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5545B1 - Refrigerator door - Google Patents
Refrigerator do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95545B1 KR102195545B1 KR1020140094075A KR20140094075A KR102195545B1 KR 102195545 B1 KR102195545 B1 KR 102195545B1 KR 1020140094075 A KR1020140094075 A KR 1020140094075A KR 20140094075 A KR20140094075 A KR 20140094075A KR 102195545 B1 KR102195545 B1 KR 10219554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se
- door
- door case
- concave portion
- coupl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7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7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7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61 foam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87 foa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05 post-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57 refrig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18—Aesthetic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도어케이스와 제2도어케이스가 볼트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2도어케이스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제2도어케이스에 케이스커버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냉장고 도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door in which a first door case and a second door case are detachably coupled by bolts, a recess is formed in a second door case, and a case cover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second door case.
Description
본 발명은 제1도어케이스와 제2도어케이스가 볼트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2도어케이스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케이스커버와도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냉장고 도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door in which a first door case and a second door case are detachably coupled by bolts, and a recess is formed in the second door case to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case cover.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장치 및 증발기를 주요 구성요소로 하여 냉동사이클을 형성하고, 상기 증발기 내부를 흐르는 액체상태의 냉매가 기화하는 과정에서 저장실 내부의 열을 흡수함으로써 저장실 내부에 저장된 각종 식품을 냉장 또는 냉동 상태로 장기간 신선하게 보관하는 기기이다.In general, a refrigerator forms a refrigeration cycle with a compressor, a condenser, an expansion device, and an evaporator as main components, and the liquid refrigerant flowing inside the evaporator absorbs heat inside the storage chamber and is stored in the storage chamber. It is a device that keeps various foods fresh for a long time in a refrigerated or frozen state.
냉장고의 도어는, 통상 아웃케이스와, 아웃케이스의 내측에 발포재의 충전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이너케이스를 구비한다.The door of the refrigerator is usually provided with an outer case and an inner case disposed inside the outer case with a filling interval of a foam material.
냉장고의 도어에 관해서는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484662호에 개시되어 있다.The door of the refrigerator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0484662.
한편, 종래의 냉장고의 분리형 도어케이스에 관해서는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08559호에 개시되어 있다.Meanwhile, a separate door case of a conventional refrigerator is disclosed in Korean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10-2014-0008559.
종래의 냉장고의 분리형 도어케이스(10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도어케이스(110)와, 제2도어케이스(120) 및 결합부(130)를 포함한다.The
제1도어케이스(110)는 냉장고의 본체(미도시)를 개폐하도록 상부와 하부가 본체에 힌지 결합된다. 제1도어케이스(110)는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도어케이스(110)의 일측부는 제2도어케이스(120)와 결합되고, 제1도어케이스(110)의 타측부는 그 상부와 하부가 본체에 수평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된다.The
제2도어케이스(120)는 제1도어케이스(110)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도어케이스(120)는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도어를 개폐할 수 있도록 손잡이부(121)를 구비한다. 이러한 제2도어케이스(120)는 제1도어케이스(110)와 결합되어 하나의 도어케이스(100)를 이룬다.The
결합부(130)는 제1도어케이스(110)와 제2도어케이스(120)의 결합 부분으로서, 제1도어케이스(110)와 제2도어케이스(120)의 결합 위치를 안내한다. 결합부(130)는 제1 및 제2측부결합부와, 제1 및 제2단부결합부를 포함한다. The
제1측부결합부는 제2도어케이스(120)와 인접하는 제1도어케이스(110)의 측부에 형성된다. 그리고 제2측부결합부는 제1도어케이스(110)와 인접하는 제2도어케이스(120)의 측부에 형성된다. 제1측부결합부와 제2측부결합부는 서로 면접촉되어 결합된다.The first side coupling portion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그 결합 위치가 안내되는 제1도어케이스(110)와 제2도어케이스(120)는 체결부재(140)에 의해 체결된다. 체결부재(140)는 나사산이 형성된 몸체부와 몸체부의 단부에 돌출되게 구비되는 머리부를 구비하는 볼트부재이다. 이러한 체결부재(140)는 측부돌출부와 측부안착홈부의 결합 부분을 체결함으로써, 제1도어케이스(110)와 제2도어케이스(120)를 결합시킨다.The
