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0834B1 - Disk agglutination prosthesis utilizing bending - Google Patents
Disk agglutination prosthesis utilizing bending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80834B1 KR102180834B1 KR1020160132550A KR20160132550A KR102180834B1 KR 102180834 B1 KR102180834 B1 KR 102180834B1 KR 1020160132550 A KR1020160132550 A KR 1020160132550A KR 20160132550 A KR20160132550 A KR 20160132550A KR 102180834 B1 KR102180834 B1 KR 10218083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one
- portions
- intervertebral disc
- hinge
- hinge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4—Joints for the spine, e.g. vertebrae, spinal discs
- A61F2/442—Intervertebral or spinal discs, e.g. resilient
- A61F2/4425—Intervertebral or spinal discs, e.g. resilient made of articulated compone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6—Special tools for implanting artificial joints
- A61F2/4603—Special tools for implanting artificial joints for insertion or extraction of endoprosthetic joints or of accessories thereof
- A61F2/4611—Special tools for implanting artificial joints for insertion or extraction of endoprosthetic joints or of accessories thereof of spinal prosthes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 A61F2002/30003—Material related properties of the prosthesis or of a coating on the prosthesis
- A61F2002/3006—Properties of materials and coating materials
- A61F2002/30074—Properties of materials and coating materials stretchabl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 A61F2002/30316—The prosthesis having different structural features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Connections between prosthetic parts; 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002/30329—Connections or couplings between prosthetic parts, e.g. between modular parts; Connecting elements
- A61F2002/30433—Connections or couplings between prosthetic parts, e.g. between modular parts; Connecting elements using additional screws, bolts, dowels, rivets or washers e.g. connecting screw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Neur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부러짐을 이용한 추간판 유합 보형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구부러짐을 이용한 추간판 유합 보형재는, 손상된 환자의 척추 병변부를 치료하기 위하여 뼈와 뼈 사이에 개재되는 인공 삽입물에 관한 것으로, XY 평면 상의 X축 방향의 축선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된 위치에 마련되는 복수의 힌지부들; 및 상기 각 힌지부를 중심으로 하여 대칭인 위치에 배치되고, 그 힌지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그 힌지부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서로 플랫(flat)한 평면에 놓여진 상태에서 튜브 형태의 수술 견인기 내부를 통과하여 상기 뼈와 뼈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힌지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접근됨으로써 상기 뼈와 뼈 사이의 폭에 대응되는 높이를, 상기 XY 평면 상의 Y축 방향으로 형성시키는 복수의 접철부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rvertebral disc fusion prosthesis using bending. The intervertebral disc fusion prosthesis using ben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rtificial implant interposed between a bone and a bone in order to treat a spinal lesion of a damaged patient, and is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axis in the X-axis direction on the XY plane. A plurality of hinge parts provided at the position; And disposed in a symmetrical position with respect to each of the hinges, formed integrally with the hinges, connected to the hinges so as to be able to rotate relative to each other, and in a state of being placed on a flat plane with each other in a tube shape A plurality of folds that pass through the inside of the retractor and are located between the bone and the bone and are approached with each other through the hinge part to form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width between the bone and the bone in the Y-axis direction on the XY plan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Description
본 발명은 손상된 환자의 척추 병변부를 치료하기 위하여 뼈와 뼈 사이에 개재되는 인공 삽입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환자의 절개부위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구부러짐을 이용한 추간판 유합 보형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rtificial implant interposed between a bone and a bone to treat a spinal lesion of a damaged patient,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tervertebral disc fusion prosthesis using an improved bend structure to minimize the incision of the patient. About.
