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201943B1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1943B1
KR102201943B1 KR1020130112776A KR20130112776A KR102201943B1 KR 102201943 B1 KR102201943 B1 KR 102201943B1 KR 1020130112776 A KR1020130112776 A KR 1020130112776A KR 20130112776 A KR20130112776 A KR 20130112776A KR 102201943 B1 KR102201943 B1 KR 1022019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om chassis
display panel
adhesive sheet
sidewall portion
backlight un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2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3154A (ko
Inventor
전상현
곽경국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127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1943B1/ko
Priority to US14/311,904 priority patent/US9454038B2/en
Publication of KR201500331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31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19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194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8Direct backlight including particular frames or supporting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5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liquid crysta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81Mechanical or electrical aspects of the light guide and light source in the lighting device peculiar to the adaptation to planar light guides, e.g. concerning packaging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14Back fram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28Adhesive materials or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보텀 섀시; 상기 보텀 섀시에 수납된 백라이트 유닛;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상측에 위치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백라이트 유닛과 상기 표시 패널 사이에 위치하는 접착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접착 시트를 통해 상기 보텀 섀시에 부착되어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몰드 프레임이 사용되지 않으면서도 표시 패널이 고정될 수 있고 휨강도가 우수하고 빛샘 현상도 방지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는 크게 광 정보 신호가 자체의 발광에 의해 표시되는 발광형(emissive) 표시 장치와 주변광의 제어(광변조)로 표시되는 비발광형(non-emissive) 표시 장치로 나뉜다. 비발광형 표시 장치 중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이다.
액정 표시 장치는 일반적으로 공통 전극, 컬러 필터 등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 기판과 박막 트랜지스터, 화소 전극 등이 형성되어 있는 하부 기판 사이에 액정 물질을 채우고 화소 전극과 공통 전극에 서로 다른 전위를 인가하여 전계를 형성함으로써 액정 분자들의 배열을 변경시키고, 이를 통해 광의 투과율을 조절하여 화상을 표시한다.
액정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은 자체적으로 발광하지 못하므로, 표시 패널에 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유닛(backlight unit, BLU)이 통상적으로 표시 패널의 뒷면 쪽에 구비된다.
일반적으로, 액정 표시 장치는 보텀 섀시(bottom chassis) 내에 백라이트 유닛이 위치하고, 백라이트 유닛 위쪽에 표시 패널이 위치한다. 표시 패널을 일정 높이로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해서, 백라이트 유닛과 표시 패널 사이에는 상하부가 개방된, 전체적으로 직육면체의 몰드 프레임이 위치한다. 이러한 몰드 프레임은 보텀 섀시의 측벽 내면에 밀착되게 혹은 측벽 외면에 밀착되게 위치할 수 있다. 표시 패널은 몰드 프레임의 평평한 면에 일반적으로 양면 테이프 등에 의해 접착된다.
최근 들어, 두께가 얇은 표시 장치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또한, 표시 패널의 테두리 부근의 베젤(bezel)을 좁게 형성하면 동일한 화면 크기를 가지면서 표시 장치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베젤을 좁게 형성할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빛샘 현상이 방지되고 휨강도(bending strength)가 우수한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보텀 섀시; 상기 보텀 섀시에 수납된 백라이트 유닛;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상측에 위치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백라이트 유닛과 상기 표시 패널 사이에 위치하는 접착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접착 시트를 통해 상기 보텀 섀시에 부착되어 있다.
상기 보텀 섀시는, 보텀 섀시의 바닥면을 이루는 평저부; 상기 평저부로부터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상향 연장하는 제1 측벽부; 상기 제1 측벽부로부터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하향 연장하는 제2 측벽부; 상기 제2 측벽부로부터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내향 연장하는 부착부; 및 상기 부착부로부터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하향 연장하는 제3 측벽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 시트의 일면은 상기 표시 패널의 가장자리 부근에 접착되어 있고, 상기 접착 시트의 타면은 상기 보텀 섀시의 부착부에 접착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보텀 섀시의 상기 부착부는 상기 표시 패널과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 있다.
상기 부착부는 그 상면이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상면과 거의 동일하거나 그보다 약간 높게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측벽부의 높이는 상기 표시 패널의 상면과 거의 동일하거나 그보다 낮을 수 있다.
상기 보텀 섀시의 제3 측벽부의 내향 면은 상기 백라이트 유닛과 맞닿거나 거의 맞닿아 있을 수 있다.
상기 보텀 섀시의 두 가장자리가 만나는 모서리의 높이가 상기 부착부의 높이보다 높을 수 있다.
상기 보텀 섀시는, 보텀 섀시의 바닥면을 이루는 평저부; 상기 평저부로부터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상향 연장하는 제1 측벽부; 상기 제1 측벽부로부터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내향 연장하는 부착부; 및 상기 부착부로부터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하향 연장하는 제2 측벽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텀 섀시의 상기 부착부는 상기 표시 패널과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 있다.
