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2595B1 - Intergrated apparatus of in-building network, signal coverage extender and signal coupling device - Google Patents
Intergrated apparatus of in-building network, signal coverage extender and signal coupling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82595B1 KR102182595B1 KR1020180051450A KR20180051450A KR102182595B1 KR 102182595 B1 KR102182595 B1 KR 102182595B1 KR 1020180051450 A KR1020180051450 A KR 1020180051450A KR 20180051450 A KR20180051450 A KR 20180051450A KR 102182595 B1 KR102182595 B1 KR 10218259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gnal
- wired
- optical
- combining
- wireles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6—Interconnection of networks
- H04L12/4604—LAN interconnection over a backbone network, e.g. Internet, Frame Rela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1—Broadband local area network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04W84/22—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with access to wired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인빌딩 네트워크 통합 장치, 신호 커버리지 확장 장치 및 신호 결합 장치가 제공된다. 인빌딩 네트워크 통합 장치는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가진 복수의 통신 신호를 결합하여 생성한 제1 다중 신호를 전송 선로로 출력하는 신호 결합 장치, 그리고 상기 전송 선로로 연결된 상기 신호 결합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제1 다중 신호에서 와이파이 신호를 제거하고, 상기 제1 다중 신호로부터 추출한 유선 신호를 와이파이 신호로 변환하며, 와이파이 신호가 제거된 제1 다중 신호에 상기 변환된 와이파이 신호를 결합하여 생성한 제2 다중 신호를 상기 전송 선로로 출력하는 신호 커버리지 확장 장치를 포함한다.An in-building network integration device, a signal coverage extension device, and a signal combining device are provided. The in-building network integration device includes a signal combining device for outputting a first multiple signal generated by combining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signals having different frequency bands to a transmission line, and a first received from the signal combining device connected to the transmission line. A second multi-signal generated by removing the WiFi signal from the multi-signal, converting the wired signal extracted from the first multi-signal into a WiFi signal, and combining the converted WiFi signal with the first multi-signal from which the WiFi signal has been removed And a signal coverage extension device outputting to the transmission line.
Description
본 발명은 인빌딩(In-Building) 네트워크 통합 장치, 신호 커버리지 확장 장치 및 신호 결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인빌딩에서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합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building network integration device, a signal coverage extension device, and a signal combin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chnology for integrating wired and wireless networks in in-building.
인빌딩 네트워크는 각종 제품, 서비스, 네트워크의 조합으로 구축된 실내의 신뢰성 높은 통신 인프라로 정의될 수 있다. 인빌딩 네트워크는 크게 유선 네트워크 및 무선 네트워크로 구축된다.An in-building network can be defined as an indoor highly reliable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built with a combination of various products, services, and networks. In-building networks are largely built into wired networks and wireless networks.
현재 유선 네트워크 및 무선 네트워크는 별개로 공사되므로, 건물주 및 통신 사업자는 각기 별도의 망을 구축하여야 한다. 동선, UTP(Unshielded Twisted Pair cable), 섬유(Fiber), LAN(Local Area Network), 전화선, 동축(Coaxial), RF(Radio Frequency) 기반 피어 투 피어(Peer to Peer) 환경 별로 별도의 유무선 장비를 구축함으로 인하여 많은 투자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Since wired networks and wireless networks are currently being constructed separately, building owners and telecommunications operators must establish separate networks. Separate wired and wireless equipment for each peer-to-peer environment based on copper wire, UTP (Unshielded Twisted Pair cable), fiber, LAN (Local Area Network), telephone line, coaxial, and RF (Radio Frequency) There is a problem that a large investment cost occurs due to the construction.
또한, 건물 내 배선 및 장비를 유무선 트래픽이 공유할 수 없으므로, 인빌딩 인프라 구축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인빌딩 네트워크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합하는 추세에 있다.In addition, since wired and wireless traffic cannot share wiring and equipment in a building,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st of constructing an in-building infrastructure increase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n-building networks tend to integrate wired and wireless networks.
또한, 인빌딩에서 무선 네트워크의 경우, 널리 알려진 무선 사용 용도, 즉, 와이파이(WiFi) 및 셀룰러(Cellular) 네트워크에 연결된 스마트폰이나 랩톱(Laptop) 외에도, 수많은 용도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난방, 보안 또는 엘리베이터 작동을 위한 센서의 확산과 같은 스마트 빌딩용 IoT(Internet of Things), 지속적인 무선 연결과 제어가 필요한 건물 내에서 서비스를 수행하는 로봇이나 자동화된 트롤리(trolley), IP-CCTV(Closed-circuit television) 등이 그 예시가 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 wireless network in an in-building, it is expected that there are a number of uses in addition to the widely known wireless use purpose, that is, a smartphone or a laptop connected to a WiFi and a cellular network. Internet of Things (IoT) for smart buildings such as the proliferation of sensors for heating, security or elevator operation, robots or automated trolleys that perform services within buildings that require continuous wireless connection and control, IP-CCTV ( Closed-circuit television) may be an example.
한편, 무선 통신 기술의 발달로 고객들에게 제공되는 무선 통신 서비스가 다양하다. 또한, 동일한 무선 통신 서비스에서도 각 통신 회사마다 처리하는 주파수 대역이 다르다. 이처럼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무선 신호를 컴바이너(Combiner)로 결합하여 하나의 통신 케이블을 통해 광대역 안테나로 전달된 후, 건물 내부에 방사하는 다중대역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Meanwhile, with the development of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various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s are provided to customers. Further, even in the same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 the frequency bands processed by each communication company are different. As described above, a multi-band technology is disclosed in which radio signals of different frequency bands are combined with a combiner and transmitted to a broadband antenna through a single communication cable, and then radiated into a building.
건물 내 무선 통신 서비스 중에서도 가장 활용도가 높은 것 중의 하나가 와이파이(WiFi) 서비스이다. PC 및 태블릿부터 TV, 프린터 및 광범위한 소비재 및 산업 제품에 이르는 수십억개에 달하는 와이파이(WiFi) 전용 기기들만봐도 인빌딩에서 와이파이(WiFi)의 소비량은 상당하다.Amo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s in the building, one of the most widely used is the WiFi service. With billions of dedicated Wi-Fi devices ranging from PCs and tablets to TVs, printers and a wide range of consumer and industrial products, the consumption of Wi-Fi in buildings is significant.
그런데, 와이파이(WiFi) 대역의 무선 신호의 최대 입력 전력은 +17dBm(decibel milliwatte)인 반면, 이동통신 대역의 무선 신호의 최대 입력 전력은 +30dBm이다. 따라서, 와이파이(WiFi) 대역의 무선 신호는 이동통신 대역의 무선 신호에 비해 그 커버리지가 상대적으로 협소하여, 케이블 전송 선로에서 발생하는 손실이 매우 높으므로, 서비스 품질 저하의 문제가 발생한다.However, the maximum input power of the wireless signal in the WiFi band is +17dBm (decibel milliwatte), while the maximum input power of the wireless signal in the mobile communication band is +30dBm. Accordingly, a wireless signal in a WiFi band has a relatively narrow coverage compared to a wireless signal in a mobile communication band, and a loss occurring in a cable transmission line is very high, resulting in a problem of deteriorating service quality.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한 과제는 유선 신호 및 서로 다른 무선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복수의 무선 신호가 결합된 다중 신호를 건물 내부에 배선된 무선 주파수 케이블을 통해 실내로 전송함으로써, 무선 기반의 구내 배선 통합으로 인빌딩 네트워크 구조를 단순화하는 인빌딩 네트워크 통합 장치, 신호 커버리지 확장 장치 및 신호 결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On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transmit a multi-signal combined with a wired signal and a plurality of wireless signals using different radio frequency bands indoors through a radio frequency cable wired inside a building, thereby providing a wireless-based premises wiring. It is to provide an in-building network integration device, a signal coverage extension device, and a signal combining device that simplify the in-building network structure by integration.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와이파이(WiFi) 신호 감쇄 지점에서 유선 신호를 와이파이 대역의 무선 신호로 변환하여 재전송함으로써, 와이파이 주파수 커버리지를 확대하는 인빌딩 네트워크 통합 장치, 신호 커버리지 확장 장치 및 신호 결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building network integration device that expands Wi-Fi frequency coverage by converting and retransmitting a wired signal into a wireless signal in a Wi-Fi band at a Wi-Fi signal attenuation point, a signal coverage expansion device, and a signal combination. To provide a device.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에 따르면, 인빌딩 네트워크 통합 장치는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가진 복수의 통신 신호를 결합하여 생성한 제1 다중 신호를 전송 선로로 출력하는 신호 결합 장치, 그리고 상기 전송 선로로 연결된 상기 신호 결합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제1 다중 신호에서 와이파이 신호를 제거하고, 상기 제1 다중 신호로부터 추출한 유선 신호를 와이파이 신호로 변환하며, 와이파이 신호가 제거된 제1 다중 신호에 상기 변환된 와이파이 신호를 결합하여 생성한 제2 다중 신호를 상기 전송 선로로 출력하는 신호 커버리지 확장 장치를 포함한다.According to one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building network integration device is a signal combining device for outputting a first multiple signal generated by combining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signals having different frequency bands to a transmission line, and connected by the transmission line. Removes the Wi-Fi signal from the first multi-signal received from the signal combining device, converts the wired signal extracted from the first multi-signal into a Wi-Fi signal, and converts the converted Wi-Fi signal to the first multi-signal from which the Wi-Fi signal is removed. And a signal coverage extension device for outputting a second multiple signal generated by combining to the transmission line.
