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184335B1 - 고명암비 이미지의 생성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고명암비 이미지의 생성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4335B1
KR102184335B1 KR1020190071541A KR20190071541A KR102184335B1 KR 102184335 B1 KR102184335 B1 KR 102184335B1 KR 1020190071541 A KR1020190071541 A KR 1020190071541A KR 20190071541 A KR20190071541 A KR 20190071541A KR 102184335 B1 KR102184335 B1 KR 1021843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state
exposure
period
lighting mean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1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43390A (ko
Inventor
율리안 베이커
마트회우스 아트만
미하엘 브루너
Original Assignee
제트카베 그룹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트카베 그룹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제트카베 그룹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90143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33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43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433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N5/235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6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provided with illuminat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3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by influencing the exposure ti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4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by influencing the scene brightness using illuminat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41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by increasing the dynamic range of the image compared to the dynamic range of the electronic image sen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43Bracketing, i.e. taking a series of images with varying exposure conditions
    • H04N5/235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5Mix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변의 고명암비 이미지들의 생성을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며, 상기 방법은 하기 단계들을 포함한다.
a) 각각 상이한 광선속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상태와 하나의 제2 상태를 보유하는 조명 수단(500), 처리 유닛(700), 및 적어도 하나의 감광 이미지 센서(110)를 포함한 촬상 시스템(100)을 제공하는 제공 단계,
b) 촬상 시스템(100)을 이용하여 촬상(300, 400)들을 생성하는 촬상 생성 단계이며, 적어도 하나의 제1 이미지 센서(110)는 하나의 기설정 가능한 노광 주기(200)에서 노광되고, 하나의 노광 주기(200) 이내에 적어도 하나의 제1 촬상(300) 및 하나의 제2 촬상(400)은 각각의 확정 가능한 노광 시간(310, 410)으로 생성되며, 조명 수단(500)은 하나의 기설정 가능한 조명 주기(610)에서 자신의 제1 상태로 전환되고 그 다음 자신의 제2 상태로 전환되며, 조명 수단(500)의 조명 주기(600, 610)는 촬상 시스템(100)의 노광 주기(200)보다 더 길거나 더 짧은 것인, 상기 촬상 생성 단계, 및
c) 처리 유닛(700)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합성(800)을 생성하는 이미지 합성 생성 단계이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합성(800)은 적어도 하나의 제1 및 제2 촬상(300, 400)과 비교하여 더 높은 명암비를 보유하는 것인, 상기 이미지 합성 생성 단계.

Description

고명암비 이미지의 생성 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CREATING THE HIGH DYNAMIC RANGE IMAGES}
본 발명은 주변의 이미지들의 명암비를 증가시키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자동차 헤드램프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자동차들은 일반적으로 객체들을 검출하고 그에 상응하게 그에 반응하는 것을 허용하는 객체 감지 시스템들 또는 장치들을 장착하고 있다.
예컨대 도로 교통에서 선행 차량들이 감지될 수 있고 이들 차량 간 이격 간격이 검출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자동차는 경우에 따라 독립적으로 제동 과정 및/또는 가속 과정을 시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예컨대 객체들 또는 보행자들은 차도 가장자리에서 감지될 수 있으며, 자동차는 바람직하게는 시그널링 장치(signaling device)를 통해 지면 상으로 상응하는 광 분포들을 투영할 수 있으며, 예컨대 보행자에게 멈춰 서 있게 하거나, 또는 도로를 횡단하도록 요구하는 시그널링을 투영할 수 있다.
특히 야간 동안 조명되지 않는 도로 또는 차도에서 상기 객체 감지 장치는,예컨대 야생 동물의 횡단을 적시에 감지하여 경우에 따라 제동 과정을 시작하기 위해, 운전자를 보조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장치들은 이미지 센서를 포함한 촬상 시스템을 구비하며, 상기 이미지 센서는 상대적으로 더 가까운 근접 주변, 또는 또 다른 객체 감지(object perception)를 위해 이용되는 장치의 주변의 촬상들을 검출한다.
그러나 촬상 시스템에 의해 검출되는 단일 촬상의 명암비들은, 보통, 예컨대 이미지 센서의 과부하 또는 눈부심(dazzling)처럼 조명이 불충분하거나 명암비들이 상이한 경우, 객체를 확실하게 감지하기에는 충분하지 않다.
