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192905B1 - 여닫이 문 모서리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여닫이 문 모서리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2905B1
KR102192905B1 KR1020200065889A KR20200065889A KR102192905B1 KR 102192905 B1 KR102192905 B1 KR 102192905B1 KR 1020200065889 A KR1020200065889 A KR 1020200065889A KR 20200065889 A KR20200065889 A KR 20200065889A KR 102192905 B1 KR102192905 B1 KR 1021929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nut
fastening
circumferential surface
ho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58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흥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흥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흥코리아
Priority to KR10202000658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29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2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290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6Finger guards or other measures preventing harmful access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 E06B7/367Finger guards or other measures preventing harmful access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by covering the gap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at the hinge sid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6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8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 E05D7/082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the pivot axis of the wing being situated at a considerable distance from the edges of the wing, e.g. for balanced wings
    • E05D7/083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the pivot axis of the wing being situated at a considerable distance from the edges of the wing, e.g. for balanced wings with a fixed pivot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틀과 도어 사이에 손가락이 끼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틀과 도어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아 손가락이 끼이는 안전사고를 예방함과 동시에 여름철이나 겨울철에 냉난방의 효율을 최대화 할 수 있는 여닫이 문 모서리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인 해결적 수단은,
"메인회전축봉(100)의 상측에는 제1 너트(110)이 구비되고 상기 제1 너트(110)의 상부에는 중앙에 제1 체결공(131)이 천공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체결공(131)의 내주면 상측 소정의 위치에는 양측으로 제1 체결홈(132)이 형성되어 있는 제1 보조회전축봉(130)이 구비되며 상기 메인회전축봉(100)의 하측에는 제2 너트(120)가 구비되고 상기 제2 너트(120)의 하부에는 중앙에 제2 체결공(141)이 천공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체결공(141)의 내주면 하측 소정의 위치에는 양측으로 제2 체결홈(142)이 형성되어 있는 제2 보조회전축봉(140)이 구비되어 있으며 중앙에는 상하로 각각 하부에서 소정의 위치까지만 제1 나사산(151)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 양측에 제1 돌기(152)가 구비되어 상기 제1 너트(110)에 체결되면서 상기 제1 돌기(152)가 상기 제1 체결홈(132)에 체결되는 제1 볼트(150)와 상부에서 소정의 위치까지만 제2 나사산(161)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 양측에 제2 돌기(162)가 구비되어 상기 제2 너트(120)에 체결되면서 상기 제2 돌기(162)가 상기 제2 체결홈(142)에 체결되는 제2 볼트(160)가 관통 체결되며 외주면 일측에는 도어(D)에 고정 결합된 도어체결부(170)가 형성되어 있는 회전수단부(10)와, 상기 회전수단부(10)의 상하에는 각각 중앙에 관통공(200)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관통공(200) 외주면 사방으로는 리브(210)와 연결된 원통체(220)가 구비되며 상기 원통체(220) 외주면 일측에는 도어틀(DP)에 고정 결합되는 도어틀체결부(230)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수단부(20)를 포함하는 여닫이 문 모서리 안전장치"를 구성적 특징으로 함으로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비숙련공이라고 하더라도 손쉽게 도어와 도어틀을 분리 시공 가능한 것으로서 즉, 도어체결부와 도어틀체결부를 도어와 도어틀에 드라이버로 체결한 후 제1 너트 및 제2 너트를 회동하여 제1 볼트와 제2 볼트를 각각 제1 보조회전축봉과 제2 보조회전축봉에 체결함으로서 탈부착이 용이한 장점이 있고,
상대적으로 적은 구성요소가 적용되므로 장기간 사용하여도 유격이 헐거워지는 문제가 최소화되어 장기간 정밀한 구동이 가능하고, 잔고장의 발생이 억제되며, 제조비용이 저렴한 장점이 있으며,
가장 핵심적인 장점으로는 도어와 도어틀 사이에 손가락 끼임이 발생될 수 있는 틈새가 사라져 어린아이의 안전사고 발생을 예방할 수 있으며, 상기 틈새로 실내와 실외의 공기가 순환되지 않아 냉난방의 효율이 향상된다.

