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186952B1 - 메탈필름롤 재단시스템 - Google Patents

메탈필름롤 재단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6952B1
KR102186952B1 KR1020180073312A KR20180073312A KR102186952B1 KR 102186952 B1 KR102186952 B1 KR 102186952B1 KR 1020180073312 A KR1020180073312 A KR 1020180073312A KR 20180073312 A KR20180073312 A KR 20180073312A KR 102186952 B1 KR102186952 B1 KR 1021869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film
film
unit
cutting
met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3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0959A (ko
Inventor
손후현
김승훈
조재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투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투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투웍스
Priority to KR10201800733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6952B1/ko
Publication of KR202000009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9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6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695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1/00Combinations of several similar cutt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0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linearly-movable cutting member
    • B26D1/06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linearly-movable cutting member wherein the cutting member reciprocates
    • B26D1/08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linearly-movable cutting member wherein the cutting member reciprocates of the guillotine type
    • B26D1/085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linearly-movable cutting member wherein the cutting member reciprocates of the guillotine type for thin material, e.g. for sheets, strip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007Control means comprising cameras, vision or image process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18Means for removing cut-out material or was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0Cutting be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7Means for performing other operations combined with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0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 B65H23/04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 B65H23/048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by positively actuated movable bars or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0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 B65H23/04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 B65H23/26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by transverse stationary or adjustable bars or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2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from or with longitudinal slitters or perfo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4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from or with transverse cutters or perfo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1/00Combinations of several similar cutting apparatus
    • B26D2011/005Combinations of several similar cutting apparatus in combination with different kind of cutters, e.g. two serial slitters in combination with a transversal cut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탈필름롤 재단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메탈필름롤로부터 메탈필름을 권출하는 필름권출부(100)와; 상기 필름권출부(100)로부터 공급되는 메탈필름이 기준폭을 갖도록 양측을 길이방향을 따라 슬리팅하는 길이방향커팅부(200)와; 상기 길이방향커팅부(200)로부터 공급되는 메탈필름이 기준길이를 갖도록 폭방향으로 커팅하는 폭방향커팅부(600)와; 상기 폭방향커팅부(600)로부터 공급되는 절단된 메탈시트가 기준길이와 기준폭으로 절단되었는지 검사하는 검사부(700)와; 상기 검사부(700)로부터 공급되는 메탈시트를 적재하는 적재부(800)를 포함하며, 상기 메탈필름은, 인바(INVAR)에 PAS와 PET가 합지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메탈필름롤 재단시스템{CUTTING SYSTEM FOR METAL FILM ROLL}
본 발명은 메탈필름롤 재단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히는 메탈필름롤을 기준길이와 기준폭의 메탈시트로 자동으로 재단할 수 있으며, 재단 시에 버(bur)의 발생을 최소로 줄일 수 있는 메탈필름롤 재단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컴퓨터나 TV, PDP 모니터 등의 디스플레이 기기에 사용되는 메탈시트를 제공하기 위해 메탈필름롤을 메탈시트의 크기로 재단하여 사용하였다.
이를 위해 롤형태로 권취되어 있는 메탈필름롤을 공급하며, 메탈시트의 폭에 대응되도록 메탈필름의 양쪽을 길이방향으로 절단하고, 메탈시트의 길이에 대응되도록 메탈필름을 기준길이로 절단하는 과정을 거쳤다.
그런데, 메탈필름은 인바필름에 PSA와 PET가 적층적으로 합지되어 형성되므로, 길이방향 절단과 폭방향 절단시에 절단부위의 PET가 들고 일어나는 버(bur)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버가 발생되면 제품 외관불량 및 찍힘, 스크래치 등의 불량을 초래하게 되므로, 절단된 메탈시트에 발생된 버를 별도로 제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종래 메탈필름을 재단하기 위해서는 하부커터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부커터가 하강하며 메탈필름을 커팅하였다. 이 때, 상부커터와 하부커터가 서로 접촉되며 메탈필름을 커팅하기 때문에 상부커터와 하부커터의 수명이 짧아지는 문제가 있었다.
공개특허 제2017-0061369호 "버 발생 방지가 가능한 플라스틱 필름절단용 프레스 칼금형 및 그 제작방법"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메탈필름을 기준크기의 메탈시트로 자동으로 재단할 수 있는 메탈필름롤 재단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재단된 메탈시트의 버 발생을 최소로 줄일 수 있는 메탈필름롤 재단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메탈필름롤의 커팅에 사용되는 상부커터와 하부커터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메탈필름롤 재단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정확한 크기로 재단이 되었는지 품질 검사를 함께 진행할 수 있는 메탈필름롤 재단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메탈필름롤에 권취된 메탈필름을 기준길이와 기준폭의 메탈시트로 재단하는 메탈필름롤 재단시스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메탈필름롤 재단시스템은, 상기 메탈필름롤로부터 메탈필름을 권출하는 필름권출부(100)와; 상기 필름권출부(100)로부터 공급되는 메탈필름이 기준폭을 갖도록 양측을 길이방향을 따라 슬리팅하는 길이방향커팅부(200)와; 상기 길이방향커팅부(200)로부터 공급되는 메탈필름이 기준길이를 갖도록 폭방향으로 커팅하는 폭방향커팅부(600)와; 상기 폭방향커팅부(600)로부터 공급되는 절단된 메탈시트가 기준길이와 기준폭으로 절단되었는지 검사하는 검사부(700)와; 상기 검사부(700)로부터 공급되는 메탈시트를 적재하는 적재부(800)를 포함하며, 상기 메탈필름은, 인바(INVAR)에 PSA와 PET가 합지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길이방향커팅부(200)는, 회전되며 상기 필름권출부(100)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메탈필름을 이송하는 필름지지롤러(220)와; 상기 필름지지롤러(220)의 상단에 상기 메탈필름의 기준폭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구비되어 회전하며 상기 필름지지롤러(220)를 따라 이동하는 메탈필름의 양측을 길이방향으로 슬리팅하는 한 쌍의 슬리터(240)와; 상기 한 쌍의 슬리터(240)에 의해 양측이 슬리팅된 메탈필름의 상면과 하면을 접촉하며 상기 메탈필름을 클리닝하는 클리닝부(25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폭방향커팅부(600)는, 상기 길이방향커팅부(200)로부터 공급되는 메탈필름이 적재되는 고정테이블(620) 및 하강테이블(630)과; 상기 고정테이블(620)의 일측 상단부에 구비된 하부커터(623)와; 상기 고정테이블(620)과 상기 하강테이블(630) 사이에 수직하게 배치된 수직프레임(640)과; 상기 수직프레임(640)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하부커터(623)의 하부로 하강하며 상기 메탈필름을 폭방향으로 커팅하는 상부커터(650)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커터(650)는 하강될 때 상기 하부커터(623)와 닿지 않도록 이격되게 구비되며, 상기 하강테이블(630)은 상기 상부커터(650)가 하강하며 상기 메탈필름에 닿으면, 상기 상부커터(650)와 함께 하강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길이방향커팅부(200)와 상기 폭방향커팅부(600) 사이에 구비되어 양측의 커팅속도 차이에 따른 메탈필름의 공급속도를 조절하는 필름속도조절부(3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필름속도조절부(300)는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필름의 이동경로를 조절하는 댄서(3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필름속도조절부(300)와 상기 폭방향커팅부(60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폭방향커팅부(600)로 공급되는 메탈필름의 공급방향을 정방향으로 조절하는 사행방지부(4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사행방지부(400)는, 베이스에 대해 스위블가능하게 구비되는 스위블판(410)과; 상기 스위블판(410)의 양측에 수직하게 결합된 한 쌍의 제3측면프레임(420)과; 상기 한 쌍의 제3측면프레임(420)에 아이들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메탈필름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제4필름가이드롤러(430)와; 상기 제4필름가이드롤러(430)의 후단에 배치되어 상기 메탈필름을 상기 폭방향커팅부(600)로 공급하는 이송방향감지롤러(440)와; 상기 이송방향감지롤러(440)의 양단에 구비되어 상기 메탈필름의 편향여부를 감지하는 한 쌍의 필름위치감지센서(450,450a)와; 상기 스위블판(410)의 외부에 구비되어 상기 필름위치감지센서(450,450a)의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스위블판(410)을 정역 스위블시켜 편향된 메탈필름이 정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스위블구동부(46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검사부(700)는, 메탈시트가 흡착되어 이송되는 이송컨베이어(710)와; 상기 이송컨베이어(710)의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구비되어 상기 메탈시트의 폭방향 절단 품질을 검사하는 폭방향비젼검사부(720)와; 상기 메탈시트의 기준길이에 대응되는 위치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메탈시트의 길이방향 절단 품질을 검사하는 길이방향비젼검사부(7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메탈필름롤 재단시스템은 필름권출부에 결합된 메탈필름롤로부터 권출되는 메탈필름을 길이방향커팅부와 폭방향커팅부가 길이방향 및 폭방향으로 커팅하여 기준길이와 기준폭을 갖는 메탈시트로 재단한다.
