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197038B1 - 액체 잔량 소비를 위한 양방향 펌핑기 - Google Patents

액체 잔량 소비를 위한 양방향 펌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7038B1
KR102197038B1 KR1020200013318A KR20200013318A KR102197038B1 KR 102197038 B1 KR102197038 B1 KR 102197038B1 KR 1020200013318 A KR1020200013318 A KR 1020200013318A KR 20200013318 A KR20200013318 A KR 20200013318A KR 102197038 B1 KR102197038 B1 KR 1021970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liquid
container
pump
pump un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3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은석
Original Assignee
이은석
주식회사 자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은석, 주식회사 자람 filed Critical 이은석
Priority to US17/427,666 priority Critical patent/US11673153B2/en
Priority to EP20843324.3A priority patent/EP3907009A4/en
Priority to PCT/KR2020/001971 priority patent/WO2021015380A1/ko
Priority to JP2021551869A priority patent/JP7244668B2/ja
Priority to CN202080017964.0A priority patent/CN113543890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70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703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05B11/300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59Components or details allowing operation in any orientation, e.g. for discharge in inverted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05B11/1002Piston pumps the direction of the pressure stroke being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major axis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04Deformable containers producing the flow, e.g. squeeze bottles
    • B05B11/042Deformable containers producing the flow, e.g. squeeze bottles the spray being effected by a gas or vapour flow in the nozzle, spray head, outlet or dip tub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B05B11/0039Containers associated with means for compensating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ambient pressure and the 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e.g. pressure relief means
    • B05B11/0044Containers associated with means for compensating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ambient pressure and the 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e.g. pressure relief means compensating underpressure by ingress of atmospheric air into the container, i.e. with ve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05B11/1023Piston pumps having an outlet valve opened by deformation or displacement of the piston relative to its actuating 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43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 B05B11/1046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the pump chamber being arranged substantially coaxially to the neck of the container
    • B05B11/1047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the pump chamber being arranged substantially coaxially to the neck of the container the pump being preassembled as an independent unit before being mounted on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66Pump inlet valves
    • B05B11/1067Pump inlet valves actuated by pressure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Reciprocating Pump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체 잔량 소비를 위한 양방향 펌핑기에 관한 것으로, 액체가 저장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이 구비되며, 상기 내부 공간과 연통되는 결합공이 구비된 용기; 상기 결합공에 결합되며, 내부에 액체가 저장될 수 있는 제1챔버와 제2챔버가 구비된 본체부; 상기 제1챔버와 연통되면서 상기 본체부로 외부로 연장되는 흡입관; 상기 제1챔버와 상기 흡입관 사이에 구비되면서 상기 흡입관을 개폐시키는 제1베어링; 상기 본체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본체부 외부로 돌출되는 머리부를 포함하는 펌프부; 상기 펌프부에 결합되어 상기 펌프부와 함께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며, 상기 제1챔버 내부에서 슬라이드 이동되는 제1피스톤; 상기 펌프부에 결합되어 상기 펌프부와 함께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며, 상기 제2챔버 내부에서 슬라이드 이동되는 제2피스톤; 상기 펌프부의 머리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챔버와 연통되면서 상기 제1챔버의 유체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1토출부; 상기 펌프부의 머리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2챔버와 연통되면서 상기 제2챔버의 유체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2토출부; 상기 펌프부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펌프부에 탄성 복원력을 가하는 스프링; 상기 제2챔버로 액체를 유입시킬 수 있는 흡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액체 잔량 소비를 위한 양방향 펌핑기 {Reversible pump for using residual liquid}
본 발명은 액체 잔량 소비를 위한 양방향 펌핑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액체를 저장하는 용기를 정방향으로 배치하였을 때와 역방향으로 배치하였을 때에 액체가 용기 밖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양방향 펌핑기를 통해 액체의 잔량을 마지막까지 소비할 수 있는 액체 잔량 소비를 위한 양방향 펌핑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샴푸, 린스, 바디워시, 주방세제, 화장품 등 어느 정도 점성을 가지고 있는 유체는 액체 용기에 담아져 사용자에게 유통된다. 액체 용기는 뚜껑이 구비되면서 뚜껑을 열고 닫아서 사용하는 액체 용기가 있으며, 나사형 펌핑기를 사용하여 나사형 펌핑기를 통해 액체 용기 내부의 액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액체 용기가 있다.
나사형 펌핑기를 사용하는 액체 용기는 액체의 종류에 따라 점성의 차이가 있기 때문에 액상물을 용기에서 외부로 배출 가능하도록 각각의 다른 토출압을 가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1회 토출량도 제품마다 차이가 있다. 또한, 액체 용기의 높이나 용량도 제품마다 차이가 있어, 펌핑기를 대부분 일회용으로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의 펌핑기를 사용하는 액체 용기는 높이에 따라 흡입호스의 길이가 다르게 형성되어 있으며, 액체 용기 내부에 저장된 액체를 최대한 용이하게 배출하기 위해 액체 용기 바닥에 완전히 밀착시키지 않고 약간의 간격을 두면서, 흡입호스 말단을 사선으로 재단하여 설치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펌핑기를 사용하는 액체 용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흡입호스는 액체 용기 내부에 저장된 액체를 용이하게 배출하기 위해 액체 용기 바닥에 밀착되지 않으면서 용기 바닥과 이격되어 있다. 이로 인해 종래의 펌핑기를 통해서는 액체 용기 내 액체를 끝까지 토출시키는 것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액체 용기에서 바닥에 남아있는 액체의 잔량이 상당히 많기 때문에, 이와 같은 액체 잔량을 사용하지 않고 버리는 것은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액체 용기 내부에 남아있는 액체 잔량을 사용하지 않고 버리게 되면, 액체 잔량에 의해 환경 오염이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다.
