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176218B1 - 의지 체결장치 - Google Patents

의지 체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6218B1
KR102176218B1 KR1020200097574A KR20200097574A KR102176218B1 KR 102176218 B1 KR102176218 B1 KR 102176218B1 KR 1020200097574 A KR1020200097574 A KR 1020200097574A KR 20200097574 A KR20200097574 A KR 20200097574A KR 102176218 B1 KR102176218 B1 KR 1021762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nter
support means
fixing means
central axis
coupling suppor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75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보일
Original Assignee
김보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보일 filed Critical 김보일
Priority to KR10202000975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62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6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6218B1/ko
Priority to PCT/KR2021/008891 priority patent/WO2022030783A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50Prostheses not implantable in the body
    • A61F2/78Means for protecting prostheses or for attaching them to the body, e.g. bandages, harnesses, straps, or stockings for the limb stum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50Prostheses not implantable in the body
    • A61F2/60Artificial legs or feet or par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50Prostheses not implantable in the body
    • A61F2/76Means for assembling, fitting or testing prostheses, e.g. for measuring or balancing, e.g. alignment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50Prostheses not implantable in the body
    • A61F2002/5016Prostheses not implantable in the body adjustable
    • A61F2002/5021Prostheses not implantable in the body adjustable for adjusting a position by translation along an ax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50Prostheses not implantable in the body
    • A61F2/76Means for assembling, fitting or testing prostheses, e.g. for measuring or balancing, e.g. alignment means
    • A61F2002/7615Measuring means
    • A61F2002/762Measuring means for measuring dimensions, e.g. a d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50Prostheses not implantable in the body
    • A61F2/76Means for assembling, fitting or testing prostheses, e.g. for measuring or balancing, e.g. alignment means
    • A61F2002/7615Measuring means
    • A61F2002/769Displaying measured valu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50Prostheses not implantable in the body
    • A61F2/78Means for protecting prostheses or for attaching them to the body, e.g. bandages, harnesses, straps, or stockings for the limb stump
