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188516B1 - 탈착식 핑거링이 구비된 핸드폰 케이스용 흡착판 - Google Patents

탈착식 핑거링이 구비된 핸드폰 케이스용 흡착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8516B1
KR102188516B1 KR1020190136330A KR20190136330A KR102188516B1 KR 102188516 B1 KR102188516 B1 KR 102188516B1 KR 1020190136330 A KR1020190136330 A KR 1020190136330A KR 20190136330 A KR20190136330 A KR 20190136330A KR 102188516 B1 KR102188516 B1 KR 1021885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 ring
phone case
mobile phone
groove
detachable bod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6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나
Original Assignee
김지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지나 filed Critical 김지나
Priority to KR10201901363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85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85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851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storing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pagers or smart phon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2Interior fittings; Means, e.g. inserts, for holding and packing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A45F5/1516Holders or carriers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pagers or smart 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A45C2011/002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C
    • A45C2200/15Articles convertible into a stand, e.g. for displaying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A45F2005/002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A45F2005/008Hand articles fastened to the wrist or to the arm or to the leg
    • A45F2200/0516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착식 핑거링이 구비된 핸드폰 케이스용 흡착판에 관한 것으로서, 핑거링의 착탈이 가능한 구조를 이루어서 필요에 따라 핑거링을 장착하거나 탈거하여 사용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제품의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핸드폰 케이스(10)에 결합이 이루어지는 착탈본체(20)와; 상기 착탈본체(20)의 배면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이 이루어지는 핑거링(30)과; 전면에는 다수의 흡착구(41)가 구비되고, 배면에는 점착층(42)이 형성되어 상기 착탈본체(20)에 점착이 이루어지는 흡착플레이트(40)를 포함하는 구성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탈착식 핑거링이 구비된 핸드폰 케이스용 흡착판{ADSORBENT PLATE FOR SMART PHONE CASE WITH REMOVABLE FINGER RING}
본 발명은 핸드폰 케이스용 흡착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흡착판에 핑거링을 탈착식으로 구성하여 제품의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탈착식 핑거링이 구비된 핸드폰 케이스용 흡착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핸드폰 케이스는 핸드폰에 전달되는 외부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한 악세사리 용품으로서 다이어리 타입, 플립 타입, 범퍼 타입, 뷰 타입, 젤리 타입 등 다양한 형태로 제작된다.
이중 젤리 타입의 경우 연질 재질로 핸드폰이 삽입되도록 전면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젤리타입 핸드폰 케이스의 종래 일 예로, 특허출원 제2016-67125호에서는 젤리타입 핸드폰 케이스에 관련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핸드폰 케이스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헐거워지게 됨으로서 핸드폰과의 결합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거울이나 유리 등과 같은 벽면에 부착 사용을 위해서는 별도의 거치대를 구비해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또한, 사용 중 떨어뜨렸을 때 바닥 충격력을 충분히 흡수하지 못하여 핸드폰의 파손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이를 개선하기 위한 종래 기술로서 국내특허공개 제2017-108902호에서는 충격 흡수력을 향상시킴과 함께 벽면 부착 사용이 가능하도록 별도의 흡착판이 구비된 핸드폰 케이스에 관련된 기술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는 흡착판 또는 케이스 본체에 핑거링이 구성되지 않기 때문에 안정적인 거치가 어려워서 사용 과정에서 핸드폰을 쉽게 바닥에 떨어뜨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17-108902호(2017.09.27.공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904829호(2018.09.28.