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7712B1 - Alarm module and alarm valve unit which this is equipped with - Google Patents
Alarm module and alarm valve unit which this is equipped with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77712B1 KR102177712B1 KR1020190041027A KR20190041027A KR102177712B1 KR 102177712 B1 KR102177712 B1 KR 102177712B1 KR 1020190041027 A KR1020190041027 A KR 1020190041027A KR 20190041027 A KR20190041027 A KR 20190041027A KR 102177712 B1 KR102177712 B1 KR 10217771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larm
- fire water
- valve
- valve body
- coupl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5
- 230000005489 elastic deform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02 propag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0—Pipe-line systems wet, i.e. containing extinguishing material even when not in use
- A62C35/605—Pipe-line systems wet, i.e. containing extinguishing material even when not in use operating and sounding alarm automatically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08—Mechanical me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25—Electrical or magnetic means
- F16K37/0041—Electrical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valve paramet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58—Optical means, e.g. light transmission, observation port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방수가 스프링클러에 공급될 때, 전달되는 소방수를 이용하여 알람밸브유닛에서 소방수의 공급을 알리는 알람을 빛과 소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표출시킬 수 있는 알람모듈과 이것이 구비된 알람밸브유닛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알람모듈은 소방수가 스프링클러에 공급될 때 빛과 소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표출시키는 알람모듈이고, 알람박스와, 소방수가 스프링클러에 공급됨에 따라 알람박스에 삽입되도록 알람박스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압력피스톤과, 알람박스에 내장되되 압력피스톤이 알람박스에 삽입될 때, 알람신호를 발생시키는 알람스위치와, 알람박스에 내장되되 알람신호에 의해 소리를 표출시키는 버저와 알람신호에 의해 빛을 표출시키는 램프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포함된 알람기판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larm module capable of expressing an alarm notifying the supply of fire water from an alarm valve unit to at least one of light and sound using the transmitted fire water when the fire water is supplied to a sprinkler, and an alarm valve unit equipped with the same. will be.
To this end, the alarm module is an alarm module that expresses at least one of light and sound when the firefighter is supplied to the sprinkler, and is coupled to the alarm box so that it is inserted into the alarm box as the firefighter is supplied to the sprinkler so as to be reciprocally moved to the alarm box The pressure piston is built into the alarm box, but the alarm switch that generates an alarm signal when the pressure piston is inserted into the alarm box, and the buzzer that is built in the alarm box and emits sound by the alarm signal and the light is illuminated by the alarm signal. It includes an alarm board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lamps to be express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알람모듈과 이것이 구비된 알람밸브유닛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소방수가 스프링클러에 공급될 때, 전달되는 소방수를 이용하여 알람밸브유닛에서 소방수의 공급을 알리는 알람을 빛과 소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표출시킬 수 있는 알람모듈과 이것이 구비된 알람밸브유닛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larm module and an alarm valve unit equipped therewith, and more specifically, when fire water is supplied to a sprinkler, an alarm notifying the supply of fire water from the alarm valve unit using the transmitted fire water is at least one of light and sound. It relates to an alarm module that can be expressed by any one and an alarm valve unit equipped with it.
일반적으로, 스프링클러 시스템에는 화재 발생시 스프링클러(sprinkler)에 소방수가 공급될 때, 경보 신호를 방제실에 전송하는 알람밸브유닛이 구비된다.In general, a sprinkler system is provided with an alarm valve unit that transmits an alarm signal to a control room when fire water is supplied to a sprinkler in the event of a fire.
이러한 알람밸브유닛은 스프링클러에 소방수를 공급하는 소방수 관로에 설치되어 양단에 형성된 수압차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되도록 구성된다.This alarm valve unit is installed in a fire water pipe supplying fire water to a sprinkler and is configured to be automatically opened and closed by a water pressure difference formed at both ends.
다시 말해, 알람밸브유닛의 내부에는 양측에 연결되는 소방관로의 수압차에 의해 자동 개폐가 이루어지는 클래퍼가 장착된다. 알람밸브유닛의 양단부에는 각각 클래퍼를 경계로 소방수를 공급하는 관로인 1차측 관로와, 스프링클러 측의 관로인 2차측 관로가 형성된다. 그러면, 평상시 1차측과 관로와 2차측 관로의 압력은 상호 균형을 유지하게 된다.In other words, a clapper that automatically opens and closes due to a water pressure difference between firefighters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alarm valve unit is mounted. At both ends of the alarm valve unit, a primary side conduit, which is a conduit for supplying firefighting water, and a secondary conduit, which is a conduit to the sprinkler side,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alarm valve unit. Then, the pressures of the primary side, the pipeline, and the secondary side are kept in balance.
이러한 알람밸브유닛은 하나의 방호구역마다 설치된다. 알람밸브유닛을 중심으로 1차측 관로와 2차측 관로에는 각각 압력계가 1개씩 부착되어 항상 같은 압력치를 지시하고 있다가 화재 발생시 스프링클러의 헤드가 개방되어 소방수가 분사되면 2차측 관로의 압력이 순식간에 낮아지게 되고, 상대적으로 높은 수압의 1차측 관로의 수압의 미는 힘에 의해 내부에 장착된 클래퍼가 회동하여 알람밸브유닛이 자동으로 개방된다. 이때, 알람밸브유닛은 경보 신호를 방제실에 전송하여 방제실에 구비된 화재표시등을 점등시키고, 경보를 발령하게 된다.These alarm valve units are installed in each protected area. With the alarm valve unit as the center, a pressure gauge is attached to each of the primary and secondary pipes, indicating the same pressure value at all times.In the event of a fire, the sprinkler head is opened and the fire water is sprayed, the pressure in the secondary pipe is rapidly lowered. Then, the clapper mounted inside is rotated by the pushing force of the water pressure of the primary side pipe of relatively high water pressure, and the alarm valve unit is automatically opened. At this time, the alarm valve unit transmits an alarm signal to the control room, turns on the fire indicator provided in the control room, and issues an alarm.
