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1495B1 - Overhead traveling system - Google Patents
Overhead traveling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81495B1 KR102181495B1 KR1020180130524A KR20180130524A KR102181495B1 KR 102181495 B1 KR102181495 B1 KR 102181495B1 KR 1020180130524 A KR1020180130524 A KR 1020180130524A KR 20180130524 A KR20180130524 A KR 20180130524A KR 102181495 B1 KR102181495 B1 KR 10218149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xis
- raceways
- fixed
- rails
- racewa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32258 transpor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2780 transparen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56 singl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33—Overhead convey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6—Mechanical details, e.g. roller, bel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3—Conveying cassettes, containers or c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천장 주행 시스템은 천장에 고정되는 몰드바와, 상기 X축 방향으로 연장하며 상기 몰드바에 고정되는 제1 X축 레이스웨이들 및 상기 제1 X축 레이스웨이들과 상하로 이격되며 상기 Y축 방향으로 연장하며 상기 몰드바에 고정되는 제1 Y축 레이스웨이들을 포함하고, 상기 몰드바의 하방에 구비되는 제1 레이스웨이와, 상기 제1 X축 레이스웨이들 및 상기 제1 Y축 레이스웨이들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며, 상기 X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다수의 제1 레일들과, 상기 제1 레일들을 따라 주행하며, 내부에 카세트를 수용하여 이송하는 제1 비히클들과, 상기 제1 비히클들의 하방에 배치되며, 상기 제1 X축 레이스웨이들 및 상기 제1 Y축 레이스웨이들 중 나머지 하나에 고정되는 제2 레이스웨이와, 상기 제2 레이스웨이에 고정되며, 상기 X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다수의 제2 레일들 및 상기 제2 레일들을 따라 주행하며, 내부에 카세트를 수용하여 이송하는 제2 비히클들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eiling driving system is vertically spaced apart from the mold bar fixed to the ceiling, the first X-axis raceways and the first X-axis raceways that extend in the X-axis direction and are fixed to the mold bar, and extend in the Y-axis direction. And including first Y-axis raceways fixed to the mold bar, a first raceway provided below the mold bar, and any one of the first X-axis raceways and the first Y-axis raceways A plurality of first rails fixed to and extending in the X-axis direction, first vehicles running along the first rails, receiving and transferring a cassette therein, and disposed under the first vehicles And a second raceway fixed to the remaining one of the first X-axis raceways and the first Y-axis raceways, and a plurality of second raceways fixed to the second raceway and extending in the X-axis direction. It may include 2 rails and second vehicles running along the second rails and receiving and transferring a cassette therein.
Description
본 발명은 천장 주행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층 레일 구조를 갖는 천장 주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eiling driv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ceiling driving system having a multi-layer rail structure.
일반적으로, 천장 주행 시스템은 건물 내부의 천장에 구비되어 주행 레일과 비히클을 이용하여 카세트와 같은 대상물을 이송한다. In general, a ceiling driving system is provided on a ceiling inside a building and transports an object such as a cassette using a driving rail and a vehicle.
상기 천장 주행 시스템은 단층 레일 구조를 가지거나, 상기 대상물의 이송 효율을 높이기 위해 다층 레일 구조를 가질 수 있다. The ceiling traveling system may have a single-layer rail structure or a multi-layer rail structure to increase the transfer efficiency of the object.
상기 천장 주행 시스템이 다층 레일 구조를 갖는 경우, 하중을 분산하기 위해 상기 천장에 고정되는 몰드바들과 상기 몰드바들에 고정되는 상부 레이스웨이들을 각각 격자 형태로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격자 형태로 구비된 상부 레이스웨이들을 브래킷으로 서로 고정한다. When the ceiling driving system has a multi-layer rail structure, mold bars fixed to the ceiling and upper raceways fixed to the mold bars may each be provided in a grid shape to distribute a load. In addition, the upper raceways provided in the grid form are fixed to each other with brackets.
상기 브래킷에 의해 서로 고정된 상기 상부 레이스웨이들에 다층의 레일들이 전체가 고정되므로, 상기 상부 레이스웨이들에 상기 레일들의 전체 하중이 가해진다. 따라서, 상기 하중이 상기 몰드바들의 일부 영역에 집중되어 상기 몰드바들이 손상될 수 있다. Since the entire multi-layered rails are fixed to the upper raceways fixed to each other by the bracket, the entire load of the rails is applied to the upper raceways. Accordingly, the load may be concentrated on some areas of the mold bars, and the mold bars may be damaged.
본 발명은 다층 레일 구조에서 몰드바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는 천장 주행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eiling driving system capable of distributing a load applied to a mold bar in a multilayer rail structure.
본 발명에 따른 천장 주행 시스템은, 천장에 고정되는 몰드바과, X축 방향으로 연장하며 상기 몰드바에 고정되는 제1 X축 레이스웨이들 및 상기 제1 X축 레이스웨이들과 상하로 이격되며 Y축 방향으로 연장하며 상기 몰드바에 고정되는 제1 Y축 레이스웨이들을 포함하고, 상기 몰드바의 하방에 구비되는 제1 레이스웨이와, 상기 제1 X축 레이스웨이들 및 상기 제1 Y축 레이스웨이들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며, 상기 X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다수의 제1 레일들과, 상기 제1 레일들을 따라 주행하며, 내부에 카세트를 수용하여 이송하는 제1 비히클들과, 상기 제1 비히클들의 하방에 배치되며, 상기 제1 X축 레이스웨이들 및 상기 제1 Y축 레이스웨이들 중 나머지 하나에 고정되는 제2 레이스웨이와 상기 제2 레이스웨이에 고정되며, 상기 X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다수의 제2 레일들 및 상기 제2 레일들을 따라 주행하며, 내부에 카세트를 수용하여 이송하는 제2 비히클들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eiling driv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ld bar fixed to the ceiling, first X-axis raceways extending in the X-axis direction and fixed to the mold bar, and vertically spaced apart from the first X-axis raceways and Y-axis A first raceway including first Y-axis raceways extending in a direction and fixed to the mold bar, and a first raceway provided under the mold bar, the first X-axis raceways, and the first Y-axis raceways A plurality of first rails fixed to any one of the first rails extending in the X-axis direction, first vehicles running along the first rails, receiving and transferring a cassette therein, and the first vehicles A plurality of second raceways disposed below and fixed to the remaining one of the first X-axis raceways and the first Y-axis raceways and the second raceway, and extending in the X-axis direction It may include second rails and second vehicles that travel along the second rails and receive and transport a cassette therein.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몰드바는, 상기 X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X축 몰드바들 및 상기 Y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Y축 몰드바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X축 레이스웨이들은 상기 Y축 몰드바들에 고정되고, 상기 제1 Y축 레이스웨이들은 상기 X축 몰드바들에 고정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ld bar includes X-axis mold bars extending in the X-axis direction and Y-axis mold bars extending in the Y-axis direction, and the first X-axis raceways It is fixed to the Y-axis mold bars, the first Y-axis raceways may be fixed to the X-axis mold bars.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몰드바는 하부면에 상기 몰드바의 연장 방향을 따라 T자 형태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레이스웨이는 상부면에 플랜지를 가지며, 상기 T자 형태의 홈에 삽입되도록 T자 형태의 헤드를 가지며 상기 제1 레이스웨이의 플랜지를 관통하는 볼트들 및 상기 볼트들에 각각 체결되는 너트들로 이루어지는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ld bar has a T-shaped groove formed on a lower surface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mold bar, and the first raceway has a flange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T-shaped It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member having a T-shaped head to be inserted into the groove of the shape and including bolts penetrating the flange of the first raceway and nuts respectively fastened to the bolts.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2 레이스웨이는, 상기 X축 방향으로 연장하며 제2 X축 레이스웨이들 및 상기 Y축 방향으로 연장하며 상기 제2 X축 레이스웨이들에 고정되는 제2 Y축 레이스웨이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X축 레이스웨이들 및 상기 제2 Y축 레이스웨이들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1 X축 레이스웨이들 및 상기 제1 Y축 레이스웨이들 중 나머지 하나와 고정되며, 상기 제2 레일들은 상기 제2 X축 레이스웨이들 및 상기 제2 Y축 레이스웨이들 중 나머지 하나에 고정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raceway extends in the X-axis direction, extends in the second X-axis raceways and the Y-axis direction, and is fixed to the second X-axis raceways. Including second Y-axis raceways, and any one of the second X-axis raceways and the second Y-axis raceways is the remainder of the first X-axis raceways and the first Y-axis raceways It is fixed to one, and the second rails may be fixed to the other one of the second X-axis raceways and the second Y-axis raceways.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천장 주행 시스템은, 상기 제1 비히클들의 하방에 배치되며, 상기 제1 X축 레이스웨이들 및 상기 제1 Y축 레이스웨이들 중 상기 제1 레일들이 고정된 어느 하나에 고정되어 상기 X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다수의 제3 레일들 및 상기 제3 레일들을 따라 주행하며, 내부에 카세트를 수용하여 이송하는 제3 비히클들을 더 포함하거나, 상기 제2 비히클들의 하방에 배치되며, 상기 제2 레이스웨이에 고정되어 상기 X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다수의 제4 레일들 및 상기 제4 레일들을 따라 주행하며, 내부에 카세트를 수용하여 이송하는 제4 비히클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eiling driving system is disposed below the first vehicles, and the first rails are fixed among the first X-axis raceways and the first Y-axis raceways. A plurality of third rails that are fixed to any one and extend in the X-axis direction and travel along the third rails, and further include third vehicles that receive and transfer a cassette therein, or the second vehicles A plurality of fourth rails disposed below and fixed to the second raceway extending in the X-axis direction, and a fourth vehicle driving along the fourth rails and receiving and transferring a cassette therein are further included can do.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천장 주행 시스템은, 상기 몰드바에 고정되고, 상기 제1 레일들의 Y축 방향 양측에 상기 X축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1 레일들 및 상기 제1 비히클들의 유지 보수를 위해 작업자가 이동하기 위한 통로 구조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eiling driving system is fixed to the mold bar, and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rails in the Y-axis direction so as to extend in the X-axis direction, and the first rails and the It may further include a passage structure for the operator to move for maintenance of the first vehicles.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천장 주행 시스템은, 상기 제2 레이스웨이의 상부면에 구비되며, 상기 제1 레일들 및 상기 제1 비히클들의 유지 보수를 위해 작업자가 이동할 수 있는 발판을 형성하는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eiling traveling system is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econd raceway, and provides a footrest through which an operator can move for maintenance of the first rails and the first vehicle. It may further include a plate to form.