상기 부착부는 그 상면이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상면과 거의 동일하거나 그보다 약간 높게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보텀 섀시의 적어도 하나의 가장자리는, 보텀 섀시의 바닥면을 이루는 평저부; 상기 평저부로부터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상향 연장하는 제1 측벽부; 상기 제1 측벽부로부터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하향 연장하는 제2 측벽부; 상기 제2 측벽부로부터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내향 연장하는 부착부; 및 상기 부착부로부터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하향 연장하는 제3 측벽부;로 이루어진 제1 헤밍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텀 섀시의 다른 적어도 하나의 가장자리는 보텀 섀시의 바닥면을 이루는 평저부; 상기 평저부로부터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상향 연장하는 제1 측벽부; 상기 제1 측벽부로부터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내향 연장하는 부착부; 및 상기 부착부로부터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하향 연장하는 제2 측벽부;로 이루어진 제2 헤밍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헤밍 구조를 포함하는 상기 보텀 섀시의 가장자리 쪽에 상기 표시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신호를 전달하는 구동회로기판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접착 시트는 양면이 모두 접착성이고, 상기 접착 시트는 상기 표시 패널의 크기에 거의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면서 가장자리 부분만이 있는 직사각형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접착 시트는 광 비투과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접착 시트는 양면 테이프인 스트립이 상기 표시 패널의 네 가장자리 부근에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는 몰드 프레임이 사용되지 않으므로 베젤을 좁게 형성할 수 있고, 두께를 줄일 수 있으며, 표시 장치의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다. 그럼에도 표시 패널이 고정될 수 있고, 표시 장치의 휨강도가 우수하고 빛샘 현상도 방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표시 장치에서 광원이 위치하지 않는 가장자리 부근의 한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표시 장치에서 광원이 위치하지 않는 가장자리 부근의 다른 한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표시 장치에서 광원이 위치하는 가장자리 부근의 한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표시 장치에서 광원이 위치하는 가장자리 부근의 다른 한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표시 장치에서 보텀 섀시의 가장자리가 만나는 부근의 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러나 도면에 도시된 두께의 비율이 실제 구성 요소들의 비율을 그대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층(layer)"이라 함은 일정한 폭과 두께가 있는 시트(sheet), 막(layer), 판(plate)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주로 액정 표시 장치와 관련하여 설명할지라도, 본 발명은 전기영동 표시 장치(electrophoretic display, EPD) 같은 다른 표시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표시 장치는 보텀 섀시(100), 상기 보텀 섀시에 수납된 백라이트 유닛(200), 백라이트 유닛(200) 상측에 위치하는 표시 패널(300), 그리고 백라이트 유닛(200)과 표시 패널(300) 사이에 위치하는 접착 시트(20)를 포함한다.
보텀 섀시(100)는 상측이 개방된 직육면체의 박스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에 소정 깊이의 수납 공간을 가진다. 즉, 보텀 섀시(100)는 섀시의 바닥면인 평저부 및 상기 평저부의 네 가장자리로부터 상향 연장되는 측벽부를 포함한다. 보텀 섀시(100)는 또한 측벽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수평 방향으로 내향하여 연장하는 부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내향이란 보텀 섀시(100)의 중심 쪽을 향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수납 공간에는 표시 패널(300)에 광을 제공하기 위한 백라이트 유닛(200)이 수납된다.
보텀 섀시(100)는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도금강판 같은 금속성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텀 섀시(100)는 예컨대 금속판의 가장자리를 안쪽으로 구부려서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처리는 헤밍(hemming)으로 불리므로, 헤밍에 의해 형성된 보텀 섀시 가장자리의 구조를 본 명세서에서 헤밍 구조라고 부르기로 한다.
백라이트 유닛(200)은 광을 발생하는 광원부(210), 상기 광원부(210)와 한 가장자리가 인접하게 위치한 도광판(light guide plate, LGP)(220), 상기 도광판(220)의 하측에 위치한 반사 시트(230), 상기 도광판(220)의 상측에 위치한 복수의 광학 시트(240)를 포함한다.
광원부(210)는 광원으로서 LED(light emitting diode) 패키지(211), 상기 LED 패키지(211)가 실장된 기판(212)을 포함한다. 기판(212)은 LED 패키지(211)에 외부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광원부(210)에서 방출되는 광은 도광판(220)의 측면으로 입사되어, 상기 도광판(220)을 통하여 상부 및 하부로 출사된다.
도 1에서 광원부(210)가 도광판(220)의 일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예시되었을지라도,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광원부(210)는 광판(220)의 일측과 대향하는 타측에도 또한 위치할 수 있고, 상기 도광판(220)의 네 가장자리 측에 모두 위치할 수 있다. 다만, 스마트폰 같은 소형 모바일 기기에서는 광원부(210)가 도광판(220)의 일측에만 위치하는 경우가 많다.
