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0138B1 - 연속 혈당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연속 혈당 측정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00138B1 KR102200138B1 KR1020180089338A KR20180089338A KR102200138B1 KR 102200138 B1 KR102200138 B1 KR 102200138B1 KR 1020180089338 A KR1020180089338 A KR 1020180089338A KR 20180089338 A KR20180089338 A KR 20180089338A KR 102200138 B1 KR102200138 B1 KR 10220013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needle
- attachment unit
- plunger
- applicator
- senso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206—Construction or design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ing or production; packages; sterilisation of piercing element, piercing device or sampling devic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or pH-value ;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or cerebral tissue
- A61B5/14532—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or pH-value ;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or cerebral tissue for measuring glucose, e.g. by tissue impedance measuremen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for multiple sensor units attached to the patient, e.g. using a body or personal area network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or pH-value ;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or cerebral tissue
- A61B5/14503—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or pH-value ;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or cerebral tissue invasive, e.g. introduced into the body by a catheter or needle or using implanted senso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46—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brought in contact with an internal body part, i.e. invasiv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46—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brought in contact with an internal body part, i.e. invasive
- A61B5/684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brought in contact with an internal body part, i.e. invasive mounted on an invasive device
- A61B5/6848—Need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mat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 부착 유닛의 외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 혈당 측정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의 "B-B"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5는 도 1의 "A-A"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 캡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 캡과 함께 이형지 분리 제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 버튼의 결합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 버튼의 모드 변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 버튼의 가압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 버튼의 작동에 따른 슈팅 플레이트의 이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와 신체 부착 유닛의 분리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7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의 재사용 방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늘 인출 수단의 작동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1 내지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 혈당 측정 장치의 사용 상태를 동작 순서에 따라 단계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6 및 도 2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바늘 인출 수단의 작동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바늘 인출 탄성 스프링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9 및 도 30은 도 28에 도시된 바늘 인출 탄성 스프링을 이용한 바늘 인출 수단의 작동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신체에 부착된 신체 부착 유닛의 외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3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 부착 