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5519B1 - 실제 사물의 사용성을 증강하는 가상 콘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실제 사물의 사용성을 증강하는 가상 콘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75519B1 KR102175519B1 KR1020160068861A KR20160068861A KR102175519B1 KR 102175519 B1 KR102175519 B1 KR 102175519B1 KR 1020160068861 A KR1020160068861 A KR 1020160068861A KR 20160068861 A KR20160068861 A KR 20160068861A KR 102175519 B1 KR102175519 B1 KR 10217551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irtual
- information
- real
- virtual content
- conte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9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0000003190 augmenta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36772 blood pressur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36760 body temperatur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8
- 241000283086 Equ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3550 mark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3203 everyda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8186 active pharmaceutical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416 augmen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51 chee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93 physical law Methods 0.000 description 2
- WFKWXMTUELFFGS-UHFFFAOYSA-N tungsten Chemical compound [W] WFKWXMTUELFFG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405 data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135 deep lear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99 physical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395 saturated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41 sensory perception of touc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6 trans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제 세계 사물에 가상세계와 연계하여 상호작용 채널을 더하는 개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제 사물의 사용성을 증강하는 가상 콘텐츠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제 사물의 사용성을 증강하는 가상 콘텐츠 제공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콘텐츠 제공 장치의 처리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로젝션의 거울 활용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제 사물의 사용성을 증강하는 가상 콘텐츠 제공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가상 콘텐츠 제공 장치를 이용한 가상 게임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 콘텐츠 제공 장치를 이용한 가상 게임 콘텐츠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 내지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상 콘텐츠 제공 장치를 이용한 칠교 놀이 콘텐츠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3 내지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 콘텐츠 제공 장치를 이용한 교육 콘텐츠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230, 330, 530: 정보, 지식 및 콘텐츠 240: 상호작용 채널
311: 다양한 신호 312: 이미지 데이터
313: 환경 정보 314: 형태
331: 콘텐츠 332: 인터페이스
340, 610, 710, 711: 프로젝터 341: 별
342: 투사된 인터페이스 410: 실물 정보 획득부
420: 가상 콘텐츠 검색부 430: 가상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440: 가상 인터페이스 투사부 450: 사용자 입력 감지부
460: 가상 콘텐츠 제공부 620, 720: 거울
630, 730, 1010, 1710, 2310: 투사영역
640, 740: 책상면 910: 게임 화면
921~923, 1021~ 1025, 1721~ 1725: 게임용 말
931: 쥐 932: 치즈
1030: 장애물 1041, 1731: 시작점
1042, 1732: 끝점 1050, 1060, 1740, 1750: 경로
1070: 다시 버튼 1080: 다음 버튼
1910: 입력 영역 1911: 칠교 영역
1912: 문제 영역 1921~ 1927: 칠교 조각
1930: 문제 1940: 힌트 메뉴
1941: 힌트 정보 2329: 시작 버튼
2321: 메뉴 버튼 2322: 영영 변환
232: 위키피디아 검색 2324: 암기
2330: 교재 2331: 영어단어
2332, 2333: 가상 정보
Claims (20)
- 입력 모듈을 통해 실제 사물에 상응하는 실물 정보를 획득하는 실물 정보 획득부;
상기 실물 정보를 기반으로 어느 하나의 가상 콘텐츠를 검색하는 가상 콘텐츠 검색부;
출력 모듈을 통해 상기 어느 하나의 가상 콘텐츠에 상응하는 가상 인터페이스를 상기 실제 사물에 투사하는 가상 인터페이스 투사부;
상기 입력 모듈을 기반으로 상기 가상 인터페이스 상에서의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사용자 입력 감지부; 및
상기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에 상기 어느 하나의 가상 콘텐츠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한 가상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출력 모듈을 통해 상기 가상 정보를 상기 실물 정보에 상응하게 투사하여 제공하는 가상 콘텐츠 제공부
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 모듈은
함께 배치된 거울을 기반으로 상기 가상 인터페이스나 상기 가상 정보가 투사되는 투사면과 일정한 거리를 확보하되, 상기 거울은 상기 출력 모듈에 상응하는 투사 영역이 직사각형으로 유지되도록 각도를 계산하여 배치되고,
상기 실물 정보는
상기 실제 사물의 종류 및 형태 중 적어도 하나에 상응하는 사물 정보 및 상기 투사영역 내에서 상기 실제 사물에 상응하는 환경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환경 정보는
상기 투사 영역 내에서의 상기 실제 사물 이외의 사물들의 위치, 방위, 온도 및 조도를 포함하고,
상기 가상 콘텐츠 제공부는
상기 투사영역 내에서 상기 환경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가상 정보를 투사하여 제공할 위치를 선정하고, 상기 환경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가상 콘텐츠를 상기 실제 사물의 환경에 상응하도록 디자인하여 상기 가상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제 사물의 사용성을 증강하는 가상 콘텐츠 제공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상 콘텐츠 제공부는
상기 어느 하나의 가상 콘텐츠에 상응하는 콘텐츠 로직으로 상기 사용자 입력을 전달하고, 상기 콘텐츠 로직을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의한 다음 상태 정보를 상기 가상 정보로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제 사물의 사용성을 증강하는 가상 콘텐츠 제공 장치.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상 콘텐츠 제공부는
