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178200B1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업링크/다운링크 스케줄링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업링크/다운링크 스케줄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8200B1
KR102178200B1 KR1020187003908A KR20187003908A KR102178200B1 KR 102178200 B1 KR102178200 B1 KR 102178200B1 KR 1020187003908 A KR1020187003908 A KR 1020187003908A KR 20187003908 A KR20187003908 A KR 20187003908A KR 102178200 B1 KR102178200 B1 KR 1021782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link
schedule
grant message
transmission
subfram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3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1002A (ko
Inventor
하이펑 레이
Original Assignee
레노보 이노베이션스 리미티드 (홍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레노보 이노베이션스 리미티드 (홍콩) filed Critical 레노보 이노베이션스 리미티드 (홍콩)
Priority to KR10202070321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0898B1/ko
Publication of KR201800310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10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82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820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W72/1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04W72/127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of downlink data fl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using carrier sensing, e.g.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CSMA]
    • H04W74/0816Non-scheduled access, e.g. ALOHA using carrier sensing, e.g.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CSMA] with collision avoid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using carrier sensing, e.g.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CSM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업링크/다운링크 스케줄링을 위한 장치, 방법 및 시스템이 개시된다. 한 장치는 프로세서 및 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한 코드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코드는 사용자 장비로부터 전송될 데이터에 대한 업링크 스케줄을 결정한다. 추가 실시예에서, 코드는 사용자 장비에 제공될 데이터에 대한 다운링크 스케줄을 결정한다. 이 장치는 업링크 스케줄에 기초하여 업링크 전송을 개시하기 위해 업링크 그랜트 메시지를 사용자 장비에 제공하는 전송기를 포함할 수 있다. 소정 실시예들에서, 업링크 스케줄 및 다운링크 스케줄은 업링크 및 다운링크 전송을 위한 미리 정의된 분할된 패턴을 이용하지 않고 결정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업링크/다운링크 스케줄링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주제는 대체로 무선 통신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업링크/다운링크 스케줄링에 관한 것이다.
다음과 같은 약어가 여기에 정의되며, 이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의 설명에서 언급된다.
3GPP 3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CCA 클리어 채널 평가(Clear Channel Assessment)
DL 다운링크(Downlink)
ECCA 확장 클리어 채널 평가(Extended Clear Channel Assessment)
eNB 진화된 노드 B(Evolved Node B)
ETSI 유럽 전기 통신 표준 협회(European Telecommunications Standards Institute)
FBE 프레임 기반 장비(Frame Based Equipment)
FDMA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LAA 인가된 보조형 액세스(Licensed Assisted Access)
LBE 부하 기반 장비(Load Based Equipment)
LBT 대화 전 청취(Listen Before Talk)
LTE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MCS 변조 및 코딩 방식(Modulation and Coding Scheme)
MU-MIMO 다중 사용자, 다중 입력, 다중 출력(Multi-User,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OFDM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PCell 1차 셀(Primary Cell)
PUSCH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QoS 서비스 품질(Quality of Service)
RRC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SC-FDMA 단일 캐리어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ell 2차 셀(Secondary Cell)
TBS 트랜스포트 블록 크기(Transport Block Size)
TDD 시분할 듀플렉스(Time-Division Duplex)
TDM 시분할 멀티플렉스(Time-Division Multiplex)
UE 사용자 엔티티/장비(모바일 단말기)
UL 업링크(Uplink)
UMTS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iMAX 마이크로파 액세스를 위한 전세계적 상호운용성(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예를 들어, LAA를 이용하는 LTE 시스템에서, 비인가 스펙트럼이 인가된 캐리어로부터의 보조에 의해 이용되고 있다. LAA는 비인가 스펙트럼을 통해 다른 기술들과의 공정한 공존을 가능하게 하고 상이한 국가들 및 지역들의 다양한 규제 요건을 충족시킬 수 있다.
유럽의 규제 요건의 경우, ETSI는 2개의 채널 액세스 메커니즘(즉, FBE 및 LBE)을 명시했다. 이들 2개의 채널 액세스 메커니즘의 경우, 동작 채널 상에서 전송을 시작하기 전에, 장비(즉, FBE 및 LBE)는, 적어도 20 마이크로초("㎲") 이상의 CCA 관측 시간을 갖는 에너지 검출을 이용함으로써 CCA 체크를 수행할 수 있다. 채널의 에너지 레벨이 전력 레벨에 대응하는 미리 정의된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는다면, 장비는 동작 채널을 클리어 상태(clear)로 간주하고 즉시 전송할 수 있다. 대조적으로, 장비는 동작 채널이 점유된 것으로 간주하고 CCA 체크를 계속 수행할 수 있다. FBE의 경우, 장비는 프레임 기간의 끝에서 CCA 체크를 계속 수행할 수 있다. LBE의 경우, 장비는 채널을 포획할 때까지 즉시 ECCA의 수행을 시작할 수 있다. 일부 상황에서는, LBE가 FBE보다 높은 채널 액세스 확률을 가질 수 있다.
LBE는 FBE보다 높은 채널 액세스 확률을 가질 수 있지만, FBE는 LAA UL에 더 적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FBE는 UE의 UL 전송이 서빙 eNB에 의해 허용되어야 한다는 LTE UL 프레임워크를 따를 수 있고, FBE는 UE간 차단(inter-UE blocking)을 피할 수 있고 FDMA 및 MU-MIMO에 의해 하나의 서브프레임에서 복수의 UE의 UL 멀티플렉싱을 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FBE는 예약 신호를 요구하지 않고, FBE는 고정된 타이밍 관계를 가지며, UL 전송은 항상 서브프레임의 첫 번째 OFDM 심벌로부터 시작할 수 있다. 따라서, 소정 구성에서, FBE는 LAA UL 동작의 베이스라인으로서 이용될 수 있다. 대조적으로 LBE는 LAA DL에 더 적합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상이한 채널 액세스 메커니즘들(즉, FBE 및 LBE)은 상이한 장점들을 갖는다. LAA에 대한 옵션인 주파수 재사용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DL 및 UL은 상이한 채널 액세스 메커니즘으로 설계될 수 있다. 따라서, LAA에 대해 상이한 채널 액세스 메커니즘들을 결합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UL/DL 멀티플렉싱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현재 7개의 기존의 TDD UL/DL 구성이 존재한다; 그러나, 이들 구성들은 LAA에서 효율적인 DL 및 UL 자원 이용을 가능하게 하지 못한다. 이것은, 국가들마다 상이한 규제 요건을 갖기 때문에 특히 그렇다. 예를 들어 일본에서 FBE의 최대 프레임 기간은 4 밀리초("ms")이며, 이것은 10ms 프레임 길이에 기초하는 기존의 TDD UL/DL 구성에 적응하기 어렵다. 또한, LBE가 LAA DL 전송에 이용된다면, LBE는 너무 동적이어서 예측할 수 없으므로 기존 TDD UL/DL 구성 중 하나에 적합하지 않다. 또한, 기존 TDD DL/UL 구성에는 DL 전용 구성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효율적인 DL 및 UL 자원 이용을 가능하게 하고 상이한 지역들에서의 상이한 규제 요건들을 유연하게 충족시키는 비인가 스펙트럼을 통한 UL 및 DL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설계가 현재 없다.
업링크/다운링크 스케줄링을 위한 장치가 개시된다. 방법 및 시스템은 또한 장치의 기능을 수행한다. 한 실시예에서, 이 장치는 프로세서 및 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한 코드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코드는 사용자 장비로부터 전송될 데이터에 대한 업링크 스케줄을 결정한다. 추가 실시예에서, 코드는 사용자 장비에 제공될 데이터에 대한 다운링크 스케줄을 결정한다. 이 장치는 업링크 스케줄에 기초하여 업링크 전송을 개시하기 위해 업링크 그랜트 메시지를 사용자 장비에 제공하는 전송기를 포함할 수 있다. 소정 실시예들에서, 업링크 스케줄 및 다운링크 스케줄은 업링크 및 다운링크 전송을 위한 미리 정의된 분할된 패턴을 이용하지 않고 결정된다.
추가 실시예에서, 코드는 사용자 장비가 클리어 채널 평가("CCA")(clear channel assessment)를 수행하고 수신("Rx")으로부터 전송("Tx")으로 전환할 수 있게 하기 위해 다운링크 전송과 업링크 전송 사이에 갭(gap)을 예약하는 코드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업링크 그랜트 메시지는 업링크 전송을 위한 타이밍을 나타내는 표시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업링크 그랜트 메시지 내의 표시는 업링크 그랜트 메시지가 수신되는 서브프레임과 업링크 전송이 시작되는 서브프레임 사이의 오프셋을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업링크 그랜트 메시지 내의 표시는 업링크 전송을 시작할 서브프레임을 나타내는 인덱스를 포함한다. 한 실시예에서, 업링크 그랜트 메시지는 업링크 서브프레임이 완전한 것인지 또는 부분적인 것인지를 나타내는 서브프레임 유형 표시(subframe type indication)를 업링크 그랜트 메시지 내에 포함한다.
