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199563B1 -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스트랩 - Google Patents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스트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9563B1
KR102199563B1 KR1020200007618A KR20200007618A KR102199563B1 KR 102199563 B1 KR102199563 B1 KR 102199563B1 KR 1020200007618 A KR1020200007618 A KR 1020200007618A KR 20200007618 A KR20200007618 A KR 20200007618A KR 102199563 B1 KR102199563 B1 KR 1021995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rminal
protective case
strap
body portion
mount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7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국
Original Assignee
이상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국 filed Critical 이상국
Priority to KR10202000076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95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9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956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스트랩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단말기(200)의 보호케이스(300)에 장착되어, 보호케이스(300)의 후면에 사용자의 손을 넣을 수 있도록 공간을 형성하여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한 휴대단말기(200)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으면서, 필요에 따라 바닥면에 일정각도로 거치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스트랩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일단이 보호케이스(300)에 형성된 제1공(310) 및 제2공(320)에 순차적으로 삽입된 후 제1공(310)에 추가로 삽입되어 일단의 일부가 상기 보호케이스(300)의 내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보호케이스(300)를 둘러 배치되는 몸체부(10); 및 상기 보호케이스(300)와 함께 휴대단말기(200)를 바닥면에 특정 각도로 거치시키기 위하여 상기 보호케이스(200)의 외부로 노출된 몸체부(10)에 대해 슬라이딩 및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거치부재(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스트랩{STRAP FOR MOBILE TERMINAL WITH MOUNTING FUNCTION}
본 발명은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스트랩에 관한 것으로, 휴대단말기의 보호케이스를 두르며 장착되어 사용자의 손을 끼울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여 휴대단말기를 안정적으로 파지하여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한 휴대단말기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으면서, 필요에 따라 바닥면에 일정 각도로 거치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용 스트랩에 관한 것이다.
휴대단말기는 일반적으로 스마트폰, 테블렛 등의 무선 네트워킹이 가능한 휴대 전자기기를 의미한다. 이러한 휴대단말기는 무선 네트워킹을 통해 이동하면서 인터넷 검색, 동영상 시청 등 다양한 활용이 가능하여 장소에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므로 최근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휴대단말기의 화면은 주로 글라스 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해 휴대단말기를 놓쳐 떨어뜨릴 경우 액정이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 휴대단말기의 떨어뜨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손가락을 끼울 수 있는 스트랩이 구비된 보호케이스가 출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스트랩은 보호케이스의 내측면에 접착테이프를 통해 부착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보호케이스 교체 시마다 새로운 스트랩을 부착해야 하고, 휴대단말기를 대상물의 바닥면에 거치할 수 없어 별도의 거치수단이 필요하여 번거로운 한계가 있다.
아울러, 동영상 시청 시 휴대단말기를 오랜 시간 들고 있어야 하므로 손목의 통증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휴대단말기를 책상, 선반 등의 바닥면에 거치하여 동영상을 시청할 수 있도록 거치 기능을 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 또는 휴대단말기용 케이스에 장착되는 핑거링, 그립톡 등이 출시되었다.
그러나 핑거링과 그립톡 등의 거치수단은 단말기의 후면에 돌출되도록 장착되기 때문에 무선 충전이 이루어지지 않는 한계가 있다.
아울러, 종래의 링과 그립톡 은 강력 접착테이프를 사용하여 휴대단말기용 케이스에 부착되므로, 다른 디자인의 거치수단으로 변경을 원할 시 쉽게 제거할 수 없고 제거된 거치수단을 재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다른 기종의 휴대단말기 또는 케이스로 변경할 경우 새로운 거치수단을 구매해야 하는 한계가 있다.
