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181366B1 - 밀폐용기 - Google Patents

밀폐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1366B1
KR102181366B1 KR1020190043674A KR20190043674A KR102181366B1 KR 102181366 B1 KR102181366 B1 KR 102181366B1 KR 1020190043674 A KR1020190043674 A KR 1020190043674A KR 20190043674 A KR20190043674 A KR 20190043674A KR 102181366 B1 KR102181366 B1 KR 1021813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mferential surface
cover
sealing
protrusion
main bod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36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1091A (ko
Inventor
이경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화
Priority to KR10201900436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1366B1/ko
Publication of KR202001210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10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13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136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953Sealing means
    • B65D2543/00962Sealing means inserted
    • B65D2543/00972Collars or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밀폐용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밀폐용기는, 커버둘레면을 구비하는 커버와, 커버둘레면과 접하는 본체둘레면을 구비하고, 커버와 결합하는 본체를 포함하고, 커버둘레면은, 외향 돌출된 밀폐돌기와, 밀폐돌기 사이에 형성된 배출홈을 구비하며, 본체둘레면은, 밀폐돌기가 삽입될 수 있는 밀폐홈과, 밀폐홈의 상부에 형성되고 커버둘레면 중에서 밀폐돌기의 상부를 가압하는 가압돌기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밀폐용기{AIRTIGHT CONTAINER}
본 발명은 외부 공기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밀폐용기에 관한 것이다.
용기의 내부로 공기 유입을 차단함으로써 내부에 수납 또는 충진된 내용물의 변질 및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밀폐용기가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화장품 용기의 경우 화장액은 공기와 접촉하는 경우 변질되거나 오염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외부 공기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밀폐 구조를 이용한다. 이와 같은 밀폐용기는 화장품 용기, 식품 보관 용기 및 의약품 보관 용기 등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584512호에는 밀폐링을 구비하는 화장품 용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 특허문헌에 개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일반적인 밀폐용기는 고무 등과 같은 탄성 재질을 갖는 밀폐링(씰링)을 이용하여 용기 내부를 밀폐하는 구조를 갖는다. 즉, 밀폐링은 커버에 결합되고, 커버가 용기 본체에 결합한 경우 그 결합 부분에 밀폐링이 개재되어 공기의 유입을 차단한다.
그러나 밀폐링과 같은 별도의 실링 부재를 이용하는 종래의 구성은, 이중 사출 또는 별도의 조립 공정을 거처야 하기 때문에 제조가 불편하고 구성이 상대적으로 복잡하게 되는 문제점을 유발한다. 또한, 밀폐링이 결합된 커버를 닫는 과정에서 용기본체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아서 커버가 완전히 밀폐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커버를 용기본체에서 분리해서 개방하는 경우에도, 용기본체 내부로 공기가 원활하게 유입되지 않아서 커버를 쉽게 개방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구성이 간단하고 밀폐력이 우수한 밀폐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밀폐용기는, 커버둘레면을 구비하는 커버와, 커버둘레면과 접하는 본체둘레면을 구비하고, 커버와 결합하는 본체를 포함하고, 커버둘레면은, 외향 돌출된 밀폐돌기와, 밀폐돌기 사이에 형성된 배출홈을 구비하며, 본체둘레면은, 밀폐돌기가 삽입될 수 있는 밀폐홈과, 밀폐홈의 상부에 형성되고 커버둘레면 중에서 밀폐돌기의 상부를 가압하는 가압돌기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밀폐돌기는 다음과 같은 실시예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커버가 본체에 결합할 때, 배출홈을 통해서 본체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밀폐홈은 본체둘레면의 내주면에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압돌기의 상부는 하향 경사진 테이퍼진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커버가 본체에서 분리될 때, 배출홈을 통해서 외부의 공기가 본체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커버둘레면은 단턱을 구비하고, 커버가 본체에 결합할 때, 본체둘레면의 상단부는 단턱에 안착할 수 있다.