한 실시예에서, 업링크/다운링크 스케줄링을 위한 방법은,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사용자 장비로부터 전송될 데이터에 대한 업링크 스케줄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이 방법은 사용자 장비에 제공될 데이터에 대한 다운링크 스케줄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추가 실시예에서, 이 방법은 업링크 스케줄에 기초하여 업링크 전송을 개시하기 위해 업링크 그랜트 메시지를 사용자 장비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소정 실시예들에서, 업링크 스케줄 및 다운링크 스케줄은 업링크 및 다운링크 전송을 위한 미리 정의된 분할된 패턴을 이용하지 않고 결정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이 방법은 사용자 장비가 클리어 채널 평가("CCA")를 수행하고 Rx로부터 Tx로 전환할 수 있게 하기 위해 다운링크 전송 및 업링크 전송 사이에 갭을 예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 실시예에서, 이 방법은 동작 채널이 클리어 상태인지를 결정하기 위해 대화 전 청취("LBT")(listen before talk)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이 방법은 동작 채널이 클리어 상태이면 다운링크 스케줄에 기초하여 다운링크 전송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소정 실시예들에서, LBT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업링크 전송의 마지막 서브프레임의 두 번째 슬롯에서 LBT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업링크 전송을 개시하기 위해 업링크 그랜트 메시지를 사용자 장비에 제공하는 단계는, 업링크 전송을 위한 타이밍을 나타내는 표시를 업링크 그랜트 메시지 내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업링크 전송을 위한 타이밍을 나타내는 표시를 업링크 그랜트 메시지 내에 제공하는 단계는, 업링크 그랜트 메시지가 수신되는 서브프레임과 업링크 전송이 시작되는 서브프레임 사이의 오프셋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소정 실시예들에서, 업링크 전송을 위한 타이밍을 나타내는 표시를 업링크 그랜트 메시지 내에 제공하는 단계는, 업링크 전송을 시작할 서브프레임을 나타내는 인덱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소정 실시예들에서, 업링크 전송을 개시하기 위해 업링크 그랜트 메시지를 사용자 장비에 제공하는 단계는, 업링크 서브프레임이 완전한 것인지 또는 부분적인 것인지를 나타내는 서브프레임 유형 표시를 업링크 그랜트 메시지 내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 실시예에서, 장치는, 업링크 그랜트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기,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한다. 메모리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한 코드를 저장할 수 있다. 추가 실시예에서, 코드는 업링크 그랜트 메시지의 일부에 기초하여 전송될 데이터에 대한 업링크 스케줄을 결정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이 장치는 업링크 스케줄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송기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업링크 스케줄은 업링크 및 다운링크 전송을 위해 미리 정의된 분할된 패턴을 이용하지 않는 스케줄의 일부이다.
한 실시예에서, 업링크/다운링크 스케줄링을 위한 또 다른 방법은,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업링크 그랜트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이 방법은 업링크 그랜트 메시지의 일부에 기초하여 전송될 데이터에 대한 업링크 스케줄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 실시예에서, 이 방법은 업링크 스케줄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소정 실시예들에서, 업링크 스케줄은 업링크 및 다운링크 전송을 위해 미리 정의된 분할된 패턴을 이용하지 않는 스케줄의 일부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업링크 그랜트 메시지의 일부에 기초하여 전송될 데이터에 대한 업링크 스케줄을 결정하는 단계는, 업링크 그랜트 메시지가 수신되는 서브프레임과 업링크 전송을 위한 시작 서브프레임 사이의 오프셋을 나타내는 업링크 그랜트 메시지 내의 표시에 기초하여 업링크 스케줄링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 실시예에서, 업링크 그랜트 메시지의 일부에 기초하여 전송될 데이터에 대한 업링크 스케줄을 결정하는 단계는, 업링크 전송을 위한 시작 서브프레임의 인덱스를 나타내는 업링크 그랜트 메시지 내의 표시에 기초하여 업링크 스케줄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소정 실시예들에서, 이 방법은 업링크 그랜트 메시지 내의 표시에 기초하여 전송될 데이터의 서브프레임이 완전한 서브프레임일지 또는 부분 서브프레임일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앞서 간략히 설명된 실시예들의 더 많은 특정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에 예시되어 있는 특정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이루어질 것이다. 이들 도면들은 일부 실시예들만을 도시하는 것이고 그에 따라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을 이해하면서, 첨부된 도면들의 이용을 통해 추가적인 구체성 및 상세사항과 함께 본 개시내용이 기술되고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업링크/다운링크 스케줄링을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업링크/다운링크 스케줄링에 이용될 수 있는 장치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은 업링크/다운링크 스케줄링에 이용될 수 있는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4는 업링크/다운링크 스케줄링을 이용하는 프레임 시퀀스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5a는 UL 그랜트 메시지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5b는 UL 그랜트 메시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6은 베이스 유닛으로부터의 업링크/다운링크 스케줄링을 위한 방법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플로차트이다;
도 7은 원격 유닛이 베이스 유닛으로부터 업링크/다운링크 스케줄링을 수신하기 위한 방법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플로차트이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의 양태들은, 시스템, 장치, 방법, 또는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완전히 하드웨어 실시예, (펌웨어, 상주 소프트웨어, 마이크로-코드 등을 포함한) 완전히 소프트웨어 실시예, 또는 본 명세서에서는 일반적으로 "회로", "모듈", 또는 "시스템"이라 부를 수 있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양태를 결합한 실시예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은 머신 판독가능한 코드, 컴퓨터 판독가능한 코드, 및/또는 이하에서부터는 코드라고 지칭되는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디바이스에서 구현되는 프로그램 제품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저장 디바이스는 유형의, 비일시적, 및/또는 비전송일 수 있다. 저장 디바이스는 신호를 구현하지 않을 수도 있다. 소정 실시예에서, 저장 디바이스는 코드에 액세스하기 위한 신호만을 이용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소정 기능 유닛들은 그들의 구현 독립성을 더욱 특별히 강조하기 위하여 모듈이라고 라벨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듈은, 초고밀도 집적("VLSI")(very-large-scale integration) 회로나 게이트 어레이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회로, 로직 칩, 트랜지스터, 또는 기타의 개별 부품 등의 기성품 반도체로서 구현될 수 있다. 모듈은 또한,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 프로그래머블 어레이 로직, 프로그래머블 로직 디바이스 등의 프로그래머블 하드웨어 디바이스로 구현될 수도 있다.
모듈은 또한 다양한 유형의 프로세서에 의한 실행을 위해 코드 및/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다. 코드의 식별된 모듈은, 예를 들어, 객체, 프로시져, 또는 함수로서 구성될 수 있는, 실행가능한 코드의 하나 이상의 물리적 또는 논리적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식별된 모듈의 실행파일들은 물리적으로 함께 위치할 필요는 없고, 논리적으로 함께 결합될 때, 모듈을 포함하고 그 모듈의 기술된 목적을 달성하는, 상이한 위치들에 저장된 이질적인 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사실상, 코드의 모듈은, 단일 명령어, 또는 다수의 명령어일 수 있고, 심지어, 수 개의 상이한 코드 세그먼트들에 걸쳐, 상이한 프로그램들 사이에, 및 수 개의 메모리 디바이스들에 걸쳐 분산될 수도 있다. 유사하게, 연산 데이터는 본 명세서에서는 모듈들 내에서 식별되고 예시될 수 있지만, 임의의 적절한 형태로 구현되거나 임의의 적절한 유형의 데이터 구조 내에서 구성될 수도 있다. 연산 데이터는 단일 데이터 세트로 집합되거나, 상이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디바이스들을 포함한 상이한 위치들에 분산될 수도 있다. 모듈 또는 모듈의 부분들이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경우, 소프트웨어 부분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디바이스에 저장된다.
하나 이상의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의 임의의 조합이 이용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는 코드를 저장하는 저장 디바이스일 수 있다. 저장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전자, 자기, 광학, 전자기, 적외선, 홀로그래픽, 마이크로기계, 또는 반도체 시스템, 장치, 또는 디바이스, 또는 이들의 임의의 적절한 조합일 수 있지만,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저장 디바이스의 더 구체적인 예(빠짐없이 열거된 목록은 아님)는, 하나 이상의 와이어를 갖는 전기적 접속, 휴대형 컴퓨터 디스켓, 하드 디스크,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 전용 메모리("ROM"), 소거가능하고 프로그램가능한 판독 전용 메모리("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 휴대형 컴팩트 디스크 판독 전용 메모리("CD-ROM"), 광학 저장 디바이스, 자기 저장 디바이스, 또는 이들의 임의의 적절한 조합을 포함할 것이다. 본 명세서의 정황에서, 컴퓨터-판독가능한 저장 매체는, 명령어 실행 시스템,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 의해 이용되거나 이와 연계하여 이용되는 프로그램을 포함하거나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유형 매체(tangible medium)일 수 있다.