    • A61F2002/7868Means for putting-on or pulling-off prosthe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ransplantation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체의 잔여지(stump)또는 의지 중 하나에 고정되는 제1 고정수단과, 상기 신체의 잔여지(stump)또는 의지 중 다른 하나에 고정되는 제2 고정수단과, 상기 제2 고정수단에 결합되는 중심지지체와, 상기 제1 고정수단에 연결되고 상기 중심지지체가 위치하는 제2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중심지지체를 상기 신체의 잔여지와 의지가 체결되는 방향의 중심축으로 소정 각도 회전시킨 상태로 결합하는 결합 지지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수단의 중심축이 상기 결합 지지수단 수단의 중심축과 소정 거리 이격되되, 상기 결합 지지수단의 일측부위는 제1 고정수단에 밀착한 상태에서 고정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 지지수단의 타측부위는 제1 고정수단과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구비된 자유단이 형성되고, 결합 지지수단의 중심축이 상기 중심지지체가 위치하는 제2 공간의 중심축과 소정 거리 이격됨에 따라, 결합 지지수단의 중심축과 중심지지체의 제1 공간의 중심축의 옵셋(간격) 거리가 다단계로 조정될 수 있으며, 체결 및 해체를 신속하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어, 의지 제작자가 용이하게 의지 사용자의 보행 중심축 정렬의 오차를 보정할 수 있는 의지 체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지 체결장치{Prosthetic Limb Assembling Device}
본 발명은 의지 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의지와 잔여지(stump)를 연결시키는 의지 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의 몸무게나 힘 등 부하가 의지에 가해지는 상황에 사용되기에 적합한 이른바 어댑터 등 의지 체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지(artificial limb)는 손과 발의 일부 결손에 대하여, 외형상 또는 기능상으로 적합하도록 인공적으로 만든것으로, 관절이 결손된 것에도 관절과 동일한 형태와 작용을 가지는 것이 있다. 사용하는 목적과 부위에 따라 몇 가지로 나누어지지만, 일반적으로 보통 의수라고 하는 상지 의지와, 의족이라고 하는 하지 의지로 나누어진다. 의지를 사용하려면, 먼저 사용자의 잔여지(stump), 즉 절단환부에 소켓 라이너를 착용한 후, 도 1에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장치 연결점(P1)에 소켓이 장착된 의지를 연결한다. 의지를 체결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보행할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잔여지 환측(L1)과, 건측(L2)이 상호 교행하며 보행이 이루어지며, 잔여지의 길이가 짧을수록 고관절 앞쪽으로 환부가 굴곡되어진다. 또한, 절단 환부의 길이가 길수록 고관절의 대퇴부가 신전된다. 상기의 보행 동작에 있어서 중심축 정렬이 정교하게 수행되지 않을 경우, 반복적으로 절단 환부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게 되므로 안정적인 보행이 불가할 뿐만 아니라, 근골격계 부상위험이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재활정도, 연령, 신체조건, 대퇴부 근육경직에 따른 구축 등 다양한 이유 등으로 잔여지와 의지 (즉, 인공무릎)의 연결점을 찾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기존의 체결 장치로는 앞,뒤 좌,우 기울기의 조정만 가능하여 기울기에 따른 중심이동이 불가능하다. 이는 곧 일측 방향으로 쏠림현상이 발생하여 잔여지 부분에 잦은 상처가 발생하고, 편안한 보행에 상당한 장애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보행테스트를 통해 보행폭의 정렬, 중심축의 이동으로 사용자의 최적 보행 패턴을 맞출 수 있는 의지체결장치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상기에서 기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의지와 사용자의 잔여지(stump)를 연결시키는 기존의 장치로는, 어댑터가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어댑터의 일 예로 종래 국내 특허 10-2015-0077197호에 따르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체의 잔여지(stump) 또는 의지 중 하나에 고정되는 제1 고정수단(110')과, 상기 신체의 잔여지(stump) 또는 의지 중 다른 하나에 고정되는 제2 고정수단(170')과, 상기 제1 고정수단에 연결된 중심지지체(120')와, 상기 중심지지체(120')가 위치하는 공간(E1')이 형성되며, 상기 중심지지체(120')를 상기 신체의 잔여지와 의지가 체결되는 방향의 중심축으로 소정 각도 회전시킨 상태로 결합하는 제1 결합 지지수단(140')과, 상기 제1 결합 지지수단(140')이 