상기 신호 커버리지 확장 장치는, 상기 유선 신호를 이더넷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이더넷 신호를 상기 와이파이 신호로 변환하며 변환된 와이파이 신호를 기초로 상기 제2 다중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변환된 와이파이 신호를 외부로 방사할 수 있다.The signal coverage extension apparatus converts the wired signal into an Ethernet signal, converts the Ethernet signal into the WiFi signal, generates the second multi-signal based on the converted WiFi signal, and externally converts the converted WiFi signal. Can radiate with.
상기 신호 결합 장치는, 상기 복수의 통신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통신 입력 포트, 전원 공급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전원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전원 입력 포트, 상기 복수의 통신 신호와 상기 전원 신호를 결합한 제1 다중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결합부, 그리고 상기 제1 다중 신호를 전송 선로로 출력하는 출력 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신호는, 상기 전송 선로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장치로 공급될 수 있다.The signal combining device includes at least one communication input port for receiving 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signals, a power input port for receiving a power signal supplied from a power supply device, and a combination of 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signals and the power signal. 1 A signal combiner for generating multiple signals, and an output port for outputting the first multiple signals to a transmission line, and the power signal may be supplied to at least one network device connected to the transmission line.
상기 신호 커버리지 확장 장치는, 상기 제1 다중 신호로부터 검출된 상기 전원 신호를 구동 전원으로 사용할 수 있다.The signal coverage extension apparatus may use the power signal detected from the first multiplex signal as a driving power source.
인빌딩 네트워크 통합 장치는 상기 전송 선로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분배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배기는, 상기 제1 다중 신호 또는 상기 제2 다중 신호를 복수의 주파수 대역 별로 필터링하고, 각각 필터링된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전원 신호와 함께 상기 전송 선로로 출력할 수 있다.The in-building network integration device further includes at least one divider connected to the transmission line, and the at least one divider filters the first multi-signal or the second multi-signal according to a plurality of frequency bands, and each filtered A signal in a frequency band may be output to the transmission line together with a power signal.
인빌딩 네트워크 통합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배기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장치는, 상기 신호 커버리지 확장 장치의 전단에 연결된 분배기로부터 상기 제1 다중 신호의 유선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유선 신호를 와이파이 신호로 변환하여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로 출력하는 통신 단말, 그리고 상기 신호 커버리지 확장 장치의 후단에 연결된 분배기로부터 상기 제2 다중 신호의 와이파이 신호를 입력받아 외부로 방사하는 와이파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building network integration device further includes at least one network device connected to the at least one distributor, and the at least one network device includes a wired signal of the first multi-signal from a distributor connected to a front end of the signal coverage expansion device. A communication terminal that receives the input, converts the wired signal into a Wi-Fi signal and outputs it to a Wi-Fi access point, and a Wi-Fi signal receiving the second multi-signal Wi-Fi signal from a distributor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signal coverage extension device and radiating it to the outside. Device.
인빌딩 네트워크 통합 장치는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신호를 200MHz 이하의 주파수 범위 내에 속하는 특정 주파수 대역의 유선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신호 결합 장치로 출력하는 집선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in-building network integration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concentrator for converting the data signal received from the network into a wired signal of a specific frequency band within a frequency range of 200 MHz or less, and outputting the converted data signal to the signal combining device.
인빌딩 네트워크 통합 장치는 상기 집선 장치와 광 선로로 연결되고, 수신된 광 전송 신호를 유선 광 신호와 무선 광 신호로 분리하여 출력하는 리모트 광 디먹스(DEMUX), 그리고 상기 리모트 광 디먹스와 광 선로를 통해 연결되고, 광회선 단말로부터 수신한 유선 광 신호 및 메인 허브 유닛으로부터 수신한 무선 광 신호를 결합한 광 전송 신호를 상기 리모트 광 디먹스로 전송하는 집선용 광 먹스(MUX)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집선 장치는, 상기 리모트 광 디먹스로부터 입력받은 무선 광 신호를 광전 변환한 무선 디지털 신호를 상기 신호 결합 장치로 출력하고, 상기 유선 광 신호를 광전 변환한 유선 디지털 신호를 상기 특정 주파수 대역의 유선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신호 결합 장치로 출력할 수 있다.The in-building network integration device is a remote optical demux (DEMUX) that is connected to the concentrator with an optical line and separates and outputs a received optical transmission signal into a wired optical signal and a wireless optical signal, and the remote optical demux and optical signal. It is connected through a line, and further comprises an optical mux for converging (MUX) for transmitting an optical transmission signal combined with a wired optical signal received from the optical line terminal and a wireless optical signal received from the main hub unit to the remote optical demux, , The concentrator outputs a wireless digital signal photoelectrically converted from the wireless optical signal received from the remote optical demux to the signal combining device, and the wired digital signal photoelectrically converted from the wired optical signal is output to the specific frequency band. It may be converted into a wired signal and output to the signal combining device.
상기 전송 선로는, 무선 주파수 케이블 또는 동축 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The transmission line may include a radio frequency cable or a coaxial cable.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신호 커버리지 확장 장치는 전송 선로로부터 수신된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가진 복수의 통신 신호가 결합된 제1 다중 신호로부터 추출된 유선 신호를 이더넷 신호로 변환하는 이더넷 신호 생성부, 상기 이더넷 신호를 와이파이 주파수 대역의 무선 신호로 변환하는 와이파이 신호 생성부, 상기 제1 다중 신호로부터 와이파이 주파수 대역의 무선 신호를 차단하는 대역 제거 필터, 그리고 상기 대역 제거 필터로부터 출력된 제1 다중 신호 및 상기 와이파이 신호 생성부로부터 출력된 무선 신호를 결합한 제2 다중 신호를 생성하여, 전송 선로로 출력하는 신호 결합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aratus for extending signal coverage includes an Ethernet signal generator for converting a wired signal extracted from a first multi-signal combined with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signals having different frequency bands received from a transmission line into an Ethernet signal. , A Wi-Fi signal generator for converting the Ethernet signal into a Wi-Fi frequency band wireless signal, a band removal filter for blocking a Wi-Fi frequency band wireless signal from the first multiple signal, and a first multiple signal output from the band removal filter And a signal combiner for generating a second multi-signal by combining the wireless signals output from the Wi-Fi signal generator and outputting a second multi-signal to a transmission line.
신호 커버리지 확장 장치는 상기 와이파이 신호 생성부로부터 출력되는 무선 신호를 방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와이파이 대역 안테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pparatus for extending signal coverage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Wi-Fi band antenna that radiates a wireless signal output from the Wi-Fi signal generator.
신호 커버리지 확장 장치는 상기 제1 다중 신호로부터 검출된 전원 신호를 기초로 구동 전원을 출력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ignal coverage extension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power supply unit that outputs driving power based on a power signal detected from the first multiplex signal.
신호 커버리지 확장 장치는 상기 제1 다중 신호로부터 상기 유선 신호를 분리하여 상기 이더넷 신호 생성부로 출력하고, 상기 제1 다중 신호를 상기 대역 제거 필터로 출력하는 분배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배기는, 상기 유선 신호와 상기 제1 다중 신호의 신호 세기를 다르게 설정하여 출력할 수 있다.The signal coverage extension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divider for separating the wired signal from the first multi-signal and outputting the wired signal to the Ethernet signal generator, and outputting the first multi-signal to the band elimination filter, wherein the divider comprises: The signal and the signal strength of the first multi-signal may be set differently and output.
상기 유선 신호의 신호 세기는, 상기 제1 다중 신호의 신호 세기보다 낮게 출력될 수 있다.The signal strength of the wired signal may be output lower than that of the first multi-signal.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신호 결합 장치는 유선 신호를 입력받는 유선 신호 입력 포트, 서로 다른 복수의 무선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복수의 무선 신호를 입력받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신호 입력 포트, 상기 유선 신호와 상기 복수의 무선 신호를 결합한 다중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결합부, 그리고 상기 다중 신호를 신호 커버리지 확장 장치가 연결된 전송 선로로 출력하는 출력 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다중 신호는, 상기 신호 커버리지 확장 장치에 의해 상기 유선 신호로부터 변환된 상기 복수의 무선 신호 중 하나의 무선 신호를 포함하도록 재생성된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gnal combining device includes a wired signal input port for receiving a wired signal, at least one wireless signal input port for receiving a plurality of wireless signals having a plurality of different radio frequency bands, and the wired signal. And a signal combiner for generating a multi-signal by combining the plurality of radio signals, and an output port for outputting the multi-signal to a transmission line to which a signal coverage extension apparatus is connected, wherein the multi-signal is provided to the signal coverage extension apparatus. It is regenerated to include one of the plurality of wireless signals converted from the wired signal.
