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175734B1 - Sensor for detecting the pressure of battery and device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Sensor for detecting the pressure of battery and device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5734B1
KR102175734B1 KR1020190006324A KR20190006324A KR102175734B1 KR 102175734 B1 KR102175734 B1 KR 102175734B1 KR 1020190006324 A KR1020190006324 A KR 1020190006324A KR 20190006324 A KR20190006324 A KR 20190006324A KR 102175734 B1 KR102175734 B1 KR 1021757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terminal
pattern
antenna
output valu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632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90340A (en
Inventor
진병수
서인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Publication of KR201900903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034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57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5734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 G01L1/14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in capacitance or inductance of electrical elements, e.g. by measuring variations of frequency of electrical oscilla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 G01L1/16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using properties of piezoelectric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 G01L1/18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using properties of piezo-resistive materials, i.e. materials of which the ohmic resistance varies according to changes in magnitude or direction of force applied to the mater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7/00Arrangements for measuring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electric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 G01R27/02Measuring real or complex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other two-pole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e.g. time constant
    • G01R27/26Measuring inductance or capacitance; Measuring quality factor, e.g. by using the resonance method; Measuring loss factor; Measuring dielectric constants ; Measuring impedance or related variab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7/00Arrangements for measuring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electric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 G01R27/02Measuring real or complex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other two-pole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e.g. time constant
    • G01R27/26Measuring inductance or capacitance; Measuring quality factor, e.g. by using the resonance method; Measuring loss factor; Measuring dielectric constants ; Measuring impedance or related variables
    • G01R27/2605Measuring capacitan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69Constructional details of 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detecting conditions inside cells or batteries, e.g. details of voltage sens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04M1/72519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배터리의 부풀음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에 대응되는 저항값 또는 정전용량을 출력하도록 한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와,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에서 출력되는 저항값 또는 정전용량을 근거로 배터리의 충전을 제어하여 배터리의 발화 및 폭발을 방지하도록 한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를 구비한 단말기를 제시한다. 제시된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는 상부 전극 패턴을 구비한 상부 전극층, 상부 전극층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부 전극 패턴과 중첩 배치된 하부 전극 패턴을 구비한 하부 전극층 및 상부 전극층 및 하부 전극층 사이에 배치된 탄성층을 포함하고, 탄성층은 상부 전극 패턴 및 하부 전극 패턴과 중첩 배치된다.A battery pressure detection sensor that outputs a resistance value or capacitance corresponding to the pressure applied by the swelling of the battery, and the battery is ignited by controlling the charging of the battery based on the resistance value or capacitance output from the battery pressure detection sensor. And a terminal equipped with a battery pressure sensor to prevent explosion. The presented battery pressure sensing sensor includes an upper electrode layer with an upper electrode pattern, a lower electrode layer disposed under the upper electrode layer and having a lower electrode pattern overlapped with the upper electrode pattern, and an elastic layer disposed between the upper electrode layer and the lower electrode layer. Including, the elastic layer is disposed to overlap the upper electrode pattern and the lower electrode pattern.

Description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 및 이를 구비한 단말기{SENSOR FOR DETECTING THE PRESSURE OF BATTERY AND DEVICE HAVING THE SAME}Battery pressure detection sensor and terminal equipped with the same {SENSOR FOR DETECTING THE PRESSURE OF BATTERY AND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 및 이를 구비한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폰, 태블릿 등의 휴대 단말, 보조배터리, 배터리 파우치 등의 보조 전원 장치에 실장된 배터리의 부풀음(Swelling)에 따른 압력을 감지하는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 및 이를 구비한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pressure detection sensor and a terminal equipped with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according to swelling of a battery mounted in an auxiliary power device such as a portable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or a tablet, an auxiliary battery, and a battery pouch. It relates to a battery pressure sensor for sensing pressure and a terminal having the same.

휴대 단말에는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가 실장된다. 휴대 단말에는 주로 리튬계 전지를 사용하는 배터리가 실장된다.A battery for power supply is mounted in the portable terminal. A battery mainly using a lithium-based battery is mounted in a portable terminal.

배터리는 충전 동작시 내부의 화합물질 반응에 의해 발생하는 가스에 의해 부풀음(Swelling)이 발생한다.When the battery is charged, swelling occurs due to gas generated by an internal compound reaction.

휴대 단말은 배터리의 부풀음이 발생한 상태에서 내부 온도가 증가하면 발화, 폭발 등이 발생할 수 있다.In the portable terminal, if the internal temperature increases while the battery is swollen, ignition or explosion may occur.

최근 휴대 단말에 실장된 배터리의 발화, 폭발 등이 빈번하게 발생함에 따라, 제조사들은 배터리의 발화, 폭발 등을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배터리 제어 기술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Recently, as ignition and explosion of batteries mounted in portable terminals frequently occur, manufacturers are conducting research on various battery control technologies to prevent ignition and explosion of batteries.

일례로, 배터리 제어 기술 중 대표적인 방식은 배터리 온도에 따른 충전 차단 방식이 있다. 충전 차단 방식은 써미스터를 통해 배터리 온도 또는 휴대 단말의 내부 온도를 측정하고, 측정한 온도가 기준치 이상이면 배터리의 충전을 차단한다.For example, a representative method among battery control technologies is a charging cutoff method depending on the battery temperature. The charging cutoff method measures the battery temperature or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portable terminal through the thermistor, and blocks charging of the battery when the measured temperature is higher than a reference value.

하지만, 배터리는 정상상태에서도 충전시 기준치 이상으로 온도가 상승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한다. 충전 차단 방식이 적용된 휴대 단말은 정상인 배터리를 비정상 상태로 판단하기 때문에 충전과 충전 차단이 반복되어 배터리의 충전 시간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even in a normal state, the temperature of the battery frequently rises above the reference value during charging. Since the mobile terminal to which the charging blocking method is applied determines a normal battery as an abnormal state, charging and charging blocking are repeated, thereby increasing the charging time of the battery.

이에, 제조업계에서는 배터리의 충전시간 증가를 최소화하면서 배터리의 발화, 폭발 등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을 지속적으로 연구하고 있다.Accordingly, the manufacturing industry is continuously researching technologies for preventing ignition and explosion of the battery while minimizing the increase in the charging time of the battery.

한국등록특허 제10-0964175호(명칭: 배터리 폭발 방지센서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의 충방전회로 제어방법)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964175 (Name: Battery explosion prevention sensor and battery charging/discharging circuit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배터리의 부풀음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에 대응되는 저항값 또는 정전용량을 출력하도록 한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problem,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ttery pressure detection sensor that outputs a resistance value or capacitance corresponding to a pressure applied by a swelling of a battery.

본 발명은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에서 출력되는 저항값 또는 정전용량을 근거로 배터리의 충전을 제어하여 배터리의 발화 및 폭발을 방지하도록 한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를 구비한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rminal including a battery pressure sensor that prevents ignition and explosion of a battery by controlling charging of a battery based on a resistance value or capacitance output from a battery pressure sensor.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는 상부 전극 패턴을 구비한 상부 전극층, 상부 전극층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부 전극 패턴과 중첩 배치된 하부 전극 패턴을 구비한 하부 전극층 및 상부 전극층 및 하부 전극층 사이에 배치된 탄성층을 포함하고, 탄성층은 상부 전극 패턴 및 하부 전극 패턴과 중첩 배치된다. 이때, 상부 전극층 및 하부 전극층 사이에 배치되어 상부 전극층 및 하부 전극층을 접착하는 접착층을 더 포함하고, 접착층은 탄성층이 수용되는 수용 홀이 형성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battery pressure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electrode layer having an upper electrode pattern, a lower electrode pattern disposed below the upper electrode layer, and overlapping the upper electrode pattern. It includes an electrode layer and an elastic layer dispos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electrode layers, and the elastic layer is disposed to overlap the upper and lower electrode patterns. In this case, the adhesive layer may further include an adhesive layer disposed between the upper electrode layer and the lower electrode layer to adhere the upper electrode layer and the lower electrode layer, and the adhesive layer may have a receiving hole in which the elastic layer is accommodated.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는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이 형성된 하부 전극층, 하부 전극층의 상부에 배치되어 제1 전극 및 제2 전극에 중첩된 압전층 및 압전층의 상부에 배치된 상부 전극층을 포함한다. 이때,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은 상호 이격된 복수의 선형 패턴을 포함하고, 제1 전극을 구성하는 선형 패턴들 사이에 제2 전극을 구성하는 선형 패턴이 배치되고, 압전층은 저항 가변 물질로 구성되고, 저항 가변 물질은 양자 터널링 합성물(QTC: Quantum Tunneling Composite)일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battery pressure sens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iezoelectric element disposed on the lower electrode layer and the lower electrode layer on which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re formed to overlap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and an upper electrode layer disposed on the piezoelectric layer. At this time,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include a plurality of linear patter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linear pattern constituting the second electrode is disposed between the linear patterns constituting the first electrode, and the piezoelectric layer is a resistance variable material And the resistance variable material may be a quantum tunneling composite (QTC).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를 구비한 단말기는 써미스터에 연결된 써미스터 단자, 배터리와 중첩 배치되어 써미스터 단자에 연결되고, 배터리의 부풀음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에 대응되는 출력값을 출력하는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 및 써미스터 단자와 연결되고,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의 출력값을 근거로 배터리의 충전을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를 포함하고, 써미스터는 안테나, USB 충전 단자, 중앙처리장치 및 전력 관리 회로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된다. 이때,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는 저항값 또는 스위칭 이벤트를 출력값으로 출력하고, 중앙처리장치는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의 출력값이 저항값이면 배터리의 충전 전류를 가변하여 배터리를 충전하고,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의 출력값이 스위칭 이벤트이면 배터리의 충전을 차단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terminal equipped with a battery pressure detection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thermistor terminal connected to the thermistor and overlapped with the battery and connected to the thermistor terminal, and responds to pressure applied by the swelling of the battery. It is connected to a battery pressure detection sensor that outputs an output value and a thermistor terminal, and includes a central processing unit that controls charging of the battery based on the output value of the battery pressure detection sensor.The thermistor includes an antenna, a USB charging terminal, a central processing unit, and It is disposed in at least one of the power management circuits. At this time, the battery pressure detection sensor outputs a resistance value or a switching event as an output value, and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harges the battery by varying the charging current of the battery if the output value of the battery pressure detection sensor is a resistance value, and the output value of the battery pressure detection sensor This switching event can cut off charging of the battery.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를 구비한 단말기는 배터리와 중첩 배치되어 센서 단자에 연결되고, 배터리의 부풀음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에 대응되는 출력값을 출력하는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 센서 단자와 연결되고,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의 출력값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컨버터 및 AD 컨버터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출력값을 근거로 배터리의 충전을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를 포함한다. 이때, 중앙처리장치는 AD 컨버터의 출력값이 설정값을 초과하면 배터리의 충전을 차단하거나, AD 컨버터의 출력값과 복수의 기준값을 근거로 배터리의 충전 전류를 가변하여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terminal equipped with a battery pressure sens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overlapping with a battery and connected to the sensor terminal, and outputs an output value corresponding to the pressure applied by the swelling of the battery. It includes a battery pressure detection sensor, an AD converter that is connected to the sensor terminal and converts the output value of the battery pressure detection sensor into a digital signal, and a central processing unit that controls charging of the battery based on the output value converted to a digital signal from the AD converter. . In this case, the central processing unit may block charging of the battery when the output value of the AD converter exceeds a set value, or may charge the battery by varying the charging current of the battery based on the output value of the AD converter and a plurality of reference values.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를 구비한 단말기는 안테나에 연결된 안테나 단자. 배터리와 중첩 배치되어 안테나 단자와 연결되고, 배터리의 부풀음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에 대응되는 저항값, 스위칭 이벤트 및 정전용량 중 하나를 출력값으로 출력하는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 및 안테나 단자와 연결되고,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의 출력값을 근거로 배터리의 충전을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terminal having a battery pressure detection sens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ntenna terminal connected to an antenna. The battery pressure detection sensor and antenna terminal are connected to the antenna terminal by overlapping the battery and outputting one of a resistance value, switching event, and capacitance corresponding to the pressure applied by the swelling of the battery as an output value, and the battery pressure It includes a central processing unit that controls battery charging based on the output value of the detection sensor.

이때, 안테나 단자는 전자결제용 안테나, 무선 전력 전송용 안테나 및 근거리 통신용 안테나 중 하나이고,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는 안테나 단자에 연결된 안테나가 근거리 통신용 안테나이고, 배터리의 부풀음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에 대응되는 저항값이 설정값을 초과하면 스위칭 이벤트를 출력값으로 출력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antenna terminal is one of an antenna for electronic payment, an antenna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nd an antenna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and in the battery pressure detection sensor, the antenna connected to the antenna terminal is a short-range communication antenna, and corresponding to the pressure applied by the swelling of the battery When the resistance value exceeds the set value, a switching event can be output as an output value.

한편, 안테나 단자는 복수의 안테나에 연결된 복수의 단자를 구비하고,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는 복수의 단자 중 서로 다른 안테나 연결된 단자들에 연결되고, 중앙처리장치는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의 출력값이 설정값을 초과하면 배터리의 충전을 차단하고,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의 출력값과 복수의 기준값을 근거로 배터리의 충전 전류를 가변하여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Meanwhile, the antenna terminal includes a plurality of terminal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antennas, the battery pressure detection sensor is connected to terminals connected to different antennas among the plurality of terminals, and the central processing unit sets the output value of the battery pressure detection sensor to a set value. If it exceeds, charging of the battery may be blocked, and the battery may be charged by varying the charging current of the battery based on the output value of the battery pressure sensor and a plurality of reference values.

본 발명에 의하면,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 및 이를 구비한 단말기는 배터리의 부풀음에 따른 압력에 대응하는 저항값 또는 정전용량(C)을 감지하여 배터리의 충전을 제어함으로써, 정상 배터리의 충전시 발생하는 부풀음과 비정상 배터리의 충전시 발생하는 부풀음을 구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battery pressure detection sensor and a terminal equipped with the same detect a resistance value or capacitance C corresponding to the pressure according to the swelling of the battery and control the charging of the battery, so that the swelling that occurs during normal battery charging. There is an effect of distinguishing between a swelling sound that occurs when charging an abnormal battery.

또한,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 및 이를 구비한 단말기는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에서 출력된 출력값을 근거로 배터리의 충전을 제어함으로써, 비정상 상태의 배터리에서 발생하는 부풀음 정보에 따라 배터리의 충전을 제어하여 배터리의 발화 및 폭발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battery pressure detection sensor and the terminal equipped with the same control the charging of the battery based on the output value output from the battery pressure detection sensor, thereby controlling the charging of the battery according to the swelling information generated from the battery in an abnormal state to ignite the battery. And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an explosion.