실시예들을 위한 동작들을 실행하기 위한 코드는 임의의 개수의 라인일 있으며, Python, Ruby, Java, Smalltalk, C++ 등의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 "C" 프로그래밍 언어 등의 종래의 절차적 프로그래밍 언어, 및/또는 어셈블리어 등의 기계어를 포함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래밍 언어의 임의의 조합으로 작성될 수 있다. 코드는, 완전히 사용자의 컴퓨터 상에서, 부분적으로 사용자의 컴퓨터 상에서, 독립형 소프트웨어 패키지로서, 부분적으로는 사용자의 컴퓨터 상에서 및 부분적으로는 원격 컴퓨터 상에서, 또는 완전히 원격 컴퓨터나 서버 상에서 실행될 수 있다. 후자의 시나리오에서, 원격 컴퓨터는 근거리 네트워크("LAN") 또는 광역 네트워크("WAN")를 포함한 임의 유형의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의 컴퓨터에 접속되거나, 그 접속이 (예를 들어,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를 이용하여 인터넷을 통해) 외부 컴퓨터에 대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하나의 실시예" 또는 "한 실시예", 또는 유사한 용어는, 그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는 특정한 피쳐, 구조, 또는 특성이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문구 "하나의 실시예에서", "한 실시예에서", 및 유사한 용어의 등장은, 반드시는 아니지만, 동일한 실시예를 지칭하는 것일 수도 있고,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하나 이상의 그러나 모든 실시예는 아님"을 의미한다. 용어들 "내포하는", "포함하는", "갖는", 및 이들의 변형은,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제한되지 않는"을 의미한다. 열거된 항목들의 목록은,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일부 또는 모든 항목이 상호배타적이라는 것을 암시하지 않는다. 용어 "a", "an" 및 "the"는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하나 이상"을 의미한다.
또한, 실시예들의 설명된 피쳐, 구조, 또는 특성은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실시예들의 철저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프로그래밍, 소프트웨어 모듈, 사용자 선택, 네트워크 트랜잭션, 데이터베이스 질의, 데이터베이스 구조, 하드웨어 모듈, 하드웨어 회로, 하드웨어 칩 등의 예와 같은 수 많은 특정한 상세사항들이 제공된다. 그러나,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실시예들은 하나 이상의 상기 특정한 상세사항없이, 또는 다른 방법, 컴포넌트, 재료 등을 이용하여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다른 사례에서, 널리 공지된 구조, 재료, 또는 동작은 실시예의 양태를 불명확하게 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도시되거나 상세히 설명되지 않는다.
실시예들의 양태들이,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 장치, 시스템, 및 프로그램 제품의 개략적인 플로차트 도면 및/또는 개략적인 블록도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된다. 개략적인 플로차트 도면 및/또는 개략적인 블록도의 각각의 블록, 및 플로차트 도면 및/또는 개략적인 블록도 내의 블록들의 조합은 코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이들 코드는, 범용 컴퓨터, 특별 목적 컴퓨터, 또는 그 외의 프로그램가능한 데이터 처리 장치의 프로세서에 제공되어, 컴퓨터 또는 기타의 프로그램가능한 데이터 처리 장치의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실행되는 명령어들이 개략적인 플로차트 도면 및/또는 개략적인 블록도의 블록이나 블록들에 명시된 기능/작용을 구현하기 위한 수단을 생성하게 하는 머신을 생성할 수 있다.
코드는 또한, 저장 디바이스에 저장된 명령어들이 개략적인 플로차트 도면 및/또는 개략적인 블록도의 블록이나 블록들에 명시된 기능/작용을 구현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한 제품을 생성하도록 하는 특정한 방식으로 기능하도록 컴퓨터, 기타의 프로그램가능한 데이터 처리 장치, 또는 기타의 디바이스들에게 지시할 수 있는 저장 디바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코드는 또한, 컴퓨터 또는 프로그램가능한 데이터 처리 장치 상에서 실행되는 코드가 플로차트 및/또는 블록도의 블록이나 블록들에 명시된 기능/동작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제공하게 하는 컴퓨터에 의해 구현된 프로세스를 생성하도록, 컴퓨터, 기타의 프로그램가능한 데이터 처리 장치, 또는 기타의 디바이스 상에 로딩되어,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컴퓨터, 기타의 프로그램가능한 데이터 처리 장치, 및/또는 기타의 디바이스 상에서 수행되게 할 수 있다.
도면들 내의 개략적인 플로차트 도면 및/또는 개략적인 블록도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제품의 가능한 구현들의 아키텍쳐, 기능 및 동작을 나타낸다. 이 점에서, 개략적인 플로차트 도면 또는 개략적인 블록도 내의 각각의 블록은, 명시된 논리적 기능(들)을 구현하기 위한 코드의 하나 이상의 실행가능한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일부 대안적 구현예에서, 블록 내에 표기된 기능들은 도면들에 표기된 순서와는 다른 순서로 발생할 수 있다는 점에도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연속적으로 도시된 2개의 블록은, 사실상, 포함된 기능에 따라, 실질적으로 동시에 실행되거나, 때때로 역순으로 실행될 수도 있다. 예시된 도면들의 하나 이상의 블록, 또는 그 일부와, 기능이나, 로직이나, 효과에 있어서 동등한 다른 단계들 및 방법들을 생각해 볼 수도 있다.
플로차트 및/또는 블록도에서 다양한 화살표 유형과 라인 유형들이 이용될 수 있지만, 이들은 대응하는 실시예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사실상, 일부 화살표들 또는 기타의 커넥터들은 도시된 실시예의 논리적 흐름만을 나타내는데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살표는, 도시된 실시예의 나열된 단계들 사이의 명시되지 않은 지속시간의 대기나 모니터링 기간을 나타낼 수도 있다. 블록도 및/또는 플로차트 도면의 각각의 블록과 블록도 및/또는 플로차트 도면 내의 블록들의 조합은 명시된 기능이나 작용을 수행하는 특별 목적 하드웨어-기반의 시스템, 또는 특별 목적 하드웨어와 코드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점에도 유의해야 할 것이다.
각각의 도면 내의 요소들의 설명은 선행하는 도면들의 요소들을 참조할 수도 있다. 유사한 요소들의 대안적인 실시예들을 포함한, 모든 도면에서 유사한 번호는 유사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업링크/다운링크 스케줄링을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100)의 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한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원격 유닛(102) 및 베이스 유닛(104)을 포함한다. 특정한 개수의 원격 유닛(102) 및 베이스 유닛(104)이 도 1에 도시되어 있지만,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임의의 개수의 원격 유닛(102) 및 베이스 유닛(104)이 무선 통신 시스템(100)에 포함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한 실시예에서, 원격 유닛(102)은, 데스크탑 컴퓨터, 랩탑 컴퓨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태블릿 컴퓨터, 스마트 폰, 스마트 텔레비전(예를 들어, 인터넷에 접속된 텔레비전), 셋탑 박스, 게임 콘솔, (보안 카메라를 포함한) 보안 시스템, 차량 온보드 컴퓨터, 네트워크 디바이스(예를 들어, 라우터, 스위치, 모뎀) 등의 컴퓨팅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원격 유닛(102)은, 스마트 시계, 피트니스 밴드, 광학 헤드 장착형 디스플레이 등의 착용형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또한, 원격 유닛(102)은, 가입자 유닛, 모바일, 이동국, 사용자들, 단말기들, 모바일 단말기들, 고정 단말기들, 가입자 스테이션들, UE, 사용자 단말기들, 또는 본 기술분야에서 사용되는 기타의 용어들로 지칭될 수 있다. 원격 유닛(102)은 UL 통신 신호들을 통해 하나 이상의 베이스 유닛(104)과 직접 통신할 수 있다.
베이스 유닛(104)은 지리적 영역에 걸쳐 분포될 수 있다. 소정 실시예에서, 베이스 유닛(104)은 또한, 액세스 포인트, 액세스 단말기, 베이스, 기지국, 노드-B, eNB, 홈 노드-B, 중계 노드, 또는 본 기술분야에서 사용되는 기타 임의의 용어로 지칭될 수도 있다. 베이스 유닛(104)은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대응하는 베이스 유닛(104)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된 하나 이상의 제어기를 포함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일부이다.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는 일반적으로, 특히 인터넷 및 공중 교환 전화망과 같은 다른 네트워크에 결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코어 네트워크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된다. 무선 액세스 및 코어 네트워크의 이들 및 다른 요소들은 예시되지 않았지만, 일반적으로 이들은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널리 공지되어 있다.
한 구현에서,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3GPP UMTS 프로토콜의 LTE를 준수하며, 여기서, 베이스 유닛(104)은 DL 상에서 OFDM 변조 방식을 이용하여 전송하고, 원격 유닛(102)은 UL 상에서 SC-FDMA 방식을 이용하여 전송한다. 그러나, 더 일반적으로는,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어떤 다른 개방된 또는 전용의 통신 프로토콜, 예를 들어 특히 WiMAX를 구현할 수도 있다. 본 개시내용은 임의의 특정한 무선 통신 시스템 아키텍쳐 또는 프로토콜의 구현으로 제한하고자 함이 아니다.
