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6345B1 - 신축성 전극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신축성 전극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96345B1 KR102196345B1 KR1020190023642A KR20190023642A KR102196345B1 KR 102196345 B1 KR102196345 B1 KR 102196345B1 KR 1020190023642 A KR1020190023642 A KR 1020190023642A KR 20190023642 A KR20190023642 A KR 20190023642A KR 102196345 B1 KR102196345 B1 KR 10219634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retchable
- agnw
- substrate
- acid
- chitosa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5/00—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5/14—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comprising conductive layers or films on insulating-support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12—Chemical modificatio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2—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metals or alloy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6—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other non-metallic substances
- H01B1/12—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other non-metallic substances organic substances
- H01B1/124—Intrinsically conductive polym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026—Apparatus for manufacturing conducting or semi-conducting layers, e.g. deposition of metal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2—Details
- H05B3/03—Electrode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84—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arent or reflecting areas, e.g. for demisting or de-icing windows, mirrors or vehicle windshield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H05B33/26—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arrangement of the conductive material used as an electrod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Non-Insulated Conductor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원 실시예 1에서 다양한 농도의 11-AA로 처리한 AgNW (a) 및 c-AgNW (b)의 면저항 및 투과율 측정 결과이다(내삽도는 해당 필름의 사진임).
도 3a는 본원 실시예 1에서 인장 변형 하에서 다양한 농도의 11-AA로 처리된 c-AgNW의 저항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3b는 본원 실시예 1에서 신장 및 굽힘이 가해진 c-AgNW의 사진이며, 도 3c는 본원 실시예 1에서 다양한 인장 변형률로 신장된 0.14 중량% 11-AA로 처리된 c-AgNW의 SEM 이미지이다.
도 4는 본원 실시예 1에서 테이프 테스트의 횟수에 따른 11-AA로 처리 또는 미처리한 AgNW의 저항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본원 실시예 1에서 AgNW와 c-AgNW에 대한 표준화된 저항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a: 에탄올 침지, b: 탈이온수 침지, c: 대기 중 노출).
도 6은 본원 실시예 1에서 인가 전압 증가와 시간에 따른 AgNW 및 c-AgNW를 기반으로 하는 STH의 온도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내삽도는 AgNW 및 c-AgNW를 가지는 STH의 동적 온도 제어(dynamic temperature control)를 도시함).
도 7a는 본원 실시예 1에서 다양한 인장 변형률 하에서 c-AgNW를 가지는 STH의 IR 이미지이고, 도 7b는 본원 실시예 1에서 비틀림 및 굽힘 조건 하에서 c-AgNW를 가지는 STH의 사진 및 IR 이미지이며, 도 7c는 본원 실시예 1에서 바이알에 부착된 c-AgNW를 가지는 STH의 사진 및 IR 이미지이다.
도 8a는 본원 실시예 2에서 키토산의 화학 구조식이고, 도 8b는 본원 실시예 2에서 11-aminoundecanoic acid의 화학 구조식이며, 도 8c는 본원 실시예 2에서 AgNW 네트워크와 키토산 박막 사이의 결합 구조의 모식도이다.
도 9a는 본원 실시예 2에서 AgNW의 면저항(단일층)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9b는 본원 실시예 2에서 AgNW(2000rpm, 1층) 의 투과율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9c 및 도 9d는 각각 본원 실시예 2에서 11-AA로 처리 및 미처리된 키토산 필름 상의 AgNW(2000rpm, 1층)의 SEM 이미지이며, 도 9e는 본원 실시예 2에서 11-AA 처리된 키토산 필름 상의 AgNW의 면저항 및 투과율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9f는 본원 실시예 2에서 11-AA 처리된 키토산 필름에 3층 AgNW(다양한 스핀 속도로 제조)의 면저항 및 투과율의 거동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며, 도 9g는 본원 실시예 2에서 11-AA 처리된 키토산 필름 상의 AgNW의 성능 지수 값을 도시한 그래프이고, 도 9h는 본원 실시예 2에서 키토산 박막(빨간색 점선) 위의 3층 AgNW (5000 rpm)의 사진 및 하단의 사진은 다양한 스핀 속도로 제조된 키토산 박막 위의 AgNW의 사진이다.