이 때, 폭방향커팅부는 하강테이블이 상부커터의 하강에 연동하여 함께 하강하며 메탈시트의 구김과 버 발생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상부커터가 하부커터와 이격되게 구비되어 비접촉방식으로 커팅이 진행되므로 상부커터와 하부커터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또한, 검사부에서 메탈시트의 폭방향 및 길이방향의 재단품질을 검사하고 불량 메탈시트는 선별하여 수거하므로 메탈시트의 재단 품질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메탈필름롤 재단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메탈필름롤 재단시스템의 평면구성을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메탈필름롤 재단시스템의 메탈필름롤의 이동경로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메탈필름롤 재단시스템의 필름권출부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메탈필름롤 재단시스템의 길이방향커팅부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길이방향커팅부의 슬리터의 동작을 도시한 측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메탈필름롤 재단시스템의 필름속도조절부와 사행방지부의 메탈필름 이동경로를 도시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메탈필름롤 재단시스템의 사행방지부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사행방지부의 필름방향 조절과정을 도시한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메탈필름롤 재단시스템의 필름공급부로부터 폭방향커팅부로 메탈필름이 이동되는 과정을 단면도,
도 11과 도 12는 폭방향커팅부의 구성을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폭방향커팅부의 하강테이블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14는 폭방향커팅부의 상부커터구동부의 동작과정을 도시한 예시도,
도 15과 도 16은 폭방향커팅부의 커팅과정을 도시한 예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메탈필름롤 재단시스템의 검사부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평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메탈필름롤 재단시스템의 적재부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19는 적재부의 중심정렬부의 구성만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메탈필름롤 재단시스템(1)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메탈필름롤 재단시스템(1)의 평면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메탈필름롤 재단시스템(1)은 메탈필름롤(10)에 권취되어 있는 메탈필름(10')을 권출한 후 기준폭과 기준길이를 갖는 메탈시트(10")로 재단하는 장치이다. 재단된 메탈시트(10")는 TV나 모니터에 사용된다.
메탈필름롤 재단시스템(1)은 메탈필름롤(10)을 권출하는 필름권출부(100)와, 필름권출부(100)에서 권출된 메탈필름(10')이 기준폭을 갖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슬리팅하는 길이방향커팅부(200)와, 길이방향커팅부(200)에서 슬리팅된 메탈필름(10')의 공급속도를 조절하는 필름속도조절부(300)와, 필름속도조절부(300)를 따라 이동된 메탈필름(10')의 공급방향을 조절하는 사행방지부(400)와, 사행방지부(400)를 경유한 메탈필름(10')을 이동시키는 필름공급부(500)와, 필름공급부(500)를 따라 이동된 메탈필름(10')을 기준길이로 커팅하는 폭방향커팅부(600)와, 폭방향커팅부(600)에서 커팅된 메탈시트(10")의 재단품질을 검사하는 검사부(700)와, 검사부(700)에서 검사가 완료된 메탈시트(10")를 적재하는 적재부(8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메탈필름(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바(11)에 PSA(13)와 PET(15)가 순차적으로 합지되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메탈필름롤 재단시스템(1)은 길이방향커팅부(200)와 폭방향커팅부(600)에서 길이방향과 폭방향으로 커팅될 때 PET(15)가 PSA(13)로부터 들고 일어나는 버(bur) 발생을 최소화시킨다. 이에 의해 메탈필름의 재단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메탈필름롤 재단시스템(1)의 메탈필름(10')의 이동경로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4는 필름권출부(100)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권출부(100)는 메탈필름롤(10)에서 메탈필름(10')을 권출(unwinding)한다. 여기서, 메탈필름롤(10)은 메탈필름(10')이 롤(roll) 형태로 권취된 것이며, 메탈시트(10")는 메탈필름(10')이 기준길이와 기준폭으로 재단된 상태를 말한다. 즉,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메탈필름롤(10), 메탈필름(10') 및 메탈시트(10")는 모두 동일한 부재를 지칭하며, 다만 가공된 상태에 따라 상이하게 이름을 명명한 것이다.
필름권출부(100)는 메탈필름롤(10)이 삽입되는 필름권출축(110)을 갖는다. 필름권출축(110)은 권출축구동부(120)에 의해 회전구동되며 메탈필름롤(10)로부터 메탈필름(10')이 권출되도록 한다.
필름권출축(110)의 선단에는 복수개의 제1필름가이드롤러(130)가 구비되어 메탈필름(10')을 길이방향커팅부(200)로 공급한다.
한편, 필름권출축(110)의 후단에는 여분의 메탈필름롤(10)이 대기하며, 필름권출축(110)의 메탈필름롤(10)의 메탈필름(10')이 모두 소진되면 새로운 메탈필름롤(10)을 교체하여 사용하게 된다.
스플라싱기(140)는 새로운 메탈필름롤(10)을 장착할 때, 기존에 공급되고 있던 메탈필름(10')과 새로운 메탈필름(10')을 서로 연결시켜 주는 장치이다.
도 5는 길이방향커팅부(200)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길이방향커팅부(200)의 슬리터(240)가 메탈필름(10')을 슬리팅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커팅부(200)는 필름권출부(100)로부터 권출되는 메탈필름(10')의 양측단을 메탈시트(10")의 폭에 대응되게 필름이송방향으로 슬리팅한다.