본 실시예에서 광원으로서 LED 패키지(211)를 한 예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냉음극 형광램프(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CCFL)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 상기 광원부(210)는 도광판(220)의 측면에 위치하는 에지형(edge type)으로 도시되었지만, 광원부가 도광판(220)의 하측에 위치하는 직하형(direct type)이 적용될 수 있다. 다만, 직하형의 경우, 도광판이 사용되지 않고, 그 대신 광을 굴절시키기 위한 광학 렌즈가 LED 패키지 같은 광원 위에 위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광판(220)은 보통 광 투과율이 높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소재로 제조된다. 최근에는 PMMA보다 내열성 및 내습성이 우수한 메타스틸렌(MS) 소재가 각광받고 있다. 상기 도광판(220)은 광원부(210)에서 발생한 점광원 또는 선광원 형태의 광학 분포를 갖는 광을 면광원 형태의 광학 분포를 갖는 광으로 변경 즉, 광을 고르게 분포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도광판(220)으로는 쐐기 타입 플레이트 또는 평판형 플레이트가 사용될 수 있고, 상하면 중 일면 또는 양면에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도광판(220)의 하측에 위치하는 반사 시트(230)은 광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도광판(220)의 하측으로 진행하는 광을 실질적으로 상측으로 반사시킨다. 반사 시트(230)는 백색 반사 필름이나 은반사 필름 등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반사 시트(230)은 단지 보텀 섀시(100)와 도광판(220) 사이에 놓이거나, 접착제, 양면테이프 등의 접착 수단에 의해 보텀 섀시(100)에 부착될 수도 있다.
상기 도광판(220)의 상측에 위치하는 광학 시트(240)는 확산 시트(241), 프리즘 시트(242), 반사 편광 시트(24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확산 시트(241)는 도광판(220)에서 출사된 광을 확산시켜 휘도 분포를 균일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프리즘 시트(242)는 상기 확산 시트(241)에 의해 확산된 광의 진행 방향을 조절하여 표시 패널(300)과 수직을 이루도록 한다. 반사 편광 시트(243)는 표시 장치의 휘도 효율을 높이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휘도 향상 필름으로 불리기도 한다..
상기 광학 시트(240)는 이들 시트(241, 242, 243) 중 어떤 시트는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 어떤 시트는 복수 개 포함할 수 있으며, 그 밖의 특성을 갖는 광학적 시트 또는 보호 시트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광학 시트(240) 상측에는 표시 장치에서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300)이 위치한다. 표시 패널(300)의 테두리 쪽의 하면에는 접착 시트(20)의 일면이 부착되어 있다. 접착 시트(20)의 타면은 보텀 섀시(100)에 부착되어 있다. 통상적인 표시 장치와 달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몰드 프레임을 포함하지 않는다. 따라서 표시 패널(300)이 몰드 프레임에 부착되는 것이 아니라, 보텀 섀시(100)에 부착된다.
접착 시트(20)는 그 양면이 모두 접착성이고, 표시 패널(300)의 크기에 거의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면서 가장자리 부분만이 있는 직사각형 형태일 수 있다. 접착 시트(20)는 양면 테이프 같은 스트립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컨대, 네 개의 스트립이 표시 패널(300)의 네 가장자리 부근에 부착될 수 있다. 접착 시트(20)는 광 비투과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접착 시트(20)는 흑색 필름의 양면에 접착성 물질이 도포되어 있을 수 있다. 접착 시트(20)는 약간의 탄성 같은 완충 능력이 있는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200)과 표시 패널(300) 사이에 위치하는 접착 시트(20)는 백라이트 유닛(200)과 일부가 중첩하거나 전혀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
표시 패널(300)의 상측에는 표시 패널의 테두리(rim)를 감싸는 톱 섀시(top chassis)(도시되지 않음)가 위치할 수 있다.
이하, 표시 패널(300) 및 보텀 섀시(100)의 보다 상세한 구성, 표시 패널(300)이 접착 시트(20)를 통해 어떻게 보텀 섀시(100)에 부착되는지 등에 대해서 도 2 내지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표시 장치에서 광원이 위치하지 않는 가장자리 부근의 한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표시 장치에서 광원이 위치하지 않는 가장자리 부근의 다른 한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우선, 도 2를 참조하면, 보텀 섀시(100)는 그 가장자리 부근이 네 부분에서 구부러진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이러한 구부러진 구조는 하나의 금속판을 구부려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구부러진 네 부분을 제1 내지 제4 굽힘부(A, B, C, D)라고 칭한다. 이러한 굽힘부에 의해, 보텀 섀시(100)는 평저부(110), 외측 측벽부(120), 중간 측벽부(130), 부착부(140) 및 내측 측벽부(150)으로 구분될 수 있다.