Description

여닫이 문 모서리 안전장치{Swing door corner safeguards}
본 발명은 도어틀과 도어 사이에 손가락이 끼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틀과 도어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아 손가락이 끼이는 안전사고를 예방함과 동시에 여름철이나 겨울철에 냉난방의 효율을 최대화 할 수 있는 여닫이 문 모서리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빌라와 같은 건물이나 단독주택 등의 주거건물의 실내에는 독립적인 공간을 갖도록 출입구가 형성된 복수의 방이 형성되어 있으며, 출입구에는 방을 외부와 차단할 수 있도록 여닫이 방식의 도어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러한 여닫이식 도어의 구조는 방의 출입구 테두리에 대부분 문틀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도어를 문틀과 경첩으로 연결하여 도어가 경첩에 의하여 일방향으로만 개폐될 수 있도록 설치되고, 문틀에는 도어가 닫혀진 상태를 개폐되는 반대방향으로 더이상 진입을 방지하도록 문틀면의 중앙이나 일측면으로 걸림돌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종래에는 경첩의 구조가 문틀의 일면과 도어의 일면에 경첩을 장착하기 위하여 두 개의 경첩면이 힌지부에 의하여 축결합된 것으로, 하나의 경첩면이 문틀의 일면에 장착되고 다른 하나의 경첩면이 도어에 일면에 장착되는데, 두 개의 경첩면이 서로 밀착되는 두께를 감안하여 문틀과 도어에는 경첩면의 크기만큼 내입되는 가공면이 형성되는 것이다.
즉, 문틀에 도어를 설치하기 위하여 문틀과 도어에 경첩의 장착을 위한 가공면을 현장에서 가공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의 어려움과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고, 특히 문틀과 도어에 손상이 발생되면서 추후에 경첩의 헐거워짐이나 도어를 교체할 때 가공면이 외부에 그대로 노출되면서 외관상 보기 좋지 않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도어의 시공이 간편하면서 깔끔한 외관을 제공하는 일명 이지경첩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이지경첩은 문틀에 장착되는 경첩면에 절개부가 형성되고 도어에는 문틀에 장착되는 경첩면의 절개부와 대응하는 크기의 경첩면이 장착되어 도어의 경척면이 문틀의 경첩면 절개부에 내입되게 중첩되게 이루어지면서 경첩을 장착하기 위하여 가공면을 형성하기 위한 별도의 가공이 필요없이 경첩을 문틀과 도어에 직접 장착할 수 있도록 하여 도어의 신속한 시공을 제공하면서 추후에 도어를 교체하더라도 경첩면을 고정하는 구멍만 매꾸면 되기 때문에 미려한 외관을 제공하게 되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한편, 여닫이식 도어의 문제점으로 도어를 열고 닫는 과정에서 문틀과 도어의 경첩부분으로 문틈이 발생되고, 경첩이 설치된 문틈 사이로 손가락이나 손이 끼이게 되면서 부상을 당하게 되는 등의 안전사고가 종종 발생되었고, 특히 이러한 손끼임 부상은 대부분 어린이들에게 많이 발생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안전사고를 방지하도록 최근에 문틈이 발생되지 않게 설치되는 다수의 안전도어가 많이 개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안전도어는 대부분 설치를 하기 위하여 기존의 경첩과 도어를 제거한 후 도어에 문틀을 가려주는 경첩기능을 하는 안전도어용 장치로 교체해야만 가능하기 때문에 작업의 어려움과 사용되는 부품 및 시공에 의한 많은 비용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안전도어를 설치할 때 또 다른 문제점으로는 설치되는 안전도어용 장치로 인하여 문틀의 폭이 좁아지게 되면서 도어가 문틀에 안 맞는 문제가 발생되었고, 이를 위하여 대부분 현장에서 도어의 일측면을 연삭 또는 절단하여 설치가능토록 하고 있는 것이다.
특히 도어의 가공된 부분에는 별도의 마감처리를 추가로 작업해야 하는 문제는 물론 가공에 따른 시간소요로 설치시간과 이러한 안전도어의 설치가 전문가만이 가능하기 때문에 많은 설치비용이 발생되는 것이었다.
