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179352B1 - 방수 및 발수 처리된 친환경 항균 원단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방수 및 발수 처리된 친환경 항균 원단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9352B1
KR102179352B1 KR1020200090803A KR20200090803A KR102179352B1 KR 102179352 B1 KR102179352 B1 KR 102179352B1 KR 1020200090803 A KR1020200090803 A KR 1020200090803A KR 20200090803 A KR20200090803 A KR 20200090803A KR 102179352 B1 KR102179352 B1 KR 1021793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fabric
water
repell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0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현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더묘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더묘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더묘정
Priority to KR10202000908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93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93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935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564Polyureas, polyurethanes or other polymers having ureide or urethane links; Precondensation products forming the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5/00Removing liquids, gases or vapours from textile materials in association with treatment of the materials by liquids, gases or vapou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01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natural macromolecular compounds or derivatives thereof
    • D06M15/17Natural resins, resinous alcohols, resinous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6/00Biochemical treatment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e.g. enzymatic
    • D06M16/003Biochemical treatment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e.g. enzymatic with enzymes or microorganism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101/00Chemical constitution of the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to be treated
    • D06M2101/02Natural fibres, other than mineral fibres
    • D06M2101/04Vegetal fibr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200/00Functionality of the treatment composition and/or properties imparted to the textile material
    • D06M2200/10Repellency against liquids
    • D06M2200/12Hydrophobic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2Moisture-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21Moisture-responsive characteristics hydrophobic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3Physical properties anti-allergenic or anti-bacterial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 D10B2505/10Packaging, e.g. ba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단의 양면에 각각 방수 및 발수 코팅이 된 친환경 항균 원단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양면에 각기 다른 코팅 처리를 하여 목적에 따라 원단의 사용을 달리할 수 있고, 원단 자체에 항균성이 있어 세탁이나 일상 생활 중 발생할 수 있는 충격 및 마모에 의하여 방수 및 발수 코팅층이 손상되어도 세균이 번식하거나 곰팡이가 생기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방수 및 발수 처리된 친환경 항균 원단 및 이의 제조 방법{ECO-FRIENDLY ANTIBACTERIAL FABRIC WITH WATERPROOF AND WATER-REPELLENT COATIN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원단의 양면에 각각 방수 및 발수 코팅이 된 친환경 항균 원단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방을 만들기 위한 원단으로는, 질기며 변형이 적게 일어나는 캔버스 천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캔버스 천은 원래는 면, 마직물에 한정되어 있었으나, 최근에는 화학 섬유로 직조된 것도 사용되고 있다.
천연 섬유로 만든 캔버스 천은 습도에 민감한 반응을 보여, 습도가 높은 날씨에는 팽창하며 건조한 날씨에는 수축하게 되는 단점이 존재하였고,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흡습도가 낮으면서 가격도 저렴한 나이론이나 레이온 등의 합성 섬유가 사용되었다. 하지만, 합성 섬유는 천연 섬유와 비교할 때 품질적인 면에서 떨어지는 부분이 존재하며, 변형이 쉬운 등의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하였다.
