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202028B1 - Apparatus for cleaning printhead of inkjet printer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cleaning printhead of inkjet prin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2028B1
KR102202028B1 KR1020150190787A KR20150190787A KR102202028B1 KR 102202028 B1 KR102202028 B1 KR 102202028B1 KR 1020150190787 A KR1020150190787 A KR 1020150190787A KR 20150190787 A KR20150190787 A KR 20150190787A KR 102202028 B1 KR102202028 B1 KR 1022020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ink
wiping blade
ink tray
cleaning
printhea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907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79813A (en
Inventor
노희석
유병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잉크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잉크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잉크테크
Priority to KR10201501907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2028B1/en
Priority to CN201680007803.7A priority patent/CN107206795B/en
Priority to EP16882151.0A priority patent/EP3398783B1/en
Priority to PCT/KR2016/015549 priority patent/WO2017116199A1/en
Publication of KR201700798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981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20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2028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21Collecting waste ink; Collecto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65Prevention or detection of nozzle clogging, e.g. cleaning, capping or moistening for nozzles
    • B41J2/16517Cleaning of print head nozzles
    • B41J2/16535Cleaning of print head nozzles using wiping constructions
    • B41J2/16538Cleaning of print head nozzles using wiping constructions with brushes or wiper blades perpendicular to the nozzle p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65Prevention or detection of nozzle clogging, e.g. cleaning, capping or moistening for nozzles
    • B41J2/16517Cleaning of print head nozzles
    • B41J2/16535Cleaning of print head nozzles using wiping constructions
    • B41J2/16541Means to remove deposits from wipers or 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65Prevention or detection of nozzle clogging, e.g. cleaning, capping or moistening for nozzles
    • B41J2/16517Cleaning of print head nozzles
    • B41J2/16535Cleaning of print head nozzles using wiping constructions
    • B41J2/16544Constructions for the positioning of wi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65Prevention or detection of nozzle clogging, e.g. cleaning, capping or moistening for nozzles
    • B41J2/16517Cleaning of print head nozzles
    • B41J2/16535Cleaning of print head nozzles using wiping constructions
    • B41J2/16544Constructions for the positioning of wipers
    • B41J2/16547Constructions for the positioning of wipers the wipers and caps or spittoons being on the same movable sup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65Prevention or detection of nozzle clogging, e.g. cleaning, capping or moistening for nozzles
    • B41J2/16517Cleaning of print head nozzles
    • B41J2/16552Cleaning of print head nozzles using cleaning fl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14Conditioning of the outside of ink supply systems, e.g. inkjet collector cleaning, ink mist removal

Landscapes

  • Ink Jet (AREA)

Abstract

잉크젯 프린터의 인쇄헤드 클리닝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인쇄헤드 클리닝 장치는, 폐잉크 트레이와, 폐잉크 트레이에 설치되어 잉크젯 프린터의 인쇄헤드를 클리닝하는 와이핑 블레이드와, 폐잉크 트레이에 설치되어 와이핑 블레이드를 세워진 상태와 눕혀진 상태로 회동시키는 회동수단과, 폐잉크 트레이에 설치되어 와이핑 블레이드가 회동할 때 와이핑 블레이드에 접촉됨으로써 와이핑 블레이드를 세정하는 세정수단을 포함한다. Disclosed is an apparatus for cleaning a printhead of an inkjet printer. The disclosed printhead cleaning apparatus includes a waste ink tray, a wiping blade installed on the waste ink tray to clean the printhead of an inkjet printer, and a wiping blade installed on the waste ink tray to rotate the wiping blade upright and lying down. And a cleaning means installed on the waste ink tray and contacting the wiping blade when the wiping blade rotates to clean the wiping blade.

Description

잉크젯 프린터의 인쇄헤드 클리닝 장치{Apparatus for cleaning printhead of inkjet printer}Apparatus for cleaning printhead of inkjet printer

본 발명은 잉크젯 프린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잉크젯 프린터의 인쇄헤드를 클리닝하기 위한 잉크젯 프린터의 인쇄헤드 클리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kjet print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printhead cleaning apparatus of an inkjet printer for cleaning the printhead of the inkjet printer.

잉크젯 프린터는 인쇄용 잉크의 미소한 액적을 인쇄매체 상의 원하는 위치에 토출시켜서 인쇄매체의 표면에 소정 색상의 화상을 인쇄하는 장치이다. An inkjet printer is a device that prints an image of a predetermined color on a surface of a printing medium by discharging minute droplets of printing ink at a desired position on a printing medium.

일반적으로, 잉크젯 프린터는 소정의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캐리어와, 캐리어에 탑재되어 잉크를 수용하고 있는 잉크 카트리지와, 잉크 카트리지에 마련되어 잉크를 토출시키는 인쇄헤드를 포함한다. 인쇄헤드에는 인쇄매체의 표면을 향해 잉크를 토출시키기 위한 다수의 노즐이 마련되어 있다. In general, an inkjet printer includes a carrier reciprocating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n ink cartridge mounted on the carrier to receive ink, and a printhead provided on the ink cartridge to eject ink. The printhead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nozzles for discharging ink toward the surface of the print medium.

그런데, 인쇄헤드의 표면에는 다수의 노즐로부터 토출된 잉크나 주변의 먼지 등의 이물질이 묻게 된다. 이 경우, 잉크가 응고되면서 노즐을 막거나 이물질이 노즐을 막아서 잉크의 토출이 이루어지지 않거나 잉크의 토출 방향이 어긋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인쇄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By the way, foreign substances such as ink discharged from a plurality of nozzles or surrounding dust are adhered to the surface of the printhead. In this case, as the ink is solidified, the nozzle may be clogged or a foreign substance may block the nozzle, so that ink may not be discharged or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ink may be misaligned, and thus print quality may deteriorate.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인쇄 작업 중에 주기적으로 또는 인쇄 작업 후에 와이핑 블레이드가 왕복 이동하면서 인쇄헤드의 표면을 클리닝함으로써 노즐 주변의 잉크나 이물질을 제거하고 있다. In order to prevent such a problem, in general, ink or foreign substances around the nozzles are removed by cleaning the surface of the printhead while the wiping blade moves reciprocally during the printing operation or after the printing operation.

그런데, 인쇄헤드를 클리닝하게 되면 와이핑 블레이드에 잉크가 묻게 되고, 이와 같이 와이핑 블레이드에 묻은 잉크가 응고되면서 인쇄헤드의 표면을 손상시키거나 인쇄헤드의 표면에 대한 클리닝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와이핑 블레이드에는 주변의 먼지 등의 이물질도 묻을 수 있으며, 이러한 이물질이 인쇄헤드를 손상시키거나 오염시키는 문제점도 발생될 수 있다. However, when the printhead is cleaned, ink adheres to the wiping blade, and the ink adhered to the wiping blade is solidified, which damages the surface of the printhead or does not smoothly clean the surface of the printhead. There was a problem. In addition, foreign substances such as surrounding dust may be adhered to the wiping blade, and such foreign substances may damage or contaminate the printhead.

그리고, 종래의 와이핑 블레이드는 클리닝 작업을 하지 않을 때에도 항상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주변의 먼지 등의 이물질이 와이핑 블레이드에 쉽게 묻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wiping blade is always exposed to the outside even when the cleaning operation is not performed, and thus there is a problem that foreign substances such as surrounding dust are easily adhered to the wiping blade.

특히, UV 경화용 잉크를 사용하는 잉크젯 프린터의 경우에, 와이핑 블레이드가 항상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면, 와이핑 블레이드에 묻어 있는 잉크가 빛이나 자외선에 의해 영향을 받아 더욱 빠르게 응고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n inkjet printer using UV curing ink, if the wiping blade is always exposed to the outside, the ink embedded in the wiping blade is affected by light or ultraviolet rays, causing a problem in which it solidifies more rapidly. .

