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0650B1 - Discharge lamp - Google Patents
Discharge lamp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90650B1 KR102190650B1 KR1020157031239A KR20157031239A KR102190650B1 KR 102190650 B1 KR102190650 B1 KR 102190650B1 KR 1020157031239 A KR1020157031239 A KR 1020157031239A KR 20157031239 A KR20157031239 A KR 20157031239A KR 102190650 B1 KR102190650 B1 KR 10219065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ctifier
- closed space
- electrode
- opening
- discharge lamp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00155 mel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844 mel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018 mel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891 electric arc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888 f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401 inhibi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QSHDDOUJBYECFT-UHFFFAOYSA-N mercury Chemical compound [Hg] QSHDDOUJBYECF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53 mercur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332 silv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088 si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ZOKXTWBITQBERF-UHFFFAOYSA-N Molybdenum Chemical compound [Mo] ZOKXTWBITQBER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86 active pharmaceutical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45601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56 allo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041 brightra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11 delay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0 molybden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33 molybden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6 noble gas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5 tantal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GUVRBAGPIYLISA-UHFFFAOYSA-N tantalum atom Chemical compound [Ta] GUVRBAGPIYLIS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WFKWXMTUELFFGS-UHFFFAOYSA-N tungsten Chemical compound [W] WFKWXMTUELFFG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21 tungst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7 tungst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44 upstream manufact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04—Electrodes; Screens; Shields
- H01J61/06—Main electrodes
- H01J61/073—Main electrodes for high-pressure discharge lamps
- H01J61/0732—Main electrodes for high-pressure discharge lamp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electrod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52—Cooling arrangements; Heating arrangements; Means for circulating gas or vapour within the discharge space
- H01J61/523—Heating or cooling particular parts of the lamp
- H01J61/526—Heating or cooling particular parts of the lamp heating or cooling of electrod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84—Lamps with discharge constricted by high pressure
- H01J61/86—Lamps with discharge constricted by high pressure with discharge additionally constricted by close spacing of electrodes, e.g. for optical projection
Landscapes
- Discharge Lamp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방전 램프는, 방전관과, 방전관 내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전극을 갖추고, 적어도 한쪽의 전극이, 램프 점등 시에 용해하여 대류하는 전열체가 봉입되는 밀폐 공간과, 밀폐 공간 내에서 전극 축을 따라 배치되어, 밀폐 공간 저면 측 개구부 및 밀폐 공간 상면 측 개구부를 가지는 중공상 정류체를 가진다. 밀폐 공간 저면 측 개구부와 밀폐 공간 상면 측 개구부의 사이에서 전열체의 유로가 형성되고, 그리고, 전극 축이 유로를 통과하도록, 정류체가 배치되어 있다.The discharge lamp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charge tube and a pair of electrodes disposed in the discharge tube, and at least one electrode melts when the lamp is lit and convectively is enclosed in an enclosed space, and along the electrode axis in the enclosed space. It is disposed, and has a hollow rectifier having an opening on the bottom side of the closed space and an opening on the top side of the closed space. A flow path of the heat transfer body is formed between the opening at the bottom of the closed space and the opening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losed space, and the rectifier is disposed so that the electrode shaft passes through the flow path.
Description
본 발명은, 노광 장치 등에 이용되는 방전 램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극 내부에 전열체를 봉입한 전극에 관한 것이다.TECHNIC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charge lamp used in an exposure apparatus or the lik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ctrode in which a heat transfer body is enclosed in an electrode.
방전 램프에서는, 고출력화에 따라, 전극 내부에 형성된 밀폐 공간에 냉각 기능을 가지는 금속을 봉입한 전극이 알려져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거기에서는, 은 등의 열전도율이 높고, 비교적 융점이 낮은 금속으로 된 전열체가, 양극(陽極) 내부에 밀봉되어 있다. 램프 점등에 의해 전극 온도가 상승하면, 전열체가 용해하여 액화한다. 이에 따라, 밀폐 공간에서 열 대류가 생기고, 전극 선단(先端)부의 열이 반대측의 전극 지지봉 방향으로 수송된다.BACKGROUND ART [0002] In a discharge lamp, an electrode in which a metal having a cooling function is sealed in a closed space formed inside the electrode is known as the output is increased (see Patent Document 1). There, a heat transfer member made of a metal such as silver having a high thermal conductivity and a relatively low melting point is sealed inside the anode. When the electrode temperature rises by lighting the lamp, the heat transfer body dissolves and becomes liquefied. Accordingly, thermal convection occurs in the closed space, and the heat of the electrode tip portion is transported in the direction of the electrode supporting rod on the opposite side.
램프 점등 시에 전열체가 대류하면, 전극 내부의 밀폐 공간 내에서 격렬한 온도차가 생겨, 고온 크리프(creep) 변형이 생길 우려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밀폐 공간의 중심, 즉 전극 축을 통과하도록 지름 방향으로 횡단하는 판상(板狀)의 규제체를 배치하여, 전열체가 원주 방향을 따라 회동하는 것을 막는다(특허 문헌 2 참조).When the heat transfer body convections when the lamp is lit, a drastic temperature difference occurs in the enclosed space inside the electrode, and there is a fear that high temperature creep deformation may occur. In order to prevent this, a plate-shaped regulating member that traverses in the radial direction so as to pass through the center of the enclosed space, that is, the electrode axis, is disposed to prevent the heat transfer member from rotating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see Patent Document 2).
밀폐 공간을 횡단하는 규제체를 설치하면, 전극 축을 통과하는 중심부에서 상승하려고 하는 전열체의 흐름을 방해한다. 이는, 전극 선단 측으로의 열 수송 능력을 감소시키는 것이 되어, 전극 선단 온도 상승에 의한 전극 선단부의 소모를 억제할 수 없다.If a regulating body crossing the enclosed space is provided, the flow of the heat transfer body that is going to rise from the center passing through the electrode axis is prevented. This is to reduce the heat transport ability to the electrode tip side, and it is not possible to suppress consumption of the electrode tip portion due to an increase in the electrode tip temperature.
따라서, 전열체의 대류를 방해하지 않고, 열 수송 능력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heat transport capability without disturbing the convection of the heat transfer body.
