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3981B1 - Multifunctional baby equipment using 3D air mesh - Google Patents
Multifunctional baby equipment using 3D air mesh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73981B1 KR102173981B1 KR1020180131035A KR20180131035A KR102173981B1 KR 102173981 B1 KR102173981 B1 KR 102173981B1 KR 1020180131035 A KR1020180131035 A KR 1020180131035A KR 20180131035 A KR20180131035 A KR 20180131035A KR 102173981 B1 KR102173981 B1 KR 10217398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fant
- belt
- inner sheet
- pillow
- sea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0000000474 nur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10000001624 hip Anatomy 0.000 description 4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10000004243 sweat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0707 wrist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8000021302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012 protector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344 surfac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08035 Back P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JOYRKODLDBILNP-UHFFFAOYSA-N Ethyl urethane Chemical compound CCOC(N)=O JOYRKODLDBIL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8000002193 P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0450 Pelvic P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286 benefic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69 carri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038 endotheliu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7525 heat dissip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651 lac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197 pelvi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384 rear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5 sag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958 se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6850 spacer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00 swea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47D13/025—Baby-carriers; Carry-cots for carrying children in seated position
-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8—Devices for use in guiding or supporting children, e.g. safety harnes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8—Devices for use in guiding or supporting children, e.g. safety harness
- A47D13/083—Baby feeding cush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 A47D15/005—Restraining devices, e.g. safety belts, contoured cushions or side bumpe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45—Pillows shaped as, combined with, or convertible into other articles, e.g. dolls, sound equipments, bags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edding Items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D 에어 메쉬를 이용한 멀티기능 유아용품에 관한 것으로, PE 재질로 이루어지는 제1외피 및 3D 에어 메쉬로 구성되는 제2외피로 이루어진 외피와, 상기 외피의 내부에 구성되는 내피와, 착용시 유아의 허리 양측부와 밀착되는 지지쿠션으로 구성되는 이너시트; 상기 이너시트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베개 탈착수단이 구성되고, 상기 제1외피와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후방부와 상기 제2외피로 이루어지는 전방부로 구성되며, 상기 전방부에는 유아의 목과 머리를 안정적으로 지지 및 보호할 수 있도록 유아의 후두부를 지지하는 머리 지지부와, C자형 목 통로로 설계되어 유아의 목을 지지하는 목 지지부가 구성되는 유아용 베개; 상부면으로 상기 유아가 앉았을 때 M자형 다리모양을 유지하도록 형성된 안착부와, 상기 이너시트와 탈부착이 이루어지도록 양측으로 시트 탈착수단이 구성된 힙 시트; 상기 유아가 앉을 수 있는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공간부의 후방부로 유아의 등 부분이 지지되는 후방 지지부와, 상기 후방 지지부의 양측으로 유아의 팔이 안착되는 측부 지지부와, 상기 후방 지지부에 구성되며, 상기 이너시트가 탈부착되는 연결부재로 구성되는 수유쿠션; 및 상기 이너시트가 연결되며, 상기 이너시트, 또는 힙 시트를 사용자의 등 부분에 고정시키는 고정벨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functional infant product using a 3D air mesh, a first shell made of a PE material and a second shell made of a 3D air mesh, an inner skin formed inside the outer skin, and when worn Inner sheet composed of support cushions in close contact with both sides of the waist of the infant; A pillow detachable means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inner sheet, and a rear part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first skin and a front part made of the second skin, and the front part stably supports the infant's neck and head And a pillow for infants having a head support for supporting the back of the infant so as to protect, and a neck support for supporting the infant's neck by being designed as a C-shaped neck passage. A hip seat comprising a seating portion formed to maintain an M-shaped leg shape when the infant sits on an upper surface, and a seat detachment means on both sides thereof so as to be detachable from the inner seat; Consisting of a rear support portion for forming a space in which the infant can sit, and supporting a back portion of the infant at the rear portion of the space portion, a side support portion on which the infant's arm is seated on both sides of the rear support portion, and the rear support portion, A nursing cushion consisting of a connecting member to which the inner sheet is attached and detached; And a fixing belt to which the inner sheet is connected and for fixing the inner sheet or the hip sheet to the back of the user.
Description
본 발명은 3D 에어 메쉬를 이용한 멀티기능 유아용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아의 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보호자(부모)의 관절을 보호할 수 있음은 물론, 이동시에도 유아가 안정감과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호자의 불편함을 최소화 할 수 있는 3D 에어 메쉬를 이용한 멀티기능 유아용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functional baby product using a 3D air mesh, and more specifically,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correct posture of the infant and protect the joints of the guardian (parent), as well as the infant's sense of stability and It relates to a multi-functional baby product using a 3D air mesh that can minimize the discomfort of the guardian by making them feel comfortable.
일반적으로 유아용품 중에서 포대기는 백일을 전후해서 아직 걸음마를 하지 못하는 첫돌 이전의 유아들의 외출시에, 편리함과 안전을 위하여, 유아들을 사용자의 가슴에 안거나 등에 업고 보행하기에 적합하도록 되어 있으나, 유아의 체중이 어깨벨트를 통하여 보호자의 어깨로 대부분 전달됨은 물론이고, 유아를 안거나 업는 자세에 따라 보호자가 밸런스를 유지하기 위하여 상체를 젖히거나 숙이게 됨으로써, 결과적으로 보호자의 척추에 무리가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그 착용이 매우 불편한 문제점 또한 있었다.In general, swaddling among baby products is suitable for carrying infants on their backs or holding them in the user's chest for convenience and safety when going out for infants before the first birthday who cannot yet walk around 100 days. Most of the weight of the child is transmitted to the shoulder of the guardian through the shoulder belt, and the guardian tilts or lowers the upper body to maintain the balance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holding or lifting the infant, resulting in a problem that a strain on the guardian's spine occurs. Not only was there, but there was also a problem that the wearing was very inconvenient.
이에, 상기와 같은 종래 포대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다양한 유아용 캐리어가 개발된 바 있다.Accordingly, various infant carriers have been developed in order to impro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bagging as described above.
