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190046B1 - 와이어메쉬 제조장치용 하부전극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와이어메쉬 제조장치용 하부전극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0046B1
KR102190046B1 KR1020200081347A KR20200081347A KR102190046B1 KR 102190046 B1 KR102190046 B1 KR 102190046B1 KR 1020200081347 A KR1020200081347 A KR 1020200081347A KR 20200081347 A KR20200081347 A KR 20200081347A KR 102190046 B1 KR102190046 B1 KR 1021900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electrode
electrode
wire mesh
manufacturing apparatus
shap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1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재희
Original Assignee
조재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재희 filed Critical 조재희
Priority to KR10202000813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00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00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004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10Spot welding; Stitch welding
    • B23K11/11Spot welding
    • B23K11/115Spot welding by means of two electrodes placed opposite one another on both sides of the welded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27/00Making wire network, i.e. wire nets
    • B21F27/08Making wire network, i.e. wire nets with additional connecting elements or material at crossings
    • B21F27/10Making wire network, i.e. wire nets with additional connecting elements or material at crossings with soldered or welded cros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30Features relating to electrodes
    • B23K11/31Electrode holders and actuating devic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36Auxiliary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lytic Production Of Met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부전극의 사용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고 하부전극의 높이 조절이 용이하면서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와이어메쉬 제조장치용 하부전극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정육면체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동전극으로 구성되는 하부전극;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그 상부에 상기 하부전극을 수용하는 수용홈이 구비되는 전극케이스; 및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그 상면 일부가 돌출되어 단턱부가 형성되고, 상기 단턱부와 대향하는 측의 면에는 어느 일측에 고정홈이 구비되며 다른 일측에 고정홀이 구비되는 전극받침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와이어메쉬 제조장치용 하부전극 결합구조{Combination structure for manufacturing apparatus of wire mesh}
본 발명은 와이어메쉬 제조장치용 하부전극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부전극의 사용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와이어메쉬 제조장치용 하부전극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와이어메쉬는 주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성보강을 위해 사용되는 건설자재로서, 와이어메쉬 제조장치에 의해 씨줄철선과 날줄철선을 서로 교차시킨 다음 교차점을 스팟 용접 처리함으로써 제조된다.
상기 와이어메쉬 제조장치에는 스팟 용접을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이동하는 상부전극(10)과 전극받침대(30)에 고정되는 하부전극(20)이 사용된다.
도 1을 참조하여 하부전극(20)의 결합 구조를 살펴보면, 상기 하부전극(20)은 전극고정용 볼트(40)를 통해 전극받침대(30)에 고정되고, 전극받침대(30)에는 하부전극(20)의 높이 조절을 위하여 장공(35)이 형성되어 있으며 높이조절볼트(50)에 의해 지지대(60)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전극받침대(30)의 하부에는 전선다발(c)에 의해 전류가 흐르는 전도판(70)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전도판(70)의 하부에 받침볼트(80)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하부전극(20)은 통상 동(銅)전극을 사용하고 있는바, 반복적인 용접 작업에 의해 상기 하부전극(20)은 그 상면에 홈(g)이 패이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홈(g)은 용접 성능을 저하시키게 되므로 어느 시점에서 하부전극(20)의 홈이 패인 상면을 매끄럽게 재가공하여 다시 사용하고 있다.
한편, 이와 같이 상면을 재가공하게 되면 하부전극(20)의 높이가 낮아지므로 이를 보상해야 하는바, 이를 위해서는 높이조절볼트(50)를 풀어 전극받침대(30)를 상부로 이동시켜 다시 고정해야 한다.