본 발명의 방전 램프는, 방전관과, 방전관 내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전극을 갖추고, 적어도 한쪽의 전극이, 램프 점등 시에 용해하여 대류하는 전열체가 봉입되는 밀폐 공간과, 밀폐 공간 내에서 전극 축을 따라 배치되어, 밀폐 공간 저면 측 개구부 및 밀폐 공간 상면 측 개구부를 가지는 중공상(中空狀) 정류체를 가진다. 이에 따라, 밀폐 공간 저면 측 개구부와 밀폐 공간 상면 측 개구부의 사이에서 전열체의 유로가 형성된다. 그리고, 전극 축이 유로를 통과하도록, 정류체가 배치되어 있다. 정류체는, 예를 들면 관체(管體)를 갖추고, 양극 내에 형성된 밀폐 공간에 배치된다. 다만, 관체는, 단면 원형상(圓形狀), 다각형상(多角形狀) 어느 것이나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The discharge lamp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charge tube and a pair of electrodes disposed in the discharge tube, and at least one electrode melts when the lamp is lit and convectively is enclosed in an enclosed space, and along the electrode axis in the enclosed space. It is disposed, and has a hollow rectifier having an opening on the bottom of the closed space and an opening on the top of the closed space. Accordingly, a flow path for the heat transfer body is formed between the opening at the bottom of the closed space and the opening at the top of the closed space. And the rectifier is arranged so that the electrode shaft may pass through the flow path. The rectifier is provided with a tube body, for example, and is disposed in a closed space formed in the anode. However, the tube body shall include either a circular cross-sectional shape or a polygonal shape.
램프 점등 시, 밀폐 공간 저면 부근 중앙부에서 가열된 전열체는, 유로 내를 지나 상승한다. 그리고, 열 대류에 의해, 밀폐 공간 상면 부근의 전열체는, 그 대부분이 밀폐 공간 내측 측면과 정류체 외표면과의 사이에 설치된 공간/틈새로 이동하여, 전극 축을 따라 하강한다. 이러한 흐름을 형성 함으로써, 지름 방향에 따른 흐름 발생을 억제하여, 열 대류가 촉진된다.When the lamp is lit, the heat transfer body heated in the central portion near the bottom of the closed space rises through the passage. And by thermal convection, most of the heat transfer body near the upper surface of the closed space moves to the space/gap provided between the inner side of the closed spac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rectifier, and descends along the electrode axis. By forming such a flow, the generation of flow along the radial direction is suppressed, and thermal convection is promoted.
전극 축을 따른 전열체의 상승류를 촉진시키는 구성으로서, 예를 들면, 정류체의 밀폐 공간 저면 측 개구부와 밀폐 공간 상면 측 개구부가, 각각, 밀폐 공간의 저면과 상면을 향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밀폐 공간 지름 방향으로부터의 흐름을 충분히 차단하기 때문에, 정류체를 중앙부에 배치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정류체의 밀폐 공간 저면 측 개구부가, 밀폐 공간의 전극 축에 따른 중심보다 저면 측에 위치하고, 정류체의 밀폐 공간 상면 측 개구부가, 밀폐 공간의 전극 축에 따른 중심보다 상면 측에 위치하는 정류체를 구성한다.As a configuration for promoting the upward flow of the heat transfer body along the electrode axis, for example, the opening on the bottom of the closed space and the opening on the top of the closed space of the rectifier can be directed toward the bottom and the top of the closed space, respectively. Further, since the flow from the radial direction of the closed space is sufficiently blocked, the rectifier can also be disposed in the center. For example, the opening at the bottom of the closed space of the rectifier is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center along the electrode axis of the closed space, and the opening on the upper side of the closed space of the rectifier is on the top side of the closed space along the electrode axis. It constitutes the rectifier to be located.
전극 선단부를 포함하여, 그 단면 형상은 전극 축에 관해 대칭적이며, 밀폐 공간도 동축적으로 배치 가능하다. 전극 선단부 부근에서 전열체가 가장 가열되는 것을 고려하면, 정류체를, 밀폐 공간에 대해 동축적으로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동축적이란, 밀폐 공간의 축이, 정류체의 축 방향에 수직인 단면의 중심 혹은 그 부근을 지나는 상태를 말한다.Including the electrode tip, its cross-sectional shape is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electrode axis, and the enclosed space can also be disposed coaxially. Considering that the heat transfer body is most heated near the tip of the electrode, it is also possible to arrange the rectifier coaxially with respect to the enclosed space. Here, the term “coaxial” refers to a state in which the axis of the enclosed space passes through the center of the cross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axial direction of the rectifier or near it.
열 대류가 국소적으로 흐트러지는 것을 막는 것을 고려해, 유로를 형성하는 내부 공간 영역과 그 외측의 공간 영역이, 전극 축 수직 단면에 관해 대칭적임이 바람직하고, 정류체 외표면과 밀폐 공간의 측면과의 지름 방향에 따른 거리가, 원주 방향 전체에 걸쳐 동일하게 하는 것이 좋다. 예를 들면, 원통상의 내부 공간으로 하여, 단면 원형상의 정류체를 동축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In consideration of preventing the thermal convection from being locally disturbed, it is preferable that the inner space region forming the flow path and the space region outside it ar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section of the electrode axis,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rectifier and the side surface of the enclosed space It is preferable that the distance along the radial direction of is the same throughout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coaxially arrange a rectifier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as a cylindrical inner space.
또한, 전극 축에 관해 정류체를 대칭적 위치로 배치하여, 열 대류를 원활화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내부 공간의 전극 축 방향의 중심 위치에, 정류체의 전극 축 방향에 따른 중심 위치가 오도록 정류체를 배치 함으로써, 밀폐 공간 저면 측 개구부와 밀폐 공간의 저면과의 전극 축 방향에 따른 거리가, 밀폐 공간 상면 측 개구부와 밀폐 공간의 상면과의 전극 축 방향에 따른 거리와 동일하게 할 수 있다.Further, it is also possible to smooth thermal convection by arranging the rectifier in a symmetrical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electrode axis. For example, by arranging the rectifier so that the center position of the rectifier in the direction of the electrode axis of the rectifier comes at the center position in the electrode axis direction of the inner space, the opening at the bottom of the closed space and the bottom of the closed space are The distance can be made equal to the distance along the electrode axis direction between the opening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losed spac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losed space.
정류체의 지름 방향에 따른 배치 위치가 열 대류의 정체 발생에 영향을 주는 것을 고려해, 정류체는, 이하의 식을 만족하도록 배치하면 좋다.Considering that the arrangement position along the radial direction of the rectifier affects the occurrence of congestion in thermal convection, the rectifier may be arranged so as to satisfy the following equation.
0.33 ≤ L1/a ≤ 0.840.33 ≤ L1/a ≤ 0.84
다만, L1은, 전극 축으로부터 정류체까지의 거리를 나타내고, a는, 밀폐 용기 내측의 반경을 나타낸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 함으로써, 열 대류가 효과적으로 발생한다. 특히, 이하의 조건식을 만족하도록 배치 함으로써, 한층 더 열 수송 효과가 발휘된다.However, L1 represents the distance from the electrode axis to the rectifier, and a represents the inner radius of the sealed container. By satisfying these conditions, thermal convection occurs effectively. In particular, by arranging so as to satisfy the following conditional expression, a further heat transport effect is exhibited.
