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3009B1 - Control method of evaporative humidifier - Google Patents
Control method of evaporative humidifi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83009B1 KR102183009B1 KR1020200105350A KR20200105350A KR102183009B1 KR 102183009 B1 KR102183009 B1 KR 102183009B1 KR 1020200105350 A KR1020200105350 A KR 1020200105350A KR 20200105350 A KR20200105350 A KR 20200105350A KR 102183009 B1 KR102183009 B1 KR 10218300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entilation
- supply
- valve
- humidification
- ratio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4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2
- 230000008016 vaporiz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GNFTZDOKVXKIBK-UHFFFAOYSA-N 3-(2-methoxyethoxy)benzohydrazide Chemical compound COCCOC1=CC=CC(C(=O)NN)=C1 GNFTZDOKVXKIBK-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
- FGUUSXIOTUKUDN-IBGZPJMESA-N C1(=CC=CC=C1)N1C2=C(NC([C@H](C1)NC=1OC(=NN=1)C1=CC=CC=C1)=O)C=CC=C2 Chemical compound C1(=CC=CC=C1)N1C2=C(NC([C@H](C1)NC=1OC(=NN=1)C1=CC=CC=C1)=O)C=CC=C2 FGUUSXIOTUKUDN-IBGZPJMESA-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08000008589 Obesity Diseases 0.000 claims 1
- 235000020824 obesity Nutrition 0.000 claims 1
- 238000009834 vaporiz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08400 supply water Substances 0.000 abstract 1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020 evap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200 vapor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378 air conditio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5181 infectious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17 retain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8—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air-humidifica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4—Electronic processing using pre-stored data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20—Humid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실내와 연통하고 환기(RA)가 유입되는 기화식 가습기의 유입구측과, 실내와 연통하고 급기(SA)가 토출되는 토출구측, 각각에서 상기 환기(RA)와 급기(SA)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는 단계와, b)상기 기화식 가습기의 급수제어밸브를 개방하여 가습여재에 단위시간별로 일정시간 급수하는 단계와, c)환기(RA)의 습구온도, 가습여재 내부의 온도, 환기(RA) 및 급기(SA)의 습도를 각각 측정하는 단계와, d)측정된 환기(RA)의 습구온도와 가습여재 내부의 온도를 비교하여, 두 개의 값이 동일하거나, 또는 급기(SA)의 습도가 기설정 값이 이상일 때까지 밸브개방시간과 밸브폐쇄시간의 비를 변화시키는 단계와, e)상기 환기(RA)의 습구온도와, 가습여재 내부의 온도 비교하여 두 개의 값이 동일하거나, 또는 급기(SA)의 습도가 기설정 값이 이상일 때의 밸브개방시간과 밸브폐쇄시간의 비인 최대 가동밸브비를 결정하는 단계와, f)최대 가동밸브비로 급수제어밸브가 제어되는 동안 측정된 급기(SA)의 절대습도와 환기(RA)의 절대습도에 기초하여 최대 가동공급가습량을 산출하는 단계, 및 g)상기 산출된 최대 가동공급가습량 및 실내의 설정조건을 기초로, 상기 급수제어밸브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실내의 가습부하 변동에 상관없이 가습기의 가습여재가 일정량의 습윤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과다한 급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가습 효율을 최적화할 수 있음은 물론 지속적으로 안정적인 가습을 실시할 수 있고, 불필요한 물(자원)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기화식 가습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the inlet side of the vaporization humidifier in communication with the room and the ventilation (RA) flows in, and the outlet side in communication with the room and discharged air supply (SA), the ventilation (RA) and air supply (SA) at each Measuring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b) opening the water supply control valve of the vaporizing humidifier to supply water to the humidifying filter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per unit time, and c) the wet bulb temperature of the ventilation (RA), the inside of the humidifying filter. Measuring the temperature, humidity of ventilation (RA) and air supply (SA), respectively, and d) comparing the wet bulb temperature of the measured ventilation (RA) and the temperature inside the humidification filter, and the two values are the same, or The step of changing the ratio of the valve opening time and the valve closing time until the humidity of (SA) exceeds the preset value, and e) two values by comparing the wet bulb temperature of the ventilation (RA) and the temperature inside the humidification filter. The step of determining the maximum movable valve ratio, which is the ratio of the valve opening time and the valve closing time when the same or when the humidity of the supply air (SA) is higher than a preset value, and f) the water supply control valve is controlled at the maximum movable valve ratio Calculating the maximum amount of operation supply humidification based on the absolute humidity of the supply air (SA) and the absolute humidity of the ventilation (RA) measured during the period, and g) based on the calculated maximum operation supply humidification amount and the indoor setting conditions, the Including the step of controlling the water supply control valve, the humidifying filter medium of the humidifier can maintain a certain amount of wetness regardless of fluctuations in the humidification load indoors, excessive water supply can be prevented in advance, and humidification efficiency can be optimized. Of course, it provides a control method of an evaporative humidifier that can continuously perform stable humidification and minimize unnecessary waste of water (resource).