또한, 상기 종래의 경첩은 틈새로 인하여 여름철이나 겨울철에 냉난방의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0282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2763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9591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0450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우선, 구성을 단순화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제조비용을 절감하며, 우수한 설치편의성을 가질 뿐 아니라, 조립 해체가 용이하도록 하는 설치편의성이 향상된 여닫이 문 모서리 안전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고,
다음, 도어과 도어틀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손가락이 틈새에 끼이는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여닫이 문 모서리 안전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다음, 여름철이나 겨울철에 냉난방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도록 하는 여닫이 문 모서리 안전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해결적 수단은,
"메인회전축봉(100)의 상측에는 제1 너트(110)이 구비되고 상기 제1 너트(110)의 상부에는 중앙에 제1 체결공(131)이 천공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체결공(131)의 내주면 상측 소정의 위치에는 양측으로 제1 체결홈(132)이 형성되어 있는 제1 보조회전축봉(130)이 구비되며 상기 메인회전축봉(100)의 하측에는 제2 너트(120)가 구비되고 상기 제2 너트(120)의 하부에는 중앙에 제2 체결공(141)이 천공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체결공(141)의 내주면 하측 소정의 위치에는 양측으로 제2 체결홈(142)이 형성되어 있는 제2 보조회전축봉(140)이 구비되어 있으며 중앙에는 상하로 각각 하부에서 소정의 위치까지만 제1 나사산(151)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 양측에 제1 돌기(152)가 구비되어 상기 제1 너트(110)에 체결되면서 상기 제1 돌기(152)가 상기 제1 체결홈(132)에 체결되는 제1 볼트(150)와 상부에서 소정의 위치까지만 제2 나사산(161)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 양측에 제2 돌기(162)가 구비되어 상기 제2 너트(120)에 체결되면서 상기 제2 돌기(162)가 상기 제2 체결홈(142)에 체결되는 제2 볼트(160)가 관통 체결되며 외주면 일측에는 도어(D)에 고정 결합된 도어체결부(170)가 형성되어 있는 회전수단부(10)와, 상기 회전수단부(10)의 상하에는 각각 중앙에 관통공(200)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관통공(200) 외주면 사방으로는 리브(210)와 연결된 원통체(220)가 구비되며 상기 원통체(220) 외주면 일측에는 도어틀(DP)에 고정 결합되는 도어틀체결부(230)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수단부(20)를 포함하는 여닫이 문 모서리 안전장치와,
상기 메인회전축봉(100)은 중앙에 결합공(101)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결합공(101) 외주면 사방으로는 리브(102)와 연결된 외통체(103)가 구비된 것을 포함하는 여닫이 문 모서리 안전장치와,
상기 외통체(103)의 외주면 타측에는 회동차폐막(104)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여닫이 문 모서리 안전장치와,
상기 원통체(220)의 외주면 타측에는 고정차폐막(221)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여닫이 문 모서리 안전장치와,
상기 제1 너트(110)와 제2 너트(120) 외주면에는 미끄럼방지용 요철부(11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여닫이 문 모서리 안전장치"를 구성적 특징으로 함으로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비숙련공이라고 하더라도 손쉽게 도어와 도어틀을 분리 시공 가능한 것으로서 즉, 도어체결부와 도어틀체결부를 도어와 도어틀에 드라이버로 체결한 후 제1 너트 및 제2 너트를 회동하여 제1 볼트와 제2 볼트를 각각 제1 보조회전축봉과 제2 보조회전축봉에 체결함으로서 탈부착이 용이한 장점이 있고,
상대적으로 적은 구성요소가 적용되므로 장기간 사용하여도 유격이 헐거워지는 문제가 최소화되어 장기간 정밀한 구동이 가능하고, 잔고장의 발생이 억제되며, 제조비용이 저렴한 장점이 있으며,
가장 핵심적인 장점으로는 도어와 도어틀 사이에 손가락 끼임이 발생될 수 있는 틈새가 사라져 어린아이의 안전사고 발생을 예방할 수 있으며, 상기 틈새로 실내와 실외의 공기가 순환되지 않아 냉난방의 효율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인 여닫이 문 모서리 안전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여닫이 문 모서리 안전장치에 있어서 다른 실시예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여닫이 문 모서리 안전장치에 있어서 회전수단부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여닫이 문 모서리 안전장치에 있어서 회전수단부의 결합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인 여닫이 문 모서리 안전장치에 있어서 도어에 도어체결부를 회전 결합하고 도어틀에 도어틀체결부를 고정 결합한 상태의 분리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인 여닫이 문 모서리 안전장치에 있어서 회전수단부의 제1 너트 및 제2 너트를 회동하여 고정수단부에 회전수단부를 체결하기 전단계의 작동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인 여닫이 문 모서리 안전장치에 있어서 회전수단부의 제1 너트 및 제2 너트를 회동하여 고정수단부에 회전수단부를 체결하는 상태를 나타낸 작동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인 여닫이 문 모서리 안전장치에 있어서 도어가 닫힌 상태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인 여닫이 문 모서리 안전장치에 있어서 도어가 열린 