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190098B1 - 시공용 자재 교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시공용 자재 교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0098B1
KR102190098B1 KR1020200016748A KR20200016748A KR102190098B1 KR 102190098 B1 KR102190098 B1 KR 102190098B1 KR 1020200016748 A KR1020200016748 A KR 1020200016748A KR 20200016748 A KR20200016748 A KR 20200016748A KR 102190098 B1 KR102190098 B1 KR 1021900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nstruction
discharge
transfer
raw material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6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철
이흥수
이종화
문지훈
Original Assignee
(주)다음기술단
다인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다음기술단, 다인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다음기술단
Priority to KR10202000167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00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00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009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5/00Apparatus or methods for producing mixtures of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e.g. slurries, mortars, porous or fibrous compositions
    • B28C5/08Apparatus or methods for producing mixtures of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e.g. slurries, mortars, porous or fibrous compositions using driven mechanical means affecting the mixing
    • B28C5/0806Details;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5/00Apparatus or methods for producing mixtures of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e.g. slurries, mortars, porous or fibrous compositions
    • B28C5/08Apparatus or methods for producing mixtures of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e.g. slurries, mortars, porous or fibrous compositions using driven mechanical means affecting the mixing
    • B28C5/0887Apparatus or methods for producing mixtures of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e.g. slurries, mortars, porous or fibrous compositions using driven mechanical means affecting the mixing provided with sieves or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7/00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pparatus for producing mixtures of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Supplying or proportioning the ingredients for mixing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Discharging the mixture
    • B28C7/02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ixing
    • B28C7/022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ixing by measuring the consistency or composition of the mixture, e.g. with supply of a missing compon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7/00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pparatus for producing mixtures of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Supplying or proportioning the ingredients for mixing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Discharging the mixture
    • B28C7/04Supplying or proportioning the ingredients
    • B28C7/06Supplying the solid ingredients, e.g. by means of endless conveyors or jigging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7/00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pparatus for producing mixtures of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Supplying or proportioning the ingredients for mixing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Discharging the mixture
    • B28C7/16Discharge means, e.g. with intermediate storage of fresh concre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reparation Of Clay, And Manufacture Of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 (AREA)
  • Accessories For Mix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공용 자재 교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투입된 원자재를 이송하는 이송부와 원자재와 물을 혼합하여 시공용 자재를 제조하는 교반부가 분리되도록 구비하고 이송부와 교반부 사이에 배출부를 구비함으로써, 보다 높은 효율로 시공용 자재를 제조할 수 있으면서도, 작업 중단 또는 종료 시에도 잔여물에 의한 장치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시공용 자재 교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시공용 자재 교반 장치는 기존의 교반 장치와 달리 투입된 원자재를 이송하는 이송부와 원자재와 물을 혼합하여 시공용 자재를 제조하는 교반부가 분리되도록 이송부와 교반부 사이에 배출부를 구비함으로써, 시공용 자재를 편리하게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으면서도, 잔여물에 의한 장치의 파손율이 낮고, 유지 보수가 용이하다.

Description

시공용 자재 교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공 시스템{DEVICE FOR MIXING CONSTRUCTING MATERIALS AND CONSTRUCTION SYSTEM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시공용 자재 교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건설 현장에서 시공을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몰타르는 시멘트와 모래 및 혼화재를 일정 비율로 혼합한 것이다. 이러한 원자재를 이용하여 건축 구조물 또는 건설 현장에서 시공하는 종래 시공 시스템은 원자재가 담겨진 소정 규격의 포대를 작업 현장으로 수송시킨 다음, 작업 현장에서 수송된 원자재와 물을 작업자가 임의의 비율로 혼합하여 시공용 자재를 만들고 이를 이용하여 건설물을 시공, 보수 또는 보강하는 작업을 수행하였다.