신호 결합 장치는 전원 공급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전원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전원 입력 포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신호 결합부는, 상기 유선 신호, 상기 복수의 무선 신호 및 상기 전원 신호를 결합하여 다중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전원 신호는, 상기 신호 커버리지 확장 장치 및 상기 전송 선로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장치로 공급될 수 있다.The signal combining device further includes a power input port for receiving a power signal supplied from a power supply device, and the signal combining unit generates multiple signals by combining the wired signal, the plurality of wireless signals, and the power signal, , The power signal may be supplied to the signal coverage extension device and at least one network device connected to the transmission line.
상기 유선 신호 입력 포트는, 집선 장치로부터 상기 유선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집선 장치는, 리모트 광 디먹스(DEMUX)로부터 유선 광 신호 및 무선 광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유선 광 신호 및 상기 무선 광 신호를 광전 변환하며, 광전 변환된 유선 신호를 상기 유선 신호 입력 포트로 출력하고, 광전 변환된 무선 신호를 상기 무선 신호 입력 포트로 출력하며, 상기 유선 광 신호 및 상기 무선 광 신호는, 하나의 광 전송 신호에 포함되어 집선용 광 먹스(MUX)로부터 상기 리모트 광 디먹스로 전달되고, 상기 하나의 광 전송 신호는, 상기 집선용 광 먹스(MUX)에 의해 광회선 단말로부터 수신된 유선 광 신호 및 디지털 유닛으로부터 수신된 무선 광 신호가 결합된 것일 수 있다.The wired signal input port receives the wired signal from a concentrator, the concentrator receives a wired optical signal and a wireless optical signal from a remote optical demux (DEMUX), and the wired optical signal and the wireless optical signal Photoelectric conversion, and outputting the photoelectrically converted wired signal to the wired signal input port, and outputting the photoelectrically converted wireless signal to the wireless signal input port, the wired optical signal and the wireless optical signal, one optical transmission It is included in the signal and transmitted from the optical mux for converging (MUX) to the remote optical demux, and the one optical transmission signal is a wired optical signal and digital signal received from the optical line terminal by the optical mux for converging (MUX). The wireless optical signal received from the unit may be combin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유무선 신호를 통합하여 하나의 다중 신호로 하여 생성하고, 이러한 다중 신호를 무선 주파수 케이블을 통하여 빌딩 내로 전송함으로써, 무선 기반의 구내 배선 통합으로 인빌딩 네트워크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integrating wired and wireless signals having different frequency bands into one multi-signal, and transmitting the multi-signals into a building through a radio frequency cable, wireless-based premises wiring is integrated. The building network structure can be simplified.
또한, 하나의 전송 매체를 통해 서로 다른 복수의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복수의 통신 신호를 인빌딩 내에 전송함으로써, 전송 속도 증대 및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인빌딩 내에 수용할 수 있다.In addition, by transmitting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signals having a plurality of different frequency bands in the in-building through one transmission medium, it is possible to increase a transmission speed and accommodate various communication services in the in-building.
또한, 이동통신 신호 대비 커버리지가 상대적으로 협소한 와이파이 신호가 감쇄되는 지점에서 기 전송된 와이파이 대역의 무선 신호를 제거하고 유선 신호로부터 변환된 새로운 와이파이 대역의 무선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와이파이 신호의 커버리지를 확장하는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coverage of the Wi-Fi signal is reduced by removing the wireless signal of the previously transmitted Wi-Fi band at the point where the Wi-Fi signal, which has a relatively narrow coverage compar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signal, is attenuated and transmitting the wireless signal of the new Wi-Fi band converted from the wired signal. Provides an expanding effect.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인빌딩 네트워크 통합 장치와 주변 장치 간의 연결 관계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무선 신호가 신호 결합 장치에 입력되는 예시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무선 신호가 신호 결합 장치에 입력되는 예시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빌딩 네트워크 통합 장치와 주변 장치 간의 연결 관계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신호 결합 장치와 GNT(G.hn Network Terminal)의 1:N 연결 관계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5의 실시예에 따른 GNT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호 결합 장치와 GNT의 1:N 연결 관계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8은 도 7의 실시예에 따른 GNT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결합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커버리지 확장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커버리지 확장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빌딩 네트워크 통합 장치의 하드웨어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an in-building network integration device and a peripher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ample in which a plurality of radio signals are input to a signal combi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ample in which a plurality of radio signals are input to a signal combin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an in-building network integration device and a periphera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1:N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a signal combining device and a G.hn Network Terminal (G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GN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5.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1:N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a signal combining device and a G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GN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7. FIG. 9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signal combi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ignal coverage extens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signal coverage exten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flowchart showing a signal process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flowchart showing a signal process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flowchart showing a signal process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hardware block diagram of an in-building network integr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terms such as "... unit", "... group", and "... modul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can be implemented by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I can.
본 명세서에서 단수로 기재된 표현은 "하나" 또는 "단일" 등의 명시적인 표현을 사용하지 않은 이상, 단수 또는 복수로 해석될 수 있다.Expressions described in the singular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interpreted as the singular or plural unless an explicit expression such as "one" or "single" is used.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인빌딩 네트워크 통합 장치와 주변 장치 간의 연결 관계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무선 신호가 신호 결합 장치에 입력되는 예시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무선 신호가 신호 결합 장치에 입력되는 예시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an in-building network integration device and a peripher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lurality of radio signals input to a signal combi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ample of inputting a plurality of radio signals to a signal combin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인빌딩 네트워크 통합 장치는 통신실(10)에 설치되는 신호 결합 장치(100) 및 인빌딩 로컬 지역(20)에 설치되는 커버리지 확장 장치(2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an in-building network integration device includes a
신호 결합 장치(100)와 커버리지 확장 장치(200)는 전송 선로를 통해 연결되는데,전송 선로는 무선 주파수 케이블 또는 동축(Coxial) 케이블을 포함한다. 전송 선로는 통신실(10)로부터 인빌딩 로컬 지역(20), 예를들면, 각 층으로 배선되어 있다.The
통신실(10)은 각 층으로 전화선, 인터넷 회선들을 분배하는 MDF(Main Distribution Frame)이거나 또는 빌딩 내부의 지하에서 꼭대기층까지 각종 통신 선로들이 일종의 관로 및 장비가 설치된 TPS(Telecom Pipeline Shaft)일 수 있다.The
신호 결합 장치(100)는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가진 복수의 통신 신호와 전원 신호를 결합한 제1 다중 신호를 생성하여 전송 선로로 출력한다. 복수의 통신 신호는 집선 장치(300)로부터 수신되는 유선 신호, 서로 다른 무선 주파수를 사용하는 복수(n)의 무선 신호 및 전원 공급 장치(400)로부터 출력되는 DC(Direct Current) 전원 신호를 포함한다.The
집선 장치(300)는 네트워크(50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 신호를 기가 와이어(Giga Wire) 주파수 대역의 유선 신호로 생성하여, 신호 결합 장치(100)로 출력한다. 여기서, 기가 와이어는 전화선을 활용해 LAN(Local Area Network), 광케이블과 같이 최대 1Gbps 속도로 제공하는 기술로서, 통상 0 ~ 200MHz 대역을 사용한다.The
유선 신호는 인터넷 신호, TV 신호,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유선 통신 서비스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The wired signal may include at least one wired communication service signal from among an Internet signal, a TV signal, and an Internet Protocol Television (IPTV) signal.
집선 장치(300)는 네트워크(500)를 통해 서버(600)에 연결된다. 네트워크(500)는 인터넷 또는 FTTH(Fiber To The Home)를 포함하는 FTTx(Fiber To The x)와 같은 광대역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600)는 가입자 단으로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로서, 예를들면,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인터넷 포털(Internet Portal) 서버, 방송 컨텐츠 서버 등을 포함할 수 있고, 가입자 단의 인터넷 서비스 정책 및 네트워크 관리를 수행하는 사업자 서버일 수 있다.The
신호 결합 장치(100)로 입력되는 복수(n)의 무선 신호는 이동통신 신호, 와이파이(WiFi, Wireless Fidelity) 신호, 방송 신호, IoT(Internet of Things) 신호, 긴급 통신 신호 등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n) wireless signals input to the
이동통신 신호는 이동통신 사업자에 할당된 이동통신 주파수를 사용한다. 이동통신 주파수는 자사 이동통신 사업자 및 타사 이동통신 사업자 별로 서로 다른 복수의 무선 주파수를 포함한다. 또한, 이동통신 주파수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등 통신 규격 별로 할당된 서로 다른 복수의 주파수를 포함할 수 있다.The mobile communication signal uses a mobile communication frequency assigned to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The mobile communication frequency includes a plurality of different radio frequencies for each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and other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s. In add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frequency may include a plurality of different frequencies allocated according to communication standards such as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and Long Term Evolution (LTE).
