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4564B1 - Camera module - Google Patents
Camera modu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84564B1 KR102184564B1 KR1020150113987A KR20150113987A KR102184564B1 KR 102184564 B1 KR102184564 B1 KR 102184564B1 KR 1020150113987 A KR1020150113987 A KR 1020150113987A KR 20150113987 A KR20150113987 A KR 20150113987A KR 102184564 B1 KR102184564 B1 KR 10218456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camera
- signals
- driving
- delete delet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6641 stabilis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8000011105 stabiliz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6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491 arra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04N5/23264—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1—Motion detection
- H04N23/6812—Motion detection based on additional sensors, e.g. acceleration senso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2—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 H04N23/685—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 H04N23/687—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by shifting the lens or sensor position
-
- H04N5/225—
-
- H04N5/23251—
-
- H04N5/23258—
-
- H04N5/232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djustment Of Camera Lense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제1 카메라부; 제2 카메라부; 자이로 센서의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복수의 구동 신호들 및 복수의 센서 제어 신호들을 출력하고 복수의 위치 감지 신호들을 입력 받는 손떨림 보정 구동부; 및 선택 신호를 입력 받고, 상기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복수의 구동 신호들 및 복수의 센서 제어 신호들을 상기 제1 카메라부 또는 상기 제2 카메라부로 선택적으로 전달하고, 상기 위치 감지 신호들을 상기 제1 카메라부 또는 상기 제2 카메라부로부터 상기 손떨림 보정 구동부로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amera unit; A second camera unit; A camera shake correction driver that outputs a plurality of driving signals and a plurality of sensor control signals and receives a plurality of position detection signals based on the detection signal of the gyro sensor; And receiving a selection signal, selectively transmitting the plurality of driving signals and a plurality of sensor control signals to the first camera unit or the second camera unit according to the selection signal, and transmitting the position detection signals to the first camera. It may include an interface unit that selectively transmits from the unit or the second camera unit to the image stabilization driving unit.
Description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mera module.
카메라 모듈은 자동초점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아울러, 카메라 모듈은 손떨림에 따른 해상도 저하현상을 경감시키기 위해 손떨림 보정기능(OIS: Optical Image Stabilization)을 구비하기도 한다.The camera module may have an auto focus function. In addition, the camera module is also equipped with an OIS (Optical Image Stabilization) function in order to reduce the resolution deterioration caused by hand shake.
이와 같은 기능을 갖는 카메라 모듈은 렌즈배럴을 포함하는 렌즈 유닛, 하우징, 및 구동부(actuator)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렌즈 유닛이 카메라 모듈의 하우징에 대해 광축 방향 또는 광축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A camera module having such a function may include a lens unit including a lens barrel, a housing, and an actuator, and the lens unit may move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housing of the camera module or in a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optical axis. Has a structure
또한, 손떨림 보정 기능을 채용하기 위해서는 흔들림을 감지할 수 있는 자이로 센서 및 구동부를 제어하기 위한 손떨림 보정 구동부(OIS driver integrated circuit)가 필요하다.In addition, in order to employ a camera shake correction function, a gyro sensor capable of detecting shake and an OIS driver integrated circuit for controlling a driving unit are required.
한편, 최근 모바일 기기의 후면과 전면에는 카메라가 장착되고 있다.Meanwhile, cameras are recently installed on the back and front of mobile devices.
그러나, 제조단가 상승 및 실장면적 협소의 문제로 손떨림 보정 기능을 후면 및 전면의 카메라 각각에 채용하는데 제한이 따른다.
However, there is a limitation in adopting the camera shake correction function to each of the rear and front cameras due to the problem of an increase in manufacturing cost and a narrow mounting area.
참고로,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특허문헌 1이 있다.
For reference, there is Patent Document 1 as a prior ar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손떨림 보정 기능을 위한 자이로 센서 및 손떨림 보정 구동부를 공용화하여, 전면 및 후면 카메라 모두 손떨림 보정 기능을 구비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mera module capable of having a camera shake correction function for both front and rear cameras by using a gyro sensor for a camera shake correction function and a camera shake correction driver in common.