평저부(110)는 보텀 섀시(100)의 실질적인 크기를 한정하며 바닥면을 이루는 부분으로, 그 위로 반사 시트(230), 도광판(220), 광학 시트(240) 등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200)이 위치한다. 광학 시트(24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확산 시트(241), 프리즘 시트(242), 반사 편광 시트(24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외측 측벽부(120)는 제1 굽힘부(A)에 의해 평저부(110)로부터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상향 연장한다. 외측 측벽부(120)는 보텀 섀시(100)의 실질적인 높이를 한정한다. 외측 측벽부(120)의 높이는 표시 패널(300)의 상면과 거의 동일한 레벨이거나 그보다 낮을 수 있다.
중간 측벽부(130)는 내향으로 구부러진 제2 굽힘부(B)에 의해 외측 측벽부(120)와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하향 연장한다. 중간 측벽부(130)는 외측 측벽부(120)보다 짧게 형성된다. 중간 측벽부(130)에 의해 표시 패널(300)이 위치하는 공간이 한정될 수 있고, 표시 패널(300)의 가장자리 부분이 파손 등으로부터 보호될 수도 있다.
부착부(140)는 제3 굽힘부(C)에 의해 중간 측벽부로부터(130)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내향 연장한다. 따라서 부착부(140)는 평저부(110)와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부착부(14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보텀 섀시(100)의 여러 부분 중 표시 패널(300)이 부착되는 부분이다. 부착부(140)는 그 상면이 광학 시트(240)의 상면과 거의 동일하거나 그보다 약간 높게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부착부(140)는 가급적 넓은 부착 영역을 확보할 수 있도록 표시 패널(300)과 거의 평행하다.
내측 측벽부(150)는 제4 굽힙부(D)에 의해 부착부(140)로부터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하향 연장한다. 따라서 내측 측벽부(150)는 외측 측벽부(120) 및 중간 측벽부(130)와 거의 평행하다. 내측 측벽부(150)의 길이와 중간 측벽부(130)의 길이를 더하면 외측 측벽부(120)의 길이와 거의 동일하다. 내측 측벽부(150)의 단부(edge)는 평저부(110)와 맞닿거나 거의 맞닿을 수 있다. 내측 측벽부(150)는 내향 면은 도광판(230)의 단부와 맞닿을 수 있다.
보텀 섀시(100)의 가장자리 부분이 위와 같이 헤밍 구조로 되어 있어, 보텀 섀시의 강도 특히, 휨강도가 증가하고, 따라서 외부 충격을 보다 잘 견딜 수 있다. 이로 인해 표시 장치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추가적인 구조가 필요하지 않을 수 있고, 결국 표시 장치의 두께를 보다 얇게, 그리고 베젤을 보다 얇게 내지 제거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200) 위에 위치하는 표시 패널(300)은 서로 대향하는, 유리 같은 투명 기판으로 이루어진 하부 기판(310)과 상부 기판(320)을 포함한다.
하부 기판(310)의 상면에는 박막 트랜지스터(TFT), 화소 전극 등이 형성되어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의 소스 단자는 데이터 라인과 연결되고, 게이트 단자는 게이트 라인과 연결되며, 드레인 단자는 화소 전극과 연결된다. 상기 하부 기판(310)은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으로도 불린다.
상부 기판(320)의 하면에는 공통 전극, 컬러 필터, 차광 부재 등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표시 패널에 종류에 따라서, 공통 전극, 컬러 필터, 차광 부재 중 하나 이상이 하부 기판(310)에 형성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부 기판(320)이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일 수도 있다.
하부 기판(310)과 상부 기판(320)은 서로 합착되어 있고, 이들 사이에는 액정 물질이 적하 또는 주입에 의해 채워져 있다. 하부 기판(310)의 박막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라인과 소스 라인에 전기적인 신호를 인가하여 박막 트랜지스터가 턴온되면, 하부 기판(310)의 화소 전극과 상부 기판(320)의 공통 전극 사이에는 전계가 형성된다. 이러한 전계에 의해 하부 기판(310)과 상부 기판(320) 사이에 존재하는 액정 분자의 배열이 변화되고, 변화된 배열에 따라서 광 투과율이 변경되어 원하는 화상을 표시하게 된다.
표시 패널(300)은 하부 기판(310)의 하면과 상부 기판(320)의 상면에 각각 편광 필름(330, 3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편광 필름(330, 340)은 표시 패널(300)로 입사되는 광을 편광시키는 역할을 한다.
표시 패널(300)은 가장자리 부근의 하면에는 비투광성 재료로 형성된 접착 시트(20)의 일면이 부착되어 있고, 접착 시트(20)의 타면은 보텀 섀시(100)의 부착부(140)에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표시 패널(300)은 단지 접착 시트(20)에 의해서 보텀 섀시(100)에 부착되고, 부착된 채로 그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보텀 섀시(100)와 이에 부착된 표시 패널(300)에 의해 한정되는 공간에는 백라이트 유닛(200)이 위치한다. 보텀 섀시(100)와 표시 패널(300) 사이에 존재할 수 있는 틈은 접착 시트(20)에 의해 메워질 수 있기 때문에, 백라이트 유닛(200)의 광이 표시 패널(300)의 단부 쪽으로 빠져나가지 않게 된다. 또한, 몰드 프레임을 사용할 경우 보텀 섀시와 몰드 프레임 간에 존재할 수 있는 틈으로 광이 새어나갈 수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몰드 프레임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빛샘 현상이 방지될 수 있고, 아울러 그러한 몰드 프레임을 위한 공간이 줄어들 수 있으므로 표시 장치의 두께와 베젤 폭을 줄일 수 있다.