하지만, 알람밸브유닛이 설치된 방호구역(설치 현장) 주변에서는 경보 상황에 대한 인지가 어려워 별도의 경보 상황을 접수해야 한다.However, it is difficult to recognize the alarm situation around the protection area (installation site) where the alarm valve unit is installed, so a separate alarm situation must be received.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소방수가 스프링클러에 공급될 때, 전달되는 소방수를 이용하여 알람밸브유닛에서 소방수의 공급을 알리는 알람을 빛과 소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표출시킬 수 있는 알람모듈과 이것이 구비된 알람밸브유닛을 제공함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a conventional problem, and when fire water is supplied to a sprinkler, an alarm indicating the supply of fire water from the alarm valve unit can be expressed with at least one of light and sound using the transmitted fire water. To provide an alarm module and an alarm valve unit equipped with it.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알람모듈은 소방수가 스프링클러에 공급될 때, 빛과 소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표출시키는 알람모듈이고, 알람박스; 상기 소방수가 상기 스프링클러에 공급됨에 따라 상기 알람박스에 삽입되도록 상기 알람박스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압력피스톤; 상기 알람박스에 내장되되, 상기 압력피스톤이 상기 알람박스에 삽입될 때, 알람신호를 발생시키는 알람스위치; 및 상기 알람박스에 내장되되, 상기 알람신호에 의해 소리를 표출시키는 버저와, 상기 알람신호에 의해 빛을 표출시키는 램프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포함된 알람기판;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for achiev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alarm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larm module for expressing at least one of light and sound when a firefighter is supplied to a sprinkler, and an alarm box; A pressure piston reciprocally coupled to the alarm box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alarm box as the fire water is supplied to the sprinkler; An alarm switch built into the alarm box and generating an alarm signal when the pressure piston is inserted into the alarm box; And an alarm board built into the alarm box and including at least one of a buzzer for expressing sound by the alarm signal and a lamp for expressing light by the alarm signal.
여기서, 상기 압력피스톤은, 상기 알람박스에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소방수가 전달되는 체결소켓; 상기 소방수가 상기 알람박스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상기 체결소켓에 내장되고, 상기 소방수의 압력에 의해 탄성 변형되는 다이어프램; 및 상기 알람박스 쪽으로 돌출 가능하도록 상기 다이어프램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소켓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피스톤로드;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소방수가 상기 스프링클러에 공급될 때, 상기 체결소켓에 상기 소방수가 전달되면, 상기 다이어프램은 탄성 변형을 통해 상기 피스톤로드를 상기 알람박스 쪽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피스톤로드는 상기 알람스위치에서 상기 알람신호가 발생되도록 상기 알람스위치를 "ON"으로 동작시킨다.Here, the pressure piston is formed protruding from the alarm box, the fastening socket through which the fire water is transmitted; A diaphragm built into the fastening socket to block the fire water from flowing into the alarm box, and elastically deformed by the pressure of the fire water; And a piston rod that is reciprocally movably coupled to the fastening socket while being coupled to the diaphragm to protrude toward the alarm box. At this time, when the fire water is supplied to the sprinkler, when the fire water is delivered to the fastening socket, the diaphragm moves the piston rod toward the alarm box through elastic deformation, and the piston rod moves the piston rod toward the alarm box. The alarm switch is operated to "ON" to generate a signal.
여기서, 상기 압력피스톤은, 상기 알람박스 쪽에서 상기 체결소켓에 결합되고, 상기 피스톤로드를 왕복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소켓고정캡;을 더 포함한다.Here, the pressure piston is coupled to the fastening socket from the side of the alarm box, and further includes a socket fixing cap for supporting the piston rod to be reciprocated.
여기서, 상기 알람스위치는, 상기 압력피스톤에서 이격되어 상기 알람박스에 결합되는 스위치바디; 상기 스위치바디에 피벗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알람레버; 및 상기 알람레버의 피벗 동작에 따라 상기 알람레버가 가압될 때, 상기 알람신호를 발생시키는 알람버튼;을 포함한다.Here, the alarm switch comprises: a switch body spaced apart from the pressure piston and coupled to the alarm box; An alarm lever pivotally coupled to the switch body; And an alarm button for generating the alarm signal when the alarm lever is pressed according to a pivoting operation of the alarm lever.
본 발명에 따른 알람밸브유닛은 소방수가 공급되는 입력배관과 상기 소방수를 스프링클러에 공급하는 출력배관을 상호 연결시키는 밸브바디; 상기 소방수의 압력에 의해 상기 밸브바디를 개폐하도록 상기 밸브바디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클래퍼; 상기 밸브바디의 내부와 연통되고, 상기 밸브바디의 개폐와 함께 상기 클래퍼에 의해 개폐되며, 상기 출력배관으로 상기 소방수가 공급될 때, 상기 소방수의 일부가 배출되는 퇴수관; 및 상기 퇴수관에 결합되고, 상기 소방수가 상기 출력배관을 거쳐 상기 스프링클러에 공급될 때, 상기 소방수의 압력을 감지하여 빛과 소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표출시키는 알람모듈;을 포함한다.The alarm valv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alve body for interconnecting an input pipe to which fire water is supplied and an output pipe to supply the fire water to a sprinkler; A clapper rotatab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valve body to open and close the valve body by the pressure of the firefighter; A discharge pipe in communication with the inside of the valve body, opened and closed by the clapper together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valve body, and through which a part of the fire water is discharged when the fire water is supplied to the output pipe; And an alarm module coupled to the discharge pipe and configured to detect a pressure of the firefighter when the fire water is supplied to the sprinkler through the output pipe and display at least one of light and sound.
