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5087B1 - Treadmill including truss structual slat - Google Patents
Treadmill including truss structual sla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85087B1 KR102185087B1 KR1020190071157A KR20190071157A KR102185087B1 KR 102185087 B1 KR102185087 B1 KR 102185087B1 KR 1020190071157 A KR1020190071157 A KR 1020190071157A KR 20190071157 A KR20190071157 A KR 20190071157A KR 102185087 B1 KR102185087 B1 KR 10218508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yarn
- treadmill
- unit
- stepped
- curre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 A63B22/0207—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having shock absorbing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 A63B22/02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driven by a mot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Bli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러스 구조를 갖는 슬랫을 포함하는 트레드밀에 관한 것으로, 슬랫은 사용자의 하중을 받는 디딤부와 상기 디딤부의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트랙벨트에 고정될 수 있는 결합부를 갖는 본체부, 그리고 상기 디딤부와 연결되어 상기 본체부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키는 트러스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디딤부에 가해지는 하중은 트러스부의 사재부와 현재부에 의해 분산되므로 하중에 의한 본체부의 휨 발생이 최소화되므로 하중에 의한 본체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eadmill including a slat having a truss structure, wherein the slat is a stepped portion receiving a user's load, a body portion having a coupling portion that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tepped portion and fixed to the track belt, and the stepping It includes a truss unit connected to the unit to distribute the load applied to the main body.
Accordingly, since the load applied to the stepped portion is distributed by the sand material portion and the current portion of the truss portion, the occurrence of bending of the body portion due to the load is minimized, so that damage of the body portion due to the load can be prevented.
Description
본 발명은 트러스 구조를 갖는 슬랫을 포함하는 트레드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eadmill comprising a slat having a truss structure.
트레드밀(TREADMILL)은 무한궤도로 회전하는 트랙벨트를 이용하여 실내에서 걷거나 뛰는 운동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운동 기구로서, 런닝머신으로도 불린다. 최근 들어, 트레드밀에 대한 수요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새로운 종류의 트레드밀이 개발되고 있다.A treadmill is an exercise device that can bring about the effect of walking or running indoors by using a track belt that rotates in a caterpillar, and is also called a treadmill. In recent years, in order to meet the diverse needs of consumers for treadmills, a new type of treadmill has been developed.
일 예로서, 트랙에서 느끼는 지면의 착지 효과를 재현하기 위하여 슬랫(SLAT) 트랙벨트 구조를 가지는 트레드밀이 개발되고 있다. 슬랫 트랙벨트 구조는, 평행하게 간격을 두고 배치된 2개의 트랙벨트와, 2개의 트랙벨트를 연결한 복수의 슬랫을 포함한다. 슬랫은 트랙벨트를 따라 배열되어 있다. 트랙벨트 대신에 슬랫에 접촉하며 운동을 실시하게 되며, 그에 따라 기존의 단순한 트랙벨트 구조의 트레드밀에서 운동을 실시할 때에 비해, 실제 트랙에 가까운 느낌을 받을 수 있다.As an example, a treadmill having a slat (SLAT) track belt structure has been developed in order to reproduce the grounding effect felt on the track. The slat track belt structure includes two track belts arranged at intervals in parallel, and a plurality of slats connecting the two track belts. The slats are arranged along the track belt. Instead of the track belt, the movement is carried out by contacting the slat, and accordingly,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treadmill with a simple track belt structure, the feeling closer to the actual track can be obtained.
그러나 슬랫은 사용자의 하중을 지탱하고 운동 중 충격을 흡수해야 하기 때문에, 슬랫의 강도가 소정 강도 이하일 경우 슬랫이 과도하게 휘어지거나 파손될 수 있다.However, since the slat must support the user's load and absorb the impact during exercise, if the strength of the slat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strength, the slat may be excessively bent or damaged.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트레드밀 사용자의 하중에 의해 휘어지거나 파손되지 않고 견딜 수 있는 트러스 구조를 갖는 슬랫을 포함하는 트레드밀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readmill including a slat having a truss structure capable of withstanding without being bent or damaged by a load of a treadmill user.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트러스 구조를 갖는 슬랫을 포함하는 트레드밀은 제1 롤러와 제2 롤러를 지지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전방측에 배치되는 제1 롤러; 상기 바디부의 후방측에 배치되어 있는 제2 롤러; 상기 제1 롤러와 상기 제2 롤러를 연결하는 트랙벨트; 및 상기 트랙벨트를 따라 배열되는 하나 이상의 슬랫을 포함한다. A treadmill including a slat having a truss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portion supporting a first roller and a second roller; A first roller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body portion; A second roller disposed on the rear side of the body portion; A track belt connecting the first roller and the second roller; And one or more slats arranged along the track belt.