와이파이(WiFi) 신호는 2.4GHz 또는 5GHz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한다.The Wi-Fi signal uses a frequency band of 2.4GHz or 5GHz.
방송 신호는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등을 포함한다. DMB 신호는 DMB용으로 할당된 주파수를 사용하며, 방송사 별로 할당된 서로 다른 복수의 DMB 주파수를 사용하는 복수의 DMB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라디오 방송 신호는 531KHz ~ 1601KHz를 사용하는 AM 신호와 88KHz ~ 108 KHz를 사용하는 FM 신호를 포함한다.Broadcast signals includ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signals, radio broadcasting signals, and the like. The DMB signal uses a frequency allocated for DMB,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DMB signals using a plurality of different DMB frequencies allocated for each broadcaster. Radio broadcast signals include AM signals using 531KHz ~ 1601KHz and FM signals using 88KHz ~ 108KHz.
IoT(Internet of Things) 신호는 근거리 통신 주파수를 사용하는 신호로서, CATV(Community Antenna Television) 신호, 각종 센서 등을 제어하는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주파수는 ZigBee, ZWave,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 기술에서 사용하는 주파수들을 포함할 수 있다.The Internet of Things (IoT) signal is a signal using a short-range communication frequency, and may include a signal for controlling a Community Antenna Television (CATV) signal, various sensors, and the like.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frequency may include frequencies used in ZigBee, ZWave, and Bluetooth Low Energy (BLE) communication technologies.
긴급 통신 신호는 220MHz, 430MHz ~ 470MHz를 사용하는 소방 및 경찰 통신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Emergency communication signals may include fire and police communication signals using 220MHz, 430MHz ~ 470MHz.
도 1을 참조하면, 신호 결합 장치(100)는 기가 와이어 신호, 복수(n)의 무선 신호, 전원 신호를 각각 입력받을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도 2를 참조하면, 신호 결합 장치(100)는 집선 장치(300), 무선 주파수 결합 장치(700), 전원 공급 장치(400)와 각각 연결된다.Referring to FIG. 2, the
무선 주파수 결합 장치(700)는 복수(n)의 무선 신호를 결합하여 생성한 무선 주파수 결합 신호를 신호 결합 장치(100)로 출력한다. 무선 주파수 결합 장치(700)는 통신실(10)에 설치된 WiFi AP(1200)로부터 WiFi 신호를 입력받는다. 무선 주파수 결합 장치(700)는 통신실(10)에 설치된 IoT AP(1300)로부터 IoT 신호를 입력받는다. 무선 주파수 결합 장치(700)는 WiFi 신호, IoT 신호 및 복수(n)의 무선 신호를 결합한 무선 주파수 결합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The radio
신호 결합 장치(100)는 기가 와이어 신호, 무선 주파수 결합 신호 및 전원 신호를 결합하여 제1 다중 신호를 생성한다.The
도 3을 참조하면, 신호 결합 장치(100)는 집선 장치(300), 이동통신 대역 결합 장치(800), 전원 공급 장치(400)와 각각 연결되어, 기가 와이어 신호, 이동통신 결합 신호, 전원 신호를 입력받는다. 신호 결합 장치(100)는 이동통신 대역을 제외한 복수의 무선 주파수 대역을 각각 사용하는 복수(n)의 무선 신호를 입력받는다. 신호 결합 장치(100)는 통신실(10)에 설치된 WiFi AP(1200)로부터 WiFi 신호를 입력받고, 통신실(10)에 설치된 IoT AP(1300)로부터 IoT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이동통신 대역 결합 장치(800)는 자사 이동통신 신호 및 타사 이동통신 신호를 결합하여 생성한 이동통신 결합 신호를 신호 결합 장치(100)로 출력한다. 신호 결합 장치(100)는 기가 와이어 신호, 이동통신 결합 신호, WiFi 신호 및 IoT 신호를 포함한 복수(n)의 무선 신호 및 전원 신호를 결합하여 제1 다중 신호를 생성한다.The mobile communication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신호 결합 장치(100)와 연결된 전송 선로에는 신호 커버리지 확장 장치(200) 및 적어도 하나의 분배기(900)가 연결된다.Again, referring to FIG. 1, a signal
신호 커버리지 확장 장치(200)는 인빌딩 로컬 지역에서 와이파이(WiFi) 신호 감쇄 지점에 설치될 수 있다. 와이파이 신호 감쇄 지점은 와이파이 신호 세기 측정을 통해 확인될 수 있다.The signal
신호 커버리지 확장 장치(200)는 빌딩 내 층 별로 각각 복수개 설치될 수 있다.A plurality of signal
신호 커버리지 확장 장치(200)의 전단에 설치된 분배기(900)는 제1 다중 신호를 기 설정된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신호들로 분리하여 출력한다. 이러한 분배기(900)는 다중 대역 무선 안테나(1000), 및 GNT(G.hn Network Terminal)(1100)과 연결될 수 있다.The
분배기(900)는 제1 다중 신호를 주파수 대역 별로 필터링하여 분배한다.The
다중 대역 무선 안테나(1000)는 분배기(900)로부터 기가 와이어 대역을 제외한 복수의 무선 주파수 대역을 가진 제1 다중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다중 대역 무선 안테나(1000)는 입력받은 복수(n)의 무선 신호를 방사한다. 이러한 무선 신호는 와이파이(WiFi) 주파수를 사용하는 단말, 예를들면, IP-CCTV(Closed-circuit television), 센서 등이 수신할 수 있다.The
GNT(1100)는 분배기(900)로부터 출력되는 기가 와이어 신호를 이더넷 신호로 변환하여 연결된 통신 단말(미도시)로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단말(미도시)은 이더넷 신호를 입력받아 동작하는 단말로서, 각종 센서들, CCTV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또한, GNT(1100)는 WiFi AP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GNT(1100)는 기가 와이어 신호를 WiFi 신호로 변환하여, 와이파이 대역 안테나를 통해 방사한다.In addition, the
신호 커버리지 확장 장치(200)는 분배기(900)로부터 제1 다중 신호를 입력받아, 와이파이 신호를 제거하고, 제1 다중 신호로부터 추출한 유선 신호를 와이파이 신호로 변환한다. 그리고 와이파이 신호가 제거된 제1 다중 신호에 변환된 와이파이 신호를 결합하여 생성한 제2 다중 신호를 전송 선로로 출력한다. 그리고 변화된 와이파이 신호를 외부로 방사한다.The signal
신호 커버리지 확장 장치(200)의 후단에 설치된 분배기(900)는 제2 다중 신호를 기 설정된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신호들로 분리하여 다중 대역 무선 안테나(1000)와 와이파이 AP(1300)로 출력한다.The
이때, 분배기(900)로부터 각 네트워크 장치(1000, 1100)로 필터링된 통신 신호 및 전원 신호가 함께 출력된다. 전원 신호는 분배기(900), 각 네트워크 장치(1000, 1100), 신호 커버리지 확장 장치(200)의 구동 전원으로 사용된다.In this case, the communication signal and the power signal filtered from the
이렇게 하면, 와이파이 신호가 감쇄되는 지점에서 유선 신호를 새로운 와이파이 신호로 생성하여 전송 선로로 출력함으로써, 와이파이 커버리지를 확장하는 효과가 있다. 종래에는 와이파이 신호가 제1 다중 신호에 결합되어 전송되더라도, 와이파이 커버리지를 벗어나면 와이파이 신호가 잡히지 않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신호 커버리지 확장 장치(200)가 기가 와이어 신호로부터 와이파이 신호를 새로 생성하여 전송 선로로 출력하므로, 와이파이 커버리지가 실질적으로 확장되는 효과가 있다.In this way, a wired signal is generated as a new Wi-Fi signal at a point where the Wi-Fi signal is attenuated and output to a transmission line, thereby extending Wi-Fi coverage. Conventionally, even if a Wi-Fi signal is combined with the first multi-signal and transmitted, a Wi-Fi signal is not detected when it is out of Wi-Fi coverage, but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gnal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빌딩 네트워크 통합 장치와 주변 장치 간의 연결 관계를 나타낸 구성도로서, 도 1 ~ 도 3의 구성과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4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an in-building network integration device and a periphera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description of a configuration that performs a function similar to that of FIGS. 1 to 3 will be omitted.
도 4의 실시예는 도 1 ~ 도 3의 실시예를 포함하되, 광 선로와 전송 선로가 배선된 실시예에 해당된다.The embodiment of Fig. 4 includes the embodiment of Figs. 1 to 3, but corresponds to an embodiment in which an optical line and a transmission line are wired.