커버둘레면은 단턱을 기준으로 상부둘레면 및 하부둘레면으로 구분되고, 밀폐돌기 및 배출홈은 하부둘레면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구성이 간단하고 밀폐력이 우수한 밀폐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밀폐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밀폐용기의 커버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예시된 커버의 정면도 및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밀폐용기의 본체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예시된 본체의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커버가 본체에 결합하는 과정을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0은 커버가 본체에 결합한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그리고 내부, 외부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100)를 예시하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밀폐용기(100)의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밀폐용기(100)의 커버(110)를 예시하는 도면이고, 도 4는 커버(110)의 정면도 및 부분 단면도이다. 또한, 도 5는 밀폐용기(100)의 본체(130)를 예시하는 도면이고, 도 6은 본체(130)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100)는 커버(110) 및 본체(130)를 포함하고, 본체(130) 내부로 공기 유입을 차단하여 밀폐할 수 있는 용기에 해당한다. 이로 인해, 본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100)는 본체(130) 내부로 공기 유입을 차단해서 내용물(160)의 오염 및 변질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커버(110)는 본체(130)의 개방된 상부를 폐쇄하는 것으로 본체(130)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커버(110)는 상면(112)과, 상면(112)의 가장자리에서 하향 돌출된 커버둘레면(114)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커버(110)의 상면(112)은 오목하게 형성된 구조를 갖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커버의 상면의 형상에 의해서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의 커버는 그 상면이 볼록한 형상, 편평한 형상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커버둘레면(114)은 상면(112)의 가장자리에서 하향 돌출된 면에 해당한다. 커버(110)가 본체(130)에 결합한 경우, 커버둘레면(114)의 일부는 본체(130)의 본체둘레면(140)의 내주면과 접한다.
커버둘레면(114)은 상단부에는 플랜지(116)가 형성될 수 있다.
커버둘레면(114)은 단턱(118)을 기준으로 그 상부에는 상부둘레면(117)이 형성되고 그 하부에는 하부둘레면(120)이 형성된다. 상부둘레면(117)은, 커버(110)가 본체(130)에 결합한 경우 본체(130)의 외부로 노출된다. 그리고 하부둘레면(120)은, 커버(110)가 본체(130)에 결합한 경우 본체(130)의 본체둘레면(140)과 접한다.
커버둘레면(114)의 외측에 별도의 둘레면(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본체(130)와 다양한 구조 및 방법에 의해서 결합할 수 있다.
커버둘레면(114)의 중간에 형성된 단턱(118)은 상부둘레면(117)에서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부분에 해당한다. 따라서 단턱(118)에 의해서 하부둘레면(120)이 상부둘레면(117)에 비해서 더 작은 외경을 갖는다. 또한, 커버(110)가 용기본체(130)에 결합한 경우, 단턱(118)에는 본체둘레면(140)의 상단부가 위치한다.
하부둘레면(120)은 상면(112)의 가장자리 전체 또는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하부둘레면(120)에는 외향 돌출된 다수 개의 밀폐돌기(122)와, 밀폐돌기(122)의 사이에 위치하는 배출홈(124)이 형성된다.
밀폐돌기(122)는 하부둘레면(120)의 외주면에 호(arc) 형상을 갖고 외향 돌출된 돌기에 해당한다. 밀폐돌기(122)는 하부둘레면(120)의 외주면 전체에 걸쳐서 연속적으로 형성되지 않고, 적어도 한 부분에는 단절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밀폐용기는 적어도 하나의 밀폐돌기(122)를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100)는 다수 개의 밀폐돌기(122)를 구비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밀폐돌기(122)는 본체둘레면(140)의 내주면에 형성된 밀폐홈(144)에 삽입된다. 이로 인해, 커버(110)가 본체(130)에 완전히 결합해서 본체(130)의 내부로 공기 유입이 차단될 수 있다.
밀폐돌기(122)와 밀폐돌기(122)의 사이에는 하부둘레면(120)이 노출된 부분에 해당하는 배출홈(124)이 형성된다. 배출홈(124)은 인접하는 한 쌍의 밀폐돌기(122)에 의해서 형성되는 홈에 해당한다. 배출홈(124)은 하부둘레면(120)의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100)는 다수 개의 배출홈(124)을 구비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배출홈(124)은, 커버(110)가 본체(130)에 결합하거나 분리되는 경우 공기가 배출되거나(결합의 경우) 유입되는(분리의 경우) 통로에 해당한다. 즉, 배출홈(124)은 밀폐돌기(122)에 비해서 오목한 구조를 갖기 때문에, 밀폐돌기(122)가 본체둘레면(140)과 접촉하면서 하강 결합할 때 공기 통로를 형성해서 공기의 유입 또는 배출을 가능하게 한다.