상기 가상 정보를 기반으로 호모그라피, 프로젝션 텍스처, 소리 및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생성된 상기 가상 정보에 상응하는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영상을 상기 실제 사물 및 상기 환경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상응하는 영역에 투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제 사물의 사용성을 증강하는 가상 콘텐츠 제공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입력 모듈은
위치, 방위, 온도, 체온, 혈압, 길이 조도 및 RFID 중 적어도 하나에 상응하는 센서, 카메라 및 깊이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제 사물의 사용성을 증강하는 가상 콘텐츠 제공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출력 모듈은
상기 가상 정보를 영상으로 투사할 수 있는 프로젝터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제 사물의 사용성을 증강하는 가상 콘텐츠 제공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상 콘텐츠 제공 장치는
상기 실제 사물과 상기 어느 하나의 가상 콘텐츠를 매칭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가상 콘텐츠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제 사물의 사용성을 증강하는 가상 콘텐츠 제공 장치.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가상 콘텐츠 검색부는
상기 가상 콘텐츠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어느 하나의 가상 콘텐츠가 검색되지 않는 경우에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외부 서비스에서 상기 어느 하나의 가상 콘텐츠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제 사물의 사용성을 증강하는 가상 콘텐츠 제공 장치. -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가상 콘텐츠 검색부는
상기 외부 서비스에서 상기 어느 하나의 가상 콘텐츠를 획득한 경우에, 상기 어느 하나의 가상 콘텐츠와 상기 실물정보를 연동하여 상기 가상 콘텐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제 사물의 사용성을 증강하는 가상 콘텐츠 제공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출력 모듈은
상기 출력 모듈에 상응하는 투사 영역 내에 상기 실제 사물 및 상기 환경 정보가 모두 포함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제 사물의 사용성을 증강하는 가상 콘텐츠 제공 장치. - 입력 모듈을 통해 실제 사물에 상응하는 실물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실물 정보를 기반으로 어느 하나의 가상 콘텐츠를 검색하고, 출력 모듈을 통해 상기 어느 하나의 가상 콘텐츠에 상응하는 가상 인터페이스를 상기 실제 사물에 투사하는 단계;
상기 입력 모듈을 기반으로 상기 가상 인터페이스 상에서의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에 상기 어느 하나의 가상 콘텐츠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한 가상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출력 모듈을 통해 상기 가상 정보를 상기 실물 정보에 상응하게 투사하여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 모듈은
함께 배치된 거울을 기반으로 상기 가상 인터페이스나 상기 가상 정보가 투사되는 투사면과 일정한 거리를 확보하되, 상기 거울은 상기 출력 모듈에 상응하는 투사 영역이 직사각형으로 유지되도록 각도를 계산하여 배치되고,
상기 실물 정보는
상기 실제 사물의 종류 및 형태 중 적어도 하나에 상응하는 사물 정보 및 상기 투사영역 내에서 상기 실제 사물에 상응하는 환경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환경 정보는
상기 투사 영역 내에서의 상기 실제 사물 이외의 사물들의 위치, 방위, 온도 및 조도를 포함하고,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투사영역 내에서 상기 환경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가상 정보를 투사하여 제공할 위치를 선정하고, 상기 환경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가상 콘텐츠를 상기 실제 사물의 환경에 상응하도록 디자인하여 상기 가상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제 사물의 사용성을 증강하는 가상 콘텐츠 제공 방법. -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어느 하나의 가상 콘텐츠에 상응하는 콘텐츠 로직으로 상기 사용자 입력을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콘텐츠 로직을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의한 다음 상태 정보를 상기 가상 정보로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제 사물의 사용성을 증강하는 가상 콘텐츠 제공 방법. - 삭제
-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가상 정보를 기반으로 호모그라피, 프로젝션 텍스처, 소리 및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생성된 상기 가상 정보에 상응하는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영상을 상기 실제 사물 및 상기 환경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상응하는 영역에 투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제 사물의 사용성을 증강하는 가상 콘텐츠 제공 방법. -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입력 모듈은
위치, 방위, 온도, 체온, 혈압, 길이 조도 및 RFID 중 적어도 하나에 상응하는 센서, 카메라 및 깊이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제 사물의 사용성을 증강하는 가상 콘텐츠 제공 방법. -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출력 모듈은
상기 가상 정보를 영상으로 투사할 수 있는 프로젝터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제 사물의 사용성을 증강하는 가상 콘텐츠 제공 방법. -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가상 콘텐츠 제공 방법은
상기 실제 사물과 상기 어느 하나의 가상 콘텐츠를 매칭하여 가상 콘텐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및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제 사물의 사용성을 증강하는 가상 콘텐츠 제공 방법. -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투사하는 단계는
상기 가상 콘텐츠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어느 하나의 가상 콘텐츠가 검색되지 않는 경우에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외부 서비스에서 상기 어느 하나의 가상 콘텐츠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제 사물의 사용성을 증강하는 가상 콘텐츠 제공 방법. -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투사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서비스에서 상기 어느 하나의 가상 콘텐츠를 획득한 경우에, 상기 어느 하나의 가상 콘텐츠와 상기 실물정보를 연동하여 상기 가상 콘텐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제 사물의 사용성을 증강하는 가상 콘텐츠 제공 방법. -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출력 모듈은