상태의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며,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음은 물론,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점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닌바, 본 발명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가능하거나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형태를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여닫이 문 모서리 안전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인 여닫이 문 모서리 안전장치에 있어서 다른 실시예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인 여닫이 문 모서리 안전장치에 있어서 회전수단부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인 여닫이 문 모서리 안전장치에 있어서 회전수단부의 결합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인 여닫이 문 모서리 안전장치에 있어서 도어에 도어체결부를 회전 결합하고 도어틀에 도어틀체결부를 고정 결합한 상태의 분리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인 여닫이 문 모서리 안전장치에 있어서 회전수단부의 제1 너트 및 제2 너트를 회동하여 고정수단부에 회전수단부를 체결하기 전단계의 작동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인 여닫이 문 모서리 안전장치에 있어서 회전수단부의 제1 너트 및 제2 너트를 회동하여 고정수단부에 회전수단부를 체결하는 상태를 나타낸 작동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인 여닫이 문 모서리 안전장치에 있어서 도어가 닫힌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인 여닫이 문 모서리 안전장치에 있어서 도어가 열린 상태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면과 함께 설명하면,
본 발명의 핵심은 도어(D)와 도어틀(DP) 사이에 손이 끼워져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하기 위함과 동시에 여름철 겨울철 냉난방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함이 목적으로서 본 발명의 핵심 구성요소는 즉,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수단부(10)과 고정수단부(20)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회전수단부(1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회전축봉(100), 제1 너트(110), 제2 너트(120), 제1 보조회전축봉(130), 제2 보조회전축봉(140), 제1 볼트(150), 제2 볼트(160) 및 도어체결부(170)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도어체결부(17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회전축봉(100), 제1 보조회전축봉(130), 제2 보조회전축봉(140)에 일체로 구비되어 도어(D)에 고정 결합되는 구성이다.
상기 회전수단부(1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메인회전축봉(10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위치하고 있으며 그 구성은, 중앙에 결합공(101)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결합공(101) 외주면 사방으로는 리브(102)와 연결된 외통체(103)가 구비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통체(103)의 외주면 타측에는 회동차폐막(104)이 포함된 구성이다.
다음, 상기 제1 너트(110)은 상기 메인회전축봉(100) 상부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외주면에 미끄럼방지용 요철부(11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2 너트(120)은 상기 메인회전축봉(100) 하부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이 또한 외주면에 미끄럼방지용 요철부(11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미끄럼방지용 요철부(112)를 구비한 이유는 사용자가 제1 및 제2 너트(110, 120)를 회동시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 상기 제1 너트(110) 상부에는 제1 보조회전축봉(130)이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보조회전축봉(130)은 중앙에는 제1 체결공(131)이 천공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체결공(131)의 내주면 상측 소정의 위치에는 양측으로 제1 체결홈(132)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2 너트(120) 하부에는 제2 보조회전축봉(140)이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2 보조회전축봉(140)은 중앙에는 제2 체결공(141)이 천공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체결공(141)의 내주면 하측 소정의 위치에는 양측으로 제2 체결홈(142)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다음, 상기 제1 볼트(150)는 상기 메인회전축봉(100)과 제1 너트(110)와 제1 보조회전축봉(130)이 적층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공(101)과 상기 제1 체결공(131)을 관통하여 제1 너트(110)과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볼트(150)의 구성은 하부에서 소정의 위치까지만 제1 나사산(151)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 양측에 제1 돌기(152)가 구비되어 있는 구조이다.
즉, 상기 제1 너트(110)와 제1 볼트(150)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너트(110)를 회동시 동시에 제1 볼트(150)가 상측으로 이동하되 상기 제1 체결홈(132) 내에서 상하로 움직이는 것이다.