베이스 유닛(104)은,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해, 서빙 영역, 예를 들어, 셀 또는 셀 섹터 내의 다수의 원격 유닛(102)을 서비스할 수 있다. 베이스 유닛(104)은, 시간, 주파수, 및/또는 공간 도메인에서 원격 유닛(102)을 서비스하기 위해 DL 통신 신호를 전송한다.
한 실시예에서, 베이스 유닛(104)은 원격 유닛(102)으로부터 전송될 데이터에 대한 UL 스케줄을 결정할 수 있다. 베이스 유닛(104)은 또한, 원격 유닛(102)에 제공될 데이터에 대한 DL 스케줄을 결정할 수 있다. 베이스 유닛(104)은 UL 그랜트 메시지를 원격 유닛(102)에 제공하여 UL 스케줄에 기초한 UL 전송을 시작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UL 스케줄 및 DL 스케줄은 UL 및 DL 전송에 대한 미리 정의된 분할된 패턴을 이용하지 않고 결정된다. 소정 실시예에서, 원격 유닛(102)은 UL 그랜트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원격 유닛(102)은 UL 그랜트 메시지의 일부에 기초하여 전송될 데이터에 대한 UL 스케줄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원격 유닛(102)은 UL 스케줄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도 2는 업링크/다운링크 스케줄링에 이용될 수 있는 장치(200)의 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장치(200)는 원격 유닛(102)의 한 실시예를 포함한다. 또한, 원격 유닛(102)은, 프로세서(202), 메모리(204), 입력 디바이스(206), 디스플레이(208), 전송기(210), 및 수신기(212)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입력 디바이스(206) 및 디스플레이(208)는 터치스크린 등의 단일 디바이스로 결합된다.
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02)는 컴퓨터-판독가능한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고 및/또는 논리 연산을 수행할 수 있는 임의의 공지된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02)는, 마이크로제어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중앙 처리 유닛("CPU"), 그래픽 처리 유닛("GPU"), 보조 처리 유닛,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 또는 유사한 프로그래머블 제어기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02)는 메모리(204)에 저장된 명령어를 실행하여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방법 및 루틴을 수행한다. 프로세서(202)는, 메모리(204), 입력 디바이스(206), 디스플레이(208), 전송기(210), 및 수신기(212)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된다.
메모리(204)는, 한 실시예에서,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메모리(204)는 휘발성 컴퓨터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메모리(204)는, 동적 RAM("DRAM"), 동기식 동적 RAM("SDRAM"), 및/또는 정적 RAM("SRAM")을 포함하는 RAM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메모리(204)는 비휘발성 컴퓨터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메모리(204)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플래시 메모리, 또는 기타 임의의 적절한 비휘발성 컴퓨터 저장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메모리(204)는 휘발성 및 비휘발성 컴퓨터 저장 매체 양쪽 모두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메모리(204)는 UL/DL 스케줄링에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메모리(204)는 또한, 원격 유닛(102) 상에서 동작하는 운영 체제 또는 다른 제어기 알고리즘 등의 프로그램 코드 및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한다.
입력 디바이스(206)는, 한 실시예에서, 터치 패널, 버턴, 키보드, 스타일러스, 마이크로폰 등을 포함하는 임의의 공지된 컴퓨터 입력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입력 디바이스(206)는, 예를 들어, 터치스크린 또는 유사한 터치-감지 디스플레이로서 디스플레이(208)와 통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입력 디바이스(206)는, 텍스트가 터치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된 가상 키보드 및/또는 터치스크린 상의 필기(handwriting)를 이용하여 입력될 수 있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입력 디바이스(206)는, 키보드 및 터치 패널 등의, 2개 이상의 상이한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208)는, 한 실시예에서, 임의의 공지된 전자적으로 제어가능한 디스플레이 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08)는, 시각적, 청각적, 및/또는 햅틱 신호를 출력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208)는 시각적인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는 전자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208)는, LCD 디스플레이, LED 디스플레이, OLED 디스플레이, 프로젝터, 또는 이미지, 텍스트 등을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는 유사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 다른 비제한적 예로서, 디스플레이(208)는, 스마트 시계, 스마트 안경, 헤드-업 디스플레이 등의 착용형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208)는, 스마트 폰,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 텔레비젼, 테이블 컴퓨터, 노트북(랩탑) 컴퓨터, 개인용 컴퓨터, 차량 대시보드 등의 컴포넌트일 수 있다.
소정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208)는 사운드를 생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스피커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208)는 가청 경보 또는 통보(예를 들어, 비프음 또는 차임(chime))를 생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208)는, 진동, 움직임, 또는 기타의 햅틱 피드백을 생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햅틱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208)의 전부 또는 일부는 입력 디바이스(206)와 통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디바이스(206) 및 디스플레이(208)는 터치스크린 또는 유사한 터치-감지 디스플레이를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208)는 입력 디바이스(206) 부근에 위치할 수 있다.
전송기(210)는 UL 통신 신호를 베이스 유닛(104)에 제공하는데 이용되며, 수신기(212)는 베이스 유닛(104)으로부터 DL 통신 신호를 수신하는데 이용된다. 한 실시예에서, 전송기(210)는 UL 스케줄에 기초하여 베이스 유닛(104)에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이용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수신기(212)는 베이스 유닛(104)에 의해 전송된 UL 그랜트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단지 하나의 전송기(210) 및 하나의 수신기(212)가 도시되어 있지만, 원격 유닛(102)은 임의의 적절한 개수의 전송기(210) 및 수신기(212)를 가질 수 있다. 전송기(210) 및 수신기(212)는 임의의 적합한 유형의 전송기 및 수신기일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전송기(210) 및 수신기(212)는 트랜시버의 일부일 수 있다.
도 3은 업링크/다운링크 스케줄링에 이용될 수 있는 장치(30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장치(300)는 베이스 유닛(104)의 한 실시예를 포함한다. 또한, 베이스 유닛(104)은, 프로세서(302), 메모리(304), 입력 디바이스(306), 디스플레이(308), 전송기(310), 및 수신기(3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프로세서(302), 메모리(304), 입력 디바이스(306), 및 디스플레이(308)는, 각각, 원격 유닛(102)의 프로세서(202), 메모리(204), 입력 디바이스(206), 및 디스플레이(208)와 상당히 유사할 수 있다.
전송기(310)는, DL 통신 신호를 원격 통신 유닛(102)에 제공하는데 이용되고 수신기(312)는 원격 유닛(102)으로부터 UL 통신 신호를 수신하는데 이용된다. 한 실시예에서, 전송기(310)는 UL 그랜트 메시지를 원격 유닛(102)(예를 들어, UE)에 제공하여 UL 스케줄에 기초한 UL 전송을 시작하는데 이용된다. 단지 하나의 전송기(310) 및 하나의 수신기(312)가 도시되어 있지만, 베이스 유닛(104)은 임의의 적절한 개수의 전송기(310) 및 수신기(312)를 가질 수 있다. 전송기(310) 및 수신기(312)는 임의의 적합한 유형의 전송기 및 수신기일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전송기(310) 및 수신기(312)는 트랜시버의 일부일 수 있다.
도 4는 업링크/다운링크 스케줄링을 이용하는 프레임 시퀀스(400)의 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프레임 시퀀스(400)는, UL 및 DL 전송 양쪽 모두가 비인가 스펙트럼에 걸쳐 동일한 캐리어 상에서 상이한 LBT 방식들(UL에 대한 FBE 및 DL에 대한 LBE)을 이용하는 LAA에 대한 묵시적 UL/DL 전송 방식을 이용한다.
프레임 시퀀스(400) 내에서, 스위칭은 UL 및 DL 트래픽 양 및/또는 QoS 요건에 의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래픽이 DL이 과중하다면, 베이스 유닛(104)은 LBE LBT를 이용하여 비인가 스펙트럼에 대한 액세스를 추구할 수 있다. 대조적으로, 트래픽이 UL이 과중하다면, 베이스 유닛(104)은 UL 그랜트 메시지를 원격 유닛(102)에 전송하고 UL 버스트의 첫 번째 서브프레임 이전의 CCA 기간으로서 기간(예를 들어, DL과 UL 사이의 갭)을 예약한 다음, 원격 유닛(102)은 FBE CCA 검사가 성공적이면 UL 버스트 전송을 시작할 수 있다. 이해하겠지만, 이러한 UL/DL 전송 방식을 이용하여, 동일한 비인가 캐리어 상에서 UL 및 DL 전송을 분리하는 고정되거나 미리 정의된 UL/DL 패턴이 없으며, 대신에, 베이스 유닛(104)은 UL 및/또는 DL 트래픽의 양에 기초하여 UL/DL 스케줄링을 결정한다.