본 발명에 따른 천장 주행 시스템은 상기 제1 X축 레이스웨이들과 상기 제1 Y축 레이스웨이들이 서로 이격되어 상기 몰드바에 고정되고, 상기 레일들과 상기 비히클이 상기 제1 X축 레이스웨이들과 상기 제1 Y축 레이스웨이들에 구분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레일들과 상기 비히클들의 하중이 상기 제1 X축 레이스웨이들과 상기 제1 Y축 레이스웨이들에 구분되어 가해지므로, 상기 레일들과 상기 비히클들의 하중이 상기 몰드바들의 일부 영역에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천장 주행 시스템의 구조적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In the ceiling driv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X-axis raceways and the first Y-axis raceway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fixed to the mold bar, and the rails and the vehicle are connected to the first X-axis raceways. It may be separated and fixed to the first Y-axis raceways. Since the load of the rails and the vehicle is separately applied to the first X-axis raceways and the first Y-axis raceways, the load of the rails and the vehicle is concentrated in a partial area of the mold bars. Can be prevent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ceiling driving system.
상기 천장 주행 시스템에서 상기 몰드바와 상기 제1 레이스웨이가 각각 격자 형태를 가지므로, 상기 몰드바와 상기 제1 레이스웨이의 교차 지점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레이스웨이를 상기 몰드바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부재들의 개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고정 부재들의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각 고정 부재들에 작용하는 하중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천장 주행 시스템이 큰 하중을 견딜 수 있다. In the ceiling driving system, since the mold bar and the first raceway each have a grid shap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intersection point between the mold bar and the first raceway.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number of fixing members for fixing the first raceway to the mold bar. As the number of the fixing members increases, the load acting on each of the fixing members may be reduced. Therefore, the overhead traveling system can withstand a large load.
상기 천장 주행 시스템은 상기 제1 레이스웨이에 플랜지를 형성하고, 상기 플랜지를 이용하여 상기 몰드바들과 상기 제1 레이스웨이를 다점 지지방식을 연결한다. 따라서, 상기 몰드바들의 연결 지점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하여 상기 몰드바들이 상기 레이스웨이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The ceiling driving system forms a flange on the first raceway, and connects the mold bars and the first raceway with a multi-point support method using the flange. Accordingly, the mold bars can stably fix the raceway by distributing the load applied to the connection points of the mold bars.
상기 천장 주행 시스템은 상기 제2 내지 제4 레일들의 상방에 각각 플레이트를 구비하므로, 작업자가 상기 플레이트들 이용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 레일들 및 상기 제1 내지 제3 비히클들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내지 제3 레일들 및 상기 제1 내지 제3 비히클들에 대한 유지 보수를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Since the ceiling driving system has a plate above each of the second to fourth rails, an operator can easily access the first to third rails and the first to third vehicles using the plates. I can. Accordingly, maintenance of the first to third rails and the first to third vehicles can be stably performed.
상기 플레이트에 다수의 개구가 구비되므로 팬 필터 유닛에 의해 상방에서 하방으로 흐르는 하강 기류가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플레이트들을 통과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플레이트가 상기 하강 기류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는다. Since a plurality of openings are provided in the plate, a downward airflow flowing from the top to the bottom by the fan filter unit may pass through the plates through the opening. Thus, the plate does not interfere with the flow of the downdraft.
상기 플레이트가 투명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천장에 구비된 조명에서 조사된 광을 차단하지 않고 투과시킨다. 따라서, 상기 제2 내지 제4 레일에서의 조도가 낮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Since the plate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lighting provided on the ceiling is transmitted without blocking.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lluminance in the second to fourth rails from being lower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 주행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천장 주행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몰드바와 제1 레이스웨이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Y축 몰드바와 제1 X축 레이스웨이의 고정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Y축 몰드바와 제1 X축 레이스웨이의 고정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T자형 헤드를 갖는 볼트와 너트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플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천장 주행 시스템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천장 주행 시스템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천장 주행 시스템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1 is a front view for explaining a ceiling driv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for explaining the ceiling driving system shown in FIG. 1.
3 is a schematic plan view for explaining the arrangement of the mold bar and the first raceway shown in FIG. 1.
FIG. 4 is a front view for explaining the fixing structure of the Y-axis mold bar and the first X-axis raceway shown in FIG. 1.
FIG. 5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fixing structure of the Y-axis mold bar and the first X-axis raceway shown in FIG. 1.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olt and nut having a T-shaped head shown in FIG. 1.
7 is a plan view illustrating the plate shown in FIG. 1.
8 is a front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xample of the ceiling driving system shown in FIG. 1.
9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the ceiling driving system shown in FIG. 1.
10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the ceiling driving system shown in FIG. 1.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and various forms may be applied, and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form disclosed,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each drawing, similar reference numerals have been used for similar elements.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imensions of the structures are shown to be enlarged compared to the actual size for clarity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s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elem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element, and similarly, a second element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element.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elements or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oes not pre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being added.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a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Does no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 주행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천장 주행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몰드바와 제1 레이스웨이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Y축 몰드바와 제1 X축 레이스웨이의 고정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Y축 몰드바와 제1 X축 레이스웨이의 고정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1에 도시된 T자형 헤드를 갖는 볼트와 너트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1에 도시된 플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1 is a front view for explaining a ceiling driv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artial enlarged view for explaining the ceiling driving system shown in FIG. 1, and FIG. 3 is a mold shown in FIG. It is a schematic plan view for explaining the arrangement of the bar and the first raceway, Figure 4 is a front view for explaining the fixing structure of the Y-axis mold bar and the first X-axis raceway shown in Figure 1, Figure 5 is It is a side view for explaining the fixing structure of the illustrated Y-axis mold bar and the first X-axis raceway,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bolt and nut having the T-shaped head shown in Figure 1, Figure 7 is It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the plate shown in.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천장 주행 시스템(100)은 몰드바(110), 제1 레이스웨이(120), 고정 부재들(130), 제1 레일(140), 제1 레일 고정 부재들(150), 제1 비히클(160), 연장 부재들(170), 제2 레이스웨이(180), 제2 레일(190), 제2 레일 고정 부재들(200), 제2 비히클(210), 플레이트(220) 및 통로 구조물(230)을 포함한다. 1 to 7, the
상기 몰드바(110)는 격자 형태를 가지며, 천장(미도시)에 고정된다. 상기 몰드바(110)는 직접 상기 천장에 고정되거나 별도의 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천장과 이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몰드바(110)가 상기 천장에 직접 고정되는 경우, 상기 몰드바(110)는 상기 천장에 매립되거나, 상기 천장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The
구체적으로, 상기 몰드바(110)는 X축 몰드바들(110a) 및 Y축 몰드바들(110b)을 포함한다. Specifically, the
상기 X축 몰드바들(110a)은 X축 방향을 따라 연장하며, Y축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서로 이격될 수 있다. The
상기 Y축 몰드바들(110b)은 상기 Y축 방향을 따라 연장하며, 상기 X축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서로 이격될 수 있다. The Y-axis mold bars 110b extend along the Y-axis direction, and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X-axis direction.