즉, 하기에서 설명하지만 상기 제1 돌기(152)가 상기 제1 체결홈(132)의 최상단에 도달시에는 제1 너트(110)가 회동되지 아니하며 이때에는 하기에서 설명하는 고정수단부(20)의 관통공(200)에 제1 볼트(150)가 체결된 상태를 의미하는 것이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회전수단부(10)가 고정수단부(20)를 축으로 회동되는 것이며 이와 같은 현상은 도어의 개폐를 의미하는 것이다.
물론, 제2 볼트(160)도 같은 원리로 작동되는 것으로 상기 제2 볼트(160)는 상기 메인회전축봉(100)의 하부에 제2 너트(120)와 제2 보조회전축봉(140)을 순차적으로 위치시킨 후 상기 제2 체결공(141)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제2 너트(120)에 결합한 다음 상기 결합공(101)에 관통하여 위치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제2 볼트(160)의 구성은 상부에서 소정의 위치까지만 제2 나사산(161)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 양측에 제2 돌기(162)가 구비되어 있는 구조이다.
즉, 상기 제2 너트(120)와 제2 볼트(160)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2 너트(120)를 회동시 동시에 제2 볼트(160)가 하측으로 이동하되 상기 제2 체결홈(142) 내에서 상하로 움직이는 것이다.
즉, 하기에서 설명하지만 상기 제2 돌기(162)가 상기 제2 체결홈(142)의 최하단에 도달시에는 제2 너트(12)가 회동되지 아니하며 이때에는 하기에서 설명하는 고정수단부(20)의 관통공(200)에 제2 볼트(160)가 체결된 상태를 의미하는 것이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회전수단부(10)가 고정수단부(20)를 축으로 회동되는 것이며 이와 같은 현상은 도어의 개폐를 의미하는 것이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수단부(20)는 상기 회전수단부(10)의 상하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구체적인 구성은, 각각 중앙에 관통공(200)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관통공(200) 외주면 사방으로는 리브(210)와 연결된 원통체(220)가 구비되며 상기 원통체(220) 외주면 일측에는 도어틀(DP)에 고정 결합되는 도어틀체결부(23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통체(220)의 외주면 타측에는 고정차폐막(221)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작동관계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우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회전축봉(100)을 기준으로 상부에는 제1 너트(110)와 제1 보조회전축봉(130)을 적층한 후 상기 제1 체결공(131), 제1 너트(110)과 상기 결합공(101)에 제1 볼트(150)를 관통 결합한 후 상기 메인회전축봉(100)을 기준으로 하부에는 제2 보조회전축봉(140)와 제2 너트(120)를 순차적으로 위치한 후 제2 볼트(160)를 관통 결합하여 제1 너트(110) 및 제2 너트(120)을 제1 볼트(150)과 제2 볼트(160)과 적당하게 체결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수단부(10)를 조립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수단부(10)의 도어체결부(170)를 도어(D)의 일측에 회전 결합하고, 고정수단부(20)의 도어틀체결부(230)을 도어틀(DP)에 고정 결합한다.
그 이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수단부(20)의 관통공(200)과 제1 체결공(131), 제2 체결공(141)을 일치시킨 후 제1 너트(110)과 제2 너트(120)을 회동시켜서 상기 제1 돌기(152)는 제1 체결공(131)의 최상단까지 위치할때까지 제1 너트(110)을 회동하고 상기 제2 돌기(162)는 제2 체결공(141)의 최하단까지 위치할때까지 제2 너트(120)을 회동하면 되는 것이다.
이 상태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D)가 닫힌 상태는 물론이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D)가 열린 상태에서도 전혀 틈새가 존재치 아니하여 손이 낄 염려가 전혀 없는 것이다.