본 발명은, 잉크젯 프린터의 인쇄헤드의 손상을 방지하고 인쇄헤드를 보다 효과적으로 클리닝 할 수 있도록 와이핑 블레이드에 묻은 잉크나 이물질을 깨끗하게 세정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진 잉크젯 프린터의 인쇄헤드 클리닝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rinthead cleaning apparatus for an inkjet printer having a configuration capable of cleanly cleaning ink or foreign matter adhered to a wiping blade so that damage to the printhead of the inkjet printer can be prevented and the printhead can be cleaned more effectively. There is a purpose.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 프린터의 인쇄헤드 클리닝 장치는, The printhead cleaning apparatus of an inkjet prin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폐잉크 트레이;Waste ink tray;

상기 폐잉크 트레이에 설치되어 잉크젯 프린터의 인쇄헤드를 클리닝하는 와이핑 블레이드;A wiping blade installed on the waste ink tray to clean the print head of the inkjet printer;

상기 폐잉크 트레이에 설치되어 상기 와이핑 블레이드를 세워진 상태와 눕혀진 상태로 회동시키는 회동수단; 및A rotating means installed on the waste ink tray to rotate the wiping blade in an erect state and a flat state; And

상기 폐잉크 트레이에 설치되어 상기 와이핑 블레이드가 회동할 때 상기 와이핑 블레이드에 접촉됨으로써 상기 와이핑 블레이드를 세정하는 세정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a cleaning means installed on the waste ink tray to clean the wiping blade by contacting the wiping blade when the wiping blade rotates.

그리고, 상기 와이핑 블레이드는 상기 폐잉크 트레이 또는 상기 인쇄헤드의 이동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wiping blade may be installed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waste ink tray or the print head.

또한, 상기 폐잉크 트레이에는 상기 폐잉크 트레이를 덮는 커버 플레이트가 설치되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는 상기 세정수단에 세정액을 주입하기 위한 세정액 주입구와, 상기 와이핑 블레이드의 상단부를 상기 커버 플레이트 상부로 돌출시키기 위한 와이핑 블레이드 돌출구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waste ink tray is provided with a cover plate covering the waste ink tray, the cover plate has a cleaning liquid injection port for injecting a cleaning liquid into the cleaning means, and an upper end of the wiping blade protrudes above the cover plate. For the wiping blade protrusion may be formed through.

또한, 상기 폐잉크 트레이의 바닥에는 상기 폐잉크 트레이에 저장된 폐잉크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폐잉크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폐잉크 배출구에는 폐잉크를 배출하기 위한 펌프가 폐잉크 배출호스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펌프에 의해 배출된 폐잉크는 폐잉크 저장탱크에 저장될 수 있다. In addition, a waste ink outlet for discharging waste ink stored in the waste ink tray to the outside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waste ink tray, and a pump for discharging waste ink is connected to the waste ink outlet through a waste ink discharge hose. And, the waste ink discharged by the pump may be stored in the waste ink storage tank.

또한, 상기 폐잉크 트레이를 일정한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왕복이동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In addition, a reciprocating means for reciprocating the waste ink tray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may be further provided.

또한, 상기 왕복이동수단은, 상기 폐잉크 트레이의 왕복 이동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두 개의 풀리와, 상기 두 개의 풀리 중 어느 하나의 풀리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두 개의 풀리에 감겨 순환하는 벨트와, 상기 폐잉크 트레이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벨트에 결합되는 벨트결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eciprocating means includes two pulleys installed at intervals along the reciprocating direction of the waste ink tray, a driving motor rotating one of the two pulleys, and wound around the two pulleys. It may include a circulating belt, and a belt coupling member fixedly installed on the waste ink tray and coupled to the belt.

또한, 상기 폐잉크 트레이의 왕복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가이드수단은, 상기 폐잉크 트레이의 왕복 이동 방향과 평행하게 수평으로 연장된 가이드바와, 상기 폐잉크 트레이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바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슬라이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a guide means for guiding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waste ink tray, the guide means, a guide bar extending horizontally parallel to the reciprocating direction of the waste ink tray, and fixedly installed on the waste ink tray It may include a slide member coupled to the guide bar to be slidable.

또한, 상기 회동수단은, 상기 와이핑 블레이드를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폐잉크 트레이의 양측벽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지지부재의 양단부에 결합되는 회동축과, 상기 회동축을 일정 각도 회동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otation means includes a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the wiping blade, a rotation shaft rotatably installed on both side walls of the waste ink tray and coupled to both ends of the support member, and a predetermined angle rotation of the rotation shaft. It may include a driving means to let.

또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폐잉크 트레이의 폭 방향으로 연장된 막대 형상을 가지며, 상기 지지부재에는 상기 와이핑 블레이드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와이핑 블레이드의 하단부는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재에 고정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upport member has a rod shape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waste ink tray, the support member has an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lower end of the wiping blade is inserted, and the lower end of the wiping blade has the insertion groove It may be fixed to the support member in the inserted state.

또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회동축에 일단부가 결합되는 레버부재와, 상기 레버부재의 타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레버부재의 타단부를 밀고 당기는 유압 실린더 또는 공기압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riving means may include a lever member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 and a hydraulic cylinder or a pneumatic cylinder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lever member to push and pull the other end of the lever member.

또한, 상기 지지부재에는 상기 와이핑 블레이드가 눕혀진 상태로 회동하였을 때 상기 와이핑 블레이드의 상측에서 상기 와이핑 블레이드를 덮어주는 커버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upport member may be provided with a cover member covering the wiping blade from an upper side of the wiping blade when the wiping blade is rotated in a lying state.

또한, 상기 커버부재에는 상기 와이핑 블레이드를 따라 흘러내린 잉크와 이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공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 discharge hole for discharging ink and foreign substances flowing down along the wiping blade may be formed through the cover member.

또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와이핑 블레이드가 눕혀진 상태로 회동하였을 때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 형성된 상기 와이핑 블레이드 돌출구를 가릴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ver member may cover the wiping blade protrusion formed on the cover plate when the wiping blade is rotated in a lying state.

또한, 상기 세정수단은, 상기 와이핑 블레이드가 탄력적으로 접촉될 수 있으며 세정액을 함유할 수 있는 스폰지와, 상기 스폰지의 외면을 감싸는 패브릭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leaning means may include a sponge that may elastically contact the wiping blade and may contain a cleaning liquid, and a fabric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sponge.

또한, 상기 세정수단은, 상기 폐잉크 트레이에 설치되되, 일부분이 상기 와이핑 블레이드의 회동 경로에 겹쳐지도록 설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leaning means, doedoe installed on the waste ink tray, may be installed so that a portion overlaps the rotation path of the wiping blade.

또한, 상기 세정수단은 상기 폐잉크 트레이의 전면측 상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폐잉크 트레이에는 상기 세정수단을 지지하는 지지판이 설치되고, 상기 지지판에는 상기 와이핑 블레이드가 상기 세정수단에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세정수단을 노출시키는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leaning means is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the front side of the waste ink tray, a support plate for supporting the cleaning means is installed on the waste ink tray, and the wiping blade can contact the cleaning means on the support plate. A through hole exposing the cleaning means may be formed.

또한, 상기 폐잉크 트레이의 전면 상단부에는 상기 세정수단의 설치 및 교환을 위한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를 막는 덮개판이 상기 폐잉크 트레이의 전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an opening for installation and exchange of the cleaning means is formed at the front upper end of the waste ink tray, and a cover plate blocking the opening may be detachably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waste ink tray.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 프린터의 인쇄헤드 클리닝 장치는, 와이핑 블레이드에 묻은 잉크와 이물질을 깨끗하게 세정할 수 있어서 인쇄헤드에 대한 클리닝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응고된 잉크나 이물질에 의한 인쇄헤드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rinthead cleaning apparatus of an inkjet prin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cleaning efficiency of the printhead by being able to cleanly clean the ink and foreign matter adhered to the wiping blade, as well as by coagulated ink or foreign matter.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event damage to the printhead.

그리고, 와이핑 블레이드가 이동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인쇄헤드를 클리닝하면서 와이핑 블레이드에 묻은 잉크가 빠르고 원활하게 아래로 흘러내릴 수 있어서 와이핑 블레이드를 신속하고 깨끗하게 세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wiping blade is installed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moving direction, the ink on the wiping blade can flow down quickly and smoothly while cleaning the print head, so there is an effect that the wiping blade can be cleaned quickly and cleanly. .