액체 용기 내부에 남아있는 액체 잔량을 사용하기 위해서, 액체 용기를 거꾸로 놓았다가 뚜껑을 열어 사용할 수는 있으나, 액체가 뚜껑 오픈부 부분에 몰려있어 필요한 양보다 훨씬 더 많은 양의 액체가 한 번에 쏟아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액체 용기 내부에 남아있는 액체 잔량을 사용하기 위해 액체 용기 내부에 물을 보충하여 흔들어 사용할 수도 있지만, 이와 같은 경우 액체 용기 내부에서 단시간에 세균 번식 및 세균 감염 등이 발생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액체를 저장하는 용기를 정방향으로 배치하였을 때와 역방향으로 배치하였을 때에 액체가 용기 밖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양방향 펌핑기를 통해 액체의 잔량을 마지막까지 소비할 수 있는 액체 잔량 소비를 위한 양방향 펌핑기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액체 잔량 소비를 위한 양방향 펌핑기는, 액체가 저장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이 구비되며, 상기 내부 공간과 연통되는 결합공이 구비된 용기; 상기 결합공에 결합되며, 내부에 액체가 저장될 수 있는 제1챔버와 제2챔버가 구비된 본체부; 상기 제1챔버와 연통되면서 상기 본체부로 외부로 연장되는 흡입관; 상기 제1챔버와 상기 흡입관 사이에 구비되면서 상기 흡입관을 개폐시키는 제1베어링; 상기 본체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본체부 외부로 돌출되는 머리부를 포함하는 펌프부; 상기 펌프부에 결합되어 상기 펌프부와 함께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며, 상기 제1챔버 내부에서 슬라이드 이동되는 제1피스톤; 상기 펌프부에 결합되어 상기 펌프부와 함께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며, 상기 제2챔버 내부에서 슬라이드 이동되는 제2피스톤; 상기 펌프부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펌프부에 탄성 복원력을 가하는 스프링; 상기 제2챔버로 액체를 유입시킬 수 있는 흡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액체 잔량 소비를 위한 양방향 펌핑기는 상기 펌프부의 머리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챔버와 연통되면서 상기 제1챔버의 유체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1토출부; 상기 펌프부의 머리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2챔버와 연통되면서 상기 제2챔버의 유체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2토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용기를 정방향으로 배치하였을 때는 상기 제1챔버의 유체가 상기 제1토출부를 통해 배출되며, 상기 용기를 역방향으로 배치하였을 때는 상기 제2챔버의 유체가 상기 제2토출부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액체 잔량 소비를 위한 양방향 펌핑기는 상기 펌프부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챔버와 상기 제1토출부를 연결시키는 제1이동 유로와, 상기 펌프부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2챔버와 상기 제2토출부를 연결시키는 제2이동 유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액체 잔량 소비를 위한 양방향 펌핑기의 상기 용기의 내부 공간 상면에는, 상기 흡입부와 상기 내부 공간을 연통시키는 연결 유로가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액체 잔량 소비를 위한 양방향 펌핑기의 상기 흡입부와 상기 제2챔버 사이에는, 상기 제2챔버를 개폐시키는 제2베어링이 구비되며, 상기 제2베어링은, 상기 펌프부가 하강시 상기 흡입부와 상기 제2챔버 사이의 공간을 닫히게 하며, 상기 펌프부가 상승시 상기 흡입부와 상기 제2챔버 사이의 공간을 열리게 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액체 잔량 소비를 위한 양방향 펌핑기의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제1챔버와 상기 제2챔버를 구획하는 구획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액체 잔량 소비를 위한 양방향 펌핑기의 상기 펌프부는, 상기 제1피스톤이 결합되는 제1펌프부와, 상기 제2피스톤이 결합되는 제2펌프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펌프부와 상기 제2펌프부는 연결부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액체 잔량 소비를 위한 양방향 펌핑기의 상기 제1챔버 상부에는 공기 배출 구멍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액체 잔량 소비를 위한 양방향 펌핑기에 관한 것으로, 액체를 저장하는 용기를 정방향으로 배치하였을 때와 역방향으로 배치하였을 때에 액체가 용기 밖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양방향 펌핑기를 사용함에 따라 액체의 잔량을 마지막까지 소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액체의 잔량을 마지막까지 소비함에 따라 경제적으로 액체를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액체의 잔량이 버려지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체 잔량 소비를 위한 양방향 펌핑기의 측면도와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용기에서 분리된 본체부와 펌프부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용기에서 분리된 본체부와 펌프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펌프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2챔버의 외벽과 제2베어링 설치를 위한 관통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펌프부가 상부로 슬라이드 이동할 때 제2챔버로 액체가 유입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펌프부가 하부로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제2챔버의 액체가 제2토출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명확히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고, 실시 예들을 개시한다. 개시된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발명(disclosure)된 해당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하나 이상의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을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결합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결합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결합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발명은 액체 잔량 소비를 위한 양방향 펌핑기에 관한 것으로, 액체를 저장하는 용기를 정방향으로 배치하였을 때와 역방향으로 배치하였을 때에 액체가 용기 밖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양방향 펌핑기를 통해 액체의 잔량을 마지막까지 소비할 수 있는 액체 잔량 소비를 위한 양방향 펌핑기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용기(110)가 정방향으로 배치된다는 것은 도 1과 같이 상기 용기(110)를 세워서 사용하는 것을 나타내며, 상기 용기(110)가 역방향으로 배치된다는 것은, 도 8 내지 도 11과 같이 상기 용기(110)를 뒤집어서 사용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체 잔량 소비를 위한 양방향 펌핑기는, 용기(110), 제1챔버(130)와 제2챔버(140)가 구비된 본체부(120), 흡입관(131), 제1베어링(132), 펌프부(200), 제1피스톤(221), 제2피스톤(231), 제1토출부(211), 제2토출부(212), 스프링(160), 흡입부(141)를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용기(110)는 액체가 저장될 수 있는 내부 공간(111)이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내부 공간(111)과 연통되는 결합공(112)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결합공(112)은 외부로 열려 있는 구멍일 수 있으며, 상기 결합공(112)에 후술할 상기 본체부(120)가 결합된다.