도 4를 참조하면, 통신실(도 1의 10)은 중앙 통신실(11)과 로컬 통신실(13)로 구분된다. 중앙 통신실(11)은 인빌딩 내 중앙 통제 구역을 의미하고, 로컬 통신실(13)은 각 층마다 또는 주요 층에 위치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a communication room (10 in FIG. 1) is divided into a
중앙 통신실(11)에서 적어도 하나의 로컬 통신실(13)까지는 광 선로가 배선되어 있다. Optical lines are wired from the
로컬 통신실(13)은 도 1의 통신실(10)과 비교할 때, 리모트(Remote) 광 디먹스(Demux)(1400)를 더 포함하고, 리모트 광 디먹스(1400)는 집선 장치(300)와 연결된다. 리모트 광 디먹스(1400)는 광 선로를 통해 중앙 통신실(11)에 설치된 집선용 광 먹스(Mux)(1500)와 연결된다. 여기서, 광 선로는 광 케이블이 사용될 수 있다.The local communication room 13 further includes a remote optical demux 1400 as compared to the
집선용 광 먹스(1500)는 광회선 단말(Optical Line Terminal, 이하, 'OLT'라 통칭함)(1600) 및 메인 허브 유닛(Main Hub Unit, 이하, 'MHU'라 통칭함)(1700)과 연결된다. OLT(1600)는 중앙 통신실(11)에 설치되고, 집선 스위치(1700)와 유선으로 연결된다. MHU(1800)는 중앙 통신실(11)에 설치되고, 디지털 유닛(Digital Unit, 이하, 'DU'라 통칭함)(1900)과 무선으로 연결된다.The optical mux (1500) for converging is an optical line terminal (hereinafter referred to as'OLT') 1600 and a main hub unit (hereinafter referred to as'MHU') (1700). Connected. The
집선 스위치(1700) 및 DU(1900)는 백본(Backbone) 스위치(2000)를 통해 네트워크(500)에 연결된다. 네트워크(500)에는 서버(600)가 연결된다. The
리모트 광 디먹스(1400)는 집선 장치(300)와 광 선로로 연결되고, 집선용 광 먹스(1500)로부터 수신된 광 전송 신호를 유선 광 신호와 무선 광 신호로 분리하여 집선 장치(300)로 출력한다. The remote optical demux 1400 is connected to the
집선 장치(300)는 리모트 광 디먹스(1400)로부터 입력받은 무선 광 신호를 광전 변환한 무선 디지털 신호를 신호 결합 장치(100)로 출력한다. 그리고 리모트 광 디먹스(1400)로부터 입력받은 유선 광 신호를 광전 변환한 유선 디지털 신호를 특정 주파수 대역, 예를들면, 기가 와이어 대역의 유선 신호로 변환하여 신호 결합 장치(100)로 출력한다. The
집선용 광 먹스(1500)는 OLT(1600)로부터 수신한 유선 광 신호 및 MHU(1800)로부터 수신한 무선 광 신호를 결합하여 생성한 광 전송 신호를 리모트 광 디먹스(1400)로 전송한다.The converging
OLT(1600)는 UTP(Unshielded Twisted Pair) 케이블, 전화선(phone line), 전력선(power line), 동선 케이블(Coaxial cable), 파이버(Fiber) 케이블 등을 통해 집선 스위치(1700)와 연결될 수 있다. The
집선 스위치(1700)는 국사에 설치되어, 백본 스위치(200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OLT(1600)로 전송한다. The
MHU(1800)는 멀티-밴드(Multi-Band) 무선 서비스를 수용하며, DU(1900)로부터 수신한 RF 디지털 데이터를 무선 광신호로 변환하여, 집선용 광 먹스(1500)로 출력한다.The
백본 스위치(2000)는 국사에 설치되어, 네트워크(500)를 통해 서버(60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집선 스위치(1700) 및 DU(1900)로 분배한다. The
이상의 설명에서는 다운링크 신호를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업링크 신호에서도 마찬가지로 동작한다. 다만, 신호 분리는 신호 결합으로, 광전 변환은 전광 변환과 같이 다운링크 동작은 그에 상응하는 상향링크 동작으로 대체된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description has been made based on the downlink signal, but the same operation is performed for the uplink signal. However, the downlink operation is replaced by a corresponding uplink operation, such as signal separation by signal combination and photoelectric conversion by electro-optical convers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결합 장치와 GNT(G.hn Network Terminal)의 1:N 연결 관계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6은 도 5의 실시예에 따른 GNT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1:N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a signal combining device and a GNT (G.hn Network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diagram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GN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It is a block diagram.
도 5를 참조하면, 하나의 신호 결합 장치(100)에는 복수(n)의 GNT(1100)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각 GNT(1100)은 WiFi AP(1200), CCTV(2100), IoT 장치(2200)와 LAN(Local Area Network) 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LAN 선으로 기가 와이어 신호로부터 변환된 와이파이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이처럼, 동축 선로에서 기가 와이어 기술은 기본적으로 1:N 통신이 가능하다. Referring to FIG. 5, a plurality (n) of
신호 결합 장치(100)와 GNT(1100) 간의 1:N 통신 환경에서 N개의 GNT(1100)이 모두 최대 속도로 동시 통신을 하는 경우, 각 GNT(1100)의 최대 속도는 신호 결합 장치(100)가 제공하는 최대 속도의 1/N 속도를 제공할 수 있다.In a 1:N communication environment between the
도 6을 참조하면, GNT(1100)은 수신부(1101), 이더넷 신호 생성부(1103), 전송부(1105), LAN 포트(1107) 및 전원부(1109)를 포함한다. 수신부(1101)는 분배기(도 1, 도 4의 900)로부터 분배된 기가 와이어 신호 및 전원 신호를 수신하고, 기가 와이어 신호를 이더넷 신호 생성부(1103)로 출력하고, 전원 신호를 전원부(1109)로 출력한다.Referring to FIG. 6, the
이더넷 신호 생성부(1103)는 기가 와이어 신호를 이더넷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부(1105)로 출력한다. 전송부(1105)는 기가 와이어 신호를 LAN 포트(1107)로 출력한다. The Ethernet
전원부(1109)는 수신부(1101)로부터 수신한 전원 신호로 구동 전원을 생성하여 각 구성 요소(1101, 1103, 1105, 1107)로 출력한다.The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호 결합 장치와 GNT의 1:N 연결 관계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8은 도 7의 실시예에 따른 GNT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7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1:N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a signal combining device and a G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GN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7.