유닛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3은 도 31의 "C-C"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34는 도 31의 "D-D"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3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 작동 모듈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 작동 모듈의 세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3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부재의 세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3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부재의 가압 작동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부재와 전기 접점과의 배치 관계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0 내지 도 4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점 연결 모듈의 다양한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100: 메인 케이스
101: 외부 케이스 102: 이너 케이스
110: 가압 버튼 150: 슈팅 플레이트
200: 보호캡
300: 플런저 바디
400: 바늘 인출 바디
S1: 플런저 탄성 스프링 S2: 바늘 인출 탄성 스프링
510: 하우징
520: 센서 부재
521: 센서 프로브부 522: 센서 바디부
530: PCB 기판 531: 전기 접점
540: 무선 통신칩
550: 바늘부
560: 접착 테이프
570: 가압 작동 모듈
571: 이동 가압 바디 572: 버튼 커버
580: 양면 테이프
590: 접점 연결 모듈
Claims (5)
- 체액을 추출하여 주기적으로 혈당을 측정할 수 있도록 신체에 삽입 부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신체 부착 유닛; 및
상기 신체 부착 유닛이 내부에 결합 고정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신체 부착 유닛이 신체에 삽입 부착되도록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신체 부착 유닛을 외부 토출하도록 작동하는 어플리케이터
를 포함하고, 상기 신체 부착 유닛은, 상기 어플리케이터에 의해 외부 토출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장착되며 일단부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외부 돌출되어 상기 하우징의 외부 토출 이동에 따라 신체에 삽입되는 센서 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외부 토출 이동에 따라 상기 센서 부재와 함께 신체에 삽입되도록 상기 센서 부재의 일단부를 감싸며 상기 하우징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늘부를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터에는 상기 바늘부가 신체에 삽입된 후 상기 바늘부를 외부 토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켜 신체로부터 인출 제거하는 바늘 인출 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바늘 인출 수단은 인장 스프링 형태로 작용하는 바늘 인출 탄성 스프링의 압축 복원력에 의해 상기 바늘부를 이동시키도록 형성되고,
상기 바늘 인출 탄성 스프링은 상기 바늘부가 신체에 삽입되도록 이동함에 따라 일단이 상기 바늘부와 함께 이동하여 인장되고, 인장된 상태에서 발생하는 압축 복원력에 의해 상기 바늘부를 이동시키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혈당 측정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터는
일측에 사용자에 의해 가압 조작되도록 가압 버튼이 장착되는 메인 케이스;
상기 메인 케이스의 내부 제 1 위치에 결합 고정되고, 상기 가압 버튼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제 1 위치에서 결합 고정 해제되어 외부 토출 방향인 제 2 위치로 직선 이동하는 플런저 바디; 및
상기 플런저 바디가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제 2 위치로 직선 이동하도록 상기 플런저 바디에 탄성력을 가하는 플런저 탄성 스프링
을 포함하고, 상기 신체 부착 유닛이 상기 플런저 바디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플런저 바디와 함께 일체로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혈당 측정 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 인출 수단은
상기 플런저 바디에 맞물림 결합되어 상기 플런저 바디와 함께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제 2 위치로 직선 이동하며, 하단부는 상기 바늘부의 상단부와 결합되는 바늘 인출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바늘 인출 탄성 스프링은 양단이 상기 메인 케이스와 상기 바늘 인출 바디에 결합되어 상기 바늘 인출 바디가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압축 복원력에 의해 상기 바늘 인출 바디에 상기 제 1 위치를 향한 탄성력을 가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바늘 인출 바디는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플런저 바디와 맞물림 해제되어 상기 바늘 인출 탄성 스프링의 압축 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 1 위치를 향해 이동하며, 상기 바늘부는 상기 바늘 인출 바디와 함께 이동하여 신체로부터 인출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혈당 측정 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케이스는
일측에 상기 가압 버튼이 장착되는 외부 케이스와, 상기 외부 케이스의 내부에 결합되어 상기 플런저 바디의 직선 이동 경로를 가이드하도록 형성되는 이너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바늘 인출 탄성 스프링의 상단은 상기 외부 케이스의 상측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혈당 측정 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 인출 바디에는 상기 플런저 바디에 맞물림되도록 탄성 편향되는 탄성 후크가 형성되고,
