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195531B1 - 난방용 히팅케이블과 이를 이용한 난방용 전열관 및 이를 포함하는 난방시스템 - Google Patents

난방용 히팅케이블과 이를 이용한 난방용 전열관 및 이를 포함하는 난방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5531B1
KR102195531B1 KR1020200036069A KR20200036069A KR102195531B1 KR 102195531 B1 KR102195531 B1 KR 102195531B1 KR 1020200036069 A KR1020200036069 A KR 1020200036069A KR 20200036069 A KR20200036069 A KR 20200036069A KR 102195531 B1 KR102195531 B1 KR 1021955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cable
carbon
temperature
pip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60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안
Original Assignee
(주)우신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신이앤씨 filed Critical (주)우신이앤씨
Priority to KR10202000360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5531B1/ko
Priority to PCT/KR2020/005068 priority patent/WO2021194002A1/ko
Priority to EP20172332.7A priority patent/EP3886533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55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553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3/00Electric heating systems
    • F24D13/04Electric heating systems using electric heating of heat-transfer fluid in separate units of the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9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electric heat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0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 F24H1/101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 F24H1/102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with resist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5/00Control of fluid heaters
    • F24H15/10Control of fluid heat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control
    • F24H15/128Preventing over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5/00Control of fluid heaters
    • F24H15/10Control of fluid heat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control
    • F24H15/136Defrosting or de-icing; Preventing freez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5/00Control of fluid heaters
    • F24H15/20Control of fluid heaters characterised by control inputs
    • F24H15/212Temperature of the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5/00Control of fluid heaters
    • F24H15/20Control of fluid heaters characterised by control inputs
    • F24H15/281Input from u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5/00Control of fluid heaters
    • F24H15/30Control of fluid heaters characterised by control outputs;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to be controlled
    • F24H15/355Control of heat-generating means in heaters
    • F24H15/37Control of heat-generating means in heaters of electric hea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5/00Control of fluid heaters
    • F24H15/40Control of fluid heate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lers
    • F24H15/414Control of fluid heate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lers using electronic processing, e.g. computer-based
    • F24H15/45Control of fluid heate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lers using electronic processing, e.g. computer-based remotely accessible
    • F24H15/457Control of fluid heate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lers using electronic processing, e.g. computer-based remotely accessible using telephone networks or Internet commun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09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water heaters
    • F24H9/1818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0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 F24H9/2014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using electrical energy supply
    • F24H9/2028Continuous-flow hea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42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with arrangements for heat dissipation or conduc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05B1/0227Applications
    • H05B1/0252Domestic applications
    • H05B1/0275Heating of spaces, e.g. rooms, wardrobes
    • H05B1/0283For heating of fluids, e.g. water heat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2Details
    • H05B3/06Heater element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oupling elements or hold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10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 H05B3/12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 H05B3/14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the material being non-metallic
    • H05B3/145Carbon only, e.g. carbon black, graphit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05B3/54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flexible
    • H05B3/56Heating cab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3/00Heating of pipes or pipe systems; Cooling of pipes or pipe systems
    • F16L53/30Heating of pipes or pipe systems
    • F16L53/34Heating of pipes or pipe systems using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e.g. induction, dielectric or microwave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3/00Heating of pipes or pipe systems; Cooling of pipes or pipe systems
    • F16L53/30Heating of pipes or pipe systems
    • F16L53/35Ohmic-resistance heat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21Heaters specially adapted for heating liqui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32Heaters specially adapted for heating by radiation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 Pipe Accessori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난방용 히팅케이블 및 이를 이용한 난방용 전열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난방하는 전기식 보일러시스템에 사용되는 난방용 전열관에, 카본섬유를 구성하여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방출시킴으로써, 대기오염방지는 물론 헬스케어에도 큰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전원을 공급받아 열을 발생시키는 열선을 구성하고, 카본섬유는 열선에서 방출되는 열에너지를 흡수하여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방출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카본섬유에 전원을 직접 연결하는 방식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난방을 위한 고온용 히팅케이블과 더불어 저온용 카본히터를 구성하고, 비난방시에는 카본히터를 이용하여 전열관의 동파를 방지함으로써, 외출 등의 비난방시 최소한의 전력을 이용하여 동파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실내난방 분야, 보일러 시스템 분야, 특히 전기를 이용한 난방 및 보일러 시스템 분야는 물론, 이와 유사 내지 연관된 분야에서 신뢰성 및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난방용 히팅케이블과 이를 이용한 난방용 전열관 및 이를 포함하는 난방시스템{Heatiing cable for heating, heat pipe for heating using the same and heating system including them}
본 발명은 난방용 히팅케이블 및 이를 이용한 난방용 전열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난방하는 전기식 보일러시스템에 사용되는 난방용 전열관에, 카본섬유를 구성하여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방출시킴으로써, 대기오염방지는 물론 헬스케어에도 큰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전원을 공급받아 열을 발생시키는 열선을 구성하고, 카본섬유는 열선에서 방출되는 열에너지를 흡수하여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방출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카본섬유에 전원을 직접 연결하는 방식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난방용 히팅케이블 및 이를 이용한 난방용 전열관에 관한 것이다.