일 예로, 등록실용신안 제20-0462354호에는, 유아가 앉을 수 있도록 지지물을 내장한 시트부의 양측에 허리버클을 갖는 허리밴드를 형성하여 보호자의 허리에 착용함으로써 상기 시트부에 유아를 착석시키는 것만으로 간편하게 유아를 안거나 또는 내릴 수 있는 아기띠 힙시트가 게재된 바 있다. For example, in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62354, a waist band with waist buckles is formed on both sides of a seat part with a support for an infant to sit on and wears it on the waist of a guardian so that infants can be seated on the seat part. As a result, a baby carrier hip seat that can be easily held or lowered has been published.
그러나, 종래의 아기띠 힙시트는 허리밴드를 이용하는 허리에 지탱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장시간 착용시 유아의 체중에 따른 시트부의 처짐 압력이 허리밴드에 직접 전달되어 허리와 골반에 큰 무리를 주게 되고, 이로 인하여 보호자가 힙시트를 오래동안 착용시 유아를 안정감있고 편안하게 받쳐줄 수 없으므로 유아의 착석상태가 불안정하게 됨은 물론 보호자는 허리 내지 골반 통증으로 행동이 자유롭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baby carrier hip seat is a structure that supports the waist using a waist band, when worn for a long time, the sagging pressure of the seat portion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infant is directly transmitted to the waist band, causing a great strain on the waist and pelvis. Therefore, when the protector wears the hip seat for a long time, the infant cannot be supported in a stable and comfortable manner, so that the infant's sitting state becomes unstable, and the protector is not free to act due to back or pelvic pain.
한편, 유아용품 중, 베개의 경우, 등록특허 제10-1469411호와 같이, 다양한 높낮이를 제공함으로써 유아의 성장에 따른 머리 크기 변화에 대응하여 별도의 베개를 구비할 필요 없이 하나의 베개만으로도 적절하게 사용 가능하도록 하며, 나아가 유아의 편안한 수면을 유도함과 아울러 올바른 성장발달에 도움이 되도록 하는 유아용 베개가 게재된 바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pillows among baby products, as in Patent No. 10-1469411, various heights are provided to respond to changes in head size according to the growth of infants, so that a separate pillow is not required. A pillow for infants has been published that makes it possible to use, and further induces a comfortable sleep of the infant, and helps in proper growth and development.
하지만, 종래의 유아용 베개는 오랜 시간 사용하는 경우, 유아의 땀에 의해 오염되어 유지관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단순히 머리를 받치는 용도로만 사용되고 있을 뿐, 유아의 목을 보호하지 못하여 작은 움직임에도 베개로부터 유아의 머리가 떨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However, when used for a long time, the conventional pillow for infants has a problem that is difficult to maintain due to contaminated by sweat of infants, and it is only used for the purpose of supporting the head. There is a problem such as the infant's head falling.
특히, 전술한 힙시트, 베개 등은 모두 단독으로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외출시 이용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각각의 물품들을 개별적으로 구매해야만 하고, 이에 따른 경제적인 부담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In particular, since the above-described hip sheets, pillows, etc. are all configured solely, it is difficult to use when going out, and each item must be purchased individually, thereby increasing an economic burden.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기술에 의해서 안출된 것으로, 유아의 등을 감싸며, 고정벨트에 의해 부모의 등이나 가슴 부위에 유아가 위치하도록 하는 이너시트와, 유아용 베개, 수유쿠션, 힙 시트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유아의 신체 사이즈와 아이의 바른 성장을 유도하고, 산모의 안전하고 편리한 육아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3D 에어 메쉬를 이용한 멀티기능 유아용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was conceived by the above-described background technology, and an inner sheet that covers the back of an infant and allows the infant to be positioned on the back or chest of a parent by a fixing belt, an infant pillow, and a nursing cushion. The purpose of this is to provide a multi-functional infant product using 3D air mesh that is configured so that the hip sheet is detachably coupled to induce the infant's body size and the child's proper growth, and that the mother's safe and convenient parenting is achieved. .
또한, 본 발명은 유아용품의 재질을 3D 에어 메쉬 재질로 구성하여 통풍성을 향상시켜 유아가 흘리는 땀에 의해 유아용품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3D 에어 메쉬를 이용한 멀티기능 유아용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ulti-functional infant product using a 3D air mesh that can prevent contamination of infant products by sweat perspiration by constructing a 3D air mesh material for infant products. There is a purpose.
또한, 본 발명은 아이를 안거나, 업은 상태의 부모의 어깨와 고정벨트 간의 마찰 및 압력을 최소화함으로써, 부모의 어깨 등을 보호할 수 있는 3D 에어 메쉬를 이용한 멀티기능 유아용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functional baby product using a 3D air mesh that can protect the shoulders of the parents by minimizing friction and pressure between the shoulders of the parents in the state of holding or holding the child and the fixing belt. There is this.
또한, 본 발명은 산모의 수유시 수유 쿠션에 의해 유아의 자세를 올바르게 고정하여 산모의 손목 및 허리의 피로도를 줄이고 영유아의 식도 역류를 방지할 수 있고, M자형의 힙 시트를 제공하여 유아의 허리가 젖혀지거나 척주와 다리 골격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3D 에어 메쉬를 이용한 멀티기능 유아용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fatigue of the mother's wrist and waist and prevent esophageal reflux of infants and toddlers by correctly fixing the infant's posture by the feeding cushion when the mother is breast-feeding, and by providing an M-shaped hip seat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ulti-functional baby product using a 3D air mesh that can prevent the spinal column and leg skeleton from being bent.
또한, 본 발명은 유아의 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보호자(부모)의 관절을 보호할 수 있음은 물론, 이동시에도 유아가 안정감과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호자의 불편함을 최소화 할 수 있는 3D 에어 메쉬를 이용한 멀티기능 유아용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infant to maintain the correct posture, protects the joints of the guardian (parent), and minimizes the inconvenience of the guardian by allowing the infant to feel stability and comfort even when moving. Its purpose is to provide multi-functional baby products using 3D air mesh.