또한, 와이핑 블레이드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와이핑 블레이드는 폐잉크 트레이 내부로 눕혀진 상태로 회동되고 와이핑 블레이드의 상측을 커버 부재가 덮게 되므로, 와이핑 블레이드에 묻어 있는 잉크가 외부의 빛이나 자외선에 의해 응고되는 것과 와이핑 블레이드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묻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when the wiping blade is not used, the wiping blade rotates while lying flat inside the waste ink tray, and the cover member covers the upper side of the wiping blade, so that the ink embedded in the wiping blade is exposed to external light. However,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solidification by ultraviolet rays and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from getting on the wiping blad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 프린터의 인쇄헤드 클리닝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인쇄헤드 클리닝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인쇄헤드 클리닝 장치의 폐잉크 트레이를 왕복 이동시키기 위한 왕복이동수단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와이핑 블레이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세정수단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회동수단에 의해 와이핑 블레이드가 세워지도록 회동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회동수단에 의해 와이핑 블레이드가 눕혀지도록 회동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inthead cleaning apparatus of an inkjet prin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rinthead cleaning apparatus shown in FIG. 1.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ciprocating means for reciprocating the waste ink tray of the printhead cleaning apparatus shown in FIG. 1.
4 is a plan view illustrating the wiping blade shown in FIG. 1.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leaning means shown in FIG. 2.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iping blade is rotated so that it is erected by the rotating means shown in FIG. 1.
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iping blade is rotated to be laid down by the rotating means shown in FIG. 1.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 프린터의 인쇄헤드 클리닝 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도면들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가리킨다.Hereinafter, an apparatus for cleaning a printhead of an inkjet prin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denote the same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 프린터의 인쇄헤드 클리닝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인쇄헤드 클리닝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인쇄헤드 클리닝 장치의 폐잉크 트레이를 왕복 이동시키기 위한 왕복이동수단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와이핑 블레이드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세정수단의 단면도이다. 도 1과 도 3에서는 와이핑 블레이드가 세워진 상태로 도시되어 있고, 도 2에서는 와이핑 블레이드가 눕혀진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inthead cleaning apparatus of an inkjet prin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rinthead cleaning apparatus shown in FIG. 1, and FIG. 3 is a view of the printhead cleaning apparatus shown in FIG.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ciprocating means for reciprocating the waste ink tray, FIG. 4 is a plan view showing the wiping blade shown in FIG. 1, and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leaning means shown in FIG. 2. In FIGS. 1 and 3, the wiping blade is shown in an upright state, and in FIG. 2, the wiping blade is shown in a flat state.

도 1 내지 도 5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 프린터의 인쇄헤드 클리닝 장치(100)는, 잉크젯 프린터의 잉크 카트리지(10)의 저면에 마련된 인쇄헤드(20)를 클리닝하기 위한 장치로서, 와이핑 블레이드(120)를 사용하여 인쇄헤드(20)의 표면에 묻은 잉크와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할 뿐만 아니라 상기 와이핑 블레이드(120)에 묻은 잉크와 이물질도 깨끗하게 세정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1 to 5, the printhead cleaning apparatus 100 of an inkjet prin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pparatus for cleaning the printhead 20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ink cartridge 10 of the inkjet printer, The wiping blade 120 not only removes foreign substances such as ink and dust on the surface of the printhead 20, but also cleans ink and foreign substances adhered to the wiping blade 120.

상기 인쇄헤드 클리닝 장치(100)는, 폐잉크 트레이(110)와, 상기 인쇄헤드(20)를 클리닝하는 와이핑 블레이드(120)와, 상기 와이핑 블레이드(120)를 회동시키는 회동수단(130)과, 상기 와이핑 블레이드(120)를 세정하는 세정수단(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printhead cleaning device 100 includes a waste ink tray 110, a wiping blade 120 for cleaning the printhead 20, and a rotating means 130 for rotating the wiping blade 120. And,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leaning means 140 for cleaning the wiping blade 120.

구체적으로, 상기 폐잉크 트레이(110)는, 상기 와이핑 블레이드(120)에 의해 인쇄헤드(20)로부터 제거된 잉크와 먼지 등의 이물질(이하, 폐잉크라 한다)을 저장하는 곳으로 사각형의 박스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폐잉크 트레이(110)의 바닥에는 폐잉크 트레이(110)에 저장된 폐잉크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폐잉크 배출구(181)가 형성되며, 이에 대해서는 뒤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Specifically, the waste ink tray 110 is a place for storing foreign substanc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waste ink) such as ink and dust removed from the print head 20 by the wiping blade 120 and has a rectangular shape. It is formed in a box shape. A waste ink outlet 181 for discharging waste ink stored in the waste ink tray 110 to the outside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waste ink tray 110, which will be described again later.

상기 폐잉크 트레이(110)에는 폐잉크 트레이(110)를 덮는 커버 플레이트(111)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 플레이트(111)는 다수의 나사(112)를 사용하여 상기 폐잉크 트레이(110)에 설치될 수 있다. A cover plate 111 covering the waste ink tray 110 may be installed on the waste ink tray 110. The cover plate 111 may be installed on the waste ink tray 110 using a plurality of screws 112.

인쇄 작업이 완료된 후, 일반적으로 인쇄헤드(20)에 남아 있는 잉크가 응고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인쇄헤드(20) 내부의 잉크를 퍼지시키게 된다. 이때, 인쇄헤드(20)로부터 퍼지된 잉크를 상기 폐잉크 트레이(110)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해 상기 커버 플레이트(111)에 퍼지 잉크 유입구(115)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111)에는 세정액 주입구(113)와 와이핑 블레이드 돌출구(114)도 관통 형성되는데, 이들에 대해서는 뒤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After the printing operation is completed, the ink inside the printhead 20 is generally purged to prevent the ink remaining in the printhead 20 from solidifying. In this case, a purge ink inlet 115 may be formed through the cover plate 111 to introduce the ink purged from the print head 20 into the waste ink tray 110. In addition, the cover plate 111 is also formed through the cleaning liquid injection hole 113 and the wiping blade protrusion 114,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상기 폐잉크 트레이(110)는 일정한 방향(화살표 A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폐잉크 트레이(110)를 화살표 A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왕복이동수단(160)이 마련된다. The waste ink tray 110 may be installed to reciprocate in a certain direction (arrow A direction), and for this purpose, a reciprocating movement means 160 for reciprocating the waste ink tray 110 in the direction of arrow A is provided. do.

상기 왕복이동수단(160)은, 상기 폐잉크 트레이(110)의 왕복 이동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두 개의 풀리(162, 163)와, 상기 두 개의 풀리(162, 163) 중 어느 하나의 풀리(163)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165)와, 상기 두 개의 풀리(162, 163)에 감겨 순환하는 벨트(164)와, 상기 폐잉크 트레이(110)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벨트(164)에 결합되는 벨트결합부재(161)를 포함할 수 있다. The reciprocating means 160 may include two pulleys 162 and 163 install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reciprocating direction of the waste ink tray 110, and any one of the two pulleys 162 and 163. A drive motor 165 that rotates the pulley 163 of the, a belt 164 wound around the two pulleys 162 and 163 and circulated, and the waste ink tray 110 is fixedly installed and the belt 164 It may include a belt coupling member 161 coupled to.

상기 벨트결합부재(161)는 상기 폐잉크 트레이(110)의 외측면에 고정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두 개의 풀리(162, 163)와 구동모터(165)는 잉크젯 프린터의 프레임(미도시)에 설치될 수 있다. The belt coupling member 161 may be fixedly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waste ink tray 110, and the two pulleys 162 and 163 and the driving motor 165 are attached to the frame (not shown) of the inkjet printer. Can be installed.

상기 구동모터(165)에 의해 상기 벨트(164)가 소정 방향으로 순환하게 되면, 상기 벨트(164)에 결합된 상기 벨트결합부재(161)는 화살표 A방향으로 왕복 이동하게 되고, 상기 벨트결합부재(161)가 고정 설치된 폐잉크 트레이(110)도 화살표 A방향으로 왕복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When the belt 164 circulates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by the driving motor 165, the belt coupling member 161 coupled to the belt 164 reciprocates in the direction of arrow A, and the belt coupling member The waste ink tray 110 in which 161 is fixedly installed is also reciprocated in the direction of arrow A.

이에 따라, 후술하는 바와 같이 폐잉크 트레이(110)에 설치되는 와이핑 블레이드(120)도 동일한 방향, 즉 화살표 A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며 인쇄헤드(20)에 묻어 있는 잉크와 이물질을 제거하여 인쇄헤드(20)를 클리닝 하게 된다. 이에 대해서는 뒤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Accordingly,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wiping blade 120 installed in the waste ink tray 110 also reciprocates in the same direction, that is, in the direction of arrow A, and removes ink and foreign substances on the print head 20 to remove the print head. (20) will be cleaned. This will be described again later.

그리고, 상기 폐잉크 트레이(110)의 왕복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수단(170)이 더 마련될 수 있다. In addition, a guide means 170 for guiding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waste ink tray 110 may be further provided.

