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187885B1 - 전기레인지 및 그것의 이물질 감지 알림 방법 - Google Patents

전기레인지 및 그것의 이물질 감지 알림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7885B1
KR102187885B1 KR1020170143948A KR20170143948A KR102187885B1 KR 102187885 B1 KR102187885 B1 KR 102187885B1 KR 1020170143948 A KR1020170143948 A KR 1020170143948A KR 20170143948 A KR20170143948 A KR 20170143948A KR 102187885 B1 KR102187885 B1 KR 1021878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ter
ratio
user
control circuit
foreig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3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8756A (ko
Inventor
이경일
김용석
Original Assignee
(주)쿠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쿠첸 filed Critical (주)쿠첸
Priority to KR10201701439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7885B1/ko
Publication of KR20190048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87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78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788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 F24C7/08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touch contro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6Details of scanning methods, e.g. sampling time, grouping of sub areas or time sharing with display driv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68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 plates or analogous hot-plat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6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 H05B6/062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for cooking plate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일측면에 따른 전기레인지는, 전기를 에너지원으로 하여 상부에 놓여진 물체를 가열하는 적어도 하나의 화구, 사용자 조작부에 존재하며, 물질의 접촉을 입력으로 받아 전기적 신호인 센싱 신호를 생성하는 터치 패널, 터치 패널로부터 수신된 센싱 신호를 기초로 사용자 조작부에 가해진 접촉의 접촉점 위치 및/또는 감도를 나타내는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터치 감지 회로, 터치 감지 회로로부터 수신된 감지 신호를 기초로 이물질을 검출하고, 검출된 이물질이 사용자 조작부에서 차지하는 영역 비율인 이물질 영역 비율이 제1 임계 비율 이상인 경우 사용자 조작부의 조작을 차단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회로 및 제어 회로로부터 제공된 디스플레이 제어 신호에 따라 검출된 이물질이 사용자 조작부에서 차지하는 영역에 관한 정보인 이물질 영역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레인지 및 그것의 이물질 감지 알림 방법{ELECTRIC RANGE AND ALIEN SUBSTANCE DETECTION ALARMING METHOD THEREOF}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전기레인지에 관한 것으로서, 자세하게는 전기레인지의 이물질 감지 알림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산업통상자원부의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의 지원을 받아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번호: 10070384, 과제명: 스마트 홈 IoT 가전용 개방형 하드웨어 플랫폼 개발).
전기레인지(Electric Range)는 가스를 에너지원으로 하는 가스레인지의 대용으로서, 전기를 에너지원으로 하여 각 화구의 버너를 가열함으로써 화구에 얹어진 물체를 가열하는 기기이다. 전기레인지는 화구에 얹어진 용기를 가열함으로써 용기에 담긴 음식을 조리하는 용도로 사용되기도 하며, 용기에 담긴 다양한 액체를 가열하는 용도로 사용되기도 한다.
전기레인지는 가스레인지와 비교할 때, 가스 누출이 없기 때문에 화재의 위험이 적고, 청소가 간편하다. 뿐만 아니라, 전기레인지는 전기를 이용하기 때문에 전기신호를 이용하여 다양한 제어가 가능하고, 다양한 사용자 환경을 제공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전기레인지의 이물질 감지 알림 방법에 있어서, 이물질을 감지하여 기기의 제어를 차단하거나 이물질의 양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기기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일측면에 따른 전기레인지는, 전기를 에너지원으로 하여 상부에 놓여진 물체를 가열하는 적어도 하나의 화구, 사용자 조작부에 존재하며, 물질의 접촉을 입력으로 받아 전기적 신호인 센싱 신호를 생성하는 터치 패널, 터치 패널로부터 수신된 센싱 신호를 기초로 사용자 조작부에 가해진 접촉의 접촉점 위치 및/또는 감도를 나타내는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터치 감지 회로, 터치 감지 회로로부터 수신된 감지 신호를 기초로 이물질을 검출하고, 검출된 이물질이 사용자 조작부에서 차지하는 영역 비율인 이물질 영역 비율이 제1 임계 비율 이상인 경우 사용자 조작부의 조작을 차단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회로 및 제어 회로로부터 제공된 디스플레이 제어 신호에 따라 검출된 이물질이 사용자 조작부에서 차지하는 영역에 관한 정보인 이물질 영역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전기레인지의 이물질 감지 알림 방법에 의하면, 이물질에 의한 의도되지 않은 동작의 수행을 막을 수 있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화상의 위험을 막아 안전을 보장할 수 있으며, 기기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전기레인지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조작부 및 회로부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화구들, 디스플레이부 및 회로부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화구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전기레인지의 이물질 검출 알림 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6a 및 도 6b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이 존재하는 전기레인지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조작부에 이물질이 존재하는 전기레인지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영역 비율에 따른 전기레인지를 제어하는 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9a 및 도 9b는 이동하는 이물질이 존재하는 전기레인지를 나타낸다.
