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195622B1 - 밸브 조립체 및 밸브 조립체를 갖는 전기밥솥 - Google Patents

밸브 조립체 및 밸브 조립체를 갖는 전기밥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5622B1
KR102195622B1 KR1020197017053A KR20197017053A KR102195622B1 KR 102195622 B1 KR102195622 B1 KR 102195622B1 KR 1020197017053 A KR1020197017053 A KR 1020197017053A KR 20197017053 A KR20197017053 A KR 20197017053A KR 102195622 B1 KR102195622 B1 KR 1021956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elastic
wall
cavity
sealing memb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7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5042A (ko
Inventor
궈다 허
융캉 청
야오 장
신위 리
징원 리
촹룽 린
Original Assignee
포샨 순더 메이디 일렉트리컬 히팅 어플라이언시스 메뉴팩쳐링 코.,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1621493693.3U external-priority patent/CN206687622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621493631.2U external-priority patent/CN206809164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621493660.9U external-priority patent/CN206809116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621493640.1U external-priority patent/CN206809165U/zh
Application filed by 포샨 순더 메이디 일렉트리컬 히팅 어플라이언시스 메뉴팩쳐링 코.,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포샨 순더 메이디 일렉트리컬 히팅 어플라이언시스 메뉴팩쳐링 코.,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085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50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56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562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8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for withdrawing or condensing cooking vapors from cooking utens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47J36/08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for draining liquids from 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 Electrically Driven Valve-Operat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밸브 조립체 및 밸브 조립체를 적용한 전기밥솥을 개시하는데, 상기 밸브 조립체는 밸브 캐비티와, 밸브 캐비티에 설치된 밀봉 부재를 가지며, 밸브 캐비티는 외부에 연통되고 또한 밸브 포트를 가지며, 밀봉 부재는 밸브 포트의 밀봉에 적합하며 밸브 캐비티에서 동작 가능한 압력 밸브; 밸브 캐비티의 외부에 설치되어 밀봉 부재를 밸브 캐비티의 캐비티 벽에 인접되거나 또는 밸브 포트를 밀봉하게 구동시키는 구동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따르면, 전기밥솥 이동 시에 밀봉 부재가 밸브 캐비티의 캐비티 벽에 충돌되어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Description

밸브 조립체 및 밸브 조립체를 갖는 전기밥솥
본 발명은 밸브 조립체 및 밸브 조립체를 갖는 전기밥솥에 관한 것이다.
현재, 밥 요리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범핑"현상을 이용해 균일하게 밥을 요리하는 전기밥솥이 출현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기밥솥의 뚜껑 본체에 압력 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압력 밸브의 밸브 캐비티는 외부에 연통되는 동시에 상기 밥솥 본체 내부에 연통되는 밸브 포트를 가지며, 밸브 캐비티에는 밸브 포트를 밀봉할 수 있는 밀봉 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밀봉 부재는 밸브 캐비티 내부에서 동작 가능하며, 구동 장치를 통해 밀봉 부재를 구동시켜 동작하게 함으로써 상기 밸브 포트를 개폐하며, 밸브 포트가 일정한 압력에서 개방되어 "범핑"현상을 실현하게 된다.
다만, 밀봉 부재가 밸브 캐비티에서 동작 가능하기에 전기밥솥을 운송하거나 또는 이동 시에 밀봉 부재가 밸브 캐비티의 캐비티 벽에 충돌되어 소음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전기밥솥을 이동할 때 밀봉 부재가 밸브 캐비티에서 동작함으로써 밸브 캐비티의 캐비티 벽에 충돌되어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밸브 조립체 및 상기 밸브 조립체를 갖는 전기밥솥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밸브 조립체는 외부에 연통되며 밸브 포트를 갖는 밸브 캐비티와, 상기 밸브 포트의 밀봉에 적합하며 상기 밸브 캐비티에서 동작 가능한 밀봉 부재를 갖는 압력 밸브;
상기 밸브 캐비티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밀봉 부재를 상기 밸브 캐비티의 캐비티 벽에 인접되거나 또는 상기 밸브 포트를 밀봉하게 구동시키는 구동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전원이 차단 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 장치는 상기 밀봉 부재를 상기 밸브 캐비티의 캐비티 벽에 인접하는 동시에 상기 밸브 포트를 피하도록 구동시킨다.
또한, 상기 구동 장치는 구동원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원은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에 대해 왕복 동작이 가능한 푸시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푸시로드의 동작 방향의 선단은 상기 밀봉 부재에 대응되게 설치되어 상기 밀봉 부재를 상기 밸브 캐비티의 캐비티 벽에 인접되거나 또는 상기 밸브 포트를 밀봉하게 구동시킨다.
또한, 상기 구동 장치는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구동원은 전기 구동원이고, 상기 탄성 부재는 자체의 탄성 변형 방향에 위치한 양단을 가지되, 일단은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푸시로드에 연결되며;
상기 구동원의 전원이 차단될 경우, 상기 푸시로드는 상기 탄성 부재의 작용에 의해 상기 밀봉 부재를 상기 밸브 캐비티의 캐비티 벽에 인접하는 동시에 상기 밸브 포트를 피하도록 구동시키며; 상기 구동원에 전원이 연결될 경우, 상기 푸시로드는 상기 탄성 부재를 압축하여 상기 푸시로드가 자체 동작 방향의 후단으로 수축하게 함으로써 상기 밀봉 부재가 상기 밸브 포트를 밀봉하게 한다.
또한, 상기 구동원은 전자석이고, 상기 푸시로드는 상기 전자석의 철심이며;
또는, 상기 구동원은 전기 실린더이고, 상기 푸시로드는 상기 전기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이며;
또는, 상기 구동원은 모터, 동력 전달 어셈블리 및 전달 바(transfer bar)를 포함하며, 상기 전달 바(transfer bar)는 상기 동력 전달 어셈블리를 통해 상기 모터에 연결되고, 상기 모터는 상기 전달 바(transfer bar)가 왕복 동작을 하도록 구동시키며, 상기 푸시로드는 상기 전달 바(transfer bar)이다.
또한,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기어가 설치되며;
상기 전달 바(transfer bar)에는 상기 기어와 맞물리는 직선형 랙(rack)이 설치되거나 또는 상기 전달 바(transfer bar)에 상기 기어와 맞물리는 원호형 랙(rack)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밸브 캐비티의 캐비티 벽은 상기 밀봉 부재와 대응되게 설치된 탄성 변형 가능한 탄성 벽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 장치는 상기 푸시로드와 연결되고 동작 방향의 선단이 상기 탄성 벽의 외벽에 대응되게 설치된 구동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푸시로드는 구동 부재를 왕복 동작가능하게 구동시켜 상기 구동 부재가 상기 탄성 벽을 탄성 변형되게 구동시키는 동시에 상기 밀봉 부재를 구동하여 동작시킴으로써 상기 밀봉 부재를 상기 밸브 캐비티의 캐비티 벽에 인접되거나 또는 상기 밸브 포트를 밀봉하게 구동시키며, 상기 구동 부재와 상기 탄성 벽은 착탈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상기 탄성 벽에는 체결 챔버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 챔버는 상기 탄성 벽의 외벽면에 챔버 입구를 형성하며, 상기 챔버 입구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체결 챔버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된 탄성 버클 가장자리가 형성되고, 상기 구동 부재 동작 방향의 선단에는 버클 헤드가 설치되고, 상기 버클 헤드는 상기 구동 부재와 연결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상기 구동 부재와 멀리 떨어진 일단에 연결되는 위치제한부를 포함하며, 상기 위치제한부는 자체 동작 방향의 원주면에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는 상기 탄성 버클 가장자리의 내벽면에 인접한다.
또한, 상기 돌기와 상기 탄성 버클 가장자리는 모두 환형으로 설치된다.