촬상을 위한 노광 시간(light-exposure time) 동안, 이미지 센서는 이 이미지 센서에 부딪치는 광을 집적화한다. 너무 많은 광이 이미지 센서에 부딪친다면, 상기 이미지 센서는 과부하되고 객체들은 더 이상 신뢰성 있게 감지될 수 없다. 너무 적은 광이 이미지 센서에 부딪친다면, 너무 낮은 명암비로 인해 마찬가지로 객체는 식별될 수 없다.
그러므로 -불충분한 조건들에서도 마찬가지로 확실하게 객체들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촬상 시스템에 의해 복수의 촬상이 생성되지만, 그러나 적어도 2개의 촬상은 상이한 명암비를 보유해야 한다. 이를 위해, 이미지 센서를 위한 광량을 증가시키고 상대적으로 더 선명한 이미지들을 획득하기 위해, 주변은 예컨대 조명 수단을 통해 추가로 조명된다.
각각 촬상마다 상이한 명암비는 예컨대 이미지 센서의 상이한 노광 시간들을 통해 획득된다. 노광 시간의 변동을 통해, 상이한 명암비를 갖는 촬상들이 생성될 수 있다.
그에 이어서 적어도 2개의 촬상은 서로 중첩되어 하나의 고명암 이미지 또는 하나의 이미지 합성(image composition)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주변의 이미지들의 명암비를 증가시키기 위한 향상된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는 하기 단계들을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해결된다.
a) 각각 상이한 광선속(light flux)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상태와 하나의 제2 상태, 예컨대 스위치 온 상태와 스위치 오프 상태를 취할 수 있는 조명 수단; 처리 유닛; 및 적어도 하나의 감광 이미지 센서를 포함한 촬상 시스템;을 제공하는 제공 단계,
b) 촬상 시스템을 이용하여 주변의 촬상들을 생성하는 촬상 생성 단계이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센서는 하나의 기설정 가능한 노광 주기(light-exposure period)에서 노광되고, 하나의 노광 주기 이내에 적어도 하나의 제1 촬상 및 하나의 제2 촬상이 각각의 확정 가능한 노광 시간으로 생성되며, 조명 수단은 제1 및 제2 상태의 기간으로 구성되는 하나의 기설정 가능한 조명 주기(illuminating period)에서 자신의 제1 상태로 전환되고 그 다음 자신의 제2 상태로 전환되며, 조명 수단의 조명 주기는 촬상 시스템의 노광 주기보다 더 길거나 더 짧으며, 그럼으로써 제1 촬상과 제2 촬상은 상이한 명암비를 보유하게 되는 것인, 상기 촬상 생성 단계, 및
c) 처리 유닛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합성을 생성하는 이미지 합성 생성 단계이며, 하나의 노광 주기의 적어도 하나의 제1 및 제2 촬상은 서로 중첩되고,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합성은 적어도 하나의 제1 및 제2 촬상과 비교하여 더 높은 명암비를 보유하는 것인, 상기 이미지 합성 생성 단계.
여기서 주지할 사항은, 조명 주기가 노광 주기와 동시에 진행되거나, 또는 그와 반대의 경우가 진행된다는 것이다. 이는, 조명 주기가 진행되고 그에 따라 주변은 조명 수단을 통해 더 이상 조명되지 않은 후에 비로소 노광 주기도 진행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오히려, 주변이 조명 주기에서 조명 수단을 통해 조명될 때, 또는 조명 주기가 진행될 때, 노광 주기가 진행된다.
조명 수단의 조명 주기를 통해, 조명 주기 동안 조명 수단의 전체 에너지 소모량을 높이지 않으면서, 조명 수단의 제1 또는 제2 상태에서 광출력 또는 광선속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광출력이 상대적으로 더 높은 경우 주변으로의 조명, 예컨대 도달범위(coverage) 역시도 증가된다. 이는, 예컨대 객체들의 더 이른 감지 및 운전자를 위한 증가된 안전성을 달성한다.
그 외에도, 조명 수단의 활성화 동안 신호가 처리 유닛을 통해 촬상 시스템으로 전송됨으로써 촬상 시스템도 마찬가지로 활성화되게 하는 방식으로, 촬상 시스템과 조명 수단은 처리 유닛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광선속"은 일반적으로 광원들 또는 조명 수단들이 가시광의 형태로 방출하는 방사선을 기술한다. 광선속은 통상 루멘(lm)의 단위로 명시된다.