길이방향커팅부(200)는 양측에 수직하게 배치된 한 쌍의 제1측면프레임(210)과, 한 쌍의 제1측면프레임(210)에 아이들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메탈필름(10')의 이송경로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제2필름가이드롤러(230)와, 서로 맞물려 메탈필름(10')을 슬리팅하는 필름지지롤러(220) 및 슬리터(240)와, 슬리팅이 완료된 메탈필름(10')을 클리닝하는 클리닝부(250)와, 메탈필름(10')을 필름속도조절부(300) 측으로 이송하는 제1필름이송롤러부(260)를 포함한다.
한 쌍의 제1측면프레임(210)은 복수개의 롤러들이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며, 다양한 구동부들을 지지한다.
제2필름가이드롤러(230)는 제1측면프레임(210)에 복수개가 이격되게 배치되어 메탈필름(10')의 이송경로를 형성한다. 복수개의 제2필름가이드롤러(230)는 제1측면프레임(210)에 아이들 회전되게 구비되며, 필름권출축(110)으로부터 권출되어 제1필름이송롤러부(260)로 이송되는 메탈필름(10')의 이송력에 의해 아이들 회전되며 메탈필름(10')을 안내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탈필름(10')은 필름지지롤러(220)와 한 쌍의 슬리터(240) 사이로 진입되어 메탈필름의 공급방향으로 양측단이 슬리팅된다. 필름지지롤러(220)는 한 쌍의 슬리터(240)가 메탈필름(10')을 슬리팅할 수 있도록 메탈필름(10')을 지지한다. 필름지지롤러(220)는 제1측면프레임(210)에 아이들회전되게 구비된다.
한 쌍의 슬리터(240)는 메탈시트(10")의 기준폭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회전하며 메탈시트(10")의 양측을 슬리팅한다. 한 쌍의 슬리터(240)는 슬리터이동레일(247)을 따라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된다. 이에 의해 작업자는 한 쌍의 슬리터(240) 사이의 간격이 메탈시트(10")의 기준폭에 대응되도록 조절한다.
슬리터(240)는 슬리터지지부(241)에 의해 슬리터이동레일(247)에 결합된다. 슬리터(240)의 배면에는 슬리터구동모터(243)가 구비되어 슬리터(240)를 회전구동시킨다. 슬리터(240)는 회전되며 메탈시트(10")를 시트공급방향으로 슬리팅하게 된다.
슬리터지지부(241)에는 슬리터상하이동수단(245)이 구비된다. 슬리터상하이동수단(245)은 슬리팅을 중지할 경우 슬리터(240)를 상승시켜 필름지지롤러(220)와 이격시키고, 슬리팅 동작을 수행할 경우 슬리터(240)를 하강시켜 필름지지롤러(220)에 접근시킨다.
슬리터(240)는 필름지지롤러(220)와 메탈필름(10')의 두께에 대응되는 거리만큼만 이격되게 접근되어 메탈필름(10')을 슬리팅한다. 슬리터(240)에 의해 슬리팅된 양쪽의 절단영역은 외부로 낙하된 후 배출된다.
클리닝부(250)는 슬리터(240)의 선단에 구비되어 슬리팅이 완료된 메탈필름(10')을 클리닝한다. 슬리터(240)에 의한 슬리팅시 메탈필름(10')의 슬리팅영역 주변에는 메탈필름 잔여물이 부착될 수 있다. 클리닝부(250)는 메탈필름(10')의 상면과 하면을 접촉하며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한다.
클리닝부(250)는 상부클리닝롤러(251)와 하부클리닝롤러(253)로 구비되며, 메탈필름(10')은 상부클리닝롤러(251)와 하부클리닝롤러(253) 사이로 이동된다.
제1필름이송롤러부(260)는 제1필름이송모터(267)에 의해 회전구동되며 메탈필름(10')이 필름속도조절부(300)로 이송될 수 있는 이송력을 제공한다. 제1필름이송롤러부(260)는 제1상부롤러(261)와 제1하부롤러(263)가 서로 맞물리게 배치되고, 메탈필름(10')은 이들 사이로 이동된다.
이 때, 제1상부롤러(261)와 제1하부롤러(263)에는 각각 제1클리닝롤러(262)와 제2클리닝롤러(265)가 외접하게 배치되어 제1상부롤러(261)와 제1하부롤러(263)의 표면을 클리닝한다.
필름속도조절부(300)는 폭방향커팅부(600)가 메탈필름(10')을 폭방향으로 커팅하는 동안 폭방향커팅부(600)로 공급되는 메탈필름(10')의 이송을 정지시켜 메탈필름(10')의 이송속도를 조절한다.
필름권출부(100)로부터 메탈필름(10')이 공급된 후 길이방향커팅부(200)에서 슬리터(240)는 연속하여 메탈필름(10')을 슬리팅하게 된다. 반면, 후술할 폭방향커팅부(600)는 메탈필름(10')을 멈춘 후 상부커터(650)를 하강하는 방식으로 폭방향커팅을 수행하게 된다. 이에 따라 길이방향커팅부(200)로부터 공급되는 메탈필름(10')의 공급속도와 폭방향커팅부(600)에서 배출되는 메탈시트(10")의 공급속도에 차이가 발생된다.
필름속도조절부(300)는 길이방향커팅부(200)와 폭방향커팅부(600) 사이에 구비되어 둘 사이의 속도차이를 조절한다.
도 7은 필름속도조절부(300)와 사행방지부(400)로 메탈필름(10')이 이동되는 경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속도조절부(300)는 한 쌍의 제2측면프레임(310)과, 제2측면프레임(310)에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메탈필름(10')의 이동속도를 조절하는 댄서(320)와, 메탈필름(10')을 사행방지부(400)로 이송하는 제2필름이송롤러부(340)와, 댄서(320)와 제2필름이송롤러부(340) 사이에 구비된 제3필름가이드롤러(330)를 포함한다.
댄서(320)는 제2측면프레임(310)에 형성된 가이드홈(321)을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된다 댄서(320)는 폭방향커팅부(600)에서 메탈필름(10')의 폭방향커팅을 위해 메탈필름(10')의 이송을 멈추면 가이드홈(321)을 따라 하부로 이동하며 메탈필름(10')의 이송경로를 증가시킨다.
댄서(320)가 가이드홈(321)의 상부에 위치되면 메탈필름(10')의 이송경로가 짧아지고, 댄서(320)가 가이드홈(321)의 하부에 위치되면 메탈필름(10')의 이송경로가 길어진다. 제1필름이송롤러부(260)가 메탈필름(10')을 공급하고 제2필름이송롤러부(340)는 메탈필름(10')의 이송을 멈추면, 댄서(320)는 가이드홈(321)을 따라 하부로 이동되며 메탈필름(10')의 이송경로를 길게 하여 속도차이를 완충하게 된다.
제2필름이송롤러부(340)가 다시 구동되어 메탈필름(10')을 사행방지부(400) 측으로 이송하면 제2필름이송롤러부(340)에 의해 당겨지는 이송력에 의해 댄서(320)는 다시 상승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댄서(320)는 상승과 하강을 반복하며 메탈필름(10')의 이송속도 차이를 조절하게 된다.