위치하는 공간(E2')이 형성되며, 상기 제1 결합 지지수단(140')을 상기 신체의 잔여지와 의지가 체결되는 방향의 중심축으로 소정 각도 회전시킨 상태로 결합하며, 상기 제2 고정수단(170')에 연결되는 제2 결합 지지수단(160')을 포함하는 구조를 제공함에 따라, 체결력 및 지지력을 확보하면서도 필요에 따라 사용 도중 사용자가 직접 중심축 정렬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에서 기술한 종래의 의지 체결장치는 제1 결합 지지수단과 제2 결합 지지수단이 각각의 조임수단(F')을 구비함에 따라, 사용자가 중심축 정렬을 위해 의지 체결 분리할 경우, 복수의 조임수단의 조임상태를 해제하여야 하므로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의지 체결장치는 신체의 잔여지(stump) 또는 의지 중 다른 하나에 고정되는 제2 고정수단이 절개홈이 형성된 C형 고리 형상을 가짐에 따라, 세 개의 제2 고정수단(170')부분을 환부 형태에 맞춰 밴딩(Banding)할 때 이음부 조임수단(F')비틀림이 발생하고, 정렬된 중심축이 이탈되면서, 제1 결합 지지수단(140') 회전체의 원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중심축 이격거리의 조정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체결 및 해체가 용이하면서도 체결력 및 지지력이 우수하여 정교한 중심축 정렬이 가능한 의지 체결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안정적인 보행이 가능하도록 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의지 체결장치의 경량화 및 소형화가 가능하며, 보행테스트를 통하여 보행자가 필요로 하는 최적상태의 중심축 정렬을 수행할 수 있는 의지 체결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신체의 잔여지(stump) 또는 의지 중 하나에 고정되는 제1 고정수단과, 신체의 잔여지(stump) 또는 의지 중 다른 하나에 고정되는 제2 고정수단과, 제2 고정수단에 결합되는 중심지지체와, 제1 고정수단에 연결되고, 중심지지체가 위치하는 제2 공간이 형성되며, 중심지지체를 신체의 잔여지와 의지가 체결되는 방향의 중심축으로 소정 각도 회전시킨 상태로 결합하는 결합 지지수단을 포함하고, 제1 고정수단의 중심축이 결합 지지수단 수단의 중심축과 소정 거리 이격되되, 상기 결합 지지수단의 일측부위는 제1 고정수단에 밀착한 상태에서 고정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 지지수단의 타측부위는 제1 고정수단과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구비된 자유단이 형성된다. 또한, 결합 지지수단의 중심축이 중심지지체가 위치하는 제2 공간의 중심축과 소정 거리 이격된다. 상기 중심지지체의 외측면에는 외주면에 제1 외부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 지지수단에 형성된 중심지지체가 위치하는 제2 공간의 내측면에는 상기 중심지지체의 제1 외부 나사산과 나사결합이 가능한 제1내부 나사산이 형성된다. 제2 고정수단은 외측면 중앙에서 상부방향을 향해 수직으로 돌출된 상부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부 돌출부는 외주면에 제2 외부 나사산이 형성되며, 중심지지체는 상부 돌출부가 위치하는 제1 공간이 형성되고, 상부 돌출부가 위치하는 제1 공간의 내측면에는 상부 돌출부의 제2 외부 나사산과 나사결합이 가능한 제2 내부 나사산이 형성되고, 중심지지체의 중심축이 상부 돌출부가 위치하는 제1 공간의 중심축과 소정 거리 이격된다.
또한, 결합 지지수단과 중심지지체는 절개홈이 형성된 C형 고리 형상을 가지며, 결합 지지수단의 자유단은 결합 지지수단의 절개홈 및 중심지지체의 절개홈의 간격을 동시에 조정할 수 있는 형태의 조임수단을 구비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2 고정수단은 중심지지체와의 결합각에 따른 중심축 간격의 구체적 치수를 나타내는 눈금이 표시되고, 중심지지체는 하면 테두리부에서 외측방향을 향해 수평 방향으로 돌출되는 각도조절용 가이드 핀을 포함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르면, 결합 지지수단과 중심지지체는 절개홈이 형성된 C형 고리 형상을 가지며, 상기 결합 지지수단은, 절개홈 및 중심지지체의 절개홈의 간격을 동시에 조정할 수 있는 형태의 조임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결합 지지수단에 형성된 제 2공간에, 중심지지체를 위치시키고, 나사 가이드부에 나사결합 된 조임수단을 회전시켜 결합 지지수단에 형성된 절개홈의 간격과, 중심지지체에 형성된 절개홈의 간격을 동시에 조정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편심의 정도에 따라 필요로 하는 중심축 정렬을 정교하게 수행하여 안정적인 보행을 가능하게 하고, 사용 도중 중심축 정렬을 위한 중심축 이격거리의 조정이 매우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행테스트를 통해 인공무릎이 원활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중심축을 정렬함으로써, 