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4514B1 - Air conditioning system - Google Patents
Air conditioning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74514B1 KR102174514B1 KR1020180154222A KR20180154222A KR102174514B1 KR 102174514 B1 KR102174514 B1 KR 102174514B1 KR 1020180154222 A KR1020180154222 A KR 1020180154222A KR 20180154222 A KR20180154222 A KR 20180154222A KR 102174514 B1 KR102174514 B1 KR 10217451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take hole
- accumulator
- air
- fan
- compression modu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0—Electric components for separate outdoor units
- F24F1/24—Cooling of electric compone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6—Refrigerant piping
- F24F1/30—Refrigerant piping for use inside the separate outdoor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축 모듈의 컨트롤 박스 내부를 압축기 석션튜브과 어큐물레이터 석션튜브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냉각할 수 있는 공기조화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실내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실내기와, 실외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열교환 모듈과, 실내기 및 열교환 모듈과 각각 연결된 압축 모듈을 포함하고, 압축 모듈은 압축기와, 압축기와 압축기 석션튜브로 연결된 어큐뮬레이터와, 어큐물레이터와 어큐물레이터 석션튜브로 연결된 사방밸브와, 회로기판이 설치되고 공기가 흡입되는 흡기공이 형성된 컨트롤 박스와, 흡기공을 통해 컨트롤 박스 내부로 공기를 송풍하는 팬을 포함하며, 압축기 석션튜브과 어큐물레이터 석션튜브 중 적어도 하나는 흡기공을 향하는 흡기공 대향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conditioning system capable of efficiently cooling the inside of a control box of a compression module using at least one of a compressor suction tube and an accumulator suction tube, and an indoor unit including an indoor heat exchanger and an outdoor heat exchanger are provided. A heat exchange module including a heat exchange module and a compression module connected to the indoor unit and the heat exchange module, respectively, wherein the compression module includes a compressor, an accumulator connected to the compressor and a compressor suction tube, a four-way valve connected to the accumulator and the accumulator suction tube, A circuit board is installed and a control box with an intake hole for inhaling air is formed, and a fan for blowing air into the control box through the intake hole, and at least one of the compressor suction tube and the accumulator suction tube is intake air toward the intake hole. It may include a ball facing por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공기조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기와, 열교환 모듈과 압축 모듈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door unit, an air conditioner including a heat exchange module and a compression module.
공기조화기는 냉매의 압축, 응축, 팽창 및 증발과정을 수행하는 냉매 사이클을 적용하여 공기를 조화하는 것이다.The air conditioner harmonizes air by applying a refrigerant cycle that compresses, condenses, expands, and evaporates the refrigerant.
공기조화기는 실내기와 실외기의 분리 여부에 따라, 실내기와 실외기가 각각 분리된 분리형 공기조화기와, 실내기와 실외기가 하나의 장치로 결합된 일체형 공기조화기로 구분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may be classified as a separate air conditioner in which the indoor and outdoor unit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an integrated air conditioner in which the indoor and outdoor units are combined into one device, depending on whether the indoor unit and the outdoor unit are separated.
실외기는 압축기와 실외열교환기 및 실외팬을 포함할 수 있고, 압축기의 구동시 냉매가 실외열교환기로 유동되어 실외열교환기에서 응축될 수 있다. The outdoor unit may include a compressor, an outdoor heat exchanger, and an outdoor fan, and when the compressor is driven, a refrigerant may flow to the outdoor heat exchanger and condensate in the outdoor heat exchanger.
실내기는 실내열교환기와 실내팬을 포함할 수 있고, 냉매는 실내열교환기에서 증발될 수 있고, 실내팬에 의해 유동된 공기는 실내열교환기에 의해 냉각된 후 실내로 토출될 수 있다. The indoor unit may include an indoor heat exchanger and an indoor fan, and the refrigerant may be evaporated in the indoor heat exchanger, and the air flowing by the indoor fan may be cooled by the indoor heat exchanger and then discharged into the room.
실외기는 옥상이나 베란다나 실외 받침대나 기계실 등에 설치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실외기에 다수의 실내기가 연결될 수 있고, 이 경우 실외기는 그 크기가 클 수 있다. The outdoor unit can be installed on the roof, veranda, outdoor pedestal or machine room. In the air conditioner, a plurality of indoor units may be connected to the outdoor unit, and in this case, the outdoor unit may have a large size.
실외기의 크기가 큰 경우, 공기조화기의 설치가 용이하지 않고, 특히 실외기가 설치될 공간이 협소한 경우, 크기가 큰 실외기를 협소한 공간에 설치하기 용이하지 않고, 실외기 주변의 공간 활용도가 낮은 문제점이 있고, 이 경우 실외기를 실외연교환기를 포함하는 열교환 모듈과, 압축기를 포함하는 압축 모듈로 구분할 수 있다.When the size of the outdoor unit is large, it is not easy to install the air conditioner. In particular, when the space to install the outdoor unit is narrow, it is not easy to install the large outdoor unit in a narrow space, and the space utilization around the outdoor unit is low. There is a problem, and in this case, the outdoor unit can be divided into a heat exchange module including an outdoor combustion exchanger and a compression module including a compressor.
본 발명은 압축 모듈의 컨트롤 박스 내부를 압축기 석션튜브과 어큐물레이터 석션튜브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냉각할 수 있는 공기조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conditioning system capable of efficiently cooling the inside of a control box of a compression module using at least one of a compressor suction tube and an accumulator suction tub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 시스템은 실내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실내기와, 실외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열교환 모듈과, 실내기 및 열교환 모듈과 각각 연결된 압축 모듈을 포함하고, 압축 모듈은 압축기와, 압축기와 압축기 석션튜브로 연결된 어큐뮬레이터와, 어큐물레이터와 어큐물레이터 석션튜브로 연결된 사방밸브와, 회로기판이 설치되고 공기가 흡입되는 흡기공이 형성된 컨트롤 박스와, 흡기공을 통해 컨트롤 박스 내부로 공기를 송풍하는 팬을 포함하며, 압축기 석션튜브과 어큐물레이터 석션튜브 중 적어도 하나는 흡기공을 향하는 흡기공 대향부를 포함할 수 있다.An air conditio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door unit including an indoor heat exchanger, a heat exchange module including an outdoor heat exchanger, and a compression module connected to the indoor unit and the heat exchange module, respectively, and the compression module includes a compressor, a compressor and a compressor. An accumulator connected by a suction tube, a four-way valve connected by an accumulator and an accumulator suction tube, a control box with a circuit board installed and an intake hole for inhaling air, and a control box that blows air into the control box through the intake hole. It includes a fan, and at least one of the compressor suction tube and the accumulator suction tube may include an intake hole facing portion facing the intake hole.