또한,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 및 이를 구비한 단말기는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에서 출력된 출력값을 근거로 배터리의 충전을 제어함으로써, 온도 기준의 충전 차단 방식이 적용된 종래 기술에 비해 정상 배터리의 충전 차단을 방지하여 배터리 충전 시간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battery pressure detection sensor and the terminal equipped with the same control the charging of the battery based on the output value output from the battery pressure detection sensor, thereby preventing the normal battery from being blocked from charging compared to the prior art to which the temperature-based charging blocking method is applie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event the battery charging time from increasing.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 및 도 8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를 구비한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를 구비한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를 구비한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를 구비한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1 and 2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battery pressure sens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are views for explaining a battery pressure detection sens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are views for explaining a battery pressure senso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and 8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battery pressure senso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and 10 are views for explaining a battery pressure detection sensor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for explaining a terminal including a battery pressure sens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for explaining a terminal including a battery pressure sens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view for explaining a terminal including a battery pressure senso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and 15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terminal including a battery pressure senso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in order to describe in detail enough that a person having ordinary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 First of all,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elem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elements have the same numerals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indicat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 내지 제3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는 배터리가 내장된 기기에 실장되어 배터리의 부풀음(Swelling)에 따른 압력 변화를 감지한다. 압력 감지 센서는 배터리와 중첩 배치되며, 배터리의 부풀음(Swelling)에 따라 가해지는 압력에 대응되는 출력값을 출력한다.The battery pressure detection sensor according to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device with a built-in battery to detect a pressure change due to swelling of the battery. The pressure sensor is disposed overlapping with the battery and outputs an output value corresponding to the pressure applied by the swelling of the battery.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는 배터리의 부풀음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에 대응되는 저항에 따른 출력값을 출력한다.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는 리니어(linear)한 저항값을 출력값을 출력하는 것을 일례로 한다.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는 설정 저항값을 초과하는 저항값에서 쇼트되는 스위칭(Switching) 이벤트를 출력값으로 출력하는 것을 다른 일례로 한다.The battery pressure detection sensor outputs an output value according to a resistance corresponding to the pressure applied by the swelling of the battery. As an example, the battery pressure detection sensor outputs an output value of a linear resistance value. As another example, the battery pressure detection sensor outputs a switching event shorted at a resistance value exceeding a set resistance value as an output value.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는 배터리의 부풀음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에 대응되는 커패시터값에 따른 출력값을 출력한다.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는 리니어(linear)한 커패시터값을 출력값을 출력하는 것을 일례로 한다.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는 설정 커패시터값을 초과하는 커패시터값에서 쇼트되는 스위칭(Switching) 이벤트를 출력값으로 출력하는 것을 다른 일례로 한다.The battery pressure detection sensor outputs an output value according to a capacitor value corresponding to the pressure applied by the swelling of the battery. As an example, the battery pressure detection sensor outputs an output value of a linear capacitor value. Another example is that the battery pressure detection sensor outputs a switching event shorted at a capacitor value exceeding a set capacitor value as an output value.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100)는 상부 전극층(110), 탄성층(120), 하부 전극층(130) 및 접착층(140)을 포함한다.1 and 2, the battery pressure detection sensor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electrode layer 110, an elastic layer 120, a lower electrode layer 130, and an adhesive layer 140. do.

상부 전극층(110)은 전극이 형성된 연성인쇄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으로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부 전극층(110)은 상부 베이스 시트(111), 상부 전극 패턴(113), 상부 연결 패턴(115) 및 상부 단자 패턴(117)을 포함한다.The upper electrode layer 110 is composed of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on which electrodes are formed. To this end, the upper electrode layer 110 includes an upper base sheet 111, an upper electrode pattern 113, an upper connection pattern 115, and an upper terminal pattern 117.

상부 베이스 시트(111)는 연성 박막 시트로 구성된다. 상부 베이스 시트(111)는 대략 25㎛ 정도의 두께를 갖는 연성 박막 시트로 구성되는 것을 일례로 한다.The upper base sheet 111 is composed of a flexible thin film sheet. As an example, the upper base sheet 111 is formed of a flexible thin film sheet having a thickness of about 25 μm.

상부 베이스 시트(111)는 폴리이미드(PI; Polyimide), 폴리에스테르(Polyester), 글라스 에폭시(Glass Epoxy),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중 하나의 연성 박막 시트인 것을 일례로 한다. 이외에도 박막 시트는 연성인쇄회로기판의 베이스 시트로 사용되는 재질이라면 적용할 수 있다.The upper base sheet 111 is a flexible thin film sheet of one of polyimide (PI), polyester, glass epoxy, and polyethylene terephthalate. In addition, the thin film sheet can be applied as long as it is a material used as a base sheet for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상부 전극 패턴(113)은 상부 베이스 시트(111)의 일면에 형성된다. 상부 전극 패턴(113)은 상부 베이스 시트(111)의 상면 및 하면 중 탄성층(120)이 배치되는 방향의 한 면에 형성된다.The upper electrode pattern 113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upper base sheet 111. The upper electrode pattern 113 is formed on one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upper base sheet 111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elastic layer 120 is disposed.

상부 전극 패턴(113)은 소정 형상의 박막 전도성 금속으로 형성된다. 상부 전극 패턴(113)은 원형, 타원형, 사각형, 삼각형 등과 같은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전극 패턴(113)은 구리(Cu), 은(Ag), 니켈(Ni), 백금(Pt) 중 하나의 전도성 금속인 것을 일례로 한다. 상부 전극 패턴(113)은 ITO 등의 투명 전극 재료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upper electrode pattern 113 is formed of a thin conductive metal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The upper electrode pattern 113 may be formed in a polygonal shape such as a circle, an oval, a square, or a triangle. As an example, the upper electrode pattern 113 is one of a conductive metal selected from copper (Cu), silver (Ag), nickel (Ni), and platinum (Pt). The upper electrode pattern 113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electrode material such as ITO.

상부 전극 패턴(113)은 구리 재질인 원형 박막으로 형성되고, 탄성층(120)이 배치되는 방향인 상부 베이스 시트(111)의 하면에 형성되는 것을 일례로 한다.As an example, the upper electrode pattern 113 is formed of a circular thin film made of copper, and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base sheet 111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elastic layer 120 is disposed.

상부 연결 패턴(115)은 상부 베이스 시트(111)의 일면에 형성된다. 상부 연결 패턴(115)은 상부 베이스 시트(111)의 상면 및 하면 중 상부 전극 패턴(113)이 형성된 한 면에 형성된다. 상부 연결 패턴(115)은 상부 전극 패턴(113)과 다른 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The upper connection pattern 115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upper base sheet 111. The upper connection pattern 115 is formed on one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upper base sheet 111 on which the upper electrode pattern 113 is formed. The upper connection pattern 115 may be formed on a different surface from the upper electrode pattern 113.

상부 연결 패턴(115)은 선형의 박막 전도성 금속으로 형성된다. 상부 연결 패턴(115)은 상부 전극 패턴(113)과 동일한 전도성 금속으로 형성되거나, 이종의 전도성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연결 패턴(115)은 구리(Cu), 은(Ag), 니켈(Ni), 백금(Pt) 중 하나의 전도성 금속인 것을 일례로 한다. 상부 연결 패턴(115)은 ITO 등의 투명 전극 재료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upper connection pattern 115 is formed of a linear thin film conductive metal. The upper connection pattern 115 may be formed of the same conductive metal as the upper electrode pattern 113, or may be formed of a different type of conductive metal. The upper connection pattern 115 is made of one of a conductive metal among copper (Cu), silver (Ag), nickel (Ni), and platinum (Pt). The upper connection pattern 115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electrode material such as ITO.

상부 연결 패턴(115)의 일단은 상부 전극 패턴(113)과 연결된다. 하부 연결 패턴(135)의 타단은 상부 단자 패턴(117)과 연결된다.One end of the upper connection pattern 115 is connected to the upper electrode pattern 113. The other end of the lower connection pattern 135 is connected to the upper terminal pattern 117.

상부 단자 패턴(117)은 상부 베이스 시트(111)의 일면에 형성된다. 상부 단자 패턴(117)은 상부 베이스 시트(111)의 상면 및 하면 중 상부 전극 패턴(113) 및 상부 연결 패턴(115)이 형성된 한 면에 형성된다. 상부 단자 패턴(117)은 상부 전극 패턴(113) 및 상부 연결 패턴(115)과 다른 한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부 단자 패턴(117)은 상부 전극 패턴(113) 및 상부 연결 패턴(115)이 서로 다른 면에 형성된 경우, 상부 전극 패턴(113) 및 상부 연결 패턴(115) 중 하나와 동일한 면에 형성될 수 있다.The upper terminal pattern 117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upper base sheet 111. The upper terminal pattern 117 is formed on one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upper base sheet 111 on which the upper electrode pattern 113 and the upper connection pattern 115 are formed. The upper terminal pattern 117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different from the upper electrode pattern 113 and the upper connection pattern 115. When the upper electrode pattern 113 and the upper connection pattern 115 are formed on different surfaces, the upper terminal pattern 117 may be formed on the same surface as one of the upper electrode pattern 113 and the upper connection pattern 115. have.

상부 단자 패턴(117)은 상부 연결 패턴(115)에서 연장되어 상부 베이스 시트(111)의 외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부 단자 패턴(117)의 일면에는 상부 단자 패턴(117)의 절연 및 보호를 위한 보호 시트(119)가 접착될 수 있다.The upper terminal pattern 117 may extend from the upper connection pattern 115 and may be formed outside the upper base sheet 111. In this case, a protective sheet 119 for insulating and protecting the upper terminal pattern 117 may be adhered to one surface of the upper terminal pattern 117.

상부 전극 패턴(113), 상부 연결 패턴(115) 및 상부 단자 패턴(117)은 대략 12㎛ 정도의 두께를 갖는 박막의 도전성 금속인 것을 일례로 한다.As an example, the upper electrode pattern 113, the upper connection pattern 115, and the upper terminal pattern 117 are thin-film conductive metals having a thickness of about 12 μm.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100)를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상부 전극 패턴(113), 상부 연결 패턴(115) 및 상부 단자 패턴(117)을 분리하여 설명하였으나, 실제 제품의 구현 시 상부 전극 패턴(113), 상부 연결 패턴(115) 및 상부 단자 패턴(117)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upper electrode pattern 113, the upper connection pattern 115, and the upper terminal pattern 117 have been separated and described in order to easily describe the battery pressure senso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actual product When implemented, the upper electrode pattern 113, the upper connection pattern 115, and the upper terminal pattern 117 may be integrally formed.

탄성층(120)은 상부 전극층(110) 및 하부 전극층(130) 사이에 배치된다. 탄성층(120)은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된다. 탄성층(120)은 실리콘(Si), PDMS(Polydimethylsiloxane), 에코플렉스(EcoFlex), 누실(Nusil), 하이드로젤(hydrogel) 및 폴리우레탄(polyurethan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탄성중합체인 것을 일례로 한다.The elastic layer 120 is disposed between the upper electrode layer 110 and the lower electrode layer 130. The elastic layer 120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As an example, the elastic layer 120 is an elastomer containing at least one of silicon (Si), polydimethylsiloxane (PDMS), EcoFlex, Nusil, hydrogel, and polyurethane. do.

탄성층(120)은 상부 전극층(110) 및 하부 전극층(130) 사이에 기재된다. 탄성층(120)은 상부 전극층(110) 및 하부 전극층(130) 사이에 기재되어 상부 전극층(110)과 하부 전극층(130) 사이에 공간(또는 공극)을 형성한다. 탄성층(120)의 두께는 대략 12㎛ 내지 24㎛ 정도로 형성될 수 있다.The elastic layer 120 is described between the upper electrode layer 110 and the lower electrode layer 130. The elastic layer 120 is provided between the upper electrode layer 110 and the lower electrode layer 130 to form a space (or void) between the upper electrode layer 110 and the lower electrode layer 130. The elastic layer 120 may have a thickness of about 12 μm to 24 μm.

탄성 재질은 주로 절연성 재질이기 때문에 무기공성 필름 기재로 구성하면, 배터리의 부풀음에 의한 압력이 가해져도 상부 전극층(110)과 하부 전극층(130) 사이에 저항이 형성되지 않는다.Since the elastic material is mainly an insulating material, if it is composed of a non-porous film substrate, resistance is not formed between the upper electrode layer 110 and the lower electrode layer 130 even when pressure is applied due to the swelling of the battery.

따라서, 탄성층(120)은 공간(또는 공극)을 갖는 구조로 형성된다. 탄성층(120)은 닷 스페이스(Dot Space) 구조, 그물막(Mesh) 구조 및 기공성 필름 구조 중 하나로 형성된 것을 일례로 한다.Therefore, the elastic layer 120 is formed in a structure having a space (or void). The elastic layer 120 is formed of one of a dot space structure, a mesh structure, and a porous film structure.

탄성층(120)은 인쇄 공정을 통해 상부 전극층(110) 또는 하부 전극층(130)의 일면에 복수의 닷(Dot)을 인쇄하여 닷 스페이스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닷(Dot)은 상호 간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다. 닷 스페이스 구조는 감압식(Resistive) 터치 패널이 주로 사용되는 구조이다.The elastic layer 120 may be formed in a dot space structure by printing a plurality of dots on one surface of the upper electrode layer 110 or the lower electrode layer 130 through a printing process. A plurality of dots ar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dot space structure is a structure in which a resistive touch panel is mainly used.

탄성층(120)은 서로 다른 두께를 갖는 닷(Dot)을 2회에 걸쳐 인쇄하여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100)의 스위칭 압력을 조정할 수 있다.The elastic layer 120 may adjust the switching pressure of the battery pressure sensor 100 by printing dots having different thicknesses twice.

탄성층(120)은 복수의 닷의 패턴을 변경하여 닷 스페이서의 Open Rate를 조정할 수 있다. 탄성층(120)은 Open Rate 조정을 통해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100)의 스위칭 압력을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Open Rate는 닷의 두께, 간격에 따라 닷이 형성되지 않는 영역의 비율을 의미할 수 있다.The elastic layer 120 may adjust the open rate of the dot spacer by changing the pattern of a plurality of dots. The elastic layer 120 may adjust the switching pressure of the battery pressure detection sensor 100 by adjusting the open rate. Here, the open rate may mean a ratio of a region in which a dot is not formed according to the thickness and spacing of the dots.

탄성층(120)은 스크린 프린팅 공정을 반복하여 그물막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스크린 프린팅 공정시 서로 이격된 복수의 탄성 라인이 형성되며, 스크린 프린팅 공정을 반복하여 복수의 탄성 라인이 적층된 그물막 구조의 탄성층(120)이 형성된다. 탄성층(120)은 상부 전극층(110) 또는 하부 전극층(130)의 일면에 직접 스크린 프린팅을 통해 형성될 수도 있다.The elastic layer 120 may be formed in a mesh structure by repeating the screen printing process. During the screen printing process, a plurality of elastic lin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re formed, and the elastic layer 120 having a mesh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elastic lines are stacked is formed by repeating the screen printing process. The elastic layer 120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upper electrode layer 110 or the lower electrode layer 130 through screen printing.