또한, 휴대단말기의 액정은, 통화 시 얼굴에 접촉되기 때문에 유분, 화장품 등으로 인하여 얼룩이 쉽게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65766호(2017.08.0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 충전이 가능하도록 보호케이스의 후면이 돌출되지 않도록 하고 휴대단말기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으면서 휴대단말기를 바닥면에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거치 기능을 동시에 가져 활용성이 우수한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스트랩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호케이스에 고정하기 위해 접착물질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새로운 케이스에도 활용할 수 있고 휴대단말기의 기종에 한정되지 않는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스트랩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한 본 발명은, 일측에는 제1공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제2공이 형성된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에 장착되는 스트랩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제1공 및 제2공에 순차적으로 삽입된 후 상기 보호케이스의 내측면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1공에 추가로 삽입되며 상기 보호케이스를 둘러 배치되는 몸체부; 및 상기 보호케이스와 함께 휴대단말기를 바닥면에 특정 각도로 거치시키기 위하여 상기 보호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된 몸체부에 대해 슬라이딩 및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거치부재;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의 타단에 결합되고 탄성을 갖는 연결끈과, 상기 연결끈의 타단에 장착되는 악세사리 부재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의 일단이 순차적으로 삽입되는 제1삽입구 및 제2삽입구를 포함하여 상기 몸체부를 따라서 슬라이딩 이동되고, 상면에 상기 거치부재가 탈착되는 이동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동부재에는 돌기가 더 구비되고, 상기 거치부재에는 상기 돌기가 삽입될 수 있는 결합홈을 포함하는 고정부재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거치부재는, 상기 몸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에 결합되고 바닥면에 안착되어 휴대단말기를 지지할 수 있는 한 쌍의 다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한 쌍의 다리부는, 상기 휴대단말기가 바닥면에 거치되는 각도를 조절하도록 휘어질 수 있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는 타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두꺼운 두께로 이루어지진 돌출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보호케이스의 내측면에 배치된 상기 몸체부에 장착되고 상기 돌출부에 걸리면서 상기 몸체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고정클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스트랩에 의하면, 손을 끼워 휴대단말기를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어 휴대단말기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으면서 바닥에 휴대단말기를 일정 각도로 지지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거치대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어 사용 편의성과 이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스트랩이 보호케이스를 감싸며 일단이 보호케이스의 내측면에 배치되고 휴대단말기와 보호케이스의 결합에 의해 고정됨을 통해,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아 보호케이스에 고정하거나 분리하는 것이 용이할 뿐 아니라 휴대단말기 및 보호케이스에 대한 기종에 제한이 없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회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거치부재를 통해, 거치 기능이 필요하지 않을 경우에는 거치부재의 구성들이 몸체부의 길이와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하여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으면서, 거치가 필요한 경우에는 거치부재를 회전시켜 수직으로 돌출되도록 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용이한 강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거치부재는 몸체부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배치가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고, 거치부재의 일부가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져 거치 각도 조절이 용이하고 휴대단말기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하면, 어느 한쪽 끝단에 신축 가능한 연결끈과 함께 액정클리너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으므로, 필요 시에는 연결끈을 늘려서 사용할 수 있어 오염된 액정을 편리하게 닦아 휴대단말기를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스트랩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몸체부와 거치부재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스트랩이 휴대단말기 및 보호케이스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스트랩의 사용을 도시한 사용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거치부재의 작동을 도시한 작동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거치부재의 사용을 도시한 사용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악세사리 부재의 사용을 도시한 사용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스트랩을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스트랩이 보호케이스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스트랩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스트랩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몸체부와 거치부재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스트랩이 휴대단말기 및 보호케이스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스트랩의 사용을 도시한 사용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거치부재의 작동을 도시한 작동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거치부재의 사용을 도시한 사용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악세사리 부재의 사용을 도시한 사용도이다.