상기 용기(110)는 액체를 저장할 수 있는 용기로, 상기 용기(110)는 액체를 저장할 수 있다면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연질, 경질, 유리 등의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용기(110)에 저장되는 액체는 샴푸, 린스, 바디워시, 주방세제, 화장품 등이 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용기(110)에 저장되면서 양방향 펌핑기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액체라면 상기 액체는 다양한 액체일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본체부(120)는 내부에 액체가 저장될 수 있는 상기 제1챔버(130)와 상기 제2챔버(140)가 구비된 것으로, 상기 본체부(120)는 상기 결합공(112)에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본체부(120)는, 상기 용기(110)를 정방향으로 배치하였을 때 액체가 유입되는 상기 제1챔버(130)와, 상기 용기(110)를 역방향으로 배치하였을 때 액체가 유입되는 상기 제2챔버(140)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제1챔버(130)와 상기 제2챔버(140)는 구획부(150)를 통해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챔버(130)와 상기 제2챔버(140)는 상기 본체부(120) 내부에서 상기 구획부(150)에 의해 서로 분리된 공간일 수 있다. 상기 구획부(150)는 상기 제1챔버(130)에서 상기 제2챔버(140)로 공기가 통하지 않도록 상기 제1챔버(130)와 상기 제2챔버(140)를 구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부(12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하우징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본체부(120)의 중간부와 하부가 상기 용기(110) 내부 공간으로 삽입된 이후에, 상기 본체부(120)의 상부가 상기 결합공(112)에 결합된다.
상기 본체부(120)를 상기 결합공(112)에 결합시키기 위해, 상기 본체부(120) 상부에는 뚜껑부(12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20)의 중간부와 하부가 상기 결합공(112)을 통과하여 상기 용기(110) 내부 공간으로 삽입된 이후에, 상기 뚜껑부(121)를 상기 결합공(112)의 외측에 결합시키면, 상기 본체부(120)가 상기 용기(11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뚜껑부(121)에는 나사산 또는 나사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용기(110)의 상기 결합공(112)의 외측에는 나사산(113) 또는 나사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뚜껑부(121)와 상기 결합공(112)의 외측이 나사 조립되면서 상기 본체부(120)가 상기 용기(110)에 고정될 수 있다.
다만, 상기 본체부(120)와 상기 용기(110)의 결합은 나사 결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본체부(120)의 상부를 상기 용기(110)의 상기 결합공(112)에 결합시킬 수 있다면 다양한 구성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뚜껑부(121)의 상부에는 마개부(122)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마개부(122)는 후술할 상기 펌프부(200)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펌프부(200)는 상기 본체부(120) 내부를 상, 하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는 것인데, 상기 마개부(122)는 상기 펌프부(200)가 상, 하 슬라이드 이동할 때 흔들리지 않도록 상기 펌프부(200)를 지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본체부(12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는데, 상기 제1챔버(130)는 상기 제2챔버(140)의 하부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하부 방향이라 함은 상기 용기(110)의 바닥을 향하는 방향이 하부 방향일 수 있다.
