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1599B1 - 핸드오버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핸드오버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01599B1 KR102201599B1 KR1020140082113A KR20140082113A KR102201599B1 KR 102201599 B1 KR102201599 B1 KR 102201599B1 KR 1020140082113 A KR1020140082113 A KR 1020140082113A KR 20140082113 A KR20140082113 A KR 20140082113A KR 102201599 B1 KR102201599 B1 KR 10220159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andover
- beams
- base station
- signal strength
- condi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22—Site diversity; Macro-diversit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using two or more beams, i.e. beam diversit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for beam form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68—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combining
- H04B7/088—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combining using beam selec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8—Cell structures using beam steer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58—Transmission of hand-off measurement information, e.g. measurement repor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6—Reselecting a communication resource in the serving access poin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2—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using measured or perceived qu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일반적인 핸드오버 방법을 토대로 한 빔간 핸드오버 절차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일반적인 핸드오버 이벤트 트리거링 조건을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핸드오버 이벤트 트리거링 조건을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빔간 협력 스케줄링에 따른 자원 할당을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빔간 핸드오버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빔간 핸드오버 장치의 구조도이다.
Claims (17)
- 기지국내에서 다수의 빔들이 제공되는 네트워크 환경에서, 단말이 빔간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핸드오버 방법에서,
상기 단말이 서빙 빔의 신호 세기와 타겟 빔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서빙 빔의 신호 세기와 타겟 빔의 신호 세기가 제1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기지국으로 제1 측정 보고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조건 만족에 따라, 상기 타겟 빔과 상기 서빙 빔을 통한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지는 빔 간 협력 스케줄링이 이루어지는 단계 - 상기 빔 간 협력 스케줄링에 의해 상기 타겟 빔과 상기 서빙 빔에 대하여 상기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자원이 빔간 동일 위치에 할당됨 -
빔 간 협력 스케줄링이 이루어지는 상태에서, 상기 서빙 빔의 신호 세기와 상기 타겟 빔의 신호 세기가 제2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기지국으로 제2 측정 보고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2 조건 만족에 따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핸드오버 수행을 명령하는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단말이 상기 서빙 빔에서 상기 타겟 빔으로의 빔 스위칭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이 빔 스위칭을 수행한 다음에 상기 기지국으로 핸드오버 완료를 통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핸드오버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건은 상기 서빙 빔의 신호 세기가 상기 타겟 빔의 신호 세기보다 제1 옵셋보다 큰 것을 나타내는, 핸드오버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조건은 상기 타겟 빔의 신호 세기가 상기 서빙 빔의 신호 세기보다 제2 옵셋보다 큰 상태가 설정 시간 동안 유지되는 것을 나타내는, 핸드오버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수행을 명령하는 메시지는 타겟 빔의 식별자와 타겟 빔의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핸드오버 방법.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완료를 통보하는 단계는, 상기 핸드오버 수행을 명령하는 메시지에 포함된 타겟 빔의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에 대응하는 상향링크 자원을 이용하여 핸드오버 완료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핸드오버 방법. - 삭제
- 기지국내에서 다수의 빔들이 제공되는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핸드오버 방법에서,
기지국이, 단말로부터 제1 조건을 만족하는 타겟 빔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측정 보고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조건의 만족에 따라 상기 기지국이, 상기 단말의 서빙 빔과 타겟 빔을 통한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지는 빔 간 협력 스케줄링을 승인하는 단계 - 상기 빔 간 협력 스케줄링에 의해 상기 타겟 빔과 상기 서빙 빔에 대하여 상기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자원이 빔간 동일 위치에 할당됨 -;