"광량"으로서 지칭되는 것은 시간 기간(t)과, 이 시간 기간(t) 동안 시간상 일정하게 방출되는 조명 수단 또는 광원의 광선속의 곱이다.
예컨대 제1 상태는 조명 수단의 스위치 온 상태에 상응할 수 있고 제2 상태는 조명 수단의 스위치 오프 상태에 상응할 수 있으며, 스위치 온 상태는 영(0)보다 큰 광선속을 나타내고 스위치 오프 상태는 영(0)의 광선속을 나타낸다.
"노광 시간"은, 광에 민감한 매체-예컨대 이미지 센서-가 이미지 또는 광 이미지의 기록을 위해 존재하는 광에 노출되는 시간 간격을 의미할 수 있다.
너무 짧은 노광 시간은 일반적으로 부족하게 노출된(너무 어두운) 이미지들을 야기하고 너무 오랜 노광 시간은 과다하게 노출된(너무 밝은) 이미지들을 야기한다.
-다이내믹 레인지라고도 하는- "명암비"란 용어는 일반적인 기술적, 물리적, 수학적 관계들에서 물리적 변수 또는 함수의 최댓값과 최솟값의 몫을 지칭한다.
최대 대비에 대한 최소 대비의 비율로서의 명암비는 예컨대 f-스톱(f-stop), 즉 밑이 2인 로그(logarithm to base 2)로서 명시된다.
고명암비 이미지들은 적은 다이내믹 레인지를 갖는 보통의 이미지들의 노광열(exposure row)을 토대로 생성될 수 있다. 이런 경우, 모티브 대비(motiv contrast)가 거의 완전하게, 또는 향상된 방식으로 검출되어 절대 휘도값들이 저장되도록 개별 촬상들은 상호 간에 조합된다.
또한, 사진술에서는, 노출값(EV)으로 다이내믹 레인지 또는 명암비의 명시 역시도 통상적인 것이다. 노출값(EV)은 사진술에서 촬영의 노광에 관련되는 로그 치수(logarithmic dimension)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촬상 및 제2 촬상의 생성을 위한 노광 시간들은 동일한 길이일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촬상 및 제2 촬상의 생성을 위한 노광 시간들은 서로 상이한 길이일 수 있다.
또한, 촬상 시스템은 추가 이미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하나의 노광 주기에서 제1 이미지 센서는 제1 촬상을 생성하고 추가 이미지 센서는 제2 촬상을 생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 촬상은 공통 시작점(start point)의 문맥에서 동시에 상이한 노광 시간들로 생성될 수 있다.
이런 경우, "동시에"란 용어는 특히 상응하는 노광 시간들의 공통 시작점을 의미한다.
또한, 조명 수단은, 바람직하게는 펄스폭 변조에 의해 디밍(dimming)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펄스폭 변조 동안 주파수가 일정한 경우 구형파 펄스의 듀티 계수(duty factor)는 변조되며, 다시 말하면 구형파 펄스를 형성하는 임펄스의 폭이 변조된다.
예컨대 스위치 온 및 오프 기간이 충분히 짧은 경우 사람의 눈은 단지 평균 광도(luminosity)만을 감지한다. 이 경우, 클록 주파수가 충분히 높게, 예컨대 10kHz로 설정됨으로써 사람의 눈은 빠른 이동 중에도 휘도 변동을 감지할 수 없게 한다는 점에 유념해야 한다.
스위칭 주파수가 높은 경우, 단일 임펄스(single impulse)의 에너지 역시도 광을 방출하는 발광다이오드의 열용량과 관련하여 낮게 유지된다. 그러므로 부품 또는 발광다이오드의 단시간 피크 온도는 스위칭 주파수가 높은 경우 PWM 신호의 평균 출력에 상응하는 온도에 가깝게 잔존한다.
적합한 실시형태에서, 노광 주기 및 조명 주기는 각각 반복해서, 또는 곧바로 잇따라 반복해서 진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조명 수단은 자동차 헤드램프로서 형성될 수 있다.
이런 경우, 바람직하게는, 사람의 눈에 대해 깜박거림의 인상을 감소시키거나 방지하기 위해, 자동차 헤드램프의 광 방출의 주파수는 60Hz보다 더 높다.