0.66 ≤ L1/a ≤ 0.740.66 ≤ L1/a ≤ 0.74
한편, 정류체의 전극 축 방향에 따른 위치를 고려한 경우, 정류체가, 이하의 식을 만족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position of the rectifier along the electrode axis direction is considered, the rectifier can be arranged so as to satisfy the following equation.
0.50 ≤ L2/b ≤ 0.840.50 ≤ L2/b ≤ 0.84
다만, L2는, 정류체의 길이를 나타내고, b는, 밀폐 용기의 축 방향의 길이를 나타낸다. 이에 따라, 열 수송 효과가 발휘된다.However, L2 represents the length of the rectifier, and b represents the length of the sealed container in the axial direction. Accordingly, the heat transport effect is exhibited.
상승한 전열체가 스무스(smooth)하게 하강하는 것을 고려하면, 정류체가, 밀폐 공간 상면 부근에서, 밀폐 공간 측면의 원주 방향에 따라 형성되는 유출구를 갖추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승하고 있는 전열체의 열을 전극 측면으로 옮기는 것을 고려해, 정류체에 대해, 전극 축을 따라 슬릿(slit)을 형성할 수도 있다.Considering that the risen heat transfer body descends smoothly, the rectifier may have an outlet formed in the vicinity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losed spac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ide of the closed space. Further, in consideration of transferring the heat of the rising heat transfer body to the side of the electrode, a slit may be formed with respect to the rectifier along the electrode axis.
전열체는, 램프 소등 후, 정류체의 내측 영역의 전극 축 방향 높이가 정류체의 외측 영역에 비해 낮은 상태에서, 응고하는 것이 좋다.After the lamp is turned off, the heat transfer body is preferably solidified in a state where the height in the electrode axial direction of the inner region of the rectifier is lower than that of the outer region of the rectifier.
본 발명에 의하면, 열 수송 능력을 향상시킨 전열체 봉입의 전극을 얻을 수 있다.Advantageous Effects of Inven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an electrode encapsulated with a heat transfer body with improved heat transport capability.
도 1은 제1 실시 형태인 방전 램프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양극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3은 정류체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전열체의 대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전열체가 응고한 상태에서의 양극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6은 제2 실시 형태에서의 정류체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제3 실시 형태에서의 정류체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제4 실시 형태에서의 정류체의 사시도이다.
도 9는 L1/a에 대한 전극 선단 온도 및 최대 유속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은 L2/b에 대한 전극 선단 온도 및 최대 유속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1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discharge lamp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n anode.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ctifier.
4 is a diagram showing convection of a heat transfer body.
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n anode in a state in which the heating element is solidified.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ctifier in the second embodiment.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ctifier in the third embodiment.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ctifier in the fourth embodiment.
9 is a graph showing changes in electrode tip temperature and maximum flow rate for L1/a.
10 is a graph showing changes in electrode tip temperature and maximum flow rate for L2/b.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해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제1 실시 형태인 방전 램프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1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discharge lamp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쇼트 아크(Short arc)형 방전 램프(10)는, 패턴 형성하는 노광 장치(도시하지 않음)의 광원 등에 사용 가능한 방전 램프이며, 투명한 석영 유리제의 방전관(발광관)(12)을 갖춘다. 방전관(12)에는, 음극(20), 양극(30)이 소정 간격을 가지고 대향 배치된다.The short arc
방전관(12)의 양측에는, 대향하도록 석영 유리제의 봉지관(13A, 13B)이 방전관(12)로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고, 봉지관(13A, 13B)의 양단은, 구금(口金)(19A, 19B)에 의해 막혀 있다.On both sides of the
방전 램프(10)는, 양극(30)이 상측, 음극(20)이 하측이 되도록 연직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봉지관(13A, 13B)의 내부에는, 금속성의 음극(20), 양극(30)을 지지하는 도전성의 전극 지지봉(17A, 17B)이 배설되고, 금속 링(도시하지 않음), 몰리브덴 등의 금속박(16A, 16B)을 통해 도전성의 리드봉(15A, 15B)에 각각 접속된다.The
봉지관(13A, 13B)은, 봉지관(13A, 13B) 내에 설치되는 유리관(도시하지 않음)과 용착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수은 및 희가스가 봉입된 방전 공간 DS가 봉지된다.The sealing
리드봉(15A, 15B)은 외부의 전원부(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어 있으며, 리드봉(15A, 15B), 금속박(16A, 16B), 그리고 전극 지지봉(17A, 17B)을 통해 음극(20), 양극(30)의 사이에 전압이 인가된다. 방전 램프(10)에 전력이 공급되면, 전극 간에 아크 방전이 발생해, 수은에 의한 휘선(자외광)이 방사된다.The
도 2는, 양극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3은, 정류체의 사시도이다.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n anode.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ctifier.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극(30)은, 원통상 동체부(34)와, 전극 선단면(30S)을 가지는 원뿔대상 선단부(32)로 구성된다. 동체부(34)는, 전극 지지봉(17B)이 취부(取付)되어 있는 밀폐 뚜껑(60)을 접합시킨 구조이며, 밀폐 뚜껑(60)을 제외한 동체부와 선단부는 동일 금속재료로 성형되어 있다.As shown in Fig. 2, the
동체부(34)에는, 내부 중앙에 원주상(圓柱狀)의 밀폐 공간(50)이 전극 축(E)에 대해 동축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밀폐 공간(50)은, 그 상한이 전극 지지봉 측의 밀폐 뚜껑(60)과 접하는 밀폐 공간 상면(50T)이며, 하한이 전극 선단면 측의 밀폐 공간 저면(50B)이 된다.In the
밀폐 공간(50)에는, 전열체(M)가 봉입되어 있다. 전열체(M)는, 동체부(34), 밀폐 뚜껑(60)보다 융점이 낮은 금속(예를 들면, 은)으로 이루어지고, 램프 점등 시에 용해하여 액체가 되어, 밀폐 공간(50) 내에서 대류한다. 램프가 소등하면, 전열체(M)는 응고한다.In the
게다가, 밀폐 공간(50)에는, 관상(管狀)의 정류체(40)가 밀폐 공간(50)에 대해 동축적으로 설치되어 있고, 정류체(40)의 중심축은 전극 축(E)과 일치한다. 정류체(40)는, 반경(L1)을 가지고, 전극 축(E)을 따라 길이(L2)를 가진다.In addition, in the closed
정류체(40)는, 전극 축 방향을 따라 밀폐 공간 저면(50B)과의 거리(12), 밀폐 공간 상면(50T)과의 거리(l3)만큼 떨어지도록, 밀폐 공간(50) 내에 배치되어 있다. 예를 들면, 거리(12, l3)가 동일해지도록 정류체(40)가 배치된다. 한편, 정류체(40)는, 밀폐 공간 측면(50S)과는 지름 방향에 따라 거리(l1)만큼 떨어져 있고, 정류체(40)와 밀폐 공간 측면(50S)과의 거리는 원주 방향 전체에 걸쳐 동일하다.The
정류체(4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밀폐 공간 저면 측에 유입구가 되는 개구부(41A), 밀폐 공간 상면 측에 유출구가 되는 개구부(41B)를 형성한 관체(40S)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관체(40S)는, 여기에서는 단면 원형상이 된다. 또한, 관체(40S)는, 도시하지 않은 봉상(棒狀) 혹은 판상의 고정 부재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고정 부재가 판상인 경우, 전극 축을 따라 설치된다.As shown in Fig. 3, the
관체(40S)의 개구부(41A, 41B)는, 각각, 밀폐 공간 저면(50B)과 밀폐 공간 상면(50T)을 향한다. 또한, 관체(40S)는, 전극 축에 관해 전극 축 방향 중심(W)의 근처에 배치되어 있으며, 개구부(41A)는 밀폐 공간(50)의 전극 축 방향 중심(W)보다 저면 측에 위치하고, 개구부(41B)는, 전극 축 방향 중심(W)보다 상면 측에 위치한다.The
관체(40S)는, 밀폐 공간(50) 내에, 관체(40S)의 관로가 되는 공간 영역(V1)과 그 외부의 공간 영역(V2)을 규정하여, 2개의 공간 영역이 구획된다. 관체(40S)는, 고융점 금속(예를 들면, 텅스텐, 탄탈 등)이나 그 합금에 의해 성형된다.The
도 4는, 전열체의 대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이용해, 정류체에 의한 열 수송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4 is a diagram showing convection of a heat transfer body. The heat transport effect by the rectifier is demonstrated using FIG. 4.