그러나 종래의 분리형 도어케이스는 제1도어케이스와 제2도어케이스의 결합을 위한 기술만 제시되어 있어, 제1도어케이스 및 제2도어케이스의 후방을 덮는 커버를 결합하기 위한 구성이 없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detachable door case only proposes a technology for combining the first door case and the second door cas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re is no configuration for combining the cover covering the rear of the first door case and the second door case. .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제1도어케이스와 제2도어케이스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뿐 아니라 제2도어케이스에 오목부를 형성하여 케이스커버와도 용이하게 착탈 가능한 냉장고 도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and a refrigerator door that is easily detachable from the case cover by forming a recess in the second door case as well as detachably coupling the first door case and the second door case. Its purpose is to provide.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냉장고 본체는, 냉장고 본체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본체를 개폐하는 제1도어케이스; 상기 제1도어케이스의 일측에 볼트로 결합되어 착탈 가능한 제2도어케이스; 상기 제1도어케이스 및 상기 제2도어케이스의 후방에 배치된 케이스커버; 를 포함하되, 상기 케이스커버는 상기 제1도어케이스 또는 상기 제2도어케이스 중 어느 하나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refrigerator main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door case hinged to the refrigerator main body to open and close the main body; A second door case that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irst door case with a bolt to be detachable; A case cover disposed behind the first door case and the second door case; Including, wherein the case cov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etachably coupled to any one of the first door case or the second door case.
또한, 상기 제2도어케이스는 상기 볼트가 결합되는 전방판과, 상기 전방판의 일측에서 후방으로 연장 형성된 측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second door case includes a front plate to which the bolt is coupled, and a side plate extending rearward from one side of the front plate.
또한, 상기 측판에는 내측 후방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된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커버의 전면에는 돌출바가 형성되어 상기 오목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ide plat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cave portion formed by protruding toward the inner rear is formed, and a protruding bar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ase cover to be coupled to the concave portion.
또한, 상기 제1도어케이스의 일측에는 상기 오목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홈이 형성되어 그 내부에 상기 오목부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at one side of the first door case, a groove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ncave portion, and the concave portion is disposed therein.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are the following effects.
제1도어케이스와 제2도어케이스가 별도의 부품으로 구비되어 볼트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케이스커버는 제2도어케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기 때문에, 각각을 교체하기 용이하다. 그래서 디자인적 측면에서 손잡이부 후방의 제2도어케이스의 색상을 달리하고자 하거나 기타 후처리 사양을 다르게 하고자 할 때 용이하게 변경이 가능하고, 조립 공정도 편리하다.Since the first door case and the second door case are provided as separate parts and are detachably coupled by bolts, and the case cover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second door case, it is easy to replace each. So, in terms of design, the second door case behind the handle When you want to change the color or other post-treatment specifications, it can be easily changed and the assembly process is convenient.
또한, 제1도어케이스와 제2도어케이스는 볼트에 의해 용이하게 착탈이 가능하므로, 외관 품질을 보장하면서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다. 그래서 외관단차 및 조립공차에서 발생하는 품질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irst door case and the second door case can be easily attached and detached by bolts, they can be assembled firmly while ensuring the quality of the appearance. So, it is possible to solve the quality problem arising from the appearance step and assembly tolerance.
또한, 제2도어케이스와 케이스커버도 오목부와 돌출바에 의해 착탈이 가능하여, 변형이나 비틀림 등에 의한 외관단차 및 조립공차 문제를 해결하기 때문에 더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door case and the case cover can also be attached and detached by the concave portion and the protruding bar, thereby solving the problem of external steps and assembly tolerances caused by deformation or twisting, so that the assembly can be more robust.
