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185269B1 - Apparatus, metho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and computer program for personalized tinnitus treatments - Google Patents

Apparatus, metho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and computer program for personalized tinnitus treatmen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5269B1
KR102185269B1 KR1020200034676A KR20200034676A KR102185269B1 KR 102185269 B1 KR102185269 B1 KR 102185269B1 KR 1020200034676 A KR1020200034676 A KR 1020200034676A KR 20200034676 A KR20200034676 A KR 20200034676A KR 102185269 B1 KR102185269 B1 KR 1021852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electrode
stimulus
tinnitus
outpu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467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구윤서
안중우
김희찬
오승하
Original Assignee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서울대학교병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서울대학교병원 filed Critical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346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526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5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5269B1/en
Priority to PCT/KR2021/003258 priority patent/WO2021187877A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1/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ars or hearing sense; Non-electric hearing aids; Methods or devices for enabling ear patients to achieve auditory perception through physiological senses other than hearing sense; 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e.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 A61B5/024Measur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61B5/02416Measuring pulse rate or heart rate using photoplethysmograph signals, e.g. generated by infrared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e.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 A61B5/024Measur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61B5/0245Measuring pulse rate or heart rate by using sensing means generating electric signals, i.e. ECG signals
    • A61B5/04845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2Audiometering
    • A61B5/128Audiometering evaluating tinni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69Electroencephalography [EEG]
    • A61B5/377Electroencephalography [EEG] using evoked responses
    • A61B5/38Acoustic or auditory stimuli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36Diagnosis combined with treatment in closed-loop systems or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56Specially adapted for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T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of the outer, middle or inner e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27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hearing sen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ardi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Psych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hysiology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Psychiatry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An apparatus for personalized tinnitus treatment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comprises: a speaker; a first electrode which comprises a discharge port formed to output a first sound stimulus through the speaker to the outside, has a shape that can be mounted on a part of a user′s ear, and can output a current stimulus; and at least one second electrodes for detecting a user′s bio-signal generated in response to the output of the first sound stimulus.

Description

개인 맞춤형 이명 치료를 위한 장치,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APPARATUS, METHO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AND COMPUTER PROGRAM FOR PERSONALIZED TINNITUS TREATMENTS}Devices, methods,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and computer programs for personalized tinnitus treatment {APPARATUS, METHO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AND COMPUTER PROGRAM FOR PERSONALIZED TINNITUS TREATMENTS}

본 발명은 개인 맞춤형 이명 치료를 위한 장치,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 metho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a computer program for personalized tinnitus treatment.

종래의 이명 치료는 보청기를 이용한 마스킹(masking)과 적응 재활 훈련 위주로 시행되고 있으며, 실질적으로 이명을 감소시키기 위한 표준 치료법은 존재하고 있지 않았다. 또한, 종래에는 베타히스틴(betahistine) 등의 약물, 경두개 자기 자극술(TMS;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등의 다양한 치료법이 제안되었으나, 그 유효성이 확인되지 않았다. Conventional tinnitus treatment is mainly performed by masking using hearing aids and adaptive rehabilitation training, and there is no standard treatment for substantially reducing tinnitus. In addition, various treatments such as drugs such as betahistine and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TMS) have been proposed in the past, but their effectiveness has not been confirmed.

최근에는 소리와 전기 자극을 동시에 인가하여 뇌가소성을 증진시키는 신경 조절 기법(neuromodulation)을 이용한 이명 치료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수술이 필요한 침습적인 방식 혹은 수술 없이 치료가 가능한 비침습적인 방식의 Bimodal 자극 치료법이 제안되었다. 예를 들어, 소리 자극과 동시에 미주 신경(vagus nerve) 및/또는 삼차 신경(trigeminal nerve)을 전기 자극하여 환자의 이명 치료를 시도하는 치료법들이 제안되고 있다.Recently, studies on the treatment of tinnitus using a neuromodulation technique that enhance brain plasticity by simultaneously applying sound and electrical stimulation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Bimodal stimulation therapy, which is an invasive method requiring surgery or a non-invasive method that can be treated without surgery, has been proposed. For example, treatments that attempt to treat tinnitus in a patient by electrical stimulation of the vagus nerve and/or the trigeminal nerve simultaneously with sound stimulation have been proposed.

상기 제안된 침습적 혹은 비침습적인 방식의 치료 연구들은 치료기간, 소리/전기 자극의 세기 및 시간 등의 다양한 자극 조건들을 대체로 모든 이명 환자에게 일괄적으로 적용하고 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환자 별로 이명 치료의 효과가 지속되는 시간이 상이하고, 일부 환자들에 대해서는 치료의 효과가 없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일상생활 중 치료를 진행하면서 다양한 자극 조건들을 진단에 기반하여 조절하는 개인 맞춤형 치료가 필요하나 현재 제안된 이명 치료기기들은 치료 효과 관찰을 위한 구조를 포함하고 있지 않다. The proposed invasive or non-invasive treatment studies generally apply various stimulating conditions such as duration of treatment, intensity and time of sound/electrical stimulation to all tinnitus patien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duration of the effect of tinnitus treatment differs for each patient, and the treatment may not be effective for some patients. Therefore, a personalized treatment that controls various stimulation conditions based on diagnosis while performing treatment during daily life is required, but the currently proposed tinnitus treatment devices do not include a structure for observing the treatment effect.

또한, 상기 침습적인 방식의 치료법은, 미주 신경을 직접적으로 자극하기 위해 수술을 통해 환자의 신체에 전류 자극기를 이식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invasive treatment method has a disadvantage in that a current stimulator must be implanted in the patient's body through surgery in order to directly stimulate the vagus nerve.

또한, 상기 비침습적인 방식의 치료법은, 수술을 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환자의 움직임 제약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하루 30분 이상의 비교적 긴 시간 치료가 진행되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예를 들어, 삼차 신경을 자극하기 위해 혀 밑에 전극이 위치되도록 하는 비 침습적인 전류 자극 방식의 치료법의 경우, 환자가 계속 전극을 물고 있어야 하므로 치료 시간동안 움직임에 제약이 있고, 일상적인 활동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the non-invasive treatment method has the advantage of not performing surgery, but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treatment must be performed for a relatively long time of 30 minutes or more per day in a situation where the patient's movement is restricted.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non-invasive electric current stimulation method in which an electrode is placed under the tongue to stimulate the trigeminal nerve, the patient must keep holding the electrode, so movement is limited during the treatment period and daily activities are difficult. There are drawbacks.

미국 등록 번호 US 9265660 (등록일 2016.02.23)US registration number US 9265660 (registration date 2016.02.23)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치료에 따른 환자의 변화를 객관적으로 모니터링(이명 진단)하고 이를 기초로 자극 시간 및 세기 등을 조절할 수 있는 개인 맞춤형 이명 치료를 위한 장치,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ersonalized tinnitus treatment that can objectively monitor (diagnose tinnitus) and adjust stimulation time and intensity based on the change in a patient according to treatment. Computer programs can be provided.

예를 들어, 본 발명은 소리 자극에 따른 뇌파의 반응을 기초로 이명을 진단하여, 상기 이명 진단에 기초한 개인 맞춤형 이명 치료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resent invention may diagnose tinnitus based on a response of an EEG according to a sound stimulus to enable personalized tinnitus treatment based on the tinnitus diagnosis.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소리와 전류 자극을 동시에 인가할 수 있는 비 침습적 방식의 개인 맞춤형 이명 치료를 위한 장치,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an apparatus, a metho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a computer program for personalized tinnitus treatment in a non-invasive manner that can simultaneously apply sound and current stimuli.

예를 들어, 본 발명은 환자의 귀 또는 귀 근처에서 미주 신경 및/또는 삼차 신경의 가지(branch)를 비 침습적으로 자극할 수 있는 방식을 제공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a way to non-invasively stimulate a branch of the vagus nerve and/or trigeminal nerve in the ear or near the ear of a patient.

예를 들어, 본 발명은 모든 환자들에게 익숙하며 일상 생활 중 이명 치료가 가능한 헤드셋 형태의 개인 맞춤형 이명 치료기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헤드셋 형태의 개인 맞춤형 이명 치료기는, 전류 자극 및 소리 자극 모두 귀 또는 귀 근처에서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환자의 움직임 제약을 최소화 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personalized tinnitus treatment device in the form of a headset that is familiar to all patients and capable of treating tinnitus in daily life. The personalized tinnitus therapy device in the form of a headset may provide both electric current and sound stimulation at the ear or near the ear, thereby minimizing the patient's movement restrictions.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개인 맞춤형 이명 치료를 위한 장치에 있어서, 스피커; 상기 스피커를 통한 제1 소리 자극이 외부로 출력되도록 형성된 방출구를 포함하며 사용자의 귀의 일부분에 장착될 수 있는 형태를 가지며 전류 자극을 출력할 수 있는 제1 전극;및 상기 제1 소리 자극의 출력에 응답하여 발생하는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검출하는 하나 이상의 제2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personalized tinnitus treatment, comprising: a speaker; A first electrode that includes a discharge port formed to output the first sound stimulus through the speaker to the outside, has a shape that can be mounted on a portion of the user's ear, and is capable of outputting a current stimulus; And the output of the first sound stimulus It may include one or more second electrodes for detecting a user's bio-signal generated in response to the response.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장치는, 상기 스피커 및 상기 제1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케이블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전극은, 상기 케이블의 적어도 일부분에 위치되며 상기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device further includes a cabl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peaker and the first electrode, wherein the at least one second electrode is position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cable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able. I can.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전극이 위치되는 상기 케이블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귀에서의 귓바퀴 가지(auricular branch of vagus nerve) 부분 또는 외이도 내(in-the-ear, ear canal) 부분 또는 귓바퀴 뒤 쪽 (behind-the-ear) 두피 부분에 대응하도록 미리 결정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at least a portion of the cable on which the second electrode is located is a portion of an auricular branch of vagus nerve in the ear or a portion of an in-the-ear, ear canal, or a pinna. It may include a predetermined portion to correspond to the portion of the scalp behind the (behind-the-ear).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의 생체 신호는 상기 사용자의 뇌파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생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이명 진단을 수행하며, 상기 사용자의 이명 진단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스피커를 통한 제2 소리 자극의 출력 및 상기 제1 전극을 통한 전류 자극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user's biosignal includes the user's brainwave, and further includes a control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able, and the control unit diagnoses the user's tinnitus based on the detected biosignal. And outputting a second sound stimulus through the speaker and a current stimulus through the first electrode based on the result of the user's tinnitus diagnosis.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장치는, 다른 스피커; 상기 다른 스피커를 통한 상기 제1 소리 자극이 외부로 출력되도록 형성된 방출구를 포함하며 사용자의 귀의 일부분에 장착될 수 있는 형태를 가지며 전류 또는 전압 자극을 출력할 수 있는 제1 추가 전극; 상기 다른 스피커 및 상기 제1 추가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른 케이블; 및 상기 다른 케이블의 적어도 일부분에 위치되며 상기 다른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 소리 자극의 출력에 응답하여 발생하는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검출하는 하나 이상의 제2 추가 전극을 더 포함하며, 상기 다른 케이블은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device may include another speaker; A first additional electrode that includes a discharge hole formed to output the first sound stimulus through the other speaker to the outside, has a shape that can be mounted on a portion of the user's ear, and can output a current or voltage stimulus; Another cabl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ther speaker and the first additional electrode; And one or more second additional electrodes position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other cabl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ther cable to detect a user's bio-signal generated in response to the output of the first sound stimulus, the other The cable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소리 자극은, 펄스음(pulse noise)과 제1 배경음(background noise)을 포함하는 제1 자극음 및 펄스음과 무음 간격(silent gap)이 있는 제2 배경음을 포함하는 복수의 제2 자극음들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first sound stimulus includes a first stimulus sound including a pulse noise and a first background noise, and a second background sound with a pulse sound and a silent gap. 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included second stimulus sounds.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자극음에 따른 상기 사용자의 청성 유발 전위의 제1 파형과 상기 복수의 제2 자극음들에 따른 상기 사용자의 청성 유발 전위의 복수의 제2 파형들을 검출하며, 상기 제1 파형의 극점간 진폭과 상기 복수의 제2 파형들의 극점간 진폭 간의 비율인 복수의 GPI(gap prepulse inhibition) 비율들을 계산하여 상기 사용자의 이명 진단을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controller comprises: a first waveform of the user's hearing-producing potential according to the first stimulus sound and a plurality of second waveforms of the user’s hearing-producing potential according to the plurality of second stimulus sounds Is detected, and a plurality of GPI (gap prepulse inhibition) ratios, which is a ratio between the amplitude between poles of the first waveform and the amplitudes between poles of the plurality of second waveforms, may be calculated to diagnose the user's tinnitus.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기 저장된 이명 유형 별 대응하는 소리 자극 파라미터 및 전류 자극 파라미터 및 상기 사용자의 이명 진단의 결과를 기초로, 상기 제2 소리 자극의 출력 및 상기 제1 전극을 통한 전류 자극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control unit may output the second sound stimulus and the first electrode based on a sound stimulation parameter and a current stimulation parameter corresponding to each type of tinnitus stored in advance, and a result of the user's tinnitus diagnosis. The output of the current stimulus can be controlled.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장치는, 광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피커를 통한 상기 제2 소리 자극의 출력 및 상기 제1 전극을 통한 상기 전류 자극을 출력하는 동안,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전극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심전도(ECG; electrocardiogram)를 측정하며, 상기 광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광용적맥파(PPG; photoplethysmogram)를 측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device further includes an optical sensor, and the control unit, while outputting the second sound stimulus through the speaker and the current stimulus through the first electrode, The user's electrocardiogram (ECG) may be measured through the second electrode, and the user's photoplethysmogram (PPG) may be measured using the optical sensor.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심전도 및 상기 측정된 광용적맥파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심박 변이도를 확인하며, 기 설정된 심박 변이도 별 대응하는 스트레스 정보 및 상기 확인된 심박 변이도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스트레스 값을 결정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controller, based on the measured ECG and the measured optical volume pulse wave, checks the user's heart rate variability, and determines corresponding stress information for each preset heart rate variability and the checked heart rate variability. Based on the user's stress value can be determined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심전도 및 상기 측정된 광용적맥파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심박수 및 호흡수를 결정하며, 상기 결정된 심박수 및 호흡수가 기 설정된 임계 범위를 초과하면, 상기 상기 스피커를 통한 상기 제2 소리 자극의 출력 및 상기 제1 전극을 통한 상기 전류 자극을 출력을 중단하거나 감소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controller determines the user's heart rate and respiration rate based on the measured electrocardiogram and the measured optical volumetric pulse wave, and when the determined heart rate and respiration rate exceed a preset threshold range, the The output of the second sound stimulus through the speaker and the current stimulus through the first electrode may be controlled to stop or decrease the output.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지정된 기준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소리 자극의 출력 및 상기 제1 전극을 통한 전류 자극의 출력이 종료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2 소리 자극의 출력 및 상기 제1 전극을 통한 전류 자극의 출력이 종료된 후,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전극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재검출하며, 상기 재검출된 생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이명 진단을 재 수행하며, 상기 수행된 이명 진단의 결과 및 상기 재 수행된 이명 진단의 결과를 비교하여 이명 치료의 효과 정도를 결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controller controls the output of the second sound stimulus and the output of the current stimulus through the first electrode to be terminated based on a designated reference time, and the output of the second sound stimulus and the second 1 After the output of the current stimulus through the electrode is terminated, the user's bio-signal is re-detected through the one or more second electrodes, and the user's tinnitus diagnosis is performed again based on the re-detected bio-signal. , The degree of effectiveness of the tinnitus treatment may be determined by comparing the result of the performed tinnitus diagnosis and the result of the re-performed tinnitus diagnosis.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생체 신호는 심전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biosignal may further include an electrocardiogram.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장치를 이용한 개인 맞춤형 이명 치료를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장치의 스피커를 통해 제1 소리 자극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장치의 검출 전극을 통해 상기 제1 소리 자극의 출력에 응답하여 발생하는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생체 신호에 포함된 뇌파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이명 진단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이명 진단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스피커를 통한 제2 소리 자극의 출력 및 상기 장치의 하나 이상의 전류 자극 인가 전극을 통한 전류 자극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 method for personalized tinnitus treatment using a device, comprising: outputting a first sound stimulus through a speaker of the device; Detecting a user's bio-signal generated in response to an output of the first sound stimulus through a detection electrode of the device; Performing a tinnitus diagnosis of the user based on the EEG included in the detected biometric signal; And outputting a second sound stimulus through the speaker and outputting a current stimulus through at least one current stimulus applying electrode of the device, based on a result of the user's tinnitus diagnosis.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면, 장치의 스피커를 통해 제1 소리 자극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장치의 검출 전극을 통해 상기 제1 소리 자극의 출력에 응답하여 발생하는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생체 신호에 포함된 뇌파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이명 진단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이명 진단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스피커를 통한 제2 소리 자극의 출력 및 상기 장치의 하나 이상의 전류 자극 인가 전극을 통한 전류 자극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상기 프로세서가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re is provide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a computer program, the computer program comprising: outputting a first sound stimulus through a speaker of the device when executed by a processor; Detecting a user's bio-signal generated in response to an output of the first sound stimulus through a detection electrode of the device; Performing a tinnitus diagnosis of the user based on the EEG included in the detected biometric signal; And outputting a second sound stimulus through the speaker and outputting a current stimulus through at least one current stimulus applying electrode of the device based on a result of the user's tinnitus diagnosis. It may contain instructions for.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면, 장치의 스피커를 통해 제1 소리 자극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장치의 검출 전극을 통해 상기 제1 소리 자극의 출력에 응답하여 발생하는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생체 신호에 포함된 뇌파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이명 진단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이명 진단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스피커를 통한 제2 소리 자극의 출력 및 상기 장치의 하나 이상의 전류 자극 인가 전극을 통한 전류 자극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상기 프로세서가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re is provided a computer program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 program comprising: outputting a first sound stimulus through a speaker of the device when executed by a processor; Detecting a user's bio-signal generated in response to an output of the first sound stimulus through a detection electrode of the device; Performing a tinnitus diagnosis of the user based on the EEG included in the detected biometric signal; And outputting a second sound stimulus through the speaker and outputting a current stimulus through at least one current stimulus applying electrode of the device based on a result of the user's tinnitus diagnosis. It may contain instructions for.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개인 맞춤형 이명 치료를 위한 장치에 있어서, 스피커; 및 상기 스피커를 통한 제1 소리 자극이 외부로 출력되도록 형성된 방출구를 포함하며 사용자의 귀의 일부분에 장착될 수 있는 형태를 가지며 전류 또는 전압 자극을 출력하며, 상기 제1 소리 자극의 출력에 응답하여 발생하는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검출하는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personalized tinnitus treatment, comprising: a speaker; And a discharge port formed to output the first sound stimulus through the speaker to the outside, has a shape that can be mounted on a part of the user's ear, and outputs a current or voltage stimulus, and in response to the output of the first sound stimulus It may include an electrode for detecting the generated bio-signal of the user.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개인 맞춤형 이명 치료를 위한 장치,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은, 이명 진단과 치료가 하나의 기기에서 가능하도록 하여 치료 효과를 추적할 수 있도록 하며, 이에 따라 모든 환자에게 같은 자극을 주는 것이 아닌 개인 맞춤형 자극을 인가하여 이명 치료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apparatus, metho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computer program for personalized tinnitus treat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nable tinnitus diagnosis and treatment to be performed in one device so that the treatment effect can be tracked.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innitus treatment by applying personalized stimulation rather than giving the same stimulation to all patients.