탄성층(120)은 탄성 재질에 은사(Silver wire)를 혼합되어 복수의 기공을 갖는 기공성 필름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탄성층(120)은 실리콘(Si)에 은사를 혼합한 기공성 필름 구조인 것을 일례로 한다.The elastic layer 120 may be formed in a porous film structure having a plurality of pores by mixing silver wire with an elastic material. As an example, the elastic layer 120 has a porous film structure obtained by mixing silver yarn with silicon (Si).

탄성층(120)은 탄성 필름에 복수의 홀을 타공하여 타공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탄성층(120)은 펀칭 공정을 통해 폴리이미드 박막 필름에 복수의 홀을 타공한 타공 구조인 것을 일례로 한다.The elastic layer 120 may be formed in a perforated structure by perforating a plurality of holes in the elastic film. As an example, the elastic layer 120 has a perforated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holes are perforated in a polyimide thin film through a punching process.

하부 전극층(130)은 전극이 형성된 연성인쇄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으로 구성된다. 이를 위해, 하부 전극층(130)은 하부 베이스 시트(131), 하부 전극 패턴(133), 하부 연결 패턴(135) 및 하부 단자 패턴(137)을 포함한다. 하부 전극층(130)은 하부 전극 패턴(133)과 상부 전극 패턴(113)이 중첩되도록 상부 전극층(110)의 하부에 배치된다.The lower electrode layer 130 is composed of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on which electrodes are formed. To this end, the lower electrode layer 130 includes a lower base sheet 131, a lower electrode pattern 133, a lower connection pattern 135, and a lower terminal pattern 137. The lower electrode layer 130 is disposed under the upper electrode layer 110 so that the lower electrode pattern 133 and the upper electrode pattern 113 overlap.

하부 베이스 시트(131)는 연성 박막 시트로 구성된다. 하부 베이스 시트(131)는 대략 25㎛ 정도의 두께를 갖는 연성 박막 시트로 구성되는 것을 일례로 한다. 여기서, 하부 베이스 시트(131)는 폴리이미드, 폴리에스테르, 글라스 에폭시(Glass Epoxy),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중 하나의 연성 박막 시트인 것을 일례로 한다. The lower base sheet 131 is composed of a flexible thin film sheet. As an example, the lower base sheet 131 is formed of a flexible thin film sheet having a thickness of about 25 μm. Here, as an example, the lower base sheet 131 is a flexible thin film sheet of polyimide, polyester, glass epoxy, and polyethylene terephthalate.

하부 전극 패턴(133)은 하부 베이스 시트(131)의 일면에 형성된다. 하부 전극 패턴(133)은 하부 베이스 시트(131)의 상면 및 하면 중 탄성층(120)이 배치되는 방향의 한 면에 형성된다. 하부 전극 패턴(133)은 탄성층(120)을 사이에 두고 상부 전극 패턴(113)과 중첩된다,The lower electrode pattern 133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lower base sheet 131. The lower electrode pattern 133 is formed on one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lower base sheet 131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elastic layer 120 is disposed. The lower electrode pattern 133 overlaps the upper electrode pattern 113 with the elastic layer 120 therebetween,

하부 전극 패턴(133)은 소정 형상의 박막 전도성 금속으로 형성된다. 하부 전극 패턴(133)은 원형, 타원형, 사각형, 삼각형 등과 같은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부 전극 패턴(133)은 구리(Cu), 은(Ag), 니켈(Ni), 백금(Pt) 중 하나의 전도성 금속인 것을 일례로 한다. 하부 전극 패턴(133)은 ITO 등의 투명 전극 재료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lower electrode pattern 133 is formed of a thin conductive metal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The lower electrode pattern 133 may be formed in a polygonal shape such as a circle, an oval, a square, or a triangle. As an example, the lower electrode pattern 133 is one of a conductive metal selected from copper (Cu), silver (Ag), nickel (Ni), and platinum (Pt). The lower electrode pattern 133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electrode material such as ITO.

하부 전극 패턴(133)은 구리 재질인 원형 박막으로 형성되고, 탄성층(120)이 배치되는 방향인 하부 베이스 시트(131)의 상면에 형성되는 것을 일례로 한다.The lower electrode pattern 133 is formed of a circular thin film made of copper, and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base sheet 131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elastic layer 120 is disposed.

하부 연결 패턴(135)은 하부 베이스 시트(131)의 일면에 형성된다. 하부 연결 패턴(135)은 하부 베이스 시트(131)의 상면 및 하면 중 하부 전극 패턴(133)이 형성된 한 면에 형성된다. 하부 연결 패턴(135)은 하부 전극 패턴(133)과 다른 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The lower connection pattern 135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lower base sheet 131. The lower connection pattern 135 is formed on one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lower base sheet 131 on which the lower electrode pattern 133 is formed. The lower connection pattern 135 may be formed on a different surface from the lower electrode pattern 133.

하부 연결 패턴(135)은 선형의 박막 전도성 금속으로 형성된다. 하부 연결 패턴(135)은 하부 전극 패턴(133)과 동일한 전도성 금속으로 형성되거나, 이종의 전도성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부 연결 패턴(135)은 구리(Cu), 은(Ag), 니켈(Ni), 백금(Pt) 중 하나의 전도성 금속인 것을 일례로 한다. 하부 연결 패턴(135)은 ITO 등의 투명 전극 재료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lower connection pattern 135 is formed of a linear thin film conductive metal. The lower connection pattern 135 may be formed of the same conductive metal as the lower electrode pattern 133 or may be formed of a different type of conductive metal. The lower connection pattern 135 is made of one of a conductive metal selected from copper (Cu), silver (Ag), nickel (Ni), and platinum (Pt). The lower connection pattern 135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electrode material such as ITO.

하부 연결 패턴(135)의 일단은 하부 전극 패턴(133)과 연결된다. 하부 연결 패턴(135)의 타단은 하부 단자 패턴(137)과 연결된다.One end of the lower connection pattern 135 is connected to the lower electrode pattern 133. The other end of the lower connection pattern 135 is connected to the lower terminal pattern 137.

하부 단자 패턴(137)은 하부 베이스 시트(131)의 일면에 형성된다. 하부 단자 패턴(137)은 하부 베이스 시트(131)의 상면 및 하면 중 하부 전극 패턴(133) 및 하부 연결 패턴(135)이 형성된 한 면에 형성된다. 하부 단자 패턴(137)은 하부 전극 패턴(133) 및 하부 연결 패턴(135)과 다른 한 면에 형성될 수 있다. 하부 단자 패턴(137)은 하부 전극 패턴(133) 및 하부 연결 패턴(135)이 서로 다른 면에 형성된 경우, 하부 전극 패턴(133) 및 하부 연결 패턴(135) 중 하나와 동일한 면에 형성될 수 있다.The lower terminal pattern 137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lower base sheet 131. The lower terminal pattern 137 is formed on one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lower base sheet 131 on which the lower electrode pattern 133 and the lower connection pattern 135 are formed. The lower terminal pattern 137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different from the lower electrode pattern 133 and the lower connection pattern 135. The lower terminal pattern 137 may be formed on the same surface as one of the lower electrode pattern 133 and the lower connection pattern 135 when the lower electrode pattern 133 and the lower connection pattern 135 are formed on different surfaces. have.

하부 단자 패턴(137)은 하부 연결 패턴(135)에서 연장되어 하부 베이스 시트(131)의 외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하부 단자 패턴(137)의 일면에는 하부 단자 패턴(137)의 절연 및 보호를 위한 보호 시트(139)가 접착될 수 있다.The lower terminal pattern 137 may extend from the lower connection pattern 135 and may be formed outside the lower base sheet 131. In this case, a protective sheet 139 for insulating and protecting the lower terminal pattern 137 may be adhered to one surface of the lower terminal pattern 137.

하부 연결 패턴(135), 하부 단자 패턴(137) 및 하부 단자 패턴(137)은 대략 12㎛ 정도의 두께를 갖는 박막의 도전성 금속인 것을 일례로 한다.As an example, the lower connection pattern 135, the lower terminal pattern 137, and the lower terminal pattern 137 are thin-film conductive metals having a thickness of about 12 μm.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100)를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하부 연결 패턴(135), 하부 전극 패턴(133) 및 하부 단자 패턴(137)이 분리하여 설명하였으나, 실제 제품의 구현 시 하부 연결 패턴(135), 하부 단자 패턴(137) 및 하부 단자 패턴(137)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lower connection pattern 135, the lower electrode pattern 133, and the lower terminal pattern 137 have been separately described in order to easily describe the battery pressure sensor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actual product When implemented, the lower connection pattern 135, the lower terminal pattern 137, and the lower terminal pattern 137 may be integrally formed.

접착층(140)은 상부 전극층(110) 및 하부 전극층(130) 사이에 배치되어 상부 전극층(110) 및 하부 전극층(130)을 접착한다. 접착층(140)은 대략 30㎛ 정도의 두께를 갖는 양면 접착 테이프인 것을 일례로 한다.The adhesive layer 140 is disposed between the upper electrode layer 110 and the lower electrode layer 130 to adhere the upper electrode layer 110 and the lower electrode layer 130. As an example, the adhesive layer 140 is a double-sided adhesive tape having a thickness of about 30 μm.

접착층(140)은 탄성층(120)이 수용되는 수용 홀(142)이 형성된다. 수용 홀(142) 내에 탄성층(120)이 수용 배치되기 때문에,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100)의 두께가 증가하지 않는다.The adhesive layer 140 has a receiving hole 142 in which the elastic layer 120 is accommodated. Since the elastic layer 120 is accommodated and disposed in the receiving hole 142, the thickness of the battery pressure sensor 100 does not increase.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100)는 설정 저항값을 초과하는 저항값에서 쇼트되는 스위칭(Switching) 이벤트를 출력값으로 출력한다.The battery pressure detection sensor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utputs a switching event shorted at a resistance value exceeding a set resistance value as an output value.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200)는 상부 전극층(210), 탄성층(220), 하부 전극층(230), 상부 접착층(240) 및 하부 접착층(25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부 전극층(210) 및 하부 전극층(230)은 상술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200)의 상부 전극층(210) 및 하부 전극층(230)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3 and 4, the battery pressure sensor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electrode layer 210, an elastic layer 220, a lower electrode layer 230, an upper adhesive layer 240, and It includes a lower adhesive layer 250. Here, since the upper electrode layer 210 and the lower electrode layer 230 are the same as the upper electrode layer 210 and the lower electrode layer 230 of the battery pressure sensor 2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detailed descriptions are omitted.

상부 전극층(210)은 상부 베이스 시트(211), 상부 전극 패턴(213), 상부 연결 패턴(215) 및 상부 단자 패턴(217)을 포함한다.The upper electrode layer 210 includes an upper base sheet 211, an upper electrode pattern 213, an upper connection pattern 215, and an upper terminal pattern 217.

하부 전극층(230)은 상부 전극층(210)의 하부에 배치된다. 하부 전극층(230)은 하부 베이스 시트(231), 하부 전극 패턴(233), 하부 연결 패턴(235) 및 하부 단자 패턴(237)을 포함한다.The lower electrode layer 230 is disposed under the upper electrode layer 210. The lower electrode layer 230 includes a lower base sheet 231, a lower electrode pattern 233, a lower connection pattern 235, and a lower terminal pattern 237.

탄성층(220)은 타공 구조로 형성된다. 탄성층(220)은 탄성 필름에 복수의 홀(222)을 타공하여 타공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탄성층(220)은 상부 전극 패턴(213) 및 하부 전극 패턴(233)과 중첩되는 영역만 복수의 홀(222)이 형성된 타공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The elastic layer 220 is formed in a perforated structure. The elastic layer 220 may be formed in a perforated structure by perforating a plurality of holes 222 in the elastic film. The elastic layer 220 may be formed in a perforated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holes 222 are formed only in a region overlapping the upper electrode pattern 213 and the lower electrode pattern 233.

탄성층(220)은 펀칭 공정을 통해 우레탄(Pu) 재질의 박막 필름에 복수의 홀(222)을 타공한 타공 구조인 것을 일례로 한다. 이때, 탄성층(220)의 두께(즉, 박막 필름의 두께)는 대략 20㎛ 정도인 것을 일례로 한다.As an example, the elastic layer 220 has a perforated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holes 222 are perforated in a thin film made of urethane (Pu) through a punching process. At this time, it is assumed that the thickness of the elastic layer 220 (ie, the thickness of the thin film) is approximately 20 μm.

탄성층(220)은 박막 필름에 타공되는 홀(222)의 직경을 가변하여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200)의 스위칭 압력을 조정할 수 있다. 탄성층(220)은 홀의 직경과 박막 필름의 두께 비를 조절하여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200)의 스위칭 압력을 조정할 수 있다.The elastic layer 220 can adjust the switching pressure of the battery pressure sensor 200 by varying the diameter of the hole 222 perforated in the thin film. The elastic layer 220 may adjust the switching pressure of the battery pressure sensor 200 by adjusting the ratio of the hole diameter and the thickness of the thin film.

상부 접착층(240)은 상부 전극층(210) 및 탄성층(220) 사이에 배치된다. 상부 접착층(240)은 상부 전극층(210) 및 탄성층(220)을 접착한다. 상부 접착층(240)은 탄성층(220)에 형성된 복수의 홀(222)에 대응되는 복수의 홀(242)이 형성될 수 있다.The upper adhesive layer 240 is disposed between the upper electrode layer 210 and the elastic layer 220. The upper adhesive layer 240 adheres the upper electrode layer 210 and the elastic layer 220. The upper adhesive layer 240 may have a plurality of holes 242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holes 222 formed in the elastic layer 220.

하부 접착층(250)은 탄성층(220) 및 하부 전극층(230) 사이에 배치된다. 하부 접착층(250)은 탄성층(220) 및 하부 전극층(230)을 접착한다. 하부 접착층(250)은 탄성층(220)에 형성된 복수의 홀(222)에 대응되는 복수의 홀(252)이 형성될 수 있다.The lower adhesive layer 250 is disposed between the elastic layer 220 and the lower electrode layer 230. The lower adhesive layer 250 adheres the elastic layer 220 and the lower electrode layer 230. The lower adhesive layer 250 may have a plurality of holes 252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holes 222 formed in the elastic layer 220.

상부 접착층(240) 및 하부 접착층(250)은 대략 5㎛ 정도의 두께를 갖는 양면 접착 테이프인 것을 일례로 한다.As an example, the upper adhesive layer 240 and the lower adhesive layer 250 are double-sided adhesive tapes having a thickness of about 5 μm.

상술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200)는 설정 저항값을 초과하는 저항값에서 쇼트되는 스위칭(Switching) 이벤트를 출력값으로 출력한다.The battery pressure detection sensor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utputs a switching event short-circuited at a resistance value exceeding the set resistance value as an output value.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는 하부 전극층(310), 압전층(320), 상부 전극층(330), 보호층(340) 및 접착층(350)을 포함한다. 5 and 6, the battery pressure senso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wer electrode layer 310, a piezoelectric layer 320, an upper electrode layer 330, a protective layer 340, and an adhesive layer 350. ).