상기 몰드바(110)의 하부면에는 홈(112)이 형성된다. 상기 홈(112)은 상기 몰드바(110)의 연장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홈(112)은 상기 몰드바(110)의 양단부까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X축 몰드바들(110a)에서 상기 홈(112)은 상기 X축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Y축 몰드바들(110b)에서 상기 홈(112)은 상기 Y축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A
또한, 상기 홈(112)의 단면은 대략 T자 형태를 갖는다. In addition, the cross section of the
구체적으로, 상기 홈(112)은 하부홈(112a) 및 상부홈(112b)을 갖는다. Specifically, the
상기 하부홈(112a)은 상기 몰드바(110)의 하부면에 구비되며, 제1 폭을 갖는다. The
상기 상부홈(112b)은 상기 하부홈(112a)의 상면에 상기 하부홈(112a)과 연결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 폭보다 넓은 제2 폭을 갖는다. The
상기 제1 레이스웨이(120)는 상기 몰드바(110)의 하방에 배치되며, 격자 형태를 갖는다. The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레이스웨이(120)는 제1 X축 레이스웨이들(120a) 및 제1 Y축 레이스웨이들(120b)을 포함한다. Specifically, the
상기 제1 X축 레이스웨이들(120a)은 상기 X축 방향을 따라 연장하며, 상기 Y축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서로 이격될 수 있다. The
상기 제1 Y축 레이스웨이들(120b)은 상기 Y축 방향을 따라 연장하며, 상기 X축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서로 이격될 수 있다. The first Y-
상기 제1 X축 레이스웨이들(120a)과 상기 제1 Y축 레이스웨이들(120b)은 상하로 서로 이격된다. 상기 제1 X축 레이스웨이들(120a)이 상기 제1 Y축 레이스웨이들(120b)의 상방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제1 X축 레이스웨이들(120a)이 상기 제1 Y축 레이스웨이들(120b)의 하방에 배치될 수도 있다. The
상기 제1 레이스웨이(120)의 간격은 상기 몰드바(110)의 간격과 동일할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 The spacing of the
상기 몰드바(110)와 상기 제1 레이스웨이(120)가 각각 격자 형태를 가지므로, 상기 몰드바(110)와 상기 제1 레이스웨이(120)가 각각 상기 X축과 상기 Y축 중 어느 한 방향으로만 연장된 형태일 때보다 상기 몰드바(110)와 상기 제1 레이스웨이(120)의 교차 지점을 증가시킬 수 있다. Since the
상기 제1 레이스웨이(120)는 상부면에 플랜지(122)를 갖는다. 상기 플랜지(122)는 상기 제1 레이스웨이(120)의 폭보다 넓은 폭을 가지며, 상기 제1 레이스웨이(120)를 상기 몰드바(110)에 고정하는데 이용된다. The
한편, 상기 제1 레이스웨이(120)는 양측면과 하부면에 각각 홈들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홈들에는 턴 버클, 행거 볼트 등이 장착될 수 있다. Meanwhile, the
상기 고정 부재들(130)은 상기 몰드바(110)와 상기 제1 레이스웨이(120)의 교차 지점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제1 레이스웨이(120)를 상기 몰드바(110)에 고정한다. The fixing
상기 X축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상기 X축 몰드바들(110a)은 상기 Y축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상기 제1 Y축 레이스웨이들(120b)과 교차하고, 상기 Y축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상기 Y축 몰드바들(110b)은 상기 X축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상기 제1 X축 레이스웨이들(120a)과 교차한다. 따라서, 상기 고정 부재들(130)은 상기 제1 X축 레이스웨이들(120a)을 상기 Y축 몰드바들(110b)에 고정하고, 상기 제1 Y축 레이스웨이들(120b)을 상기 X축 몰드바들(110a)에 고정한다. The
상기 몰드바(110)와 상기 제1 레이스웨이(120)의 교차 지점이 증가하므로, 상기 고정 부재들(130)의 개수도 증가한다. 상기 고정 부재들(130)의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각 상기 고정 부재들(130)에 작용하는 하중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천장 주행 시스템(100)이 큰 하중을 견딜 수 있다. Since the intersection of the
상기 고정 부재들(130) 각각은 볼트(132)들과 너트(134)들을 포함한다. Each of the fixing
상기 볼트(132)들과 상기 너트(134)들은 상기 레이스웨이(120)를 상기 몰드 바(110)에 고정한다. 상기 볼트(132)들과 상기 너트(134)들은 상기 교차 지점에 각각 2개씩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2개를 초과하여 구비될 수도 있다. The
구체적으로, 도 6과 같이 상기 볼트(132)들은 헤드가 일 방향으로 연장된 T자 형태를 갖는 T 볼트들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볼트(132)의 헤드에서 단방향 폭은 상기 홈(112)이 상기 하부홈(112a)의 제1 폭과 같거나 작을 수 있고, 장방향 폭은 상기 홈(112)의 상기 하부홈(112a)의 제1 폭보다는 크고 상기 상부홈(112b)의 제2 폭과 같거나 작을 수 있다.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6, the
상기 볼트(132)에서 상기 헤드의 연장 방향과 상기 홈(112)의 연장 방향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볼트(132)의 헤드를 상기 하부홈(112a)을 거쳐 상기 상부홈(112b)까지 상승시킨 후 상기 볼트(132)를 90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볼트(132)를 상기 몰드바(110)의 T자 형태의 상기 홈(112)에 삽입할 수 있다. In the state in which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head and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또한, 상기 볼트(132)들은 상기 제1 레이스웨이(120)의 상기 플랜지(122)를 관통한다. In addition, the
상기 볼트(132)들이 상기 몰드바(110)의 상기 홈(112)에 장착되고, 상기 플랜지(122)를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너트(134)들이 상기 볼트(132)에 각각 체결된다. The
상기 볼트(132)들과 상기 너트(134)들을 이용하여 상기 몰드바(110)와 상기 제1 레이스웨이(120)를 고정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The process of fixing the
상기 볼트(132)들을 상기 제1 X축 레이스웨이들(120a) 및 상기 제1 Y축 레이스웨이들(120b)의 상방에서 상기 플랜지(122)를 관통하여 삽입한다. 각각 격자 형태를 갖는 상기 몰드바(110)와 상기 제1 레이스웨이(120)를 교차하도록 정렬한 후, 상기 Y축 몰드바들(110b)의 하부면에 상기 제1 X축 레이스웨이들(120a)을 밀착시키고, 상기 제1 X축 레이스웨이들(120a)의 하부면에 상기 제1 Y축 레이스웨이들(120b)을 밀착시킨다. 이후, 상기 볼트(132)들을 상기 X축 몰드바들(110a)의 상기 홈(112) 및 상기 Y축 몰드바들(110b)의 상기 홈(112)에 각각 접촉시킨다. 이때, 볼트(132)에서 상기 헤드의 연장 방향과 상기 홈(112)의 연장 방향을 일치시킨다. 이후, 상기 볼트(132)들의 헤드를 상기 홈(112)의 상기 하부홈(112a)을 거쳐 상기 상부홈(112b)까지 상승시킨 후 상기 볼트(132)들을 90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볼트(132)들을 상기 X축 몰드바들(110a)의 상기 홈(112) 및 상기 Y축 몰드바들(110b)의 상기 홈(112)에 각각 삽입한다. 다음으로, 상기 X축 몰드바들(110a)의 상기 홈(112) 및 상기 Y축 몰드바들(110b)의 상기 홈(112)에 각각 삽입되고 상기 제1 Y축 레이스웨이들(120b)의 상기 플랜지(122) 및 상기 제1 X축 레이스웨이들(120a)의 상기 플랜지(122)를 각각 관통한 상기 볼트(132)들에 상기 너트(134)들을 체결함으로써, 상기 X축 몰드바들(110a)에 상기 제1 Y축 레이스웨이들(120b)을 고정하고, 상기 Y축 몰드바들(110b)에 상기 제1 X축 레이스웨이들(120a)을 고정할 수 있다. The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볼트(132)들과 상기 너트(134)들은 도 4 및 도 5와 다르게 상기 제1 레이스웨이(120)를 상기 몰드바(110)에 고정할 수 있다. Meanwhile, although not shown, the
구체적으로, 상기 너트(134)들을 상기 몰드바(110)의 양측면을 통해 상기 상부홈(112b)에 삽입한다. 이때, 상기 너트(134)들의 폭은 상기 하부홈(112a)의 제1 폭보다는 크고 상기 상부홈(112b)의 제2 폭과 같거나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홈(112b)에 삽입된 상기 너트(134)들은 상기 하부홈(112a)을 통해 상기 몰드바(110)의 하방으로 이탈되지 않는다. Specifically, the
