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173166B1 - 다목적 부잔교와 이를 이용한 플로팅 도크 - Google Patents

다목적 부잔교와 이를 이용한 플로팅 도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3166B1
KR102173166B1 KR1020200022309A KR20200022309A KR102173166B1 KR 102173166 B1 KR102173166 B1 KR 102173166B1 KR 1020200022309 A KR1020200022309 A KR 1020200022309A KR 20200022309 A KR20200022309 A KR 20200022309A KR 102173166 B1 KR102173166 B1 KR 1021731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oyancy
air
auxiliary
pier
top pl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2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정규
김상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디산업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디산업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디산업기술
Priority to KR10202000223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31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31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316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02B3/062Constructions floating in operational condition, e.g. breakwaters or wave dissipating walls
    • E02B3/064Floating landing-st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04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stability
    • B63B43/06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stability using ballast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00Dry-docking of vessels or flying-boats
    • B63C1/02Floating docks
    • B63C1/06Arrangements of pumping or filling equipment for raising or lowering d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14Floating bridges, e.g. pontoon b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7/00Buoyancy or ballast means
    • B63B2207/02Variable ballast or buoyanc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11Hard structures, e.g. dams, dykes or breakw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rchitectur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목적 부잔교와 이를 이용한 플로팅 도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파도나 물살에 의한 충격을 차단할 수 있도록 된 다목적 부잔교와 이를 이용한 플로팅 도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부잔교와 이를 이용한 플로팅 도크는 필요한 경우에 수중에 침강함으로써, 파도나 물살의 충격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다목적 부잔교와 이를 이용한 플로팅 도크{Multipurpose pontoon and floating dock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다목적 부잔교와 이를 이용한 플로팅 도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파도나 물살에 의한 충격을 차단할 수 있도록 된 다목적 부잔교와 이를 이용한 플로팅 도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을 접안(接岸)시키기 위해선 물가에 설치되는 계선시설인 잔교(棧橋)가 필요하다. 그러나 조수간만의 차가 큰 지역에서는 잔교가 물에 가라앉아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람이 통행할 수 있는 도로를 부력 구조물로 지지함으로써 물에 부유됨에 의해 높낮이가 조절되어 해수면의 변동에 관계없이 선박의 접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부잔교(浮棧橋)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 20-2014-0003793 호와 등록실용신안 제 20-0306925 호에는 종래의 부잔교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부잔교는 태풍 또는 해일이 발생하여 심한 파도나 물살에 의해 충격을 받을 수 있으며, 이에 따른 파손으로 인해 사용수명이 짧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 20-2014-0003793 호 : 폰툰 조립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 20-0306925 호 : 부잔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파도나 물살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다목적 부잔교와 이를 이용한 플로팅 도크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부잔교는 내부에 부력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부력공간과 연통된 물출입구와 공기출입구가 형성되어, 상기 부력공간에 충진된 공기와 물의 비율에 따라 자중과 부력이 유동적으로 변화하는 복수개의 부력탱크들과, 상기 부력탱크들로부터 상방으로 지지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부력탱크들이 부상함에 의해 수면에 노출된 상면이 도로를 형성하는 상판과, 각각의 상기 공기출입구에 접속되어 공기를 주입하거나 유출되는 공기를 배출할 수 있는 공기주입유닛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상판과 상기 부력탱크의 사이에 설치되고 하부에 각각의 상기 본체부가 결합되도록 구획된 결합공간이 형성된 프레임부와, 상기 상판의 수평상태를 감지하는 수평감지부와, 상기 상판이 수평상태에서 벗어났을 때 각각의 상기 부력공간의 물과 공기의 비율을 조정하여 상기 상판이 수평상태가 되도록 상기 공기주입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부력탱크보다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부력탱크가 침수하였을때 선단부가 해저면에 고정되어 상기 부력탱크가 침강된 상태에서 유동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받침부를 더 구비할 수 있고, 각각의 상기 부력탱크는 중공의 원통 형상의 강성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공기주입유닛은 각 상기 공기출입구에 접속되고 부력조절밸브에 의해 개폐될 수 있는 복수개의 제1 연결관들과, 상기 제1 연결관들과 연결되어 상기 부력탱크에 공기를 주입할 수 있도록 공기펌프가 설치된 제2 연결관과, 상기 제1 연결관과 상기 공기펌프 사이의 분기점으로부터 분기되어 퍼지밸브가 개방될 시 공기가 외기로 유출될 수 있는 제3 연결관을 구비하며, 상기 제2 연결관은 상기 분기점과 상기 공기펌프 사이에서 공기가 상기 공기펌프로 역류하는 것을 차단하는 체크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플로팅 도크는 내부에 부력공간이 형성되고, 하부에 외기와 연통된 물출입구가 형성되고, 상부에 공기출입구가 형성되어, 상기 부력공간에 충진된 공기와 물의 비율에 따라 수면에 부상하거나 해중에 침강할 수 있는 복수개의 부력탱크들과 상기 부력탱크들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부력탱크들이 부상함에 의해 수면에 노출된 상면이 도로를 형성하는 상판과 상기 상판의 상부에 선박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상판의 양 측부에 상기 상판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고, 내부에 보조부력공간이 형성되며, 하부에 외기와 연통된 보조물출입구가 형성되고, 상부에 보조공기출입구가 형성되어, 상기 보조부력공간에 충진된 공기와 물의 비율에 따라 상기 상판의 상면이 해중에 침강한 상태에서 일부가 수상에 부상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한쌍의 보조부력탱크와 각각의 상기 공기출입구와 상기 보조공기출입구에 접속되어 공기를 주입하거나 유출되는 공기를 배출할 수 있는 공기주입유닛을 구비한다.