다만, 본 발명의 목적은 이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과제의 해결수단이나 실시 형태로부터 파악될 수 있는 목적이나 효과도 이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However,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objects or effects that can be grasped from the solutions or embodiments of the problem are also included therein even if not explicitly mentioned.
이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PE 재질로 이루어지는 제1외피 및 3D 에어 메쉬로 구성되는 제2외피로 이루어진 외피와, 상기 외피의 내부에 구성되는 내피와, 착용시 유아의 허리 양측부와 밀착되는 지지쿠션으로 구성되는 이너시트; 상기 이너시트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베개 탈착수단이 구성되고, 상기 제1외피와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후방부와 상기 제2외피로 이루어지는 전방부로 구성되며, 상기 전방부에는 유아의 목과 머리를 안정적으로 지지 및 보호할 수 있도록 유아의 후두부를 지지하는 머리 지지부와, C자형 목 통로로 설계되어 유아의 목을 지지하는 목 지지부가 구성되는 유아용 베개; 상부면으로 상기 유아가 앉았을 때 M자형 다리모양을 유지하도록 형성된 안착부와, 상기 이너시트와 탈부착이 이루어지도록 양측으로 시트 탈착수단이 구성된 힙 시트; 상기 유아가 앉을 수 있는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공간부의 후방부로 유아의 등 부분이 지지되는 후방 지지부와, 상기 후방 지지부의 양측으로 유아의 팔이 안착되는 측부 지지부와, 상기 후방 지지부에 구성되며, 상기 이너시트가 탈부착되는 연결부재로 구성되는 수유쿠션; 및 상기 이너시트가 연결되며, 상기 이너시트, 또는 힙 시트를 사용자의 등 부분에 고정시키는 고정벨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such a problem, a first shell made of a PE material and a second shell made of a 3D air mesh, an inner skin formed inside the shell, and when worn Inner sheet composed of support cushions in close contact with both sides of the waist of the infant; A pillow detachable means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inner sheet, and a rear part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first skin and a front part made of the second skin, and the front part stably supports the infant's neck and head And a head support part for supporting the back of the infant to protect the infant, and a pillow for infants having a neck support part designed as a C-shaped neck passage to support the infant's neck. A hip seat comprising a seating portion formed to maintain an M-shaped leg shape when the infant sits on an upper surface, and a seat detachment means on both sides thereof so as to be detachable from the inner seat; Consisting of a rear support portion for forming a space in which the infant can sit, and supporting a back portion of the infant at the rear portion of the space portion, a side support portion on which the infant's arm is seated on both sides of the rear support portion, and the rear support portion, A nursing cushion consisting of a connecting member to which the inner sheet is attached and detached; And a fixing belt to which the inner sheet is connected and for fixing the inner sheet or the hip sheet to the back of the us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너시트는, 상단부로 유아용 베개가 탈부착되는 베개 탈착부와, 상부 양측에 구성되며, 착용시 부모의 허리, 또는 어깨를 감싸는 연결벨트와, 상기 연결벨트를 고정시키며, 일정 각도 만큼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벨트 회전수단과, 하단부에 구성되며, 힙 시트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시트 탈착부와, 상기 연결벨트가 거치되는 벨트 거치부와, 상기 고정벨트가 고정되는 벨트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sheet is configur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side, and the pillow detachment part to which the infant pillow is attached to the upper part, and when worn, the connection belt surrounding the waist or shoulder of the parent, and the connection belt are fixed. And a belt rotating means for rotating by a certain angle, a seat detachable part configured at the lower end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hip seat, a belt mounting part on which the connection belt is mounted, and the fixing belt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belt connec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벨트 회전수단은, 상기 외피 및 내피와 접합되는 클립 고정구와, 상기 클립 고정구의 축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삽입되는 클립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elt rotation means includes a clip fastener joined to the outer and inner skins, and a clip member inserted to perform a rotational operation based on an axial center of the clip fastener. do.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벨트 회전수단은, 상기 이너시트에 결합되며, 중앙으로 회전축이 결합되는 회전 지지본체와, 상기 연결벨트에 결합되며, 상기 회전축이 삽입되어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하면서 연결벨트를 회전시키는 회전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elt rotating means is coupled to the inner sheet, a rotational support body coupled to the center of the rotational shaft, and coupled to the connection belt, and the rotational shaft is insert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onal shaft.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otating housing for rotating the connection belt while rotat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힙 시트에는 사용자의 허리를 감싸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고정벨트와 연결되게 구성되어 힙 시트를 고정시키는 시트 고정벨트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ip seat is configured to wrap around the user's waist, or a seat fixing belt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fixing belt to fix the hip seat is further configured.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유아의 등을 감싸며, 고정벨트에 의해 부모의 등이나 가슴 부위에 유아가 위치하도록 하는 이너시트와, 유아용 베개, 수유쿠션, 힙 시트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유아의 신체 사이즈와 아이의 바른 성장을 유도하고, 산모의 안전하고 편리한 육아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suc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seat for wrapping the infant's back and allowing the infant to be positioned on the parent's back or chest by a fixed belt, and the infant pillow, nursing cushion, and hip seat are detachably coupled to each other. It has the effect of inducing the baby's body size and proper growth of the child, and enabling safe and convenient child rearing for the mother.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유아용품의 재질을 3D 에어 메쉬 재질로 구성하여 통풍성을 향상시켜 유아가 흘리는 땀에 의해 유아용품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contamination of the infant product by sweat of the infant by improving ventilation by configuring the material of the infant product with a 3D air mesh material.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아이를 안거나, 업은 상태의 부모의 어깨와 고정벨트 간의 마찰 및 압력을 최소화함으로써, 부모의 어깨 등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minimizing friction and pressure between the shoulder of the parent and the fixing belt in a state of holding or holding the child, there is an effect of protecting the shoulder of the paren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산모의 수유시 수유 쿠션에 의해 유아의 자세를 올바르게 고정하여 산모의 손목 및 허리의 피로도를 줄이고 영유아의 식도 역류를 방지할 수 있고, M자형의 힙 시트를 제공하여 유아의 허리가 젖혀지거나 척주와 다리 골격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mother is breast-feeding, the infant's posture is correctly fixed by the nursing cushion to reduce the fatigue of the mother's wrist and waist, and prevent esophageal reflux in infants and young children, and the M-shaped hip seat By providing,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event the infant's waist from bending or the spinal column and leg skeleton from bending.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유아의 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보호자(부모)의 관절을 보호할 수 있음은 물론, 이동시에도 유아가 안정감과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호자의 불편함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correct posture of the infant and protect the joints of the guardian (parent), as well as allowing the infant to feel stability and comfort even when moving, thereby discomfort of the guardia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minimize the damage.