실내난방 방식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온돌시스템은, 실내의 바닥으로 열을 공급하고 그 열을 이용하여 실내의 온도를 높이는 방식들을 통칭하는 것으로, 이 중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보일러시스템은, 기름이나 가스 등의 연료를 연소시킬 때 발생되는 열을 이용하여 난방수를 가열하며, 이렇게 만들어진 고온의 난방수를 실내의 바닥 내부에 설치된 온수관에 공급하여 실내의 온도를 높이게 된다.
이러한 연소식 보일러시스템은 연료의 연소에 의해 발생된 열에너지를, 열교환 방식으로 난방수에 공급하게 되는데, 열교환을 하는 과정에서 상당량의 열에너지 손실이 발생한다는 단점이 있었다.
더불어, 연소식 보일러시스템은 연료를 연소시키는 과정에서 녹스(NOx) 등의 대기오염물질이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전기를 이용한 보일러시스템(이하 '전기식 보일러시스템'이라 한다)이 보급되고 있으며, 이러한 전기식 보일러시스템은 전기에너지를 이용함에 따라 연소식 보일러시스템에서 발생되는 여러 가지 단점들을 해결할 수 있었다.
이러한 전기식 보일러시스템의 일 예로,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23545호 '난방용 전열관'은, 길이방향의 양측이 밀폐된 파이프관의 내부에 열선 및 열매체를 구비하여, 열선에서 발생되는 열에너지로 열매체를 가열하고, 이를 통해 실내에 열에너지를 공급하는 방식으로, 파이프관의 양측에 구성된 덮개를 통해 열선에 전원을 공급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최근 들어, 친환경 및 헬스케어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전기식 보일러시스템에도 이러한 소비자들의 요구를 반영하여,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카본섬유를 이용한 난방용 전열관들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카본섬유를 이용할 경우, 전원과 연결되는 커넥터 부분에서, 섬유의 끊어짐 등으로 인해 단선, 과열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제품이 소손되거나, 심한 경우 화재가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23545호 '난방용 전열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난방하는 전기식 보일러시스템에 사용되는 난방용 전열관에, 카본섬유를 구성하여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방출시킴으로써, 대기오염방지는 물론 헬스케어에도 큰 도움을 줄 수 있는 난방용 히팅케이블 및 이를 이용한 난방용 전열관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전원을 공급받아 열을 발생시키는 열선을 구성하고, 카본섬유는 열선에서 방출되는 열에너지를 흡수하여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방출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카본섬유에 전원을 직접 연결하는 방식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난방용 히팅케이블 및 이를 이용한 난방용 전열관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난방을 위한 고온용 히팅케이블과 더불어 저온용 카본히터를 구성하고, 비난방시에는 카본히터를 이용하여 전열관의 동파를 방지함으로써, 외출 등의 비난방시 최소한의 전력을 이용하여 동파를 방지할 수 있는 난방용 히팅케이블 및 이를 이용한 난방용 전열관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난방용 히팅케이블은, 히팅케이블의 중심에 배치되며 상용전원을 공급받아 열을 방출하는 히팅코어; 상기 히팅케이블의 외형을 이루는 절연체; 상기 히팅코어와 절연체 사이에 구성되며 상기 히팅코어에서 방출되는 열에너지의 적어도 일부를 흡수하여 음이온 및 원적외선 중 적어도 하나를 방출하는 카본섬유;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카본섬유는, 상기 히팅코어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체는, 상기 히팅코어를 감싸도록 구성된 제1 절연피복; 및 상기 제1 절연피복을 감싸도록 구성된 제2 절연피복;를 포함하며, 상기 카본섬유는, 상기 제1 절연피복과 제2 절연피복 사이에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난방용 히팅케이블을 이용한 난방용 전열관은, 밀폐커버에 의해 양측단이 밀폐되고 내부에 난방수가 채워지는 중공의 난방파이프; 및 상기 난방파이프 내부에 구성되는 상기 난방용 히팅케이블;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히팅코어는, 상기 난방파이프의 양측에 구성된 두 개의 밀폐커버 중 적어도 하나를 관통하여 외부전원과 연결되며, 상기 카본섬유는, 상기 난방파이프의 양측에 구성된 두 개의 밀폐커버 사이 중 적어도 일부에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난방파이프 내부에 구성되며 상기 난방용 히팅케이블과 독립적으로 동작되는 카본열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난방파이프의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난방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수온센서; 