때문에 천연 섬유로 만든 캔버스천을 방수 처리하여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고자 하는 시도가 오래 지속되고 있으나, 습기에 따라 방수 코팅층이 갈라지거나 깨져 내부에 곰팡이와 세균이 번식하는 문제가 지속해서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남아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화학적으로 합성된 항균제 등을 사용하였으나, 실생활에서 밀접하게 사용되는 물건에 화학 항균제를 사용하는 것에 대한 불안이 계속해서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10-0612294
본 발명의 목적은 방수 및 발수 처리된 친환경 항균 원단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원단을 이용한 가방, 의류, 천막 등의 활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A) 목화 및 대마 섬유로 제조한 캔버스 원단을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원단의 일 측면에 폴리우레탄 방수 코팅을 하는 단계; 및 (C) 상기 폴리우레탄 방수 코팅이 된 반대 측면에 발수 처리된 이형지(release paper)를 이용하여 발수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양면 코팅 원단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A) 단계의 목화 및 대마 섬유로 제조한 캔버스 원단은 (a-1) 대마 및 목화 섬유에 10 내지 20배 중량부의 정제수를 첨가하여 24시간 동안 불리는 단계; (a-2) 불리는 과정이 끝난 목화 및 대마 섬유 재료를 80 내지 140℃에서 3 내지 4시간 가열하는 단계; (a-3) 상기 목화 및 대마 섬유에 플라보르자임(Flavourzyme), 알칼라아제(Alcalase), 프로테아제(Protease) 및 뉴트라아제(Neutrase)로 구성된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된 효소를 첨가하고, 25 내지 35℃에서 24 내지 48시간 동안 방치하는 전 처리 단계; (a-4) 상기 전 처리 단계가 완료된 목화 섬유 250 중량부 및 대마 섬유(린넨) 250 중량부에 대하여, 미생물 혼합물 20 중량부를 첨가하여 30 내지 34℃에서 24 내지 48시간 동안 진탕 배양하여 숙성하는 단계; 및 (a-5) 생강(Zingiber officinale), 파슬리(Petroselinum crispum), 잣나무(Pinus koraiensis), 정향(Syzygium aromaticum), 세이지(Salvia officinalis), 타임(Thymus vulgaris), 로즈마리(Salvia rosmarinus), 대황(Eisenia bicyclis) 및 꼬시래기(gracilaria verrucosa)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된 천연물의 추출물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구체적으로 상기 (B) 단계의 폴리우레탄 방수 코팅은, 폴리카보네이트 디올,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트리에틸아민 및 폴리실록산 및 디아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및 촉매인 디부틸틴디라우레이트(dibutyltin dilaurate, DBTDL) 및 난연제인 삼산화안티몬(SB2O3)을 추가로 더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코팅용 조성물을 플로트나이프 또는 에어나이프로 70 내지 90 g/yds 두께로 도포하고, 130 내지 150℃로 75초간 열풍건조시킨 후, 130~170℃로 40초간 경화처리 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구체적으로 상기 (C) 단계의 발수 처리된 이형지(release paper)를 이용하여 발수 처리하는 단계는, 이형지에 발수 처리용 레진을 130g/m2 내지 230g/m2의 양으로 도포하고, 130 내지 150℃의 온도에서 3 내지 10분동안 건조하여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발수 처리용 레진은 하이드로콜로이드 15중량부, 피로메트리산 13중량부, 노닐페놀에톡실레이트 7중량부, 히드록시프롤린 7중량부, 트리메틸벤질암모늄브로마이드 5중량부, 다이클로로다이메틸실란 5중량부 및 가교된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머 5 중량부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기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양면 코팅 원단을 제공한다.
상기 코팅 원단은 양면에 각각 방수 및 발수 코팅이 되어 우수한 내수성 및 내마모성, 내세탁성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고, 또한 우수한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양면 코팅 원단은 우수한 내구성 및 방수성을 가져, 가방, 의류, 천막 등 방수성과 내구성이 요구되는 분야에서는 쉽게 적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캔버스 천은 원단의 양면에 각각 방수 및 발수 코팅이 되어 목적에 따라 원단의 사용을 달리할 수 있고, 원단 자체에 항균성이 있어 세탁이나 일상 생활 중 발생할 수 있는 충격 및 마모에 의하여 방수 및 발수 코팅층이 손상되어도 세균이 번식하거나 곰팡이가 생기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원단은 제조 과정에서 효소 처리 공정 및 미생물 처리 공정을 거침으로써, 화학 약품을 이용한 방식에 의해 야기되는 천연 섬유 자체의 기능성 파괴 및 환경오염의 문제를 해결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효소 및 미생물을 이용한 친환경 항균 섬유의 제조 과정
본 발명의 친환경 항균 섬유를 제조하기에 앞서, 모든 재료는 이물 및 곰팡이 등의 오염을 제거하기 위하여 세척을 완료한 상태로 준비하였다.