Description
본 발명은 실내의 온도 및 습도를 설정 온도 및 습도로 조절하는 공조장치 내부에 구비된 기화식 가습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의 가습부하 변동에 상관없이 가습기의 가습여재가 일정량의 습윤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과다한 급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가습 효율을 최적화할 수 있음은 물론, 지속적으로 안정적인 가습을 실시할 수 있고, 불필요한 물(자원)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기화식 가습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method of an evaporative humidifier provided inside an air conditioner that adjusts the indoor temperature and humidity to a set temperature and humidity, and more specifically, a certain amount of humidifying filter media of the humidifier regardless of changes in the humidification load in the room.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moist state of water, prevent excessive water supply in advance, optimize humidification efficiency, and continuously perform stable humidification, and minimize unnecessary waste of water (resource). It relates to a control method of an evaporative humidifier.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 및 항온항습기 등은 흡입된 공기를 장치 내에서 정화와 냉각 및 제습, 공기 가열 및 가습의 기능을 단독 또는 다수의 기능을 수행하여 송풍기를 통해 실내로 급기하여 줌으로써 요구되는 청정도 및 온도, 습도를 유지하는 기능을 가지며, 상기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기기가 케이싱 내는 공기 여과기(에어 필터), 열교환기, 냉각기, 가습기, 가열기, 송풍기 등이 구비되어 있다.In general, air conditioners and thermo-hygrostats purify, cool, and dehumidify the inhaled air in the device, and perform the functions of heating and humidifying the air alone or in a number of functions to supply air to the room through a blower. And an air filter (air filter), a heat exchanger, a cooler, a humidifier, a heater, a blower, etc. inside the casing of the device to perform the function of maintaining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이들 기기의 조합방법은 공기조화의 조건, 기계실의 크기, 열 부하의 성질, 예산 등에 따라 여러 가지로 다양하게 조합할 수 있고, 실내의 습도를 조절하거나 수분을 공급하기 위해 가습기는 그 용도 및 작동방법 등에 따라 증기식, 수분무식, 기화식 등이 제공되나, 가습여재(엘레멘트)의 상부로부터 노즐을 통한 급수를 분산되게 습윤되도록 하고 가습여재(엘레멘트)를 통과하는 공기의 보유 현열로 물을 기화시키는 기화식 가습기를 대표적으로 사용되고 있다.The combination method of these devices can be variously combined depending on the conditions of air conditioning, the size of the machine room, the nature of the heat load, and the budget, and the humidifier is used and operated to control the humidity or supply moisture in the room. Depending on the method, steam, moisture, and evaporation are provided, but the water supply through the nozzle is distributed from the top of the humidifying filter (element) to be wetted and the air passing through the humidifying filter (element) is retained and the water is vaporized with sensible heat. Evaporation type humidifiers are typically used.
상기 기화식 가습기는 회전식, 모세관식, 직하식으로 구분되는데, 상기 직하식은 가습여재에 물을 공급하여 그 물을 흡수시킨 후 공기를 통과시켜 증발에 의해 가습공기를 발생시키는 기술이다.The evaporation type humidifier is divided into a rotary type, a capillary type, and a direct type. The direct type is a technology that supplies water to the humidifying filter, absorbs the water, and passes air to generate humidified air by evaporation.
이러한 기화식 가습기는 가습여재의 하부에 물받이가 설치되어 있어, 가습여재의 하부로 배출되는 물을 물받이로 받게 되고, 그 받은 물은 펌프를 통해 가습여재로 재공급되거나, 외부로 배수되도록 하고 있다.This evaporation type humidifier is equipped with a drip tray under the humidifying filter, so that the water discharged to the lower part of the humidifying filter is received as a drip tray, and the received water is resupplied to the humidifying filter through a pump or drained to the outside. .
그러나 상기와 같이 물받이로 받은 물을 가습여재로 재공급할 경우, 고온건조한 조건에서 가동을 정지한 경우에는 상기 물받이에 잔류된 물이 쉽게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when the water received from the drip tray is resupplied as a humidification filter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ater remaining in the drip tray is easily contaminated when the operation is stopped under high temperature and dry conditions.
다시 말해, 잔류된 물이 세균과 박테리아 등에 의해 오염되더라도, 종래의 기화식 가습기를 가동시킬 경우에는 오염된 물을 기화시켜 실내에 제공함으로써 감염 등의 심각한 문제를 초래할 수 있게 된다.In other words, even if the residual water is contaminated by bacteria and bacteria, when a conventional vaporizing humidifier is operated, the contaminated water is vaporized and provided indoors, thereby causing serious problems such as infection.
또한, 가습을 위한 가습필터에 물이 스며든 상태로 일정 시간 지속되면, 가습필터는 곰팡이나 세균 및 박테리아의 배지로 작용하여, 결국 오염된 공기를 실내로 배출시켜 실내환경을 오염시키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f the humidification filter for humidification lasts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with water soaked in it, the humidification filter acts as a medium for mold, bacteria, and bacteria, and eventually discharges contaminated air into the room and contaminates the indoor environment. have.
이러한 이유로 근래에는 외부로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으나, 이럴 경우 가습여재로 공급되는 급수의 낭비가 심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For this reason, in recent years, drainage is made to the outside, but 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aste of water supplied to the humidification filter becomes severe.
종래기술로는 공개실용신안 제20-2010-0004482호(2010.04.30)를 참고할 수 있다.As a prior art, reference may be made to Public Utility Model No. 20-2010-0004482 (2010.04.30).
본 발명은 실내의 가습부하 변동에 상관없이 가습기의 가습여재가 일정량의 습윤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과다한 급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가습 효율을 최적화할 수 있음은 물론 지속적으로 안정적인 가습을 실시할 수 있고, 불필요한 물(자원)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기화식 가습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regardless of fluctuations in the humidification load in the room, the humidifying filter medium of the humidifier can maintain a certain amount of wet state, prevent excessive water supply in advance, optimize the humidification efficiency, and continuously perform stable humidification. Its purpose is to provide a control method of an evaporative humidifier that can be done and minimize waste of unnecessary water (resource).