상기 이너 케이스에는 상기 바늘 인출 바디가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탄성 후크가 상기 플런저 바디로부터 맞물림 해제되도록 상기 탄성 후크를 가압하는 바늘 인출 가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혈당 측정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89338A KR102200138B1 (ko) | 2018-07-31 | 2018-07-31 | 연속 혈당 측정 장치 |
US17/261,030 US20210307659A1 (en) | 2018-07-31 | 2019-06-07 | Continuous blood glucose measurement apparatus |
AU2019314020A AU2019314020B2 (en) | 2018-07-31 | 2019-06-07 |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device |
EP19843446.6A EP3831294A4 (en) | 2018-07-31 | 2019-06-07 |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SYSTEM |
JP2021503122A JP7098815B2 (ja) | 2018-07-31 | 2019-06-07 | 連続血糖測定装置 |
PCT/KR2019/006841 WO2020027424A1 (ko) | 2018-07-31 | 2019-06-07 | 연속 혈당 측정 장치 |
NZ772741A NZ772741B2 (en) | 2019-06-07 | Continuous glucose measurement apparatus | |
AU2022231709A AU2022231709B2 (en) | 2018-07-31 | 2022-09-14 |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device |
AU2025203521A AU2025203521A1 (en) | 2018-07-31 | 2025-05-15 |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89338A KR102200138B1 (ko) | 2018-07-31 | 2018-07-31 | 연속 혈당 측정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14001A KR20200014001A (ko) | 2020-02-10 |
KR102200138B1 true KR102200138B1 (ko) | 2021-01-11 |
Family
ID=69231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89338A Active KR102200138B1 (ko) | 2018-07-31 | 2018-07-31 | 연속 혈당 측정 장치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20210307659A1 (ko) |
EP (1) | EP3831294A4 (ko) |
JP (1) | JP7098815B2 (ko) |
KR (1) | KR102200138B1 (ko) |
AU (3) | AU2019314020B2 (ko) |
WO (1) | WO2020027424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4017357A4 (en) * | 2019-08-19 | 2023-04-19 | Medtrum Technologies Inc. | DETECTION DEVICE |
EP4106627A4 (en) * | 2020-02-20 | 2024-05-01 | Medtrum Technologies Inc. | HIGHLY INTEGRATED ANALYTE DETECTION DEVICE |
KR102331553B1 (ko) * | 2020-03-03 | 2021-11-29 | 주식회사 아이센스 | 연속 혈당 측정 장치 |
KR102557857B1 (ko) * | 2021-03-04 | 2023-07-24 | 주식회사 아이센스 | 연속 혈당 측정장치용 어플리케이터 |
EP4344629A4 (en) * | 2021-06-29 | 2025-05-21 | i-Sens, Inc. | Applicator for transcutaneous sensor and applicator assembly |
CN117545422A (zh) * | 2021-06-29 | 2024-02-09 | 株式会社I-Sens | 经皮传感器用敷贴器及敷贴器组件 |
US20240306947A1 (en) * | 2021-06-29 | 2024-09-19 | I-Sens, Inc. | Applicator for transcutaneous sensor, and applicator assembly |
KR102597679B1 (ko) * | 2021-08-05 | 2023-11-03 | 주식회사 아이센스 | 경피성 센서용 어플리케이터 및 어플리케이터 조립체 |
KR102566020B1 (ko) * | 2021-08-05 | 2023-08-16 | 주식회사 아이센스 | 경피성 센서용 어플리케이터 및 어플리케이터 조립체 |
KR102565316B1 (ko) * | 2021-08-05 | 2023-08-10 | 주식회사 아이센스 | 경피성 센서용 어플리케이터 및 어플리케이터 조립체 |
KR20230108828A (ko) * | 2022-01-12 | 2023-07-19 | 주식회사 아이센스 | 메디컬 디바이스용 어플리케이터 및 어플리케이터 조립체 |
KR20230108829A (ko) * | 2022-01-12 | 2023-07-19 | 주식회사 아이센스 | 메디컬 디바이스용 어플리케이터 및 어플리케이터 조립체 |
KR102773648B1 (ko) * | 2022-04-12 | 2025-02-27 | 주식회사 아이센스 | 어플리케이터 및 어플리케이터 조립체 |
CN114767104A (zh) * | 2022-06-21 | 2022-07-22 | 苏州百孝医疗科技有限公司 | 一种固定释放机构及体表单元植入装置 |
KR20240107624A (ko) * | 2022-12-30 | 2024-07-09 | 주식회사 아이센스 | 혈당 측정기용 센서 어플리케이터 조립체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6128031A (ja) * | 2010-03-24 | 2016-07-14 | アボット ダイアベティス ケア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Abbott Diabetes Care Inc. | 挿入器を検体モニタ装置に係合するシステムおよび挿入器を検体モニタ装置に係合する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673842A (en) * | 1996-03-05 | 1997-10-07 | Ethicon Endo-Surgery | Surgical stapler with locking mechanism |
JP3604816B2 (ja) * | 1996-07-01 | 2004-12-22 | 大日本印刷株式会社 | 体液分析装置 |