상기 하나 이상의 슬랫은, 사용자의 하중을 받는 디딤부와 상기 디딤부의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트랙벨트에 고정될 수 있는 결합부를 갖는 본체부; 및 상기 디딤부와 연결되어 상기 본체부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키는 트러스 구조를 갖는 트러스부;를 포함한다. The one or more slats may include a body portion having a stepped portion receiving a load from a user and a coupling portion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tepped portion and fixed to the track belt; And a truss part connected to the stepped part and having a truss structure for distributing a load applied to the body part.
상기 트레드밀은 무동력 트레드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트레드밀은 동력 트레드밀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treadmill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non-powered treadmill. The treadmill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power treadmill.
상기 트러스부는, 상기 디딤부와 공간적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현재부;와, 상기 현재부와 상기 디딤부를 연결하고 있는 사재부;를 포함하며, 상기 현재부는 상기 디딤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곡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사재부는, 상기 현재부의 내측과 상기 디딤부를 연결하는 제1 단위사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위사재는 제1 방향으로 경사져 있고 상기 현재부와 상기 디딤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제1 사재;와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경사져 있고 상기 현재부와 상기 디딤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제2 사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사재와 상기 제2 사재의 일측은 서로 연결되고, 일측과 타측이 상기 디딤부 및 상기 현재부와 각각 연결되어 삼각형의 트러스 구조를 형성한다. The truss portion includes a current portion formed to be spatially spaced apart from the stepped portion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a yarn portion connecting the current portion and the stepped portion; wherein the current portion has a curved surface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stepped portion. Is formed. The sand material part includes a first unit sand material connecting the inner side of the current part and the stepped part, and the first unit sand material is inclined in a first direction and is arranged along a length direction of the current part and the stepped part. A first yarn; and at least one second yarn inclined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and arranged along a length direction of the current portion and the stepped portion, wherein the first yarn and the second One side of the yarn is connected to each other, and one side and the other side are connected to the stepped portion and the current portion, respectively, to form a triangular truss structure.
상기 사재부는 제1 단위사재와 이웃하고 상기 현재부의 단부를 상기 디딤부 및 상기 결합부와 연결하는 제2 단위사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yarn material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unit yarn adjacent to the first unit yarn and connecting an end of the current portion to the stepped portion and the coupling portion.
상기 트러스부의 폭은 상기 본체부의 폭 보다도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width of the truss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narrower than the width of the body portion.
상기 본체부의 폭 방향 일측면과 타측면은 서로 같은 방향으로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e side and the oth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main body are inclined in the same direc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트레드밀이 포함하는 트러스 구조의 슬랫의 디딤부에 사용자의 하중이 수직하게 가해지면, 제1 단위사재와 제2 단위사재의 제1 사재와 제2 사재에 압축력이 발생하고, 현재부에 인장력이 발생한다. 이에 디딤부에 수직하게 가해지는 하중이 트러스부를 통해 분산되므로 디딤부의 휨이 최소화되어 하중에 의한 슬랫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user's load is applied vertically to the tread of a slat of a truss structure included in a treadmill, a compressive force is generated in the first and second yarns of the first and second unit yarns. And a tensile force is generated in the current part. Accordingly, since the load applied vertically to the stepped portion is distributed through the truss portion, bending of the stepped portion is minimized, thereby preventing damage to the slat caused by the load.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트레드밀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을 Ⅱ-Ⅱ선을 따라 자른 단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슬랫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슬랫을 설명하기 위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을 Ⅴ-Ⅴ선을 따라 자른 단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3의 슬랫을 설명하기 위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제1 트러스부와 제2 트러스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슬랫의 변위를 나타낸 수치해석 결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비교예에 따른 슬랫의 변위를 나타낸 수치해석 결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6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슬랫(6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63)와 본체부(61) 간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a treadmi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ross-section of FIG. 1 taken along line II-II.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slat of FIG. 2.
