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180909B1 - 분리설치 가능한 엘리베이터 - Google Patents

분리설치 가능한 엘리베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0909B1
KR102180909B1 KR1020190088651A KR20190088651A KR102180909B1 KR 102180909 B1 KR102180909 B1 KR 102180909B1 KR 1020190088651 A KR1020190088651 A KR 1020190088651A KR 20190088651 A KR20190088651 A KR 20190088651A KR 102180909 B1 KR102180909 B1 KR 1021809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ing
elevator
unit
hydraulic
shutt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8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선덕
Original Assignee
서선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선덕 filed Critical 서선덕
Priority to KR10201900886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09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0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0909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04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actuated pneumatically or hydraul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26Constructional features, e.g. walls assembly, decorative panels, comfort equipment, thermal or sound 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분치설치 가능한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으로, 도어가 구비되고 승객을 탑승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승하강부; 승하강부가 상하로 왕복이동 가능한 왕복공간을 제공하고, 승하강부의 탑승방향으로 개방공간이 형성된 베이스부; 승하강부의 양 측에 배치되어, 승하강부에 상하 이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상하이동부; 및 승하강부의 상단 및 하단에 연결되어 개방공간을 차폐하는 셔터부를 포함하고, 승하강부가 상측으로 이동하면 셔터부가 승하강부 하측의 개방공간을 차폐하고, 승하강부가 하측으로 이동하면 셔터부가 승하강부 상측의 개방공간을 차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분리설치 가능한 엘리베이터{ELEVATOR}
본 발명은 기존에 건축된 건물의 외벽에 별도의 독립적이고 분리 설치가 가능한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원생활이나 교외에서 자연친화적인 삶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전원주택이나 단독주택을 별도로 건축하여 사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특히, 1층보다는 2층 또는 3층의 고층 단독주택을 짓는 세대가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더불어, 일반적으로 일정층을 초과하는 건물에는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있다. 사용자는 건물에서 각 층마다 이동할 시 계단이 아닌 엘리베이터를 활용함으로써, 편안하고 쉽게 층별 이동이 가능하다.
그런데 건축법 상 엘리베이터는 6층 이상으로써 바닥면적이 2000m2 이상인 건축물의 경우에 의무적으로 설치해야하기 때문에, 6층 미만의 건물은 엘리베이터가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특히, 3층 미만의 상가건물이나 상기한 바와 같이 최근 지어지고 있는 3층 미만의 단독주택의 경우의 모든 건물에는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런데 실제로 거주하거나 내부에서 장사를 하는 상인들은 비록 3층 미만의 저층 건물이라 할지라도 층별 이동을 위해 엘리베이터가 필요한 경우가 있고, 더불어 장애인들은 저층 건물에서도 층별 이동을 위해서는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는 것이 필수적인 경우가 많은데, 저층 건물에 별도의 엘리베이터를 설치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별도로 설치가 가능한 엘리베이터에 대한 종래 특허는 아래와 같다.
특허등록번호 제10-0992596호 ‘상부 개방형 복층 승강기’
그런데, 이러한 종래 특허의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우선, 건물의 통로에 설치를 하는 경우, 통로에 별도의 문을 설치하여 사용해야하는 문제가 있다. 단순히 통로에 개구를 형성하여 설치하는 경우, 엘리베이터 도어가 다른 층에 있을 때, 엘리베이터를 기다리는 과정에서 개구가 노출되어 있어 안전성이 심각한 위협이 될 수 있기 때문에 건축물에 엘리베이터 도어를 설치해야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별도 설치되는 엘리베이터는 도르래 방식으로 상하로 이동하는데, 이러한 도르래 및 엘리베이터를 포함한 전체 구조를 설치하는 비용이 보통 3천만원 내지 5천만원으로 설치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가 있고, 엘리베이터 설치하는데 시간이 오래걸리는 문제가 있다.