도 1 내지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거치 기능을 갖는 스트랩은 휴대단말기(200)용 보호케이스(300)에 장착되고 보호케이스(300)의 후면에 사용자의 손을 넣을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여 휴대단말기(200)를 안정적으로 파지함으로써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한 휴대단말기(200) 낙하를 방지할 수 있으면서, 필요에 따라 휴대단말기(200)를 바닥면에 일정각도로 거치할 수 있는 기능이 있는 스트랩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 휴대단말기 케이스에 장착되는 거치 기능을 갖는 스트랩은 기본적으로 몸체부(10)와, 거치부재(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스트랩이 장착되는 상기 보호케이스(300)의 일측에는 휴대단말기(200)에 구비된 마이크 또는 충전부가 노출되도록 제1공(310)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휴대단말기(200)에 구비된 카메라 등의 구성이 노출되도록 제2공(320)이 형성된다.
아울러,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스트랩이 장착되는 휴대단말기(200)는 스마트폰, 테블렛 등 휴대용 전자기기를 의미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몸체부(10)는 일단이 상기 제1공(310) 및 제2공(320)에 순차적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공(310)에 추가로 삽입되어 상기 보호케이스(300)를 둘러 배치된다.
이때, 상기 몸체부(10)의 일단은 상기 보호케이스(300)의 내측면에 배치되고, 보호케이스(300)를 둘러 배치된 상기 몸체부(10)는 보호케이스(300)가 휴대단말기(200)에 장착됨에 따라 고정되도록 이루어진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몸체부(10)는 상기 보호케이스(300)의 내측면에 접착제, 접착테이프 등을 통해 부착되는 구성이 아니라 상기 보호케이스(300)를 감싸도록 이루어져 상기 보호케이스(300)와 휴대단말기(200)의 결합력에 의해 고정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보호케이스(300)의 후면과 스트랩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사용자의 손가락을 넣어 휴대단말기(200)를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어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한 휴대단말기(200)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보호케이스(300)와 휴대단말기(200)의 결합에 의해 상기 몸체부(10)가 고정 구조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스트랩은 상기 보호케이스(300)에 간편하게 장착하거나 분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스트랩은 휴대단말기(200)의 기종에 대해 제약이 없을 뿐 아니라 보호케이스(300)를 교체할 경우에도 상기 보호케이스(300)로부터 몸체부(10)를 분리하여 다시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상기 거치부재(20)는, 상기 보호케이스(300)와 함께 휴대단말기(200)를 바닥면에 특정 각도로 거치시키기 위하여 상기 보호케이스(300)의 외부로 노출된 몸체부(10)에 대해 슬라이딩 및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스트랩은, 상기 몸체부(10)를 따라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상기 몸체부(10)의 일단이 순차적으로 삽입되는 제1삽입구(51) 및 제2삽입구(52)를 포함하고, 상면에 상기 거치부재(20)가 탈착되는 이동부재(5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이동부재(50)는 버클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1삽입구(51)와 제2삽입구(52)는 서로 이격되어 이루어진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이동부재(50)는 상기 몸체부(10)가 상기 보호케이스(300)의 제1공(310) 및 제2공(320)에 장착된 상태에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몸체부(10)는 상기 제1삽입구(51)에 삽입된 다음 상기 제2삽입구(52)에 통과되며 나오며 상기 이동부재(50)와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이동부재(50)가 상기 몸체부(10)로부터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이동부재(50)의 상면에는 원형의 돌기(53)가 구비되고, 상기 거치부재(20)의 하측면에는 상기 돌기(53)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원형의 돌기(53)와 대응되는 결합홈(61)이 형성된 고정부재(60)가 장착된다. (도 2 참조)
여기서 상기 이동부재(50)의 돌기(53)와, 상기 고정부재(60)의 결합홈(61)은 원형으로 이루어지므로 상기 이동부재(50)와 상기 고정부재(60)는 서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상기 이동부재(50)와 고정부재(60)의 결합구조를 통해, 상기 거치부재(20)는 상기 몸체부(10)로부터 회전 가능하면서 슬라이딩 이동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몸체부(10)로부터 탈착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거치부재(20)는 상기 이동부재(50)와 결합되어 상기 몸체부(10)로부터 일측 및 타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이루어지므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상기 거치부재(20)의 위치를 자유롭게 배치할 수 있다.