상기 기지국이,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빔 간 협력 스케줄링이 이루어지는 상기 타겟 빔이 제2 조건을 만족함을 나타내는 제2 측정 보고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조건의 만족에 따라 상기 단말로 상기 빔 간 협력 스케줄링이 이루어지는 상기 타겟 빔으로의 핸드오버 수행을 명령하는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핸드오버 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건은 상기 서빙 빔의 신호 세기가 타겟 빔의 신호 세기보다 제1 옵셋보다 큰 것을 나타내는, 핸드오버 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조건은 상기 타겟 빔의 신호 세기가 상기 서빙 빔의 신호 세기보다 제2 옵셋보다 큰 상태가 설정 시간 동안 유지되는 것을 나타내는, 핸드오버 방법. - 기지국내에서 다수의 빔들이 제공되는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핸드오버 방법에서,
기지국이, 단말로부터 제1 조건을 만족하는 타겟 빔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측정 보고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조건의 만족에 따라 상기 기지국이, 상기 단말의 서빙 빔과 타겟 빔을 통한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지는 빔 간 협력 스케줄링을 승인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이,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빔 간 협력 스케줄링이 이루어지는 상기 타겟 빔이 제2 조건을 만족함을 나타내는 제2 측정 보고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조건의 만족에 따라 상기 단말로 상기 빔 간 협력 스케줄링이 이루어지는 상기 타겟 빔으로의 핸드오버 수행을 명령하는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빔 간 협력 스케줄링을 승인하는 단계는,
타겟 빔의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와 서빙 빔의 RSRP의 차가 제1 옵셋 미만인 타겟빔들을 빔 간 협력 스케줄링을 위한 후보 빔으로 지정하는 단계;
상기 후보 빔들에 대하여, 각 빔들에 대해 전체 자원 량에서 평균 자원 사용률을 뺀 나머지 자원 량으로 해당 단말의 필요 자원 량을 수용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수용 가능한 경우, 해당 후보 빔을 빔 간 협력 스케줄링을 위한 타겟 빔으로 승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핸드오버 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승인된 타겟 빔과 상기 서빙 빔에 대하여, PDSCH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와 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에 대한 자원을 빔 간 동일 위치에 할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핸드오버 방법 - 기지국내에서 다수의 빔들이 제공되는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핸드오버 방법에서,
기지국이, 단말로부터 제1 조건을 만족하는 타겟 빔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측정 보고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조건의 만족에 따라 상기 기지국이, 상기 단말의 서빙 빔과 타겟 빔을 통한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지는 빔 간 협력 스케줄링을 승인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이,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빔 간 협력 스케줄링이 이루어지는 상기 타겟 빔이 제2 조건을 만족함을 나타내는 제2 측정 보고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조건의 만족에 따라 상기 단말로 상기 빔 간 협력 스케줄링이 이루어지는 상기 타겟 빔으로의 핸드오버 수행을 명령하는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핸드오버 수행을 명령하는 메시지는 타겟 빔의 식별자와 타겟 빔의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상향 링크 자원 할당 정보에 대응하는 상향 링크 자원을 통하여 상기 단말로부터 핸드오버 수행을 완료하였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핸드오버 방법. - 기지국내에서 다수의 빔들이 제공되는 네트워크 환경에서, 빔간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단말의 핸드오버 장치에서,
서빙 빔의 신호 세기와 타겟 빔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는 신호 세기 측정부;
상기 서빙 빔의 신호 세기와 타겟 빔의 신호 세기가 제1 조건 또는 제2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측정 보고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측정 보고 메시지 전송 결정부;
상기 제2 조건 만족에 따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핸드오버 수행을 명령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핸드오버 명령 수신부; 및
상기 핸드오버 수행을 명령하는 메시지에 포함된 타겟 빔 식별자에 대응하는 타겟 빔으로 빔 스위칭을 수행하는 핸드오버 수행부
를 포함하며,
상기 측정 보고 메시지 전송 결정부는 상기 제1 조건이 만족되어 제1 측정 보고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한 다음에, 상기 타겟 빔과 상기 서빙 빔을 통한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지는 빔 간 협력 스케줄링이 이루어지는 상태에서, 상기 제2 조건이 만족되면 제2 측정 보고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하며, 상기 빔 간 협력 스케줄링에 의해 상기 타겟 빔과 상기 서빙 빔에 대하여 상기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자원이 빔간 동일 위치에 할당되는, 핸드오버 장치. - 삭제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건은 상기 서빙 빔의 신호 세기가 상기 타겟 빔의 신호 세기보다 제1 옵셋보다 큰 것을 나타내고, 상기 제2 조건은 상기 타겟 빔의 신호 세기가 상기 서빙 빔의 신호 세기보다 제2 옵셋보다 큰 상태가 설정 시간 동안 유지되는 것을 나타내는, 핸드오버 장치.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수행을 명령하는 메시지에 포함된 타겟 빔의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에 대응하는 상향링크 자원을 이용하여 핸드오버 완료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핸드오버 통보부