UL의 경우, 베이스 유닛(104)은 FBE 메커니즘의 구성(예를 들어, 프레임 기간, 시작 위치 등)을 원격 유닛(102)에 나타낼 필요가 없다. 실제로, (CCA 체크를 포함하는) 비인가 스펙트럼에서의 원격 유닛(102) 거동은 베이스 유닛(104)에 의해 완전히 제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원격 유닛(102)이 PUSCH 전송 및/또는 재전송을 위한 타이밍을 알기 위해, 베이스 유닛(104)은 UL 그랜트 메시지에서 구체적인 타이밍 정보를 표시한다. 이러한 타이밍 정보는,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UL 그랜트가 수신되는 서브프레임과 PUSCH 전송 및/또는 재전송을 위한 서브프레임 사이의 오프셋을 나타내는 3-비트 시그널링, 또는 PUSCH 전송 및/또는 재전송을 위한 서브프레임의 구체적인 인덱스를 나타내는 4-비트 시그널링일 수 있다.
베이스 유닛(104)의 관점에서, 베이스 유닛(104)은 FBE 프레임 기간 및 시작 위치를 알고 있다. 따라서, 베이스 유닛(104)은 FBE 규칙을 따르고 FDM 또는 MU-MIMO를 이용하여 하나의 서브프레임에서 복수의 원격 유닛(102)의 다중화를 가능하게 하도록 원격 유닛(102)의 UL 전송을 스케줄링할 수 있다. 원격 유닛(102)의 관점에서, UL 그랜트 메시지의 수신시, 원격 유닛(102)은 PUSCH 전송 및/또는 재전송을 위한 표시된 서브프레임 이전에 CCA 체크를 수행한 다음, CCA 체크가 성공적이면 PUSCH 전송 및/또는 재전송을 시작하거나, PUSCH 전송 및/또는 재전송을 누락/보류하고 베이스 유닛(104)으로부터 새로운 명령을 기다린다.
FBE 규칙에 따르면, 원격 유닛(102)의 버스트가 프레임 기간과 동일한 길이를 갖는다면, 원격 유닛(102)은 최대 채널 점유 시간의 적어도 5%의 길이를 갖는 유휴 기간을 위한 일부 심벌들을 예약할 필요가 있다. 복수의 상이한 프레임 기간들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프레임 기간 내의 마지막 UL 서브프레임에 대한 대응하는 TBS가 필요할 수 있다. 프레임 기간이 10ms로 설정된다면 유휴 기간이 가장 크기 때문에, 10ms까지의 가능한 프레임 기간을 커버하기 위해 유휴 기간에 대해 최대 7개의 OFDM 심벌이 예약될 수 있다(이것은 현재 가장 큰 표준 프레임 기간 길이이다). 따라서, 소정 실시예들에서, 각각의 프레임 기간에서 마지막 UL 서브프레임의 첫 번째 슬롯(예를 들어, 서브프레임의 전반부)만이 UL 전송에 이용될 수 있고, 각각의 프레임 기간에서 마지막 UL 서브프레임의 두 번째 슬롯(예를 들어, 서브프레임의 후반부)은 유휴 기간을 위해 예약된다.
원격 유닛(102)이 프레임 기간 및 프레임 기간의 말단 서브프레임을 알지 못하기 때문에, 스케줄링된 UL 서브프레임이 완전한 것인지 또는 부분적인 것인지를 원격 유닛(102)에 표시하기 위해 서브프레임 유형 표시("STI")라고 불리는 플래그 비트가 UL 그랜트에서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STI "0"은 스케줄링된 UL 서브프레임이 전체 서브프레임(예를 들어, 2개의 슬롯이 업링크 전송에 이용될 수 있음)임을 나타내는 반면, STI "1"은 스케줄링된 UL 서브프레임이 부분 서브프레임(예를 들어, 첫 번째 슬롯만이 UL 전송에 이용될 수 있음)임을 나타낼 수 있다. 이해하겠지만, 베이스 유닛(104)은 UL 전송이 첫 번째 슬롯에서만 발생할 것이라는 것을 알고 있기 때문에, 베이스 유닛(104)은 부분 UL 서브프레임의 두 번째 슬롯의 시작으로부터 DL LBT에 대한 ECCA를 즉시 개시할 수 있다. 전술된 요소들을 포함하는 프레임 시퀀스(400)를 이용하여, 비인가 스펙트럼 상의 원격 유닛(102)의 거동이 단순화될 수 있고, UL 및 DL 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어떠한 추가적인 RRC 시그널링 및/또는 물리 계층 시그널링도 없다. 도시된 프레임 시퀀스(400)는 상기 요소들을 구현하는 한 예이며 이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프레임 시퀀스(400)는, 7개의 미리 정의된 UL/DL 구성이 존재하는 미리 정의된 TDD 구성과는 달리, UL 및 DL 전송을 위한 미리 정의된 분할 패턴을 갖지 않는 UL 스케줄 및 DL 스케줄을 이용하여 결정된다. 사실상, 각각의 DL 전송 및 UL 전송의 길이는, 전술된 바와 같이, UL 및 DL 트래픽 양 및/또는 QoS 요건에 의존할 수 있다. 도시된 프레임 시퀀스(400)에서, 프레임 기간(402)은 4개의 서브프레임(즉, 4 ms)의 길이를 갖는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의 프레임 기간(402)은 예를 들어, 1, 2, 3, 5, 6, 7, 8, 9 또는 10 등의 임의의 적절한 수의 서브프레임을 가질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프레임 시퀀스(400)를 시작하기 위해, 베이스 유닛(104)은 DL 전송 이전에 제1 천이 기간(404) 동안 ECCA를 수행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천이 기간(404)은 서브프레임의 일부 동안만 연장된다. ECCA의 성공적인 완료 후에, 베이스 유닛(104)은 제1 DL 기간(406) 동안 DL 전송을 시작할 수 있다. 본 예에서, 제1 DL 기간(406)은 6개의 완전한 서브프레임 및 2개의 부분 서브프레임을 포함한다. 이해하겠지만, 제1 DL 기간(406)은 프레임 기간(402)(예를 들어, 4개의 서브프레임)보다 길거나, 및/또는 전체 프레임을 점유할 수 있다. 실제로, 제1 DL 기간(406)은 베이스 유닛(104)에 의해 결정되는 임의의 적절한 길이일 수 있다.
제1 DL 기간(406) 후에, 제2 천이 기간(408) 동안, 베이스 유닛(104)은 UL 그랜트 메시지를 원격 유닛(102)에 전송할 수 있고, 원격 유닛(102)은 UL 그랜트 메시지에 응답하여 CCA를 수행할 수 있다. CCA가 성공적이면, 원격 유닛(102)은 제1 UL 기간(410) 동안 UL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예시된 바와 같이, 제1 UL 기간(410)은 3개의 완전한 서브프레임을 포함한다. 이해하겠지만, 제1 UL 기간(410)은, 프레임 기간(402)이 4개의 서브프레임이기 때문에 현재의 예에서 최대 3개의 완전한 서브프레임 및 하나의 부분 서브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UL 프레임 기간은, 프레임이 10개의 서브프레임을 갖는 실시예에서 9개의 완전한 서브프레임 및 하나의 부분 서브프레임 등과 같이 더 길 수 있다. 베이스 유닛(104)은 제1 UL 기간(410)이 종료하는 때를 알기 때문에, 베이스 유닛(104)은 제3 천이 기간(412) 동안 제1 UL 기간(410)의 끝에서 즉시 ECCA를 시작할 수 있다.
제3 천이 기간(412) 동안 ECCA의 성공적인 완료 후에, 베이스 유닛(104)은 제2 DL 기간(414) 동안 DL 전송을 시작할 수 있다. 본 예에서, 제2 DL 기간(414)은 3개의 완전한 서브프레임 및 2개의 부분 서브프레임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2 DL 기간(414)은 베이스 유닛(104)에 의해 결정되는 임의의 적절한 길이일 수 있다. 제2 DL 기간(414) 후에, 제4 천이 기간(416) 동안, 베이스 유닛(104)은 UL 그랜트 메시지를 원격 유닛(102)에 전송할 수 있고, 원격 유닛(102)은 UL 그랜트 메시지에 응답하여 CCA를 수행할 수 있다. CCA가 성공적이면, 원격 유닛(102)은 제2 UL 기간(418) 동안 UL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예시된 바와 같이, 제2 UL 기간(418)은 3개의 완전한 서브프레임 및 1개의 부분 서브프레임을 포함한다. 베이스 유닛(104)은 제2 UL 기간(418)이 종료하는 때를 알기 때문에, 베이스 유닛(104)은 제5 천이 기간(420) 동안 제2 UL 기간(418)의 끝에서 즉시 ECCA를 시작할 수 있다.