상기 흡입관(131)은 상기 제1챔버(130)와 연통되면서 상기 본체부(120)의 외부로 연장되는 것이다. 상기 흡입관(131)은 상기 용기(110)가 정방향으로 배치되었을 때 사용되는 것으로, 상기 흡입관(131)은 상기 본체부(120)에서 상기 용기(110)의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용기(110)가 정방향으로 배치되었을 때, 상기 흡입관(131)을 통해 상기 제1챔버(130)로 상기 용기(110)에 저장되어 있는 액체가 이동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베어링(132)은 상기 제1챔버(130)와 상기 흡입관(131) 사이에 구비되면서 상기 흡입관(131)을 개폐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1베어링(132)은 구슬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흡입관(131)의 입구에 배치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제1챔버(130)의 압력에 따라 상기 흡입관(131)을 열리고 닫히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펌프부(200)는 상기 본체부(120)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본체부(120) 외부로 돌출되는 머리부(210)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머리부(210)는 상기 펌프부(200)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힘이 제공되는 지점으로, 사용자는 상기 머리부(210)를 누름으로써 상기 펌프부(200)를 하부로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스프링(160)은 상기 펌프부(200)의 하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펌프부(200)에 탄성 복원력을 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스프링(160)은 상기 본체부(12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는 것으로, 스토퍼(161)를 통해 지지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머리부(210)를 눌러 상기 펌프부(200)를 하부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상기 스프링(160)은 압축되면서 상기 펌프부(200)에 탄성 복원력을 가하게 되고, 사용자의 힘이 제거되면, 상기 펌프부(200)는 상기 스프링(160)의 탄성 복원력으로 인해 다시 상부로 슬라이드 이동하게 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펌프부(200)에는, 상기 펌프부(200)에 결합되어 상기 펌프부(200)와 함께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며, 상기 제1챔버(130) 내부에서 슬라이드 이동되는 제1피스톤(221)과 상기 펌프부(200)에 결합되어 상기 펌프부(200)와 함께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며, 상기 제2챔버(140) 내부에서 슬라이드 이동되는 제2피스톤(231)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1피스톤(221)은 상기 제1피스톤(221)의 하부 단면적이 상기 제1챔버(130)의 단면적과 동일하게 이루어지면서 상기 제1챔버(130) 내부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것으로, 상기 제1피스톤(221)이 상기 제1챔버(130)에서 상, 하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상기 제1챔버(130) 내부 공간을 이완시키거나 압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피스톤(231)은 상기 제2피스톤(231)의 하부 단면적이 상기 제2챔버(140)의 단면적과 동일하게 이루어지면서 상기 제2챔버(140) 내부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것으로, 상기 제2피스톤(231)이 상기 제2챔버(140)에서 상, 하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상기 제2챔버(140) 내부 공간을 이완시키거나 압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펌프부(200)는 상기 제1피스톤(221)이 결합되는 제1펌프부(220)와, 상기 제2피스톤(231)이 결합되는 제2펌프부(2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펌프부(220)와 상기 제2펌프부(230)는 연결부(240)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펌프부(220)와 상기 제2펌프부(230)는 분리되어 조립된 이후에, 상기 연결부(240)를 통해 연결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제1펌프부(220)와 상기 제2펌프부(230)를 분리하여 제작한 이후에 상기 제1펌프부(220)와 상기 제2펌프부(230)를 조립함에 따라 제작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1펌프부(220)와 상기 제2펌프부(230)는 일체로 제작될 수도 있다.
상기 펌프부(200)의 상기 머리부(210)에는, 상기 제1챔버(130)와 연통되면서 상기 제1챔버(130)의 유체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1토출부(211)와 상기 제2챔버(140)와 연통되면서 상기 제2챔버(140)의 유체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2토출부(21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토출부(211)와 상기 제2토출부(212)는 상기 머리부(21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는 것으로, 유체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통로가 되는 것이다. 상기 펌프부(200) 내부에는, 상기 제1챔버(130)와 상기 제1토출부(211)를 연결시키는 제1이동 유로(222)와 상기 제2챔버(140)와 상기 제2토출부(212)를 연결시키는 제2이동 유로(232)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이동 유로(222)는 상기 제1챔버(130)와 상기 제1토출부(211) 사이에 연결된 유체 통로이며, 상기 제2이동 유로(232)는 상기 제2챔버(140)와 상기 제2토출부(212) 사이에 연결된 유체 통로이다.
상기 본체부(120)에는 상기 제2챔버(140)로 액체를 유입시키는 흡입부(14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흡입부(141)는 상기 용기(110)의 내부 공간(111)과 연통된 것으로, 상기 용기(110)의 내부 공간(111)에 저장되어 있는 액체는 상기 흡입부(141)를 통해 상기 제2챔버(140)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흡입부(141)는 상기 용기(110)가 역방향으로 배치되었을 때 사용되는 것으로, 상기 흡입부(141)는 상기 용기(11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용기(110)를 역방향으로 배치하면, 상기 용기(110)의 액체(액체 잔량)는 상기 용기(110)의 상부로 모이게 된다. (여기서 상기 용기(110)의 상부라 함은, 상기 용기(110)를 정방향으로 배치하였을 때의 윗부분을 말한다.)
상기 흡입부(141)는 액체 잔량을 소비하기 위해 상기 제2챔버(140)로 액체 잔량을 이동시키는 입구가 될 수 있는 것으로, 이를 위해 상기 흡입부(141)는 상기 용기(110)의 상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용기(110)의 내부 공간(111) 상면에는 상기 흡입부(141)와 상기 내부 공간(111)을 연통시키는 연결 유로(114)가 구비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용기(110)의 내부 공간(110) 상면이라 함은, 상기 용기(110)를 정방향으로 배치하였을 때의 상기 내부 공간(110)의 윗면을 말한다.)
상기 연결 유로(114)는 상기 흡입부(141)와 상기 내부 공간(111)을 연결시키는 것으로, 상기 내부 공간(111)의 액체는 상기 연결 유로(114)를 통해 상기 흡입부(141)로 유입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체 잔량 소비를 위한 양방향 펌핑기는, 상기 용기(110)를 정방향으로 배치하였을 경우에는 상기 제1챔버(130)의 유체가 상기 제1토출부(211)로 배출되며, 상기 용기(110)를 역방향으로 배치하였을 경우에는 상기 제2챔버(140)의 유체가 상기 제2토출부(212)로 배출될 수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용기(110)가 정방향으로 배치되었을 때, 상기 용기(110)의 내부 공간(111)에 저장된 액체는, 상기 흡입관(131)-상기 제1챔버(130)-상기 제1이동 유로(222)-상기 제1토출부(211)의 순서로 이동되어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용기(110)가 역방향으로 배치되었을 때는, 상기 용기(110)의 내부 공간(111)에 저장된 액체는 중력에 의해 상기 용기(110)의 상부로 모이게 되며, 상기 용기(110)의 상부로 모인 액체는, 상기 용기(110)의 상면에 구비된 상기 연결 유로(114)-상기 흡입부(141)-상기 제2챔버(140)-상기 제2이동 유로(232)-상기 제2토출부(212)의 순서로 이동되어 배출될 수 있다.
