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3547B1 - 입력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입력 장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입력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입력 장치 제어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93547B1 KR102193547B1 KR1020130057996A KR20130057996A KR102193547B1 KR 102193547 B1 KR102193547 B1 KR 102193547B1 KR 1020130057996 A KR1020130057996 A KR 1020130057996A KR 20130057996 A KR20130057996 A KR 20130057996A KR 102193547 B1 KR102193547 B1 KR 10219354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splay device
- pattern image
- input device
- signal
- magnetic fiel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06F3/0383—Signal control means within the pointing devic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electromagnetic mea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8
- G06F2203/0381—Multimodal input, i.e. interface arrangements enabling the user to issue commands by simultaneous use of input devices of different nature, e.g. voice plus gesture on digitiz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ultimedia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력 장치의 제2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1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2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입력 장치의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패턴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제1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입력 장치를 통해 감지된 소리 세기에 기초하여 패턴 이미지에 대한 작업 취소를 수행하는 제1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입력 장치를 통해 감지된 소리 세기에 기초하여 패턴 이미지에 대한 작업 취소를 수행하는 제2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입력 장치의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패턴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제2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입력 장치를 통해 감지된 소리 세기에 기초하여 패턴 이미지의 특정 영역에 대한 작업 취소를 수행하는 제1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입력 장치를 통해 감지된 소리 세기에 기초하여 패턴 이미지의 특정 영역에 대한 작업 취소를 수행하는 제2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장치의 제어 방법에 대한 제1 흐름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장치에서 패턴 이미지에 대한 작업 취소 구간을 단계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이벤트 신호를 상이하게 생성하는 방법의 흐름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장치의 제어 방법에 대한 제2 흐름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장치에서 패턴 이미지에 대한 작업 취소 구간을 단계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자기장 신호를 상이하게 생성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130 : 음량 추출부 140,240 : 제어부
150,250 : 저장부 160 : 신호 생성부
220 : 입력부 230 : 디스플레이부
260 : 감지부 270 : 신호 수신부
Claims (20)
-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소리를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감지된 소리로부터 음량을 추출하는 음량 추출부; 및
상기 추출된 음량 구간별 피크 레벨이 기설정된 임계 레벨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임계 레벨을 초과하는 음량 구간이 존재하면,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된 패턴 이미지에 대한 작업 취소를 수행하기 위한 이벤트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임계 레벨을 초과하는 음량 구간이 유지되는 시간 정도에 따라 상기 패턴 이미지에 대한 작업 취소 구간을 단계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이벤트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임계 레벨을 초과하는 음량 구간이 유지되는 시간이 기설정된 임계 시간 이하이면, 상기 패턴 이미지와 관련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기저장된 좌표값 중 마지막으로 저장된 좌표값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제1 구간만큼 작업 취소를 수행하기 위한 제1 이벤트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임계 레벨을 초과하는 음량 구간이 유지되는 시간이 상기 기설정된 임계 시간을 초과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기저장된 좌표값 중 마지막으로 저장된 좌표값을 기준으로 상기 제1 구간보다 많은 제2 구간에 대한 작업 취소를 수행하기 위한 제2 이벤트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 -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기저장된 좌표값은,
상기 패턴 이미지와 관련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터치 스크린에 터치된 지점으로부터 검출된 좌표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 - 자기장 신호를 인식하여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입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기장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생성부;
소리를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감지된 소리로부터 음량을 추출하는 음량 추출부; 및