예를 들어, 본 발명은 착용 가능한 형태의 이명 치료 기기를 제작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명 치료가 필요한 환자가, 장소 및 움직임의 제약 없이 필요한 시간 동안 이명 치료를 제공받도록 할 수 있다.For examp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wearable type of tinnitus treatment device may be manufactured, and a patient in need of tinnitus treatment may be provided with tinnitus treatment for a required time without restriction of place and movemen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개인 맞춤형 이명 치료를 위한 장치,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은, 환자의 호흡수 및/또는 심박수 정보를 확인하여 환자의 치료 안전성의 확보 및 환자의 스트레스 측면에서의 이명 치료 평가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An apparatus, metho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computer program for personalized tinnitus treat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cure the patient's treatment safety by checking the patient's respiratory rate and/or heart rate information, and the patient's stress side. Can make it possible to evaluate the treatment of tinnitus i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개인 맞춤형 이명 치료를 위한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개인 맞춤형 이명 치료를 위한 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개인 맞춤형 이명 치료를 위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명 치료를 위해 제공하는 자극 파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명 치료를 위해 제공하는 자극 파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명 치료를 위한 장치의 동작 및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명 치료를 위한 동작의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개인 맞춤형 이명 치료를 위한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개인 맞춤형 이명 치료를 위한 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n apparatus for personalized tinnitus treat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and 3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a device for personalized tinnitus treat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a device for personalized tinnitus treat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imulation waveform provided for the treatment of tinni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imulation waveform provided for the treatment of tinni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and method of an apparatus for treating tinni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chart of an operation for treating tinni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block diagram of an apparatus for personalized tinnitus treat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and 11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a device for personalized tinnitus treat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본 발명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여기에서,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의 범주를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공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되어야 할 것이다.First,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to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e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only the present embodiments are intended to complet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common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Since it is provided by way of example in order to allow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clearly understand the scope of the invention, the technical scope of the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아울러, 아래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 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인 것으로, 이는 사용자, 운용자 등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쳐 기술되는 기술사상을 토대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intentions or customs of users and operators.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technical idea describ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명은 외부로부터 청각적인 자극이 없는 상황에서 귀에서 소리가 들리는 증세를 나타낸다. 이러한 이명의 치료를 위해 종래에는 이명 진단에 기반한 맞춤형 이명 치료가 아닌 모든 이명 환자들에게 일괄적으로 치료를 위한 자극을 제공하는 방식이 이용되어 왔다. 이에 따라, 치료에 효과가 없는 사람들이 있으며, 효과의 지속 시간 또한 사람 별로 차이가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기의 종래의 문제점을 보완하여 환자가 이명 치료에 있어 큰 편의성을 제공 받도록, 환자에 대한 이명 진단을 하고, 이명 진단에 기초한 이명 치료를 제공하고, 상기 이명 치료에 따른 환자의 변화를 모니터링함으로써, 이명 치료를 위한 자극 시간 및 자극 세기 등을 조절할 수 있는 환자 맞춤형 치료를 제안한다.Tinnitus refers to a symptom of hearing sound from the ear in the absence of external auditory stimulation. For the treatment of tinnitus, conventionally, a method of providing stimulation for treatment to all tinnitus patients collectively has been used, not customized tinnitus treatment based on tinnitus diagnosis. Accordingly, there are people who have no effect on treatment, and the duration of the effect also differs from person to pers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innitus diagnosis for a patient, provides tinnitus treatment based on tinnitus diagnosis, and provides a tinnitus treatment based on the tinnitus treatment so that the patient is provided with great convenience in the treatment of tinnitus by supplementing the conventional problem. We propose a patient-specific treatment that can control the stimulation time and stimulation intensity for tinnitus treatment by monitoring changes in

상기 이명 치료의 한 예로 소리 자극과 동시에 미주 신경(vagus nerve), 삼차 신경(trigeminal nerve) 및/또는 경부 척수(cervical spinal cord)를 전류 자극하는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종래에는 직접 미주 신경을 자극하기 위해 수술을 통한 침습적인 방식이 이용되었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귀에서 미주 신경의 가지(branch)를 비침습적으로 자극할 수 있는 방식을 제안한다. 또한, 종래에는 삼차 신경을 자극하기 위해 혀 밑에 전극이 위치되도록 사용자가 전극을 물고 있어야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귀에서의 삼차 신경의 가지(branch)를 자극하는 방식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귀에 전류 자극을 주면서 소리 자극을 함께 제공할 경우 매우 작은 형태의 일체형 이명 치료 장치(기기)의 제작이 가능한 점에 착안한 것으로, 예를 들어, 헤드셋 형태로 상기 이명 치료 장치를 제작하는 경우, 사용자가 움직임의 제약 없이 일상 생활을 하면서 이명 치료를 위한 자극을 제공받을 수 있다.As an example of the tinnitus treatment, a method of stimulating the vagus nerve, the trigeminal nerve, and/or the cervical spinal cord simultaneously with sound stimulation may be used. Conventionally, an invasive method through surgery has been used to directly stimulate the vagus nerve, but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method capable of non-invasive stimulation of a branch of the vagus nerve in the ear. In addition, in the related art, the user must hold the electrode so that the electrode is positioned under the tongue in order to stimulate the trigeminal nerve, but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method of stimulating the branch of the trigeminal nerve in the ear.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cuses on the fact that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n integrated tinnitus treatment device (device) in a very small form when a current stimulus is provided to the ear and sound stimulus is provided together. For example, the tinnitus treatment device in the form of a headset In the case of manufacturing, the user may be provided with stimulation for tinnitus treatment while performing daily life without restriction of moveme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개인 맞춤형 이명 치료를 위한 장치의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n apparatus for personalized tinnitus treat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장치(100)는 제어부(110), 측정부(150), 자극부(130), 메모리(170) 및/또는 광 센서(39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device 100 may include a control unit 110, a measurement unit 150, a stimulation unit 130, a memory 170, and/or an optical sensor 390.

제어부(110)(제어 장치, 제어 회로 또는 프로세스라고도 함)는 연결된 장치(10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 요소(예: 하드웨어 구성 요소(예: 측정부(150), 자극부(130), 메모리(170) 및/또는 광 센서(190))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예: 소프트웨어(180))를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10 (also referred to as a control device, a control circuit, or a process) includes at least one other component of the connected device 100 (eg, a hardware component (eg, a measurement unit 150), a magnetic pole unit 130, a memory). 170 and/or the optical sensor 190) or a software component (for example, the software 180) may be controlled, and various data processing and operations may be performed.

자극부(130)는 제1 전극(143), DAC(digital analog converter;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131) 및/또는 전류 자극 회로(1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는 상기 DAC(131) 및 상기 전류 자극 회로(133)를 통해 상기 제1 전극(141)으로 전달될 수 있다. 자극부(130)는 DAC(digital analog converter;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135), 오디오 앰프(137), 및/또는 스피커(13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는 상기 DAC(135) 및 상기 오디오 앰프(137)를 통해 상기 스피커(139)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전류 자극 회로(133)는,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 전극(143)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전류 자극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스피커(139)는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소리 자극을 출력(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The stimulation unit 130 may include a first electrode 143, a digital analog converter (DAC) 131 and/or a current stimulation circuit 133.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unit 110 may be transmitted to the first electrode 141 through the DAC 131 and the current stimulation circuit 133. The stimulation unit 130 may include a digital analog converter (DAC) 135, an audio amplifier 137, and/or a speaker 139.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ntroller 110 may be transmitted to the speaker 139 through the DAC 135 and the audio amplifier 137. The current stimulation circuit 133 may generate a current stimulation to be provided to a user through the first electrode 143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10. The speaker 139 may output (provide to a user) a sound stimulus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10.

측정부(150)는 제2 전극(143), Analog Front-End(151) 및/또는 ADC(analog digital converter;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15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141)을 통해 검출된 신호는, 상기 Analog Front-End(151) 및 상기 ADC(153)를 통해 상기 제어부(110)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143)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의 뇌파(뇌파의 반응)를 검출(측정, 확인)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141)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의 심전도(ECG; electrocardiogram) 또는 임피던스를 검출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The measurement unit 150 may include a second electrode 143, an analog front-end 151 and/or an analog digital converter (ADC) 153. The signal detected through the second electrode 141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110 through the analog front-end 151 and the ADC 153. The second electrode 143 may be used to detect (measure, confirm) a user's brain waves (reaction of brain waves)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10. The second electrode 141 may be used to detect an electrocardiogram (ECG) or impedance of a us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10.