흡기공 대향부는 적어도 1회 절곡될 수 있다.The intake hole facing portion may be bent at least once.
회로기판에 열적으로 접촉된 방열판을 더 포함하고, 흡기공 대향부는 수평방향으로 팬의 입구를 향할 수 있다.A heat sink in thermal contact with the circuit board may be further included, and the intake hole facing portion may face the inlet of the fan in a horizontal direction.
방열판은 수평방향으로 팬의 출구를 향할 수 있다.The heat sink can face the fan outlet in a horizontal direction.
팬은 방열판과 흡기공 대향부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The fan may be located between the heat sink and the opposite portion of the intake hole.
컨트롤 박스는 하판 또는 후판에 컨트롤 박스 외부로 공기가 배기되는 배기공이 형성될 수 있다.The control box may have an exhaust hole through which air is exhausted to the outside of the control box in the lower or rear panel.
어큐물레이터는 상부에 어큐물레이터 석션 튜브가 연결되는 튜브 연결부가 형성되고, 튜브 연결부의 높이 및 사방밸브의 높이는 흡기공의 높이 보다 낮고, 어큐뮬레이터 석션튜브는 수평방향으로 흡기공을 향하지 않는 한 쌍의 비대향부를 포함하고, 흡기공 대향부은 한 쌍의 비대향부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The accumulator has a tube connection on which the accumulator suction tube is connected, the height of the tube connection and the height of the four-way valve are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intake hole, and the accumulator suction tube is a pair that does not face the intake ho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cluding a non-facing portion of the intake hole may be formed between the pair of non-facing portions.
팬은 허브와, 허브의 외둘레 형성된 복수개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흡기공 대향부는 적어도 2개의 블레이드를 향할 수 있다.The fan includes a hub and a plurality of blades formed around the hub, and an intake hole facing portion may face at least two blades.
압축 모듈은 압축기와 어큐뮬레이터와, 사방밸브와, 컨트롤 박스와, 팬을 수용하는 밀폐공간이 형성된 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컨트롤 박스 내부에는 회로기판이 수용되는 회로기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팬은 공기를 회로기판 수용공간과 밀폐공간으로 순환시킬 수 있다.The compression module further includes a case in which a closed space accommodating a compressor and an accumulator, a four-way valve, a control box, and a fan is formed, and a circuit board accommodating space is formed inside the control box, and the fan is air Can be circulated into the circuit board receiving space and the enclosed spac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저온 냉매가 흐르는 압축기 석션튜브 또는 어큐물레이터 석션튜브가 컨트롤 박스 내부로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공을 향하므로, 공기가 압축기 석션튜브나 어큐물레이터 석션튜브에 의해 냉각된 후 컨트롤 박스 내부로 유입될 수 있고, 컨트롤 박스 내부를 신속하게 공냉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mpressor suction tube or accumulator suction tube through which the low-temperature refrigerant flows is directed toward the suction hole through which air is sucked into the control box, the air is cooled by the compressor suction tube or the accumulator suction tube. It can flow into the inside of the control box after it is made, and it can quickly air-cool the inside of the control box.
이 경우, 압축 모듈 내부에 별도의 열교환기를 구비하지 않아도 저온 냉매가 흐르는 냉매 배관을 통해 컨트롤 모듈을 냉각시킬 수 있으므로, 부품수를 최소화하고,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this case, since the control module can be cooled through a refrigerant pipe through which a low-temperature refrigerant flows without having a separate heat exchanger inside the compression module, there is an advantage of minimizing the number of parts and simplifying the structure.
또한, 압축 모듈 내부에서 공기를 순환시키므로 압축 모듈 케이싱에 별도의 흡기공이나 배기공이 필요하지 않고, 압축기 등에 의한 소음이 외부로 방사되는 경우를 최소화하고, 압축 모듈 내 부품을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air is circulated inside the compression module, a separate intake hole or exhaust hole is not required in the compression module casing, and noise from the compressor, etc. is minimized to the outside, and the components inside the compression module can be protected from the outside. There is an advantage.
또한, 압축 모듈 내부가 외부와 차단되어, 압축 모듈 내부로 외기가 흡입될 경우 보다 압축 모듈 내부의 온도 변화가 최소화될 수 있고, 냉매 사이클이 안정화되며 성능이 일정하여 신뢰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inside of the compression module is blocked from the outside, the temperature change inside the compression module can be minimized, the refrigerant cycle is stabilized, and the performance is constant, thereby improving reliability.