상기 몰드바(110)와 상기 제1 레이스웨이(120)를 정렬한 후, 상기 몰드바(110)의 하부면과 상기 제1 레이스웨이(120)의 상부면을 밀착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볼트(132)들을 상기 제1 레이스웨이(120)의 하방에서 상기 플랜지(122)를 관통시킨 후 상기 상부홈(112b)에 삽입된 상기 너트(134)들과 각각 체결한다. 이때, 상기 볼트(132)들은 T 볼트일 수도 있지만, 일반 볼트일 수도 있다. After the
상기 몰드바(110)의 T자 형태의 상기 홈(112)과 상기 제1 레이스웨이(120)의 상기 플랜지(122)를 관통하는 T자 형태의 헤드를 갖는 볼트(132)를 이용하여 상기 몰드바(110)와 상기 제1 레이스웨이(120)를 단순하면서도 신속하게 체결할 수 있다. 그러므로, 레이스웨이 유닛(100)을 상기 전장에 신속하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The mold using a
또한, 상기 제1 레이스웨이(120)가 상기 플랜지(122)를 가지므로, 상기 플랜지(122)와 상기 볼트(132)들 및 상기 너트(134)들을 이용하여 상기 몰드바(110)와 상기 제1 레이스웨이(120)를 다점 지지방식을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몰드바(110)와 상기 레이스웨이(120)의 교차 지점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하여 상기 몰드바(110)가 상기 제1 레이스웨이(120)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상기 제1 레일(140)은 상기 X축 방향으로 연장한다. 상기 제1 레일(140)을 따라 상기 제1 비히클(160)이 주행할 수 있다. 상기 제1 레일(140)은 상기 제1 레이스웨이(120)의 하방에 위치할 수 있다. The
상기 제1 레일 고정 부재들(150)은 상기 제1 레일(140)을 상기 제1 레이스웨이(120)에 고정한다. 상기 제1 레일(140)이 상기 X축 방향을 따라 연장하므로, 상기 제1 레일 고정 부재들(150)은 상기 제1 레일(140)을 상기 제1 레이스웨이(120) 중 상기 제1 X축 레이스웨이들(120a)에 고정한다. 그러므로, 상기 제1 레일(140)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1 레이스웨이(120)의 상기 제1 X축 레이스웨이들(120a) 사이의 간격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The first
상기 제1 레일(140)의 상부면에는 상기 X축 방향을 따라 T자형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레일 고정 부재들(150)은 상기 T자형 홈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레일(140)을 상기 제1 레이스웨이(120)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레일 고정 부재들(150)의 예로는 턴 버클, 행거 볼트 등을 들 수 있다. A T-shaped groove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상기 제1 비히클(160)은 상기 제1 레일(140)을 따라 주행하며, 내부에 카세트와 같은 대상물을 수용하여 이송할 수 있다. 상기 제1 비히클(16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일반적인 비히클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The
상기 제1 레일(140) 및 상기 제1 비히클(160)은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다수의 상기 제1 비히클(160)을 이용하여 상기 대상물을 동시에 이송할 수 있다. A plurality of the
상기 연장 부재들(170)은 상기 제1 레이스웨이(120)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한다. 이때, 상기 연장 부재들(170)의 연장 단부는 상기 제1 비히클(160)의 하부면보다 하방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연장 부재들(170)의 예로는 턴 버클, 행거 볼트 등을 들 수 있다. The
다른 예로, 상기 연장 부재들(170)은 상기 몰드바(110)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할 수도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상기 제2 레이스웨이(180)는 상기 연장 부재들(170)에 고정되며, 격자 형태를 갖는다.The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레이스웨이(180)는 제2 X축 레이스웨이들(180a) 및 제2 Y축 레이스웨이들(180b)을 포함한다. Specifically, the
상기 제2 X축 레이스웨이들(180a)은 상기 X축 방향을 따라 연장하며, Y축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X축 레이스웨이들(180a)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1 레이스웨이(120)의 상기 제1 X축 레이스웨이들(120a) 사이의 간격 및 상기 제1 레일(140) 사이의 간격이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The
상기 제2 Y축 레이스웨이들(180b)은 상기 Y축 방향을 따라 연장하며, 상기 X축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서로 이격될 수 있다. The second Y-
상기 제2 X축 레이스웨이들(180a)과 상기 제2 Y축 레이스웨이들(180b)은 서로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X축 레이스웨이들(180a)은 상부면에 플랜지를 가지고, 상기 제2 Y축 레이스웨이들(180b)은 하부면에 플랜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X축 레이스웨이들(180a)의 플랜지와 상기 제2 Y축 레이스웨이들(180b)의 플랜지를 볼트와 너트로 체결함으로써 상기 제2 X축 레이스웨이들(180a)과 상기 제2 Y축 레이스웨이들(180b)을 서로 고정할 수 있다.The
한편, 상기 제2 X축 레이스웨이들(180a)과 상기 제2 Y축 레이스웨이들(180b)은 별도의 고정 부재를 이용하여 서로 고정될 수도 있다. Meanwhile, the
도 2와 같이 상기 제2 X축 레이스웨이들(180a)이 상기 제2 Y축 레이스웨이들(180b)의 하부면과 접촉할 수도 있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2 Y축 레이스웨이들(180b)은 상기 제2 X축 레이스웨이들(180a)의 하부면과 접촉할 수도 있다. As shown in FIG. 2, the
상기 제1 레일(140) 사이의 간격이 상기 제1 X축 레이스웨이들(120a) 사이의 간격 및 상기 제2 X축 레이스웨이들(180a)의 간격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상기 연장 부재들(170)이 상기 제1 X축 레이스웨이들(120a) 및 상기 제2 X축 레이스웨이들(180a)에 각각 고정되는 경우, 상기 연장 부재들(170)이 상기 제1 레일(140)을 간섭할 수 있다. Since the distance between the
상기 제1 Y축 레이스웨이들(120b) 및 상기 제2 Y축 레이스웨이들(180b)은 상기 제1 레일(140)의 연장 방향인 X축과 수직하는 Y축 방향을 따라 연장한다. 따라서, 상기 연장 부재들(170)이 상기 제1 Y축 레이스웨이들(120b) 및 상기 제2 Y축 레이스웨이들(180b)에 각각 고정되는 경우, 상기 연장 부재들(170)이 상기 제1 레일(140)을 간섭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The first Y-
또한, 상기 연장 부재들(170)이 상기 제1 X축 레이스웨이들(120a) 및 상기 제2 X축 레이스웨이들(180a)에 각각 고정되는 경우, 상기 제1 레일(140) 및 상기 제1 비히클(160)의 하중과 상기 제2 레일(190) 및 상기 제2 비히클(210)의 하중이 상기 제1 X축 레이스웨이들(120a)에 가해질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상기 연장 부재들(170)이 상기 제1 Y축 레이스웨이들(120b) 및 상기 제2 Y축 레이스웨이들(180b)에 각각 고정되는 경우, 상기 제1 레일(140) 및 상기 제1 비히클(160)의 하중과 상기 제2 레일(190) 및 상기 제2 비히클(210)의 하중이 상기 제1 X축 레이스웨이들(120a) 및 상기 제1 Y축 레이스웨이들(120b)에 분산되어 가해질 수 있다. 상기 제1 레일(140) 및 상기 제1 비히클(160)의 하중과 상기 제2 레일(190) 및 상기 제2 비히클(210)의 하중이 상기 몰드바(110)의 일부 영역에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천장 주행 시스템(100)은 상기 제1 X축 레이스웨이들(120a) 및 상기 제1 Y축 레이스웨이들(120b)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천장 주행 시스템(100)의 구조적 안정성을 높일 수 있고, 상기 복층 레일을 안정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When the
상기 제2 레일(190)은 상기 제1 레일(140)과 마찬가지로 X축 방향으로 연장한다. 상기 제2 레일(190)을 따라 상기 제2 비히클(210)이 주행할 수 있다. 상기 제2 레일(190)은 상기 제2 레이스웨이(180)의 하방에 위치할 수 있다. Like the
상기 제2 레일(190)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1 레일(140) 사이의 간격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The distance between the
상기 제2 레일 고정 부재들(200)은 상기 제2 레일(190)을 상기 제2 레이스웨이(180)에 고정한다. 상기 제2 레일(190)이 상기 X축 방향을 따라 연장하므로, 상기 제2 레일 고정 부재들(200)은 상기 제2 레일(190)을 상기 제2 레이스웨이(180) 중 상기 제2 X축 레이스웨이들(180a)에 고정한다. The second