램프 점등 중, 아크 방전에 의해 전극 선단부(32)의 온도가 고온이 되면, 용해한 전열체(M)는, 전극 축(E)을 따라 상승한다. 특히, 전극 선단면(30S)에서의 아크 열에 의해, 전극 축(E)을 중심으로 한 밀폐 공간(50)의 중앙부에서 전열체(M)가 상승하려고 한다. 그 결과, 전열체(M)가 정류체(40)의 개구부(41A)로 유입하여, 관 내 경로를 이동한다.During lamp lighting, when the temperature of the
정류체(40) 내부를 상승한 전열체(M)는, 그 대부분이 밀폐 공간 상면(50T)을 따라 이동하여, 전극 지지봉 측에 열을 전달한 후, 정류체(40)의 외측 영역(V2)을 하강한다. 이 때, 전열체(M)는, 동체부(34)의 외측면(34S)에 열을 방출하면서 하강한다. 그리고, 밀폐 공간 저면(50B)의 주연부 부근에 도달한 전열체(M)는 그 중앙부까지 이동하여, 아크 열에 의해 다시 정류체(40)의 내부를 상승한다.The heat transfer body M that has risen inside the
이러한 전열체(M)의 대류는, 정류체(40)의 배치에 의해 촉진된다. 즉, 관체(40S)를 동축적으로 설치하는 것으로, 정류체(40)의 내측 영역(V1)에서의 상 방향의 흐름과 외측 영역(V2)의 하 방향의 흐름이 서로 차단되기 때문에, 정체가 생기기 어렵고, 대류가 촉진된다. 전열체(M)의 상하 방향의 대류가 저해되지 않으므로, 전열체(M)가 상승할 때의 유속, 유량이 증가한다.The convection of the heat transfer member M is promoted by the arrangement of the
정류체를 설치하지 않는 구성에서는, 전열체(M)가 밀폐 공간 측면 부근에서 대부분 하강하는 흐름의 영향으로, 중앙부 부근에서 전열체(M)가 상승하는 영역이 작게 좁아지게 되어, 상향의 유량이 감소하고, 유속도 빠르게 되지 않는다.In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rectifier is not provided, due to the influence of the flow in which the heat transfer body M mostly descends near the side of the enclosed space, the area in which the heat transfer body M rises near the center becomes small and narrow, so that the upward flow rate is reduced. It decreases, and the flow rate does not become fast.
그렇지만 본 실시 형태의 경우, 정류체(40)의 배치로, 전열체(M)의 유속, 특히 상승류의 유속이 빨라지고, 그 유량이 많아지는 것에 의해, 전극 선단면 측의 열이 전극 지지봉 측에 효율적으로 수송되어, 전극 선단부(32)의 온도 상승을 억제한다. 그 결과, 전극 선단부(32)의 소모를 억제할 수 있다. 특히, 정류체(40)가 전극 축 방향에 관해 충분한 길이를 가지고, 또한, 중앙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밀폐 공간(50) 내를, 대략 전체적으로 관로와 그 외측 공간 영역으로 구획하므로, 유로가 충분히 확보되어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arrangement of the
게다가, 정류체(40)는, 밀폐 공간(50)의 지름 방향에 따른 열의 이동을 차단하는 작용이 있어, 이에 따라, 전열체(M)가 응고할 경우에 밀폐 공간(50)에 걸리는 응력을 저감할 수 있다. 이하, 이에 대해 설명한다.In addition, the
도 5는, 전열체가 응고한 상태에서의 양극의 개략 단면도이다.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n anode in a state in which the heating element is solidified.