상기 추출된 음량 구간별 피크 레벨이 기설정된 임계 레벨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임계 레벨을 초과하는 음량 구간이 존재하면, 상기 자기장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된 패턴 이미지에 대한 작업 취소 관련 자기장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도록 상기 신호 생성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입력 장치.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임계 레벨을 초과하는 음량 구간이 유지되는 시간 정도에 따라 상기 작업 취소를 위한 자기장 신호를 단계적으로 생성하도록 상기 신호 생성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임계 레벨을 초과하는 음량 구간이 유지되는 시간이 기설정된 임계 시간 이하이면, 상기 패턴 이미지와 관련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기저장된 좌표값 중 마지막으로 저장된 좌표값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제1 구간만큼 작업 취소를 수행하기 위한 제1 자기장 신호를 생성하도록 상기 신호 생성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임계 레벨을 초과하는 음량 구간이 유지되는 시간이 상기 기설정된 임계 시간을 초과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기저장된 좌표값 중 마지막으로 저장된 좌표값을 기준으로 상기 제1 구간보다 많은 제2 구간에 대한 작업 취소를 수행하기 위한 제2 자기장 신호를 생성하도록 상기 신호 생성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 - 입력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입력 장치의 터치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 장치의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패턴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입력 장치로부터 작업 취소를 수행하기 위한 이벤트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이벤트 신호에 기초하여 수정된 패턴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작업 취소를 수행하기 위한 이벤트 신호는,
복수의 음량 구간 중 피크 레벨이 기설정된 임계 레벨을 초과하는 음량 구간이 존재하면 생성되고,
상기 임계 레벨을 초과하는 음량 구간이 유지되는 시간 정도에 따라 상기 패턴 이미지에 대한 작업 취소 구간을 단계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입력 장치로부터 출력된 자기장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 및
상기 수신된 자기장 신호를 신호 처리하여 상기 입력 장치의 터치 영역을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된 터치 영역에 기초하여 패턴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신호 수신부를 통해 상기 자기장 신호와 상이한 특정 자기장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특정 자기장 신호가 상기 패턴 이미지에 대한 작업 취소 관련 신호인지 여부에 따라 수정된 패턴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패턴 이미지에 대한 작업 취소 관련 신호는 복수의 음량 구간 중 피크 레벨이 기설정된 임계 레벨을 초과하는 음량 구간이 존재하면 생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입력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소리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소리로부터 음량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음량 구간별 피크 레벨이 기설정된 임계 레벨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임계 레벨을 초과하는 음량 구간이 존재하면,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된 패턴 이미지에 대한 작업 취소를 수행하기 위한 이벤트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이벤트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임계 레벨을 초과하는 음량 구간이 유지되는 시간 정도에 따라 상기 패턴 이미지에 대한 작업 취소 구간을 단계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이벤트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 삭제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임계 레벨을 초과하는 음량 구간이 유지되는 시간이 기설정된 임계 시간 이하이면, 상기 패턴 이미지와 관련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 기저장된 좌표값 중 마지막으로 저장된 좌표값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제1 구간만큼 작업 취소를 수행하기 위한 제1 이벤트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임계 레벨을 초과하는 음량 구간이 유지되는 시간이 상기 기설정된 임계 시간을 초과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기저장된 좌표값 중 마지막으로 저장된 좌표값을 기준으로 상기 제1 구간보다 많은 제2 구간에 대한 작업 취소를 수행하기 위한 제2 이벤트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기저장된 좌표값은,
상기 패턴 이미지와 관련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터치 스크린에 터치된 지점으로부터 검출된 좌표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 자기장 신호를 인식하여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입력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소리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소리로부터 음량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음량 구간별 피크 레벨이 기설정된 임계 레벨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임계 레벨을 초과하는 음량 구간이 존재하면, 상기 자기장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된 패턴 이미지에 대한 작업 취소 관련 자기장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장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임계 레벨을 초과하는 음량 구간이 유지되는 시간 정도에 따라 상기 작업 취소를 위한 자기장 신호를 단계적으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장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임계 레벨을 초과하는 음량 구간이 유지되는 시간이 기설정된 임계 시간 이하이면, 상기 패턴 이미지와 관련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 기저장된 좌표값 중 마지막으로 저장된 좌표값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제1 구간만큼 작업 취소를 수행하기 위한 제1 자기장 신호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장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임계 레벨을 초과하는 음량 구간이 유지되는 시간이 상기 기설정된 임계 시간을 초과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기저장된 좌표값 중 마지막으로 저장된 좌표값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제2 구간만큼 작업 취소를 수행하기 위한 제2 자기장 신호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57996A KR102193547B1 (ko) | 2013-05-22 | 2013-05-22 | 입력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입력 장치 제어 방법 |
EP14155605.0A EP2806351B1 (en) | 2013-05-22 | 2014-02-18 | Input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input device |
US14/194,062 US9383962B2 (en) | 2013-05-22 | 2014-02-28 | Input devic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input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57996A KR102193547B1 (ko) | 2013-05-22 | 2013-05-22 | 입력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입력 장치 제어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37264A KR20140137264A (ko) | 2014-12-02 |
KR102193547B1 true KR102193547B1 (ko) | 2020-12-22 |
Family
ID=50235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57996A Expired - Fee Related KR102193547B1 (ko) | 2013-05-22 | 2013-05-22 | 입력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입력 장치 제어 방법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9383962B2 (ko) |