도 7을 참조하면, 도 6과 동일하나, 다만, GNT(1100)가 GNT의 원래 기능과 WiFi AP 기능이 통합된 통합 GNT(1100)이다. 통합 GNT(1100)의 구성은 도 8과 같다.Referring to FIG. 7, the
도 8을 참조하면, 도 6의 GNT(1100)와 유사하나, 다만, 와이파이(WiFi) 신호 생성부(1111) 및 적어도 하나의 와이파이(WiFi) 대역 안테나(1113)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도 6의 구성과 유사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Referring to FIG. 8, it is similar to the
와이파이(WiFi) 신호 생성부(1111)는 이더넷 신호 생성부(1103)로부터 출력되는 이더넷 신호를 와이파이(WiFi) 신호로 변환한다. 적어도 하나의 와이파이(WiFi) 대역 안테나(1113)는 와이파이(WiFi) 신호 생성부(1111)가 출력하는 와이파이(WiFi) 신호를 방사한다.The Wi-Fi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결합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9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ignal combi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신호 결합 장치(100)는 유선 신호 입력 포트(101), 적어도 하나의 무선 신호 입력 포트(103), 전원 입력 포트(105), 신호 결합부(107) 및 출력 포트(109)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9, the
유선 신호 입력 포트(101)는 집선 장치(300)와 연결되어, 집선 장치(300)로부터 기가 와이어 신호를 입력받아 신호 결합부(107)로 출력한다. The wired
적어도 하나의 무선 신호 입력 포트(103)는 서로 다른 무선 주파수를 사용하는 복수(n)의 무선 신호를 각각 입력받거나, 또는 복수(n)의 무선 신호가 결합된 무선 주파수 결합 신호를 입력받거나, 또는 자사 이동통신 신호와 타사 이동통신 신호가 결합된 이동통신 결합 신호와 서로 다른 무선 주파수를 사용하는 복수(n)의 무선 신호를 입력받아, 신호 결합부(107)로 출력한다. At least one radio
전원 입력 포트(105)는 전원 공급 장치(400)로부터 DC 전원 신호를 입력받아 신호 결합 장치(100)로 출력한다. The
신호 결합부(107)는 유선 신호 입력 포트(101), 적어도 하나의 무선 신호 입력 포트(103), 전원 입력 포트(105)로부터 각각 입력된 복수의 통신 신호와 전원 신호를 결합하여 제1 다중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 포트(109)로 출력한다.The
출력 포트(109)는 신호 결합부(107)로부터 출력되는 제1 다중 신호를 전송 선로로 출력한다. The
이때, DC 전원 신호는 신호 결합 장치(100)의 구동 전원, 전송 선로에 연결되어 있는 네트워크 장치들(200, 900, 1000, 1100)의 구동 전원으로 사용된다.In this case, the DC power signal is used as the driving power of the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커버리지 확장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10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ignal coverage extens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신호 커버리지 확장 장치(200)는 분배기(201), 대역 제거 필터(203), 이더넷 신호 생성부(205), 와이파이 신호 생성부(207), 신호 결합부(209), 적어도 하나의 와이파이 대역 안테나(211) 및 전원부(213)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0, the signal
분배기(201)는 전송 선로로부터 수신된 제1 다중 신호로부터 기가 와이어 주파수 대역의 유선 신호를 분리하여 이더넷 신호 생성부(205)로 출력하고, 제1 다중 신호를 대역 제거 필터(203)로 출력한다. The
분배기(201)는 이더넷 신호 생성부(205)로 출력하는 유선 신호와 대역 제거 필터(203)로 출력하는 제1 다중 신호의 신호 세기를 다르게 설정하는 비대칭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제1 다중 신호는 장거리 전송이 필요한 신호이므로, 강한 신호로 출력하고 기가 와이어 대역의 유선 신호는 단거리 전송 신호이므로, 약한 신호로 출력할 수 있다. The
대역 제거 필터(203)는 분배기(201)로부터 출력되는 제1 다중 신호로부터 와이파이 주파수 대역의 무선 신호를 차단하고, 그 외 통신 신호를 신호 결합부(209)로 출력한다.The
이더넷 신호 생성부(205)는 분배기(201)로부터 출력되는 유선 신호를 이더넷 신호로 변환하여 와이파이 신호 생성부(207)로 출력한다.The
와이파이 신호 생성부(207)는 이더넷 신호 생성부(205)로부터 출력되는 이더넷 신호를 와이파이 주파수 대역의 무선 신호로 변환하여, 신호 결합부(209) 및 적어도 하나의 와이파이 대역 안테나(211)로 각각 출력한다.The Wi-
신호 결합부(209)는 대역 제거 필터(203)로부터 출력된 와이파이 신호가 제거된 제1 다중 신호 및 와이파이 신호 생성부(207)로부터 출력된 와이파이 신호를 결합하여 제2 다중 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제2 다중 신호를 전송 선로로 출력한다. The
적어도 하나의 와이파이 대역 안테나(211)는 와이파이 신호 생성부(207)로부터 출력되는 와이파이 신호를 방사한다.At least one Wi-
전원부(213)는 분배기(201)로부터 입력받은 전원 신호를 기초로 분배기(201), 대역 제거 필터(203), 이더넷 신호 생성부(205), 와이파이 신호 생성부(207), 신호 결합부(209), 적어도 하나의 와이파이 대역 안테나(211)로 구동 전원을 공급한다.The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커버리지 확장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11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signal coverage exten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신호 결합 장치(100)에 입력되어 동축 선로로 전송된 WiFi 신호는 신호 커버리지 확장 장치(200)의 전단에서는 WiFi AP(1200)로 출력된 신호이다. 이때, 신호 결합 장치(100)와 신호 커버리지 확장 장치(200)의 거리는 최대 60m 정도이고, 다중 대역 무선 안테나(1000)와 GNT(1100)의 간격은 10~20m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1, the WiFi signal input to the
WiFi AP(1200)로 출력된 WiFi 신호(즉, WiFi AP 신호)는 커버리지의 한계로 감소한다. 신호 커버리지 확장 장치(200)는 신호 결합 장치(100)로부터 출력된 기가 와이어 신호를 WiFi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즉, 신호 커버리지 확장 장치(200)의 후단에서는 기가 와이어 신호로부터 생성된 WiFi 신호(즉, 기가 와이어 WiFi 신호)가 전송된다.The WiFi signal (ie, WiFi AP signal) output to the
이와 같이, 전송 선로로 서로 다른 복수의 무선 주파수를 가지는 복수의 무선 신호를 동시 전송시, 기가 와이어 신호를 와이파이 신호로 생성하여 재전송함으로써, 와이파이 신호를 부스팅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와이파이 주파수로 인한 신호 감쇄 불평형 현상을 기가 와이어 기술 기반으로 보상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a plurality of radio signals having a plurality of different radio frequencies are simultaneously transmitted through a transmission line, a giga wire signal is generated as a WiFi signal and retransmitted, thereby boosting a WiFi signal. Through this, the signal attenuation imbalance due to the Wi-Fi frequency can be compensated based on Giga wire technology.
한편, 지금까지 설명한 인빌딩 네트워크 통합 장치의 실시예 별 신호 처리 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Meanwhile, a signal processing method for each embodiment of the in-building network integration device described so far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도 1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12 is a flowchart showing a signal process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를 참조하면, 신호 결합 장치(100)는 기가 와이어 주파수 대역의 유선 신호, 서로 다른 무선 주파수를 가진 복수의 무선 신호 및 전원 신호를 결합한 제1 다중 신호를 생성(S101)하여, 전송 선로로 출력한다(S103).Referring to FIG. 12, the
신호 커버리지 확장 장치(200)는 전송 선로로부터 수신(S103)되는 제1 다중 신호로부터 유선 신호를 추출하여 이더넷 신호로 변환한다(S105). The signal
신호 커버리지 확장 장치(200)는 변환(S105)된 이더넷 신호를 와이파이 주파수 대역의 무선 신호로 변환한다(S107).The signal
신호 커버리지 확장 장치(200)는 제1 다중 신호로부터 와이파이 주파수 대역을 차단한다(S109).The signal
신호 커버리지 확장 장치(200)는 변환(S107)된 와이파이 주파수 대역의 무선 신호와 S109 단계에서 와이파이 주파수 대역이 차단된 제1 다중 신호를 결합한 제2 다중 신호를 생성한다(S111). 그리고 생성(S111)한 제2 다중 신호를 전송 선로로 출력한다(S113).The signal
또한, 신호 커버리지 확장 장치(200)는 변환(S107)된 와이파이 주파수 대역의 무선 신호를 방사한다(S115).In addition, the signal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로서, 도 1의 실시예에 해당된다.1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ignal process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orresponds to the embodiment of FIG. 1.
도 13을 참조하면, 집선 장치(300)는 네트워크(5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신호를 기가 와이어 대역의 유선 신호로 생성(S201)하여, 신호 결합 장치(100)로 출력한다(S203).Referring to FIG. 13, the
신호 결합 장치(100)는 수신(S203)한 유선 신호, 입력받은 서로 다른 무선 주파수를 가진 복수의 무선 신호 및 전원 신호를 결합한 제1 다중 신호를 생성한다(S205).The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로서, 도 4의 실시예에 해당된다.1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ignal process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orresponds to the embodiment of FIG. 4.
도 14를 참조하면, 집선용 광 먹스(1500)는 OLT(1600)로부터 입력되는 유선 광 신호와 MHU(1800)로부터 입력되는 무선 광 신호를 다중화하여 광 전송 신호를 생성한다(S301). 이때, 유선 광 신호, 무선 광 신호, 광 전송 신호는 서로 다른 각각의 파장을 사용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4, the
집선용 광 먹스(1500)는 S301 단계에서 생성한 광 전송 신호를 리모트 광 디먹스(1400)로 출력한다(S303). 리모트 광 디먹스(1400)는 수신(S303)한 광 전송 신호를 각각의 파장을 가진 유선 광 신호와 무선 광 신호로 역다중화(S305)하여 집선 장치(300)로 출력한다(S307).The
집선 장치(300)는 수신(S307)한 무선 광 신호를 광전 변환(S309)하고, 광전 변환(S309)된 디지털 무선 신호를 신호 결합 장치(100)로 출력한다(S311). The
집선 장치(300)는 수신(S307)한 유선 광 신호를 광전 변환(S313)하고, 광전 변환(S313)된 디지털 유선 신호를 기가 와이어 대역의 유선 신호로 변환한다(S315). 그리고 변환(S315)된 기가 와이어 대역의 유선 신호를 신호 결합 장치(100)로 출력한다(S317). The
신호 결합 장치(100)는 S311 단계 및 S317 단계에서 각각 수신한 무선 신호 및 유선 신호와,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가진 복수의 무선 신호 및 전원 신호를 결합하여 제1 다중 신호를 생성한다(S319). 이때, S311 단계에서 입력되는 무선 신호는 자사 이동통신 신호이고, 복수의 무선 신호는 타사 이동통신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The
한편,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빌딩 네트워크 통합 장치의 하드웨어 블록도로서, 도 1 ~ 도 14에서 설명한 신호 결합 장치(100), 신호 커버리지 확장 장치(200)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낸다.Meanwhile, FIG. 15 is a hardware block diagram of an in-building network integr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ws hardware configurations of the
도 15를 참조하면, 인빌딩 네트워크 통합 장치(2100)는 통신 장치(2101), 메모리(2103)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105)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5, an in-building
통신 장치(2101)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105)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신 및/또는 수신한다. 메모리(2103)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105)와 연결되어, 도 1 내지 도 14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에 따른 구성 및/또는 방법을 실행하게 하는 명령어(instructions)들을 포함하는 신호 처리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신호 처리 프로그램은 메모리(2103)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105) 등의 하드웨어와 결합하여 본 발명을 구현한다.The communication device 2101 is connected to at least one processor 2105 to transmit and/or receive data. The memory 2103 is connected to at least one processor 2105 to store a signal processing program including instructions for executing the configuration and/or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FIGS. 1 to 14. . The signal processing program is combined with hardware such as memory 2103 and at least one processor 2105 to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not implemented only through an apparatus and a method, but may be implemented through a program that realizes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program is recorded.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re also provided. It belongs to the scope of rights.