또한, 압축 모듈 내부로 외기 및 이물질 유입이 차단되어, 압축 모듈 내부가 청결하게 유지될 수 있다.In addition, external air and foreign matter inflow into the compression module is blocked, so that the inside of the compression module can be kept clea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압축 모듈과 열교환 모듈의 다양한 조합 예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압축 모듈의 내부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압축 모듈의 내부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트롤 박스와 흡기공 흡기공 대향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various combinations of a compression module and a heat exchange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ront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compressio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ide view showing the inside of a compressio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ontrol box and an intake hole facing an intake h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ogether with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가 도시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압축 모듈과 열교환 모듈의 다양한 조합 예가 도시된 사시도이다.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compres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various examples of combinations of the module and the heat exchange modul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압축 모듈(1)과, 열교환 모듈(5)과,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6)를 포함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압축 모듈(1)은 냉매를 압축하고, 열교환 모듈(5)은 냉매를 실외공기와 열교환하고, 실내기(6)는 냉매를 실내 공기와 열교환할 수 있다.The
압축 모듈(1)은 냉매를 흡입하여 압축한 후 토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압축기(11)를 포함할 수 있다.The
압축 모듈(1)은 압축기(11)에 연결되어 냉매가 압축기(11)로 흡입되게 안내하는 압축기 석션튜브(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압축 모듈(1)은 압축기(11)에 연결되어 압축기(11)에서 토출된 냉매가 안내되는 압축기 토출유로(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압축 모듈(1)은 압축기 석션튜브(12)에 연결된 어큐물레이터(13)와, 압축기 토출유로(14)에 연결된 오일분리기(15)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오일분리기(15)에는 냉매와 분리된 오일을 압축기 석션튜브(12) 또는 어큐물레이터(13)로 회수하는 오일회수유로(15A)가 연결될 수 있다. The
압축 모듈(1)은 냉방 전용으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고, 냉방 및 난방 겸용으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압축 모듈(1)이 냉방 및 난방 겸용으로 구성될 경우, 압축 모듈(1)은 냉방운전과 난방운전을 절환할 수 있는 사방밸브(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방밸브(16)는 냉난방절환밸브일 수 있다. The
사방밸브(16)는 오일분리기(15)와 오일분리기 연결유로(17)로 연결될 수 있다. 사방밸브(16)는 어큐물레이터(13)와 어큐물레이터 석션튜브(18)로 연결될 수 있다. The four-
냉난방 절환밸브(16)에는 오일분리기 연결유로(17) 및 어큐물레이터 석션튜브(18) 이외에 2개의 유로(19)(20)가 더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2개의 유로(19)(20) 각각은 냉난방 절환밸브(16)에 의해 오일분리기 연결유로(17)와 어큐물레이터 석션튜브(18) 각각과 연통될 수 있다. 한편, 2개의 유로(19)(20)는 냉난방 절환밸브(16)에 의해 서로 연통되지 않을 수 있다. 이하, 2개의 유로(19)(20)를 제1유로(19)와, 제2유로(20)로 칭하여 설명한다.In addition to the oil
사방밸브(16)는 오일분리기 연결유로(17)를 제1유로(19)와 연통시키고, 어큐물레이터 석션튜브(18)를 제2유로(20)와 연통시키는 제1 모드를 갖을 수 있다. The four-
여기서, 제1 모드는 오일분리기(15)에서 유출된 냉매를 제1유로(19)를 통해 후술하는 열교환 모듈(5)로 유동시키고, 후술하는 실내기(6)에서 제2유로(20)로 유동된 냉매를 어큐물레이터 석션튜브(18)로 안내하는 모드일 수 있다. Here, in the first mode, the refrigerant leaked from the
사방밸브(16)는 오일분리기 연결유로(17)를 제2유로(20)와 연통시키고, 어큐물레이터 석션튜브(18)를 제1유로(19)와 연통시키는 제2 모드를 갖을 수 있다.The four-
그리고, 제2 모드는 오일분리기(15)에서 유출된 냉매를 제2유로(20)를 통해 실내기(6)로 유동시키고, 열교환 모듈(5)에서 제1유로(19)를 통해 유동된 냉매를 어큐물레이터 석션튜브(18)로 안내하는 모드일 수 있다.In the second mode, the refrigerant flowing out of the
제1 모드는 열교환 모듈(5)에서 냉매를 응축시키고, 실내기(6)에서 냉매를 증발시키는 냉방운전의 모드일 수 있고, 제2 모드는 실내기(6)에서 냉매를 응축시키고 열교환 모듈(5)에서 냉매를 증발시키는 난방운전의 모드일 수 있다. The first mode may be a mode of cooling operation in which the refrigerant is condensed in the
압축 모듈(1)은 액냉매가 통과할 수 있는 액관(21)(2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액관(21)(22)은 압축 모듈(1) 내부에서 오일분리기 연결유로(17)와, 어큐물레이터 석션튜브(18)와, 제1유로(19) 및 제2유로(20)와 직접 연결되지 않게 구성될 수 있다. The
액관(21)(22)에는 서브 쿨러(23)가 장착될 수 있다. 액관(21)(22)은 서브쿨러(23)를 기준으로 2개의 액관(21)(22)으로 나뉠 수 있다. 서브쿨러(23)는 제1액관(21)과 제2액관(22) 사이에 배치되어 제1액관(21) 또는 제2액관(22)에서 유입된 냉매가 통과하는 제1서브쿨러유로(24)와, 제1서브쿨러유로(24)의 냉매를 과냉시키기 위한 냉매가 통과하는 제2서브쿨러유로(2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액관(21)과 제2액관(22) 중 어느 하나에는 제1서브쿨러유로(24)를 통과한 냉매가 바이패스되는 바이패스 유로(26)가 연결될 수 있고, 바이패스 유로(26)는 일단이 제1액관(21)과 제2액관(22) 중 하나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2서브쿨러유로(25)에 연결될 수 있다. 바이패스 유로(26)에는 바이패스 유로(26)를 통과하는 냉매를 팽창시키는 과냉각 팽창기구(27)가 설치될 수 있다. 과냉각 팽창기구(27)는 개도가 조절될 수 있는 전자팽창밸브로 구성될 수 있다. The
한편, 서브쿨러(23)에는 제2서브쿨러유로(25)의 냉매를 어큐물레이터 석션튜브(18) 또는 어큐물레이터(13)로 안내하는 서브쿨러 출구유로(28)가 연결될 수 있다. Meanwhile, the