한편, 보텀 섀시(100)의 제2 굽힘부(B)는 거의 180도 구부러져 있으므로, 외측 측벽부(120)와 중간 측벽부(130)의 두께의 합이 보텀 섀시(100)의 재료인 금속판의 두께의 거의 두 배에 지나지 않는다. 따라서 표시 패널(300)의 단부가 중간 측벽부(130)에 거의 맞닿게 위치하도록 치수 조절을 함으로써 베젤의 폭을 줄일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2에 도시된 보텀 섀시와 약간 다른 구부러진 구조를 가진 보텀 섀시(100)가 도시된다. 즉, 네 번 구부러진 구조를 가진 도 2의 보텀 섀시와 달리, 이 실시예의 보텀 섀시(100)는 제3 굽힘부(C)가 없는 세 번 구부러진 구조를 가진다. 도 2와 비교하여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고, 변형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에 아포스트로피를 더하였다. 이러한 도면 부호 규칙은 모든 실시예에서 모두 적용된다.
외측 측벽부(120')는 보텀 섀시(100)의 바닥면이 평저부(110)로부터 제1 굽힘부(A)에 의해 상향 연장하지만, 그 높이가 백라이트 유닛(200)의 대략 상면 수준 또는 그보다 약간 높은 수준까지만 연장한다. 따라서 제2 굽힘부(B')에 의해 외측 측벽부(120')로부터 평저부(110)와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내향 연장하는 부착부(140)는 그 상면의 높이가 백라이트 유닛(200)의 대략 상면 수준 또는 그보다 약간 높은 수준이다.
내측 측벽부(150)는 제4 굽힙부(D)에 의해 부착부(140)로부터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하향 연장한다. 따라서 내측 측벽부(150)의 길이는 외측 측벽부(120)의 길이(좀더 정확하게는 금속판의 두께만큼 뺀 길이)와 거의 동일하다. 내측 측벽부(150)의 단부는 평저부(110)와 맞닿거나 거의 맞닿을 수 있고, 내측 측벽부(150)는 내향 면은 도광판(230)의 단부와 맞닿을 수 있다.
위와 같은 헤밍 구조에 의해서도 보텀 섀시의 강도가 증가하고, 내충격성이 증가할 수 있다.
보텀 섀시의 부착부(140)에는 접착 시트(20)를 통해 표시 패널(300)이 부착되어 있고, 보텀 섀시(100)와 이에 부착된 표시 패널(300)에 의해 한정되는 공간에 백라이트 유닛(200)이 위치하고 있다. 도 2의 실시예와 달리, 부착부(140)의 외곽에 상향 돌출된 부분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표시 패널(300)의 단부가 보텀 섀시(100)의 좀더 단부에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베젤의 폭을 금속판의 두께 또는 그 이상으로 베젤 폭을 줄일 수 있다. 물론, 백라이트 유닛(200)의 광이 표시 패널(300)의 단부 쪽으로 새어나가는 빛샘 현상이 접착 시트(20) 등에 의해 방지된다.
하나의 보텀 섀시(100)에서 도 2의 실시예에 따른 헤밍 구조와 도 3의 실시예에 따른 헤밍 구조가 혼재할 수 있다. 예컨대, 보텀 섀시(100)의 네 가장자리 중 어떤 가장자리는 중간 측벽부(130)가 존재하는 헤밍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어떤 가장자리는 중간 측벽부가 존재하지 않는 헤밍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최근 스마트폰에서 동일한 화면 크기를 가지면서 좌우 베젤 폭을 줄이는 기술이 화두가 되고 있는데, 표시 장치의 네 가장자리 중 좌우 가장자리 쪽에는 후자의 헤밍 구조를 적용하고 상 및/또는 하 가장자리 쪽에는 전자의 헤밍 구조를 적용할 수도 있다.
도 4는 도 1의 표시 장치에서 광원이 위치하는 가장자리 부근의 한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표시 장치에서 광원이 위치하는 가장자리 부근의 다른 한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이 실시예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헤밍 구조를 가진 보텀 섀시를 가진 표시 장치에서 광원부(210)가 위치하는 가장자리 부근의 단면이 도시된다. 광원부(210)는 표시 장치의 어느 한 가장자리 쪽에만 위치할 수도 있고, 복수의 가장자리 쪽에 위치할 수도 있다. 광원부(210)가 위치함으로 인해, 보텀 섀시(100)의 내측 측벽부(150)의 내향 면은 도광판(220)의 단부가 아닌 광원부가 기판(212)과 거의 맞닿아 있다.