상기 제2 레일(190)의 상부면에는 상기 X축 방향을 따라 T자형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레일 고정 부재들(200)은 상기 T자형 홈을 이용하여 상기 제2 레일(190)을 상기 제2 레이스웨이(180)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제2 레일 고정 부재들(200)의 예로는 턴 버클, 행거 볼트 등을 들 수 있다. A T-shaped groov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상기 제2 비히클(210)은 상기 제2 레일(190)을 따라 주행하며, 상기 대상물을 수용하여 이송할 수 있다.The
상기 제2 레일(190) 및 상기 제2 비히클(210)은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다수의 상기 제2 비히클(210)을 이용하여 상기 대상물을 동시에 이송할 수 있다. A plurality of the
상기 천장 주행 시스템(100)은 상기 몰드바(110), 상기 제1 레이스웨이(120), 상기 고정 부재들(130)을 포함하므로, 상기 천장 주행 시스템(100)이 큰 하중을 견딜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천장 주행 시스템(100)은 상기 제1 레일(140) 및 상기 제2 레일(190)을 포함하는 복층 레일을 더욱 안정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Since the
또한, 상기 천장 주행 시스템(100)은 상기 제1 레일(140) 및 상기 제2 레일(190)을 통해 상기 제1 비히클(160) 및 상기 제2 비히클(210)을 동시에 주행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대상물의 이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상기 플레이트(220)는 상기 제2 레일(190)의 상방에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플레이트(220)는 상기 제2 레이스웨이(180)의 상부면에 고정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2 X축 레이스웨이들(180a) 및 상기 제2 Y축 레이스웨이들(180b) 중 상방에 위치하는 것의 상부면에 상기 플레이트(220)가 고정될 수 있다. The
상기 플레이트(220)는 상기 제2 레이스웨이(180)의 상부면 전체 영역에 구비되거나, 일부 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The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플레이트(220)는 볼트와 너트와 같은 별도의 체결 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레이스웨이(180)의 상부면에 고정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the
상기 플레이트(220)는 대략 사각 평판 형태를 가지며, 다수개가 모여 작업자가 이동할 수 있는 발판을 형성한다. 상기 제1 레일(140) 및 상기 제1 비히클(160)이 다수개 구비되더라도 상기 제1 레일(140) 및 상기 제1 비히클(160)의 위치에 상관없이 작업자가 상기 플레이트(220)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레일(140) 및 상기 제1 비히클(160)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레일(140) 및 상기 제1 비히클(160)에 대한 유지 보수를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The
상기 플레이트(220)에는 다수의 개구들(222)이 구비된다. 상기 천장에는 팬 필터 유닛(미도시)이 구비되어 상방에서 하방으로 흐르는 하강 기류를 형성한다. 상기 하강 기류가 상기 개구들(222)을 통해 상기 플레이트(220)를 통과할 수 있으므로, 상기 플레이트(220)가 상기 하강 기류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는다. A plurality of
상기 플레이트(220)의 개구율이 약 60% 미만인 경우, 상기 플레이트(220)의 면적에 비해 상기 개구들(222)의 전체 면적이 상대적으로 좁아서 상기 하강 기류가 상기 플레이트(220)의 하방으로 충분히 전달되기 못한다. 따라서, 상기 플레이트(220)의 하방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충분히 제거하기 어렵다. When the opening ratio of the
상기 플레이트(220)의 개구율이 약 80%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플레이트(220)의 면적에 비해 상기 개구들(222)의 전체 면적이 상대적으로 넓어 상기 플레이트(220)의 강도가 약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플레이트(220)가 작업자의 하중을 견디지 못하고 파손될 수 있다. When the opening ratio of the
상기 플레이트(220)가 상기 하강 기류를 하방으로 충분히 전달하면서도 작업자의 하중을 견딜 수 있는 강도를 갖기 위해서 상기 플레이트(220)의 개구율은 약 60 내지 80%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플레이트(220)의 개구율은 약 70% 일 수 있다. In order for the
상기 플레이트(220)는 투명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투명 재질의 예로는 플라스틱, 유리 등을 들 수 있다. The
상기 플레이트(220)가 투명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상기 천장에 구비된 조명에서 조사된 광을 상기 플레이트(220)에 의해 차단되지 않고 투과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플레이트(220)의 하방에서 조도가 낮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Since the
상기 통로 구조물(230)은 상기 제1 레일(140)과 상기 제2 레일(190)의 Y축 방향 일측 또는 양측에 구비되어 X축 방향으로 연장한다. 상기 통로 구조물(230)은 상기 천장에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통로 구조물(230)은 상기 제1 레이스웨이(120)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천장에 고정될 수 있다. The
상기 통로 구조물(230)은 발판(232) 및 발판 고정 부재들(234)을 포함한다. The
상기 발판(232)은 평판 형태를 가지며, X축 방향으로 연장한다. 상기 발판(232)을 따라 작업자가 이동할 수 있다. The
또한 상기 발판(232)은 상기 하강 기류를 통과시키기 위한 다수의 개구들(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상기 발판 고정 부재들(234)은 상기 발판(232)을 상기 제1 레이스웨이(120)에 고정한다. 상기 발판 고정 부재들(234)은 상기 발판(232)을 상기 제1 X축 레이스웨이들(120a)에 고정할 수도 있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1 Y축 레이스웨이들(120b)에 고정할 수도 있다. The
상기 발판(232)의 상부면에는 상기 X축 방향을 따라 T자형 홈이 형성되고, 상기 발판 고정 부재들(234)은 상기 T자형 홈을 이용하여 상기 발판(232)을 상기 제1 레이스웨이(120)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발판 고정 부재들(234)의 예로는 턴 버클, 행거 볼트 등을 들 수 있다. A T-shaped groov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상기 통로 구조물(230)은 작업자가 이동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하므로, 작업자가 상기 제1 레일(140) 및 상기 제1 비히클(160)을 안정적으로 유지 보수할 수 있다. Since the
상기 제1 레일(140) 및 상기 제1 비히클(160)이 다수개 구비되는 경우, 상기 통로 구조물(230)을 이용하여 Y축 방향 외곽에 위치하는 상기 제1 레일(140) 및 상기 제1 비히클(160)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고, 상기 플레이트(220)를 이용하여 중앙에 위치하는 상기 제1 레일(140) 및 상기 제1 비히클(160)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플레이트(220) 및 상기 통로 구조물(230)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레일(140) 및 상기 제1 비히클(160)의 위치와 무관하게 용이하게 접근하여 안정적으로 유지 보수를 수행할 수 있다. When a plurality of the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천장 주행 시스템(100)에는 상기 제1 레일(140)과 상기 제2 레일(190)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1 비히클(160)을 상기 제2 레일(190)로 하강시키거나 상기 제2 비히클(210)을 상기 제1 레일(140)로 상승시키기 위한 리프트 구조물을 포함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the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천장 주행 시스템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8 is a front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xample of the ceiling driving system shown in FIG. 1.