를 더 포함하는, 핸드오버 장치.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통보부는 상기 핸드오버 수행부로부터 타겟 빔의 식별자가 전달되면, 상기 핸드오버 완료 메시지를 전송하는, 핸드오버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82113A KR102201599B1 (ko) | 2014-07-01 | 2014-07-01 | 핸드오버 방법 및 그 장치 |
US14/737,245 US9521605B2 (en) | 2014-07-01 | 2015-06-11 |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ov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82113A KR102201599B1 (ko) | 2014-07-01 | 2014-07-01 | 핸드오버 방법 및 그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04003A KR20160004003A (ko) | 2016-01-12 |
KR102201599B1 true KR102201599B1 (ko) | 2021-01-13 |
Family
ID=55018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82113A Active KR102201599B1 (ko) | 2014-07-01 | 2014-07-01 | 핸드오버 방법 및 그 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9521605B2 (ko) |
KR (1) | KR102201599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S2807800T3 (es) * | 2015-06-12 | 2021-02-24 | Ericsson Telefon Ab L M | Movilidad para sistemas de formación de haz |
US10230514B2 (en) | 2015-11-03 | 2019-03-12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 Method and apparatus for synchronized handover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US10700752B2 (en) * | 2016-01-14 | 2020-06-30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System, method, and apparatus of beam-tracking and beam feedback operation in a beam-forming based system |
KR20170085428A (ko) * | 2016-01-14 | 2017-07-24 | 삼성전자주식회사 | 빔포밍 기반 시스템에서 빔 추적 및 빔 피드백 동작을 수행하는 시스템, 방법, 및 장치 |
US10750483B2 (en) * | 2016-02-25 | 2020-08-18 | Apple Inc. | System and method for beam information and CSI report |
MY191242A (en) | 2016-03-03 | 2022-06-10 | Idac Holdings Inc | Methods and apparatus for beam control in beamformed systems |
CN108781397B (zh) * | 2016-04-14 | 2021-08-20 | 英特尔公司 | 用于在大规模多输入多输出(mimo)系统中执行切换的设备和方法 |
CN109076417A (zh) | 2016-04-20 | 2018-12-21 | 韩国电子通信研究院 | 切换方法 |
US10091759B2 (en) | 2016-05-20 | 2018-10-02 | National Taiwan University | Mobility management method in macro-assisted system and related apparatuses using the same |
EP3469728B1 (en) * | 2016-06-13 | 2020-03-04 |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 Assisted beamforming at mobility |
EP3476154A4 (en) * | 2016-06-23 | 2020-01-15 | Nokia Technologies Oy | BEAM CHANGE |
WO2018013596A1 (en) * | 2016-07-11 | 2018-01-18 | Intel IP Corporation | System and method for confirmation of beam switching |
US10638394B2 (en) * | 2016-09-07 | 2020-04-28 | Parallel Wireless, Inc. | Multi-stage handover |
US9843974B1 (en) * | 2016-10-13 | 2017-12-12 | Qualcomm Incorporated | Communication beam soft handover |
WO2018072833A1 (en) * | 2016-10-20 | 2018-04-26 |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 Method and apparatuses for attaching a radio base station to a core network node |
WO2018084968A1 (en) * | 2016-11-04 | 2018-05-11 | Intel IP Corporation | Measurement reporting in new radio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
KR102223550B1 (ko) | 2016-11-04 | 2021-03-08 | 텔레호낙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피유비엘) | 무선 핸드오버의 타겟 셀에 액세스하기 위한 빔 식별 |
WO2018114057A1 (en) | 2016-12-21 | 2018-06-28 |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 Link switch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US10805848B2 (en) * | 2016-12-30 | 2020-10-13 |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network device and terminal device |