재작업의 비용과 시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대퇴의지 무릎의 잔여지부분에 체결되는 체결장치의 위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보행상태에 따른 절단환부의 움직임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내림각에 따른 교정과정 및 구축각에 따른 중심이동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대퇴의지를 잔여지에 체결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종래 기술에 따른 의지 체결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의지 체결장치의 분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중심지지체의 구조를 상세히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결합 지지수단의 구조를 상세히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결합지지수단과 제1 고정수단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의지 체결장치의 중심축 조정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의지 체결장치의 중심축 조정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지 체결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결합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 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는 부하를 받는 중심축 정렬의 필요성이 높은 의족 분야로 구체화하여 설명하지만, 다른 의지 분야에서도 본 발명의 사상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의족은, 상퇴부, 무릎, 하퇴부 및 발로 이루어지는 부분, 또는 하퇴부 및 발로 이루어지는 부분의 잔여지(stump)(이는 "발의 잘리고 남은 부분"을 말함)에 고정된 고정체(Fixture)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상기 고정체(Fixture)는 상기 잔여지를 감싸는 형상으로 고정되는 소켓형 고정체인 것이 일반적이나, 절단 부위와 의족의 길이가 일치하지 않는 것을 맞추기 위한 지주봉(tube)을 포함하거나, 무릎 이상의 절단 환자가 이용하는 기계식 무릎을 포함하거나, 환자의 골격에 연결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의지 체결장치의 분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신체의 잔여지(stump)또는 의지 중 하나에 고정되는 제1 고정수단(110)과, 신체의 잔여지(stump)또는 의지 중 다른 하나에 고정되는 제2 고정수단(170)과, 제2 고정수단(170)에 결합되는 중심지지체(120)와, 제1 고정수단(110)에 연결되고, 중심지지체(120)가 위치하는 제2 공간이 형성되며, 중심지지체(120)를 신체의 잔여지와 의지가 체결되는 방향의 중심축으로 소정 각도 회전시킨 상태로 결합하는 결합 지지수단(140)을 포함한다. 제1 고정수단(110)의 중심축(C1)이 결합 지지수단(140) 수단의 중심축(C2)과 소정 거리 이격된다. 또한, 결합 지지수단(140)의 중심축(C2)이 중심지지체(120)가 위치하는 제2 공간의 중심축(C3)과 소정 거리 이격된다. 여기에서 각각의 중심축 사이의 이격거리는 서로 같거나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고정수단(170)은 외측면 중앙에서 상부방향을 향해 수직으로 돌출된 상부 돌출부(171)를 포함한다. 상부 돌출부(171)는 외주면에 제2 외부 나사산(171a)이 형성된다. 기술한 구조에 따르면, 신체의 잔여지(stump) 또는 의지 중 다른 하나에 고정되며 제2 고정수단에 형성되는 상부 돌출부(171)가 돌출구조를 가짐에 따라, 체결 및 해체가 용이한 구조를 가진다. 또한, 제2 고정수단(170)과 중심지지체(120) 사이 결합 부위에 이물질이 유입되더라도 중심지지체(120)를 분리함으로써 이물질의 제거가 매우 용이할 뿐만 아니라, 세척 및 관리가 편리한 효과가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중심지지체의 구조를 상세히 도시한 것이다.
도 7의 (a)를 참조하면, 중심지지체(120)는 절개홈(CH)이 형성된 C형 고리 형상을 가지며, 상부 돌출부(171)가 위치하는 제1 공간(121)이 형성된다. 도 7의 (b)를 참조하면, 상기 중심지지체(120)의 외측면에는 외주면에 제1 외부 나사산(122)이 형성된다. 또한, 상부 돌출부(171)가 위치하는 제1 공간(121)의 내측면에는 도 6에 도시된 상부 돌출부의 제2 외부 나사산(171a)과 나사결합이 가능한 제2 내부 나사산(121a)이 형성된다. 또한, 중심지지체(120)의 중심축(C3)은 상부 돌출부(171)가 위치하는 제1 공간(121)의 중심축(C4)과 소정 거리 이격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결합 지지수단의 구조를 상세히 도시한 것이다.