제5 천이 기간(420) 동안 ECCA가 성공적으로 완료된 후, 베이스 유닛(104)은 제3 DL 기간(422) 동안 DL 전송을 시작할 수 있다. 본 예에서, 제3 DL 기간(422)은 1개의 완전 서브프레임 및 1개의 부분 서브프레임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3 DL 기간(422)은 베이스 유닛(104)에 의해 결정되는 임의의 적절한 길이일 수 있다. 제3 DL 기간(422) 후에, 제6 천이 기간(424) 동안, 베이스 유닛(104)은 UL 그랜트 메시지를 원격 유닛(102)에 전송할 수 있고, 원격 유닛(102)은 UL 그랜트 메시지에 응답하여 CCA를 수행할 수 있다. CCA가 성공적이면, 원격 유닛(102)은 제3 UL 기간(426) 동안 UL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예시된 바와 같이, 제3 UL 기간(426)은 1개의 완전한 서브프레임 및 1개의 부분 서브프레임을 포함한다. 베이스 유닛(104)은 제3 UL 기간(426)이 종료하는 때를 알기 때문에, 베이스 유닛(104)은 제7 천이 기간(428) 동안 제3 UL 기간(426)의 끝에서 즉시 ECCA를 시작할 수 있다. 이해하겠지만, 전술된 패턴은 UL 및 DL 전송을 완료하기 위해 종종 필요하기 때문에 반복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베이스 유닛(104)은 UL 및 DL 전송을 위해 미리 정의된 분할 패턴을 이용하지 않고 동작 동안 UL 및 DL 스케줄을 결정할 수 있다.
도 5a는 베이스 유닛(104)으로부터 원격 유닛(102)으로 전송될 수 있는 UL 그랜트 메시지(500)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UL 그랜트 메시지(500)는 STI(502) 및 오프셋(504)을 포함한다. STI(502)는 UL 전송의 스케줄링된 UL 서브프레임이 완전한 것인지 또는 부분적인 것인지를 원격 유닛(102)에 표시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STI "0"은 스케줄링된 UL 서브프레임이 전체 서브프레임(예를 들어, 2개의 슬롯이 업링크 전송에 이용될 수 있음)임을 나타내는 반면, STI "1"은 스케줄링된 UL 서브프레임이 부분 서브프레임(예를 들어, 첫 번째 슬롯만이 UL 전송에 이용될 수 있음)임을 나타낼 수 있다.
오프셋(504)은 UL 그랜트 메시지(500)가 수신되는 서브프레임과 PUSCH 전송 또는 재전송을 위한 서브프레임 사이의 오프셋을 표시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서브프레임에서 UL 그랜트 메시지(500)가 수신되고, PUSCH 전송 또는 재전송이 동일한 프레임의 제7 서브프레임에서 시작된다면, 오프셋(504)은 "4"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UL 그랜트 메시지(500)가 10개의 서브프레임을 갖는 제1 프레임의 9번째 서브프레임에서 수신되고 PUSCH 전송 또는 재전송이 상기 제1 프레임 바로 다음에 오는 제2 프레임의 첫 번째 서브프레임에서 시작된다면, 오프셋(504) "2"일 수 있다. 소정 실시예들에서, 오프셋(504)은 4만큼 클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오프셋(504)은 UL 그랜트 메시지(500) 내의 3비트 신호를 이용하여 7(예를 들어, 2진 "000"이 오프셋 0을 나타낼 경우) 또는 8(예를 들어, 2진 "000"이 오프셋 1을 나타낼 경우)까지의 오프셋을 커버할 수 있는 반면, 다른 실시예에서, 오프셋(504)은 더 작은 또는 더 큰 비트 수를 이용할 수도 있다. STI(502) 및 오프셋(504)이 UL 그랜트 메시지(500) 내의 소정 위치들에 있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지만, STI(502) 및 오프셋(504)은 UL 그랜트 메시지(500) 내에서 임의의 위치 및/또는 임의의 순서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UL 그랜트 메시지(500)는, STI(502) 및 오프셋(504)에 추가하여 또는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다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b는 베이스 유닛(104)으로부터 원격 유닛(102)으로 전송될 수 있는 UL 그랜트 메시지(506)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UL 그랜트 메시지(506)는 STI(502) 및 인덱스(508)를 포함한다. STI(502)는 도 5a에서 설명된 STI(502)와 상당히 유사할 수 있다.
인덱스(508)는 PUSCH 전송 또는 재전송을 위한 서브프레임의 구체적인 인덱스를 나타내는데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첫 번째 서브프레임이 서브프레임 0이고 마지막 서브프레임이 서브프레임 9인 10개의 서브프레임을 갖는 실시예에서, 인덱스(508)는 서브프레임 0을 나타내는 2진 "0000" 내지 서브프레임 9를 나타내는 2진 "1001" 중 하나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첫 번째 서브프레임이 서브프레임 1이고 마지막 서브프레임이 서브프레임 10인 10개의 서브프레임을 갖는 실시예에서, 인덱스(508)는 서브프레임 1을 나타내는 2진 "0001" 내지 서브프레임 10을 나타내는 2진 "1010" 중 하나일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인덱스(508)는 UL 그랜트 메시지(506) 내에서 4비트 신호를 이용할 수 있는 반면, 다른 실시예에서는 인덱스(508)가 더 작거나 더 큰 비트 수를 이용할 수 있다. STI(502) 인덱스(508)가 UL 그랜트 메시지(506) 내의 소정 위치들에 있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지만, STI(502) 및 인덱스(508)는 UL 그랜트 메시지(506) 내에서 임의의 위치 및/또는 임의의 순서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UL 그랜트 메시지(506)는, STI(502) 및 인덱스(508)에 추가하여 또는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다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베이스 유닛(104)으로부터의 업링크/다운링크 스케줄링을 위한 방법(600)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플로차트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방법(600)은 베이스 유닛(104) 등의 장치에 의해 수행된다. 소정 실시예들에서, 방법(600)은, 예를 들어, 마이크로제어기, 마이크로프로세서, CPU, GPU, 보조 처리 유닛, FPGA 등의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는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방법(600)은 원격 유닛(102)(예를 들어, UE)으로부터 전송될 데이터에 대한 UL 스케줄을 결정하는 단계(602)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베이스 유닛(104)은 원격 유닛(102)으로부터 전송될 데이터에 대한 UL 스케줄을 결정할 수 있다(602). 방법(600)은 또한, 원격 유닛(102)에 제공될 데이터에 대한 DL 스케줄을 결정하는 단계(604)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베이스 유닛(104)은 원격 유닛(102)으로부터 전송될 데이터에 대한 DL 스케줄을 결정할 수 있다(604). 한 실시예에서, 원격 유닛(102)으로부터 전송될 데이터에 대한 UL 스케줄은 제1 원격 유닛(102)에 대한 것일 수 있는 반면, 원격 유닛(102)에 제공될 데이터에 대한 DL 스케줄은 제2 원격 유닛(102)에 대한 것일 수 있고,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원격 유닛(102)으로부터 전송될 데이터에 대한 UL 스케줄은 제1 원격 유닛(102)에 대한 것일 수 있는 반면, 원격 유닛(102)에 제공될 데이터에 대한 DL 스케줄도 역시 제1 원격 유닛(102)에 대한 것일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소정 실시예들에서, 방법(600)은 동작 채널이 클리어 상태인지를 결정하기 위해 LBT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606)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베이스 유닛(104)은 동작 채널이 클리어 상태인지를 결정하기 위해 LBT 동작을 수행한다(606). 소정 실시예들에서, LBT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606)는 UL 전송의 마지막 서브프레임의 두 번째 슬롯에서 LBT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법(600)은 또한, 동작 채널이 클리어 상태이면 DL 스케줄에 기초하여 DL 전송을 제공하는 단계(608)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베이스 유닛(104)은 동작 채널이 클리어 상태이면 DL 스케줄에 기초하여 DL 전송을 제공한다(608).
소정 실시예들에서, 방법(600)은 원격 유닛(102)이 CCA를 수행할 수 있게 하기 위해 DL 스케줄에 기초한 DL 전송과 UL 전송 사이에 갭을 예약하는 단계(610)를 포함한다. 한 실시예에서, 베이스 유닛(104)은 원격 유닛(102)이 CCA를 수행할 수 있게 하기 위해 DL 전송과 UL 전송 사이에 갭을 예약한다(610). 이 방법(600)은 UL 스케줄에 기초하여 UL 전송을 개시하기 위해 UL 그랜트 메시지(예를 들어, UL 그랜트 메시지(500, 506))를 원격 유닛(102)에 제공하는 단계(612)를 포함할 수 있다. 그 다음, 방법(600)이 종료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베이스 유닛(104)의 전송기(310)는 UL 스케줄에 기초하여 UL 전송을 개시하기 위해 UL 그랜트 메시지를 원격 유닛(102)에 제공할 수 있다(612).