Claims (17)
와이파이 신호 감쇄 지점에 설치되고, 상기 전송 선로로 연결된 상기 신호 결합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제1 다중 신호에서 신호가 감쇄된 제1 와이파이 신호를 제거하며, 상기 제1 다중 신호로부터 추출한 유선 신호를 상기 제1 와이파이 신호와 다른 제2 와이파이 신호로 생성하고, 상기 제1 와이파이 신호가 제거된 제1 다중 신호에 상기 제2 와이파이 신호를 결합한 제2 다중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2 다중 신호를 상기 전송 선로로 출력하는 신호 커버리지 확장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와이파이 신호는,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의 서비스 커버리지에서 입력받은 신호인, 인빌딩 네트워크 통합 장치.A signal combining device for outputting a first multiple signal generated by combining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signals having different frequency bands to a transmission line, and
Remove the first Wi-Fi signal from which the signal is attenuated from the first multiple signal received from the signal combining device installed at the Wi-Fi signal attenuation point and connected to the transmission line, and the wired signal extracted from the first multiple signal is applied to the first Generates a second multi-signal by combining the second multi-signal from which the first WiFi signal has been removed and the second multi-signal from which the first WiFi signal has been removed, and outputs the second multi-signal to the transmission line Including a signal coverage extension device,
The first Wi-Fi signal,
In-building network integration device, which is a signal received from the service coverage of a Wi-Fi access point.
상기 신호 커버리지 확장 장치는,
상기 유선 신호를 이더넷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이더넷 신호를 상기 와이파이 신호로 변환하며 변환된 와이파이 신호를 기초로 상기 제2 다중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변환된 와이파이 신호를 외부로 방사하는, 인빌딩 네트워크 통합 장치.In claim 1,
The signal coverage extension apparatus,
Converting the wired signal to an Ethernet signal, converting the Ethernet signal to the Wi-Fi signal, generating the second multi-signal based on the converted Wi-Fi signal, and radiating the converted Wi-Fi signal to the outside, in-building network Integrated device.
상기 신호 결합 장치는,
상기 복수의 통신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통신 입력 포트,
전원 공급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전원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전원 입력 포트,
상기 복수의 통신 신호와 상기 전원 신호를 결합한 제1 다중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결합부, 그리고
상기 제1 다중 신호를 전송 선로로 출력하는 출력 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신호는,
상기 전송 선로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장치로 공급되는, 인빌딩 네트워크 통합 장치.In claim 1,
The signal combining device,
At least one communication input port for receiving 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signals,
Power input port to receive power signals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A signal combiner for generating a first multiple signal by combining 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signals and the power signal, and
And an output port for outputting the first multiple signals to a transmission line,
The power signal is,
In-building network integration device supplied to at least one network device connected to the transmission line.
상기 신호 커버리지 확장 장치는,
상기 제1 다중 신호로부터 검출된 상기 전원 신호를 구동 전원으로 사용하는, 인빌딩 네트워크 통합 장치.In paragraph 3,
The signal coverage extension apparatus,
The in-building network integration device using the power signal detected from the first multiple signals as driving power.
상기 전송 선로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분배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배기는,
상기 제1 다중 신호 또는 상기 제2 다중 신호를 복수의 주파수 대역 별로 필터링하고, 각각 필터링된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전원 신호와 함께 상기 전송 선로로 출력하는, 인빌딩 네트워크 통합 장치.In paragraph 3,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distributor connected to the transmission line,
The at least one distributor,
Filtering the first multi-signal or the second multi-signal according to a plurality of frequency bands, and outputting the filtered frequency band signals to the transmission line together with a power signal.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배기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장치는,
상기 신호 커버리지 확장 장치의 전단에 연결된 분배기로부터 상기 제1 다중 신호의 유선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유선 신호를 와이파이 신호로 변환하여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로 출력하는 통신 단말, 그리고
상기 신호 커버리지 확장 장치의 후단에 연결된 분배기로부터 상기 제2 다중 신호의 와이파이 신호를 입력받아 외부로 방사하는 와이파이 장치
를 포함하는, 인빌딩 네트워크 통합 장치.In clause 5,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network device connected to the at least one distributor,
The at least one network device,
A communication terminal receiving a wired signal of the first multi-signal from a distributor connected to a front end of the signal coverage expansion device, converting the wired signal to a Wi-Fi signal, and outputting the converted signal to a Wi-Fi access point, and
Wi-Fi device receiving the second multi-signal Wi-Fi signal from a distributor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signal coverage expansion device and radiating it to the outside
Including, in-building network integration device.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신호를 200MHz 이하의 주파수 범위 내에 속하는 특정 주파수 대역의 유선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신호 결합 장치로 출력하는 집선 장치
를 더 포함하는, 인빌딩 네트워크 통합 장치.In claim 1,
A concentrator that converts a data signal received from a network into a wired signal of a specific frequency band within a frequency range of 200 MHz or less and outputs it to the signal combin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in-building network integration device.
상기 집선 장치와 광 선로로 연결되고, 수신된 광 전송 신호를 유선 광 신호와 무선 광 신호로 분리하여 출력하는 리모트 광 디먹스(DEMUX), 그리고
상기 리모트 광 디먹스와 광 선로를 통해 연결되고, 광회선 단말로부터 수신한 유선 광 신호 및 메인 허브 유닛으로부터 수신한 무선 광 신호를 결합한 광 전송 신호를 상기 리모트 광 디먹스로 전송하는 집선용 광 먹스(MUX)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집선 장치는,
상기 리모트 광 디먹스로부터 입력받은 무선 광 신호를 광전 변환한 무선 디지털 신호를 상기 신호 결합 장치로 출력하고, 상기 유선 광 신호를 광전 변환한 유선 디지털 신호를 상기 특정 주파수 대역의 유선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신호 결합 장치로 출력하는, 인빌딩 네트워크 통합 장치.In clause 7,
A remote optical demux (DEMUX) that is connected to the concentrator through an optical line and separates and outputs a received optical transmission signal into a wired optical signal and a wireless optical signal, and
An optical mux for convergence that is connected to the remote optical demux through an optical line and transmits an optical transmission signal obtained by combining a wired optical signal received from an optical line terminal and a wireless optical signal received from a main hub unit to the remote optical demux. (MUX) is further included,
The concentrator,
The wireless digital signal photoelectrically converted from the wireless optical signal received from the remote optical demux is output to the signal combining device, and the wired digital signal photoelectrically converted from the wired optical signal is converted into a wired signal of the specific frequency band. An in-building network integration device that outputs to a signal combining device.
상기 전송 선로는,
무선 주파수 케이블 또는 동축 케이블을 포함하는, 인빌딩 네트워크 통합 장치.In claim 1,
The transmission line,
In-building network integration device, including radio frequency cables or coaxial cables.
상기 제1 다중 신호로부터 신호가 감쇄된 제1 와이파이 신호를 제거하는 대역 제거 필터,
상기 이더넷 신호를 상기 제1 와이파이 신호와 다른 제2 와이파이 신호로 변환하는 와이파이 신호 생성부, 그리고
상기 대역 제거 필터를 통과하여 상기 제1 와이파이 신호가 제거된 제1 다중 신호를 상기 제2 와이파이 신호와 결합한 제2 다중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2 다중 신호를 전송 선로로 출력하는 신호 결합부를 포함하고,
와이파이 신호 감쇄 지점에 설치되는, 신호 확장 장치.An Ethernet signal generation unit that converts a wired signal extracted from the first multiplex signal in which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signals having different frequency bands received from a transmission line is combined into an Ethernet signal,
A band removal filter for removing the first Wi-Fi signal from which the signal is attenuated from the first multiple signal,
A Wi-Fi signal generator that converts the Ethernet signal into a second Wi-Fi signal different from the first Wi-Fi signal, and
A signal combiner configured to generate a second multi-signal by combining the first multi-signal from which the first WiFi signal is removed by passing through the band removal filter with the second WiFi signal, and outputting the second multi-signal to a transmission line. and,
Signal expansion device installed at the Wi-Fi signal attenuation point.