도 10a는 본원 실시예 2에서 인장 변형률 하에서 11-AA(0.14 중량%)로 처리 또는 미처리한 키토산 필름 상의 AgNW의 저항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고, 도 10b 및 도 10c는 각각 본원 실시예 2에서 스트레칭 사이클 (20% 변형)의 함수로서 필름의 저항 및 투과율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10d는 본원 실시예 2에서 테이프 시험 횟수에 따른 필름의 저항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10e 및 도 10f는 각각 본원 실시예 2에서 에탄올 및 탈이온수에 침지한 필름의 저항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1a는 본원 실시예 2에서 키토산 박막 위에 제조된 ACEL 장치의 단면 SEM 이미지(스케일 바: 100 μm)이고, 도 11b는 본원 실시예 2에서 ACEL 장치의 휘도(삽입도는 전계 발광 강도 그래프)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11c는 본원 실시예 2에서 다양한 인장 변형률 하에서의 ACEL 장치의 휘도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11d 내지 도 11f는 각각 본원 실시예 2에서 절단, 절단/꼬임 및 굽힘이 가해진 발광하는 ACEL 장치의 사진이다.
도 12a는 본원 실시예 2에서 AgNW/키토산 박막을 기반으로 하는 신축성 투명 히터 장치의 온도 변화를 시간 및 인가 전압의 함수로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12b는 본원 실시예 2에서 해당 신축성 투명 히터 장치의 IR 이미지이며, 도 12c는 본원 실시예 2에서 다양한 인장 변형률 하에서의 신축성 투명 히터 장치의 IR 이미지이고, 도 12d는 본원 실시예 2에서 손목과 손가락에 부착된 신축성 투명 히터 장치의 사진 및 IR 이미지이다.
Claims (14)
- 일단에 아민기를 가지는 지방산으로 표면 개질된 신축성 기판; 및
상기 일단에 아민기를 가지는 지방산을 매개로 상기 신축성 기판에 접합된 금속 나노와이어를 포함하는 전도층;을 포함하되,
상기 신축성 기판은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siloxane, PDMS) 기판 또는 키토산(chitosan) 기판이며,
상기 지방산은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11-아미노운데카논산(11-Aminoundecanoic acid)이고, 11-아미노운데카논산 말단의 카르복실기가 상기 신축성 기판 표면과 공유 결합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 전극:
.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나노와이어는 Au, Ag, Pt, Al, Cu, Cr, V, Mg, Ti, Sn, Pb, Pd, W, 및 Ni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금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 전극.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나노와이어가 은 나노와이어이며, 상기 지방산의 아민기에 포함된 수소와 상기 은 나노와이어를 캡핑하는 폴리비닐피롤리돈(PVP)의 카보닐 산소가 수소 결합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 전극.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층 상에 전도성 고분자 코팅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 전극.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고분자는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설포네이트) (PEDOT:PSS), 폴리에틸렌디옥시티오펜, 폴리아닐린, 폴리피롤, 폴리티오펜, 폴리p-페닐렌, 폴리p-페닐렌비닐렌, 폴리아세틸렌, 폴리디아세틸렌, 폴리티오펜비닐렌, 폴리플러렌 및 이들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 전극.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고분자는 폴리스티렌술폰산, 도데실벤젠술폰산, 톨루엔술폰산, 켐포술폰산, 벤젠술폰산, 염산 및 이들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도판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 전극.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층 위에 전도성 고분자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 전극의 제조방법. - 제1항 및 제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신축성 전극을 포함하는 신축성 소자.