일부 실시예에서, UL 전송을 개시하기 위해 UL 그랜트 메시지를 원격 유닛(102)에 제공하는 단계(612)는, UL 전송을 위한 타이밍을 나타내는 표시를 UL 그랜트 메시지 내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소정 실시예들에서, UL 전송을 위한 타이밍을 나타내는 표시를 UL 그랜트 메시지 내에 제공하는 단계는, UL 그랜트 메시지가 수신되는 서브프레임과 UL 전송이 시작되는 서브프레임 사이의 오프셋(예를 들어, 오프셋(504))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UL 전송을 위한 타이밍을 나타내는 표시를 UL 그랜트 메시지 내에 제공하는 단계는, UL 전송을 시작할 서브프레임을 나타내는 인덱스(예를 들어, 인덱스(508))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법(600)의 일부 실시예에서, UL 전송을 개시하기 위해 UL 그랜트 메시지를 원격 유닛(102)에 제공하는 단계(612)는, 마지막 UL 서브프레임이 완전한 것인지 또는 부분적인 것인지를 나타내는 STI(예를 들어, STI(502))를 UL 그랜트 메시지 내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소정 실시예들에서, UL 그랜트 메시지를 원격 유닛(102)에 제공하는 단계(612)는, UL 전송(예를 들어, PUSCH 전송)보다 적어도 4 ms 일찍 UL 그랜트 메시지를 제공하는 단계(612)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DL 전송과 UL 전송 사이에 갭을 예약하는 단계(610) 이전에 발생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7은 원격 유닛(102)이 베이스 유닛(104)으로부터 업링크/다운링크 스케줄링을 수신하는 방법(700)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플로차트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방법(700)은 원격 유닛(102) 등의 장치에 의해 수행된다. 소정 실시예들에서, 방법(700)은, 예를 들어, 마이크로제어기, 마이크로프로세서, CPU, GPU, 보조 처리 유닛, FPGA 등의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는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방법(700)은 UL 그랜트 메시지(예컨대, UL 그랜트 메시지(500, 506))를 수신하는 단계(702)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원격 유닛(102)의 수신기(212)는 베이스 유닛(104)으로부터 UL 그랜트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방법(700)은 또한, 전송될 데이터에 대한 UL 스케줄을 UL 그랜트 메시지의 일부에 기초하여 결정하는 단계(704)를 포함할 수 있다. 소정 실시예들에서, 원격 유닛(102)은 전송될 데이터에 대한 UL 스케줄을 UL 그랜트 메시지의 일부에 기초하여 결정할 수 있다(704). 일부 실시예들에서, 전송될 데이터에 대한 UL 스케줄을 UL 그랜트 메시지의 일부에 기초하여 결정하는 단계(704)는, UL 그랜트 메시지가 수신된 서브프레임과 UL 전송을 위한 시작 서브프레임 사이의 오프셋(예를 들어, 오프셋(504))에 대한 UL 그랜트 메시지 내의 표시에 기초하여 UL 스케줄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전송될 데이터에 대한 UL 스케줄을 UL 그랜트 메시지의 일부에 기초하여 결정하는 단계(704)는, UL 전송을 위한 시작 서브프레임의 인덱스(예를 들어, 인덱스(508))에 대한 UL 그랜트 메시지 내의 표시에 기초하여 UL 스케줄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방법(700)은 전송될 데이터의 스케줄링된 서브프레임이 UL 그랜트 메시지 내의 표시(예를 들어, STI(502))에 기초하여 완전한 서브프레임일지 또는 부분 서브프레임일지를 결정할 수 있다(706). 일부 실시예에서, 원격 유닛(102)은 전송될 데이터의 스케줄링된 서브프레임이 완전한 서브프레임일지 또는 부분 서브프레임일지를 UL 그랜트 메시지 내의 표시에 기초하여 결정할 수 있다(706). 방법(700)은 동작 채널이 클리어 상태인지를 결정하기 위해 CCA를 수행할 수 있다(708). 한 실시예에서, 원격 유닛(102)은 동작 채널이 클리어 상태인지를 결정하기 위해 CCA를 수행할 수 있다(708).
방법(700)은 동작 채널이 클리어 상태이면 UL 스케줄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710)를 포함할 수 있다. 그 다음, 방법(700)이 종료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전송기(210)는 동작 채널이 클리어 상태이면 UL 스케줄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710). 일부 실시예에서, UL 스케줄은 UL 및 DL 전송을 위해 미리 정의된 분할된 패턴을 이용하지 않는 스케줄의 일부이다.
실시예들은 다른 특정한 형태로 실시될 수도 있다. 설명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일 뿐이고 제한적인 것은 아니라고 간주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의 설명이 아니라 첨부된 청구항들에 의해 표시된다. 청구항들의 균등물들의 의미와 범위 내에 드는 모든 변경은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Claims (20)

  1. 장치로서,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한 코드 - 상기 코드는, 사용자 장비로부터 전송될 데이터에 대한 업링크 스케줄을 결정하는 코드; 및 상기 사용자 장비에 제공될 데이터에 대한 다운링크 스케줄을 결정하는 코드를 포함함 - 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업링크 스케줄에 기초하여 업링크 전송을 개시하기 위해 업링크 그랜트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장비에 제공하고, 다운링크 전송을 개시하기 위해 상기 다운링크 스케줄을 상기 사용자 장비에 제공하는 전송기
    를 포함하고,
    상기 업링크 스케줄 및 상기 다운링크 스케줄의 조합은 업링크 및 다운링크 전송을 위해 미리 정의된 시분할 듀플렉스(TDD) 패턴을 이용하지 않고, 업링크 트래픽의 양 및 다운링크 트래픽의 양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상기 업링크 스케줄 및 상기 다운링크 스케줄의 조합은, 상기 업링크 전송이 프레임 기간의 서브프레임들의 제1 세트를 차지하고, 상기 다운링크 전송이 상기 프레임 기간의 서브프레임들의 제2 세트를 차지하게 하는 하나의 캐리어 상의 TDD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는 상기 사용자 장비가 클리어 채널 평가(clear channel assessment)("CCA")를 수행할 수 있게 하기 위해 다운링크 전송과 업링크 전송 사이에 갭(gap)을 예약하는 코드를 포함하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그랜트 메시지는 상기 업링크 전송을 위한 타이밍을 나타내는 표시(indication)를 포함하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그랜트 메시지 내의 상기 표시는 상기 업링크 그랜트 메시지가 수신되는 서브프레임과 상기 업링크 전송이 시작되는 서브프레임 사이의 오프셋을 포함하는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그랜트 메시지 내의 상기 표시는 상기 업링크 전송을 시작할 서브프레임을 나타내는 인덱스를 포함하는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그랜트 메시지는 스케줄링된 업링크 서브프레임이 완전한 것인지 또는 부분적인 것인지를 나타내는 서브프레임 유형 표시(subframe type indication)를 상기 업링크 그랜트 메시지 내에 포함하는 장치.
  7. 방법으로서,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사용자 장비로부터 전송될 데이터에 대한 업링크 스케줄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장비에 제공될 데이터에 대한 다운링크 스케줄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업링크 스케줄에 기초하여 업링크 전송을 개시하기 위해 업링크 그랜트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장비에 제공하고, 다운링크 전송을 개시하기 위해 상기 다운링크 스케줄을 상기 사용자 장비에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업링크 스케줄 및 상기 다운링크 스케줄의 조합은 업링크 및 다운링크 전송을 위해 미리 정의된 시분할 듀플렉스(TDD) 패턴을 이용하지 않고, 업링크 트래픽의 양 및 다운링크 트래픽의 양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상기 업링크 스케줄 및 상기 다운링크 스케줄의 조합은, 상기 업링크 전송이 프레임 기간의 서브프레임들의 제1 세트를 차지하고, 상기 다운링크 전송이 상기 프레임 기간의 서브프레임들의 제2 세트를 차지하게 하는 하나의 캐리어 상의 TDD인,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장비가 클리어 채널 평가("CCA")를 수행할 수 있게 하기 위해 다운링크 전송과 업링크 전송 사이에 갭을 예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동작 채널이 클리어 상태(clear)인지를 결정하기 위해 대화 전 청취(listen before talk)("LBT")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채널이 클리어 상태이면 상기 다운링크 스케줄에 기초하여 다운링크 전송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LBT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업링크 전송의 마지막 서브프레임의 두 번째 슬롯에서 상기 LBT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전송을 개시하기 위해 상기 업링크 그랜트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장비에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업링크 전송을 위한 타이밍을 나타내는 표시를 상기 업링크 그랜트 메시지 내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전송을 위한 타이밍을 나타내는 상기 표시를 상기 업링크 그랜트 메시지 내에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업링크 그랜트 메시지가 수신되는 서브프레임과 상기 업링크 전송이 시작되는 서브프레임 사이의 오프셋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전송을 위한 타이밍을 나타내는 상기 표시를 상기 업링크 그랜트 메시지 내에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업링크 전송을 시작할 서브프레임을 나타내는 인덱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5.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전송을 개시하기 위해 상기 업링크 그랜트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장비에 제공하는 단계는, 스케줄링된 업링크 서브프레임이 완전한 것인지 또는 부분적인 것인지를 나타내는 서브프레임 유형 표시를 상기 업링크 그랜트 메시지 내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6. 장치로서,
    업링크 그랜트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기;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한 코드 - 상기 코드는 상기 업링크 그랜트 메시지의 일부에 기초하여 전송될 데이터에 대한 업링크 스케줄을 결정하는 코드를 포함함 - 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업링크 스케줄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송기
    를 포함하고,
    상기 업링크 스케줄은 업링크 및 다운링크 전송을 위해 미리 정의된 시분할 듀플렉스(TDD) 패턴을 이용하지 않고, 업링크 트래픽의 양 및 다운링크 트래픽의 양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스케줄의 일부이고, 상기 스케줄은 상기 업링크 전송이 프레임 기간의 서브프레임들의 제1 세트를 차지하고, 상기 다운링크 전송이 상기 프레임 기간의 서브프레임들의 제2 세트를 차지하게 하는 하나의 캐리어 상의 TDD인, 장치.