제3필름가이드롤러(330)는 댄서(320)와 제2필름이송롤러부(340) 사이에 구비되어 메탈필름(10')의 이송경로를 형성한다. 제3필름가이드롤러(330)는 이송경로에 따라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제2필름이송롤러부(340)는 메탈필름(10')이 사행방지부(400) 측으로 공급되도록 이송력을 제공한다. 제2필름이송롤러부(340)는 제1필름이송롤러부(26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사행방지부(400)는 길이방향커팅부(200)와 필름속도조절부(300)를 경유하면서 메탈필름(10')의 이송방향이 틀어진 경우 이를 정방향으로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도 8은 사행방지부(400)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사행방지부(400)가 메탈필름의 방향을 조절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행방지부(400)는 베이스판(900)에 대해 스위블가능하게 구비되는 스위블판(410)과, 스위블판(410)의 양측에 수직하게 구비된 한 쌍의 제3측면프레임(420)과, 제3측면프레임(420)에 아이들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메탈필름(10')의 이송경로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제4필름가이드롤러(430)와, 제4필름가이드롤러(430)의 후단에 배치되는 이송방향감지롤러(440)와, 이송방향감지롤러(440)의 양단에 구비되어 메탈필름(10')의 이송방향을 감지하는 한 쌍의 필름위치감지센서(450,450a)와, 한 쌍의 필름위치감지센서(450,450a)의 감지결과에 따라 스위블판(410)을 정역회전시키는 스위블구동부(460)를 포함한다.
스위블판(410)은 베이스판(900)에 스위블축(461)에 의해 스위블가능하게 결합된다. 메탈필름(10')은 제2필름이송롤러부(340)에 의해 이송되어 필름공급부(500)의 제3필름이송롤러부(520)로 이송된다.
복수개의 제4필름가이드롤러(430)는 제2필름이송롤러부(340)와 제3필름이송롤러부(520) 사이에서 메탈필름(10')의 이송경로를 형성한다. 이송방향감지롤러(440)는 필름공급부(500) 측을 향해 배치되어 메탈필름(10')을 제3필름이송롤러부(520) 측으로 안내한다.
한 쌍의 필름위치감지센서(450,450a)는 이송방향감지롤러(440)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어 양단에 인가되는 압력을 감지하여 메탈필름(10')의 이송방향을 감지한다. 일례로, 한 쌍의 필름위치감지센서(450,450a)에 동일한 압력이 인가되면 메탈필름(10')이 이송방향감지롤러(440)의 중심영역을 통해 정방향으로 이송되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반면, 이송방향감지롤러(440)의 우측에 위치된 필름위치감지센서(450)의 압력이 좌측에 위치된 필름위치감지센서(450a) 보다 큰 경우 메탈필름(10')이 우측으로 치우쳐서 편향되게 이송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스위블구동부(460)는 한 쌍의 필름위치감지센서(450,450a)의 감지결과에 따라 스위블판(410)을 정역회전시켜 메탈필름(10')이 필름공급부(500)로 정방향으로 공급되도록 조절한다.
스위블구동부(460)는 스위블판(410)의 외측에 위치된 제1방향가압실린더(463)와 제2방향가압실린더(465)를 포함한다.
제1방향가압실린더(463)는 스위블판(410)의 전방에 위치되고, 제2방향가압실린더(465)는 스위블판(410)의 후방에 위치된다. 제1방향가압실린더(463)와 제2방향가압실린더(465)는 선택적으로 제1실린더축(464)과 제2실린더축(466)의 길이를 조절하여 스위블판(410)을 가압하여 스위블판(410)이 스위블되도록 한다.
일례로,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탈필름(10')이 정방향(X) 보다 오른쪽으로 편향된 방향(Y) 즉, 이송방향감지롤러(440)의 우측으로 편향되게 이송되는 경우, 우측에 위치된 필름위치감지센서(450)의 압력이 좌측에 위치된 필름위치감지센서(450a) 보다 크게 측정된다. 이 경우, 우측으로 편향된 메탈필름(10')이 좌측으로 이동되어 정방향으로 이송되도록 이송방향을 조절해야 한다.
이를 위해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방향가압실린더(465)가 구동되어 제2실린더축(466)의 길이가 길어져 스위블판(410)을 반시계방향으로 스위블시킨다. 이에 의해 스위블판(410)에 결합된 제3측면프레임(420)에 구비된 제4필름가이드롤러(430)와 이송방향감지롤러(440)가 함께 좌측방향으로 이동되며 메탈필름(10')의 이동방향이 정방향(X)으로 조절될 수 있다.
여기서, 스위블판(410)의 스위블각도는 한 쌍의 필름위치감지센서(450,450a)에서 측정된 압력값의 차이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도 10은 필름공급부(500)로부터 폭방향커팅부(600)로 메탈필름(10')이 이송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공급부(500)는 사행방지부(400)를 경유하여 이동된 메탈필름(10')을 폭방향커팅부(600)로 공급한다. 필름공급부(500)는 제4측면프레임(510)과, 제4측면프레임(510)에 결합된 제3필름이송롤러부(520)를 포함한다. 제3필름이송롤러부(520)의 구성은 제1필름이송롤러부(260)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과 도 12는 폭방향커팅부(600)의 구성을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폭방향커팅부(600)는 필름공급부(500)로부터 공급되는 메탈필름(10')을 메탈시트(10")의 기준길이에 대응되게 폭방향으로 커팅한다.
폭방향커팅부(600)는 하부프레임(610)과, 하부프레임(610)에 고정결합되며 필름공급부(500)로부터 메탈필름(10')을 공급받으며 일측상단에 하부커터(623)가 구비되는 고정테이블(620)과, 고정테이블(620)과 이웃하게 배치되며 고정테이블(620)로부터 메탈필름(10')을 공급받는 하강테이블(630)과, 고정테이블(620)과 하강테이블(630) 사이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수직프레임(640)과, 고정테이블(620)과 하강테이블(630) 사이를 상하로 이동하며 메탈필름(10')을 커팅하는 상부커터(650)와, 상부커터(650)가 상하로 이동되도록 구동하는 상부커터구동부(660)를 포함한다.
하부프레임(610)은 고정테이블(620)과 하강테이블(630) 및 수직프레임(640)을 지지한다. 하부프레임(610)은 하부프레임이송가이드(615)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메탈필름(10')의 재단시에 길이방향커팅과 함께 폭방향커팅이 요구되는 경우 폭방향커팅부(600)를 메탈필름(10')의 경로상에 위치시키고, 폭방향커팅이 필요없는 경우 하부프레임(610)을 하부프레임이송가이드(615)를 따라 반대편으로 위치시킬 수 있다.
도 13은 하강테이블(630)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14는 상부커터구동부(660)의 동작과정을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15와 16은 폭방향커팅부(600)의 동작과정을 도시한 단면예시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테이블(620)과 하강테이블(630) 사이에는 상부커터(650)가 상하로 이동될 수 있는 커팅공간이 이격형성된다.
고정테이블(620)은 하부프레임(610)의 상부에 고정결합된다. 이 때, 고정테이블(620)에서 하강테이블(630)과 마주하는 영역의 상부에 하부커터(623)가 구비된다. 하부커터(623)는 고정테이블(620)의 폭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 구비된다.
고정테이블(620)과 하강테이블(630)의 내부에는 상면을 따라 이송되는 메탈필름(10')을 진공흡착하는 제1진공흡착공(미도시)과 제2진공흡착공(631)이 각각 형성된다. 메탈필름(10')은 진공압에 의해 고정테이블(620)과 하강테이블(630)에 흡착되어 위치가 고정되고, 이 상태에서 상부커터(650)가 하강되며 메탈필름(10')을 폭방향으로 커팅하게 된다.