정류체(40)에 의해, 내측 영역(V1)의 열이 외측 영역(V2)으로 전해지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램프 소등 시에 내측 영역(V1)에서의 전열체(M)의 온도 저하가 늦어져, 외측 영역(V2)이 상대적으로 빨리 응고한다. 그 결과,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 영역(V2)의 전열체(M)는 응고 수축하고, 내측 영역(V1)의 전열체는, 그보다 크고 액면이 내려간 상태에서 응고한다.Since the
그 결과, 응고 수축한 전열체(M)에는, 적당한 깊이의 요부(凹部)가 형성된다. 그 후 램프가 다시 점등되면, 전열체(M)는 열 팽창해, 밀폐 공간 저면(50B), 밀폐 공간 측면(50S)에 응력이 걸린다. 그렇지만, 요부가 형성 됨으로써, 중심부에 응력을 놓아 주어, 응력을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점등 시 전극 선단부(32)의 취파(吹破)가 생기지 않는다.As a result, concave portions having an appropriate depth are formed in the heat transfer body M that has been solidified and contracted. After that, when the lamp is lit again, the heat transfer member M thermally expands, and stress is applied to the closed
또한, 내측 영역(V1)의 전열체는, 액면이 내려간 상태에서 응고 함으로써, 내측 영역(V1)의 전열체가 비교적 빨리 용해하여 대류를 시작하므로, 전열체 전체가 용해하기까지 필요로 하는 시간이 짧아진다. 그 결과, 점등 시 전극 선단부(32)의 소모를 막을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heat transfer body in the inner region V1 solidifies while the liquid level is lowered, the heat transfer body in the inner region V1 dissolves relatively quickly and starts convection, so the time required for the entire heat transfer body to dissolve is short. Lose.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revent consumption of the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하의 식을 만족하도록, 정류체(40)의 사이즈가 정해지고, 또한, 지름 방향에 관한 배치 위치가 정해져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size of the
0.33 ≤ L1/a ≤ 0.84 (1)0.33 ≤ L1/a ≤ 0.84 (1)
다만, 정류체(40)의 전극 지름 방향에 따른 반경을 L1, 밀폐 공간(50)의 내측 반경을 a로 한다.However, the radius along the electrode diameter direction of the
L1/a가 0.33보다 작으면, 정류체(40)의 내경(內徑)이 상대적으로 너무 작아져, 전열체(M)의 상승류를 저해한다. 한편, L1/a가 0.84보다 크면, 정류체(40) 내부에서의 전열체(M)의 하강류가 많이 생겨, 상향의 흐름을 저해해 버린다.When L1/a is less than 0.33, the inner diameter of the
게다가, 이하의 식의 범위를 만족할 때, 상향의 대류 증가에 큰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range of the following equation is satisfied, a great effect can be obtained for an upward convection increase.
0.66 ≤ L1/a ≤ 0.74 (2)0.66 ≤ L1/a ≤ 0.74 (2)
한편, 정류체의 L2는, 이하의 식을 만족 함으로써, 전열체의 유속을 증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On the other hand, L2 of the rectifier can obtain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flow velocity of the heat transfer body by satisfying the following equation.
0.50 ≤ L2/b ≤ 0.84 (3)0.50 ≤ L2/b ≤ 0.84 (3)
다만, 정류체의 축 방향의 길이를 L2, 밀폐 용기의 축 방향의 길이를 b로 한다.However, the length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rectifier is L2, and the length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sealed container is b.
정류체의 전극 축 방향의 길이가, 상기 식의 범위보다 작으면, 상하의 대류를 충분히 차단하는(가로막는) 것을 할 수 없다. 또한, 상기 식의 범위보다 크면, 전극 지름 방향의 흐름을 저해해 버린다.If the length of the rectifier in the electrode axis direction is smaller than the range of the above equation, it is impossible to sufficiently block (block) the convection up and down. Moreover, when it is larger than the range of the above formula, the flow in the electrode diameter direction will be inhibited.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방전 램프(10)에서, 양극(30) 내에 밀폐 공간(50)이 형성되어 있어, 전열체(M)가 밀폐 공간(50) 내에 봉입되어 있다. 그리고, 밀폐 공간(50)에는, 단면 원형상의 관상 정류체(40)가, 밀폐 공간 측면(50S), 밀폐 공간 상면(50T), 밀폐 공간 저면(50B)으로부터 각각 거리(l1, l3, l2)만큼 떨어진 상태에서 동축적으로 배치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 the
다음으로, 도 6, 7을 이용해, 제2, 제3 실시 형태인 전극에 대해 설명한다.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정류체에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그 이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실질적으로 제1 실시 형태와 같다.Next, the electrode which is the 2nd and 3rd embodiment is demonstrated using FIGS. 6 and 7. In the second embodiment, a hole is formed in the rectifying body. About the structure other than that, it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1st embodiment.
도 6은, 제2 실시 형태에서의 정류체의 사시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ctifier in the second embodiment.
정류체(140)는, 밀폐 공간 상면 부근에, 즉 밀폐 공간의 전극 축에 따른 중심보다 상면 측 위치에, 복수의 구멍(140R)이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승한 전열체(M)가 구멍(140R)을 통해 외측 영역(V2)으로 유출된다. 그 결과, 전열체(M)의 대류가 촉진 됨과 동시에, 열이 이동하기 쉽다.The
또한, 구멍(140R)을 형성 함으로써, 램프 소등 후에 전열체(M)가 응고할 때, 요부의 깊이가 과도한 깊이로 되지 않는다. 이는, 지름 방향에 따라 중앙부와 측면 부근 사이에 큰 온도차가 없기 때문에, 램프 소등 시, 밀폐 공간 측면 부근에서만 급속히 응고하는 일은 없기 때문이다.Further, by forming the
요부가 너무 높으면, 요부의 바닥이 밀폐 공간 저면에 가까워져, 응고할 때에 강한 응력이 저면에 작용한다. 그렇지만, 요부가 적절한 높이로 되기 때문에, 램프 점등, 소등을 반복해도, 밀폐 공간에 걸리는 응력을 저감할 수 있다.If the concave portion is too high, the bottom of the concave portion approaches the bottom of the enclosed space, and a strong stress acts on the bottom surface when solidifying. However, since the concave portion has an appropriate height, even if the lamp is repeatedly turned on and off, the stress applied to the enclosed space can be reduced.
또한, 구멍(140R)에 의해, 전열체의 유로를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정류체의 상부를 밀폐 뚜껑(60)에 직접 용접해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정류체를 고정하는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전극을 작성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assage of the heat transfer body can be secured by the
다음으로, 도 7을 이용해, 제3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정류체에 슬릿이 형성되어 있다. 그 이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제1 실시 형태와 같다.Next, a thir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using FIG. 7. In the third embodiment, a slit is formed in the rectifying body. About the structure other than that, it is the same as 1st embodiment.
도 7은, 제3 실시 형태에서의 정류체의 사시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ctifier in the third embodiment.
정류체(240)는, 단면 반원상(半圓狀)의 만곡부(240A, 240B)가 상대(相對)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만곡부(240A, 240B)의 사이에 슬릿(ST)이 형성된다. 바꾸어 말하면, 정류체(240)는, 제1 실시 형태에 나타낸 관체를 2개로 분할하여, 틈새를 생기게 하도록 배치시킨 구성과 같다. 이와 같이 슬릿(ST)을 형성 함으로써, 제2 실시 형태와 같이, 열의 이동이 용이해지고, 적당한 요부의 높이가 된다. 또한, 슬릿의 개수를 더 늘린 구성으로 해도 무방하다.The
다음으로, 도 8을 이용해, 제4 실시 형태인 방전 램프에 대해 설명한다. 제4 실시 형태에서는, 관체의 단면 형상이 다각형으로 되어 있다.Next, a discharge lamp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using FIG. 8. In the fourth embodiment,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tubular body is polygonal.