더불어,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various and beneficial advantages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will be more easily understood in the course of describing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에어 메쉬를 이용한 멀티기능 유아용품을 착용한 상태의 후방부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에어 메쉬를 이용한 멀티기능 유아용품을 착용한 상태의 전방부 도면,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에어 메쉬를 이용한 멀티기능 유아용품의 이너시트의 후방부 및 전방부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에어 메쉬를 이용한 멀티기능 유아용품의 이너시트에 유아용 베개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에어 메쉬를 이용한 멀티기능 유아용품의 이너시트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에어 메쉬를 이용한 멀티기능 유아용품의 탈부착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에어 메쉬를 이용한 멀티기능 유아용품의 회전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에어 메쉬를 이용한 멀티기능 유아용품의 유아용 베개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에어 메쉬를 이용한 멀티기능 유아용품의 힙 시트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에어 메쉬를 이용한 멀티기능 유아용품의 수유쿠션을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에어 메쉬를 이용한 멀티기능 유아용품의고정벨트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에어 메쉬를 이용한 멀티기능 유아용품의 수유쿠션과 이너시트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rear part of a state wearing a multi-functional infant product using a 3D air mes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view of a state wearing a multi-functional infant product using a 3D air mes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and 3B are views showing a rear portion and a front portion of an inner sheet of a multi-functional infant product using a 3D air mes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infant pillow is coupled to an inner sheet of a multi-functional infant product using a 3D air mes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inner sheet of the multi-functional baby products using a 3D air mes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detachable structure of a multi-functional infant product using a 3D air mes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rotational structure of a multi-functional baby product using a 3D air mes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n infant pillow of a multi-functional infant product using a 3D air mes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a hip sheet of a multi-functional baby product using a 3D air mes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showing a feeding cushion of a multi-functional infant product using a 3D air mes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showing a fixing belt of a multi-functional infant product using a 3D air mes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eeding cushion and an inner sheet of a multi-functional baby product using a 3D air mes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mbined.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of all,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elem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elements are assigned the same numerals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indicat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another component between each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elements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에어 메쉬를 이용한 멀티기능 유아용품을 착용한 상태의 후방부 및 전방부를 나타낸 도면,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너시트를 나타낸 도면,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에어 메쉬를 이용한 멀티기능 유아용품의 탈부착 구조 및 회전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에어 메쉬를 이용한 멀티기능 유아용품의 유아용 베개, 힙 시트, 수유쿠션, 고정벨트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에어 메쉬를 이용한 멀티기능 유아용품의 수유쿠션과 이너시트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1 and 2 are views showing a rear portion and a front portion in a state of wearing a multi-functional baby product using a 3D air mes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3 to 5 a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and 7 are views showing the detachable and rotating structure of a multi-functional baby product using a 3D air mes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8 to 11 are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rawing showing an infant pillow, a hip sheet, a nursing cushion, and a fixing belt of a multi-functional infant product using a 3D air mes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feeding cushion for a multi-functional infant product using a 3D air mes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nner sheet and the inner sheet are combined.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멀티 기능 유아용품은 이너시트(100), 유아용 베개(200), 힙 시트(300), 수유쿠션(400) 및 고정벨트(500)가 각각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As shown, the multi-function infant produ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이너시트(100)는 소정 간격 이격되는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지는 외피(102)와, 상기 외피(102)의 내부에 구성되며, 유아 및 부모에게 소정의 쿠션력을 제공하는 내피(104)와, 착용시 유아의 허리 양측부와 밀착되는 지지쿠션(10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외피(10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시 외부로 노출이 이루어지는 제1외피(112)와, 외피(102)의 내부로 내피(104)가 구성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외피(112)와 소정 간격 이격되게 구성되며, 착용시 유아의 등 부분과 밀착되게 구성되는 제2외피(114)로 구성된다. As shown in FIG. 5, the
제1외피(112)는 PE 재질로 이루어지며, 표면으로 다양한 무늬가 형성될 수 있으며, 후술할 연결벨트(130), 고정벨트(500)와 같은 벨트부재와, 또는 수유쿠션(400)의 연결부재(450)가 삽입 및 관통하면서 거치되거나,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벨트 거치부(160)가 구성된다. The