본 발명에 따른 기화식 가습기의 제어방법은 a)실내와 연통하고 환기(RA)가 유입되는 기화식 가습기의 유입구측과, 실내와 연통하고 급기(SA)가 토출되는 토출구측, 각각에서 상기 환기(RA)와 급기(SA)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는 단계와, b)상기 기화식 가습기의 급수제어밸브를 개방하여 가습여재에 단위시간별로 일정시간 급수하는 단계와, c)환기(RA)의 습구온도, 가습여재 내부의 온도, 환기(RA) 및 급기(SA)의 습도를 각각 측정하는 단계와, d)측정된 환기(RA)의 습구온도와 가습여재 내부의 온도를 비교하여, 두 개의 값이 동일하거나, 또는 급기(SA)의 습도가 기설정 값이 이상일 때까지 밸브개방시간과 밸브폐쇄시간의 비를 변화시키는 단계와, e)상기 환기(RA)의 습구온도와, 가습여재 내부의 온도 비교하여 두 개의 값이 동일하거나, 또는 급기(SA)의 습도가 기설정 값이 이상일 때의 밸브개방시간과 밸브폐쇄시간의 비인 최대 가동밸브비를 결정하는 단계와, f)최대 가동밸브비로 급수제어밸브가 제어되는 동안 측정된 급기(SA)의 절대습도와 환기(RA)의 절대습도에 기초하여 최대 가동공급가습량을 산출하는 단계, 및 g)상기 산출된 최대 가동공급가습량 및 실내의 설정조건을 기초로, 상기 급수제어밸브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control method of an evaporative humid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he inlet side of the evaporative humidifier in communication with the room and through which ventilation (RA) is introduced, and the outlet side in which the air supply (SA) is discharged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room, and the ventilation (RA) and measuring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air supply (SA); b) opening the water supply control valve of the evaporative humidifier to supply the humidification filter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c) ventilation (RA) Measuring the wet bulb temperature, the temperature inside the humidification filter, and the humidity of ventilation (RA) and air supply (SA) respectively, and d) comparing the wet bulb temperature of the measured ventilation (RA) with the temperature inside the humidification filter. The step of changing the ratio of the valve opening time and the valve closing time until the values are the same or the humidity of the supply air (SA)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preset value, e) the wet bulb temperature of the ventilation (RA) and the humidification filter material Comparing the internal temperature to determine the maximum operating valve ratio, which is the ratio of the valve opening time and the valve closing time when the two values are the same or when the humidity of the supply air (SA) is higher than a preset value, and f) maximum operation Calculating the maximum amount of operation supply humidification based on the absolute humidity of the supply air (SA) and the absolute humidity of ventilation (RA) measured while the water supply control valve is controlled at the valve ratio, and g) the calculated maximum operation supply humidification amount and the room And controlling the water supply control valve based on the set condition of.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d)단계의 상기 급수제어밸브는, 밸브개방시간과 밸브폐쇄시간의 비를 일정비율로 점차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water supply control valve of step 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gradually increases the ratio of the valve opening time and the valve closing time at a predetermined ratio.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상기 f)단계인 급기(SA)의 절대습도와 환기(RA)의 절대습도에 기초하여 최대 가동공급가습량을 산출하는 단계에서, 최대 가동공급가습량의 산출은, 상기 최대 가동밸브비로 급수제어밸브를 제어하는 경우, 급기(SA)의 절대습도와 환기(RA)의 절대습도의 차로 산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nd in the step of calculating the maximum movable supply humidification amount based on the absolute humidity of the supply air (SA) and the absolute humidity of the ventilation (RA) in the step 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alculation of the maximum movable supply humidification amount is the maximum movable valve When the water supply control valve is controlled by ratio, it is preferable to calculate the difference between the absolute humidity of the supply air SA and the absolute humidity of the ventilation RA.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g) 단계에서, 상기 급수제어밸브를 제어하는 단계는, 실내의 설정 온도 및 습도를 기초로 하여 설정 절대습도값을 산출하는 단계와, 현재 유입되는 환기의 온도 및 습도를 기초로 하여 현재 실내에서 유입되는 환기의 현재 절대습도값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현재 절대습도값 및 설정 절대습도값을 이용하여 필요공급가습량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필요공급가습량 및 상기 최대 가동공급가습량을 기초하여, 밸브개방시간 비를 조절하여 상기 급수제어밸브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Here, in the step 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ing of the water supply control valve includes calculating a set absolute humidity value based on a set temperature and humidity in the room, and calculating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currently introduced ventilation. Based on the steps of calculating the current absolute humidity value of ventilation flowing from the room, calculating the required supply humidification amount using the current absolute humidity value and the set absolute humidity value, and the required supply humidification amount and the maximum operation And controlling the water supply control valve by adjusting a valve opening time ratio based on the supplied humidification amount.
본 발명에 따른 기화식 가습기의 제어방법에 의해 나타나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The effects exhibited by the control method of the vaporization humid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as follows.
실내의 가습부하 변동에 상관없이 가습기의 가습여재가 일정량의 습윤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과다한 급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Regardless of fluctuations in the humidification load indoors, the humidifying filter medium of the humidifier can maintain a certain amount of moist condition and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excessive water supply.
