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181776B1 - 범용 디바이스에서의 파일 송/수신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범용 디바이스에서의 파일 송/수신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1776B1
KR102181776B1 KR1020130062611A KR20130062611A KR102181776B1 KR 102181776 B1 KR102181776 B1 KR 102181776B1 KR 1020130062611 A KR1020130062611 A KR 1020130062611A KR 20130062611 A KR20130062611 A KR 20130062611A KR 102181776 B1 KR102181776 B1 KR 1021817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e
files
purpose device
information
gener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2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6918A (ko
Inventor
한세희
김준형
이종효
이주열
이지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JP2015515948A priority Critical patent/JP6208225B2/ja
Priority to US13/910,735 priority patent/US10331637B2/en
Priority to PCT/KR2013/004978 priority patent/WO2013183944A1/en
Priority to EP13800013.8A priority patent/EP2856736B1/en
Priority to CN201380029457.9A priority patent/CN104350721B/zh
Publication of KR201301369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69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17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177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2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10File systems; File servers
    • G06F16/11File system administration, e.g. details of archiving or snapsho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40Network security protoc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범용 디바이스에서 특정 콘텐트에 대응하여 소정의 컨테이너 구조를 기반으로 기록된 파일들을 상대 범용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이를 수신한 상대 범용 디바이스가 해당 파일들을 지정된 위치에 기록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기록된 파일들 중 일부 또는 전부에 해당하는 파일들을 순차적으로 읽고, 상기 순차적으로 읽은 파일을 기록할 디렉터리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적어도 포함하는 헤더를 구성하며, 상기 순차적으로 읽은 파일에 상기 구성한 헤더를 부가하여 상기 상대 범용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상기 상대 범용 디바이스는 특정 콘텐트에 대응한 파일들 중 일부 또는 전부에 해당하는 파일들을 순차적으로 수신하고, 메타데이터 파일을 통해 수신한 일부 제어 정보와 상기 순차적으로 수신한 파일 각각의 헤더에 포함된 제어 정보를 기반으로 소정의 컨테이너 구조에 의해 배치된 디렉터리들 중 하나의 디렉터리에 상기 수신한 파일들을 기록한다.

Description

범용 디바이스에서의 파일 송/수신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CEIVING IN A GENERAL PURPOSE DEIVICE}
본 발명은 범용 디바이스에서의 파일 송/수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파일 컨테이너 구조가 유지되도록 파일을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범용 디바이스는 특정 목적을 위해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일반적인 목적에서 다른 디바이스와의 연동이 자유로운 디바이스를 의미한다. 이러한 범용 디바이스는 다른 범용 디바이스와의 파일 공유를 위한 송/수신이 자유롭다.
한편 범용 디바이스에는 트리 형태 등의 컨테이너 구조를 기반으로 파일이 기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특히 범용 디바이스에서 운용되는 콘텐트가 다양화됨에 따라, 내부에서 파일을 기록하는 컨테이너 구조의 중요도가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범용 디바이스 간의 파일 전송 시, 수신측 범용 디바이스가 수신한 파일을 정확한 컨테이너 구조에 의해 기록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도 1은 일반적으로 파일을 기록하는 컨테이너 구조의 일 예를 보이고 있다.
도 1에서 보이고 있는 컨테이너 구조는 루트 디렉터리 (/)(110)와, 상기 루트 디렉터리(110)의 하위 디렉터리로 디렉터리 A(112), 디렉터리 B(114) 및 디렉터리 C(116)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디렉터리 A(112)는 루트 디렉터리(110)를 모 디렉터리로 하는 자 디렉터리이고, 디렉터리 B(114)는 디렉터리 A(112)를 모 디렉터리로 하는 자 디렉터리이며, 디렉터리 C(116)는 디렉터리 B(112)를 모 디렉터리로 하는 자 디렉터리이다.
도 1에서는 하나의 모 디렉터리에 하나의 자 디렉터리가 결합된 구조를 보이고 있으나 하나의 모 디렉터리에 복수의 자 디렉터리들이 결합된 형태로 컨테이너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루트 디렉터리(110)에는 파일 1(120)이 기록되고, 디렉터리 A(112)에는 파일 2(122)가 기록되며, 디렉터리 B(114)에는 파일 3(124)이 기록되었다.
만약 범용 디바이스가 도 1에서 보이고 있는 컨테이너 구조에 의해 저장된 파일을 다른 범용 디바이스로 전달하기 위해서는, 송신측 범용 디바이스에서 수신측 디바이스로 컨테이너 구조에 관한 정보와 상기 컨테이너 구조에서의 디렉터리 별로 저장할 파일에 관한 데이터가 모두 제공되어야 한다.
이 경우 수신측 범용 디바이스는 송신측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컨테이너 구조에 관한 정보를 기반으로 파일을 기록할 컨테이너를 구성하고, 수신한 파일에 관한 데이터를 상기 구성한 컨테이너 구조에서 해당 디렉터리에 기록한다. 이로써 수신측 범용 디바이스는 송신측 디바이스와 동일한 컨테이너 구조에 의해 기록된 파일을 가질 수 있다.
도 2는 종래 범용 디바이스 간의 파일 전송을 위한 신호 처리 절차의 일 예를 보이고 있다. 도 2에서 보이고 있는 신호 처리 절차는 도 1에서 보이고 있는 컨테이너 구조에 의해 기록된 파일을 전달하는 것을 가정하고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송신 범용 디바이스 (SENDER)(10)는 각 디렉터리에 기록된 파일을 수신 범용 디바이스 (RECEIVER)(20)로 전송한다 (참조번호 210, 220, 230). 상기 송신 범용 디바이스 (SENDER)(10)는 각 파일을 전송한 후 전송된 해당 파일을 기록할 디렉터리의 생성을 명시적으로 제어하는 정보를 수신 범용 디바이스 (RECEIVER)(20)로 전송 (참조번호 212, 222, 232)하고, 전송 파일을 기록할 디렉터리로의 이동을 명시적으로 제어하는 정보를 수신 범용 디바이스 (RECEIVER)(20)로 전송 (참조번호 214, 224, 234)한다.
즉 송신 범용 디바이스 (SENDER)(10)는 하나의 파일을 전송할 때마다 생성할 디렉터리 및 이동할 디렉터리에 관한 제어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신호 처리 절차가 요구된다.
예컨대 송신 범용 디바이스 (SENDER)(10)는 파일 1(120), 파일 2(122) 및 파일 3(124)을 순차적으로 전송한다.
첫 번째로 송신 범용 디바이스 (SENDER)(10)는 파일 1(120)을 전송 (210단계)하고, 상기 파일 1(120)을 기록할 루트 디렉터리 (/)(110)를 생성 (mkdir /)할 것을 제어 (212단계)하며, 상기 파일 1(120)을 기록할 루트 디렉터리 (/)(110)로의 이동 (chdir /)을 제어 (214단계)한다.
이 경우 수신 범용 디바이스 (RECEIVER)(20)는 파일 1(120)을 수신 (210단계)하고, 상기 수신한 파일 1(120)을 기록할 루트 디렉터리 (/)(110)를 생성 (212단계)하며, 상기 루트 디렉터리 (/)(110)로 이동하여 상기 수신한 파일 1(120)을 기록 (214단계)한다.
두 번째로 상기 송신 범용 디바이스 (SENDER)(10)는 파일 2(122)를 전송 (220단계)하고, 상기 파일 2(122)를 기록할 디렉터리 A(112)를 생성 (mkdir A)할 것을 제어 (222단계)하며, 상기 파일 2(122)를 기록할 디렉터리 A(112)로의 이동 (chdir A)을 제어 (224단계)한다.
이 경우 수신 범용 디바이스 (RECEIVER)(20)는 파일 2(122)를 수신 (220단계)하고, 상기 수신한 파일 2(122)을 기록할 디렉터리 A(112)를 생성 (222단계)하며, 상기 디렉터리 A(112)로 이동하여 상기 수신한 파일 2(122)를 기록 (224단계)한다.
세 번째로 상기 송신 범용 디바이스 (SENDER)(10)는 파일 3(124)을 전송 (230단계)하고, 상기 파일 3(124)을 기록할 디렉터리 B(114)를 생성 (mkdir B)할 것을 제어 (232단계)하며, 상기 파일 3(124)을 기록할 디렉터리 B(114)로의 이동 (chdir B)을 제어 (234단계)한다.
이 경우 수신 범용 디바이스 (RECEIVER)(20)는 파일 3(124)을 수신 (230단계)하고, 상기 수신한 파일 3(124)을 기록할 디렉터리 B(114)를 생성 (232단계)하며, 상기 디렉터리 B(114)로 이동하여 상기 수신한 파일 3(124)을 기록 (234단계)한다.
도 2에서 보이고 있는 절차에 의해 파일을 송/수신하는 대표적인 예로는 ‘IETF RFC 765 표준’인 ‘FTP (File Transfer Protocol)’가 있다.
하지만 도 2에 의해 파일을 송/수신할 경우에는 컨테이너 구조가 복잡해질수록, 송신측에서 수신측으로 제공하여야 할 제어 정보가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도 3은 종래 범용 디바이스 간의 파일 전송을 위한 신호 처리 절차의 다른 예를 보이고 있다. 도 3에서 보이고 있는 신호 처리 절차 또한 도 1에서 보이고 있는 컨테이너 구조에 의해 기록된 파일을 전달하는 것을 가정하고 있다.
도 3에서 보이고 있는 예는 송신측에서 전달할 콘텐트를 획득할 수 있는 위치 정보 (일 예로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및 컨테이너 구조에 관한 정보를 미리 수신측으로 제공하고, 상기 수신측에서 미리 제공받은 정보를 이용하여 수신한 파일을 복제한 컨테이너 구조에 의해 기록하기 위한 절차를 보이고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송신 범용 디바이스 (SENDER)(10)는 송신할 콘텐트 및 컨테이너 구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메타데이터 파일 (metadata file)을 구성하고, 상기 구성한 메타데이터 파일을 수신 범용 디바이스 (RECEIVER)(20)로 전송한다 (310단계).
예컨대 상기 메타데이터 파일은 전달할 콘텐트에 상응한 적어도 하나의 파일이 기록되어 있는 위치 정보 (일 예로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및 컨테이너 구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수신 범용 디바이스 (RECEIVER)(20)는 상기 송신 범용 디바이스 (SENDER)(10)로부터 수신한 메타데이터 파일로부터 전달 받을 세 개의 파일들, 즉 파일 1(120), 파일 2(122), 파일 3(124) 각각에 대응한 위치 정보와, 기록할 컨테이너 구조에 관한 정보를 획득한다.
첫 번째로 상기 수신 범용 디바이스 (RECEIVER)(20)는 획득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파일 1(120)을 읽어와서 컨테이너 구조에 관한 정보를 기반으로 루트 디렉터리 (/)(110)에 기록한다 (312단계).
두 번째로 상기 수신 범용 디바이스 (RECEIVER)(20)는 획득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파일 2(122)를 읽어와서 컨테이너 구조에 관한 정보를 기반으로 디렉터리 A(112)에 기록한다 (314단계).
세 번째로 상기 수신 범용 디바이스 (RECEIVER)(20)는 획득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파일 3(124)을 읽어와서 컨테이너 구조에 관한 정보를 기반으로 디렉터리 B(114)에 기록한다 (316단계).