커버(110)가 본체(130)에 결합할 때 배출홈(124)을 통해서 본체(13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된다. 이로 인해, 본체(130) 내부가 외부에 비해서 낮은 압력을 갖거나 또는 진공 상태가 되어 커버(110)가 본체(130)에 완전히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본체(130) 내부의 공기가 배출됨으로써 공기에 의해서 내용물(160)이 오염되는 문제점을 예방할 수 있다.
커버(110)가 본체(130)에서 분리될 때 배출홈(124)을 통해서 본체(130) 내부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된다. 이로 인해, 본체(130) 내부의 압력이 외부와 동일하게 되여 커버(110)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커버(110)의 일 측에는 커버힌지(126)가 구비되어 있다. 커버힌지(126)는 본체(130)의 본체힌지(149)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다. 이로 인해, 커버(110)가 본체(130)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다.
커버(110)는 플라스틱 사출에 의해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100)의 커버(110)는 별도의 패킹 또는 실링을 구비하지 않기 때문에 구조가 간단하고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본체(130)는 내용물(160)이 수납되는 충진공간(132)을 갖는다. 내용물(160)은 화장품 또는 약품 등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내용물(160)은 발포 스펀지 등에 화장액이 합침된 것에 해당할 수 있다. 그리고 본체(130)는 내부둘레면(134)과 본체둘레면(140)을 구비한다.
내부둘레면(134)은 본체둘레면(140)의 내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동일한 중심을 가질 수 있다. 내부둘레면(134)의 내부에는 내용물(160)이 주입 또는 충진될 수 있는 충진공간(132)이 형성된다. 그리고 내부둘레면(134)의 외주면에는 걸림홈(136)이 형성될 수 있다. 걸림홈(136)에는 스토퍼링(150)에 형성된 걸림돌기(158)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내부둘레면(134)의 상단부는 스토퍼링(150)의 걸림부(152)와 접촉할 수 있다.
내부둘레면(134)과 본체둘레면(140)의 사이의 빈 공간에는 결합홈(138)이 형성된다. 결합홈(138)에는 스토퍼링(150)의 결합부(156)가 삽입된다.
본체둘레면(140)은 내부둘레면(134)의 외부 둘레에 위치하는 면으로 원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본체둘레면(140)의 내주면에는 가압돌기(148) 및 밀폐홈(144)이 형성된다.
가압돌기(148)는 밀폐홈(144)의 상부에 돌출된 부분으로, 본체둘레면(140)의 내주면 전체에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가압돌기(148)의 상부에는 하향 경사진 테이퍼(146)가 형성될 수 있다. 테이퍼(146)는 밀폐돌기(122)의 하강을 용이하게 한다.
가압돌기(148)는, 커버(110)가 본체(130)에 결합한 경우, 하부둘레면(120) 중에서 밀폐돌기(122)의 상부와 접촉하면서 내측으로 가압한다. 이로 인해, 본체(130) 내부로 공기 유입이 차단되어 밀폐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가압돌기(148)의 하부에는 밀폐홈(144)이 본체둘레면(140)의 내주면 전체에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밀폐홈(144)은 본체둘레면(140)의 내주면에서 오목하게 형성된 홈으로서, 그 내부에는 밀폐돌기(122)가 삽입될 수 있다.
본체둘레면(140)의 일 측에는 본체힌지(149)가 구비되어 있다.
본체(130)의 내부둘레면(134)의 상부에는 내용물(16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스토퍼링(150)이 결합될 수 있다. 스토퍼링(150)은 링(ring) 형상을 갖고 중앙에는 관통홀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스토퍼링(150)은 걸림부(152) 및 결합부(156)로 이루어지는 ㄱ 형상의 단면을 갖는다.
걸림부(152)는 수평으로 위치하는 부분으로서, 내부둘레면(134)의 상단부에 위치하고 일부는 내부둘레면(134)의 내측(내용물(160)의 상부)으로 돌출된다. 내용물(160)이 스펀지에 함침된 경우, 돌출된 걸림부(152)에 의해서 스펀지가 충진공간(132)에서 쉽게 이탈하지 않는다. 그리고 걸림부(152)의 하면에는 하부돌기(154)가 하향 돌출된다. 하부돌기(154)는 내부둘레면(134)의 내주면과 접하면서 스토퍼링(150)이 내부둘레면(134)에 안정적으로 결합되게 한다.