메모리(170)는 장치(100)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예: 제어부(110), 측정부(150), 자극부(130) 및/또는 광 센서(190))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180)(예: 프로그램)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70)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18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개인 맞춤형 이명 치료를 위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일 수 있다.The memory 170 includes various data used by at least one component of the device 100 (eg, the control unit 110, the measurement unit 150, the magnetic pole unit 130 and/or the optical sensor 190), For example, input data or output data for the software 180 (eg, a program) and commands related thereto may be stored. The memory 170 may include a volatile memory or a nonvolatile memory. The software 180 may be a software program for personalized tinnitus treat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광 센서(390)(PPG(photoplethysmogram) 센서라고도 함)는 사용자의 광용적맥파(PPG; Photoplethysmogram)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The optical sensor 390 (also referred to as a PPG (photoplethysmogram) sensor) may detect a user's photoplethysmogram (PPG) signal.

상술한 도 1의 구성 요소들 중 일부 구성 요소는 생략되거나(포함되지 않거나) 하나의 개체로 통합되어 통합되기 이전의 각각의 해당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을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장치(100)는 상기 광 센서(390)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Some of the constituent elements of FIG. 1 may be omitted (not included) or integrated into one entity to perform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performed by the respective constituent elements prior to integration, Other components can be added. For example, the device 100 may not include the optical sensor 390.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개인 맞춤형 이명 치료를 위한 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 and 3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a device for personalized tinnitus treat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장치(100)는, 도 2의 (a)와 같이 bimodal 자극 및 뇌파 측정이 가능한 헤드셋(또는 이어폰) 타입의 이명 치료를 위한 장치(기기라고도 함)일 수 있다. 상기 bimodal 자극은, 소리 자극 및 전류 자극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device 100 may be a headset (or earphone) type device (also referred to as a device) for the treatment of tinnitus that can measure bimodal stimulation and EEG as shown in FIG. 2A. The bimodal stimulation may include sound stimulation and current stimulation.

상기 장치(100)는, 도 2의 (b)와 같이 외이도(external acoustic meatus)(11)에 미주 신경의 가지(branch)가 다수 분포한다는 점에 착안하여, 외이도(11)의 신경 분포(external ear innervation)에 기초한 외이도(11)에 전기 자극을 제공할 수 있는 전류 자극 인가 전극(제1 전극(143)) 및 기준(Reference) 전극(144)을 포함하는 구조(1400)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전극(143)은 음극(Cathode)으로 기준 전극(144)은 양극(Anode)으로도 명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장치(100)는, 사용자의 귀의 일부분에 장착될 수 있는 형태의 제1 전극(143) 및 기준 전극(144)을 포함하는 구조(14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조(1400)는 도 2의 (b) 또는 도 2의 (c)와 같은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의 (b)를 참조하면, 상기 구조(1400)에 포함된 제1 전극(143) 및 기준 전극(144) 각각은, 도 2의 (b)와 같이 후술하는 방출구(121)의 위치와 평행한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도 2의 (c)를 참조하면, 상기 구조(1400)에 포함된 제1 전극(143) 및 기준 전극(144) 각각은, 도 2의 (c)와 같이 방출구(121)의 위치와 수직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100)는 상기 제1 전극(143)의 일부분과 연결되는 케이블(123)의 적어도 일부분에 위치되는 하나 이상의 측정 전극(제2 전극(14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143)은, 사용자가 상기 장치(100)의 착용 시, 미주 신경의 귓바퀴 가지(auricular branch of vagus nerve)(13)에 대응되는 부분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구조(1400)는 스피커(159)를 통한 소리 자극을 외부로 출력되도록 형성된(사용자의 귀로 출력되도록 형성된) 방출구(121)(홀이라고도 함)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전류 자극을 인가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측정 전극은 사람들의 미주 신경 또는 삼차 신경의 가지(branch)가 분포하는 귀의 일부 또는 귀 주변의 케이블(123)의 적어도 일부분에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하나 이상의 측정 전극은 제2 전극(145), 제2 전극(145)과 동일한 기능을 하는 제3 전극(147) 및 제4 전극(149)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3 전극(147) 및 상기 제4 전극(149)은, 사람들의 미주 신경 또는 삼차 신경의 가지(branch)가 다수 분포하는 외이도의 신경 분포와 대응되는 케이블(123)의 일부에 각각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3 전극(147) 및 상기 제4 전극(149)은 사용자가 상기 장치(100)의 착용 시, 이개측두신경(auticulotemporal nerve)(15)에 대응하는 부분에 위치될 수 있다.The device 100 focuses on the fact that a number of branches of the vagus nerve are distributed in the external acoustic meatus 11 as shown in FIG. 2(b), and the inner ear canal 11 It may be implemented as a structure 1400 including a current stimulation applying electrode (first electrode 143) and a reference electrode 144 capable of providing electrical stimulation to the ear canal 11 based on ear innervation). . The first electrode 143 may be referred to as a cathode, and the reference electrode 144 may be referred to as an anode. For example, the device 100 may include a structure 1400 including a first electrode 143 and a reference electrode 144 that may be mounted on a portion of a user's ear. The structure 1400 may have a shape as shown in FIG. 2(b) or 2(c). For example, referring to (b) of FIG. 2, each of the first electrode 143 and the reference electrode 144 included in the structure 1400 is a discharge hole ( 121)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position. 2(c), each of the first electrode 143 and the reference electrode 144 included in the structure 1400 is perpendicular to the position of the discharge port 121 as shown in FIG. 2(c). It can be locat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direction. In addition, the device 100 may further include one or more measuring electrodes (second electrodes 145) position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cable 123 connected to a portion of the first electrode 143. When the user wears the device 100, the first electrode 143 may be positioned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auricular branch of vagus nerve 13. The structure 1400 may include a discharge port 121 (also referred to as a hole) formed to output sound stimuli through the speaker 159 to the outside (formed to be output to the user's ear), and to apply a current stimulus. have. The one or more measurement electrodes may be positioned on a portion of an ear in which a branch of a person's vagus nerve or trigeminal nerve is distributed, or at least a portion of the cable 123 around the ear. For example, the one or more measurement electrodes may include a second electrode 145 and a third electrode 147 and a fourth electrode 149 that have the same function as the second electrode 145 and the third electrode 145. The electrode 147 and the fourth electrode 149 may be respectively positioned on a part of the cable 123 corresponding to the innervation of the external ear canal in which a number of branches of a person's vagus nerve or trigeminal nerve are distributed. For example, when the user wears the device 100, the third electrode 147 and the fourth electrode 149 may be located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auticulotemporal nerve 15. .

상기 케이블(123)은 외부의 힘에 따라 형태가 변경되며 상기 외부의 힘이 제거되어도 상기 변경된 형태가 유지될 수 있는 소자 또는 외부의 힘에 따라 형태가 변경되긴 하지만 상기 외부의 힘이 제거되면 다시 원래의 형태로 되돌아 갈 수 있는 탄성 소자일 수 있다.The shape of the cable 123 is changed according to an external force, and the shape of the cable 123 is changed according to an element or an external force that can maintain the changed shape even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It may be an elastic element that can return to its original shape.

한편, 상술한 도 2의 (a)와 같은 상기 장치(100)의 형태는 하나의 예시이며, 사용자의 귀에 장착 가능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구현(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이명 치료를 위한 장치(100)는 귓바퀴(concha)에서 전류 자극을 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전극이 위치되는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장치(100)는, 도 3과 같이 사용자의 귓바퀴 구조에 기초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장치(100)는 사용자에게 전류 자극을 제공할 수 있는 전극이 2채널 전극, 예를 들어, 제1 전극(143) 및 제5 전극(146)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143) 및 제5 전극(146)은 음극(Cathode)으로 명명할 수 있다. 전류 자극을 제공하는 전극으로 자극 효과에 따라 제1 전극(143)과 제5 전극(146)을 변경하면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100)는 전류 자극과 사용자의 생체 신호 측정의 기준(Reference) 전극(144)을 포함할 수 있다. 전류 자극 시 기준 전극(144)은 양극(Anode)으로 명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전극(143) 및 제5 전극(146)은 사용자가 상기 장치(100)의 착용 시, 미주 신경의 귓바퀴 가지(auricular branch of vagus nerve)에 대응되는 부분(aVNS)에 위치될 수 있다.Meanwhile, the shape of the device 100 as shown in FIG. 2A is an example, and may be changed and implemented (manufactured) into various shapes that can be attached to the user's ear.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3, the apparatus 100 for treating tinnitus may be in a form in which one or more electrodes are positioned so as to stimulate electric current in a concha. The device 100 may be implemented based on the structure of the user's pinna as shown in FIG. 3, and the device 100 includes a two-channel electrode, for example, a first electrode capable of providing current stimulation to the user. An electrode 143 and a fifth electrode 146 may be included. The first electrode 143 and the fifth electrode 146 may be referred to as a cathode. As an electrode that provides current stimulation, the first electrode 143 and the fifth electrode 146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stimulation effect. In addition, the device 100 may include a reference electrode 144 for current stimulation and measurement of a user's biological signal. During current stimulation, the reference electrode 144 may be referred to as an anode. For example, when the user wears the device 100, the first electrode 143 and the fifth electrode 146 are in a portion (aVNS) corresponding to the auricular branch of vagus nerve. Can be located.