이와 같은 종래의 시공용 자재의 제조방식은 많은 작업시간과 노동력이 소요되고 작업 현장에 별도의 공간이 필요로 하기 때문에 대규모의 건설 현장에서 이용되기 어렵고 혼합과정 중에 시공용 자재의 분진 등이 날려 작업환경을 악화시킨다. 또한, 제조되는 시공용 자재의 품질의 균일성과 신뢰성이 작업자에 따라 달라지고, 시공비용 상승 및 작업 능률에 차이가 난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28565호는 상부에 호퍼를 형성하고 호퍼의 하부 내부공간에 수평으로 스크류를 배치하여 호퍼로 투입된 몰타르를 스크류가 한쪽으로 이송함과 동시에 물을 주입하면서 스크류와 동일선 상에 배치된 교반날이 몰타르와 물을 뒤섞어 교반하는 몰타르 연속 믹서기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원자재인 몰타르를 이송하는 스크류와 이송된 몰타르와 물을 교반하여 시공용 자재를 제조하는 교반날이 동일선 상에 배치되어 있어, 작업을 정지 또는 완료한 경우에 스크류에 몰타르와 물과 혼합된 자재가 잔류하게 되어, 작업 재개시 쌓여있는 잔류물의 무게에 의하여 스크류와 교반날 같은 부품에 부담이 발생하게 되고 나아가 교반 장치가 고장 또는 파손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투입된 원자재를 이송하는 이송부와 원자재와 물을 혼합하여 시공용 자재를 제조하는 교반부가 분리되도록 구비하고 이송부와 교반부 사이에 배출부를 구비함으로써, 원료의 투입과 교반 및 이송이 일체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어 비산 먼지나 분진이 발생하지 않고 보다 높은 효율로 시공용 자재를 제조할 수 있으면서도, 작업 중단 또는 종료 시에도 잔여물에 의한 장치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시공용 자재 교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상기 시공용 자재 교반 장치로부터 제조되는 시공용 자재를 이격된 위치에 있는 시공 장소로 이송하여 사용함으로써 시공용 자재를 직접 제조하기 어려운 현장에서의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작업시 발생되는 분진의 비산을 방지하여 작업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는 자동화된 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부에 원자재가 투입되는 투입부; 상기 투입부 하부에 위치하고 이송 스크류를 이용하여 수평 방향으로 원자재를 이송하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에 연결되어 이송된 원자재를 배출하는 배출부; 상기 배출부 하부에 연결되고 배출되는 원자재와 물을 혼합하여 시공용 자재를 제조하는 교반부; 및 상기 교반부에서 제조된 시공용 자재를 배출하는 토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부는 원자재의 이송 방향의 말단부에 위치하는 수직면에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배출부는 상기 개구부에 연결되는, 시공용 자재 교반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시공용 자재 교반 장치; 및 상기 시공용 자재 교반 장치와 연결되어 시공용 자재를 시공 현장으로 이송하는 이송 장치;를 포함하는 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시공용 자재 교반 장치는 기존의 교반 장치와 달리 투입된 원자재를 이송하는 이송부와 원자재와 물을 혼합하여 시공용 자재를 제조하는 교반부가 공간적으로 분리되도록 이송부와 교반부 사이에 배출부를 구비함으로써, 시공용 자재를 편리하게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으면서도, 잔여물에 의한 장치의 파손율이 낮고, 유지 보수가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시공용 자재 교반 장치는 원자재의 투입과 교반 및 이송이 일체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어, 시공용 자재를 직접 제조하기 어려운 현장에서의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작업시 비산 먼지와 분진의 발생을 방지하여 작업 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공용 자재 교반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시공용 자재 교반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시공용 자재 교반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시공용 자재 교반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공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설명하는 기술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이하 설명하는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이하 설명하는 기술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이하 설명하는 기술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해석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에서의 구성부들에 대한 구분은 각 구성부가 담당하는 주기능 별로 구분한 것에 불과함을 명확히 하고자 한다. 즉, 이하에서 설명할 2개 이상의 구성부가 하나의 구성부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부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부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부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부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부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방법 또는 동작 방법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 방법을 이루는 각 과정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은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과정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하나의 양태로, 상부에 원자재가 투입되는 투입부; 상기 투입부 하부에 위치하고 이송 스크류를 이용하여 수평 방향으로 원자재를 이송하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에 연결되어 이송된 원자재를 배출하는 배출부; 및 상기 배출부 하부에 연결되고 배출되는 원자재와 물을 혼합하여 시공용 자재를 제조하고, 제조된 시공용 자재를 배출하는 토출구가 구비되는 교반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부는 원자재의 이송 방향의 말단부에 위치하는 수직면에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배출부는 상기 개구부에 연결되는, 시공용 자재 교반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하나의 구현예로, 상기 개구부는 상기 수직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부 일부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용 자재 