적합한 실시형태에서, 조명 수단, 처리 유닛 및 촬상 시스템은 자동차 내에, 바람직하게는 자동차에 장착되어 있는 자동차 헤드램프 내에 내장될 수 있다.
이런 경우, 자동차는, 각각 상이한 광선속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상태와 하나의 제2 상태, 예컨대 스위치 온 상태와 스위치 오프 상태를 취할 수 있는 조명 수단, 적어도 하나의 감광 센서를 포함하여 주변의 촬상들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촬상 시스템, 및 촬상 시스템에 의해 생성된 촬상들의 이미지 합성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처리 유닛을 포함하며, 이를 위해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센서는 하나의 기설정 가능한 노광 주기에서 노광되고, 하나의 노광 주기 이내에 적어도 하나의 제1 촬상 및 하나의 제2 촬상은 각각의 확정 가능한 노광 시간으로 생성되고, 조명 수단은 하나의 기설정 가능한 조명 주기에 자신의 제1 상태로 전환되고 그 다음 자신의 제2 상태로 전환되며, 조명 수단의 조명 주기는 촬상 시스템의 노광 주기보다 더 길거나 더 짧으며, 그럼으로써 제1 촬상과 제2 촬상은 상이한 명암비를 보유하게 되고, 처리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제1 촬상 및 하나의 제2 촬상을 서로 중첩시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합성을 형성하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합성은 적어도 하나의 제1 및 제2 촬상과 비교하여 더 높은 명암비를 보유한다.
이런 경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2개의 자동차 헤드램프가 조명 수단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여기서, 주지할 사항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상술한 상이한 실시형태들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또는 자동차 헤드램프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는 점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노광 주기와 조명 주기는 자동차의 주행 속도에 상응하게 매칭될 수 있다.
예컨대 조명 주기 및/또는 노광 주기의 길이는 주행 속도가 상대적으로 더 높은 경우 단축되고 주행 속도가 상대적으로 더 낮은 경우에는 증가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은 예시의 도면들에 따라서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주변의 고명암비 이미지들을 생성하기 위한 예시의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는 연이어 진행되는 조명 수단의 예시의 조명 주기들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하나의 조명 주기는 동일한 길이의 제1 및 제2 상태로 구성되며, 하나의 조명 주기에서 동일한 길이인 제1 노광 시간과 제2 노광 시간을 포함한 하나의 노광 주기가 진행된다.
도 3은 연이어 진행되는 조명 수단의 예시의 조명 주기들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하나의 조명 주기는 상이한 길이의 제1 및 제2 상태로 구성되며, 하나의 조명 주기 동안 동일한 길이인 제1 노광 시간과 제2 노광 시간을 포함한 하나의 노광 주기가 진행된다.
도 4는 연이어 진행되는 조명 수단의 예시의 조명 주기들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하나의 조명 주기는 동일한 길이의 제1 및 제2 상태로 구성되며, 하나의 조명 주기 동안 서로 상이한 길이인 제1 노광 시간과 제2 노광 시간을 포함한 하나의 노광 주기가 진행된다.
도 5는 연이어 진행되는 조명 수단의 예시의 조명 주기들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하나의 조명 주기는 동일한 길이의 제1 및 제2 상태로 구성되며, 하나의 조명 주기 동안 서로 상이한 길이일 수 있는 제1 노광 시간과 제2 노광 시간을 포함한 하나의 노광 주기가 진행된다.
도 6은 연이어 진행되는 조명 수단의 예시의 조명 주기들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하나의 조명 주기는 동일한 길이의 제1 및 제2 상태로 구성되며, 하나의 조명 주기 동안 서로 상이한 길이일 수 있는 제1 노광 시간과 제2 노광 시간을 포함한 하나의 노광 주기가 진행되며, 그리고 노광 주기들은 서로 상이한 길이일 수 있다.
도 7은 연이어 진행되는 조명 수단의 예시의 조명 주기들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하나의 조명 주기는 동일한 길이의 제1 및 제2 상태로 구성되며, 하나의 조명 주기 동안 서로 상이한 길이일 수 있으면서 동시에 진행되는 제1 노광 시간과 제2 노광 시간을 포함한 하나의 노광 주기가 진행된다.