4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slat of FIG. 3.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cross section of FIG. 3 taken along line V-V.
6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the slat of FIG. 3.
7 is an enlarged view of the first truss portion and the second truss portion of FIG. 6.
8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numerical analysis result showing the displacement of the sla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9 and 10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numerical analysis result showing the displacement of a slat according to a comparative example.
10 is a view for explaining a
11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실시 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transformations may be applied and various embodiments may be provided, and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embodi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onversion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embodiments are provided to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refore, the shape of each element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to emphasize a more clear description, and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erms. The terms are only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comprises"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elements or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oes not preclude in advance.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랫(SLAT)은 모터 등 별도의 동력원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동력 트레드밀 뿐만 아니라, 별도의 동력원 없이, 보행자의 착지력에 의해 저절로 동작하는 무동력 트레드밀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트랙벨트와 같은 구조물 사이에 설치되어 하중을 받는 장치 등에도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적용 분야는 단지 트레드밀에 국한되지 않는다. The slat (SL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not only to a power treadmill that operates based on a separate power source such as a motor, but also to a non-powered treadmill that automatically operates by a landing force of a pedestrian without a separate power source. In addition, it can be applied to a device that is installed between structures such as a track belt and receives a load, and the field of application is not limited to just a treadmill.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슬랫과 슬랫이 적용된 트레드밀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sl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treadmill to which the slat is appli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7.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트레드밀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을 Ⅱ-Ⅱ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슬랫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슬랫을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을 Ⅴ-Ⅴ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3의 슬랫을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7은 도 6의 제1 트러스부와 제2 트러스부를 나타낸 확대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treadmi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1 taken along line II-II,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lat of FIG. 2, and FIG. 4 is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lat of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3 taken along line V-V, FIG. 6 is a front view showing the slat of FIG. 3, and FIG. 7 is a first truss part and a second truss of FIG. 6 It is an enlarged view showing wealth.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트레드밀(1)은, 제1 롤러와 제2 롤러를 지지하는 바디부(10), 바디부(10) 전방측에 배치되어 있는 제1 롤러(20a), 바디부(10) 후방측에 배치되어 있는 제2 롤러(20b), 제1 롤러(20a)와 제2 롤러(20b)를 연결하는 트랙벨트(30) 및 트랙벨트(30)를 따라 배열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슬랫(60)을 포함한다. 상기 트레드밀(1)은, 바디부(10)와 연결되어 있는 프레임부(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부(40)에는 디스플레이장치(도시하지 않음)가 더 배치될 수 있다. First, referring to FIGS. 1 and 2, the
바디부(10)의 내부에는 작동공간(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으며 작동공간에 배치되는 구성요소들을 외부의 영향으로부터 보호한다. 바디부(10)의 하면에는 바디부(10)의 높이, 수평 등을 맞추기 위한 조절장치(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An operating space (not shown) is formed inside the
한편 동력 트레드밀의 경우 구동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는 모터를 포함하며 제어부(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제어부(50)의 제어로 작동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50)는 구동부의 온/오프, 구동속도, 구동시간, 주행모드 등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50)는 프레임부(40)에 배치될 수도 있다. Meanwhile, the power treadmill may further include a driving unit (not shown). The driving unit includes a motor,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트랙벨트(30)와 제1 롤러(20a)와 제2 롤러(20b)는 한 쌍으로 형성되어 슬랫 위의 가상의 사용자를 기준으로 볼 때 바디부(10)의 죄측과 우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일측의 트랙벨트(30)는 제1 롤러(20a)와 제2 롤러(20b)의 양단을 연결하고 있다. 제1 롤러(20a)와 제2 롤러(20b)의 회전으로 트랙벨트(30)는 바디부(10) 내부에서 움직일 수 있다.The
프레임부(40)는 바디부(10)의 양측에서 수직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단에는 트레드밀(1)의 이용자가 잡을 수 있는 손잡이(41)가 형성되어 있다. 제어부(50)는 손잡이(41)에 배치될 수 있다.The
본 실시예에 따른 바디부(10), 제1 롤러(20a), 제2 롤러(20b), 트랙벨트(30), 프레임부(40) 및 제어부(50)의 세부적인 구성은 공지된 구성의 트레드밀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다음으로 도 3 내지 도 7을 더 참고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슬랫에 대해 설명한다.Next, a sla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further reference to FIGS. 3 to 7.