대마 및 목화 섬유에 10 내지 20배 중량부의 정제수를 첨가하여 24시간 동안 불리는 과정을 거쳤다.
상기 불리는 과정이 끝난 목화 및 대마 섬유 재료를 80 내지 140℃에서 3 내지 4시간 가열하는 단계를 거쳤다. 이후 상기 가열 단계를 거친 친환경 섬유 재료를 실온에 방치하여 10시간 이상 충분히 식을 때까지 방치하였다.
충분히 냉각이 완료된 이후, 상기 목화 및 대마 섬유에 플라보르자임(Flavourzyme), 알칼라아제(Alcalase), 프로테아제(Protease) 및 뉴트라아제(Neutrase)로 구성된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된 효소를 첨가하고, 25 내지 35℃에서 24 내지 48시간 동안 방치하는 전 처리 단계를 진행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이때 대마 및 목화 섬유 각 재료 100 중량부 대비 상기 각 효소를 0.1 내지 5 중량부 첨가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프로테아제 2.5 중량부 및 뉴트라아제 2.5 중량부를 첨가하여 전 처리 단계를 진행하였다.
상기 전 처리 단계가 완료된 목화 섬유 250 중량부 및 대마 섬유(린넨) 250 중량부에 대하여, 미생물 혼합물 20 중량부를 첨가하여 30 내지 34℃에서 24 내지 48시간 동안 진탕 배양하여 숙성하였다.
이때, 상기 미생물 혼합물은 바실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lis) 5 내지 10 중량부,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Lactobacillus salivarius) 5 내지 10 중량부 및 마이크로코커스 로제우스(Micrococcus roseus) 3 내지 8 중량부를 첨가하여 제조한 프로바이오틱스 혼합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펙틴 10 중량부, 프락토올리고당 10 중량부, 알라비노갈락탄 7 중량부, 및 락토오스 8 중량부를 혼합하여 실온에서 2 내지 4시간 동안 숙성시켜 제조한 것이다.
한편, 생강(Zingiber officinale), 파슬리(Petroselinum crispum), 잣나무(Pinus koraiensis), 정향(Syzygium aromaticum), 세이지(Salvia officinalis), 타임(Thymus vulgaris), 로즈마리(Salvia rosmarinus), 대황(Eisenia bicyclis) 및 꼬시래기(gracilaria verrucosa)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된 천연물을 혼합한 후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본 실시예에서는 타임(Thymus vulgaris), 로즈마리(Salvia rosmarinus), 대황(Eisenia bicyclis) 및 꼬시래기(gracilaria verrucosa)를 각각 1:1:3:4의 중량비로 혼합한 후 90℃에서 75%에탄올을 이용하여 4시간동안 환류 추출한 후 감압농축하여 추출물을 제조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숙성이 완료된 대마 및 목화 섬유에 상기 천연물 유래 추출물을 20 내지 25℃에서 6 내지 12시간 숙성시켜 대마 및 목화 섬유에 상기 천연물 유래 추출물을 침착 시키는 과정을 거쳤다.
상기한 과정이 완료된 대마 및 목화 섬유는 마지막으로 온수에 침지하는 후처리 공정을 거쳤다. 후처리 공정을 위해서 상기 재료를 비이온성계 계면 활성제를 포함하는 80℃ 이상의 온수에 침지하고 30분 동안 유지하여 본 발명의 미생물 처리 친환경 목화 섬유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2. 발수 처리된 이형지(release paper)의 제조
본 발명 원단의 발수 처리된 측면의 코팅을 실시하기 위하여, 발수 처리된 이형지(release paper)를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형지는 롤 상으로 공급된 것일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을 이용하여 이형지상에 발수 처리를 위한 레진을 도포하여 열을 가함으로써 필름을 형성하는 방법이라면 어떠한 방법이든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웨트 라미네이션(Wet Lamination)법 또는 세미 드라이 라미네이션(Semi dry Lamination)법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라미네이팅은 대상이 되는 원단에 1겹 이상의 얇은 레이어를 덧씌워 표면을 보호하고 강도와 안정성을 높이는 기술을 말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이형지에 레진을 도포하는 단계는 먼저 이형지에 발수 처리용 레진을 130g/m2 내지 230g/m2의 양으로 도포하고, 130 내지 150℃의 온도에서 3 내지 10분동안 건조하였으며, 가장 구체적으로는 170g/m2 내지 200g/m2의 양으로 도포한 후 145℃에서 5 내지 7분간 건조하여 필름을 형성하였다.