마찬가지로, 건축물의 개구에 엘리베이터 탑승을 위한 별도의 도어를 설치해야하기 때문에, 설치 및 유지보수에 소모되는 비용 및 시간이 늘어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동작을 위한 별도의 기계실과 제어실이 필요하기 때문에 별도의 공간이 필요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저렴한 비용과 시간으로 설치함과 동시에, 안전성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엘리베이터는 전면 및 후면에 통로가 형성되고 승객이 탑승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본체부와, 상기 통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양 측면 상측 및 하측에 형성되어 상하로 이동되게 하는 고정결합부가 구비된 승하강부; 다 수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상기 승하강부가 상하로 왕복이동 가능한 왕복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도어부가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전면 및 후면의 통로 방향으로 승객이 탑승 및 하차할 수 있는 개방공간이 형성된 베이스부; 상기 승하강부의 양 측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결합부에 결합되며, 상기 승하강부에 상하 이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상하이동부; 및 상기 승하강부의 상단 및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승하강부가 위치하지 않는 전면 및 후면의 상기 개방공간을 차폐하는 셔터부;를 포함하며, 상기 셔터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상단 및 상기 승하강부의 도어 측 상단에 연결되어, 상기 승하강부가 하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승하강부 상측의 개방공간을 차폐하는 상부롤러셔터; 상기 베이스부의 하단 및 상기 승하강부의 도어 측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승하강부가 상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승하강부 하측의 개방공간을 차폐하는 하부롤러셔터; 상기 베이스부의 상단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롤러셔터가 수용되어 인출 및 인입되는 상부수용박스; 및 상기 베이스부의 하단에 배치되고, 상기 하부롤러셔터가 수용되어 인출 및 인입되는 하부수용박스;를 포함하고, 상기 승하강부가 상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셔터부가 상기 승하강부 하측의 개방공간을 차폐하고, 상기 승하강부가 하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셔터부가 상기 승하강부 상측의 개방공간을 차폐하며, 승객은 상기 도어부가 개방되면 상기 본체부의 전면 및 후면의 통로 중 하나 이상의 통로를 통해 선택적으로 상기 수용공간에 탑승하거나 외부로 내릴 수 있다.
삭제
삭제
또한, 상기 상하이동부는, 상기 베이스부 하단에 배치되어 유압을 제공하는 유압펌프; 상기 승하강부 양 측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유압펌프에 연결되어 유압을 전달받는 유압실린더; 및 상기 승하강부 양 측에 결합되고, 상기 유압실린더의 유압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는 유압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압펌프가 작동하여 유압을 발생시키면 상기 유압실린더에 의해 상기 유압축이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승하강부가 상승하고, 상기 유압펌프가 작동하여 유압을 제거시키면 상기 유압실린더에 의해 상기 유압축이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승하강부가 하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는 건축물의 외벽에 별도로 설치가 가능한 엘리베이터로써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우선, 승하강부가 상승 및 하강하는 경우, 개방되는 공간을 차폐하는 셔터부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엘리베이터에 탑승하는 경우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아 높은 안전성의 효과가 있다.
또한, 건물 내에서의 층별 이동뿐만 아니라, 건물 외부에서 건물 내의 다른 층으로 바로 이동할 수 있어 건물의 고층 역시 1층처럼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사용자가 엘리베이터 입구를 건물의 외부나 내부에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어 사용 환경에 따라 유연한 설치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가 도르래 형식이 아닌 유압펌프 및 실린더를 사용하여 상하운동하기 때문에 기존의 도르래 방식보다 안전성이 높을 뿐 아니라, 설치 및 유지보수의 시간 및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에 엘리베이터가 없는 건물에도 외부벽의 간단한 보수를 통해 설치할 수 있어 간편한 설치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의 엘리베이터와 같이 기계실과 같은 별도의 공간 및 장치가 필요없기 때문에 작은 면적과 작은 공간에도 설치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정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후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상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후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동작에 따른 전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동작에 따른 후면 사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비용과 시간이 저렴하면서도 기존 엘리베이터(100)의 안전성을 유지하면서 건물에 별도로 분리 설치가 가능한 엘리베이터(100)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분리 설치 가능한 엘리베이터(100)를 간략하게 “엘리베이터(100)”라 호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100)의 정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100)의 후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100)의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100)의 상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100)의 후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100)는 베이스부(110), 승하강부(120), 상하이동부(150), 가이드부(113) 및 셔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110)는 엘리베이터(100)의 외관을 형성하고 내부에 승하강부(120)가 상하로 왕복이동하기 위한 왕복공간을 포함하는 수단이다. 상세히, 베이스부(110)는 다 수의 프레임에 의해 직사각형상을 가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왕복공간 역시 직사각형상을 가질 수 있다.