상기 탄성 벽은 독립 부재이고, 상기 밸브 캐비티의 캐비티 벽에는 개구가 설치되고, 상기 탄성 벽의 주변에는 환형 홈이 설치되고, 상기 환형 홈의 홈 입구는 상기 푸시로드의 신축 방향의 축선에 수직되는 방향을 향하며, 상기 개구의 가장자리와 상기 환형 홈의 홈 벽은 밀봉 연결된다.
또한, 상기 탄성 벽의 재료는 고무 또는 실리콘이다.
또한, 상기 푸시로드의 상기 본체부와 멀리 떨어진 선단의 주변 벽이 상기 푸시로드의 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돌출 리브를 형성하고, 상기 푸시로드의 돌출 리브를 가진 위치의 횡단면이 상기 돌출 리브가 설치되지 않는 위치의 횡단면보다 넓으며; 상기 구동 장치는 삽입홈을 가진 구동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삽입홈은 상기 돌출 리브가 상기 푸시로드의 동작 방향의 측 방향을 따라 삽입되는 제1 홈 입구 및 푸시로드 축 방향에 위치하는 제2 홈 입구를 가지며, 상기 제2 홈 입구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제2 홈 입구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된 버클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 리브와 상기 버클의 내벽면은 인접된다.
또한, 상기 구동 부재는 환형 판형으로 설치되고, 상기 삽입홈은 상기 구동 부재의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 홈 입구는 상기 구동 부재의 측판 표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홈 입구는 상기 구동 부재의 내측의 단부 표면에 형성되는 한편 환형의 중심을 향하며, 상기 구동 부재는 상기 구동원의 외측에 덧씌워진다.
또한, 상기 삽입홈과 상기 제1 홈 입구가 대응되는 홈 바닥은 반원호 형상으로 설치되고, 상기 돌출 리브는 원형으로 설치된다.
또한, 상기 구동 장치는 지지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 부재는 판형부를 포함하고, 상기 판형부의 판 표면이 상기 지지 부재에 지지되며, 상기 판형부에는 상기 판형부의 판 표면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관통홈이 설치되고, 상기 관통홈은 상기 구동 부재의 동작 방향에 따라 연장되며, 상기 지지 부재에는 상기 관통홈을 관통하는 탄성 버클이 설치되고, 상기 탄성 버클의 상기 지지 부재와 멀리 떨어진 일단에 신축가능한 탄성 단부가 설치되고, 상기 탄성 단부의 외주면에는 위치 제한 플랜지가 설치되며, 상기 위치 제한 플랜지와 상기 관통홈의 폭 방향의 두 홈 가장자리가 서로 인접된다.
또한, 상기 탄성 버클은 서로 대응되게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지지 부재와 연결되는 두개의 탄성 벽을 포함하고, 두개의 상기 탄성 벽의 상기 지지 부재와 멀리 떨어진 일단이 서로 대향되어 상기 위치 제한 플랜지를 형성하고, 두개의 상기 위치 제한 플랜지는 각각 상기 관통홈의 폭 방향의 두개의 홈 가장자리에 인접된다.
또한, 상기 관통홈과 상기 탄성 버클은 쌍으로 설치됨과 동시에 여러쌍 설치된다.
또한, 상기 밸브 조립체는 밸브 커버 및 밸브 시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밸브 커버는 상기 밸브 시트에 고정 연결되고, 상기 밸브 커버와 상기 밸브 시트는 상기 밸브 캐비티를 형성하며, 상기 밸브 조립체는 개스킷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밸브 시트에는 상기 밸브 포트가 설치되고, 상기 밀봉 부재는 상기 개스킷에 커버되어 상기 밸브 포트를 밀봉한다.
또한, 상기 밸브 포트는 상기 밸브 시트의 중심에 설치되고, 상기 밀봉 부재는 원주 방향으로 상기 밸브 포트를 둘러싼다.
또한, 상기 밸브 시트는 상기 밀봉 부재의 표면을 향해 수용홈이 설치되고, 상기 개스킷은 상기 수용홈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개스킷의 높이가 상기 수용홈의 깊이보다 크다.
또한, 상기 밀봉 부재가 인접되는 상기 밸브 캐비티의 내벽에는 상기 밀봉 부재의 외형에 대응되는 요홈이 형성된다.
본 발명은 또한 조리 될 음식물이 수용되며 상부에 밥솥 입구를 가진 밥솥 본체;
밥솥 본체에 씌워져 상기 밥솥 입구를 개폐하는 뚜껑 본체;
상기 뚜껑 본체에 설치되고, 밸브 캐비티와, 상기 밸브 캐비티에 설치된 밀봉 부재를 가지며, 상기 밸브 캐비티는 외부에 연통되고 또한 밸브 포트를 가지며, 상기 밀봉 부재는 상기 밸브 포트의 밀봉에 적합하며 상기 밸브 캐비티에서 동작 가능한 압력 밸브;
상기 뚜껑 본체에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밸브 캐비티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밀봉 부재를 상기 밸브 캐비티의 캐비티 벽에 인접되거나 또는 상기 밸브 포트를 밀봉하게 구동시키며, 상기 밸브 포트와 상기 밥솥 본체의 내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동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기밥솥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패널과, 패널에 설치된 밸브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 조립체는 밸브 커버 및 밸브 시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밸브 커버는 상기 밸브 시트에 고정 연결되고, 상기 밸브 커버와 상기 밸브 시트는 상기 밸브 캐비티를 형성하며, 상기 밸브 조립체는 개스킷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밸브 시트에는 상기 밸브 포트가 설치되고, 상기 밀봉 부재는 상기 개스킷에 커버되어 상기 밸브 포트를 밀봉하며;
상기 패널에는 상기 밸브 시트와 대응되는 연결홀이 설치되고, 상기 밸브 시트의 밀봉 부재와 멀리 떨어진 일단이 상기 연결홀의 홀 벽에 고정 연결되고, 상기 밸브 포트와 상기 연결홀이 연통되는 전기밥솥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패널과 상기 밸브 시트의 연결부위에 밀봉링이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동 장치를 통해 밀봉 부재를 밸브 캐비티의 캐비티 벽에 인접되게 구동시키는데,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밸브 조립체를 적용한 제품, 예를 들어 전기밥솥이 작업상태가 아닌 이동상태인 경우, 밀봉 부재가 구동 장치에 의해 제어되어 밸브 캐비티의 캐비티 벽에 인접됨과 동시에 밸브 포트를 피하게 됨으로써 밀봉 부재가 밸브 캐비티에서 흔들림으로 인해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피면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전기밥솥이 작업상태인 경우, 구동 장치를 밀봉 부재와의 인접 상태에서 이탈시켜 밀봉 부재가 밸브 포트를 밀봉하도록 설치할 수 있으며, 또한 전기밥솥 내부가 고압상태일 경우에는 구동 장치를 통해 밀봉 부재를 밸브 캐비티의 캐비티 벽에 인접되게 구동시킴으로써 밸브 포트를 개방하여 "범핑"현상을 실현하여 균일하게 밥을 요리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또는 종래 기술의 과제 해결 수단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이하에서 실시예 또는 종래 기술의 설명에 사용되는 도면을 간략하게 설명하며, 명백히 알수 있는 것은,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도면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당업자는 창의적인 작업을 거치지 않고서도 이러한 도면에 도시 된 구조에 따라 다른 도면을 도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기밥솥의 실시예의 일부분 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부위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의 밀봉 부재가 캐비티 벽에 인접된 것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는 도 2의 B부위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4의 탄성 벽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구동 부재의 부분 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구동원 및 구동 부재가 조합된 상태를 나타낸 구조도이다.
도 8은 도 7의 C부위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9는 도 7의 구동원 및 구동 부재가 조합된 상태를 다른 각도에서 나타낸 구조도이다.
도 10은 도 9의 D-D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9의 E-E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의 구동원, 구동 부재 및 지지 부재가 조합된 상태를 나타낸 구조도이다.