상기 발수 처리용 레진은 상기 발수코팅용 레진은 하이드로콜로이드 15중량부, 피로메트리산 13중량부, 노닐페놀에톡실레이트 7중량부, 히드록시프롤린 7중량부, 트리메틸벤질암모늄브로마이드 5중량부, 다이클로로다이메틸실란 5중량부 및 가교된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머 5 중량부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으로서, 필요에 따라 상기 발수코팅용 레진의 기능적 특성을 더욱 강화시키기 위해 상기 발수코팅용 레진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해 폴리에틸렌 글리콜 페닐에테르 10중량부, 2-페닐이미다졸 15중량부를 더 첨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발수코팅용 레진에 폴리에틸렌 글리콜 페닐에테르 및 2-페닐이미다졸을 모두 포함하여 제조된 것을 사용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상기 하이드로콜로이드(Hydrocolloid)는 겔을 형성하여 습윤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점착성을 장시간 동안 유지하여 부착력을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서, 방수 및 발수기능을 강화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피로메트리산은 첨가되어 열수축성을 억제하고 슬립성을 강화시켜 내스티키성 유지는 물론 코팅층의 변형을 억제하며, 수지의 연질화기능을 수행하여 코팅층의 부착력을 극대화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노닐페놀 에톡시레이트는 계면활성 기능을 제공하면서 수지와의 교합성을 증대시키며, 산화방지 효과를 얻기 위해 첨가된다.
상기 히드록시프롤린(hydroxyproline)은 제조 공정 중 열을 받게 되면 젤라틴화되면서 상기 코팅층의 굴곡강도를 높여 유연하게 함으로써 발수코팅층의 굴곡에 따른 크랙 억제, 장수명화 달성을 위해 첨가된다.
상기 트리메틸벤질암모늄브로마이드는 반응을 촉진하여 경화 안정성을 도모하고 도막의 강고한 결합성을 유지하기 위해 첨가된다.
상기 다이클로로다이메틸실란은 전기음성도가 불소(F) 다음으로 큰 염소 원자 2개가 있어 매우 강한 소수성을 보이는 물질로서, 방수성 및 발수성이 우수하고 통풍성을 유지시키는데 유용하다.
상기 가교된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머는 원단과의 결합성을 극대화시켜 계면 분리가 일어나지 않도록 교합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었다.
상기 가교된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머의 비제한적 예는 양이온성 또는 비이온성 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머(치환된 가지 또는 가지되지 아니한 폴리머를 포함하는 비이온성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머를 포함함)의 비제한적 예는 폴리아크릴아미드, 이소파라핀 및 라우레스-7, 아크릴아미드 및 치환된 아크릴아미드의 아크릴산 및 치환된 아크릴산과의 멀티-블록 코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 글리콜 페닐에테르는 성분들의 입자간 응집을 방지하고 균일한 분산성을 확보하여 방수와 발수 특성을 나타내는 성분들이 고르게 분포되도록 유도하기 위해 첨가된다.
