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190011B1 - 백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백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0011B1
KR102190011B1 KR1020180047909A KR20180047909A KR102190011B1 KR 102190011 B1 KR102190011 B1 KR 102190011B1 KR 1020180047909 A KR1020180047909 A KR 1020180047909A KR 20180047909 A KR20180047909 A KR 20180047909A KR 102190011 B1 KR102190011 B1 KR 1021900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milling
preset
pressure
amou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7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3955A (ko
Inventor
김주원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그린올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그린올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그린올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47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0011B1/ko
Publication of KR20190123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39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00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0011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5/00Grain treat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2B5/02Combined process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96Products in which the original granular shape is maintained, e.g. parboiled r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1/00Preparing grain for milling or like processes
    • B02B1/02Dry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1/00Preparing grain for milling or like processes
    • B02B1/04Wet treatment, e.g. washing, wetting, soft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1/00Preparing grain for milling or like processes
    • B02B1/08Conditioning grain with respect to temperature or water cont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3/00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백미 제조 방법은 벼를 미리 설정된 제1 온도에서 미리 설정된 제1 시간 동안 건조시키는 건조 단계, 상기 벼의 수분 함량이 미리 설정된 제1 수분 함량 내에 포함되도록 상기 벼를 미리 설정된 제2 시간 동안 건조시키는 수분 조절 단계, 상기 벼로부터 분리된 현미의 도정 분도와 쌀눈 잔존량이 각각 미리 설정된 제1 분도와 미리 설정된 제1 쌀눈 잔존량에 포함되도록 도정 압력과 도정량 중 하나 이상을 조절하여 상기 현미를 도정하는 도정 단계 및 상기 도정된 현미의 도정 분도와 쌀눈 잔존량이 각각 미리 설정된 제2 분도와 미리 설정된 제2 쌀눈 잔존량에 포함되도록 연미 압력을 조절하여 상기 도정된 현미를 연미하는 연미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백미 제조 방법{Method for producing polished rice}
본 발명은 백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쌀의 영양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 쌀눈의 잔존량이 높으면서 일반백미와 같은 백도의 백미를 제조할 수 있는 백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미의 구조는 바깥쪽부터 과피(果皮), 종피(種皮), 호분층(糊粉層) 등의 쌀겨층과, 쌀알 기부(基部)의 작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쌀눈(배아; 이하 쌀눈이라 한다)과, 나머지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배유로 이루어졌다. 이 배유는 주로 녹말 입자로 차 있고, 백미로서 식용으로 하는 부분이다.
현미는 백미에 비하여 정백으로 인한 영양분의 손실이 없으므로 백미에 비하여 지방, 단백질, 감마오리자놀, 비타민A, 비타민B1, 비타민B2가 풍부하며, 가공으로 인한 양의 감소도 없다.
이런 점으로 현미가 백미보다 월등히 우수하지만, 조직감이 거칠고 밥맛이 백미보다 못하고 영양분이 충분히 소화/흡수되지 않으며, 밥짓기가 어려운 이유로 널리 보급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또한 쌀눈에는 쌀의 영양소가 집중되어 있으며, 쌀눈속에는 중금속을 해독시키는 피틴산이 백미의 6배나 들어있으며 풍부한 단백질, 지방, 탄수화물 외에 섬유질과 비타민 A, 비타민B1, B2, B6, 비타민E, 판토테인산, 리놀산 등의 비타민과 미네랄이 균형을 유지함은 물론 항암인자를 억제하는 킬레이트 물질까지 들어 있다.
또한, 쌀눈에는 토코페롤보다 항산화작용이 강한 토코트리에놀, 뇌세포의 활동을 활발하게 해 뇌졸증과 치매를 예방하는 '오리자놀'등이 들어 있으며, 또 쌀눈에 포함된 풍부한 섬유질은 수분의 함량을 높여 변비를 예방하고, 인슐린 분비를 늦춰 당뇨 예방에도 좋다.