도 13은 도12의 F-F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의 뚜껑 본체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구현, 기능적 특징 및 장점에 대해서는 실시예와 첨부도면을 결부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의 첨부도면을 결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과제 해결 수단에 대해 완전하고 명백하게 설명하지만, 여기서 설명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부분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인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기반으로 창의적인 작업을 거치지 않고 취득한 모든 기타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설명이 필요한 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방향을 지시하는 용어(예를 들어, 상, 하, 좌, 우, 전, 후 등)의 경우, 상기 방향을 지시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 자세(도면 도시 참조)에서 각 구성 요소간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 동작 상태 등을 해석하기 위한 것이며, 만일 상기 특정 자세에 변화가 발생하면 상기 방향을 지시하는 용어도 따라서 변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의 경우, 상기 "제1", "제2"등의 용어는 단지 설명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기술 특징의 수량을 지시하거나 암시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서는 안된다. 따라서, "제1" 또는 "제2"에 의해 한정된 특징은 명시적으로 또는 암시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실시예의 과제 해결 수단은 서로 결합 될 수 있지만, 반드시 당업자가 구현 가능한 것을 기반으로 하며, 만일 과제 해결 수단의 결합에 있어 서로 모순되거나 구현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과제 해결 수단의 결합이 존재하지 않으며, 이와 동시에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도 속하지 않는 것으로 간주해야 한다.
본 발명은 밸브 조립체를 제시한다.
도 1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밸브 조립체는 밸브 캐비티(21) 및 밸브 캐비티(21)에 설치된 밀봉 부재(22)를 가지며, 밸브 캐비티(21)는 외부에 연통됨과 동시에 밸브 포트(23)를 가지며, 밀봉 부재(22)는 밸브 포트(23)의 밀봉에 적합하며, 또한 밸브 캐비티(21)에서 동작가능한 압력 밸브(20);
밸브 캐비티(21)외부에 설치되어 밀봉 부재(22)를 밸브 캐비티(21)의 캐비티 벽에 인접되거나 또는 밸브 포트(23)를 밀봉하게 구동시키는 구동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동 장치(10)를 통해 밀봉 부재(22)를 밸브 캐비티(21)의 캐비티 벽에 인접되게 구동시키는데,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밸브 조립체를 적용한 제품, 예를 들어 전기밥솥이 작업상태가 아닌 이동상태인 경우, 밀봉 부재(22)가 구동 장치에 의해 제어되어 밸브 캐비티(21)의 캐비티 벽에 인접됨과 동시에 밸브 포트(23)를 피하게 됨으로써 밀봉 부재(22)가 밸브 캐비티(21)에서 흔들림으로 인해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피면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전기밥솥이 작업상태인 경우, 구동 장치를 밀봉 부재(22)와의 인접 상태에서 이탈시켜 밀봉 부재(22)가 밸브 포트(23)를 밀봉하도록 설치할 수 있으며, 또한 전기밥솥 내부가 고압상태일 경우에는 구동 장치를 통해 밀봉 부재(22)를 밸브 캐비티(21)의 캐비티 벽에 인접되게 구동시킴으로써 밸브 포트(23)를 오픈하여 "범핑"현상을 실현하여 균일하게 밥을 요리하는 목적을 달성한다.
본 발명은 밸브 조립체가 전원이 차단된 상태인 경우 구동 장치가 밀봉 부재(22)를 밀봉 부재(22)가 밸브 캐비티의 캐비티 벽에 인접하는 동시에 밸브 포트(23)를 피하도록 구동하게 설치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효과를 달성한다.
도 2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캐비티(21)의 캐비티 벽은 밀봉 부재(22)와 대응되게 설치된 탄성 변형이 가능한 탄성 벽(213)을 포함하고, 구동 장치(10)는 구동원(11) 및 구동 부재(12)를 포함하고, 구동원(11)은 본체부(111) 및 본체부(111)에 대해 상대적으로 왕복 동작이 가능한 푸시로드(113)를 포함하고, 구동 부재(12)와 푸시로드(113)는 서로 연결(이해할 수 있는 것은, 구동 부재(12)와 푸시로드(113)가 일체로 형성될수도 있음)되며, 푸시로드(113)는 구동 부재(12)를 왕복 동작가능하게 구동시키며, 구동 부재(12)의 동작 방향의 선단은 탄성 벽(213)의 외벽에 대응되게 설치되며, 구동 부재(12)가 탄성 벽(213)을 탄성 변형되게 구동시키는 동시에 밀봉 부재(22)를 구동하여 동작시킴으로써 밸브 포트(23)를 개폐하며; 여기서, 밀봉 부재(22)는 고정위치를 갖고, 이때 밀봉 부재(22)는 밸브 캐비티(21)의 캐비티 벽사이에 고정되어 탄성 벽(213)에 인접된다. 다시 말하면, 탄성 벽(213)의 탄성 변형을 통해 밀봉 부재(22)를 동작가능하게 구동시키는 것을 실현하며, 따라서 밀봉 부재(22)를 밸브 캐비티(21)의 캐비티 벽사이에 고정시킬 수 있고, 이때 밀봉 부재(22)는 탄성 벽(213)에 인접된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다른 실시예에서, 구동 부재(12)를 직접 밸브 캐비티(21) 내부에 삽입하여 탄성 벽(213)을 통하지 않고 직접 밀봉 부재(22)에 인접시킬 수 있는데, 이런 방식을 이용하면, 반드시 밸브 캐비티(21)의 밀폐성 문제를 감안해야 한다.
구동 장치의 구조를 단순화하기 위해, 구동원(11)을 설치해 구동 부재(12)를 구동시켜 직선 왕복 동작을 하게 한다.
구체적으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석과, 전자석의 철심과 연결되는 탄성 부재(13)(탄성 부재(13)로서 스프링을 사용할 경우, 일단은 철심의 코일(312)과 멀리 떨어진 일단에 연결하고, 타단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코일(312)과 인접하게 함)를 포함하는 구동원(11)을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 푸시로드(113)는 전자석의 철심이고 구동 부재(12)는 전자석의 철심과 연결되며, 전자석에 전원이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탄성 부재(13)의 철심에 대한 탄력에 의해 철심이 전자석의 코일과 멀리 떨어지게 되며, 구동 부재(12)는 탄성 벽(213)에 인접되고, 밀봉 부재(22)는 고정위치에 위치하게 되는데, 다시 말하면, 캐비티 벽에 인접함과 동시에 밸브 포트(23)를 피한다. 전자석에 전원이 연결될 경우, 철심이 계속하여 탄성 부재(13)를 압축하여 구동 부재(12)가 자체 동작 방향의 후단으로 수축되게 하는데, 다시 말하면, 구동 부재(12)의 코일과 멀리 떨어진 일단이 코일방향으로 동작하여 밀봉 부재(22)가 밸브 포트(23)를 밀봉하게 한다. 상기 밸브 조립체를 전기밥솥에 적용할 경우, 전기밥솥에 전원이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탄성 부재(13)의 작용력에 의해 탄성 벽(213)을 변형되도록 구동시키며, 또한 밀봉 부재(22)의 동작을 구동하여 밀봉 부재(22)가 밸브 캐비티(21)의 캐비티 벽사이에 고정되게 함으로써 전기밥솥 이동 시에 밀봉 부재(22)가 밸브 캐비티(21)에서 동작됨으로 인해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한다. 전기밥솥에 전원이 연결되어 작동될 경우, 전자석의 철심 운동을 통해 탄성 벽(213)이 밀봉 부재(22)에 대한 작용을 해소하고, 밀봉 부재(22)가 밸브 포트(23)를 밀봉하게 되어 전기밥솥 내부의 압력을 증가시키며, 또한 전기밥솥 내부의 압력이 미리 설정한 압력을 초과할 경우 즉시 솔레노이드 밸브에서의 철심의 작용력을 취소함으로써 탄성 부재(13)의 반력에 의해 계속해서 이전 처럼 탄성 벽(213)을 변형되게 구동시키고 밀봉 부재(22)의 동작을 구동하여 밸브 포트(23)를 개방하여 "범핑"현상을 달성한다. 물론, 다른 실시예에서, 솔레노이드 밸브에서의 철심의 작용력을 취소하는 것을 솔레노이드 밸브에서의 철심의 작용력을 적절히 개변시키도록 설치하여 밀봉 부재(22)의 고정을 구현할 필요가 없이 밸브 포트(23)를 오픈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솔레노이드 밸브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원리로서, 전기 실린더와, 전기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에 연결되는 탄성 부재(13)를 포함하는 구동원(11)을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 푸시로드(113)는 전기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이고, 구동 부재(12)는 전기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에 연결되며, 전기 실린더에 전원이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피스톤 로드가 탄성 부재(13)를 압축하면 탄성 부재(13)의 피스톤 로드에 대한 탄성력에 의해 피스톤 로드가 실린더의 실린더 배럴로부터 멀리 떨어지게 되며, 구동 부재(12)는 탄성 벽(213)에 인접되고, 밀봉 부재(22)는 고정위치에 위치한다. 전기 실린더에 전원이 연결될 경우, 피스톤 로드가 계속하여 탄성 부재(13)를 압축하여 구동 부재(12)가 자체 동작 방향의 후단으로 수축하여 밀봉 부재(22)가 밸브 포트(23)를 밀봉할 수 있게 한다. 상기 해결수단도 밀봉 부재(22)가 밸브 캐비티(21)에서 동작함으로 인해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범핑"현상도 실현할 수 있다.