더욱 상세히, 베이스부(110)는 다 수의 세로프레임(111), 바람직하게는 서로 연결하면 직사각 형상이 되는 4 개의 세로프레임(111)과, 세로프레임(111) 간에 연결되는 다 수의 가로프레임(11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렇게 4 개의 세로프레임(111)이 축을 형성하고, 다 수의 가로프레임(112)이 세로프레임(111) 간의 결합력을 단단하게 지지함에 따라 더욱 견고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다 수의 프레임은 내부 왕복공간의 전후 길이 및 양 측 길이가 승하강부(120)의 전후 길이 및 양측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고, 세로프레임(111)의 길이는 승하강부(120)의 세로길이보다 2배 이상 길어짐에 따라, 내부에 승하강부(120)가 상하이동하기 위한 긴 직사각 형상의 왕복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프레임 사이에는 외장재 등과 같은 마감재가 배치되어 내부의 왕복공간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는 건축물 외부에 엘리베이터(100)가 설치되는 경우,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만, 베이스부(110)의 전면, 상세히, 베이스부(110)에 형성된 왕복공간의 전면은 외부로 개방될 수 있다. 이는 엘리베이터(100)가 건물 외벽에 부착되어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는 경우, 건물 내의 통로와 연결되도록 하여 승객이 승하강부(120)로 탑승 및 하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승하강부(120)는 베이스부(110) 내의 왕복공간을 상하 이동할 수 있고, 내부에 승객이 승하차하기 위한 승하차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승하강부(120)는 승하차공간을 형성하고 전면 또는 전면 및 후면에 개구형태의 통로가 배치된 본체부(121)와, 본체부(121)의 통로를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밀폐하는 도어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21)는 직사각 박스 형상으로 전면에 사람이 통과할 수 있는 직사각형태의 통로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통로개구는 베이스부(110)의 전면과 연통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건물내의 사용자가 탑승 및 하차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21) 양 측면에는 외부에 상하이동부(150)가 결합할 수 있는 고정결합부(123)가 형성될 수 있다. 상하이동부(150)는 고정결합부(123)에 결합되어 승하강부(120)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고, 내부에 승객이 타고 있는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승하강부(120)가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고정결합부(123)는 다 수개 배치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본체부(121)의 양 측면 상측 및 하측에 각각 결합되어 총 4개가 배치될 수 있다.
도어부(122)는 통로개구를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밀폐할 수 있다. 상세히, 도어부(122)는 상하방향 또는 양측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구동될 수 있고, 승객이 승하강부(120)에 탑승하거나 내리는 [[우]] 에는 통로개구를 개방하고, 승하강부(120)가 상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는 통로개구를 밀폐할 수 있다.
상하이동부(150)는 본체부(121)의 양 측면, 상세히 본체부(121)의 양 측면에 배치된 고정결합부(123)에 결합되어 승하강부(120)가 베이스부(110)의 왕복공간을 상하 왕복이동할 수 있는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세히, 상하이동부(150)는, 유압식 실린더(152) 및 유압축(153)를 포함할 수 있고, 더불어 유압식 실린더(152) 및 유압축(153)[[가]] 서로 겹치거나 서로 밀어내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유압식 펌프(15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압식 실린더(152)는 유압축(153)[[를]] 감싸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유압식 펌프(151)로부터 동력을 제공받는 수단이다. 상세히, 유압식 실린더(152)는 유압식 펌프(151)와 연결되어, 유압식 펌프(151)에서 공급되는 동력을 유압축(153) 로 전달하여 유압축(153) 상하로 왕복 이동시킬 수 있는 수단이다.