가습 효율을 최적화할 수 있음은 물론 지속적으로 안정적인 가습을 실시할 수 있고, 불필요한 물(자원)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Not only can the humidification efficiency be optimized, but also stable humidification can be continuously performed, and unnecessary waste of water (resource) can be minimiz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화식 가습기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화식 가습기의 제어방법을 단계적으로 보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급수제어밸브의 제어를 단계적으로 보인 블록도이다.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vaporative humid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step by step a control method of an evaporative humid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stepwise control of a water supply control val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erms or words used in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ir usual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s appropriately explain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explain their own invention in the best way.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it should be interpreted as a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균등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y are equivalent to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variations.
본 발명은 기설정된 실내의 습도에 따른 가습부하 변동에 상관없이 가습기의 가습여재가 일정량의 습윤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과다한 급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가습 효율을 최적화할 수 있음은 물론, 지속적으로 안정적인 가습을 실시할 수 있고, 불필요한 물(자원)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기화식 가습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In the present invention, regardless of changes in the humidification load according to the preset indoor humidity, the humidifying filter medium of the humidifier can maintain a certain amount of wet state, prevent excessive water supply in advance, and optimize the humidification efficiency. It relates to a control method of an evaporative humidifier that can continuously perform stable humidification and minimize waste of unnecessary water (resource), and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먼저, 도 1을 참조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화식 가습기를 살펴보면, 기화식 가습기의 외관을 구성하는 하우징(10)의 일측에는 유입구(1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토출구(12)가 형성되며, 상기 유입구(11)는 실내와 연결되어, 상기 실내에서 유출된 환기(RA)를 하우징(10)의 내부로 유입하는 부분이고, 상기 토출구(12)는 실내와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서 가습된 급기(SA)를 실내로 유출하는 부분이다.First, looking at the vaporization humid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FIG. 1, an inlet 11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이때 상기 유입구(11) 및 토출구(12) 선상에는 온도센서 및 습도센서가 구비되어, 상기 유입구(11)를 통해 실내에서 유입되는 환기(RA)의 온도 및 습도와, 상기 토출구(12)를 통해 실내로 유출되는 급기(SA)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고, 여기서 측정된 환기(RA)의 온도 및 습도와, 급기(SA)의 온도 및 습도는 제어부(60)로 송출된다.At this time, a temperature sensor and a humidity sensor are provided on the ship of the inlet 11 and the
그리고 상기 유입구(11)에는 필터(13)를 설치할 수 있는데, 상기 필터(13)는 환기(RA)에 섞여 있는 이물질을 걸러준다.In addition, a
또한,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는 송풍수단(20)을 구비하는데, 상기 송풍수단(20)은 상기 하우징(10)의 내외부로 유동되는 기류를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10)의 내부 중 상기 송풍수단(20)과 토출구(12)의 사이에는 기화부(30)를 구비한다.In addition, a blowing
상기 기화부(30)는 케이스(31) 내부에 급수에 젖는 가습여재(32)를 포함하는데, 상기 가습여재(32)의 상측에 급수(물)를 공급하여, 상기 송풍수단(20)에 의해 형성된 기류가 가습여재(32)를 통과함에 따라 가습여재(32)를 젖힌 급수가 기화되면서 급기(SA)에 가습이 이루어진다.The
이때 상기 기화부(30)의 가습여재(32) 하측 내부에는 온도센서(33)를 내장하는데, 상기 가습여재(32)의 온도센서(33)를 통해 상기 가습여재(32) 내부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At this time, a
더불어 상기 기화부(30)의 상단에는 급수관(34)을 구비하고, 상기 급수관(34)의 하단에는 살수노즐(35)을 구비하는데, 상기 살수노즐(35)은 상기 급수관(34)의 하부를 향해 돌출되어 급수(물)를 가습여재(32)로 분사한다. In addition, a
그리고 상기한 급수관(34)의 일단부에는 급수원(40)을 연결하고, 상기 급수관(34) 중 상기 급수원(40)과 기화부(30)의 사이에는 급수를 조정하기 위한 급수제어밸브(50)를 구비한다.In addition, a
상기 급수제어밸브(50)는 설정 습도에 준하는 해당 양의 급수(물)가 상기 기화부(30)로 제공되도록 하고, 상기 급수제어밸브(50)는 제어부(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60)에 의해 개폐가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water
상기한 구성에 따른 기화식 가습기의 제어방법은 다음과 같다.The control method of the vaporization humidifier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is as follows.