도 10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 발생 화구 결정 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11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전원 오프 상태에서 전기레인지의 이물질 검출 알림 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전기레인지(10)를 나타낸다. 전기레인지(10)는 제1 화구(100), 제2 화구(200), 제3 화구(300) 및 사용자 조작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전기레인지(10)가 3개의 화구들(100, 200, 300)을 포함하는 것을 도시하지만, 화구의 개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더 많은 개수의 화구들을 포함하거나 더 적은 개수의 화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레인지(10)는 하나의 화구 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화구들(100, 200, 300)의 배치가 도 1에 개시된 배치에 제한되는 것도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화구(100), 제2 화구(200) 및 제3 화구(300)는 일렬로 배치될 수 있으며, 이외의 임의의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1은 제1 화구(100), 제2 화구(200) 및 제3 화구(300)가 동일한 크기를 갖는 것으로 도시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제1 화구(100), 제2 화구(200) 및 제3 화구(300) 중 적어도 일부는 다른 크기를 가질 수 있다.
화구들(100, 200, 300)에 대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대표되는 제1 화구(100)에 대해 설명한다. 제1 화구(100)는 전기 에너지를 에너지원으로 하여 제1 화구(100) 상부에 얹어지는 물체를 가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화구(100)는 전기적 원리를 이용해 물체를 가열하는 버너를 포함할 수 있다. 버너는 자성체에 의한 유도작용을 통해 전용 용기에 열을 내는 인덕션, 열선이 들어 있는 금속판을 가열하여 열을 내는 핫플레이트, 열선이 분포되어 세라믹 판을 가열하여 열을 내는 하이라이트 및 이외에 전기를 이용해 열을 내는 다양한 발열체들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화구(100), 제2 화구(200) 및 제3 화구(300)는 모두 같은 유형의 버너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적어도 일부는 다른 종류의 버너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기레인지(10)는 제1 화구(100) 및 제2 화구(200)가 인덕션 버너를 포함하고, 제3 화구(300)가 하이라이트 버너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전기레인지일 수 있다. 화구들(100, 200, 300)에 관한 보다 자세한 설명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사용자 조작부(400)는 전기레인지(10)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는 모든 부분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조작부(400)의 적어도 일부는 디스플레이 기능과 터치 방식의 조작 기능을 모두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사용자 조작부(400)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보여지는 화면을 기초로 사용자 조작부(400)의 일부 영역을 터치하여 전기레인지(10)를 제어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시로서, 디스플레이부는 PDP, LCD, TFT LCD(Thin Film Transistor LCD), OLED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를 포함한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해 구현될 수 있으며, 터치 방식은 감압 방식 및 정전용량 방식을 포함한 다양한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해 구현될 수 있다. 하지만 사용자 조작부(400)의 구성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조작부(400)의 적어도 일부는 다른 방식의 입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조작부(400)의 적어도 일부는 회전 버튼, 푸시 버튼, 트랙볼, 포인트 스틱 및 스캐너와 같은 다양한 입력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전기레인지(10) 상부에는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이물질이 존재할 수 있다. 이물질이 존재하게 되면, 이물질에 의해 의도되지 않은 동작이 수행되는 문제, 뜨거운 이물질에 의한 사용자 화상 위험 문제 및 이물질에 의한 전기레인지(10)의 고장 문제 등과 같은 다양한 문제들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이물질의 존재로 인한 문제의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전기레인지(10)는 이물질을 감지하고, 감지된 이물질을 기초로 사용자에게 이물질에 관한 정보를 알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물질이 존재하는 영역에 관한 정보를 알릴 수도 있고, 이물질이 감지된 영역의 비율이 임계 비율 이상인 경우, 사용자의 조작을 차단하거나 출력 동작을 수행중인 화구의 출력 레벨을 낮출 수 있다. 이물질 영역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림으로써 사용자가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으며, 사용자의 조작을 차단함으로써 사용자를 이물질에 의한 화상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으며, 화구의 출력 레벨을 낮춤으로써 사용자의 조작 없이 이물질 발생을 줄일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조작부(400) 및 회로부(500)를 나타낸다. 