한편 도 3에서는 수신 범용 디바이스 (RECEIVER)(20)가 파일을 송신 범용 디바이스 (SENDER)(10)로부터 읽어오는 것을 전제로 하여 구현되고 있으나, 수신 범용 디바이스 (RECEIVER)(20)가 송신 범용 디바이스 (SENDER)(10)가 아닌 다른 범용 디바이스로부터 원하는 파일을 읽어오도록 구현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그 외에 수신측에서의 구현에 따라 송신측에서 전송한 컨테이너 구조에 관한 정보를 무시하고, 수신 범용 디바이스 (RECEIVER)(20)가 임의로 컨테이너 구조에 의해 수신한 파일을 기록할 수도 있다.
도 3에서 보이고 있는 절차에서는 실제로 파일이 전송되기 전에 어떤 컨테이너 구조에 의해 파일이 전송될 지를 수신 범용 디바이스 (RECEIVER)(20)가 미리 알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실제 파일 전송이 시작되기 전에 이를 확인하고 전송 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한다.
하지만 도 3에 의해 제안된 방식도 송신할 콘텐트의 컨테이너 구조가 복잡하거나 콘텐트의 개수가 많을 경우에 송신 범용 디바이스 (SENDER)(10)의 처리 능력에 따른 콘텐트, 컨테이너 구조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이는 파일 전송이 요청된 후 실제로 파일 전송이 이루어질 때까지 불필요한 시간 지연이 발생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범용 디바이스 간에 파일 송/수신에 따른 제어 절차를 단축시키기 위한 파일 송/수신장치 및 방법을 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범용 디바이스 간에 파일 송/수신에 따른 소요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한 파일 송/수신장치 및 방법을 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범용 디바이스 간 파일 송/수신 시에 송신측에서 전송할 콘텐트의 파일 컨테이너 구조가 수신측에서도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파일 송/수신장치 및 방법을 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송신 범용 디바이스에서 특정 콘텐트를 위한 전송 파일의 헤더 정보에 해당 파일을 기록한 위치 정보를 포함시켜 전송하는 장치 및 방법을 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수신 범용 디바이스에서 특정 콘텐트를 위해 수신한 파일의 헤더로부터 획득한 위치 정보에 의해 해당 파일을 기록하는 장치 및 방법을 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송신 범용 디바이스에서 특정 콘텐트를 위해 전송한 파일들을 약속된 컨테이너 구조에 의해 수신 범용 디바이스가 기록할 수 있도록 하는 일부 제어 정보를 메타데이터 파일을 이용하여 분산 전달하는 장치 및 방법을 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범용 디바이스 간에 전송되는 파일이 소정의 컨테이너 구조에 의해 배열된 디렉터리 별로 저장시키기 위한 제어 정보를 메타데이터 파일과 전송되는 파일의 헤더에 분산하여 전송하는 장치 및 방법을 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범용 디바이스 간에 전송되는 파일이 소정의 컨테이너 구조에 의해 배열된 디렉터리 별로 저장시키기 위한 제어 정보 중 일부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메타데이터 파일의 전달하기 위한 신호 처리 절차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디바이스에서 소정의 디렉터리 구조에 기록된 파일들을 제2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방법은, 상기 기록된 파일들 중 전송할 복수의 파일들을 인지 (identifying)하는 과정; 복수의 자원 URL (uniform resource locator)들을 포함하는 정보를 지시하는 제1 URL 및 상기 소정의 디렉터리 구조에 관한 공통 정보를 포함하는 메타데이터 파일을 생성하는 과정, 여기서 상기 복수의 자원 URL들은 상기 복수의 파일들 각각을 획득하기 위한 복수의 주소들을 지시함; 상기 메타데이터 파일을 상기 제2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과정; 타겟 파일 및 상기 타겟 파일의 헤더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구성하는 과정, 여기서 상기 타겟 파일은 상기 복수의 파일들 중 하나이고, 상기 헤더는 상기 타겟 파일의 기록 위치에 관한 개별 정보를 포함함; 및 상기 메시지를 상기 제2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공통 정보는 상기 복수의 파일들을 수신 및 저장하기 위해 요구되는 공통적인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디바이스에서 파일들을 제2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장치는, 송수신부; 소정의 컨테이너 구조에 따라 파일들을 저장하는 기록부; 및 상기 송수신부 및 상기 기록부에 연결되고, 상기 기록된 파일들 중 전송할 복수의 파일들을 인지하고, 복수의 자원 URL (uniform resource locator)들을 포함하는 정보를 지시하는 제1 URL 및 상기 소정의 디렉터리 구조에 관한 공통 정보를 포함하는 메타데이터 파일을 생성하고, 여기서 상기 복수의 자원 URL들은 상기 복수의 파일들 각각을 획득하기 위한 복수의 주소들을 지시함, 상기 메타 데이터 파일을 상기 제2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고, 타겟 파일 및 상기 타겟 파일의 헤더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구성하며, 여기서 상기 타겟 파일은 상기 복수의 파일들 중 하나이고, 상기 헤더는 상기 타겟 파일의 기록 위치에 관한 개별 정보를 포함함, 상기 메시지를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는 메시지 생성부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공통 정보는 상기 복수의 파일들을 수신 및 저장하기 위해 요구되는 공통적인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2디바이스에서 복수의 파일들을 기록하는 방법은, 복수의 자원 URL (uniform resource locator)들을 포함하는 정보를 지시하는 제1 URL 및 소정의 디렉터리 구조에 관한 공통 정보를 포함하는 메타데이터 파일을 수신하는 과정, 여기서, 상기 복수의 자원 URL들은 상기 복수의 파일들 각각을 획득하기 위한 복수의 주소들을 지시함; 상기 공통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디렉터리 구조에 따른 디렉터리들을 구성하는 과정; 상기 복수의 제2 URL들을 기반으로 타겟 파일 및 상기 타겟 파일의 헤더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 여기서 상기 타겟 파일은 상기 복수의 파일들 중 하나이고, 상기 헤더는 상기 타겟 파일의 기록 위치에 관한 개별 정보를 포함함; 상기 개별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디렉터리 구조에서 상기 타겟 파일의 기록 위치를 결정하는 과정; 상기 기록 위치에 상기 타겟 파일을 기록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공통 정보는 상기 복수의 파일들을 수신 및 저장하기 위해 요구되는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2디바이스에서 복수의 파일들을 기록하는 장치는, 송수신부; 기록부 및 상기 송수신부 및 상기 기록부에 연결되고, 복수의 자원 URL (uniform resource locator)들을 포함하는 정보를 지시하는 제1 URL 및 소정의 디렉터리 구조에 관한 공통 정보를 포함하는 메타데이터 파일을 수신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고,여기서, 상기 복수의 자원 URL들은 상기 복수의 파일들 각각을 획득하기 위한 복수의 주소들을 지시함, 상기 공통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디렉터리 구조에 따른 디렉터리들을 구성하고, 상기 복수의 제2 URL들을 기반으로 타겟 파일 및 상기 타겟 파일의 헤더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고, 여기서 상기 타겟 파일은 상기 복수의 파일들 중 하나이고, 상기 헤더는 상기 타겟 파일의 기록 위치에 관한 개별 정보를 포함함, 상기 개별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디렉터리 구조에서 상기 타겟 파일의 기록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기록위치에 상기 타겟 파일을 기록하는 메시지 처리부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공통 정보는 상기 복수의 파일들을 수신 및 저장하기 위해 요구되는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도 1은 일반적으로 파일을 기록하는 컨테이너 구조의 일 예를 보이고 있는 도면;
도 2는 종래 범용 디바이스 간의 파일 전송을 위한 신호 처리 절차의 일 예를 보이고 있는 도면;
도 3은 종래 범용 디바이스 간의 파일 전송을 위한 신호 처리 절차의 다른 예를 보이고 있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범용 디바이스 간의 파일 전송을 위한 신호 처리 절차의 일 예를 보이고 있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범용 디바이스 간의 파일 전송을 위한 신호 처리 절차의 일 예를 보이고 있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범용 디바이스 간의 파일 전송을 위한 신호 처리 절차의 다른 예를 보이고 있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범용 디바이스 간에 컨테이너 구조 정보를 전송하는 일 실시 예를 보이고 있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범용 디바이스 간에 컨테이너 구조 정보를 전송하는 다른 실시 예를 보이고 있는 도면;
도 9는 도 8에서 제안하는 메타데이터 파일의 전달을 위한 구체적인 신호 처리 절차의 일 예를 보이고 있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범용 디바이스 간에 컨테이너 구조 정보를 전송하는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이고 있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송신 범용 디바이스에서 파일을 송신하기 위한 송신장치의 구성을 보이고 있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송신 범용 디바이스에서 파일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장치의 구성을 보이고 있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범용 디바이스에서 파일을 송/수신하기 위해 수행하는 제어 흐름을 보이고 있는 도면.
이하 상세한 설명에서는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대표적인 실시 예에 대해 개시할 것이다. 이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정의하고 있는 개체들의 명칭들은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용된 명칭들이 권리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유사한 기술적 배경을 가지는 시스템에 대해 동일 또는 용이한 변경에 의해 적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뿐만 아니라 하기에서의 상세한 설명에 있어 공지된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제안하는 기술적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후술될 상세한 설명에서는 송신 범용 디바이스에서 콘텐트에 따른 컨테이너 구조에 의해 기록되고 있는 파일들을 수신 범용 디바이스에게 전달하기 위한 실시 예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개시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송신 범용 디바이스와 수신 범용 디바이스 간 콘텐트 송/수신에 따른 바람직한 절차를 새로이 정의할 것이다. 이때 새로이 정의되는 절차에서는 송신 범용 디바이스가 수신 범용 디바이스로 콘텐트 송/수신에 따른 제어 정보를 간소화된 단계와 시간 손실이 발생하지 않도록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다양한 구현 예들을 제안한다.
예컨대 콘텐트에 따른 파일들 각각에 해당 파일이 위치할 컨테이너 구조에 관한 정보를 포함시켜 전송하고, 필요에 따라 일부 제어 정보를 실제 콘텐트에 따른 파일 전송이 이루어지기 전에 메타데이터 파일을 이용하여 미리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서는 메타데이터 파일을 통해 전달할 제어 정보에 대한 정의뿐만 아니라 메타데이터 파일을 전달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 또한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후술될 상세한 설명에서는 편의를 위해 범용 디바이스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으나, 제안된 다양한 실시 예들은 통신 매체에 한정되지 않고 파일 전송이 가능한 어떠한 디바이스라도 동일하게 적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범용 디바이스 간의 파일 전송을 위한 신호 처리 절차의 일 예를 보이고 있다. 도 4에서 보이고 있는 신호 처리 절차는 도 1에서 보이고 있는 컨테이너 구조에 의해 기록된 파일을 전달하는 것을 가정하고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송신 범용 디바이스 (SENDER)(10)는 각 디렉터리에 기록된 파일을 수신 범용 디바이스 (RECEIVER)(20)로 전송한다 (참조번호 410, 420, 430, 440). 상기 송신 범용 디바이스 (SENDER)(10)는 전송되는 파일 각각에 해당 파일을 기록할 위치 정보를 포함시켜 전송한다. 일 예로 상기 해당 파일을 기록할 위치 정보는 해당 파일의 헤더에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송신 범용 디바이스 (SENDER)(10)는 파일 1(120), 파일 2(122) 및 파일 3(124)을 순차적으로 전송한다.
상기 송신 범용 디바이스 (SENDER)(10)는 파일 1(120)을 전송할 시, 상기 파일 1(120)을 기록할 위치 정보로 루트 디렉터리 (/)(110)를 가리키는 정보를 헤더에 포함시켜 전송한다. 이 경우 수신 범용 디바이스 (RECEIVER)(20)는 파일 1(120)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파일 1(120)의 헤더에 포함된 위치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수신한 파일 1(120)을 루트 디렉터리 (/)(110)에 기록한다.