이러한 거치부재(20)의 슬라이딩 이동을 통하여, 상기 휴대단말기(200)는 바닥면에 대해 가로방향 뿐 아니라 세로방향으로 거치될 수도 있고, 이때 무게중심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아울러, 상기 휴대단말기(200)의 무선 충전 시에는 상기 거치부재(20)를 어느 한쪽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상기 휴대단말기(200)가 무선 충전기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거치부재(20)는 상기 몸체부(10)와 결합된 이동부재(50)와 결합되어 상기 몸체부(10)로부터 회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기 때문에, 거치 기능을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 거치부재(20)가 상기 몸체부(10)로부터 수직으로 돌출되도록 회전시켜 바닥면에서 휴대단말기(200)를 일정각도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여 활용성이 우수한 특징이 있다.
그리고 거치 기능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거치부재(20)가 상기 몸체부(10)의 길이와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회전시켜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보관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이러한 상기 거치부재(20)는, 상기 몸체부(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머리부(21)와, 상기 머리부(21)에 결합되고 바닥면에 안착되어 휴대단말기(200)를 지지할 수 있는 한 쌍의 다리부(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다리부(22)는, 상기 휴대단말기(200)가 바닥면에 거치되는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휘어질 수 있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다리부(22)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한 쌍이 다리부(22) 사이의 간격을 손쉽게 조절할 수 있고 휘어지도록 변형할 수 있으므로 바닥면에 대해 안착되어 거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면서 휴대단말기(2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10)의 타단에는 악세사리 부재(30)가 더 장착될 수 있고, 상기 악세사리 부재(30)는 디자인에 포인트를 줄 수 있으며 보호케이스(300)의 타단에 배치되어 상기 보호케이스(300)의 외측에 노출되어 심미감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악세사리 부재(30)는 상기 몸체부(10)의 일부가 보호케이스(300)의 내측면에 배치되어 보호케이스(300)와 휴대단말기(200)의 결합에 의해 자연스럽게 위치가 고정되면서, 상기 제1공(310)보다 큰 부피로 이루어져 상기 악세사리 부재(30)가 상기 제1공(310)에 걸려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상기 몸체부(10)의 타단은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10)의 타측에는 탄성을 갖는 연결끈(40)이 더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연결끈(40)은 일부가 상기 보호케이스(300)의 내측면에 배치되어 외부로 노출됨을 최소화할 수 있으면서, 필요 시에는 늘어나면서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몸체부(10)와 상기 악세사리 부재(30)사이에 탄성을 갖는 연결끈(40)이 장착됨으로써, 필요에 따라 상기 악세리 부재(30)의 길이를 늘려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휴대단말기(200)의 액정은, 사용자가 통화를 위해 얼굴을 접촉하여 화장품이 오염될 수 있고 사용자의 터치로 인해 지문 자국 등의 얼룩이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상기 악세사리 부재(30)는 상기 휴대단말기(200)의 액정을 닦을 수 있도록 어느 한쪽 면이 극세사로 이루어진 액정 클리너로 적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액정클리너인 악세사리 부재(30)는 신축 가능한 상기 연결끈(40)을 통해 상기 몸체부(10)에 연결되므로, 휴대단말기(200)의 액정을 닦을 때에는 상기 연결끈(40)을 늘려 휴대단말기(200) 액정의 일측부터 타측까지 모두 닦을 수 있으면서, 평상시에는 상기 연결끈(40)의 길이가 수축되어 보관이 편리한 강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 연결끈(40)에는 연결클립(70)이 더 장착될 수 있고, 상기 연결클립(70)은 상기 연결끈(40)의 외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몸체부(10)의 일단은, 상기 제1공(310)과 제2공(320)에 삽입된 후 상기 연결클립(70)을 통과한 뒤 상기 제1공(310)에 다시 삽입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연결클립(70)에는, 상기 제1공(310)과 제2공(320)을 순차적으로 통과한 상기 몸체부(10)의 일단이 삽입되어 외관을 깔끔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상기 연결클립(70)은 연결끈(40)이 늘어났다 줄어드는 과정에서 복원되는 힘에 의해 상기 악세사리 부재(30)가 상기 제1공(310)에 말려 들어가는 현상을 방지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스트랩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단말기(200)의 보호케이스(300)의 후면과 상기 보호케이스(300)의 외부로 노출된 상기 몸체부(10) 사이의 공간에 사용자의 손을 넣어 휴대단말기(2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사용할 수 있으면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부재(20)를 이용하여 바닥면에 휴대단말기(200)를 일정각도로 거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는 상기 거치부재(20)와 악세사리 부재(30)의 작동 및 사용에 대해 도면과 더불어 설명하도록 한다.