제1진공흡착공(미도시)은 제2진공흡착공(631)과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므로 제2진공흡착공(631)의 구성에 대해서만 자세히 설명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진공흡착공(631)은 복수개가 형성되며, 영역별로 분리되어 형성된다. 이는 메탈필름(10')의 폭 길이에 따라 진공압을 형성하는 영역을 독립적으로 제어하기 위함이다. 일례로, 제1폭(ℓ1)의 메탈필름(10')을 이송할 때는 제1영역(A)에만 진공압이 형성되도록 하고, 제2폭(ℓ2)의 메탈필름(10')을 이송할 때는 제2영역(B)도 함께 진공압이 형성되도록 하고, 제3폭(ℓ3)의 메탈필름(10')을 이송할 때는 제3영역(C)도 함께 진공압이 형성되도록 한다.
고정테이블(620)과 하강테이블(630)의 하부에는 진공압을 인가하는 진공압호스(미도시)가 각 영역별로 결합되고, 작업자의 제어에 의해 메탈필름(10')의 폭에 따라 선택적으로 진공압이 인가된다.
고정테이블(620)의 일측 상단에는 하부커터(623)가 폭방향으로 형성된다. 하부커터(623)는 고정테이블(620)의 모서리 영역에 배치되어, 상부에서 하강하는 상부커터(650)와 함께 메탈필름(10')을 폭방향으로 커팅한다.
하강테이블(630)은 상부커터(650)의 하강에 연동하여 하강가능하게 구비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강테이블(630)은 하부프레임(610)의 상단과 일정간격(d) 이격되게 배치된다. 하강테이블(630)은 메탈필름(10')이 고정테이블(620)로부터 공급될 때는 고정테이블(620)과 동일한 높이를 유지하고, 메탈필름(10')이 공급된 후 상부커터(650)가 하강되며 메탈필름(10')에 닿으면 이에 연동하여 함께 하강한다.
하강테이블(630)은 하부프레임(610)의 상단에 닿는 위치까지 하강한다. 이를 위해 하강테이블(630)의 하부에는 폭방향으로 복수개의 테이블하강실린더(633)가 구비된다. 테이블하강실린더(633)는 하부프레임(610)에 고정되고, 내부에 하강실린더로드(633a)가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테이블하강실린더(633) 내부에는 하강실린더로드(633a)가 상하로 이동되는 이동거리가 하강테이블(630)과 하부프레임(610) 사이의 이격간격(d)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하강테이블(630)이 상부커터(650)와 함께 하강하는 것은 커팅시에 메탈필름(10')이 구겨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메탈필름(10')이 고정테이블(620)과 하강테이블(630)에 걸쳐 수평하게 위치되고, 이 사이를 상부커터(650)가 하강하며 커팅하게 되면 상부커터(650)의 하강압력에 의해 커팅영역이 하부로 이동되며 구김이 발생될 수 있다.
하강테이블(630)이 하강하면 상부커터(650)에 의해 커팅된 메탈시트(10")도 함께 하강되므로 커팅영역에 구김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불어 버(bur)의 발생도 줄일 수 있다.
수직프레임(640)은 도 11과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프레임(610)에 수직하게 고정결합된다. 수직프레임(640)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고정테이블(620)과 하강테이블(630)이 이웃하게 배치된다.
수직프레임(640)의 전방에는 상부커터(650)의 LM가이드(653)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641)이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수직하게 형성된다.
상부커터(650)는 커터프레임(651)의 하부에 고정된다. 커터프레임(651)의 배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의 LM가이드(653)가 구비된다. LM가이드(653)는 수직프레임(640)의 가이드레일(641)에 결합된다.
상부커터(650)는 상하로 이동하며 메탈필름(10')을 폭방향으로 커팅하여 기준길이와 기준폭을 갖는 메탈시트(10")로 재단한다. 상부커터(650)는 메탈필름(10')의 폭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상부커터(650)의 길이는 재단가능한 최대폭의 메탈필름(10')에 대응되게 구비된다.
상부커터(650)는 하부로 갈수록 면적이 좁아지도록 단면이 역삼각형 형태로 구비된다. 이에 의해 메탈필름(10')과 닿는 면적이 최소화되면서 절단력이 향상될 수 있다.
여기서, 상부커터(650)는 버(bur) 발생을 줄이고 수명 연장을 위해 하부커터(623)와 일정거리 이격되게 배치된다. 즉, 도 16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커터(650)가 하강된 상태에서 하부커터(623)와 5㎛~15㎛ 범위로 이격되게 상부커터(650)가 커터프레임(651)에 결합된다.
상부커터(650)와 하부커터(623) 사이의 이격간격은 미세하지만, 메탈필름(10')의 두께가 있으므로 이격간격만큼 상부커터(650)가 뒤로 밀려나 상부커터(650)와 하부커터(623)는 직접 닿지 않게 된다. 일례로, 인바 100㎛, PSA 30㎛, PET 50㎛로 구성된 메탈필름(10')의 경우 전체 두께가 180㎛로 상부커터(650)와 하부커터(623)의 이격간격 보다 크게 된다.
따라서, 상부커터(650)가 하강될 때 상부커터(650)와 하부커터(623) 사이에 메탈필름(10')이 위치하게 되므로 틈새가 없이 메탈필름(10')이 절단될 수 있다.
이 때, 상부커터(650)가 하강될 때, 하강테이블(630)이 함께 이동하며 메탈시트(10")가 하강되므로 메탈시트(10")의 절단영역이 상부커터(650)에 의해 가압되어 버의 발생이 최소화될 수 있다. 특히, 상부커터(650)의 단면이 메탈시트(10")를 향해 경사면을 갖는 역삼각형 형태로 형성되므로 경사면에 메탈시트(10")의 절단영역이 눌러지며 버의 발생이 줄어들 수 있다.
한편, 커터프레임(651)의 전방에는 메탈필름(10')을 가압하는 필름가압지그(655)가 돌출되게 구비된다. 필름가압지그(655)는 커터프레임(651)에 돌출되게 구비되며, 상하로 승강가능하게 구비된다. 필름가압지그(655)는 메탈필름(10')이 흡착되면, 하강되어 메탈필름(10')의 상면을 가압하여 위치를 고정한다. 필름가압지그(655)는 유압실린더에 의해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상부커터구동부(660)는 구동신호에 따라 상부커터(650)를 상하로 이동시킨다. 상부커터구동부(660)는 구동실린더(661)와, 구동실린더(661)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링크(663)와, 구동실린더(661)의 직선운동을 구동링크(663)의 상하운동으로 변환하는 프레임결합링크(664) 및 커터결합링크(665)를 포함한다.
구동실린더(661)는 실린더고정암(662)에 의해 수직프레임(640)의 일측에 배치된다. 구동실린더(661)는 작동유체의 유출입에 의해 구동실린더로드(661a)의 노출길이가 가변된다. 구동링크(663)는 커터프레임(651)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된다. 구동링크(663)의 일단은 구동실린더로드(661a)에 결합되고 타단은 프레임결합링크(664)과 커터결합링크(665)에 결합된다.