본 실시예에 따른 슬랫(60)은, 사용자가 딛는 것으로, 사용자의 하중을 받는 본체부(61), 그리고 본체부(61)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키기 위한 트러스 구조를 갖는 트러스부(62)를 포함한다. 슬랫(60)은 트랙벨트(30)를 따라 배열되어 양측의 트랙벨트를 연결한다. 이로 인해 슬랫(60)은 트랙벨트(30)를 따라 무한궤도 형태로 제1 롤러(20a)와 제2 롤러(20b)에 의해 연속 회전할 수 있다.The
본체부(61)는 디딤부(611)와 결합부(612)를 포함하고, 슬랫(60)의 외형을 형성하며, 운동자가 디딜 수 있다. 디딤부(611)와 결합부(61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디딤부(611)는 운동자가 직접 디딜 수 있는 부분으로서 기설정된 길이와 폭을 가지며 디딤부(611)에는 사용자에 의해 하중이 가해질 수 있다. 디딤부(611)는 상하 방향으로 기설정된 두께를 갖는다.The stepped
결합부(612)는 디딤부(611)의 양단에 형성되어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디딤부(611)의 하면은 트랙벨트(30)와 접하며, 트랙벨트(30)를 관통하는 체결수단(31)이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본체부(61)는 트랙벨트(30)와 결합되어 트랙벨트(30)를 따라 움직일 수 있다.The
결합부(612)는 상하 방향으로 기설정된 두께를 갖되 디딤부(611) 보다도 두껍게 형성될 수 있으나, 결합부(612)와 디딤부(611)의 두께는 슬랫(60) 및 트랙벨트(30)의 설계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본체부(61)는 트랙벨트(30)를 따라 배열되어 있으며, 이웃한 본체부(61-1)가 서로 마주하는 일측면(61a)과 타측면(61b)은 서로 같은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이는 슬랫이 제1 롤러(20a)와 제2 롤러(20b)에서 방향 전환될 때 이웃한 슬랫의 본체부(61, 611)가 서로 간섭되지 않고 방향 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하중 분산을 위한 트러스 구조의 트러스부(62)는, 디딤부(611)와 공간적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현재부(621), 그리고 현재부(621)와 디딤부(611)를 연결하는 사재부(622)를 포함한다.The
트러스부(62)는 본체부(61)의 아래에 위치하며 트러스부의 폭(62W)은 본체부의 폭(61W) 보다도 좁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슬랫이 제1 롤러(20a)와 제2 롤러(20b)에서 방향 전환될 때 이웃한 슬랫의 트러스부(62)가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만 트러스부의 폭(62W)이 본체부의 폭(61W) 보다도 너무 협소하게 형성될 경우 하중을 분산시키는 트러스부의 기능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유의하여야 한다.The
현재부(621)는, 디딤부(611)의 아래에 위치하여 디딤부(611)의 하면과 간격을 두고 마주하고 있다. 현재부(621)는 디딤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현재부는 힘을 좀더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되는 아치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사재부(622)는 상기 현재부의 내측과 상기 디딤부를 연결하는 제1 단위사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위사재는 제1 방향으로 경사져 있고 상기 현재부와 상기 디딤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는 제1 사재;와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경사져 있고 상기 현재부와 상기 디딤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는 제2 사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사재와 상기 제2 사재의 일측은 서로 연결되고, 일측과 타측이 상기 디딤부 및 상기 현재부와 각각 연결되어 삼각형의 트러스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The
사재부(622)는 제1 단위사재(623a) 외에도 제2 단위사재(623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단위사재(623a)와 제2 단위사재(623b)는 각각 제1 사재(624a, 625a), 그리고 제2 사재(624b, 625b)를 각각 포함한다.The
제1 단위사재(623a)는 현재부(621)의 길이 방향 가상의 중심(621c)과 이웃하여 현재부(621)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The
제1 단위사재(623a)의 제1 사재(624a)는 제1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현재부(621)와 디딤부(611) 사이의 공간에서 슬랫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방향은 디딤부(611)에서 현재부(621)로 향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슬랫의 외측으로 경사진 방향이다.The
제1 단위사재(623a)의 제2 사재(624b)는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현재부(621)와 디딤부(6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다. 여기서 제2 방향은 디딤부(611)에서 현재부(621)의 내측방향으로 경사진 방향이다.The
제1 사재(624a)와 제2 사재(624b)는 서로 연결되어 절점을 이루며, 제1 사재(624a)와 제2 사재(624b)는 절점을 통해 디딤부(611) 및 현재부(621)와 연결되어 있다. 제1 사재(624a)와 제2 사재(624b)의 사이에는 트러스 구조의 삼각형 공간이 형성된다.The