등록)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핸드폰 케이스의 배면체 결합되는 흡착판에 핑거링을 분해, 조립이 가능한 탈착식으로 구비함으로써 핸드폰의 이용 편의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핸드폰 케이스용 흡착판은, 핸드폰 케이스에 조립 결합이 이루어지는 착탈본체와; 상기 착탈본체의 배면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이 이루어지는 핑거링과; 전면에는 다수의 흡착구가 구비되고, 배면에는 점착층이 형성되어 상기 착탈본체에 점착이 이루어지는 흡착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구성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핑거링에는 양측에 다리부가 일체로 연장 구비되고, 상기 다리부의 삽입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착탈본체에는 결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핸드폰 케이스용 흡착판은, 핑거링의 착탈이 가능한 구조를 이루어서 필요에 따라 핑거링을 장착하거나 탈거하여 사용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제품의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핸드폰 케이스의 전면측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핸드폰 케이스의 후면측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핸드폰 케이스의 후면측 결합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핸드폰 케이스의 결합상태 단면 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흡착판의 부품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착탈본체 및 핑거링 부품 정면 구조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착탈본체와 핑거링의 분리상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서 착탈본체와 핑거링의 결합과정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서 착탈본체와 핑거링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서 핑거링이 분리된 착탈본체의 핸드폰 케이스 결합상태 단면 구조도.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 표현한 구성요소의 형상 등은 더욱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술의 기능 및 구성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탈착식 핑거링이 구비된 핸드폰 케이스용 흡착판의 구조를 도 1 내지 도 10을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 예에서의 탈착식 흡착판은, 사각형상의 통공부(11)가 형성된 핸드폰 케이스(10)에 조립 결합이 이루어지는 합성수지 재질의 착탈본체(20)와, 상기 착탈본체(20)의 배면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이 이루어지는 합성수지 재질의 핑거링(30)과, 전면에는 다수의 흡착구(41)가 구비되고, 배면에는 쉽게 붙이거나 떼어낼 수 있는 에폭시 수지 계열의 점착제가 도포된 점착층(42)이 형성되어 상기 착탈본체(20)에 부착이 이루어지는 플렉시블한 합성수지 재질의 흡착플레이트(40)로 구성된다.
이때, 핑거링(30)에는 양측에 변형이 가능한 플렉시블 재질의 다리부(31)가 일체로 연장 구비되고, 상기 다리부(31)의 삽입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착탈본체(20)에는 결합홈(2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착탈본체(20)에는 결합홈(21)을 통해 삽입된 다리부(31)의 안내가 이루어지는 안내홈(22)이 형성되고, 상기 안내홈(22)에는 이탈방지 돌기(23)가 돌출 구비되며, 이와 대응되는 다리부(31)에는 이탈방지홈(33)이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이탈방지 돌기(23)는 일정 길이를 이루는 직선 형태의 직선돌기부(23a)와 점형태의 도트돌기부(23b)로 이루어지며, 이와 대응되는 이탈방지홈(33) 또한 직선홈부(33a)와 도트홈부(33b)로 이루어짐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다리부(31)의 결합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핸드폰 케이스(10)에는 배면에 통공부(11) 주변으로 끼움돌기(15)가 돌출 구비되고, 이와 대응되는 착탈본체(20)에는 끼움홈(25)이 형성되어 상호간에 분리/결합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 핸드폰 케이스용 흡착판의 사용에 따른 작용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본 실시 예에서의 흡착판은 착탈본체(20)에 구비된 끼움홈(25)을 이용하여 핸드폰 케이스(10)의 끼움돌기(15)에 끼움 결합을 통해 사용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착탈본체(20)에는 흡착플레이트(40)가 접착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핸드폰(미도시)과의 흡착에 따른 완충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착탈본체(20) 배면에는 핑거링(30)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손가락을 핑거링(30)에 걸어서 사용이 가능하게 되어 사용 과정에서 핸드폰이 바닥에 떨어져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핑거링(30)이 필요없는 경우에 착탈본체(20)로 부터 핑거링(30)을 분리시켜 별도 보관이 가능하게 된다.
즉, 이때에는 착탈본체(20)로 부터 흡착플레이트(40)를 일부 분리시켜서 핑거링(30) 결합부위가 노출되도록 한 상태에서 안내홈(22)의 이탈방지 돌기(23)에 끼워져 있는 다리부(31)의 체결상태를 해제시킨 후 결합홈(21)으로 부터 분리시킴으로써 핑거링(30)의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는 도 10에서와 같이 흡착판을 반대방향으로 하여 핸드폰 케이스(10)에 결합시키게 되면, 흡착플레이트(40)에 구비된 흡착구(41)를 이용하여 벽면 또는 유리 등에 부착시켜서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핑거링(30)을 다시 조립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7 내지 도 9에서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다리부(31)를 착탈본체(20)의 결합홈(21)에 삽입 후 양측의 안내홈(22)에 가압시키게 되면 이탈방지홈(33)이 이탈방지 돌기(23)에 끼워지게 되고, 이후 흡착플레이트(40)를 부착시킴으로써 핑거링(30)의 안정적인 결합상태가 유지되어질 수 있게 된다.