상기 출력 모듈에 상응하는 투사 영역 내에 상기 실제 사물 및 상기 환경 정보가 모두 포함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제 사물의 사용성을 증강하는 가상 콘텐츠 제공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15/239,037 US20170053449A1 (en) | 2015-08-19 | 2016-08-17 | Apparatus for providing virtual contents to augment usability of real object and method us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50116923 | 2015-08-19 | ||
KR1020150116923 | 2015-08-19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22860A KR20170022860A (ko) | 2017-03-02 |
KR102175519B1 true KR102175519B1 (ko) | 2020-11-06 |
Family
ID=58426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68861A Active KR102175519B1 (ko) | 2015-08-19 | 2016-06-02 | 실제 사물의 사용성을 증강하는 가상 콘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75519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577287A (zh) * | 2017-08-30 | 2018-01-12 | 华唐智造科技(北京)有限公司 | 一种ar一体机 |
KR102103399B1 (ko) * | 2018-11-30 | 2020-04-23 | (주)익스트리플 | 인공지능 기반 사물인식을 활용한 가상 증강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20038629A1 (en) | 2008-11-13 | 2012-02-16 | Queen's University At Kingston |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ing Gaze Tracking with Virtual Reality or Augmented Reality |
US20140063055A1 (en) | 2010-02-28 | 2014-03-06 | Osterhout Group, Inc. | Ar glasses specific user interface and control interface based on a connected external device type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86525B1 (ko) | 2005-02-21 | 2007-02-26 | 한국정보통신대학교 산학협력단 | 증강 현실 구현을 위한 프로젝터 카메라 시스템 및 포커싱방법 |
-
2016
- 2016-06-02 KR KR1020160068861A patent/KR102175519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20038629A1 (en) | 2008-11-13 | 2012-02-16 | Queen's University At Kingston |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ing Gaze Tracking with Virtual Reality or Augmented Reality |
US20140063055A1 (en) | 2010-02-28 | 2014-03-06 | Osterhout Group, Inc. | Ar glasses specific user interface and control interface based on a connected external device typ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22860A (ko) | 2017-03-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2236550B2 (en) | Object creation with physical manipulation | |
US20170053449A1 (en) | Apparatus for providing virtual contents to augment usability of real object and method using the same | |
WO2021073268A1 (zh) | 一种增强现实数据呈现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 |
TWI534654B (zh) | 用於在一頭部安裝裝置上選擇一擴充實境物件之方法及電腦可讀媒體與用於選擇一擴充實境物件之頭部安裝裝置 | |
Ha et al. | Digilog book for temple bell tolling experience based on interactive augmented reality | |
Margetis et al. | Augmented interaction with physical books in an Ambient Intelligence learning environment | |
US10762706B2 (en) | Image management device, image management method, image management program, and presentation system | |
CN111160333A (zh) | Ar眼镜及其文本翻译方法、装置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 |
CN113950822A (zh) | 实体活动表面的虚拟化 | |
US20240134499A1 (en) | Image template-based ar form experiences | |
KR102175519B1 (ko) | 실제 사물의 사용성을 증강하는 가상 콘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 |
US20150138077A1 (en) | Display system and display controll device | |
US10915778B2 (en) | User interface framework for multi-selection and operation of non-consecutive segmented information | |
CN113867875A (zh) | 标记对象的编辑及显示方法、装置、设备、存储介质 | |
US20240185546A1 (en) | Interactive reality computing experience using multi-layer projections to create an illusion of depth | |
US20230334791A1 (en) | Interactive reality computing experience using multi-layer projections to create an illusion of depth | |
US20230334790A1 (en) | Interactive reality computing experience using optical lenticular multi-perspective simulation | |
TWI566126B (zh) | 從影像發展出脈絡資訊之技術 | |
US20230334792A1 (en) | Interactive reality computing experience using optical lenticular multi-perspective simulation | |
JP7396326B2 (ja) |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
Carmigniani | Augmented reality methods and algorithms for hearing augmentation | |
KR102836545B1 (ko) | 물리적 조작을 사용한 오브젝트 생성 | |
WO2023205145A1 (en) | Interactive reality computing experience using multi-layer projections to create an illusion of depth | |
WO2024039887A1 (en) | Interactive reality computing experience using optical lenticular multi-perspective simulation | |
WO2023215637A1 (en) | Interactive reality computing experience using optical lenticular multi-perspective simula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602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061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6060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9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3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10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11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11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0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