교반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른 하나의 구현예로, 상기 배출부에 연결되는 감지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감지 부재는 배출부에 잔존하는 원자재의 양을 감지하고, 원자재의 양이 설정된 양을 초과하는 경우 이송부의 작동을 자동으로 중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용 자재 교반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 다른 하나의 구현예로, 일단이 상기 배출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압력 공급장치와 연결되는 호스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호스 부재는 배출부에 잔존하는 원자재의 양이 설정된 양을 초과하는 경우 압력을 가하여 이송부로부터 배출되는 원자재를 차단하고, 배출부에 적재된 원자재를 교반부로 이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용 자재 교반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 다른 하나의 구현예로, 상기 감지 부재는 호스 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배출부 내부에 가해지는 압력 변화를 통해 배출부에 잔존하는 원자재의 양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용 자재 교반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 다른 하나의 구현예로, 상기 투입부에는 원자재 투입시 발생하는 먼지 또는 분진을 흡입하는 집진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용 자재 교반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른 하나의 양태로, 상기 시공용 자재 교반 장치; 및 상기 시공용 자재 교반 장치의 토출구와 연결되어 시공용 자재를 시공 현장으로 이송하는 이송 장치;를 포함하는 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하나의 구현예로, 상기 이송 장치에 의하여 시공 현장으로 이송된 시공용 자재를 작업자의 작동에 의해 개폐되는 배출 장치;를 더 포함하는 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른 하나의 구현예로, 시공용 자재 교반 장치; 상기 시공용 자재 교반 장치의 토출구와 연결되어 시공용 자재를 시공 현장으로 이송하는 이송 장치; 및 상기 이송 장치에 의하여 시공 현장으로 이송된 시공용 자재를 작업자의 작동에 의해 개폐되는 배출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 장치는 무선 송신장치와 연결된 유량계를 구비하고, 상기 유량계는 배출 장치로 분사되는 시공용 자재의 분사량을 측정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무선 송신장치를 통하여 외부 단말기 또는 모바일 기기로 전송하여, 사용자가 외부 단말기 또는 모바일 기기를 통해 시공 시스템의 상태를 점검 또는 작동을 조작하는, 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및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공용 자재 이송장치의 일실시예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도 1 및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시공용 자재 교반 장치(100)는 상부에 원자재가 투입되는 투입부(110); 상기 투입부(110) 하부에 위치하고 이송 스크류를 이용하여 수평 방향으로 원자재를 이송하는 이송부(120); 상기 이송부(120)에 연결되어 이송된 원자재를 배출하는 배출부(130); 상기 배출부(130) 하부에 연결되고 배출되는 원자재와 물을 혼합하여 시공용 자재를 제조하는 교반부(140); 및 상기 교반부(140)에서 제조된 시공용 자재를 배출하는 토출구(15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원자재는 분체 형태의 결합재, 골재 또는 이들의 혼합재일 수 있다. 상기 결합재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시멘트, 몰타르, 석고계 플라스터, 돌로마이트 플라스터, 석회, 아스팔트 또는 이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혼합재 등일 수 있다. 상기 결합재는 물과 혼합되어 점성을 띠는 상태가 되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수화 반응이 일어나 골재 등의 원료를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골재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입도가 작은 분체 상태의 모래, 흙, 미장용 경량발포 골재, 색모래, 석분 또는 이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혼합재 등일 수 있다. 상기 골재는 시공용 자재의 기초 재료 역할을 한다.
상기 투입부(110)는 원자재가 투입되는 부분으로, 내부에 보수 모르타르와 같은 원자재를 적재할 수 있는 일정 용량의 적재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투입부(110)로 투입된 원자재는 중력에 의해 투입부(110)의 하부에 쌓이게 된다. 투입부(110)는 투입부(110)와 이송부(120)의 사이에서 개폐 작동되는 게이트(111, 미도시)가 추가적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게이트(111)의 개폐 작동에 의해 이송부(120)로 투입되는 원자재의 양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투입부(110)에는 집진기가 설치되어 원자재 투입시 발생하는 먼지 또는 분진 등 이물질을 흡입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투입부(110)는 작업 현장에 위치한 사일로와 상부 투입부(110)의 개구부가 밀봉되도록 직접 연결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사일로로부터 밀봉된 경로를 통하여 직접 원자재를 공급받도록 함으로써, 원자재 투입시 발생하는 비산 먼지 또는 분진이 발생하지 않도록 완벽히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이송부(120)는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 스크류(121)를 이용하여 작동될 수 있다. 상기 이송 스크류(121)는 상기 투입부(110)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투입부(110)를 통하여 원자재가 투입되면 축 방향으로 회전하여 원자재를 개구부(122)를 통해 배출부로 이송한다. 이송 스크류(121)는 모터, 엔진 등의 이송부 구동장치(123)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상기 이송 스크류(121)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회전축부재와 나선블레이드가 결합된 형태 또는 일체형의 나선 스크류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송 방식을 통하여 여러 성분이 혼합되어 있는 원자재를 균일하게 섞어 줄 수 있고 뭉쳐있는 원자재를 일정한 크기로 분쇄할 수 있어, 이후 균일한 시공용 자재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개구부(122)는 원자재의 이송 방향의 이송부(120)의 말단부 수직면에 위치하며, 이송부(120)를 통해 이송된 원자재를 배출부(130)로 배출한다.