상기 2-페닐이미다졸은 건조시 열수축률을 적게 하여 코팅액의 열안정성을 강화시킬 뿐만 아니라 코팅층의 부착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실시예 3. 방수 및 발수 처리한 원단의 제조 과정
본 발명의 원단은,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섬유를 이용하여 10수 캔버스 원단을 직조하고, 상기 원단의 일 측면에는 폴리우레탄(polyurethane)을 코팅하여 방수 처리하고, 다른 일 측면에는 실시예 2에서 제조한 발수 처리된 이형지(release paper, 또는 박리지)를 이용한 발수 코팅 처리하여 양면에 방수 및 발수 처리가 되도록 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우레탄 코팅을 위한 코팅용 조성물은 폴리카보네이트 디올,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트리에틸아민 및 폴리실록산 및 디아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폴리카보네이트 디올 20 내지 30 중량부,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20 내지 30 중량부 및 폴리실록산 5 내지 10 중량부, 트리에틸아민 3 내지 5 중량부 및 디아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50 내지 60 중량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며, 상기 디아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hexamethylene diisocyanate, HDI), 이소프론디이소시아 네이트(isophoron diisocyanate, IPDI), 4,4'-디헥실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4,4'-dihexyl methane diisocyanate, H12MDI), 수소화 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hydronated XDI, H6XDI) 중에서 하나 이상 선택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폴리우레탄 코팅용 조성물은 촉매로서 디부틸틴디라우레이트(dibutyltin dilaurate, DBTDL) 0.01 내지 0.03 중량부 및 난연제인 삼산화안티몬(SB2O3) 0.1 내지 5 중량부를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코팅용 조성물에 상기 촉매 0.01 중량부 및 난연제 0.3 중량부를 모두 추가로 포함하여 실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원단의 일 측면에 상기 폴리우레탄 코팅용 조성물을 플로트나이프 또는 에어나이프로 70 내지 90 g/yds 두께로 도포하고, 130 내지 150℃로 75초간 열풍건조시킨 후, 130~170℃로 40초간 경화처리 함으로써 방수 코팅을 실시하였다.
이후, 경화가 완료된 원단을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안정화하는 단계를 거치고, 실시예 2에서 제조한 발수 처리된 이형지 필름을 상기 안정화가 완료된 원단에 프레스를 이용하여 부착하였다.
부착이 완료된 후에는 필름이 부착된 원단을 60도 내지 75℃에서 20 내지 30 시간동안 방치하여 충분히 안정화되도록 하였다. 이후 안정화가 완료된 원단에서 이형지를 분리함으로써 양면이 각기 방수 및 발수 처리된 캔버스 원단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방수도 확인 실험
상기 실시예 3의 양면 방수 원단의 방수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AATCC 35 및 KS K 0593을 준용하여 방수도(빗물법)을 실시하였다.
간략히, 1피트 높이에서 5분간 빗물을 분사했을 때 원단 이면에 부착된 흡습지 중량이 전혀 증가하지 않아 상기 기준을 통과하였고, 자체적으로 강화된 실험을 위하여 2피트 높이에서 30분간 빗물을 분사한 경우에도 표준 흡수지의 무게 증가량이 1g을 넘지 않아 본 발명 원단의 방수성이 매우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세탁내구성 확인 실험
상기 실시예 3의 양면 방수 원단이 수차례의 세탁시에도 방수 코팅층이 손상되지 않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ISO 6330를 준용하여 5회 세탁한 후의 코팅층이 손상되어 방수능력을 상실하였는지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 5회 세탁 후에도 물이 새어나오지 않아 코팅층이 손상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세탁시 직물의 탈색 및 변색 등에 관한 KSK 0430 및 물세탁에 관한 AATCC 61 및 드라이크리닝 AATCC 132에 규정된 테스트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항균 효과 확인 실험