상기 와이파이 신호 생성부로부터 출력되는 무선 신호를 방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와이파이 대역 안테나
를 더 포함하는, 신호 확장 장치.In claim 10,
At least one Wi-Fi band antenna for radiating a wireless signal output from the Wi-Fi signal generator
Further comprising a signal expansion device.
상기 제1 다중 신호로부터 검출된 전원 신호를 기초로 구동 전원을 출력하는 전원부
를 더 포함하는, 신호 확장 장치.In claim 10,
A power supply unit that outputs driving power based on power signals detected from the first multiple signals
Further comprising a signal expansion device.
상기 제1 다중 신호로부터 상기 유선 신호를 분리하여 상기 이더넷 신호 생성부로 출력하고, 상기 제1 다중 신호를 상기 대역 제거 필터로 출력하는 분배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배기는,
상기 유선 신호와 상기 제1 다중 신호의 신호 세기를 다르게 설정하여 출력하는, 신호 확장 장치.In claim 10,
Further comprising a divider for separating the wired signal from the first multiple signal and outputting it to the Ethernet signal generator, and outputting the first multiple signal to the band elimination filter,
The distributor,
The signal expansion device for outputting the wired signal by setting different signal strengths of the first multi-signal.
상기 유선 신호의 신호 세기는,
상기 제1 다중 신호의 신호 세기보다 낮게 출력되는, 신호 확장 장치.In claim 13,
The signal strength of the wired signal is,
The signal expansion device, which is output lower than the signal strength of the first multiple signal.
서로 다른 복수의 무선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복수의 무선 신호를 입력받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신호 입력 포트,
상기 유선 신호와 상기 복수의 무선 신호를 결합한 제1 다중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결합부, 그리고
상기 제1 다중 신호를 신호 커버리지 확장 장치가 연결된 전송 선로로 출력하는 출력 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다중 신호는,
상기 신호 커버리지 확장 장치를 통과하여 제2 다중 신호로 변환되어 상기 전송 선로로 출력되고,
상기 제2 다중 신호는,
와이파이 신호 감쇄 지점에 설치된 상기 신호 커버리지 확장 장치에 의해, 신호가 감쇄된 제1 와이파이 신호가 제거된 제1 다중 신호와 상기 유선 신호로부터 변환된 제2 와이파이 신호가 결합된 신호인, 신호 결합 장치.Wired signal input port to receive wired signals,
At least one radio signal input port for receiving a plurality of radio signals having a plurality of different radio frequency bands,
A signal combiner for generating a first multiple signal by combining the wired signal and the plurality of wireless signals, and
And an output port for outputting the first multiple signals to a transmission line to which a signal coverage extension device is connected,
The first multiple signal,
After passing through the signal coverage extension device, it is converted into a second multi-signal and output to the transmission line,
The second multiple signal,
A signal combining device comprising: a first multi-signal from which a first Wi-Fi signal attenuated and a second Wi-Fi signal converted from the wired signal is combined by the signal coverage extension device installed at a Wi-Fi signal attenuation point.
전원 공급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전원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전원 입력 포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신호 결합부는,
상기 유선 신호, 상기 복수의 무선 신호 및 상기 전원 신호를 결합하여 다중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전원 신호는,
상기 신호 커버리지 확장 장치 및 상기 전송 선로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장치로 공급되는, 신호 결합 장치.In paragraph 15,
Further comprising a power input port for receiving a power signal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The signal combining unit,
Combine the wired signal, the plurality of wireless signals, and the power signal to generate multiple signals,
The power signal is,
The signal combining device supplied to the signal coverage extension device and at least one network device connected to the transmission line.
상기 유선 신호 입력 포트는,
집선 장치로부터 상기 유선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집선 장치는,
리모트 광 디먹스(DEMUX)로부터 유선 광 신호 및 무선 광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유선 광 신호 및 상기 무선 광 신호를 광전 변환하며, 광전 변환된 유선 신호를 상기 유선 신호 입력 포트로 출력하고, 광전 변환된 무선 신호를 상기 무선 신호 입력 포트로 출력하며,
상기 유선 광 신호 및 상기 무선 광 신호는,
하나의 광 전송 신호에 포함되어 집선용 광 먹스(MUX)로부터 상기 리모트 광 디먹스로 전달되고,
상기 하나의 광 전송 신호는,
상기 집선용 광 먹스(MUX)에 의해 광회선 단말로부터 수신된 유선 광 신호 및 디지털 유닛으로부터 수신된 무선 광 신호가 결합된 것인, 신호 결합 장치.In paragraph 15,
The wired signal input port,
Receiving the wired signal from the concentrator,
The concentrator,
Receives a wired optical signal and a wireless optical signal from a remote optical demux (DEMUX), photoelectrically converts the wired optical signal and the wireless optical signal, outputs the photoelectrically converted wired signal to the wired signal input port, and photoelectric conversion Outputs the wireless signal to the wireless signal input port,
The wired optical signal and the wireless optical signal,
It is included in one optical transmission signal and transmitted from an optical mux (MUX) for collection to the remote optical demux,
The one optical transmission signal,
The signal combining device is that the wired optical signal received from the optical line terminal and the wireless optical signal received from the digital unit are combined by the optical mux for converging (MUX).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51450A KR102182595B1 (en) | 2018-05-03 | 2018-05-03 | Intergrated apparatus of in-building network, signal coverage extender and signal coupling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51450A KR102182595B1 (en) | 2018-05-03 | 2018-05-03 | Intergrated apparatus of in-building network, signal coverage extender and signal coupling de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28019A KR20190128019A (en) | 2019-11-14 |
KR102182595B1 true KR102182595B1 (en) | 2020-11-25 |
Family
ID=68577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51450A Active KR102182595B1 (en) | 2018-05-03 | 2018-05-03 | Intergrated apparatus of in-building network, signal coverage extender and signal coupling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82595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64407B1 (en) * | 2022-06-17 | 2022-11-04 | 박해은 | System for integrating wiring management including network infrastruture |
KR102464404B1 (en) * | 2022-06-17 | 2022-11-04 | 박해은 | System for integrating wiring management including network separation function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30004964A (en) * | 2011-07-05 | 2013-01-15 |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 Dual wifi apparatus and wireless internet system using the same |
KR101468547B1 (en) * | 2013-01-08 | 2014-12-10 | 주식회사 맥킨리 | In-building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 system using TV cable network and terminal device for the same |
JP6314072B2 (en) * | 2014-10-23 | 2018-04-18 | オムロンオートモーティブ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 Portable device,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system |
KR20160078148A (en) * | 2014-12-24 | 2016-07-04 | 주식회사 케이티 |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wireless terminal, inter-site carrier aggregation control method |
-
2018
- 2018-05-03 KR KR1020180051450A patent/KR102182595B1/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28019A (en) | 2019-11-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336483B2 (en) | Directional wireless drop systems for broadband networks and related methods | |
KR101288290B1 (en) | Remote distributed antenna | |
CN1765137A (en) | A wireless LAN system in which the access point is connected to a remote slave base station through an optical multiplexing system | |
CN106571866A (en) | Wireless access system | |
CN106575971A (en) | Interference cancellation in coaxial cable connected data over cable service interface specification (DOCSIS) system or cable network | |
KR102182595B1 (en) | Intergrated apparatus of in-building network, signal coverage extender and signal coupling device | |
US8897225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path between multiple digital units and multiple radio frequency unit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EP2647140B1 (en) | System for signals indoor distribution on optical fiber | |
US8064477B2 (en) | Multi-channel generating system on wired network | |
KR20170022187A (en) | Analog Distributed Antenna System and its Operating Method | |
KR101931325B1 (en) | Traffic distributing system for optical repeater using ori | |
US10735822B2 (en)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data communication services through a CATV tap-off device | |
CN110808784A (en) | Outdoor 5G micro-station system based on broadcasting and TV HFC network | |
CN205336463U (en) | Effectively avoid cable television access network structure that optical beat disturbed in RFoG network | |
CN111815927A (en) | Signal transmission system and signal transmission method | |
KR101629583B1 (en) | Integration inbuilding system for using ftth network and method for operating integration inbuilding system | |
JP2008311882A (en) | Photoelectric converting device | |
KR20190031736A (en) | Integrated customer device box | |
JP4700337B2 (en) | Hearing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 |
KR101576400B1 (en) | Total in-building system using fiber to the home and method for embodying total in-building system | |
RU124468U1 (en) | WIRED BROADCAST CONVERTER | |
CN106571983A (en) | Composite video stream synchronization signal detection and extraction apparatus | |
JP2020198582A (en) | Frequency expansion dispersion antenna system and frequency expansion method | |
KR101140524B1 (en) | Hfc net managing system | |
CN106487616A (en) | Update standby interface method and Wireless Telecom Equipment that application icon is locate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503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050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8050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4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101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11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11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0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