이송부(120)를 통하여 공급되는 원자재는 배출부(130)을 통하여 교반부(140)로 투하된다. 상기 이송 스크류(121)는 개구부(122)가 구비된 부분까지만 연장되며, 배출부(130)의 내부 공간에는 이송 스크류(121)가 위치하지 않는다. 이는 작업이 중단 또는 종료 후, 재작동 시 배출부(130)에 쌓인 원자재로 인한 저항력이 이송 스크류(121)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송부(120)의 말단부보다 이송 방향으로 더 연장되도록 배출부(130)의 공간을 별도로 구비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저항력으로 인한 이송 스크류(121)와 이송부 구동장치(123)의 고장 또는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개구부(122)는 이송부(120)에서 원자재의 이송 방향의 말단부에 위치하는 수직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부 일부면에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작업이 중단 또는 종료 시, 원자재가 배출부(130)에 원자재가 가득 차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재작동 시 이송 스크류(121)와 이송부 구동장치(123)에 가해지는 힘을 최소화하여 이송부(120)를 보다 원활히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배출부(130)에는 감지 부재(131)가 연결될 수 있다. 감지 부재(131)는 배출부(130) 내부에 적재되는 원자재의 양을 감지하는 장치이다. 원자재의 양이 설정된 양을 초과하는 경우 이송부(120)의 작동을 자동으로 중지시키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시공용 자재 교반 장치(100)의 작동을 중지하더라도, 배출부(130) 내부에 시공용 자재의 잔존량을 측정하여, 잔존하는 시공용 자재를 모두 배출될 때까지 교반부(140)를 작동시킬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예로, 상기 감지 부재(131)는 배출부(400) 내의 원자재의 총량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와 같은 장치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레벨 센서일 수 있다.
한편, 상기 감지 부재(131)는 시공용 자재 교반 장치(100)가 작동하는 동안 실시간으로 작동하여 시공용 자재의 잔존량을 측정할 수 있으며, 시공용 자재 교반 장치(100)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경우에만 일정 시간 동안만 작동하여, 잔존하는 시공용 자재를 배출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도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공용 자재 교반 장치(100)은 일단이 상기 배출부(130)에 연결되고 타단이 압력 공급 장치(133, 미도시)와 연결되는 호스 부재(1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호스 부재(132)는 배출부(130)에 잔존하는 원자재의 양이 설정된 양을 초과하는 경우 압력을 가하여 이송부(120)로부터 배출되는 원자재를 차단하고, 배출부(130)에 적재된 원자재를 교반부로 압송킬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예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호스 부재(132)는 압력 공급 장치(133)와 상대적인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금속 재질보다 합성수지 또는 고무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호스 부재(132)는 복수의 관 또는 파이프를 연결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보관과 이송의 편의성 등을 위하여 다수의 부위가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절곡부를 중심으로 접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호스 부재(132)가 설치되는 경우, 감지 부재(131)는 제2 호스 부재(132)에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감지 부재(131)는 배출부(130) 내부에 가해지는 압력 변화를 통해 배출부(130)에 잔존하는 원자재의 양을 감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예로, 감지 부재(131)가 호스 부재(132)에 연결되는 경우, 압력 공급 장치(133)에서 발생되어 호스 부재(132)를 통해 배출부(130) 내부로 가해지는 공압의 변화량을 측정함으로써, 배출부(130) 내부에 잔존하는 원자재의 양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교반부(140)는 상기 배출부(130)로부터 이송된 원자재에 물을 설정된 비율로 혼합함으로써 시공용 자재를 생성하며, 생성된 상기 시공용 자재를 토출구(141)를 통해 시공용 자재 교반 장치(100)의 외부로 토출한다.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예로, 상기 교반부(140)은 스크류 또는 믹서와 같은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교반 부재(142)를 포함하며, 이를 이용하여 투입되는 원자재와 물을 혼합함으로써 시공용 자재를 생성할 수 있다. 교반 부재(142)는 이송부 구동장치(123)와 기어, 샤프트 등으로 연결되어 작동될 수 있으며, 이송부 구동장치(123)와 별도로 구비된 모터, 엔진 등의 교반부 구동장치(143)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시공용 자재 교반 장치(100)를 포함하는 시공 시스템(10)의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시공 시스템(10)은 시공용 자재 교반 장치(100), 상기 시공용 자재 교반 장치(100)의 토출구(141에 연결되어 시공용 자재를 시공 현장으로 이송하는 이송 장치(200) 및 배출 장치(3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공용 자재 교반 장치(100)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으로, 이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상기 이송 장치(200)는 시공용 자재 교반 장치(100)로부터 시공용 자재가 토출되면 가동될 수 있다. 