상기 실시예 3의 양면 방수 원단은 일차적으로 양면 모두 방수 및 발수 처리되어 세균의 증식이 어려울 뿐 아니라, 상기 방수 및 발수 코팅층이 손상되어 직물이 오염되어 세균이 증식할 수 있는 조건이 갖춰지더라도, 상기 방수 원단에 사용된 직물 자체적으로 항균성을 가져 곰팡이나 세균의 번식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KSK-0693:2011을 준용하여 항균성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고온고압멸균기(오토클레이브)에서 121℃로 멸균처리 한 실시예 1 및 3 원단과, 실시예 3 원단의 표면에 인위적으로 스크래치를 내 코팅층을 손상시킨 비교예 1 및 표준 면포에 코팅처리 후 인위적으로 손상시킨 비교예 2를 대상으로 하여, 측정 대상이 되는 스테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us aureus) 및 대장균(Escherichia coli)를 1 x 107개 접종하여 20시간 동안 배양한 뒤, 표준 면포와 비교하여 정균의 감소율을 %로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S. aureus (%) E. coli (%)
실시예 1 99 99
실시예 3 100(배양 불가) 100(배양 불가)
비교예 1 99 99
비교예 2 65 54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 실시예 3의 방수 원단은 자체적으로 우수한 항균성을 가지고 있을 뿐 아니라, 코팅층이 손상되더라도 직물 자체가 항균성을 보유하고 있어 효과적으로 세균의 증식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반면, 비교예 2의 결과를 고려하면, 코팅층이 손상된 사이로 침투하여 충분히 세균 증식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의 항균성 섬유를 원단으로 직조하여 제조한 방수 원단은 장기간 사용하거나, 일상 사용 중에 높은 내구성을 보유하는 것으로 보인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6)

  1. (A) 목화 및 대마 섬유로 제조한 캔버스 원단을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원단의 일 측면에 폴리우레탄 방수 코팅을 하는 단계; 및
    (C) 상기 폴리우레탄 방수 코팅이 된 반대 측면에 발수 처리된 이형지(release paper) 필름을 프레스를 이용하여 부착하고, 필름이 부착된 원단을 60도 내지 75℃에서 20 내지 30 시간동안 방치하여 안정화 시킨 후, 원단에서 이형지 필름을 분리함으로써 원단을 발수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양면 코팅 원단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a-1) 대마 및 목화 섬유에 10 내지 20배 중량부의 정제수를 첨가하여 24시간 동안 불리는 단계;
    (a-2) 불리는 과정이 끝난 목화 및 대마 섬유 재료를 80 내지 140℃에서 3 내지 4시간 가열하는 단계;
    (a-3) 상기 목화 및 대마 섬유에 플라보르자임(Flavourzyme), 알칼라아제(Alcalase), 프로테아제(Protease) 및 뉴트라아제(Neutrase)로 구성된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된 효소를 첨가하고, 25 내지 35℃에서 24 내지 48시간 동안 방치하는 전 처리 단계;
    (a-4) 상기 전 처리 단계가 완료된 목화 섬유 250 중량부 및 대마 섬유(린넨) 250 중량부에 대하여, 미생물 혼합물 20 중량부를 첨가하여 30 내지 34℃에서 24 내지 48시간 동안 진탕 배양하여 숙성하는 단계; 및
    (a-5) 생강(Zingiber officinale), 파슬리(Petroselinum crispum), 잣나무(Pinus koraiensis), 정향(Syzygium aromaticum), 세이지(Salvia officinalis), 타임(Thymus vulgaris), 로즈마리(Salvia rosmarinus), 대황(Eisenia bicyclis) 및 꼬시래기(gracilaria verrucosa)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된 천연물의 추출물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된 것인, 양면 코팅 원단의 제조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폴리우레탄 방수 코팅은,
    폴리카보네이트 디올,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트리에틸아민 및 폴리실록산 및 디아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및
    촉매인 디부틸틴디라우레이트(dibutyltin dilaurate, DBTDL) 및 난연제인 삼산화안티몬(SB2O3)을 추가로 더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코팅용 조성물을
    플로트나이프 또는 에어나이프로 70 내지 90 g/yds 두께로 도포하고, 130 내지 150℃로 75초간 열풍건조시킨 후, 130~170℃로 40초간 경화처리 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인, 양면 코팅 원단의 제조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의 발수 처리된 이형지(release paper)를 이용하여 발수 처리하는 단계는,
    이형지에 발수 처리용 레진을 130g/m2 내지 230g/m2의 양으로 도포하고, 130 내지 150℃의 온도에서 3 내지 10분동안 건조하여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발수 처리용 레진은 하이드로콜로이드 15중량부, 피로메트리산 13중량부, 노닐페놀에톡실레이트 7중량부, 히드록시프롤린 7중량부, 트리메틸벤질암모늄브로마이드 5중량부, 다이클로로다이메틸실란 5중량부 및 가교된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머 5 중량부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인, 양면 코팅 원단의 제조 방법.