도 8의 (a)는 제1 고정수단의 구조를 상세히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8의 (b)는 제1 고정수단에 일체로 연결된 결합 지지수단의 구조를 상세히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8의 (a)를 참조하면, 상기 제1 고정수단(110)은, 신체의 잔여지(stump)또는 의지 중 하나에 결합되기 위한 공간부(101)가 중앙에 형성된다. 상기 공간부(101)에 신체의 잔여지 또는 의지가 수용되었을 때, 수용된 잔여지 또는 의지를 강하게 압박하여 제1 고정수단과 신체의 여지 또는 의지의 결합상태를 견고히 고정하는 가압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가압수단은, 제1고정수단(110)의 측면에서 복수개 관통 형성되며 제1 고정수단(110)의 공간부와 연통되는 끼움홀(102)과, 각각의 끼움홀에 결합되는 가압용 볼트(103)를 포함하고, 상기 끼움홀과 가압용 볼트는 나사 결합한다. 기술한 구조에 따르면 끼움홀(102)에 가압용 볼트(103)가 결합하였을 때, 가압용 볼트(103)의 단부가 제1 고정수단(110)의 공간부에 수용된 신체의 여지 또는 의지를 강하게 압박한다. 도 8의 (b)를 참조하면, 상기 결합 지지수단(140)에 형성된 중심지지체가 위치하는 제2 공간(144)의 내측면에는 도 8의 (b)에 도시된 중심지지체(120)의 제1 외부 나사산(122)과 나사결합이 가능한 제1 내부 나사산(144a)이 형성된다. 또한, 결합 지지수단(140)은 절개홈(CH)이 형성된 C형 고리 형상을 가진다.
도 9는 본 발명의 결합지지수단과 제1 고정수단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결합 지지수단의 일측부위는 상측면이 제1 고정수단의 하면에 밀착한 상태에서 고정결합되는 결합부(S2)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 지지수단의 타측부위는 제1 고정수단과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구비된 자유단(S1)이 형성된다.
도 8 내지 도 9에 도시된 결합 지지수단(140)의 자유단(S1)은 절개홈 및 중심지지체(120)의 절개홈(CH)의 간격을 동시에 조정할 수 있는 형태의 조임수단을 구비한다. 이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결합 지지수단은 자유단(S1)이 형성된 영역이 결합부(S2)가 형성된 영역보다 더 크게 형성됨에 따라, 결합 지지수단(140)에 형성된 제2 공간(144)에 중심지지체를 구비시켰을 때 조임수단을 이용하여 절개홈(CH)의 간격을 보다 효과적으로 조일 수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임수단은, 결합 지지수단(140)의 양 끝단에 관통 형성되는 한 쌍의 나사 가이드부(141,142)와, 상기 나사 가이드부에 나사 결합되는 조임나사(143)를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 조임수단은 도시된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공지된 다른 조임 수단으로 대체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구조에 따른 의지 체결장치의 어셈블링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상부 돌출부(171)를 상기 중심지지체(120)의 제1 공간(121)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나사결합을 수행함과 동시에 중심지지체(120)를 소정 각도로 회전된 상태를 선택한다. 이어서, 상기 결합 지지수단(140)의 제2 공간에 중심지지체(120)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결합 지지수단과 중심지지체의 나사결합을 수행하고, 결합 지지수단(140)을 소정 각도로 회전된 상태를 선택하고, 도 8에 도시된 결합 지지수단(140)의 조임수단을 조여서 상기 결합 지지수단(140)과 중심지지체(120)를 견고하게 결합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결합 지지수단(140)의 조임수단을 이용한 절개홈(CH)의 간격 조정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를 참조하면, 상기 결합 지지수단(140)에 형성된 제2 공간(144)에, 중심지지체(120)를 위치시키고, 한 쌍의 나사 가이드부(141,142)에 나사결합 된 조임나사(143)를 회전시켜 결합 지지수단(140)에 형성된 절개홈(CH)의 간격(W1)과, 중심지지체(120)에 형성된 절개홈(CH)의 간격(W2)을 동시에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의지 체결장치는 사용 도중 중심축 정렬을 위한 중심축 이격거리의 조정을 위하여 결합 지지수단(140)에 형성된 절개홈(CH)의 간격(W1)과, 중심지지체(120)에 형성된 절개홈(CH)의 간격(W2)을 각각 별도로 조정할 필요가 없어 그 사용이 매우 용이할 뿐만 아니라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의지 체결장치의 중심축 조정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의지 체결장치는 결합 지지수단(140)의 중심축(C2)과, 중심지지체(120)가 수용되는 제2 공간의 중심축(C3)은 의도적인 옵셋(간격) 거리를 가지는바, 결합 지지수단(140)의 중심축(C2)과 중심지지체(120)의 제1 공간의 중심축(C4)의 옵셋(간격) 거리는 다단계로 조정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도 11의 (a)와, (b)와, (c)와, (d)와, (e)와, (f)에 도시된 바와 같이 6 단계로 조정되는 경우, 각 단계별로 상기 중심지지체(120)와 상기 결합 지지수단(140)의 배치 관계가 결정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지 체결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결합상태도이다.