사용자 조작부(400)에 관한 도 1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사용자 조작부(400)는 상부 유리(420), 터치 패널(440) 및 디스플레이부(4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유리(420)는 사용자 조작부(400) 상단에 위치할 수 있으며, 다양한 종류의 유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유리(420)는 터치 패널(440) 및 디스플레이부(460)의 외부 물질과의 직접적인 접촉을 막을 수 있다. 터치 패널(440)은 사용자의 접촉을 입력으로 받아 접촉 위치를 센싱하는 입력 장치이다. 예를 들어, 터치 패널(440)은 직교 형태, 동심원 형태 또는 3차원 랜덤 배열을 비롯한 임의의 응용 배열 형태의 어레이를 구성하는 복수의 수신 전극들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널(440)은 회로부(500)의 터치 감지 회로(520)에 전기적 신호인 센싱 신호(SS)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패널(440)의 수신 전극들은 전압 또는 전류 신호를 센싱 신호(SS)로서 터치 감지 회로(520)에 전달할 수 있고, 터치 감지 회로(520)는 수신된 센싱 신호(SS)를 기초로 터치 패널(440)에 입력된 접촉점의 위치 및/또는 접촉 감도를 감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460)는 회로부(500)의 제어 회로(540)로부터 디스플레이 제어 신호(DCS)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디스플레이 제어 신호(DCS)를 기초로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 또는 사용자 조작에 필요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460)는 화구의 모드 정보, 화구의 출력 레벨 정보, 타이머 조작 버튼, 화구 출력 레벨 조작 버튼 및 각종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회로부(500)는 터치 감지 회로(520) 및 제어 회로(540)를 포함할 수 있다. 회로부(500)는 전기레인지의 화구 및 디스플레이부 등 다양한 구성들로부터 각종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다양한 구성들을 제어하는 회로를 폭넓게 일컫는 구성일 수 있다. 즉, 회로부(500)는 도 3의 화구 구동 회로들(580_1~580_n)과 같은 터치 감지 회로(520) 및 제어 회로(540) 이외의 다양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감지 회로(520)는 터치 패널(440)로부터 센싱 신호(SS)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센싱 신호(SS)를 기초로 터치 패널(440)에 입력된 접촉점의 위치 및/또는 접촉 감도를 감지할 수 있다. 터치 패널(440)은 감지된 접촉점의 위치 및/또는 접촉 감도를 포함하는 감지 신호(DS)를 제어 회로(540)에 제공할 수 있다.
제어 회로(540)는 디스플레이부(460)를 포함한 전기레인지의 다양한 구성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회로(540)는 디스플레이부(460)에 디스플레이 제어 신호(DCS)를 제공하여 디스플레이부(460)에 표시되는 화면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 회로(540)는 수신되는 다양한 신호들을 기반으로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 회로(540)는 터치 감지 회로(520)로부터 수신되는 감지 신호(DS)를 기반으로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전기레인지에서, 제어 회로(540)는 터치 감지 회로(520)로부터 수신되는 감지 신호(DS)를 기반으로 이물질을 감지할 수 있다. 물을 포함하는 액체 등의 이물질의 경우, 사람의 피부에 의한 접촉에 비해 접촉 감도가 낮을 수 있다. 또한 사람의 피부에 의한 접촉은 일반적으로 하나의 접촉점을 나타내는 반면, 이물질에 의한 접촉은 복수의 접촉점들을 나타낸다. 즉, 제어 회로(540)는 사용자 조작부(400) 상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감지할 수 있다. 이물질이 감지된 경우, 제어 회로(540)는 디스플레이부(460)에 디스플레이 제어 신호(DCS)를 제공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460)에 이물질이 사용자 조작부(400) 상에서 차지하는 영역에 관한 정보인 이물질 영역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 회로(540)는 이물질이 사용자 조작부(400) 상에서 차지하는 영역 비율인 이물질 영역 비율이 제1 임계 비율 이상인 경우, 사용자의 조작을 차단할 수 있다. 제어 회로(540)는 이물질 영역 비율이 제2 임계 비율 이상인 경우, 출력 동작을 수행하는 화구의 출력 레벨을 하향 조정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실시예들은 이하의 도면들을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전기레인지에 따르면, 이물질 제거를 유도함으로써 전기레인지의 고장을 막고, 사용자의 조작 없이 화구의 출력 레벨을 차단함으로써 사용자를 화상의 위험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화구들(100_1~100_n), 디스플레이부(460), 회로부(500) 및 메모리(700)를 나타낸다. 디스플레이부(460) 및 회로부(500)에 관한 도 2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회로부(500)는 터치 감지 회로(520), 제어 회로(540) 및 복수의 화구 구동 회로들(580_1~580_n)을 포함할 수 있다(단, n은 자연수).
메모리(700)는 전기레인지에 관한 정보 및 전기레인지의 제어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700)는 플래시 메모리, 자기 저항 메모리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및 DRAM, SRAM 등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회로(540)는 제어에 필요한 정보들을 메모리(700)에 저장할 수 있다.