상기 이송 장치(200)는 교반부(140)의 토출구(141에 연결되어 펌프와 같은 장치(미도시)를 이용함으로써, 일정 압력으로 시공용 자재를 시공 현장의 배출 장치(300)까지 압송할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예로, 상기 이송 장치(200)는 펌프와 호스가 연결된 것일 수 있으며, 상기 호스는 보수재의 이송로로 이용되는 것이다. 이송 장치의 구동 부분으로 펌프를 이용하는 경우 연속펌프를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호스는 이송 거리, 이송량 또는 작업환경에 따라 크기와 길이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상기 배출 장치(300)는 이송 장치(200)로부터 이송된 시공용 자재를 배출하는 장치이다. 배출 장치(300)는 작업자의 개폐 작동에 의해 외부로 배출할 수도 있다. 배출 장치(220)는 배출부 말단에 개폐장치가 부착된 노즐 또는 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작업자는 노즐 또는 건을 조작하여 시공용 자재를 분사함으로써, 시공 대상물을 건설, 건축, 보수 또는 보강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 장치(300)는 연결된 호스에 유량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량계를 이용하여 배출 장치(300)로 분사되는 시공용 자재의 분사량을 측정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무선 송신장치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전송할 수도 있다. 상기 정보는 외부 단말기 또는 모바일 기기로 전송될 수도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외부 단말기 또는 모바일 기기의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등을 통하여 시공용 자재 교반 장치의 상태, 작업량, 자재량 등을 점검 및 관리하고, 작동을 조작할 수도 있다.
상기 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 시공 시스템 100 : 시공용 자재 교반 장치
110 : 투입부 111 : 게이트
120 : 이송부 121 : 이송 스크류
122 : 개구부 123 : 이송부 구동장치
130 : 배출부 131 : 감지 부재
132 : 호스 부재 133 : 압력 공급장치
140 : 교반부 141 : 토출구
142 : 교반 부재 143 : 교반부 구동장치
200 : 이송 장치 300 : 배출 장치

Claims (4)

  1. 상부에 원자재가 투입되는 투입부;
    상기 투입부 하부에 위치하고 이송 스크류를 이용하여 수평 방향으로 원자재를 이송하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에 연결되어 이송된 원자재를 배출하는 배출부; 및
    상기 배출부 하부에 연결되고 배출되는 원자재와 물을 혼합하여 시공용 자재를 제조하는 교반부; 및 및 상기 교반부에서 제조된 시공용 자재를 배출하는 토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부는 원자재의 이송 방향의 말단부에 위치하는 수직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수직면 상의 하부 일부면에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배출부는 상기 개구부에 연결되고,
    상기 이송부, 배출부 및 교반부가 일체로 연결되는, 시공용 자재 교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배출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압력 공급장치와 연결되는 호스 부재; 및
    상기 배출부에 연결되는 감지 부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호스 부재는 배출부에 잔존하는 원자재의 양이 설정된 양을 초과하는 경우 압력을 가하여 이송부로부터 배출되는 원자재를 차단하고, 배출부에 적재된 원자재를 교반부로 이송시키고,
    상기 감지 부재는 호스 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배출부 내부에 가해지는 압력 변화를 통해 배출부에 잔존하는 원자재의 양을 감지하고, 원자재의 양이 설정된 양을 초과하는 경우 이송부의 작동을 자동으로 중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용 자재 교반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부에는 원자재 투입시 발생하는 먼지 또는 분진을 흡입하는 집진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용 자재 교반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시공용 자재 교반 장치;
    상기 시공용 자재 교반 장치의 토출구와 연결되어 시공용 자재를 시공 현장으로 이송하는 이송 장치; 및
    상기 이송 장치에 의하여 시공 현장으로 이송된 시공용 자재를 작업자의 작동에 의해 개폐되는 배출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 장치는 무선 송신장치와 연결된 유량계를 구비하고,
    상기 유량계는 배출 장치로 분사되는 시공용 자재의 분사량을 측정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무선 송신장치를 통하여 외부 단말기 또는 모바일 기기로 전송하여, 사용자가 외부 단말기 또는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시공 시스템의 상태를 점검 또는 작동을 조작하는, 시공 시스템.