유압축(153) 유압식 실린더(152)에 의해 감싸진 상태에서, 유압식 펌프(151)에서 생성된 동력을 유압식 실린더(152)로부터 공급받아 상하로 왕복이동할 수 있는 수단이다. 상세히, 유압축(153) 고정결합부(123)에 고정결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고정결합부(123)가 유압축(153) 따라 상하로 이동하면서 승하강부(120) 역시 상하로 왕복 이동할 수 있다.
유압식 펌프(151)는 베이스부(110)의 하단, 상세히 승하강부(120)의 하측 지면 근처에 배치되어 유압식 실린더(152)로 유압을 제공할 수 있는 수단이다. 유압식 펌프(151)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구성이고 별도의 차별성 있는 부분이 없는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유압식 실린더(152) 및 유압축(153) 유압식 펌프(151)의 양 측단에 각각 연결되고, 본체부(121)의 양 측에 배치된 고정결합부(123)에 각각 연결되어 동작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유압식 실린더(152) 및 유압축(153)[[는]] 본체부(121)의 양 측에 서로 평행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유압식 펌프(151)로부터 각각 동일한 유압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압식 실린더(152) 및 유압축(153)에 제공되는 유압이 동일해지고, 양 측의 유압축(153) 동일한 범위로 상하 이동함에 따라, 승하강부(120) 기울어지지 않고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안정적이게 상하 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가이드부(113)는 베이스부(110)의 양측 내면에서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하이동부(150)에 의해 상하로 왕복이동하는 승하강부(120)가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직선이동할 수 있도록 승하강부(120)를 가이드하는 수단이다.
상세히, 가이드부(113)는 승하강부(120)에 배치된 고정결합부(123)의 일단, 또는 상하이동부(150)의 유압축(153)의 일측단에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하이동부(150)가 작동하는경우, 고정결합부(123)나 유압축(153)[[가]] 가이드부(113)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승하강부(120)가 상하로 직선운동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셔터부는 베이스부(110)의 전면, 즉 개방된 공간 중 승하강부(120)가 차지하는 공간을 제외한 나머지 공간을 폐쇄할 수 있는 수단이다. 상세히, 셔터부는 승하강부(120)의 전면 상단 및 하단과 연결되어, 승하강부(120)가 상하로 왕복이동하는 경우 승하강부(120)가 위치하지 않는 베이스부(110)의 전면을 폐쇄할 수 있다.
셔터부는 승하강부(120) 상측의 공간을 차폐하는 상셔터부(130)와, 승하강부(120) 하측의 공간을 차폐하는 하셔터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셔터부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서 아래에서 설명한다.
상셔터부(130)는 상부수용박스(131)와, 상부수용박스(131) 내에 수납되어 승하강부(120)의 왕복이동에 따라 베이스부(110) 전면 공간 중 승하강부(120) 상측의 공간을 차폐할 수 있는 상부롤러셔터(1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수용박스(131)는 베이스부(110)의 상단 내면, 즉 베이스부(110) 상단의 왕복공간 측에 배치되고, 내부에 상부롤러셔터(132)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세히, 상부수용박스(131)는 전면에 상부롤러셔터(132)가 롤링되면서 인입 또는 인출될 수 있는 상부입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부롤러셔터(132)는 상부수용박스(131) 내에 롤링된 상태로 수납되고, 일단이 승하강부(120)의 본체부(121) 전면 상단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승하강부(120)가 하방으로 이동할때 상부롤러셔터(132)는 롤링이 풀리고 상부입출구를 통해 인출되면서 베이스부(110)의 전면 공간을 차폐할 수 있고, 반대로 승하강부(120)가 상방으로 이동할 때 상부롤러셔터(132)는 롤링이 되면서 상부입출구를 통해 인입될 수 있다.