여기서, 상기 퇴수관에는, 상기 알람모듈을 기준으로 상기 소방수가 배출되는 배출측에 결합되고, 상기 밸브바디의 개폐 여부에 따라 상기 알람모듈로부터 상기 소방수의 배출 여부를 선택하는 퇴수밸브;가 포함되되, 상기 밸브바디가 개방되는 경우, 상기 퇴수밸브는 상기 퇴수관을 폐쇄하고, 상기 밸브바디가 폐쇄되는 경우, 상기 퇴수밸브는 상기 퇴수관을 개방한다.Here, the discharge pipe includes a discharge valve that is coupled to a discharge side from which the fire water is discharged based on the alarm module, and selects whether or not to discharge the fire water from the alarm module according to whether the valve body is opened or closed. When the valve body is opened, the discharge valve closes the discharge pipe, and when the valve body is closed, the discharge valve opens the discharge pipe.
여기서, 상기 퇴수관에는, 상기 알람모듈을 기준으로 상기 소방수가 공급되는 입력측에 결합되고, 상기 밸브바디의 개폐 여부에 따라 상기 알람모듈로 상기 소방수의 공급 여부를 선택하는 정지밸브;가 더 포함되되, 상기 밸브바디가 개방되는 경우, 상기 정지밸브는 상기 퇴수관을 개방하고, 상기 밸브바디가 폐쇄되는 경우, 상기 정지밸브는 상기 퇴수관을 폐쇄한다.Here, the discharge pipe further includes a stop valve coupled to the input side to which the fire water is supplied based on the alarm module, and for selecting whether to supply the fire water to the alarm module according to whether the valve body is opened or closed. When the valve body is opened, the stop valve opens the discharge pipe, and when the valve body is closed, the stop valve closes the discharge pipe.
여기서, 상기 알람모듈은, 본 발명에 따른 알람모듈;을 포함한다.Here, the alarm module includes an alarm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알람모듈과 이것이 구비된 알람밸브유닛에 따르면, 소방수가 스프링클러에 공급될 때, 전달되는 소방수를 이용하여 알람밸브유닛에서 소방수의 공급을 알리는 알람을 빛과 소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표출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alarm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larm valve unit equipped with it, when the fire water is supplied to the sprinkler, the alarm valve unit may express an alarm indicating the supply of fire water from the alarm valve unit with at least one of light and sound. I can.
또한, 본 발명은 알람밸브유닛이 설치된 설치 현장 주변으로 경보 상황을 직접 전파하여 주변인이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화재에 따른 2차 피해 및 인명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directly propagate the alarm situation around the installation site where the alarm valve unit is installed to induce surrounding people to quickly evacuate, and to prevent secondary damage and personal accidents due to fire.
또한, 본 발명은 압력피스톤을 통해 소방수의 공급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알람박스로의 소방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소켓고정캡을 통해 피스톤로드의 왕복 이동량을 제한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heck whether fire water is supplied through the pressure piston, and to prevent the inflow of fire water into the alarm box. In addition, the amount of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piston rod can be limited through the socket fixing cap.
또한, 본 발명은 알람스위치를 통해 알람신호의 발생 여부을 선택할 수 있고, 알람기판에 알람을 위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elect whether an alarm signal is generated through an alarm switch, and to supply power for an alarm to an alarm board.
또한, 본 발명은 알람밸브유닛을 통해 소방수를 스프링클러에 안정되게 공급하고, 소방수의 분기를 원활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stably supply firefighting water to the sprinkler through the alarm valve unit, and smooth branching of the firefighters.
또한, 본 발명은 퇴수관의 위치 한정을 통해 소방수가 스프링클러에 공급될 때, 소방수가 압력피스톤에 안정되게 공급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fire water to be stably supplied to the pressure piston when the fire water is supplied to the sprinkler through the location of the discharge pip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람밸브유닛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계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람밸브유닛에서 밸브바디의 개방 상태를 도시한 계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람밸브유닛에서 알람모듈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람밸브유닛에서 압력피스톤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combined state of an alarm valv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open state of a valve body in an alarm valv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alarm module in an alarm valv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a