도 8을 참조하면, 천장 주행 시스템(100)은 몰드바(110), 제1 레이스웨이(120), 고정 부재들(130), 제1 레일(140), 제1 레일 고정 부재들(150), 제1 비히클(160), 연장 부재들(170), 제2 레이스웨이(180), 제2 레일(190), 제2 레일 고정 부재들(200), 제2 비히클(210), 플레이트(220) 및 통로 구조물(230)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8, the
상기 제1 레일 고정 부재들(150) 및 상기 연장 부재들(170)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은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한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The description of the remaining components except for the first
상기 제1 레일 고정 부재들(150)은 상기 제1 레일(140)을 상기 제1 레이스웨이(120)에 고정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레일 고정 부재들(150)은 상기 제1 레일(140)을 상기 제1 Y축 레이스웨이들(120b)에 고정한다. The first
상기 제1 레일은 상기 X축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제1 Y축 레이스웨이들(120b)은 상기 Y축 방향으로 연장하므로, 상기 제1 Y축 레이스웨이들(120b)에서 상기 제1 레일(140)이 고정되는 위치와 상기 제1 레일(140) 사이의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Since the first rail extends in the X-axis direction, and the first Y-
상기 연장 부재들(170)은 상기 제1 X축 레이스웨이들(120a) 및 상기 제2 Y축 레이스웨이들(180b)에 각각 고정될 수 있다. The
상기 연장 부재들(170)이 상기 제1 Y축 레이스웨이들(120b) 및 상기 제2 Y축 레이스웨이들(180b)에 각각 고정되는 경우, 상기 제1 레일(140) 및 상기 제1 비히클(160)의 하중과 상기 제2 레일(190) 및 상기 제2 비히클(210)의 하중이 상기 제1 Y축 레이스웨이들(120b)에 가해질 수 있다. When the
상기 연장 부재들(170)이 상기 제1 X축 레이스웨이들(120a) 및 상기 제2 Y축 레이스웨이들(180b)에 각각 고정되는 경우, 상기 제1 레일(140) 및 상기 제1 비히클(160)의 하중과 상기 제2 레일(190) 및 상기 제2 비히클(210)의 하중이 상기 제1 X축 레이스웨이들(120a) 및 상기 제1 Y축 레이스웨이들(120b)에 분산되어 가해질 수 있다. 상기 제1 레일(140) 및 상기 제1 비히클(160)의 하중과 상기 제2 레일(190) 및 상기 제2 비히클(210)의 하중이 상기 몰드바(110)의 일부 영역에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천장 주행 시스템(100)은 상기 제1 X축 레이스웨이들(120a) 및 상기 제1 Y축 레이스웨이들(120b)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천장 주행 시스템(100)의 구조적 안정성을 높일 수 있고, 상기 복층 레일을 안정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When the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천장 주행 시스템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9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the ceiling driving system shown in FIG. 1.
도 9를 참조하면, 천장 주행 시스템(100)은 몰드바(110), 제1 레이스웨이(120), 고정 부재들(130), 제1 레일(140), 제1 레일 고정 부재들(150), 제1 비히클(160), 제1 연장 부재들(170), 제2 레이스웨이(180), 제2 레일(190), 제2 레일 고정 부재들(200), 제2 비히클(210), 플레이트(220), 통로 구조물(230), 제2 연장 부재들(240), 제3 레이스웨이(250), 제3 레일(260), 제3 레일 고정 부재들(270), 제3 비히클(280), 제3 연장 부재들(290), 제4 레이스웨이(300), 제4 레일(310), 제4 레일 고정 부재들(320), 제4 비히클(330)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 the
상기 제1 레이스웨이(120), 상기 제2 연장 부재들(240), 상기 제3 레이스웨이(250), 상기 제3 레일(260), 상기 제3 레일 고정 부재들(270), 상기 제3 비히클(280), 상기 제4 연장 부재들(290), 상기 제4 레이스웨이(300), 상기 제4 레일(310), 상기 제4 레일 고정 부재들(320), 상기 제4 비히클(330)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은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한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The
상기 제1 레이스웨이(120)는 제1 X축 레이스웨이들(120a), 제1 Y축 레이스웨이들(120b) 및 추가 제1 Y축 레이스웨이들(120c)을 포함한다. The
상기 제1 X축 레이스웨이들(120a)은 상기 X축 방향을 따라 연장하며, 상기 Y축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서로 이격될 수 있다. The
상기 제1 Y축 레이스웨이들(120b)은 상기 Y축 방향을 따라 연장하며, 상기 X축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서로 이격될 수 있다. The first Y-
상기 추가 제1 Y축 레이스웨이들(120c)은 상기 Y축 방향을 따라 연장하며, 상기 X축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서로 이격될 수 있다. The additional first Y-
상기 추가 제1 Y축 레이스웨이들(120c)은 상기 제1 X축 레이스웨이들(120a)의 하방에 위치한다. 상기 추가 제1 Y축 레이스웨이들(120c)은 상기 고정 부재들(130)에 의해 상기 Y축 몰드바들(110b)에 고정되거나, 상기 제1 X축 레이스웨이들(120a)의 하부면에 직접 고정될 수 있다. The additional first Y-
상기 제1 Y축 레이스웨이들(120b)은 상기 추가 제1 Y축 레이스웨이들(120c)의 하방에 위치하며, 상기 제1 Y축 레이스웨이들(120b)과 상기 추가 제1 Y축 레이스웨이들(120c)은 상하로 서로 이격된다. The first Y-
상기 제2 연장 부재들(240)은 상기 추가 제1 Y축 레이스웨이들(120c)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한다. 상기 제2 연장 부재들(240)의 연장 단부는 상기 제1 비히클(160)의 하부면보다 하방에 위치할 수 있다. The
상기 제3 레이스웨이(250), 상기 제3 레일(260), 상기 제3 레일 고정 부재들(270), 상기 제3 비히클(280)은 상기 제1 비히클(160)과 상기 제2 레이스웨이(180)의 사이에 구비된다. The
상기 제3 레이스웨이(250)는 상기 제2 연장 부재들(240)에 고정되며, 격자 형태를 갖는다.The
구체적으로, 상기 제3 레이스웨이(250)는 제3 X축 레이스웨이들 및 제3 Y축 레이스웨이들을 포함한다. Specifically, the
상기 제3 X축 레이스웨이들 및 상기 제3 Y축 레이스웨이들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상기 제2 X축 레이스웨이들(180a) 및 제2 Y축 레이스웨이들(180b)에 대한 설명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third X-axis raceways and the third Y-axis raceways is substantially as described for the
상기 제1 레일(140) 사이의 간격이 상기 제1 X축 레이스웨이들(120a) 사이의 간격 및 상기 제3 X축 레이스웨이들의 간격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상기 제2 연장 부재들(240)이 상기 제1 X축 레이스웨이들(120a) 및 상기 제3 X축 레이스웨이들에 각각 고정되는 경우, 상기 제2 연장 부재들(240)이 상기 제1 레일(140)을 간섭할 수 있다. Since the distance between the
따라서, 상기 추가 제1 Y축 레이스웨이들(120c)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연장 부재들(240)이 상기 추가 제1 Y축 레이스웨이들(120c) 및 상기 제3 Y축 레이스웨이들에 각각 고정되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제2 연장 부재들(240)이 상기 제1 레일(140)을 간섭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additional first Y-
상기 제3 레일(260)은 상기 제1 레일(140)과 마찬가지로 상기 X축 방향으로 연장한다. 상기 제3 레일(260)을 따라 상기 제3 비히클(280)이 주행할 수 있다. 상기 제3 레일(260)은 상기 제3 레이스웨이(250)의 하방에 위치할 수 있다. Like the
상기 제3 레일 고정 부재들(270)은 상기 제3 레일(260)을 상기 제3 레이스웨이(250)에 고정한다. The third
상기 제3 비히클(280)은 상기 제3 레일(260)을 따라 주행하며, 상기 대상물을 수용하여 이송할 수 있다.The
상기 제3 연장 부재들(290)은 상기 제2 Y축 레이스웨이들(180b)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한다. 상기 제3 연장 부재들(290)의 연장 단부는 상기 제2 비히클(210)의 하부면보다 하방에 위치할 수 있다. The
상기 제3 연장 부재들(290)이 상기 제2 레일(190)을 간섭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3 연장 부재들(290)이 상기 제2 Y축 레이스웨이들(180b) 및 상기 제4 Y축 레이스웨이들에 각각 고정되도록 한다. In order to prevent the
상기 제4 레이스웨이(300), 상기 제4 레일(310), 상기 제4 레일 고정 부재들(320), 상기 제4 비히클(330)은 상기 제2 비히클(210)의 하방에 구비된다. The
상기 제4 레이스웨이(300)는 상기 제3 연장 부재들(290)에 고정되며, 격자 형태를 갖는다.The
구체적으로, 상기 제4 레이스웨이(300)는 제4 X축 레이스웨이들 및 제4 Y축 레이스웨이들을 포함한다. Specifically, the
상기 제4 X축 레이스웨이들 및 상기 제4 Y축 레이스웨이들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상기 제2 X축 레이스웨이들(180a) 및 제2 Y축 레이스웨이들(180b)에 대한 설명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fourth X-axis raceways and the fourth Y-axis raceways is substantially as described for the
상기 제4 레일(310)은 상기 X축 방향으로 연장한다. 상기 제4 레일(310)을 따라 상기 제4 비히클(330)이 주행할 수 있다. 상기 제4 레일(310)은 상기 제4 레이스웨이(300)의 하방에 위치할 수 있다. The
상기 제4 레일 고정 부재들(320)은 상기 제4 레일(310)을 상기 제4 레이스웨이(300)에 고정한다. The fourth
상기 제4 비히클(330)은 상기 제4 레일(310)을 따라 주행하며, 상기 대상물을 수용하여 이송할 수 있다.The
상기 플레이트(220)는 상기 제3 레이스웨이(250)의 상부면 및 상기 제4 레이스웨이(300)의 상부면에도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작업자가 상기 플레이트들(220) 이용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 레일들(140, 210, 260)과 상기 제1 내지 제3 비히클들(160, 230, 280)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내지 제3 레일들(140, 210, 260)과 상기 제1 내지 제3 비히클들(160, 230, 280)에 대한 유지 보수를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The
상기 제1 레일(140), 상기 제1 비히클(160), 상기 제3 레일(260), 상기 제3 비히클(280)이 상기 제1 X축 레이스웨이들(120a)에 고정되고, 상기 제2 레일(190), 상기 제2 비히클(210), 상기 제4 레일(310), 상기 제4 비히클(330)이 상기 제1 Y축 레이스웨이들(120b)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제1 내지 제4 레일들(140, 210, 260, 310)과 상기 제1 내지 제4 비히클들(160, 230, 280, 330)의 하중이 상기 제1 X축 레이스웨이들(120a) 및 상기 제1 Y축 레이스웨이들(120b)에 분산되어 가해질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4 레일들(140, 210, 260, 310)과 상기 제1 내지 제4 비히클들(160, 230, 280, 330)의 하중이 상기 몰드바(110)의 일부 영역에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천장 주행 시스템(100)의 구조적 안정성을 높일 수 있고, 상기 다층 레일을 안정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The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천장 주행 시스템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10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the ceiling driving system shown in FIG. 1.