상술한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카메라부; 제2 카메라부; 자이로 센서의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카메라부 및 상기 제2 카메라부에 복수의 구동 신호들 및 복수의 센서 제어 신호들을 출력하고 복수의 위치 감지 신호들을 입력 받는 손떨림 보정 구동부; 및 선택 신호를 입력 받고, 상기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손떨림 보정 구동부와 상기 제1 카메라부 또는 상기 제2 카메라부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이 제공된다.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amera unit; A second camera unit; An image stabilization driver that outputs a plurality of driving signals and a plurality of sensor control signals to the first and second camera units and receives a plurality of position detection signals based on the detection signal of the gyro sensor; And an interface unit receiving a selection signal and selectively connecting the image stabilization driver and the first camera unit or the second camera unit according to the selection signa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자이로 센서 및 손떨림 보정 구동부를 공용화하여 전면 및 후면 카메라 모두 손떨림 보정 기능을 구비하는데 있어 제조가격 상승 및 실장면적 증가를 최소화할 수 있다.The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inimize an increase in manufacturing cost and an increase in a mounting area by using a gyro sensor and a camera shake correction driver in common to have a camera shake correction function for both the front and rear cameras.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손떨림 보정 구동부의 입출력 신호 중 일부를 전면 및 후면 카메라에 공통으로 사용하여 인터페이스부의 사양을 낮출 수 있다.
In addition, the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reduce the specification of the interface unit by using some of the input/output signals of the image stabilization driver in common to the front and rear camera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카메라부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신호의 입출력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신호의 입출력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in detail a camera unit of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input/output of signals from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input/output of signals from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owever,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to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including" a certain componen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e suffixes "module" and "unit" for the constituent element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given or used interchangeably in consideration of only the ease of writing the specification, and do not themselves have a distinct meaning or role from each other.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Meanwhile, 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and second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제1 카메라부(100), 제2 카메라부(200), 인터페이스부(300), 및 손떨림 보정 구동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또한,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손떨림 보정 구동부(400)에 감지 신호(S_Sens)를 출력하는 자이로 센서(500)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mera module may include a
구체적으로, 자이로 센서(500)는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의 흔들림을 검출하는 센서로써 2축 또는 3축 이상의 자이로 센서(Gyro Sensor)가 사용될 수 있으며, 움직임의 각속도를 검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상기 손떨림 보정 구동부(400)는 상기 자이로 센서(500)에서 출력되는 감지 신호(S_Sens)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카메라부(100) 및 상기 제2 카메라부(200)에 복수의 구동 신호들 및 복수의 센서 제어 신호들을 출력하고 복수의 위치 감지 신호들을 입력 받을 수 있다.Based on the detection signal S_Sens output from the
또한, 상기 손떨림 보정 구동부(400)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의 하드웨어와 이에 탑재되어 기 정해진 동작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래밍된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상기 하드웨어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유닛 및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싱 유닛은 예를 들어 중앙처리장치(CPU), 마이크로프로세서,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FPGA)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코어를 가질 수 있다.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ROM, 플래시 메모리 등)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The hardware may include at least one processing unit and a memory. Here, the processing unit may include, for example,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 microprocessor, an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FPGA), and the like, and may have a plurality of cores. . The memory may be a volatile memory (eg, RAM, etc.), a nonvolatile memory (eg, ROM, flash memory, etc.), or a combination thereof.
상기 인터페이스부(300)는 선택 신호(S_Sel)를 입력 받고, 상기 선택 신호(S_Sel)에 따라 상기 손떨림 보정 구동부와 상기 제1 카메라부(100) 또는 상기 제2 카메라부(200)를 선택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The
즉, 상기 인터페이스부(300)는 선택 신호(S_Sel)에 따라, 상기 복수의 구동 신호들 및 상기 복수의 센서 제어 신호들을 상기 손떨림 보정 구동부(400)로부터 상기 제1 카메라부(100) 또는 상기 제2 카메라부(200)로 선택적으로 전달하고, 상기 복수의 위치 감지 신호들을 상기 제1 카메라부(100) 또는 상기 제2 카메라부(200)로부터 선택적으로 상기 손떨림 보정 구동부(300)로 전달할 수 있다.That is, the
한편, 상기 선택 신호(S_Sel)는 손떨림 보정 구동부(400)에서 출력될 수 있다.Meanwhile, the selection signal S_Sel may be output from the
도 1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300)가 제1 먹스(310) 및 제2 먹스(320)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인터페이스부(300)에 입출력되는 신호들의 수 또는 제조가격의 절감 등의 고려에 따라, 인터페이스부(300)에 포함되는 먹스(MUX, MUltipleXer)의 수는 변경될 수 있다.In FIG. 1, the
상기 인터페이스부(300)에 의해 상기 손떨림 보정 구동부(400)는 상기 제1 카메라부(100) 또는 상기 제2 카메라부(200)와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자이로 센서(500) 및 손떨림 보정 구동부(400)를 공용화하여 제1 카메라부(100) 및 제2 카메라부(200) 모두 손떨림 보정 기능을 구비하는데 있어 제조가격 상승 및 실장면적 증가를 최소화할 수 있다.