상용전원을 상기 난방용 히팅케이블 및 카본열선 중 적어도 하나로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스위칭부; 및 상기 수온센서에서 측정된 난방수의 온도에 따라 상기 스위칭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난방용 히팅케이블 및 카본열선 중 적어도 하나를 동작시키는 발열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열제어부는, 상기 카본열선을 저온발열용으로 동작시키고, 상기 난방용 히팅케이블은 고온발열용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열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난방용 제어기와 IoT기반의 센서네트워크로 통신을 수행하며, 비난방시 상기 카본열선을 동작시키고, 난방시 상기 난방용 히팅케이블을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열제어부는, 상기 수온센서에서 측정된 난방수의 온도가 결빙온도보다 낮으면서 최저보온요구온도보다 높은 경우에는 상기 카본열선을 동작시키고, 최저보온요구온도보다 낮은 경우에는 상기 난방용 히팅케이블을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해결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난방하는 전기식 보일러시스템에 사용되는 난방용 전열관에, 카본섬유를 구성함으로써, 난방과 더불어 원적외선 및 음이온을 방출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연료의 연소에 의한 대기오염을 미연에 방지함은 물론, 사용자의 헬스케어에도 큰 도움을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전원을 공급받아 열을 발생시키는 열선을 구성하고, 카본섬유는 열선에서 방출되는 열에너지를 흡수하여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방출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카본섬유가 전원과 연결되지 않으면서도 헬스케어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카본섬유를 이용하여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충분히 방출시키면서도, 카본섬유에 전원을 직접 연결하는 방식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난방을 위한 고온용 히팅케이블과 더불어 저온용 카본히터를 구성하고, 비난방시에는 카본히터를 이용하여 전열관의 동파를 방지함으로써, 외출 등의 비난방시 최소한의 전력을 이용하여 동파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실내난방 분야, 보일러 시스템 분야, 특히 전기를 이용한 난방 및 보일러 시스템 분야는 물론, 이와 유사 내지 연관된 분야에서 신뢰성 및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난방용 히팅케이블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난방용 히팅케이블을 이용한 난방용 전열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3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난 발열제어부의 제어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은 도 6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난방용 히팅케이블 및 이를 이용한 난방용 전열관에 대한 예는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난방용 히팅케이블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난방용 히팅케이블(100)은 히팅코어(110), 절연체(120) 및 카본섬유(130)를 포함한다.
히팅코어(110)는 히팅케이블(100)의 중심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외부로부터 상용전원을 공급받아 열을 방출한다.
절연체(120)는 히팅케이블(100)의 외형을 이루는 것으로, 전기를 차단하는 절연성능과 더불어, 히팅코어(110)에서 방출되는 열에너지에 버틸 수 있는 내열성능을 갖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카본섬유(130)는 히팅코어(110)와 절연체(120) 사이에 구성되며, 히팅코어(110)에서 방출되는 열에너지의 적어도 일부를 흡수하여 음이온 및 원적외선 중 적어도 하나를 방출한다.
예를 들어, 카본섬유(130)는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히팅코어(110)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카본섬유(130)는 히팅코어(110)에서 발생된 열에너지 중 일부를 흡수하여 원적외선 및 음이온과 더불어 복사열을 방출시킬 수 있다.
한편, 카본섬유(130)도 전기가 잘 흐르는 성질을 가지고 있으므로, 히팅코어(110)와 접촉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히팅코어(110)로 공급된 전기의 일부가 카본섬유(130)에도 흐를 수 있다.