추간판 유합 보형재는, 손상된 환자의 척추 병변부에 발생한 통증을 제거하고 제한된 운동범위를 복원시키거나 개선하기 위하여 본래의 디스크를 대체하거나 척추를 바로 펼 수 있게 하는 인공 삽입물이다. The intervertebral disc fusion prosthesis is an implant that replaces the original disc or allows the spine to be straightened in order to remove the pain that occurs in the spinal lesion of the injured patient and restore or improve a limited range of motion.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추간판 유합 보형재는 환자의 디스크 크기에 따라 높이 8~16mm까지 사용되고 있으며, 이를 삽입하기 위한 캐뉼라(cannula)의 크기는 최소 Ø20mm 이상(절개부위 25mm이상)이 되어야 한다. 환부의 병변 원인을 제거하기 위한 수술 작업은 일반적으로 Ø10mm 정도의 튜브 리트렉터 사용으로 충분하나, 추간판 유합 보형재 삽입을 위하여 2배 이상 큰 사이즈의 절개가 필요한 실정이다. 환부의 절개부위가 커진 만큼 환자의 고통도 증가하게 된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the conventional intervertebral disc fusion prosthesis is used up to 8 to 16 mm in height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patient's disc, and the size of the cannula for inserting it is at least
이러한 종래의 추간판 유합 보형재의 단점을 보완하고 최소 침습 수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0-0139066호와 같은 '척추에 배치되는 접힐 수 있는 장치'와 같은 기술이 제안된 바 있으나, 이러한 기술은 복수의 분절(별개로 제작된 이후 조립에 의해 연결) 형태로 제작되고, 힌지에 의해 서로 연결됨에 따라, 첫째, 조립 효율 저해 및 제조원가 상승을 초래하여 왔고, 둘째, 분절을 연결시키는 힌지 부분에 응력이 집중됨에도 불구하고 그 힌지 부분을 분절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얇게 제작됨에 따라 제품의 내구성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을 야기하였다.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shortcomings of the conventional intervertebral disc fusion prosthesis and to enable minimally invasive surgery, a technique such as'a foldable device disposed on the spine' such as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0-0139066 has been proposed. However, this technology has been produced in the form of a plurality of segments (connected by assembly after being manufactured separately), and as they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hinges, first, it has resulted in a decrease in assembly efficiency and an increase in manufacturing cost. Despite the concentration of stress on the hinge portion to be connected, the durability of the product was deteriorated as the hinge portion was made relatively thinner than the segmented portion.
이와 같이, 의료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일반 척추 유합수술의 방법은 기존의 개방형 절개 수술에서 절개 범위를 최소화하여 환자의 통증을 절감시키고 미적 요인도 고려한 최소 침습 수술로 변화하고 있다. As described above, with the development of medical technology, the method of general spinal fusion surgery is changing from conventional open incision surgery to minimally invasive surgery that reduces patient pain and considers aesthetic factors by minimizing the incision range.
또한, 최소 침습 수술을 위한 제품 개발시에는, 위 공개특허공보에 개시된 기술의 단점을 보완하여, 조립성을 개선하여 제품의 양산성 향상 및 제조원가 절감을 가능하게 하고, 내구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제품 신뢰도를 더욱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시대적 흐름이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In addition, when developing a product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the disadvantages of the technology disclosed in the above published patent publications are compensated to improve assembly, thereby improving mass production of the product and reducing manufacturing cost, and improving the durability of the product, further enhancing product reliability. The trend of the times to be able to be enhanced should be reflected.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환자의 절개부위를 최소화시킬 수 있게 하여 최소침습 추간판 유합 수술을 가능하게 하고, 제품의 양산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구부러짐을 이용한 추간판 유합 보형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was conceiv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minimally invasive intervertebral disc fusion surgery by minimizing the incision of the patient, and to improve the mass production and durability of the product. It is intended to provide an intervertebral disc fusion prosthesis using a bend that allows it to be mad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구부러짐을 이용한 추간판 유합 보형재는, 손상된 환자의 척추 병변부를 치료하기 위하여 뼈와 뼈 사이에 개재되는 인공 삽입물에 관한 것으로, XY 평면 상의 X축 방향의 축선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된 위치에 마련되는 복수의 힌지부들; 및 상기 각 힌지부를 중심으로 하여 대칭인 위치에 배치되고, 그 힌지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그 힌지부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서로 플랫(flat)한 평면에 놓여진 상태에서 튜브 형태의 수술 견인기 내부를 통과하여 상기 뼈와 뼈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힌지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접근됨으로써 상기 뼈와 뼈 사이의 폭에 대응되는 높이를, 상기 XY 평면 상의 Y축 방향으로 형성시키는 복수의 접철부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intervertebral disc fusion prosthesis using ben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relates to an artificial implant interposed between a bone and a bone to treat a spinal lesion of a damaged patient, along the axis in the X-axis direction on the XY plane. , A plurality of hinge portions provided at spaced apart positions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disposed in a symmetrical position with respect to each of the hinges, formed integrally with the hinges, connected to the hinges so as to be able to rotate relative to each other, and in a state of being placed on a flat plane with each other in a tube shape A plurality of folds that pass through the inside of the retractor and are located between the bone and the bone and are approached with each other through the hinge part to form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width between the bone and the bone in the Y-axis direction on the XY plan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상기 힌지부와 접철부들은, 티타늄 재질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hinge portion and the folded portion are integrally formed of a titanium material.