또한, 상부롤러셔터(132)는 롤링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일 예로, 쉽게 찢어지지 않는 합성수지 등이 다단으로 연결된 재질 및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하셔터부(140)는 하부수용박스(141)와, 하부수용박스(141) 내에 수납되어 승하강부(120)의 왕복이동에 따라 베이스부(110) 전면 공간 중 승하강부(120) 하측의 공간을 차폐할 수 있는 하부롤러셔터(142)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수용박스(141)는 베이스부(110)의 하단 내면, 즉 베이스부(110) 하단의 왕복공간 측에 배치되고, 내부에 하부롤러셔터(142)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세히, 하부수용박스(141)는 전면에 하부롤러셔터(142)가 롤링되면서 인입 또는 인출될 수 있는 하부입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하부롤러셔터(142)는 하부수용박스(141) 내에 롤링된 상태로 수납되고, 일단이 승하강부(120)의 본체부(121) 전면 하단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승하강부(120)가 상방으로 이동할때 하부롤러셔터(142)는 롤링이 풀리고 하부입출구를 통해 인출되면서 베이스부(110)의 전면 공간을 차폐할 수 있고, 반대로 승하강부(120)가 하방으로 이동할 때 하부롤러셔터(142)는 롤링이 되면서 하부입출구를 통해 인입될 수 있다.
또한, 하부롤러셔터(142)는 롤링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일 예로, 쉽게 찢어지지 않는 합성수지 등이 다단으로 연결된 재질 및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100)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100)의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엘리베이터(100)는 전면이 건물의 외벽에 접촉하도록 결합설치될 수 있고, 이 경우, 건물 내부의 통로와 엘리베이터(100) 전면은 서로 연통된 상태일 수 있다. 아래에서는 엘리베이버가 1층에서 2층으로 올라가는 예를 설명하나, 다 수의 층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엘리베이터(100)의 승하강부(120)가 1층에 있는 상태에서는, 상셔터부(130)의 상부롤러셔터(132)가 베이스부(110)의 전면공간 중 승하강부(120) 상측공간을 차폐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2층 통로의 사용자에게는 엘리베이터(100)가 설치된 공간의 상부롤러셔터(132)가 보여질 수 있다.
이 상태에서 2층의 사용자가 버튼 등을 통해 엘리베이터(100)를 작동시키면, 유압식 펌프(151)가 작동하여 승하강부(120) 양 측에 설치된 두 개의 유압식 실린더(152)로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두 개의 유압식 실린더(152)는 각각에 배치된 유압축(153)[[를]] 상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고정결합부(123)에 의해 유압축(153)[[와]] 연결된 승하강부(120)는 상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고정결합부(123) 또는 유압축(153)[[는]] 가이드부(113)에 의해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이 가이드될 수 있어 승하강부(120)가 안정적으로 상방으로 이동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셔터부(130)의 상부롤러셔터(132)는 롤링되면서 상부수용박스(131)에 인입되고, 이와 동시에 하셔터부(140)의 하부롤러셔터(142)는 롤링이 풀리면서 하부수용박스(141)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승하강부(120)의 상측 및 하측의 공간, 즉 베이스의 개구된 전면공간이 상부롤러셔터(132) 및 하부롤러셔터(142)에 의해 차폐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2층에 승하강부(120)가 도착한 경우에는 상부롤러셔터(132)는 상부수용박스(131)에 완전히 인입될 수 있고, 동시에 하부롤러셔터(142)는 완전히 인출되어 승하강부(120) 하측의 공간을 차폐할 수 있다.