상부 전극층(330)은 제1 전극(312) 및 제2 전극(316)이 형성된 연성인쇄회로기판으로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부 전극층(330)은 베이스 시트(311), 제1 전극(312) 및 제2 전극(316)을 포함한다.The upper electrode layer 330 is composed of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on which the first electrode 312 and the second electrode 316 are formed. To this end, the upper electrode layer 330 includes a base sheet 311, a first electrode 312 and a second electrode 316.

베이스 시트(311)는 연성 박막 시트로 구성된다. 베이스 시트(311)는 대략 25㎛ 내지 50㎛ 정도의 두께를 갖는 연성 박막 시트로 구성되는 것을 일례로 한다.The base sheet 311 is composed of a flexible thin film sheet. As an example, the base sheet 311 is formed of a flexible thin film sheet having a thickness of approximately 25 μm to 50 μm.

베이스 시트(311)는 폴리이미드, 폴리에스테르, 글라스 에폭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중 하나의 연성 박막 시트인 것을 일례로 한다. 이외에도 박막 시트는 연성인쇄회로기판의 베이스 시트(311)로 사용되는 재질이라면 적용할 수 있다. 베이스 시트(311)는 대략 25㎛ 정도의 두께를 폴리이미드 박막 시트이거나, 대략 50㎛ 정도의 두께를 갖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박막 시트인 것을 일례로 한다.As an example, the base sheet 311 is a flexible thin-film sheet of polyimide, polyester, glass epoxy, and polyethylene terephthalate. In addition, the thin film sheet may be applied as long as it is a material used as the base sheet 311 of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s an example, the base sheet 311 is a polyimide thin film sheet having a thickness of about 25 μm or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thin film sheet having a thickness of about 50 μm.

제1 전극(312) 및 제2 전극(316)은 베이스 시트(311)의 일면에 형성된다. 제1 전극(312) 및 제2 전극(316)은 베이스 시트(311)의 상면 및 하면 중 압전층(320)이 배치되는 방향의 한 면에 형성된다.The first electrode 312 and the second electrode 316 ar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base sheet 311. The first electrode 312 and the second electrode 316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base sheet 311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piezoelectric layer 320 is disposed.

제1 전극(312) 및 제2 전극(316)은 박막 전도성 금속으로 형성된다. 제1 전극(312) 및 제2 전극(316)은 대략 12㎛ 정도의 두께를 갖는 전도성 금속으로 형성된다. 제1 전극(312) 및 제2 전극(316)은 구리(Cu), 은(Ag), 니켈(Ni), 백금(Pt) 중 하나의 전도성 금속인 것을 일례로 한다. 제1 전극(312) 및 제2 전극(316)은 ITO 등의 투명 전극 재료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first electrode 312 and the second electrode 316 are formed of a thin conductive metal. The first electrode 312 and the second electrode 316 are formed of a conductive metal having a thickness of about 12 μm. As an example, the first electrode 312 and the second electrode 316 are one of a conductive metal selected from copper (Cu), silver (Ag), nickel (Ni), and platinum (Pt). The first electrode 312 and the second electrode 316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electrode material such as ITO.

제1 전극(312)은 제1 감지 패턴(313), 제1 연결 패턴(314) 및 제1 단자 패턴(315)을 포함한다. 제1 감지 패턴(313)은 상호 이격된 복수의 선형 패턴으로 구성된다. 제1 연결 패턴(314)은 제1 감지 패턴(313)을 구성하는 복수의 선형 패턴들의 일단에 연결된다. 제1 단자 패턴(315)은 제1 감지 패턴(313)과 연결된다. 제1 단자 패턴(315)은 제1 연결 패턴(314)에서 연장되어 베이스 시트(311)의 외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단자 패턴(315)의 일면에는 제1 단자 패턴(315)의 절연 및 보호를 위한 보호 시트가 접착될 수 있다.The first electrode 312 includes a first detection pattern 313, a first connection pattern 314, and a first terminal pattern 315. The first detection pattern 313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linear patter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first connection pattern 314 is connected to one end of a plurality of linear patterns constituting the first detection pattern 313. The first terminal pattern 315 is connected to the first detection pattern 313. The first terminal pattern 315 may extend from the first connection pattern 314 and may be formed outside the base sheet 311. In this case, a protective sheet for insulating and protecting the first terminal pattern 315 may be adhered to one surface of the first terminal pattern 315.

제2 전극(316)은 제2 감지 패턴(317), 제2 연결 패턴(318) 및 제2 단자 패턴(319)을 포함한다. 제2 감지 패턴(317)은 상호 이격된 복수의 선형 패턴으로 구성된다. 제2 연결 패턴(318)은 제2 감지 패턴(317)을 구성하는 복수의 선형 패턴들의 일단에 연결된다. 제2 단자 패턴(319)은 제2 감지 패턴(317)과 연결된다. 제2 단자 패턴(319)은 제2 연결 패턴(318)에서 연장되어 베이스 시트(311)의 외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단자 패턴(319)의 일면에는 제2 단자 패턴(319)의 절연 및 보호를 위한 보호 시트가 접착될 수 있다.The second electrode 316 includes a second sensing pattern 317, a second connection pattern 318, and a second terminal pattern 319. The second sensing pattern 317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linear patter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second connection pattern 318 is connected to one end of a plurality of linear patterns constituting the second detection pattern 317. The second terminal pattern 319 is connected to the second sensing pattern 317. The second terminal pattern 319 may extend from the second connection pattern 318 and may be formed outside the base sheet 311. In this case, a protective sheet for insulating and protecting the second terminal pattern 319 may be adhered to one surface of the second terminal pattern 319.

이때, 제1 감지 패턴(313) 및 제2 감지 패턴(317)을 구성하는 선형 패턴들은 교대로 배치된다. 제1 감지 패턴(313)을 구성하는 복수의 선형 패턴들 사이에 제2 감지 패턴(317)을 구성하는 복수의 선형 패턴이 배치된다.In this case, the linear patterns constituting the first detection pattern 313 and the second detection pattern 317 are alternately arranged. A plurality of linear patterns constituting the second detection pattern 317 are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linear patterns constituting the first detection pattern 313.

압전층(320)은 하부 전극층(310)의 상부에 배치된다. 압전층(320)은 하부 전극층(310)에 형성된 제1 전극(312) 및 제2 전극(316) 상부에 배치된다. 압전층(320)은 물체와의 접촉에 따라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저항이 가변하는 저항 가변 물질로 형성된다. 압전층(320)은 물체의 접촉 시 발생하는 압력에 따라 면저항(Sheet Resistance)이 변하는 물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압전층(320)은 금속성 물질 및 비전도성 탄성 중합체의 합성물인 양자 터널링 합성물(QTC: Quantum Tunneling Composite)을 포함하는 것을 일례로 한다. 압전층(320)은 대략 8㎛ 내지 10㎛ 정도의 두께를 갖는 양자 터널링 합성물인 것을 일례로 한다.The piezoelectric layer 320 is disposed on the lower electrode layer 310. The piezoelectric layer 320 is disposed on the first electrode 312 and the second electrode 316 formed on the lower electrode layer 310. The piezoelectric layer 320 is formed of a resistance-variable material whose resistance is variable by a pressure applied according to contact with an object. The piezoelectric layer 320 may include a material whose sheet resistance varies according to a pressure generated when an object is in contact with each other. As an example, the piezoelectric layer 320 includes a quantum tunneling composite (QTC) that is a composite of a metallic material and a non-conductive elastomer. As an example, the piezoelectric layer 320 is a quantum tunneling composite having a thickness of about 8 μm to 10 μm.

양자 터널링 합성물은 저항 가변 물질로 부전도 탄성 바인더(non-conducting elastomeric binder) 내에 표면 돌기 구조의 금속 입자를 조합한 것이다. 금속 입자들은 압력이 인가되지 않을 때에는 서로 이격된 상태에 있어 전기를 전도할 수 없다. 금속 입자들은 압력이 인가될 때는 서로 인접하여 부전도 탄성 바인더(절연체)를 통해 터널링할 수 있다.The quantum tunneling composite is a resistance variable material that combines metal particles having a surface protrusion structure in a non-conducting elastomeric binder. When no pressure is applied, the metal particle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cannot conduct electricity. When pressure is applied, the metal particles are adjacent to each other and may tunnel through a non-conductive elastic binder (insulator).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는 배터리 부풀음이 발생하여 압력이 가해지면 압전층(320)이 밀착된 부분에서 전류가 흐른다. 상부 전극층(330) 및 하부 전극층(310)은 압전층(320)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는 압전층(320)에 가해지는 압력의 세기에 따라 상부 전극층(330) 및 하부 전극층(310) 간의 접촉 면적이 달라지므로 가변 저항 값을 가지게 된다.In the battery pressure detection sensor, when pressure is applied due to the occurrence of battery swelling, current flows from the portion where the piezoelectric layer 320 is in close contact. The upper electrode layer 330 and the lower electrode layer 310 are electrically connected by the piezoelectric layer 320. The battery pressure sensor has a variable resistance value because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upper electrode layer 330 and the lower electrode layer 310 varies according to the strength of the pressure applied to the piezoelectric layer 320.

상부 전극층(330)은 압전층(320)의 상부에 배치된다. 상부 전극층(330)은 하부 전극층(310)의 제1 전극(312) 및 제2 전극(316) 사이의 이격 공간을 커버하면서 제1 전극(312) 및 제2 전극(316)과 중첩된다. 상부 전극층(330)은 배터리 부풀음이 발생하여 압력이 가해짐에 따라 압전층(320)에 전류가 흐르면, 제1 전극(312) 및 제2 전극(316)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상부 전극층(330)은 전도성 금속으로 형성된다, 상부 전극층(330)은 대략 5㎛ 정도의 두께를 갖는 카본인 것을 일례로 한다.The upper electrode layer 330 is disposed on the piezoelectric layer 320. The upper electrode layer 330 overlaps the first electrode 312 and the second electrode 316 while covering a space between the first electrode 312 and the second electrode 316 of the lower electrode layer 310. The upper electrode layer 330 electrically connects the first electrode 312 and the second electrode 316 when a current flows through the piezoelectric layer 320 as a battery swelling occurs and pressure is applied. The upper electrode layer 330 is formed of a conductive metal, and the upper electrode layer 330 is made of carbon having a thickness of about 5 μm.

보호층(340)은 상부 전극층(330)의 상부에 배치된다. 보호층(340)은 상부 전극층(330)을 절연 및 보호한다. 보호층(340)은 절연 재질의 박막 시트로 형성된다. 보호층(340)은 대략 25㎛ 정도의 두께를 갖는 폴리이미드(PI) 재질 또는 대략 30㎛ 정도의 두께를 갖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재질의 박막 시트인 것을 일례로 한다.The protective layer 340 is disposed on the upper electrode layer 330. The protective layer 340 insulates and protects the upper electrode layer 330. The protective layer 340 is formed of a thin film sheet of an insulating material. As an example, the protective layer 340 is a thin film sheet made of polyimide (PI) material having a thickness of about 25 μm or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material having a thickness of about 30 μm.

접착층(350)은 하부 전극층(310) 및 보호층(340) 사이에 배치되어, 하부 전극층(310) 및 보호층(340)을 접착한다. 접착층(350)은 압전층(320) 및 상부 전극층(330)이 수용되는 수용 홀(352)이 형성된다. 접착층(350)의 두께는 압전층(320) 및 상부 전극층(330)의 두께에 따라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접착층(350) 두께는 압전층(320) 두께 및 전극층 두께를 합산한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된다. 접착층(350)은 대략 30㎛ 내지 50㎛ 정도의 두께를 갖는 양면 접착 테이프인 것을 일례로 한다.The adhesive layer 350 is disposed between the lower electrode layer 310 and the protective layer 340 to adhere the lower electrode layer 310 and the protective layer 340. The adhesive layer 350 has a receiving hole 352 in which the piezoelectric layer 320 and the upper electrode layer 330 are accommodated.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layer 350 may be form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thickness of the piezoelectric layer 320 and the upper electrode layer 330. The adhesive layer 350 is formed thicker than the sum of the thickness of the piezoelectric layer 320 and the thickness of the electrode layer. As an example, the adhesive layer 350 is a double-sided adhesive tape having a thickness of approximately 30 μm to 50 μm.

상술한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는 리니어(linear)한 저항값을 출력값을 출력한다.The battery pressure detection senso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utputs an output value of a linear resistance valu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를 구비한 단말기(이하, 단말기)는 스마트폰, 태블릿 등의 휴대 단말, 보조배터리, 배터리 파우치 등의 보조 전원 장치 등과 같이 배터리를 구비한 모든 전자 기기들을 포함한다.A terminal equipped with a battery pressure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erminal) includes all electronic devices equipped with batteries such as portable terminals such as smartphones and tablets, auxiliary batteries, and auxiliary power devices such as battery pouch. Includ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는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100, 200, 300)을 AD 컨버터가 연결된 처리기(processor)에 연결하여 배터리 압력 감지 신호를 처리한다. 이하에서는 써미스터 단자에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100, 200, 300)가 연결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AD 컨버터가 연결된 처리기와 연결된 단자라면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100, 200, 300)을 연결할 수 있다.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cesses the battery pressure detection signal by connecting the battery pressure detection sensors 100, 200, and 300 to a processor to which an AD converter is connected. Hereinafter, the battery pressure sensor (100, 200, 300) is connected to the thermistor terminal as an exampl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have.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 및 제5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는 배터리의 부풀음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에 대응되는 정전용량(즉, 커패시턴스(C))에 따른 출력값을 출력한다.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는 리니어(linear)한 정전용량을 출력값으로 출력하는 것을 일례로 한다.The battery pressure sensor according to the fourth and fif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outputs an output value according to a capacitance (ie, capacitance C) corresponding to a pressure applied by the swelling of the battery. As an example, the battery pressure detection sensor outputs a linear capacitance as an output value.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400)는 상부 전극층(410), 탄성층(420), 하부 전극층(430) 및 접착층(440)을 포함한다.7 and 8, the battery pressure sensor 40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electrode layer 410, an elastic layer 420, a lower electrode layer 430, and an adhesive layer 440. do.

상부 전극층(410)은 전극이 형성된 연성인쇄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으로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부 전극층(410)은 상부 베이스 시트(411), 상부 전극 패턴(413), 상부 연결 패턴(415) 및 상부 단자 패턴(417)을 포함한다.The upper electrode layer 410 is composed of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on which electrodes are formed. To this end, the upper electrode layer 410 includes an upper base sheet 411, an upper electrode pattern 413, an upper connection pattern 415, and an upper terminal pattern 417.

상부 베이스 시트(411)는 연성 박막 시트로 구성된다. 상부 베이스 시트(411)는 대략 25㎛ 정도의 두께를 갖는 연성 박막 시트로 구성되는 것을 일례로 한다.The upper base sheet 411 is composed of a flexible thin film sheet. As an example, the upper base sheet 411 is formed of a flexible thin film sheet having a thickness of about 25 μm.