도 2 및 도 3을 참조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화식 가습기의 제어방법은 먼저 a)단계로, 실내와 연통하고 환기(RA)가 유입되는 기화식 가습기의 유입구(11) 측과, 실내와 연통하고 급기(SA)가 토출되는 토출구(12) 측에서 상기 환기(RA)와 급기(SA) 각각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한다.(S110)The control method of an evaporative humid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is first, in step a), the inlet 11 side of the evaporative humidifier through which ventilation (RA)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room,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each of the ventilation (RA) and the supply air (SA) are measured at the
이때 기화식 가습기의 하우징(10)에 형성된 유입구(11) 및 토출구(12) 선상에 구비된 온도센서 및 습도센서를 통해 환기(RA)와 급기(SA)의 온도 및 습도를 각각 측정하고, 측정된 상기 환기(RA)와 급기(SA) 각각의 온도 및 습도는 제어부(60)로 송출하며, 상기 제어부(60)로 송출된 상기 환기(RA)와 급기(SA) 각각의 온도 및 습도는 단위시간별로 기록 저장된다. At this time,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ventilation (RA) and air supply (SA) are measured and measured through temperature sensors and humidity sensors provided on the inlet 11 and
다음은 b)단계로, 상기 기화식 가습기의 급수제어밸브(50)를 개방하여, 가습기의 가습여재(32)에 단위시간별로 일정시간 급수한다.(S120)Next, in step b), the water
이때 상기 급수제어밸브(50)의 개방으로 상기 가습여재(32)에 급수가 이루어지면, 일정 시간 가습여재(32)의 상부에서 하향을 향해 급수가 직하하면서 상기 가습여재(32)에 적게 되고, 상기 가습여재(32)를 통과하는 공기(환기(SA))에 의해 가습이 이루어진다.At this time, when water is supplied to the humidifying
다음은 c)단계로, 환기(RA)의 습구온도, 가습여재(32) 내부의 온도, 환기(RA) 및 급기(SA)의 습도를 각각 측정한다.(S130)Next, in step c), the wet bulb temperature of the ventilation (RA), the temperature inside the humidification filter (32), the humidity of the ventilation (RA) and the supply air (SA) are respectively measured (S130)
이때 상기 유입구(11) 및 토출구(12) 선상에 구비된 온도센서 및 습도센서가 환기(RA) 및 급기(SA)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고, 상기 가습여재(32)의 하부에 내장된 온도센서(33)가 가습여재(32) 내부의 온도를 각각 측정하며, 측정된 환기(RA)의 온도 및 습도와, 급기(SA)의 온도 및 습도, 가습여재(32) 내부의 온도는 제어부(60)로 송출되어, 상기 제어부(60)가 측정된 환기(RA)의 온도 및 습도를 이용하여 환기(RA)의 절대습도와, 급기(SA)의 온도 및 습도를 이용하여 급기(SA)의 절대습도를 산출할 수 있다.At this time, a temperature sensor and a humidity sensor provided on the line of the inlet 11 and the
다음은 d)단계로, 측정된 환기(RA)의 습구온도와, 가습여재(32) 내부의 온도를 비교하여, 두 개의 값이 동일하거나, 또는 급기(SA)의 습도가 기설정 값이 이상일 때까지 밸브개방시간과 밸브폐쇄시간의 비를 변화시킨다.(S140)Next, in step d), the measured wet bulb temperature of the ventilation (RA) and the temperature inside the humidification filter (32) are compared, and the two values are the same, or the humidity of the supply air (SA) is higher than the preset value. The ratio of the valve opening time and the valve closing time is changed until (S140)
이때 밸브개방시간과 밸브폐쇄시간의 비는 단위시간별로 밸브개방시간과 밸브폐쇄시간의 비를 변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바람직하게는 밸브개방시간과 밸브폐쇄시간의 비를 점차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ratio of the valve opening time and the valve closing time is preferably to change the ratio of the valve opening time and the valve closing time for each unit time, and preferably, it is preferable to gradually increase the ratio of the valve opening time and the valve closing time.
따라서 상기 급수제어밸브(50)의 개방은 해당 단위시간별로 개방시간 비율을 일정비율로 점차 증가시키는데, 최초 해당 단위시간에서 개방시간이 0초이면, 폐쇄시간은 100초이고, 다음 해당 단위시간에서 개방시간이 5초이면, 폐쇄시간은 95초이며, 다음 해당 단위시간에서는 개방시간이 10초이면 폐쇄시간이 90초로 점차 증가시키도록 제어될 수 있다.Therefore, the opening of the water
다음은 e)단계로, 상기 환기(RA)의 습구온도와, 가습여재(32) 내부의 온도 비교하여 두 개의 값이 동일하거나, 또는 급기(SA)의 습도가 기설정 값 이상일 때의 밸브개방시간과 밸브폐쇄시간의 비인 최대 가동밸브비를 결정한다.(S150)Next is step e), comparing the wet bulb temperature of the ventilation (RA) and the temperature inside the humidifying filter (32), and opening the valve when the two values are the same or the humidity of the supply air (SA) is higher than a preset value. The maximum operating valve ratio, which is the ratio of the time and the valve closing time, is determined (S150).