사재부(622)는 제2 단위사재(623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단위사재(623b)는 제1 단위사재(623a)와 이웃하여 현재부(621)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현재부(621)의 단부는 제2 단위사재(623b)로 디딤부(611)와 연결된다.The
제2 단위사재(623b)의 제1 사재(625a)는 제2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현재부(621)와 디딤부(611)를 연결하고 있다.The
제2 단위사재(623b)의 제2 사재(625b)는 제1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현재부(621)와 디딤부(611)를 연결하고 있다.The
여기서, 제1 단위사재(623a)의 제2 사재(624b)와 제2 단위사재(623b)의 제1 사재(625a)는 이웃하여 간격을 두고 마주하고 있다. 한편, 가장 외측에 위치한 제2 단위사재(623b)의 제2 사재(625b)는 현재부(621)와 결합부(612)를 연결하고 있다.Here, the
이와 같은 제1 단위사재(623a)와 제2 단위사재(623b)는 가상의 중심(621c)을 기준으로 반대측으로도 형성됨으로서 좌, 우 양측으로 대칭되게 배치될 수도 있다. 일측의 제1 단위사재(623a)와 타측의 제1 단위사재(623c)는 간격을 두고 마주한다. 이때 일측 제1 단위사재(623a)의 제1 사재(624a)와 타측 제1 단위사재(623c)의 제2 사재(626b)는 간격을 두고 마주하며, 일측 제1 단위사재(623a)와 타측 제1 단위사재(623c)의 사이에는 트러스 구조의 삼각형 공간이 형성된다. 즉, 디딤부(611)와 현재부(621)의 사이에는 서로 마주하는 제1 사재(624a, 625a, 626a, 627a)와 제2 사재(624b, 625b, 626b, 627b)의 배치로 트러스 구조의 삼각형 공간들이 형성된다. 트러스 구조의 삼각형 공간들을 형성하는 제1 사재와 제2 사재들에 의해 디딤부(611)는 현재부(621)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사재와 제2 사재의 개수 및 삼각형 공간의 개수는 디딤부(611)의 길이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Since the
한편 디딤부(611)에 사용자의 하중이 수직하게 가해지면, 제1 단위사재(623a, 623c)와 제2 단위사재(623b, 623d)의 제1 사재와 제2 사재들에 압축력이 발생하고, 제1 사재와 제2 사재들의 하부가 절점을 통해 연결된 현재부(621)에 인장력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디딤부(611)에 수직하게 가해지는 하중이 트러스부(62)를 통해 분산되므로 디딤부(611)의 휨이 최소화될 수 있다. 즉, 디딤부(611)의 변형률이 최소화될 수 있다.Meanwhile, when a user's load is applied vertically to the stepping
한편, 트러스부(62)에 의해 디딤부(611)에 가해지는 하중이 분산되므로, 디딤부(611)의 상하 방향 두께를 결합부(612)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하여도 디딤부(611)는 하중에 견딜 수 있다. 이에 디딤부(611)의 두께를 결합부(612)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본체부(61)의 형성에 따른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load applied to the stepped
[실험예 슬랫의 Z방향 변위 수치해석 결과][Results of numerical analysis of displacement in the Z direction of the experimental example slat]
[실시예][Example]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랫으로서 본체부와 트러스부(62)를 포함하는 슬랫(1)을 수치해석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8 shows a result of numerical analysis of a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실시예와 같은 본체부의 아래에 본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리브를 형성하고 리브를 본체부의 폭 방향으로 배열하였고, 이웃한 리브를 크로스바로 연결하여 슬랫을 형성하였다(도 9 (a) 및 도 10 (a) 참조).Ribs were formed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under the body portion as in the example, and the ribs were arrang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and the slats were formed by connecting adjacent ribs with a crossbar (FIGS. 9 (a) and 10 ( a) see).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비교예 1과 같은 구조를 갖되, 이웃한 리브 사이에 리브와 수직한 수직바를 더 배치한 슬랫을 형성하였다(도 9 (b) 및 도 10 (b) 참조).A slat having the same structure as Comparative Example 1, but further arranging a vertical bar perpendicular to the rib between adjacent ribs was formed (see FIGS. 9 (b) and 10 (b)).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실시예와 같은 본체부의 아래에 서로 연결된 사각기둥을 배열하여 슬랫을 형성하였다(도 9 (c) 및 도 10 (c) 참조).Slats were formed by arranging square pillars connected to each other under the body portion as in the example (see FIGS. 9 (c) and 10 (c)).