그러나 전극받침대(30)를 손으로 잡고 정확한 높이에 고정하는 작업은 쉽지 않고, 일정 높이에서의 고정은 오직 높이조절볼트(50)에 의해서만 이루어지므로 사용 중 높이조절볼트(50)가 조금씩 풀리는 경우 하부전극(20)의 높이도 함께 낮아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하부전극(20)은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 홈을 파고 그 홈을 통해 전극고정용볼트(40)가 체결되는 결합 구조상 실질적으로 길이방향의 상면 만을 사용할 수 밖에 없는 점에서 값비싼 동전극의 사용 효율이 떨어지고 이에 따라 경제성 측면에서도 바람직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702557호(2017. 02. 06. 공고)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하부전극의 사용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고 하부전극의 높이 조절이 용이하면서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와이어메쉬 제조장치용 하부전극 결합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와이어메쉬 제조장치용 하부전극 결합구조는, 정육면체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동전극으로 구성되는 하부전극;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그 상부에 상기 하부전극을 수용하는 수용홈이 구비되는 전극케이스; 및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그 상면 일부가 돌출되어 단턱부가 형성되고, 상기 단턱부와 대향하는 측의 면에는 어느 일측에 고정홈이 구비되며 다른 일측에 고정홀이 구비되는 전극받침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와이어메쉬 제조장치용 하부전극 결합구조는, 상기 전극케이스의 네 측면 중 적어도 한 곳에 상기 수용홈에 연통되는 조임용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조임용 통공을 통해 조임볼트가 삽입 결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와이어메쉬 제조장치용 하부전극 결합구조는, 상기 전극케이스를 고정하기 위하여 소정 두께를 갖는 판상으로 이루어지는 지지대나 평면도상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절곡 지지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지지대 및 절곡 지지대에는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통공과 고정홈에 삽입되는 밀착볼트가 더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와이어메쉬 제조장치용 하부전극 결합구조는, 상기 수용홈에 안착되되 하부전극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판이 더 구비되고, 상기 높이조절판은 다양한 두께를 갖는 복수의 높이조절판으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와이어메쉬 제조장치용 하부전극 결합구조는, 상기 전극케이스를 전극받침대에 용접하여 일체로 구성한다.
본 발명의 와이어메쉬 제조장치용 하부전극 결합구조에 의하면, 정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하부전극의 여섯 면을 모두 사용할 수 있고, 한 면에 대해서도 3~5회 정도 재가공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하부전극의 사용효율이 극대화된다.
또한 본 발명의 와이어메쉬 제조장치용 하부전극 결합구조에 의하면, 하부전극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전극받침대의 높이를 조절할 필요없이 간단히 높이조절판을 수용홈에 안착시키면 되므로 하부전극의 높이 조절 작업이 매우 용이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와이어메쉬 제조장치용 하부전극 결합구조에 의하면, 높이조절판은 수용홈 내부에 안착되어 있어 상하 이동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하부전극의 높이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와이어메쉬 제조장치용 전극의 결합 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메쉬 제조장치용 하부전극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메쉬 제조장치용 하부전극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메쉬 제조장치용 하부전극 결합구조에서 지지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메쉬 제조장치용 하부전극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메쉬 제조장치용 하부전극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메쉬 제조장치용 하부전극 결합구조를 이용한 하부전극의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와이어메쉬 제조장치용 하부전극 결합구조는 하부전극(100), 전극케이스(200) 및 전극받침대(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각 구성별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한다.
상기 하부전극(100)은 정육면체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동(銅) 재질의 전극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하부전극(100)을 정육면체의 형상으로 구성함으로써 종래의 직육면체 형상의 하부전극에 비해 사용 가능한 면의 수가 크게 증가한다.
즉, 종래에는 길이방향의 상면 만을 사용하였던 반면, 본 발명은 정육면체의 여섯 면을 모두 사용할 수 있으므로 하부전극(100)의 사용 효율이 크게 증대된다.
상기 전극케이스(200)는 상기 하부전극(100)을 수용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그 상부에 수용홈(230)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수용홈(230)은 그 내부로 하부전극(100)이 수용되었을 때 하부전극(100)이 전극케이스(200) 상면으로 돌출될 수 있는 정도의 깊이로 파여 있고 그 폭은 하부전극(100) 보다 조금 크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전극케이스(200)의 네 측면 중 적어도 한 곳에 상기 수용홈(230)에 연통되는 조임용 통공(25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조임용 통공(250)의 내주면에는 나사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조임용 통공(250)을 통해 조임볼트(270)가 삽입 결합된다.
상기 전극받침대(300)는 전극케이스(200)를 지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그 상면 일부가 돌출되어 단턱부(310)가 형성되고, 상기 단턱부(310)와 대향하는 측의 면에는 어느 일측에 고정홈(320)이 구비되며 다른 일측에 고정홀(330)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고정홈(320)은 그 내주면에 나사가 형성되어 있어 후술하는 밀착볼트(355)가 삽입 결합되고, 상기 고정홀(330)에는 고정볼트(370)가 삽입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전극케이스(200)를 고정하기 위하여 지지대(350) 및 밀착볼트(355)를 구비한다.