즉, 승하강부(120)가 상하로 이동함과 동시에, 베이스부(110)의 전면공간이 상셔터부(130) 및 하셔터부(140)에 의해 완전히 차폐됨에 따라, 건물에 별도의 엘리베이터(100)용 도어를 설치할 필요없이 통로 개구만 설치해 놓은 상태에서 엘리베이터(100)를 설치하면 바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전성이 높으면서도 설치 및 유지보수 비용 및 시간이 절약되는 효과가 있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를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동작에 따른 전면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동작에 따른 후면 사시도이다.
도 7 및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에서 구조 및 배치가 변경되어, 사용자가 건물 외부에서 엘리베이터를 통해 건물의 2층 내부로 갈 수 있는 구조이다. 아래에서는 기존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와 구조 및 배치가 변경된 부분에 대해서 설명하고, 생략된 구조는 기존의 엘리베이터와 동일하니 생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는 베이스부(110‘)의 전면 하측공간과 베이스부(110’)의 후면 상측공간이 개방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부(110’)의 후면이 건물에 결합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엘리베이터가 건물에 설치된 경우, 베이스부(110‘)의 전면 하측, 즉 1층 공간은 개방된 상태일 수 있고, 반대로 베이스부(110’)의 후면 상측, 즉 2층 공간이 개방된 상태일 수 있다.
또한, 승하강부(120‘)는 전면 및 후면에 각각 도어부(122’a, 122’b)가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승하강부(120’)의 전면에 형성된 전면도어부(122’a)를 통해 외부에서 엘리베이터에 탑승할 수 있고, 승하강부(120)의 후면에 형성된 후면도어부(122’b)를 통해 건물의 2층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상셔터부는 승하강부(120)‘의 전면 하측공간을 차폐하도록 설치될 수 있고, 반대로 하셔터부는 승하강부(120’)의 후면 상측공간을 차폐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승하강부(120‘)가 1층에 있는 경우에는 베이스부(110’)의 후면 상측, 즉 2층 공간이 상셔터부에 의해 차폐될 수 있고, 승하강부(120‘)가 2층에 있는 경우에는 베이스부(110’)의 전면 하측, 즉 1층 외부공간이 하셔터부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엘리베이터를 사용하는 승객들이 안전하게 탑승 및 하차할 수 있고, 더불어 설치비용 및 설치시간이 저렴한 효과가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엘리베이터 110 ... 베이스부
120 ... 승하강부 130 ... 상셔터부
140 ... 하셔터부 150 ... 상하이동부

Claims (5)

  1. 전면 및 후면에 통로가 형성되고 승객이 탑승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본체부와, 상기 통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양 측면 상측 및 하측에 형성되어 상하로 이동되게 하는 고정결합부가 구비된 승하강부;
    다 수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상기 승하강부가 상하로 왕복이동 가능한 왕복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도어부가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전면 및 후면의 통로 방향으로 승객이 탑승 및 하차할 수 있는 개방공간이 형성된 베이스부;
    상기 승하강부의 양 측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결합부에 결합되며, 상기 승하강부에 상하 이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상하이동부; 및
    상기 승하강부의 상단 및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승하강부가 위치하지 않는 전면 및 후면의 상기 개방공간을 차폐하는 셔터부;를 포함하며,
    상기 셔터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상단 및 상기 승하강부의 도어 측 상단에 연결되어, 상기 승하강부가 하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승하강부 상측의 개방공간을 차폐하는 상부롤러셔터;
    상기 베이스부의 하단 및 상기 승하강부의 도어 측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승하강부가 상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승하강부 하측의 개방공간을 차폐하는 하부롤러셔터;
    상기 베이스부의 상단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롤러셔터가 수용되어 인출 및 인입되는 상부수용박스; 및
    상기 베이스부의 하단에 배치되고, 상기 하부롤러셔터가 수용되어 인출 및 인입되는 하부수용박스;를 포함하고,
    상기 승하강부가 상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셔터부가 상기 승하강부 하측의 개방공간을 차폐하고, 상기 승하강부가 하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셔터부가 상기 승하강부 상측의 개방공간을 차폐하며,
    승객은 상기 도어부가 개방되면 상기 본체부의 전면 및 후면의 통로 중 하나 이상의 통로를 통해 선택적으로 상기 수용공간에 탑승하거나 외부로 내릴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이동부는,
    상기 베이스부 하단에 배치되어 유압을 제공하는 유압펌프;
    상기 승하강부 양 측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유압펌프에 연결되어 유압을 전달받는 유압실린더; 및
    상기 승하강부 양 측에 결합되고, 상기 유압실린더의 유압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는 유압축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펌프가 작동하여 유압을 발생시키면 상기 유압실린더에 의해 상기 유압축이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승하강부가 상승하고,
    상기 유압펌프가 작동하여 유압을 제거시키면 상기 유압실린더에 의해 상기 유압축이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승하강부가 하강하는 엘리베이터.