The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제1 하우징 유닛(110) 및 제1 렌즈 유닛(120)을 갖는 제1 카메라부(100)를 포함할 수 있고, 또한, 제2 하우징 유닛(210) 및 제2 렌즈 유닛(220)을 갖는 제2 카메라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제1 렌즈 유닛(120)은 제1 하우징 유닛(110)에 대하여 광축에 수직한 방향(X방향 및 Y방향-제1 방향 및 제2 방향에 대응됨)으로 상대운동이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The
또한, 제2 렌즈 유닛(220)은 제1 하우징 유닛(210)에 대하여 광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대운동이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도 2에서는 인터페이스부(310, 320), 손떨림 보정 구동부(400), 및 자이로 센서(500)가 별도의 기판에 실장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인터페이스부(310, 320), 손떨림 보정 구동부(400), 및 자이로 센서(500) 각각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이 채용되는 모바일 기기의 기판에 IC(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실장되거나 제1 카메라부(100) 또는 제2 카메라부(200)와 일체로 실장될 수 있다.
In FIG. 2, th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카메라부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showing in detail a camera unit of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제1 카메라부(100) 및 제2 카메라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이외의 구성들은 도 1에서 서술한 카메라 모듈의 구성 및 기능과 대응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Other configurations correspond to the configurations and functions of the camera module described in FIG. 1, and thus redundant descriptions are omitted.
제1 카메라부(100)는 제1 렌즈 유닛(120), 제1 구동부(130), 및 제1 센서부(140)을 포함할 수 있다.The
제1 렌즈 유닛(120)은 제1 하우징 유닛(도2의 110)에 장착될 수 있고, 상기 제1 구동부(130)은 상기 제1 렌즈 유닛(120)이 상기 제1 하우징 유닛에 대한 제1방향 및 제2방향의 상대운동을 하도록 구동할 수 있다.The
또한, 상기 제1 구동부(130)는 상기 복수의 구동 신호들을 상기 인터페이스부(300)를 통해 입력 받아 상기 제1 렌즈 유닛(120)이 상기 제1 하우징 유닛에 대한 제1방향 및 제2방향의 상대운동을 하도록 구동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상기 제1 센서부(140)는 상기 제1 렌즈 유닛(120)의 상기 하우징 유닛에 대한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The
또한, 제1 센서부(140)는 복수의 센서 제어 신호들을 입력 받고, 상기 제1 렌즈 유닛(130)의 상기 하우징 유닛에 대한 제1방향 및 제2방향의 위치를 감지하고, 상기 복수의 위치 감지 신호들을 출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구체적으로, 제1 센서부(140)는 자기력선속의 변화를 감지하고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홀(hall)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제2 카메라부(200)는 제2 렌즈 유닛(220), 제2 구동부(230), 및 제2 센서부(240)을 포함할 수 있다.The
제2 렌즈 유닛(220)은 제2 하우징 유닛(도2의 210)에 장착될 수 있고, 상기 제2 구동부(230)은 상기 제2 렌즈 유닛(120)이 상기 제2 하우징 유닛에 대한 제1방향 및 제2방향의 상대운동을 하도록 구동할 수 있다.The
또한, 상기 제2 구동부(230)는 상기 복수의 구동 신호들을 상기 인터페이스부(300)를 통해 입력 받아 상기 제2 렌즈 유닛(220)이 상기 제2 하우징 유닛에 대한 제1방향 및 제2방향의 상대운동을 하도록 구동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상기 제2 센서부(240)는 상기 제2 렌즈 유닛(220)의 상기 하우징 유닛에 대한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The
또한, 제2 센서부(240)는 복수의 센서 제어 신호들을 입력 받고, 상기 제1 렌즈 유닛(230)의 상기 하우징 유닛에 대한 제1방향 및 제2방향의 위치를 감지하고, 상기 복수의 위치 감지 신호들을 출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구체적으로, 제2 센서부(240)는 자기력선속의 변화를 감지하고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홀(hall)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한편, 상기 제1 구동부(130) 및 제2 구동부(230) 각각은 코일 및 영구자석 사이에서 생성되는 자기력의 크기 및 방향을 변화시켜 하우징 유닛에 대한 렌즈 유닛의 상대적인 이동을 가능케 할 수 있다.