[비교예 4][Comparative Example 4]
비교예 3과 같은 구조를 갖되, 본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리브를 배치한 슬랫을 형성하였다(도 9 (d) 및 도 10 (d) 참조).Having the same structure as Comparative Example 3, a slat was formed in which ribs were arranged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main body (see FIGS. 9(d) and 10(d)).
[실시예]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4]에서 얻어진 슬랫에 대하여 결합부를 형성한 양측을 고정하고, 디딤부의 상면에서 -Z 방향으로 180kg의 하중을 가하여 변위를 수치해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시뮬레이션한 결과를 하기 [표 1]에서 나타냈다.[Example] and [Comparative Example 1] to [Comparative Example 4], the both sides of which the joint was formed were fixed to the slats obtained, and the displacement was measured by applying a load of 180 kg in the -Z direction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tread. The simulation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below.
실시예, 비교예 1, 비교예 2의 중심부 변위는 본체부의 상면 중심에서 하부 방향으로 하중을 가하여 중심에서 폭 방향으로 3곳에 대한 변위를 각각 측정하여 평균값을 나타내었으며, 비교예 3 및 비교예 4의 경우 사각기둥의 구조로 인하여 폭 방향으로 2곳에 대한 변위를 각각 측정하여 평균값을 나타내었다. 그 결과 하중이 분산되는 실시예의 변위가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4보다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도 8의 (a) 및 도 9 참조).The center displacements of Examples,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were averaged by measuring displacements for three locations in the width direction from the center by applying a load from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to the lower direction, and Comparative Example 3 and Comparative Example 4 In the case of, due to the structure of the square pillar, the average value was shown by measuring the displacement for each of the two locations in the width direction.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displacement of the example in which the load is distributed is smaller than that of Comparative Examples 1 to 4 (see FIGS. 8A and 9).
그리고 실시예,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의 편심부 변위는 본체부의 상면 중심에서 일측으로 편심된 위치에서 하부 방향으로 하중을 가하여 그 지점에서 폭 방향으로 3곳에 대한 변위를 각각 측정하여 평균값을 나타내었으며, 비교예 1은 리브의 구조로 인하여 폭 방향으로 2곳에 대한 변위를 각각 측정하여 평균값을 나타내었다. And the displacement of the eccentric part of Examples, Comparative Example 2, Comparative Example 3, and Comparative Example 4 was measured by applying a load in a downward direction from a position eccentric from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art to the lower direction, and measuring the displacement for three places in the width direction from that point. As a result, the average value was shown, and in Comparative Example 1, displacements for two locations were measured in the width direction due to the structure of the rib, and the average value was shown.
그 결과 하중이 분산되는 실시예의 변위가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4 보다 작은 것으로 나타나 비교예에 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랫의 성능이 우수한 것으로 판명되었다(도 8의 (b) 및 도 9 참조).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displacement of the example in which the load was distributed was smaller than that of Comparative Examples 1 to 4, and it was found that the performance of the slat according to the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superior to that of the comparative example (Fig. 8(b) and Fig. 9 Reference).
본 발명의 트러스 구조의 슬랫에 따르면 디딤부에 가해지는 하중은 트러스부의 사재부와 현재부에 의해 분산되므로 하중에 의한 본체부의 휨 발생이 최소화되어 슬랫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lat of the truss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load applied to the stepped portion is distributed by the sand material portion and the current portion of the truss portion, bending of the body portion due to the load is minimized, thereby minimizing damage of the slat.