KR1020200016748A 2020-02-12 2020-02-12 시공용 자재 교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공 시스템 Active KR1021900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6748A KR102190098B1 (ko) 2020-02-12 2020-02-12 시공용 자재 교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6748A KR102190098B1 (ko) 2020-02-12 2020-02-12 시공용 자재 교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0098B1 true KR102190098B1 (ko) 2020-12-11

Family

ID=73786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6748A Active KR102190098B1 (ko) 2020-02-12 2020-02-12 시공용 자재 교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00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734019A (zh) * 2024-02-21 2024-03-22 兴化市丰汇建材有限公司 一种预拌混凝土混合搅拌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5698Y1 (ko) * 2005-10-20 2006-01-11 김병수 콘크리트 혼합 배출 분사기
KR101935350B1 (ko) * 2018-06-15 2019-01-04 케미콘시스템 주식회사 보수 모르타르 시공 시스템
KR102036698B1 (ko) * 2019-01-28 2019-11-26 케미콘시스템 주식회사 이동식 병렬형 시공 시스템
KR102036696B1 (ko) * 2019-01-28 2019-11-26 케미콘시스템 주식회사 이동식 시공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5698Y1 (ko) * 2005-10-20 2006-01-11 김병수 콘크리트 혼합 배출 분사기
KR101935350B1 (ko) * 2018-06-15 2019-01-04 케미콘시스템 주식회사 보수 모르타르 시공 시스템
KR102036698B1 (ko) * 2019-01-28 2019-11-26 케미콘시스템 주식회사 이동식 병렬형 시공 시스템
KR102036696B1 (ko) * 2019-01-28 2019-11-26 케미콘시스템 주식회사 이동식 시공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734019A (zh) * 2024-02-21 2024-03-22 兴化市丰汇建材有限公司 一种预拌混凝土混合搅拌装置
CN117734019B (zh) * 2024-02-21 2024-04-26 兴化市丰汇建材有限公司 一种预拌混凝土混合搅拌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51535B2 (en) System and process for mixing and delivering building materials
KR100944970B1 (ko) 시멘트 혼합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레미콘 제조용 배처 플랜트
KR101142349B1 (ko) 연속식믹서를 사용하는 콘크리트 배처플랜트 및 그 배처플랜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제조방법
CN212948498U (zh) 一体化折叠式车载移动搅拌站及其主支撑框架和输送装置
US8911138B2 (en) Fluid dispensing system and method for concrete mixer
US11203879B2 (en) System and process for delivering building materials
KR102190098B1 (ko) 시공용 자재 교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공 시스템
KR100672003B1 (ko) 이동식 콘크리트 혼합재 정량 투입장치
KR20110029519A (ko) 이동식 콘크리트 배치 플랜트
CN110603125A (zh) 用于制造混凝土建筑材料的方法
KR20190037788A (ko) 이동식 아스팔트 콘크리트 제조장치와 이를 이용한 포장도로의 보수 방법
KR200417671Y1 (ko) 이동식 콘크리트 혼합재 정량 투입장치
KR101587064B1 (ko) 섬유보강 시멘트 복합재료의 일체형 믹싱 및 타설 장치 및 그 방법
KR101780190B1 (ko) 슬러리형 급결제 믹싱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숏크리트 타설공법
KR102232471B1 (ko) 소음 저감형 숏크리트 배치 플랜트의 골재선별 시스템
KR200458276Y1 (ko) 도심형 배처플랜트
CN107218063A (zh) 地铁隧道混凝土喷射设备及工艺方法
CN209702504U (zh) 一种吹填泥被的固化系统
KR101935350B1 (ko) 보수 모르타르 시공 시스템
KR100672002B1 (ko) 이동식 콘크리트 혼합재 정량 투입장치
KR20140049706A (ko) 준설토 리사이클을 위한 이동식 믹싱 장치
KR102287350B1 (ko) 시공용 자재 이송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공 시스템
AU2020221850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inuous manufacture of joint compound
KR101511222B1 (ko) 경량애시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단면 복구용 경량 폴리머 보수 모르타르 시공 방법
KR101124399B1 (ko) 혼화재 투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2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21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21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3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8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12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12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0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