  5. 제1항, 제3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양면 코팅 원단.
  6. 제5항의 양면 코팅 원단을 이용하여 제조된, 가방.
KR1020200090803A 2020-07-22 2020-07-22 방수 및 발수 처리된 친환경 항균 원단 및 이의 제조 방법 Active KR1021793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0803A KR102179352B1 (ko) 2020-07-22 2020-07-22 방수 및 발수 처리된 친환경 항균 원단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0803A KR102179352B1 (ko) 2020-07-22 2020-07-22 방수 및 발수 처리된 친환경 항균 원단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9352B1 true KR102179352B1 (ko) 2020-11-16

Family

ID=73680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0803A Active KR102179352B1 (ko) 2020-07-22 2020-07-22 방수 및 발수 처리된 친환경 항균 원단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9352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78069A (zh) * 2021-09-14 2022-01-28 杭州新天孚纺织科技有限公司 一种抗菌耐磨面料
KR102371293B1 (ko) 2021-07-13 2022-03-04 (주)아진티앤엘 패턴형 기능성 나노 멤브레인 원단 제조 장치 및 그를 이용한 패턴형 기능성 나노 멤브레인 원단의 제조 방법
KR102371294B1 (ko) 2021-07-13 2022-03-04 (주)아진티앤엘 기능성 나노 멤브레인 원단 제조 장치 및 그를 이용한 기능성 나노 멤브레인 원단의 제조 방법
KR102393549B1 (ko) 2021-07-13 2022-05-02 (주)아진티앤엘 연신 폴리프로필렌을 이용한 항균 나노 멤브레인 원단의 제조 방법 및 그 항균 나노 멤브레인 원단
KR102420395B1 (ko) 2021-07-13 2022-07-13 (주)아진티앤엘 연신 폴리프로필렌을 이용한 기능성 나노 멤브레인 원단의 제조 방법 및 그 기능성 나노 멤브레인 원단
KR102457141B1 (ko) * 2022-06-08 2022-10-21 유영준 친환경 생분해성 포장용기
CN115216974A (zh) * 2022-07-08 2022-10-21 安徽省天助纺织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废旧纤维布再生制备抗菌耐污手提袋的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2294B1 (ko) 2006-05-22 2006-08-16 주식회사 제일화성 발포 투습 방습 방수포와 그 제조 방법
JP2013060582A (ja) * 2011-08-23 2013-04-04 Sanyo Chem Ind Ltd ポリウレタン樹脂水分散体
KR102029416B1 (ko) * 2019-05-14 2019-10-07 (주)로시코리아 친환경 발수코팅층을 구비한 원단
KR102063827B1 (ko) * 2019-07-12 2020-03-02 주식회사 비에스텍 무용제형 다기능성 실리콘 코팅 원단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2294B1 (ko) 2006-05-22 2006-08-16 주식회사 제일화성 발포 투습 방습 방수포와 그 제조 방법
JP2013060582A (ja) * 2011-08-23 2013-04-04 Sanyo Chem Ind Ltd ポリウレタン樹脂水分散体
KR102029416B1 (ko) * 2019-05-14 2019-10-07 (주)로시코리아 친환경 발수코팅층을 구비한 원단
KR102063827B1 (ko) * 2019-07-12 2020-03-02 주식회사 비에스텍 무용제형 다기능성 실리콘 코팅 원단의 제조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1293B1 (ko) 2021-07-13 2022-03-04 (주)아진티앤엘 패턴형 기능성 나노 멤브레인 원단 제조 장치 및 그를 이용한 패턴형 기능성 나노 멤브레인 원단의 제조 방법
KR102371294B1 (ko) 2021-07-13 2022-03-04 (주)아진티앤엘 기능성 나노 멤브레인 원단 제조 장치 및 그를 이용한 기능성 나노 멤브레인 원단의 제조 방법
KR102393549B1 (ko) 2021-07-13 2022-05-02 (주)아진티앤엘 연신 폴리프로필렌을 이용한 항균 나노 멤브레인 원단의 제조 방법 및 그 항균 나노 멤브레인 원단
KR102420395B1 (ko) 2021-07-13 2022-07-13 (주)아진티앤엘 연신 폴리프로필렌을 이용한 기능성 나노 멤브레인 원단의 제조 방법 및 그 기능성 나노 멤브레인 원단