EP (1) | EP2806351B1 (ko) |
KR (1) | KR102193547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423245B2 (en) * | 2014-01-31 | 2019-09-24 | Qualcomm Incorporated | Techniques for providing user input to a device |
KR102348672B1 (ko) * | 2015-03-20 | 2022-01-10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30132950A1 (en) * | 2001-11-27 | 2003-07-17 | Fahri Surucu | Detecting, classifying, and interpreting input events based on stimuli in multiple sensory domains |
Family Cites Familie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314162A (ja) * | 1993-04-29 | 1994-11-08 |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 マルチメディア・スタイラス |
US20030233237A1 (en) * | 2002-06-17 | 2003-12-18 | Microsoft Corporation | Integration of speech and stylus input to provide an efficient natural input experience |
WO2005117483A1 (en) * | 2004-05-25 | 2005-12-08 | Huonlabs Pty Ltd | Audio apparatus and method |
JP4488807B2 (ja) * | 2004-06-25 | 2010-06-23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ボリューム提供システム及び方法 |
KR100677613B1 (ko) * | 2005-09-09 | 2007-02-02 | 삼성전자주식회사 | 멀티미디어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장치 |
US9047359B2 (en) * | 2007-02-01 | 2015-06-02 | Hand Held Products, Inc. | Apparatus and methods for monitoring one or more portable data terminals |
US8628478B2 (en) * | 2009-02-25 | 2014-01-14 | Empire Technology Development Llc | Microphone for remote health sensing |
KR101737829B1 (ko) * | 2008-11-10 | 2017-05-22 | 삼성전자주식회사 | 휴대 단말기의 모션 입력 장치 및 그의 운용 방법 |
US8365304B2 (en) * | 2010-05-24 | 2013-01-29 | Microsoft Corporation | Restricting access to volumes |
KR101804579B1 (ko) * | 2011-07-11 | 2017-12-05 | 삼성전자주식회사 | 입력 장치 |
KR102187227B1 (ko) * | 2014-02-19 | 2020-12-04 | 삼성전자주식회사 | 컨텐츠 생성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
-
2013
- 2013-05-22 KR KR1020130057996A patent/KR102193547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4
- 2014-02-18 EP EP14155605.0A patent/EP2806351B1/en active Active
- 2014-02-28 US US14/194,062 patent/US9383962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30132950A1 (en) * | 2001-11-27 | 2003-07-17 | Fahri Surucu | Detecting, classifying, and interpreting input events based on stimuli in multiple sensory domain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9383962B2 (en) | 2016-07-05 |
KR20140137264A (ko) | 2014-12-02 |
US20140347290A1 (en) | 2014-11-27 |
EP2806351A3 (en) | 2015-11-11 |
EP2806351A2 (en) | 2014-11-26 |
EP2806351B1 (en) | 2019-10-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6131345B (zh) | 一种接近传感器的控制方法、装置及移动终端 | |
CN106096361A (zh) | 一种指纹解锁方法及移动终端 | |
US20150365515A1 (en) | Method of triggering authentication mode of an electronic device | |
CN108958606B (zh) | 分屏显示方法、装置、存储介质和电子设备 | |
CN105302452B (zh) | 一种基于手势交互的操作方法及装置 | |
CN105912919B (zh) | 一种指纹解锁方法及终端 | |
CN107219951B (zh) | 触控屏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及终端设备 | |
EP2770457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security of terminal | |
WO2015010570A1 (en) | A method, device, and terminal for hiding or un-hiding content | |
CN105912920A (zh) | 一种指纹解锁方法及终端 | |
CN106646440A (zh) | 一种跌落高度检测方法及装置 | |
CN106951143B (zh) | 隐藏应用图标的方法及装置 | |
CN109544172B (zh) | 一种显示方法及终端设备 | |
CN106066764B (zh) | 一种指纹解锁方法及终端 | |
KR102193547B1 (ko) | 입력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입력 장치 제어 방법 | |
CN109639370B (zh) | 近场通信天线检测方法、装置、移动终端及存储介质 | |
CN110084009B (zh) | 数字解锁方法、装置、存储介质及移动终端 | |
CN105700801B (zh) | 一种界面截取方法和设备 | |
CN107622235B (zh) | 指纹解锁方法及相关产品 | |
CN105320858B (zh) | 一种快速显示应用图标的方法及装置 | |
CN103412707A (zh) | 一种显示框显示的方法、装置和设备 | |
US9251344B2 (en) | Method, device and storage medium for processing virus | |
CN107357570B (zh) | 一种填色图像的生成方法及用户终端 | |
CN109600514B (zh) | 解锁控制方法、装置、移动终端及存储介质 | |
CN106469310B (zh) | 图片中字符提取方法及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522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051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3052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0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004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9102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004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9122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7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00922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0082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060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04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9122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12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12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9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