도 5은 거치부재(20)의 슬라이딩 이동 및 회전 작동에 대해 도시한 도면이다.
거치 기능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치부재(20)의 머리부(21) 및 다리부(21)는 상기 몸체부(10)의 길이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부피를 최소화하여 휴대단말기(200)의 사용 및 이동을 편리하도록 한다.
그리고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치부재(20)는 상기 몸체부(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 및 타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거치 기능을 사용할 경우에는,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치부재(20)는 바닥면에 휴대단말기(200)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10)로부터 수직으로 돌출되도록 회전할 수 있다.
도 6은 거치부재(20)의 다리부(22)를 변형하는 작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치부재(20)는 거치 기능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다리부(22)가 상기 몸체부(10)의 길이와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거치 기능을 사용할 경우에는,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다리부(22) 사이를 벌리도록 변형할 수 있으며,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리부(22)를 휘어지도록 구부려 거치되는 각도를 조절하거나 무게중심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악세사리 부재(30)가 액정 클리너로 적용되는 사용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악세사리 부재(30)는 액정을 닦지 않는 경우에 연결끈(40)이 보호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휴대단말기(200)의 이동과 사용을 편리하도록 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오염된 액정을 닦기 위해서는,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끈(40)을 늘려 휴대단말기(200)의 액정을 일측부터 타측까지 골고루 닦을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스트랩은 거치부재(20)와 액정 클리너인 악세사리 부재(30)가 구비되므로 거치와 액정 세척을 위한 별도의 구성을 챙겨 이동하지 않아도 되므로 휴대성이 향상되며, 상기 거치부재(20)는 몸체부(1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므로 거치 기능을 사용할 경우에만 수직으로 돌출되도록 변경할 수 있어 보관이 용이하고 다리부가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져 거치각도 조절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실시예 2]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스트랩에 대한 실시예 2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대응되는 구성으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스트랩을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스트랩이 보호케이스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스트랩은, 상기 몸체부(10)가 상기 보호케이스(300)를 두르며 휴대단말기(200)가 보호케이스(300)에 장착되는 결합력에 의해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휴대단말기(200)의 하중에도 분리되지 않도록 이루어지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 2에서는 상기 몸체부(10)가 상기 보호케이스(300)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스트랩을 제시한다.