복수의 화구 구동 회로들(580_1~580_n)은 각각에 연결된 화구들(100_1~100_n)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화구 구동 회로들(580_1~580_n)은 제어 회로(540)로부터 수신된 화구 제어 신호(CCS)를 기초로 각각에 연결된 화구들(100_1~100_n)에 각각의 화구 구동 신호들(CDS_1~CDS_n)을 송신하여 화구들(100_1~100_n)을 구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화구 구동 회로(580_1)는 제1 화구(100_1)에 제1 화구 구동 신호(CDS_1)를 송신하여 제1 화구(100_1)의 출력 레벨을 조절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전기레인지에서, 제어 회로(540)는 터치 감지 회로(520)로부터 수신된 감지 신호(DS)를 기초로 사용자 조작부 상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감지할 수 있다. 이물질이 감지된 경우, 디스플레이부(460)는 디스플레이 제어 신호(DCS)에 기초하여 이물질 영역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제어 회로(540)는 이물질이 사용자 조작부 상에서 차지하는 영역 비율인 이물질 영역 비율이 제2 임계 비율 이상인 경우, 복수의 화구들(100_1~100_n) 중 출력 동작을 수행하는 화구들의 출력 레벨을 1단계 낮추도록 화구 제어 신호(CCS)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 회로(540)는 이물질 영역 비율이 제2 임계 비율보다 높은 제3 임계 비율 이상인 경우, 복수의 화구들(100_1~100_n) 전체의 출력 동작을 차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기레인지에 감지되는 이물질들은 화구에 얹어진 용기로부터 발생되는 물질일 수 있다. 이물질 영역이 일정 비율 이상 차지하는 경우, 화구들의 출력 레벨을 하향 조정하거나 출력을 차단함으로써 사용자 조작 없이 이물질의 발생을 줄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사용자 조작부를 조작함으로써 입을 수 있는 화상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화구(100)를 나타낸다. 화구(100)는 도 3의 복수의 화구들(100_1~100_n)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낼 수 있다.
화구(100)는 전기를 이용하여 열을 내는 발열체인 버너(1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해 설명되었듯이, 버너(120)는 인덕션, 핫플레이트, 하이라이트 및 이외에 열을 내는 다양한 발열체들 중 하나일 수 있다. 화구(100)에 올려진 용기는 버너(120)에 의해 가열될 수 있다. 버너(120)의 출력은 버너(120)에 의해 발생되는 전력을 나타낼 수 있고, 버너(120)에 의해 가열되는 용기의 온도를 나타낼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상 버너(120)의 출력은 버너(120)에 의해 발생되는 전력을 나타내는 것으로 설명한다.
버너(120)의 출력은 발생되는 전력의 크기에 따라 복수의 출력 레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너(120)의 출력은 전력의 크기에 따라 k개의 전력 레벨들(제1 레벨~제k 레벨)을 포함할 수 있다(k는 자연수). 제1 레벨은 가장 낮은 전력을 발생시키는 출력 레벨을 나타낼 수 있고, 상위 레벨로 갈수록 높은 전력을 발생시키는 출력 레벨을 나타낼 수 있다. 버너(120)의 출력 레벨은 화구(100)의 동작을 구동하는 화구 구동 회로의 화구 구동 신호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제1 화구 구동 회로(580_1)는 제어 회로(540)의 화구 제어 신호(CCS)를 기초로 제1 화구(100_1)에 제1 화구 구동 신호(CDS_1)를 송신하여 제1 화구(100_1)의 출력 레벨을 제1 내지 제k 레벨 중 하나로 결정할 수 있다. 각각의 연속된 레벨 간의 차이를 출력 레벨이 1단계 차이가 난다고 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전기레인지에서, 제어 회로는 이물질이 사용자 조작부에서 차지하는 영역 비율인 이물질 영역 비율이 제2 임계 비율 이상인 경우, 출력 동작을 수행하는 화구(100)의 버너(120)의 출력 레벨을 낮출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 화구(100)에 포함된 버너(120)의 출력 레벨을 화구(100)의 출력 레벨이라 칭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전기레인지의 이물질 검출 알림 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다. 전기레인지는 적어도 하나의 화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도 2 및 도 3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된다.
전기레인지는 전기레인지의 사용자 조작부(400) 상의 이물질을 검출할 수 있다(S120). 예를 들어, 사용자 조작부(400)의 터치 패널(440)을 통해 센싱된 신호(SS)를 터치 감지 회로(520)가 수신하고, 터치 감지 회로(520)에 의해 제어 회로(540)에 제공된 감지 신호(DS)를 기초로 제어 회로(540)는 사용자 조작부(400) 상의 이물질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회로(540)는 사용자 조작부(400) 상에서 이물질이 사용자 조작부 상에서 차지하는 영역에 관한 정보인 이물질 영역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전기레인지는 검출된 이물질이 사용자 조작부 상에서 차지하는 영역에 관한 정보인 이물질 영역 정보를 디스플레이부(460)에 표시할 수 있다(S140). 예를 들어, 제어 회로(540)에 의해 제공된 디스플레이 제어 신호(DCS)를 기초로, 디스플레이부(460)는 이물질이 사용자 조작부 상에서 차지하는 영역 비율인 이물질 영역 비율을 이물질 영역 정보로서 표시할 수 있다. 이물질 영역 정보의 표시에 관한 설명은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될 수 있다.