또한, 제1도어케이스의 일측에는 오목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홈이 형성되어 제1도어케이스와 제2도어케이스의 결합시 그 내부에 오목부가 배치되므로, 결합이 용이하다.
In addition, a groove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door cas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ncave portion, and when the first door case and the second door case are coupled, the concave portion is disposed therein, so that coupling is easy.
도 1은 종래의 분리형 도어케이스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도어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배면도.
도 5는 오목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제1도어케이스와 제2도어케이스의 볼트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오목부와 돌출바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detachable door cas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do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ure 2;
Figure 4 is a rear view of Figure 3;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nlarged concave por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bolted state of a first door case and a second door case.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ed state of the concave portion and the protruding bar.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종래의 분리형 도어케이스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도어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배면도이고, 도 5는 오목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제1도어케이스와 제2도어케이스의 볼트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오목부와 돌출바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detachable door case,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do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2, and FIG. 4 is a rear view of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nlarged concave portion,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bolted state of the first door case and the second door case, and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ed state of the concave portion and the protruding bar.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도어(1)는 도 2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장고 본체(미도시)에 힌지 결합되어 본체를 개폐하는 제1도어케이스(200); 와, 제1도어케이스(200)의 일측에 볼트(312)로 결합되어 착탈 가능한 제2도어케이스(300); 와, 제1도어케이스(200) 및 제2도어케이스(300)의 후방에 배치되어 제2도어케이스(3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케이스커버(4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
냉장고 도어(1)에 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비롯하여 종래에 많이 공개되어 있으므로,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종래기술을 참고하기로 하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Since the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 2에 도시한 좌표축에 따라, X축 방향을 오른쪽, Y축 방향을 후방, Z축 방향을 상부 방향으로 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according to the coordinate axis shown in FIG. 2, the X-axis direction is the right, the Y-axis direction is the rear, and the Z-axis direction is the upper direction.
제1도어케이스(20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각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도어케이스(200)는 전면의 외측 테두리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면, 하면 및 좌우측면이 형성된다.The
그리고 제1도어케이스(200)의 후면은 내부에 발포액이 충진될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다.In addition, the rear surface of the
제1도어케이스(200)의 좌측 상면 및 하면에는 힌지결합구(220)가 형성되어 본체(미도시)에 힌지 결합된다. 그래서 힌지결합구(220)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본체 내부를 개폐하게 된다.
제1도어케이스(200)의 우측에는 손잡이부(210)가 형성된다.A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잡이부(210)는 제1도어케이스(200)의 우측 중앙에 위치하고, 사용자가 손을 집어넣어 냉장고 도어(1)를 개폐할 수 있도록 내측으로 볼록한 공간이 형성된다.As shown in FIGS. 2 to 4, the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잡이부(210)의 우측 후방에는 케이스 결합부(230)가 형성된다.As shown in FIG. 3, a
케이스 결합부(230)는 상하로 수직인 막대 형상으로 형성된다. 케이스 결합부(230)의 형상은 제2도어케이스(300)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형상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아래의 제2도어케이스(300)에서 설명하도록 한다.The
도 3, 도 4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 결합부(230)의 전면에는 제2도어케이스(30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제1관통홀(232)이 형성된다.3, 4, and 6, a first through
제1도어케이스(200)와 제2도어케이스(300)는, 케이스결합부(230)에 형성된 제1관통홀(232)과 제2도어케이스(300)에 형성된 제2관통홀(311)에 볼트(312)가 삽입되어 결합된다.The
제1관통홀(232)은 케이스 결합부(230)의 전면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형성된다. 또한, 케이스 결합부(230)의 전후 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A plurality of first through
제1관통홀(232)은 볼트(312)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rst through
볼트(312)는 제1관통홀(232)에 삽입되어 제1관통홀(232)의 후방으로 노출된다.The
케이스 결합부(230)의 우측면 후단, 즉 제1관통홀(232)의 우측 후방에는 홈(236)이 형성된다.A
홈(236)은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케이스 결합부(230)의 우측면 후단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형성된다.The
즉, 다수 개의 홈(236)은 오목부(321)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그래서 제1도어케이스(200) 즉, 케이스 결합부(230)에 제2도어케이스(300)가 결합시 홈(236) 내부에 오목부(321)가 배치되어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That is, the plurality of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관통홀(232)과 홈(236)은 각각 상하 방향으로 다수 개가 이격되어 배치되되, 상하 방향으로 하나씩 교대로 배치된다.3 and 4, a plurality of first through
즉, 제1관통홀(232) 하측에는 홈(236)이 배치되고, 그 아래에는 제1관통홀(232)이 배치되는 식으로 상하 교대로 배치된다.