특히, 이탈방지 돌기(23)는 일정 길이를 이루는 직선 형태의 직선돌기부(23a)와 점형태의 도트돌기부(23b)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안내홈(22)으로 삽입된 다리부(31)는 중단이 직선형태의 직선돌기부(23a)에 의해 지지됨과 함께 선단부는 도트돌기부(23b)에 의한 결합상태가 유지되어질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다리부(31)가 돌출되어 흡착플레이트(40)를 밀어주는 불량현상 발생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핸드폰 케이스용 흡착판은, 핑거링의 착탈이 가능한 구조를 이루어서 필요에 따라 핑거링을 장착하거나 탈거하여 사용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제품의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는 흡착플레이트(40)에 형성되는 점착층(42)의 조성을 추가하여 완충 기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이때 점착층(42)은 점착성 향상을 위한 실리콘 20~40중량%, 크실렌 수지 10~30중량%, 에폭시 수지 10~30중량%, 완충기능 향상을 위한 우레탄 10~20중량%,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10~20중량%, 점착성능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한 부틸렌글라이콜 1~10중량%, 산화에 따른 변색을 방지하기 위한 수산화알루미늄 1~10중량%, 점착층(42)의 내구성 향상을 위한 프로필렌글리콜 1~10중량%, 그리고 우레탄 성분의 활성화에 따른 경화현상 방지를 위한 솔비톨 1~5중량%의 비율로 혼합 조성을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은 조성을 이루게 되면, 점착층(42)의 점착성능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되어 반복적인 흡착플레이트(40)의 부착 및 제거작업이 이루어지더라도 안정적인 점착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우레탄 및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성분이 혼합되어 점착층(42)의 탄력성 및 완충기능이 부가되어질 수 있게 됨으로써 외부 충격이 전달되었을 때 충격 흡수효과를 나타낼 수 있게 되는 이점을 나타내게 된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핸드폰 케이스용 흡착판 구조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한 일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 포함된다 해야 할 것이다.
10 : 핸드폰 케이스 11 : 통공부
20 : 착탈본체 21 : 결합홈
22 : 안내홈 23 : 이탈방지 돌기
30 : 핑거링 31 : 다리부
33 : 이탈방지홈 40 : 흡착플레이트
41 : 흡착구 42 : 점착층

Claims (5)

  1. 핸드폰 케이스(10)에 조립 결합이 이루어지는 착탈본체(20)와, 상기 착탈본체(20)의 배면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이 이루어지는 핑거링(30)과, 전면에는 다수의 흡착구(41)가 구비되고 배면에는 점착층(42)이 형성되어 상기 착탈본체(20)에 점착이 이루어지는 흡착플레이트(40)를 포함하는 구성을 이루는 핸드폰 케이스용 흡착판에 있어서,
    상기 핑거링(30)에는 양측에 다리부(31)가 일체로 연장 구비되고, 상기 다리부(31)의 삽입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착탈본체(20)에는 결합홈(21)이 형성되며, 상기 착탈본체(20)에는 결합홈(21)을 통해 삽입된 다리부(31)의 안내가 이루어지는 안내홈(22)이 형성되고, 상기 안내홈(22)에는 이탈방지 돌기(23)가 돌출 구비되며, 이와 대응되는 다리부(31)에는 이탈방지홈(33)이 형성되고, 상기 이탈방지 돌기(23)는 일정 길이를 이루는 직선 형태의 직선돌기부(23a)와 점형태의 도트돌기부(23b)로 이루어지며, 이와 대응되는 이탈방지홈(33) 또한 직선홈부(33a)와 도트홈부(33b)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핑거링이 구비된 핸드폰 케이스용 흡착판.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흡착플레이트(40)는 변형이 용이한 플렉시블 재질로 이루어지되, 점착층(42)은 실리콘, 크실렌 수지, 에폭시 수지, 우레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부틸렌글라이콜, 수산화알루미늄, 프로필렌글리콜, 솔비톨의 혼합 조성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핑거링이 구비된 핸드폰 케이스용 흡착판.