종래의 도정가공기술에 있어서는 백미도정과 연미 기능만이 요구될 뿐 쌀눈보존 및 잔존이 필요 없었기 때문에 도정시 쌀눈이 모두 떨어지는 실정이었다.
최근 건강에 대한 인식이 고조되면서 주식인 쌀의 영양가를 손실하지 않는 정미방법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쌀눈에는 비타민B1과 비타민E, 천연토코페롤, 감마오리자놀 등 현대인의 몸에 이로운 많은 성분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이 쌀눈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는 배아미의 가공 장치가 연구 개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현미에는 약 95%이상의 쌀눈이 부착되어 있으나 정미기의 정백공정에 거의 모든 쌀눈이 떨어져 최종 백미에서는 약 3%만이 붙어 있다. 도정공정에서 일반적으로 마찰식 정미기보다 연삭식 정미기가 정백실내의 압력이 낮고 균일한 압력이 분포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쌀눈 부착률이 높다.
특히 정백실내에서 축회전에 따른 순간적인 충격과 마찰에 의해 쌀눈이 쉽게 떨어진다. 따라서 도정기내에 반입속도(투입량)에 따른 내부압력, 축회전속도에 따른 충격력, 연삭돌의 입자크기, 회전축과 스크린의 간격, 스크린의 형태, 도정기내 진공압력(풍압), 배출구의 저항 크기 등이 영향을 미친다.
종래의 배아미는 쌀눈을 살리기 위해 특수 도정기(배아정미기)를 이용하여 쌀눈을 살리면서 도정가공한 쌀을 말하는데, 쌀눈을 남기기 위해 일반 백미보다는 도정을 덜하여, 백도 34%(5~6분도미) 수준으로 가공한다. 종래의 배아미는 도정이 덜 되어 현미의 외층인 호분층(미강)이 일반 백미보다 3~4%이상 많이 잔존하게 되어, 취반을 한 후 밥맛이 거칠고 밥의 색깔이 누렇게 되어 식감을 떨어뜨리는 요인이 되고 있으며, 또한 지방성분이 많은 미강이 많이 잔존하여, 저장중 산패 및 변질의 위험이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백미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벼를 미리 설정된 제1 시간과 미리 설정된 제2 시간 동안 건조시켜 쌀눈이 쉽게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도정 압력을 다수에 걸쳐 조절하여 도정 후 연미함으로써, 쌀눈의 잔존량이 향상된 백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백미 제조 방법은 벼를 미리 설정된 제1 온도에서 미리 설정된 제1 시간 동안 건조시키는 건조 단계, 상기 벼의 수분 함량이 미리 설정된 제1 수분 함량 내에 포함되도록 상기 벼를 미리 설정된 제2 시간 동안 건조시키는 수분 조절 단계, 상기 벼로부터 분리된 현미의 도정 분도와 쌀눈 잔존량이 각각 미리 설정된 제1 분도와 미리 설정된 제1 쌀눈 잔존량에 포함되도록 도정 압력과 도정량 중 하나 이상을 조절하여 상기 현미를 도정하는 도정 단계 및 상기 도정된 현미의 도정 분도와 쌀눈 잔존량이 각각 미리 설정된 제2 분도와 미리 설정된 제2 쌀눈 잔존량에 포함되도록 연미 압력을 조절하여 상기 도정된 현미를 연미하는 연미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도정 단계는 상기 도정 압력과 상기 도정량을 각각 미리 설정된 도정 압력의 100%와 미리 설정된 도정량의 80% 내지 90%로 조절하여 상기 벼로부터 분리된 현미를 도정하는 제1 도정 단계, 상기 도정 압력과 상기 도정량을 각각 미리 설정된 도정 압력의 40% 내지 50%와 미리 설정된 도정량의 100%로 조절하여 상기 제1 도정 단계에서 도정된 현미를 도정하는 제2 도정 단계, 상기 도정 압력과 상기 도정량을 각각 미리 설정된 도정 압력의 40% 내지 50%와 미리 설정된 도정량의 100%로 조절하여 상기 제2 도정 단계에서 도정된 현미를 도정하는 제3 도정 단계 및 상기 도정 압력과 상기 도정량을 각각 미리 설정된 도정 압력의 10% 내지 20%와 미리 설정된 도정량의 100%로 조절하여 상기 제3 도정 단계에서 도정된 현미를 도정하는 제4 도정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도정 단계는 도정기의 제1 출구저항 추의 위치와 상기 도정기의 도정롤러의 회전수 중 하나 이상을 변경하여 상기 도정 압력을 조절하는 도정 압력 조절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연미 단계는 연미기의 제2 출구저항 추의 위치와 상기 연미기의 연미롤러의 회전수 중 하나 이상을 변경하여 상기 연미 압력을 조절하는 연미 압력 조절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미리 설정된 제1 온도는 30℃ 내지 40℃이고,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은 48시간 이하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미리 