US8123764B2 (en) * | 2004-09-20 | 2012-02-28 | Endoevolution, Llc | Apparatus and method for minimally invasive suturing |
WO2006110571A2 (en) | 2005-04-07 | 2006-10-19 |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 Push activation lancet device |
US20100198034A1 (en) | 2009-02-03 | 2010-08-05 | Abbott Diabetes Care Inc. | Compact On-Body Physiological Monitoring Devices and Methods Thereof |
WO2011001916A1 (ja) * | 2009-06-30 | 2011-01-06 | アークレイ株式会社 | 連続分析装置および試料成分制御システム |
KR101145668B1 (ko) | 2010-11-22 | 2012-05-24 | 전자부품연구원 | 연속 혈당 측정 시스템 |
JP5952411B2 (ja) * | 2012-09-24 | 2016-07-13 | テルモ株式会社 | センサ挿入装置 |
DE102013224431B4 (de) * | 2013-11-28 | 2015-06-18 | 4A Engineering Gmbh | Setzhilfe zum Setzen eines Katheters für Diabetiker |
US10194843B2 (en) * | 2014-09-03 | 2019-02-05 | Nova Biomedical Corporation | Subcutaneous sensor inserter and method |
JP6618486B2 (ja) * | 2015-01-27 | 2019-12-11 | テルモ株式会社 | センサ挿入装置及びセンサ挿入装置セット |
KR20170038351A (ko) * | 2015-09-30 | 2017-04-07 | 최규동 | 유연 탐침 센서를 구비하는 연속혈당감시시스템 |
CN108024716B (zh) * | 2015-10-21 | 2022-04-29 | 德克斯康公司 | 经皮分析物传感器、其施加器以及相关联方法 |
US10765369B2 (en) | 2016-04-08 | 2020-09-08 | Medtronic Minimed, Inc. | Analyte sensor |
KR101773583B1 (ko) | 2016-06-03 | 2017-09-01 | 주식회사 아이센스 | 연속 혈당 측정기용 어플리케이터 |
WO2018222009A1 (ko) | 2017-06-02 | 2018-12-06 | 주식회사 아이센스 | 연속 혈당 측정기용 센서 어플리케이터 조립체 |
-
2018
- 2018-07-31 KR KR1020180089338A patent/KR102200138B1/ko active Active
-
2019
- 2019-06-07 AU AU2019314020A patent/AU2019314020B2/en active Active
- 2019-06-07 EP EP19843446.6A patent/EP3831294A4/en active Pending
- 2019-06-07 WO PCT/KR2019/006841 patent/WO2020027424A1/ko unknown
- 2019-06-07 US US17/261,030 patent/US20210307659A1/en active Pending
- 2019-06-07 JP JP2021503122A patent/JP7098815B2/ja active Active
-
2022
- 2022-09-14 AU AU2022231709A patent/AU2022231709B2/en active Active
-
2025
- 2025-05-15 AU AU2025203521A patent/AU2025203521A1/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6128031A (ja) * | 2010-03-24 | 2016-07-14 | アボット ダイアベティス ケア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Abbott Diabetes Care Inc. | 挿入器を検体モニタ装置に係合するシステムおよび挿入器を検体モニタ装置に係合する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3831294A4 (en) | 2021-09-01 |
AU2022231709A1 (en) | 2022-10-06 |
US20210307659A1 (en) | 2021-10-07 |
EP3831294A1 (en) | 2021-06-09 |
AU2019314020B2 (en) | 2022-06-23 |
AU2025203521A1 (en) | 2025-06-05 |
AU2019314020A1 (en) | 2021-03-04 |
KR20200014001A (ko) | 2020-02-10 |
NZ772741A (en) | 2023-09-29 |
WO2020027424A1 (ko) | 2020-02-06 |
JP7098815B2 (ja) | 2022-07-11 |
JP2021531870A (ja) | 2021-11-25 |
AU2022231709B2 (en) | 2025-02-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00138B1 (ko) | 연속 혈당 측정 장치 | |
KR102237092B1 (ko) | 연속 혈당 측정 장치용 어플리케이터 | |
KR102222045B1 (ko) | 연속 혈당 측정 장치 | |
KR102222049B1 (ko) | 연속 혈당 측정 장치용 어플리케이터 | |
KR102200136B1 (ko) | 연속 혈당 측정 장치 | |
KR102200137B1 (ko) | 연속 혈당 측정용 신체 부착 유닛 | |
KR102197578B1 (ko) | 연속 혈당 측정용 신체 부착 유닛 | |
KR102185833B1 (ko) | 연속 혈당 측정 장치 | |
KR102200142B1 (ko) | 연속 혈당 측정용 신체 부착 유닛 | |
KR102222044B1 (ko) | 연속 혈당 측정용 신체 부착 유닛 | |
KR102197577B1 (ko) | 연속 혈당 측정 장치 | |
KR102185137B1 (ko) | 연속 혈당 측정용 신체 부착 유닛 | |
KR102200141B1 (ko) | 연속 혈당 측정용 신체 부착 유닛 | |
KR102200140B1 (ko) | 연속 혈당 측정용 신체 부착 유닛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731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092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8073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5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12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1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1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2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