복수개의 프레임결합링크(664)는 각각 상단은 수직프레임(64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단은 구동링크(663)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복수개의 커터결합링크(665)는 상단은 구동링크(663)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단은 커터프레임(651)의 상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1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실린더(661)에 작동유체가 유입되어 구동실린더로드(661a)의 노출길이가 길어지면, 구동링크(663)가 구동실린더(661) 반대방향으로 밀리고 프레임결합링크(664)와 커터결합링크(665)가 상방향으로 밀리면서 커터프레임(651)과 상부커터(650)가 상방향으로 이동된다.
도 1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실린더(661)에 작동유체가 배출되어 구동실린더로드(661a)의 노출길이가 짧아지면, 구동링크(663)가 커터프레임(651)의 상부에 평행하게 위치되고 프레임결합링크(664)와 커터결합링크(665)가 수직하게 배치되면서 커터프레임(651)과 상부커터(650)가 하강하게 된다. 이렇게 하강되면서 메탈필름(10')을 커팅하게 된다.
이렇게 구동실린더(661)의 구동실린더로드(661a)의 길이의 변화에 따라 상부커터(650)가 상승과 하강을 반복하며 메탈필름(10')을 커팅하게 된다.
도 15와 도 16을 참조하여 폭방향커팅부(600)의 동작을 설명하면, 필름공급부(500)로부터 고정테이블(620)과 하강테이블(630)로 메탈필름(10')이 공급된다. 이 때, 고정테이블(620)과 하강테이블(630)은 동일한 높이로 위치된다.
하강테이블(630)로 기준길이의 메탈필름(10')의 진입이 완료되면, 제1진공흡착공(미도시)와 제2진공흡착공(631)은 진공압을 인가하여 메탈필름(10')을 고정테이블(620)과 하강테이블(630)에 흡착시킨다.
메탈필름(10')이 흡착되면, 필름가압지그(655)가 하강하여 고정테이블(620) 상면의 메탈필름(10')을 가압하여 위치를 고정한다.
메탈필름(10')의 위치 고정이 완료되면, 상부커터구동부(660)의 구동실린더(661)가 동작되고 구동링크(663)와 프레임결합링크(664) 및 커터결합링크(665)가 회동되며 커터프레임(651)과 상부커터(650)가 하강한다.
상부커터(650)가 하강하며 메탈필름(10')에 닿으면 테이블하강실린더(633)가 구동되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강테이블(630)이 상부커터(650)와 함께 하강한다. 상부커터(650)의 하강에 의해 메탈필름(10')은 폭방향으로 절단되고 메탈시트(10")가 재단된다. 재단된 메탈시트(10")는 검사부(700)로 공급된다.
도 17은 검사부(700)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과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사부(700)는 폭방향커팅부(600)에서 폭방향커팅이 완료된 메탈시트(10")의 품질을 검사한다.
검사부(700)는 메탈시트(10")가 흡착되어 이송되는 이송컨베이어(710)와, 이송컨베이어(710)의 상부에 배치되는 폭방향비젼검사부(720) 및 길이방향비젼검사부(740)를 포함한다. 이송컨베이어(710)는 하강테이블(630)과 이어지게 구비되어 메탈시트(10")를 이송한다. 이송컨베이어(710)는 표면에 진공압형성공이 복수개 구비되어 진공압으로 메탈시트(10")를 흡착하여 이송한다.
메탈시트(10")가 이송컨베이어(710)의 선단으로 이동되면, 폭방향비젼검사부(720)와 길이방향비젼검사부(740)의 검사가 진행된다. 폭방향비젼검사부(720)는 슬리터(240)에 의한 슬리팅이 제대로 이루어졌는지를 검사한다. 폭방향비젼검사부(720)는 일정 간격 이격되게 한 쌍이 구비되어 서로 다른 위치에서 메탈시트(10")의 폭방향 위치를 촬영하여 동일한지를 비교하는 방법으로 검사를 진행한다.
길이방향비젼검사부(740)는 폭방향커팅부(600)에 의한 폭방향커팅이 제대로 이루어졌는지를 검사한다. 길이방향비젼검사부(740)는 메탈시트(10")이 기준길이에 대응되는 위치의 상부에 위치하여 메탈시트(10")의 단부 길이가 기준길이와 동일한지를 촬영하여 검사한다.
검사부(700)의 검사결과는 제어부(미도시)로 전송되고, 제어부(미도시)는 적재부(800)에서 불량 메탈시트를 별도로 선별하여 수거하게 한다.
여기서, 길이방향비젼검사부(740)는 수평축(730)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폭방향비젼검사부(720)는 수직축(750)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된다. 이에 의해 다양한 메탈시트(10")의 길이와 폭에 대응되게 길이방향비젼검사부(740)와 폭방향비젼검사부(720)의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도 18은 적재부(800)가 메탈시트(10")를 센터링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19는 중심정렬부(810)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적재부(800)는 메탈시트(10")의 위치를 정렬하는 중심정렬부(810)와, 중심정렬부(810)에서 센터링이 완료된 메탈시트(10")를 제1적재테이블(820)과 제2적재테이블(830)로 선택적으로 적재하는 적재로봇(840)을 포함한다.
중심정렬부(810)는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사부(700)로부터 이송된 메탈시트(10")가 위치되는 정렬테이블(811)과, 정렬테이블(811)의 세 방향에서 메탈시트(10")를 정렬하는 제1정렬로봇(813), 제2정렬로봇(815) 및 제3정렬로봇(817)을 포함한다.
메탈시트(10")는 정렬테이블(811)에서 1방향이 고정된 상태에서 제1정렬로봇(813), 제2정렬로봇(815) 및 제3정렬로봇(817)에 의해 3방향이 가압되어 중심영역으로 센터링 정렬된다.
이 때,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정렬로봇(813)과 제2정렬로봇(815)은 양측에 배치되어 서보모터에 의해 전후로 이동되며 메탈시트(10")의 양측을 중심방향으로 가압하여 정렬한다.
제3정렬로봇(817)은 승강구동부(817a)에 결합되어 상하로 이동하며 메탈시트(10")의 후단을 정렬하게 된다. 제3정렬로봇(817)은 검사부(700)로부터 정렬테이블(811)로 메탈시트(10")가 공급될 때는 하강되어 하부로 은폐되고, 메탈시트(10")의 공급이 완료되면 상부로 상승된다. 그리고, 제3정렬로봇(817)은 전후로 이동되며 메탈시트(10")를 중심바향으로 정렬하게 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로봇(840)은 정렬테이블(811)에 정렬된 메탈시트(10")를 상부에서 진공흡착한 후 적재가이드(850)를 따라 제1적재테이블(820) 또는 제2적재테이블(830)로 이동한 후 메탈시트(10")를 선택적으로 적재한다.
이 때, 제1적재테이블(820) 또는 제2적재테이블(830) 중 어느 하나는 검사부(700)에서 불량 판정을 받은 불량 메탈시트(10")가 적재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메탈필름롤 재단시스템(1)의 동작과정을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작업자는 필름권출축(110)에 메탈필름롤(10)을 삽입한다. 권출축구동부(120)에 의해 필름권출축(110)이 회전하면 메탈필름(10')이 길이방향커팅부(200)로 공급된다. 슬리터(240)는 길이방향으로 공급되는 메탈필름(10')의 양측을 기준폭으로 슬리팅한다.