설정된 제2 시간은 30시간 내지 35시간이고, 상기 미리 설정된 제1 수분 함량은 14.3% 내지 14.7%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미리 설정된 제1 분도는 6.5분도 내지 7.5분도이고, 상기 미리 설정된 제1 쌀눈 잔존량은 90%이상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미리 설정된 제2 분도는 10분도 내지 11분도이고, 상기 미리 설정된 제2 쌀눈 잔존량은 70% 내지 80%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백미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벼를 미리 설정된 제1 시간과 미리 설정된 제2 시간 동안 건조시켜 쌀눈이 쉽게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도정 압력을 다수에 걸쳐 조절하여 도정 후 연미함으로써, 쌀눈의 잔존량이 향상되어 백미의 영양성분 함량, 구수한 맛 그리고 찰기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미 제조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미 제조 방법의 건조 단계와 수분 조절 단계에 의해 건조된 벼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미 제조 방법의 현미 단계에 의해 벼로부터 분리된 현미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미 제조 방법의 도정 단계의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미 제조 방법의 도정 단계에 의해 현미가 도정된 백미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미 제조 방법의 연미 단계에 의해 연미된 백미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미 제조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미 제조 방법은 건조 단계(S10), 수분 조절 단계(S20), 현미 단계(S30), 도정 단계(S40), 선별 단계(S50), 연미 단계(S60) 및 건식 단계(S70)를 포함할 수 있다.
건조 단계(S10)는 벼를 미리 설정된 제1 온도에서 미리 설정된 제1 시간 동안 건조시킬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제1 온도는 30℃ 내지 40℃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은 48시간 이하가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미 제조 방법의 건조 단계(S10)와 수분 조절 단계(S20)에 의해 건조된 벼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를 더 참조하면, 벼는 최외곽층이 되는 왕겨(13) 내에, 배유(10), 겨층 (11) 및 쌀눈(12)으로 이루어지는 현미가 드러나지 않게 싸여 있는 것이다. 또한, 현미는 배유(10)와 배유(10) 표면을 피복하는 쌀겨층(11)과, 배유(10)의 기부측에 고착된 쌀눈(12)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호영(14)은 벼꽃의 비늘모양 조각의 일부로 형성되고 탈부 처리시에 왕겨(13)와 함께 탈리되게 된다.
건조 단계(S10)에서는 상술된 구조의 벼를 탈곡 또는 도정 과정을 거치지 않고 건조만을 시켜 벼의 조직을 단단하게 함으로써, 특히 쌀눈(12)과 배유(10)의 결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수분 조절 단계(S20)는 건조단계에서 건조된 벼의 수분 함량이 미리 설정된 제1 수분 함량 내에 포함되도록 벼를 미리 설정된 제2 시간 동안 건조시킬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제2 시간은 30시간 내지 35시간이 바람직하고, 미리 설정된 제1 수분 함량은 14.3% 내지 14.7%가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수분 조절 단계(S20)에서 건조된 벼는 오랜 시간(30시간 내지 35시간) 동안 건조됨으로써 각 벼마다의 수분 함량 간의 편차가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수분 조절 단계(S20)에서 건조된 벼는 수분 함량이 14.3% 내지 14.7%가 되도록 건조됨으로써 벼의 수분 함량이 높은 경우 쌀눈(12)과 배유(10)이 쉽게 분리되고 쉽게 변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술된 건조 단계(S10)와 수분 조절 단계(S20)는 가습 온풍을 통풍시켜 곡물을 건조시키는 순환식 곡물 건조기를 이용하여 벼를 건조시키고 수분 함량을 조절할 수 있다.