솔레노이드 밸브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원리로서, 모터와, 모터와 동력 전달 어셈블리를 통해 연결되는 전달 바(transfer bar)와, 전달 바(transfer bar)에 연결되는 탄성 부재(13)를 포함하는 구동원을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 푸시로드(113)는 전달 바(transfer bar)이고, 구동 부재(12)는 전달 바(transfer bar)와 연결되며, 모터에 전원이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전달 바(transfer bar)가 탄성 부재(13)를 압축하면 탄성 부재(13)의 전달 바(transfer bar)에 대한 탄성력에 의해 전달 바(transfer bar)가 구동 부재(12)를 구동 부재(12) 동작 방향의 선단으로 동작하게 구동시키며, 구동 부재(12)는 탄성 벽(213)에 인접되고, 밀봉 부재(22)는 고정위치에 위치한다. 모터에 전원이 연결될 경우, 모터가 전달 바(transfer bar)를 회전시켜 계속하여 탄성 부재(13)를 압축하여 구동 부재(12)가 자체 동작 방향의 후단으로 수축되어 밀봉 부재(22)가 밸브 포트(23)를 밀봉할 수 있게 한다. 상기 해결수단도 밀봉 부재(22)가 밸브 캐비티(21)에서 동작함으로 인해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범핑"현상도 실현할 수 있다. 여기서, 전달 바(transfer bar)에 직선형 랙(rack)을 설치하고, 모터의 회전축에 직선형 랙(rack)과 맞물리는 기어를 설치함으로써 전달 바(transfer bar)의 직선 왕복 동작을 구현할 수 있는데, 상기 구조는 간단하고 실용적이다. 물론, 회전 레버를 포함하는 동력 전달 어셈블리를 설치하여 피스톤 운동과 유사한 구조를 실현할 수도 있다. 물론, 전달 바(transfer bar)에 기어와 맞물리는 원호형 랙(rack)를 설치함으로써 구동 부재(12)의 만곡 운동을 실현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구동 부재(12)와 탄성 벽(213)은 착탈가능하게 연결된다. 구동 부재(12)와 탄성 벽(213)을 착탈가능하게 연결하면 구동 부재(12)와 탄성 벽(213)의 연결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탄성 벽(213)의 변형 동작이 더욱 안정하게 하여 더욱 안정하게 밀봉 부재(21)에 접촉함으로써, 밀봉 부재(21)가 제1 밸브 포트(22)를 더욱 안정하게 개방하거나 밀봉할 수 있게 한다.
구체적으로, 구동 부재(12)와 탄성 벽(213)은 나사 구조 또는 버클 구조로 연결됨으로써 구동 부재(12)와 탄성 벽(213)의 착탈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구동 부재(12)는 막대형 구조 또느 판형 구조일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탄성 변형 가능한 탄성 벽(213)은 자체의 탄성 구조를 통해 구현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탄성 변형 가능한 환형 탄성 벽면을 포함하는 탄성 벽(213)을 설치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굴곡 벽면 또는 주름면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탄성 재료로 제작된 탄성 벽(213)을 설치할 수도 있는데, 예를 들어,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탄성 벽(213)을 제조할 수 있다. 물론, 탄성 구조를 포함하는 동시에 탄성 재료로 제작된 탄성 벽(213)을 설치할 수도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탄성 벽(213)에는 체결 챔버(2131)가 형성되고, 체결 챔버(2131)는 탄성 벽(213)의 외벽면에 챔버 입구(2132)를 형성하며, 챔버 입구(2132)의 가장자리에는 체결 챔버(2131)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된 탄성 버클 가장자리(2133)가 형성되며, 구동 부재(12) 동작 방향의 선단에는 버클 헤드(121)가 설치되고, 버클 헤드(121)는 구동 부재(12)에 연결되는 연결부(1211) 및 연결부(1211)의 구동 부재(12)와 멀리 떨어진 일단에 연결된 위치제한부(1212)를 포함하며, 위치제한부(1212)는 자체 동작 방향의 외주면에 돌기(1213)가 형성되고, 돌기(1213)는 탄성 버클 가장자리(2133)의 내벽면에 인접된다. 따라서, 구동 부재(12)와 탄성 벽(213)의 착탈에 편리할 뿐만 아니라, 돌기(1213)와 탄성 버클 가장자리(2133)의 내벽면이 인접됨으로써 양자의 결합의 안정성을 제고하며, 버클 헤드(121)가 체결 챔버(213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버클 헤드(121)와 체결 챔버(2131)의 연결의 안정성을 한층 더 제고하기 위해, 돌기(1213)와 탄성 버클 가장자리(2133)가 모두 환형으로 설치되는데, 이런 경우 돌기(1213)와 탄성 버클 가장자리(2133)사이의 인접면을 증가시킴으로써 양자의 결합을 강화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돌기(1213)를 스트립 형상으로 설치할 수도 있으며, 또한 복수개 설치할 수 있다.
버클 헤드(121)와 체결 챔버(2131)의 체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돌기(1213)의 구동 부재(12)와 멀리 떨어진 일단에 리드각(1213a)을 설치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돌기(1213)의 구동 부재(12)와 멀리 떨어진 일단에 경사면 또는 곡면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버클 헤드(121)를 체결 챔버(2131)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의 편리를 위해. 버클 헤드(121)와 구동 부재(12)를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출 성형에 의해 성형하면 간단하고 실용적이고, 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여기서, 주의할 점은 구동 부재(12)의 두께를 일치하게 유지하여 구동 부재(12)의 안정성을 제고해야 한다.
밀봉 부재(22)가 밸브 캐비티(21)의 캐비티 벽에 인접되는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밀봉 부재(22)와 인접되는 밸브 캐비티(21)의 캐비티 벽의 내벽면에 밀봉 부재(22)의 외형과 대응되는 요홈을 설치하여 밀봉 부재(22)와 캐비티 벽사이의 마찰력을 제고하여 밀봉 부재(22)가 캐비티 벽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밀봉 부재(22)의 밸브 캐비티(21)에서의 원활한 동작과 밀봉 부재(22)의 밸브 포트(23)에 대한 밀봉 안정성을 달성하기 위해, 밀봉 부재(22)를 구형으로 설치할 수 있다.