pressure piston in the alarm valv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알람모듈과 이것이 구비된 알람밸브유닛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은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Hereinafter, an exemplary embodiment of an alarm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alarm valve unit includ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t this tim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example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may be omitted to clarif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람밸브유닛(400)은 밸브바디(10)와, 클래퍼(20)와, 퇴수관(50)과, 알람모듈(60)을 포함할 수 있다.1 to 4, the
밸브바디(10)는 입력배관(100)과 출력배관(200)을 상호 연결시킨다. 여기서, 입력배관(100)은 스프링클러(220)에서 배출되는 소방수가 공급된다. 또한, 출력배관(200)은 입력배관(100)을 거쳐 전달되는 소방수를 스프링클러(220)에 공급한다.The
이때, 입력배관(100)에는 소방수의 공급 여부를 선택하는 개폐밸브(300)가 구비된다. 개폐밸브(300)에는 입력배관(100)의 개도 조절을 위해 별도의 구동력 또는 사용자의 조작을 통해 동작되는 개폐핸들(320)과, 개폐핸들(320)의 동작을 조절하여 개폐밸브(300)에 전달하는 기어박스(310)가 구비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또한, 출력배관(200)에는 적어도 하나의 가지관(210)이 분기되고, 가지관(210)에는 둘 이상의 스프링클러(220)가 결합된다.In addition, at least one
밸브바디(10)에는 클래퍼(20)를 기준으로 입력배관(100) 쪽에 관통 형성되는 입력측연결구(11)가 구비될 수 있다. 입력측연결구(11)에는 입력측압력계(30)가 결합되어 클래퍼(20)가 밸브바디(10)를 개폐할 때, 소방수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The
여기서, 입력측연결구(11)와 입력측압력계(30) 사이에는 입력측압력계(30)로 소방수의 공급 여부를 선택하는 입력측밸브(31)가 구비될 수 있다. 입력측밸브(31)는 평상시 입력측연결구(11)를 개방하였다가 입력측압력계(30)를 교체할 경우, 입력측연결구(11)를 폐쇄할 수 있다.Here, between the input-
밸브바디(10)에는 클래퍼(20)를 기준으로 출력배관(200) 쪽에 관통 형성되는 출력측연결구(12)가 구비될 수 있다. 출력측연결구(12)에는 츨력측압력계(40)가 결합되어 클래퍼(20)가 밸브바디(10)를 개폐할 때, 소방수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The
여기서, 출력측연결구(12)와 츨력측압력계(40) 사이에는 츨력측압력계(40)로 소방수의 공급 여부를 선택하는 츨력측밸브(41)가 구비될 수 있다. 츨력측밸브(41)는 평상시 출력측연결구(12)를 개방하였다가 츨력측압력계(40)를 교체할 경우, 출력측연결구(12)를 폐쇄할 수 있다.Here, between the output-
밸브바디(10)에는 퇴수관(50)이 연결되는 스위치연결구(13)가 구비될 수 있다. 스위치연결구(13)는 밸브바디(10)의 개폐와 함께 클래퍼(20)에 의해 개폐된다.The
클래퍼(20)는 밸브바디(1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클래퍼(20)는 입력배관(100)으로부터 출력배관(200)으로 공급되는 소방수의 압력에 의해 밸브바디(10)를 개폐한다.The
다시 말해, 개폐밸브(300)에 의해 입력배관(100)에 개방되면, 클래퍼(20)는 소방수의 압력에 의해 밸브바디(10)의 내부에서 회전되어 밸브바디(10)를 개방하고, 소방수가 입력배관(100)에서 출력배관(200)으로 공급된다.In other words, when open to the
또한, 개폐밸브(300)에 의해 입력배관(100)이 폐쇄되면, 소방수의 공급이 차단되고, 클래퍼(20)는 소방수의 압력이 해제되어 밸브바디(10)의 내부에서 원위치로 회전되어 밸브바디(10)를 폐쇄한다.In addition, when the
퇴수관(50)은 밸브바디(10)의 내부와 연통된다. 퇴수관(50)은 밸브바디(10)에 구비되는 스위치연결구(13)에 연결된다. 퇴수관(50)은 밸브바디(10)의 개폐와 함께 클래퍼(20)에 의해 개폐된다. 퇴수관(50)은 출력배관(200)으로 소방수가 공급될 때, 소방수의 일부가 배출된다.The
퇴수관(50)에는 퇴수밸브(52)가 포함될 수 있다.A
퇴수밸브(52)는 알람모듈(60)을 기준으로 소방수가 배출되는 배출측에 결합된다. 퇴수밸브(52)는 밸브바디(10)의 개폐 여부 또는 화재 경보에 따라 알람모듈(60)로부터 소방수의 배출 여부를 선택한다.The
다시 말해, 밸브바디(10)가 개방되거나 화재 경보가 입력되는 경우, 퇴수밸브(52)는 퇴수관(50)을 폐쇄하여 소방수의 압력이 알람모듈(60)에 작용하도록 할 수 있다.In other words, when the
또한, 평상시 또는 밸브바디(10)가 폐쇄되는 경우, 퇴수밸브(52)는 퇴수관(50)을 개방하여 소방수가 배출되도록 한다.In addition, when the
퇴수관(50)에는 정지밸브(51)가 포함될 수 있다.A
정지밸브(51)는 알람모듈(60)을 기준으로 소방수가 공급되는 입력측에 결합된다. 정지밸브(51)는 밸브바디(10)의 개폐 여부 또는 화재 경보에 따라 알람모듈(60)로 소방수의 공급 여부를 선택한다.The
다시 말해, 밸브바디(10)가 개방되거나 화재 경보가 입력되는 경우, 정지밸브(51)는 퇴수관(50)을 개방하여 소방수가 알람모듈(60)에 공급되도록 한다.In other words, when the
또한, 평상시 또는 밸브바디(10)가 폐쇄되는 경우, 정지밸브(51)는 퇴수관(50)을 폐쇄하여 알람모듈(60)로 소방수의 공급을 차단한다.In addition, normally or when the
알람모듈(60)은 퇴수관(50)에서 퇴수밸브(52)와 정지밸브(51) 사이에 결합된다. 알람모듈(60)은 소방수가 출력배관(200)을 거쳐 스프링클러(220)에 공급될 때, 소방수의 압력을 감지하여 빛과 소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표출시킨다.The
알람모듈(6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람모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람모듈은 알람박스(61)와, 압력피스톤(62)과, 알람스위치(63)와, 알람기판(64)을 포함할 수 있다.An alarm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알람박스(61)는 퇴수관(50)에서 분기되는 분기관에 결합된다.The
압력피스톤(62)은 알람박스(61)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압력피스톤(62)은 소방수가 출력배관(200)을 거쳐 스프링클러(220)에 공급됨에 따라 알람박스(61)에 삽입된다. 압력피스톤(62)은 출력배관(200)을 거쳐 스프링클러(220)에 소방수의 공급이 차단되면, 압력피스톤(62)은 알람박스(61)에서 돌출되어 원위치로 복귀한다.The
압력피스톤(62)은 체결소켓(621)과, 다이어프램(622)과, 피스톤로드(623)를 포함할 수 있다.The
체결소켓(621)은 알람박스(61)에서 돌출 형성된다. 체결소켓(621)은 중공의 관 형상으로 퇴수관(50)의 분기관에 결합되어 퇴수관(50)에 공급되는 소방수가 전달되도록 한다.The