도 1에는, 주변의 고명암비 이미지들을 생성하기 위한 예시의 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는, 각각 상이한 광선속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상태와 하나의 제2 상태, 예컨대 스위치 온 상태와 스위치 오프 상태를 보유하는 조명 수단(500), 처리 유닛(700), 및 적어도 하나의 감광 이미지 센서(110)를 포함한 촬상 시스템(100)이 제공된다.
조명 수단(500)은 펄스폭 변조에 의해 디밍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한다.
촬상 시스템(100)을 이용하여 주변의 촬상(300, 400)들의 생성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센서(110)는 하나의 기설정 가능한 노광 주기(200)에서 노광되며, 하나의 노광 주기(200) 이내에 각각의 확정 가능한 노광 시간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촬상(300)과 하나의 제2 촬상(400)이 생성된다.
노광 주기(200) 동안, 조명 수단(500)은 하나의 기설정 가능한 조명 주기(600, 610)에서 제1 상태로 전환되고 그 다음 제2 상태로 전환되며, 조명 수단(500)의 조명 주기(600, 610)는 촬상 시스템(100)의 노광 주기(200)보다 더 길거나 더 짧을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제1 촬상(300)과 제2 촬상(400)은 서로 상이한 명암비를 보유하게 된다.
그에 이어서, 처리 유닛(700)에 의해 제1 촬상(300)과 제2 촬상(400)으로 이루어진 하나의 이미지 합성(800)이 생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제1 촬상(300)과 하나의 제2 촬상(400)은 서로 중첩되어 상기 이미지 합성을 형성한다.
그 결과, 이미지 합성(800)은 적어도 하나의 제1 및 제2 촬상(300, 400)과 비교하여 더 높은 명암비를 보유한다.
도 2에는, 조명 수단(500)의 예시의 기설정 가능한 조명 주기(600)들이 도시되어 있고, 조명 수단은 하나의 조명 주기(600)에서 제1 상태로 전환되고 그 다음 제2 상태로 전환되며, 상기 조명 주기(600)들은 시간(t)에 대해 표시되어 있으며, 그리고 제1 상태와 제2 상태는 도 2에 도시된 예에서 동일한 길이다.
또한, 제1 및 제2 촬상(300, 400)의 생성을 위한 이미지 센서(110)의 제1 및 제2 노광 시간(310, 410)도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노광 시간(310, 410)들은 도시된 예에서 동일한 길이이다. 본 예에서 연이어, 또는 곧바로 연이어 진행되는 제1 및 제2 노광 시간(310, 410)은 하나의 노광 주기(200)를 형성한다.
도면에서 확인되는 것처럼, 이미지 센서는 제1 촬상의 생성을 위한 제1 노광 시간들에서 각각 상이한 광량으로 노광된다. 이는, 하나의 노광 주기(200)에서 제2 촬상의 생성을 위한 제2 노광 시간들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그 결과, 연이어, 또는 곧바로 연이어 진행되는 노광 주기(200)들에서, 각각 상이한 명암비를 갖는 제1 및 제2 촬상들이 생성된다.
도 3에는, 조명 수단(500)의 예시의 기설정 가능한 또 다른 조명 주기(600)들이 도시되어 있고, 조명 수단은 하나의 조명 주기(600)에서 제1 상태로 전환되고 그 다음 제2 상태로 전환되며, 상기 조명 주기(600)들은 시간(t)에 대해 표시되어 있으며,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예에서 제1 상태와 제2 상태는 서로 상이한 길이이다.
하나의 노광 주기(200)를 형성하는 도시된 제1 노광 시간(310)과 제2 노광 시간(410)은 도 2의 선행 예에서처럼 동일한 길이이다.
도 4에는, 조명 수단(500)의 예시의 기설정 가능한 또 다른 조명 주기(600)들이 도시되어 있고, 조명 수단은 하나의 조명 주기(600)에서 제1 상태로 전환되고 그 다음 제2 상태로 전환되며, 상기 조명 주기(600)들은 시간(t)에 대해 표시되어 있으며,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예에서 제1 상태와 제2 상태는 도 2의 예에서처럼 동일한 길이이다.
하나의 노광 주기(200)를 형성하는 도시된 제1 노광 시간(310)과 제2 노광 시간(410)은 서로 상이한 시간 기간을 보유한다.