도 12의 (a)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제2 고정수단(170)은, 중심지지체(120)와의 결합각에 따른 중심축 간격의 구체적 치수를 나타내는 눈금(172)이 표시되고, 중심지지체(120)는 하면 테두리부에서 외측방향을 향해 수평 방향으로 돌출되는 각도조절용 가이드 핀(A)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핀(A)은 도 1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의지 체결장치가 어셈블링되었을 때, 결합 지지수단(140)보다 돌출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제1 고정수단(110)에 연결된 결합 지지수단(140)을 중심지지체(120)와 분리하지 않고도, 중심지지체(120)와 상부 돌출부(171)의 결합 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1 : 공간부 102 : 끼움홀
103 : 가압용 볼트 110 : 제1 고정수단
120 : 중심지지체 121 : 제1 공간
121a : 제2 내부 나사산 122 : 제1 외부 나사산
140 : 결합 지지수단 141,142 : 나사 가이드부
143 : 조임나사 144 : 제2 공간
144a : 제1 내부 나사산 170 : 제2 고정수단
171 : 상부 돌출부 171a : 제2 외부 나사산
172 : 눈금

Claims (5)

  1. 신체의 잔여지(stump)또는 의지 중 하나에 고정되는 제1 고정수단과, 상기 신체의 잔여지(stump)또는 의지 중 다른 하나에 고정되는 제2 고정수단과, 상기 제2 고정수단에 결합되는 중심지지체와,
    상기 제1 고정수단에 연결되고, 상기 중심지지체가 위치하는 제2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중심지지체를 상기 신체의 잔여지와 의지가 체결되는 방향의 중심축으로 소정 각도 회전시킨 상태로 결합하는 결합 지지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수단의 중심축이 상기 결합 지지수단의 중심축과 소정 거리 이격되되, 상기 결합 지지수단의 일측부위는 제1 고정수단에 밀착한 상태에서 고정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 지지수단의 타측부위는 제1 고정수단과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구비된 자유단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 지지수단과 중심지지체는 절개홈이 형성된 C형 고리 형상을 가지며, 상기 결합 지지수단은, 절개홈 및 중심지지체의 절개홈의 간격을 동시에 조정할 수 있는 형태의 조임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결합 지지수단에 형성된 제 2공간에, 중심지지체를 위치시키고, 나사 가이드부에 나사결합 된 조임수단을 회전시켜 결합 지지수단에 형성된 절개홈의 간격과, 중심지지체에 형성된 절개홈의 간격을 동시에 조정하며,
    상기 제2 고정수단은 중심지지체와의 결합각에 따른 중심축 간격의 구체적 치수를 나타내는 눈금이 표시되고, 상기 중심지지체는 하면 테두리부에서 외측방향을 향해 수평 방향으로 돌출되는 각도조절용 가이드 핀을 포함하는 의지 체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지지수단의 중심축이 상기 중심지지체가 위치하는 제2 공간의 중심축과 소정 거리 이격되고, 상기 중심지지체의 외측면에는 외주면에 제1 외부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 지지수단에 형성된 중심지지체가 위치하는 제2 공간의 내측면에는 상기 중심지지체의 제1 외부 나사산과 나사결합이 가능한 제1내부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지 체결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수단은 외측면 중앙에서 상부방향을 향해 수직으로 돌출된 상부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돌출부는 외주면에 제2 외부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중심지지체는 상기 상부 돌출부가 위치하는 제1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돌출부가 위치하는 제1 공간의 내측면에는 상부 돌출부의 제2 외부 나사산과 나사결합이 가능한 제2 내부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중심지지체의 중심축이 상기 상부 돌출부가 위치하는 제1 공간의 중심축과 소정 거리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지 체결장치.