이때 측정된 환기(RA)의 습구온도와, 가습여재(32) 내부의 온도는 해당 단위시간별로 서로 비교하여, 해당 단위시간에서 환기(RA)의 습구온도와, 가습여재(32) 내부의 온도가 서로 같으면, 상기 제어부(60)가 해당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급수제어밸브(50)의 밸브개방시간과 밸브폐쇄시간의 비인 최대 가동밸브비를 결정한다.At this time, the measured wet bulb temperature of the ventilation (RA) and the temperature inside the humidification filter (32) are compared for each unit time, and the wet bulb temperature of the ventilation (RA) and the temperature inside the humidification filter (32) at the corresponding unit time If is equal to each other, the
또는 측정된 급기(SA)의 습도가 기설정 값 이상(예를 들어, 습도 90% 이상)으로 측정되면, 상기 제어부(60)가 해당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급수제어밸브(50)의 밸브개방시간과 밸브폐쇄시간의 비인 최대 가동밸브비를 결정한다.Alternatively, when the measured humidity of the supply air SA is measured to be more than a preset value (for example, humidity 90% or more), the
다음은 f)단계로, 최대 가동밸브비로 상기 급수제어밸브(50)가 제어되는 동안 측정된 급기(SA)의 절대습도와, 환기(RA)의 절대습도에 기초하여 최대 가동공급가습량을 산출한다.(S160)Next, in step f), the maximum movable supply humidification amount is calculated based on the absolute humidity of the supply air SA and the absolute humidity of the ventilation RA measured while the water
이때 최대 가동공급가습량의 산출은 상기 최대 가동밸브비로 상기 급수제어밸브(50)를 제어하는 경우, 아래의 [수학식1]과 같이 급기(SA)의 절대습도와 환기(RA)의 절대습도의 차로 산출한다. At this time, the calculation of the maximum movable supply humidification amount is the absolute humidity of the supply air (SA) and the ventilation (RA) as shown in [Equation 1] below when the water
[수학식 1][Equation 1]
최대 가동공급가습량 = 급기(SA)의 절대습도 - 환기(RA)의 절대습도Maximum operating supply humidification = Absolute humidity of supply air (SA)-Absolute humidity of ventilation (RA)
다음은 g)단계로, 상기 f)단계에 의해 상기 산출된 최대 가동공급가습량 및 실내의 설정조건을 기초로 하여, 기화기인 가습여제(32)에 공급되는 급수제어밸브(50)를 제어한다.(S170)Next, in step g), the water
여기서, 도 3을 참조한 g)단계인 산출된 최대 가동공급가습량 및 실내의 설정조건을 기초로 한 급수제어밸브(50)의 제어는 먼저 상기 제어부(60)가 설정 절대습도 및 환기(RA)의 현재 절대습도를 산출하는데, 상기 설정 절대습도는 실내의 설정 온도 및 습도를 기초하여, 설정 절대습도값을 산출한다.(S171) Here, the control of the water
다음은 환기(RA)의 현재 절대습도는 현재 유입되는 환기(RA)의 온도 및 습도를 기초하여, 현재 실내에서 유입되는 환기(RA)의 현재 절대습도값을 산출한다.(S172)Next, the current absolute humidity of the ventilation RA is calculated based on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ventilation RA that is currently flowing in, and the current absolute humidity value of the ventilation RA that is currently introduced from the room is calculated (S172).
다음은 상기 환기(RA)의 현재 절대습도값이 산출되면, 상기 환기(RA)의 현재 절대습도값 및 설정 절대습도값을 이용하여 필요공급가습량을 산출한다.(S173)Next, when the current absolute humidity value of the ventilation RA is calculated, the required supply humidification amount is calculated using the current absolute humidity value and the set absolute humidity value of the ventilation RA (S173)
이때 상기 필요공급가습량은 아래의 [수학식 2]와 같이 설정 절대습도값과 환기(RA)의 현재 절대습도값의 차로 산출한다.At this time, the required supply humidification amount is calculated as the difference between the set absolute humidity value and the current absolute humidity value of ventilation (RA) as shown in [Equation 2] below.
[수학식 2][Equation 2]
필요공급가습량 = 설정 절대습도값 - 환기(RA)의 현재 절대습도값Required humidification amount = Set absolute humidity value-Current absolute humidity value of ventilation (RA)
다음은 상기와 같이 필요공급가습량이 산출되면, 상기 필요공급가습량 및 상기 최대 가동공급가습량을 기초로 최대 가동밸브비 중 밸브개방시간 비를 이용하여, 단위시간별 밸브개방시간 비를 조절하여 상기 급수제어밸브(50)를 제어한다.(S174)Next, when the required supply humidification amount is calculated as described above, the water supply control is performed by adjusting the valve opening time ratio for each unit time using the valve opening time ratio of the maximum operating valve ratio based on the required supply humidification amount and the maximum operating supply humidification amount. Control the valve 50 (S174)
이때 상기 급수제어밸브(50)의 밸브개방시간 비는 아래의 [수학식 3]에 의해 산출되는데, At this time, the ratio of the valve opening time of the water
[수학식 3][Equation 3]
일례로, 필요공급가습량이 10kg/㎥로 산출되면, 최대 가동공급가습량이 100kg/㎥이면서, 상기 급수제어밸브(50)의 최대 밸브폐쇄비 및 최대 가동밸브비가 50 : 50이고, 이전 해당 단위시간에서의 밸브개방시간비가 5이면,For example, if the required supply humidification amount is calculated as 10kg/㎥, the maximum operation supply humidification amount is 100kg/㎥, and the maximum valve closing ratio and the maximum operation valve ratio of the water
아래와 같이 As follows
이에 산출된 값이 10이므로, 해당 단위시간 100초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급수제어밸브(50)의 밸브개방시간 비를 10초, 밸브폐쇄시간 비를 90초 조절하여 상기 급수제어밸브(50)의 개폐를 제어한다.Since the calculated value is 10, the water
따라서 상기 필요공급가습량 및 상기 최대 가동공급가습량을 기초로 단위시간별 밸브개방시간 비를 조절하여 급수제어밸브의 개방시간을 제어하므로, 실내의 가습부하 변동에 상관없이 가습기의 가습여재가 일정량의 습윤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과다한 급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가습 효율을 최적화할 수 있음은 물론 지속적으로 안정적인 가습을 실시할 수 있고, 불필요한 물(자원)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Therefore, the opening time of the water supply control valve is controlled by adjusting the valve opening time ratio for each unit time based on the required supply humidification amount and the maximum operating supply humidification amount, so that the humidifying filter material of the humidifier is in a certain amount of wet state regardless of changes in the indoor humidification load. It is possible to maintain and prevent excessive water supply in advance, optimize humidification efficiency, and continuously perform stable humidification, and minimize unnecessary waste of water (resources).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but these are only exemplary,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0: 하우징