That is, the
이하에는 제2도어케이스(300)에 대해 상술한다.Hereinafter, the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도어케이스(300)는 제1도어케이스(200)의 우측, 즉 케이스 결합부(230)에 수직으로 결합된다. 제2도어케이스(300)는 긴 막대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도어케이스(300)는 케이스 결합부(230)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케이스 결합부(230)를 감싸게 된다.As shown in FIGS. 2 to 4, the
제2도어케이스(300)는 볼트(312)가 결합되는 전방판(310)과, 전방판(310)의 우측에서 후방으로 연장 형성된 측판(320)과, 전방판(310) 및 측판(320)의 상부에 형성된 상판(350)과, 하부에 형성된 하판(3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전방판(310)은 제2도어케이스(300)의 앞부분에 형성되어, 폭이 좁고 긴 막대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래서 케이스 결합부(230)의 전면에 결합된다.The
전방판(310)은 케이스 결합부(230)의 전면 형상과 동일하도록, 중앙부가 상부 및 하부보다 후방을 향하여 볼록하게 형성된다.The
그래서 사용자가 불편함 없이 손잡이부(210)에 손을 집어넣어 개폐할 수 있다.Thus, the user can open and close by putting a hand into the
전방판(310)에는 도 3, 도 4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관통홀(311)이 형성된다.A second through
제2관통홀(311)은 전방판(310)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형성된다. 또한, 전방판(310)의 전후 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A plurality of second through
앞에서 상술한 제1관통홀(232) 및 제2관통홀(232)을 볼트(312)가 관통하여 삽입됨으로써, 제2도어케이스(300)가 케이스 결합부(23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The
그래서 제1도어케이스(200)와 제2도어케이스(300)가 별도의 부품으로 구비되어 볼트(312)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기 때문에, 디자인적 측면에서 손잡이부(210) 후방의 제2도어케이스(300)의 색상을 달리하고자 하거나 기타 후처리 사양을 다르게 하고자 할 때 용이하게 교체 변경이 가능하고, 조립 공정도 편리하다.Therefore, since the
볼트(312)에 의해 용이하게 착탈이 가능하므로, 외관 품질을 보장하면서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다. 그래서 외관단차 및 조립공차에서 발생하는 품질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Since it can be easily attached and detached by the
한편, 측판(320)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판(310)의 우측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Meanwhile, the
측판(320)은 상하 방향으로 긴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케이스 결합부(230)의 우측면을 덮는다.The
측판(320)의 중앙부의 폭은 상부 및 하부의 폭보다 좁게 형성된다.The width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도 4, 도 5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판(320)의 내측면 후단에는 내측 후방을 향해 돌출된 오목부(321)가 형성된다.4, 5, and 7, a
오목부(321)는 측판(320)의 내측면 후단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형성된다.A plurality of
그리고 제2도어케이스(300)가 제1도어케이스(200), 즉 케이스 결합부(230)에 결합될 때, 오목부(321)는 홈(236) 내부에 배치된다.And when the
오목부(321)는 도 5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판(320)의 내측면에서 후방을 향하여 수직 절곡되어 돌출 형성된다. 그래서 케이스커버(400)의 돌출바(410)가 삽입되어 결합된다.The
오목부(321)는 측판(320)의 내측면에 연결된 수직절곡편(322)과, 다수 개의 수직절곡편(322)을 연결하는 연결대(3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수직절곡편(322)은 ㄱ형상으로 절곡된 형상을 가진다.The vertically
바람직하게는 상하로 다수 개가 형성된다.Preferably, a plurality of top and bottom are formed.