또한, 상술한 도 2의 (b) 및 (c)와 같은 제1 전극(143) 및 기준 전극(142)을 포함하는 구조(1400)는 예시로, 상기 제1 전극(143) 및 상기 기준 전극(142)은 상기 구조(1400) 상에서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ructure 1400 including the first electrode 143 and the reference electrode 142 as shown in (b) and (c) of FIG. 2 described above is for example, the first electrode 143 and the reference electrode The 142 may be disposed in various positions on the structure 1400.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개인 맞춤형 이명 치료를 위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a device for personalized tinnitus treat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메모리(170)에 기 저장되거나 상기 제어부(110)에 의해 생성된 소리 자극(gap-prepulse inhibition)(1001)이 스피커(159)를 통해 출력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하나 이상의 전극(145)을 통해 사용자의 뇌파 반응(auditory evoked potential)을 측정(1003)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측정된 뇌파 반응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이명 진단(이명 여부와, 이명 정도(이명 크기라고도 함) 및 이명 주파수의 결정)을 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10, a gap-prepulse inhibition 1001 previously stored in the memory 170 or generated by the controller 110 is transmitted through the speaker 159. In this case, an auditory evoked potential of the user may be measured 1003 through the at least one electrode 145. The control unit 110 may diagnose the user's tinnitus (determining whether or not tinnitus, the degree of tinnitus (also referred to as the size of tinnitus), and the tinnitus frequency) based on the measured EEG response.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이명 진단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전극(143)을 통한 미주 신경 자극(1005) 및 상기 스피커(159)를 통한 소리 자극(1007)을 제공(neuromodulation)하여 사용자의 이명 치료가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10)는 사용자의 이명 정도에 기초하여 치료 시간 및 자극 세기 등을 조절하여 개인 맞춤형 이명 치료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ntrol unit 110 provides a vagus nerve stimulation 1005 through the first electrode 143 and a sound stimulation 1007 through the speaker 159 based on the result of the tinnitus diagnosis. (neuromodulation) allows the user to treat tinnitus. For example, the controller 110 may enable personalized tinnitus treatment by adjusting treatment time and stimulation intensity based on the degree of tinnitus of the user.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소프트웨어(180)를 실행하여, 펄스전 간격법 소리 자극을 생성하여 스피커(159)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펄스전 간격법 소리 자극은, 배경음(background noise)과 펄스음(pluse noise)을 포함하는 제1 자극음과 무음 간격(silent gap)이 있는 배경음과 펄스음을 포함하는 제2 자극음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경음은 소정의 주파수 및 소정의 진폭으로 일정 시간 동안 지속되는 소리를 나타내고, 상기 펄스음은 상기 배경음이 지속되는 일정 시간보다 짧은 시간 동안 상기 배경음보다 큰 세기를 갖는 소리를 나타낸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ntroller 110 may execute the software 180 to generate a pre-pulse spacing sound stimulus and output it through the speaker 159. For example, the pre-pulse spacing method sound stimulus includes a first stimulus sound including a background noise and a pluse noise, and a second stimulus sound including a background sound and a pulse sound having a silent gap. It may include a stimulus sound. The background sound represents a sound sus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at a predetermined frequency and a predetermined amplitude, and the pulsed sound represents a sound having a greater intensity than the background sound for a period shorter than a predetermined time during which the background sound continues.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하나 이상의 측정 전극(145)을 이용하여 상기 펄스전 간격법 소리 자극에 따른 사용자의 뇌파의 반응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제1 자극음에 따른 사용자의 청성 유발 전위(AEP; auditory evoked potential)의 제1 파형과, 제2 자극음에 따른 사용자의 청성 유발 전위의 제2 파형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청성 유발 전위는 소리 자극 발생 이후 내이(inner ear)의 달팽이관(cochlea)에서부터 대뇌의 청각 피질(auditory cortex)까지의 청신경 경로(auditory pathway)에서 발생하는 전위로 일반적으로 발생하는 시간과 위치에 따라 구분된다. 그 중 소리 자극 발생 후 약 10ms 이내에 뇌간(brainstem)에서 발생하는 전위를 청성 뇌간 반응(auditory brainstem response)이라고 명명하며, 청성 뇌간 반응에서는 일반적으로 I - VII까지의 7개의 양(positive)의 극점들이 나타난다. 또한 뇌간과 대뇌 청각 피질 사이의 시상-피질 경로(thalamo-cortical pathway)에서 발생하는 반응을 청성 중기 반응(auditory middle-latency response)이라고 할 수 있으며 N0, P0, Na, Pa, Nb, Pb로 명명되는 극점들이 나타난다. 마지막으로 대뇌 청각 피질에서 발생하는 반응을 청성 후기 반응(auditory late response)이라고 할 수 있으며 대표적으로 P1, N1, P2, N2로 불리는 극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명명하는 극점의 진폭은 상기 청성 유발 전위에서 나타나는 다수의 극점들 중 하나 이상의 극점의 진폭을 의미할 수 있으며, 어떠한 극점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진폭의 크기는 극점 자체의 진폭(baseline-to-peak)의 크기일 수 있으며 극점 간의 진폭(peak-to-peak) 크기일 수도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ntrol unit 110 may measure a response of a user's brain waves according to the pre-pulse interval method sound stimulus using the one or more measuring electrodes 145. For example, the controller 110 includes a first waveform of a user's auditory evoked potential (AEP) according to the first stimulus sound, and a second waveform of the user's auditory evoked potential according to the second stimulus sound Can be measured. The auditory-induced potential is a potential that occurs in the auditory pathway from the cochlea of the inner ear to the auditory cortex of the cerebrum after the occurrence of sound stimulation. It is distinguished. Among them, the electric potential that occurs in the brainstem within about 10 ms after the occurrence of the sound stimulus is called the auditory brainstem response, and in the auditory brainstem response, generally seven positive poles ranging from I to VII are appear. In addition, the response that occurs in the thalamo-cortical pathway between the brain stem and the cerebral auditory cortex can be referred to as the auditory middle-latency response and is named N0, P0, Na, Pa, Nb, and Pb. Pole points appear. Finally, the response that occurs in the cerebral auditory cortex can be referred to as the auditory late response, and typically includes poles called P1, N1, P2, and N2. The amplitude of the poles referred to 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mean the amplitude of one or more poles among a plurality of poles appearing in the hearing inducing potential, and is not limited to any pole. In addition, the amplitude may be the amplitude of the pole itself (baseline-to-peak) and may be the amplitude between the poles (peak-to-peak).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제1 파형의 극점간 진폭과 상기 제2 파형의 극점간 진폭간의 비율인 GPI(gap prepulse inhibition ratio)를 계산하여 사용자의 이명 여부를 결정(검사, 진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명 증상을 가진 사용자의 경우 제1 자극음 및 제2 자극음에 따른 청성 유발 전위간 차이가 적으므로 GPI가 1에 가까울 수 있고, 이명 증상이 없는 일반 사용자들(일반 사용자군)의 GPI는 이명 증상을 갖는 사용자의 GPI보다 작게 나타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GPI를 입력 받아, 이명 증상을 갖는 이명 사용자군 및 이명 증상이 없는 일반 사용자군으로부터 측정하여 상기 메모리(170)에 기 저장한 기준 GPI 값들을 기초로, 사용자의 이명 여부를 결정 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ntrol unit 110 determines whether the user is tinnitus by calculating a gap prepulse inhibition ratio (GPI), which is a ratio between the amplitude between poles of the first waveform and the amplitude between poles of the second waveform. , Diagnosis). For example, in the case of users with tinnitus symptoms, the GPI may be close to 1 because the difference between the hearing-induced potential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stimulation sounds is small, and general users without tinnitus symptoms (general users group) The GPI of may appear smaller than that of users with tinnitus symptoms.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10 receives the GPI, measured from a group of users with tinnitus symptoms and a group of general users without symptoms of tinnitus, and based on the reference GPI values previously stored in the memory 170, You can decide whether the user has a tinnitus.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10)는 사용자로부터 결정된 복수의 GPI 비율을 입력 받아, 상기 이명 사용자군 및 상기 일반 사용자군에 대해 배경음의 진폭 또는 주파수를 달리하여 측정된 진폭 및 GPI를 기초로 도출하여 기저장한 분류 모델들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이명 정도와 이명 주파수를 결정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ntrol unit 110 receives a plurality of GPI ratios determined by a user, and changes the amplitude or frequency of the background sound for the tinnitus user group and the general user group, based on the measured amplitude and GPI. Based on the derived and stored classification models, the degree of tinnitus and the tinnitus frequency of the user may be determined.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술한 동작들에 따른 사용자의 이명 진단(예: 이명 정도와 이명 주파수)에 기초하여, 이명 치료를 위한 치료 방식(치료 시간 및 자극(소리 자극 및/또는 전류 자극) 세기 등)을 결정(설정,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메모리(170)는 복수의 이명 진단 유형(이명 정도 및/또는 이명 주파수) 별로 대응하는 치료 방식(치료 시간 및/또는 치료를 위한 자극(소리 자극 및/또는 전류 자극) 세기)을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복수의 이명 진단 유형 별로 대응하는 치료 방식을 기초로, 사용자의 이명 진단에 따른, 사용자의 이명 치료를 위한 치료 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based on the user's tinnitus diagnosis (eg, tinnitus degree and tinnitus frequency)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operations, the control unit 110 provides a treatment method (treatment time and stimulation (sound stimulation and / Or current stimulation) intensity, etc.) can be determined (set, check). For example, the memory 170 corresponds to a treatment method (treatment time and/or stimulation for treatment (sound stimulation and/or current stimulation) intensity) according to a plurality of tinnitus diagnosis types (tinnitus degree and/or tinnitus frequency) May be stored, and a treatment method for the user's tinnitus treatment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user's tinnitus diagnosis based on a treatment method corresponding to each of a plurality of tinnitus diagnosis types stored in the memory 170.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결정된 치료 방식(치료 시간 및/또는 치료를 위한 자극(소리 자극 및/또는 전류 자극) 세기)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이명 치료를 제공받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스피커(159)를 통한 소리 자극 및/또는 상기 제1 전극(143)을 통한 전류 자극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ntrol unit 110 may allow the user to receive tinnitus treatment based on the determined treatment method (treatment time and/or intensity of stimulation (sound stimulation and/or current stimulation) for treatment). .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10 may provide sound stimulation through the speaker 159 and/or current stimulation through the first electrode 143.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하나 이상의 전극(141) 또는 별도의 광 센서(190)를 통해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검출, 예를 들어, 심전도(electrocardiogram, ECG), 임피던스 및/또는 광용적맥파(PPG; photoplethysmogram)를 측정할 수 있으며, 상기 생체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호흡 및 심박수 정보를 결정(추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10, the biosignal of the user is detected through one or more electrodes 141 or a separate optical sensor 190, for example, an electrocardiogram (ECG), Impedance and/or photoplethysmogram (PPG) may be measured, and information on the user's respiration and heart rate may be determined (extracted) based on the biological signal.

예를 들어, 상기 측정부(150)에 포함된 상기 하나 이상의 전극(141)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검출(예를 들어, 심전도(ECG; electrocardiogram) 또는 임피던스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광센서(19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검출, 예를 들어, 광용적맥파(PPG; photoplethysmogram)를 측정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at least one electrode 141 included in the measurement unit 150 detects a user's biosignal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10 (eg, an electrocardiogram (ECG) or an impedance measurement) )can do. For example, the optical sensor 190 may detect a user's bio-signal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10, for example, measure a photoplethysmogram (PPG).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측정부(150) 및/또는 상기 광센서(190)를 통해 검출한 생체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심박수 및/또는 호흡수를 확인(추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ntroller 110 checks (extracts) the user's heart rate and/or respiration rate based on the biosignal detected through the measurement unit 150 and/or the optical sensor 190. can do.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생체 신호에 대한 약 1 내지 30Hz의 필터링을 한 이후, 생체 신호의 피크(peak)를 추출할 수 있으며, 상기 추출한 피크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심박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생체 신호에 대한 약 0.1 내지 2Hz의 필터링을 한 이후, 생체 신호의 주파수를 검출 및/또는 피크(peak)를 추출할 수 있으며, 상기 검출된 주파수 및/또는 상기 추출된 피크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호흡 수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심박수 및/또는 호흡수를 결정하는 동작은 종래에 이미 공지된 기술로 추가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For example, the controller 110 may extract a peak of the biosignal after filtering the biosignal of about 1 to 30Hz, and determine the user's heart rate based on the extracted peak. I can. For example, the controller 110 may detect a frequency of the biosignal and/or extract a peak after filtering the biosignal of about 0.1 to 2Hz, and the detected frequency and / Or the number of breaths of the user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extracted peak. The operation of determining the user's heart rate and/or respiration rate is already known in the art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장치(100)의 하나 이상의 구성을 제어하여 사용자가 이명 치료를 받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이명 치료 동안, 상기 측정부(150) 및/또는 상기 광센서(190)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심박수 및/또는 호흡수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이명 치료의 안전성 측면에서 사용자가 과도한 호흡을 하거나, 사용자의 심박수가 급격하게 변경(예를 들어, 사용자의 심박수가 서맥(bradycardia)으로 변경)되는 경우, 상기 이명 치료가 중단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만성 스트레스 지표 중 하나인 심박 변이도(HRV; heart rate variability)를 이용하여 상기 이명 치료에 대한 사용자의 스트레스에 대한 정량적인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ntrol unit 110 may control one or more components of the device 100 to allow the user to receive tinnitus treatment. During the tinnitus treatment, the measurement unit 150 and/or the light The user's heart rate and/or respiration rate may be determined using the sensor 190. The control unit 110, in terms of the safety of the tinnitus treatment, when the user breathes excessively or the user's heart rate is rapidly changed (for example, the user's heart rate is changed to bradycardia), the tinnitus treatment Can be stopped. The control unit 110 may perform a quantitative evaluation of the user's stress for the tinnitus treatment by using heart rate variability (HRV), which is one of the chronic stress indicators.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자극부(150)의 하나 이상의 전극(141)을 통한 전류 자극의 출력 및/또는 상기 스피커(159)를 통한 소리 자극의 출력 동안, 상기 측정부(150) 및/또는 상기 광센서(190)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검출할 수 있으며, 상기 검출된 생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심박수 및/또는 호흡수를 결정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10, during the output of the current stimulation through one or more electrodes 141 of the stimulation unit 150 and/or the sound stimulation through the speaker 159, the measurement unit ( 150) and/or the optical sensor 190 may detect the user's biosignal, and the user's heart rate and/or respiration rate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detected biosignal.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결정된 심박수 및/또는 호흡수가 기 설정된 기준 범위(예: 기준 심박수 범위 및/또는 기준 호흡수 범위)를 벗어나는지를 확인하고, 상기 결정된 심박수 및/또는 호흡수가 상기 기 설정된 기준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자극부(150)의 하나 이상의 전극(141)을 통한 전류 자극의 출력 및/또는 상기 스피커(159)를 통한 소리 자극의 출력을 중단시킬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ler 110 checks whether the determined heart rate and/or respiration rate is out of a preset reference range (eg, a reference heart rate range and/or a reference respiration rate range), and the determined heart rate and/or respiration rate If it is out of the preset reference range, the output of the current stimulus through the one or more electrodes 141 of the stimulation unit 150 and/or the output of the sound stimulus through the speaker 159 may be stopped.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검출된 생체 신호, 예를 들어, ECG 및 PPG를 기초로 사용자의 심박 변이도를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확인된 심박 변이도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이명 치료를 받는 동안의 스트레스를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확인된 심박 변이도와 기준 심박 변이도(임계 값이라고도 함)간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스트레스를 수치화하여 출력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controller 110 may check the user's heart rate variability based on the detected bio-signals, for example, ECG and PPG, and the user receives tinnitus treatment based on the confirmed heart rate variability. During the stress can be quantitatively evaluated.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10 may quantify and output the stress based on a result of comparing the identified heart rate variability and the reference heart rate variability (also referred to as a threshold value).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명 치료를 위해 제공하는 자극 파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5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imulation waveform provided for the treatment of tinni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의 (a)를 참조하면, 이명 치료를 위한 장치(예: 장치(100) 또는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기 설정된 조건 및/또는 이전의 이명 치료의 결과에 기초하여, 이명 치료를 위해 제공할 소리 자극의 파라미터(parameter)를 결정(설정,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소리 자극의 파라미터는, 소리 자극의 종류(tone, tone조합, white noise), 소리 자극의 크기(Amp1), 및/또는 소리 자극의 출력 시간(예: 1회 출력 시간)(d1)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명 치료를 위한 장치는 상기 소리 자극의 종류를 white noise로 결정하고, 상기 소리 자극의 크기(Amp1)를 90 dB SPL로 결정하고, 상기 소리 자극의 1회 출력 시간(d1)을 20 내지 500ms로 결정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A, a device for treating tinnitus (for example, the device 100 or the controller 110 of the device 100) is based on a preset condition and/or a result of a previous tinnitus treatment, It is possible to determine (set, change) parameters of sound stimulation to be provided for tinnitus treatment. The parameters of the sound stimulus include the type of sound stimulus (tone, tone combination, white noise), the size of the sound stimulus (Amp1), and/or the output time of the sound stimulus (eg, one output time) (d1). can do. For example, the device for the treatment of tinnitus determines the type of the sound stimulus as white noise, the magnitude of the sound stimulus (Amp1) is determined as 90 dB SPL, and the output time of the sound stimulus once (d1) Can be determined from 20 to 500 ms.

도 5의 (b)를 참조하면, 상기 이명 치료를 위한 장치는 기 설정된 조건 및/또는 이전의 이명 치료의 결과에 기초하여, 이명 치료를 위해 제공할 전류 자극의 파라미터를 결정(설정,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전류 자극의 파라미터는, 전류 자극의 크기(Amp2), 전류 자극의 너비(width)(d2), 전류 자극들 별 제공 간격(d3) 및/또는 전류 자극의 출력 시간(예: 1회 출력 시간)(d4)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명 치료를 위한 장치는 상기 전류 자극의 크기를 5mA 미만으로 결정하고, 상기 전류 자극의 너비(d2)를 5 내지 200us로 결정하고, 상기 전류 자극들 별 제공 간격(d3)을 2 내지 50ms로 결정하고, 상기 전류 자극의 1회 출력 시간(d4)을 20 내지 500ms로 결정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B, the device for tinnitus treatment determines (set, change) parameters of current stimulation to be provided for tinnitus treatment based on a preset condition and/or a result of a previous tinnitus treatment. can do. The parameters of the current stimulation include the size of the current stimulation (Amp2), the width of the current stimulation (d2), the distance provided for each current stimulation (d3), and/or the output time of the current stimulation (e.g., one output time ) (d4) may be included. For example, the device for the treatment of tinnitus determines the size of the current stimulation to be less than 5 mA, the width d2 of the current stimulation to be 5 to 200us, and the provision distance d3 for each of the current stimulations. It may be determined as 2 to 50 ms, and one output time d4 of the current stimulation may be determined as 20 to 500 ms.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소리 자극 및 상기 전류 자극은 소리 및 전류 자극 쌍(pair)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이명 치료를 위한 장치는 기 설정된 조건 및/또는 이전의 이명 치료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소리 및 전류 자극 쌍들간의 간격 및 전체 자극 시간을 결정(설정, 변경)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ound stimulation and the current stimulation may be composed of a sound and current stimulation pair, and the device for treating tinnitus is based on a preset condition and/or a result of a previous tinnitus treatment. , It is possible to determine (set, change) an interval between the sound and current stimulation pairs and a total stimulation time.