압축 모듈(1)은 후술하는 열교환 모듈(5)과 연결되기 위한 2개의 서비스밸브(31)(33)와, 실내기(6)와 연결되기 위한 2개의 서비스밸브(32)(34)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압축 모듈(1)은 제1유로(19)가 연결되는 제1서비스 밸브(31)와, 제2유로(20)가 연결되는 제2서비스 밸브(32)와, 제1액관(21)이 연결되는 제3서비스 밸브(33)와, 제2액관(22)이 연결되는 제4서비스 밸브(34)를 포함할 수 있다.The
압축 모듈(1)은 압축 모듈(1)의 외관을 형성하고 내부에 밀폐공간(39)이 형성된 압축 모듈 케이싱(40)을 포함할 수 있다. The
압축 모듈 케이싱(40)은 전, 후, 좌, 우, 상, 하면 각각이 막힌 형상일 수 있고, 압축 모듈 케이싱(40)의 내부에는 밀폐된 밀폐공간(39)이 형성될 수 있다. The
압축 모듈 케이싱(40)의 내부에 형성된 밀폐공간(39)은 압축기(11)와, 압축기 석션튜브(12)와, 어큐물레이터(13)와, 압축기 토출유로(14)와, 오일분리기(15)와, 오일회수유로(15A)와, 사방밸브(16)와, 오일분리기 연결유로(17)와, 어큐물레이터 석션튜브(18)와, 제1유로(19)와, 제2유로(20)와, 제1액관(21)와 제2액관(22)와, 서브쿨러(23)와, 바이패스 유로(26)와, 과냉각 팽창기구(27) 및 서브쿨러 출구유로(28)가 수용되는 기계실일 수 있다. The
압축 모듈(1)은 압축기 토출유로(14)에 설치된 고압센서(41)와, 제2액관(22)에 설치된 액관온도센서(42)를 포함할 수 있다. 압축 모듈(1)은 어큐물레이터 석션튜브(18)에 설치된 저온센서(4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한편, 압축 모듈(1)은 냉방 전용으로 구성될 경우, 사방밸브(16) 없이,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유로(19)가 오일분리기(15)에 연결되어 오일분리기 연결유로의 기능을 할 수 있고, 제2유로(20)가 어큐물레이터(13)에 연결되어 어큐물레이터 연결유로의 기능을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압축 모듈(1)은 실외 열교환기(51) 및 실외팬(52)를 포함하지 않는다.The
실외 열교환기(51) 및 실외팬(52)은 열교환 모듈(5)에 구비될 수 있고, 압축 모듈(1)은 열교환 모듈(5)에 연결될 수 있다.The
열교환 모듈(5)는 압축 모듈(1)에서 유동된 냉매를 실외공기와 열교환시키는 공기-냉매 열교환기(이하, 실외 열교환기라 칭함)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고, 압축 모듈(1)에서 유동된 냉매를 물 등의 열매체와 열교환시키는 물-냉매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
이하, 본 실시 예에서는 열교환 모듈(5)이 압축 모듈(1)에서 유동된 냉매를 실외공기와 열교환시키는 실외 열교환기(51)와, 실외공기를 실외열교환기(51)로 송풍하는 실외팬(52)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열교환 모듈(5)은 압축 모듈 케이싱(40)과 별도로 구성된 열교환 케이싱(5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압축 모듈 케이싱(40)과 열교환 케이싱(53) 각각은 저면이 막힌 형상일 수 있다. Each of the
압축 모듈 케이싱(40)은 압축 모듈(1)의 저면 외관을 형성하는 압축 모듈 베이스(40A)를 포함할 수 있다. 압축 모듈 베이스(40A)에는 압축 모듈 베이스(40A)를 지면과 이격시킬 수 있는 지지 브래킷(40B)이 설치될 수 있다. The
열교환 케이싱(53)은 열교환 모듈(5)의 저면 외관을 형성하는 열교환 모듈 베이스(53A)를 포함할 수 있다. 열교환 모듈 베이스(53A)에는 열교환 모듈 베이스(53A)를 지면 또는 압축 모듈 케이싱(40)과 이격시킬 수 있는 지지 브래킷(53B)이 설치될 수 있다. The
압축 모듈 케이싱(40)과 열교환 케이싱(53)은 둘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의 상측에 올려질 수 있고, 둘 중 어느 하나의 상면은 막힌 형상일 수 있다. Any one of the
예를 들어, 열교환 케이싱(53)은 압축 모듈 케이싱(40)의 상부에 올려질 수 있고, 이 경우, 압축 모듈 케이싱(40)은 상면이 막힌 형상일 수 있고, 압축 모듈 케이싱(40)은 판체 형상의 탑 커버(40C)를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다른 예로, 압축 모듈 케이싱(40)은 열교환 케이싱(53)의 상부에 올려질 수 있고, 이 경우, 열교환 케이싱(53)은 상면이 막힌 형상일 수 있고, 열교환 케이싱(53)은 판체 형상의 탑 커버(53C)를 포함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열교환 케이싱(53)은 실외공기가 유입 및 출입될 수 있게 형성될 수 있다. 열교환 케이싱(53)에는 실외 공기가 흡입되는 실외공기 흡입구(57)와, 실외 열교환기(51)와 열교환된 실외 공기가 열교환 케이싱(53) 외부로 토출되는 실외공기 토출구(58)가 형성될 수 있다. 열교환 케이싱(53)은 실외공기 흡입구(57)를 갖는 실외흡입그릴을 포함할 수 있다. 열교환 케이싱(53)은 실외공기 토출구(58)를 갖는 실외토출그릴을 포함할 수 있다. The
열교환 모듈(5)은 압축 모듈(1)과 복수개의 연결유로(54)(55)로 연결될 수 있다.The
열교환 모듈(5)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 모듈(1)과 이격된 상태에서 압축 모듈(1)과 냉매를 주고 받는 것이 가능하다. As shown in FIG. 2, the
열교환 모듈(5A)(5B)(5C)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 모듈(1)과 접촉되게 배치된 상태에서 압축 모듈(1)과 냉매를 주고 받는 것이 가능하다.The
열교환 모듈(5)은 실외 열교환기(51)와 제1유로(19)를 연결되는 제1유로 연결유로(54)와, 제1액관(21)과 연결되는 제1액관 연결유로(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제1유로 연결유로(54)는 제1서비스 밸브(31)에 연결될 수 있고, 제1액관 연결유로(55)는 제3서비스 밸브(33)에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flow channel
제1액관 연결유로(55)에는 냉매를 팽창시키는 실외팽창기구(56)이 설치될 수 있다. 실외팽창기구(56)는 개도가 가변될 수 있는 전자팽창밸브로 구성될 수 있다.An
공기조화기는 압축 모듈(1)과 열교환 모듈(5)을 함께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공기조화기는 실내를 난방시키거나 냉방시키는 공기조화기로 사용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가 공기조화기로 사용될 경우, 공기조화기는 실내를 냉방시키거나 난방시키는 실내기(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air conditioner may include a
실내기(6)는 공조시키고자 하는 실내에 설치되어 실내의 공기를 직접 흡인하여 실내로 냉기 또는 온기를 토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내기(6)는 공조시키고 하는 실내와 덕트로 연결되어 덕트를 통해 실내로 냉기 또는 온기를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실내기(6)는 냉매를 실내공기와 열교환시키는 실내열교환기(61)와, 실내열교환기(61)로 실내공기를 송풍하는 실내팬(6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실내기(6)는 압축 모듈(1)과 복수개의 연결유로(64)(65)로 연결될 수 있다. The
실내기(6)는 압축 모듈(1)과 이격된 상태에서 압축 모듈(1)과 냉매를 주고 받는 것이 가능하다. 압축 모듈(1)은 냉매 유동 방향으로 실내기(6)와 열교환 모듈(5)의 사이에서 냉매를 전달할 수 있다. The
실내기(6)는 실내 열교환기(61) 및 제2유로(20)와 연결되는 제2유로 연결유로(64)와, 제2액관(22)과 연결되는 제2액관 연결유로(6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제2유로 연결유로(64)는 제2서비스 밸브(32)에 연결될 수 있고, 제2액관 연결유로(65)는 제4서비스 밸브(34)에 연결될 수 있다.The second flow path