상기 흡입부(141)와 상기 제2챔버(140) 사이에는, 상기 제2챔버(140)를 개폐시키는 제2베어링(14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베어링(142)은 상기 제2챔버(140)와 상기 흡입부(141) 사이에 구비되면서 상기 제2챔버(140)를 개폐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4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2베어링(142)은 구슬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제2챔버(140)의 입구에 배치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본체부(120)에는 상기 제2챔버(140)를 형성하는 제2챔버 외벽(140a)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2챔버 외벽(140a) 입구에는 구슬 형태의 상기 제2베어링(142)이 설치될 수 있는 관통공(142a)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2베어링(142)은 상기 관통공(142a)에 설치되면서, 상기 제2챔버(140)의 압력에 따라 상기 제2챔버(140)를 열리고 닫히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체 잔량 소비를 위한 양방향 펌핑기는, 상기 용기(110)가 정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을 경우에는 상기 용기(110) 내부의 액체를 상기 흡입관(131)-상기 제1챔버(130)-상기 제1이동 유로(222)-상기 제1토출부(211)의 순서로 이동시켜 배출하는 것이며, 상기 용기(110)가 역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을 경우에는 상기 용기(110) 내부의 액체를 상기 연결 유로(114)-상기 흡입부(141)-상기 제2챔버(140)-상기 제2이동 유로(232)-상기 제2토출부(212)의 순서로 이동시켜 배출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체 잔량 소비를 위한 양방향 펌핑기의 작동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용기(110)가 정방향으로 배치되었을 때, 상기 제1토출부(211)를 통해 상기 용기(110)의 액체가 배출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상기 머리부(210)에 힘을 가하면, 상기 펌프부(200)가 눌려지게 된다.
상기 펌프부(200)가 눌림에 따라 상기 펌프부(200)에 결합되어 있는 상기 제1피스톤(221)이 상기 제1챔버(130) 하부로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상기 제1챔버(130)를 압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베어링(132)은 상기 제1챔버(130) 공간이 압축되면서 발생한 압축력에 의해 외부로 밀리면서 상기 흡입관(131)의 입구를 막게 된다. (상기 제1베어링(132)은 상기 흡입관(131)의 입구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된 구슬 형태로 상기 흡입관(131)에 삽입되지 않고 상기 흡입관(131)을 막을 수 있게 된다.)
사용자가 상기 머리부(210)를 누르는 힘을 제거하면, 상기 펌프부(200) 하부에 구비된 상기 스프링(16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펌프부(200)는 상부로 슬라이드 이동되고, 상기 펌프부(200)에 결합되어 있는 상기 제1피스톤(221)도 함께 상부로 슬라이드 이동된다.
상기 제1피스톤(221)이 상부로 슬라이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제1챔버(130)의 공간이 이완되면서 상기 제1베어링(132)이 들리게 되고, 상기 흡입관(131)을 통해 상기 용기(110)의 내부 공간(111)에 구비된 액체가 상기 제1챔버(130)로 유입된다.
사용자가 상기 머리부(210)에 다시 힘을 가하면, 상기 펌프부(200)가 눌려지면서 상기 펌프부(200)에 결합되어 있는 상기 제1피스톤(221)이 상기 제1챔버(130) 하부로 슬라이드 이동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1챔버(130)가 압축된다. (이때, 상기 제1베어링(132)은 상기 흡입관(131)을 다시 막게 된다.)
상기 제1챔버(130)가 압축됨에 따라 상기 제1챔버(130)에 유입된 액체도 압축력을 받아 상기 제1이동 유로(222)로 이동되고, 상기 제1이동 유로(222)로 이동된 액체는 상기 제1토출부(211)를 따라 외부로 배출된다. 사용자가 상기 머리부(210)를 누르는 힘을 제거하면, 상술한 과정이 반복되면서 상기 제1챔버(130)로 상기 용기(110) 내부의 액체가 유입된다.
상기 용기(110)가 역방향으로 배치되었을 때, 상기 제2토출부(212)를 통해 상기 용기(110)의 액체가 배출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용기(110)를 역방향으로 배치하는 경우는, 상기 용기(110)를 정방향으로 사용하다가 상기 용기(110) 내부의 액체가 배출되지 않을 만큼의 액체 잔량이 남았을 경우이다.
사용자는 상기 흡입관(131)-상기 제1챔버(130)-상기 제1이동 유로(222)-상기 제1토출부(211)의 순서로 액체를 배출할 수 없기 때문에, 남아있는 액체를 사용하기 위해, 상기 용기(110)를 역방향으로 배치한다. 상기 용기(110)를 역방향으로 배치하면, 상기 용기(110)의 액체는 중력에 의해 상기 용기(110)의 상부로 모이게 된다. 사용자는 액체 잔량을 사용하기 위해, 상기 용기(110)를 역방향으로 배치한 이후에, 상기 머리부(210)에 힘을 가하게 된다.
사용자가 상기 머리부(210)에 힘을 가하면, 상기 펌프부(200)가 눌려지게 된다. 상기 펌프부(200)가 눌림에 따라 상기 펌프부(200)에 결합되어 있는 상기 제2피스톤(231)이 상기 제2챔버(140) 하부로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상기 제2챔버(140)를 압축하게 된다. (상부는 상기 용기(110)가 정방향으로 배치되었을 때 윗 방향을 말하며, 하부는 상기 용기(110)가 정방향으로 배치되었을 때 아랫 방향을 말한다.)