  17. 방법으로서,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업링크 그랜트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업링크 그랜트 메시지의 일부에 기초하여 전송될 데이터에 대한 업링크 스케줄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업링크 스케줄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업링크 스케줄은 업링크 및 다운링크 전송을 위해 미리 정의된 시분할 듀플렉스(TDD) 패턴을 이용하지 않고, 업링크 트래픽의 양 및 다운링크 트래픽의 양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스케줄의 일부이고, 상기 스케줄은 상기 업링크 전송이 프레임 기간의 서브프레임들의 제1 세트를 차지하고, 상기 다운링크 전송이 상기 프레임 기간의 서브프레임들의 제2 세트를 차지하게 하는 하나의 캐리어 상의 TDD인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그랜트 메시지의 일부에 기초하여 전송될 데이터에 대한 상기 업링크 스케줄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업링크 그랜트 메시지가 수신되는 서브프레임과 업링크 전송을 위한 시작 서브프레임 사이의 오프셋의 상기 업링크 그랜트 메시지 내의 표시에 기초하여 상기 업링크 스케줄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그랜트 메시지의 일부에 기초하여 전송될 데이터에 대한 상기 업링크 스케줄을 결정하는 단계는, 업링크 전송을 위한 시작 서브프레임의 인덱스의 상기 업링크 그랜트 메시지 내의 표시에 기초하여 상기 업링크 스케줄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0. 제17항에 있어서, 전송될 상기 데이터의 스케줄링된 서브프레임이 상기 업링크 그랜트 메시지 내의 표시에 기초하여 완전한 서브프레임일지 또는 부분 서브프레임일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187003908A 2015-08-14 2015-08-14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업링크/다운링크 스케줄링 Active KR1021782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7032181A KR102450898B1 (ko) 2015-08-14 2015-08-14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업링크/다운링크 스케줄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5/086929 WO2017028002A1 (en) 2015-08-14 2015-08-14 Uplink/downlink schedul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2181A Division KR102450898B1 (ko) 2015-08-14 2015-08-14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업링크/다운링크 스케줄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1002A KR20180031002A (ko) 2018-03-27
KR102178200B1 true KR102178200B1 (ko) 2020-11-12

Family

ID=5805061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3908A Active KR102178200B1 (ko) 2015-08-14 2015-08-14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업링크/다운링크 스케줄링
KR1020207032181A Active KR102450898B1 (ko) 2015-08-14 2015-08-14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업링크/다운링크 스케줄링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2181A Active KR102450898B1 (ko) 2015-08-14 2015-08-14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업링크/다운링크 스케줄링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10986658B2 (ko)
EP (1) EP3320716B1 (ko)
KR (2) KR102178200B1 (ko)
CN (1) CN107925918B (ko)
WO (1) WO20170280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5148B1 (ko) * 2015-08-12 2022-11-10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비면허 대역에서 제어 채널 전송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178200B1 (ko) 2015-08-14 2020-11-12 레노보 이노베이션스 리미티드 (홍콩)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업링크/다운링크 스케줄링
CN106559844B (zh) * 2015-09-25 2020-03-24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上行传输资源调度及上行传输方法、装置
RU2696858C1 (ru) 2015-09-25 2019-08-07 Панасоник Интеллекчуал Проперти Корпорэйшн оф Америка Пользовательское оборудование и способ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US10630432B2 (en) * 2015-10-13 2020-04-21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sub-frame length information in wireless access system supporting non-licensed band
WO2017081800A1 (ja) 2015-11-12 2017-05-18 富士通株式会社 端末装置、基地局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方法
EP3332596B1 (en) * 2016-02-02 2021-09-29 Nec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performing uplink scheduling and ul transmission
WO2017194465A1 (en) * 2016-05-12 2017-11-1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Technique for transmitting uplink grant information
CN107734560B (zh) * 2016-08-12 2023-09-1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信号传输方法、通信设备及通信系统
CN109152076B (zh) 2017-06-27 2022-04-05 华为云计算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资源调度的方法、装置和系统
US11057885B2 (en) 2018-04-26 2021-07-06 Qualcomm Incorporated Frame-based initiator device operation
US10560957B2 (en) * 2018-06-20 2020-02-11 Qualcomm Incorporated Out-of-sync grant handl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277856B2 (en) 2019-03-08 2022-03-15 Facebook Technologi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 scheduling
TWI754254B (zh) * 2019-04-02 2022-02-01 新加坡商聯發科技(新加坡)私人有限公司 在lbe模式和fbe模式之間切換的方法以及相應裝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83706A1 (en) * 2011-09-26 2013-04-04 Innovative Sonic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tdd (time division duplex) interband carrier aggregation (ca)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74253B2 (en) * 2005-03-08 2011-07-0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and using a rate indicator
US8000272B2 (en) 2007-08-14 2011-08-16 Nokia Corporation Uplink scheduling grant for time division duplex with asymmetric uplink and downlink configuration
US9432977B2 (en) * 2009-09-30 2016-08-30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uplink control information
CN103460740B (zh) * 2011-02-07 2017-10-10 交互数字专利控股公司 在免许可频谱中操作补充小区的方法和装置
CN103907300B (zh) * 2011-11-01 2016-11-09 Lg电子株式会社 用于发送和接收信号的方法及其设备
CN103796327A (zh) * 2012-10-29 2014-05-1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子帧调度方法、系统及网络设备、终端
US9276622B2 (en) * 2013-03-14 2016-03-01 Qualcomm Incorporated Local oscillator (LO) generator with multi-phase divider and phase locked loop
EP2816853A1 (en) * 2013-06-21 2014-12-24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Uplink switching of communication links for mobile stations in dual connectivity
CN105580467A (zh) * 2013-08-06 2016-05-11 夏普株式会社 终端装置、基站装置、通信系统、通信方法以及集成电路
US9743432B2 (en) * 2013-09-23 2017-08-22 Qualcomm Incorporated LTE-U uplink waveform and variable multi-subframe scheduling
US10200224B2 (en) * 2013-12-08 2019-02-05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in non-licensed band
PL3140944T3 (pl) * 2014-05-08 2021-11-08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Poprawa skuteczności komunikacji
US20160095040A1 (en) * 2014-09-26 2016-03-31 Qualcomm Incorporated Transmission power reduction for co-existence on a shared communication medium
CN107113832B (zh) * 2014-09-26 2021-03-12 瑞典爱立信有限公司 用于分别发送和接收子帧类型的指示的第一通信装置、第二通信装置以及其中的方法
US9955478B2 (en) * 2015-04-17 2018-04-24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managing communications in a shared radio frequency spectrum band
KR102178200B1 (ko) 2015-08-14 2020-11-12 레노보 이노베이션스 리미티드 (홍콩)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업링크/다운링크 스케줄링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83706A1 (en) * 2011-09-26 2013-04-04 Innovative Sonic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tdd (time division duplex) interband carrier aggregation (ca)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Rapeepat Ratasuk1. et. al, "license-exempt lte deployment in heterogeneous network", 2012 International Symposium 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ISWCS), 25 October 2012. 1부.*
조봉열, "LTE를 통한 3G 진화", 홍릉과학출판사, 2010.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9183A (ko) 2020-11-17
EP3320716A1 (en) 2018-05-16
KR20180031002A (ko) 2018-03-27
EP3320716C0 (en) 2023-11-15
EP3320716B1 (en) 2023-11-15
US10986658B2 (en) 2021-04-20
US20190014591A1 (en) 2019-01-10
EP3320716A4 (en) 2019-02-27
WO2017028002A1 (en) 2017-02-23
KR102450898B1 (ko) 2022-10-04
US11825478B2 (en) 2023-11-21
US20210204310A1 (en) 2021-07-01
CN107925918A (zh) 2018-04-17
CN107925918B (zh) 2022-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8200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업링크/다운링크 스케줄링
US12143972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scheduling Multi-TTI transmissions
US11711706B2 (en) Communication configuration selection
EP3903435B1 (en) Harq-ack transmission on unlicensed spectrum
US11456816B2 (en) Flexible uplink/downlink transmission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4080980B1 (en) Scheduling request indication
US12232124B2 (en) Multi-slot scheduling on unlicensed spectrum
KR102234846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버스트-기반 전송 스케줄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208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9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806

PA0104 Divisional application for internat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for International Patent

Patent event code: PA01041R01D

Patent event date: 20201106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11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11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0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01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