제2액관 연결유로(65)에는 냉매를 팽창시키는 실내팽창기구(66)이 설치될 수 있다. 실내팽창기구(56)는 개도가 가변될 수 있는 전자팽창밸브로 구성될 수 있다.An
실내기(6)는 실내열교환기(61), 실내팬(62) 및 실내팽창기구(66)이 수용되는 실내기 케이싱(6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실내기 케이싱(63)에는 실내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 흡입구(67)가 형성될 수 있다. 실내기 케이싱(63)에는 공기 흡입구(67)로 흡입된 후 실내 열교환기(61)와 열교환된 실내 공기가 실내기 케이싱(63) 외부로 토출되는 공기 토출구(68)가 형성될 수 있다. The
실내기(6)는 복수개가 압축 모듈(1)에 연결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압축 모듈(1)과 열교환 모듈(5)은 둘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의 위에 올려져 사용되는 것이 가능하다. 압축 모듈(1)은 아래에 배치될 수 있고, 열교환 모듈(5)은 압축 모듈(1)의 위에 올려질 수 있다. The
한편, 압축 모듈(1)과 열교환 모듈(5)는 둘 중 하나가 다른 하나의 옆에 근접하게 배치되어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Meanwhile, one of the
상기와 같이, 압축 모듈(1)과 열교환 모듈(5)는 둘 중 하나가 다른 하나의 위 또는 옆에 근접하게 배치되어 사용될 경우, 압축 모듈(1)과 열교환 모듈(5)은 베란다에 함께 배치되어 사용되거나 옥상이나 베란다 외부의 실외에 함께 배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when one of the
압축 모듈(1)과 열교환 모듈(5)은 열교환 모듈(5)만 옥상이나 베란다 외부의 실외에 배치되고, 압축 모듈(1)이 실내나 베란다 등과 같이, 그 서비스가 용이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상대적으로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열교환 모듈(5)이 압축 모듈(1)과 근접하게 위치될 필요가 없으므로, 공기조화기의 설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In the
한편, 압축 모듈(1)은 열교환 모듈(5)과 냉매가 통과하는 냉매유로 즉, 제1유로 연결유로(54) 및 제1액관 연결유로(55)로 연결되고, 공기가 안내되는 별도의 덕트로 연결되지 않기 때문에, 보다 다양한 구조의 열교환 모듈(5)이 사용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the
한편, 공기조화기는 부하의 크기에 따라 압축 모듈(1)과 연결되는 열교환 모듈이 상이할 수 있다. Meanwhile, in the air conditioner, the heat exchange module connected to the
열교환 모듈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크기의 열교환 모듈(5A)(5B)(5C)이 선택적으로 압축 모듈(1)에 연결될 수 있다. In the heat exchange module, as shown in FIG. 3,
실내기(6)가 공조시키는 실내의 크기가 '소'일 경우, 압축 모듈(1)은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기가 작은 소형 열교환 모듈(5A)에 연결될 수 있다. When the size of the room air-conditioned by the
한편, 실내기(6)가 공조시키는 실내의 크기가 '중'일 경우, 압축 모듈(1)은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형 열교환 모듈(5A) 보다 크기가 큰 중형 열교환 모듈(5B)에 연결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size of the room air-conditioned by the
그리고, 실내기(6)가 공조시키는 실내의 크기가 '대'일 경우, 압축 모듈(1)은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형 열교환기 모듈(5B) 보다 크기가 더 큰 대형 열교환 모듈(5C)에 연결될 수 있다. And, when the size of the room air-conditioned by the
크기가 상이한 열교환 모듈(5A)(5B)(5C)은 그 바닥면적이 동일하고 그 각각의 높이만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개의 열교환 모듈(5A)(5B)(5C) 실외 열교환기(51)의 높이 및 열교환 케이싱(53)의 높이 각각이 타 열교환 모듈과 상이할 수 있다.
소형 열교환 모듈(5A)는 높이가 낮은 실외열교환기 및 열교환 케이싱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mall
중형 열교환 모듈(5B)는 소형 열교환 모듈(5A)의 실외열교환기 보다 높이가 높은 실외열교환기를 포함할 수 있고, 소형 열교환 모듈(5A)의 열교환 케이싱 보다 높이가 낮은 열교환 케이싱을 포함할 수 있다.The medium-sized
그리고, 대형 열교환 모듈(5C)는 중형 열교환 모듈(5B)의 실외 열교환기 보다 높이가 높은 실외열교환기를 포함할 수 있고, 중형 열교환 모듈(5B)의 열교환 케이싱 보다 높이가 높은 열교환 케이싱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arge
한편, 본 실시 예는 하나의 열교환 모듈이 하나의 압축 모듈(1)과 연결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한 경우, 2대 이상의 열교환 모듈이 하나의 압축 모듈(1)에 연결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 경우, 2대 이상의 열교환 모듈은 하나의 압축 모듈(1)에 병렬로 연결될 수 있고, 2대 이상의 열교환 모듈의 제1유로 연결유로(54) 및 제1액관 연결유로(55)은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2대 이상의 열교환 모듈은 상하방향으로 적층되게 배치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one heat exchange module connected to one compression module (1), if necessary, it is of course possible to connect two or more heat exchange modules to one compression module (1). . In this case, two or more heat exchange modules may be connected in parallel to one
한편, 본 실시 예는 압축 모듈(1)의 하나에 적어도 하나의 열교환모듈이 연결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압축 모듈(1)의 복수개가 상하 방향으로 적층되어 사용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Meanwhile,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connecting at least one heat exchange module to one of the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압축 모듈의 내부가 도시된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압축 모듈의 내부가 도시된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트롤 박스와 흡기공 흡기공 대향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4 is a front view showing the interior of the compressio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ide view showing the interior of the compressio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trol box and an intake hole opposite to the intake hole.