현미 단계(S30)는 벼로부터 호영(14)과 왕겨(13)를 탈리 처리하여 현미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현미 단계(S30)에서 사용되는 현미기는, 한 쌍의 고무 롤 (탈부 롤)을 사용한 롤형 현미기와 벼 알갱이를 가속하는 임펠러와 고무판으로 이루어지는 탈부판을 사용한 충격형 현미기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미 제조 방법의 현미 단계(S30)에 의해 벼로부터 분리된 현미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더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벼로부터 호영(도 2의 14)과 왕겨(도 2의 13)가 탈리되어 쌀겨층(11)과 쌀눈(12)이 외부로 드러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의 현미의 도정 분도는 0분도일 수 있다.
이후, 현미 단계(S30)에서는 현미의 수분 함량이 미리 설정된 제1 수분 함량을 초과하면 쌀눈(12)과 배유(10)이 쉽게 분리되고 쉽게 변질되므로 수분 함량이 미리 설정된 제1 수분 함량을 초과하는 현미를 선별하여 제거할 수 있다
도정 단계(S40)는 현미의 도정 분도와 쌀눈 잔존량이 각각 미리 설정된 제1 분도와 미리 설정된 제1 쌀눈 잔존량에 포함되도록 도정 압력과 도정량 중 하나 이상을 조절하여 현미를 도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정 단계(S40)는 현미를 도정하기 위한 도정기의 도정 압력과 도정기에 투입되는 현미의 도정량 중 하나 이상을 조절하여 현미를 도정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제1 분도는 6.5분도 내지 7.5분도가 바람직하고, 미리 설정된 제1 쌀눈 잔존량은 90% 이상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도정 단계(S40)는 쌀눈 잔존량을 높이면서 일반 백미와 같이 백도를 높이는 단계이다.
종래의 도정방법으로 도정시에는 짧은 시간에 많은 현미를 빠른 속도로 도정하게 되므로, 쌀눈이 쉽게 떨어지므로 도정조건을 적정하게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미 제조 방법의 도정 단계(S40)는 복수회에 걸쳐 현미를 도정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미 제조 방법의 도정 단계(S40)의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를 더 참조하면, 도정 단계(S40)는 제1 내지 제4 도정 단계(S41 내지 S44)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미 제조 방법의 도정 단계(S40)는 4회에 걸쳐 현미를 도정함으로써 최종적으로 도정 분도와 쌀눈 잔존량이 각각 6.5분도 내지 7.5분도와 90% 이상인 백미를 획득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도정 단계(S41)은 도정 압력과 도정량을 각각 미리 설정된 도정 압력의 100%와 미리 설정된 도정량의 80% 내지 90%로 조절하여 벼로부터 분리된 현미를 도정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도정 압력은 도정기의 내부에 현미를 수용하는 도정실의 내부 압력일 수 있다. 또한, 미리 설정된 도정량은 도정실 내부에 투입되는 현미의 양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도정량은 시간당 1톤일 수 있다.