이때, 카본섬유(130)는 히팅코어(110)와 면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카본섬유(130)의 일부 섬유사가 끊어진다 하더라도 전기의 흐름이 원활하게 유지될 수 있다.
앞서 카본섬유(130)의 양측에 직접 전기를 공급함에 따라 발생되는 문제점은, 라인 형태로 구성된 카본섬유(130)의 양측에 전기가 연결된 상태에서, 카본섬유(130)의 일부 섬유사가 끊어짐에 따라 전기의 흐름이 원활하지 않게 되어 발생하는 것이므로,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히팅코어(110)의 외측면에 카본섬유(130)를 감싸도록 구성하게 되면, 카본섬유(130)의 섬유사가 끊어짐에 따라 발생되는 문제점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절연체(120)는 히팅코어(110)를 감싸도록 구성된 제1 절연피복(121)과, 제1 절연피복(121)를 감싸도록 구성된 제2 절연피복(122)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카본섬유(130)는 제1 절연피복(121)과 제2 절연피복(122) 사이, 다시 말해 제1 절연피복(121)의 외측면에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히팅코어(110)와 카본섬유(130)사이에ㅣ 제1 절연피복(121)을 구성하게 되면, 히팅코어(110)로 공급되는 전기의 일부가 카본섬유(130)로 흐르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므로, 카본섬유(130)에 전기가 흐름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도 2에 나타난 카본섬유(130)는 전기의 공급은 원천적으로 차단되면서도, 히팅코어(110)에서 발생된 열에너지의 적어도 일부를 흡수하여 원적외선과 음이온 및 복사열을 방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앞서 설명한 난방용 히팅케이블을 이용한 난방용 전열관에 대해 설명하기로 하며, 난방용 전열관을 포함하는 난방시스템(보일러시스템)의 구성은 당업자의 요구에 의해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특정한 것에 한정하지는 않느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난방용 히팅케이블을 이용한 난방용 전열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난방용 전열관(A)은 난방파이프(200)와, 도 1 및 도 2 중 어느 하나의 난방용 히팅케이블(100)을 포함한다.
난방파이프(200)는 밀폐커버(210)에 의해 양측단이 밀폐되고 내부에 난방수가 채워지는 중공의 파이프이며, 내열성을 가지며 시공의 편의성을 의하여 강화합성수지관(XL-Pipe; PE관)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난방파이프(200)의 내부에는 앞서 설명한 난방용 히팅케이블(100)이 구성되고, 난방을 위한 난방수가 충진될 수 있다.
한편, 히팅케이블(100)의 히팅코어(100)는 외부의 상용전원(외부전원)과 연결되야 하므로, 도 3의 하부에 나타난 확대부분과 같이 난방파이프(200)의 양측에 구성된 두 개의 밀폐커버(210) 중 적어도 하나를 관통하여 외부전원과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카본섬유(130)는 외부전원과 연결되지 않으므로, 밀폐커버(210)의 외측까지 연장되지 않고, 난방파이프(200)의 양측에 구성된 두 개의 밀폐커버(210) 사이 중 적어도 일부에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난방용 전열관(A)은 난방파이프(200) 내부에 구성되며 난방용 히팅케이블(100)과 독립적으로 동작되는 카본열선(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카본열선(300)은 외부의 상용전원과 연결되는 카본코어(310)와, 카본코어(310)를 감싸도록 형성된 절연체(32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카본열선(300)의 카본코어(310)가 외부전원과 연결될 경우, 카본코어(310)의 섬유사에 단선이 발생하게 되면, 과열이나 소손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외부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량을 제어하여, 카본열선(300)이 저온으로 발열되도록 할 경우, 섬유사의 단선으로 인한 과열이나 소손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카본열선(300)은 저온용으로 사용하고, 도 1 및 도 2에 나타난 난방용 히팅케이블(100)은 고온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겨울철 난방을 위해서는 고온의 난방용 히팅케이블(100)을 사용하고, 난방을 하지 않는 경우 난방파이프(200)의 동파를 방지하기 위해서 저온의 카본열선(300)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카본열선(300)을 저온용으로 사용함으로써, 비난방시 과열 및 소손을 방지하면서도 최소한의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동파를 방지함은 물론, 원적외선 및 음이온을 지속적으로 방출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4에 나타난 고온의 난방용 히팅케이블(100)과 저온의 카본열선(3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 및 방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는 도 3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난방용 전열관(A)은 수온센서(410), 스위칭부(420) 및 발열제어부(430)을 포함한다.