CN113978069A (zh) * 2021-09-14 2022-01-28 杭州新天孚纺织科技有限公司 一种抗菌耐磨面料
KR102457141B1 (ko) * 2022-06-08 2022-10-21 유영준 친환경 생분해성 포장용기
CN115216974A (zh) * 2022-07-08 2022-10-21 安徽省天助纺织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废旧纤维布再生制备抗菌耐污手提袋的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9352B1 (ko) 방수 및 발수 처리된 친환경 항균 원단 및 이의 제조 방법
EP1568485B1 (en) Waterproof and breathable composite film, and waterproof and breathable composite fabric
US4429000A (en) Moisture-permeable waterproof coated fabric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7042515B2 (ja) 撥水性生地及びこれを含む撥水ダウン製品
EP2202352B1 (en) Cloth waterproofed with vegetable component
DE1110607B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mikroporoeser Folien bzw. UEberzuege, insbesondere von wasserdampfdurchlaessigem Kunstleder
CN1149327A (zh) 三维、无缝、防水、透气、柔性的复合制品
CN101525844B (zh) 一种防水透湿面料生产方法
WO2007086128A1 (ja) 耐久性のある透湿性防水シート用ポリウレタン樹脂組成物、透湿性防水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383404B1 (ko) 식물성 가죽용 가죽질감 형성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식물성 대체가죽 및 식물성 대체가죽 제조방법
JPS6047955B2 (ja) 透湿性、防水性コーテイング生地
GB2039790A (en) A moisture-permeable waterproof coated fabric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2004256939A (ja) 撥水性布帛およびそれを用いた衣料
KR20120028696A (ko) 자외선 경화형 소취성 및 제전성을 가지는 투습방수 직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504905B1 (ko) 통기성을 갖는 은면형 인공피혁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744487B1 (ko) 표면 처리된 나노실리카 입자를 이용한 비팽윤성 투습 방수포용 폴리우레탄 수지조성물
KR101049257B1 (ko) 투습방수용 코팅조성물, 투습방수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H11124774A (ja) 透湿性防水布帛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156910B1 (ko) 원단의 발수 처리공법
KR101045642B1 (ko) 우수한 투습성 및 통기성을 가지는 폴리우레탄 코팅 포지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262060B1 (ko) 완충재를 포함하는 방수 처리된 에코백
KR101845240B1 (ko) 친환경 단열섬유 코팅제, 그 코팅제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직물
JP2010215918A (ja) 耐久性のある透湿性防水シート用ポリウレタン樹脂組成物、透湿性防水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853573B2 (ja) 撥水・防水・透湿性ヌバック調合成皮革
KR20190049955A (ko) 트리아진 화합물이 포함된 자외선 흡수제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이 처리된 직물에 실리콘 수지층으로 단면 코팅된 원단 및 그 원단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72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72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72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8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110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11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11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