압축 모듈 케이싱(40)의 내부에는 밀폐공간(39)이 형성될 수 있다. 밀폐공간(39)에는 압축기(11)와, 압축기 석션튜브(12)와, 어큐물레이터(13)와, 압축기 토출유로(14)와, 오일분리기(15)와, 오일회수유로(15A)와, 사방밸브(16)와, 오일분리기 연결유로(17)와, 어큐물레이터 석션튜브(18)와, 제1유로(19)와, 제2유로(20)와, 제1액관(21)와 제2액관(22)와, 서브쿨러(23)와, 바이패스 유로(26)와, 과냉각 팽창기구(27) 및 서브쿨러 출구유로(28) 전부 또는 적어도 일부와 컨트롤 박스(70) 및 팬(80)이 수용될 수 있다.A
압축 모듈 케이싱(40)은 서비스 밸브(31)(32)와, 서비스 밸브(31)(32)를 고정하는 브래킷(35)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여기서, 컨트롤 박스(70)는 공기조화 시스템을 제어하는 전장부품을 통칭할 수 있다. 컨트롤 박스(70)는 압축 모듈(1)과, 열교환 모듈(5)과, 실내기(6) 사이의 냉매 사이클을 제어하는 전장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 박스(70)는 내부에 회로기판(74), 통신 모듈(미도시) 등과 같은 전자 부품(75)을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한편, 전자 부품(75)은 동작시 열이 발생하여 컨트롤 박스(70) 내부 온도가 기준 온도 이상으로 상승할 경우 전자 부품(75) 각각이 이상 동작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컨트롤 박스(70) 내부 온도를 기준 온도 이하로 유지시키기 위한 방안이 요구된다.Meanwhile, when the
컨트롤 박스(70)는 내부에 회로기판(74)이 수용되는 회로기판 수용공간(79)이 형성될 수 있다. 회로기판 수용공간(79)은 후술하는 흡기공(71)과 배기공(72)을 통해 밀폐공간(39)과 연통될 수 있고, 밀폐공간(39)의 공기는 흡기공(71)을 통해 회로기판 수용공간(79)으로 유입될 수 있고, 배기공(72)을 통해 다시 밀폐공간(39)으로 배기될 수 있다.The
컨트롤 박스(70)는 컨트롤 박스(70) 내부 온도를 낮추기 위한 방열판(76)을 포함할 수 있다. 방열판(76)은 컨트롤 박스(70) 내부에 설치된 전자 부품(75)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 방열판(76)은 컨트롤 박스(70)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전자 부품(75)에 접촉되고, 전자 부품(75)에서 발생하는 열을 컨트롤 박스(70) 외부로 방출시킬 수 있다.The
특히, 방열판(76)은 회로기판(74)에 열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방열판(76)은 회로기판(74)에 접촉된 플레이트(77)와, 플레이트(77)에서 회로기판(74)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핀(78)을 포함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플레이트(77)는 일면이 회로기판(74)에 접촉되고, 핀(78)을 플레이트(77)의 타면에서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회로기판(74)에서 발생한 열은 플레이트(77)를 통해 핀(78)으로 전달될 수 있다. 즉, 플레이트(77)는 회로기판(74)에서 발생한 열을 방열판(76)으로 열전도시켜 회로기판(74)의 과열을 최소화할 수 있다.One side of the
방열판(76) 주변에는 컨트롤 박스(70)의 외부로 공기를 배기하는 배기공(72)이 형성될 수 있다.An
컨트롤 박스(70)에는 흡기공(71)과 배기공(72)이 형성될 수 있다. An
흡기공(71)은 컨트롤 박스(70) 내부로 공기를 흡입하고, 배기공(72)은 컨트롤 박스(70) 내부 공기를 압력 모듈(1)의 밀폐공간(39)으로 방출할 수 있다.The
흡기공(71)은 팬(80)의 입구(86) 및 출구(88)와 수평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흡기공(71)은 팬(80)에 의해 공기를 컨트롤 박스(70) 내부로 흡입할 수 있다.The
배기공(72)은 컨트롤 박스(70)의 하판 또는 컨트롤 박스(70)의 후판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컨트롤 박스(70)의 하판은 방열판(76) 하판일 수 있다.The
배기공(72)은 회로기판 수용공간(79)의 공기를 밀폐공간(39)으로 배기할 수 있다. The
흡기공(71) 및 배기공(72)을 통해 공기가 밀폐공간(39)과 회로기판 수용공간(79)을 사이를 이동하며 순환할 수 있고, 이 때 컨트롤 박스(70) 내부에서 발생할 회로기판 수용공간(79)의 열이 컨트롤 박스(70)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Through the
압축 모듈(1)은 컨트롤 박스(70) 내부 회로기판 수용공간(79)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팬(80)을 포함하고, 팬(80)은 컨트롤 박스(70)의 외면에 설치될 수 있다.The
팬(80)은 입구(86)가 밀폐공간(39)을 향하고, 출구(88)가 컨트롤 박스(70) 내부 회로기판 수용공간(79)을 향하게 배치될 수 있다. The
흡기공(71)은 팬(80)과 방열판(76)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팬(80)은 회로기판 수용공간(79)의 열을 밀폐공간(39)으로 방출시킴으로써 컨트롤 박스(70)의 과열 발생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The
한편, 밀폐공간(39)에서 부유하는 임의의 공기가 회로기판 수용공간(79)으로 흡기되는 경우 보다 밀폐공간(39)에서 부유하는 공기 중 온도 저감된 공기가 컨트롤 박스(70) 내부로 흡기되는 경우 컨트롤 박스(70)의 과열 방지 효과는 향상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any air floating in the closed
이를 위해, 저온 냉매가 흐르는 냉매 배관의 일부가 팬(80)의 공기 흡입 유로 상에 배치될 수 있다. To this end, a part of the refrigerant pipe through which the low-temperature refrigerant flows may be disposed on the air suction passage of the
공기조화 시스템의 제1유로(19)와 제1유로 연결유로(54)에는 압축기(11)에서 압축된 고온, 고압의 기상 냉매가 흐르고, 제1액관 연결유로(55)와, 제1, 2액관(21)(22)과, 제2액관 연결유로(65)에는 고온, 고압의 액상 냉매가 흐르고, 제2유로 연결유로(64)와, 제2유로(20)와, 어큐뮬레이터 석션튜브(18)와 압축기 석션튜브(12)에는 저온, 저압의 기상 냉매가 흐를 수 있다. The high-temperature and high-pressure gaseous refrigerant compressed by the
따라서, 압축 모듈(1) 내부에 배치된 제2유로(20)와, 어큐뮬레이터 석션튜브(18)와, 압축기 석션튜브(12) 중 적어도 일부가 팬(80)을 향하게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ly, at least a portion of the
압축기 석션튜브(12)와 어큐뮬레이터 석션 튜브(18) 중 적어도 하나는 컨트롤 박스(70)의 흡기공(71)을 향하는 흡기공 대향부(93)를 포함할 수 있다. 압축기 석션튜브(12)가 흡기공 대향부(93)를 포함하거나, 어큐뮬레이터 석션튜브(18)가 흡기공 대향부(93)를 포함하거나, 압축기 석션튜브(12) 및 어큐뮬레이터 석션튜브(18) 둘 다 흡기공 대향부(93)를 포함할 수 있다. At least one of the
이하, 도 4 내지 도 6에서는, 어큐큘레이터 석션튜브(18)가 흡기공 대향부(93)를 포함하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in FIGS. 4 to 6, a case where the
흡기공 대향부(93)는 팬(80)과, 흡기공(71)을 향할 수 있다. 흡기공 대향부(93)는 팬(80)의 흡입 유로 상에 배치될 수 있다.The intake
흡기공 대향부(93)는 적어도 1회 절곡될 수 있다. 흡기공 대향부(93)가 절곡된 경우 흡기공 대향부(93)의 단면적은 흡기공 대향부(93)가 절곡되지 않은 경우 흡기공 대향부(93)의 단면적 보다 넓을 수 있다. 흡기공(71)으로 흡기되는 공기 중 흡기공 대향부(93)와 접촉되는 공기의 양은 흡기공 대향부(93)가 절곡된 경우가 흡기공 대향부(93)가 절곡되지 않은 경우 보다 많을 수 있고, 흡기공 대향부(93)가 절곡된 경우 흡기공(71)으로 흡기되는 공기의 온도는 흡기공 대향부(93)가 절곡되지 않은 경우 흡기공(71)으로 흡기되는 공기의 온도 보다 낮을 수 있다. 따라서, 흡기공 대향부(93)가 적어도 1회 절곡된 경우 컨트롤 박스(70)의 발열 방지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The intake