이때, 도정기는 중심축에 도정롤러가 결합되어 회전되고, 도정실 내부에 도정롤러를 수용되며 타공금망을 통해 도정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정 단계(S40)는 각각의 제1 내지 제4 도정 단계(S41 내지 S44) 전에 도정 압력을 조절하는 도정 압력 조절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도정 단계(S40)는 제1 내지 제4 도정 단계(S41 내지 S44) 전에 도정 압력 조절 단계를 통해 제1 내지 제4 도정 단계(S41 내지 S44)에서 적용되는 도정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이후, 제2 도정 단계(S42)는 도정 압력과 도정량을 각각 미리 설정된 도정 압력의 40% 내지 50%와 미리 설정된 도정량의 100%로 조절하여 제1 도정 단계(S41)에서 도정된 현미를 도정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다음으로, 제3 도정 단계(S43)는 도정 압력과 도정량을 각각 미리 설정된 도정 압력의 40% 내지 50%와 미리 설정된 도정량의 100%로 조절하여 제2 도정 단계(S43)에서 도정된 현미를 도정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제4 도정 단계(S44)는 도정 압력과 도정량을 각각 미리 설정된 도정 압력의 10% 내지 20%와 미리 설정된 도정량의 100%로 조절하여 제3 도정 단계(S43)에서 도정된 현미를 백미로 도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도정 단계(S40)에서는 도정 분도가 0분도인 현미를 도정 압력과 도정량을 단계별로 조절한 제1 내지 제4 도정 단계(S41 내지 S44)를 통해 4회에 걸쳐 도정함으로써, 최종적으로 도정 분도와 쌀눈 잔존량이 각각 6.5분도 내지 7.5분도와 90% 이상인 백미를 획득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미 제조 방법의 도정 단계(S40)에 의해 현미가 도정된 백미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더 참조하면, 도정 단계(S40)를 거쳐 도정 분도가 6.5분도 내지 7.5분도로 도정된 백미는 도 3에 도시된 현미 대비 쌀겨층(11')이 65% 내지 75% 만큼 제거되었다. 또한, 도정 단계(S40)를 거친 백미는 쌀눈(12')이 90% 이상 잔존되었다.
이와 같이, 도정 단계(S40)는 4회에 걸쳐 도정을 수행함으로써, 밥맛을 좋게 하는 성분이 모여 있는 아호분층의 손상이 짧은 시간 많은 양을 도정하는 일반 도정 방법에 비해 적기 때문에 밥맛이 구수하며, 찰기가 높아지게 된다.
또한, 짧은 시간 많은 양을 도정하는 일반 도정 방법은 도정기내의 압력이 높아져 쌀과 쌀사이의 마찰력이 높아지며, 연삭돌과 타공금망에 접촉하는 쌀알들이 힘을 받게 되어 쌀눈이 손상되기 쉬우나, 본 발명의 도정 단계(S40)에서는 제1 내지 제4 도정 단계(S41 내지 S44) 별로 도정 압력과 도정량을 개별로 설정하여 쌀눈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다음으로, 선별 단계(S50)는 도정 단계(S40)에서 도정된 백미 중에서 백도가 미리 설정된 백도 이하이거나 쌀눈 잔존량이 기준 미달인 불량미를 선별하여 제거할 수 있다.
이러한, 선별 단계(S50)는 종래의 도정 단계(S40) 이후 수행되는 선별 단계(S50)의 불량미 선별 방법과 사용되는 선별기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연미 단계(S60)는 도정 분도와 쌀눈 잔존량이 각각 미리 설정된 제2 분도와 미리 설정된 제2 쌀눈 잔존량에 포함되도록 연미 압력을 조절하여 앞선 도정 단계(S40)를 거쳐 도정이 완료된 백미를 연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연미 단계(S60)는 도정된 백미를 연미하기 위한 연미기의 연미 압력과 연미기에 투입되는 도정된 백미의 연미량 중 하나 이상을 조절하여 도정된 백미를 연미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제2 분도는 10분도 내지 11분도가 바람직하고, 미리 설정된 제2 쌀눈 잔존량은 70% 내지 80%가 바람직하다.
여기서, 연미 압력은 연미기의 내부에 도정된 백미를 수용하는 연미실의 내부 압력일 수 있다. 또한, 연미량은 연미실 내부에 투입되는 도정된 백미의 양일 수 있다.