Meanwhile, each of th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신호의 입출력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input/output of signals from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손떨림 보정 구동부(400)은 자이로 센서(500)의 감지 신호(S_Sens)에 기초하여, 제1 카메라부(도3의 100)에 포함된 제1 구동부(130) 및 상기 제2 카메라부(도3의 200)에 포함된 제2 구동부(230)에 복수의 구동 신호(Coil X+, Coil X-, Coil Y+, Coil Y-)들을 출력할 수 있다.
The image
또한, 상기 1 카메라부에 포함된 제1 센서부(140) 및 상기 제2 카메라부에 포함된 제2 센서부(240)에 복수의 제어 신호들(X_IN+, X_IN-, Y_IN+, Y_IN-)을 출력하고 복수의 위치 감지 신호들(X_OUT+, X_OUT-, Y_OUT+, Y_OUT-)을 입력 받을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control signals (X_IN+, X_IN-, Y_IN+, Y_IN-) are transmitted to the
상기 인터페이스부(330)는 제1 먹스(310) 및 제2 먹스(320)을 포함할 수 있다.The interface unit 330 may include a
도 4에서는 제1 먹스(310)로 4 X 8 Mux를 채용하고 제2 먹스(320)로 6 X 12 Mux를 채용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입출력되는 신호들의 수에 따라, 인터페이스부(300)에 포함되는 먹스(MUX, MUltipleXer)의 종류는 변경될 수 있다.
In FIG. 4, 4
인터페이스부(300)는 손떨림 보정 구동부(400)의 선택 신호(S_Sel)에 따라, 상기 복수의 구동 신호들(Coil X+, Coil X-, Coil Y+, Coil Y-) 및 상기 복수의 센서 제어 신호들(X_IN+, X_IN-, Y_IN+, Y_IN-)을 상기 손떨림 보정 구동부(400)로부터 상기 제1 카메라부 또는 상기 제2 카메라부로 선택적으로 전달하고, 상기 복수의 위치 감지 신호들(X_OUT+, X_OUT-, Y_OUT+, Y_OUT-)을 상기 제1 카메라부 또는 상기 제2 카메라부로부터 선택적으로 상기 손떨림 보정 구동부로 전달할 수 있다.
The
한편, 상기 복수의 구동 신호들(Coil X+, Coil X-, Coil Y+, Coil Y-), 상기 복수의 센서 제어 신호들(X_IN+, X_IN-, Y_IN+, Y_IN-), 및 상기 복수의 위치 감지 신호들(X_OUT+, X_OUT-, Y_OUT+, Y_OUT-)은 복수의 구동 방향들(제1 방향 및 제2 방향)에 대응하는 복수의 쌍을 이루고, 각각의 쌍은 음의(negative) 신호 및 양의(positive)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plurality of driving signals (Coil X+, Coil X-, Coil Y+, Coil Y-), the plurality of sensor control signals (X_IN+, X_IN-, Y_IN+, Y_IN-), and the plurality of position detection signals Each of (X_OUT+, X_OUT-, Y_OUT+, Y_OUT-) forms a plurality of pairs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driving directions (first and second directions), and each pair has a negative signal and a positive ( It may include a positive) signal.