상기 송신 범용 디바이스 (SENDER)(10)는 파일 2(122)를 전송할 시, 상기 파일 2(122)를 기록할 위치 정보로 디렉터리 A(112)를 가리키는 정보를 헤더에 포함시켜 전송한다. 이 경우 수신 범용 디바이스 (RECEIVER)(20)는 파일 2(122)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파일 2(122)의 헤더에 포함된 위치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수신한 파일 2(122)를 디렉터리 A(112)에 기록한다.
일 예로 상기 위치 정보로 기록된 디렉터리 A(112)를 가리키는 정보는 디렉터리 A만을 지칭하는 정보로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그 상위 디렉터리에 관한 정보도 함께 포함될 수 있다. 즉 파일 1(120)의 헤더 정보에 포함된 위치 정보는 디렉터리 A(112)가 루트 디렉터리 (/)(110)를 모 디렉터리로 하는 자 디렉터리임을 지칭하는 정보가 될 수 있다.
상기 송신 범용 디바이스 (SENDER)(10)는 파일 3(124)을 전송할 시, 상기 파일 3(122)을 기록할 위치 정보로 디렉터리 B(114)를 가리키는 정보를 헤더에 포함시켜 전송한다. 이 경우 수신 범용 디바이스 (RECEIVER)(20)는 파일 3(124)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파일 3(124)의 헤더에 포함된 위치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수신한 파일 3(124)을 디렉터리 B(114)에 기록한다.
일 예로 상기 위치 정보로 기록된 디렉터리 B(114)를 가리키는 정보는 디렉터리 B만을 지칭하는 정보로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그 상위 디렉터리에 관한 정보도 함께 포함될 수 있다. 즉 파일 2(122)의 헤더 정보에 포함된 위치 정보는 디렉터리 B(114)가 루트 디렉터리 (/)(110)의 자 디렉터리인 디렉터리 A(112)를 모 디렉터리로 하는 자 디렉터리임을 지칭하는 정보가 될 수 있다.
상술한 도 4에 따르면, 콘텐트에 따른 파일 송신 시에 각 파일마다 해당 파일이 포함하는 콘텐트 데이터가 기록될 컨테이너 구조 정보를 포함하도록 한다. 일 예로 HTTP POST 메시지의 헤더에 추가 정보를 정의하여 콘텐트의 상대 경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도록 한다.
일 예로 전송되는 파일의 기록을 위해 헤더에는 호스트 정보 (Host), 콘텐트 길이 정보 (Content-Length), 콘텐트 종류 정보 (Content-Type), 해당 파일의 위치 정보 (SENDER_LocationURL), 해당 파일 종류 정보 (Object_Type) 등의 추가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수신측에서 해당 파일을 저장할 때, 관련된 상대 경로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파일을 적당한 위치에 저장함으로써, 송신측에서의 컨테이너 구조 정보를 수신측에서도 그대로 유지되도록 한다.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서 메타데이터 파일을 이용하여 컨테이너 구조 정보를 전송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범용 디바이스가 파일을 전송하기 위해 실제로 수행하는 절차를 고려할 때, 컨테이너 구조 정보의 전송에 대해 정의할 필요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범용 디바이스 간의 파일 전송을 위한 신호 처리 절차의 일 예를 보이고 있다. 도 5에서 보이고 있는 일 예는 메타데이터 파일을 통해 미리 보내는 제어 정보를 최소화하고, 콘텐트에 따른 파일 송부 시에 나머지 제어 정보를 보내는 혼합 (hybrid) 전송 방식에 따른 것이다. 그리고 도 5에서의 신호 처리 절차는 도 1에서 보이고 있는 컨테이너 구조에 의해 기록된 파일을 전달하는 것을 가정하고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송신 범용 디바이스 (SENDER)(10)는 콘텐트에 따른 파일들을 수신하기 위한 최소의 제어 정보를 포함하도록 메타데이터 파일을 구성하고, 상기 구성한 메타데이터 파일을 수신 범용 디바이스 (RECEIVER)(20)로 전송한다 (510단계).
일 예로 상기 메타데이터에 포함되는 최소의 제어 정보는 콘텐트에 따른 파일들을 수신하기 위해 공통으로 요구되는 제어 정보가 될 수 있다. 즉 전송할 전체 파일 수 (TotalFileNumber), 전체 파일 크기 (TotalSizeMB), 대표 파일 이름 (RepresentativeFileName), 파일 리스트 기록 위치 (ListofFilesURL) 등에 의해 메타데이터 파일이 구성할 수 있다. 예시된 바와 같이 메타데이터 파일은 콘텐트에 따라 전송될 전체 파일들에 공통으로 적용될 제어 정보로 구성됨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메타데이터 파일을 전송한 송신 범용 디바이스 (SENDER)(10)는 각 디렉터리에 기록된 파일을 수신 범용 디바이스 (RECEIVER)(20)로 전송한다 (참조번호 512, 514, 516, 518). 상기 송신 범용 디바이스 (SENDER)(10)에 의해 전송되는 각 파일의 헤더는 해당 파일을 기록할 위치 정보를 포함한다.
예컨대 송신 범용 디바이스 (SENDER)(10)는 파일 1(120), 파일 2(122) 및 파일 3(124)을 순차적으로 전송한다.
상기 송신 범용 디바이스 (SENDER)(10)는 파일 1(120)을 전송할 시, 상기 파일 1(120)을 기록할 위치 정보로 루트 디렉터리 (/)(110)를 가리키는 정보를 헤더에 포함시켜 전송한다 (512단계). 이 경우 수신 범용 디바이스 (RECEIVER)(20)는 파일 1(120)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파일 1(120)의 헤더에 포함된 위치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수신한 파일 1(120)을 루트 디렉터리 (/)(110)에 기록한다.
상기 송신 범용 디바이스 (SENDER)(10)는 파일 2(122)를 전송할 시, 상기 파일 2(122)를 기록할 위치 정보로 디렉터리 A(112)를 가리키는 정보를 헤더에 포함시켜 전송한다 (514단계). 이 경우 수신 범용 디바이스 (RECEIVER)(20)는 파일 2(122)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파일 2(122)의 헤더에 포함된 위치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수신한 파일 2(122)를 디렉터리 A(112)에 기록한다.
일 예로 상기 위치 정보로 기록된 디렉터리 A(112)를 가리키는 정보는 디렉터리 A만을 지칭하는 정보로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그 상위 디렉터리에 관한 정보도 함께 포함될 수 있다. 즉 파일 1(120)의 헤더 정보에 포함된 위치 정보는 디렉터리 A(112)가 루트 디렉터리 (/)(110)를 모 디렉터리로 하는 자 디렉터리임을 지칭하는 정보가 될 수 있다.
상기 송신 범용 디바이스 (SENDER)(10)는 파일 3(124)을 전송할 시, 상기 파일 3(122)을 기록할 위치 정보로 디렉터리 B(114)를 가리키는 정보를 헤더에 포함시켜 전송한다 (516단계). 이 경우 수신 범용 디바이스 (RECEIVER)(20)는 파일 3(124)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파일 3(124)의 헤더에 포함된 위치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수신한 파일 3(124)을 디렉터리 B(114)에 기록한다.
일 예로 상기 위치 정보로 기록된 디렉터리 B(114)를 가리키는 정보는 디렉터리 B만을 지칭하는 정보로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그 상위 디렉터리에 관한 정보도 함께 포함될 수 있다. 즉 파일 2(122)의 헤더 정보에 포함된 위치 정보는 디렉터리 B(114)가 루트 디렉터리 (/)(110)의 자 디렉터리인 디렉터리 A(112)를 모 디렉터리로 하는 자 디렉터리임을 지칭하는 정보가 될 수 있다.
상술한 도 5에 따르면, 콘텐트에 따른 파일 송신 시에 각 파일마다 해당 파일이 포함하는 콘텐트 데이터가 기록될 컨테이너 구조 정보를 포함하도록 한다. 일 예로 전송되는 파일의 기록을 위해 헤더에는 호스트 정보 (Host), 콘텐트 길이 정보 (Content-Length), 콘텐트 종류 정보 (Content-Type), 해당 파일의 위치 정보 (SENDER_LocationURL), 해당 파일 종류 정보 (Object_Type) 등의 추가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상술한 도 5에서는 송신측에서 전송될 파일들의 리스트를 획득할 수 있는 위치 정보, 즉 URL을 포함하도록 구성된 메타데이터 파일을 전송함으로써, 수신측이 추가적인 파일 리스트 정보가 필요한 경우에 해당 URL을 이용하여 전체 파일 리스트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범용 디바이스 간의 파일 전송을 위한 신호 처리 절차의 다른 예를 보이고 있다.
도 6에서 보이고 있는 다른 예는 메타데이터 파일을 통해 미리 보내는 제어 정보를 최소화하고, 콘텐트에 따른 파일 송부 시에 나머지 제어 정보를 보내는 혼합 (hybrid) 전송 방식에 따른 것이다. 따라서 도 6에서의 610단계 내지 616단계는 도 5에서의 510단계 내지 516단계와 동일한 절차에 해당한다.
하지만 도 6에서는 도 5에서 보이고 있는 절차와는 달리 초기 메타데이터 파일에 의해 전송된 제어 정보를 갱신하기 위한 추가 메타데이터 파일을 전송하는 절차를 추가로 구비한다.
즉 도 6에서 송신 범용 디바이스 (SENDER)(10)는 갱신 메타데이터 파일 (update metadata file)을 수신 범용 디바이스 (RECEIVER)(20)로 전송한다 (620단계). 이때 전송되는 갱신 메타데이터 파일 (update metadata file)을 구성하는 제어 정보의 종류는 앞서 초기 전송된 메타데이터 파일을 구성하는 제어 정보의 종류와 동일할 수 있다. 하지만 갱신 메타데이터 파일 (update metadata file)을 구성하는 제어 정보의 종류 중 적어도 하나는 초기 전송된 메타데이터 파일을 구성하는 제어 정보와는 상이한 값을 가질 것이다.
그 후 상기 송신 범용 디바이스 (SENDER)(10)에 의해 전송되는 파일들, 즉 파일 4와 파일 5는 갱신 메타데이터 파일을 구성하는 제어 정보에 의해 송신 및 수신될 것이다 (622단계, 624단계).
예컨대 수신 범용 디바이스 (RECEIVER)(20)는 송신 범용 디바이스 (SENDER)(10)에 의해 순차적으로 전송되는 파일 1(120), 파일 2(122) 및 파일 3(124)을 초기 전송된 메타데이터 파일을 구성하는 제어 정보와 각 파일의 헤더에 포함된 제어 정보에 의해 수신하여 정의된 컨테이너 구조에 따라 기록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수신 범용 디바이스 (RECEIVER)(20)는 상기 송신 범용 디바이스 (SENDER)(10)에 의해 순차적으로 전송되는 파일 4와 파일 5를 갱신 메타데이터 파일을 구성하는 제어 정보와 각 파일의 헤더에 포함된 제어 정보에 의해 수신하여 정의된 컨테이너 구조에 따라 기록될 것이다.
예컨대 갱신 메타데이터 파일을 구성하는 제어 정보를 이용할 파일 4와 파일 5에 대해 설명하면, 송신 범용 디바이스 (SENDER)(10)는 파일 4와 5를 전송할 시, 상기 파일 4와 5를 기록할 위치 정보로 디렉터리 C(116)를 가리키는 정보를 헤더에 포함시켜 전송한다 (622단계, 624단계). 이 경우 수신 범용 디바이스 (RECEIVER)(20)는 파일 4와 5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파일 4와 5의 헤더에 포함된 위치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수신한 파일 4와 5를 디렉터리 C(116)에 기록한다.