예를 들어, 상기 이명 치료를 위한 장치는 상기 소리 및 전류 자극 쌍들간의 간격을 100ms 이하로 결정할 수 있으며, 상기 전체 자극 시간의 초기 값을 30분 이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명 치료를 위한 장치는 소리 및 전류 자극 쌍들 내의 소리 및 전류 자극의 출력 타이밍(timing)을 결정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apparatus for treating tinnitus may determine an interval between the sound and current stimulation pairs to be 100 ms or less, and an initial value of the total stimulation time to be 30 minutes or more. For example, the device for treating tinnitus may determine the timing of the output of sound and current stimuli in sound and current stimulus pairs.

상술한 도 5의 이명 치료를 위해 제공하는 자극 파형은 하나의 실시 예로 후술하는 도 6 등과 같이 다양한 변경이 가능할 수 있다.The stimulation waveform provided for the tinnitus treatment of FIG. 5 described above may be variously changed as shown in FIG. 6 to be described later as an example.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명 치료를 위해 제공하는 자극 파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6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imulation waveform provided for the treatment of tinni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의 (a)를 참조하면, 이명 치료를 위해 제공할 소리 자극의 파라미터는, A1의 진폭과 F1의 주기를 포함하는 사인파 형태의 상기 소리 자극의 출력 파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명 치료를 위해 제공할 소리 자극의 파라미터는, 소리 자극의 출력 파형의 기 설정된 출력 시간(예: 1회 출력 시간)(T1, T2)과, 소리 자극의 출력 파형들의 출력 시간들(T1, T2) 사이의 기 설정된 무음 간격(T2)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A, the parameters of the sound stimulus to be provided for tinnitus treatment may include an output waveform of the sound stimulus in the form of a sine wave including an amplitude of A1 and a period of F1. In addition, the parameters of the sound stimulus to be provided for the treatment of tinnitus include a preset output time (for example, one output time) (T1, T2) of the output waveform of the sound stimulus and the output times of the output waveforms of the sound stimulus (T1 , T2) may include a preset silence interval T2.

도 6의 (b)를 참조하면, 이명 치료를 위한 전류 자극의 파라미터는, 상기 소리 자극의 출력 후,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이후 전류 자극이 출력되도록 하는, 출력 딜레이 시간(T4)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명 치료를 위한 전류 자극의 파라미터는, 하나의 주기(P1)를 갖는 구형파 및 전류 자극을 출력 하지 않는 휴지 시간(P2)을 포함하는 제1 파형(61)이 및 상기 제1 파형(61)의 출력 시간 (T5)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b) of FIG. 6, the parameter of the current stimulation for tinnitus treatment includes an output delay time (T4) for outputting the current stimulation after a preset time elapses after the sound stimulation is output. I can. In addition, the parameters of the current stimulation for the tinnitus treatment include a first waveform 61 including a square wave having one period P1 and a pause time P2 not outputting the current stimulation, and the first waveform ( 61) of the output time (T5).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명 치료를 위한 장치의 동작 및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and method of an apparatus for treating tinni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701 동작에서 이명 치료를 위한 장치(예: 장치(100) 또는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소리 자극을 출력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in operation 701, a device for treating tinnitus (eg, the device 100 or the controller 110 of the device 100) may output a sound stimulus.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장치는 기 설정되거나 상술한 실시 예에 따라 생성된 펄스전 간격법 소리 자극을 스피커(예: 스피커(159))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device may output a pre-pulse spacing sound stimulus that is preset or generated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rough a speaker (eg, speaker 159).

703 동작에서 상기 장치는 사용자의 뇌파를 검출할 수 있다.In operation 703, the device may detect the user's EEG.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장치는 하나 이상의 전극(예: 전극(145), 전극(147), 전극(149))을 통해 사용자의 뇌파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장치는 상기 소리 자극의 출력 이후 또는 상기 소리 자극의 출력 동안 상기 사용자의 뇌파를 검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device may detect a user's EEG through one or more electrodes (eg, electrode 145, electrode 147, electrode 149). For example, the device may detect the user's brain waves after or during the output of the sound stimulus.

705 동작에서 상기 장치는 사용자의 이명 정도 및 이명 주파수를 진단(결정)할 수 있다.In operation 705, the device may diagnose (determine) the degree and frequency of tinnitus of the user.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장치는 상기 검출된 뇌파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이명 정도 및 이명 주파수를 진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device may diagnose a user's tinnitus degree and tinnitus frequency based on the detected brain waves.

예를 들어, 상기 장치는 상기 검출된 뇌파에서 기 설정된 특징들을 추출할 수 있으며, 상기 추출된 특징들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이명 정도 및 이명 주파수를 진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 설정된 특징들은, N1_amp (gap), Delta_rel_power, N1P2_ratio, Theta_rel_power, N1P2_auc (gap), Alpha_rel_power, Total_auc (gap), Beta_rel_power, Total_auc (nogap), 및/또는 Gamma_rel_powe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이명 정도 및 이명 주파수의 진단의 동작에 대해서는 상술하였으므로, 세부 설명은 생략한다.For example, the device may extract preset features from the detected brain waves, and diagnose the degree of tinnitus and the tinnitus frequency of the user based on the extracted features. For example, the preset features may include N1_amp (gap), Delta_rel_power, N1P2_ratio, Theta_rel_power, N1P2_auc (gap), Alpha_rel_power, Total_auc (gap), Beta_rel_power, Total_auc (nogap), and/or Gamma_rel_power. Since the user's tinnitus degree and the operation of diagnosing the tinnitus frequency have been described above, detailed descriptions are omitted.

707 동작에서 상기 장치는 사용자의 이명 치료를 위한 자극을 출력할 수 있다.In operation 707, the device may output a stimulus for treating tinnitus of the user.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장치는 상기 이명 정도 및 이명 주파수의 진단에 기초하여, 상기 스피커를 통한 소리 자극 및 하나 이상의 전극(예: 전극(141), 전극(143))을 통한 전류 자극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소리 자극 및 전류 자극의 출력 동작에 대해서는 상술하였으므로, 세부 설명은 생략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device outputs sound stimulation through the speaker and current stimulation through one or more electrodes (eg, electrode 141 and electrode 143) based on the diagnosis of the tinnitus degree and tinnitus frequency. can do. Since the output operation of the sound and current stimula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detailed descriptions are omitted.

709 동작에서 상기 장치는 상기 이명 치료의 시간이 기 설정된 임계 시간(N)을 초과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In operation 709, the device may check whether the tinnitus treatment time exceeds a preset threshold time (N).

상기 이명 치료의 시간이 기 설정된 임계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717동작을 수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711 동작을 계속 수행할 수 있다.If the tinnitus treatment time exceeds a preset threshold time, operation 717 may be performed. Otherwise, operation 711 may be continuously performed.

711 동작에서 상기 장치는 사용자의 호흡수 및 심박수를 체크할 수 있다.In operation 711, the device may check the user's respiratory rate and heart rate.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장치는 심전도 및 광용적맥파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호흡수 및 심박수를 체크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device may measure an electrocardiogram and a photovoltaic pulse wave, and check the user's respiration rate and heart rate based on the measurement.

713 동작에서 상기 장치는 상기 체크에 따른 결과 값이 기 설정된 정상 범위(임계 범위라고도 함)를 벗어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In operation 713, the device may check whether a result value according to the check exceeds a preset normal range (also referred to as a threshold range).

상기 체크에 따른 결과 값이 기 설정된 정상 범위를 벗어나면 715 동작을 수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707 동작을 계속 수행할 수 있다.If the result value according to the check is out of a preset normal range, operation 715 may be performed. Otherwise, operation 707 may be continued.

715 동작에서 상기 장치는 상기 체크에 따른 결과 값이 정상 범위를 벗어남을 나타내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In operation 715, the device may output information indicating that a result value according to the check is out of a normal range.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장치는 상기 장치와 통신 연결된 표시 장치로 상기 정보가 시각적으로 출력되도록, 상기 정보를 상기 표시 장치로 전달 및/또는 상기 정보를 상기 장치의 스피커를 통해 음성으로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device transmits the information to the display device and/or outputs the information as a voice through a speaker of the device so that the information is visually output to a display device communicating with the device. I can.

상기 715 동작 이후, 본 실시예의 동작을 종료할 수 있다.After operation 715,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terminated.

717 동작에서 상기 장치는 사용자의 뇌파를 검출할 수 있다.In operation 717, the device may detect the user's EEG.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장치는 하나 이상의 전극(예: 전극(141), 전극(145))을 통해 사용자의 뇌파를 검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device may detect a user's EEG through one or more electrodes (eg, electrode 141 and electrode 145).

719 동작에서 상기 장치는 사용자의 이명 정도 및 이명 주파수를 진단할 수 있다.In operation 719, the device may diagnose the degree and frequency of tinnitus of the user.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장치는 상기 검출된 뇌파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이명 정도 및 이명 주파수를 진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device may diagnose a user's tinnitus degree and tinnitus frequency based on the detected brain waves.

721 동작에서는 상기 장치는 상기 이명 치료의 효과를 판단할 수 있다.In operation 721, the device may determine the effect of the tinnitus treatment.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장치는 상기 이명 정도 및 이명 주파수의 진단에 기초하여 상기 이명 치료의 효과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장치는 705 동작에서 진단한 이명 정도 및 이명 주파수와 713 동작에서 진단한 이명 정도 및 이명 주파수를 비교하여, 상기 이명 치료의 효과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장치는, 상기 이명 치료의 효과를 수치화하여 출력할 수 있으며, 상기 수치화에 따른 값을 기초로 상기 이명 치료의 효과를 판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device may determine the effect of the tinnitus treatment based on the diagnosis of the tinnitus degree and tinnitus frequency. For example, the device may determine the effect of the tinnitus treatment by comparing the degree and tinnitus frequency diagnosed in operation 705 with the degree and tinnitus frequency diagnosed in operation 713. For example, the device may digitize and output the effect of the tinnitus treatment, and determine the effect of the tinnitus treatment based on a value according to the digitization.

상술한 도 7의 실시 예에서, 추가로 상기 장치는 상기 이명 치료의 효과에 대응하는 시각적 정보를 상기 장치의 표시부(미도시)를 통해 출력 및/또는 상기 이명 치료의 효과에 대응하는 청각적 정보를 상기 장치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여, 사용자가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FIG. 7 described above, the device additionally outputs visu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effect of the tinnitus treatment through a display unit (not shown) of the device and/or audio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effect of the tinnitus treatment. Is output through the speaker of the device, so that the user can confirm.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명 치료를 위한 동작의 흐름도이다.8 is a flowchart of an operation for treating tinni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를 참조하면, 801 동작에서 이명 치료를 위한 장치(예: 장치(100) 또는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상기 장치의 스피커(예: 스피커(159))를 통해 제1 소리 자극을 출력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in operation 801, a device for treating tinnitus (for example, the device 100 or the controller 110 of the device 100) provides a first sound through a speaker (for example, the speaker 159) of the device. Can output stimulation.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장치는, 상기 스피커, 상기 스피커를 통한 소리 자극이 외부로 출력되도록 형성된 방출구를 포함하며 사용자의 귀의 일부분에 장착될 수 있는 형태의 제1 전극(예: 제1 전극(143)), 상기 스피커 및 상기 제1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케이블(예: 케이블(123)) 및 상기 케이블의 적어도 일부분에 위치되며 상기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제2 전극(예: 하나 이상의 제2 전극(145))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전극이 위치되는 상기 케이블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귀에서의 귓바퀴 가지(auricular branch of vagus nerve) 부분 또는 외이도 내(in-the-ear, ear canal) 부분 또는 귓바퀴 뒤 쪽 (behind-the-ear) 두피 부분에 대응하도록 미리 결정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device includes the speaker and a discharge port formed to output sound stimuli through the speaker to the outside, and a first electrode (eg, a first electrode) that can be mounted on a portion of a user's ear. (143)), a cable (for example, a cable 123)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peaker and the first electrode, and at least one second electrode (for example, one or more second electrodes locat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cabl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able) One or more second electrodes 145) may be included. For example, at least a portion of the cable on which the second electrode is located is a part of the auricular branch of vagus nerve in the ear or in the in-the-ear (ear canal) part or behind the auricle. (behind-the-ear) It may include a predetermined portion to correspond to the scalp portion.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소리 자극은, 펄스음(pulse noise)과 제1 배경음(background noise)을 포함하는 제1 자극음 및 펄스음과 무음 간격(silent gap)이 있는 제2 배경음을 포함하는 복수의 제2 자극음들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irst sound stimulus includes a first stimulus sound including a pulse noise and a first background noise, and a second background sound with a pulse sound and a silent gap. 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included second stimulus sounds.

803 동작에서, 상기 장치는, 상기 제1 소리 자극의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장치의 하나 이상의 제2 전극을 통해 사용자의 뇌파를 검출할 수 있다.In operation 803, the device may detect an EEG of a user through one or more second electrodes of the device, based on the output of the first sound stimulus.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장치는 상기 제1 자극음에 따른 상기 사용자의 청성 유발 전위의 제1 파형과 상기 복수의 제2 자극음들에 따른 상기 사용자의 청성 유발 전위의 복수의 제2 파형들을 검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device may generate a first waveform of the user's hearing-induced potential according to the first stimulus sound and a plurality of second waveforms of the user's hearing-induced potential according to the plurality of second stimulus sounds. Can be detected.

805 동작에서, 상기 장치는, 상기 검출된 뇌파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이명 진단을 수행할 수 있다.In operation 805, the device may diagnose tinnitus of the user based on the detected EEG.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장치는 상기 제1 파형의 극점간 진폭과 상기 복수의 제2 파형들의 극점간 진폭 간의 비율인 복수의 GPI(gap prepulse inhibition) 비율들을 계산하여 상기 사용자의 이명 진단을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device performs tinnitus diagnosis of the user by calculating a plurality of GPI (gap prepulse inhibition) ratios, which is a ratio between the amplitude between poles of the first waveform and the amplitudes between poles of the plurality of second waveforms. can do.