즉, 수직절곡편(322)은 측판(320)의 내측면에 연결되어 내측으로 돌출된 수직절곡편a(322a)와, 수직절곡편a(322a)의 끝단에서 수직으로 절곡되어 후방으로 연장된 수직절곡편b(322b)로 이루어진다.That is, the vertical
연결대(323)는 상하로 다수 개가 배치된 수직절곡편(322) 사이에 형성된다. 그래서 상하로 적층된 각각의 수직절곡편(322)을 연결하게 된다.The connecting
연결대(323)는 수직절곡편a(322a)의 중앙부에 연결되어 형성된다.The connecting
오목부(321) 내측에는 오목한 삽입공간(325)이 형성된다. 그래서 삽입공간(325)에는 케이스커버(400)의 돌출바(410)가 삽입되어 결합된다.A
본 실시예와 달리, 오목부(321)의 전체 형상을 하나의 부재로 형성해도 변형이나 비틀림 등에 의해 발생하는 외관단차 및 조립공차 문제를 줄일 수 있다.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even if the entire shape of the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오목부(321)를 다수 개의 수직절곡편(322)이 적층된 구조로 형성하면, 외관단차 및 조립공차 문제를 줄이는데 더 효과적이며, 더 견고한 조립이 가능하다.However,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즉, 케이스커버(400) 결합시, 외관단차 및 조립공차에 의해 발생하는 품질문제를 더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other words, when the
그래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도어케이스(200) 및 제2도어케이스(300)의 후방에는 케이스커버(400)가 배치된다.Thus, as shown in FIG. 3, a
케이스커버(400)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된다. The
케이스커버(400)의 전면 외측 둘레에는 전방을 향해 돌출된 돌출바(410)가 형성된다.A protruding
돌출바(410)는 폭이 좁은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진다.The protruding
특별히, 케이스커버(400)의 전면 우측에 위치한 돌출바(410)는 제2도어케이스(300)의 오목부(321)에 삽입되어 결합된다.In particular, the protruding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출바(410)는 오목부(321)의 삽입공간(325)에 삽입된다.As shown in FIG. 7, the
이상과 같이, 돌출바(410)와 오목부(321)의 결합에 의해 제2도어케이스(300)와 케이스커버(400)는 착탈 가능하게 결합한다. 그래서 각각을 견고하게 조립할 뿐 아니라 용이하게 교체 변경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됨을 부언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any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can implement various modifications. Of course, it is added that such changes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description.
1: 냉장고 도어 200: 제1도어케이스
210: 손잡이부 220: 힌지결합구
230: 케이스 결합부 232: 제1관통홀
236: 홈 300: 제2도어케이스
310: 전방판 311: 제2관통홀
312: 볼트 320: 측판
321: 오목부 322: 수직절곡편
322a: 수직절곡편a 322b: 수직절곡편b
323: 연결대 325: 삽입공간
350: 상판 360: 하판
400: 케이스커버 410: 돌출바1: refrigerator door 200: first door case
210: handle 220: hinge coupling
230: case coupling part 232: first through hole
236: groove 300: second door case
310: front plate 311: second through hole
312: bolt 320: shroud
321: concave portion 322: vertical bending piece
322a: vertical bending piece a 322b: vertical bending piece b
323: connecting rod 325: insertion space
350: upper plate 360: lower plate
400: case cover 410: protruding bar
Claims (4)
상기 제1도어케이스의 일측에 볼트로 결합되어 착탈 가능한 제2도어케이스;
상기 제1도어케이스 및 상기 제2도어케이스의 후방에 배치된 케이스커버; 를 포함하되,
상기 케이스커버는 상기 제2도어케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도어케이스는 상기 볼트가 결합되는 전방판과, 상기 전방판의 일측에서 후방으로 연장 형성된 측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측판에는 내측 후방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된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커버의 전면에는 돌출바가 형성되어 상기 오목부에 결합되되,
상기 제1도어케이스의 일측에는 손잡이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도어케이스는 상기 손잡이부의 후방에 결합되고,
상기 케이스커버는 전면 일측에 형성된 돌출바가 상기 오목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2도어케이스와 결합되는 냉장고 도어A first door case hinged to the refrigerator body to open and close the body;
A second door case that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irst door case with a bolt to be detachable;
A case cover disposed behind the first door case and the second door case; Including,
The case cover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second door case,
The second door case includes a front plate to which the bolt is coupled, and a side plate extending rearward from one side of the front plate,
The side plate is formed with a concave portion protruding toward the rear inside,
A protruding bar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ase cover and coupled to the concave portion,