도 5에는, 조명 수단(500)의 예시의 기설정 가능한 또 다른 조명 주기(600)들이 도시되어 있고, 조명 수단은 하나의 조명 주기(600)에 제1 상태로 전환되고 그 다음 제2 상태로 전환되며, 상기 조명 주기(600)들은 시간(t)에 대해 표시되어 있으며,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예에서 제1 상태와 제2 상태는 도 2의 예에서처럼 동일한 길이이다.
상술한 예들과 달리, 각각의 연이어 진행되는 노광 주기(200)에서 하나의 제1 촬상 및 하나의 제2 촬상의 생성을 위한 제1 노광 시간(310) 및 제2 노광 시간(410)은 가변하고, 노광 주기(200)들은 가변하는 노광 시간(310, 410)들에도 불구하고 동일한 시간 기간을 보유한다.
도 6에는, 조명 수단(500)의 예시의 기설정 가능한 또 다른 조명 주기(600)들이 도시되어 있고, 조명 수단은 하나의 조명 주기(600)에서 제1 상태로 전환되고 그 다음 제2 상태로 전환되며, 상기 조명 주기(600)들은 시간(t)에 대해 표시되어 있으며,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예에서 제1 상태와 제2 상태는 도 2의 예에서처럼 동일한 길이이다.
도 5의 예에서와 유사하게, 하나의 노광 주기(200)의 제1 노광 시간(310) 및 제2 노광 시간(410)은 가변하고, 도 4에서의 예와 달리, 노광 주기(200)들 역시도 자신들의 기간과 관련하여 가변한다.
여기서 주지할 사항은, 도시된 예들이 노광 시간들, 노광 주기들 및 조명 주기들로 이루어진 조합 조건들과 관련하여 결정적인 것이 아니며, 그리고 상호 간에 마찬가지로 여전히 조합될 수 있다는 점이다.
도시된 예들 및 이 도시된 예들의 조합 조건들은, 예컨대 제공되는 조명 수단, 처리 유닛 및 촬상 시스템이 그 내에 장착되어 있는 것인, 바람직하게는 자동차 헤드램프 내에 내장되어 있는 것인 자동차의 주행 속도와 관련하여 매칭될 수 있다.
예컨대 조명 주기 및/또는 노광 주기는 주행 속도가 상대적으로 더 높은 경우 단축되고 주행 속도가 상대적으로 더 낮은 경우에는 증가된다.
또한, 촬상 시스템(100)은 추가 이미지 센서(120)를 포함하며, 하나의 노광 주기(200)에 제1 이미지 센서(110)는 제1 촬상(300)을 생성하고 추가 이미지 센서(120)는 제2 촬상(400)을 생성한다.
이를 위해, 도 7에는, 조명 수단(500)의 예시의 기설정 가능한 조명 주기(600)들이 도시되어 있고, 조명 수단은 하나의 조명 주기(600)에 제1 상태로 전환되고 그 다음 제2 상태로 전환되며, 상기 조명 주기(600)들은 시간(t)에 대해 표시되어 있으며,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예에서 제1 상태와 제2 상태는 도 2의 예에서처럼 동일한 길이이다.
또한, 하나의 노광 주기(200)는 하나의 제1 노광 시간(310)과 하나의 제2 노광 시간(410)으로 형성되고, 제1 및 제2 촬상(300, 400)은 상이한 노광 시간(310, 410)들로 동시에 생성된다.
이런 경우, "동시에"란 용어는 특히 상응하는 노광 시간(310, 410)들의 공통 시작점을 의미하며, 하나의 노광 주기(200)의 기간은 최장 노광 시간-도 7에 도시된 예에서는 제2 노광 시간(410)-의 기간과 등가이다.