예를 들어, 복수의 구동 신호들 중 제1 방향에 대응되는 하나의 신호 쌍(X_IN+, X_IN-)이 인터페이스부(300)을 통해 제1 구동부(130)에 입력되면, 상기 제1 구동부(130)는 상기 하나의 신호 쌍(X_IN+, X_IN-)에 따라 제1 렌즈 유닛(도 2의 120)이 제1 하우징 유닛(도 2의 110)에 대한 제1 방향(도 2의 X방향)으로 상대운동을 하도록 구동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one signal pair (X_IN+, X_IN-) corresponding to a first direction among a plurality of driving signals is input to the
마찬가지로, 복수의 구동 신호들 중 제2 방향에 대응되는 다른 하나의 신호 쌍(Y_IN+, Y_IN-)이 인터페이스부(300)을 통해 제1 구동부(130)에 입력되면, 상기 제1 구동부(130)는 상기 다른 하나의 신호 쌍(Y_IN+, Y_IN-)에 따라 제1 렌즈 유닛(도 2의 120)이 제1 하우징 유닛(도 2의 110)에 대한 제2 방향(도 2의 Y방향)으로 상대운동을 하도록 구동할 수 있다.
Similarly, when the other signal pair (Y_IN+, Y_I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irection among the plurality of driving signals is input to the
한편, 상기 복수의 위치 감지 신호들(X_OUT+, X_OUT-, Y_OUT+, Y_OUT-) 중 음의(negative) 신호들(X_OUT-, Y_OUT-)은 공통 연결된 접지 신호일 수 있다.
Meanwhile, among the plurality of position detection signals X_OUT+, X_OUT-, Y_OUT+, and Y_OUT-, negative signals X_OUT- and Y_OUT- may be commonly connected ground signals.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신호의 입출력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input/output of signals from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인터페이스부(300)는 제1 먹스(310) 및 제2 먹스(320)을 포함할 수 있다.The
상기 인터페이스부(300)는 상기 손떨림 보정 구동부의 선택 신호에 따라 복수의 구동 신호들(Coil X+, Coil X-, Coil Y+, Coil Y-) 중 양(positive)의 신호들(Coil X+, Coil Y+)을 제1 카메라부(도3의 100)에 포함된 제1 구동부(130) 또는 제2 카메라(도3의 200)에 포함된 제2 구동부(230)으로 선택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The
복수의 구동 신호들(Coil X+, Coil X-, Coil Y+, Coil Y-) 중 음의(negative) 신호들(Coil X-, Coil Y-)은 각각 상기 제1 카메라부에 포함된 제1 구동부(130) 및 상기 제2 카메라부에 포함된 제2 구동부(230)에 분기하여 입력될 수 있다.Of the plurality of driving signals (Coil X+, Coil X-, Coil Y+, Coil Y-), negative signals (Coil X-, Coil Y-) are each a first driver included in the first camera unit It may be input by branching to 130 and the
이외의 구성들은 도 4에서 서술한 카메라 모듈의 구성 및 기능과 대응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Other configurations correspond to the configurations and functions of the camera module described in FIG. 4, and thus overlapping descriptions are omitted.
복수의 구동 신호들 중 일부를 공용 사용함에 따라, 상기 카메라 모듈은 제1 먹스(310) 및 제2 먹스(320)로 4 X 8 Mux를 채용할 수 있다.As some of the plurality of driving signals are used in common, the camera module may employ 4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손떨림 보정 구동부(400)의 입출력 신호 중 일부를 상기 제1 카메라 및 상기 제2 카메라에 공통으로 사용하여 인터페이스부(300)에 채용되는 Mux의 사양을 낮출 수 있다.
Therefore, the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some of the input/output signals of the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specific matters such as specific elements and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but this is provided only to help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 Anyone with ordinary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from these descriptions.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Therefor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not be defined, and all modifications that are equally or equivalent to the claims as well as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 would say.
100 제1 카메라부
200 제2 카메라부
300 인터페이스부
400 손떨림 보정 구동부
500 자이로 센서100 first camera unit
200 second camera unit
300 interface
400 image stabilization driver
500 gyro sensor
Claims (20)
제2 카메라부;
각속도를 감지하고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자이로 센서의 상기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카메라부 및 상기 제2 카메라부에 복수의 구동 신호들 및 복수의 센서 제어 신호들을 출력하고 복수의 위치 감지 신호들을 입력 받는 손떨림 보정 구동부; 및
상기 손떨림 보정 구동부의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복수의 구동 신호들 및 상기 복수의 센서 제어 신호들을 상기 손떨림 보정 구동부로부터 상기 제1 카메라부 또는 상기 제2 카메라부로 선택적으로 전달하고, 상기 복수의 위치 감지 신호들을 상기 제1 카메라부 또는 상기 제2 카메라부로부터 선택적으로 상기 손떨림 보정 구동부로 전달하는 인터페이스부;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구동 신호들, 상기 복수의 센서 제어 신호들, 및 상기 복수의 위치 감지 신호들은 복수의 구동 방향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쌍을 이루고, 각각의 쌍은 음의(negative) 신호 및 양의(positive)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구동 신호들 중 음의(negative) 신호들은 각각 상기 제1 카메라부 및 상기 제2 카메라부로 분기하여 입력 되는 카메라 모듈.