흡기공 대향부(93)는 팬(80)의 하단(87)과 팬(80)의 상단(89) 사이를 향할 수 있다. 팬(80)은 흡기공(71)과 흡기공 대향부(93)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흡기공 대향부(93)은 수평방향으로 팬(80)을 향하는 팬 대향부일 수 있다.The intake
팬(80)의 구동시, 공기는 흡기공 대향부(93) 주변을 지나면서 흡기공 대향부(93)와 열교환되어 냉각된 후 팬(80)으로 흡인될 수 있다. When the
팬(80)은 블로어(83)와 블로어(83)를 수용하는 팬하우징 캐이싱(84)을 포함하고, 블로어(83)는 허브(81)와, 허브(81)의 외둘레에 형성된 복수개의 블레이드(82)를 포함할 수 있다.The
블로어(83)와, 팬하우징 캐이싱(84)은 컨트롤 박스(70)에서 밀폐공간(39)을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The
흡기공 대향부(93)는 팬(80)을 향하며, 특히, 흡기공 대향부(93)는 적어도 2개의 블레이드(82)를 향할 수 있다. 이 경우 흡기공 대향부(93)를 지나는 저온의 공기가 블레이드(82)를 따라 컨트롤 박스(80) 내부로 용이하게 흡입될 수 있다.The intake
어큐뮬레이터(13)는 상부에 어큐뮬레이터 석션튜브(18)가 연결되는 튜브 연결부(91)가 형성될 수 있다.The
흡기공(71)의 높이(H1)는 튜브 연결부(91)의 높이(H2) 및 사방밸브(16)의 높이(H3) 보다 높을 수 있다.The height H1 of the
어큐뮬레이터 석션튜브(18)는 수평방향으로 흡기공(71)을 향하는 흡기공 대향부(93)와, 수평방향으로 흡기공(71)을 향하지 않는 한 쌍의 비대향부(92)(94)를 포함할 수 있다.The
비대향부(92)(94)는 제1 비대향부(92)와 제2 비대향부(9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비대향부(92)는 일단이 튜브 연결부(91)와 연결되고 타단이 흡기공 대향부(93)의 일단과 연결되고, 제2 비대향부(92)는 일단이 흡기공 대향부(93)의 타단과 연결되고, 타단이 사방밸브(16)에 연결될 수 있다. 즉, 흡기공 대향부(93)는 한 쌍의 비대향부(92)(94)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The
팬(80)은 흡기공 대향부(93)와 방열판(76)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The
팬(80)에 의해 흡기공 대향부(93) 주변의 차가운 공기는 흡기공(71)을 통과하여 방열판(76) 주변으로 이동하여, 방열판(76) 주변의 열기와 함께 배기공(72)으로 배출될 수 있다.The cool air around the intake
이와 같이, 저온 냉매가 흐르는 냉매 배관의 일부를 컨트롤 박스(70)의 흡기공(71)을 향해 배치함으로써, 팬(80)은 밀폐공간(39)의 공기를 회로기판 수용공간(79)과 밀폐공간(39)으로 순환시킬 수 있다. In this way, by arranging a part of the refrigerant pipe through which the low-temperature refrigerant flows toward the
따라서, 압축 모듈(1) 내부에 별도의 열교환기를 구비하지 않아도 저온 냉매가 흐르는 냉매 배관을 통해 컨트롤 모듈(70)을 냉각시킬 수 있어 컨트롤 박스(70)의 과열을 최소화가 가능하며, 부품수를 최소화하고,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압축 모듈(1) 내부에서 공기를 순환시키므로 압축 모듈 케이싱(40)에 외부 공기 유입홀이 불필요하여 압축기(11) 등에 의한 소음이 외부로 방사되는 경우를 최소화하고, 압축 모듈(1) 내 부품을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압축 모듈 케이싱(40)에 외부 공기 유입홀이 제거됨으로써 압축 모듈(1) 내로 외부 공기가 차단되고, 이에 따라 압축 모듈(1) 내부 온도가 일정하여 냉매 사이클이 안정화되고 성능이 일정하여 신뢰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Therefore, the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the technical idea,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1: 압축기 13: 어큐뮬레이터
12: 압축기 석션튜브 16: 사방밸브
18: 어큐뮬레이터 석션튜브 39: 밀폐공간
70: 컨트롤 박스 71: 흡기공
72: 배기공 79: 회로기판 수용공간
80: 팬 93: 흡기공 대향부11: Compressor 13: Accumulator
12: compressor suction tube 16: four-way valve
18: accumulator suction tube 39: confined space
70: control box 71: intake hole
72: exhaust hole 79: circuit board accommodation space
80: fan 93: intake hole opposite portion
Claims (9)
실외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열교환 모듈과;
상기 실내기 및 열교환 모듈과 각각 연결된 압축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압축 모듈은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와 압축기 석션튜브로 연결된 어큐물레이터와;
상기 어큐물레이터와 어큐물레이터 석션튜브로 연결된 사방밸브와;
회로기판과 상기 회로기판에 열적으로 접촉된 방열판을 포함하고, 상기 방열판을 향하는 제1 흡기공 및 상기 회로기판을 향하는 제2 흡기공이 형성된 컨트롤 박스와;
상기 제1 흡기공을 통해 방열판으로 공기를 송풍하고, 상기 제2 흡기공을 통해 상기 회로기판으로 공기를 송풍하는 팬을 포함하며,
상기 압축기 석션튜브과 어큐물레이터 석션튜브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흡기공 및 상기 제2 흡기공을 향하는 흡기공 대향부를 포함하며,
상기 흡기공 대향부는 상기 팬의 하단과 상기 팬의 상단 사이를 향하며, 적어도 1회 절곡된 공기조화 시스템.An indoor unit including an indoor heat exchanger;
A heat exchange module including an outdoor heat exchanger;
Comprising a compression modul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indoor unit and the heat exchange module,
The compression module is
A compressor;
An accumulator connected to the compressor through a compressor suction tube;
A four-way valve connected to the accumulator and the accumulator suction tube;
A control box comprising a circuit board and a heat sink in thermal contact with the circuit board, and having a first intake hole toward the heat sink and a second intake hole toward the circuit board;
And a fan that blows air to the heat sink through the first intake hole, and blows air to the circuit board through the second intake hole,
At least one of the compressor suction tube and the accumulator suction tube includes an intake hole facing portion facing the first intake hole and the second intake hole,
The intake hole facing portion faces between a lower end of the fan and an upper end of the fan, and is bent at least once.