밸브 캐비티(21)의 캐비티 벽의 구조가 흔히 상대적으로 안정한 구조로 설치되는 것을 감안하여, 탄성 벽(213)을 용이하게 설치하기 위해, 탄성 벽(213)을 독립 부재로 설치할 수 있으며, 밸브 캐비티(21)의 캐비티 벽에는 개구(미도시)를 설치하고, 탄성 벽(213)의 주변에는 환형 홈(2134)을 설치하며, 환형 홈(2134)의 홈 입구는 구동 부재(12)의 신축 방향의 축선에 수직되는 방향을 향하게 하여 개구의 가장자리와 환형 홈(2134)의 홈 벽이 밀봉 연결되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탄성 벽(213)이 탄성 변형되는 경우, 개구를 형성하는 가장자리가 환형 홈(2134)의 홈 벽에 대해 반력을 가지기 때문에 탄성 벽(213)이 개구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밸브 캐비티(21) 내부의 수증기가 구동 장치에 진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탄성 벽(213)을 밸브 캐비티(21)의 다른 캐비티 벽과 일체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탄성 구조를 가진 탄성 벽(213)을 설치하는 것을 통해 탄성 벽(213)의 탄성 변형을 실현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시로드(113)의 본체부와 멀리 떨어진 선단 주변 벽이 푸시로드(113)의 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돌출 리브(1131)를 형성하고, 푸시로드(113)의 돌출 리브(1131)를 가진 위치의 횡단면이 돌출 리브(1131)가 설치되지 않은 위치의 횡단면보다 넓다. 구동 장치(10)는 구동 부재(12)를 더 포함하며, 구동 부재(12)는 삽입홈(122)을 가지고, 삽입홈(122)은 돌출 리브(1131)가 푸시로드(113) 동작 방향의 측방향에서 삽입되는 제1 홈 입구(1221) 및 푸시로드(113)의 축방향에 위치하는 제2 홈 입구(1222)를 가지며, 제2 홈 입구(1222)의 가장자리에는 제2 홈 입구(1222)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된 버클(1223)이 형성되고, 돌출 리브(1131)와 버클(1223)의 내벽면이 인접된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서 푸시로드(113)의 본체부와 멀리 떨어진 선단 주변 벽이 푸시로드(113)의 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돌출 리브(1131)를 형성하고 돌출 리브(1131)와 버클(1223)의 내벽면이 인접되는데, 다시 말하면, 돌출 리브(1131)와 삽입홈(122)의 조합을 통해 푸시로드(113)와 구동 부재(12)의 연결을 실현하는데, 구동 부재(12)와 푸시로드(113)사이의 연결효율을 제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양자의 연결 안정성을 보증하고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다.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부재(12)는 환형 판형태로 설치되고, 삽입홈(122)은 구동 부재(12)의 내측에 형성되며, 제1 홈 입구(1221)는 구동 부재(12)의 측판 표면에 형성되고, 제2 홈 입구(1222)는 구동 부재(12)의 내측의 단부 표면에 형성됨과 동시에 환형의 중심을 향하며, 구동 부재(12)가 구동원(11)의 외측에 덧씌워지는데, 이 경우, 구동 부재(12)의 구조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푸시로드(113)가 구동 부재(12)의 동작을 구동하는 안정성을 실현할 수 있다.
구동 부재(12)와 푸시로드(113)의 연결 안정성을 한층 향상시키기 위해, 도 8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홈(122)과 제1 홈 입구(1221)가 대응되는 홈 바닥을 반원호형으로 설치할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돌출 리브(1131)를 원형으로 설치하여 구동 부재(12)와 푸시로드(113)가 연결되는 접촉면을 증가함으로써 양자사이의 마찰력을 제고할 수 있다.
구동 부재(12)의 직선운동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부재(14)를 더 포함하는 구동 장치(10)를 설치하며, 구동 부재(12)는 판형부(124)를 포함하고, 판형부(124)의 판 표면이 지지 부재(14)에 의해 지지되며, 판형부(124)에는 판형부(124)의 판 표면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관통홈(1241)이 설치되고, 관통홈(1241)은 구동 부재(12)의 동작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지지 부재(14)에는 관통홈(1241)을 관통하는 탄성 버클(141)이 설치되고, 탄성 버클(141)의 지지 부재(14)와 멀리 떨어진 일단에 수축가능한 탄성 단부가 설치되고, 탄성 단부의 외주면에 위치 제한 플랜지(1411)가 설치되며, 위치 제한 플랜지(1411)와 관통홈(1241)은 폭 방향의 두개의 홈 가장자리를 따라 인접된다. 이에 따라, 구동 부재(12)가 지지 부재(14)와 탄성 단부사이에 고정됨으로써 구동 부재(12)가 동작시에 기타 방향으로 편향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 버클(141)은 대응되게 설치됨과 동시에 지지 부재(14)와 연결된 두개의 탄성 아암(1412)을 포함하며, 두 탄성 아암(1412)의 지지 부재(14)와 멀리 떨어진 일단이 각각 반대방향을 향해 위치 제한 플랜지(1411)를 형성하며, 두 위치 제한 플랜지(1411)는 각각 관통홈(1241)의 폭 방향의 두 홈 가장자리에 인접되는데, 이 경우, 구동 부재(12)가 지지 부재(14)와 위치 제한 플랜지(1411)사이에 제한됨으로써 구동 부재(12)의 동작의 안정성을 보증할 수 있다. 상기 구동 부재(12)의 동작의 안정성을 한층 더 향상시키기 위해, 관통홈(1241)과 탄성 버클(141)을 쌍을 이루어 여러쌍 설치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관통홈(1241)을 구동 부재(12)의 주변을 따라 균일한 간격으로 설치함으로써 구동 부재(12)의 가장자리가 들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쌍을 설치하였고, 그중 2쌍은 서로 대응되게 설치되며, 다른 한쌍은 상기 두쌍의 대칭선에 설치된다.
밸브 조립체는 밸브 커버(211) 및 밸브 시트(212)를 포함하며, 밸브 커버(211)는 밸브 시트(212)에 고정 연결되고, 밸브 커버(211)와 밸브 시트(212)는 밸브 캐비티(21)를 형성하며, 밸브 조립체는 또한 개스킷(24)을 더 포함하며, 밸브 시트(212)에는 밸브 포트(23)가 설치되고, 밀봉 부재(22)는 개스킷(24)을 커버하며 밸브 포트(23)를 밀봉한다.
본 실시예에서, 전기밥솥이 작동중인 경우, 조리 공간은 밀폐 공간이며, 내부 증기압력이 일정한 값에 도달할 때에는 비교적 큰 압력이 뚜껑 본체(100)를 밀게 되며, 이 경우, 밸브 조립체를 개방하여, 다시 말하면, 증기압을 통해 밀봉 부재(22)가 개스킷(24)에서 이탈되게 함과 동시에 밸브 포트(23)를 열어 일부분 증기를 배출하여 내부의 증기 압력을 항상 일정한 값으로 유지함으로써 조리되는 음식의 맛을 보장한다. 전기밥솥은 밸브 조립체를 통해 개스킷(24)을 설치하게 되고, 개스킷(24)은 일반적으로 탄성이 있는 연질 재료로서 밀봉 부재(22)와 접촉 시에 밀봉 부재(22)에 의해 압착되어 미세한 변형이 일어나게 되어 밀봉 부재(22)의 외부표면에 치밀하게 부착되며, 이에 따라 밀봉 부재(22)가 밸브 포트(23)를 충분히 밀봉하게 됨으로써 전기밥솥 내부의 압력이 요구되는 정확한 값에 도달하도록 보장하고 전기밥솥의 밥 요리 효과를 향상시킨다. 따라서, 상기 구조의 밸브 조립체는 밀봉특성이 우수한 장점을 가진다. 개스킷(24)의 재료는 실리콘 또는 고무일 수 있으며, 또한 기타 탄성재료일 수도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구체적으로, 밸브 포트(23)는 밸브 시트(212)의 중심에 설치되며, 개스킷(24)이 원주 방향으로 밸브 포트(23)를 둘러싼다.