도 9 내지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10)의 일단에 고정클립(80)이 더 장착되어 상기 몸체부(10)의 일단이 상기 보호케이스(300)의 내측면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몸체부(10)의 이동이 제한되어 상기 보호케이스(300)에 장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 2에서는, 상기 몸체부(10)의 일단에는 타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두꺼운 두께로 이루어지진 돌출부(11)가 더 구비되고, 상기 몸체부(10)에 장착되는 고정클립(8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클립(80)은, 상기 보호케이스(300)의 내측면에 배치된 상기 몸체부(10)에 장착되고 상기 돌출부(11)에 걸리면서 고정되어 상기 몸체부(1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클립(80)은, 상기 몸체부(10)가 상기 보호케이스(300)를 둘러 상기 몸체부(10)의 일단이 상기 보호케이스(300)의 내측면에 위치한 상태에서 장착될 수도 있고, 상기 몸체부(1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보호케이스(300)의 제1공(310) 및 제2공(320)을 순차적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고정클립(80)은 상기 보호케이스(300)의 제1공(310)보다 큰 폭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상기 고정클립(80)의 상기 제1공(310)에 걸리도록 이루어져 상기 몸체부(10)의 일단이 상기 제1공(310)으로 빠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11)은 상기 몸체부(10) 중에서 상대적으로 두꺼운 두께로 이루어지므로 상기 고정클립(80)은 상기 돌출부(11)에 걸리면서 타측으로 이동하는 것이 제한되어 상기 고정클립(80)이 상기 몸체부(10)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돌출부(11)와 상기 고정클립(80)는, 상기 보호케이스(300)가 상기 휴대단말기(200)에 결합되는 것에 영향을 주지 않는 얇은 두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 2에서는, 상기 몸체부(10)가 상기 보호케이스(300)에 더욱 견고하게 결합되어 상기 보호케이스(300)의 외측면에 노출된 몸체부(10)를 강하게 잡아당기더라도 상기 제1공(310)으로 빠져나오지 않도록 하여 상기 몸체부(10)가 임의로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 : 몸체부 11 : 돌출부
20 : 거치부재 21 : 머리부
22 : 다리부 30 : 악세사리 부재
40 : 연결끈 50 : 이동부재
51 : 제1삽입구 52 : 제2삽입구
53 : 돌기 60 : 고정부재
61 : 결합홈 70 : 연결클립
80 : 고정클립 200 : 휴대단말기
300 : 보호케이스 310 : 제1공
320 : 제2공

Claims (7)

  1. 일측에는 제1공(310)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제2공(320)이 형성된 휴대단말기(200)용 보호케이스(300)에 장착되는 스트랩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제1공(310) 및 제2공(320)에 순차적으로 삽입된 후 상기 보호케이스(300)의 내측면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1공(310)에 추가로 삽입되며 상기 보호케이스(300)를 둘러 배치되는 몸체부(10); 및
    상기 보호케이스(300)와 함께 휴대단말기(200)를 바닥면에 특정 각도로 거치시키기 위하여 상기 보호케이스(300)의 외부로 노출된 몸체부(10)에 대해 슬라이딩 및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거치부재(20);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10)의 일단이 순차적으로 삽입되는 제1삽입구(51) 및 제2삽입구(52)를 포함하여 상기 몸체부(10)를 따라서 슬라이딩 이동되고, 상면에 상기 거치부재(20)가 탈착되는 이동부재(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스트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의 타단에 결합되고 탄성을 갖는 연결끈(40)과,
    상기 연결끈(40)의 타단에 장착되는 악세사리 부재(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스트랩.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50)에는 돌기(53)가 더 구비되고,
    상기 거치부재(20)에는 상기 돌기(53)가 삽입될 수 있는 결합홈(61)을 포함하는 고정부재(60)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스트랩.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재(20)는,
    상기 몸체부(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머리부(21)와, 상기 머리부(21)에 결합되고 바닥면에 안착되어 휴대단말기(200)를 지지할 수 있는 한 쌍의 다리부(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스트랩.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다리부(22)는, 상기 휴대단말기(200)가 바닥면에 거치되는 각도를 조절하도록 휘어질 수 있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스트랩.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의 일단에는 타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두꺼운 두께로 이루어진 돌출부(11)가 더 구비되고,
    상기 보호케이스(300)의 내측면에 배치된 상기 몸체부(10)에 장착되고 상기 돌출부(11)에 걸리면서 상기 몸체부(10)의 이동을 제한하는 고정클립(8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스트랩.