807 동작에서, 상기 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이명 진단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스피커를 통한 제2 소리 자극의 출력 및 상기 장치의 제1 전극을 통한 전류 자극을 출력할 수 있다.In operation 807, the device may output a second sound stimulus through the speaker and a current stimulus through a first electrode of the device, based on a result of the user's tinnitus diagnosis.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장치는 기 저장된 이명 유형 별 대응하는 소리 자극 파라미터 및 전류 자극 파라미터 및 상기 사용자의 이명 진단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소리 자극의 출력 및 상기 사용자의 이명 진단에 대응하는 상기 전류 자극의 출력을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device outputs the second sound stimulus and corresponds to the user's tinnitus diagnosis based on the pre-stored sound stimulation parameter and current stimulation parameter corresponding to each tinnitus type, and a result of the user's tinnitus diagnosis. The current stimulation can be output.

상술한 도 8의 실시 예에 추가로, 상기 장치는 광 센서(예: 광 센서(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는, 상기 스피커를 통한 상기 제2 소리 자극의 출력 및 상기 제1 전극을 통한 상기 전류 자극을 출력하는 동안,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전극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심전도(ECG; electrocardiogram)를 측정하며, 상기 광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광용적맥파(PPG; photoplethysmogram)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는, 상기 측정된 심전도 및 상기 측정된 광용적맥파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심박 변이도를 확인하며, 기 설정된 심박 변이도 별 대응하는 스트레스 정보를 기초로, 상기 확인된 심박 변이도에 대응하는 상기 사용자의 스트레스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장치는, 상기 스트레스를 수치화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는, 상기 측정된 심전도 및 상기 측정된 광용적맥파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심박수 및 호흡수를 결정하며, 상기 결정된 심박수 및 호흡수가 기 설정된 임계 범위를 초과하면, 상기 스피커를 통한 상기 제2 소리 자극의 출력 및 상기 제1 전극을 통한 상기 전류 자극을 출력을 중단하거나 감소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embodiment of FIG. 8 described above, the device may further include an optical sensor (eg, the optical sensor 190). In addition, the device, while outputting the second sound stimulus through the speaker and the current stimulus through the first electrode, the user's electrocardiogram (ECG) through the at least one second electrode. It is measured, and the user's photoplethysmogram (PPG) may be measured using the optical sensor. In addition, the device, based on the measured ECG and the measured optical volume pulse wave, checks the user's heart rate variability, and corresponds to the confirmed heart rate variability based on stres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preset heart rate variability The stress of the user can be determined. For example, the device may quantify and output the stress. In addition, the device determines the user's heart rate and respiration rate based on the measured electrocardiogram and the measured optical volumetric pulse wave, and when the determined heart rate and respiration rate exceed a preset threshold range, the speaker The output of the second sound stimulus and the current stimulus through the first electrode may be controlled to stop or decrease the output.

상술한 실시 예에 추가로, 상기 장치는 지정된 기준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소리 자극의 출력 및 상기 전류 자극의 출력이 종료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출력의 종료 이후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전극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뇌파를 재검출하며, 상기 재검출된 뇌파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이명 진단을 재 수행하며, 상기 수행된 이명 진단의 결과 및 상기 재 수행된 이명 진단의 결과를 비교하여 이명 치료의 효과를 결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device controls the output of the second sound stimulus and the output of the current stimulus to end based on a designated reference time, and after the output is terminated, the at least one second electrode The effect of tinnitus treatment by re-detecting the user's EEG, re-performing the user's tinnitus diagnosis based on the re-detected EEG, and comparing the result of the performed tinnitus diagnosis and the result of the re-performed tinnitus diagnosis Can be determined.

한편,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제1 전극(예: 제1 전극(143))과 제2 전극(예: 하나 이상의 제2 전극(145)이 각각 분리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장치(예: 장치(100))는 하나의 전극만을 포함하여, 상기 하나의 전극이 전류 또는 전압 자극을 출력하고,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을 위해, 상기 장치는 후술하는 도 9과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first electrode (for example, the first electrode 143) and the second electrode (for example, one or more second electrodes 145)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100) includes only one electrode, the one electrode outputs a current or voltage stimulus and detects a user's bio-signal For this operation, the device is configured as shown in FIG. 9 to be described later. It may include.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개인 맞춤형 이명 치료를 위한 장치의 블록도이다.9 is a block diagram of an apparatus for personalized tinnitus treat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장치(100)는 도 1의 구성들, 예를 들어, 제어부(110), DAC(digital analog converter;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131), 전류 자극 회로(133), DAC(135), 오디오 앰프(137), 스피커(139), 광센서(190), Analog Front-End(151), 및/또는 ADC(analog digital converter;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153)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 구성 요소들은 도 1의 구성 요소들과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장치(100)는 도 1의 제1 전극(143) 및 제2 전극(145) 대신, 하나의 전극(14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치(100)는, 스위치(90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901)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기초하여, 상기 전극(141)이, 사용자의 생체 신호(예를 들어, 심전도 또는 임피던스)를 검출할 수 있도록 Analog Front-End(151)로 연결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전극(151)이 전류 또는 전압 자극을 출력하도록 하기 위해 전류 자극 회로(153)에 연결되도록, 스위칭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the device 100 includes the components of FIG. 1, for example, a controller 110, a digital analog converter (DAC) 131, a current stimulation circuit 133, and a DAC ( 135), an audio amplifier 137, a speaker 139, an optical sensor 190, an analog front-end 151, and/or an analog digital converter (ADC) 153, Each component may perform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component of FIG. 1. The device 100 may include one electrode 141 instead of the first electrode 143 and the second electrode 145 of FIG. 1. The device 100 may further include a switch 901. The switch 901 is connected to the analog front-end 151 so that the electrode 141 can detect a user's bio-signal (eg, electrocardiogram or impedance) based on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10 Alternatively, the electrode 151 may be switched to be connected to the current stimulation circuit 153 in order to output a current or voltage stimulation.

이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장치(100)는, 스피커(예: 스피커(139)), 하나의 전극 및/또는 상기 스피커 및 상기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케이블(예: 케이블(123))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하나의 전극은, 상기 장치의 스피커를 통한 제1 소리 자극이 외부로 출력되도록 형성된 방출구를 포함하며 사용자의 귀의 일부분에 장착될 수 있는 형태를 가지며 전류 또는 전압 자극을 출력하며, 상기 제1 소리 자극의 출력에 응답하여 발생하는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According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vice 100 includes a speaker (eg, a speaker 139), an electrode, and/or a cable (eg, a cable (eg, a cabl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peaker and the electrode). 123)). For example, the one electrode includes an outlet formed to output a first sound stimulus through a speaker of the device to the outside, has a shape that can be mounted on a part of the user's ear, and outputs a current or voltage stimulus. , It is possible to detect a user's biosignal generated in response to the output of the first sound stimulus.

도 2를 참조하여, 상술한 도 9의 실시 예에서의 상기 하나의 전극은, 도 2에서의 제1 전극(143) 또는 제2 전극(145)일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143)과 상기 제2 전극(145)을 비교하면, 사용자에게 전류 또는 전압 자극을 제공하는데 있어서, 상기 제2 전극(145)이 상기 제1 전극(143)에 비해 덜 효과적일 수 있으나, 상기 제2 전극(145) 또한 사용자에게 전류 또는 전압 자극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검출하는데 있어서, 상기 제1 전극(143)이 상기 제2 전극(145)에 비해 덜 효과적일 수 있으나, 상기 제1 전극(143) 또한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이명의 치료적인 측면을 고려할 경우, 상기 장치(100)는 상기 하나의 전극으로 상기 제1 전극(143)을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one electrode in the embodiment of FIG. 9 described above may be the first electrode 143 or the second electrode 145 in FIG. 2. Comparing the first electrode 143 and the second electrode 145, the second electrode 145 may be less effective than the first electrode 143 in providing current or voltage stimulation to a user. However, the second electrode 145 may also provide current or voltage stimulation to the user. In detecting the user's biosignal, the first electrode 143 may be less effective than the second electrode 145, but the first electrode 143 may also detect the user's biosignal. Accordingly, when considering the therapeutic aspect of the user's tinnitus, the device 100 may include the first electrode 143 as the single electrode.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개인 맞춤형 이명 치료를 위한 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0 and 11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a device for personalized tinnitus treat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개인 맞춤형 이명 치료를 위한 양이 타입의 장치(1000)는, 전류 또는 전압 자극을 출력할 수 있는 전극(예: 제1 전극(143))과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검출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제2 전극(예: 하나 이상의 제2 전극(145))을 포함하는 장치를, 두 개 포함하여, 사용자의 오른 쪽 귀와 왼쪽 귀에 각각 착용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양이 형태에서의 자극 전극 및 좌우 전극의 조합으로 사용자의 청성 유발 반응을 포함하는 뇌파 및 심전도를 측정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0 and 11, a yangyi type device 1000 for personalized tinnitus treatment includes an electrode (eg, a first electrode 143) capable of outputting a current or voltage stimulus and a user's biosignal. Two devices including one or more second electrodes (for example, one or more second electrodes 145) capable of detecting a signal may be included to be worn on the right ear and the left ear of the user, respectively.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measure EEG and electrocardiogram including a user's hearing-induced response by a combination of the stimulating electrode and the left and right electrodes in a bilateral form.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장치(1000)는 양이 타입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치(1000)는 사용자(1001)가 자신의 양쪽 귀에 착용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상기 장치(1000)는, 케이블(1230), 제1 장치(100-1) 및 제2 장치(100-2)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the device 1000 may be implemented in a yang typ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0, the device 1000 may be implemented so that the user 1001 can wear it on both ears of the user 1001. Accordingly, the device 1000 may include a cable 1230, a first device 100-1 and a second device 100-2.

상기 제1 장치(100-1)는, 제1-1 전극(143-1) 및 제1 기준 전극(미도시)을 포함하는 제1 구조(1400-1), 상기 제1-1 전극(143-1)의 일부분과 연결되는 제1 케이블(123-1) 및 상기 제1 케이블(123-1)의 적어도 일부분에 위치되는 하나 이상의 제2-1 전극(145-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제2-1 전극(145-1)은 제3-1 전극(147-1), 제4-1 전극(149-1) 및 제4 기준 전극(1113)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device 100-1 includes a first structure 1400-1 including a 1-1 electrode 143-1 and a first reference electrode (not shown), and the 1-1 electrode 143 -1) may include a first cable 123-1 connected to a portion of the first cable 123-1 and one or more second-1 electrodes 145-1 positioned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cable 123-1. The one or more 2-1 electrodes 145-1 may include a 3-1 electrode 147-1, a 4-1 electrode 149-1, and a fourth reference electrode 1113.

상기 제2 장치(100-2)는, 제1-2 전극(143-2) 및 제2 기준 전극(미도시)을 포함하는 제2 구조(1400-2), 상기 제1-2 전극(143-2)의 일부분과 연결되는 제2 케이블(123-2) 및 상기 제2 케이블(123-2)의 적어도 일부분에 위치되는 하나 이상의 제2-2 전극(145-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제2-2 전극(145-2)은 제3-2 전극(147-2), 제4-2 전극(149-2) 및 제3 기준 전극(1111)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device 100-2 includes a second structure 1400-2 including a 1-2th electrode 143-2 and a second reference electrode (not shown), and the 1-2nd electrode 143 It may include a second cable 123-2 connected to a portion of -2) and one or more second-2 electrodes 145-2 position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cable 123-2. The one or more 2-2 electrodes 145-2 may include a 3-2 electrode 147-2, a 4-2 electrode 149-2, and a third reference electrode 1111.

상기 제1-1 전극(143-1) 및 상기 제1-2 전극(143-2)은 각각 도 2의 제1 전극(143)과 대응되고, 상기 제1 기준 전극 및 상기 제2 기준 전극은 각각 도 2의 기준 전극(144)과 대응되고, 상기 제1 구조(1400-1) 및 상기 제2 구조(1400-2)는 각각 도 2의 구조(1400)와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제1 케이블(123-1) 및 상기 제2 케이블(123-2)은 각각 도 2의 케이블(123)과 대응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제2-1 전극(145-1)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제2-2 전극(145-2)은 도 2의 하나 이상의 제2 전극(145)과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제3-1 전극(147-1) 및 제3-2 전극(147-2)은 도 2의 제3 전극(147)과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제4-1 전극(149-1) 및 제4-2 전극(149-2)은 도 2의 제4 전극(149)과 대응될 수 있다.The 1-1 electrode 143-1 and the 1-2 electrode 143-2 correspond to the first electrode 143 of FIG. 2, respectively, and the first reference electrode and the second reference electrode are Each corresponds to the reference electrode 144 of FIG. 2, and the first structure 1401-1 and the second structure 1400-2 may correspond to the structure 1400 of FIG. 2, respectively. Each of the first cable 123-1 and the second cable 123-2 may correspond to the cable 123 of FIG. 2. The one or more 2-1 electrodes 145-1 and the one or more 2-2 electrodes 145-2 may correspond to the one or more second electrodes 145 of FIG. 2. The 3-1 electrode 147-1 and the 3-2 electrode 147-2 may correspond to the third electrode 147 of FIG. 2. The 4-1 electrode 149-1 and the 4-2 electrode 149-2 may correspond to the fourth electrode 149 of FIG. 2.

상기 케이블(1230)은 상기 제1 장치(100-1)의 제1 케이블(123-1)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장치(100-2)의 제2 케이블(123-2)과 전기 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The cable 123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able 123-1 of the first device 100-1, and the second cable 123-2 of the second device 100-2 and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한편, 상기 제3-1 전극(147-1)과 상기 제4-1 전극(149-1) 간의 이격 거리와, 상기 제3-2 전극(147-2)과 상기 제4-2 전극(149-2) 간의 이격 거리는 최대한 멀게 유지하는 것이, 생체 신호의 측정에 더 효율적일 수 있다.Meanwhile, a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3-1 electrode 147-1 and the 4-1 electrode 149-1, and the 3-2 electrode 147-2 and the 4-2 electrode 149 -2) Keeping the separation distance as far as possible may be more efficient for measuring bio-signals.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양이 타입의 장치(1000)가 포함하는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세부 구성은, 제1 측정부(1100), 제2 측정부(1200), 심전도 획득부(1300), 제3-1 전극(147-1), 제4-1 전극(149-1), 제3-2 전극(147-2), 제4-2 전극(149-2), 제3 기준 전극(1111), 및 제4 기준 전극(1113)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detailed configurations for measuring a user's biosignal included in the yangyi type device 1000 include a first measurement unit 1100, a second measurement unit 1200, and an electrocardiogram acquisition unit ( 1300), the 3-1 electrode 147-1, the 4-1 electrode 149-1, the 3-2 electrode 147-2, the 4-2 electrode 149-2, the third reference An electrode 1111 and a fourth reference electrode 1113 may be included.