100: 촬상 시스템
110: 이미지 센서
200: 노광 주기
300: 제1 촬상
310, 410: 노광 시간
400: 제2 촬상
500: 조명 수단
600, 610: 조명 주기
700: 처리 유닛
800: 이미지 합성

Claims (12)

  1. 주변의 이미지들의 명암비를 증가시키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a) 각각 상이한 광선속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상태와 하나의 제2 상태를 취할 수 있는 조명 수단(500); 처리 유닛(700); 및 적어도 하나의 감광 이미지 센서(110)를 포함한 촬상 시스템(100);을 제공하는 제공 단계,
    b) 상기 촬상 시스템(100)을 이용하여 주변의 촬상(300, 400)들을 생성하는 촬상 생성 단계이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센서(110)는 하나의 기설정 가능한 노광 주기(200)에서 노광되고, 하나의 노광 주기(200) 이내에 적어도 하나의 제1 촬상(300) 및 하나의 제2 촬상(400)은 각각의 확정 가능한 노광 시간(310, 410)으로 생성되며, 상기 조명 수단(500)은 제1 및 제2 상태의 기간으로 구성되는 하나의 기설정 가능한 조명 주기(610)에서 자신의 제1 상태로 전환되고 그 다음 자신의 제2 상태로 전환되며, 상기 조명 수단(500)의 조명 주기(600, 610)는 상기 촬상 시스템(100)의 노광 주기(200)보다 더 길거나 더 짧으며, 그럼으로써 상기 제1 촬상(300)과 상기 제2 촬상(400)은 상이한 명암비를 보유하게 되는 것인, 상기 촬상 생성 단계, 및
    c) 상기 처리 유닛(700)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합성(800)을 생성하는 이미지 합성 생성 단계이며, 하나의 노광 주기의 적어도 하나의 제1 및 제2 촬상(300, 400)은 서로 중첩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합성(800)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및 제2 촬상(300, 400)과 비교하여 더 높은 명암비를 보유하는 것인, 상기 이미지 합성 생성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 수단(500)은 60Hz 보다 더 높은 주파수를 가진 펄스폭 변조에 의해 디밍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 수단(500)은 자동차 헤드램프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의 이미지들의 명암비 증가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하나의 노광 주기(200)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및 제2 촬상(300, 400)의 생성을 위한 노광 시간(310, 410)들은 동일한 길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의 이미지들의 명암비 증가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하나의 노광 주기(200)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및 제2 촬상(300, 400)의 생성을 위한 노광 시간(310, 410)들은 서로 상이한 길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의 이미지들의 명암비 증가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시스템(100)은 추가 이미지 센서(120)를 포함하며, 하나의 노광 주기(200)에서 상기 감광 이미지 센서(110)는 상기 제1 촬상(300)을 생성하고 상기 추가 이미지 센서(120)는 상기 제2 촬상(400)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의 이미지들의 명암비 증가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촬상(300) 및 상기 제2 촬상(400)은 공통 시작점에서 동시에 상이한 노광 시간(310, 410)들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의 이미지들의 명암비 증가 방법.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수단(500), 상기 처리 유닛(700) 및 상기 촬상 시스템(100)은 자동차 내에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의 이미지들의 명암비 증가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노광 주기(200) 및 상기 조명 주기(600, 610)는 자동차의 주행 속도에 상응하게 매칭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의 이미지들의 명암비 증가 방법.
  11. 각각 상이한 광선속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상태와 하나의 제2 상태를 보유하는 조명 수단(500), 처리 유닛(700), 및 적어도 하나의 감광 이미지 센서(110)를 구비한 촬상 시스템(100)을 포함하는 자동차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가 청구항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12. 각각 상이한 광선속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상태와 하나의 제2 상태를 보유하는 조명 수단(500), 처리 유닛(700), 및 적어도 하나의 감광 이미지 센서(110)를 구비한 촬상 시스템(100)을 포함하는 자동차 헤드램프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 헤드램프가 청구항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램프.