KR1020200007618A 2020-01-20 2020-01-20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스트랩 Active KR1021995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7618A KR102199563B1 (ko) 2020-01-20 2020-01-20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스트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7618A KR102199563B1 (ko) 2020-01-20 2020-01-20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스트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9563B1 true KR102199563B1 (ko) 2021-01-07

Family

ID=74126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7618A Active KR102199563B1 (ko) 2020-01-20 2020-01-20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스트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9563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8921B1 (ko) * 2006-05-30 2007-11-28 안영철 악세사리 겸용 화면 클리너
JP2010171731A (ja) * 2009-01-22 2010-08-05 Kyocera Corp 携帯電子機器
KR20120058873A (ko) * 2010-11-30 2012-06-08 윤정진 전자제품용 부속품케이스
KR20120080809A (ko) * 2011-01-10 2012-07-18 강혁수 스마트폰 커버
KR20120007846U (ko) * 2011-05-06 2012-11-14 김영선 휴대용 단말기의 손잡이 구조
KR20130014873A (ko) * 2011-08-01 2013-02-12 윤정진 전자제품용 케이스
KR20130017869A (ko) * 2011-08-12 2013-02-20 (주)바늘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
KR101765766B1 (ko) 2017-01-23 2017-08-08 (주) 우성인터내셔날 홀더가 구비된 휴대용단말기 보호케이스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8921B1 (ko) * 2006-05-30 2007-11-28 안영철 악세사리 겸용 화면 클리너
JP2010171731A (ja) * 2009-01-22 2010-08-05 Kyocera Corp 携帯電子機器
KR20120058873A (ko) * 2010-11-30 2012-06-08 윤정진 전자제품용 부속품케이스
KR20120080809A (ko) * 2011-01-10 2012-07-18 강혁수 스마트폰 커버
KR20120007846U (ko) * 2011-05-06 2012-11-14 김영선 휴대용 단말기의 손잡이 구조
KR20130014873A (ko) * 2011-08-01 2013-02-12 윤정진 전자제품용 케이스
KR20130017869A (ko) * 2011-08-12 2013-02-20 (주)바늘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
KR101765766B1 (ko) 2017-01-23 2017-08-08 (주) 우성인터내셔날 홀더가 구비된 휴대용단말기 보호케이스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전기통신회선 https://www.youtube.com/watch?v=ghv4M-bxFOQ를 통해 공중이 이용 가능하게 된 발명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44098B2 (en) Apparatus for gripping handheld devices
US8960634B2 (en) Holder for electronic device with support
US8382059B2 (en) Holder for electronic device with support
CN110061754B (zh) 手表形智能终端机
US20120043452A1 (en) Apparatus for gripping handheld devices
US20220410362A1 (en) Compacting grip for handheld devices
JP5665035B1 (ja) 携帯電子端末保持具
JP2022503521A (ja) ポータブル電子デバイスと一緒に使用するための保持装置及び保持装置を使用する方法
KR101837311B1 (ko)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TWM565934U (zh) 保護套
CN112166593A (zh) 移动通信终端设备外壳
KR100971761B1 (ko) 휴대단말기용 틸트힌지 및 이를 이용한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
KR20160018306A (ko)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
KR20180011601A (ko) 탈착이 용이한 스마트폰 거치대
KR101423474B1 (ko) 접이식 고리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KR20170001075A (ko) 스마트폰 보호케이스
KR20100003929U (ko) 휴대폰용 거치대
KR200447424Y1 (ko) 지지대가 구비된 이중 체결 구조의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KR101244983B1 (ko) 팔뚝형 휴대용 정보기기 거치대
KR102199563B1 (ko)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스트랩
KR20120035810A (ko) 틸트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 보호 케이스 클립 및 스탠드장치
KR10104147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와 휴대용 케이스의 결합구조
CN105431774A (zh) 用于捕捉图像的移动装置的保持器
CN112019672B (zh) 腕带式电子设备
CN209991187U (zh) 自拍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1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9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12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12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12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6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