PL3566488T3 (pl) * | 2017-01-05 | 2022-10-03 | Nokia Technologies Oy | Sposób, program komputerowy i aparat do wyboru wiązki do przełączenia |
US10951285B2 (en) * | 2017-01-06 | 2021-03-16 | Futurewei Technologies, Inc. | Hybrid mobility and radio resource management mechanisms |
WO2018156696A1 (en) | 2017-02-27 | 2018-08-30 | Intel IP Corporation | Exit conditions for conditional handovers and beam based mobility state estimation |
KR20180099387A (ko) | 2017-02-28 | 2018-09-05 | 주식회사 이노와이어리스 |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운용 방법 |
US10673652B2 (en) * | 2017-03-02 | 2020-06-02 | Futurewei Technologies, Inc.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explicit feedback in the uplink |
EP3619996A4 (en) | 2017-05-05 | 2020-11-18 | Motorola Mobility LLC | INDICATION OF A BEAM SWITCHING REQUEST |
MX2019012649A (es) * | 2017-05-05 | 2020-01-20 | Ericsson Telefon Ab L M | Nodo de red que indica haz para traspaso a un dispositivo inalambrico. |
CN108990076B (zh) * | 2017-05-31 | 2021-12-31 | 上海华为技术有限公司 | 一种波束调整的方法及基站 |
EP3642969B1 (en) * | 2017-06-20 | 2021-10-27 |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 Obscuration of the expected beam in a wireless communication |
US10567064B2 (en) * | 2017-09-08 | 2020-02-18 |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 Beam recovery for partial control channel failure |
EP3689083A4 (en) * | 2017-09-27 | 2021-05-05 | Nokia Technologies Oy | INTERCELLULAR TRANSFER PROCEDURES FOR WIRELESS NETWORKS USING HARNESS TRAINING |
CN116095703B (zh) | 2017-12-18 | 2024-07-09 | 上海朗帛通信技术有限公司 | 一种被用于无线通信的用户设备、基站中的方法和装置 |
KR101957786B1 (ko) | 2017-12-18 | 2019-03-14 | 주식회사 이노와이어리스 |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운용 방법 |
KR102039331B1 (ko) | 2017-12-18 | 2019-11-01 | 주식회사 이노와이어리스 | 모바일 엑스홀 네트워크의 운용 방법 |
WO2019170210A1 (en) * | 2018-03-05 | 2019-09-12 | Nokia Technologies Oy | Communication connection control procedure for supporting and conducting handover |
KR102052027B1 (ko) | 2018-04-04 | 2019-12-05 | 주식회사 이노와이어리스 | 모바일 엑스홀 네트워크의 운용 방법 |
KR102038850B1 (ko) | 2018-04-04 | 2019-10-31 | 주식회사 이노와이어리스 |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운용 방법 |
WO2020056642A1 (zh) | 2018-09-19 | 2020-03-26 |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 一种数据传输方法、设备及存储介质 |
KR102024313B1 (ko) | 2018-11-09 | 2019-09-24 | (주)모비안 | 모바일 엑스홀 네트워크의 운용 방법 |
US11516824B2 (en) * | 2019-02-28 | 2022-11-29 | Qualcomm Incorporated | Dynamic UE beam switching for mmWave measurements in asynchronous networks |
CN111867136B (zh) * | 2019-04-30 | 2022-08-26 |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 一种波束切换方法和设备 |
CN112929893A (zh) * | 2019-12-06 | 2021-06-08 |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 一种接收波束切换方法及装置 |
US11665600B2 (en) * | 2019-12-19 | 2023-05-30 | Qualcomm Incorporated | Neighbor cell layer 1 metrics for fast cell change |
US11638167B2 (en) * | 2020-01-29 | 2023-04-25 | Qualcomm Incorporated | Techniques for set based beam reporting |
WO2021237494A1 (en) * | 2020-05-27 | 2021-12-02 | Qualcomm Incorporated | Apparatus and techniques for beam switching |
US11706671B2 (en) | 2020-06-04 | 2023-07-18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ditional handover operation in communication system |
US11700049B2 (en) * | 2020-09-21 | 2023-07-11 | Qualcomm Incorporated | Techniques for beam switching in wireless communications |
CN112367673B (zh) * | 2020-10-30 | 2025-05-23 | 北京邮电大学 | 一种考虑反射波束的用户位置信息辅助毫米波接入和跟踪流程 |
US12356215B2 (en) | 2021-10-29 | 2025-07-08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 Method and apparatus for beam-based communication in communication system |
US12035191B2 (en) * | 2022-02-14 | 2024-07-09 |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 Apparatuse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services via connectionless technology |
CN115765827B (zh) * | 2022-09-28 | 2023-07-25 | 航天恒星科技有限公司 | 高通量卫星通信点波束无缝切换方法及系统 |