일 예로 상기 위치 정보로 기록된 디렉터리 C(116)를 가리키는 정보는 디렉터리 C만을 지칭하는 정보로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그 상위 디렉터리에 관한 정보도 함께 포함될 수 있다. 즉 파일 4와 5의 헤더 정보에 포함된 위치 정보는 디렉터리 C(116)가 디렉터리 B(114)를 모 디렉터리로 하는 자 디렉터리이고, 상기 디렉터리 B(114)가 디렉터리 A(112)를 모 디렉터리로 하는 자 디렉터리이며, 상기 디렉터리 A(112)가 루트 디렉터리 (/)(110)를 모 디렉터리로 하는 자 디렉터리임을 지칭하는 정보가 될 수 있다.
상술한 도 6에 따르면, 콘텐트에 따른 파일 송신 시에 각 파일마다 해당 파일이 포함하는 콘텐트 데이터가 기록될 컨테이너 구조 정보를 포함하도록 한다. 일 예로 전송되는 파일의 기록을 위해 헤더에는 호스트 정보 (Host), 콘텐트 길이 정보 (Content-Length), 콘텐트 종류 정보 (Content-Type), 해당 파일의 위치 정보 (SENDER_LocationURL), 해당 파일 종류 정보 (Object_Type) 등의 추가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 예에서 최초 전송된 초기 메타데이터 파일과 추가로 전송된 갱신 메타데이터 파일은 공통적으로 전체 전달될 파일의 개수, 전달될 파일의 크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파일 리스트의 일부를 표현하기 위해 전체 파일 중에 메타데이터 파일에 포함된 파일 리스트의 인덱스 및 개수와, 각 파일의 이름 및 크기 정보 등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이때 포함되는 정보에 각 파일을 획득할 수 있는 리소스 URL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수신 범용 디바이스 (RECEIVER)(20)에서 HTTP GET 방식을 이용하여 콘텐트를 획득하는 형태로 범용 디바이스들 간의 파일 전송이 수행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서 메타데이터 파일을 이용하여 컨테이너 구조 정보를 전송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범용 디바이스가 파일을 전송하기 위해 실제로 수행하는 절차를 고려할 때, 컨테이너 구조 정보의 전송 방안에 대해 정의할 필요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컨테이너 구조 정보를 전송하는 실시 예들에 대해 정의하고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범용 디바이스 간에 컨테이너 구조 정보를 전송하는 일 실시 예를 보이고 있다. 도 7에서는 그룹 형성 (group formation) 전에 컨테이너 구조 정보를 전달하는 예를 제안하고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송신 범용 디바이스 (SENDER)(10)와 수신 범용 디바이스 (RECEIVER)(20)는 주변 범용 디바이스를 탐색하기 위한 프로브 요청 메시지 (PRPBE REQUEST MESSAGE)를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전송한다 (710단계, 712단계).
상기 송신 범용 디바이스 (SENDER)(10)에 의해 전송된 프로브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수신 범용 디바이스 (RECEIVER)(20)는 프로브 응답 메시지를 상기 송신 범용 디바이스 (SENDER)(10)로 전송한다 (714단계). 상기 송신 범용 디바이스 (SENDER)(10)는 상기 수신 범용 디바이스 (RECEIVER)(20)에 의해 전송된 프로브 응답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상기 수신 범용 디바이스 (RECEIVER)(20)를 인지하게 된다.
상기 수신 범용 디바이스 (RECEIVER)(20)에 의해 전송된 프로브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송신 범용 디바이스 (SENDER)(10)는 프로브 응답 메시지를 상기 수신 범용 디바이스 (RECEIVER)(20)로 전송한다 (716단계). 상기 수신 범용 디바이스 (RECEIVER)(20)는 상기 송신 범용 디바이스 (SENDER)(10)에 의해 전송된 프로브 응답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상기 송신 범용 디바이스 (SENDER)(10)를 인지하게 된다.
상술한 동작에 의해 상기 송신 범용 디바이스 (SENDER)(10)와 상기 수신 범용 디바이스 (RECEIVER)(20)는 상호 간의 존재를 인지하게 된다.
상기 서로를 인지한 상기 송신 범용 디바이스 (SENDER)(10)와 상기 수신 범용 디바이스 (RECEIVER)(20)는 서로의 서비스 정보를 교환하는 서비스 발견 교환 (SERVICE DISCOVERY EXCHANGE) 절차를 수행한다 (718단계). 예컨대 상기 서비스 발견 교환 (SERVICE DISCOVERY EXCHANGE) 절차는 상기 송신 범용 디바이스 (SENDER)(10)가 자신이 제공할 서비스를 상기 수신 범용 디바이스 (RECEIVER)(20)가 제공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동작에 해당한다. 일 예로 상기 서비스 발견 교환 (SERVICE DISCOVERY EXCHANGE) 절차는 상기 송신 범용 디바이스 (SENDER)(10)의 쿼리에 대응하여 상기 수신 범용 디바이스 (RECEIVER)(20)가 응답하는 것에 의해 수행된다.
그 후 상기 송신 범용 디바이스 (SENDER)(10)와 상기 수신 범용 디바이스 (RECEIVER)(20)는 P2P (Peer-to-Peer) 서비스를 위한 초기 설정 절차를 수행한다 (720단계). 상기 송신 범용 디바이스 (SENDER)(10)는 P2P (Peer-to-Peer) 서비스를 위한 초기 설정 절차에서 파일 전송을 위한 메타데이터 파일을 상기 수신 범용 디바이스 (RECEIVER)(20)로 전송한다.
예컨대 상기 송신 범용 디바이스 (SENDER)(10)는 P2P (Peer-to-Peer) 서비스를 요청하는 P2P 서비스 요청 메시지 (P2P SERVICE REQUEST MESSAGE)를 상기 수신 범용 디바이스 (RECEIVER)(20)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송신 범용 디바이스 (SENDER)(10)는 P2P 서비스 요청 메시지 (P2P SERVICE REQUEST MESSAGE)에 메타데이터 파일을 포함시켜 전송한다.
상기 수신 범용 디바이스 (RECEIVER)(20)는 P2P 서비스 요청 메시지 (P2P SERVICE REQUEST MESSAGE)가 수신될 시, 상기 송신 범용 디바이스 (SENDER)(10)에 의해 요청된 P2P 서비스의 수락 여부를 결정한다. 그리고 상기 수신 범용 디바이스 (RECEIVER)(20)는 P2P 요청 메시지 (P2P REQUEST MESSAGE)를 통해 메타데이터 파일을 획득한다.
상기 수신 범용 디바이스 (RECEIVER)(20)는 상기 송신 범용 디바이스 (SENDER)(10)에 의해 요청된 P2P 서비스의 수락을 결정할 시, P2P 서비스 요청 메시지 (P2P SERVICE REQUEST MESSAGE)에 대응한 P2P 서비스 응답 메시지 (P2P SERVICE RESPONSE MESSAGE) 및 P2P 서비스 허락하는 P2P 서비스 허락 메시지 (P2P SERVICE CONFIRM MESSAGE)를 상기 송신 범용 디바이스 (SENDER)(10)로 전송한다.
상술한 동작으로 상기 송신 범용 디바이스 (SENDER)(10)에 의해 메타데이터 파일이 상기 수신 범용 디바이스 (RECEIVER)(20)로 전송된 후, 그룹 형성 절차가 수행된다 722단계, 724단계).
상기 그룹 형성 절차는 P2P 서비스를 위한 그룹 오너 (GO: Group Owner)를 결정하는 절차를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송신 범용 디바이스 (SENDER)(10)는 그룹 형성을 위해 그룹 오너에 대한 협상을 요청하는 GO 협상 요청 메시지 (GO NEGOTIATION REQUEST MESSAGE)를 상기 수신 범용 디바이스 (RECEIVER)(20)로 전송한다. 이에 응답하여 상기 수신 범용 디바이스 (RECEIVER)(20)는 GO 협상 응답 메시지 (GO NEGOTIATION RESPONSE MESSAGE)를 상기 송신 범용 디바이스 (SENDER)(10)로 전송한다.
한편 상기 수신 범용 디바이스 (RECEIVER)(20)는 그룹 형성을 위해 그룹 오너에 대한 협상을 요청하는 GO 협상 요청 메시지 (GO NEGOTIATION REQUEST MESSAGE)를 상기 송신 범용 디바이스 (SENDER)(10)로 전송한다. 이에 응답하여 상기 송신 범용 디바이스 (SENDER)(10)는 GO 협상 응답 메시지 (GO NEGOTIATION RESPONSE MESSAGE)와 그룹 오너를 수락하는 GO 협상 수락 메시지 (GO NEGOTIATION CONFIRM MESSAGE)를 상기 수신 범용 디바이스 (RECEIVER)(20)로 전송한다.
도 7에서는 상기 송신 범용 디바이스 (SENDER)(10)가 GO로 결정된 경우를 가정하고 있다.
상기 GO가 결정되면, 송신 범용 디바이스 (SENDER)(10)와 수신 범용 디바이스 (RECEIVER)(20)는 WSC 교환 (WSC (Wi-Fi Simple Configure) exchange) 절차를 수행한다 (728단계). 그리고 상기 WSC 교환 절차 이후에 상기 송신 범용 디바이스 (SENDER)(10)는 상기 수신 범용 디바이스 (RECEIVER)(20)로 콘텐트에 따른 파일들을 전송한다 (730단계). 이때 상기 전송되는 파일 각각의 헤더에는 해당 파일을 기록할 컨테이너 구조에 따른 위치 정보가 포함된다.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그룹 형성을 위한 GO를 결정하기에 앞서 송신 범용 디바이스 (SENDER)(10)가 수신 범용 디바이스 (RECEIVER)(20)로 메타데이터 파일을 전송하는 예에 따른 동작에 대해 개시하였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범용 디바이스 간에 컨테이너 구조 정보를 전송하는 다른 실시 예를 보이고 있다. 도 8에서 보이고 있는 실시 예는 그룹 형성 (group formation) 후에 컨테이너 구조 정보를 전달하는 예를 제안하고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송신 범용 디바이스 (SENDER)(10)와 수신 범용 디바이스 (RECEIVER)(20)는 주변 범용 디바이스를 탐색하기 위한 프로브 요청 메시지 (PRPBE REQUEST MESSAGE)를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전송한다 (810단계, 812단계).
상기 송신 범용 디바이스 (SENDER)(10)에 의해 전송된 프로브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수신 범용 디바이스 (RECEIVER)(20)는 프로브 응답 메시지를 상기 송신 범용 디바이스 (SENDER)(10)로 전송한다 (814단계). 상기 송신 범용 디바이스 (SENDER)(10)는 상기 수신 범용 디바이스 (RECEIVER)(20)에 의해 전송된 프로브 응답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상기 수신 범용 디바이스 (RECEIVER)(20)를 인지하게 된다.
상기 수신 범용 디바이스 (RECEIVER)(20)에 의해 전송된 프로브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송신 범용 디바이스 (SENDER)(10)는 프로브 응답 메시지를 상기 수신 범용 디바이스 (RECEIVER)(20)로 전송한다 (816단계). 상기 수신 범용 디바이스 (RECEIVER)(20)는 상기 송신 범용 디바이스 (SENDER)(10)에 의해 전송된 프로브 응답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상기 송신 범용 디바이스 (SENDER)(10)를 인지하게 된다.