다이어프램(622)은 체결소켓(621)에 내장된다. 다이어프램(622)은 가장자리가 체결소켓(621)의 내벽에 밀착 지지됨에 따라 체결소켓(621)을 밀폐시키고, 소방수가 알람박스(61)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다이어프램(622)은 퇴수관(50)에 공급되는 소방수의 압력에 의해 탄성 변형된다.The
피스톤로드(623)는 다이어프램(622)에 결합된다. 피스톤로드(623)는 다이어프램(622)의 탄성 변형에 대응하여 체결소켓(621)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피스톤로드(623)는 알람박스(61) 쪽으로 돌출 가능하다. 피스톤로드(623)의 둘레에는 체결소켓(621)의 내벽에서 미끄럼 이동 가능한 미끄럼링(623-1)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The
이에 따라, 소방수가 출력배관(200)을 거쳐 스프링클러(220)에 공급될 때, 체결소켓(621)에 소방수가 전달되면, 다이어프램(622)은 탄성 변형을 통해 피스톤로드(623)를 알람박스(61) 쪽으로 이동시키고, 피스톤로드(623)는 알람스위치(63)를 가압함에 따라 알람스위치(63)에서 알람신호가 발생되도록 알람스위치를 "ON"으로 동작시킨다.Accordingly, when the fire water is supplied to the
압력피스톤(62)은 밀폐링(624)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밀폐링(624)은 체결소켓(621)의 내부에 삽입되고, 체결소켓(621)의 내부에서 다이어프램(622)과 체결소켓(621)의 내벽 사이를 밀폐시킨다. 밀폐링(624)은 체결소켓(621)과 퇴수관(50)의 분기관이 결합될 때, 분기관과 체결소켓(621)의 내벽과 다이어프램(622) 사이를 밀폐시킬 수 있다.The sealing
압력피스톤(62)은 소켓고정캡(625)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소켓고정캡(625)은 알람박스(61) 쪽에서 체결소켓(621)에 결합된다. 소켓고정캡(625)은 알람박스(61)에서 체결소켓(621)을 고정시킬 수 있다. 소켓고정캡(625)은 중공의 링 형상을 나타내고, 피스톤로드(623)를 왕복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소켓고정캡(625)은 피스톤로드(623)의 왕복 이동량을 제한할 수 있다. 피스톤로드(623)가 알람박스(61) 쪽으로 이동될 때, 피스톤로드(623)의 미끄럼링(623-1)이 소켓고정캡(625)에 지지됨으로써, 소켓고정캡(625)은 피스톤로드(623)가 알람박스(61) 쪽으로 돌출되는 양을 제한할 수 있다.The
알람스위치(63)는 알람박스(61)에 내장된다. 알람스위치(63)는 압력피스톤(62)이 알람박스(61)에 삽입될 때, 알람신호를 발생시킨다.The
알람스위치(63)는 스위치바디(631)와, 알람레버(632)와, 알람버튼(634)을 포함할 수 있다.The
스위치바디(631)는 압력피스톤(62)에서 이격되어 알람박스(61)에 결합된다.The
알람레버(632)는 스위치바디(631)에서 피벗 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알람레버(632)는 압력피스톤(62)의 피스톤로드(623)에 지지된다. 알람레버(632)에는 스위칭롤러(633)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스위칭롤러(633)는 피스톤로드(623)의 단부에 지지된다.The
알람버튼(634)은 알람레버(632)의 피벗 동작에 따라 알람레버(632)가 가압될 때, 알람신호를 발생시킨다.The
그러면, 소방수의 압력에 의해 압력피스톤(62)의 피스톤로드(623)가 체결소켓(621)에서 돌출되어 알람레버(632)를 가압하면, 알람레버(632)는 피벗 운동하여 알람버튼(634)을 가압함으로써, 알람버튼(634)은 알람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Then, when the
또한, 소방수의 압력이 해제되면, 압력피스톤(62)의 피스톤로드(623)가 원위치로 복귀함에 따라 알람레버(632)의 가압력이 해제되고, 알람버튼(634)의 가압력이 해제되어 알람버튼(634)에서 알람신호가 발생되지 않는다.In addition, when the pressure of the firefighter is released, the pressing force of the
알람스위치(63)에는 알람버튼(634)을 통해 생성된 알람신호를 방제실로 전송하는 출력신호선(635)이 접속된다.The
또한, 알람스위치(63)에는 알람기판(64)의 구동을 위해 외부전원이 접속되는 전원선(636)이 알람기판(64)을 매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In addition, a
알람기판(64)은 알람박스(61)에 내장된다. 알람기판(64)은 외부전원 및 알람스위치(63)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알람기판(64)에는 알람신호에 의해 소리를 표출시키는 버저(641)와, 알람신호에 의해 빛을 표출시키는 램프(642)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포함된다.The
알람기판(64)에는 교류인 외부전원을 직류로 변환시키는 변환부(643)가 더 포함될 수 있다.The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람밸브유닛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n operation of the alarm valv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일예로, 개폐밸브(300)는 평상시 입력배관(100)을 폐쇄하였다가 화재 경보가 입력되면, 입력배관(100)을 개방할 수 있다. 여기서, 소방수는 출력배관(200)을 거쳐 스프링클러(220)에 공급됨에 따라 화재 지역의 스프링클러(220)에서 소방수를 분사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여기서, 소방수는 스위치연결구(13)를 거쳐 퇴수관(50)에 전달된다. 그러면, 퇴수관(50)의 소방수는 알람모듈(60)을 가압한다. 이때, 퇴수관(50)에서 정지밸브(51)는 퇴수관(50)을 개방하고, 퇴수밸브(52)는 퇴수관(50)을 폐쇄한다.Here, the fire water is delivered to the
그리고 소방수가 알람모듈(60)을 가압하면, 알람스위치(63)에서는 알람신호가 발생되고, 알람신호는 방제실에 전달되는 한편, 알람기판(64)을 통해 빛과 소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표출된다.And when the firefighter presses the
다른 예로, 개폐밸브(300)는 평상시 입력배관(100)을 개방하고, 알람밸브유닛(400) 및 스프링클러(220)의 유지보수 시에 입력배관(100)을 폐쇄할 수 있다. 여기서, 개별의 스프링클러(220)에 화재경보가 입력됨으로써, 해당 스프링클러(220)에서 소방수를 분사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opening/
여기서, 소방수는 스위치연결구(13)를 거쳐 퇴수관(50)에 전달된다. 평상시 퇴수관(50)에서 정지밸브(51)는 퇴수관(50)을 패쇄하였다가 화재경보에 의해 퇴수관(50)을 개방한다. 그리고 퇴수관(50)에서 퇴수밸브(52)는 퇴수관(50)을 개방하였다가 화재경보에 의해 퇴수관(50)을 폐쇄한다.Here, the fire water is delivered to the
그리고 소방수가 알람모듈(60)을 가압하면, 알람스위치(63)에서는 알람신호가 발생되고, 알람신호는 출력신호선(635)을 통해 방제실에 전달되는 한편, 알람기판(64)을 통해 빛과 소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표출된다.And when the firefighter presses the