한편 도 10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슬랫은 본체부(61) 상측에 결합되어 구성되되, 사용자가 발을 디딜 때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한 커버부(6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63)는 슬랫에 사용자가 발을 디딜때 발생되는 충격을 보조적으로 완화시켜 본체부(61)와 트러스부(62)의 휨과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커버부(63)는 슬랫과 일체로 사출성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s. 10 and 11, the sl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를 바탕으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 예 및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ased on what is shown in the drawings, but this is only illustrative, and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limited.
1: 트레드밀 10: 바디부
20a: 제1 롤러 20b: 제2 롤러
30: 트랙벨트 31: 체결수단
40: 프레임부 41: 손잡이
50: 제어부 60: 슬랫
61, 61-1: 본체부 61a: 일측면
61b: 타측면 61W: 본체부의 폭
611: 디딤부 612: 결합부
613: 스페이서 62: 트러스부
62W: 트러스부 폭 621: 현재부
621c: 현재부 가상의 중심 622: 사재부
623a, 623c: 제1 단위사재 623b, 623d: 제2 단위사재
624a, 625a, 626a, 627a: 제1 사재 624b, 625b, 626b, 627b: 제2 사재
63 : 커버부1: treadmill 10: body
20a:
30: track belt 31: fastening means
40: frame part 41: handle
50: control unit 60: slat
61, 61-1:
61b:
611: stepping portion 612: coupling portion
613: spacer 62: truss part
62W: Truss part width 621: Current part
621c: the virtual center of the present department 622: the private sector
623a, 623c:
624a, 625a, 626a, 627a: first private 624b, 625b, 626b, 627b: second private
63: cover part
Claims (6)
상기 트레드밀은
제1 롤러와 제2 롤러를 지지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전방측에 배치되는 제1 롤러;,
상기 바디부의 후방측에 배치되어 있는 제2 롤러;,
상기 제1 롤러와 상기 제2 롤러를 연결하는 트랙벨트; 및
상기 트랙벨트를 따라 배열되는 하나 이상의 슬랫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슬랫은,
사용자의 하중을 받는 디딤부와 상기 디딤부의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트랙벨트에 고정될 수 있는 결합부를 갖는 본체부; 및
상기 디딤부와 연결되어 상기 본체부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키는 트러스 구조를 갖는 트러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트러스부는, 상기 디딤부와 공간적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현재부;와, 상기 현재부와 상기 디딤부를 연결하고 있는 사재부;를 포함하며,
상기 사재부는, 상기 현재부의 내측과 상기 디딤부를 연결하는 제1 단위사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위사재는 제1 방향으로 경사져 있고 상기 현재부와 상기 디딤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제1 사재;와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경사져 있고 상기 현재부와 상기 디딤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제2 사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사재와 상기 제2 사재의 일측은 서로 연결되고, 일측과 타측이 상기 디딤부 및 상기 현재부와 각각 연결되어 삼각형의 트러스 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사재부는, 상기 제1 단위사재와 이웃하고 상기 현재부의 단부를 상기 디딤부 및 상기 결합부와 연결하는 제2 단위사재를 더 포함하며,
제1 단위사재(623a)의 제2 사재(624b)와 제2 단위사재(623b)의 제1 사재(625a)는 이웃하여 간격을 두고 마주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드밀.
In the treadmill comprising a slat having a truss structure,
The treadmill is
A body portion supporting the first roller and the second roller;,
A first roller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body portion;,
A second roller disposed on the rear side of the body portion;,
A track belt connecting the first roller and the second roller; And
It includes one or more slats arranged along the track belt,
The one or more slats,
A body portion having a stepped portion receiving a user's load and a coupling portion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tepped portion and fixed to the track belt; And
Includes; a truss unit connected to the stepping unit and having a truss structure for distributing a load applied to the body unit,
The truss portion includes a current portion formed to be spatially spaced apart from the stepped portion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a sacrificial portion connecting the current portion and the stepped portion, and
The sand material part includes a first unit sand material connecting the inner side of the current part and the stepped part, and the first unit sand material is inclined in a first direction and is arranged along a length direction of the current part and the stepped part. A first yarn; and at least one second yarn inclined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and arranged along a length direction of the current portion and the stepped portion, wherein the first yarn and the second One side of the yarn is connected to each other, and one side and the other side are connected to the stepped portion and the current portion, respectively, to form a triangular truss structure,
The yarn material part further includes a second unit yarn material adjacent to the first unit yarn material and connecting an end of the current part with the stepped part and the coupling part,
A treadmill,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yarn 624b of the first unit yarn 623a and the first yarn material 625a of the second unit yarn 623b are adjacent and face each other at intervals.