상술한 동작에 의해 상기 송신 범용 디바이스 (SENDER)(10)와 상기 수신 범용 디바이스 (RECEIVER)(20)는 상호 간의 존재를 인지하게 된다.
상기 서로를 인지한 상기 송신 범용 디바이스 (SENDER)(10)와 상기 수신 범용 디바이스 (RECEIVER)(20)는 서로의 서비스 정보를 교환하는 서비스 발견 교환 (SERVICE DISCOVERY EXCHANGE) 절차를 수행한다 (818단계).
도면 상에서는 생략되었으나 상기 송신 범용 디바이스 (SENDER)(10)와 상기 수신 범용 디바이스 (RECEIVER)(20)는 P2P (Peer-to-Peer) 서비스를 위한 초기 설정 절차를 수행한다.
예컨대 상기 송신 범용 디바이스 (SENDER)(10)는 P2P (Peer-to-Peer) 서비스를 요청하는 P2P 서비스 요청 메시지 (P2P SERVICE REQUEST MESSAGE)를 상기 수신 범용 디바이스 (RECEIVER)(20)로 전송한다. 상기 수신 범용 디바이스 (RECEIVER)(20)는 P2P 서비스 요청 메시지 (P2P SERVICE REQUEST MESSAGE)가 수신될 시, 상기 송신 범용 디바이스 (SENDER)(10)에 의해 요청된 P2P 서비스의 수락 여부를 결정한다. 상기 수신 범용 디바이스 (RECEIVER)(20)는 상기 송신 범용 디바이스 (SENDER)(10)에 의해 요청된 P2P 서비스의 수락을 결정할 시, P2P 서비스 요청 메시지 (P2P SERVICE REQUEST MESSAGE)에 대응한 P2P 서비스 응답 메시지 (P2P SERVICE RESPONSE MESSAGE) 및 P2P 서비스 허락하는 P2P 서비스 허락 메시지 (P2P SERVICE CONFIRM MESSAGE)를 상기 송신 범용 디바이스 (SENDER)(10)로 전송한다.
상기 P2P 서비스를 위한 초기 설정이 이루어진 송신 범용 디바이스 (SENDER)(10)와 수신 범용 디바이스 (RECEIVER)(20)는 그룹 형성 절차를 수행한다 (820단계). 도 8에서의 그룹 형성 절차는 도 7에서의 722단계, 724단계 및 726단계에 의해 수행된다. 예컨대 도 8에서는 송신 범용 디바이스 (SENDER)(10)가 GO로 결정된 경우를 가정하였다.
상기 GO로 결정된 송신 범용 디바이스 (SENDER)(10)는 수신 범용 디바이스 (RECEIVER)(20)에 대한 인증 (authentication) 및 결합 (association) 절차를 수행한다 (822단계, 826단계). 예컨대 상기 송신 범용 디바이스 (SENDER)(10)는 특정 주파수를 이용하여 일정 주기로 비 지향성 단속형 신호인 비컨 (beacon)을 전송한다. 그 후 상기 송신 범용 디바이스 (SENDER)(10)는 비컨을 수신한 수신 범용 디바이스 (RECEIVER)(20)의 요청에 의해 사전에 정의된 인증 절차에 따라 상기 수신 범용 디바이스 (RECEIVER)(20)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다. 상기 송신 범용 디바이스 (SENDER)(10)는 상기 수신 범용 디바이스 (RECEIVER)(20)에 대한 인증에 성공할 시, 상기 수신 범용 디바이스 (RECEIVER)(20)와의 결합을 수행한다.
상술한 바에 의해 인증 및 결합이 이루어진 송신 범용 디바이스 (SENDER)(10)와 수신 범용 디바이스 (RECEIVER)(20)는 WSC 교환 (WSC exchange) 절차를 수행한다 (824단계).
상기 WSC 교환 절차를 수행할 시, 송신 범용 디바이스 (SENDER)(10)는 파일 전송을 위한 일부 제어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한 메타데이터 파일을 수신 범용 디바이스 (RECEIVER)(20)로 전송한다. 상기 그룹 형성 단계에서 수행되는 WSC 교환 시에 메타데이터 파일을 전달하는 일 예를 도 9에서 보이고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될 것이다.
한편 상기 인증 및 결합이 이루어진 송신 범용 디바이스 (SENDER)(10)와 수신 범용 디바이스 (RECEIVER)(20)는 파일 전송을 위한 물리적 연결을 초기화한다. 예컨대 WAP 2에서 규정하고 있는 4-way handshake 절차를 수행하여 파일 전송을 위한 통로인 TCP 연결을 초기화한다. 즉 상기 4-way handshake 절차에 의해, 송신 범용 디바이스 (SENDER)(10)와 수신 범용 디바이스 (RECEIVER)(20)는 실제로 파일을 송신 및 수신하기 전에 이를 수행할 준비가 되었음을 인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송신 범용 디바이스 (SENDER)(10)와 수신 범용 디바이스 (RECEIVER)(20)는 상대에 대한 초기 일련번호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4-way handshake 절차는 수신 범용 디바이스 (RECEIVER)(20)가 GO로 결정된 송신 범용 디바이스 (SENDER)(10)에게 연결을 요청한다. 이때 상기 수신 범용 디바이스 (RECEIVER)(20)는 상기 송신 범용 디바이스 (SENDER)(10)로 임의의 동기 (SYN) 패킷을 보낼 수 있다. 상기 수신 범용 디바이스 (RECEIVER)(20)로부터 동기 패킷을 받은 상기 송신 범용 디바이스 (SENDER)(10)는 이에 대한 응답으로 ACK 신호와 자신의 동기 패킷을 상기 수신 범용 디바이스 (RECEIVER)(20)로 보낸다. 상기 송신 범용 디바이스 (SENDER)(10)로부터 동기 패킷을 받은 상기 수신 범용 디바이스 (RECEIVER)(20)은 이에 대한 응답으로 ACK 신호를 상기 송신 범용 디바이스 (SENDER)(10)로 보낸다.
상술한 4-way handshake 절차가 완료되면, 상기 송신 범용 디바이스 (SENDER)(10)와 상기 수신 범용 디바이스 (RECEIVER)(20)는 정상적으로 파일을 교환하는 것이 가능한 상태에 놓이게 된다.
따라서 상기 송신 범용 디바이스 (SENDER)(10)는 상기 수신 범용 디바이스 (RECEIVER)(20)로 콘텐트에 따른 파일들을 전송한다 (830단계). 이때 상기 전송되는 파일 각각의 헤더에는 해당 파일을 기록할 컨테이너 구조에 따른 위치 정보가 포함된다.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그룹 형성하는 단계에서 송신 범용 디바이스 (SENDER)(10)가 수신 범용 디바이스 (RECEIVER)(20)로 메타데이터 파일을 전송하는 예에 따른 동작에 대해 개시하였다.
도 9는 도 8에서 제안하는 메타데이터 파일의 전달을 위한 구체적인 신호 처리 절차의 일 예를 보이고 있다. 도 9에서 보이고 있는 신호 처리 절차는 WSC를 교환 시에 M8 메시지에 메타데이터 파일을 포함시켜 전달하는 예를 제안하고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수신 범용 디바이스 (RECEIVER)(20)는 송신 범용 디바이스 (SENDER)(10)에게 접속을 요구하는 EAPOL-Start 메시지를 전송한다 (910단계).
상기 EAPOL-Start 메시지를 수신한 송신 범용 디바이스 (SENDER)(10)는 수신 범용 디바이스 (RECEIVER)(20)에게 EAP (Extensible Authentication Protocol) 신분 확인을 요구하는 EAPOL-Request/Identity 메시지를 전송한다 (912단계). 상기 수신 범용 디바이스 (RECEIVER)(20)는 EAPOL-Request/Identity 메시지의 수신에 응답하여 자신의 신분 (identity)를 전송하는 EAPOL-Response/Identity 메시지를 상기 송신 범용 디바이스 (SENDER)(10)로 전송한다 (914단계).
그 후 상기 송신 범용 디바이스 (SENDER)(10)와 상기 수신 범용 디바이스 (RECEIVER)(20)는 사전에 정의된 인증 키, 즉 PIN에 대한 검증 절차를 수행한다. 일 예로 상기 PIN은 도 9에서 보이고 있는 절차가 개시되기 전에 범용 디바이스 별로 사용자가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송신 범용 디바이스 (SENDER)(10)는 PIN에 대한 검증 절차의 시작을 요청하는 메시지 (EAP-Request (Start))를 상기 수신 범용 디바이스 (RECEIVER)(20)로 전송한다 (916단계). 그리고 상기 PIN에 대한 검증이 완료될 시, 상기 수신 범용 디바이스 (RECEIVER)(20)는 PIN 검증 절차의 종료를 요청하는 메시지 (EAP-Response (Done))를 상기 송신 범용 디바이스 (SENDER)(10)로 전송한다 (934단계).
상기 PIN에 대한 검증 절차에서 상기 수신 범용 디바이스 (RECEIVER)(20)가 사전에 설정된 PIN들 (M1, M3, M5, M7)을 소정의 메시지 (EAP-Response (M #))을 이용하여 상기 송신 범용 디바이스 (SENDER)(10)로 전송한다 (918단계, 922단계, 926단계, 930단계). 그리고 상기 송신 범용 디바이스 (SENDER)(10)가 사전에 설정된 PIN들 (M2, M4, M6, M8)을 소정의 메시지 (EAP-Response (M #))을 이용하여 상기 수신 범용 디바이스 (RECEIVER)(20)로 전송한다 (918단계, 922단계, 926단계, 930단계).
특히 상기 송신 범용 디바이스 (SENDER)(10)가 상기 수신 범용 디바이스 (RECEIVER)(20)로 전송하는 소정의 메시지 (EAP-Response (M8))를 통해 메타 데이터 파일을 전송한다.
상기 송신 범용 디바이스 (SENDER)(10)는 상기 수신 범용 디바이스 (RECEIVER)(20)로부터 PIN 검증 절차의 종료를 요청하는 메시지 (EAP-Response (Done))를 수신할 시, 모든 절차를 종료할 것을 지시하는 메시지 (EAP-Fail)를 상기 수신 범용 디바이스 (RECEIVER)(20)로 전송한다 (936단계).
도 9에서 제안하고 있는 예는 송신 범용 디바이스 (SENDER)(10)가 WSC 보안 채널을 통해 메타데이터 파일을 전송함으로써, 보다 안전하게 전송 파일 및 컨테이너 구조에 관한 정보가 수신 범용 디바이스 (RECEIVER)(20)로 전달되도록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범용 디바이스 간에 컨테이너 구조 정보를 전송하는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이고 있다. 도 10에서 보이고 있는 실시 예는 인터넷 프로토콜 (IP: Internet Protocol)이 할당된 이후에 컨테이너 구조 정보를 전달하는 예를 제안하고 있다.
한편 도 10에서 보이고 있는 신호 처리 절차 중 1010단계 내지 1028단계는 도 8에서 이미 설명된 810단계 내지 828단계에 대응한다. 따라서 후술될 개시에서는 1010단계 내지 1028단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송신 범용 디바이스 (SENDER)(10)는 4-way handshake 절차를 통해 수신 범용 디바이스 (RECEIVER)(20)와의 IP 연결을 생성한다 (1030단계). 상기 IP 연결이 생성된 상기 송신 범용 디바이스 (SENDER)(10)와 상기 수신 범용 디바이스 (RECEIVER)(20)는 콘텐트에 따른 파일 전송을 위한 일부 제어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한다 (1032단계).