상기 힌지부는, 상기 X축 방향을 따라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각 접철부와 연결되는 부분에, 구부러짐을 원활하게 하는 힌지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hinge portion is formed to have a length along the X-axis direction, and a hinge groove that facilitates bending is formed at a portion connected to each of the folded portions.
본 발명은, 상기 XY 평면 상의 X축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X축 방향을 기준으로 최외곽에 위치한 한 쌍의 접철부들 중 어느 하나의 접철부를 관통하여, 그 어느 하나의 접철부와 인접하게 배치된 접철부에 위치되고, 타단이 상기 어느 하나의 접철부에 고정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formed long along the X-axis direction on the XY plane, and one end penetrates through any one of a pair of folded parts located at the outermost side with respect to the X-axis direction, and any one fold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a guide member located in the folded portion disposed adjacent to the portion, the other end is fixed to any one of the folded por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채용되는 접철부들은, 서로 가장 가깝게 접근되는 경우에 서로 맞대이는 맞대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folded portions employ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butt portions that are abutted to each other when they are closest to each other.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구부러짐을 이용한 추간판 유합 보형재는, 접힘 및 펼침이 자유로운 구조가 채택됨으로써, 내시경관을 활용한 시술을 가능하게 하여, 결국 환자의 절개부위의 최소화에 따른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을 도출하고, 하나의 재질로 일체로 형성됨에 따라 제품의 양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응력이 집중될 수 있는 부분을, 응력 강도에 적합한 길이 및 두께를 갖도록 다양하게 형성시킬 수 있어서, 결국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도출한다.The intervertebral disc fusion prosthesis using ben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has a structure that can be folded and unfolded freely, thereby enabling a procedure using an endoscope tube, resulting in good quality according to the minimization of the patient's incision. It is possible to derive the merits of providing medical services of the hospital, and improve the mass productivity of the product by being integrally formed of one material, as well as the part where the stress can be concentrated, the length and thickness suitable for the stress intensity. It can be formed in a variety of ways to have an advantage, which in turn can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product.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구부러짐을 이용한 추간판 유합 보형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부러짐을 이용한 추간판 유합 보형재의 펼침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접힘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접힘 상태에서의 측면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인체 내 삽입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부러짐을 이용한 추간판 유합 보형재의 측면도.