이때, 상기 제2베어링(142)은 상기 제2챔버(140) 공간이 압축되면서 발생한 압축력에 의해 외부로 밀리면서 상기 제2챔버(140)의 입구를 막게 된다. (상기 제2베어링(142)은 상기 제2챔버(140)의 입구인 관통공(142a)의 직경 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된 구슬 형태로 상기 흡입부(141)로 삽입되지 않으면서 상기 제2챔버(140)를 막을 수 있게 된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상기 머리부(210)를 누르는 힘을 제거하면, 상기 펌프부(200) 하부에 구비된 상기 스프링(16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펌프부(200)는 상부로 슬라이드 이동되고, 상기 펌프부(200)에 결합되어 있는 상기 제2피스톤(231)도 함께 상부로 슬라이드 이동된다.
상기 제2피스톤(231)이 상부로 슬라이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제2챔버(140)의 공간이 이완되면서 상기 제2베어링(142)이 들리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2챔버(140)의 입구가 열리게 된다.
상기 용기(110)의 내부 공간(111)에 구비된 액체는, 상기 제2챔버(140)의 공간이 이완되는 힘에 의해 상기 용기(110)의 상면에 구비된 상기 연결 유로(114)를 거쳐 상기 흡입부(141)를 통해 상기 제2챔버(140)로 유입된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상기 머리부(210)에 다시 힘을 가하면, 상기 펌프부(200)가 눌려지면서 상기 펌프부(200)에 결합되어 있는 상기 제2피스톤(231)이 상기 제2챔버(140) 하부로 슬라이드 이동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2챔버(140)가 압축된다. (이때, 상기 제2베어링(142)은 상기 제2챔버(140)의 입구를 다시 막게 된다.)
상기 제2챔버(140)가 압축됨에 따라 상기 제2챔버(140)에 유입된 액체도 압축력을 받아 상기 제2이동 유로(232)로 이동되고, 상기 제2이동 유로(232)로 이동된 액체는 상기 제2토출부(212)를 따라 외부로 배출된다. 사용자가 상기 머리부(210)를 누르는 힘을 제거하면, 상술한 과정이 반복되면서 상기 제2챔버(140)로 상기 용기(110) 내부의 액체가 유입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체 잔량 소비를 위한 양방향 펌핑기는 상술한 작동방법을 통해, 상기 용기(110)가 정방향으로 세워졌을 때와 역방향으로 세워졌을 때 모두 상기 용기(110) 내부의 액체를 배출할 수 있는 것이다.
사용자는 상기 용기(110)를 정방향으로 사용하다가 더 이상 액체가 배출되지 않을 때 상기 용기(110)를 역방향으로 배치하게 되며, 이를 통해 액체 잔량을 모두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체 잔량 소비를 위한 양방향 펌핑기의 상기 제1챔버(130) 상부에는 공기 배출 구멍(133)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20) 내부에서 상기 제1챔버(130)와 상기 제2챔버(140)는 상기 구획부(150)로 분리되어 있다.
상기 구획부(150)로 인해 상기 제1챔버(130)와 상기 제2챔버(140)를 구획시킬 수 있지만, 상기 제1챔버(130)에서 상, 하 슬라이드 이동되는 상기 제1피스톤(221)의 압력에 의해 상기 제1챔버(130)에서 상기 제2챔버(140)로 공기가 이동될 우려가 있다.
상기 제1챔버(130)에서 상기 제2챔버(140)로 공기가 이동하게 되면, 상기 제2챔버(140)에 저장된 액체를 상기 제2토출부(212)로 원활하게 배출할 수 없기 때문에, 상기 제1챔버(130)에서 상기 제2챔버(140)로 공기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야 한다.
상기 공기 배출 구멍(133)은 이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1챔버(130) 상부에 구비되면서 상기 제1챔버(130)의 외부로 공기를 배출하여 상기 제1챔버(130) 내부의 압력을 낮출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공기 배출 구멍(133)을 통해 상기 제1챔버(130)의 압력을 낮추면서 외부로 공기를 배출시킴에 따라 상기 제1챔버(130)에서 상기 제2챔버(140)로 공기가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체 잔량 소비를 위한 양방향 펌핑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종래의 펌핑기의 흡입호스는, 액체 용기 내부에 저장된 액체를 용이하게 배출하기 위해 액체 용기 바닥에 밀착시키지 않고 용기 바닥과 이격됨에 따라 액체 용기 내 액체를 끝까지 토출시키는 것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액체 용기에서 바닥에 남아있는 액체의 잔량은 상당히 많기 때문에, 이와 같이 액체 잔량을 사용하지 않고 버리는 것은 비경제적이며, 액체 잔량에 의해 환경오염이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다.