이때, 벨트 거치부(16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양측에 각각 구성되며, 벨트부재, 또는 수유쿠션(400)의 연결부재(450)가 횡방향으로 삽입 및 관통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제1벨트 거치부(162)와, 상부에 길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복수개로 구성되며, 벨트부재, 또는 수유쿠션(400)의 연결부재(450)가 종방향으로 삽입 및 관통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제2벨트 거치부(164)로 구성된다. At this time, the
아울러, 벨트 거치부(160)에는 유아용 베개(200)가 이너시트(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유아의 머리를 지지하는 경우, 유아의 움직임으로 인해 유아용 베개(200)가 제1외피(112)측으로 접히면서 유아의 머리에 대한 지지력이 상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베개 지지부재(190)가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supporting the head of the infant in a state in which the
제2외피(114)는 3D 스페이서 섬유 구조체로 이루어지는 3D 에어 메쉬로 구성되는 것으로, 착용시 통풍성을 제공하여 유아의 등 부분에서 땀이 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음은 물론, 소정의 두께감을 제공하여 유아의 등 부분과의 밀착감을 극대화하여 유아에게 안정감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The second
내피(104)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외피(112, 114) 사이에 구성되며, 소정의 쿠션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제1 및 제2외피(112, 114)의 내면과 접합되는 복수의 부직포(119)와, 상기 부직포(119)의 내면에 적층되는 복수의 면층(117) 및 상기 복수의 면층(117) 사이에 구성되는 우레탄(115)으로 구성된다. The
지지쿠션(106)은 제2외피(114)의 양측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착용시 유아의 허리 양측부가 밀착을 이루도록 상기 제2외피(114)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되 만곡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The
이와 같이 구성된 이너시트(100)는 상단부로 유아용 베개(200)가 탈부착에 의해 결합되는 베개 탈착부(120)가 구성되고, 상부 양측으로 이너시트(100)의 착용시 부모의 허리, 또는 어깨를 감싸면서 고정되거나, 또는 고정벨트(500)와 연결에 의해 고정이 이루어지는 연결벨트(130)와, 고정벨트(500)의 하부벨트(540)가 고정되는 벨트 연결부(140)와, 상기 연결벨트(130)가 이너시트(100)로부터 일정 각도 만큼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벨트 회전수단(150)과, 하단부에 구성되며, 힙 시트(300)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시트 탈착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여기서, 베개 탈착부(120) 및 시트 탈착부(170)는 각각 유아용 베개(200)에 구성된 베개 탈착수단(210)과 힙 시트(300)에 구성되는 시트 탈착수단(310)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베개 탈착수단(122) 및 시트 탈착수단(172)이 구성되고, 상기 베개 탈착수단(122) 및 시트 탈착수단(172)은 이너시트(100)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Here, the
즉, 본 발명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개 탈착수단(122) 및 시트 탈착수단(172)은 원터치 방식의 단추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지퍼, 벨크로 테이프 등 이너시트(100)와 유아용 베개(200) 및 힙 시트(300)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이 이루어질 수만 있다면 어떠한 수단으로 이루어져도 무방할 것이다.That is, as shown in the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illow detachment means 122 and the sheet detachment means 172 are made of a button of a one-touch method, or an
연결벨트(130)는 베개 탈착부(120)의 하부에 구성되며, 지지쿠션(106)의 상단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이너시트(100)의 양측부에 각각 구성된다.The
이러한 연결벨트(130)는 일단이 벨트 회전수단(150)에 의해 이너시트(100)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으로 연결벨트(130)를 연결하거나, 또는 고정벨트(500)의 상부벨트(520)와 연결벨트(130)를 연결하는 제1벨트 연결구(132)와, 연결벨트(130)의 길이를 조절하는 제1벨트 조절부재(134)로 구성된다. This
벨트 연결부(140)는 이너시트(100)의 하부 양측부에 형성되며, 특히 시트 탈착부(170)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고정벨트(500)의 하부벨트(540)가 삽입 및 관통하면서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벨트 고리 등으로 구성된다. The
벨트 회전수단(150)은 연결벨트(130)를 이너시트(100)에 결합함과 동시에 상기 연결벨트(130)의 회전 작동을 지지한다.The belt rotating means 150 couples the
이러한 벨트 회전수단(150)은 통상의 리벳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이너시트(100)와 연결벨트(130)가 회전 작동 및 탈부착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The belt rotating means 150 may be formed of a conventional rivet,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일 예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벨트 회전수단(150)은 이너시트(100)의 외피(102)와 내피(104)를 관통하며, 외주면이 상기 외피(102) 및 내피(104)와 접합되는 클립 고정구(152)와, 연결벨트(130)를 관통하며, 클립 고정구(152)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클립부재(154)로 구성된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ure 6, the belt rotating means 150 of the present invention penetrates through the
클립 고정구(152)는 외면이 이너시트(100)와 접합에 의해 고정되며, 중앙으로 클립부재(154)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며,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클립 회전홈(152a)과, 클립 회전홈(152a)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고, 클립부재(154)의 회전 작동을 지지하는 클립 회전 지지돌기(152b)로 구성된다.The
또한, 클립부재(154)는 클립 회전홈(152a)에 삽입되며, 상기 클립 회전홈(152a)의 축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 작동이 이루어지는 삽입부(154a)와, 삽입부(154a)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며, 소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어 상기 클립 회전 지지돌기(152b)의 상부 및 하부면에 접하도록 구성되는 회전돌기(154b)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아울러, 본 발명의 벨트 회전수단(15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너시트(100)에 결합되며, 중앙으로 회전축(186)이 결합되는 회전 지지본체(182)와, 연결벨트(130)에 결합되며, 상기 회전축(186)이 삽입되어 상기 회전축(186)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하면서 연결벨트(130)를 회전시키는 회전 하우징(18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belt rotating means 15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이때, 회전 지지본체(182) 및 회전 하우징(184)은 각각 이너시트(100)와 연결벨트(130)와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시트 고정돌기(182a) 및 벨트 고정돌기(184b)가 구성된다. At this time, the
시트 고정돌기(182a) 및 벨트 고정돌기(184b)는 회전 지지본체(182) 및 회전 하우징(184)에 삽입이 이루어지면서 접합되도록 구성된다. The
또한, 회전 지지본체(182)에는 회전축(186)의 단부가 삽입 및 고정되는 축 고정홈(182b)과, 회전축(186)과 회전 지지본체(182)의 고정력을 강화하는 축 고정돌기(182c)가 더 구성된다. In addition, the