도 8은, 제4 실시 형태인 방전 램프의 정류체의 사시도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ctifier of a discharge lamp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정류체(340)는, 단면 삼각형상(三角形狀)의 관체(340R)로 구성되어 있으며, 관체(340R)의 적어도 전극 축 방향에 따른 한 변이 밀폐 공간 측면에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단면 삼각형상으로 하는 것으로, 정류체 고정이 용이해진다. 또한, 단면 형상에 대해서는, 삼각형 이외의 다각형으로 구성해도 무방하다.The
정류체의 설치 구성에 대해서는, 밀폐 공간 상면, 저면 한쪽에 고정하거나, 혹은 양쪽 모두에 설치하는 구성이 가능하다. 이 경우, 전열체의 유입구, 유출구를 정류체 상부에 형성 됨으로써, 열 대류가 촉진된다.Regarding the installation configuration of the rectifier, a configuration that is fixed to one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enclosed space, or both may be provided. In this case, thermal convection is promoted by forming the inlet and outlet of the heat transfer member on the top of the rectifier.
정류체는, 밀폐 공간에 대해 동축적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대칭적인 배치 구조로 되어 있으나, 전극 축(E)에 대해 지름 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오프셋(offset) 시켜도 무방하고, 전극 축이 관 내를 통과하도록 정류체를 배치하여, 관 내의 내측 영역과 관 외의 외측 영역을 규정하도록 정류체를 구성하면 좋다.The rectifier is arranged coaxially with respect to the enclosed space and has a symmetrical arrangement structure, but it may be offse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rad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electrode axis (E), and the electrode axis is within the tube. A rectifier may be arranged so as to pass therethrough, and the rectifier may be configured to define an inner region inside the pipe and an outer region outside the pipe.
정류체에 대해서는, 관체 이외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두꺼운 중공 상 통체(筒體) 등, 내부에 유로가 전극 축을 따라 형성되는 중공 부재 등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내부에 복수의 유로가 규정, 형성되도록 해도 무방하다. 또한, 방전 램프의 설치 상태에 맞춰, 음극에 정류체를 설치한다, 혹은 양 전극에 정류체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무방하다.As for the rectifier, it is also possible to configure other than a tube, and it is also possible to constitute a hollow member in which a flow path is formed along the electrode shaft, such as a thick hollow cylindrical body, and a plurality of flow paths are prescribed inside. , It is okay to be formed. Further,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discharge lamp, a rectifier may be provided on the cathode or a rectifier may be provided on both electrodes.
<실시예><Example>
이하, 도 9, 10을 이용해, 실시예를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상기 (1) ~ (3)식에 근거하는 정류체의 위치나 형상이, 전극 선단부의 온도 및 전열체의 최대 유속이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 시뮬레이션에 의해 검증하였다.Hereinafter, examples will be described using Figs. 9 and 10. Here, it was verified by simulation how the position and shape of the rectifier based on the above equations (1) to (3) are affected by the temperature of the electrode tip and the maximum flow velocity of the heating element.
단면 원형상의 정류체를 단면 원형상의 밀폐 공간에 동축 배치시키고, 밀폐 공간 상면과 저면과의 거리가 동일해지도록 정류체를 배치하고, 전열체를 밀폐 공간 내에 봉입한 방전 램프를 설정하였다. 밀폐 공간의 지름(밀폐 용기 내측의 직경 = 2a)이 30 mm, 양극의 지름(전극 외경)이 40 mm, 선단 측 두께(밀폐 공간 저면과 전극 선단면과의 전극 축 방향 거리)가 10 mm, 원통부의 두께가 5 mm, 밀폐 공간 높이(b)가 35 mm가 되는 양극을 모델화하고, 전력 14 kW를 상정한 열량에 근거해, 계산기에 의한 선단부 온도 및 최대 유속의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였다.A rectifier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was coaxially arranged in a closed space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and a rectifier was disposed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closed space was the same, and a discharge lamp in which the heat transfer body was sealed in the closed space was set. The diameter of the sealed space (diameter inside the sealed container = 2a) is 30 mm, the diameter of the anode (outer diameter of the electrode) is 40 mm, and the thickness on the tip side (the distance in the electrode axis direction between the bottom of the sealed space and the tip of the electrode) is 10 mm, An anode having a thickness of 5 mm in the cylindrical portion and 35 mm in the height of the enclosed space (b) was modeled, and simulation of the tip temperature and maximum flow rate by a calculator was performed based on the heat quantity assuming an electric power of 14 kW.
이 때, 전극 축으로부터 정류체까지의 전극 지름 방향 거리 L1과 밀폐 용기 내측의 반경 a(=15 mm)와의 비 L1/a를 바꾸면서, 전극 선단부 온도 및 최대 유속을 계산하였다. 다만, 최대 유속은, 전극 축을 따라 상승하는 전열체의 최대 유속을 나타낸다.At this time, the electrode tip temperature and the maximum flow velocity were calculated while changing the ratio L1/a between the electrode radial distance L1 from the electrode axis to the rectifier and the radius a (=15 mm) inside the sealed container. However, the maximum flow velocity represents the maximum flow velocity of the heating element rising along the electrode axis.
도 9는, L1/a에 대한 전극 선단 온도 및 최대 유속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9 is a graph showing changes in electrode tip temperature and maximum flow rate with respect to L1/a.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최대 유속은, 정류체가 없는 경우와 비교해, L1/a=0.33 부근에서 커지고, 0.84 부근까지 크다. 이러한 L1/a의 범위는, 상기 (1)식의 범위에 일치한다. 특히, 최대 유속이 높은 레벨로 유지되는 범위는, 상기 (2)식에서 나타낸 0.66 ~ 0.74에 상당한다. 이에 따라, 상기 (1), (2)식을 만족하는 밀폐 공간을 가지는 전극은, 뛰어난 열 수송 효과를 발휘하는 것을 알 수 있다.As shown in Fig. 9, the maximum flow velocity increases in the vicinity of L1/a=0.33 and is large in the vicinity of 0.84 as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re is no rectifier. This range of L1/a corresponds to the range of Formula (1). In particular, the range in which the maximum flow rate is maintained at a high level corresponds to 0.66 to 0.74 shown in the above formula (2). Accordingly, it can be seen that an electrode having a closed space that satisfies the above formulas (1) and (2) exhibits an excellent heat transport effect.
또한, 정류체의 전극 축 방향의 길이 L2와 밀폐 용기의 축 방향 길이 b(=30 mm)와의 비 L2/b를 바꾸면서, 전극 선단부 온도 및 최대 유속을 계산하였다. 다만, 정류체와 밀폐 공간 저면과의 거리는, 정류체와 밀폐 공간 상면과의 거리가 동일한 배치로 하였다.Further, the electrode tip temperature and maximum flow velocity were calculated while changing the ratio L2/b of the length L2 of the rectifier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electrode and the length b (=30 mm)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sealed container. However, the distance between the rectifier and the bottom of the enclosed space was the same as the distance between the rectifier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enclosed space.