상술한 알람모듈과 이것이 구비된 알람밸브유닛에 따르면, 소방수가 스프링클러(220)에 공급될 때, 전달되는 소방수를 이용하여 알람밸브유닛(400)에서 소방수의 공급을 알리는 알람을 빛과 소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표출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alarm module and the alarm valve unit equipped with it, when fire water is supplied to the
또한, 알람밸브유닛(400)이 설치된 설치 현장 주변으로 경보 상황을 직접 전파하여 주변인이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화재에 따른 2차 피해 및 인명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In addition, by directly propagating the alarm situation around the installation site where the
또한, 압력피스톤(62)을 통해 소방수의 공급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알람박스(61)로의 소방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소켓고정캡(625)을 통해 피스톤로드(623)의 왕복 이동량을 제한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heck whether the fire water is supplied through the
또한, 알람스위치(63)를 통해 알람신호의 발생 여부을 선택할 수 있고, 알람기판(64)에 알람을 위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elect whether or not an alarm signal is generated through the
또한, 알람밸브유닛(400)을 통해 소방수를 스프링클러(220)에 안정되게 공급하고, 소방수의 분기를 원활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e water can be stably supplied to the
또한, 퇴수관(50)의 위치 한정을 통해 소방수가 스프링클러(220)에 공급될 때, 소방수가 압력피스톤(62)에 안정되게 공급되도록 한다.In addition, when the fire water is supplied to the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variously modify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following claims. Can be modified or changed.
100: 입력배관 200: 출력배관 210: 가지관
220: 스프링클러 300: 개폐밸브 310: 기어박스
320: 개폐핸들 400: 알람밸브유닛
10: 밸브바디 11: 입력측연결구 12: 출력측연결구
13: 스위치연결구 20: 클래퍼 30: 입력측압력계
31: 입력측밸브 40: 출력측압력계 41: 출력측밸브
50: 퇴수관 51: 정지밸브 52: 퇴수밸브
60: 알람모듈 61: 알람박스 62: 압력피스톤
621: 체결소켓 622: 다이어프램 623: 피스톤로드
624: 밀폐링 625: 소켓고정캡 63: 알람스위치
631: 스위치바디 632: 알람레버 633: 스위칭롤러
634: 알람버튼 635: 출력신호선 636: 전원선
64: 알람기판 641: 버저 642: 램프
643: 변환부100: input pipe 200: output pipe 210: branch pipe
220: sprinkler 300: on-off valve 310: gearbox
320: open/close handle 400: alarm valve unit
10: valve body 11: input side connector 12: output side connector
13: switch connector 20: clapper 30: input side pressure gauge
31: input side valve 40: output side pressure gauge 41: output side valve
50: discharge pipe 51: stop valve 52: discharge valve
60: alarm module 61: alarm box 62: pressure piston
621: fastening socket 622: diaphragm 623: piston rod
624: sealing ring 625: socket fixing cap 63: alarm switch
631: switch body 632: alarm lever 633: switching roller
634: alarm button 635: output signal line 636: power line
64: alarm board 641: buzzer 642: lamp
643: conversion unit
Claims (8)
상기 소방수의 압력에 의해 상기 밸브바디를 개폐하도록 밸브바디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클래퍼;
상기 밸브바디의 내부와 연통되고, 밸브바디의 개폐와 함께 상기 클래퍼에 의해 개폐되며, 상기 출력배관으로 상기 소방수가 공급될 때, 소방수의 일부가 배출되는 퇴수관;
상기 밸브바디의 입력배관을 관통하여 형성된 입력측연결구;
상기 입력측연결구에 결합되어 상기 소방수의 압력을 측정하는 입력측압력계;
상기 입력측연결구와 상기 입력측압력계 사이에 구비되어 입력측압력계로 상기 소방수의 공급 여부를 선택하는 입력측밸브;
상기 밸브바디의 출력배관을 관통하여 형성된 출력측연결구;
상기 출력측연결구에 결합되어 상기 소방수의 압력을 측정하는 출력측압력계;
상기 출력측연결구와 상기 출력측압력계 사이에 구비되어 출력측압력계로 상기 소방수의 공급 여부를 선택하는 출력측밸브;
상기 퇴수관에 결합되고, 상기 소방수가 상기 출력배관을 거쳐 상기 스프링클러에 공급될 때, 소방수의 압력을 감지하여 빛과 소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표출시키는 알람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알람모듈은,
알람박스;
상기 소방수가 상기 스프링클러에 공급됨에 따라 상기 알람박스에 삽입되도록 알람박스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압력피스톤;
상기 알람박스에 내장되며, 상기 압력피스톤이 알람박스에 삽입될 때, 알람신호를 발생시키는 알람스위치; 및
상기 알람박스에 내장되며, 상기 알람신호에 의해 소리를 표출시키는 버저와, 알람신호에 의해 빛을 표출시키는 램프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포함된 알람기판; 을 포함하며,
상기 압력피스톤은,
상기 알람박스에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소방수가 전달되는 체결소켓;
상기 소방수가 상기 알람박스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상기 체결소켓에 내장되고, 소방수의 압력에 의해 탄성 변형되는 다이어프램; 및
상기 알람박스 쪽으로 돌출 가능하도록 상기 다이어프램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소켓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둘레에는 체결소켓의 내벽에서 미끄럼 이동 가능한 미끄럼링이 돌출 형성된 피스톤로드; 를 포함하며,
상기 소방수가 상기 스프링클러에 공급될 때, 상기 체결소켓에 소방수가 전달되면, 상기 다이어프램은 탄성 변형을 통해 상기 피스톤로드를 상기 알람박스 쪽으로 이동시키고, 피스톤로드는 상기 알람스위치에서 상기 알람신호가 발생되도록 알람스위치를 "ON"으로 동작시키며,