본 실시예에서, 밸브 포트(23)는 밸브 시트(212)의 중심에 설치되어 증기압력이 상기 밸브 시트(212)에 대한 충격력이 비교적 균일하게 함으로써 밸브 조립체의 구조 안정성과 사용수명을 보증한다. 이와 동시에, 개스킷(24)이 원주 방향으로 밸브 포트(23)를 둘러쌈으로써 밀봉 부재(22)가 밸브 포트(23)를 밀봉할 때 그 원주 방향이 모두 개스킷(24)과 접촉되어 밀봉효과를 보다 양호하게 달성 할 수 있다.
계속하여 도 2를 참조하면, 밸브 시트(212)에는 밀봉 부재(22)의 표면을 향해 수용홈(2121)이 설치되며, 개스킷(24)이 수용홈(2121)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밸브 시트(212)에는 개스킷(24)과 대응되는 수용홈(2121)이 설치되며, 개스킷(24)은 탄성을 가진 재료이기 때문에 개스킷(24)과 수용홈(2121)은 억지 끼워맞춤 방식으로 결합되어 개스킷(24)이 수용홈(2121)에 충분히 결합되게 하며, 간단하고 편리하며 조립이 용이하다. 개스킷(24)의 횡단면의 형상은 환형이며, 밀봉 부재(22)에 인접한 일측의 폭이 비교적 크고, 밀봉 부재(22)와 멀리 떨어진 일측의 폭이 비교적 작음으로써 밀봉 부재(22)와 개스킷(24)의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더욱 충분히 밀봉되게 하며, 수용홈(2121)의 형상은 개스킷(24)의 형상과 대응된다. 물론, 개스킷(24)은 접착방식에 의해 밸브 시트(212)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개스킷(24)의 높이가 수용홈(2121)의 깊이보다 크다.
본 실시예에서, 개스킷(24)의 높이가 수용홈(2121)의 깊이보다 크기 때문에 개스킷(24)이 밸브 시트(212)보다 돌출되어 밀봉 부재(22)의 표면을 향할 수 있으며, 또한 개스킷(24)이 밸브 포트(23)의 개구위치보다 높기 때문에 밀봉 부재(22)가 밸브 포트(23)를 밀봉할 때 밸브 포트(23) 주위의 개스킷(24)과 더욱 용이하게 접촉하게 되어 더욱 우수한 밀봉 효과를 달성한다. 이와 동시에, 개스킷(24)을 일정 시간 사용 후 어느 정도 파손되어도 양호한 밀봉효과를 발휘할 수 있으므로 상기 구조의 밸브 조립체는 사용수명이 길고 교환 빈도가 낮아 자원을 절약할 수 있다.
뚜껑 본체(211)에는 밸브 캐비티(21)와 연통되는 공기 배출구(2111)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밸브 시트(212)의 밸브 포트(23)를 통과한 수증기가 제때에 외부로 배출되게 하기 위해, 뚜껑 본체(211)에 공기 배출구(2111)가 설치되고, 상기 공기 배출구(2111)는 밸브 캐비티(21)와 연통되며, 전기밥솥 내부의 증기가 밸브 포트(23)를 통해 밸브 캐비티(21)에 배출되는 경우, 외부와 연통된 공기 배출구(2111)를 통해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상기 구조의 설치에 의해, 밸브 조립체가 더욱 안전하고 사용이 편리하게 된다.
본 발명은 전기밥솥을 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밥솥은 조리 될 음식물이 수용되며, 상부에 음식물을 넣거나 푸기 위한 밥솥 입구를 가진 밥솥 본체(200);
밥솥 본체(200)에 씌워져 밥솥 입구를 개폐하는 뚜껑 본체(100);
뚜껑 본체(100)에 설치되고, 밸브 캐비티(21)와, 밸브 캐비티(21)에 설치된 밀봉 부재(22)를 가지며, 밸브 캐비티(21)는 외부에 연통되고 또한 밸브 포트(23)를 가지며, 밀봉 부재(22)는 밸브 포트(23)의 밀봉에 적합하며 밸브 캐비티(21)에서 동작 가능한 압력 밸브(20);
밸브 캐비티(21)의 외부에 설치되어, 밀봉 부재(22)를 밸브 캐비티(21)의 캐비티 벽에 인접되거나 또는 밸브 포트(23)를 밀봉하게 구동시키는 구동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뚜껑 본체(100)는 패널(30) 외측에 고정 연결되어 보호 및 장식 작용을 하는 케이싱(미도시)을 더 포함한다. 밸브 조립체와 패널(30)은 리벳 연결, 버클 연결 또는 기타 연결방식에 의해 연결될 수 있으며, 착탈 가능한 연결방식을 이용하여 밸브 조립체를 용이하게 설치 및 교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밸브 조립체는 리벳 연결방식으로 패널(30)에 고정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기밥솥은 패널(30)과, 패널(30)에 설치된 밸브 조립체를 포함하며, 패널(30)에는 밸브 시트(212)와 대응되는 연결홀(31)이 설치되고, 밸브 시트(212)의 밀봉 부재(22)와 멀리 떨어진 일단이 연결홀(31)의 홀 벽에 고정 연결되며, 밸브 포트(23)는 연결홀(31)과 연통된다.
본 실시예에서, 뚜껑 본체(100)의 패널(30)에 연결홀(31)이 설치되고, 상기 연결홀(31)의 홀 벽은 계단형을 나타내며, 밸브 시트(212)의 밀봉 부재(22)와 멀리 떨어진 일단의 형상이 상기 형상에 대응되며, 플랜지형 모서리의 설치를 통해, 밸브 시트(212)와 연결홀(31)의 홀 벽이 더욱 잘 결합되게 하며, 다시 고정부재를 사용하여 고정하기에 상기 구조는 안정하고 견고하다. 뚜껑 본체(100)는 전기밥솥의 밥솥몸체(미도시)에 덧씌워져 밥솥몸체와 함께 조리 공간을 형성하며, 뚜껑 본체(100)의 연결홀(31)은 조리 공간과 직접 연통되어 밸브 포트(23)가 연결홀(31)과 연통되게 하며, 조리 공간의 증기가 일정한 압력하에서 제때에 배출되게 함으로써 전기밥솥의 증기압력이 항상 조리에 필요한 압력을 유지하여 양호한 조리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와 동시에, 패널(30)과 밸브 시트(212)의 연결부위에는 밀봉링(33)이 설치되어 밸브 시트(212)와 패널(30) 사이의 이음매가 없는 충분한 연결을 보증하며, 공기가 누설되지 않고 상기 뚜껑 본체(100)의 밀봉특성을 한층 더 향상시킴으로써 전기밥솥 내부의 증기압력이 요구하는 유효값에 도달하게 한다.
상기한 설명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내에서 본 발명의 명세서 와 첨부도면을 이용하여 실시한 동등한 구조의 변경 또는 직접/간접적으로 기타 관련 기술 분야에 적용한 발명은 모두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포함된다.