도 10은, L2/b에 대한 전극 선단 온도 및 최대 유속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10 is a graph showing changes in electrode tip temperature and maximum flow rate with respect to L2/b.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최대 유속은, L2/b = 0.50 부근에서 커지고, 0.84 부근까지 비교적 크다. 이러한 L2/b의 범위는, 상기 (3)식의 범위에 일치한다. 이에 따라, 상기 (3)식을 만족하는 밀폐 공간을 가지는 전극은, 뛰어난 열 수송 효과를 발휘하는 것을 알 수 있다.As shown in Fig. 10, the maximum flow velocity increases in the vicinity of L2/b = 0.50, and is relatively large in the vicinity of 0.84. This range of L2/b corresponds to the range of Expression (3). Accordingly, it can be seen that an electrode having a closed space satisfying the above formula (3) exhibits an excellent heat transport effect.
본 발명에 관해서는, 첨부된 클레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의도 및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게, 다양한 변경, 치환, 대체가 가능하다. 게다가, 본 발명에서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정의 실시 형태의 프로세스, 장치, 제조, 구성물, 수단, 방법 및 스텝으로 한정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개시로부터, 여기에 기재된 실시 형태가 가져오는 기능과 같은 기능을 실질적으로 달성하고, 또는 동등의 작용, 효과를 실질적으로 가져오는 장치, 수단, 방법이 이끌어내지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한 청구범위는, 그러한 장치, 수단, 방법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이 의도되어 있다.With respect to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changes, substitutions, and substitu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inten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rocess, apparatus, manufacture, construction, means, method, and step of the specific embodiment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cognize that, from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devices, means, and methods that substantially achieve functions such as those brought about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or substantially bring equivalent actions and effects, are derived. . Accordingly, it is intended that the appended claims fall within the scope of such devices, means and methods.
본원은, 일본 출원(특원 2013-091235호, 2013년 4월 24일 출원)을 기초 출원으로서 우선권 주장하는 출원이며, 기초 출원의 명세서, 도면 및 클레임을 포함한 개시 내용은, 참조하는 것으로 본원 전체에 포함되어 있다.This application is an application claiming priority as a basic application for Japanese applicatio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2013-091235, filed on April 24, 2013), and the disclosure contents including the specification, drawings, and claims of the basic application are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Included.
10: 방전 램프
30: 양극
40: 정류체
50: 밀폐 공간10: discharge lamp
30: anode
40: rectifier
50: confined space
Claims (11)
상기 방전관 내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전극을 갖추고,
적어도 한쪽의 전극이,
램프 점등 시에 용해하여 대류하는 전열체가 봉입되는 밀폐 공간과,
상기 밀폐 공간 내에서 전극 축을 따라 배치되어, 밀폐 공간 저면 측 개구부 및 밀폐 공간 상면 측 개구부를 가지는 중공상 정류체를 가지고,
상기 정류체가, 상기 밀폐 공간 저면 측 개구부와 상기 밀폐 공간 상면 측 개구부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유로를 전극 축이 통과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 램프.Discharge tube,
Equipped with a pair of electrodes disposed in the discharge tube,
At least one electrode,
An enclosed space in which the heat transfer element that melts and convections when the lamp is lit is enclosed,
It is disposed along the axis of the electrode in the closed space, and has a hollow rectifier having an opening on the bottom of the closed space and an opening on the top of the closed space,
The discharge lamp, wherein the rectifier is disposed so that an electrode shaft passes through a flow path formed between the opening at the bottom of the closed space and the opening at the top of the closed space.
상기 정류체의 밀폐 공간 저면 측 개구부와 밀폐 공간 상면 측 개구부가, 각각, 상기 밀폐 공간의 저면과 상면을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 램프.The method of claim 1,
A discharge lamp,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ning at the bottom of the closed space and the opening at the top of the closed space of the rectifier face each of the bottom and the top of the closed space.
상기 정류체의 밀폐 공간 저면 측 개구부가, 상기 밀폐 공간의 전극 축에 따른 중심보다 저면 측에 위치하고,
상기 정류체의 밀폐 공간 상면 측 개구부가, 상기 밀폐 공간의 전극 축에 따른 중심보다 상면 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 램프.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opening on the bottom side of the closed space of the rectifier is located on the bottom side of the closed space than the center along the electrode axis,
The discharge lamp,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ning on the upper surface side of the closed space of the rectifier is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side of the closed space than the center along the electrode axis.
상기 정류체가, 상기 밀폐 공간에 대해 동축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 램프.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discharge lamp, wherein the rectifier is disposed coaxially with respect to the closed space.
상기 정류체의 외표면과 상기 밀폐 공간의 측면과의 지름 방향에 따른 거리가, 원주 방향 전체에 걸쳐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 램프.The method of claim 4,
A discharge lamp, wherein a distance along a radial direction between an outer surface of the rectifier and a side surface of the enclosed space is the same throughout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상기 밀폐 공간 저면 측 개구부와 상기 밀폐 공간의 저면과의 전극 축 방향에 따른 거리가, 상기 밀폐 공간 상면 측 개구부와 상기 밀폐 공간의 상면과의 전극 축 방향에 따른 거리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 램프.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Discharge lamp,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tance along the electrode axis direction between the opening at the bottom of the closed space and the bottom of the closed space is the same as the distance along the electrode axis between the opening at the top of the closed spac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losed space .
상기 정류체가, 이하의 식을 만족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 램프.
0.33 ≤ L1/a ≤ 0.84
다만, L1은, 전극 축으로부터 정류체까지의 거리를 나타내고, a는, 밀폐 용기 내측의 반경을 나타낸다.The method of claim 5,
A discharge lamp, wherein the rectifier is disposed so as to satisfy the following equation.
0.33 ≤ L1/a ≤ 0.84
However, L1 represents the distance from the electrode axis to the rectifier, and a represents the inner radius of the sealed container.
상기 정류체가, 이하의 식을 만족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 램프.
0.66 ≤ L1/a ≤ 0.74The method of claim 7,
A discharge lamp, wherein the rectifier is disposed so as to satisfy the following equation.
0.66 ≤ L1/a ≤ 0.74
상기 정류체가, 이하의 식을 만족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 램프.
0.50 ≤ L2/b ≤ 0.84
다만, L2는, 정류체의 길이를 나타내고, b는, 밀폐 용기의 축 방향의 길이를 나타낸다.The method of claim 6,
A discharge lamp, wherein the rectifier is disposed so as to satisfy the following equation.