CN119136312A (zh) * | 2023-06-13 | 2024-12-13 |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 一种波束切换方法、装置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50070285A1 (en) * | 2003-09-29 | 2005-03-31 |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 Handover for use with adaptive antennas |
US7826848B2 (en) | 2007-10-31 | 2010-11-02 | Mitisubishi Electric Research Laboratories, Inc. | Cooperative communication in wireless cellular networks |
KR101571729B1 (ko) * | 2009-01-30 | 2015-11-2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CoMP 집합 단위 핸드오프 수행 방법 |
EP2482588B1 (en) * | 2011-01-28 | 2016-05-18 | Alcatel Lucent | Method for performing a handover of a mobile device |
KR20120122765A (ko) | 2011-04-29 | 2012-11-07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핸드오버 방법 및 장치와 지연 파라미터 결정 방법 |
KR101828837B1 (ko) | 2011-09-29 | 2018-03-30 | 삼성전자주식회사 | 빔 포밍을 이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짧은 핸드오버 지연을 위한 방법 및 장치 |
KR101944796B1 (ko) * | 2012-01-17 | 2019-04-17 | 삼성전자주식회사 | 빔포밍 기반 무선통신 시스템의 상향링크 빔 트래킹 방법 및 장치 |
KR101957783B1 (ko) * | 2012-09-12 | 2019-03-13 | 삼성전자주식회사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를 위한 장치 및 방법 |
KR20140056561A (ko) * | 2012-10-29 | 2014-05-12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다중 빔을 운영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기지국 및 단말의 동작 방법 |
-
2014
- 2014-07-01 KR KR1020140082113A patent/KR102201599B1/ko active Active
-
2015
- 2015-06-11 US US14/737,245 patent/US9521605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04003A (ko) | 2016-01-12 |
US9521605B2 (en) | 2016-12-13 |
US20160007261A1 (en) | 2016-01-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01599B1 (ko) | 핸드오버 방법 및 그 장치 | |
US12192746B2 (en) | Link switch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KR102125786B1 (ko) | 핸드오버 방법, 기지국 및 단말 기기 | |
US10972924B2 (en) | Beam-based multi-connection communicat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 |
CN109691177B (zh) | 用于将用户装备从服务基站切换到目标基站的方法和装置 | |
EP3345426B1 (en) | Mobility procedures between beams from different radio network nodes | |
US9497683B2 (en) | Handover method and apparatus | |
KR101750824B1 (ko) | 계층적 셀 구조를 가지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간섭 제어 장치 및 방법 | |
JP2023112178A (ja) | 基地局、通信装置及び方法 | |
US20220201561A1 (en) | First network node, second network node, wireless device and methods performed thereby for handling a link switch | |
KR101980093B1 (ko) | 차세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
JP5636132B1 (ja) | 基地局、無線端末、及び方法 | |
EP3345425B1 (en) | Radio network nodes and methods for enabling mobility between said nodes | |
KR20120070598A (ko) | 무선통신시스템, 저전력기지국, 고전력기지국, 무선단말, 및 무선통신방법 | |
HK1214433A1 (zh) | 用於雙重連接的緩衝狀態報告 | |
WO2016095637A1 (zh) | 基于盲区中实现高频通信的处理方法、装置和设备 | |
US12245081B2 (en) | Threshold-based reporting for efficient admission control support for wireless networks | |
US20130201968A1 (en) | Radio communication system, high-power base station, low-power base station,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 |
KR101149060B1 (ko) | 핸드오버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핸드오버 방법 | |
JPWO2016104577A1 (ja) | ネットワーク管理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通信制御方法、無線基地局、及びプログラム | |
KR20170072072A (ko) | 통신 시스템에서 빔 요소 반송파의 전송 우선순위 결정 방법 및 장치 | |
WO2024096052A1 (ja) | 通信制御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70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062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4070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8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120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1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1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1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