KR1020190088651A 2019-07-23 2019-07-23 분리설치 가능한 엘리베이터 Expired - Fee Related KR1021809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8651A KR102180909B1 (ko) 2019-07-23 2019-07-23 분리설치 가능한 엘리베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8651A KR102180909B1 (ko) 2019-07-23 2019-07-23 분리설치 가능한 엘리베이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0909B1 true KR102180909B1 (ko) 2020-11-19

Family

ID=73678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8651A Expired - Fee Related KR102180909B1 (ko) 2019-07-23 2019-07-23 분리설치 가능한 엘리베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090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99485A (ja) * 1992-12-29 1994-07-19 San F Kogyo Kk 昇降装置
JP2002226155A (ja) * 2001-01-26 2002-08-14 Mitsubishi Electric Corp 液圧エレベータ
JP2002241065A (ja) * 2001-02-13 2002-08-28 Mitsubishi Electric Corp 横断歩道橋装置
CN2542634Y (zh) * 2002-04-16 2003-04-02 李军 家用电梯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99485A (ja) * 1992-12-29 1994-07-19 San F Kogyo Kk 昇降装置
JP2002226155A (ja) * 2001-01-26 2002-08-14 Mitsubishi Electric Corp 液圧エレベータ
JP2002241065A (ja) * 2001-02-13 2002-08-28 Mitsubishi Electric Corp 横断歩道橋装置
CN2542634Y (zh) * 2002-04-16 2003-04-02 李军 家用电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135586A1 (en) Elevator arrangement with low headroom
US9950901B2 (en) Elevator arrangement and method for re-adjusting the elevator arrangement
US20130284543A1 (en) Method and elevator arrangement
CN106276511B (zh) 套筒式单双层可切换电梯系统
US20190263630A1 (en) Elevator car toe guard system
KR102180909B1 (ko) 분리설치 가능한 엘리베이터
EP1195346A1 (en) Elevator device
CN210084692U (zh) 一种内含输送带的杂物电梯
KR101143917B1 (ko) 저층용 승강기
US20020139619A1 (en) Hoistwayless elevator system
ITMI20010728A1 (it) Azionamento oleodinamico per ascensori e montacarichi con centralina bel vano corsa
JP2016145092A (ja) エレベータ装置
JPH09328270A (ja) エレベータ装置
KR20210075596A (ko) 엘리베이터 도어 상부 지지 조립체
KR101022798B1 (ko) 소형 기계실 설치형 승강기
EP0103951A2 (en) Improvements in load transfer apparatus
JP4420187B2 (ja) 免震建築物用エレベータ装置
CN117125576A (zh) 老旧小区入户加装电梯
JP6895130B2 (ja) エレベーターの昇降路の排気を行う機能を備えた乗場ドアおよび排気方法
KR102726184B1 (ko) 보상시브를 포함하는 승강기
JP2016204139A (ja) エレベータドア敷居溝の異物排出装置
CN211898892U (zh) 一种城市轨道交通超深电梯救援通道
CA1176185A (en) Hydraulic elevators
US20170210598A1 (en) Elevator system
JPH04189287A (ja)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7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31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723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6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8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110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11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11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8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