A first camera unit;
A second camera unit;
Based on the detection signal of a gyro sensor that senses an angular velocity and outputs a detection signal, a plurality of driving signals and a plurality of sensor control signals are output to the first and second camera units, and a plurality of position detection signals An image stabilization driver for receiving inputs; And
Selectively transfer the plurality of driving signals and the plurality of sensor control signals from the image stabilization driving unit to the first camera unit or the second camera unit according to the selection signal of the image stabilization driving unit, and detecting the plurality of positions An interface unit selectively transmitting signals from the first camera unit or the second camera unit to the image stabilization driving unit; Including,
The plurality of driving signals, the plurality of sensor control signals, and the plurality of position detection signals form a plurality of pairs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driving directions, and each pair is a negative signal and a positive signal. contains a (positive) signal,
A camera module wherein negative signals among the plurality of driving signals are respectively branched to the first camera unit and the second camera unit and input.
제2 카메라부;
각속도를 감지하고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자이로 센서의 상기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카메라부 및 상기 제2 카메라부에 복수의 구동 신호들 및 복수의 센서 제어 신호들을 출력하고 복수의 위치 감지 신호들을 입력 받는 손떨림 보정 구동부; 및
상기 손떨림 보정 구동부의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복수의 구동 신호들 및 상기 복수의 센서 제어 신호들을 상기 손떨림 보정 구동부로부터 상기 제1 카메라부 또는 상기 제2 카메라부로 선택적으로 전달하고, 상기 복수의 위치 감지 신호들을 상기 제1 카메라부 또는 상기 제2 카메라부로부터 선택적으로 상기 손떨림 보정 구동부로 전달하는 인터페이스부;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구동 신호들, 상기 복수의 센서 제어 신호들, 및 상기 복수의 위치 감지 신호들은 복수의 구동 방향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쌍을 이루고, 각각의 쌍은 음의(negative) 신호 및 양의(positive)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위치 감지 신호들 중 음의(negative) 신호들은 공통 연결된 접지 신호인 카메라 모듈.
A first camera unit;
A second camera unit;
Based on the detection signal of a gyro sensor that senses an angular velocity and outputs a detection signal, a plurality of driving signals and a plurality of sensor control signals are output to the first and second camera units, and a plurality of position detection signals An image stabilization driver receiving inputs; And
Selectively transfer the plurality of driving signals and the plurality of sensor control signals from the image stabilization driving unit to the first camera unit or the second camera unit according to the selection signal of the image stabilization driving unit, and detecting the plurality of positions An interface unit selectively transmitting signals from the first camera unit or the second camera unit to the image stabilization driving unit; Including,
The plurality of driving signals, the plurality of sensor control signals, and the plurality of position detection signals form a plurality of pairs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driving directions, and each pair is a negative signal and a positive signal. contains a (positive) signal,
A camera module in which negative signals among the plurality of position detection signals are commonly connected ground signals.
제1 하우징 유닛에 장착되는 제1 렌즈 유닛;
상기 제1 렌즈 유닛이 상기 제1 하우징 유닛에 대한 제1방향 및 제2방향의 상대운동을 하도록 구동하는 제1 구동부; 및
상기 제1 렌즈 유닛의 상기 하우징 유닛에 대한 위치를 감지하는 제1 센서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The method of claim 13 or 14, wherein the first camera unit
A first lens unit mounted on the first housing unit;
A first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first lens unit to perform relative movement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housing unit; And
A camera module including a first sensor unit detecting a position of the first lens unit with respect to the housing unit.