  4. 삭제
  5. 삭제
KR1020200097574A 2020-08-04 2020-08-04 의지 체결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21762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7574A KR102176218B1 (ko) 2020-08-04 2020-08-04 의지 체결장치
PCT/KR2021/008891 WO2022030783A1 (ko) 2020-08-04 2021-07-12 의지 체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7574A KR102176218B1 (ko) 2020-08-04 2020-08-04 의지 체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6218B1 true KR102176218B1 (ko) 2020-11-09

Family

ID=73429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7574A Expired - Fee Related KR102176218B1 (ko) 2020-08-04 2020-08-04 의지 체결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76218B1 (ko)
WO (1) WO2022030783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30783A1 (ko) * 2020-08-04 2022-02-10 (주)보일랩스 의지 체결장치
WO2024101968A1 (ko) * 2022-11-10 2024-05-16 (주)보일랩스 의지 체결장치
KR102828405B1 (ko) * 2022-11-10 2025-07-02 김인철 의지 체결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50514A (ja) * 2009-08-31 2011-03-17 Yukio Konishi 義足組み立て用の測定装置
JP2014042813A (ja) * 2012-07-31 2014-03-13 Yukio Konishi 義足における上側義足部と下側義足部との連結構造
US20140222166A1 (en) * 2013-02-07 2014-08-07 Ossur Hf Knee rotational adapter
KR20160141479A (ko) * 2015-06-01 2016-12-09 주식회사 박의지 의지 체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120703U1 (de) * 2001-12-21 2002-03-07 KERAMED Medizintechnik GmbH, 07646 Mörsdorf Schulterprothese
KR102176218B1 (ko) * 2020-08-04 2020-11-09 김보일 의지 체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50514A (ja) * 2009-08-31 2011-03-17 Yukio Konishi 義足組み立て用の測定装置
JP2014042813A (ja) * 2012-07-31 2014-03-13 Yukio Konishi 義足における上側義足部と下側義足部との連結構造
US20140222166A1 (en) * 2013-02-07 2014-08-07 Ossur Hf Knee rotational adapter
KR20160141479A (ko) * 2015-06-01 2016-12-09 주식회사 박의지 의지 체결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30783A1 (ko) * 2020-08-04 2022-02-10 (주)보일랩스 의지 체결장치
WO2024101968A1 (ko) * 2022-11-10 2024-05-16 (주)보일랩스 의지 체결장치
KR102828405B1 (ko) * 2022-11-10 2025-07-02 김인철 의지 체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30783A1 (ko) 2022-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6218B1 (ko) 의지 체결장치
JP2568874B2 (ja) 義 肢
KR20030090748A (ko) 발목-발 교정기
US6752774B2 (en) Tension assisted ankle joint and orthotic limb braces incorporating same
JP2019088760A (ja) 歩行支援装置用の靴アセンブリ
CA2428450C (en) Body prosthetic implement
US8491511B2 (en) Orthotic joint having two function means for forming a resilient dorsal abutment and a resilient plantar abutment
US6398817B1 (en) Locking device for a prothesis
US7727281B2 (en) Modular femoral knee stem extender
GB2092451A (en) Improvements in artificial limbs
US9855154B2 (en) Post-operative residual limb support
US20150148913A1 (en) Prosthetic foot with modular construction
US12083028B2 (en) Quick coupling
GB2070439A (en) Improvements in artificial limbs
US4221007A (en) Method for fitting a stabilized artificial limb
WO2006103430A1 (en) Prosthetic alignment device
KR102828405B1 (ko) 의지 체결장치
KR20240068199A (ko) 의지 체결장치
KR20240105032A (ko) 의지 체결장치
KR20190025155A (ko) 발목관절 기능을 가지는 인공발
US4149280A (en) Structure of a stabilized artificial limb
KR101725796B1 (ko) 의지 체결 장치
US20220273468A1 (en) Anatomically Aligned Prosthetic Ankle
KR20220055698A (ko) 무릎보조기
RU2066987C1 (ru) Протез голен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80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80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804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10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10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11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11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8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