100 : 뚜껑 본체 1411 : 위치 제한 플랜지
10 : 구동 장치 1412: 탄성 아암
11 : 구동원 20 : 압력 밸브
111 : 본체부 21 : 밸브 캐비티
113 : 푸시로드 211 : 밸브 커버
1131 : 돌출 리브 2111 : 공기 배출구
12 : 구동 부재 212 : 밸브 시트
121 : 버클 헤드 2121 : 수용홈
1211: 연결부 213 : 탄성 벽
1212 : 위치제한부 2131 : 체결 챔버
1213 : 돌기 2132 : 챔버 입구
1213a : 리드각 2133 : 탄성 버클 가장자리
122 : 삽입홈 2134 : 환형 홈
1221 : 제1 홈 입구 22 : 밀봉 부재
1222 : 제2 홈 입구 23 : 밸브 포트
1223 : 버클 24 : 개스킷
124 : 판형부 30 : 패널
1241 : 관통홈 31 : 연결홀
13 : 탄성 부재 33 : 밀봉링
14 : 지지 부재 200 : 밥솥 본체
141 : 탄성 버클

Claims (25)

  1. 외부에 연통되며 밸브 포트를 갖는 밸브 캐비티와, 상기 밸브 포트의 밀봉에 적합하며 상기 밸브 캐비티에서 동작 가능한 밀봉 부재를 갖는 압력 밸브;
    상기 밸브 캐비티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밀봉 부재를 상기 밸브 캐비티의 캐비티 벽에 인접되거나 또는 상기 밸브 포트를 밀봉하게 구동시키는 구동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장치는 구동원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원은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에 대해 왕복 동작이 가능한 푸시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푸시로드의 동작 방향의 선단은 상기 밀봉 부재에 대응되게 설치되어 상기 밀봉 부재를 상기 밸브 캐비티의 캐비티 벽에 인접되거나 또는 상기 밸브 포트를 밀봉하게 구동시키고,
    상기 푸시로드의 상기 본체부와 멀리 떨어진 선단의 주변 벽이 상기 푸시로드의 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돌출 리브를 형성하고, 상기 푸시로드의 돌출 리브를 가진 위치의 횡단면이 상기 돌출 리브가 설치되지 않는 위치의 횡단면보다 넓으며; 상기 구동 장치는 삽입홈을 가진 구동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삽입홈은 상기 돌출 리브가 상기 푸시로드의 동작 방향의 측 방향을 따라 삽입되는 제1 홈 입구 및 푸시로드 축 방향에 위치하는 제2 홈 입구를 가지며, 상기 제2 홈 입구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제2 홈 입구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된 버클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 리브와 상기 버클의 내벽면은 인접되는, 밸브 조립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전원이 차단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 장치는 상기 밀봉 부재를 상기 밸브 캐비티의 캐비티 벽에 인접하는 동시에 상기 밸브 포트를 피하도록 구동시키는, 밸브 조립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 장치는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구동원은 전기 구동원이고, 상기 탄성 부재는 자체의 탄성 변형 방향에 위치한 양단을 가지되, 일단은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푸시로드에 연결되며;
    상기 구동원의 전원이 차단될 경우, 상기 푸시로드는 상기 탄성 부재의 작용에 의해 상기 밀봉 부재를 상기 밸브 캐비티의 캐비티 벽에 인접하는 동시에 상기 밸브 포트를 피하도록 구동시키며; 상기 구동원에 전원이 연결될 경우, 상기 푸시로드는 상기 탄성 부재를 압축하여 상기 푸시로드가 자체 동작 방향의 후단으로 수축하게 함으로써 상기 밀봉 부재가 상기 밸브 포트를 밀봉하게 하는, 밸브 조립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원은 전자석이고, 상기 푸시로드는 상기 전자석의 철심이며;
    또는, 상기 구동원은 전기 실린더이고, 상기 푸시로드는 상기 전기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이며;
    또는, 상기 구동원은 모터, 동력 전달 어셈블리 및 전달 바(transfer bar)를 포함하며, 상기 전달 바(transfer bar)는 상기 동력 전달 어셈블리를 통해 상기 모터에 연결되고, 상기 모터는 상기 전달 바(transfer bar)가 왕복 동작을 하도록 구동시키며, 상기 푸시로드는 상기 전달 바(transfer bar)인, 밸브 조립체.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는 기어가 설치되며;
    상기 전달 바(transfer bar)에는 상기 기어와 맞물리는 직선형 랙(rack)이 설치되거나 또는 상기 전달 바(transfer bar)에 상기 기어와 맞물리는 원호형 랙(rack)이 설치되는, 밸브 조립체.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밸브 캐비티의 캐비티 벽은 상기 밀봉 부재와 대응되게 설치된 탄성 변형 가능한 탄성 벽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 장치는 상기 푸시로드와 연결되고 동작 방향의 선단이 상기 탄성 벽의 외벽에 대응되게 설치된 구동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푸시로드는 구동 부재를 왕복 동작가능하게 구동시켜 상기 구동 부재가 상기 탄성 벽을 탄성 변형되게 구동시키는 동시에 상기 밀봉 부재를 구동하여 동작시킴으로써 상기 밀봉 부재를 상기 밸브 캐비티의 캐비티 벽에 인접되거나 또는 상기 밸브 포트를 밀봉하게 구동시키며, 상기 구동 부재와 상기 탄성 벽은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밸브 조립체.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탄성 벽에는 체결 챔버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 챔버는 상기 탄성 벽의 외벽면에 챔버 입구를 형성하며, 상기 챔버 입구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체결 챔버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된 탄성 버클 가장자리가 형성되고, 상기 구동 부재 동작 방향의 선단에는 버클 헤드가 설치되고, 상기 버클 헤드는 상기 구동 부재와 연결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상기 구동 부재와 멀리 떨어진 일단에 연결되는 위치제한부를 포함하며, 상기 위치제한부는 자체 동작 방향의 원주면에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는 상기 탄성 버클 가장자리의 내벽면에 인접하는, 밸브 조립체.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돌기와 상기 탄성 버클 가장자리는 모두 환형으로 설치되는, 밸브 조립체.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탄성 벽은 독립 부재이고, 상기 밸브 캐비티의 캐비티 벽에는 개구가 설치되고, 상기 탄성 벽의 주변에는 환형 홈이 설치되고, 상기 환형 홈의 홈 입구는 상기 푸시로드의 신축 방향의 축선에 수직되는 방향을 향하며, 상기 개구의 가장자리와 상기 환형 홈의 홈 벽은 밀봉 연결되는, 밸브 조립체.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탄성 벽의 재료는 고무 또는 실리콘인, 밸브 조립체.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 부재는 환형 판형으로 설치되고, 상기 삽입홈은 상기 구동 부재의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 홈 입구는 상기 구동 부재의 측판 표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홈 입구는 상기 구동 부재의 내측의 단부 표면에 형성되는 한편 환형의 중심을 향하며, 상기 구동 부재는 상기 구동원의 외측에 덧씌워지는, 밸브 조립체.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과 상기 제1 홈 입구가 대응되는 홈 바닥은 반원호 형상으로 설치되고, 상기 돌출 리브는 원형으로 설치되는, 밸브 조립체.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 장치는 지지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 부재는 판형부를 포함하고, 상기 판형부의 판 표면이 상기 지지 부재에 지지되며, 상기 판형부에는 상기 판형부의 판 표면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관통홈이 설치되고, 상기 관통홈은 상기 구동 부재의 동작 방향에 따라 연장되며, 상기 지지 부재에는 상기 관통홈을 관통하는 탄성 버클이 설치되고, 상기 탄성 버클의 상기 지지 부재와 멀리 떨어진 일단에 신축가능한 탄성 단부가 설치되고, 상기 탄성 단부의 외주면에는 위치 제한 플랜지가 설치되며, 상기 위치 제한 플랜지와 상기 관통홈의 폭 방향의 두 홈 가장자리가 서로 인접하는, 밸브 조립체.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탄성 버클은 서로 대응되게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지지 부재와 연결되는 두개의 탄성 벽을 포함하고, 두개의 상기 탄성 벽의 상기 지지 부재와 멀리 떨어진 일단이 서로 대향되어 상기 위치 제한 플랜지를 형성하고, 두개의 상기 위치 제한 플랜지는 각각 상기 관통홈의 폭 방향의 두개의 홈 가장자리에 인접되는, 밸브 조립체.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관통홈과 상기 탄성 버클은 쌍으로 설치됨과 동시에 여러쌍 설치되는, 밸브 조립체.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밸브 조립체는 밸브 커버 및 밸브 시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밸브 커버는 상기 밸브 시트에 고정 연결되고, 상기 밸브 커버와 상기 밸브 시트는 상기 밸브 캐비티를 형성하며, 상기 밸브 조립체는 개스킷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밸브 시트에는 상기 밸브 포트가 설치되고, 상기 밀봉 부재는 상기 개스킷에 커버되어 상기 밸브 포트를 밀봉하는, 밸브 조립체.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밸브 포트는 상기 밸브 시트의 중심에 설치되고, 상기 밀봉 부재는 원주 방향으로 상기 밸브 포트를 둘러싸는, 밸브 조립체.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밸브 시트는 상기 밀봉 부재의 표면을 향해 수용홈이 설치되고, 상기 개스킷은 상기 수용홈에 고정되는, 밸브 조립체.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개스킷의 높이가 상기 수용홈의 깊이보다 큰, 밸브 조립체.