액체 용기 내부에 남아있는 액체 잔량을 사용하기 위해서, 액체 용기를 거꾸로 놓았다가 뚜껑을 열어 사용할 수는 있으나, 액체가 뚜껑 오픈부 부분에 몰려있어 필요한 양보다 훨씬 더 많은 양의 액체가 한 번에 쏟아지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체 잔량 소비를 위한 양방향 펌핑기는 액체를 저장하는 용기를 정방향으로 배치하였을 때와 역방향으로 배치하였을 때에 모두 액체를 용기 밖으로 배출시킬 수 있음에 따라 액체의 잔량을 마지막까지 소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체 잔량 소비를 위한 양방향 펌핑기는, 액체를 저장하는 용기를 역방향으로 배치하였을 경우에 펌프부-제2피스톤-제2베어링를 이용하여 흡입부-제2챔버-제2이동 유로-제2토출부로 액체를 배출시킴에 따라 액체 잔량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체 잔량 소비를 위한 양방향 펌핑기는 액체의 잔량을 마지막까지 소비함에 따라 경제적으로 액체를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액체의 잔량이 버려지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용기 111...내부 공간
112...결합공 113...나사산
114...연결 유로 120...본체부
121...뚜껑부 122...마개부
130...제1챔버 131...흡입관
132...제1베어링 133...공기 배출 구멍
140...제2챔버 141...흡입부
142...제2베어링 150...구획부
160...스프링 161...스토퍼
200...펌프부 210...머리부
211...제1토출부 212...제2토출부
220...제1펌프부 221...제1피스톤
222...제1이동 유로 230...제2펌프부
231...제2피스톤 232...제2이동 유로
240...연결부

Claims (8)

  1. 액체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펌핑기에 있어서,
    액체가 저장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이 구비되며, 상기 내부 공간과 연통되는 결합공이 구비된 용기; 상기 결합공에 결합되며, 내부에 액체가 저장될 수 있는 제1챔버와 제2챔버가 구비된 본체부; 상기 제1챔버와 연통되면서 상기 본체부로 외부로 연장되는 흡입관; 상기 제1챔버와 상기 흡입관 사이에 구비되면서 상기 흡입관을 개폐시키는 제1베어링;
    상기 본체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본체부 외부로 돌출되는 머리부를 포함하는 펌프부;
    상기 펌프부에 결합되어 상기 펌프부와 함께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며, 상기 제1챔버 내부에서 슬라이드 이동되는 제1피스톤; 상기 펌프부에 결합되어 상기 펌프부와 함께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며, 상기 제2챔버 내부에서 슬라이드 이동되는 제2피스톤;
    상기 펌프부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펌프부에 탄성 복원력을 가하는 스프링;
    상기 제2챔버로 액체를 유입시킬 수 있는 흡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펌프부의 머리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챔버와 연통되면서 상기 제1챔버의 유체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1토출부; 상기 펌프부의 머리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2챔버와 연통되면서 상기 제2챔버의 유체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2토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용기를 정방향으로 배치하였을 때는 상기 제1챔버의 유체가 상기 제1토출부를 통해 배출되고,
    상기 용기를 역방향으로 배치하였을 때는 상기 제2챔버의 유체가 상기 제2토출부를 통해 배출되며,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제1챔버에서 상기 제2챔버로 공기가 통하지 않도록 상기 제1챔버와 상기 제2챔버를 구획하는 구획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챔버 상부에는 공기 배출 구멍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잔량 소비를 위한 양방향 펌핑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부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챔버와 상기 제1토출부를 연결시키는 제1이동 유로와,
    상기 펌프부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2챔버와 상기 제2토출부를 연결시키는 제2이동 유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잔량 소비를 위한 양방향 펌핑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내부 공간 상면에는, 상기 흡입부와 상기 내부 공간을 연통시키는 연결 유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잔량 소비를 위한 양방향 펌핑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와 상기 제2챔버 사이에는, 상기 제2챔버를 개폐시키는 제2베어링이 구비되며,
    상기 제2베어링은, 상기 펌프부가 하강시 상기 흡입부와 상기 제2챔버 사이의 공간을 닫히게 하며, 상기 펌프부가 상승시 상기 흡입부와 상기 제2챔버 사이의 공간을 열리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잔량 소비를 위한 양방향 펌핑기.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부는,
    상기 제1피스톤이 결합되는 제1펌프부와, 상기 제2피스톤이 결합되는 제2펌프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펌프부와 상기 제2펌프부는 연결부를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잔량 소비를 위한 양방향 펌핑기.
  8. 삭제
KR1020200013318A 2019-07-19 2020-02-04 액체 잔량 소비를 위한 양방향 펌핑기 Active KR1021970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427,666 US11673153B2 (en) 2019-07-19 2020-02-12 Two-way pumping device for consumption of residual amount of liquid
EP20843324.3A EP3907009A4 (en) 2019-07-19 2020-02-12 Two-way pumping device for consumption of residual amount of liquid
PCT/KR2020/001971 WO2021015380A1 (ko) 2019-07-19 2020-02-12 액체 잔량 소비를 위한 양방향 펌핑기
JP2021551869A JP7244668B2 (ja) 2019-07-19 2020-02-12 液体残量消費のための双方向ポンピング器
CN202080017964.0A CN113543890B (zh) 2019-07-19 2020-02-12 用于消耗液体剩余量的双向抽水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7756 2019-07-19
KR20190087756 2019-07-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7038B1 true KR102197038B1 (ko) 2020-12-30

Family

ID=74088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3318A Active KR102197038B1 (ko) 2019-07-19 2020-02-04 액체 잔량 소비를 위한 양방향 펌핑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673153B2 (ko)
EP (1) EP3907009A4 (ko)
JP (1) JP7244668B2 (ko)
KR (1) KR102197038B1 (ko)
CN (1) CN113543890B (ko)
WO (1) WO2021015380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47866A (ja) * 2001-05-23 2002-12-04 Mitani Valve Co Ltd 噴出器およびそのポンプ装置
KR20080057451A (ko) * 2006-12-20 2008-06-25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누름식 펌프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752932A (fr) * 1969-07-07 1970-12-16 Pulverisation Par Abreviation Vaporisateur a tube plongeur
FR2260391B2 (ko) * 1974-02-08 1976-11-26 Step
NL179791C (nl) * 1977-05-12 1986-11-17 Yoshino Kogyosho Co Ltd Zowel rechtop als in omgekeerde stand te gebruiken verstuiver.