예컨대 상기 송신 범용 디바이스 (SENDER)(10)는 상기 수신 범용 디바이스 (RECEIVER)(20)와의 IP 연결을 기반으로 메타데이터 파일을 전송한다. 상기 송신 범용 디바이스 (SENDER)(10)에 의해 전송되는 메타데이터 파일은 콘텐트에 따른 파일 전송을 위한 일부 제어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메타데이터 파일에 포함될 수 있는 파일 전송을 위한 일부 제어 정보는 앞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상기 수신 범용 디바이스 (RECEIVER)(20)는 상기 송신 범용 디바이스 (SENDER)(10)로부터 수신한 메타데이터 파일을 수신하고, 이에 대응한 응답 메시지를 상기 송신 범용 디바이스 (SENDER)(10)로 전송한다.
상기 송신 범용 디바이스 (SENDER)(10)는 상기 수신 범용 디바이스 (RECEIVER)(20)로 콘텐트에 따른 파일들을 전송한다 (1034단계). 이때 상기 전송되는 파일 각각의 헤더에는 해당 파일을 기록할 컨테이너 구조에 따른 위치 정보가 포함된다.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송신 범용 디바이스 (SENDER)(10)와 수신 범용 디바이스 (RECEIVER)(20) 간의 IP 할당이 이루어진 후에 상기 송신 범용 디바이스 (SENDER)(10)가 상기 수신 범용 디바이스 (RECEIVER)(20)로 메타데이터 파일을 전송하는 예에 따른 동작에 대해 개시하였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송신 범용 디바이스에서 파일을 송신하기 위한 송신장치의 구성을 보이고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기록부(1110)는 송신장치에서 이용 가능한 각 콘텐트에 대응한 파일들을 고유한 컨테이너 구조를 가지는 디렉터리 별로 기록한다. 상기 기록부(110)는 외부로부터의 제어에 의해 특정 콘텐트에 대응한 컨테이너 구조에 관한 정보 및 상기 특정 콘텐트에 대응하여 디렉터리 별로 저장된 파일들을 출력한다. 상기 기록부(110)에 특정 콘텐트에 대응한 파일이 디렉터리 별로 저장된 일 예는 도 1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다.
메시지 생성부(1112)는 상기 기록부(1110)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읽어 전송 메시지를 생성한다. 상기 메시지 생성부(1112)는 특정 콘텐트에 따른 파일 전송을 위한 실시 예에서의 요구에 따라 전송 메시지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메시지 생성부(1112)는 적용될 실시 예에 따라 메타데이터 파일 또는 특정 콘텐트에 따른 파일을 포함하도록 메시지를 생성한다. 상기 실시 예 별로 메타데이터 파일 또는 특정 콘텐트에 따른 파일의 헤더 정보로 포함될 컨테이너 구조에 관한 정보에 대해서는 앞에서 이미 정의되었음에 따라, 추가의 설명은 생략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메시지 생성부(1112)가 필요한 메시지를 생성하는 시점 또한 적용할 실시 예에 따라 달리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예컨대 파일 전송을 위한 일부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메타데이터 파일은 그룹 형성 절차 이전 또는 그룹 형성 절차 중에 생성되어 전송되거나 IP 할당 이후에 생성될 수도 있다.
하지만 상기 메시지 생성부(1112)는 동일한 시점에서 메타데이터 파일을 생성하고, 이를 실제로 전송할 송신부(1114)에 의해 실시 예 별로 전송 시점을 다르게 적용할 수도 있다.
상기 송신부(1114)는 상기 메시지 생성부(1112)에 의해 생성된 메시지를 수신측으로 전송한다. 예컨대 상기 송신부(1114)는 생성된 메시지를 수신측으로 전송하는 동작은 도 4 내지 도 10에서 보이고 있는 신호 처리 절차에 따라 이루어진다. 상기 송신부(1114)에 의해 전송되는 대표적인 메시지는 메타데이터 파일을 포함하는 메시지와 콘텐트에 따른 파일을 포함하는 메시지가 될 것이다. 그 외에 도 7 내지 도 10에서 보이고 있는 신호 처리 절차에서 전송되는 메시지 또한 포함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송신 범용 디바이스에서 파일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장치의 구성을 보이고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수신부(1210)는 송신측으로부터 전송되는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메시지를 메시지 처리부(1212)로 전달한다. 상기 수신부(1210)에 의해 수신되는 대표적인 메시지로는 메타데이터 파일을 포함하는 메시지와 콘텐트에 따른 파일을 포함하는 메시지 등이 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수신부(1210)는 도 4 내지 도 10에서 정의하고 있는 절차에 따라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 처리부(1212)는 상기 수신부(1210)로부터 전달되는 수신 메시지에 포함된 메타데이터 파일 또는 콘텐트에 따른 파일을 획득한다. 상기 메시지 처리부(1212)는 상기 획득한 메타데이터 파일을 구성하는 제어 정보와 상기 획득한 파일의 헤더에 포함된 제어 정보에 의해 결정된 컨테이너 구조에 따라 기록부(1214) 내에 디렉터리를 구성한다. 그 후 상기 메시지 처리부(1212)는 획득한 파일 또는 제어 정보에 포함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읽은 파일을 상기 구성된 디렉터리 중 지정된 디렉터리에 기록한다.
일 예로 도 1에 의하면, 상기 메시지 처리부(1212)는 메타데이터 파일 및 수신한 파일의 헤더에서 획득한 제어 정보를 기반으로 루트 디렉터리를 모 디렉터리로 하는 디렉터리 A를 생성하고, 상기 디렉터리 A를 모 디렉터리로 하는 디렉터리 B를 생성하며, 상기 디렉터리 B를 모 디렉터리로 하는 디렉터리 C를 생성한다.
그 후 상기 메시지 처리부(1212)는 파일 1을 수신하여 루트 디렉터리에 기록하고, 파일 2를 수신하여 디렉터리 A에 기록하며, 파일 3을 수신하여 디렉터리 B에 기록한다.
상기 메시지 처리부(1212)의 상술한 바와 같은 메시지 처리에 의해 상기 기록부(1214)에는 도 1에서 보이고 있는 컨테이너 구조에 의한 파일 기록이 이루어질 것이다.
앞서 살펴본 도 11의 구조를 가지는 범용 디바이스의 송신장치와 도 12의 구조를 가지는 범용 디바이스의 수신장치는 파일을 송신하거나 수신함에 있어, 도 4 내지 도 6에서 보이고 있는 신호 처리 절차 중 하나에 따라 이루어진다. 또한 범용 디바이스 간의 파일 전달은 도 7 내지 도 10에서 보이고 있는 신호 처리 절차 중 하나에 따라 이루어진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송신 범용 디바이스에서 파일을 송/수신하기 위해 수행하는 제어 흐름을 보이고 있다. 도 13에서 그룹 오너로 결정되는지 여부에 따라, 파일을 송신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것인지 파일을 수신하여 기록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것인지가 구분된다. 즉 도 13에서 보이고 있는 단계들 중 1318단계 내지 1328단계가 송신 동작에 해당하며, 1330단계 내지 1340단계가 수신 동작에 해당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범용 디바이스는 콘텐트에 따른 파일을 전달할 상대 범용 디바이스를 발견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한다 (1310단계). 예컨대 P2P 서비스를 위한 상대 범용 디바이스 발견 절차는 프로브 요청 메시지를 주기 또는 비주기적으로 전송하고, 이에 대응한 프로브 응답 메시지의 수신에 의해 상대 범용 디바이스를 인지한다. 이때 상기 상대 범용 디바이스 또한 동일한 동작에 의해 상기 프로브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 범용 디바이스를 인지할 필요가 있다.
상기한 바에 의해 콘텐트에 따른 파일 전송을 수행할 범용 디바이스들이 상호간의 존재를 인지할 시, 상기 범용 디바이스는 발견한 상대 범용 디바이스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확인한다 (1312). 예컨대 상기 범용 디바이스는 상기 상대 범용 디바이스가 Wi-Fi 파일 전송 서비스를 지원할 시에 이후에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상대 범용 디바이스가 자신이 원하는 서비스를 지원한다고 판단될 시, 상기 범용 디바이스는 상기 상대 범용 디바이스와의 그룹 오너 협상 (GO negotiation) 절차를 수행한다 (1314단계). 상기 그룹 오너 협상 절차는 특정 콘텐트에 따른 파일을 제공할 범용 디바이스를 결정하기 위한 절차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용 디바이스는 상기 그룹 오너 협상 절차에 의해 자신이 그룹 오너로 결정되었는지를 판단한다 (1316단계). 예컨대 상기 범용 디바이스는 자신이 그룹 오너로 결정될 시에 특정 콘텐트에 따른 파일을 전달할 송신 범용 디바이스로써 동작할 것이다. 하지만 상기 상대 범용 디바이스가 그룹 오너로 결정될 시에는 상기 상대 범용 디바이스로부터 특정 콘텐트에 따른 파일을 전달받기 위한 수신 범용 디바이스로써 동작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 범용 디바이스는 자신이 그룹 오너로 결정될 시, 송신 동작을 위해 1318단계로 진행하고, 자신이 그룹 오너로 결정되지 않을 시, 수신 동작을 위해 1330단계로 진행한다.
먼저 송신 동작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범용 디바이스는 상기 상대 범용 디바이스와의 WSC 교환 절차를 수행한다 (1318단계). 예컨대 상기 WSC 교환 절차는 향후 상대 범용 디바이스로의 파일 송신 시에 보안을 위한 수행되는 절차이다.
일 예로 상기 범용 디바이스는 상기 WSC 교환 절차를 수행하는 중에 상기 상대 범용 디바이스로 메타데이터 파일을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전송하는 메타데이터 파일은 상기 상대 범용 디바이스가 특정 콘텐트를 위해 수신한 파일을 소정의 컨테이너 구조에 의해 배치된 디렉터리 별로 기록하기 위해 요구되는 제어 정보 중 일부를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메타데이터 파일에 포함되는 일부 제어 정보는 순차적으로 전송할 전체 파일 (또는 기록된 파일들 중 전송을 위해 읽은 전체 파일)의 개수, 전체 파일 크기, 대표 파일 이름, 파일 리스트 기록 위치, 각 파일의 이름 및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메타데이터 파일은 앞서 설명된 그룹 오너를 결정하기 위한 절차가 수행되기 전에 상대 범용 디바이스로 제공될 수도 있다. 하지만 이 경우는 상기 범용 디바이스 자신이 특정 콘텐트에 따른 파일을 상대 범용 디바이스로 전달할 것이라는 것이 사전에 전제되어야 한다. 즉 상기 범용 디바이스가 상대 범용 디바이스로 P2P 서비스를 요청할 시에 메타데이터 파일을 전달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상대 범용 디바이스로부터 P2P 서비스 응답과 P2P 서비스 허락을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범용 디바이스는 메타데이터 파일에 포함시킬 제어 정보를 구성하기 위해, 전송할 파일의 전체 개수 및 전송 용량을 측정하기 위한 추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범용 디바이스는 WSC 교환 절차의 수행이 완료된 후, 4-way handshake 절차를 수행한다 (1320단계). 상기 4-way handshake 절차의 수행에 의해, 상기 범용 디바이스와 상기 상대 범용 디바이스 간에 파일 전송을 위한 통로인 TCP 연결이 초기화된다. 즉 상기 4-way handshake 절차에 의해, 상기 범용 디바이스와 상대 범용 디바이스는 실제로 파일을 송신 및 수신하기 전에 이를 수행할 준비가 되었음을 인지할 수 있다.
상기 범용 디바이스는 앞서 수행된 4-way handshake 절차에 의해 초기화된 TCP 상에서의 IP 연결을 생성한다 (1322단계).
