부분을 받침점으로 하여, 접촉지지면(41a)이 중공홀 내면(31a)에 밀착되어지도록 커버블록(42)에 힘을 가하여 커버블록의 끝단걸림턱(42a)을 결합구의 단턱(36)에 결합시킨다.
이와 같이 중공홀 내면(31a)에 지지블록의 접촉지지면(41a)이 밀착접촉되고, 커버블록의 끝단걸림턱(42a)과 결합구의 단턱(36)이 상호 결합되어지면, 분리방지블록(40)은 접촉지지면(41a)과 끝단걸림턱(42a)의 지지에 의해 밀착블록이, 고무패킹튜브(20)가 설치된 합성수지관 끝단부(110) 즉, 나선홈부(102)에 밀착블록(41)의 밀착접촉면(41b)이 밀착접촉되어 연결관(30)에서 합성수지관(100)의 이탈이 방지되어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합성수지관(100)과 고무패킹튜브(20) 사이에는 수밀부재(50)가 더 삽입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수밀부재는 합성수지관의 나선홈부(102)을 따라 이물질 및 지하수가 유입되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수밀부재(50)는 고무패킹튜브(20)의 탄성력(장력)에 의해 합성수지관의 나선홈부(102)에 밀착접촉되어지도록 변형될 수 있는 신축성을 구비한 고무 또는 연성의 플라스틱 재질 또는 발포수지 중, 선택된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발포수지재질의 수밀부재가 설치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0) : 캡 (11) : 캡본체
(12) : 캡결합체 (13) : 패킹결합홈
(14) : 관결합홈 (20) : 고무패킹튜브
(21) : 패킹고정체 (21a) : 패킹고정체 내면
(22) : 패킹본체 (23) : 지지돌기
(30) : 연결관 (31) : 중공홀
(31a) : 중공홀 내면 (31b) : 연결모서리
(32) : 결합구 (33) : 본체
(34) : 중앙걸림턱 (35) : 결합홀
(36) : 단턱 (40) : 분리방지블록
(41) : 밀착블록 (41a) : 접촉지지면
(41b) : 밀착접촉면 (42) : 커버블록
(42a) : 끝단걸림턱 (100) : 합성수지관
(101) : 나선 또는 원통돌기부 (102) : 나선홈부
(110) : 합성수지관 끝단부

Claims (6)

  1. 합성수지관의 끝단부(110)에 캡(10)이 결합되고, 캡(10)과 합성수지관(100) 외면을 따라 자체 신축탄성력에 의해 긴밀하게 밀착되어지도록 고무패킹튜브(20)가 설치되며, 고무패킹튜브(20)가 중공홀 내면(31a)에 밀착되도록 합성수지관의 끝단부(110)가 연결관(30)의 중공홀(31)내로 끼움결합되고, 중공홀(31)내로 끼움결합된 합성수지관(100)에 밀착접촉되어 지지되도록 연결관의 결합구(32)를 통해 분리방지블록(40)이 삽입설치되어, 연결관(30)과 합성수지관(100) 및 분리방지블록(40)이 수밀이 유지되도록 연결되되,
    상기 캡(10)은, 링타입으로 형성되고 외주면 둘레를 따라 패킹결합홈(13)이 구비된 캡본체(11)와, 캡본체(11)와 일체로 형성되고 내면에 관결합홈(14)이 형성된 캡결합체(12)를 포함하고,
    상기 고무패킹튜브(20)는, 캡의 캡본체 외주면을 감싸면서 긴밀하게 밀착설치되는 원통타입의 패킹고정체(21)와, 캡본체의 패킹결합홈(13)내로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패킹고정체 내면(21a)에 돌출형성된 지지돌기(23)와, 패킹고정체와 일체로 형성되어 합성수지관의 외면에 긴밀하게 밀착설치되는 패킹본체(22)를 포함하여,
    연결관의 중공홀(31)내로 합성수지관의 끝단부(110)가 삽입될 시,
    고무패킹튜브(20)가, 지지돌기(23)와 패킹결합홈(13)의 결합지지에 의해, 합성수지관의 외면을 따라 펴지면서 씌워진 패킹본체(22)에 의해, 밀림현상없이 합성수지관의 끝단부(110)와 함께 중공홀(31)내로 삽입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2. 삭제
  3. 청구항 1 에 있어서;
    연결관(30)은, 중공홀(31)을 구비하는 원통형의 본체(33)와, 본체(33)의 내주면 중앙부에 돌출형성된 중앙걸림턱(34)과, 중공홀(31)과 연통되는 결합홀(35)이 본체(33)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결합구(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4. 청구항 1 에 있어서;
    분리방지블록(40)은, 연결관의 중공홀 내면(31a)에 걸림지지면(41a)이 밀착되어지면서 고무패킹튜브(20)가 설치된 합성수지관(100)에 밀착접촉면(41b)이 밀착접촉되도록 연결관의 결합홀(35)을 통해 삽입설치되는 밀착블록(41)과, 밀착블록(41)과 일체로 형성되고, 연결관의 본체(33)에 구비된 결합구의 단턱(36)에 끝단걸림턱(42a)이 걸림결합되는 커버블록(4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5. 청구항 1 에 있어서;
    합성수지관(100)과 고무패킹튜브(20) 사이에는, 합성수지관의 나선홈부(102)을 따라 이물질 및 지하수의 유입을 방지하는 수밀부재(50)가 더 삽입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6. 청구항 5 에 있어서;
    수밀부재(50)는 고무패킹튜브(20)의 탄성력(장력)에 의해 합성수지관의 나선홈부(102)에 밀착접촉되어지도록 변형될 수 있는 신축성을 구비한 고무 또는 연성의 플라스틱 재질 또는 발포수지 중, 선택된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KR1020190130011A 2019-10-18 2019-10-18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Active KR1022021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0011A KR102202156B1 (ko) 2019-10-18 2019-10-18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0011A KR102202156B1 (ko) 2019-10-18 2019-10-18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2156B1 true KR102202156B1 (ko) 2021-01-14