  2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가 인접되는 상기 밸브 캐비티의 내벽에는 상기 밀봉 부재의 외형에 대응되는 요홈이 형성되는, 밸브 조립체.
  21. 조리될 음식물이 수용되며, 상부에 밥솥 입구를 가진 밥솥 본체;
    밥솥 본체에 씌워져 상기 밥솥 입구를 개폐하는 뚜껑 본체;
    상기 뚜껑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밸브 포트와 상기 밥솥 본체의 내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청구항 1의 밸브 조립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기밥솥.
  22. 패널과, 패널에 설치된 밸브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 조립체는 청구항 17의 밸브 조립체이고, 상기 패널에는 상기 밸브 시트와 대응되는 연결홀이 설치되고, 상기 밸브 시트의 밀봉 부재와 멀리 떨어진 일단이 상기 연결홀의 홀 벽에 고정 연결되고, 상기 밸브 포트와 상기 연결홀이 연통된, 전기밥솥.
  23.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패널과 상기 밸브 시트의 연결부위에 밀봉링이 설치된, 전기밥솥.
  24. 삭제
  25. 삭제
KR1020197017053A 2016-12-30 2017-11-30 밸브 조립체 및 밸브 조립체를 갖는 전기밥솥 Active KR1021956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621493640.1 2016-12-30
CN201621493693.3U CN206687622U (zh) 2016-12-30 2016-12-30 阀门组件及具有该阀门组件的电饭煲
CN201621493631.2U CN206809164U (zh) 2016-12-30 2016-12-30 驱动组件及具有驱动组件的电饭煲
CN201621493660.9 2016-12-30
CN201621493693.3 2016-12-30
CN201621493660.9U CN206809116U (zh) 2016-12-30 2016-12-30 蒸汽阀组件、煲盖及电饭煲
CN201621493631.2 2016-12-30
CN201621493640.1U CN206809165U (zh) 2016-12-30 2016-12-30 阀门组件及具有阀门组件的电饭煲
PCT/CN2017/113713 WO2018121166A1 (zh) 2016-12-30 2017-11-30 阀门组件及具有该阀门组件的电饭煲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5042A KR20190085042A (ko) 2019-07-17
KR102195622B1 true KR102195622B1 (ko) 2020-12-28

Family

ID=62706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7053A Active KR102195622B1 (ko) 2016-12-30 2017-11-30 밸브 조립체 및 밸브 조립체를 갖는 전기밥솥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794549B2 (ko)
KR (1) KR102195622B1 (ko)
WO (1) WO20181211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18006409U1 (de) 2017-08-09 2020-04-23 Sharkninja Operating Llc Kochgerät und Komponenten davon
USD914447S1 (en) 2018-06-19 2021-03-30 Sharkninja Operating Llc Air diffuser
USD903413S1 (en) 2018-08-09 2020-12-01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basket
USD883015S1 (en) 2018-08-09 2020-05-05 Sharkninja Operating Llc Food preparation device and parts thereof
USD883014S1 (en) 2018-08-09 2020-05-05 Sharkninja Operating Llc Food preparation device
USD934027S1 (en) 2018-08-09 2021-10-26 Sharkninja Operating Llc Reversible cooking rack
US11033146B2 (en) 2019-02-25 2021-06-15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US11751710B2 (en) 2019-02-25 2023-09-12 Sharkninja Operating Llc Guard for cooking system
USD918654S1 (en) 2019-06-06 2021-05-11 Sharkninja Operating Llc Grill plate
USD982375S1 (en) 2019-06-06 2023-04-04 Sharkninja Operating Llc Food preparation device
US11134808B2 (en) 2020-03-30 2021-10-05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74963A (ja) * 2001-10-05 2003-06-24 Zojirushi Corp 調圧式炊飯ジャー
JP2006326037A (ja) 2005-05-27 2006-12-07 Zojirushi Corp 圧力炊飯器
JP2011239959A (ja) * 2010-05-18 2011-12-01 Toshiba Home Technology Corp 炊飯器
JP2014184125A (ja) * 2013-02-20 2014-10-02 Panasonic Corp 圧力式炊飯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86248B (zh) * 2015-02-10 2017-03-01 北京巧婆婆科技有限公司 可调压力式加热烹饪器
CN205018804U (zh) * 2015-09-25 2016-02-10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电饭煲
CN205018820U (zh) * 2015-09-25 2016-02-10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电饭煲
CN206443563U (zh) * 2016-11-04 2017-08-29 浙江苏泊尔家电制造有限公司 烹饪器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74963A (ja) * 2001-10-05 2003-06-24 Zojirushi Corp 調圧式炊飯ジャー
JP2006326037A (ja) 2005-05-27 2006-12-07 Zojirushi Corp 圧力炊飯器
JP2011239959A (ja) * 2010-05-18 2011-12-01 Toshiba Home Technology Corp 炊飯器
JP2014184125A (ja) * 2013-02-20 2014-10-02 Panasonic Corp 圧力式炊飯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503103A (ja) 2020-01-30
KR20190085042A (ko) 2019-07-17
WO2018121166A1 (zh) 2018-07-05
JP6794549B2 (ja) 2020-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5622B1 (ko) 밸브 조립체 및 밸브 조립체를 갖는 전기밥솥
KR20190077041A (ko) 밸브 조립체 및 조리기기
CN103211514B (zh) 电饭煲
US11552527B2 (en) Packing and mounting mechanism for electric motor in small and medium-sized appliances
US10859080B2 (en) Valve head structure for diaphragm pump and diaphragm pump having same
CN110652191B (zh) 压力烹饪器具
KR100421965B1 (ko) 밀폐형 압축기의 실린더 조립체
ITTO20000615A1 (it) Gruppo valvolare per un compressore ermetico in particolare per l'ingresso del refrigerante.
CN206303727U (zh) 一种防溢电饭煲
CN213464724U (zh) 压力烹饪器具的盖体组件、压力烹饪器具和密封件
CN204445365U (zh) 电压力锅
CN213551207U (zh) 容器盖及容器
CN109751227A (zh) 一种用于隔膜泵的阀头结构及具有其的隔膜泵
CN107960915B (zh) 物料清洗装置及烹饪器具
JP3222770U (ja) 密閉強化の防水、衝突防止、騒音減衰機能を達成する負圧カップにある振動ケース
CN211155276U (zh) 排气装置、上盖及烹饪设备
KR200401710Y1 (ko)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머플러
CN208551208U (zh) 蒸汽阀、烹饪器具的煲盖和烹饪器具
CN207604840U (zh) 盖体组件及烹饪器具
CN210446798U (zh) 电源耦合器、超声波振子组件、上盖组件和烹饪器具
CN211549943U (zh) 一种耐用型隔膜水泵
CN205514157U (zh) 一种电饭煲的煲盖结构
CN219125976U (zh) 一种锅盖组件及压力烹饪器具
TWI691149B (zh) 強化密閉以達成防水、防撞、減噪功能之負壓杯體上的震動盒
CN208784490U (zh) 上盖组件及烹饪电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613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6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120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12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12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1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