상부 전극 패턴(413)은 상부 베이스 시트(411)의 일면에 형성된다. 상부 전극 패턴(413)은 상부 베이스 시트(411)의 상면 및 하면 중 탄성층(420)이 배치되는 방향의 한 면에 형성된다.The upper electrode pattern 413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upper base sheet 411. The upper electrode pattern 413 is formed on one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upper base sheet 411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elastic layer 420 is disposed.

상부 전극 패턴(413)은 소정 형상의 박막 전도성 금속으로 형성된다. 상부 전극 패턴(413)은 원형, 타원형, 사각형, 삼각형 등과 같은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전극 패턴(413)은 구리(Cu), 은(Ag), 니켈(Ni), 백금(Pt) 중 하나의 전도성 금속인 것을 일례로 한다. 상부 전극 패턴(413)은 ITO 등의 투명 전극 재료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upper electrode pattern 413 is formed of a thin conductive metal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The upper electrode pattern 413 may be formed in a polygonal shape such as a circle, an oval, a square, or a triangle. As an example, the upper electrode pattern 413 is one of a conductive metal selected from copper (Cu), silver (Ag), nickel (Ni), and platinum (Pt). The upper electrode pattern 413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electrode material such as ITO.

상부 전극 패턴(413)은 구리 재질인 원형 박막으로 형성되고, 탄성층(420)이 배치되는 방향인 상부 베이스 시트(411)의 하면에 형성되는 것을 일례로 한다.The upper electrode pattern 413 is formed of a circular thin film made of copper, and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base sheet 411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elastic layer 420 is disposed.

상부 연결 패턴(415)은 상부 베이스 시트(411)의 일면에 형성된다. 상부 연결 패턴(415)은 상부 베이스 시트(411)의 상면 및 하면 중 상부 전극 패턴(413)이 형성된 한 면에 형성된다. 상부 연결 패턴(415)은 상부 전극 패턴(413)과 다른 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The upper connection pattern 415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upper base sheet 411. The upper connection pattern 415 is formed on one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upper base sheet 411 on which the upper electrode pattern 413 is formed. The upper connection pattern 415 may be formed on a different surface from the upper electrode pattern 413.

상부 연결 패턴(415)은 선형의 박막 전도성 금속으로 형성된다. 상부 연결 패턴(415)은 상부 전극 패턴(413)과 동일한 전도성 금속으로 형성되거나, 이종의 전도성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연결 패턴(415)은 구리(Cu), 은(Ag), 니켈(Ni), 백금(Pt) 중 하나의 전도성 금속인 것을 일례로 한다. 상부 연결 패턴(415)은 ITO 등의 투명 전극 재료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upper connection pattern 415 is formed of a linear thin film conductive metal. The upper connection pattern 415 may be formed of the same conductive metal as the upper electrode pattern 413 or may be formed of a different type of conductive metal. As an example, the upper connection pattern 415 is one of a conductive metal selected from copper (Cu), silver (Ag), nickel (Ni), and platinum (Pt). The upper connection pattern 415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electrode material such as ITO.

상부 연결 패턴(415)의 일단은 상부 전극 패턴(413)과 연결된다. 하부 연결 패턴(435)의 타단은 상부 단자 패턴(417)과 연결된다.One end of the upper connection pattern 415 is connected to the upper electrode pattern 413. The other end of the lower connection pattern 435 is connected to the upper terminal pattern 417.

상부 단자 패턴(417)은 상부 베이스 시트(411)의 일면에 형성된다. 상부 단자 패턴(417)은 상부 베이스 시트(411)의 상면 및 하면 중 상부 전극 패턴(413) 및 상부 연결 패턴(415)이 형성된 한 면에 형성된다. 상부 단자 패턴(417)은 상부 전극 패턴(413) 및 상부 연결 패턴(415)과 다른 한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부 단자 패턴(417)은 상부 전극 패턴(413) 및 상부 연결 패턴(415)이 서로 다른 면에 형성된 경우, 상부 전극 패턴(413) 및 상부 연결 패턴(415) 중 하나와 동일한 면에 형성될 수 있다.The upper terminal pattern 417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upper base sheet 411. The upper terminal pattern 417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upper base sheet 411 on which the upper electrode pattern 413 and the upper connection pattern 415 are formed. The upper terminal pattern 417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different from the upper electrode pattern 413 and the upper connection pattern 415. The upper terminal pattern 417 may be formed on the same surface as one of the upper electrode pattern 413 and the upper connection pattern 415 when the upper electrode pattern 413 and the upper connection pattern 415 are formed on different surfaces. have.

상부 단자 패턴(417)은 상부 연결 패턴(415)에서 연장되어 상부 베이스 시트(411)의 외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부 단자 패턴(417)의 일면에는 상부 단자 패턴(417)의 절연 및 보호를 위한 보호 시트(419)가 접착될 수 있다.The upper terminal pattern 417 may extend from the upper connection pattern 415 and may be formed outside the upper base sheet 411. In this case, a protective sheet 419 for insulating and protecting the upper terminal pattern 417 may be adhered to one surface of the upper terminal pattern 417.

상부 연결 패턴(415), 상부 단자 패턴(417) 및 상부 단자 패턴(417)은 대략 12㎛ 정도의 두께를 갖는 박막의 도전성 금속인 것을 일례로 한다.As an example, the upper connection pattern 415, the upper terminal pattern 417, and the upper terminal pattern 417 are thin-film conductive metals having a thickness of about 12 μm.

여기서,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400)를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상부 연결 패턴(415), 상부 전극 패턴(413) 및 상부 단자 패턴(417)이 분리하여 설명하였으나, 실제 제품의 구현 시 상부 연결 패턴(415), 상부 단자 패턴(417) 및 상부 단자 패턴(417)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Here, in order to easily describe the battery pressure sensor 40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connection pattern 415, the upper electrode pattern 413, and the upper terminal pattern 417 have been separately described. When an actual product is implemented, the upper connection pattern 415, the upper terminal pattern 417, and the upper terminal pattern 417 may be integrally formed.

탄성층(420)은 상부 전극층(410) 및 하부 전극층(430) 사이에 배치된다. 탄성층(420)은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된다.The elastic layer 420 is disposed between the upper electrode layer 410 and the lower electrode layer 430. The elastic layer 420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탄성층(420)은 탄성 재질의 박막 시트로 형성된다. 탄성층(420)은 스크린 프린팅 공정을 통해 탄성 재질을 상부 전극층(410) 또는 하부 전극층(430)의 일면에 직접 인쇄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The elastic layer 420 is formed of a thin sheet of an elastic material. The elastic layer 420 may be formed by directly printing an elastic material on one surface of the upper electrode layer 410 or the lower electrode layer 430 through a screen printing process.

하부 전극층(430)은 전극이 형성된 연성인쇄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으로 구성된다. 이를 위해, 하부 전극층(430)은 하부 베이스 시트(431), 하부 전극 패턴(433), 하부 연결 패턴(435) 및 하부 단자 패턴(437)을 포함한다. 하부 전극층(430)은 하부 전극 패턴(433)과 상부 전극 패턴(413)이 중첩되도록 상부 전극층(410)의 하부에 배치된다.The lower electrode layer 430 is composed of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on which electrodes are formed. To this end, the lower electrode layer 430 includes a lower base sheet 431, a lower electrode pattern 433, a lower connection pattern 435, and a lower terminal pattern 437. The lower electrode layer 430 is disposed under the upper electrode layer 410 so that the lower electrode pattern 433 and the upper electrode pattern 413 overlap.

하부 베이스 시트(431)는 연성 박막 시트로 구성된다. 하부 베이스 시트(431)는 대략 25㎛ 정도의 두께를 갖는 연성 박막 시트로 구성되는 것을 일례로 한다.The lower base sheet 431 is composed of a flexible thin film sheet. As an example, the lower base sheet 431 is formed of a flexible thin film sheet having a thickness of about 25 μm.

하부 전극 패턴(433)은 하부 베이스 시트(431)의 일면에 형성된다. 하부 전극 패턴(433)은 하부 베이스 시트(431)의 상면 및 하면 중 탄성층(420)이 배치되는 방향의 한 면에 형성된다. 하부 전극 패턴(433)은 탄성층(420)을 사이에 두고 상부 전극 패턴(413)과 중첩된다,The lower electrode pattern 433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lower base sheet 431. The lower electrode pattern 433 is formed on one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lower base sheet 431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elastic layer 420 is disposed. The lower electrode pattern 433 overlaps the upper electrode pattern 413 with the elastic layer 420 therebetween.

하부 전극 패턴(433)은 소정 형상의 박막 전도성 금속으로 형성된다. 하부 전극 패턴(433)은 원형, 타원형, 사각형, 삼각형 등과 같은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부 전극 패턴(433)은 구리(Cu), 은(Ag), 니켈(Ni), 백금(Pt) 중 하나의 전도성 금속인 것을 일례로 한다. 하부 전극 패턴(433)은 ITO 등의 투명 전극 재료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lower electrode pattern 433 is formed of a thin conductive metal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The lower electrode pattern 433 may be formed in a polygonal shape such as a circle, an oval, a square, and a triangle. As an example, the lower electrode pattern 433 is one of a conductive metal selected from copper (Cu), silver (Ag), nickel (Ni), and platinum (Pt). The lower electrode pattern 433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electrode material such as ITO.

하부 전극 패턴(433)은 구리 재질인 원형 박막으로 형성되고, 탄성층(420)이 배치되는 방향인 하부 베이스 시트(431)의 상면에 형성되는 것을 일례로 한다.For example, the lower electrode pattern 433 is formed of a circular thin film made of copper, and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base sheet 431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elastic layer 420 is disposed.

하부 연결 패턴(435)은 하부 베이스 시트(431)의 일면에 형성된다. 하부 연결 패턴(435)은 하부 베이스 시트(431)의 상면 및 하면 중 하부 전극 패턴(433)이 형성된 한 면에 형성된다. 하부 연결 패턴(435)은 하부 전극 패턴(433)과 다른 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The lower connection pattern 435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lower base sheet 431. The lower connection pattern 435 is formed on one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lower base sheet 431 on which the lower electrode pattern 433 is formed. The lower connection pattern 435 may be formed on a different surface from the lower electrode pattern 433.

하부 연결 패턴(435)은 선형의 박막 전도성 금속으로 형성된다. 하부 연결 패턴(435)은 하부 전극 패턴(433)과 동일한 전도성 금속으로 형성되거나, 이종의 전도성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부 연결 패턴(435)은 구리(Cu), 은(Ag), 니켈(Ni), 백금(Pt) 중 하나의 전도성 금속인 것을 일례로 한다. 하부 연결 패턴(435)은 ITO 등의 투명 전극 재료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lower connection pattern 435 is formed of a linear thin film conductive metal. The lower connection pattern 435 may be formed of the same conductive metal as the lower electrode pattern 433 or may be formed of a different type of conductive metal. As an example, the lower connection pattern 435 is one of a conductive metal selected from copper (Cu), silver (Ag), nickel (Ni), and platinum (Pt). The lower connection pattern 435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electrode material such as ITO.

하부 연결 패턴(435)의 일단은 하부 전극 패턴(433)과 연결된다. 하부 연결 패턴(435)의 타단은 하부 단자 패턴(437)과 연결된다.One end of the lower connection pattern 435 is connected to the lower electrode pattern 433. The other end of the lower connection pattern 435 is connected to the lower terminal pattern 437.

하부 단자 패턴(437)은 하부 베이스 시트(431)의 일면에 형성된다. 하부 단자 패턴(437)은 하부 베이스 시트(431)의 상면 및 하면 중 하부 전극 패턴(433) 및 하부 연결 패턴(435)이 형성된 한 면에 형성된다. 하부 단자 패턴(437)은 하부 전극 패턴(433) 및 하부 연결 패턴(435)과 다른 한 면에 형성될 수 있다. 하부 단자 패턴(437)은 하부 전극 패턴(433) 및 하부 연결 패턴(435)이 서로 다른 면에 형성된 경우, 하부 전극 패턴(433) 및 하부 연결 패턴(435) 중 하나와 동일한 면에 형성될 수 있다.The lower terminal pattern 437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lower base sheet 431. The lower terminal pattern 437 is formed on one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lower base sheet 431 on which the lower electrode pattern 433 and the lower connection pattern 435 are formed. The lower terminal pattern 437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different from the lower electrode pattern 433 and the lower connection pattern 435. The lower terminal pattern 437 may be formed on the same surface as one of the lower electrode pattern 433 and the lower connection pattern 435 when the lower electrode pattern 433 and the lower connection pattern 435 are formed on different surfaces. have.

하부 단자 패턴(437)은 하부 연결 패턴(435)에서 연장되어 하부 베이스 시트(431)의 외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하부 단자 패턴(437)의 일면에는 하부 단자 패턴(437)의 절연 및 보호를 위한 보호 시트(439)가 접착될 수 있다.The lower terminal pattern 437 may extend from the lower connection pattern 435 and may be formed outside the lower base sheet 431. In this case, a protective sheet 439 for insulating and protecting the lower terminal pattern 437 may be adhered to one surface of the lower terminal pattern 437.

하부 연결 패턴(435), 하부 단자 패턴(437) 및 하부 단자 패턴(437)은 대략 12㎛ 정도의 두께를 갖는 박막의 도전성 금속인 것을 일례로 한다.The lower connection pattern 435, the lower terminal pattern 437, and the lower terminal pattern 437 are made of a thin conductive metal having a thickness of about 12 μm.

여기서,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400)를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하부 연결 패턴(435), 하부 전극 패턴(433) 및 하부 단자 패턴(437)이 분리하여 설명하였으나, 실제 제품의 구현 시 하부 연결 패턴(435), 하부 단자 패턴(437) 및 하부 단자 패턴(437)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Here, in order to easily describe the battery pressure detection sensor 40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connection pattern 435, the lower electrode pattern 433 and the lower terminal pattern 437 have been separately described. When an actual product is implemented, the lower connection pattern 435, the lower terminal pattern 437, and the lower terminal pattern 437 may be integrally formed.

접착층(440)은 상부 전극층(410) 및 하부 전극층(430) 사이에 배치되어 상부 전극층(410) 및 하부 전극층(430)을 접착한다. 접착층(440)은 대략 30㎛ 정도의 두께를 갖는 양면 접착 테이프인 것을 일례로 한다.The adhesive layer 440 is disposed between the upper electrode layer 410 and the lower electrode layer 430 to adhere the upper electrode layer 410 and the lower electrode layer 430. As an example, the adhesive layer 440 is a double-sided adhesive tape having a thickness of about 30 μm.

접착층(440)은 탄성층(420)이 수용되는 수용 홀(442)이 형성된다. 수용 홀(442) 내에 탄성층(420)이 수용 배치되기 때문에,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400)의 두께가 증가하지 않는다.The adhesive layer 440 has a receiving hole 442 in which the elastic layer 420 is accommodated. Since the elastic layer 420 is accommodated and disposed in the receiving hole 442, the thickness of the battery pressure sensor 400 does not increase.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500)는 상부 전극층(510), 탄성층(520), 하부 전극층(530), 상부 접착층(540) 및 하부 접착층(55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부 전극층(510) 및 하부 전극층(530)은 상술한 제4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500)의 상부 전극층(510) 및 하부 전극층(530)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9 and 10, the battery pressure sensor 500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electrode layer 510, an elastic layer 520, a lower electrode layer 530, an upper adhesive layer 540, and It includes a lower adhesive layer (550). Here, since the upper electrode layer 510 and the lower electrode layer 530 are the same as the upper electrode layer 510 and the lower electrode layer 530 of the battery pressure sensor 50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described above, detailed descriptions are omitted.