슬리팅된 메탈필름(10')은 클리닝부(250)를 경유하며 상면과 하면이 클리닝되고, 제1필름이송롤러부(260) 사이로 진입한 후 필름속도조절부(300)로 이송된다. 필름속도조절부(300)는 댄서(320)가 가이드홈(321)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며 메탈필름(10')의 공급속도를 조절한다.
메탈필름(10')은 댄서(320)를 경유한 후, 제3필름가이드롤러(330)를 따라 이동하고 제2필름이송롤러부(340)로 진입한다. 제2필름이송롤러부(340)의 이송력에 의해 메탈필름(10')은 사행방지부(400)로 이동된다.
메탈필름(10')은 사행방지부(400)의 복수개의 제4필름가이드롤러(430)를 따라 이동된 후, 이송방향감지롤러(440)를 통해 필름공급부(500)로 공급된다. 이 과정에서, 필름위치감지센서(450,450a)가 이송방향감지롤러(440)를 따라 이동되는 메탈필름(10')의 이송방향을 감지하고, 이송방향이 일방향으로 편향된 경우 스위블구동부(460)가 구동되어 메탈필름(10')의 이송방향을 정방향으로 조절한다.
필름공급부(500)로 공급된 메탈필름(10')은 폭방향커팅부(600)로 이동된다. 폭방향커팅부(600)는 상부커터(650)가 하부로 하강하며 메탈필름(10')을 기준길이로 커팅하여 메탈시트(10")로 재단한다.
재단된 메탈시트(10")는 이송컨베이어(710)로 이송되고, 폭방향비젼검사부(720)와 길이방향비젼검사부(740)의 검사과정을 거친다. 이 과정에서 메탈시트(10")가 기설정된 기준길이와 기준폭으로 정확하게 재단되었는지를 검사받는다.
검사가 완료된 메탈시트(10")는 적재부(800)의 중심정렬부(810)로 이동한다. 정렬테이블(811)에서 메탈시트(10")는 센터링과정을 거치고, 적재로봇(840)은 센터링이 완료된 메탈시트(10")를 상방향으로 들어올리고 적재가이드(850)를 따라 이동하여 제1적재테이블(820) 또는 제2적재테이블(830)에 메탈시트(10")를 적재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메탈필름롤 재단시스템은 필름권출부에 결합된 메탈필름롤로부터 권출되는 메탈필름을 길이방향커팅부와 폭방향커팅부가 길이방향 및 폭방향으로 커팅하여 기준길이와 기준폭을 갖는 메탈시트로 재단한다.
이 때, 폭방향커팅부는 하강테이블이 상부커터의 하강에 연동하여 함께 하강하며 메탈시트의 구김과 버 발생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상부커터가 하부커터와 이격되게 구비되어 비접촉방식으로 커팅이 진행되므로 상부커터와 하부커터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또한, 검사부에서 메탈시트의 폭방향 및 길이방향의 재단품질을 검사하고 불량 메탈시트는 선별하여 수거하므로 메탈시트의 재단 품질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메탈필름롤 재단시스템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메탈필름롤 재단시스템 10 : 메탈필름롤
10‘: 메탈필름 10“: 메탈시트
11 : 인바 13 : PSA
15 : PET 100 : 필름권출부
110 : 필름권출축 120 : 권출축구동부
130 : 제1필름가이드롤러 140 : 스플라싱기
200 : 길이방향커팅부 210 : 제1측면프레임
220 : 필름지지롤러 230 : 제2필름가이드롤러
240 : 슬리터 241 : 슬리터지지부
243 : 슬리터구동모터 245 : 슬리터상하이동수단
247 : 슬리터이동레일 250 : 클리닝부
251 : 상부클리닝롤러 253 : 하부클리닝롤러
260 : 제1필름이송롤러부 261 : 제1상부롤러
262 : 제1클리닝롤러 263 : 제1하부롤러
265 : 제2클리닝롤러 267 : 제1필름이송모터
300 : 필름속도조절부 310 : 제2측면프레임
320 : 댄서 321 : 가이드홈
330 : 제3필름가이드롤러 340 : 제2필름이송롤러부
341 : 제2상부롤러 342 : 제3클리닝롤러
343 : 제2하부홀러 345 : 제4클리닝롤러
400 : 사행방지부 410 : 스위블판
420 : 제3측면프레임 430 : 제4필름가이드롤러
440 : 이송방향감지롤러 450,450a : 필름위치감지센서
460 : 스위블구동부 461 : 스위블축
463 : 제1방향가압실린더 464 : 제1실린더축
465 : 제2방향가압실린더 466 : 제2실린더축
500 : 필름공급부 510 : 제4측면프레임
520 : 제3필름이송롤러부 600 : 폭방향커팅부
610 : 하부프레임 615 : 하부프레임이송가이드
620 : 고정테이블 623 : 하부커터
630 : 하강테이블 631 : 제2진공흡착공
633 : 테이블하강실린더 633a : 하강실린더로드
640 : 수직프레임 641 : 가이드레일
650 : 상부커터 651 : 커터프레임
653 : LM가이드 655 : 필름가압지그
660 : 상부커터구동부 661 : 구동실린더
661a : 구동실린더로드 662 : 실린더고정암
663 : 구동링크 664 : 프레임결합링크
665 : 커터결합링크 700 : 검사부
710 : 이송컨베이어 720 : 폭방향비젼검사부
730 : 수평축 740 : 길이방향비젼검사부
750 : 수직축 800 : 적재부
810 : 중심정렬부 811 : 정렬테이블
813 : 제1정렬로봇 815 : 제2정렬로봇
817 : 제3정렬로봇 817a : 승강구동부
820 : 제1적재테이블 830 : 제2적재테이블
840 : 적재로봇 850 : 적재가이드
900 : 베이스판
A : 제1영역
B : 제2영역
C : 제3영역

Claims (6)

  1. 메탈필름롤에 권취된 메탈필름을 기준길이와 기준폭의 메탈시트로 재단하는 메탈필름롤 재단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메탈필름롤로부터 메탈필름을 권출하는 필름권출부(100)와;
    상기 필름권출부(100)로부터 공급되는 메탈필름이 기준폭을 갖도록 양측을 길이방향을 따라 슬리팅하는 길이방향커팅부(200)와;
    상기 길이방향커팅부(200)로부터 공급되는 메탈필름이 기준길이를 갖도록 폭방향으로 커팅하는 폭방향커팅부(600)와;
    상기 폭방향커팅부(600)로부터 공급되는 절단된 메탈시트가 기준길이와 기준폭으로 절단되었는지 검사하는 검사부(700)와;
    상기 검사부(700)로부터 공급되는 메탈시트를 적재하는 적재부(800)를 포함하며,
    상기 메탈필름은,
    인바(INVAR)에 PSA와 PET가 합지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길이방향커팅부(200)는,
    회전되며 상기 필름권출부(100)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메탈필름을 이송하는 필름지지롤러(220)와;
    상기 필름지지롤러(220)의 상단에 상기 메탈필름의 기준폭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구비되어 회전하며 상기 필름지지롤러(220)를 따라 이동하는 메탈필름의 양측을 길이방향으로 슬리팅하는 한 쌍의 슬리터(240)와;
    상기 한 쌍의 슬리터(240)에 의해 양측이 슬리팅된 메탈필름의 상면과 하면을 접촉하며 상기 메탈필름을 클리닝하는 클리닝부(250)를 포함하며,
    상기 폭방향커팅부(600)는,
    상기 길이방향커팅부(200)로부터 공급되는 메탈필름이 적재되는 고정테이블(620) 및 하강테이블(630)과;
    상기 고정테이블(620)의 일측 상단부에 구비된 하부커터(623)와;
    상기 고정테이블(620)과 상기 하강테이블(630) 사이에 수직하게 배치된 수직프레임(640)과;
    상기 수직프레임(640)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하부커터(623)의 하부로 하강하며 상기 메탈필름을 폭방향으로 커팅하는 상부커터(650)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커터(650)는 하강될 때 상기 하부커터(623)와 닿지 않도록 이격되게 구비되며,
    상기 하강테이블(630)은 상기 상부커터(650)가 하강하며 상기 메탈필름에 닿으면, 상기 상부커터(650)와 함께 하강하는 것인, 메탈필름롤 재단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방향커팅부(200)와 상기 폭방향커팅부(600) 사이에 구비되어 양측의 커팅속도 차이에 따른 메탈필름의 공급속도를 조절하는 필름속도조절부(3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필름속도조절부(300)는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필름의 이동경로를 조절하는 댄서(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탈필름롤 재단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속도조절부(300)와 상기 폭방향커팅부(60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폭방향커팅부(600)로 공급되는 메탈필름의 공급방향을 정방향으로 조절하는 사행방지부(4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사행방지부(400)는,
    베이스에 대해 스위블가능하게 구비되는 스위블판(410)과;