상기 지지대(350)는 소정 두께를 갖는 판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밀착볼트(370)가 통과하는 통공(353)이 구비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받침대(300)의 상면에 전극케이스(200)를 안착시킨 후 상기 지지대(350)를 전극케이스(200)에 밀착시키고 밀착볼트(355)를 통공(353)과 고정홈(320)에 삽입하여 결합함으로써 상기 전극케이스(200)가 전극받침대(300)에 고정되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대(350)의 변형예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절곡 지지대(350')가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절곡 지지대(350')는 소정 두께를 갖되 평면도상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전극케이스(200)의 세 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여 전극케이스(200)의 보다 확실한 고정이 가능해진다.
한편, 상기 전극받침대(300)는 종래와 달리 장공을 구비하는 대신 고정홀(330)을 구비하고 있는바, 이는 하부전극의 높이 조절을 위하여 다른 수단을 사용하기 때문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하부전극의 높이 조절을 위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홈(230)에 안착되는 높이조절판(400)을 사용한다.
상기 높이조절판(400)은 다양한 두께를 갖는 복수의 높이조절판(400)으로 구성되고, 높이조절판(400)의 조합을 통해 소정 높이를 맞출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하부전극(10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전극받침대(300)의 높이를 조절할 필요없이 간단히 높이조절판(400)을 수용홈(230)에 안착시키면 되므로 하부전극(100)의 높이 조절 작업이 매우 용이해진다.
또한, 높이조절판(400)의 수용홈(230) 내부에 안착되어 있어 상하 이동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하부전극(100)의 높이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앞선 실시예에서 전극케이스(200)와 전극받침대(300)는 별개로 구비되어 서로 고정되는 것이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350)나 절곡 지지대(350')를 구성하지 않고 상기 전극케이스(200)를 전극받침대(300)에 용접하여 케이스(200)와 전극받침대(300) 사이에 용접부(w)를 형성함으로써 일체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와이어메쉬 제조장치용 하부전극 결합구조를 이용한 하부전극의 사용 상태를 설명한다.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전극(100)의 일면에 홈(g)이 패이게 되면 일정 시점에서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끈한 면이 상면에 위치하도록 하부전극(100)을 뒤집어 설치 위치를 변경한다.
이러한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하부전극(100)의 여섯 면을 모두 사용할 수 있고, 한 면에 대해서도 3~5회 정도 재가공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하부전극(100)의 사용효율이 극대화된다.
또한, 상기 하부전극(100)의 면이 수 회 가공될수록 하부전극(100)의 전극케이스(200)에 대한 돌출 높이가 낮아지는바, 이 경우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높이조절판(400)을 수용홈(230)에 안착시켜 하부전극(100)의 원래 돌출높이로 맞출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100: 하부전극
200: 전극케이스
230: 수용홈 250: 조임용 통공 270: 조임볼트
300: 전극받침대
310: 단턱부 320: 고정홈 330: 고정홀
350: 지지대 350': 절곡 지지대 353: 통공
355: 밀착볼트 370: 고정볼트
400: 높이조절판

Claims (5)

  1. 정육면체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동전극으로 구성되는 하부전극(100);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그 상부에 상기 하부전극(100)을 수용하는 수용홈(230)이 구비되는 전극케이스(200); 및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그 상면 일부가 돌출되어 단턱부(310)가 형성되고, 상기 단턱부(310)와 대향하는 측의 면에는 어느 일측에 고정홈(320)이 구비되며 다른 일측에 고정홀(330)이 구비되는 전극받침대(3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수용홈(230)에 안착되되 하부전극(1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판(400)이 더 구비되고, 상기 높이조절판(400)은 다양한 두께를 갖는 복수의 높이조절판(40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메쉬 제조장치용 하부전극 결합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케이스(200)의 네 측면 중 적어도 한 곳에 상기 수용홈(230)에 연통되는 조임용 통공(250)이 형성되고, 상기 조임용 통공(250)을 통해 조임볼트(270)가 삽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메쉬 제조장치용 하부전극 결합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케이스(200)를 고정하기 위하여 소정 두께를 갖는 판상으로 이루어지는 지지대(350)나 평면도상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절곡 지지대(350')가 더 구비되고,
    상기 지지대(350) 및 절곡 지지대(350')에는 통공(353)이 형성되며,
    상기 통공(353)과 고정홈(320)에 삽입되는 밀착볼트(37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메쉬 제조장치용 하부전극 결합구조.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케이스(200)를 전극받침대(300)에 용접하여 일체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메쉬 제조장치용 하부전극 결합구조.