상부 전극층(510)은 상부 베이스 시트(511), 상부 전극 패턴(513), 상부 연결 패턴(515) 및 상부 단자 패턴(517)을 포함한다.The upper electrode layer 510 includes an upper base sheet 511, an upper electrode pattern 513, an upper connection pattern 515, and an upper terminal pattern 517.

하부 전극층(530)은 상부 전극층(510)의 하부에 배치된다. 하부 전극층(530)은 하부 베이스 시트(531), 하부 전극 패턴(533), 하부 연결 패턴(535) 및 하부 단자 패턴(537)을 포함한다.The lower electrode layer 530 is disposed under the upper electrode layer 510. The lower electrode layer 530 includes a lower base sheet 531, a lower electrode pattern 533, a lower connection pattern 535, and a lower terminal pattern 537.

탄성층(520)은 상부 전극층(510) 및 하부 전극층(530) 사이에 배치된다. 탄성층(520)은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된다.The elastic layer 520 is disposed between the upper electrode layer 510 and the lower electrode layer 530. The elastic layer 520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탄성층(520)은 탄성 재질의 박막 시트로 형성된다. 탄성층(520)은 스크린 프린팅 공정을 통해 탄성 재질을 상부 전극층(510) 또는 하부 전극층(530)의 일면에 직접 인쇄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The elastic layer 520 is formed of a thin sheet of an elastic material. The elastic layer 520 may be formed by directly printing an elastic material on one surface of the upper electrode layer 510 or the lower electrode layer 530 through a screen printing process.

상부 접착층(540)은 상부 전극층(510) 및 탄성층(520) 사이에 배치된다. 상부 접착층(540)은 상부 전극층(510) 및 탄성층(520)을 접착한다. 상부 접착층(540)은 탄성층(520)에 형성된 복수의 홀(522)에 대응되는 복수의 홀(542)이 형성될 수 있다.The upper adhesive layer 540 is disposed between the upper electrode layer 510 and the elastic layer 520. The upper adhesive layer 540 adheres the upper electrode layer 510 and the elastic layer 520 to each other. The upper adhesive layer 540 may have a plurality of holes 542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holes 522 formed in the elastic layer 520.

하부 접착층(550)은 탄성층(520) 및 하부 전극층(530) 사이에 배치된다. 하부 접착층(550)은 탄성층(520) 및 하부 전극층(530)을 접착한다. 하부 접착층(550)은 탄성층(520)에 형성된 복수의 홀(522)에 대응되는 복수의 홀(552)이 형성될 수 있다.The lower adhesive layer 550 is disposed between the elastic layer 520 and the lower electrode layer 530. The lower adhesive layer 550 adheres the elastic layer 520 and the lower electrode layer 530. The lower adhesive layer 550 may have a plurality of holes 552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holes 522 formed in the elastic layer 520.

상부 접착층(540) 및 하부 접착층(550)은 대략 5㎛ 정도의 두께를 갖는 양면 접착 테이프인 것을 일례로 한다.As an example, the upper adhesive layer 540 and the lower adhesive layer 550 are double-sided adhesive tapes having a thickness of about 5 μm.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를 구비한 단말기(이하, 단말기)는 스마트폰, 태블릿 등의 휴대 단말, 보조배터리, 배터리 파우치 등의 보조 전원 장치 등과 같이 배터리를 구비한 모든 전자 기기들을 포함한다.The terminal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terminal) equipped with a battery pressure sens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electronic devices equipped with a battery, such as portable terminals such as smart phones and tablets, auxiliary batteries, and auxiliary power devices such as battery pouch. Includes devices.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는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100, 200, 300)을 AD 컨버터가 연결된 처리기(processor)에 연결하여 배터리 압력 감지 신호를 처리한다. 이하에서는 써미스터 단자에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100, 200, 300)가 연결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AD 컨버터가 연결된 처리기와 연결된 단자라면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100, 200, 300)을 연결할 수 있다.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cesses the battery pressure detection signal by connecting the battery pressure detection sensors 100, 200, and 300 to a processor to which an AD converter is connected. Hereinafter, the battery pressure sensor (100, 200, 300) is connected to the thermistor terminal as an exampl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have.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는 써미스터(610), 써미스터 단자(620),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630), 중앙처리장치(640, AP; Application Processor) 및 배터리 충전 회로(65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1,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hermistor 610, a thermistor terminal 620, a battery pressure detection sensor 630, a central processing unit 640, an application processor (AP), and a battery charging. Circuit 650.

써미스터(610)는 단말기에 실장되어 온도에 따른 저항값을 출력한다. 써미스터(610)는 단말기의 내부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저항값이 급격히 감소하는 성질을 갖는 반도체 소자이다. 써미스터(610)는 단말기에 내장된 안테나, USB 충전 단자, 중앙처리장치(640), 전력 관리 회로(PMIC; 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 등의 주요 발열 부품의 주변에 배치된다.The thermistor 610 is mounted on a terminal and outputs a resistance value according to temperature. The thermistor 610 is a semiconductor device having a property of rapidly decreasing a resistance value as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terminal increases. The thermistor 610 is disposed around major heating components such as an antenna built into the terminal, a USB charging terminal, a central processing unit 640, and a 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 (PMIC).

써미스터 단자(620)는 한 쌍으로 단자(620a, 620b)로 구성된다. 써미스터 단자(620)는 써미스터(610)의 양단과 연결된다. 써미스터 단자(620)는 버스를 통해 중앙처리장치(640)와 연결된다. 써미스터 단자(620)는 안테나, USB 충전 단자, 중앙처리장치(640), 전력 관리 회로 중 하나의 주변에 배치된 써미스터(610)와 연결된 것을 일례로 한다.The thermistor terminal 620 is composed of a pair of terminals 620a and 620b. The thermistor terminal 620 i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thermistor 610. The thermistor terminal 620 is connected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640 through a bus. As an example, the thermistor terminal 620 is connected to the thermistor 610 disposed around one of an antenna, a USB charging terminal, a central processing unit 640, and a power management circuit.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630)는 단말기에 실장된 배터리(10)와 중첩되어 배치된다.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630)는 배터리(10)와 전극 패턴이 중첩되도록 배치된다.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630)는 배터리(10) 부풀음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에 대응되는 저항값을 출력한다.The battery pressure detection sensor 630 is disposed to overlap the battery 10 mounted in the terminal. The battery pressure sensor 630 is disposed so that the battery 10 and the electrode pattern overlap. The battery pressure detection sensor 630 outputs a resistance value corresponding to the pressure applied by the swelling of the battery 10.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630)는 배터리(10)의 부풀음에 대응되는 리니어(linear)한 저항값을 출력한다.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630)는 설정 저항값을 초과하는 저항값에서 쇼트되는 스위칭 이벤트를 출력값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The battery pressure sensor 630 outputs a linear resistance value corresponding to the swelling of the battery 10. The battery pressure detection sensor 630 may output a switching event shorted at a resistance value exceeding a set resistance value as an output value.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630)는 써미스터 단자(620)와 연결된다.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630)의 양단은 써미스터 단자(620)를 구성하는 한 쌍의 단자(620a, 620b)에 각각 연결된다.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630)는 출력값을 써미스터 단자(620)로 출력한다. 써미스터 단자(620)는 버스를 통해 출력값을 중앙처리장치(640)로 전송한다.The battery pressure detection sensor 630 is connected to the thermistor terminal 620. Both ends of the battery pressure detection sensor 630 are connected to a pair of terminals 620a and 620b constituting the thermistor terminal 620, respectively. The battery pressure detection sensor 630 outputs an output value to the thermistor terminal 620. The thermistor terminal 620 transmits an output value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640 through a bus.

여기서,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630)는 상술한 제1 실시 예 내지 제3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100, 200, 300) 중 하나인 것을 일례로 한다.Here, as an example, the battery pressure detection sensor 630 is one of the battery pressure detection sensors 100, 200, and 300 according to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중앙처리장치(640)는 써미스터 단자(620)에 연결된다. 중앙처리장치(640)는 써미스터 단자(620)를 통해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630)의 출력값을 전송받는다. 중앙처리장치(640)는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630)로부터 리니어한 저항값 및 스위칭 이벤트 중 하나의 출력값을 전송받는다.The central processing unit 640 is connected to the thermistor terminal 620. The central processing unit 640 receives the output value of the battery pressure detection sensor 630 through the thermistor terminal 620. The central processing unit 640 receives one of a linear resistance value and a switching event from the battery pressure sensor 630.

중앙처리장치(640)는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630)로부터 전송받은 출력값을 근거로 배터리(10)의 충전을 제어한다. 중앙처리장치(640)는 출력값을 근거로 이벤트 방식 또는 다단계 방식으로 배터리 충전을 제어한다.The central processing unit 640 controls charging of the battery 10 based on an output value transmitted from the battery pressure sensor 630. The central processing unit 640 controls battery charging in an event method or a multi-step method based on the output value.

중앙처리장치(640)는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630)의 출력값이 스위칭 이벤트이면 배터리(10)의 충전을 차단한다. 중앙처리장치(640)는 스위칭 이벤트인 출력값을 수신하면 배터리(10)의 발화, 폭발이 발생할 수 있는 상태로 판단하여 배터리(10)의 충전을 차단한다.The central processing unit 640 blocks charging of the battery 10 when the output value of the battery pressure sensor 630 is a switching event. When receiving an output value, which is a switching event, the central processing unit 640 determines that the battery 10 may ignite or explode, and blocks charging of the battery 10.

중앙처리장치(640)는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630)의 출력값이 리니어한 저항값이면 출력값과 기준값을 비교하여 배터리(10)의 충전을 제어한다. 중앙처리장치(640)는 복수의 기준값과 출력값을 근거로 배터리(10)의 충전을 단계적으로 제어한다. 기준값은 배터리(10) 부풀음에 의한 발화, 폭발을 방지하기 위해 설정된 값으로 저항값인 것을 일례로 한다.If the output value of the battery pressure detection sensor 630 is a linear resistance value, the central processing unit 640 controls charging of the battery 10 by comparing the output value and a reference value. The central processing unit 640 controls the charging of the battery 10 in stages based on a plurality of reference values and output values. The reference value is a value set to prevent ignition or explosion due to the swelling of the battery 10 and is a resistance value as an example.

중앙처리장치(640)는 다단계 방식으로 배터리 충전을 제어하는 경우 배터리(10)의 충전 전류를 가변한다. 중앙처리장치(640)는 리니어한 저항값에 따라 충전 전류를 단계적으로 증감시켜 배터리(10)를 충전하도록 제어한다.The central processing unit 640 varies the charging current of the battery 10 when the battery charging is controlled in a multi-stage manner. The central processing unit 640 controls to charge the battery 10 by gradually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charging current according to the linear resistance value.

배터리 충전 회로(650)는 중앙처리장치(640)의 제어에 따라 배터리(10)를 충전한다. 배터리 충전 회로(650)는 중앙처리장치(640)의 제어에 따라 배터리(10)의 충전을 온(On)/오프(Off)한다. 배터리 충전 회로(650)는 중앙처리장치(640)의 제어에 따라 충전 전류를 증감시켜 배터리(10)를 충전한다.The battery charging circuit 650 charges the battery 10 under the control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640. The battery charging circuit 650 turns on/off the charging of the battery 10 under the control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640. The battery charging circuit 650 charges the battery 10 by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charging current under the control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640.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는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400, 500)를 터치 스크린 패널(TSP; Touch Screen Panel)의 컨트롤러 또는 정전용량을 입력으로 받아 처리할 수 있는 AD 컨버터가 연결된 처리기(processor)에 연결하여 배터리 압력 감지 신호를 처리한다. In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ocessor connected to an AD converter capable of receiving and processing the battery pressure sensors 400 and 500 as an input or a controller of a touch screen panel (TSP) processor) to process the battery pressure detection signal.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는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710), 센서 단자(720), AD 컨버터(730), 중앙처리장치(740, AP; Application Processor) 및 배터리 충전 회로(75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2,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ttery pressure sensor 710, a sensor terminal 720, an AD converter 730, a central processing unit 740, an application processor (AP), and a battery. And a charging circuit 750.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710)는 단말기에 실장된 배터리(10)와 중첩되어 배치된다.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710)는 배터리(10)와 전극 패턴이 중첩되도록 배치된다.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710)는 배터리(10) 부풀음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에 대응되는 정전용량을 출력한다.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710)는 배터리(10)의 부풀음에 대응되는 리니어(linear)한 정전용량을 출력한다.The battery pressure detection sensor 710 is disposed to overlap the battery 10 mounted in the terminal. The battery pressure detection sensor 710 is disposed so that the battery 10 and the electrode pattern overlap. The battery pressure detection sensor 710 outputs a capacitance corresponding to the pressure applied by the swelling of the battery 10. The battery pressure sensor 710 outputs a linear capacitance corresponding to the swelling of the battery 10.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710)는 센서 단자(720)와 연결된다.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710)의 양단은 센서 단자(720)를 구성하는 한 쌍의 단자(720a, 720b)에 각각 연결된다.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710)는 출력값(즉, 정전용량)을 센서 단자(720)로 출력한다.The battery pressure detection sensor 710 is connected to the sensor terminal 720. Both ends of the battery pressure detection sensor 710 are connected to a pair of terminals 720a and 720b constituting the sensor terminal 720, respectively. The battery pressure detection sensor 710 outputs an output value (ie, capacitance) to the sensor terminal 720.

여기서,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710)는 상술한 제4 실시 예 및 제5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400, 500) 중 하나인 것을 일례로 한다.Here, as an example, the battery pressure detection sensor 710 is one of the battery pressure detection sensors 400 and 500 according to the fourth and fifth embodiments described above.

센서 단자(720)는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710) 및 AD 컨버터(730)와 연결된다. 센서 단자(720)는 한 쌍으로 단자(720a, 720b)로 구성된다. 센서 단자(720)는 버스를 통해 AD 컨버터(730)로 전송한다.The sensor terminal 720 is connected to the battery pressure detection sensor 710 and the AD converter 730. The sensor terminal 720 is composed of a pair of terminals 720a and 720b. The sensor terminal 720 transmits to the AD converter 730 through a bus.

AD 컨버터(730)는 센서 단자(720)를 통해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100, 200, 400)의 출력값인 정전용량을 전송받는다. AD 컨버터(730)는 아날로그 데이터인 정전용량을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중앙처리장치(740)로 전송한다.The AD converter 730 receives the capacitance, which is an output value of the battery pressure detection sensors 100, 200, 400, through the sensor terminal 720. The AD converter 730 converts capacitance, which is analog data, into digital data, and transmits it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740.