아울러, 도 4에는 표시 패널(300)의 단부 쪽에 표시 패널(300)을 구동하기 위한 신호를 전달하는 구동회로기판(400)이 연결되어 있는 것이 도시된다. 이러한 구동회로기판(400)의 연결 또한 표시 장치의 어느 한 가장자리 쪽에만 위치할 수도 있고, 복수의 가장자리 쪽에 위치할 수도 있다. 도 4에서, 표시 장치에서 광원부(210)와 구동회로기판(400)의 연결부가 동일한 가장자리 쪽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을지라도, 이들은 서로 다른 가장자리 쪽에 위치할 수 있다.
구동회로기판(400)의 일단은 표시 패널(300)의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인 하부 기판(310) 측에 있는 부착 영역(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고 타단은 외부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보통 보텀 섀시(100)의 하측에 위치하는 인쇄회로기판(30)에 연결된다. 구동회로기판(400)에는 데이터 구동 IC 같은 구동 회로(410)가 실장되어 있을 수 있다. 구동 회로(410)는 보텀 섀시(100) 반대 측을 향하게 위치하거나 실장되거나 보텀 섀시(100) 측을 향하게 위치할 수도 있다. 구동회로기판(400)은 바람직하게는 연성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FPC)이고, 구동 회로(410)가 실장되어 있을 경우 칩온필름(chip on film, COF)으로도 불린다. 구동회로기판(400)의 보텀 섀시(100)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을 손상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 표시 장치는 쉴드 커버(shield cover)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5에는 도 4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표시 장치에서 광원부(210)와 구동회로기판(400)의 연결이 있는 가장자리 측의 단면을 도시한다. 그러나 보텀 섀시(100)의 헤밍 구조가 도 3의 실시예와 유사하다. 도 4의 실시예의 경우, 보텀 섀시(100)의 부착부(140)의 외곽에 상향 돌출된 부분으로 인해 구동회로기판(400)이 보텀 섀시(100)의 하측에 위치하는 인쇄회로기판(30)에 연결되기 위해서는 제2 굽힘부(B) 부근에서 상당히 휘어지게 된다. 이로 인해 구동회로기판(400)의 연결이 곤란하거나 파손의 우려가 있을 수 있다. 보텀 섀시(100)가 위와 같이 돌출되는 부분이 존재하지 않게 헤밍 구조를 가질 경우, 구동회로기판(400)이 좀더 완만하게 휘면서 연결될 수 있다. 물론, 도 5의 실시예에는 전술한 도 3의 실실예와 관련하여 설명한 이점(예컨대, 베젤의 폭을 줄일 수 있음)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표시 장치에서 보텀 섀시의 가장자리가 만나는 부근의 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보텀 섀시(100)의 헤밍 구조는 예컨대 금속판을 구부려서 형성되므로, 이웃하는 가장자리의 헤밍 구조 사이로 백라이트 유닛(200)의 광이 새어나갈 수 있는 가능성이 존재한다. 보텀 섀시(100)의 가장자리가 만나는 모서리부(corner)(160)의 높이를 부착부(140)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할 경우 광이 누설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6에는 보텀 섀시(100)의 헤밍 구조에 의해 도광판(220)의 위치가 안내되고 있는 것이 예시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통상의 기술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보텀 섀시 110: 평저부
120, 120': 외측 측벽부 130: 중간 측벽부
140: 부착부 150: 내측 측벽부
160: 모서리부 20: 접착 시트
200: 백라이트 유닛 210: 광원부
220: 도광판 230: 반사 시트
240: 광학 시트 30: 인쇄회로기판
300: 표시 패널 400: 구동회로기판

Claims (16)

  1. 보텀 섀시;
    상기 보텀 섀시에 수납된 백라이트 유닛;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상측에 위치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백라이트 유닛과 상기 표시 패널 사이에 위치하는 접착 시트;
    를 포함하며,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접착 시트를 통해 상기 보텀 섀시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접착 시트의 양면 중 일면은 상기 표시 패널과 접촉하고 타면은 상기 보텀 섀시와 접촉하고,
    상기 보텀 섀시는,
    보텀 섀시의 바닥면을 이루는 평저부;
    상기 평저부로부터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상향 연장하는 제1 측벽부;
    상기 제1 측벽부로부터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하향 연장하는 제2 측벽부;
    상기 제2 측벽부로부터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내향 연장하는 부착부; 및
    상기 부착부로부터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하향 연장하는 제3 측벽부;
    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2. 삭제
  3. 제1항에서,
    상기 접착 시트의 일면은 상기 표시 패널의 가장자리 부근에 접착되어 있고, 상기 접착 시트의 타면은 상기 보텀 섀시의 부착부에 접착되어 있는 표시 장치.
  4. 제1항에서,
    상기 보텀 섀시의 상기 부착부는 상기 표시 패널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표시 장치.