전기레인지는 이물질 영역 정보에 따라 검출된 이물질이 사용자 조작부 상에서 차지하는 영역 비율인 이물질 영역 비율이 제1 임계 비율 이상인 경우, 사용자 조작부의 조작을 차단할 수 있다(S160). 예를 들어, 제어 회로(540)는 이물질 영역 비율이 제1 임계 비율 이상인 경우, 터치 패널(440)을 제어하여 사용자에 의한 사용자 조작부의 조작을 차단할 수 있다. 이 때, 제어 회로(540)는 디스플레이부(460)에 사용자 조작부의 조작이 차단되었음을 알리는 경고 메시지가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 제어 신호(DCS)를 디스플레이부(460)에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검출 알림 방법에 의하면, 이물질 영역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이물질 제거를 유도하여 전기레인지의 고장을 막을 수 있으며, 사용자 조작부의 조작을 차단함으로써 사용자를 화상의 위험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600a, 600b)이 존재하는 전기레인지(10a, 10b)를 나타낸다. 도 6a 및 도 6b의 전기레인지(10a, 10b) 및 사용자 조작부(400a, 400b)에 관한 도 1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6a를 참조하면, 이물질(600a)이 전기레인지(10a) 상에 존재할 수 있다. 이물질(600a)의 일부는 전기레인지(10a)의 사용자 조작부(400a) 상에 존재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한 비제한적인 예시로서, 전체 사용자 조작부(400a) 면적에 대한 사용자 조작부(400a) 상에서 이물질(600a)이 차지하는 영역의 면적의 비율인 이물질 영역 비율은 48%인 것으로 가정한다.
사용자 조작부(400a)의 터치 패널을 통해 터치 감지 회로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기초로 제어 회로는 이물질(600a)이 사용자 조작부(400a) 상에서 차지하는 영역에 관한 정보인 이물질 영역 정보를 판단할 수 있고, 상기 이물질 영역 정보가 메시지(410a)를 통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회로는 사용자 조작부(400a) 상에서 어느 위치에 이물질(600a)이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으며, 이를 기초로 사용자 조작부(400a) 상에서 이물질(600a)이 차지하는 면적 및 전체 사용자 조작부(400a) 면적 대비 이물질(600a)이 차지하는 면적의 비율인 이물질 영역 비율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어 회로는 디스플레이부에 이물질 영역 비율을 이물질 영역 정보로서 메시지(410a)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도 6a에 도시된 메시지(410a)의 구체적인 문구, 형태나 배열은 예시적인 것일 뿐,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6b를 참조하면, 도 6a와 마찬가지로 이물질(600b)의 일부는 전기레인지(10b)의 사용자 조작부(400b) 상에 존재할 수 있으며, 비제한적인 예시로서, 이물질 영역 비율은 48%인 것으로 가정한다.
도 6a와 마찬가지로, 제어 회로는 이물질 영역 비율을 판단할 수 있다. 제어 회로는 이물질 영역 비율을 백분율로 계산할 수 있고, 백분위를 복수의 비율 구간들로 구분하고, 이물질 영역 비율이 속하는 비율 구간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회로는 백분위를 10개의 비율 구간으로 구분할 수 있고, 이물질 영역 비율이 속하는 비율 구간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48%는 40% 이상이고, 50% 미만이므로, 디스플레이부는 이물질 영역이 '40% 이상 50% 미만'의 비율 구간에 속함을 메시지(410b)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도 6b에 도시된 메시지(410b)의 구체적인 문구, 형태나 배열은 예시적인 것일 뿐,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7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조작부에 이물질(600)이 존재하는 전기레인지(20)를 나타낸다. 이물질(600)의 일부는 사용자 조작부(400) 상에 존재할 수 있다. 전기레인지(20) 및 사용자 조작부(400)에 관한 도 1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사용자 조작부(400)의 터치 패널을 통해 터치 감지 회로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기초로 제어 회로는 이물질(600)이 사용자 조작부(400) 상에서 차지하는 영역에 관한 정보인 이물질 영역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 회로는 이물질 영역 정보에 따라 이물질(600)이 사용자 조작부(400) 상에서 차지하는 영역 비율인 이물질 영역 비율이 제1 임계 비율 이상인 경우, 사용자 조작부의 조작을 차단할 수 있다. 이와 함께, 메시지(410)를 통해 사용자의 동작이 차단됨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제1 임계 비율은 전기레인지(20) 별로 정해져 있는 고정 값일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는 가변적인 값일 수도 있다.