일 예로 TCP를 초기화하고, IP 연결을 생성하는 것은 범용 디바이스가 자신이 전달한 메타데이터 파일에 응답하여 상대 범용 디바이스로부터 확인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한하여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범용 디바이스는 IP 연결을 생성할 시에 상기 상대 범용 디바이스로 메타데이터 파일을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전송하는 메타데이터 파일은 앞에서 제안된 다른 예시에서의 메타데이터 파일과 동일한 제어 정보를 포함하도록 생성될 수 있다.
상기 범용 디바이스는 IP 연결이 생성되면, 상기 메타데이터 파일을 생성할 시에 결정된 전송할 파일들, 대상 파일들을 순차적으로 전송한다 (1324단계). 이때 상기 전송되는 파일들 각각의 헤더에는 해당 파일을 기록할 위치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헤더에는 해당 파일을 기록할 컨테이너 구조로 배열된 디렉터리들 중 하나의 디렉터리를 지정하는 정보가 기록될 수 있다.
상기 범용 디바이스는 앞서 결정된 전체 파일들에 대한 전송이 완료되면, 메타데이터 파일의 추가 전송이 필요한지를 판단한다 (1326단계). 예컨대 상기 범용 디바이스는 특정 콘텐트를 위해 더 전송할 파일이 존재하고, 해당 파일을 위해 메타데이터 파일을 이용하여 상대 범용 디바이스로 전달할 제어 정보의 변경이 필요하다고 판단될 시에 메타데이터 파일의 추가 전송이 필요하다고 판단한다.
상기 범용 디바이스는 메타데이터 파일의 추가 전송이 필요하다고 판단될 시, 갱신된 메타데이터 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메타데이터 파일을 상기 상대 범용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1328단계). 하지만 메타데이터 파일의 추가 전송이 불필요하다고 판단될 시, 상기 범용 디바이스는 모든 송신 동작을 완료한다.
상술한 송신 동작의 다른 예로써, 범용 디바이스는 별도의 기준을 통해 전체 리스트의 생성과, 제공할 특정 콘텐트에 따른 파일들을 획득할 수 있는 위치 정보, 즉 URL을 메타데이터 파일에 바인딩하여 상대 범용 디바이스로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범용 디바이스는 추가적으로 제공하고자 하는 콘텐트에 따른 파일을 상기 상대 범용 디바이스로 전달하기 위한 추가 절차를 수행하지 않을 수도 있다.
하지만 앞에서 설명된 송신 동작은 범용 디바이스가 제공하고자 하는 콘텐트에 따른 전체 파일들 중 일부 파일에 대한 메타데이터 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메타데이터 파일을 상대 범용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것을 가정한 것이다.
다음으로 수신 동작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범용 디바이스는 상대 범용 디바이스와의 WSC 교환 절차를 수행한다 (1330단계). 예컨대 상기 WSC 교환 절차는 향후 상대 범용 디바이스로부터 파일 수신 시에 보안을 위한 수행되는 절차이다.
일 예로 상기 범용 디바이스는 상기 WSC 교환 절차를 수행하는 중에 상기 상대 범용 디바이스로부터 메타데이터 파일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수신되는 메타데이터 파일은 특정 콘텐트를 위해 전달받을 파일을 소정의 컨테이너 구조에 의해 배치된 디렉터리 별로 기록하기 위해 요구되는 제어 정보 중 일부를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메타데이터 파일에 포함되는 일부 제어 정보는 순차적으로 전송할 전체 파일 (또는 기록된 파일들 중 전송을 위해 읽은 전체 파일)의 개수, 전체 파일 크기, 대표 파일 이름, 파일 리스트 기록 위치, 각 파일의 이름 및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메타데이터 파일은 앞서 설명된 그룹 오너를 결정하기 위한 절차가 수행되기 전에 상대 범용 디바이스에 의해 제공될 수도 있다. 하지만 이 경우는 상기 상대 범용 디바이스 자신이 특정 콘텐트에 따른 파일을 범용 디바이스로 전달할 것이라는 것이 사전에 전제되어야 한다. 즉 상기 범용 디바이스가 상기 상대 범용 디바이스로부터 P2P 서비스를 요청 받을 시에 메타데이터 파일을 전달받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상대 범용 디바이스로 P2P 서비스 응답과 P2P 서비스를 허락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범용 디바이스는 WSC 교환 절차의 수행이 완료된 후, 4-way handshake 절차를 수행한다 (1332단계). 상기 4-way handshake 절차의 수행에 의해, 상기 범용 디바이스는 상기 상대 범용 디바이스로부터 파일을 전송 받기 위한 통로인 TCP 연결이 초기화시킨다. 즉 상기 4-way handshake 절차에 의해, 상기 범용 디바이스는 상대 범용 디바이스와 실제로 파일을 수신하기 전에 이를 수행할 준비가 되었음을 인지할 수 있다.
상기 범용 디바이스는 앞서 수행된 4-way handshake 절차에 의해 초기화된 TCP 상에서의 IP 연결을 생성한다 (1334단계).
일 예로 TCP를 초기화하고, IP 연결을 생성하는 것은 범용 디바이스가 자신이 전달받은 메타데이터 파일에 응답하여 상대 범용 디바이스로부터 확인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한하여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범용 디바이스는 IP 연결을 생성할 시에 상기 상대 범용 디바이스로부터 메타데이터 파일을 전송 받을 수 있다. 이때 전송되는 메타데이터 파일은 앞에서 제안된 다른 예시에서의 메타데이터 파일과 동일한 제어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범용 디바이스는 IP 연결이 생성되면, 상기 메타데이터 파일에 포함된 제어 정보에 의해 확인한 전체 파일들, 즉 대상 파일들을 순차적으로 수신한다 (1336단계). 이때 상기 수신한 파일들 각각의 헤더에는 해당 파일을 기록할 위치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다. 예컨대 상기 헤더에는 해당 파일을 기록할 컨테이너 구조로 배열된 디렉터리들 중 하나의 디렉터리를 지정하는 정보가 기록될 수 있다.
상기 범용 디바이스는 순차적으로 수신한 대상 파일을 소정의 컨테이너 구조로 배열된 디렉터리들 중 상기 대상 파일의 헤더로부터 확인한 위치에 관한 정보에 의해 결정된 하나의 디렉터리에 기록한다. 상기 범용 디바이스는 순차적으로 수신되는 모든 파일들 각각을 지정된 디렉터리에 기록할 것이다.
한편 상기 범용 디바이스는 수신한 파일을 기록하기 위한 소정의 컨테이너 구조를 결정하거나 원하는 파일을 획득하기 위해, 사전에 미리 상기 상대 범용 디바이스로부터 메타데이터 파일을 통해 전달 받은 일부 제어 정보를 이용한다.
상기 범용 디바이스는 전체 수신한 파일들 각각을 지정된 위치에 기록한 후, 상기 상대 범용 디바이스로부터 갱신 메타데이터 파일이 수신되는지를 판단한다 (1340단계).
상기 범용 디바이스는 갱신 메타데이터 파일이 수신될 시, 1337단계 내지 1338단계에서 상기 갱신 메타데이터 파일에 의해 확인된 적어도 하나의 추가 파일을 수신하여 지정된 위치에 기록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것이다.
하지만 갱신 메타데이터 파일의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범용 디바이스는 모든 수신 동작을 완료한다.
상술한 수신 동작의 다른 예로써, 상대 범용 디바이스는 별도의 기준을 통해 전체 리스트의 생성과, 제공할 특정 콘텐트에 따른 파일들을 획득할 수 있는 위치 정보, 즉 URL을 메타데이터 파일에 바인딩하여 상대 범용 디바이스로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범용 디바이스는 메타데이터 파일을 통해 수신한 제어 정보를 기반으로 특정 콘텐트에 따른 모든 파일들을 원하는 컨테이너 구조에 따라 배열된 디렉터리 별로 기록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Claims (28)

  1. 제1디바이스에서 소정의 디렉터리 구조에 기록된 파일들을 제2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록된 파일들 중 전송할 복수의 파일들을 인지 (identifying)하는 과정;
    복수의 자원 URL (uniform resource locator)들을 포함하는 정보를 지시하는 제1 URL 및 상기 소정의 디렉터리 구조에 관한 공통 정보를 포함하는 메타데이터 파일을 생성하는 과정, 여기서 상기 복수의 자원 URL들은 상기 복수의 파일들 각각을 획득하기 위한 복수의 주소들을 지시함;
    상기 메타데이터 파일을 상기 제2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과정;
    타겟 파일 및 상기 타겟 파일의 헤더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구성하는 과정, 여기서 상기 타겟 파일은 상기 복수의 파일들 중 하나이고, 상기 헤더는 상기 타겟 파일의 기록 위치에 관한 개별 정보를 포함함; 및
    상기 메시지를 상기 제2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공통 정보는 상기 복수의 파일들을 수신 및 저장하기 위해 요구되는 공통적인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전송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데이터 파일은, 상기 복수의 파일들의 전체 개수, 상기 복수의 파일들의 전체 크기, 대표 파일 이름, 및 상기 복수의 파일들 각각의 이름 또는 크기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전송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파일들은 상기 제2디바이스에 의하여, 수신이 가능할 때에 전송될 파일들임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전송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데이터 파일을 전송하는 과정은,
    상기 제2디바이스와 그룹 형성을 위한 절차를 수행하는 중에 상기 메타데이터 파일을 상기 제2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전송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데이터 파일을 전송하는 과정은,
    상기 제2디바이스와의 인터넷 프로토콜 할당이 이루어진 후에 상기 메타데이터 파일을 상기 제2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전송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된 메타데이터 파일의 갱신이 필요하다고 판단될 시, 갱신할 메타데이터 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갱신할 메타데이터 파일을 상기 제2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개별 정보는 상기 타겟 파일에서 컨텐트의 길이 및 타입에 관한 정보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전송방법.
  7. 제1디바이스에서 파일들을 제2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장치에 있어서,
    송수신부;
    소정의 컨테이너 구조에 따라 파일들을 저장하는 기록부; 및
    상기 송수신부 및 상기 기록부에 연결되고, 상기 기록된 파일들 중 전송할 복수의 파일들을 인지하고, 복수의 자원 URL (uniform resource locator)들을 포함하는 정보를 지시하는 제1 URL 및 상기 소정의 디렉터리 구조에 관한 공통 정보를 포함하는 메타데이터 파일을 생성하고, 여기서 상기 복수의 자원 URL들은 상기 복수의 파일들 각각을 획득하기 위한 복수의 주소들을 지시함, 상기 메타 데이터 파일을 상기 제2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고, 타겟 파일 및 상기 타겟 파일의 헤더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구성하며, 여기서 상기 타겟 파일은 상기 복수의 파일들 중 하나이고, 상기 헤더는 상기 타겟 파일의 기록 위치에 관한 개별 정보를 포함함, 상기 메시지를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는 메시지 생성부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공통 정보는 상기 복수의 파일들을 수신 및 저장하기 위해 요구되는 공통적인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전송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데이터 파일은, 상기 복수의 파일들의 전체 개수, 상기 복수의 파일들의 전체 크기, 대표 파일 이름, 및 상기 복수의 파일들 각각의 이름 또는 크기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전송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파일들은 상기 제2디바이스에 의하여 수신이 가능할 때에 전송될 파일들임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전송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제2디바이스와 그룹 형성을 위한 절차를 수행하는 중에 상기 메타데이터 파일을 상기 제2디바이스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전송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제2디바이스와의 인터넷 프로토콜 할당이 이루어진 후에 상기 메타데이터 파일을 상기 제2디바이스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전송장치.