이때, 연미기는 중심축에 연미롤러가 결합되어 회전되고, 연미실 내부에 연미롤러를 수용되며 타공금망을 통해 연미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연미 단계(S60)에서는 연미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수분을 분사하여 거품과 함께 유동하는 호분층을 흡입함으로써, 연미되는 백미 간에 마찰력을 향상시켜 연미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이러한, 연미 단계(S60)에서는 도정 후 백미의 표면에 남아있는 잔류 미강들을 제거하여 외관품질을 향상시키며, 저장시 미강에 의한 쌀의 변질을 방지하는 기능할 수 있다.
또한, 연미 단계(S60)에서는 다시 한번 도정된 백도의 표면을 깎아 백도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낮은 압력으로 연미를 수행함으로써, 쌀눈 잔존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미 제조 방법의 연미 단계(S60)에 의해 연미된 백미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더 참조하면, 연미 단계(S60)를 거쳐 도정 분도가 10분도 내지 11분도로 연미된 백미는 도 3에 도시된 현미 대비 쌀겨층(11")이 100% 내지 110%만큼 제거되었다. 또한, 연미 단계(S60)를 거친 백미는 쌀눈(12")이 70% 내지 80%만큼 잔존되었다.
이를 통해, 연미 단게를 거친 백미는 일반 백미에 비해 영양소 함량이 높고 취반후 찰기가 높으며, 구수한 향과 밥맛이 좋아지게 되며, 일반 백미와 같이 동일한 방법으로 취사가 가능하여 일반 가정에서 용이하게 취사를 할 수 있다.
다음으로, 건식 단계(S70)는 세척기를 이용하여 연미 단계(S60)에서 연미된 백미에 남아있는 미분 또는 불순물을 세척하고, 브러쉬를 연미된 백미와 마찰시켜 이물질을 제거하여 최종적으로 배아미를 획득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S10 : 건조 단계 S20 : 수분 조절 단계
S30 : 현미 단계 S40 : 도정 단계
S50 : 선별 단계 S60 : 연미 단계
S70 : 건식 단계

Claims (8)

  1. 벼를 미리 설정된 제1 온도에서 미리 설정된 제1 시간 동안 건조시키는 건조 단계;
    상기 벼의 수분 함량이 미리 설정된 제1 수분 함량 내에 포함되도록 상기 벼를 미리 설정된 제2 시간 동안 건조시키는 수분 조절 단계;
    상기 벼로부터 분리된 현미의 도정 분도와 쌀눈 잔존량이 각각 미리 설정된 제1 분도와 미리 설정된 제1 쌀눈 잔존량에 포함되도록 도정 압력과 도정량 중 하나 이상을 조절하여 상기 현미를 도정하는 도정 단계 및
    상기 도정된 현미의 도정 분도와 쌀눈 잔존량이 각각 미리 설정된 제2 분도와 미리 설정된 제2 쌀눈 잔존량에 포함되도록 연미 압력을 조절하여 상기 도정된 현미를 연미하는 연미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도정 단계는,
    상기 도정 압력과 상기 도정량을 각각 미리 설정된 도정 압력의 100%와 미리 설정된 도정량의 80% 내지 90%로 조절하여 상기 벼로부터 분리된 현미를 도정하는 제1 도정 단계;
    상기 도정 압력과 상기 도정량을 각각 미리 설정된 도정 압력의 40% 내지 50%와 미리 설정된 도정량의 100%로 조절하여 상기 제1 도정 단계에서 도정된 현미를 도정하는 제2 도정 단계;
    상기 도정 압력과 상기 도정량을 각각 미리 설정된 도정 압력의 40% 내지 50%와 미리 설정된 도정량의 100%로 조절하여 상기 제2 도정 단계에서 도정된 현미를 도정하는 제3 도정 단계; 및
    상기 도정 압력과 상기 도정량을 각각 미리 설정된 도정 압력의 10% 내지 20%와 미리 설정된 도정량의 100%로 조절하여 상기 제3 도정 단계에서 도정된 현미를 도정하는 제4 도정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미리 설정된 6.5분도 내지 7.5분도에 해당하는 제1 분도와, 상기 미리 설정된 90% 이상에 해당하는 제1 쌀눈 잔존량을 가지도록 상기 현미를 도정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도정 단계 내지 상기 제4 도정 단계 별로 도정 압력과 도정량을 설정, 쌀눈의 손상을 최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미 제조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제1 온도는 30℃ 내지 40℃이고,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은 48시간 이하인 백미 제조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제2 시간은 30시간 내지 35시간이고, 상기 미리 설정된 제1 수분 함량은 14.3% 내지 14.7%인 백미 제조 방법.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제2 분도는 10분도 내지 11분도이고, 상기 미리 설정된 제2 쌀눈 잔존량은 70% 내지 80%인 백미 제조 방법.