수온센서(410)는 난방파이프(200)의 일측, 예를 들어 밀폐커버(210)에 구성되어, 난방파이프(200) 내부에 채워진 난방수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스위칭부(420)는 상용전원(440)을 난방용 히팅케이블(100) 및 카본열선(300) 중 적어도 하나로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것으로, 도 5에서는 밀폐커버(210)의 외부에 도시하였으나,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밀폐커버(210)의 내부에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발열제어부(430)는 수온센서(410)에서 측정된 난방수의 온도에 따라 스위칭부(420)의 동작을 제어하여 난방용 히팅케이블 및 카본열선 중 적어도 하나를 동작시키는 것으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카본열선(300)을 저온발열용으로 동작시키고, 난방용 히팅케이블(100)은 고온발열용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발열제어부(430)는 스위칭부(420)와 마찬가지로 밀폐커버(210)의 내부에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수온센서(410)와 스위칭부(420) 및 발열제어부(430)는 하나의 모듈로 구성하여 밀폐커버(210)에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수온센서(410)와 스위칭부(420) 및 발열제어부(430)는 밀폐커버(210)의 내부에 구성될 수 있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난 발열제어부의 제어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발열제어부(430)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난방용 제어기(예를 들어, 각방제어기 또는 스마트폰)와 IoT기반의 센서네트워크로 통신을 수행하도록 연동될 수 있다(S110).
이에, 사용자가 난방용 제어기를 사용하여 난방을 하게 되면(S120), 발열제어부(430)는 사용자의 조작에 대응하여 난방용 히팅케이블(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S130).
만약, 사용자가 외출 등의 이유로 난방을 끄게 되면(S120), 발열제어부(430)는 비난방시의 동작으로 전환될 수 있다.
이에, 발열제어부(430)는 수온센서(410)을 통해 난방파이프(200) 내부의 난방수 온도를 측정하고(S140), 난방수의 온도가 빙결온도 이하로 내려가게 되면(S150), 저온용으로 동작되는 카본열선(300)을 동작시킴으로써(S160), 난방파이프(200)의 동파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한 곳의 실내에는 다수의 난방용 전열관(A)이 설치되는 바, 각 난방파이프(200) 마다 발열제어부(430)가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다수의 발열제어부(430)는 IoT기반의 센서네트워크로 연동되면서, 사용자의 난방용 제어기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적어도 하나가 발열되도록 동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난방이 시작되면 바닥에 설치된 난방용 전열관(A) 전체가 동작되며, 원하는 온도에 도달하게 되면 전체 난방용 전열관(A) 중 외곽부분(벽면에 가까운 부분)에 설치된 난방용 전열관(A)만 동작되도록 함으로써, 최소한의 전력을 이용하여 차가운 외기의 유입을 차단하고 실내의 열에너지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실내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겨울철 혹한과 같이 비난방시 외기의 온도가 급격하게 내려갈 경우, 카본열선(300)만으로는 난방파이프(200)의 동파를 방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비난방시에도 난방수의 온도가 급격하게 낮아지면 난방용 히팅케이블(100)을 동작시킬 수 있으며, 하기에서 이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7은 도 6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발열제어부(430)는 수온센서(410)에서 측정된 난방수의 온도를 확인하고(S210), 확인된 난방수의 온도가 결빙온도(T1)보다 낮으면서 최저보온요구온도(T2)보다 높은 경우에는 카본열선(300)을 동작시킴으로써(S230), 보온모드로 동작될 수 있다. 여기서, 결빙온도(T1)는 액체인 난방수가 고체로 상변이하는 온도이며, 최저보온요구온도(T2)는 카본열선(300)에 의해 보온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온도 중 가장 낮은 온도를 말한다.