상기 가이드수단(170)은, 상기 폐잉크 트레이(110)의 왕복 이동 방향과 평행하게 수평으로 연장된 가이드바(guide bar)(171)와, 상기 폐잉크 트레이(110)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바(171)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슬라이드부재(17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바(171)의 양단부는 브라켓(172)을 사용하여 잉크젯 프린터의 프레임(미도시)에 고정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슬라이드부재(173)는 상기 폐잉크 트레이(110)의 왕복 이동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두 개가 설치될 수 있다. The guide means 170, a guide bar 171 extending horizontally in parallel with the reciprocating direction of the waste ink tray 110, and fixedly installed on the waste ink tray 110, the guide It may include a slide member 173 coupled to the bar 171 to be slidable. Both ends of the guide bar 171 may be fixedly installed to a frame (not shown) of an inkjet printer using a bracket 172, and the slide member 173 is in a reciprocating direction of the waste ink tray 110 Two can be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상기 왕복이동수단(160)에 의해 폐잉크 트레이(110)가 왕복 이동할 때, 상기 슬라이드부재(173)가 상기 가이드바(171)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므로, 상기 폐잉크 트레이(110)도 상기 슬라이드부재(173)와 함께 상기 가이드바(171)를 따라 흔들리지 않고 안정되게 수평 왕복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When the waste ink tray 110 reciprocates by the reciprocating means 160, the slide member 173 slides along the guide bar 171, so the waste ink tray 110 also slides Together with the member 173, it is possible to stably horizontally reciprocate without shaking along the guide bar 171.

한편, 위에서 설명한 왕복이동수단(160)의 구체적 구성과 가이드수단(170)의 구체적 구성은 바람직한 예에 해당하며, 이러한 구성 외에도 다양한 구성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On the other hand, the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reciprocating means 160 and the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guide means 170 described above correspond to a preferred example, and may have various configurations in addition to these configurations.

그리고, 위에서는 상기 폐잉크 트레이(110)와 와이핑 블레이드(120)가 화살표 A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그 대신에 잉크 카트리지(10)와 인쇄헤드(20)가 화살표 A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잉크 카트리지(10)와 인쇄헤드(20)가 왕복 이동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에 따른 인쇄헤드 클리닝 장치(100)에 위에서 설명한 왕복이동수단(160)과 가이드수단(170)은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And, in the above,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waste ink tray 110 and the wiping blade 120 reciprocate in the direction of arrow A, but instead, the ink cartridge 10 and the print head 20 reciprocate in the direction of arrow A. You can also move. When the ink cartridge 10 and the print head 20 reciprocate in this way, the reciprocating means 160 and the guide means 170 described above are not provided in the printhead clean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 can.

상기 폐잉크 트레이(110)에 상기 와이핑 블레이드(120)와, 회동수단(130)과, 세정수단(140)이 설치된다. The wiping blade 120, the rotation means 130, and the cleaning means 140 are installed in the waste ink tray 110.

상기 와이핑 블레이드(120)는 상기 인쇄헤드(20)의 표면에 접촉하여 인쇄헤드(20)의 표면에 묻어 있는 잉크와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상기 인쇄헤드(20)를 클리닝하는 것으로, 탄성을 가진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와이핑 블레이드(120)는 상기 폐잉크 트레이(11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The wiping blade 120 cleans the print head 20 by contacting the surface of the print head 20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such as ink and dust on the surface of the print head 20, It can be made of synthetic resin material with The wiping blade 120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waste ink tray 110.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이핑 블레이드(120)는 상기 폐잉크 트레이(110) 또는 인쇄헤드(20)의 왕복 이동 방향, 즉 화살표 A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와이핑 블레이드(120)의 경사 각도(α)는 대략 60도일 수 있다. And, as shown in Figure 4, the wiping blade 120 may be installed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reciprocating movement direction of the waste ink tray 110 or the print head 20, that is, the arrow A direction. In this case, the inclination angle α of the wiping blade 120 may be approximately 60 degrees.

이와 같이 상기 와이핑 블레이드(120)가 화살표 A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으면, 와이핑 블레이드(120)에 묻은 잉크가 더욱 빠르고 원활하게 아래로 흘러내릴 수 있어서 와이핑 블레이드(120)를 신속하고 깨끗하게 세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this way, if the wiping blade 120 is installed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arrow A direction, the ink on the wiping blade 120 can flow down more quickly and smoothly, thereby making the wiping blade 120 quickly and cleanly.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cleaned.

상기 회동수단(130)은, 상기 와이핑 블레이드(120)를 회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폐잉크 트레이(110)에 설치된다. The rotation means 130, which serves to rotate the wiping blade 120, is installed in the waste ink tray 110.

상기 회동수단(130)은, 상기 와이핑 블레이드(120)를 지지하는 지지부재(121)와, 상기 폐잉크 트레이(110)의 양측벽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지지부재(121)의 양단부에 결합되는 회동축(131)과, 상기 회동축(131)을 일정 각도 회동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The rotating means 130 is installed to be rotatable on both side walls of the supporting member 121 supporting the wiping blade 120 and the waste ink tray 110, and at both ends of the supporting member 121 It may include a rotation shaft 131 to be coupled, and a driving means for rotating the rotation shaft 131 at a predetermined angle.

상기 지지부재(121)는 상기 폐잉크 트레이(110)의 폭 방향으로 연장된 막대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지지부재(121)에는 상기 와이핑 블레이드(120)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12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와이핑 블레이드(120)는 그 하단부가 상기 삽입홈(122)에 삽입된 상태에서 클립(124)과 체결나사(125)를 사용하여 상기 지지부재(121)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The support member 121 may have a rod shape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waste ink tray 110, and the insertion groove 122 into which the lower end of the wiping blade 120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member 121 ) Can be formed. The wiping blade 120 may be firmly fixed to the support member 121 using a clip 124 and a fastening screw 125 in a state in which the lower end thereof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22.

한편, 잉크젯 프린터의 잉크 카트리지에는 다수의 인쇄헤드가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와이핑 블레이드(120)도 인쇄헤드의 수만큼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지지부재(121)에는 상기 폐잉크 트레이(110)의 폭 방향으로, 즉 상기 지지부재(121)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의 삽입홈(122)이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삽입홈(122)에 상기 다수의 와이핑 블레이드(120)가 각각 삽입 설치된다. Meanwhile, a plurality of printheads may be provided in the ink cartridge of the inkjet printer, and the wiping blade 120 may be provided as many as the number of printheads. In this case, a plurality of insertion grooves 122 are formed in the support member 121 at regular interval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waste ink tray 110, that is, in the length direction of the support member 121, and the plurality of The plurality of wiping blades 120 are respectively inserted and installed in the insertion groove 122 of the.

상기 회동축(131)은 상기 폐잉크 트레이(110)의 양측벽에 관통 형성된 회동축 삽입공(128)에 회동 가능하도록 삽입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121)의 양단부에는 상기 회동축(131)의 일단부가 결합되는 결합홈(127)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회동축(131)은 그 일단부가 상기 결합홈(127)에 삽입되어 결합된 상태에서 나사(미도시)를 사용하여 상기 지지부재(121)의 양단부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The rotation shaft 131 is installed to be rotatably inserted into the rotation shaft insertion hole 128 formed through both side walls of the waste ink tray 110. In addition, a coupling groove 127 to which one end of the rotation shaft 131 is coupled may be formed at both ends of the support member 121, and the rotation shaft 131 has one end thereof in the coupling groove 127. In the inserted and coupled state, it may be firmly coupled to both ends of the support member 121 using screws (not shown).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회동축(131)에 일단부가 결합되는 레버부재(132)와, 상기 레버부재(132)의 타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레버부재(132)의 타단부를 밀고 당기는 유압 실린더(133) 또는 공기압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압 실린더(133)는 상기 폐잉크 트레이(110)의 측벽에 고정 설치되는 브라켓(137)에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유압 실린더(133)의 플런저(134)의 단부에는 링크부재(135)가 결합되고, 상기 링크부재(135)는 링크핀(136)을 통해 상기 레버부재(132)의 타단부에 결합된다. The driving means includes a lever member 132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 131, and a hydraulic cylinder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lever member 132 to push and pull the other end of the lever member 132 ( 133) or a pneumatic cylinder. The hydraulic cylinder 133 may be supported by being coupled to a bracket 137 fixedly installed on a side wall of the waste ink tray 110. A link member 135 is coupled to an end of the plunger 134 of the hydraulic cylinder 133, and the link member 135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lever member 132 through a link pin 136.