  5. 제1항에서,
    상기 부착부는 그 상면이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상면과 동일하거나 그보다 높게 위치하는 표시 장치.
  6. 제1항에서,
    상기 제1 측벽부의 높이는 상기 표시 패널의 상면과 동일하거나 그보다 낮은 표시 장치.
  7. 제1항에서,
    상기 보텀 섀시의 제3 측벽부의 내향 면은 상기 백라이트 유닛과 맞닿아 있는 표시 장치.
  8. 제1항에서,
    상기 보텀 섀시의 두 가장자리가 만나는 모서리의 높이가 상기 부착부의 높이보다 높은 표시 장치.
  9. 보텀 섀시;
    상기 보텀 섀시에 수납된 백라이트 유닛;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상측에 위치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백라이트 유닛과 상기 표시 패널 사이에 위치하는 접착 시트;
    를 포함하며,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접착 시트를 통해 상기 보텀 섀시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접착 시트의 양면 중 일면은 상기 표시 패널과 접촉하고 타면은 상기 보텀 섀시와 접촉하고,
    상기 보텀 섀시는,
    보텀 섀시의 바닥면을 이루는 평저부;
    상기 평저부로부터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상향 연장하는 제1 측벽부;
    상기 제1 측벽부로부터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내향 연장하는 부착부; 및
    상기 부착부로부터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하향 연장하는 제2 측벽부;
    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0. 제9항에서,
    상기 보텀 섀시의 상기 부착부는 상기 표시 패널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표시 장치.
  11. 제9항에서,
    상기 부착부는 그 상면이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상면과 동일하거나 그보다 높게 위치하는 표시 장치.
  12. 보텀 섀시;
    상기 보텀 섀시에 수납된 백라이트 유닛;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상측에 위치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백라이트 유닛과 상기 표시 패널 사이에 위치하는 접착 시트;
    를 포함하며,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접착 시트를 통해 상기 보텀 섀시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접착 시트의 양면 중 일면은 상기 표시 패널과 접촉하고 타면은 상기 보텀 섀시와 접촉하고,
    상기 보텀 섀시의 적어도 하나의 가장자리는, 보텀 섀시의 바닥면을 이루는 평저부; 상기 평저부로부터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상향 연장하는 제1 측벽부; 상기 제1 측벽부로부터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하향 연장하는 제2 측벽부; 상기 제2 측벽부로부터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내향 연장하는 부착부; 및 상기 부착부로부터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하향 연장하는 제3 측벽부;로 이루어진 제1 헤밍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보텀 섀시의 다른 적어도 하나의 가장자리는 보텀 섀시의 바닥면을 이루는 평저부; 상기 평저부로부터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상향 연장하는 제1 측벽부; 상기 제1 측벽부로부터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내향 연장하는 부착부; 및 상기 부착부로부터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하향 연장하는 제2 측벽부;로 이루어진 제2 헤밍 구조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3. 제12항에서,
    상기 제2 헤밍 구조를 포함하는 상기 보텀 섀시의 가장자리 쪽에 상기 표시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신호를 전달하는 구동회로기판이 위치하는 표시 장치.
  14. 제1항에서,
    상기 접착 시트는 양면이 모두 접착성이고, 상기 접착 시트는 상기 표시 패널의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면서 가장자리 부분만이 있는 직사각형 형태인 표시 장치.
  15. 제1항에서,
    상기 접착 시트는 광 비투과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표시 장치.
  16. 제1항에서,
    상기 접착 시트는 양면 테이프인 스트립이 상기 표시 패널의 네 가장자리 부근에 부착되어 있는 표시 장치.