  12. 제7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생성부는,
    상기 전송된 메타데이터 파일의 갱신이 필요하다고 판단될 시, 갱신할 메타데이터 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갱신할 메타데이터 파일을 상기 제2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도록 상기 송수신부로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전송장치.
  13. 제2디바이스에서 복수의 파일들을 기록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디바이스로부터 복수의 자원 URL (uniform resource locator)들을 포함하는 정보를 지시하는 제1 URL 및 소정의 디렉터리 구조에 관한 공통 정보를 포함하는 메타데이터 파일을 수신하는 과정, 여기서, 상기 복수의 자원 URL들은 상기 복수의 파일들 각각을 획득하기 위한 복수의 주소들을 지시함;
    상기 공통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디렉터리 구조에 따른 디렉터리들을 구성하는 과정;
    상기 복수의 제2 URL들을 기반으로 타겟 파일 및 상기 타겟 파일의 헤더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 여기서 상기 타겟 파일은 상기 복수의 파일들 중 하나이고, 상기 헤더는 상기 타겟 파일의 기록 위치에 관한 개별 정보를 포함함;
    상기 개별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디렉터리 구조에서 상기 타겟 파일의 기록 위치를 결정하는 과정;
    상기 기록 위치에 상기 타겟 파일을 기록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공통 정보는 상기 복수의 파일들을 수신 및 저장하기 위해 요구되는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기록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데이터 파일은, 상기 복수의 파일들의 전체 개수, 상기 복수의 파일들의 전체 크기, 대표 파일 이름, 및 상기 복수의 파일들 각각의 이름 또는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기록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데이터 파일을 수신하는 과정은,
    상기 제2디바이스와 그룹 형성을 위한 절차를 수행하는 중에 상기 메타데이터 파일을 상기 제2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기록방법.
  16.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파일들을 수신하여 기록한 후, 상기 제1디바이스로부터 갱신된 메타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개별 정보는 상기 타겟 파일에서 컨텐트의 길이 및 타입에 관한 정보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기록방법.
  17. 제2디바이스에서 복수의 파일들을 기록하는 장치에 있어서,
    송수신부;
    기록부 및
    상기 송수신부 및 상기 기록부에 연결되고, 제1 디바이스로부터 복수의 자원 URL (uniform resource locator)들을 포함하는 정보를 지시하는 제1 URL 및 소정의 디렉터리 구조에 관한 공통 정보를 포함하는 메타데이터 파일을 수신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고,여기서, 상기 복수의 자원 URL들은 상기 복수의 파일들 각각을 획득하기 위한 복수의 주소들을 지시함, 상기 공통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디렉터리 구조에 따른 디렉터리들을 구성하고, 상기 복수의 제2 URL들을 기반으로 타겟 파일 및 상기 타겟 파일의 헤더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고, 여기서 상기 타겟 파일은 상기 복수의 파일들 중 하나이고, 상기 헤더는 상기 타겟 파일의 기록 위치에 관한 개별 정보를 포함함, 상기 개별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디렉터리 구조에서 상기 타겟 파일의 기록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기록위치에 상기 타겟 파일을 기록하는 메시지 처리부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공통 정보는 상기 복수의 파일들을 수신 및 저장하기 위해 요구되는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기록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데이터 파일은, 상기 복수의 파일들의 전체 개수, 상기 복수의 파일들의 전체 크기, 대표 파일 이름, 및 상기 복수의 파일들 각각의 이름 또는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기록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제2디바이스와 그룹 형성을 위한 절차를 수행하는 중에 상기 메타데이터 파일을 상기 제2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기록장치.
  20. 제17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복수의 파일들을 수신하여 기록한 후, 상기 제1디바이스로부터 갱신된 메타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갱신된 메타데이터 파일에 포함된 제어 정보에 종속하여 상기 제1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되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파일을 수신하며,
    상기 메시지 처리부는,
    상기 갱신된 메타데이터를 통해 수신한 일부 제어 정보와 상기 수신한 추가 파일 각각의 헤더에 포함된 제어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소정의 디렉터리 구조에 의해 배치된 디렉터리들 중 상기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추가 파일들을 기록할 하나의 디렉터리를 결정하며,
    상기 기록부는,
    상기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추가 파일을 상기 소정의 디렉터리 구조에 의해 배치된 디렉터리들 중 하나의 디렉터리에 상기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추가 파일을 기록함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기록장치.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KR1020130062611A 2012-06-05 2013-05-31 범용 디바이스에서의 파일 송/수신 장치 및 방법 Active KR1021817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515948A JP6208225B2 (ja) 2012-06-05 2013-06-05 汎用デバイスにおけるファイル送受信装置及び方法
US13/910,735 US10331637B2 (en) 2012-06-05 2013-06-05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files in general purpose device
PCT/KR2013/004978 WO2013183944A1 (en) 2012-06-05 2013-06-05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files in general purpose device
EP13800013.8A EP2856736B1 (en) 2012-06-05 2013-06-05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files in general purpose device
CN201380029457.9A CN104350721B (zh) 2012-06-05 2013-06-05 在通用设备中发送和接收文件的装置和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0643 2012-06-05
KR20120060643 2012-06-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6918A KR20130136918A (ko) 2013-12-13
KR102181776B1 true KR102181776B1 (ko) 2020-11-24

Family

ID=49983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2611A Active KR102181776B1 (ko) 2012-06-05 2013-05-31 범용 디바이스에서의 파일 송/수신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331637B2 (ko)
EP (1) EP2856736B1 (ko)
JP (1) JP6208225B2 (ko)
KR (1) KR102181776B1 (ko)
CN (1) CN104350721B (ko)
WO (1) WO20131839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X2018000959A (es) * 2015-07-23 2018-06-06 Boehringer Ingelheim Int Compuesto que se dirige a il-23a y al factor de activacion de linfocitos b (baff) y usos de estos.
JP6645200B2 (ja) * 2016-01-14 2020-02-14 富士通株式会社 データ送信方法、データ送信プログラム、及びデータ送信装置
CN106302772A (zh) * 2016-08-23 2017-01-04 惠州市拉维尼科技有限公司 信息存储方法
CN106331094A (zh) * 2016-08-23 2017-01-11 惠州市拉维尼科技有限公司 转发方法
CN106331093A (zh) * 2016-08-23 2017-01-11 惠州市拉维尼科技有限公司 数据发送方法
CN113434468B (zh) * 2021-06-01 2023-02-28 武汉天喻信息产业股份有限公司 文件存储方法、装置、设备及可读存储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60615A1 (en) * 2006-05-08 2007-11-08 Eran Shen Media with Pluggable Codec
US20090049099A1 (en) * 2007-08-14 2009-02-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media file
US20090106666A1 (en) * 2007-10-18 2009-04-23 Sony Corporation File transfer method, file transfer apparatus, and file transfer program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014799A1 (en) * 1989-05-08 1990-11-08 John W. Whisler System and method for reading and writing disks formatted for an operating system foreign to the host computer
JP3529588B2 (ja) * 1997-05-30 2004-05-24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計算機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計算機、一時保管用計算機及びこれらにおける方法
JP4201074B2 (ja) * 2001-02-23 2008-12-2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デジタルデータ送受信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FR2860121A1 (fr) * 2003-09-23 2005-03-25 France Telecom Procede d'etablissement d'un transfert de donnees entre deux dispositifs de communication et dispositif associe
US7478101B1 (en) * 2003-12-23 2009-01-13 Networks Appliance, Inc. System-independent data format in a mirrored storage system environment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JP4994698B2 (ja) 2006-04-13 2012-08-08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伝送装置及び情報伝送方法
US9680686B2 (en) * 2006-05-08 2017-06-13 Sandisk Technologies Llc Media with pluggable codec methods
US8090366B2 (en) 2006-10-19 2012-01-03 At&T Mobility Ii Llc Systems and methods for file sharing through mobile devices
US20080282355A1 (en) * 2007-05-12 2008-11-13 Nemazi John E Document container data structure and methods thereof
US8069298B2 (en) * 2007-06-29 2011-11-29 Sandisk Technologies Inc. Method of storing and accessing header data from memory
JP2009037361A (ja) * 2007-07-31 2009-02-19 Brother Ind Ltd サーバ装置、サーバ装置制御プログラム、及びファイル転送システム
CN101547161B (zh) 2008-03-28 2012-09-26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文件夹传输系统、文件夹传输装置及文件夹传输方法
US9015181B2 (en) 2008-09-26 2015-04-21 Commvault System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single instancing data
US7962621B2 (en) * 2009-01-13 2011-06-14 Microsoft Corporation—One Microsoft Way Policy service system architecture for sessions created using STUN
US20110246660A1 (en) * 2009-09-29 2011-10-06 Nokia Corporatio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for Media File Streaming
EP2912791B1 (en) * 2010-03-05 2019-05-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nd reproducing adaptive stream based on file format,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60615A1 (en) * 2006-05-08 2007-11-08 Eran Shen Media with Pluggable Codec
US20090049099A1 (en) * 2007-08-14 2009-02-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media file
US20090106666A1 (en) * 2007-10-18 2009-04-23 Sony Corporation File transfer method, file transfer apparatus, and file transfer progra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350721A (zh) 2015-02-11
JP6208225B2 (ja) 2017-10-04
KR20130136918A (ko) 2013-12-13
EP2856736A4 (en) 2016-02-17
EP2856736B1 (en) 2020-08-05
US20130325910A1 (en) 2013-12-05
JP2015524113A (ja) 2015-08-20
EP2856736A1 (en) 2015-04-08
CN104350721B (zh) 2018-11-13
WO2013183944A1 (en) 2013-12-12
US10331637B2 (en) 2019-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1776B1 (ko) 범용 디바이스에서의 파일 송/수신 장치 및 방법
US1016902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hort range wireless data transfer
JP6756009B2 (ja) データ伝送
US1015860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up an internet protocol addres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3538739B (zh) 智能锁的配对方法、电子装置和存储介质
CN104660567B (zh) D2d终端接入认证方法、d2d终端及服务器
US10291621B2 (en)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CN113595992B (zh) 安全绑定方法及系统、存储介质、电子装置
WO2017097129A1 (zh) 建立短距离无线通道的方法及装置
WO2018129753A1 (zh) 一种签约信息集的下载方法、装置以及相关设备
CN102761940B (zh) 一种802.1x认证方法和设备
JP6148458B2 (ja) 認証装置およびその方法、なら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07211265A (zh) 一种终端间的安全交互方法及装置
CN112689316A (zh) 智能设备的绑定方法、装置和存储介质及电子装置
CN112105003B (zh) 智能门锁的数据同步系统、方法、装置及可读存储介质
CN104904306B (zh) 用于向客户端设备分配网际协议地址的方法和装置
CN113242060A (zh) 接入网络的方法和装置、存储介质及电子装置
KR20200137520A (ko) 근거리 영역 네트워크(lan) 환경에서 기기 간 데이터 동기화가 가능한 데이터베이스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동기화 방법
CN116170793A (zh) 物联网设备eSIM服务实现方法、系统和可读存储介质
CN104243567A (zh) 一种用于在云计算传送信息的方法
KR102168549B1 (ko) 단말장치를 이용한 인증정보 입력 시스템 및 방법
CN116827926A (zh) 汽车ota车云通信及任务触发系统、方法、装置及介质
CN117859292A (zh) 用于连接建立的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01471778A (zh) 网络信息获取方法及通讯系统以及相关设备
CN103414561A (zh) 一种网络认证方法、装置和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53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053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3053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1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5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10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11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11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0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