KR1020190071541A 2018-06-20 2019-06-17 고명암비 이미지의 생성 방법 및 장치 Active KR1021843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8178777.1A EP3585047B1 (de) 2018-06-20 2018-06-20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erstellung von hochkontrastbildern
EP18178777.1 2018-06-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3390A KR20190143390A (ko) 2019-12-30
KR102184335B1 true KR102184335B1 (ko) 2020-12-01

Family

ID=62791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1541A Active KR102184335B1 (ko) 2018-06-20 2019-06-17 고명암비 이미지의 생성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3585047B1 (ko)
KR (1) KR102184335B1 (ko)
CN (1) CN11062085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0660B1 (ko) * 2020-08-24 2022-10-3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카메라 내장 헤드램프의 램프 제어기 연동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86656A (ja) * 2004-03-29 2005-10-13 Fuji Photo Film Co Ltd 撮像装置、車両、および運転支援方法
JP2007194986A (ja) * 2006-01-20 2007-08-02 Fujifilm Corp 撮影装置
JP2016096417A (ja) 2014-11-13 2016-05-26 クラリオン株式会社 車載カメラ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98970A (ja) * 2002-09-12 2004-04-02 Koito Mfg Co Ltd 車輌用前照灯装置
KR100488728B1 (ko) * 2003-05-15 2005-05-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2중 노출 카메라 시스템 및 영상 취득방법
JP4603421B2 (ja) * 2005-05-27 2010-12-2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4341691B2 (ja) * 2007-04-24 2009-10-07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方法、露光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5077003B2 (ja) * 2008-03-25 2012-11-21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
JP4561912B2 (ja) * 2008-09-12 2010-10-13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1903853B (zh) * 2008-10-21 2013-08-14 株式会社日本显示器西 图像拾取装置、显示及图像拾取装置和电子装置
KR20110047482A (ko) * 2009-10-30 2011-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차량의 속도에 따라 차량의 외부 영상을 촬영하는 방법 및 차량용 블랙박스
JP2011193324A (ja) * 2010-03-16 2011-09-29 Ricoh Co Ltd 車載用撮像装置
CN101969533B (zh) * 2010-09-08 2015-05-2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摄像头的防抖方法及装置
JP5333522B2 (ja) * 2011-06-06 2013-11-06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動画生成装置、動画生成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EP3007432B1 (en) * 2013-06-07 2020-01-01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Image acquisition device and image acquisition method
CN103747189A (zh) * 2013-11-27 2014-04-23 杨新锋 一种数字图像处理方法
JP2016220056A (ja) * 2015-05-21 2016-12-22 株式会社デンソー 画像生成装置
CN107113058B (zh) * 2015-11-06 2020-12-18 松下电器(美国)知识产权公司 可见光信号的生成方法、信号生成装置以及介质
US10453185B2 (en) * 2015-11-12 2019-10-22 Aquifi, Inc. System and method for high dynamic range depth capture using multiple cameras
KR102570305B1 (ko) * 2016-05-04 2023-08-2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6060418A (zh) * 2016-06-29 2016-10-26 深圳市优象计算技术有限公司 基于imu信息的宽动态图像融合方法
WO2018062537A1 (ja) * 2016-09-30 2018-04-05 株式会社ニコン 撮像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電子機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86656A (ja) * 2004-03-29 2005-10-13 Fuji Photo Film Co Ltd 撮像装置、車両、および運転支援方法
JP2007194986A (ja) * 2006-01-20 2007-08-02 Fujifilm Corp 撮影装置
JP2016096417A (ja) 2014-11-13 2016-05-26 クラリオン株式会社 車載カメラ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85047B1 (de) 2021-03-24
CN110620857B (zh) 2022-01-11
EP3585047A1 (de) 2019-12-25
KR20190143390A (ko) 2019-12-30
CN110620857A (zh) 2019-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118900B (zh) 前照灯装置及其亮度控制方法
CN103249597B (zh) 车辆配光控制装置以及方法
US20120127313A1 (en) Method and device for a vehicle-based illumination in insufficiently illuminated traffic environments
KR102581750B1 (ko) 자동차용 라이트 시스템
JP2022136305A (ja) 車両用灯具およびその制御装置、制御方法
CN102047166A (zh) 用于产生机动车周围环境的图像的装置、摄像机和方法
US20150304539A1 (en) Method for Detecting Light Sources Operated in Pulsed Mode
JP5251680B2 (ja) 照明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6533050B2 (ja) 車載カメラシステム
US12167141B2 (en) Imaging system including difference image generator that generates difference images
KR102184335B1 (ko) 고명암비 이미지의 생성 방법 및 장치
JP2017193239A (ja) 車載システム
JP7622626B2 (ja) 車両用投影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車両用灯具
JP6935815B2 (ja) 照明撮像装置
CN114245042B (zh) 补光方法、成像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CN114604165B (zh) 车辆及其车辆照明灯控制系统和方法
JP7136055B2 (ja) 露光制御装置
WO2022149600A1 (ja) 車両用投影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車両用灯具
JP2013009041A (ja) 車両用撮影表示制御システム
JP6944310B2 (ja) 特定対象物検出装置
JP3080620B1 (ja) 光源点灯装置及び方法
JP7467720B2 (ja) 適応型自動車前照灯の制御方法
JP7176208B2 (ja) システムおよび撮像装置
US20240101021A1 (en) Headlight determination apparatus
JPWO2018173726A1 (ja) 照明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61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4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10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11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11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1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