상기 압력피스톤은,
상기 알람박스 쪽에서 상기 체결소켓에 결합되고, 상기 피스톤로드를 왕복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소켓고정캡; 을 포함하며,
상기 피스톤로드가 상기 알람박스 쪽으로 이동될 때, 피스톤로드의 미끄럼링이 상기 소켓고정캡에 지지되어 알람박스 쪽으로 피스톤로드의 돌출 양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람밸브유닛.A valve body interconnecting an input pipe through which fire water is supplied and an output pipe supplying the fire water to a sprinkler;
A clapper rotatab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valve body to open and close the valve body by the pressure of the firefighter;
A discharge pipe in communication with the inside of the valve body, opened and closed by the clapper together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valve body, and through which a part of the fire water is discharged when the fire water is supplied to the output pipe;
An input side connector formed through the input pipe of the valve body;
An input-side pressure gauge coupled to the input-side connector to measure the pressure of the firefighter;
An input side valve provided between the input side connector and the input side pressure gauge to select whether to supply the fire water to the input side pressure gauge;
An output side connector formed through the output pipe of the valve body;
An output-side pressure gauge coupled to the output-side connector to measure the pressure of the firefighter;
An output side valve provided between the output side connector and the output side pressure gauge to select whether to supply the fire water to the output side pressure gauge;
An alarm module coupled to the discharge pipe and configured to detect a pressure of a firefighter when the firefighting water is supplied to the sprinkler through the output pipe and display at least one of light and sound; Including,
The alarm module,
Alarm box;
A pressure piston reciprocally coupled to the alarm box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alarm box as the fire water is supplied to the sprinkler;
An alarm switch built into the alarm box and generating an alarm signal when the pressure piston is inserted into the alarm box; And
An alarm board built into the alarm box and including at least one of a buzzer for expressing a sound by the alarm signal and a lamp for expressing light by an alarm signal; Including,
The pressure piston,
A fastening socket protruding from the alarm box and transmitting the fire water;
A diaphragm built into the fastening socket to block the fire water from flowing into the alarm box, and elastically deformed by the pressure of the fire water; And
A piston rod that is reciprocally movably coupled to the fastening socket while being coupled to the diaphragm so as to protrude toward the alarm box, and has a sliding ring protruding from the inner wall of the fastening socket around the periphery; Including,
When the fire water is supplied to the sprinkler, when the fire water is delivered to the fastening socket, the diaphragm moves the piston rod toward the alarm box through elastic deformation, and the piston rod generates the alarm signal from the alarm switch. Operate the alarm switch to "ON",
The pressure piston,
A socket fixing cap coupled to the fastening socket from the alarm box side and supporting the piston rod to be reciprocated; Including,
When the piston rod is moved toward the alarm box, the sliding ring of the piston rod is supported by the socket fixing cap to limit the amount of protrusion of the piston rod toward the alarm box.
상기 압력피스톤에서 이격되어 상기 알람박스에 결합되는 스위치바디;
상기 스위치바디에 피벗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알람레버; 및
상기 알람레버의 피벗 동작에 따라 알람레버가 가압될 때, 상기 알람신호를 발생시키는 알람버튼;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람밸브유닛.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alarm switch,
A switch body spaced apart from the pressure piston and coupled to the alarm box;
An alarm lever pivotally coupled to the switch body; And
An alarm button for generating the alarm signal when the alarm lever is pressed according to the pivoting operation of the alarm lever; Alarm valve unit comprising a.