상기 제3-1 전극(147-1), 제4-1 전극(149-1), 제3 기준 전극(1111)은, 오른쪽 귀의 생체 신호 측정에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제3-2 전극(147-2), 제4-2 전극(149-2), 제4 기준 전극(1113)은, 왼쪽 귀의 생체 신호의 측정에 이용될 수 있다. The 3-1 electrode 147-1, the 4-1 electrode 149-1, and the third reference electrode 1111 may be used to measure a biosignal of the right ear. The 3-2 electrode 147-2, the 4-2 electrode 149-2, and the fourth reference electrode 1113 may be used to measure a biosignal of the left ear.

상기 제1 측정부(1100)는, 상기 오른쪽 귀의 생체 신호 측정을 위한 구성으로, 제3-1 전극(147-1)과 제4-1 전극(149-1) 간의 전위차를 측정할 수 있으며, 상기 측정된 전위차의 값으로부터 출력 신호를 추출하여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1 측정부(1100)는 제3-1 전극(147-1)과 제4-1 전극(149-1) 간의 전위차로부터 오른쪽 귀의 생체 신호를 추출하기 위한 신호 처리부(523)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measurement unit 1100 is a component for measuring a biosignal of the right ear, and may measure a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3-1 electrode 147-1 and the 4-1 electrode 149-1, The output signal may be extracted and output from the measured potential difference value. The first measurement unit 1100 may include a signal processing unit 523 for extracting a biosignal of the right ear from a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3-1 electrode 147-1 and the 4-1 electrode 149-1. have.

상기 제2 측정부(1200)는, 상기 왼쪽 귀의 생체 신호 측정을 위한 구성으로, 제3-2 전극(147-2)과 제4-2 전극(149-2) 간의 전위차를 측정할 수 있으며, 상기 측정된 전위차의 값으로부터 출력 신호를 추출하여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2 측정부(1200)는 제3-2 전극(147-2)과 제4-2 전극(149-2) 간의 전위차로부터 오른쪽 귀의 생체 신호를 추출하기 위한 신호 처리부(524)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measuring unit 1200 is configured for measuring a biosignal of the left ear, and may measure a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3-2 electrode 147-2 and the 4-2 electrode 149-2, The output signal may be extracted and output from the measured potential difference value. The second measuring unit 1200 may include a signal processing unit 524 for extracting a biosignal of the right ear from a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3-2 electrode 147-2 and the 4-2 electrode 149-2. have.

한편, 상기 장치(1000)는, 스위치(1115), 제3 기준 전극(1111) 및 제4 기준 전극(1113)을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1115)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상기 오른쪽 귀의 생체 신호 측정 시에는 제3 기준 전극(1111)과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왼쪽 귀의 생체 신호 측정 시에는 제4 기준 전극(1113)과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Meanwhile, the device 1000 includes a switch 1115, a third reference electrode 1111, and a fourth reference electrode 1113, and according to a switching operation of the switch 1115, the biosignal of the right ear is measured. During the time, it may be connected to the third reference electrode 1111, and when the biosignal of the left ear is measured, the fourth reference electrode 1113 may be connected.

추가로, 사용자의 심전도를 획득하기 위해, 상기 심전도 획득부(1300)는, 제3-1 전극(147-1)과 제3-2 전극(147-2) 간의 전위차를 측정할 수 있으며, 상기 측정된 전위차의 값을 심전도 출력 신호로서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도 11의 실시 예에서는 스위치(1115)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제3 기준 전극(1111) 또는 제4 기준 전극(1113)이 상기 장치(1000)와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이러한 구성의 경우, 사용자의 한쪽 귀의 청성 유발 반응인 생체 신호를 개별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3 기준 전극(1111) 또는 제4 기준 전극(1113)이 하나의 기준 전극으로 구현되고, 상기 스위치(1115)가 제외되어, 상기 양쪽 귀의 청성 유발 반응인 생체 신호를 동시에 측정하도록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acquire the user's electrocardiogram, the electrocardiogram acquisition unit 1300 may measure a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3-1 electrode 147-1 and the 3-2 electrode 147-2, and the The measured potential difference value may be output as an ECG output signal.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f FIG. 11,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third reference electrode 1111 or the fourth reference electrode 1113 are connected to the device 1000 according to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switch 1115. In this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individually measure a biosignal, which is an audible response of one ear of the user. Howev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third reference electrode 1111 or the fourth reference electrode 1113 is implemented as one reference electrode, and the switch 1115 is excluded, so that the hearing-induced reaction of both ears is a living body. It is also possible to measure signals simultaneously.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machine-readable storage media)(예: 메모리(215)(내장 메모리 또는 외장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로 구현될 수 있다. 기기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명령어를 호출하고, 호출된 명령어에 따라 동작이 가능한 장치로서,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명령이 프로세서(예: 프로세서(201))에 의해 실행될 경우, 프로세서가 직접, 또는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하에 다른 구성요소들을 이용하여 상기 명령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명령은 컴파일러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생성 또는 실행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신호(signal)를 포함하지 않으며 실재(tangible)한다는 것을 의미할 뿐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 또는 임시적으로 저장됨을 구분하지 않는다.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ocument include instructions stored in a machine-readable storage media (eg, memory 215 (internal memory or external memory)) that can be read by a machine (eg, a computer). It can be implemented in software (eg, a program). The device is a device capable of calling a stored command from a storage medium and operating according to the called command, and may include an electronic device (eg, the electronic device 200) according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When the command is executed by a processor (for example, the processor 201), the processor may perform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command directly or by using other components under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Instructions may include code generated or executed by a compiler or interpreter. A storage medium that can be read by a device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Here,'non-transient' means that the storage medium does not contain a signal and is tangible, but does not distinguish between semi-permanent or temporary storage of data in the storage medium.

일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xample, the method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document may be provided by being included in a computer program product.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 등이 가능함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즉,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etc.,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easy to see that this is possible. That is,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the technical idea,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후술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Accordingly,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and all technical thought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의학 분야에서 이명 진단 및 이명 치료에 이용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tinnitus in the medical field.

100: 장치 110: 제어부
131: DAC 133: 전류 자극 회로
135: DAC 137: 오디오 앰프
139: 스피커 143: 제1 전극
145: 제2 전극 150: 측정부
151: Analog Front-End 153: ADC
170: 메모리 180: 소프트웨어
190: 광센서
100: device 110: control unit
131: DAC 133: current stimulation circuit
135: DAC 137: audio amplifier
139: speaker 143: first electrode
145: second electrode 150: measuring unit
151: Analog Front-End 153: ADC
170: memory 180: software
190: light sensor

Claims (17)