한편, 상기 구동수단의 구체적 구성은 바람직한 예에 해당되며, 이 외에도 다양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회전축(131)에 결합되어 상기 회동축(131)을 회동시키는 구동모터일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driving means corresponds to a preferred example, and may have various configurations in addition to this. For example, the driving means may be a driving motor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 131 to rotate the rotation shaft 131.

상기 유압 실린더(133)가 작동하면, 상기 플런저(134)가 상기 레버부재(132)의 타단부를 밀거나 당기게 된다. 만약,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압 실린더(133)의 플런저(134)가 상기 레버부재(132)의 타단부를 밀게 되면, 상기 레버부재(132)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회동축(131)도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지지부재(121)에 결합된 와이핑 블레이드(120)는 수직으로 세워지게 된다. 이와 반대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압 실린더(133)의 플런저(134)가 상기 레버부재(132)의 타단부를 당기게 되면, 상기 레버부재(132)는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회동축(131)도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지지부재(121)에 결합된 와이핑 블레이드(120)는 대략 수평으로 눕혀지게 된다. When the hydraulic cylinder 133 is operated, the plunger 134 pushes or pulls the other end of the lever member 132. If, as shown in Figure 1, when the plunger 134 of the hydraulic cylinder 133 pushes the other end of the lever member 132, the lever member 132 rotates counterclockwise, Accordingly, while the rotation shaft 131 is also rotated counterclockwise, the wiping blade 120 coupled to the support member 121 is vertically erected. On the contrary, as shown in FIG. 2, when the plunger 134 of the hydraulic cylinder 133 pulls the other end of the lever member 132, the lever member 132 rotates clockwise, Accordingly, while the rotation shaft 131 is also rotated in a clockwise direction, the wiping blade 120 coupled to the support member 121 is laid approximately horizontally.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와이핑 블레이드(120)는 상기 회동수단(130)에 의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와 눕혀진 상태로 회동하게 되는데, 상기 와이핑 블레이드(120)가 세워진 상태로 회동될 때에는 와이핑 블레이드(120)의 상단부가 상기 커버 플레이트(111)의 상부로 돌출된다. 이와 같이 상기 와이핑 블레이드(120)의 상단부가 상기 커버 플레이트(111)의 상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상기 커버 플레이트(111)에는 와이핑 블레이드 돌출구(114)가 관통 형성된다. 상기 와이핑 블레이드(120)가 다수인 경우에는 상기 와이핑 블레이드 돌출구(114)도 상기 커버 플레이트(111)의 폭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다수로 형성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wiping blade 120 is rotated in a vertically erected state and a lying state by the rotating means 130. When the wiping blade 120 is rotated in an erected state, wiping The upper end of the blade 120 protrudes above the cover plate 111. In this way, the wiping blade protrusion 114 is formed through the cover plate 111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wiping blade 120 may protrude upward from the cover plate 111. When the number of wiping blades 120 is plural, the wiping blade protrusions 114 are also formed in plural at interval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ver plate 111.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121)에는 상기 와이핑 블레이드(120)가 눕혀진 상태로 회동하였을 때 상기 와이핑 블레이드(120)의 상측에서 상기 와이핑 블레이드(120)를 덮어주는 커버부재(15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150)는 상기 지지부재(121)에 나사(미도시)를 사용하여 체결됨으로써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150)에는 상기 와이핑 블레이드(120)를 따라 흘러내린 잉크와 이물질이 상기 지지부재(121)와 커버부재(150) 사이에 고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들을 배출하기 위한 다수의 배출공(152)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Further, the support member 121 includes a cover member 150 covering the wiping blade 120 from the upper side of the wiping blade 120 when the wiping blade 120 is rotated in a lying state. Can be installed. The cover member 150 may be fixed by being fastened to the support member 121 using screws (not shown). The cover member 150 has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for discharging the ink and foreign substances flowing down the wiping blade 120 to prevent them from accumulating between the support member 121 and the cover member 150 ( 152) may be formed through.

상기 커버부재(150)는 상기 와이핑 블레이드(120)가 눕혀진 상태로 회동하였을 때 상기 커버 플레이트(111)에 형성된 상기 와이핑 블레이드 돌출구(114)를 가리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와이핑 블레이드 돌출구(114)를 통해 외부의 빛이나 자외선이 상기 와이핑 블레이드(120)에 닿는 것을 막아 주며 먼지 등의 이물질이 침입하는 것도 막아주게 된다. 반대로, 상기 와이핑 블레이드(120)가 세워진 상태로 회동할 때에는 상기 커버부재(150)는 상기 지지부재(121)와 함께 회동함으로써 상기 커버 플레이트(111)에 형성된 상기 와이핑 블레이드 돌출구(114)를 가리지 않는다.
The cover member 150 covers the wiping blade protrusion 114 formed on the cover plate 111 when the wiping blade 120 is rotated in a lying state, and accordingly, the wiping blade protrusion ( 114) prevents external light or ultraviolet rays from reaching the wiping blade 120, and also prevents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from entering. Conversely, when the wiping blade 120 is rotated in an erect state, the cover member 150 rotates together with the support member 121 so that the wiping blade protrusion 114 formed on the cover plate 111 do not choose.

상기 세정수단(140)은 상기 와이핑 블레이드(120)가 회동할 때 상기 와이핑 블레이드(120)에 접촉됨으로써 상기 와이핑 블레이드(120)에 묻어 있는 잉크와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상기 와이핑 블레이드(120)를 세정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The cleaning means 140 is in contact with the wiping blade 120 when the wiping blade 120 rotates, thereby removing ink and foreign substances from the wiping blade 120. ) Is to cleanse.

구체적으로, 상기 세정수단(140)은 상기 폐잉크 트레이(110)에 설치되되 일부분이 상기 와이핑 블레이드(120)의 회동 경로에 겹쳐지도록 설치되며, 이에 따라 상기 와이핑 블레이드(120)가 회동할 때 상기 와이핑 블레이드(120)의 선단부가 상기 세정수단(140)에 접촉하게 되면서 세정되는 것이다. 이에 대해서는 뒤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Specifically, the cleaning means 140 is installed on the waste ink tray 110, but a portion is installed so as to overlap the rotation path of the wiping blade 120, and accordingly, the wiping blade 120 When the tip of the wiping blade 12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cleaning means 140, it is cleaned.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상기 세정수단(140)은, 스폰지(141)와, 상기 스폰지(141)의 외면을 감싸는 패브릭(14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폰지(141)는 다공성이므로 많은 세정액을 함유할 수 있으며, 탄력성을 가지므로 상기 와이핑 블레이드(120)가 손상 없이 긴밀하게 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폰지(141)의 외면을 감싸는 패브릭(142)은 스폰지(141)에 비해 내구성이 좋으므로, 스폰지(141)와 와이핑 블레이드(120)의 직접 접촉에 의한 스폰지(141)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어서 세정수단(140)의 수명이 길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패브릭(142)이 오염되거나 손상되었을 때에는 패브릭(142)만 교체하면 되므로, 유지보수비용도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The cleaning means 140 may include a sponge 141 and a fabric 142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sponge 141. Since the sponge 141 is porous, it may contain a large amount of cleaning liquid, and because it has elasticity, the wiping blade 120 may be closely attached without damage. And, since the fabric 142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sponge 141 is more durable than the sponge 141, damage to the sponge 141 due to direct contact between the sponge 141 and the wiping blade 120 Since it can be suppress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life of the cleaning means 140 is prolonged. In addition, when the fabric 142 is contaminated or damaged, since only the fabric 142 needs to be replaced, maintenance cost is also reduced.

그리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111)에는 상기 세정수단(140)으로 세정액을 주입하기 위한 다수의 세정액 주입구(113)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커버 플레이트(111)에 세정액 주입구(113)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세정수단(140)을 폐잉크 트레이(110)로부터 분리하지 않더라도 세정수단(140)에 대한 원활한 세정액의 주입이 가능해지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cleaning liquid injection holes 113 for injecting a cleaning liquid into the cleaning means 140 may be formed through the cover plate 111. In this way, since the cleaning liquid injection hole 113 is formed in the cover plate 111, it is possible to smoothly inject the cleaning liquid into the cleaning means 140 even without separating the cleaning means 140 from the waste ink tray 110. There is this.