    상기 스위블판(410)의 양측에 수직하게 결합된 한 쌍의 제3측면프레임(420)과;
    상기 한 쌍의 제3측면프레임(420)에 아이들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메탈필름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제4필름가이드롤러(430)와;
    상기 제4필름가이드롤러(430)의 후단에 배치되어 상기 메탈필름을 상기 폭방향커팅부(600)로 공급하는 이송방향감지롤러(440)와;
    상기 이송방향감지롤러(440)의 양단에 구비되어 상기 메탈필름의 편향여부를 감지하는 한 쌍의 필름위치감지센서(450,450a)와;
    상기 스위블판(410)의 외부에 구비되어 상기 필름위치감지센서(450,450a)의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스위블판(410)을 정역 스위블시켜 편향된 메탈필름이 정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스위블구동부(4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탈필름롤 재단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부(700)는,
    메탈시트가 흡착되어 이송되는 이송컨베이어(710)와;
    상기 이송컨베이어(710)의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구비되어 상기 메탈시트의 폭방향 절단 품질을 검사하는 폭방향비젼검사부(720)와;
    상기 메탈시트의 기준길이에 대응되는 위치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메탈시트의 길이방향 절단 품질을 검사하는 길이방향비젼검사부(7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탈필름롤 재단시스템.
KR1020180073312A 2018-06-26 2018-06-26 메탈필름롤 재단시스템 Active KR1021869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3312A KR102186952B1 (ko) 2018-06-26 2018-06-26 메탈필름롤 재단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3312A KR102186952B1 (ko) 2018-06-26 2018-06-26 메탈필름롤 재단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959A KR20200000959A (ko) 2020-01-06
KR102186952B1 true KR102186952B1 (ko) 2021-01-05

Family

ID=69158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3312A Active KR102186952B1 (ko) 2018-06-26 2018-06-26 메탈필름롤 재단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69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380157A1 (en) * 2021-05-31 2022-12-01 Disco Corporation Sheet affixing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1710B1 (ko) * 2020-04-05 2020-08-05 이규득 필름 검사 시스템
KR102141707B1 (ko) * 2020-04-05 2020-08-05 이규득 필름합지 시스템
KR102135743B1 (ko) * 2020-04-20 2020-07-21 주식회사 그린켐 필름절단장치
KR102297203B1 (ko) * 2020-07-02 2021-09-03 주식회사 보백씨엔에스 배터리 보호용 pu-폼 가공장치
CN112277022A (zh) * 2020-09-24 2021-01-29 刘锋 一种用于pvc卷材生产的自动切边装置
KR102326533B1 (ko) * 2021-08-10 2021-11-15 주식회사 비제이 레이저 시트 재단 장치
KR102465392B1 (ko) * 2022-02-22 2022-11-14 한국유엠 주식회사 슬리터 장치
CN115477194B (zh) * 2022-08-02 2024-07-09 安徽赛福电子有限公司 金属化薄膜分切装置及其工作方法
KR102538767B1 (ko) * 2022-11-29 2023-06-01 대진기계공업(주) 필름 커팅 장치
KR102565584B1 (ko) * 2023-03-23 2023-08-09 주식회사 성일 Grp패널의 소재가 되는 grp시트 재단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03114B1 (en) * 2002-10-17 2004-03-09 Arlon Laminate structures, methods for production thereof and uses therefor
JP2008200788A (ja) * 2007-02-19 2008-09-04 Sumitomo Chemical Co Ltd 光学フィルムの裁断装置および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KR20170006348A (ko) * 2015-07-07 2017-01-18 주식회사알투웍스 모바일 기기용 필름 재단기
KR101866339B1 (ko) 2015-11-26 2018-07-04 유한회사 대구특수금속 버 발생 방지가 가능한 플라스틱 필름절단용 프레스 칼금형 및 그 제작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380157A1 (en) * 2021-05-31 2022-12-01 Disco Corporation Sheet affix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959A (ko) 2020-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6952B1 (ko) 메탈필름롤 재단시스템
CN110466145A (zh) 一种太阳能板贴膜机
KR20160001607A (ko) 광학 필름 연속 공급 장치 및 광학 필름 연속 공급 방법
KR20110025823A (ko) 이송 테이블 및 그 사용 방법
CN115490063B (zh) 一种基于负压固定布料的智能制造用纺织设备
CN114506725A (zh) 一种光学膜厚度检测装置
KR102373143B1 (ko) 페이퍼 자동 공급시스템
KR102205802B1 (ko) 메탈필름 커팅장치
CN209502295U (zh) 一种膜片尺寸在线检测机构
KR102215190B1 (ko) 고속 롤투롤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9665134B (zh) 自动连续裹膜设备
KR101139721B1 (ko) 피절단물과 이를 위한 커팅 받침용 필름의 상호 분리 공급형 절단장치
KR101818551B1 (ko) 인라인 포밍장치 및 인라인 롤 포밍장치용 스택커
CN213936280U (zh) 用于膜电极的贴合装置
JP4456647B1 (ja) シート状物検査機及びシート状物検査方法
CN220019340U (zh) 一种ag玻璃自动检测装置
KR100920222B1 (ko) 필름 검사장치 및 필름 검사방법
JP2020079129A (ja) スプライス装置
KR20180035469A (ko) 오토 릴 체인저
CN114537755B (zh) 一种具有膜断裂检测的铝塑板覆膜装置及方法
KR101762552B1 (ko) 전자기기용 테이프형 패키지원단 제조용 박막시트지 부착장치
JP2628825B2 (ja) タイヤ成形機における材料継目調整片除去装置
KR20200090134A (ko) 필름 접합 장비
CN209337773U (zh) 一种卷料输送装置
JP7053884B2 (ja) スタンピングフォイルを駆動する装置、スタンピングステーション及びスタンピング機、及びスタンピングフォイルの駆動を制御す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6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0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0060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9101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0060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83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0081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060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11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12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9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1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