한편,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름철이나 겨울철에 냉난방의 효율성을 최대화 하기 위하여 회동차폐막(104)과 고정차폐막(221)을 설치함으로서 손 끼임 방지는 물론이고 냉난방의 효율성도 극대화 가능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상기 기재된 내용으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기술적 사상은 아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파악되어야 하되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에 속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 ; 회전수단부 20 ; 고정수단부
100 ; 메인회전축봉 101 ; 결합공
102 ; 리브 103 ; 외통체
104 ; 회동차폐막 110 ; 제1 너트
112 ; 미그럼방지용 요철부 120 ; 제2 너트
130 ; 제1 보조회전축봉 131 ; 제1 체결공
132 ; 제1 체결홈 140 ; 제2 보조회전축봉
141 ; 제2 체결공 142 : 제2 체결홈
150 ; 제1 볼트 151 ; 제1 나사산
152 ; 제1 돌기 160 ; 제2 볼트
161 ; 제2 나사산 162 ; 제2 돌기
170 ; 도어체결부 200 ; 관통공
210 ; 리브 220 ; 원통체
221 ; 고정차폐막 230 ; 도어틀체결부
D ; 도어 DP ; 도어틀

Claims (10)

  1. 메인회전축봉(100)의 상측에는 제1 너트(110)이 구비되고 상기 제1 너트(110)의 상부에는 중앙에 제1 체결공(131)이 천공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체결공(131)의 내주면 상측 소정의 위치에는 양측으로 제1 체결홈(132)이 형성되어 있는 제1 보조회전축봉(130)이 구비되며 상기 메인회전축봉(100)의 하측에는 제2 너트(120)가 구비되고 상기 제2 너트(120)의 하부에는 중앙에 제2 체결공(141)이 천공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체결공(141)의 내주면 하측 소정의 위치에는 양측으로 제2 체결홈(142)이 형성되어 있는 제2 보조회전축봉(140)이 구비되어 있으며 중앙에는 상하로 각각 하부에서 소정의 위치까지만 제1 나사산(151)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 양측에 제1 돌기(152)가 구비되어 상기 제1 너트(110)에 체결되면서 상기 제1 돌기(152)가 상기 제1 체결홈(132)에 체결되는 제1 볼트(150)와 상부에서 소정의 위치까지만 제2 나사산(161)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 양측에 제2 돌기(162)가 구비되어 상기 제2 너트(120)에 체결되면서 상기 제2 돌기(162)가 상기 제2 체결홈(142)에 체결되는 제2 볼트(160)가 관통 체결되며 외주면 일측에는 도어(D)에 고정 결합된 도어체결부(170)가 형성되어 있는 회전수단부(10)와,
    상기 회전수단부(10)의 상하에는 각각 중앙에 관통공(200)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관통공(200) 외주면 사방으로는 리브(210)와 연결된 원통체(220)가 구비되며 상기 원통체(220) 외주면 일측에는 도어틀(DP)에 고정 결합되는 도어틀체결부(230)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수단부(20)를 포함하는 여닫이 문 모서리 안전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회전축봉(100)은 중앙에 결합공(101)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결합공(101) 외주면 사방으로는 리브(102)와 연결된 외통체(103)가 구비된 것을 포함하는 여닫이 문 모서리 안전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체(103)의 외주면 타측에는 회동차폐막(104)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여닫이 문 모서리 안전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체(220)의 외주면 타측에는 고정차폐막(221)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여닫이 문 모서리 안전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너트(110)와 제2 너트(120) 외주면에는 미끄럼방지용 요철부(11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여닫이 문 모서리 안전장치.















KR1020200065889A 2020-06-01 2020-06-01 여닫이 문 모서리 안전장치 Active KR1021929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5889A KR102192905B1 (ko) 2020-06-01 2020-06-01 여닫이 문 모서리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5889A KR102192905B1 (ko) 2020-06-01 2020-06-01 여닫이 문 모서리 안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2905B1 true KR102192905B1 (ko) 2020-12-18

Family

ID=74041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5889A Active KR102192905B1 (ko) 2020-06-01 2020-06-01 여닫이 문 모서리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290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53040A (zh) * 2021-05-18 2021-07-23 中山市小榄镇大门铰五金制品有限公司 一种合页
KR102395422B1 (ko) * 2022-02-07 2022-05-11 주식회사 신흥코리아 여닫이 문 모서리 안전장치