KR1020130112776A 2013-09-23 2013-09-23 표시 장치 Active KR1022019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2776A KR102201943B1 (ko) 2013-09-23 2013-09-23 표시 장치
US14/311,904 US9454038B2 (en) 2013-09-23 2014-06-23 Display device including adhesive sheet attached to bottom chassi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2776A KR102201943B1 (ko) 2013-09-23 2013-09-23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3154A KR20150033154A (ko) 2015-04-01
KR102201943B1 true KR102201943B1 (ko) 2021-01-12

Family

ID=52690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2776A Active KR102201943B1 (ko) 2013-09-23 2013-09-23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454038B2 (ko)
KR (1) KR1022019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7673B1 (ko) * 2014-07-18 2020-11-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CN105158968A (zh) * 2015-07-30 2015-12-1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液晶显示模块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EP3163362B1 (en) 2015-10-27 2019-03-13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KR102515715B1 (ko) * 2016-06-10 2023-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73084B1 (ko) * 2016-10-31 2023-09-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102627114B1 (ko) * 2016-12-30 2024-01-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US10664009B2 (en) * 2017-01-20 2020-05-26 Dell Products L.P. Narrow border plastic cover with optimal opto-mechanical properties
US10451911B2 (en) * 2017-02-28 2019-10-2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isplay device
US10698443B2 (en) 2017-05-01 2020-06-3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mputing devices with an adhered cover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reof
KR102454503B1 (ko) * 2017-07-20 2022-10-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EP3678367B1 (en) * 2017-08-28 2023-12-13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KR102361850B1 (ko) * 2017-09-08 2022-02-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2212888B1 (ko) * 2018-10-29 2021-02-05 주식회사 오성디스플레이 복합소재 프레스 성형 방법
CN111610654A (zh) * 2019-02-26 2020-09-01 夏普株式会社 框架结构体及应用其的显示装置
US11570938B2 (en) * 2019-08-27 2023-01-31 L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KR102680252B1 (ko) * 2019-12-31 2024-07-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CN119068766A (zh) * 2023-06-02 2024-12-03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电子装置
WO2025139089A1 (zh) * 2023-12-29 2025-07-03 海信视像科技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及背板的制备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52471A1 (en) * 2005-01-13 2006-07-13 Nec Lcd Technologies,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20080303971A1 (en) * 2007-06-07 2008-12-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ceiving container,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US20090002598A1 (en) 2007-06-28 2009-01-01 Lg.Philips Lcd Co., Ltd.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20100079698A1 (en) 2008-09-26 2010-04-01 Hitachi Displays, Ltd. Display device
CN102749736A (zh) 2012-04-06 2012-10-24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及其组装方法
US20130050820A1 (en) * 2011-08-26 2013-02-28 Jungchul Shin Displa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540553U (en) * 2000-12-04 2003-07-01 Chi Mei Optoelectronics Corp Structure reinforced exterior frame for planar display device
KR20050068530A (ko) * 2003-12-30 2005-07-05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101023285B1 (ko) * 2004-03-24 2011-03-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엘시디 모듈 및 그 제조방법
KR100722119B1 (ko) * 2006-09-20 2007-05-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 장치
KR20080035755A (ko) 2006-10-20 2008-04-24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0873701B1 (ko) * 2007-02-07 2008-12-12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액정 표시장치
KR101385205B1 (ko) * 2007-07-25 2014-04-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구조를 개선한 액정표시장치
JP5159485B2 (ja) 2007-09-03 2013-03-06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ウェスト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KR100918053B1 (ko) * 2007-12-27 2009-09-22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WO2009104447A1 (ja) * 2008-02-19 2009-08-27 シャープ株式会社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TWI467270B (zh) * 2011-07-01 2015-01-01 Au Optronics Corp 承載座及使用其之顯示裝置
TWI432839B (zh) * 2011-08-10 2014-04-01 Au Optronics Corp 顯示裝置
KR101848719B1 (ko) 2011-08-11 2018-04-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KR101820172B1 (ko) 2011-10-27 2018-02-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보더리스 액정표시장치
KR101882827B1 (ko) * 2012-11-02 2018-07-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KR20140067626A (ko) * 2012-11-27 2014-06-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52471A1 (en) * 2005-01-13 2006-07-13 Nec Lcd Technologies,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20080303971A1 (en) * 2007-06-07 2008-12-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ceiving container,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US20090002598A1 (en) 2007-06-28 2009-01-01 Lg.Philips Lcd Co., Ltd.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20100079698A1 (en) 2008-09-26 2010-04-01 Hitachi Displays, Ltd. Display device
US20130050820A1 (en) * 2011-08-26 2013-02-28 Jungchul Shin Display device
CN102749736A (zh) 2012-04-06 2012-10-24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及其组装方法
US20130263488A1 (en) 2012-04-06 2013-10-10 Au Optronics Corp. Display device and assembly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085471A1 (en) 2015-03-26
KR20150033154A (ko) 2015-04-01
US9454038B2 (en) 2016-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1943B1 (ko) 표시 장치
JP4440236B2 (ja) 液晶表示装置
US9784999B2 (en) Liquid crystal display with narrow bezel area
KR101313653B1 (ko) 액정표시장치
US9304245B2 (en) Display device including a light guide bonded to a display panel
US9482900B2 (en) Display device
KR102363653B1 (ko) 표시장치
US10048524B2 (en) Top case having outsert molding member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JP6929725B2 (ja) バックライト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る液晶表示装置
KR101339160B1 (ko) 일체형 몰드 프레임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구비하는액정 표시 장치
CN103867967B (zh) 背光单元和包括所述背光单元的液晶显示装置
KR20140115045A (ko) 좁은 베젤영역을 갖는 액정표시 장치
KR101292585B1 (ko) 액정표시장치
KR20120116290A (ko) 액정표시장치
KR102501607B1 (ko) 액정 표시 장치
KR102624289B1 (ko) 액정표시장치
KR20130039406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1951258B1 (ko) 액정표시장치
KR20150102135A (ko) 표시 장치
KR102090606B1 (ko) 액정 표시장치
KR20150055358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2630961B1 (ko) 액정표시장치
KR20070074889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KR102465447B1 (ko) 고정테이프 모듈 및 그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180015316A (ko) 광 출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92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091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3092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1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5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11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1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1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