A handle part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door case,
The second door case is coupled to the rear of the handle,
The case cover is a refrigerator door in which a protruding bar formed on one side of the front side is inserted into the concave portion to be coupled to the second door case
상기 제1도어케이스의 일측에는 상기 오목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홈이 형성되어 그 내부에 상기 오목부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도어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refrigerator door, characterized in that a groove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ncave portion at one side of the first door case and the concave portion is disposed therei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94075A KR102195545B1 (en) | 2014-07-24 | 2014-07-24 | Refrigerator do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94075A KR102195545B1 (en) | 2014-07-24 | 2014-07-24 | Refrigerator doo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12521A KR20160012521A (en) | 2016-02-03 |
KR102195545B1 true KR102195545B1 (en) | 2020-12-28 |
Family
ID=55355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94075A Active KR102195545B1 (en) | 2014-07-24 | 2014-07-24 | Refrigerator do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95545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305076B (en) * | 2016-04-21 | 2021-10-29 |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 Refrigeration device and door for a refrigeration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60005122Y1 (en) * | 1993-09-27 | 1996-06-21 | 유창자동밸브공업 주식회사 | Device of injection slip joint |
KR101307862B1 (en) * | 2008-08-05 | 2013-09-12 | 삼성전자주식회사 | Door of Refrigera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
KR20140008559A (en) | 2012-07-05 | 2014-01-22 |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 Separating type door case of refrigerator |
-
2014
- 2014-07-24 KR KR1020140094075A patent/KR102195545B1/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12521A (en) | 2016-02-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01860B1 (en) | Refrigerator | |
KR101728730B1 (en) | Refrigerator | |
KR102216442B1 (en) | Refrigerator | |
US20160061511A1 (en) | Refrigerator | |
US10281191B2 (en) | Home appliance door | |
EP2891856B1 (en) | Refrigerator | |
JP5957169B2 (en) | refrigerator | |
EP3052879B1 (en) | A refrigerator comprising a crisper | |
KR102195545B1 (en) | Refrigerator door | |
CA2810802C (en) | Refrigerator cabinet assembly | |
JP6203149B2 (en) | Refrigerator door and refrigerator | |
KR200482995Y1 (en) | Ice tray with water supply part | |
JP6555855B2 (en) | refrigerator | |
KR20190024111A (en) | Refrigerator | |
KR102222969B1 (en) | Refrigerator door | |
KR20140008559A (en) | Separating type door case of refrigerator | |
KR20120009651A (en) | Refrigerator | |
CN103363767A (en) | Handle structure of refrigerator | |
JP6609791B2 (en) | Refrigerator door and refrigerator | |
AU2009200623A1 (en) | An Appliance Door Panel, and Means for Attaching a Panel to an Appliance | |
KR101902247B1 (en) | A refrigerator door structure having a dividing bar assembly and a refrigerator thereof | |
KR102185718B1 (en) | Refrigerator | |
KR20160044233A (en) | Refrigerator | |
JP2012184917A (en) | Refrigerator door | |
KR102163957B1 (en) | Refrigera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724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061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4072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6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121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12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12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5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2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