상기 퇴수관에는, 상기 알람모듈을 기준으로 상기 소방수가 배출되는 배출측에 결합되고, 상기 밸브바디의 개폐 여부에 따라 알람모듈로부터 소방수의 배출 여부를 선택하는 퇴수밸브; 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바디가 개방되는 경우, 상기 퇴수밸브는 상기 퇴수관을 폐쇄하고,
상기 밸브바디가 폐쇄되는 경우, 상기 퇴수밸브는 상기 퇴수관을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람밸브유닛.The method of claim 1,
In the discharge pipe, a discharge valve coupled to a discharge side from which the fire water is discharged based on the alarm module, and for selecting whether to discharge fire water from the alarm module according to whether the valve body is opened or closed; Including,
When the valve body is opened, the drain valve closes the drain pipe,
When the valve body is closed, the discharge valve is an alarm valve unit, characterized in that to open the discharge pipe.
상기 퇴수관에는, 상기 알람모듈을 기준으로 상기 소방수가 공급되는 입력측에 결합되고, 상기 밸브바디의 개폐 여부에 따라 알람모듈로 소방수의 공급 여부를 선택하는 정지밸브; 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바디가 개방되는 경우, 상기 정지밸브는 상기 퇴수관을 개방하고,
상기 밸브바디가 폐쇄되는 경우, 상기 정지밸브는 상기 퇴수관을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람밸브유닛.The method of claim 3,
In the discharge pipe, a stop valve coupled to an input side to which the fire water is supplied based on the alarm module, and for selecting whether to supply fire water to the alarm module according to whether the valve body is opened or closed; Including,
When the valve body is opened, the stop valve opens the discharge pipe,
When the valve body is closed, the stop valve is an alarm valve unit, characterized in that to close the discharge pip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41027A KR102177712B1 (en) | 2019-04-08 | 2019-04-08 | Alarm module and alarm valve unit which this is equipped with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41027A KR102177712B1 (en) | 2019-04-08 | 2019-04-08 | Alarm module and alarm valve unit which this is equipped with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18939A KR20200118939A (en) | 2020-10-19 |
KR102177712B1 true KR102177712B1 (en) | 2020-11-12 |
Family
ID=73042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41027A Active KR102177712B1 (en) | 2019-04-08 | 2019-04-08 | Alarm module and alarm valve unit which this is equipped with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77712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24000B1 (en) * | 2021-09-27 | 2024-01-11 | 권영규 | alarm switch for alarm valv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096200B2 (en) * | 1993-12-24 | 2000-10-10 | ホーチキ株式会社 | Automatic alarm valve |
KR200384966Y1 (en) * | 2005-01-14 | 2005-05-24 | (주)스타코넷 | Pressure switch for fire fighting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04344B1 (en) | 2016-10-19 | 2018-10-04 | 신영공업 주식회사 | Alarm valve for fire extingguishing apparatus |
-
2019
- 2019-04-08 KR KR1020190041027A patent/KR102177712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096200B2 (en) * | 1993-12-24 | 2000-10-10 | ホーチキ株式会社 | Automatic alarm valve |
KR200384966Y1 (en) * | 2005-01-14 | 2005-05-24 | (주)스타코넷 | Pressure switch for fire fighting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18939A (en) | 2020-10-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77712B1 (en) | Alarm module and alarm valve unit which this is equipped with | |
EP2939714A3 (en) | Connection layout for a fire extinguisher using high-pressure water mist and procedure for extinguishing indoor fires | |
KR100951394B1 (en) | Air safety alarm system | |
CN114401771A (en) | fire control system | |
KR102134692B1 (en) | A Fire Fighting Instrument With Valve | |
KR101658710B1 (en) | Fire-Extinguishing Equipment with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 |
KR102409440B1 (en) | Multi-functional fire extingisher having functions of fire detection, fire alarm, and location notification | |
KR20170093765A (en) | Fire Extinguisher that have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 |
JP2017127418A (en) | Fire hydrant equipment in the tunnel | |
ES2110014T3 (en) | FIRE-FIGHTING EQUIPMENT. | |
JP2014050546A (en) | Foam fire-extinguishing facility | |
JP2002014603A (en) | Fire extinguishing drill equipment | |
JP6140261B2 (en) | Bubble fire extinguishing equipment | |
CN104968397A (en) | Automatic switching device for respiratory equipment with alarm clear function and automatic reset | |
JP7391157B2 (en) | Fire hydrant equipment inspection system | |
KR102332919B1 (en) | Fire receiver equipped with pressure indicator in firefighting pump and firefighting valve and so on | |
JP2008253299A (en) | Sprinkler fire-extinguishing equipment | |
US20020112863A1 (en) | Automatic fire extinguisher system having an enhanced head dispersing device | |
KR20230072313A (en) | Voice guidance and evacuation system for emergency response against fire | |
JP2013180128A (en) | Pressure regulating valve and flowing water detection device | |
EP1273321A3 (en) | Device for fire fighting with pressurised air foam | |
KR20200094322A (en) | A box of the fireplug of the house | |
JP2020146480A (en) | Tunnel emergency equipment | |
KR102695687B1 (en) | fire hydrant emergency lighting device capable of attaching/detaching | |
US10071272B2 (en) | Firefighting installation including a network of vacuum sprinklers which can be tripped by an actuator comprising a piston and being controlled by a master actua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40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7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102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11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11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1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1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