도 10을 참조하면, 천장 주행 시스템(100)은 몰드바(110), 제1 레이스웨이(120), 고정 부재들(130), 제1 레일(140), 제1 레일 고정 부재들(150), 제1 비히클(160), 제1 연장 부재들(170), 제2 레이스웨이(180), 제2 레일(190), 제2 레일 고정 부재들(200), 제2 비히클(210), 플레이트(220), 통로 구조물(230), 제2 연장 부재들(240), 제3 레이스웨이(250), 제3 레일(260), 제3 레일 고정 부재들(270), 제3 비히클(280), 제3 연장 부재들(290), 제4 레이스웨이(300), 제4 레일(310), 제4 레일 고정 부재들(320), 제4 비히클(330)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0, the
상기 제1 레이스웨이(120)가 추가 제1 Y축 레이스웨이들(120c)을 포함하지 않으며, 상기 제1 레일 고정 부재들(150)은 상기 제1 레일(140)을 상기 제1 Y축 레이스웨이들(120b)에 고정한다. 또한, 상기 연장 부재들(170)은 상기 제1 X축 레이스웨이들(120a) 및 상기 제2 Y축 레이스웨이들(180b)에 각각 고정될 수 있고, 상기 제2 연장 부재들(240)은 상기 제1 Y축 레이스웨이들(120b) 및 상기 제3 Y축 레이스웨이들에 각각 고정될 수 있다. The
상기 내용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 요소들에 대한 설명은 상기 도 9를 참조한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The description of the components other than the above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description of the components with reference to FIG. 9.
상기 제1 레일(140), 상기 제1 비히클(160), 상기 제3 레일(260), 상기 제3 비히클(280)이 상기 제1 Y축 레이스웨이들(120b)에 고정되고, 상기 제2 레일(190), 상기 제2 비히클(210), 상기 제4 레일(310), 상기 제4 비히클(330)이 상기 제1 X축 레이스웨이들(120a)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제1 내지 제4 레일들(140, 210, 260, 310)과 상기 제1 내지 제4 비히클들(160, 230, 280, 330)의 하중이 상기 제1 X축 레이스웨이들(120a) 및 상기 제1 Y축 레이스웨이들(120b)에 분산되어 가해질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4 레일들(140, 210, 260, 310)과 상기 제1 내지 제4 비히클들(160, 230, 280, 330)의 하중이 상기 몰드바(110)의 일부 영역에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천장 주행 시스템(100)의 구조적 안정성을 높일 수 있고, 상기 다층 레일을 안정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Th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천장 주행 시스템은 제1 X축 레이스웨이들과 제1 Y축 레이스웨이들이 서로 이격되어 상기 몰드바에 고정되고, 상기 레일들이 상기 제1 X축 레이스웨이들과 상기 제1 Y축 레이스웨이들에 구분되어 고정될 수 있다. 레일들과 비히클들의 하중이 상기 제1 X축 레이스웨이들과 상기 제1 Y축 레이스웨이들에 구분되어 가해지므로, 상기 레일들과 상기 비히클들의 하중이 상기 몰드바들의 일부 영역에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천장 주행 시스템의 구조적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ceiling travel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X-axis raceways and the first Y-axis raceway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re fixed to the mold bar, and the rails are the It may be separated and fixed to the first Y-axis raceways. Since the loads of rails and vehicles are separately applied to the first X-axis raceways and the first Y-axis raceways, the loads of the rails and the vehicle are prevented from being concentrated in some areas of the mold bars. can do. Therefor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ceiling driving system.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following claims. You will understand that you can.
100 : 천장 주행 시스템 110 : 몰드바
112 : 홈 120 : 제1 레이스웨이
130 : 고정 부재 140 : 제1 레일
150 : 제1 레일 고정 부재 160 : 제1 비히클
170 : 연장 부재들 180 : 제2 레이스웨이
190 : 제2 레일 200 : 제2 레일 고정 부재
210 : 제2 비히클 220 : 플레이트
230 : 통로 구조물100: ceiling driving system 110: mold bar
112: groove 120: first raceway
130: fixing member 140: first rail
150: first rail fixing member 160: first vehicle
170: extension members 180: second raceway
190: second rail 200: second rail fixing member
210: second vehicle 220: plate
230: passage structure
Claims (8)
X축 방향으로 연장하며 상기 몰드바에 고정되는 제1 X축 레이스웨이들 및 상기 제1 X축 레이스웨이들과 상하로 이격되며 Y축 방향으로 연장하며 상기 몰드바에 고정되는 제1 Y축 레이스웨이들을 포함하고, 상기 몰드바의 하방에 구비되는 제1 레이스웨이;
상기 제1 X축 레이스웨이들 및 상기 제1 Y축 레이스웨이들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며, 상기 X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다수의 제1 레일들;
상기 제1 레일들을 따라 주행하며, 내부에 카세트를 수용하여 이송하는 제1 비히클들;
상기 제1 비히클들의 하방에 배치되며, 상기 제1 X축 레이스웨이들 및 상기 제1 Y축 레이스웨이들 중 나머지 하나에 고정되는 제2 레이스웨이;
상기 제2 레이스웨이에 고정되며, 상기 X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다수의 제2 레일들; 및
상기 제2 레일들을 따라 주행하며, 내부에 카세트를 수용하여 이송하는 제2 비히클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레이스웨이는, 상기 X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2 X축 레이스웨이들 및 상기 Y축 방향으로 연장하며 상기 제2 X축 레이스웨이들에 고정되는 제2 Y축 레이스웨이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X축 레이스웨이들 및 상기 제2 Y축 레이스웨이들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1 X축 레이스웨이들 및 상기 제1 Y축 레이스웨이들 중 나머지 하나와 고정되며,
상기 제2 레일들은 상기 제2 X축 레이스웨이들 및 상기 제2 Y축 레이스웨이들 중 나머지 하나에 고정되고,
상기 제1 비히클들의 하방에 배치되며, 상기 제1 X축 레이스웨이들 및 상기 제1 Y축 레이스웨이들 중 상기 제1 레일들이 고정된 어느 하나에 고정되어 상기 X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다수의 제3 레일들;
상기 제3 레일들을 따라 주행하며, 내부에 카세트를 수용하여 이송하는 제3 비히클들;
상기 제2 비히클들의 하방에 배치되며, 상기 제2 레이스웨이에 고정되어 상기 X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다수의 제4 레일들; 및
상기 제4 레일들을 따라 주행하며, 내부에 카세트를 수용하여 이송하는 제4 비히클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주행 시스템.Mold bar fixed to the ceiling;
First X-axis raceways extending in the X-axis direction and fixed to the mold bar and vertically spaced apart from the first X-axis raceways, extending in the Y-axis direction, and first Y-axis raceways fixed to the mold bar. And a first raceway provided under the mold bar;
A plurality of first rails fixed to one of the first X-axis raceways and the first Y-axis raceways and extending in the X-axis direction;
First vehicles running along the first rails and receiving and transferring a cassette therein;
A second raceway disposed below the first vehicles and fixed to the remaining one of the first X-axis raceways and the first Y-axis raceways;
A plurality of second rails fixed to the second raceway and extending in the X-axis direction; And
It includes second vehicles running along the second rails and receiving and transferring a cassette therein,
The second raceway includes second X-axis raceways extending in the X-axis direction and second Y-axis raceways extending in the Y-axis direction and fixed to the second X-axis raceways,
Any one of the second X-axis raceways and the second Y-axis raceways is fixed to the other one of the first X-axis raceways and the first Y-axis raceways,
The second rails are fixed to the other one of the second X-axis raceways and the second Y-axis raceways,
A plurality of first rails disposed below the first vehicles and fixed to any one of the first X-axis raceways and the first Y-axis raceways to which the first rails are fixed to extend in the X-axis direction 3 rails;
Third vehicles running along the third rails and receiving and transferring a cassette therein;
A plurality of fourth rails disposed below the second vehicles, fixed to the second raceway, and extending in the X-axis direction; And
The ceiling traveling system further comprises fourth vehicles that travel along the fourth rails and receive and transfer a cassette therein.