이후, 수온센서(410)에서 측정된 난방수의 온도가 더 낮아지게 될 경우(S220), 예를 들어, 최저보온요구온도(T2)보다 낮은 경우에는(S240) 난방용 히팅케이블을 동작시킴으로써(S250), 혹한에 대응하여 보다 높은 열에너지를 공급하여 난방파이프(200)의 동파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난방용 히팅케이블 및 이를 이용한 난방용 전열관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A : 난방용 전열관
100 : 난방용 히팅케이블
110 : 히팅코어 120 : 절연체
121 : 제1 절연피복 122 : 제2 절연피복
130 : 카본섬유
200 : 난방파이프 210 : 밀폐커버
300 : 카본열선
310 : 카본코어 320 : 절연체
410 : 수온센서 420 : 발열제어부
430 : 스위칭부 440 : 상용전원

Claims (10)

  1. 밀폐커버에 의해 양측단이 밀폐되고 내부에 난방수가 채워지는 중공의 난방파이프; 및
    상기 난방파이프 내부에 구성되는 난방용 히팅케이블;을 포함하며,
    상기 히팅케이블은,
    히팅케이블의 중심에 배치되며 상용전원을 공급받아 열을 방출하는 히팅코어;
    상기 히팅케이블의 외형을 이루는 절연체;
    상기 히팅코어와 절연체 사이에 구성되며 상기 히팅코어에서 방출되는 열에너지의 적어도 일부를 흡수하여 음이온 및 원적외선 중 적어도 하나를 방출하는 카본섬유;를 포함하며,
    상기 난방파이프 내부에 구성되며 상기 난방용 히팅케이블과 독립적으로 동작되는 카본열선;
    상기 난방용 히팅케이블 및 카본열선 중 적어도 하나를 동작시키는 발열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발열제어부는,
    상기 카본열선을 저온발열용으로 동작시키고, 상기 난방용 히팅케이블은 고온발열용으로 동작시키며, 비난방시 상기 카본열선을 동작시키고, 난방시 상기 난방용 히팅케이블을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용 전열관.
  2. 밀폐커버에 의해 양측단이 밀폐되고 내부에 난방수가 채워지는 중공의 난방파이프; 및
    상기 난방파이프 내부에 구성되는 난방용 히팅케이블;을 포함하며,
    상기 히팅케이블은,
    히팅케이블의 중심에 배치되며 상용전원을 공급받아 열을 방출하는 히팅코어;
    상기 히팅케이블의 외형을 이루는 절연체;
    상기 히팅코어와 절연체 사이에 구성되며 상기 히팅코어에서 방출되는 열에너지의 적어도 일부를 흡수하여 음이온 및 원적외선 중 적어도 하나를 방출하는 카본섬유;를 포함하며,
    상기 난방파이프 내부에 구성되며 상기 난방용 히팅케이블과 독립적으로 동작되는 카본열선;
    상기 난방파이프의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난방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수온센서; 및
    상기 난방용 히팅케이블 및 카본열선 중 적어도 하나를 동작시키는 발열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발열제어부는,
    상기 수온센서에서 측정된 난방수의 온도가 결빙온도보다 낮으면서 최저보온요구온도보다 높은 경우에는 상기 카본열선을 동작시키고, 최저보온요구온도보다 낮은 경우에는 상기 난방용 히팅케이블을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용 전열관.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카본섬유는,
    상기 히팅코어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용 전열관.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체는,
    상기 히팅코어를 감싸도록 구성된 제1 절연피복; 및
    상기 제1 절연피복을 감싸도록 구성된 제2 절연피복;를 포함하며,
    상기 카본섬유는,
    상기 제1 절연피복과 제2 절연피복 사이에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용 전열관.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코어는,
    상기 난방파이프의 양측에 구성된 두 개의 밀폐커버 중 적어도 하나를 관통하여 외부전원과 연결되며,
    상기 카본섬유는,
    상기 난방파이프의 양측에 구성된 두 개의 밀폐커버 사이 중 적어도 일부에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용 전열관.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난방파이프의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난방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수온센서; 및
    상용전원을 상기 난방용 히팅케이블 및 카본열선 중 적어도 하나로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하며,
    상기 발열제어부는 상기 수온센서에서 측정된 난방수의 온도에 따라 상기 스위칭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난방용 히팅케이블 및 카본열선 중 적어도 하나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용 전열관.
  7. 제 2항에 있어서,
    상용전원을 상기 난방용 히팅케이블 및 카본열선 중 적어도 하나로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하며,
    상기 발열제어부는 상기 수온센서에서 측정된 난방수의 온도에 따라 상기 스위칭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용 전열관.
  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난방용 제어기와 IoT기반의 센서네트워크로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카본열선과 상기 난방용 히팅케이블을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용 전열관.