걸림부(152)의 상면에는 라벨용지(162)가 결합되어 있다. 라벨용지(162)는 사용자에 의한 사용 전에 충진공간(132)을 완전히 밀폐하고, 사용시에는 제거될 수 있다.
결합부(156)는 걸림부(152)의 단부에서 수직으로 하향 연장되어서 내부둘레면(134)의 외주면과 접한다. 결합부(156)의 내주면에는 걸림돌기(158)가 형성되어 있다. 걸림돌기(158)는 내부둘레면(134)의 외주면에 형성된 걸림홈(136)에 걸리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100)는 커버(110) 및 본체(130)가 원형인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 형상에 의해서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의 커버 및 본체는 사각형을 포함하는 다각형, 타원형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100)는 커버(110)가 본체(130)에 힌지 결합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커버와 본체의 결합 구조에 의해서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는 커버(110)가 본체(130)에 단순 결합, 결합 날개를 이용한 결합, 나사 결합 등 다양한 방법 및 구조에 의해서 결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서 본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100)에 대해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7 및 도 8은 커버(110)가 본체(130)에 결합하는 과정을 예시하는 단면도로서, 도 7은 밀폐돌기(122)가 형성된 부분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배출홈(124)이 형성된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커버(110)가 본체(130)에 결합하는 과정에서 밀폐돌기(122)는 가압돌기(148)의 상부인 테이퍼(146)를 외향 가압하면서 하강한다. 이 과정에서 본체둘레면(140)의 상단부가 외측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다.
도 8을 참고하면, 하부둘레면(120) 중에서 밀폐돌기(122)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 해당하는 배출홈(124)을 통해서 본체(13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된다(도 8의 화살표 참조). 특히, 커버(110)의 상면(112)은 오목하게 형성되어 본체(130)의 내부로 일부 삽입되는데, 이로 인해 본체(130) 내부의 공기가 커버(110)에 의해서 밀려나서 배출홈(124)을 통해서 본체(13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100)는 커버(110)가 본체(130)에 결합하는 과정에서 배출홈(124)에 의해서 본체(13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고, 이로 인해 본체(130) 내부의 압력을 외부에 비해서 낮게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공기 배출에 의해서 내용물(160)이 공기에 의해서 오염되거나 변질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체(130) 내부의 압력이 외부에 비해서 낮기 때문에 커버(110)의 밀폐력을 높일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0은 커버(110)가 본체(130)에 결합한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로서, 도 9는 밀폐돌기(122)가 형성된 부분의 단면도이고 도 10은 배출홈(124)이 형성된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9를 참고하면, 테이퍼(146)를 통과한 밀폐돌기(122)는 하강해서 그 하부에 위치하는 밀폐홈(144)에 삽입된다. 이로 인해, 커버(110)의 본체(130)에 대한 결합력 및 밀폐력이 강화된다. 그리고 가압돌기(148)는 하부둘레면(120) 중에서 밀폐돌기(122)의 상부를 내측으로 가압하는데, 이로 인해 외부의 공기가 본체(13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된다.
도 10을 참고하면, 하부둘레면(120) 중에서 배출홈(124)의 상부도 가압돌기(148)가 내측으로 가압한다. 이로 인해, 외부의 공기가 본체(13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된다.
이와 같이, 가압돌기(148)는 밀폐돌기(122) 및 배출홈(124)의 유무와 상관 없이 하부둘레면(120)의 전체를 가압하기 때문에, 공기 유입이 완전히 차단될 수 있다.