JPS61897Y2 (ko) * 1977-08-20 1986-01-13
JPS5437516A (en) 1977-08-30 1979-03-20 Pioneer Electronic Corp Fm receiver
US4305530A (en) 1978-01-23 1981-12-15 Yoshino Kogyosho Co., Ltd. Liquid atomizer
DE3513575A1 (de) * 1985-04-16 1986-10-16 Ing. Erich Pfeiffer GmbH & Co KG, 7760 Radolfzell Handbetaetigte ausgabeeinrichtung fuer medien
US5217148A (en) * 1991-02-11 1993-06-08 Spruhventile Gmbh Pharmaceutical pump dispenser
AU715130B2 (en) * 1994-11-17 2000-01-20 Yoshino Kogyosho Co., Ltd. Container with pump for discharging bubbles
JPH08332423A (ja) * 1995-04-04 1996-12-17 Canyon Corp 手動式ディスペンサ−の正立・倒立兼用バルブおよび手動式ディスペンサ−
NL1005189C2 (nl) * 1997-02-05 1998-08-06 Airspray Int Bv Afgeefsamenstel voor het afgeven van twee vloeibare componenten.
US6036113A (en) * 1998-12-04 2000-03-14 D'angelo; Vincent J. Dual head spray applicator
ID29685A (id) 2000-03-15 2001-09-20 Saint Gobain Calmar Sa Dispenser pompa fluida yang mempunyai ciri penarikan produk
CA2504989C (en) * 2005-04-22 2013-03-12 Gotohti.Com Inc. Stepped pump foam dispenser
NL1028921C2 (nl) * 2005-04-29 2006-11-01 Airspray Nv Afgifte-inrichting.
JP4877913B2 (ja) * 2005-12-07 2012-02-15 久光製薬株式会社 噴射装置、および噴射器
JP2009143617A (ja) * 2007-12-17 2009-07-02 Mitani Valve Co Ltd 正倒立ポンプ機構およびポンプ式製品
CN201579156U (zh) * 2009-11-04 2010-09-15 上海德昕日化有限公司 环保喷头
CN201579158U (zh) 2009-12-21 2010-09-15 陈秋火 背吸式防滴漏喷头
JP3173465U (ja) * 2011-11-04 2012-02-09 ユニプラス株式会社 直立および倒立状態でも使用可能な噴出器装置
CN107654349A (zh) * 2017-10-25 2018-02-02 江苏昊泰气体设备科技有限公司 一种内置排气通道的往复式活塞泵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47866A (ja) * 2001-05-23 2002-12-04 Mitani Valve Co Ltd 噴出器およびそのポンプ装置
KR20080057451A (ko) * 2006-12-20 2008-06-25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누름식 펌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543890B (zh) 2023-08-04
JP7244668B2 (ja) 2023-03-22
CN113543890A (zh) 2021-10-22
US11673153B2 (en) 2023-06-13
JP2022522800A (ja) 2022-04-20
US20220134368A1 (en) 2022-05-05
WO2021015380A1 (ko) 2021-01-28
EP3907009A1 (en) 2021-11-10
EP3907009A4 (en) 2022-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3048B1 (ko)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
KR101376050B1 (ko) 수동식 분사펌프
US10493475B1 (en) Pump type liquid airtight container
KR101146999B1 (ko) 단일 실리콘재 펌프로 작동되는 버튼식 화장품 용기
KR200416530Y1 (ko) 에어리스 배출펌프를 가진 화장품용기
US10344746B2 (en) Hydraulic double-acting hand pump
CN100420522C (zh) 手指操作的小型细雾预压式喷雾泵
KR102197038B1 (ko) 액체 잔량 소비를 위한 양방향 펌핑기
KR20090007715U (ko) 튜브 내장형 에어리스 화장품용기
KR20200118548A (ko) 노즐에 잔존하는 내용물을 흡입할 수 있는 백플로우 펌핑장치
KR20090000905A (ko) 소형 수동식 펌프
KR102325997B1 (ko) 액체 잔량 소비를 위한 양방향 펌핑기
US7637395B2 (en) Pump with a pressure driving head
KR200239132Y1 (ko) 화장품 샘플 용기
KR200463139Y1 (ko) 노즐 막힘 방지부를 구비하는 펌프 용기
KR200429142Y1 (ko) 코일형 딥튜브를 구비한 에어리스펌프 용기
KR200186695Y1 (ko) 여과펌프가 구비된 물통
KR200277208Y1 (ko) 화장품 용기의 내용물 펌핑장치
CN101677676A (zh) 流体分配装置
KR20210025826A (ko) 액상 제품 디스펜서
KR20130000272A (ko) 액체 화장품용기
KR102778162B1 (ko) 펌프 헤드 및 이를 포함하는 펌프 용기
CN201626625U (zh) 一种真空泵
CN208979536U (zh) 一种分装瓶容器
KR200468098Y1 (ko) 신규한 구조의 용기 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20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20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204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6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1023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20111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12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12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9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