상기 흡기공 대향부는 수평방향으로 상기 팬의 입구를 향하는 공기조화 시스템.The method of claim 1,
The air conditioning system facing the intake hole toward the inlet of the fan in a horizontal direction.
상기 방열판은 수평방향으로 상기 팬의 출구를 향하는 공기조화 시스템.The method of claim 1,
The heat sink is an air conditioning system facing the outlet of the fan in a horizontal direction.
상기 팬은 상기 방열판과 상기 흡기공 대향부 사이에 위치하는 공기조화 시스템.The method of claim 4,
The fan is an air conditioning system located between the heat sink and the intake hole facing portion.
상기 컨트롤 박스는 하판 또는 후판에 상기 컨트롤 박스 외부로 공기가 배기되는 배기공이 형성된 공기조화 시스템.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box is an air conditioning system in which an exhaust hole through which air is exhausted to the outside of the control box is formed on a lower or a rear panel.
상기 어큐물레이터는 상부에 상기 어큐물레이터 석션 튜브가 연결되는 튜브 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튜브 연결부의 높이 및 상기 사방밸브의 높이는 상기 흡기공의 높이 보다 낮고,
상기 어큐물레이터 석션튜브는
수평방향으로 상기 흡기공을 향하지 않는 한 쌍의 비대향부를 포함하고,
상기 흡기공 대향부는 상기 한 쌍의 비대향부 사이에 형성된 공기조화 시스템.The method of claim 1,
The accumulator has a tube connection portion to which the accumulator suction tube is connected, and
The height of the tube connection part and the height of the four-way valve are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intake hole,
The accumulator suction tube
Including a pair of non-facing portions not facing the intake hole in a horizontal direction,
The air-conditioning system that the intake hole facing portion is formed between the pair of non-facing portions.
상기 팬은 허브와, 상기 허브의 외둘레 형성된 복수개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흡기공 대향부는 적어도 2개의 블레이드를 향하는 공기조화 시스템.The method of claim 1,
The fan includes a hub, and a plurality of blades formed around the hub,
The air conditioning system facing the intake hole toward at least two blades.
상기 압축 모듈은
상기 압축기와 어큐물레이터와, 사방밸브와, 컨트롤 박스와, 팬을 수용하는 밀폐공간이 형성된 압축 모듈 케이싱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 박스 내부에는 회로기판이 수용되는 회로기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팬은 밀폐공간의 공기를 회로기판 수용공간과 밀폐공간으로 순환시키는 공기조화 시스템.The method of claim 1,
The compression module is
The compressor and the accumulator, the four-way valve, the control box, and further comprises a compression module casing formed with a closed space accommodating a fan,
A circuit board accommodation space in which the circuit board is accommodated is formed inside the control box,
The fan is an air conditioning system that circulates the air in the enclosed space to the circuit board receiving space and the enclosed spac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54222A KR102174514B1 (en) | 2018-12-04 | 2018-12-04 | Air conditioning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54222A KR102174514B1 (en) | 2018-12-04 | 2018-12-04 | Air conditioning system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67407A KR20200067407A (en) | 2020-06-12 |
KR102174514B1 true KR102174514B1 (en) | 2020-11-04 |
Family
ID=71088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54222A Active KR102174514B1 (en) | 2018-12-04 | 2018-12-04 | Air conditioning syste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74514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TWI783712B (en) * | 2021-10-06 | 2022-11-11 | 緯創資通股份有限公司 | Air adjusting device and organism care system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285544A (en) * | 2006-04-13 | 2007-11-01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Air conditioner |
JP2014114982A (en) * | 2012-12-07 | 2014-06-26 | Mitsubishi Electric Corp | Compressor unit and refrigerating cycle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98219B1 (en) | 2004-05-21 | 2006-07-0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2018
- 2018-12-04 KR KR1020180154222A patent/KR102174514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285544A (en) * | 2006-04-13 | 2007-11-01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Air conditioner |
JP2014114982A (en) * | 2012-12-07 | 2014-06-26 | Mitsubishi Electric Corp | Compressor unit and refrigerating cycle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67407A (en) | 2020-06-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9661316B (en) | Vehicle thermal management system | |
KR100823653B1 (en) | Air conditioner for communication equipment | |
US8549874B2 (en) | Refrigeration system | |
US7185513B2 (en) | Low profile evaporator coil | |
JP6254349B2 (en) | Heat pump equipment outdoor unit | |
WO2012073746A1 (en) | Integrated air-conditioning system, and internal air unit, external air unit, and laminated body, thereof | |
KR20100045490A (en) | Auxiliary cooling system | |
CN110291348B (en) | Heat source unit and air conditioner having the same | |
CN107027278A (en) | Air conditioner and controller heat dissipation assembly thereof | |
CN111065868B (en) | Heat exchanger unit and refrigeration cycle device | |
EP3607252B1 (en) | Chiller system with an economizer module and method of operating such a system | |
EP3361168B1 (en) | Heat source unit and air conditioner having the heat source unit | |
KR102467477B1 (en) | Heat Exchanger with Duel Condenser | |
KR20180018093A (en) | Out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 |
KR102174514B1 (en) | Air conditioning system | |
JPH11316062A (en) | Outdoor machine unit and air conditioner | |
JP2013257115A (en) | Refrigerator-freezer | |
KR101856743B1 (en) | Air conditioner with evaporation cooler | |
JP2015021676A (en) | Indoor heat exchanger, indoor equipment, outdoor heat exchanger, outdoor equipment, and air conditioner | |
JP6292469B2 (en) | Air conditioner outdoor unit | |
KR100930762B1 (en) | Air conditioner | |
JP2006038306A (en) | Refrigeration equipment | |
JP2010261622A (en) | Air conditioning unit use side unit | |
KR20180040370A (en) | Air conditioner | |
KR100539744B1 (en) | Cooling and heating simultaneous multi air conditioner for build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20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3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0091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0031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0091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032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01027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0101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091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20032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10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10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