이물질(600)이 일정량 이상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의 조작을 차단하고, 사용자의 조작이 차단되었음을 알림으로써 사용자를 이물질에 의한 위험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물질(600)은 화구의 용기에서 끓어 넘친 고온의 액체인 경우, 사용자의 조작이 차단되었음을 알림으로써 사용자를 화상의 위험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영역 비율에 따른 전기레인지를 제어하는 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8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회로부(500)의 제어 회로(540)는 이물질이 사용자 조작부(400) 상에서 차지하는 영역 비율인 이물질 영역 비율을 판단할 수 있고, 판단된 이물질 영역 비율을 제2 임계 비율과 비교할 수 있다(S220). 이물질 영역 비율이 제2 임계 비율 미만인 경우, 제어 회로(540)는 화구의 출력을 하향 조정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이물질 영역 비율이 제2 임계 비율 이상인 경우, 제어 회로(540)는 화구들 중 출력 동작을 수행하는 화구의 출력 레벨을 낮추도록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240). 예를 들어, 이물질 영역 비율이 제2 임계 비율 이상인 경우, 제어 회로(540)는 출력 동작을 수행하는 화구의 출력 레벨을 1 낮추도록 화구 제어 신호를 화구 구동 회로에 제공할 수 있다. 이물질이 출력 동작을 수행하는 화구 상에 놓여진 용기에서 발생하는 경우, 화구의 출력 레벨을 낮춤으로써 이물질의 발생량을 줄일 수 있다.
제어 회로(540)는 판단된 이물질 영역 비율을 제3 임계 비율과 비교할 수 있다(S260). 제3 임계 비율은 제2 임계 비율보다 큰 값을 나타낼 수 있다. 이물질 영역 비율이 제3 임계 비율 미만인 경우, 제어 회로(540)는 추가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이물질 영역 비율이 제3 임계 비율 이상인 경우, 제어 회로(540)는 모든 화구들의 출력 동작을 차단하도록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280). 이물질 영역 비율이 제3 임계 비율 이상인 경우, 추가적인 이물질의 발생을 막을 필요가 있고, 전기레인지를 보호해야 하기 때문이다.
도 8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은 확장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회로는 임계 비율을 2개보다 더 많이 지정한 뒤, 이물질 영역 비율이 더 큰 임계 비율 이상이 될 때마다 화구의 출력 레벨을 더 많이 낮추도록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9a 및 도 9b는 이동하는 이물질이 존재하는 전기레인지(30a, 30b)를 나타낸다. 특히, 도 9a 및 도 9b는 이물질이 점점 퍼져나가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9a를 참조하면, 이물질은 제1 화구(100a)에 놓여진 용기로부터 발생하여 제1 화구(100a)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퍼져나갈 수 있다. 방사형은 개략적인 모양을 나타내는 것일 뿐이며, 도 9a는 하나의 화구를 중심으로 퍼져나가는 모든 유형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물질을 발생시키는 용기가 놓여진 화구를 이벤트 발생 화구라 칭할 수 있다.
이물질은 제1 시간에 제1 경계선(601a)까지, 제2 시간에 제2 경계선(602a)까지, 제3 시간에 제3 경계선(603a)까지 퍼질 수 있다. 사용자 조작부(400a)의 터치 패널을 통해 센싱되어 터치 감지 회로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기초로, 제어 회로는 이물질이 사용자 조작부(400a) 상에서 차지하는 영역에 관한 정보인 이물질 영역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 회로는 시간에 따른 이물질 영역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물질이 제1 시간에 제1 경계선(601a)까지 퍼졌다는 정보, 제2 시간에 제2 경계선(602a)까지 퍼졌다는 정보 및 제3 시간에 제3 경계선(603a)까지 퍼졌다는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제1 시간, 제2 시간 및 제3 시간은 일정한 시간 간격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회로는 일정한 시간 간격인 백업 주기마다 이물질 영역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제어 회로는 메모리에 저장된 시간에 따른 이물질 영역 정보를 기초로 이물질의 이동 방향을 얻어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회로는 시간에 따른 이물질 영역 정보를 기초로 이물질이 사용자 조작부(400a)의 좌측 상단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퍼지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제어 회로는 얻어낸 이물질의 이동방향을 기초로 이벤트 발생 화구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회로는 이물질이 사용자 조작부(400a)의 좌측 상단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퍼지고 있으므로, 이벤트 발생 화구는 사용자 조작부(400a)의 좌측 상단에 위치한 제1 화구(100a)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 회로는 제1 화구(100a)를 이벤트 발생 화구로 결정함으로써 이벤트 발생 화구의 출력 만을 차단할 수 있고, 이물질의 추가적인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b를 참조하면, 이물질은 제2 화구(200b)에 놓여진 용기로부터 발생하여 제2 화구(200b)를 시작점으로 하여 일방향을 향해 퍼져나갈 수 있다. 직선형은 개략적인 모양을 나타내는 것일 뿐이며, 도 9b는 하나의 화구(100a)를 시작점으로 일방향을 향해 퍼져나가는 모든 유형을 포함할 수 있다.