상기 제1 X축 레이스웨이들은 상기 Y축 몰드바들에 고정되고, 상기 제1 Y축 레이스웨이들은 상기 X축 몰드바들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주행 시스템.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old bar comprises X-axis mold bars extending in the X-axis direction and Y-axis mold bars extending in the Y-axis direction,
The first X-axis raceways are fixed to the Y-axis mold bars, and the first Y-axis raceways are fixed to the X-axis mold bars.
상기 T자 형태의 홈에 삽입되도록 T자 형태의 헤드를 가지며 상기 제1 레이스웨이의 플랜지를 관통하는 볼트들 및 상기 볼트들에 각각 체결되는 너트들로 이루어지는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주행 시스템.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old bar has a T-shaped groove formed on a lower surface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mold bar, and the first raceway has a flange on the upper surfac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fixing member having a T-shaped head to be inserted into the T-shaped groove and comprising bolts passing through the flange of the first raceway and nuts respectively fastened to the bolts. Ceiling driving system.
X축 방향으로 연장하며 상기 몰드바에 고정되는 제1 X축 레이스웨이들 및 상기 제1 X축 레이스웨이들과 상하로 이격되며 Y축 방향으로 연장하며 상기 몰드바에 고정되는 제1 Y축 레이스웨이들을 포함하고, 상기 몰드바의 하방에 구비되는 제1 레이스웨이;
상기 제1 X축 레이스웨이들 및 상기 제1 Y축 레이스웨이들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며, 상기 X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다수의 제1 레일들;
상기 제1 레일들을 따라 주행하며, 내부에 카세트를 수용하여 이송하는 제1 비히클들;
상기 제1 비히클들의 하방에 배치되며, 상기 제1 X축 레이스웨이들 및 상기 제1 Y축 레이스웨이들 중 나머지 하나에 고정되는 제2 레이스웨이;
상기 제2 레이스웨이에 고정되며, 상기 X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다수의 제2 레일들; 및
상기 제2 레일들을 따라 주행하며, 내부에 카세트를 수용하여 이송하는 제2 비히클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레이스웨이는, 상기 X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2 X축 레이스웨이들 및 상기 Y축 방향으로 연장하며 상기 제2 X축 레이스웨이들에 고정되는 제2 Y축 레이스웨이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X축 레이스웨이들 및 상기 제2 Y축 레이스웨이들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1 X축 레이스웨이들 및 상기 제1 Y축 레이스웨이들 중 나머지 하나와 고정되며,
상기 제2 레일들은 상기 제2 X축 레이스웨이들 및 상기 제2 Y축 레이스웨이들 중 나머지 하나에 고정되고,
상기 제1 레이스웨이는 상기 몰드바에 고정되거나 상기 제1 X축 레이스웨이들에 고정되는 추가 제1 Y축 레이스웨이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비히클들의 하방에 배치되며, 상기 추가 제1 Y축 레이스웨이들에 고정되어 상기 X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다수의 제3 레일들;
상기 제3 레일들을 따라 주행하며, 내부에 카세트를 수용하여 이송하는 제3 비히클들;
상기 제2 비히클들의 하방에 배치되며, 상기 제2 레이스웨이에 고정되어 상기 X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다수의 제4 레일들; 및
상기 제4 레일들을 따라 주행하며, 내부에 카세트를 수용하여 이송하는 제4 비히클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주행 시스템.Mold bar fixed to the ceiling;
First X-axis raceways extending in the X-axis direction and fixed to the mold bar and vertically spaced apart from the first X-axis raceways, extending in the Y-axis direction, and first Y-axis raceways fixed to the mold bar. And a first raceway provided under the mold bar;
A plurality of first rails fixed to one of the first X-axis raceways and the first Y-axis raceways and extending in the X-axis direction;
First vehicles running along the first rails and receiving and transferring a cassette therein;
A second raceway disposed below the first vehicles and fixed to the remaining one of the first X-axis raceways and the first Y-axis raceways;
A plurality of second rails fixed to the second raceway and extending in the X-axis direction; And
It includes second vehicles running along the second rails and receiving and transferring a cassette therein,
The second raceway includes second X-axis raceways extending in the X-axis direction and second Y-axis raceways extending in the Y-axis direction and fixed to the second X-axis raceways,
Any one of the second X-axis raceways and the second Y-axis raceways is fixed to the other one of the first X-axis raceways and the first Y-axis raceways,
The second rails are fixed to the other one of the second X-axis raceways and the second Y-axis raceways,
The first raceway further includes additional first Y-axis raceways fixed to the mold bar or fixed to the first X-axis raceways,
A plurality of third rails disposed below the first vehicles and fixed to the additional first Y-axis raceways and extending in the X-axis direction;
Third vehicles running along the third rails and receiving and transferring a cassette therein;
A plurality of fourth rails disposed below the second vehicles, fixed to the second raceway, and extending in the X-axis direction; And
The ceiling traveling system further comprises fourth vehicles that travel along the fourth rails and receive and transfer a cassette therei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30524A KR102181495B1 (en) | 2018-10-30 | 2018-10-30 | Overhead traveling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30524A KR102181495B1 (en) | 2018-10-30 | 2018-10-30 | Overhead traveling system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48432A KR20200048432A (en) | 2020-05-08 |
KR102181495B1 true KR102181495B1 (en) | 2020-11-23 |
Family
ID=70676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30524A Active KR102181495B1 (en) | 2018-10-30 | 2018-10-30 | Overhead traveling syste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81495B1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14413B1 (en) * | 2018-07-25 | 2020-05-22 | 세메스 주식회사 | Overhead traveling system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316907B2 (en) * | 2011-03-17 | 2013-10-16 | 株式会社ダイフク | Goods transport equipment |
-
2018
- 2018-10-30 KR KR1020180130524A patent/KR102181495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14413B1 (en) * | 2018-07-25 | 2020-05-22 | 세메스 주식회사 | Overhead traveling system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48432A (en) | 2020-05-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WO2006136371A1 (en) | Installation support with a frame-shaped construction | |
US6256946B1 (en) | Adjustable stairway for use with an overcast in a mine | |
KR102114413B1 (en) | Overhead traveling system | |
CN109467006B (en) | Raceway unit and OHT with same | |
JP2001033025A (en) | Device on rail for exhaust gas sample device | |
KR102181495B1 (en) | Overhead traveling system | |
KR20200039220A (en) | Structure for securing safety rings and Overhead traveling system having the same | |
KR200463350Y1 (en) | Support Pad For Automatic Guided Vehicle System of Floor System | |
JP6203699B2 (en) | Mounting structure and mounting method of module unit to rail vehicle structure | |
US20170297872A1 (en) | Fixing modules and pallets for a pallet conveyor | |
CN1151778A (en) | Platform unit | |
KR102096593B1 (en) | Walkway structure and method of installing the walkway structure | |
KR102316950B1 (en) | Walkway structure | |
CN113277395B (en) | Car roof maintenance platform structure | |
CN108867208B (en) | Raceway arrangement | |
CN220998866U (en) | Handling device suitable for carry material | |
KR20210087209A (en) | Raceway unit and overhead hoist transport having the same | |
JP2000118628A (en) | Rail unit of automatic warehouse | |
US20240360634A1 (en) | Walkway structure and overhead hoist transfer system including the same | |
JP3385976B2 (en) | Floor structure, floor parts, floor unit and transport system for tracked bogie | |
JP7564005B2 (en) | In-building ceiling transport system and method for constructing an in-building ceiling transport rail | |
CN213475130U (en) | Anti-climbing device for entrance of escalator | |
CN113830649B (en) | Sectional type vertical beam structure of two cabs | |
EP4400468A1 (en) | A conveying device suitable for conveying object | |
CN213174722U (en) | Side board type scaffold board climbing fr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03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3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7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0101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0071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20031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0101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083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051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0111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0110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101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20083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051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11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11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0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0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