또한, 히전 하우징(184)에는 중앙부로 관통 형성되며, 회전축(186)의 삽입이 이루어지는 축 회전 가이드공(184a)과, 축 회전 가이드공(184a)의 내주면을 따라 다수개로 구성되고, 회전축(186)의 외주면을 따라 구름 작동을 하는 회전수단(188)이 구성된다. In addition, the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이너시트(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부모)의 선택에 따라 유아용 베개(200), 힙 시트(300)를 탈부착시켜 사용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또한, 본 발명의 이너시트(100)는 연결벨트(130)가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됨에 따라 연결벨트(130)의 위치를 사용자가 임의적으로 변경할 수 있어 유아를 업을 때 연결벨트(130)가 사용자의 어깨 한 부분에만 집중적으로 무게감을 전달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의 어깨로 집중되는 피로도, 무게감을 감소 및 분산시킬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in the
또한, 본 발명의 이너시트(10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유쿠션(400)과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이 이루어져 유아의 허리 보조대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유아가 수유쿠션(400) 내에서 바르고 편안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수유 후, 앉은 자세에서 트림을 하도록 하고, 아이를 안지 않고도 수유가 이루어지도록 함에 따라 엄마의 편안한 자세를 유지하도록 하며, 엄마의 허리 손목 등의 통증을 유발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the
유아용 베개(2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너시트(100)의 외피(102)와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지며, 특히 제1외피(112)와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후방부(202)와 제2외피(114)로 이루어지는 전방부(204)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8, the
여기서, 전방부(204)는 유아의 목과 머리가 직접 접촉이 이루어지는 부분으로 유아의 열 배출 및 땀 흡수 등 태열관리를 통한 쾌적한 환경 제공을 제공한다.Here, the
또한, 전방부(204)는 유아의 목과 머리를 안정적으로 지지 및 보호할 수 있도록 중앙부에 머리의 후두부가 일부 삽입이 이루어지면서 지지되는 머리 지지부(230)와, 머리 지지부(230)의 하부로 소정의 홈으로 구성되며, C자형 목 통로로 설계가 이루어져 유아의 목을 지지하는 목 지지부(220)가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이에 따라, 수유시 유아의 머리를 안정적으로 지지 및 보호가 가능하고, 특히 3개월 이하 영아의 머리 흔들림, 또는 목 꺾임을 최소화할 수 있어 예쁜 두상의 형성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stably support and protect the infant's head during lactation, and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minimize head shake or neck breakage of infants of 3 months or less, so that a pretty head can be formed.
또한, 유아용 베개(200)는 이너시트(100)에 구성된 베개 탈착부(120)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베개 탈착수단(210)을 구성하여 외출시 어디에서나 활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유아용 베개(200)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힙 시트(3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가 앉았을 때 가장 바람직한 M자형 다리모양을 유지하도록 하고, 이동시 아이의 흔들림을 최소화하여 안정적이고 편안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부면에 안착부(320)가 형성되고, 일면으로 이너시트(100)의 하부에 구성된 시트 탈착부(170)와 탈부착이 이루어지는 시트 탈착수단(310)이 구성된다. As shown in FIG. 9, the
이때, 안착부(320)는 유아용 베개(200)와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져 통풍성을 향상시키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또한, 힙 시트(300)는 양측으로 사용자의 허리를 감싸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고정벨트(500)와 연결되게 구성되어 힙 시트(300)를 고정시키는 시트 고정벨트(330)가 구성된다. In addition, the
수유쿠션(40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부가 개방된 형태로 구성되어 유아가 앉을 수 있는 공간부(410)를 형성하고, 공간부(410)의 후방부로 유아의 등 부분이 지지되는 후방 지지부(420)가 굴곡지게 형성되고, 이 후방 지지부(420)의 양측으로 유아의 팔이 안착되는 측부 지지부(430)가 형성된다.As shown in FIG. 10, the
이때, 상기 공간부(410)에는 이너시트(100)가 구성되어 아이의 앉은 상태를 고정시켜 아이가 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공간부(410)에는 힙 시트(300)가 삽입되어 연결부재(450)에 의해 수유쿠션(400)와 연결되게 구성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또한, 수유쿠션(400)에는 공간부(410)에 이너시트(100)가 구성되는 경우, 이 이너시트(100)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연결부재(450)가 구성된다. In addition, when the
연결부재(450)는 이너시트(100)에 형성된 벨트 거치부(160)를 삽입 및 관통하도록 구성되며, 이너시트(100)의 미연결시 수유쿠션(40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거나, 벨트 거치부(160)를 통과한 연결부재(450)가 결합되어 수유쿠션(400)와 이너시트(100)를 연결하는 시트 연결수단(460)이 더 구성될 수 있다. The connecting
고정벨트(50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X 자 형태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부벨트(520) 및 하부벨트(540)로 구성되고, 이 상부 및 하부벨트(520, 540)의 단부가 결합되는 본체부(510)가 구성된다. The fixed
본체부(510)는 둘레면을 따라 재봉부(512)를 형성하여 상기 상부 및 하부벨트(520, 540)와의 연결이 이루어지고, 내부로 소정의 쿠션력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탄성부(514)로 구성된다. The
또한, 상부벨트(520)에는 사용자의 어깨에 소정의 쿠션력을 제공하여 어깨로 가해지는 무게감으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어깨를 보호하는 보호부재(530)가 더 구성된다. In addition, the
이때, 보호부재(530)는 상부벨트(5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이러한 상부벨트(520)에는 그 단부에 제2벨트 연결구(522)를 형성하여 연결벨트(130)의 제1벨트 연결구(132)와 연결 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힙 시트(300)의 시트 고정벨트(330)가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The
하부벨트(540)는 이너시트(100)에 구성된 벨트 연결부(140)를 감싸면서 고정벨트(500)와 이너시트(100)의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벨트 연결부(140)를 관통하는 단부가 하부벨트(540)의 일면에 체결이 이루어지면서 고정될 수 있다. The
이때, 하부벨트(540)는 단부측이 분리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단추나, 벨크로 테이프, 또는 고리부재 등이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아울러, 하부벨트(540)에는 제2벨트 조절부재(542)를 구성하여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다양한 길이로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Terms such as "include", "consist of", or "have" described above, unless otherwise stated, mean that the corresponding component may be included, and thus other components are not excluded. It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able to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an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are general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Has the same meaning as
또한,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the technical idea,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이너시트 102: 외피
104: 내피 106: 지지쿠션
120; 베개 탈착부 130: 연결벨트
140: 벨트 연결부 150: 벨트 회전수단
160: 벨트 거치부 170: 시트 탈착부
200: 유아용 베개 210: 베개 탈착수단
220: 목 지지부 230: 머리 지지부
300: 힙 시트 310: 시트 탈착수단
320: 안착부 330: 시트 고정벨트
400: 수유쿠션 410: 공간부
420: 후방 지지부 430: 팔 안착부
450: 연결부재 460: 시트 연결수단
500: 고정벨트 510: 본체부
520: 상부벨트 530: 보호부재