상기 제1 구동부는 상기 복수의 구동 신호들을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 받아 상기 제1 렌즈 유닛이 상기 제1 하우징 유닛에 대한 제1방향 및 제2방향의 상대운동을 하도록 구동하는 카메라 모듈.
The method of claim 15,
The first driving unit receives the plurality of driving signals through the interface unit and drives the first lens unit to perform relative movements in a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housing unit.
상기 제1 센서부는 상기 복수의 센서 제어 신호들을 입력 받고, 상기 제1 렌즈 유닛의 상기 하우징 유닛에 대한 제1방향 및 제2방향의 위치를 감지하고, 상기 복수의 위치 감지 신호들을 출력하는 카메라 모듈.
The method of claim 15,
The first sensor unit receives the plurality of sensor control signals, detects a position of the first lens unit in a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housing unit, and outputs the plurality of position detection signals .
제2 하우징 유닛에 장착되는 제2 렌즈 유닛;
상기 제2 렌즈 유닛의 상기 제2 하우징 유닛에 대한 제1방향, 제2방향의 상대운동을 가능케하는 제2 구동부; 및
상기 제2 렌즈 유닛의 상기 제2 하우징 유닛에 대한 위치를 감지하는 제2 센서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second camera unit
A second lens unit mounted on the second housing unit;
A second driving unit enabling relative movement of the second lens unit in a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econd housing unit; And
A camera module including a second sensor unit detecting a position of the second lens unit with respect to the second housing unit.
상기 제2 구동부는 상기 복수의 구동 신호들을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 받아 상기 제2 렌즈 유닛이 상기 제2 하우징 유닛에 대한 제1방향 및 제2방향의 상대운동을 하도록 구동하는 카메라 모듈.
The method of claim 18,
The second driving unit receives the plurality of driving signals through the interface unit and drives the second lens unit to perform relative movements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econd housing unit.
상기 제2 센서부는 상기 복수의 센서 제어 신호들을 입력 받고, 상기 제2 렌즈 유닛의 상기 제2 하우징 유닛에 대한 제1방향 및 제2방향의 위치를 감지하고, 상기 복수의 위치 감지 신호들을 출력하는 카메라 모듈.The method of claim 18,
The second sensor unit receives the plurality of sensor control signals, detects a position of the second lens unit in a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econd housing unit, and outputs the plurality of position detection signals. Camera module.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13987A KR102184564B1 (en) | 2015-08-12 | 2015-08-12 | Camera module |
CN201610090331.8A CN106444220B (en) | 2015-08-12 | 2016-02-18 | camera modu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13987A KR102184564B1 (en) | 2015-08-12 | 2015-08-12 | Camera modul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19753A KR20170019753A (en) | 2017-02-22 |
KR102184564B1 true KR102184564B1 (en) | 2020-12-01 |
Family
ID=58183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13987A Active KR102184564B1 (en) | 2015-08-12 | 2015-08-12 | Camera module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2184564B1 (en) |
CN (1) | CN106444220B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8146655A (en) * | 2017-03-02 | 2018-09-20 | ローム株式会社 | Imaging apparatus and actuator driver |
CN107040722B (en) * | 2017-04-27 | 2019-02-15 |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 A shooting method and mobile terminal |
CN108873234A (en) * | 2017-05-12 | 2018-11-23 | 台湾东电化股份有限公司 | Lens driving mechanism |
CN107370941B (en) * | 2017-06-29 | 2020-06-23 | 联想(北京)有限公司 |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equipment |
CN109391751B (en) * | 2017-08-11 | 2020-12-08 |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 Electronic device and image pickup control method |
CN109709741B (en) * | 2017-10-26 | 2024-06-14 | 华为技术有限公司 | Optical image stabilization |
KR102551220B1 (en) | 2018-10-12 | 2023-07-03 | 삼성전기주식회사 | Camera module |
CN109274877B (en) * | 2018-11-06 | 2021-06-11 |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 Imaging module, camera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
KR102586074B1 (en) | 2019-09-30 | 2023-10-05 | 삼성전기주식회사 | Camera module |
KR20210093566A (en) * | 2020-01-20 | 2021-07-28 | 삼성전기주식회사 | Camera module |
KR20210093565A (en) * | 2020-01-20 | 2021-07-28 | 삼성전기주식회사 | Camera module |
US20220099435A1 (en) * | 2020-09-29 | 2022-03-31 |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 Three-dimensional (3d) space scanner with ois functio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186652A (en) * | 2004-12-27 | 2006-07-13 | Kyocera Corp | Imaging device |
JP2008310168A (en) | 2007-06-15 | 2008-12-25 | Fujinon Corp | Photographing unit, photographing device and portable apparatus |