- 제13항에 있어서,
투명 히터 또는 교류 구동 전계발광 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 소자.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23642A KR102196345B1 (ko) | 2019-02-28 | 2019-02-28 | 신축성 전극 및 이의 제조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23642A KR102196345B1 (ko) | 2019-02-28 | 2019-02-28 | 신축성 전극 및 이의 제조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05050A KR20200105050A (ko) | 2020-09-07 |
KR102196345B1 true KR102196345B1 (ko) | 2020-12-29 |
Family
ID=72472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23642A Active KR102196345B1 (ko) | 2019-02-28 | 2019-02-28 | 신축성 전극 및 이의 제조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96345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60754A (ko) * | 2021-05-28 | 2022-12-06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신축성 기판의 직접 패터닝 방법 및 이를 통하여 제조된 신축성 전극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68234B1 (ko) * | 2021-10-26 | 2022-03-03 | 주식회사 케이엠지 | 이차전지용 바인더, 이를 이용한 복합 분리막 및 이차전지 |
KR102672223B1 (ko) * | 2021-11-09 | 2024-06-07 | 국립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 생체 고분자를 포함하는 신축성 전극 및 이의 제조방법 |
KR102672224B1 (ko) * | 2021-11-09 | 2024-06-04 | 국립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 광변색성 및 열변색성을 갖는 유연 전도성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56247B1 (ko) | 2004-11-30 | 2006-12-11 | 한국화학연구원 | 실란계 커플링제를 이용한 폴리이미드 필름의표면개질방법, 그를 이용한 동박 적층 필름의 제조방법 및그로 제조된 2층 구조의 동박 적층필름 |
US20070269924A1 (en) * | 2006-05-18 | 2007-11-22 | Basf Aktiengesellschaft | Patterning nanowires on surfaces for fabricating nanoscale electronic devices |
CN102648542A (zh) * | 2009-09-29 | 2012-08-22 | 普莱克斯托尼克斯公司 | 有机电子器件、组合物和方法 |
FR2978066B1 (fr) | 2011-07-22 | 2016-01-15 |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 Procede de fonctionnalisation de nanofils metalliques et de fabrication d'electrodes |
KR20150072519A (ko) * | 2013-12-19 | 2015-06-30 | 삼성정밀화학 주식회사 | 오버코트층을 갖는 투명 전극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
-
2019
- 2019-02-28 KR KR1020190023642A patent/KR102196345B1/ko active Active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60754A (ko) * | 2021-05-28 | 2022-12-06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신축성 기판의 직접 패터닝 방법 및 이를 통하여 제조된 신축성 전극 |
KR102549262B1 (ko) | 2021-05-28 | 2023-06-30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신축성 기판의 직접 패터닝 방법 및 이를 통하여 제조된 신축성 전극 |
US11839033B2 (en) | 2021-05-28 | 2023-12-05 | Korea University Research And Business Foundation | Method of directly patterning stretchable substrate and stretchable electrode fabricated by the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05050A (ko) | 2020-09-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96345B1 (ko) | 신축성 전극 및 이의 제조 방법 | |
Liang et al. | Elastomeric polymer light-emitting devices and displays | |
KR100924766B1 (ko) | 금속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탄소 나노튜브(cnt) 박막 및그 제조방법 | |
KR101643754B1 (ko) | 전도성 채널로서 구부러진 탄소나노튜브 필름을 갖는 신축성 트랜지스터 | |
CN103871548A (zh) | 一种柔性透明薄膜电极及其制作方法 | |
KR102392849B1 (ko) | 전기전도성 투명 층의 제조를 위한 결정형 셀룰로오스의 섬유 및 은 나노와이어를 포함하는 조성물 | |
Wang et al. | Quasi in situ polymerization to fabricate copper nanowire-based stretchable conductor and its applications | |
KR101881195B1 (ko) | 나노 복합체를 이용한 변형률 감지센서 및 이의 제조방법 | |
Park et al. | Multifunctional stretchable organic–inorganic hybrid electronics with transparent conductive silver nanowire/biopolymer hybrid films | |
Liu et al. | High-performance strain sensors based on spirally structured composites with carbon black, chitin nanocrystals, and natural rubber | |
CN102522145A (zh) | 一种纳米银透明电极材料及其制备方法 | |
KR20200002700A (ko) | 자가 복원성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소자 | |
Sun et al. | Flexible environment-tolerant electroluminescent devices based on nanocellulose-mediated transparent electrodes | |
Ramadhan et al. | Surface-functionalized silver nanowires on chitosan biopolymers for highly robust and stretchable transparent conducting films | |
KR20160118159A (ko) | 나노 복합체를 이용한 변형률 감지센서 및 이의 제조방법 | |
WO2015050077A1 (ja) | 熱電変換モジュール | |
KR20190071489A (ko) | 고분자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도성 및 신축성이 우수한 투명 전도성 고분자 박막, 및 이를 이용한 투명 전극 및 그 제조 방법 | |
JP2009211978A (ja) | 透明導電膜及びこれを用いた光学装置 | |
Zhou et al. | Foldable and highly flexible transparent conductive electrode based on PDMS/Ag NWs/PEDOT: PSS | |
Entifar et al. | Simultaneously enhanced optical, electr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highly stretchable transparent silver nanowire electrodes using organic surface modifier | |
Na et al. | Plasma polymerization enabled polymer/metal–oxide hybrid semiconductors for wearable electronics | |
CN108962491A (zh) | 一种柔性透明电极的制作方法 | |
Jun et al. | Stretchable photodetector utilizing the change in capacitance formed in a composite film containing semiconductor particles | |
KR101680424B1 (ko) | 전도성 투명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 |
Tran et al. | Copper nanowire-sealed titanium dioxide/poly (dimethylsiloxane) electrode with an in-plane wavy structure for a stretchable capacitive strain sens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22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6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122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12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12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1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