540: 하부벨트 100: inner sheet 102: outer shell
104: endothelium 106: support cushion
120; Pillow detachable part 130: connecting belt
140: belt connection unit 150: belt rotation means
160: belt mounting unit 170: seat detachment unit
200: infant pillow 210: pillow detachment means
220: neck support 230: head support
300: hip sheet 310: sheet detachment means
320: seating portion 330: seat fixing belt
400: nursing cushion 410: space
420: rear support 430: arm seat
450: connecting member 460: sheet connecting means
500: fixing belt 510: main body
520: upper belt 530: protection member
540: lower belt
Claims (2)
상기 이너시트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베개 탈착수단이 구성되고, 상기 제1외피와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후방부와 상기 제2외피와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전방부로 구성되며, 상기 전방부에는 유아의 목과 머리를 안정적으로 지지 및 보호할 수 있도록 유아의 후두부를 지지하는 머리 지지부와, C자형 목 통로로 설계되어 유아의 목을 지지하는 목 지지부가 구성되는 유아용 베개;
상부면으로 상기 유아가 앉았을 때 M자형 다리모양을 유지하도록 형성된 안착부가 구성되며, 일면으로 상기 이너시트와 탈부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시트 탈착수단과, 양측에 구성되며, 사용자의 허리를 감싸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고정벨트와 연결되게 구성되는 시트 고정벨트로 이루어지는 힙 시트;
상기 유아가 앉을 수 있는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공간부의 후방부로 유아의 등 부분이 지지되는 후방 지지부와, 상기 후방 지지부의 양측으로 유아의 팔이 안착되는 측부 지지부와, 상기 후방 지지부에 구성되며, 상기 이너시트가 탈부착되는 연결부재로 구성되는 수유쿠션; 및
상기 이너시트가 연결되며, 상기 이너시트, 또는 힙 시트를 사용자의 등 부분에 고정시키는 고정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이너시트는,
상기 이너시트의 상단부에 구성되며, 상기 베개 탈착수단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베개 탈착수단이 구성되는 베개 탈착부와, 상기 이너시트의 상부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베개 탈착부의 하부에 구성되며, 착용시 부모의 허리, 또는 어깨를 감싸도록 구성되는 연결벨트와, 상기 연결벨트의 일단부를 상기 이너시트에 결합시키며, 상기 연결벨트의 회전 작동을 지지하는 벨트 회전수단과, 하단부에 구성되며, 상기 시트 탈착수단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시트 탈착수단이 구성되는 시트 탈착부와, 상기 이너시트의 하부 양측에 각각 구성되며, 상기 연결벨트, 고정벨트 및 연결부재가 삽입 및 관통하면서 거치되도록 구성되는 벨트 거치부와, 상기 이너시트의 하부 양측부에 형성되되, 상기 시트 탈착부의 상부에 구성되며, 상기 고정벨트가 삽입 및 관통하면서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벨트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벨트는, 상기 연결벨트, 또는 상기 시트 고정벨트와 연결되는 상부벨트와, 상기 벨트 연결부와 연결되는 하부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에어 메쉬를 이용한 멀티기능 유아용품.
An inner sheet comprising a first outer skin made of PE material and a second outer skin made of 3D air mesh, an inner skin formed inside the outer skin, and support cushions that are in close contact with both sides of an infant's waist when worn;
A pillow detachable means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inner sheet is configured, and a rear portion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first skin and a front portion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second skin, and the front portion includes the infant's neck and head. A pillow for infants having a head support for supporting the back of the infant so as to stably support and protect the infant, and a neck support for supporting the infant's neck by being designed as a C-shaped neck passage;
The upper surface is composed of a seating portion formed to maintain the M-shaped leg shape when the infant sits, and a seat detachment means configured to be detachable from the inner sheet on one surface, and configured on both sides, and configured to wrap around the user's waist, or Or, a hip seat consisting of a seat fixing belt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fixing belt;
Consisting of a rear support portion for forming a space in which the infant can sit, and supporting a back portion of the infant at the rear portion of the space portion, a side support portion on which the infant's arm is seated on both sides of the rear support portion, and the rear support portion, A nursing cushion consisting of a connecting member to which the inner sheet is attached and detached; And
Including; a fixing belt that is connected to the inner sheet and fixes the inner sheet or the hip sheet to the back of the user,
The inner sheet,
A pillow detachment unit configured at the upper end of the inner sheet and including a pillow detachment unit to be detachably coupled with the pillow detachment unit, and rotatably coupled to both upper sides of the inner sheet, and is configured under the pillow detachment unit, A connection belt configured to wrap around the waist or shoulders of a parent when worn, a belt rotation means for coupling one end of the connection belt to the inner sheet and supporting the rotational operation of the connection belt, and configured at a lower end, the seat A sheet detachment unit configured to be detachably coupled with the detachable unit, and a seat detachment unit configured to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detachable unit, and a belt mounting unit configured to be mounted while being inserted and penetrating the connection belt, the fixing belt, and the connection member, each configured on both lower sides of the inner sheet. And, a belt connecting portion formed on both lower sides of the inner sheet, configured above the sheet detachable portion, and supporting the fixing belt to be fixed while being inserted and penetrated,
The fixed belt, a multi-functional baby product using a 3D air mesh,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on belt, or an upper belt connected to the seat fixing belt and a lower belt connected to the belt connection part.
상기 벨트 회전수단은,
상기 이너시트에 결합되며, 중앙으로 회전축이 결합되는 회전 지지본체와, 상기 연결벨트에 결합되며, 상기 회전축이 삽입되어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하면서 연결벨트를 회전시키는 회전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에어 메쉬를 이용한 멀티기능 유아용품.