상기 세정수단(140)은 상기 폐잉크 트레이(110)의 전면측 상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폐잉크 트레이(110)에는 상기 세정수단(140)을 지지하는 지지판(143)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판(143)에는 상기 와이핑 블레이드(120)가 상기 세정수단(140)에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세정수단(140)을 노출시키는 관통공(144)이 형성될 수 있다. The cleaning means 140 may be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the front side of the waste ink tray 110. To this end, a support plate 143 supporting the cleaning means 140 may be installed in the waste ink tray 110. In addition, a through hole 144 exposing the cleaning means 140 may be formed in the support plate 143 so that the wiping blade 120 may contact the cleaning means 140.

상기 폐잉크 트레이(110)의 전면 상단부에는 상기 세정수단(140)의 설치 및 교환을 위한 개구(opening)(116)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구(116)를 막는 덮개판(117)이 상기 폐잉크 트레이(110)의 전면에 볼트(118)와 너트(119)를 사용하여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An opening 116 for installation and exchange of the cleaning means 140 may be formed at the front upper end of the waste ink tray 110. In addition, a cover plate 117 blocking the opening 116 may be detachably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waste ink tray 110 by using a bolt 118 and a nut 119.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회동수단에 의해 와이핑 블레이드가 세워지도록 회동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1에 도시된 회동수단에 의해 와이핑 블레이드가 눕혀지도록 회동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FIG.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iping blade is rotated to be erected by the rotating means shown in FIG. 1, and FIG. 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iping blade is rotated to be laid down by the rotating means shown in FIG. It is a drawing.

먼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회동수단(130)에 의해 와이핑 블레이드(120)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잉크 카트리지(10)에 마련된 인쇄헤드(20)에 대한 클리닝 작업이 수행된다. 이때, 와이핑 블레이드(120)의 상단부는 커버 플레이트(111)에 형성된 와이핑 블레이드 돌출구(114)를 통해 커버 플레이트(111)의 상부로 돌출된 상태이며, 지지부재(121)에 설치된 커버부재(150)는 와이핑 블레이드 돌출구(114)를 막지 않도록 회동된 상태이다. First, referring to FIG. 6, a cleaning operation is performed on the printhead 20 provided in the ink cartridge 10 while the wiping blade 120 is vertically erected by the rotation means 130. At this time, the upper end of the wiping blade 120 is in a state that protrudes upward from the cover plate 111 through the wiping blade protrusion 114 formed in the cover plate 111, and the cover member installed on the support member 121 ( 150) is in a rotated state so as not to block the wiping blade protrusion 114.

이와 같은 와이핑 블레이드(120)를 사용한 인쇄헤드(20)에 대한 클리닝 작업 전에, 인쇄헤드(20)에 남아 있는 잉크가 응고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인쇄헤드(20) 내부의 잉크를 퍼지시키는 작업이 선행될 수 있다. 이때, 커버 플레이트(111)에 형성된 퍼지 잉크 유입구(115)가 인쇄헤드(20)의 직하부에 위치하게 되며, 이 상태에서 인쇄헤드(20)로부터 퍼지된 잉크는 퍼지 잉크 유입구(115)를 통해 폐잉크 트레이(110) 내부로 유입되어 저장된다. Before cleaning the printhead 20 using such a wiping blade 120, an operation of purging the ink inside the printhead 20 to prevent the ink remaining in the printhead 20 from coagulating is performed. It can be preceded. At this time, the purge ink inlet 115 formed in the cover plate 111 is located directly under the print head 20, and in this state, the ink purged from the print head 20 is passed through the purge ink inlet 115. The waste ink tray 110 is introduced into and stored.

퍼지 작업이 완료된 후, 상기 왕복이동수단(160)에 의해 폐잉크 트레이(110)와 와이핑 블레이드(120)는 화살표 A방향의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와이핑 블레이드(120)의 상단부가 인쇄헤드(20)의 표면에 접촉하여 인쇄헤드(20)의 표면에 묻어 있는 잉크와 이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인쇄헤드(20)로부터 제거된 잉크와 이물질은 와이핑 블레이드(120)의 표면을 따라 흘러 내려 폐잉크 트레이(110) 내부에 저장된다. 특히, 상기 와이핑 블레이드(120)로부터 상기 지지부재(121)와 커버부재(150) 사이로 흘러내린 잉크와 이물질은 상기 커버부재(150)에 관통 형성된 배출공(152)을 통해 빠져나가 폐잉크 트레이(110) 내부에 저장될 수 있다. After the purge operation is completed, the waste ink tray 110 and the wiping blade 120 are moved backward in the direction of arrow A by the reciprocating means 160, and in this process, the upper end of the wiping blade 120 Is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head 20 to remove ink and foreign matters on the surface of the printhead 20. In this way, the ink and foreign substances removed from the printhead 20 flow along the surface of the wiping blade 120 and are stored in the waste ink tray 110. In particular, ink and foreign matter flowing down between the support member 121 and the cover member 150 from the wiping blade 120 exit through the discharge hole 152 formed through the cover member 150 to pass through the waste ink tray. (110) Can be stored inside.

상기한 바와 같이 폐잉크 트레이(110)의 내부에 저장된 폐잉크는 폐잉크 트레이(110)의 바닥에 관통 형성된 폐잉크 배출구(18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폐잉크 배출구(181)에는 폐잉크를 배출하기 위한 펌프(183)가 폐잉크 배출호스(182)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펌프(183)에 의해 배출된 폐잉크는 폐잉크 저장탱크(184)에 저장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waste ink stored in the waste ink tray 110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waste ink outlet 181 formed through the bottom of the waste ink tray 110. A pump 183 for discharging waste ink is connected to the waste ink discharge port 181 through a waste ink discharge hose 182, and the waste ink discharged by the pump 183 is a waste ink storage tank 184 Can be stored in.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폐잉크 트레이(110) 대신에 잉크 카트리지(10)와 인쇄헤드(20)가 화살표 A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도 있으며, 이 과정에서 상기 와이핑 블레이드(120)가 인쇄헤드(20)의 표면을 클리닝할 수도 있다. Meanwhile, as described above, instead of the waste ink tray 110, the ink cartridge 10 and the print head 20 may reciprocate in the direction of arrow A, and in this process, the wiping blade 120 The surface of (20) can also be cleaned.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면, 인쇄헤드(20)에 대한 클리닝 작업이 완료된 후, 상기 회동수단(130)에 의해 와이핑 블레이드(120)가 대략 수평으로 눕혀진 상태로 회동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회동하는 와이핑 블레이드(120)의 상단부가 세정수단(140)을 지지하는 지지판(143)에 형성된 관통공(144)을 통해 세정수단(140)에 접촉되면서 와이핑 블레이드(120)에 묻어 있는 잉크와 이물질이 세정된다. 이때, 와이핑 블레이드(120)는 완전히 폐잉크 트레이(110) 내부로 들어간 상태이며, 커버부재(150)는 와이핑 블레이드(120)의 상측을 덮어주면서 커버 플레이트(110)에 형성된 와이핑 블레이드 돌출구(114)를 가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 와이핑 블레이드 돌출구(114)를 통해 외부의 빛이나 자외선이 상기 와이핑 블레이드(120)에 닿는 것을 막아 주며 먼지 등의 이물질이 침입하는 것도 막아주게 되는 장점이 있다. Next, referring to FIG. 7, after the cleaning operation for the print head 20 is completed, the wiping blade 120 is rotated in a state in which the wiping blade 120 is laid approximately horizontally by the rotation means 130. In this process, the upper end of the rotating wiping blade 120 is in contact with the cleaning means 140 through a through hole 144 formed in the support plate 143 supporting the cleaning means 140, while the wiping blade 120 Ink and foreign substances on the surface are cleaned. At this time, the wiping blade 120 is in a state that has completely entered the waste ink tray 110, and the cover member 150 covers the upper side of the wiping blade 120 while the wiping blade protrusion formed on the cover plate 110 (114) will be covered.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of preventing external light or ultraviolet rays from reaching the wiping blade 120 through the wiping blade protrusion 114 and also preventing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from entering.