중앙처리장치(740)는 AD 컨버터(730)에 연결된다. 중앙처리장치(740)는 AD 컨버터(730)를 통해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710)의 출력값을 전송받는다. 중앙처리장치(740)는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710)의 출력값인 리니어한 정전용량을 전송받는다. 여기서, 중앙처리장치(740)는 터치스크린패턴(TSP)의 컨트롤러인 것을 일례로 한다.The central processing unit 740 is connected to the AD converter 730. The central processing unit 740 receives the output value of the battery pressure detection sensor 710 through the AD converter 730. The central processing unit 740 receives a linear capacitance, which is an output value of the battery pressure sensor 710. Here, as an example, the central processing unit 740 is a controller of a touch screen pattern (TSP).

중앙처리장치(740)는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710)로부터 전송받은 출력값을 근거로 배터리(10)의 충전을 제어한다. 중앙처리장치(740)는 출력값을 근거로 이벤트 방식 또는 다단계 방식으로 배터리 충전을 제어한다.The central processing unit 740 controls charging of the battery 10 based on an output value transmitted from the battery pressure sensor 710. The central processing unit 740 controls battery charging in an event method or a multi-step method based on an output value.

중앙처리장치(740)는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710)의 출력값이 리니어한 정전용량이면 출력값과 기준값을 비교하여 배터리(10)의 충전을 제어한다. 중앙처리장치(740)는 출력값인 정전용량이 기준값을 초과하면 배터리(10)의 충전을 차단한다.If the output value of the battery pressure detection sensor 710 is a linear capacitance, the central processing unit 740 controls charging of the battery 10 by comparing the output value and a reference value. The central processing unit 740 blocks the charging of the battery 10 when the capacitance, which is the output value, exceeds the reference value.

중앙처리장치(740)는 복수의 기준값과 출력값을 근거로 배터리(10)의 충전을 단계적으로 제어할 수도 있다. 기준값은 배터리(10) 부풀음에 의한 발화, 폭발을 방지하기 위해 설정된 값으로 정전용량인 것을 일례로 한다.The central processing unit 740 may control charging of the battery 10 in stages based on a plurality of reference values and output values. The reference value is a value set to prevent ignition or explosion due to the swelling of the battery 10, and is an example of a capacitance.

중앙처리장치(740)는 다단계 방식으로 배터리 충전을 제어하는 경우 배터리(10)의 충전 전류를 가변한다. 중앙처리장치(740)는 리니어한 정전용량에 따라 충전 전류를 단계적으로 증감시켜 배터리(10)를 충전하도록 제어한다.The central processing unit 740 varies the charging current of the battery 10 when the battery charging is controlled in a multi-step manner. The central processing unit 740 controls to charge the battery 10 by gradually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charging current according to the linear capacitance.

배터리 충전 회로(750)는 중앙처리장치(740)의 제어에 따라 배터리(10)를 충전한다. 배터리 충전 회로(750)는 중앙처리장치(740)의 제어에 따라 배터리(10)의 충전을 온(On)/오프(Off)한다. 배터리 충전 회로(750)는 중앙처리장치(740)의 제어에 따라 충전 전류를 증감시켜 배터리(10)를 충전한다.The battery charging circuit 750 charges the battery 10 under the control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740. The battery charging circuit 750 turns on/off the charging of the battery 10 under the control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740. The battery charging circuit 750 charges the battery 10 by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charging current under the control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740.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는 안테나(810), 안테나 단자(820),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830), 중앙처리장치(840) 및 배터리 충전 회로(850)를 포함한다.13, a terminal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ntenna 810, an antenna terminal 820, a battery pressure sensor 830, a central processing unit 840, and a battery charging circuit 850. Include.

안테나(810)는 하나의 주파수 대역에 공진하는 단일 안테나(810)로 구성된다. 안테나(810)는 근거리 통신용(NFC) 안테나, 전자결제용(MST) 안테나 및 무선 전력 전송용(WPC) 안테나 중 하나인 것을 일례로 한다.The antenna 810 is composed of a single antenna 810 resonating in one frequency band. For example, the antenna 810 is one of a short-range communication (NFC) antenna, an electronic payment (MST) antenna, and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WPC) antenna.

안테나 단자(820)는 한 쌍으로 단자로 구성된다. 안테나 단자(820)는 안테나(810)의 양단과 연결된다. 안테나 단자(820)는 버스를 통해 중앙처리장치(840)와 연결된다.The antenna terminals 820 are configured as a pair of terminals. The antenna terminals 820 are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antenna 810. The antenna terminal 820 is connected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840 through a bus.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830)는 단말기에 실장된 배터리(10)와 중첩되어 배치된다.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830)는 배터리(10)와 전극 패턴이 중첩되도록 배치된다.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830)는 배터리(10) 부풀음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에 대응되는 저항값을 출력한다.The battery pressure sensor 830 is disposed to overlap the battery 10 mounted in the terminal. The battery pressure sensor 830 is disposed so that the battery 10 and the electrode pattern overlap. The battery pressure sensor 830 outputs a resistance value corresponding to the pressure applied by the swelling of the battery 10.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830)는 배터리(10)의 부풀음에 대응되는 리니어(linear)한 저항값을 출력한다.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830)는 설정 저항값을 초과하는 저항값에서 쇼트되는 스위칭 이벤트를 출력값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The battery pressure sensor 830 outputs a linear resistance value corresponding to the swelling of the battery 10. The battery pressure detection sensor 830 may output a switching event shorted at a resistance value exceeding the set resistance value as an output value.

안테나(810)가 근거리 통신용 안테나이면,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830)는 스위칭 이벤트를 출력값으로 출력한다.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830)가 리니어한 저항값을 출력하도록 구성되면(즉, 제3 실시 예의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300) 구조), 근거리 통신용 안테나의 공지 주파수가 틀어져 통신 수행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안테나(810)가 근거리 통신용 안테나이면,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830)는 제1 실시 예 또는 제2 실시 예의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100, 200)로 구성된다.If the antenna 810 is an antenna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the battery pressure sensor 830 outputs a switching event as an output value. When the battery pressure detection sensor 830 is configured to output a linear resistance value (that is, the structure of the battery pressure detection sensor 300 of the third embodiment), the known frequency of the antenna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is changed, and communication cannot be performed. Accordingly, if the antenna 810 is an antenna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the battery pressure detection sensor 830 is composed of the battery pressure detection sensors 100 and 200 of the first or second embodiment.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830)는 안테나 단자(820)와 연결된다.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830)의 양단은 안테나 단자(820)를 구성하는 한 쌍의 단자에 각각 연결된다.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830)는 출력값을 안테나 단자(820)로 출력한다. 안테나 단자(820)는 버스를 통해 출력값을 중앙처리장치(840)로 전송한다.The battery pressure detection sensor 830 is connected to the antenna terminal 820. Both ends of the battery pressure detection sensor 830 are connected to a pair of terminals constituting the antenna terminal 820, respectively. The battery pressure detection sensor 830 outputs an output value to the antenna terminal 820. The antenna terminal 820 transmits an output value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840 through a bus.

중앙처리장치(840)는 안테나 단자(820)에 연결된다. 중앙처리장치(840)는 안테나 단자(820)를 통해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830)의 출력값을 전송받는다. 중앙처리장치(840)는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830)로부터 리니어한 저항값 및 스위칭 이벤트 중 하나의 출력값을 전송받는다.The central processing unit 840 is connected to the antenna terminal 820. The central processing unit 840 receives the output value of the battery pressure sensor 830 through the antenna terminal 820. The central processing unit 840 receives one of a linear resistance value and a switching event from the battery pressure sensor 830.

중앙처리장치(840)는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830)로부터 전송받은 출력값을 근거로 배터리(10)의 충전을 제어한다. 중앙처리장치(840)는 출력값을 근거로 이벤트 방식 또는 다단계 방식으로 배터리 충전을 제어한다.The central processing unit 840 controls charging of the battery 10 based on an output value transmitted from the battery pressure sensor 830. The central processing unit 840 controls battery charging in an event method or a multi-step method based on an output value.

중앙처리장치(840)는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830)의 출력값이 스위칭 이벤트이면 배터리(10)의 충전을 차단한다. 중앙처리장치(840)는 스위칭 이벤트인 출력값을 수신하면 배터리(10)의 발화, 폭발이 발생할 수 있는 상태로 판단하여 배터리(10)의 충전을 차단한다.The central processing unit 840 blocks charging of the battery 10 when the output value of the battery pressure sensor 830 is a switching event. When receiving an output value that is a switching event, the central processing unit 840 determines that the battery 10 is in a state in which ignition or explosion may occur and blocks charging of the battery 10.

중앙처리장치(840)는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830)의 출력값이 리니어한 저항값이면 출력값과 기준값을 비교하여 배터리(10)의 충전을 제어한다. 중앙처리장치(840)는 복수의 기준값과 출력값을 근거로 배터리(10)의 충전을 단계적으로 제어한다. 기준값은 배터리(10) 부풀음에 의한 발화, 폭발을 방지하기 위해 설정된 값으로 저항값인 것을 일례로 한다.If the output value of the battery pressure detection sensor 830 is a linear resistance value, the central processing unit 840 controls charging of the battery 10 by comparing the output value and a reference value. The central processing unit 840 controls charging of the battery 10 in stages based on a plurality of reference values and output values. The reference value is a value set to prevent ignition or explosion due to the swelling of the battery 10 and is a resistance value as an example.

중앙처리장치(840)는 다단계 방식으로 배터리 충전을 제어하는 경우 배터리(10)의 충전 전류를 가변한다. 중앙처리장치(840)는 리니어한 저항값에 따라 충전 전류를 단계적으로 증감시켜 배터리(10)를 충전하도록 제어한다.The central processing unit 840 varies the charging current of the battery 10 when the battery charging is controlled in a multi-step manner. The central processing unit 840 controls to charge the battery 10 by gradually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charging current according to the linear resistance value.

배터리 충전 회로(850)는 중앙처리장치(840)의 제어에 따라 배터리(10)를 충전한다. 배터리 충전 회로(850)는 중앙처리장치(840)의 제어에 따라 배터리(10)의 충전을 온(On)/오프(Off)한다. 배터리 충전 회로(850)는 중앙처리장치(840)의 제어에 따라 충전 전류를 증감시켜 배터리(10)를 충전한다.The battery charging circuit 850 charges the battery 10 under the control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840. The battery charging circuit 850 turns on/off charging of the battery 10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840. The battery charging circuit 850 charges the battery 10 by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charging current under the control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840.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는 복합 안테나(910), 안테나 단자(920),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930), 중앙처리장치(940) 및 배터리 충전 회로(95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4,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posite antenna 910, an antenna terminal 920, a battery pressure sensor 930, a central processing unit 940, and a battery charging circuit 950. Includes.

복합 안테나(910)는 복수의 안테나(910)를 포함한다. 복합 안테나(910)는 근거리 통신용(NFC) 안테나(912), 전자결제용(MST) 안테나(914) 및 무선 전력 전송용(WPC) 안테나(916)를 포함하는 것을 일례로 한다.The composite antenna 910 includes a plurality of antennas 910. As an example, the composite antenna 910 includes a short-range communication (NFC) antenna 912, an electronic payment (MST) antenna 914, and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WPC) antenna 916.

안테나 단자(920)는 복수의 단자(920a 내지 920f)로 구성된다. 각 안테나(910)에는 한 쌍의 단자(920a 및 920b, 920c 및 920d, 920e 및 920f)가 연결된다. The antenna terminal 920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terminals 920a to 920f. A pair of terminals 920a and 920b, 920c and 920d, 920e and 920f are connected to each antenna 910.

안테나 단자(920)는 근거리 통신용 안테나(912)에 연결된 한 쌍의 단자(920a, 920b), 전자결제용 안테나(914)에 연결된 한 쌍의 단자(920c, 920d) 및 무선 전력 전송용 안테나(916)에 연결된 한 쌍의 단자(920e, 920f)를 포함하여 총 6개의 단자로 구성되는 것을 일례로 한다.The antenna terminal 920 includes a pair of terminals 920a and 920b connected to 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antenna 912, a pair of terminals 920c and 920d connected to the electronic payment antenna 914, and an antenna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916 ), including a pair of terminals 920e and 920f connected to each other, as an example.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930)는 단말기에 실장된 배터리(10)와 중첩되어 배치된다.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930)는 배터리(10)와 전극 패턴이 중첩되도록 배치된다.The battery pressure detection sensor 930 is disposed to overlap the battery 10 mounted on the terminal. The battery pressure sensor 930 is disposed so that the battery 10 and the electrode pattern overlap.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930)는 배터리(10) 부풀음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에 대응되는 저항값을 출력한다.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930)는 배터리(10)의 부풀음에 대응되는 리니어(linear)한 저항값을 출력한다.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930)는 설정 저항값을 초과하는 저항값에서 쇼트되는 스위칭 이벤트를 출력값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930)는 제1 실시 예 내지 제3 실시 예의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930) 중 하나인 것을 일례로 한다.The battery pressure sensor 930 outputs a resistance value corresponding to the pressure applied by the swelling of the battery 10. The battery pressure sensor 930 outputs a linear resistance value corresponding to the swelling of the battery 10. The battery pressure detection sensor 930 may output a switching event shorted at a resistance value exceeding a set resistance value as an output value. As an example, the battery pressure detection sensor 930 is one of the battery pressure detection sensors 930 of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930)는 배터리(10) 부풀음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에 대응되는 정전용량을 출력할 수도 있다.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930)는 배터리(10)의 부풀음에 대응되는 리니어(linear)한 정전용량을 출력한다.The battery pressure detection sensor 930 may output a capacitance corresponding to a pressure applied by the battery 10 swelling. The battery pressure sensor 930 outputs a linear capacitance corresponding to the swelling of the battery 10.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930)는 안테나 단자(920)와 연결된다.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930)의 양단은 안테나 단자(920)를 구성하는 복수의 단자 중에서 서로 다른 안테나(910)에 연결된 단자들에 각각 연결된다.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930)의 양단은 전자결제용 안테나(910)의 일단이 연결된 단자 및 무선 전력 전송용 안테나(910)가 연결된 단자에 각각 연결되는 것을 일례로 한다.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930)는 출력값을 안테나 단자(920)로 출력한다. 안테나 단자(920)는 버스를 통해 출력값을 중앙처리장치(940)로 전송한다.The battery pressure detection sensor 930 is connected to the antenna terminal 920. Both ends of the battery pressure detection sensor 930 are connected to terminals connected to different antennas 910 among a plurality of terminals constituting the antenna terminal 920. As an example, both ends of the battery pressure sensor 930 are connected to a terminal to which one end of the electronic payment antenna 910 is connected and a terminal to which the antenna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910 is connected. The battery pressure detection sensor 930 outputs an output value to the antenna terminal 920. The antenna terminal 920 transmits an output value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940 through a bus.