  9. 난방용 전열관과 발열제어부를 포함하는 난방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난방용 전열관은,
    밀폐커버에 의해 양측단이 밀폐되고 내부에 난방수가 채워지는 중공의 난방파이프; 및
    상기 난방파이프 내부에 구성되는 난방용 히팅케이블;을 포함하며,
    상기 히팅케이블은,
    히팅케이블의 중심에 배치되며 상용전원을 공급받아 열을 방출하는 히팅코어;
    상기 히팅케이블의 외형을 이루는 절연체;
    상기 히팅코어와 절연체 사이에 구성되며 상기 히팅코어에서 방출되는 열에너지의 적어도 일부를 흡수하여 음이온 및 원적외선 중 적어도 하나를 방출하는 카본섬유;를 포함하며,
    상기 난방파이프 내부에 구성되며 상기 난방용 히팅케이블과 독립적으로 동작되는 카본열선;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발열제어부는,
    상기 난방용 히팅케이블 및 카본열선 중 적어도 하나를 동작시키며, 상기 카본열선을 저온발열용으로 동작시키고, 상기 난방용 히팅케이블은 고온발열용으로 동작시키며, 비난방시 상기 카본열선을 동작시키고, 난방시 상기 난방용 히팅케이블을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시스템.
  10. 난방용 전열관과 발열제어부를 포함하는 난방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난방용 전열관은,
    밀폐커버에 의해 양측단이 밀폐되고 내부에 난방수가 채워지는 중공의 난방파이프; 및
    상기 난방파이프 내부에 구성되는 난방용 히팅케이블;을 포함하며,
    상기 히팅케이블은,
    히팅케이블의 중심에 배치되며 상용전원을 공급받아 열을 방출하는 히팅코어;
    상기 히팅케이블의 외형을 이루는 절연체;
    상기 히팅코어와 절연체 사이에 구성되며 상기 히팅코어에서 방출되는 열에너지의 적어도 일부를 흡수하여 음이온 및 원적외선 중 적어도 하나를 방출하는 카본섬유;를 포함하며,
    상기 난방파이프 내부에 구성되며 상기 난방용 히팅케이블과 독립적으로 동작되는 카본열선; 및
    상기 난방파이프의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난방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수온센서; 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발열제어부는, 상기 난방용 히팅케이블 및 카본열선 중 적어도 하나를 동작시키며, 상기 수온센서에서 측정된 난방수의 온도가 결빙온도보다 낮으면서 최저보온요구온도보다 높은 경우에는 상기 카본열선을 동작시키고, 최저보온요구온도보다 낮은 경우에는 상기 난방용 히팅케이블을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시스템.
KR1020200036069A 2020-03-25 2020-03-25 난방용 히팅케이블과 이를 이용한 난방용 전열관 및 이를 포함하는 난방시스템 Active KR1021955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6069A KR102195531B1 (ko) 2020-03-25 2020-03-25 난방용 히팅케이블과 이를 이용한 난방용 전열관 및 이를 포함하는 난방시스템
PCT/KR2020/005068 WO2021194002A1 (ko) 2020-03-25 2020-04-16 난방용 히팅케이블 및 이를 이용한 난방용 전열관
EP20172332.7A EP3886533A1 (en) 2020-03-25 2020-04-30 Heating cable for heating, and heat transfer pipe for heating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6069A KR102195531B1 (ko) 2020-03-25 2020-03-25 난방용 히팅케이블과 이를 이용한 난방용 전열관 및 이를 포함하는 난방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5531B1 true KR102195531B1 (ko) 2020-12-28

Family

ID=70680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6069A Active KR102195531B1 (ko) 2020-03-25 2020-03-25 난방용 히팅케이블과 이를 이용한 난방용 전열관 및 이를 포함하는 난방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3886533A1 (ko)
KR (1) KR102195531B1 (ko)
WO (1) WO202119400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40370A (zh) * 2021-04-29 2021-07-20 河南讯达电缆有限公司 一种新能源汽车充电桩专用电缆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5315A (ko) * 1998-04-06 1998-07-06 한지현 전열선과 열매체유를 이용한 난방방법 및 그 장치.