도 9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부러짐을 이용한 추간판 유합 보형재의 측면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tervertebral disc fused prosthesis using bending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unfolded state of the intervertebral disc fusion prosthesis using ben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lded state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ide view in a folded state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to 7 are views for explaining an insertion process into a human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side view of the intervertebral disc fusion prosthesis using bend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side view of the intervertebral disc fusion prosthesis using bend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부러짐을 이용한 추간판 유합 보형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intervertebral disc fusion prosthesis using be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부러짐을 이용한 추간판 유합 보형재의 펼침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접힘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접힘 상태에서의 측면도이며,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인체 내 삽입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unfolded state of the intervertebral disc fusion prosthesis using ben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lded state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folded state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ide view, and FIGS. 5 to 7 are views for explaining an insertion process into a human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구부러짐을 이용한 추간판 유합 보형재(1)는, 손상된 환자의 척추 병변부를 치료하기 위하여 뼈(B)와 뼈(B) 사이에 개재되는 인공 삽입물에 관한 것으로, 힌지부(10)들과 접철부(20)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intervertebral
본 발명에 의한 구부러짐을 이용한 추간판 유합 보형재(1)는, 튜브 형태의 수술 견인기(50)를 통하여 인체에 삽입될 수 있게 됨으로써 최소 침습 수술을 가능하게 하고, 이에 따라 절개 범위를 최소화하여 환자의 통증을 절감시킬 수 있게 한다.The intervertebral
이러한 장점을 도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은 상기 힌지부(10)들과 접철부(20)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접힘과 펼침이 자유로운 구조를 가지며, 그 힌지부(10)들과 접철부(20)들이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조립성 및 내구성이 향상된 구조를 가진다.In order to derive these advantages,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즉, 상기 각 힌지부(10)는, 도 2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XY 평면 상의 X축 방향의 축선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된 위치에 마련된다. That is, each of the
상기 각 접철부(20)들은, 상기 각 힌지부(10)를 중심으로 하여 대칭인 위치에 배치되고, 그 힌지부(10)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힌지부(10)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Each of the folded
이러한 접철부(20)는, 도 2 및 도 6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랫(flat)한 평면에 놓여진 상태에서 튜브 형태의 수술 견인기(50) 내부를 통과하여 상기 뼈(B)와 뼈(B) 사이에 위치되며(접철부의 펼침 상태), 도 3 및 도 7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힌지부(10)를 사이에 두고 서로 접근됨으로써 상기 뼈(B)와 뼈(B) 사이의 폭에 대응되는 높이를, 상기 XY 평면 상의 Y축 방향으로 형성시킴으로써, 상기 뼈(B)와 뼈(B) 사이의 폭을 요구되는 정도로 복원될 수 있게 한다. This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구부러짐을 이용한 추간판 유합 보형재(1)는, 상기 힌지부(10)와 접철부(20)들을 서로 상대회전 가능하게 일체로 형성시킴으로써, 펼침 상태에서는 플랫(flat)한 평면에 놓여질 수 있도록 하여 튜브 형태의 수술 견인기(50)를 통과할 수 있도록 하고, 그 수술 견인기(50)를 통과하여 뼈(B)와 뼈(B) 사이에 개재된 이후 소정의 높이를 갖도록 접히게 됨으로써, 뼈(B)와 뼈(B) 사이의 좁아진 갭을 요구되는 정도로 복원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발휘하는 것이다. Intervertebral
이러한 구부러짐을 이용한 추간판 유합 보형재(1)는, 접힘 및 펼침이 자유로운 구조가 채택됨으로써, 수술 견인기(50)를 활용한 시술을 가능하게 하여, 결국 환자의 절개부위의 최소화에 따른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을 도출하고, 하나의 재질로 일체로 형성됨에 따라 제품의 양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응력이 집중될 수 있는 부분을, 응력 강도에 적합한 길이 및 두께를 갖도록 다양하게 형성시킬 수 있어서, 결국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도출한다.The intervertebral disc fusion prosthesis (1) using such a bend has a structure that is free to be folded and unfolded, thereby enabling a procedure using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힌지부(10)와 접철부(20)들은, 인체에 무해한 다양한 재질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족하나, 내구성 향상을 위하여 티타늄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embodiment, the