0.50 ≤ L2/b ≤ 0.84
However, L2 represents the length of the rectifier, and b represents the length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sealed container.
상기 전열체가, 램프 소등 후, 상기 정류체의 내측 영역의 전극 축 방향 높이가 상기 정류체의 외측 영역에 비해 낮은 상태에서, 응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 램프.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discharge lamp, wherein the heat transfer body solidifies after the lamp is turned off, in a state in which the height of the electrode axial direction of the inner region of the rectifier is lower than that of the outer region of the rectifi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3091235 | 2013-04-24 | ||
JPJP-P-2013-091235 | 2013-04-24 | ||
PCT/IB2014/000601 WO2014174360A1 (en) | 2013-04-24 | 2014-04-24 | Discharge lamp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02866A KR20160002866A (en) | 2016-01-08 |
KR102190650B1 true KR102190650B1 (en) | 2020-12-14 |
Family
ID=51791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7031239A Active KR102190650B1 (en) | 2013-04-24 | 2014-04-24 | Discharge lamp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JP (1) | JP6259450B2 (en) |
KR (1) | KR102190650B1 (en) |
CN (1) | CN105164785B (en) |
TW (1) | TWI601183B (en) |
WO (1) | WO2014174360A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7223162B2 (en) * | 2019-03-25 | 2023-02-15 | オスラム ゲーエムベーハー | Electrodes for gas discharge lamps and gas discharge lamps |
JP7377750B2 (en) * | 2020-03-24 | 2023-11-10 | 株式会社オーク製作所 | Method for manufacturing discharge lamps and electrodes for discharge lamps |
JP7688840B2 (en) * | 2021-10-04 | 2025-06-05 | ウシオ電機株式会社 | Discharge lamp, electrode for use in discharge lamp,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charge lamp |
JP7702070B2 (en) * | 2021-11-29 | 2025-07-03 | ウシオ電機株式会社 | Discharge lamp and electrodes used in said discharge lamp |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006246A (en) | 2002-04-26 | 2004-01-08 | Ushio Inc | Discharge lamp |
JP2004259644A (en) | 2003-02-27 | 2004-09-16 | Ushio Inc | Discharge lamp |
JP2009135054A (en) | 2007-12-03 | 2009-06-18 | Ushio Inc | High pressure discharge lamp |
JP2010003594A (en) | 2008-06-21 | 2010-01-07 | Ushio Inc | Discharge lamp |
JP2010010022A (en) | 2008-06-30 | 2010-01-14 | Ushio Inc | Discharge lamp |
JP2012028168A (en) | 2010-07-23 | 2012-02-09 | Ushio Inc | Short arc type discharge lamp |
JP2012133994A (en) | 2010-12-21 | 2012-07-12 | Orc Manufacturing Co Ltd | Discharge lamp |
JP2014067540A (en) | 2012-09-25 | 2014-04-17 | Orc Manufacturing Co Ltd | Discharge lamp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0107251A (en) * | 1983-11-15 | 1985-06-12 | Hitachi Ltd | high pressure discharge lamp |
JP2907671B2 (en) * | 1992-05-11 | 1999-06-21 |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 High pressure discharge lamp |
JP4548290B2 (en) * | 2004-11-25 | 2010-09-22 | ウシオ電機株式会社 | Discharge lamp |
JP4396747B2 (en) * | 2007-08-20 | 2010-01-13 | ウシオ電機株式会社 | Discharge lamp |
TWI421019B (en) * | 2008-05-20 | 2013-12-21 | Ind Tech Res Inst | Heat dissipation module |
-
2014
- 2014-04-23 TW TW103114625A patent/TWI601183B/en active
- 2014-04-24 JP JP2015513346A patent/JP6259450B2/en active Active
- 2014-04-24 KR KR1020157031239A patent/KR102190650B1/en active Active
- 2014-04-24 WO PCT/IB2014/000601 patent/WO2014174360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4-04-24 CN CN201480022914.6A patent/CN105164785B/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006246A (en) | 2002-04-26 | 2004-01-08 | Ushio Inc | Discharge lamp |
JP2004259644A (en) | 2003-02-27 | 2004-09-16 | Ushio Inc | Discharge lamp |
JP2009135054A (en) | 2007-12-03 | 2009-06-18 | Ushio Inc | High pressure discharge lamp |
JP2010003594A (en) | 2008-06-21 | 2010-01-07 | Ushio Inc | Discharge lamp |
JP2010010022A (en) | 2008-06-30 | 2010-01-14 | Ushio Inc | Discharge lamp |
JP2012028168A (en) | 2010-07-23 | 2012-02-09 | Ushio Inc | Short arc type discharge lamp |
JP2012133994A (en) | 2010-12-21 | 2012-07-12 | Orc Manufacturing Co Ltd | Discharge lamp |
JP2014067540A (en) | 2012-09-25 | 2014-04-17 | Orc Manufacturing Co Ltd | Discharge lamp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4174360A1 (en) | 2014-10-30 |
TWI601183B (en) | 2017-10-01 |
CN105164785A (en) | 2015-12-16 |
JP6259450B2 (en) | 2018-01-10 |
JPWO2014174360A1 (en) | 2017-02-23 |
TW201515056A (en) | 2015-04-16 |
CN105164785B (en) | 2017-04-12 |
KR20160002866A (en) | 2016-01-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90650B1 (en) | Discharge lamp | |
CN102376522B (en) | Short arc type discharge lamp | |
TWI687968B (en) | Short arc discharge lamp | |
JP2014127364A (en) | Discharge lamp | |
JP2007095327A (en) | Short arc discharge lamp | |
KR101986402B1 (en) | Discharge lamp | |
KR20160058833A (en) | Discharge lamp | |
JP5434606B2 (en) | Short arc type discharge lamp | |
JP5211712B2 (en) | Discharge lamp | |
JP6235909B2 (en) | Discharge lamp | |
CN204577825U (en) | With the laser tube of center rest | |
US20090039785A1 (en) | Discharge lamp | |
JP4222258B2 (en) | Short arc type discharge lamp | |
JP7689379B2 (en) | Heating coil for high frequency heating device | |
JP6577884B2 (en) | Short arc type discharge lamp | |
CN203653419U (en) | Continuous smelting furnace capable of controlling wall thickness at high accuracy | |
JP2011070833A (en) | Lighting system equipped with wind protection member | |
JP6941275B2 (en) | Short arc type discharge lamp | |
JP2023079396A (en) | Discharge lamps and electrodes used in such discharge lamps | |
TW202223975A (en) | Discharge lamp, discharge lamp electrode, and discharge lamp electrode manufacturing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151029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031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6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120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12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12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1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1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