그리고, 와이핑 블레이드(120)가 눕혀진 상태에서 상기 회동수단(130)에 의해 다시 세워진 상태로 회동할 때에도 와이핑 블레이드(120)의 상단부가 세정수단(140)에 접촉되면서 와이핑 블레이드(120)에 묻어 있는 잉크와 이물질이 세정될 수 있다.
In addition, even when the wiping blade 120 is rotated to an erected state by the rotation means 130 in a lying state, the upper end of the wiping blade 120 is in contact with the cleaning means 140, and the wiping blade 120 ), ink and foreign matter may be cleaned.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 프린터의 인쇄헤드 클리닝 장치(100)는, 와이핑 블레이드(120)를 사용하여 인쇄헤드(20)이 표면을 클리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와이핑 블레이드(120)에 묻은 잉크와 이물질을 깨끗하게 세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인쇄헤드(20)에 대한 클리닝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또한 응고된 잉크나 이물질에 의한 인쇄헤드(2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rinthead cleaning apparatus 100 of an inkjet prin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can the printhead 20 clean the surface using the wiping blade 120, but also the wiping blade 120 You can cleanly clean the ink and foreign substances on ). Accordingly, there is an advantage of improving the cleaning efficiency of the printhead 20, and also has an advantage of preventing damage to the printhead 20 by solidified ink or foreign matter.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but these are merely exemplary,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잉크 카트리지 20...인쇄헤드
100...인쇄헤드 클리닝 장치 110...폐잉크 트레이
111...커버 플레이트 113...세정액 주입구
114...와이핑 블레이드 돌출구 115...퍼지 잉크 유입구
116...개구 117...덮개판
120...와이핑 블레이드 121...지지부재
122...삽입홈 124...클립
127...결합홈 128...회동축 삽입공
130...회동수단 131...회동축
132...레버부재 133...유압실린더
134...플런저 135...링크부재
137...브라켓 140...세정수단
141...스폰지 142...패브릭
143...지지판 144...관통공
150...커버부재 152...배출공
160...왕복이동수단 161...벨트결합부재
162,163...풀리 164...벨트
165...구동모터 170...가이드수단
171...가이드바 172...브라켓
173...슬라이드부재 181...폐잉크 배출구
182...폐잉크 배출호스 183...펌프
184...폐잉크 저장탱크
10... ink cartridges 20... printheads
100...Printhead cleaning unit 110...Waste ink tray
111...cover plate 113...cleaning liquid inlet
114...wiping blade protrusion 115...purge ink inlet
116...opening 117...cover plate
120... wiping blade 121... support member
122...insertion groove 124...clip
127...Mating groove 128...Rotating shaft insertion hole
130...Rotating means 131...Rotating shaft
132...Lever member 133...Hydraulic cylinder
134...plunger 135...link member
137...bracket 140...cleaning means
141...sponge 142...fabric
143...support plate 144...through hole
150...cover member 152...discharge hole
160...reciprocating means 161...belt coupling member
162,163... pulley 164... belt
165...Drive motor 170...Guide means
171...guide bar 172...bracket
173...Slide member 181...Waste ink outlet
182...Waste ink discharge hose 183...Pump
184...waste ink storage tank

Claims (17)

폐잉크 트레이;
상기 폐잉크 트레이에 설치되어 잉크젯 프린터의 인쇄헤드를 클리닝하는 와이핑 블레이드;
상기 폐잉크 트레이에 설치되어 상기 와이핑 블레이드를 세워진 상태와 눕혀진 상태로 회동시키는 회동수단; 및
상기 폐잉크 트레이에 설치되어 상기 와이핑 블레이드가 회동할 때 상기 와이핑 블레이드에 접촉됨으로써 상기 와이핑 블레이드를 세정하는 세정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회동수단은, 상기 와이핑 블레이드를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폐잉크 트레이의 양측벽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지지부재의 양단부에 결합되는 회동축과, 상기 회동축을 일정 각도 회동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폐잉크 트레이에는 상기 폐잉크 트레이를 덮는 커버 플레이트가 설치되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는 상기 와이핑 블레이드의 상단부를 상기 커버 플레이트 상부로 돌출시키기 위한 와이핑 블레이드 돌출구가 관통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재에는 상기 와이핑 블레이드가 눕혀진 상태로 회동하였을 때 상기 와이핑 블레이드의 상측에서 상기 와이핑 블레이드를 덮어주는 커버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와이핑 블레이드가 눕혀진 상태로 회동하였을 때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 형성된 상기 와이핑 블레이드 돌출구를 가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의 인쇄헤드 클리닝 장치.
Waste ink tray;
A wiping blade installed on the waste ink tray to clean the print head of the inkjet printer;
A rotating means installed on the waste ink tray to rotate the wiping blade in an erect state and a flat state; And
A cleaning means installed on the waste ink tray to clean the wiping blade by contacting the wiping blade when the wiping blade rotates,
The rotation means includes a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the wiping blade, a rotation shaft rotatably installed on both side walls of the waste ink tray and coupled to both ends of the support member, and a drive for rotating the rotation shaft at a predetermined angle. Including means,
The waste ink tray is provided with a cover plate covering the waste ink tray, and the cover plate has a wiping blade protrusion through which the upper end of the wiping blade protrudes above the cover plate,
The support member is provided with a cover member covering the wiping blade from an upper side of the wiping blade when the wiping blade is rotated in a laid state, and the cover member rotates in a state in which the wiping blade is laid down. When the wiper blade protrusion formed on the cover plate is covered with the printhead cleaning apparatus of an inkjet print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핑 블레이드는 상기 폐잉크 트레이 또는 상기 인쇄헤드의 이동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의 인쇄헤드 클리닝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wiper blade is a printhead cleaning apparatus of an inkjet prin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talled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waste ink tray or the printhea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는 상기 세정수단에 세정액을 주입하기 위한 세정액 주입구가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의 인쇄헤드 클리닝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printhead cleaning apparatus of an inkjet printer, wherein a cleaning liquid injection hole for injecting a cleaning liquid into the cleaning means is formed through the cover plate.
제 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폐잉크 트레이의 바닥에는 상기 폐잉크 트레이에 저장된 폐잉크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폐잉크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폐잉크 배출구에는 폐잉크를 배출하기 위한 펌프가 폐잉크 배출호스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펌프에 의해 배출된 폐잉크는 폐잉크 저장탱크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의 인쇄헤드 클리닝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 waste ink outlet for discharging waste ink stored in the waste ink tray to the outside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waste ink tray, and a pump for discharging waste ink is connected to the waste ink outlet through a waste ink discharge hose, The waste ink discharged by the pump is stored in a waste ink storage tank.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폐잉크 트레이를 일정한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왕복이동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의 인쇄헤드 클리닝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reciprocating means for reciprocating the waste ink tray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왕복이동수단은, 상기 폐잉크 트레이의 왕복 이동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두 개의 풀리와, 상기 두 개의 풀리 중 어느 하나의 풀리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두 개의 풀리에 감겨 순환하는 벨트와, 상기 폐잉크 트레이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벨트에 결합되는 벨트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의 인쇄헤드 클리닝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reciprocating means includes two pulleys installed at intervals along the reciprocating direction of the waste ink tray, a driving motor rotating one of the two pulleys, and circulating by being wound around the two pulleys. And a belt coupling member fixedly installed to the waste ink tray and coupled to the belt.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폐잉크 트레이의 왕복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가이드수단은, 상기 폐잉크 트레이의 왕복 이동 방향과 평행하게 수평으로 연장된 가이드바와, 상기 폐잉크 트레이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바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슬라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의 인쇄헤드 클리닝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or 6,
Further comprising a guide means for guiding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waste ink tray,
The guide means comprises a guide bar extending horizontally in parallel with the reciprocating direction of the waste ink tray, and a slide member fixedly installed on the waste ink tray and coupled to the guide bar so as to be slidably moved. Printer's printhead cleaning devic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폐잉크 트레이의 폭 방향으로 연장된 막대 형상을 가지며, 상기 지지부재에는 상기 와이핑 블레이드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와이핑 블레이드의 하단부는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재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의 인쇄헤드 클리닝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upport member has a rod shape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waste ink tray, the support member has an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lower end of the wiping blade is inserted, and the lower end of the wiping blade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Printhead cleaning apparatus of an inkjet printer, characterized in that fixed to the support member in the state in which it has been turn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회동축에 일단부가 결합되는 레버부재와, 상기 레버부재의 타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레버부재의 타단부를 밀고 당기는 유압 실린더 또는 공기압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의 인쇄헤드 클리닝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driving means comprises a lever member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 and a hydraulic cylinder or a pneumatic cylinder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lever member to push and pull the other end of the lever member. Printhead cleaning devic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에는 상기 와이핑 블레이드를 따라 흘러내린 잉크와 이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공이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의 인쇄헤드 클리닝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printhead cleaning apparatus of an inkjet printer, wherein a discharge hole for discharging ink and foreign matter flowing down along the wiping blade is formed through the cover member.
삭제delete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단은, 상기 와이핑 블레이드가 탄력적으로 접촉될 수 있으며 세정액을 함유할 수 있는 스폰지와, 상기 스폰지의 외면을 감싸는 패브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의 인쇄헤드 클리닝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cleaning means includes a sponge that can elastically contact the wiping blade and contains a cleaning liquid, and a fabric that surrounds the outer surface of the sponge.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단은, 상기 폐잉크 트레이에 설치되되, 일부분이 상기 와이핑 블레이드의 회동 경로에 겹쳐지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의 인쇄헤드 클리닝 장치.
The method of claim 14,
The cleaning means is installed on the waste ink tray, and a portion of the cleaning means is installed to overlap the rotation path of the wiping blade.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단은 상기 폐잉크 트레이의 전면측 상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폐잉크 트레이에는 상기 세정수단을 지지하는 지지판이 설치되고, 상기 지지판에는 상기 와이핑 블레이드가 상기 세정수단에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세정수단을 노출시키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의 인쇄헤드 클리닝 장치.
The method of claim 15,
The cleaning means is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the front side of the waste ink tray, a support plate supporting the cleaning means is installed on the waste ink tray, and the cleaning means is provided on the support plate so that the wiping blade can contact the cleaning means. A printhead cleaning apparatus of an inkjet printer, characterized in that through-holes exposing the means are formed.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폐잉크 트레이의 전면 상단부에는 상기 세정수단의 설치 및 교환을 위한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를 막는 덮개판이 상기 폐잉크 트레이의 전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의 인쇄헤드 클리닝 장치.
The method of claim 15,
A printhead cleaning of an inkjet printer, characterized in that an opening for installation and exchange of the cleaning means is formed at the front upper end of the waste ink tray, and a cover plate blocking the opening is detachably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waste ink tray. Device.
KR1020150190787A 2015-12-31 2015-12-31 Apparatus for cleaning printhead of inkjet printer Active KR102202028B1 (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90787A KR102202028B1 (en) 2015-12-31 2015-12-31 Apparatus for cleaning printhead of inkjet printer
CN201680007803.7A CN107206795B (en) 2015-12-31 2016-12-30 The print head cleaning apparatus of ink-jet printer
EP16882151.0A EP3398783B1 (en) 2015-12-31 2016-12-30 Device for cleaning printing head of inkjet printer
PCT/KR2016/015549 WO2017116199A1 (en) 2015-12-31 2016-12-30 Device for cleaning printing head of inkjet prin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90787A KR102202028B1 (en) 2015-12-31 2015-12-31 Apparatus for cleaning printhead of inkjet prin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9813A KR20170079813A (en) 2017-07-10
KR102202028B1 true KR102202028B1 (en) 2021-01-12