KR1020200081347A 2020-07-02 2020-07-02 와이어메쉬 제조장치용 하부전극 결합구조 Active KR1021900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1347A KR102190046B1 (ko) 2020-07-02 2020-07-02 와이어메쉬 제조장치용 하부전극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1347A KR102190046B1 (ko) 2020-07-02 2020-07-02 와이어메쉬 제조장치용 하부전극 결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0046B1 true KR102190046B1 (ko) 2020-12-11

Family

ID=73786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1347A Active KR102190046B1 (ko) 2020-07-02 2020-07-02 와이어메쉬 제조장치용 하부전극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00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51792A (ko) * 2022-04-26 2023-11-02 현대제철 주식회사 연료전지 금속분리판 접합용 용접 지그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4385U (ja) * 1983-08-06 1985-03-0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スポツト溶接電極
KR100203069B1 (ko) * 1996-10-17 1999-06-15 윤종용 용접기의 전극판 수평조절장치
JPH11285855A (ja) * 1998-04-01 1999-10-19 Shinko Kiki Kk スポット溶接装置
KR101116219B1 (ko) * 2011-07-15 2012-03-06 윤여철 부분 교환이 가능한 가공물 결합용 지그의 클램핑장치
KR101702557B1 (ko) 2015-09-22 2017-02-06 우진에코텍 주식회사 복근철망 제조장치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복근철망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4385U (ja) * 1983-08-06 1985-03-0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スポツト溶接電極
KR100203069B1 (ko) * 1996-10-17 1999-06-15 윤종용 용접기의 전극판 수평조절장치
JPH11285855A (ja) * 1998-04-01 1999-10-19 Shinko Kiki Kk スポット溶接装置
KR101116219B1 (ko) * 2011-07-15 2012-03-06 윤여철 부분 교환이 가능한 가공물 결합용 지그의 클램핑장치
KR101702557B1 (ko) 2015-09-22 2017-02-06 우진에코텍 주식회사 복근철망 제조장치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복근철망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51792A (ko) * 2022-04-26 2023-11-02 현대제철 주식회사 연료전지 금속분리판 접합용 용접 지그
KR102766193B1 (ko) * 2022-04-26 2025-02-10 현대제철 주식회사 연료전지 금속분리판 접합용 용접 지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09530B2 (en) Connection hardware for wooden building
KR102190046B1 (ko) 와이어메쉬 제조장치용 하부전극 결합구조
US11025146B2 (en) Linear vibration motor having elastic pieces provided with vibration arms
JP4631908B2 (ja) 制御装置
KR101676646B1 (ko) 전지용 플러그 부품 조립용 지그
KR102190043B1 (ko) 씨줄철선 유도 보조구
CN221735229U (zh) 一种模块化胎架结构
CN209394229U (zh) 一种适用于游梁式抽油机的护圈焊接工装
US7877862B2 (en) Weldless mesotube grid holder
JP6956644B2 (ja) 勾配設定治具及び勾配設定方法
JP2022026264A (ja) 斜め梁接合金物および梁の接合構造
CN105417030A (zh) 自动化生产振动输送机底座
KR101693459B1 (ko) Vcm용 탑 스프링 장공 펀치
JP4143858B2 (ja) 板状部材の連結構造および板状部材の連結装置
JP3570292B2 (ja) インライン型電子銃
JP2001027282A (ja) 免震部材の位置調整方法および装置
KR101823141B1 (ko) 프로브 카드용 니들 어셈블리
CN220029169U (zh) 用于传感器的焊接夹具
TWI840604B (zh) 線性振動馬達
CN210172903U (zh) 一种焊接夹具
KR20240111907A (ko) 버스바
JP2000353881A (ja) 通信機器収納キャビネット
KR920001871B1 (ko) 디스플레이 튜브
CN205471233U (zh) 一种压电式振动盘底座
KR20020096773A (ko) 철 골조용 형강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70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70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8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20081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101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12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12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0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