  5. 삭제
KR1020190136330A 2019-10-30 2019-10-30 탈착식 핑거링이 구비된 핸드폰 케이스용 흡착판 Active KR1021885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6330A KR102188516B1 (ko) 2019-10-30 2019-10-30 탈착식 핑거링이 구비된 핸드폰 케이스용 흡착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6330A KR102188516B1 (ko) 2019-10-30 2019-10-30 탈착식 핑거링이 구비된 핸드폰 케이스용 흡착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8516B1 true KR102188516B1 (ko) 2020-12-08

Family

ID=73779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6330A Active KR102188516B1 (ko) 2019-10-30 2019-10-30 탈착식 핑거링이 구비된 핸드폰 케이스용 흡착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851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512709A (ja) * 2011-01-11 2014-05-22 チョ,ソン‐モク 携帯用電子機器把持器具
KR20170000077U (ko) * 2016-12-16 2017-01-04 송정진 꾸미기가 용이한 핸드폰 케이스
KR20170083978A (ko) * 2017-03-30 2017-07-19 김건 흡착 기능이 구비된 핸드폰 케이스
KR20170108902A (ko) 2017-08-31 2017-09-27 김건 충격 흡수력이 강화된 흡착식 핸드폰 케이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512709A (ja) * 2011-01-11 2014-05-22 チョ,ソン‐モク 携帯用電子機器把持器具
KR20170000077U (ko) * 2016-12-16 2017-01-04 송정진 꾸미기가 용이한 핸드폰 케이스
KR20170083978A (ko) * 2017-03-30 2017-07-19 김건 흡착 기능이 구비된 핸드폰 케이스
KR101904829B1 (ko) 2017-03-30 2018-10-05 김건 흡착 기능이 구비된 핸드폰 케이스
KR20170108902A (ko) 2017-08-31 2017-09-27 김건 충격 흡수력이 강화된 흡착식 핸드폰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43414A (en) Board edging system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CN101316531A (zh) 多用途吸盘
KR101963633B1 (ko) 충격 흡수력이 강화된 흡착식 핸드폰 케이스
KR101580341B1 (ko) 용품을 표면에 부착시키는 방법 및 조립체
CA2443021A1 (en) Structural foam
WO2006019666A3 (en) Laminated optical article
US20110003186A1 (en) Battery holder and power supply using the same
KR102188516B1 (ko) 탈착식 핑거링이 구비된 핸드폰 케이스용 흡착판
KR20170083978A (ko) 흡착 기능이 구비된 핸드폰 케이스
KR20210101550A (ko) 그립톡 내장 가능 스마트폰 케이스
KR200388397Y1 (ko) 안경렌즈 고정용 패킹
CN209283225U (zh) 一种卡针、卡托控制结构和终端
KR200315701Y1 (ko) 조립식 테이블 연결구조
CN108390962A (zh) 一种用于移动终端的麦克装配组件及移动终端
CN218850936U (zh) 一种具有可拆装尾翼的耳机
CN218661650U (zh) 一种汽车仪表装饰板卡扣结构
CN219709402U (zh) 高性能易拆解pu泡棉胶带
KR20180108118A (ko) 벽면 부착형 거치대 제작 방법
KR102199965B1 (ko) 글라스용 접착식 브래킷
KR200393744Y1 (ko) 머리끈 장식 연결구조
CN210974513U (zh) 一种摄像头保护膜
KR101264036B1 (ko) 학습을 위한 인쇄판이 완벽한 마감처리로 고정되는 어린이용 책상
CN109264182A (zh) 保护膜及其制作方法
KR200460385Y1 (ko) 기타의 멜빵 고정구
CN210958431U (zh) 一种吸盘垫片及固定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0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8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101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12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12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