KR200361408Y1 (ko) * 2004-06-28 2004-09-10 (주)해피의료기 전자파 차폐용 발열선
KR200433759Y1 (ko) * 2006-09-27 2006-12-12 장찬식 발열전선이 개선된 전열온수관
KR101623545B1 (ko) 2016-01-22 2016-05-23 심용보 난방용 전열관
KR20160133071A (ko) * 2015-05-11 2016-11-22 주식회사 한국엠아이씨 리드전선이 접속된 스노우 멜팅용 히팅케이블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16881B1 (en) * 1991-06-05 1995-07-26 Hidec Corporation Ltd. Low-frequency induction heater
DE19732414A1 (de) * 1997-07-30 1999-02-04 Suhl Elektro & Hausgeraetewerk Durchlauferhitzer mit Dickschichtheizelementen
KR20100062161A (ko) * 2008-12-01 2010-06-10 주식회사 온스톤 온열매트 가열장치
KR20130039791A (ko) * 2011-10-13 2013-04-23 김성민 축열식 히팅 케이블
JP2013134880A (ja) * 2011-12-26 2013-07-08 Valeo Japan Co Ltd セラミックヒータ及びそれを用いた電気発熱式温水加熱装置
KR101549344B1 (ko) * 2014-06-30 2015-09-11 주식회사 유니웜 세라믹이 코팅된 저에너지 고효율 기능성 발열선
KR102019004B1 (ko) * 2019-01-22 2019-09-05 김원경 횡권형 무자계 카본 발열선 및 이를 포함하는 전열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5315A (ko) * 1998-04-06 1998-07-06 한지현 전열선과 열매체유를 이용한 난방방법 및 그 장치.
KR200361408Y1 (ko) * 2004-06-28 2004-09-10 (주)해피의료기 전자파 차폐용 발열선
KR200433759Y1 (ko) * 2006-09-27 2006-12-12 장찬식 발열전선이 개선된 전열온수관
KR20160133071A (ko) * 2015-05-11 2016-11-22 주식회사 한국엠아이씨 리드전선이 접속된 스노우 멜팅용 히팅케이블 및 그 제조방법
KR101623545B1 (ko) 2016-01-22 2016-05-23 심용보 난방용 전열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40370A (zh) * 2021-04-29 2021-07-20 河南讯达电缆有限公司 一种新能源汽车充电桩专用电缆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886533A1 (en) 2021-09-29
WO2021194002A1 (ko) 2021-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282458A1 (en) Carbon fiber heating source and heating system using the same
US20090103908A1 (en) Combined heater and space heating system including the combined heater
KR0180211B1 (ko) 전열온수관의 난방방법 및 그장치
KR102195531B1 (ko) 난방용 히팅케이블과 이를 이용한 난방용 전열관 및 이를 포함하는 난방시스템
KR20040064947A (ko) 다공질의 난연성 압축섬유를 이용한 전기보일러 매트
KR20150028468A (ko) 전기 순간온수기용 가열장치
KR101371509B1 (ko) 적외선 난방 제어 시스템
KR100984131B1 (ko) 탄소 섬유를 이용한 발열체의 구조 및 이를 적용한 보일러
KR101468724B1 (ko) 순간 가열식 전기보일러 시스템
KR100889799B1 (ko) 이중 순간 가열식 전기보일러
KR20100121362A (ko) 탄소섬유 발열체 및 이를 이용한 열교환장치
CN104344541A (zh) 一种用于加热系统的电加热器
KR20100121359A (ko) 열 교환용 탄소섬유 발열체 및 이를 이용한 전기보일러
KR20240090904A (ko) 버너 용기 및 유체 히터
KR20090129139A (ko) 탄소 섬유를 이용한 발열체 및 이를 적용한 보일러
KR20110126844A (ko) 탄소히터를 이용한 온수생성장치
KR100422411B1 (ko) 히팅유 화석에너지를 이용한 온수난방겸용 저탕식심야전기보일러
KR101331010B1 (ko) 탄소나노튜브섬유 발열체를 이용한 전기보일러
KR101214202B1 (ko) 순간 가열형 전열 보일러
JP2008309431A (ja) 床暖房システム
KR20010069455A (ko) 축열물질을 이용한 전기난방장치
KR20090083999A (ko) 전기보일러
KR20060061212A (ko) 전기보일러의 구조
KR20010076673A (ko) 전기 난방기
KR20130081452A (ko) 보온 전기 열선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32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63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325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8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111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12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12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