이물질은 제1 시간에 제1 경계선(601b)까지, 제2 시간에 제2 경계선(602b)까지, 제3 시간에 제3 경계선(603b)까지 퍼질 수 있다. 사용자 조작부(400b)의 터치 패널을 통해 센싱되어 터치 감지 회로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기초로, 제어 회로는 이물질이 사용자 조작부(400b) 상에서 차지하는 영역에 관한 정보인 이물질 영역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 회로는 시간에 따른 이물질 영역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물질이 제1 시간에 제1 경계선(601b)까지 퍼졌다는 정보, 제2 시간에 제2 경계선(602b)까지 퍼졌다는 정보 및 제3 시간에 제3 경계선(603b)까지 퍼졌다는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제1 시간, 제2 시간 및 제3 시간은 일정한 시간 간격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회로는 일정한 시간 간격인 백업 주기마다 이물질 영역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제어 회로는 메모리에 저장된 시간에 따른 이물질 영역 정보를 기초로 이물질의 이동 방향을 얻어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회로는 시간에 따른 이물질 영역 정보를 기초로 이물질이 사용자 조작부(400b)의 상단을 시작점으로 일방향을 향해 퍼지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제어 회로는 얻어낸 이물질의 이동방향을 기초로 이벤트 발생 화구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회로는 이물질이 사용자 조작부(400b)의 상단을 시작점으로 일방향을 향해 퍼지고 있으므로, 이벤트 발생 화구는 사용자 조작부(400b)의 상단에 위치한 제2 화구(200b)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 회로는 제2 화구(200b)를 이벤트 발생 화구로 결정함으로써 이벤트 발생 화구의 출력 만을 차단할 수 있고, 이물질의 추가적인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 발생 화구 결정 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다.
제어 회로는 백업 주기마다 이물질이 사용자 조작부 상에서 차지하는 영역에 관한 정보인 이물질 영역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S320). 제어 회로는 일정한 주기마다 저장하는 대신, 시간에 대한 정보와 함께 이물질 영역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할 수도 있다.
제어 회로는 저장된 이물질 영역 정보들을 기초로 이물질의 이동방향을 계산할 수 있다(S340). 예를 들어, 제어 회로는 시간에 따라 저장된 복수의 이물질 영역 정보들을 기초로 이물질의 이동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이물질의 이동 방향 판단에 관한 비제한적인 예시는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해 이해될 수 있다.
제어 회로는 판단된 이물질의 이동방향을 기초로 이벤트 발생 화구를 결정할 수 있다(S360). 예를 들어, 제어 회로는 판단된 이물질의 이동방향을 역으로 거슬러 수렴하는 위치에 존재하는 화구를 이벤트 발생 화구로 결정할 수 있다. 제어 회로는 이벤트 발생 화구를 결정한 뒤, 이벤트 발생 화구의 출력 레벨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벤트 발생 화구의 출력 레벨을 낮출 수 있고, 이벤트 발생 화구의 출력을 차단할 수도 있다. 이처럼 이물질을 유발하는 화구를 찾고, 해당 화구의 출력을 차단함으로써 전기레인지의 고장을 막을 수 있다.
도 11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전원 오프 상태에서 전기레인지의 이물질 검출 알림 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다.
전기레인지는 전원 오프 상태에서도 최소한의 전력을 사용해서 사용자 조작부 상의 이물질을 검출할 수 있다(S420). 이를 위해 전원 오프 상태에서도, 사용자 조작부의 터치 패널 및 터치 감지 회로 및 이물질 검출하기 위한 제어 회로는 동작 가능 상태에 놓여있을 수 있다. 제어 회로는 검출된 이물질이 사용자 조작부 상에서 차지하는 영역 비율인 이물질 영역 비율을 판단할 수 있다.
제어 회로는 이물질 영역 비율이 제4 임계 비율 이상인지 비교할 수 있다(S440).
제어 회로는 이물질 영역 비율이 제4 임계 비율보다 작은 경우, 이물질에 의한 위험 정도가 크지 않다고 판단하여 전원버튼 'ON'을 가용 상태에 놓을 수 있다(S460). 이 경우, 전원버튼 'ON'은 가용 상태에 있지만, 디스플레이부는 이물질 영역 비율을 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이물질 제거를 유도할 수 있다.