커버(110)를 개방하는 경우에, 도 9 및 도 10의 상태에서 도 7 및 도 8의 상태가 된다. 밀폐돌기(122)가 밀폐홈(144)에 이탈해서 도 7의 상태가 되는 경우, 밀폐돌기(122)가 형성되지 않고 배출홈(124)이 형성된 부분에는 외부 공기가 본체(13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된다(도 8 참조). 이로 인해, 커버(110)를 용기(130)에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밀폐용기
110: 커버
114: 커버둘레면
120: 하부둘레면
122: 밀폐돌기
124: 배출홈
130: 본체
140: 본체둘레면
144: 밀폐홈
148: 가압돌기
150: 스토퍼링

Claims (7)

  1. 커버둘레면을 구비하는 커버; 및
    상기 커버둘레면과 접하는 본체둘레면을 구비하고, 상기 커버와 결합하는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둘레면은, 외향 돌출된 밀폐돌기와, 상기 밀폐돌기 사이에 형성된 배출홈을 구비하고,
    상기 본체둘레면은, 상기 밀폐돌기가 삽입될 수 있는 밀폐홈과, 상기 밀폐홈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커버둘레면 중에서 상기 밀폐돌기의 상부와 접촉하면서 내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밀폐홈은 상기 본체둘레면의 내주면 전체에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압돌기의 상부는 하향 경사진 테이퍼 구조를 가지며,
    상기 가압돌기는 상기 커버둘레면의 전체를 내측으로 가압하는 밀폐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가 상기 본체에 결합할 때, 상기 배출홈을 통해서 상기 본체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가 상기 본체에서 분리될 때, 상기 배출홈을 통해서 외부의 공기가 상기 본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둘레면은 단턱을 구비하고,
    상기 커버가 상기 본체에 결합할 때, 상기 본체둘레면의 상단부는 상기 단턱에 안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둘레면은 상기 단턱을 기준으로 상부둘레면 및 하부둘레면으로 구분되고,
    상기 밀폐돌기 및 배출홈은 상기 하부둘레면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
KR1020190043674A 2019-04-15 2019-04-15 밀폐용기 Active KR1021813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3674A KR102181366B1 (ko) 2019-04-15 2019-04-15 밀폐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3674A KR102181366B1 (ko) 2019-04-15 2019-04-15 밀폐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1091A KR20200121091A (ko) 2020-10-23
KR102181366B1 true KR102181366B1 (ko) 2020-11-20

Family

ID=73039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3674A Active KR102181366B1 (ko) 2019-04-15 2019-04-15 밀폐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136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78234B1 (ko) * 2022-10-12 2024-06-25 주식회사 삼화 화장품 용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8233A (ja) 2000-08-31 2002-03-08 Shikoku Kakoki Co Ltd プラスチックキャップ
KR101877829B1 (ko) * 2017-06-27 2018-07-12 펌텍코리아(주) 공기순환면이 구비된 화장품용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66447U (ko) * 1988-11-11 1990-05-18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8233A (ja) 2000-08-31 2002-03-08 Shikoku Kakoki Co Ltd プラスチックキャップ
KR101877829B1 (ko) * 2017-06-27 2018-07-12 펌텍코리아(주) 공기순환면이 구비된 화장품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1091A (ko) 2020-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17567B2 (en) Discharge container
JP6710462B2 (ja) 吐出容器
US10689167B2 (en) Container and cap
CN102259723A (zh) 用于容器的封闭装置以及用于该装置的密封部件
US20140158687A1 (en) Moisture Retention Seal
KR200449631Y1 (ko) 수동식 드롭퍼
KR102181366B1 (ko) 밀폐용기
JP6859778B2 (ja) キャップの封止構造
JP6710468B2 (ja) 吐出容器
KR101415854B1 (ko) 공기유입 차단 기능을 갖는 액상용기
JP2020055557A (ja) 吐出容器
KR20210132846A (ko) 밀폐용기
JP6240690B2 (ja) 密封容器
KR102226977B1 (ko) 공기밀폐 기능을 갖는 화장품 용기
KR101695272B1 (ko) 화장품 용기
JP2011084282A (ja) 流動物押出用容器
KR200446846Y1 (ko) 고점성 유체 포장 용기
KR200262120Y1 (ko) 식품 저장용 밀폐용기
KR102616502B1 (ko) 기밀성 및 결합성이 강화된 밀폐 용기 어셈블리
KR102620222B1 (ko) 리필이 용이한 내용물 용기
KR102598783B1 (ko) 밀폐 용기
KR20140082536A (ko) 연질의 접철부가 있는 이종물질 수용장치
JP7479777B2 (ja) スポイト容器
KR102443711B1 (ko) 씰 라이너 분리형 병마개
KR200440149Y1 (ko) 식품 보관용기의 밀폐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41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4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10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11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11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0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