Family

ID=74141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0011A Active KR102202156B1 (ko) 2019-10-18 2019-10-18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2156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29492A (ja) * 1993-02-01 1994-08-16 Kurimoto Ltd コルゲート管の継手構造
KR200157905Y1 (ko) 1996-08-03 1999-10-01 이주형 나선관 및 그 연결구조
KR100466273B1 (ko) * 2004-09-07 2005-01-13 최백현 홈조인트식 이중벽관
KR20090008779A (ko) 2007-07-19 2009-01-22 김봉희 나선 파형관 결합구조
KR20130008167A (ko) * 2011-07-12 2013-01-22 한미실업 주식회사 파형관 연결구조
KR101257766B1 (ko) * 2011-03-04 2013-04-24 일우산업 주식회사 주름관 연결장치
KR101294759B1 (ko) 2012-05-17 2013-08-09 한미실업 주식회사 나선관의 연결 조립구조
KR101458394B1 (ko) 2012-11-30 2014-11-05 (주) 영남메탈 나선관용 연결장치
KR101494647B1 (ko) * 2013-10-28 2015-02-23 주식회사 오주산업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29492A (ja) * 1993-02-01 1994-08-16 Kurimoto Ltd コルゲート管の継手構造
KR200157905Y1 (ko) 1996-08-03 1999-10-01 이주형 나선관 및 그 연결구조
KR100466273B1 (ko) * 2004-09-07 2005-01-13 최백현 홈조인트식 이중벽관
KR20090008779A (ko) 2007-07-19 2009-01-22 김봉희 나선 파형관 결합구조
KR101257766B1 (ko) * 2011-03-04 2013-04-24 일우산업 주식회사 주름관 연결장치
KR20130008167A (ko) * 2011-07-12 2013-01-22 한미실업 주식회사 파형관 연결구조
KR101294759B1 (ko) 2012-05-17 2013-08-09 한미실업 주식회사 나선관의 연결 조립구조
KR101458394B1 (ko) 2012-11-30 2014-11-05 (주) 영남메탈 나선관용 연결장치
KR101494647B1 (ko) * 2013-10-28 2015-02-23 주식회사 오주산업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80196A (en) Method of installing a ribbed sleeve gasket adapter
ES2464720T3 (es) Conexión entre una tubería y una pared
AU2017201876B2 (en) Mechanical pipe coupling assembly without adhesive or bonding agent
KR101868756B1 (ko) 지관 연결장치
US3891247A (en) Plastic one-piece saddle for plastic pipe
KR101670907B1 (ko) 상하수관용 연결 구조체
EP3336268B1 (en) Sealing connector for pipes, such as for outlet pipes
KR101051266B1 (ko)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의 수밀방법
KR200484415Y1 (ko) 소켓부를 갖는 콘크리트 하수관 조인트부의 누수방지 연결구
KR20120038745A (ko) 합성수지관 연결 장치
KR102202156B1 (ko)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KR102201374B1 (ko) 이음관 및 이를 이용한 파이프 연결 방법
JP2009024874A (ja) 螺旋波形管の結合構造
KR20160086657A (ko) 관연결장치
KR20150090550A (ko) 연결용 유닛이 구비된 파형강관
KR101458394B1 (ko) 나선관용 연결장치
KR200479304Y1 (ko) 수밀성이 강화된 파이프 연결구용 고무밴드
KR101391336B1 (ko) 관 연결구조
KR101040685B1 (ko) 관 고정용 환봉 연결구
KR20090047422A (ko) 합성수지관의 연결구조
KR101903474B1 (ko) 하수관 연결구용 씰링패드
KR100751807B1 (ko) 플랜지를 가진 범용 관의 접속장치
JPH05263942A (ja) シールパッキン
KR100623162B1 (ko) 전기배관 이음부의 누수방지 장치
KR101323175B1 (ko) 플라스틱 주름관의 방수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0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9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11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1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1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