Family Cites Families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565905B2 (en) * | 2004-06-23 | 2010-10-20 | Hoya株式会社 | Imaging device |
JP2007156351A (en) * | 2005-12-08 | 2007-06-21 | Sony Corp | Image blur correction device, lens device and imaging apparatus |
KR100819301B1 (en) * | 2006-12-20 | 2008-04-03 | 삼성전자주식회사 | Image stabilization method and apparatus of a camera module for mobile devices |
JP2009071495A (en) * | 2007-09-12 | 2009-04-02 | Fujinon Corp | Mobile terminal |
CN101299847B (en) * | 2008-06-25 | 2013-04-10 | 闻泰通讯股份有限公司 | Method for setting, controlling and switching forward and backward CCD camera of mobile terminal |
CN201540451U (en) * | 2009-09-25 | 2010-08-04 | 深圳市掌网立体时代视讯技术有限公司 | Optical anti-shake device of stereoscopic digital camera and anti-shake stereoscopic digital camera |
CN202475516U (en) * | 2012-03-14 | 2012-10-03 | 深圳市矽晟光电科技有限公司 | Double-camera touch screen mobile phone |
CN202488611U (en) * | 2012-03-31 | 2012-10-10 |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 Signal processing circuit of mobile device and mobile device |
CN202679454U (en) * | 2012-08-07 | 2013-01-16 |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 Camera module structure of mobile phone |
KR20140088310A (en) | 2013-01-02 | 2014-07-10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Camera modu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KR20150069740A (en) * | 2013-12-16 | 2015-06-2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CN104202527B (en) * | 2014-09-17 | 2019-01-18 | 广州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 For adjusting the device and method of camera lens in portable terminal |
KR102314115B1 (en) * | 2015-01-29 | 2021-10-18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A mobile device including a camera module |
-
2015
- 2015-08-12 KR KR1020150113987A patent/KR102184564B1/en active Active
-
2016
- 2016-02-18 CN CN201610090331.8A patent/CN106444220B/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186652A (en) * | 2004-12-27 | 2006-07-13 | Kyocera Corp | Imaging device |
JP2008310168A (en) | 2007-06-15 | 2008-12-25 | Fujinon Corp | Photographing unit, photographing device and portable apparatu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6444220B (en) | 2021-01-01 |
CN106444220A (en) | 2017-02-22 |
KR20170019753A (en) | 2017-02-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84564B1 (en) | Camera module | |
KR102620533B1 (en) | Camera module | |
CN104280976B (en) | Optical shockproof mechanism capable of switching optical path | |
CN112840268B (en) | Camera actuator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 |
US8320753B2 (en) | Handshake correction apparatus | |
US10261337B2 (en) | Apparatus for driving optical-reflector | |
US9285604B2 (en) | Blur correction apparatus | |
KR101912277B1 (en) | Actuator dri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 |
KR101886362B1 (en) | An actuator motion sensing element and a flexible circuit board | |
WO2018048701A1 (en) | Optical image stabilization for folded optics camera modules | |
KR102551220B1 (en) | Camera module | |
KR101859377B1 (en) | Actuator dri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 |
US8254772B2 (en) | Imaging apparatus and interchangeable lens | |
JP2019117330A5 (en) | ||
US20170261763A1 (en) | Anti-shake correction system for curved optical sensor | |
KR20210038186A (en) | Camera module | |
EP3525027A2 (en) | Reflectometer driving device for ois | |
CN106878609B (en) | Optical Image Stabilization Module and Camera Module | |
KR101973095B1 (en) |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in a camera module | |
CN113225455A (en) | Camera module | |
KR20150090775A (en) | Camera module | |
US20220397808A1 (en) | Actuators for providing an extended two-degree of freedom rotation range | |
US20230388619A1 (en) | Camera module and ic chip | |
US20160065815A1 (en) | Lens barrel and image pickup apparatus | |
CN106856551B (en) | Optical image stabilization module and camera modu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812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112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5081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2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82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11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11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0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