The method of claim 1,
The belt rotating means,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otary support body coupled to the inner sheet, the rotation shaft is coupled to the center, and a rotation housing coupled to the connection belt, the rotation shaft is inserted to rotate the connection belt while rotating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on shaft. Multi-functional baby products using 3D air mesh.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31035A KR102173981B1 (en) | 2018-10-30 | 2018-10-30 | Multifunctional baby equipment using 3D air mesh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31035A KR102173981B1 (en) | 2018-10-30 | 2018-10-30 | Multifunctional baby equipment using 3D air mesh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48690A KR20200048690A (en) | 2020-05-08 |
KR102173981B1 true KR102173981B1 (en) | 2020-11-04 |
Family
ID=70678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31035A Expired - Fee Related KR102173981B1 (en) | 2018-10-30 | 2018-10-30 | Multifunctional baby equipment using 3D air mesh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73981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12662B1 (en) | 2023-05-18 | 2023-12-13 | 주식회사 꿈비 | Baby products that can be selectively used as a hip seat and a nursing seat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854779B (en) * | 2020-06-30 | 2024-10-29 | 明门瑞士股份有限公司 | Infant holding back strap |
WO2024185936A1 (en) * | 2023-03-07 | 2024-09-12 | 주식회사 라안 | Baby carrier |
KR102617396B1 (en) * | 2023-03-07 | 2023-12-28 | 주식회사 라안 | Baby carrier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325259B1 (en) | 2000-05-13 | 2001-12-04 | Arms Reach Concepts, Inc. | Hip pouch baby carrier |
KR200352129Y1 (en) | 2004-02-28 | 2004-06-04 | 조철희 | baby feed mattress set |
KR200365071Y1 (en) | 2004-07-23 | 2004-10-15 | 현태섭 | Wadded baby wrapper for infant multifunction |
KR101679218B1 (en) | 2015-06-23 | 2016-11-24 | 주식회사 스마트브레인 | Infant Carrier Sets |
KR200482090Y1 (en) | 2016-06-23 | 2016-12-28 | (주)디에스통상 | Multipurpose cushions for infant-toddler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06436U (en) * | 2009-12-19 | 2011-06-27 | 신용남 | Feeding Cushion & Multi-Purpose Pillow Set |
KR20130003372U (en) * | 2011-11-29 | 2013-06-07 | 이유리 | baby carrier |
KR101414680B1 (en) * | 2012-05-31 | 2014-08-06 | 이종훈 | Neck pillow for children |
KR200462354Y1 (en) | 2012-06-01 | 2012-09-06 | 신고은 | Hip seat for infant |
KR101502580B1 (en) * | 2013-09-03 | 2015-03-16 | (주)블렛유 | Hip seat for infant |
KR101469411B1 (en) | 2013-11-01 | 2014-12-04 | 최진영 | Pillow for infants |
KR101677806B1 (en) * | 2014-11-06 | 2016-11-18 | 김선희 | Multipurpose nursing cushion |
KR101989880B1 (en) * | 2015-03-18 | 2019-06-17 | 주식회사 와이케이비앤씨 | Baby carrier |
KR102028090B1 (en) * | 2016-12-01 | 2019-10-02 | 윤강림 | Baby carrier and using method for baby carrier |
-
2018
- 2018-10-30 KR KR1020180131035A patent/KR102173981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325259B1 (en) | 2000-05-13 | 2001-12-04 | Arms Reach Concepts, Inc. | Hip pouch baby carrier |
KR200352129Y1 (en) | 2004-02-28 | 2004-06-04 | 조철희 | baby feed mattress set |
KR200365071Y1 (en) | 2004-07-23 | 2004-10-15 | 현태섭 | Wadded baby wrapper for infant multifunction |
KR101679218B1 (en) | 2015-06-23 | 2016-11-24 | 주식회사 스마트브레인 | Infant Carrier Sets |
KR200482090Y1 (en) | 2016-06-23 | 2016-12-28 | (주)디에스통상 | Multipurpose cushions for infant-toddler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12662B1 (en) | 2023-05-18 | 2023-12-13 | 주식회사 꿈비 | Baby products that can be selectively used as a hip seat and a nursing sea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48690A (en) | 2020-05-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73981B1 (en) | Multifunctional baby equipment using 3D air mesh | |
US9265357B2 (en) | Nursing and infant support pillow | |
JP5637569B2 (en) | Baby carrier | |
US6213362B1 (en) | Sling-type infant carrier | |
US20190014920A1 (en) | Universal Baby Carrier | |
AU2021201176A1 (en) | A Baby Carrier | |
KR102377913B1 (en) | Multi Function Baby Carrier Package | |
KR200469068Y1 (en) | A waded baby wrapper having hip-seat | |
CN102481023A (en) | Swaddle blanket | |
US20060179574A1 (en) | Adjustable pillow for supporting an infant | |
KR102612662B1 (en) | Baby products that can be selectively used as a hip seat and a nursing seat | |
CN205410570U (en) | Infant's back of body piece of cloth of both shoulders back of body | |
KR101922307B1 (en) | Inner wrapper for baby | |
JP2009207848A (en) | Foldable crossing baby carrier | |
JP6933954B2 (en) | Babysitter | |
KR20160150567A (en) | structrue for forearm type carrier fo baby | |
US10918138B2 (en) | Wearable baby blanket with insulated interchangeable upper and lower pockets for a customized fit and utility that easily converts into a traditional blanket | |
JP2005288107A (en) | Nursing strap | |
CA2867757C (en) | Nursing and infant support pillow | |
KR200369588Y1 (en) | a multipurpose cushion | |
TWM517571U (en) | Dual bearing-on-shoulder baby sling | |
KR101502580B1 (en) | Hip seat for infant | |
CN203506122U (en) | Back cushion | |
KR20130000730U (en) | nursing cushion | |
KR102201987B1 (en) | Hip Sea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03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1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72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10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10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8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