11: 유입구
12: 토출구
13: 필터
20: 송풍수단
30: 기화부
31: 케이스
32: 가습여재
33: 온도센서
34: 급수관
35: 살수노즐
40: 급수원
50: 급수제어밸브
60: 제어부10: housing
11: inlet
12: discharge port
13: filter
20: ventilation means
30: vaporizer
31: case
32: humidification filter material
33: temperature sensor
34: water supply pipe
35: sprinkling nozzle
40: water source
50: water supply control valve
60: control unit
Claims (8)
b)상기 기화식 가습기의 급수제어밸브를 개방하여 가습여재에 단위시간별로 일정시간 급수하는 단계;
c)환기(RA)의 습구온도, 가습여재 내부의 온도, 환기(RA) 및 급기(SA)의 습도를 각각 측정하는 단계;
d)측정된 환기(RA)의 습구온도와 가습여재 내부의 온도를 비교하여, 두 개의 값이 동일하거나, 또는 급기(SA)의 습도가 기설정 값 이상일 때까지 밸브개방시간과 밸브폐쇄시간의 비를 변화시키는 단계;
e)상기 환기(RA)의 습구온도와, 가습여재 내부의 온도 비교하여, 두 개의 값이 동일하거나, 또는 급기(SA)의 습도가 기설정 값 이상일 때의 밸브개방시간과 밸브폐쇄시간의 비인 최대 가동밸브비를 결정하는 단계;
f)최대 가동밸브비로 급수제어밸브가 제어되는 동안, 측정된 급기(SA)의 절대습도와 환기(RA)의 절대습도에 기초하여 최대 가동공급가습량을 산출하는 단계; 및
g)상기 산출된 최대 가동공급가습량 및 실내의 설정조건을 기초로, 상기 급수제어밸브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화식 가습기의 제어방법.
a) The temperature of the ventilation (RA) and air supply (SA) at the inlet side of the evaporative humidifier in communication with the room and through which ventilation (RA) flows in, and the outlet side in communication with the room and discharge air supply air (SA) Measuring humidity;
b) opening the water supply control valve of the vaporizing humidifier to supply the humidification filter material for a predetermined time per unit time;
c) measuring the wet bulb temperature of the ventilation (RA), the temperature inside the humidification filter, and the humidity of the ventilation (RA) and air supply (SA), respectively;
d) By comparing the measured wet bulb temperature of the ventilation (RA) and the temperature inside the humidified filter medium, the value of the valve opening time and the valve closing time until the two values are the same or the humidity of the supply air (SA) is higher than the preset value. Changing the ratio;
e) The ratio of the valve opening time and the valve closing time when the two values are the same or when the humidity of the supply air (SA) is higher than a preset value by comparing the wet bulb temperature of the ventilation (RA) with the temperature inside the humidification filter. Determining a maximum movable valve ratio;
f) calculating a maximum movable supply humidification amount based on the measured absolute humidity of the supply air (SA) and the absolute humidity of ventilation (RA) while the water supply control valve is controlled at the maximum movable valve ratio; And
g) A control method of an evaporative humidifier comprising the step of controlling the water supply control valve based on the calculated maximum operating supply humidification amount and indoor setting conditions.
상기 d)단계의 상기 급수제어밸브는,
밸브개방시간과 밸브폐쇄시간의 비를 일정비율로 점차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화식 가습기의 제어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ater supply control valve of step d),
A control method of an evaporative humidifier, characterized in that the ratio of the valve opening time and the valve closing time is gradually increased at a predetermined ratio.
상기 밸브개방시간과 밸브폐쇄시간 중 밸브개방시간의 비만을 일정비율로 점차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화식 가습기의 제어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control method of an evaporative humidifier, characterized in that the obesity of the valve opening time of the valve opening time and the valve closing time is gradually increased at a predetermined ratio.
상기 f)단계인 급기(SA)의 절대습도와 환기(RA)의 절대습도에 기초하여 최대 가동공급가습량을 산출하는 단계에서,
최대 가동공급가습량의 산출은, 상기 최대 가동밸브비로 급수제어밸브를 제어하는 경우, 급기(SA)의 절대습도와 환기(RA)의 절대습도의 차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화식 가습기의 제어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step of calculating the maximum movable supply humidification amount based on the absolute humidity of the supply air (SA) and the absolute humidity of the ventilation (RA) in step f),
The calculation of the maximum movable supply humidification amount is calculated as a difference between the absolute humidity of the supply air (SA) and the absolute humidity of the ventilation (RA) when the water supply control valve is controlled at the maximum movable valve ratio. .
상기 g)단계에서, 상기 급수제어밸브를 제어하는 단계는,
실내의 설정 온도 및 습도를 기초하여, 설정 절대습도값을 산출하는 단계와;
현재 유입되는 환기(RA)의 온도 및 습도를 기초하여, 현재 실내에서 유입되는 환기(RA)의 현재절대습도값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현재 절대습도값 및 설정 절대습도값을 이용하여 필요공급가습량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필요공급가습량 및 상기 최대 가동공급가습량을 기초로, 상기 급수제어밸브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화식 가습기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4,
In the step g), the step of controlling the water supply control valve,
Calculating a set absolute humidity value based on the set temperature and humidity in the room;
Calculating a current absolute humidity value of the ventilation (RA) currently introduced from the room, based on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ventilation (RA) currently introduced;
Calculating a required amount of humidification by using the current absolute humidity value and the set absolute humidity value;
And controlling the water supply control valve based on the required supply humidification amount and the maximum operation supply humidification amount.