상기 힌지부(10)는,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X축 방향을 따라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각 접철부(20)와 연결되는 부분에, 구부러짐을 원활하게 하는 힌지홈(12)이 형성되어 있다.The
즉, 상기 힌지부(10)는, 단순히 상대회전축의 기능만을 발휘하는 것이 아니라, 일정 길이 및 두께를 갖도록 제작됨으로써 상기 뼈(B)에 가해지는 하중을 견딜 수 있는 응력 견딤 구조를 갖게 되고, 또한, 상기 응력 견딤 구조의 채택에 의해서도 접철부(20)와의 원활한 접힘 및 펼침이 가능하도록, 상기 접철부(20)와의 연결 부위에 힌지홈(12)이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That is, the
본 발명은, 상기 접철부(20)들이, 도 2에서 도 3과 같은 상태로 원활하게 접힐 수 있도록, 그 접철부(20)들의 접힘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folded
상기 가이드부재(30)는, 상기 XY 평면 상의 X축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며,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상기 X축 방향을 기준으로 최외곽에 위치한 한 쌍의 접철부(20)들 중 어느 하나의 접철부(20)를 관통하여, 그 어느 하나의 접철부(20)와 인접하게 배치된 접철부(20)에 위치되고, 타단이, 상기 어느 하나의 접철부(20)에 고정된다.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부재(30)의 타단과 접철부(20) 간의 고정을 위한 구성으로는, 상기 한 쌍의 접철부(20)들 중 다른 하나에 마련되는 결속용 구멍(22)과 상기 결속용 구멍(22)을 관통한 가이드부재(30)에 체결되는 록킹너트(40)가 채용되었다. In this embodiment, as a configuration for fixing between the other end of the
즉, 상기 다른 하나의 접철부(20)의 결속용 구멍(22)에는, 상기 어느 하나의 접철부(20)를 경유한 가이드부재(30)가 관통하게 되고, 이러한 가이드부재(30)에 상기 록킹너트(40)가 체결됨으로써, 상기 가이드부재(30)와 접철부(20)들 간의 결속이 이루어지고, 이러한 결속에 의해 본 실시예에 따른 구부러짐을 이용한 추간판 유합 보형재(1)는 인체 내에서 도 7과 같은 접힘 상태가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That is, in the binding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부러짐을 이용한 추간판 유합 보형재(1)를 설명하였다. 도면 중 미설명부호 P는 본 실시예에 따른 구부러짐을 이용한 추간판 유합 보형재(1)를 가압하여 접힘 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가압부재이다. In the above, the intervertebral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부러짐을 이용한 추간판 유합 보형재의 측면도이다. On the other hand, Figure 8 is a side view of the intervertebral disc fusion prosthesis using bend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는, 접철부(70)들이 서로 가장 가깝게 접근되는 경우에 맞대이게 되는 맞대임부(72)를 갖도록 구성되고, 상기 맞대임부(72)들과 힌지부(60) 사이에, 상기 힌지부(60)에 대한 맞대임부(72)들의 접힘 및 펼침을 가능하게 하는 변형 허용홈(74)이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The embodiment shown in this figure is configured to have a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예는, 도 7과 같이 접힌 상태가 되는 경우에 상기 각 접철부(70)의 맞대임부(72)들이 서로 맞대이도록 구성됨으로써, 뼈를 통해 그 접철부(70)에 수직으로 가해지는 하중에 대한 휨 강도를 더욱 우수하게 하여, 결국 제품의 내구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장점을 도출한다. This embodiment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s configured so that the
그리고, 본 실시예는, 상기 접철부(70)들이, 상기 맞대임부(72)와 힌지부(60) 사이에 위치하여 양 요소를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부(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조를 가진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folded
본 실시예에 채택된 연결부(80)는, 외면이 라운드 형상을 가지는 제1연결부(82)와, 곡률중심이 상기 제1연결부(82)와는 반대측에 형성되는 제2연결부(84)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뼈를 통해 수직으로 가해지는 하중에 대한 강도를 더욱 우수하게 한다. The connecting
도 9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부러짐을 이용한 추간판 유합 보형재의 측면도이다. 9 is a side view of an intervertebral disc fusion prosthesis using bend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 도면 도시된 실시예는, 상기 뼈와 뼈 사이의 공간의 Y축 높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경우에, 접철부(90)들이 그 공간의 Y축 높이에 대응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길이를 갖도록 구성된다.In the embodiment shown in this figure, when the Y-axis height of the space between the bone and the bone is formed differently from each other, the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하나의 재질로 힌지부와 접철부를 일체로 형성시키되, 상기 접철부(90)들이 서로 다른 길이를 갖도록 함으로써, 환자의 서로 다른 병변부에 대응하여 능동적인 치료를 가능하게 하는 장점이 기대된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hinge portion and the folded portion are integrally formed of a single material, but by making the folded