제어 회로는 이물질 영역 비율이 제4 임계 비율보다 큰 경우, 이물질에 의한 위험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S480). 예를 들어, 이 경우, 제어 회로는 디스플레이부에 이물질에 의한 위험을 나타내는 메시지가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제어 회로는 전원버튼 'ON'을 사용 불가 상태로 만들 수 있다. 이물질 영역 비율이 제4 임계 비율 이상인 경우, 전기레인지의 사용을 불가능하게 만들 수 있고 이를 통해 이물질에 의한 전기레인지의 오작동 및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본 명세서에서 특정한 용어를 사용하여 실시예들을 설명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

  1. 전기를 에너지원으로 하여 상부에 놓여진 물체를 가열하는 적어도 하나의 화구;
    복수의 수신 전극들을 이용해 물질의 접촉을 입력으로 받아 전기적 신호인 센싱 신호를 생성하는 터치 패널 및 상기 터치 패널 하단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임의의 영역이 터치 기능과 디스플레이 기능을 모두 지원하는 사용자 조작부;
    상기 터치 패널로부터 수신된 상기 센싱 신호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조작부에 가해진 접촉의 접촉점 위치 및/또는 감도를 나타내는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터치 감지 회로;
    상기 터치 감지 회로로부터 수신된 상기 감지 신호가 낮은 접촉 감도를 나타내거나 복수의 접촉점들을 나타내는 것에 응답하여 이물질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이물질이 상기 사용자 조작부에서 차지하는 영역 비율인 이물질 영역 비율이 제1 임계 비율 이상인 경우, 상기 사용자 조작부의 조작을 차단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회로; 및
    상기 제어 회로로부터 제공된 디스플레이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검출된 이물질이 상기 사용자 조작부에서 차지하는 영역 비율인 이물질 영역 비율을 백분율로서 표시하거나, 기 설정된 복수의 비율 구간들 중 상기 이물질 영역 비율이 속하는 비율 구간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전기레인지.
KR1020170143948A 2017-10-31 2017-10-31 전기레인지 및 그것의 이물질 감지 알림 방법 Active KR1021878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3948A KR102187885B1 (ko) 2017-10-31 2017-10-31 전기레인지 및 그것의 이물질 감지 알림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3948A KR102187885B1 (ko) 2017-10-31 2017-10-31 전기레인지 및 그것의 이물질 감지 알림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8756A KR20190048756A (ko) 2019-05-09
KR102187885B1 true KR102187885B1 (ko) 2020-12-08

Family

ID=66545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3948A Active KR102187885B1 (ko) 2017-10-31 2017-10-31 전기레인지 및 그것의 이물질 감지 알림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78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653605B2 (ja) 2021-12-17 2025-03-3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加熱調理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39936A (ja) 2004-05-26 2005-12-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加熱調理器
JP2009295283A (ja) * 2008-06-02 2009-12-17 Panasonic Corp 誘導加熱調理器
KR101183930B1 (ko) * 2009-10-19 2012-09-18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전기 레인지 안전 차단 제어 방법
JP2012209101A (ja) 2011-03-29 2012-10-25 Mitsubishi Electric Corp 誘導加熱調理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39936A (ja) 2004-05-26 2005-12-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加熱調理器
JP2009295283A (ja) * 2008-06-02 2009-12-17 Panasonic Corp 誘導加熱調理器
KR101183930B1 (ko) * 2009-10-19 2012-09-18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전기 레인지 안전 차단 제어 방법
JP2012209101A (ja) 2011-03-29 2012-10-25 Mitsubishi Electric Corp 誘導加熱調理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653605B2 (ja) 2021-12-17 2025-03-3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加熱調理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8756A (ko) 2019-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60240B2 (en) Wireless control and status monitoring for electric grill with current protection circuitry
ES2751548T3 (es) Dispositivo de calefacción para calentar agua y método para la operación de dicho dispositivo de calefacción
ES2895438T3 (es) Control inalámbrico y monitorización de estado para barbacoa eléctrica con circuitería de protección de corriente
US20180224127A1 (en) Cook top assembly having a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of monitoring a cooking process
JP6646549B2 (ja) 監視装置、監視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5190501B (zh) 用于区分屏幕握持与屏幕触摸的方法和装置
CN105476441A (zh) 烹饪器具的保温控制方法、装置及烹饪器具
KR101574709B1 (ko) 다중센서를 이용한 화재감지시스템 및 전기설비박스
CN105490253A (zh) 电磁加热系统及其功率器件的过温保护方法、装置
KR20160145797A (ko) 크로스-포인트 메모리에서의 가열기로서의 열 디스터브
KR102187885B1 (ko) 전기레인지 및 그것의 이물질 감지 알림 방법
BRPI0520171B1 (pt) Dispositivo para cozimento que compreende um dispositivo de travamento selecionável
KR102165572B1 (ko) 가열 장치 및 그것의 이물질 감지 알림 방법
JP2016220453A (ja) 短絡電流判定システム、短絡電流判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445456B2 (ja) 加熱調理機器
KR101550713B1 (ko) 전기매트 스마트 조절기 및 그 제어 방법
JP2012198752A (ja) ガス警報器
KR102215443B1 (ko) 전기레인지
CN115059940A (zh) 电磁加热器具的检测方法、装置和电子设备
KR101364123B1 (ko) 조리기기의 과열 방지 장치
KR20170027027A (ko) 인덕션 가열기의 자동소화 장치
CN111012173B (zh) 干烧检测方法、装置、加热设备及存储介质
JP5700654B2 (ja) 電磁誘導加熱調理器
KR20190100771A (ko) 피가열체를 감지하고, 사용자에게 알리는 가열 장치
JP2017036955A (ja) 水位検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103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052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7103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5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11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12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12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