중앙처리장치(940)는 안테나 단자(920)에 연결된다. 중앙처리장치(940)는 안테나 단자(920)를 통해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930)의 출력값을 전송받는다. 중앙처리장치(940)는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930)로부터 리니어한 저항값, 스위칭 이벤트 및 리니어한 정전용량 중 하나의 출력값을 전송받는다.The central processing unit 940 is connected to the antenna terminal 920. The central processing unit 940 receives the output value of the battery pressure detection sensor 930 through the antenna terminal 920. The central processing unit 940 receives an output value of one of a linear resistance value, a switching event, and a linear capacitance from the battery pressure sensor 930.

중앙처리장치(940)는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930)로부터 전송받은 출력값을 근거로 배터리(10)의 충전을 제어한다. 중앙처리장치(940)는 출력값을 근거로 이벤트 방식 또는 다단계 방식으로 배터리 충전을 제어한다.The central processing unit 940 controls charging of the battery 10 based on an output value transmitted from the battery pressure sensor 930. The central processing unit 940 controls battery charging in an event method or a multi-step method based on an output value.

중앙처리장치(940)는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930)의 출력값을 근거로 배터리(10)의 충전을 차단한다. 중앙처리장치(940)는 스위칭 이벤트인 출력값을 수신하면 배터리(10)의 발화, 폭발이 발생할 수 있는 상태로 판단하여 배터리(10)의 충전을 차단한다. 이때, 중앙처리장치(940)는 정전용량이 기준 정전용량을 초과하면 배터리(10)의 발화, 폭발이 발생할 수 있는 상태로 판단하여 배터리(10)의 충전을 차단할 수도 있다.The central processing unit 940 blocks charging of the battery 10 based on the output value of the battery pressure sensor 930. When receiving an output value, which is a switching event, the central processing unit 940 determines that the battery 10 is in a state in which ignition or explosion may occur, and blocks charging of the battery 10. At this time, the central processing unit 940 may block charging of the battery 10 by determining that the battery 10 is in a state in which ignition or explosion may occur when the capacitance exceeds the reference capacitance.

중앙처리장치(940)는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930)의 출력값이 리니어한 저항값 또는 정전용량이면 출력값과 기준값을 비교하여 배터리(10)의 충전을 제어한다. 중앙처리장치(940)는 복수의 기준값과 출력값을 근거로 배터리(10)의 충전을 단계적으로 제어한다. 기준값은 배터리(10) 부풀음에 의한 발화, 폭발을 방지하기 위해 설정된 값으로 저항값 또는 정전용량인 것을 일례로 한다.If the output value of the battery pressure detection sensor 930 is a linear resistance value or capacitance, the central processing unit 940 compares the output value and a reference value to control charging of the battery 10. The central processing unit 940 controls charging of the battery 10 in stages based on a plurality of reference values and output values. The reference value is a value set to prevent ignition or explosion due to swelling of the battery 10, and is an example of a resistance value or a capacitance.

중앙처리장치(940)는 다단계 방식으로 배터리 충전을 제어하는 경우 배터리(10)의 충전 전류를 가변한다. 중앙처리장치(940)는 리니어한 저항값 또는 정전용량에 따라 충전 전류를 단계적으로 증감시켜 배터리(10)를 충전하도록 제어한다.The central processing unit 940 varies the charging current of the battery 10 when the battery charging is controlled in a multi-stage manner. The central processing unit 940 controls to charge the battery 10 by gradually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charging current according to a linear resistance value or capacitance.

배터리 충전 회로(950)는 중앙처리장치(940)의 제어에 따라 배터리(10)를 충전한다. 배터리 충전 회로(950)는 중앙처리장치(940)의 제어에 따라 배터리(10)의 충전을 온(On)/오프(Off)한다. 배터리 충전 회로(950)는 중앙처리장치(940)의 제어에 따라 충전 전류를 증감시켜 배터리(10)를 충전한다.The battery charging circuit 950 charges the battery 10 under the control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940. The battery charging circuit 950 turns on/off the charging of the battery 10 under the control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940. The battery charging circuit 950 charges the battery 10 by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charging current under the control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940.

한편, 도 15을 참조하면,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930)는 복합 안테나(91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930)는 복수의 안테나들(912, 914, 916)이 형성된 인쇄회로기판상에 형성된다.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930)는 하나의 안테나 또는 써미스터가 형성된 안테나(91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15, the battery pressure sensor 93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composite antenna 910. The battery pressure detection sensor 930 is form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on which a plurality of antennas 912, 914, and 916 are formed. The battery pressure sensor 93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one antenna or the antenna 910 in which the thermistor is formed.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며,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예 및 수정 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modific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understood that it can be done.

100, 200, 300, 400, 500: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
110, 210, 330, 410, 510: 상부 전극층
120, 220, 420, 520: 탄성층
130, 230, 310, 430, 530: 하부 전극층
140, 240, 350, 440, 540: 접착층
320: 압전층 340: 보호층
610: 써미스터 620: 써미스터 단자
630, 710, 830, 930: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
640, 740, 840, 940: 중앙처리장치
650, 750, 850, 950: 배터리 충전 회로
720: 센서 단자 730: AD 컨버터
810, 910: 안테나 820, 920: 안테나 단자
100, 200, 300, 400, 500: battery pressure sensor
110, 210, 330, 410, 510: upper electrode layer
120, 220, 420, 520: elastic layer
130, 230, 310, 430, 530: lower electrode layer
140, 240, 350, 440, 540: adhesive layer
320: piezoelectric layer 340: protective layer
610: thermistor 620: thermistor terminal
630, 710, 830, 930: battery pressure sensor
640, 740, 840, 940: central processing unit
650, 750, 850, 950: battery charging circuit
720: sensor terminal 730: AD converter
810, 910: antenna 820, 920: antenna terminal

Claims (20)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배터리를 구비한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에 실장된 써미스터에 연결된 써미스터 단자;
상기 배터리와 중첩 배치되어 상기 써미스터 단자에 연결되고, 상기 배터리의 부풀음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에 대응되는 출력값을 출력하는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 및
상기 써미스터 단자와 연결되어 상기 써미스터 단자를 통해 입력된 상기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의 출력값을 근거로 상기 배터리의 충전을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써미스터는 안테나, USB 충전 단자, 상기 중앙처리장치 및 전력 관리 회로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된 단말기.
In a terminal equipped with a battery,
A thermistor terminal connected to the thermistor mounted on the terminal;
A battery pressure sensor that overlaps the battery, is connected to the thermistor terminal, and outputs an output value corresponding to the pressure applied by the swelling of the battery; And
A central processing unit connected to the thermistor terminal and controlling charging of the battery based on an output value of the battery pressure detection sensor input through the thermistor terminal,
The thermistor is a terminal disposed in at least one of an antenna, a USB charging terminal, the central processing unit, and a power management circui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는 상기 배터리의 부풀음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에 대응되는 저항값을 출력값으로 출력하고,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상기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의 출력값이 저항값이면 상기 배터리의 충전 전류를 가변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8,
The battery pressure detection sensor outputs a resistance value corresponding to the pressure applied by the swelling of the battery as an output value,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harges the battery by varying the charging current of the battery when the output value of the battery pressure sensor is a resistance valu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는 상기 배터리의 부풀음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에 대응되는 저항값이 설정값을 초과하면 스위칭 이벤트를 출력값으로 출력하고,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상기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의 출력값이 스위칭 이벤트이면 상기 배터리의 충전을 차단하는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8,
The battery pressure detection sensor outputs a switching event as an output value when a resistance value corresponding to the pressure applied by the swelling of the battery exceeds a set value,
The central processing unit blocks the charging of the battery when an output value of the battery pressure sensor is a switching even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배터리를 구비한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에 실장된 안테나에 연결된 안테나 단자;
상기 배터리와 중첩 배치되어 상기 안테나 단자와 연결되고, 상기 배터리의 부풀음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에 대응되는 저항값, 스위칭 이벤트 및 정전용량 중 하나를 출력값으로 출력하는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 및
상기 안테나 단자와 연결되어 상기 안테나 단자를 통해 입력된 상기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의 출력값을 근거로 상기 배터리의 충전을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를 포함하는 단말기.
In a terminal equipped with a battery,
An antenna terminal connected to an antenna mounted on the terminal;
A battery pressure detection sensor disposed overlapping the battery, connected to the antenna terminal, and outputting one of a resistance value, a switching event, and a capacitance corresponding to a pressure applied by the swelling of the battery as an output value; And
And a central processing unit connected to the antenna terminal and controlling charging of the battery based on an output value of the battery pressure sensor input through the antenna terminal.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단자는 전자결제용 안테나, 무선 전력 전송용 안테나 및 근거리 통신용 안테나 중 하나에 연결된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5,
The antenna terminal is a terminal connected to one of an antenna for electronic payment, an antenna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nd an antenna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는 상기 안테나 단자에 연결된 안테나가 근거리 통신용 안테나이고, 상기 배터리의 부풀음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에 대응되는 저항값이 설정값을 초과하면 스위칭 이벤트를 출력값으로 출력하는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6,
The battery pressure detection sensor is a terminal for outputting a switching event as an output value when an antenna connected to the antenna terminal is a short-range communication antenna, and a resistance value corresponding to a pressure applied by the swelling of the battery exceeds a set value.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단자는 복수의 안테나에 연결된 복수의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는 상기 복수의 단자 중 서로 다른 안테나 연결된 단자들에 연결된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5,
The antenna terminal includes a plurality of terminal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antennas, and the battery pressure sensor is connected to terminals connected to different antennas among the plurality of terminals.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상기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의 출력값이 설정값을 초과하면 상기 배터리의 충전을 차단하는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5,
The central processing unit,
Terminal for blocking charging of the battery when the output value of the battery pressure sensor exceeds a set value.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상기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의 출력값과 복수의 기준값을 근거로 상기 배터리의 충전 전류를 가변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5,
The central processing unit,
A terminal configured to charge the battery by varying a charging current of the battery based on an output value of the battery pressure sensor and a plurality of reference values.
KR1020190006324A 2018-01-24 2019-01-17 Sensor for detecting the pressure of battery and device having the same Active KR102175734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8828 2018-01-24
KR1020180008827 2018-01-24
KR20180008827 2018-01-24
KR20180008828 2018-01-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0340A KR20190090340A (en) 2019-08-01
KR102175734B1 true KR102175734B1 (en) 2020-11-06

Family

ID=67395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6324A Active KR102175734B1 (en) 2018-01-24 2019-01-17 Sensor for detecting the pressure of battery and device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75734B1 (en)
WO (1) WO2019146960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06675A1 (en) * 2021-12-06 2023-06-15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Battery pressure measuring sensor and apparatus for measuring pressure of battery including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22806B2 (en) * 2019-09-13 2022-05-03 Hutchinson Technology Incorporated Sensored battery electrode
US11791521B2 (en) 2019-09-13 2023-10-17 Hutchinson Technology Incorporated Electrode tabs and methods of forming
DE102020202857B4 (en) 2020-03-05 2025-07-24 HELLA GmbH & Co. KGaA Device and method for thermal monitoring of a battery
CN114981630B (en) * 2020-06-03 2024-03-19 株式会社Lg新能源 Battery cell pressure measurement apparatus and method
CN116250133A (en) * 2021-01-21 2023-06-09 东莞新能安科技有限公司 Battery pack, method of manufacturing battery pack, and power consumption device
CN113178628B (en) * 2021-04-19 2023-03-10 河南利威新能源科技有限公司 Lithium ion battery module and health state monitoring method thereof
KR20230097686A (en) * 2021-12-24 2023-07-0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Battery system
KR20230142248A (en) 2022-04-01 2023-10-1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ouch-type Battery Cell Comprising FPCB
CN115855324B (en) * 2022-12-26 2024-04-30 厦门大学 Film pressure sensor for detecting expansion of lithium battery cor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28740A (en) 2002-05-02 2005-09-22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Pressure activated switch and touch panel
KR101248410B1 (en) * 2011-04-28 2013-04-02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Electrostatic capacitance-type pressure sensor using nanofiber web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2509A (en) * 1996-06-28 1998-01-23 Omron Corp Sensor device
JP4224730B2 (en) * 1997-11-26 2009-02-18 株式会社ジーエス・ユアサコーポレーション Secondary battery device
JP2009076265A (en) * 2007-09-19 2009-04-09 Panasonic Corp Battery pack
KR100964175B1 (en) * 2008-05-19 2010-06-17 주식회사 에스피엠탈로스 Battery explosion prevention sensor and control method of battery charge / discharge circuit
US9608297B2 (en) * 2011-11-16 2017-03-28 Datang Nxp Semiconductors Co., Ltd. In-cell battery management device
KR101534252B1 (en) * 2013-05-09 2015-07-08 (주)와이즈산전 driver circuit and Offset Compensation Method for pressure sensor
KR101602832B1 (en) * 2014-05-15 2016-03-11 주식회사 아이티엠반도체 Package of battery protection circuits having NFC antenna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KR102427788B1 (en) * 2016-02-02 2022-08-02 주식회사 아모센스 Touch Pressure Sensor
KR101717062B1 (en) * 2016-04-15 2017-03-16 크루셜텍 (주) High sensitivity touch force sens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28740A (en) 2002-05-02 2005-09-22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Pressure activated switch and touch panel
KR101248410B1 (en) * 2011-04-28 2013-04-02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Electrostatic capacitance-type pressure sensor using nanofiber web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06675A1 (en) * 2021-12-06 2023-06-15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Battery pressure measuring sensor and apparatus for measuring pressure of battery includ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46960A1 (en) 2019-08-01
KR20190090340A (en) 2019-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5734B1 (en) Sensor for detecting the pressure of battery and device having the same
US7528337B2 (en) Pressure sensitive conductive sheet and panel switch using same
US8186233B2 (en) Pressure sensing device
KR102108900B1 (en) Circuit protection device
CN110366718A (en) Touch sensor including antenna
CN111630709B (en) Secondary battery
US20120133597A1 (en) Antenna structure
US10788922B2 (en) Fingerprint/touch sensor and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7735383B2 (en) Balanced resistance capacitive sensing apparatus
US10158149B2 (en) Method and apparatus to detect and manage battery pack cell swell
CN105591375B (en) Electrical shock protection device and there is its portable electron device
US20120329524A1 (en) Touch sensor and antenna integration along an electronic device housing
KR102405258B1 (en) Display device
US20100245135A1 (en) Capacitive Keyboard with Enhanced Electrode Areas
AU2016317678A1 (en) Battery including an on-cell indicator
US8831537B2 (en) Transitory touchscreen antenna structure
KR101578544B1 (en) Circuit protection device and mobile electronic device with the same
JP2001165788A (en) Pressure-sesitive device
JP2008311208A (en) Pressure-sensitive conductive sheet and panel switch using the same
WO2018021005A1 (en) Communication device
EP4557064A1 (en) Mutual-capacitive touch-control screen, and touch-control apparatus having mutual-capacitive touch-control screen
JP2006317340A (en) Load sensor
CN106055171B (en) A kind of array substrat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and display device
US9153858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protection against electrostatic discharge
Sharma et al. On the integration of antennas with touch sensor pane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11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2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10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11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11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0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