이상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실시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Although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embodiment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merely illustrative of some of the technical ideas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included in the specification and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hat all modified examples and specific embodiments that can be easily inferr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구부러짐을 이용한 추간판 유합 보형재
10:힌지부 12:힌지홈
20:접철부 22:결속용 구멍
30:가이드부재 40:록킹너트
50:수술 견인기 60:힌지부
70:접철부 72:맞대임부
74:변형 허용홈 80:연결부
82:제1연결부 84:제2연결부
90:접철부 B:뼈
P:가압부재1: Intervertebral disc fusion prosthesis using bending
10: hinge part 12: hinge groove
20: folding part 22: binding hole
30: guide member 40: locking nut
50: surgical retractor 60: hinge
70: folded part 72: butted part
74: deformation allowable groove 80: connection
82: first connection 84: second connection
90: folded portion B: bone
P: Pressurized member
Claims (8)
XY 평면 상의 X축 방향의 축선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된 위치에 마련되는 복수의 힌지부들; 및 상기 각 힌지부를 중심으로 하여 대칭인 위치에 배치되고, 그 힌지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그 힌지부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서로 플랫(flat)한 평면에 놓여진 상태에서 튜브 형태의 수술 견인기 내부를 통과하여 상기 뼈와 뼈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힌지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접근됨으로써 상기 뼈와 뼈 사이의 폭에 대응되는 높이를, 상기 XY 평면 상의 Y축 방향으로 형성시키는 복수의 접철부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접철부들은, 서로 가장 가깝게 접근되는 경우에 서로 맞대이는 맞대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맞대임부들과 힌지부 사이에는, 상기 힌지부에 대한 맞대임부들의 접힘 및 펼침을 가능하게 하는 변형 허용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부러짐을 이용한 추간판 유합 보형재.It relates to an artificial implant interposed between a bone and a bone to treat a spinal lesion of a damaged patient,
A plurality of hinge portions provided at posi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an axis line in the X-axis direction on the XY plane; And disposed in a symmetrical position with respect to each of the hinges, formed integrally with the hinges, connected to the hinges so as to be able to rotate relative to each other, and in a state of being placed on a flat plane with each other in a tube shape A plurality of folds that pass through the inside of the retractor and are located between the bone and the bone and are approached with each other through the hinge part to form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width between the bone and the bone in the Y-axis direction on the XY plane It is made including ;,
The foldable portions are formed including butt portions that are butted to each other when they are closest to each other,
An intervertebral disc fusion prosthesis using bend, characterized in that a deformation allowable groove is formed between the butt portions and the hinge portion to allow folding and unfolding of the butt portions with respect to the hinge portion.
상기 접철부들은, 상기 맞대임부와 힌지부 사이에 위치하여 양 요소를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부는, 외면이 라운드 형상을 가지는 제1연결부와, 곡률중심이 상기 제1연결부와는 반대측에 형성되는 제2연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부러짐을 이용한 추간판 유합 보형재. The method of claim 6,
The foldable portions include a connecting portion positioned between the butt portion and the hinge portion to connect the two elements to each other,
The connection portion, the intervertebral disc fusion prosthesis using bend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surface comprises a first connector having a round shape and a second connector having a center of curvature formed on a side opposite to the first connector.