KR20220137204A (ko) * 2021-04-01 2022-10-12 주식회사 신흥코리아 여닫이 문 모서리 안전장치
KR20220140280A (ko) * 2021-04-09 2022-10-18 김우태 편심회전축을 적용한 편심회전축을 적용한 여닫이 문 안전 가이드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7221A (ko) * 2008-11-21 2010-05-31 이영태 안전도어
KR101095910B1 (ko) 2009-05-29 2011-12-21 주식회사 제이씨 개폐조절장치 및 그 설치구조
KR101127639B1 (ko) 2011-07-04 2012-03-20 김종천 개폐구용 완충장치
KR20120073078A (ko) * 2010-12-26 2012-07-04 이영태 안전도어 개폐장치
KR101402822B1 (ko) 2011-10-05 2014-06-03 한민규 손가락 끼임을 방지하고, 설치편의성이 향상된 경첩 및 이를 이용한 도어시스템
KR101504505B1 (ko) 2013-12-06 2015-03-23 정태영 조립식 안전도어
EP3348760A1 (de) * 2017-01-13 2018-07-18 Athmer oHG Vorrichtung zur schwenkbaren befestigung eines türflügels an einer türzarge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7221A (ko) * 2008-11-21 2010-05-31 이영태 안전도어
KR101095910B1 (ko) 2009-05-29 2011-12-21 주식회사 제이씨 개폐조절장치 및 그 설치구조
KR20120073078A (ko) * 2010-12-26 2012-07-04 이영태 안전도어 개폐장치
KR101127639B1 (ko) 2011-07-04 2012-03-20 김종천 개폐구용 완충장치
KR101402822B1 (ko) 2011-10-05 2014-06-03 한민규 손가락 끼임을 방지하고, 설치편의성이 향상된 경첩 및 이를 이용한 도어시스템
KR101504505B1 (ko) 2013-12-06 2015-03-23 정태영 조립식 안전도어
EP3348760A1 (de) * 2017-01-13 2018-07-18 Athmer oHG Vorrichtung zur schwenkbaren befestigung eines türflügels an einer türzarg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7204A (ko) * 2021-04-01 2022-10-12 주식회사 신흥코리아 여닫이 문 모서리 안전장치
KR102474768B1 (ko) * 2021-04-01 2022-12-07 주식회사 신흥코리아 여닫이 문 모서리 안전장치
KR20220140280A (ko) * 2021-04-09 2022-10-18 김우태 편심회전축을 적용한 편심회전축을 적용한 여닫이 문 안전 가이드장치
KR102621580B1 (ko) * 2021-04-09 2024-01-04 김우태 편심회전축을 적용한 여닫이 문 안전 가이드장치
CN113153040A (zh) * 2021-05-18 2021-07-23 中山市小榄镇大门铰五金制品有限公司 一种合页
KR102395422B1 (ko) * 2022-02-07 2022-05-11 주식회사 신흥코리아 여닫이 문 모서리 안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2905B1 (ko) 여닫이 문 모서리 안전장치
US20180216397A1 (en) Inward-opening type casement window having outward-opening pane and screen, and handle lock and hinge used therefor
CN102352720B (zh) 一种多功能门窗装置
KR102621580B1 (ko) 편심회전축을 적용한 여닫이 문 안전 가이드장치
CN111155893A (zh) 一种具有安全护栏、防蚊功能的建筑节能外平开窗
KR200464751Y1 (ko) 슬라이드창문용 노출형 잠금장치
KR102696666B1 (ko) 여닫이식 도어시스템
EP2937496B1 (en) Operating handle for a folding/sliding door
JP5782660B2 (ja) 多段ロック
US20110107692A1 (en) Storm shutter assembly
KR100943028B1 (ko) 기어방식을 이용한 창호 여닫이 구조
CN211900278U (zh) 一种具有安全护栏、防蚊功能的建筑节能外平开窗
US4376353A (en) Building structure
KR102113880B1 (ko) 손가락 끼임 방지 기능을 갖는 도어
KR102474768B1 (ko) 여닫이 문 모서리 안전장치
KR200355677Y1 (ko) 환기공을 구비하는 창문용 프레임
TWI753962B (zh) 用於門或窗的安裝組件以及使用其之門或窗組件
KR102788089B1 (ko) 안쪽열림 여닫이창호용 방범·방충창
CN207538663U (zh) 一种多功能重叠式平开窗
KR102438423B1 (ko) 히든 도어 프레임 구조
KR20210131554A (ko) 손 끼임 방지 문
US10119317B2 (en) Pump handle system and method of use
KR20060017478A (ko) 여닫이 출입문용 방범장치및 분리 회동형 방충장치의케이스
CN2183432Y (zh) 窗式防盗门
JP2574327Y2 (ja) 引き違い戸用施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60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61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60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8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11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121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12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12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0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91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