상기 트레드밀은
무동력 트레드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드밀.
The method of claim 1,
The treadmill is
A treadmill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non-powered treadmill.
상기 트레드밀은
동력 트레드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드밀.
The method of claim 1,
The treadmill is
A treadmill characterized by being a powered treadmill.
상기 현재부는 상기 디딤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드밀.
The method of claim 1,
The treadmill, wherein the current portion is formed in a curved surface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stepped portion.
상기 본체부의 폭 방향 일측면과 타측면은 서로 같은 방향으로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트레드밀.
The method of claim 1,
The treadmill, characterized in that one side and the oth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main body are inclined in the same directio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71157A KR102185087B1 (en) | 2019-06-15 | 2019-06-15 | Treadmill including truss structual sla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71157A KR102185087B1 (en) | 2019-06-15 | 2019-06-15 | Treadmill including truss structual sla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85087B1 true KR102185087B1 (en) | 2020-12-01 |
Family
ID=73790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71157A Active KR102185087B1 (en) | 2019-06-15 | 2019-06-15 | Treadmill including truss structual sla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85087B1 (en)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80104534A1 (en) * | 2016-10-19 | 2018-04-19 | HÜBNER GmbH & Co. KG | Treadmill belt of a treadmill trainer, and a treadmill trainer |
US20180214735A1 (en) * | 2009-11-02 | 2018-08-02 | Speedfit LLC | Leg-powered treadmill |
KR20180119541A (en) * | 2016-04-25 | 2018-11-02 | 주식회사 디랙스 | Treadmill |
KR200487810Y1 (en) | 2017-07-04 | 2018-11-06 | 주식회사 디랙스 | Motorless treadmill |
KR20190006234A (en) | 2017-07-10 | 2019-01-18 | (주)개선스포츠 | Running machine having an automatic speed control system |
-
2019
- 2019-06-15 KR KR1020190071157A patent/KR102185087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80214735A1 (en) * | 2009-11-02 | 2018-08-02 | Speedfit LLC | Leg-powered treadmill |
KR20180119541A (en) * | 2016-04-25 | 2018-11-02 | 주식회사 디랙스 | Treadmill |
US20180104534A1 (en) * | 2016-10-19 | 2018-04-19 | HÜBNER GmbH & Co. KG | Treadmill belt of a treadmill trainer, and a treadmill trainer |
KR200487810Y1 (en) | 2017-07-04 | 2018-11-06 | 주식회사 디랙스 | Motorless treadmill |
KR20190006234A (en) | 2017-07-10 | 2019-01-18 | (주)개선스포츠 | Running machine having an automatic speed control system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62492B1 (en) | Truss structural slat | |
KR101982184B1 (en) | Treadmill | |
KR101660909B1 (en) | Treadmill | |
KR102237692B1 (en) | Truss structure slat and treadmill comprising the same | |
US20080176717A1 (en) | Cushioning mechanism for a treadmill | |
JPH0225417Y2 (en) | ||
KR101371607B1 (en) | Deck support structure of treadmill | |
KR102185087B1 (en) | Treadmill including truss structual slat | |
JPH0579321B2 (en) | ||
US4714302A (en) | Vehicle track | |
JP2000053037A (en) | Snow vehicular rubber crawler | |
CN109414606B (en) | Running machine | |
KR101860703B1 (en) | Device for supporting cable of suspension bridge | |
JPH0777588B2 (en) | Gymnastics crossing plate | |
US12049268B2 (en) | Elastic crawler | |
JPH0255056B2 (en) | ||
CN106741251A (en) | A kind of antiwind Athey wheel without support wheel | |
JP3411303B2 (en) | Seismic structure on moving walkways | |
CN222054734U (en) | Adjustable damping sole | |
KR20130016420A (en) | A skateboard | |
KR200265010Y1 (en) | In-line skate with impact buffering member | |
KR20040075551A (en) | A belt support device of a treadmill | |
US20210316802A1 (en) | Core bar for elastic crawler and elastic crawler using core bar | |
KR20220034310A (en) | A deck for improving convenience of walking | |
KR200376061Y1 (en) | Frame for in-line skat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61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7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110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11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11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9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