상기 필요공급가습량은
상기 설정 절대습도값과 환기(RA)의 현재 절대습도값과의 차로 산출하는 기화식 가습기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5,
The required amount of humidification is
A control method of an evaporative humidifier calculating a difference between the set absolute humidity value and a current absolute humidity value of ventilation (RA).
상기 급수제어밸브의 제어는
상기 필요공급가습량 및 상기 최대 가동공급가습량을 기초로, 밸브개방시간 비를 조절하여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화식 가습기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5,
Control of the water supply control valve
And controlling and controlling a valve opening time ratio based on the required supply humidification amount and the maximum operating supply humidification amount.
상기 밸브개방시간 비는
상기 필요공급가습량 및 상기 최대 가동공급가습량을 기초로 최대 가동밸브비 중 밸브개방시간 비를 이용하여 아래의 수학식 3으로 산출하는 기화식 가습기의 제어방법.
[수학식 3]
(여기서, α는 이전 해당 단위시간대의 밸브개방비이다.)The method of claim 7,
The valve opening time ratio is
A control method of an evaporative humidifier calculated by Equation 3 below by using a valve opening time ratio among a maximum movable valve ratio based on the required supply humidification amount and the maximum operation supply humidification amount.
[Equation 3]
(Here, α is the valve opening ratio in the previous unit time zon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05350A KR102183009B1 (en) | 2020-08-21 | 2020-08-21 | Control method of evaporative humidifi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05350A KR102183009B1 (en) | 2020-08-21 | 2020-08-21 | Control method of evaporative humidifi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83009B1 true KR102183009B1 (en) | 2020-11-25 |
Family
ID=73645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05350A Active KR102183009B1 (en) | 2020-08-21 | 2020-08-21 | Control method of evaporative humidifi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83009B1 (en)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233022A (en) * | 2003-02-03 | 2004-08-19 | Mitsubishi Electric Corp | Vaporizing type humidifier |
JP2005024176A (en) * | 2003-07-02 | 2005-01-27 | Techno Ryowa Ltd | Humidification amount control method and vaporization type humidifier in vaporization type humidification |
JP2006162167A (en) * | 2004-12-08 | 2006-06-22 | Wetmaster Co Ltd | Humidifier |
KR20100000166A (en) * | 2008-06-24 | 2010-01-06 | 주식회사 벤토피아 | Fixed-vaporization type humidifier |
KR20100007861U (en) * | 2009-01-29 | 2010-08-06 | 휴미텍코리아(주) | humidifier |
KR101069944B1 (en) * | 2011-05-31 | 2011-10-04 | 김금희 | High efficiency vaporized humidifier and air conditioning system using the same |
JP2018021682A (en) * | 2016-08-01 | 2018-02-08 | ダイダン株式会社 | Movable vaporizing humidifier |
-
2020
- 2020-08-21 KR KR1020200105350A patent/KR102183009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233022A (en) * | 2003-02-03 | 2004-08-19 | Mitsubishi Electric Corp | Vaporizing type humidifier |
JP2005024176A (en) * | 2003-07-02 | 2005-01-27 | Techno Ryowa Ltd | Humidification amount control method and vaporization type humidifier in vaporization type humidification |
JP2006162167A (en) * | 2004-12-08 | 2006-06-22 | Wetmaster Co Ltd | Humidifier |
KR20100000166A (en) * | 2008-06-24 | 2010-01-06 | 주식회사 벤토피아 | Fixed-vaporization type humidifier |
KR20100007861U (en) * | 2009-01-29 | 2010-08-06 | 휴미텍코리아(주) | humidifier |
KR101069944B1 (en) * | 2011-05-31 | 2011-10-04 | 김금희 | High efficiency vaporized humidifier and air conditioning system using the same |
JP2018021682A (en) * | 2016-08-01 | 2018-02-08 | ダイダン株式会社 | Movable vaporizing humidifie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5318504B (en) | The warm and humid dual control method and air-conditioning of air-conditioning | |
KR101209335B1 (en) | Air cooling and heating apparatus | |
US20060214315A1 (en) | Humidifier device and method of operation | |
CN108302716B (en) | Control method of air conditioner and air conditioner | |
CN108019896B (en) | Air conditioner and its control method and device | |
JP2937090B2 (en) | Dehumidifier | |
KR102216987B1 (en) | Apparatus for dehumidification or humidification | |
CN105757807A (en) | Dehumidifier with air volume regulation function | |
CN109990390A (en) | The method and apparatus of energy-efficient air-conditioning and heat exchange | |
WO2006068017A2 (en) | Air conditioning system | |
JP2008215633A (en) | Air conditioner | |
KR100775612B1 (en) | Air conditioner with humidifier and control method | |
JP6626424B2 (en) | Environmental test equipment and air conditioner | |
KR102183009B1 (en) | Control method of evaporative humidifier | |
CN207094911U (en) | Humidifying air-conditioner | |
US3064952A (en) | Air conditioning system | |
CN108151248A (en) | Progress control method, device, air conditioner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 |
JP2017227414A (en) | Humidifier | |
CN117070344A (en) | Ventilated solid culture device and ventilated solid culture method | |
JP4689179B2 (en) | air conditioner | |
CN107421021A (en) | Humidification system and roof-top machine comprising same | |
KR20180007175A (en) | Control method of air conditioner | |
KR20210144277A (en) | Clothes care apparatus | |
JP3588765B2 (en) | Humidifier | |
JP2020159595A (en) | Heat exchange type ventilation device with humidity control func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82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0091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82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102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11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11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1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11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