KR1020180047909A 2018-04-25 2018-04-25 백미 제조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21900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7909A KR102190011B1 (ko) 2018-04-25 2018-04-25 백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7909A KR102190011B1 (ko) 2018-04-25 2018-04-25 백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3955A KR20190123955A (ko) 2019-11-04
KR102190011B1 true KR102190011B1 (ko) 2020-12-11

Family

ID=68578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7909A Expired - Fee Related KR102190011B1 (ko) 2018-04-25 2018-04-25 백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00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71818A (zh) * 2021-06-09 2021-07-27 湖北楚民发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除尘精细的高品质大米精加工生产工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3819B1 (ko) * 2007-06-14 2008-08-22 씨제이제일제당 (주) 쌀의 저속균압 도정방법 및 이에 의해 도정된 쌀
KR101682238B1 (ko) 2016-07-07 2016-12-05 정창선 쌀눈이쌀 가공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6619A (ko) * 2002-07-13 2004-01-24 (주) 두원테크 정미장치 및 정미방법
KR20100006655A (ko) * 2008-07-10 2010-01-21 (주) 토지 쌀의 도정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3819B1 (ko) * 2007-06-14 2008-08-22 씨제이제일제당 (주) 쌀의 저속균압 도정방법 및 이에 의해 도정된 쌀
KR101682238B1 (ko) 2016-07-07 2016-12-05 정창선 쌀눈이쌀 가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3955A (ko) 2019-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80075A (zh) 一种富含γ-氨基丁酸萌芽糙米的生产方法
CN101411374A (zh) 一种苦荞胚芽茶及其制作方法
JP2012200726A (ja) 緑色の全粒穀物の加工および大量生産方法
KR102367919B1 (ko) 발아통밀가루 제조 방법
CN104207289A (zh) 一种发芽苦荞糯糙米复合固体饮料的制备方法
CN107751747B (zh) 一种青稞糌粑粉及其制备方法
CN108786967A (zh) 一种营养大米的加工方法
KR100853819B1 (ko) 쌀의 저속균압 도정방법 및 이에 의해 도정된 쌀
CN103583958B (zh) 一种复合速溶保健米粉
KR20110045898A (ko) 감탁주 및 그 제조방법
CN108244498A (zh) 速熟粗粮谷物产品及其制备方法
KR102190011B1 (ko) 백미 제조 방법
JP2020531051A (ja) 活性胚発芽食品及びその製造方法
CN102805178A (zh) 一种高芦丁、高烟酸苦荞萌动茶的生产方法
CN108029968A (zh) 一种多用途微碾压燕麦仁及其生产方法
KR20130024670A (ko) 발아현미를 이용한 성형 압출 떡볶이 떡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떡볶이 떡
CN104026573A (zh) 发芽糯糙米大豆复合营养粉及其制作方法
Haros et al. Pseudocereal dry and wet milling: processes, products and applications
CN103416683B (zh) 一种发芽糙米米粉条及其制备方法
CN105725034B (zh) 米粒的精捣方法
JP4300555B2 (ja) 胚芽付き搗精米及びその製造方法
CN115301311B (zh) 一种降低藜麦中皂苷的方法
CN110024959A (zh) 一种藜麦即食速溶粉及制备方法
CN104431719A (zh) 一种风味松糕及其制备方法
CN107751971B (zh) 一种保持果酱或果味酱中果粒口感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42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9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9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12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12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9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