Family

ID=59225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90787A Active KR102202028B1 (en) 2015-12-31 2015-12-31 Apparatus for cleaning printhead of inkjet printer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3398783B1 (en)
KR (1) KR102202028B1 (en)
CN (1) CN107206795B (en)
WO (1) WO2017116199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1933B1 (en) 2017-06-23 2020-01-0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Composition comprising sesquiterpene derivatives or as active ingredients for muscle strengthening, development, differentiation, regeneration or inhibiting muscle atrophy
CN107933092A (en) * 2017-12-04 2018-04-20 新会江裕信息产业有限公司 A kind of service station of ink-jet printer
CN109016846A (en) * 2017-12-22 2018-12-18 合肥欣奕华智能机器有限公司 Blow head maintenance device, printing device and nozzle maintenance method
KR102631453B1 (en) * 2018-10-02 2024-01-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Inkjet printing apparatus
JP7255199B2 (en) * 2019-01-24 2023-04-1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Liquid ejector
CN112757795B (en) * 2019-11-06 2022-08-02 东友科技股份有限公司 printer cleaning unit
EP4143009A1 (en) * 2020-04-27 2023-03-08 Stratasys Ltd. Service station for a three-dimensional printing system
CN112123763A (en) * 2020-09-30 2020-12-25 共享智能铸造产业创新中心有限公司 Printing head protection device, printing head cleaning method and 3D printer
CN115091855B (en) * 2022-07-14 2023-04-11 广州诺彩数码产品有限公司 UV flatbed printer shower nozzle belt cleaning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43663A (en) * 2003-02-14 2004-09-02 Sii Printek Inc Wiping device and its operation method
JP2012091512A (en) * 2010-10-26 2012-05-17 Oce Printing Systems Gmbh Ink type printer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401A (en) * 1991-07-05 1993-01-19 Seiko Epson Corp Ink jet recorder
JP3157978B2 (en) * 1994-03-09 2001-04-23 キヤノン株式会社 Liquid ejection device
JPH09220813A (en) * 1996-02-16 1997-08-26 Copyer Co Ltd Image forming device
GB2360016B (en) * 1996-11-13 2001-11-07 Hewlett Packard Co Wet-wiping printhead cleaning system
US6609780B2 (en) * 2001-07-06 2003-08-26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nk jet printer having a mechanism for driving wiper and purge pump
EP1440803B1 (en) * 2003-01-23 2007-11-14 Agfa Graphics N.V. Wiper assembly for inkjet printer
JP2008290313A (en) * 2007-05-23 2008-12-04 Seiko Epson Corp Fluid discharge device
KR20110025504A (en) * 2009-09-04 2011-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Image Forming Device
JP5785701B2 (en) * 2010-08-10 2015-09-30 株式会社ミヤコシ Wiping method of line head
JP5664407B2 (en) * 2011-03-29 2015-02-0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Maintenance device and liquid ejection device
JP6058457B2 (en) * 2013-04-16 2017-01-11 ローランドディー.ジー.株式会社 Cleaning liquid supply mechanism
CN203344496U (en) * 2013-07-08 2013-12-18 深圳弘美数码纺织技术有限公司 Moisturizing device for nozzle scraping blade assembl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43663A (en) * 2003-02-14 2004-09-02 Sii Printek Inc Wiping device and its operation method
JP2012091512A (en) * 2010-10-26 2012-05-17 Oce Printing Systems Gmbh Ink type prin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206795B (en) 2019-05-31
KR20170079813A (en) 2017-07-10
EP3398783A1 (en) 2018-11-07
EP3398783A4 (en) 2019-11-20
EP3398783B1 (en) 2023-03-01
CN107206795A (en) 2017-09-26
WO2017116199A1 (en) 2017-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2028B1 (en) Apparatus for cleaning printhead of inkjet printer
US6866361B2 (en) Ink-jet recording apparatus and maintenance method of ink-jet head included in ink-jet recording apparatus
US5081472A (en) Cleaning device for ink jet printhead nozzle faces
JP6111479B2 (en) Inkjet recording device
US9427971B2 (en) Printer with a cleanable nozzle surface
KR100314876B1 (en) Inkjet printer
WO2015146951A1 (en) Head cleaning apparatus, inkjet printer and head cleaning method
US20080278536A1 (en) Inkjet image-form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US8020963B2 (en) Wiping unit and inkjet printer
US9592673B2 (en) Maintenance device and liquid ejecting apparatus
JP4222174B2 (en) Ink jet recording apparatus and maintenance method of ink jet head provided in the same
KR20040099099A (en) Liquid ejecting head, method of cleaning the ejecting head, and liquid ejecting device
US20080316252A1 (en) Ink-jet image forming apparatus
JP6992255B2 (en) Liquid sprayer
JP2025065513A (en) Inkjet recording device
US6273547B1 (en) Waste ink collection system for an ink jet printer
JP7298772B2 (en) PRINTING DEVICE, PRINTING PROGRAM, AND PRINTING METHOD
CN107415476B (en) Cleaning device for liquid ejecting head and liquid ejecting apparatus
JP7676551B2 (en) Inkjet recording device
US20150062239A1 (en) Liquid Ejec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Liquid Ejecting Apparatus
JP6368565B2 (en) Inkjet recording apparatus and inkjet recording method
JP2017144681A (en) Ink jet printer
JPH11268297A (en) Inkjet printer
US7306318B2 (en) Inkjet printing device
JP7502958B2 (en) Liquid ejection device and waste liquid tan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23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122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5123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5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101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1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1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