상기 접철부들은, 상기 뼈와 뼈 사이의 공간의 Y축 높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경우에, 그 공간의 Y축 높이에 대응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부러짐을 이용한 추간판 유합 보형재. The method of claim 6,
The folded portions have different lengths so as to correspond to the Y-axis height of the space when the Y-axis heights of the space between the bones and the bone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intervertebral disc fusion beam using bending Broth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32550A KR102180834B1 (en) | 2016-10-13 | 2016-10-13 | Disk agglutination prosthesis utilizing bending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32550A KR102180834B1 (en) | 2016-10-13 | 2016-10-13 | Disk agglutination prosthesis utilizing bending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40808A KR20180040808A (en) | 2018-04-23 |
KR102180834B1 true KR102180834B1 (en) | 2020-11-19 |
Family
ID=62089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32550A Active KR102180834B1 (en) | 2016-10-13 | 2016-10-13 | Disk agglutination prosthesis utilizing bending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80834B1 (e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60041258A1 (en) | 2004-08-19 | 2006-02-23 | Foster-Miller, Inc. | Support system for intervertebral fusion |
US20060142858A1 (en) | 2004-12-16 | 2006-06-29 | Dennis Colleran | Expandable implants for spinal disc replacement |
KR101444638B1 (en) | 2014-04-24 | 2014-09-26 | 김현성 | Percutaneous intervertebral artificial disc replacement for minimal invasive surgery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A2598742A1 (en) * | 2005-03-01 | 2006-09-08 | Columna Pty Ltd | Intervertebral disc restoration |
FR2917287B1 (en) * | 2007-06-15 | 2010-09-03 | Ldr Medical | INTERVERTEBRAL PROSTHESIS |
US8795365B2 (en) * | 2008-03-24 | 2014-08-05 | Warsaw Orthopedic, Inc | Expandable devices for emplacement in body parts and methods associated therewith |
CA2804723A1 (en) * | 2010-07-15 | 2012-01-19 | Nlt Spine Ltd. | Surgical systems and methods for implanting deflectable implants |
EP2758008B1 (en) * | 2011-09-20 | 2019-09-11 | The University of Toledo | Expandable inter-vertebral cage |
-
2016
- 2016-10-13 KR KR1020160132550A patent/KR102180834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60041258A1 (en) | 2004-08-19 | 2006-02-23 | Foster-Miller, Inc. | Support system for intervertebral fusion |
US20060142858A1 (en) | 2004-12-16 | 2006-06-29 | Dennis Colleran | Expandable implants for spinal disc replacement |
KR101444638B1 (en) | 2014-04-24 | 2014-09-26 | 김현성 | Percutaneous intervertebral artificial disc replacement for minimal invasive surgery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40808A (en) | 2018-04-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619839B1 (en) | Bendable tube with improved elastic hinge | |
US11160585B2 (en) | Instrument system for use with an interspinous implant | |
JP6301289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securing a bone implant | |
US20200397592A9 (en) | Intervertebral devices and related methods | |
JP4495218B2 (en) | Interspinous spacer | |
US8236028B2 (en) | Spinal rod connector | |
CN103096820B (en) | Extensions for spinal anchors | |
CA2555407C (en) | System and method for protecting neurovascular structures | |
JP6258343B2 (en) | Locking member for bone fixation device | |
US20110077686A1 (en) | Interspinous process implant having a compliant spacer | |
JP2010540100A (en) | Transformer connector | |
JP2011143253A (en) | Dynamic interspinous process device | |
EP2184021A1 (en) | Interspinous devices | |
KR20030094308A (en) | Intervertebral space implant for use in spinal fusion procedures | |
KR20010113767A (en) | Low profile anastomosis connector | |
CN106974747A (en) | Elbow prosthese | |
US20100256640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phylactic hip fixation | |
US10675059B2 (en) | Dynamic decompressive craniotomy fixation devices and related methods | |
KR102180834B1 (en) | Disk agglutination prosthesis utilizing bending | |
JP7606768B2 (en) | Flexible spinal fixation rod | |
CN105073044B (en) | Lower jaw hone lamella | |
CN213098543U (en) | Interspinous process fixing device | |
JP3720993B2 (en) | Bone flap fixture | |
KR101684345B1 (en) | Replacement device for replacing a centrum and fixing a sacrum implant | |
ITUA20164453A1 (en) | Intervertebral joint partial endoprosthesi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013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111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6101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5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813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11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11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1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0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