개인 맞춤형 이명 치료를 위한 장치에 있어서,
스피커;
상기 스피커를 통한 제1 소리 자극이 외부로 출력되도록 형성된 방출구를 포함하며 사용자의 귀의 일부분에 장착될 수 있는 형태를 가지며 전류 또는 전압 자극을 출력할 수 있는 제1 전극; 및
상기 제1 소리 자극의 출력에 응답하여 발생하는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검출하는 하나 이상의 제2 전극과, 상기 제 1 전극 및 상기 제 2 전극을 제어하는 제어부를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생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이명 진단을 수행하며,
상기 사용자에 대한 이명 진단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스피커를 통한 제2 소리 자극의 출력 및 상기 제1 전극을 통한 전류 자극을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기 저장된 이명 유형 별 대응하는 소리 자극 파라미터 및 전류 자극 파라미터 및 상기 사용자의 이명 진단의 결과를 기초로, 상기 제2 소리 자극의 출력 및 상기 제1 전극을 통한 전류 자극의 출력을 제어하는 개인 맞춤형 이명 치료를 위한 장치.
In the device for personalized tinnitus treatment,
speaker;
A first electrode that includes a discharge port formed to output a first sound stimulus through the speaker to the outside, has a shape that can be mounted on a portion of a user's ear, and can output a current or voltage stimulus; And
At least one second electrode for detecting a user's bio-signal generated in response to the output of the first sound stimulus,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The control unit,
Performing tinnitus diagnosis for the user based on the detected biometric signal,
Control to output a second sound stimulus through the speaker and a current stimulus through the first electrode based on the result of the tinnitus diagnosis for the user,
Personalized tinnitus that controls the output of the second sound stimulus and the output of the current stimulus through the first electrode based on the pre-stored sound stimulus parameter and current stimulus parameter for each tinnitus type and the result of the user's tinnitus diagnosis Device for treatmen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및 상기 제1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케이블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전극은, 상기 케이블의 적어도 일부분에 위치되며 상기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는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개인 맞춤형 이명 치료를 위한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abl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peaker and the first electrode,
The one or more second electrodes are position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cable and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able, and the control un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able,
A device for personalized tinnitus treatment.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전극이 위치되는 상기 케이블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귀에서의 귓바퀴 가지(auricular branch of vagus nerve) 부분 또는 외이도 내(in-the-ear, ear canal) 부분 또는 귓바퀴 뒤 쪽 (behind-the-ear) 두피 부분에 대응하도록 미리 결정된 부분을 포함하는 개인 맞춤형 이명 치료를 위한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at least a portion of the cable on which the one or more second electrodes are located,
Including a predetermined portion to correspond to the auricular branch of the vagus nerve portion in the ear or the in-the-ear (ear canal) portion or the portion of the scalp behind the auricle (behind-the-ear) A device for personalized tinnitus treatmen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생체 신호는 상기 사용자의 뇌파를 포함하는 개인 맞춤형 이명 치료를 위한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device for personalized tinnitus treatment, wherein the user's bio-signal includes the user's brain waves.
제 2항에 있어서,
다른 스피커;
상기 다른 스피커를 통한 상기 제1 소리 자극이 외부로 출력되도록 형성된 방출구를 포함하며 사용자의 귀의 일부분에 장착될 수 있는 형태를 가지며 전류 또는 전압 자극을 출력할 수 있는 제1 추가 전극;
상기 다른 스피커 및 상기 제1 추가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른 케이블; 및
상기 다른 케이블의 적어도 일부분에 위치되며 상기 다른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 소리 자극의 출력에 응답하여 발생하는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검출하는 하나 이상의 제2 추가 전극을 더 포함하며,
상기 다른 케이블은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개인 맞춤형 이명 치료를 위한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Different speakers;
A first additional electrode that includes a discharge hole formed to output the first sound stimulus through the other speaker to the outside, has a shape that can be mounted on a portion of the user's ear, and can output a current or voltage stimulus;
Another cabl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ther speaker and the first additional electrode; And
One or more second additional electrodes position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other cabl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ther cable to detect a user's bio-signal generated in response to an output of the first sound stimulus,
The other cabl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a device for personalized tinnitus treatmen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소리 자극은,
펄스음(pulse noise)과 제1 배경음(background noise)을 포함하는 제1 자극음 및 펄스음과 무음 간격(silent gap)이 있는 제2 배경음을 포함하는 복수의 제2 자극음들을 포함하는 개인 맞춤형 이명 치료를 위한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sound stimulus,
Personalization including a plurality of second stimulus sounds including a first stimulus sound including pulse noise and a first background noise, and a second background sound with a pulse sound and a silent gap Device for the treatment of tinnitus.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자극음에 따른 상기 사용자의 청성 유발 전위의 제1 파형과 상기 복수의 제2 자극음들에 따른 상기 사용자의 청성 유발 전위의 복수의 제2 파형들을 검출하며,
상기 제1 파형의 극점간 진폭과 상기 복수의 제2 파형들의 극점간 진폭 간의 비율인 복수의 GPI(gap prepulse inhibition) 비율들을 계산하여 상기 사용자의 이명 진단을 수행하는 개인 맞춤형 이명 치료를 위한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control unit,
Detecting a first waveform of the user's hearing-induced potential according to the first stimulus sound and a plurality of second waveforms of the user's hearing-induced potential according to the plurality of second stimulus sounds,
A device for personalized tinnitus treatment for performing tinnitus diagnosis of the user by calculating a plurality of GPI (gap prepulse inhibition) ratios, which is a ratio between the pole-to-pole amplitude of the first waveform and the plurality of second waveforms.
개인 맞춤형 이명 치료를 위한 장치에 있어서,
스피커;
상기 스피커를 통한 제1 소리 자극이 외부로 출력되도록 형성된 방출구를 포함하며 사용자의 귀의 일부분에 장착될 수 있는 형태를 가지며 전류 또는 전압 자극을 출력할 수 있는 제1 전극; 및
상기 제1 소리 자극의 출력에 응답하여 발생하는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검출하는 하나 이상의 제2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생체 신호는 심전도를 포함하는 개인 맞춤형 이명 치료를 위한 장치.
In the device for personalized tinnitus treatment,
speaker;
A first electrode that includes a discharge port formed to output a first sound stimulus through the speaker to the outside, has a shape that can be mounted on a portion of a user's ear, and can output a current or voltage stimulus; And
And one or more second electrodes for detecting a user's bio-signal generated in response to the output of the first sound stimulus,
The biological signal is a device for personalized tinnitus treatment including an electrocardiogram.
개인 맞춤형 이명 치료를 위한 장치에 있어서,
스피커;
상기 스피커를 통한 제1 소리 자극이 외부로 출력되도록 형성된 방출구를 포함하며 사용자의 귀의 일부분에 장착될 수 있는 형태를 가지며 전류 또는 전압 자극을 출력할 수 있는 제1 전극;
상기 제1 소리 자극의 출력에 응답하여 발생하는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검출하는 하나 이상의 제2 전극과, 상기 제 1 전극 및 상기 제 2 전극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광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생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이명 진단을 수행하며, 상기 사용자의 이명 진단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스피커를 통한 제2 소리 자극의 출력 및 상기 제1 전극을 통한 전류 자극을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스피커를 통한 상기 제 2 소리 자극의 출력 및 상기 제1 전극을 통한 상기 전류 자극을 출력하는 동안,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전극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심전도(ECG; electrocardiogram)를 측정하며, 상기 광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광용적맥파(PPG; photoplethysmogram)를 측정하는 개인 맞춤형 이명 치료를 위한 장치.
In the device for personalized tinnitus treatment,
speaker;
A first electrode that includes a discharge port formed to output a first sound stimulus through the speaker to the outside, has a shape that can be mounted on a portion of a user's ear, and can output a current or voltage stimulus;
At least one second electrode for detecting a user's bio-signal generated in response to the output of the first sound stimulus,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nd a light sensor,
The control unit,
Based on the detected bio-signal, the user's tinnitus is diagnosed, and based on the result of the user's tinnitus diagnosis, outputting a second sound stimulus through the speaker and a current stimulus through the first electrode Control,
While outputting the second sound stimulus through the speaker and the current stimulus through the first electrode, the user's electrocardiogram (ECG) is measured through the at least one second electrode, and the optical sensor A device for personalized tinnitus treatment that measures the user's photoplethysmogram (PPG) by using.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심전도 및 상기 측정된 광용적맥파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심박 변이도를 확인하며, 기 설정된 심박 변이도 별 대응하는 스트레스 정보 및 상기 확인된 심박 변이도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스트레스 값을 결정하는 개인 맞춤형 이명 치료를 위한 장치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control unit,
Checking the user's heart rate variability based on the measured electrocardiogram and the measured optical volume pulse wave, and determining the user's stress value based on the corresponding stress information for each preset heart rate variability and the confirmed heart rate variability Device for personalized tinnitus treatment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심전도 및 상기 측정된 광용적맥파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심박수 및 호흡수를 결정하며, 상기 결정된 심박수 및 호흡수가 기 설정된 임계 범위를 초과하면, 상기 스피커를 통한 상기 제2 소리 자극의 출력 및 상기 제1 전극을 통한 상기 전류 자극을 출력을 중단하거나 감소시키도록 제어하는 개인 맞춤형 이명 치료를 위한 장치.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control unit,
The user's heart rate and respiration rate are determined based on the measured electrocardiogram and the measured optical volumetric pulse wave, and when the determined heart rate and respiration rate exceed a preset threshold range, output of the second sound stimulus through the speaker And controlling the current stimulation through the first electrode to stop or reduce the output.
개인 맞춤형 이명 치료를 위한 장치에 있어서,
스피커;
상기 스피커를 통한 제1 소리 자극이 외부로 출력되도록 형성된 방출구를 포함하며 사용자의 귀의 일부분에 장착될 수 있는 형태를 가지며 전류 또는 전압 자극을 출력할 수 있는 제1 전극; 및
상기 제1 소리 자극의 출력에 응답하여 발생하는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검출하는 하나 이상의 제2 전극과, 상기 제 1 전극 및 상기 제 2 전극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생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이명 진단을 수행하며, 상기 사용자에 대한 이명 진단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스피커를 통한 제2 소리 자극의 출력 및 상기 제1 전극을 통한 전류 자극을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지정된 기준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소리 자극의 출력 및 상기 제1 전극을 통한 전류 자극의 출력이 종료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2 소리 자극의 출력 및 상기 제1 전극을 통한 전류 자극의 출력이 종료된 후,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전극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재검출하며,
상기 재검출된 생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이명 진단을 재 수행하며, 상기 수행된 이명 진단의 결과 및 상기 재 수행된 이명 진단의 결과를 비교하여 이명 치료의 효과 정도를 결정하는 개인 맞춤형 이명 치료를 위한 장치.
In the device for personalized tinnitus treatment,
speaker;
A first electrode that includes a discharge port formed to output a first sound stimulus through the speaker to the outside, has a shape that can be mounted on a portion of a user's ear, and can output a current or voltage stimulus; And
At least one second electrode for detecting a user's bio-signal generated in response to the output of the first sound stimulus,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The control unit,
Based on the detected bio-signal, tinnitus diagnosis is performed for the user, and output of a second sound stimulus through the speaker and current stimulus through the first electrode are performed based on the result of the tinnitus diagnosis for the user. Control to output,
Based on a designated reference time, the output of the second sound stimulus and the output of the current stimulus through the first electrode are controlled to be terminated, and the output of the second sound stimulus and the output of the current stimulus through the first electrode are terminated. After that, the biosignal of the user is re-detected through the at least one second electrode,
Based on the re-detected bio-signal, tinnitus diagnosis is performed again for the user, and the result of the performed tinnitus diagnosis and the result of the re-performed tinnitus diagnosis are compared to determine the degree of effectiveness of the tinnitus treatment Device for the treatment of tinnitus.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신호는 심전도를 더 포함하는 개인 맞춤형 이명 치료를 위한 장치.
The method of claim 12,
The bio-signal further comprises an electrocardiogram. Device for personalized tinnitus treatment.
장치를 이용한 개인 맞춤형 이명 치료를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장치의 스피커를 통해 제1 소리 자극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장치의 검출 전극을 통해 상기 제1 소리 자극의 출력에 응답하여 발생하는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생체 신호에 포함된 뇌파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이명 진단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에 대한 이명 진단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스피커를 통한 제2 소리 자극의 출력 및 상기 장치의 하나 이상의 전류 자극 인가 전극을 통한 전류 자극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포함하며,
상기 생체 신호는 심전도를 더 포함하는 개인 맞춤형 이명 치료를 위한 방법.
In the method for personalized tinnitus treatment using a device,
Outputting a first sound stimulus through a speaker of the device;
Detecting a user's bio-signal generated in response to an output of the first sound stimulus through a detection electrode of the device;
Performing a tinnitus diagnosis for the user based on the EEG included in the detected biological signal; And
And outputting a second sound stimulus through the speaker and outputting a current stimulus through at least one current stimulus applying electrode of the device based on a result of the tinnitus diagnosis for the user,
The bio-signal further includes an electrocardiogram.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면,
장치의 스피커를 통해 제1 소리 자극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장치의 검출 전극을 통해 상기 제1 소리 자극의 출력에 응답하여 발생하는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생체 신호에 포함된 뇌파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이명 진단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에 대한 이명 진단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스피커를 통한 제2 소리 자극의 출력 및 상기 장치의 하나 이상의 전류 자극 인가 전극을 통한 전류 자극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생체 신호는 심전도를 더 포함하는 방법을 상기 프로세서가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As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a computer program,
The computer program, when executed by a processor,
Outputting a first sound stimulus through a speaker of the device;
Detecting a user's bio-signal generated in response to an output of the first sound stimulus through a detection electrode of the device;
Performing a tinnitus diagnosis for the user based on the EEG included in the detected biological signal; And
And outputting a second sound stimulus through the speaker and outputting a current stimulus through at least one current stimulus applying electrode of the device based on the result of the tinnitus diagnosis for the user, wherein the biosignal further comprises an electrocardiogram.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omprising instructions for causing the processor to perform a method comprising.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면,
장치의 스피커를 통해 제1 소리 자극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장치의 검출 전극을 통해 상기 제1 소리 자극의 출력에 응답하여 발생하는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생체 신호에 포함된 뇌파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이명 진단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에 대한 이명 진단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스피커를 통한 제2 소리 자극의 출력 및 상기 장치의 하나 이상의 전류 자극 인가 전극을 통한 전류 자극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생체 신호는 심전도를 더 포함하는 방법을 상기 프로세서가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As a computer program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 program, when executed by a processor,
Outputting a first sound stimulus through a speaker of the device;
Detecting a user's bio-signal generated in response to an output of the first sound stimulus through a detection electrode of the device;
Performing a tinnitus diagnosis for the user based on the EEG included in the detected biological signal; And
And outputting a second sound stimulus through the speaker and outputting a current stimulus through at least one current stimulus applying electrode of the device based on the result of the tinnitus diagnosis for the user, wherein the biosignal further comprises an electrocardiogram. A computer program comprising instructions for causing the processor to perform a method comprising.
개인 맞춤형 이명 치료를 위한 장치에 있어서,
스피커; 및
상기 스피커를 통한 제1 소리 자극이 외부로 출력되도록 형성된 방출구를 포함하며, 사용자의 귀의 일부분에 장착될 수 있는 형태를 가지며, 전류 또는 전압 자극을 출력하며, 상기 제1 소리 자극의 출력에 응답하여 발생하는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검출하는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생체 신호는 심전도를 포함하는 개인 맞춤형 이명 치료를 위한 장치.
In the device for personalized tinnitus treatment,
speaker; And
It includes a discharge port formed to output a first sound stimulus through the speaker to the outside, has a shape that can be mounted on a part of the user's ear, outputs a current or voltage stimulus, and responds to the output of the first sound stimulus And an electrode for detecting a user's bio-signal generated by
The biological signal is a device for personalized tinnitus treatment including an electrocardiogram.
KR1020200034676A 2020-03-20 2020-03-20 Apparatus, metho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and computer program for personalized tinnitus treatments Active KR102185269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4676A KR102185269B1 (en) 2020-03-20 2020-03-20 Apparatus, metho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and computer program for personalized tinnitus treatments
PCT/KR2021/003258 WO2021187877A1 (en) 2020-03-20 2021-03-16 Device for personalized treatment of tinnitu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erform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4676A KR102185269B1 (en) 2020-03-20 2020-03-20 Apparatus, metho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and computer program for personalized tinnitus treatment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5269B1 true KR102185269B1 (en) 2020-12-01

Family

ID=73790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4676A Active KR102185269B1 (en) 2020-03-20 2020-03-20 Apparatus, metho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and computer program for personalized tinnitus treatments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85269B1 (en)
WO (1) WO2021187877A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87877A1 (en) * 2020-03-20 2021-09-23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Device for personalized treatment of tinnitu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erforming same
KR20230054937A (en) * 2021-10-18 2023-04-25 주식회사 뉴라이브 Stimulation apparatus for vagus nerv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9654119A (en) * 2022-07-28 2025-03-18 科利耳有限公司 Technology for providing stimulation for tinnitus treatment
WO2024164042A1 (en) * 2023-02-06 2024-08-15 The Bionics Institute Of Australia Multimodal characterisation of tinnitus
CN116269359B (en) * 2023-03-30 2024-02-13 中山大学孙逸仙纪念医院 Diagnostic and therapeutic device for tinnitus
CN119495405B (en) * 2025-01-20 2025-06-20 华南理工大学 Brain-computer interface mindfulness meditation attention transfer method and equipment for chronic disease patient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0597A (en) * 2011-03-04 2012-09-12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An objective tinnitus testing device using evoked response potential and the method to detect tinnitus objectively using this device
KR20120135321A (en) * 2010-04-16 2012-12-12 비덱스 에이/에스 A hearing aid and a method for alleviating tinnitus
KR101468355B1 (en) * 2014-01-03 2014-12-03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Apparatus for tinnitus treatment using combined sound and electrical stimulation
US9265660B2 (en) 2008-07-02 2016-02-23 Microtransponder, Inc. Methods, systems, and devices for treating tinnitus with VNS pairing
JP2019036958A (en) * 2017-08-14 2019-03-07 シバントス ピーティーイー リミテッド Method for operating hearing aid, and hearing aid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4840B1 (en) * 2016-02-19 2017-07-06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A tinnitus therapy device including real-time physiological signal monitoring therapy and light therapy function
KR102185269B1 (en) * 2020-03-20 2020-12-01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Apparatus, metho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and computer program for personalized tinnitus treatment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65660B2 (en) 2008-07-02 2016-02-23 Microtransponder, Inc. Methods, systems, and devices for treating tinnitus with VNS pairing
KR20120135321A (en) * 2010-04-16 2012-12-12 비덱스 에이/에스 A hearing aid and a method for alleviating tinnitus
KR20120100597A (en) * 2011-03-04 2012-09-12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An objective tinnitus testing device using evoked response potential and the method to detect tinnitus objectively using this device
KR101468355B1 (en) * 2014-01-03 2014-12-03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Apparatus for tinnitus treatment using combined sound and electrical stimulation
JP2019036958A (en) * 2017-08-14 2019-03-07 シバントス ピーティーイー リミテッド Method for operating hearing aid, and hearing aid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87877A1 (en) * 2020-03-20 2021-09-23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Device for personalized treatment of tinnitu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erforming same
KR20230054937A (en) * 2021-10-18 2023-04-25 주식회사 뉴라이브 Stimulation apparatus for vagus nerve
KR102649949B1 (en) 2021-10-18 2024-03-22 주식회사 뉴라이브 Stimulation apparatus for vagus ner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87877A1 (en) 2021-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5269B1 (en) Apparatus, metho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and computer program for personalized tinnitus treatments
US2020023002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various neurological conditions
JP4961016B2 (en) Device for applying a stimulus percutaneously or detecting a parameter percutaneously
US10722711B2 (en) Device for non-invasive neuro-stimulation by means of multichannel bursts
CN108697890B (en) System and method for treating various neurological diseases by synchronously activating nerves
US643044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auditory hallucinations
JP6636426B2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customized sensory stimuli
US9089707B2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paired plasticity
US8506469B2 (en) Method to enhance neural tissue operation
US1070149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eating tinnitus and enhancing hearing
KR102591072B1 (en) Treatment system using stimulating vagus nerv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20110166624A1 (en) Device for the transdermal stimulation of a nerve of the human body
AU2006208603A1 (en) Device for the transdermal stimulation of a nerve of the human body
EP3054847B1 (en) System for identifying one or more intracochlear dead regions
Han et al. Ear-specific hemispheric asymmetry in unilateral deafness revealed by auditory cortical activity
Pelizzone et al. Electrically evoked responses in cochlear implant patients
US10076280B2 (en) Bone-conductive arousal induction apparatus
US11253674B2 (en) System for bilateral in-ear EEG recording with closed-loop binaural sensory stimulation
Suh et al. Electric hearing and tinnitus suppression by noninvasive ear stimulation
WO201502494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lectrotherapy combined with feedback from sensors
EP4403208A1 (en) Device for diagnosis and/oder supporting of hearing capabilities
US20240416126A1 (en) Machine learning for treatment of physiological disorders
Hyvärinen Neurophysiologically-based approaches to tinnitus diagnostics and treatment
WO2024023676A1 (en) Techniques for providing stimulus for tinnitus therapy
CN118317810A (en) Treatment system using vagus nerve stimulation and its applica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3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32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32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5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91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11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11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0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