이때, 상기 보조부력탱크는 상기 상판으로부터 하방으로 배치될 수 있게 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상판의 양측단과 힌지결합되고, 상기 보조부력탱크가 상기 상판에 대해 회동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고정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부잔교와 이를 이용한 플로팅 도크는 필요한 경우에 수중에 침강함으로써, 파도나 물살의 충격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부잔교를 도시한 일부절제 분리사시도이다.
도 2은 도 1의 다목적 부잔교의 공기주입유닛과 수평감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1의 다목적 부잔교의 작동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부잔교의 측면도 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 도크를 도시한 일부절제 분리사시도 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부잔교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부잔교(1)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부잔교(1)는 내부에 부력공간(11)에 충진된 공기와 물의 비율에 따라 유동적인 부력을 발생시키는 복수개의 부력탱크들(10)과, 부력탱크들(10)로부터 지지되어 부력탱크들(10)이 부상함에 의해 수면에 노출된 상면이 도로를 형성하는 상판(30)과, 각각의 공기출입구(13)에 접속되어 공기를 주입하거나 유출되는 공기를 배출할 수 있는 공기주입유닛(50)을 구비한다.
부력탱크(10)는 내부에 부력공간(11)이 형성되도록 중공의 원통 형상의 강성 재질로 형성되며 하부에는 물출입구(15)가 형성되고, 물출입구(15)에 접속되어 외부로부터 물이 출입할수 있도록 부력공간(11)을 연통하는 물출입관(16)이 설치된다. 부력탱크(10)의 상부에는 부력공간(11)을 연통하는 공기출입구(13)가 형성된다.
부력탱크(10)는 해수로 인한 부식이 방지되도록 스테인리스와 같은 내식강 소재로 제작되거나 염화비닐(PVC)이나 폴리에틸렌(PE)과 같이 환경오염의 문제가 적은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를 이용하는것이 바람직하다.
상판(30)은 사람이 배에서 오르거나 내릴 수 있도록 충분한 내구성을 지닌 목재, 철재, 콘크리트, 합성수지와 같은 소재로 구성되며, 상면이 평평한 장방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판(30)은 일체로 형성되거나 다수의 판재가 조립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판(30)은 부력탱크(10)로부터 발생되는 부력에 의해 충분히 인양될 수 있는 너비와 무게를 갖는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판(30)과 부력탱크(10) 사이에는 프레임(40)이 설치된다. 프레임(40)은 상판(30)의 하부에 상판과 결합되는 상판 지지부(48), 상판 지지부(48)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된 상부 결합부(41)와, 상부 결합부(41)와 조립 또는 분리될 수 있는 하부 결합부(45)를 구비한다.
상판 지지부(48)와 상판(30)에는 각각 상판 고정공(37)이 형성되어 상판 고정볼트(38)에 의해 체결됨으로써 결합될 수 있다. 상부 결합부(41)는 상부 프레임조립공(42)이 형성된 상부 플랜지(43)가 양단부에 형성된 복수개의 반구형 몸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하부 결합부(45)는 상부 결합부(41)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하부 결합부(45)는 상부 결합부(41)와 결합 시 결합공간(44)을 형성하는 반구형 몸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양측부에 하부 프레임조립공(46)이 형성된 하부 플랜지(47)가 형성된다. 상부 결합부(41)와 하부 결합부(45)는 각 플랜지가 면접하여 나사 또는 리벳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공기주입유닛(50)은 각 공기 출입구에 접속된 복수개의 제1 연결관(51)들과, 제1 연결관(51)들과 연결되어 부력탱크(10)에 공기를 주입할 수있도록 공기펌프(56)가 설치된 제2 연결관(55)과, 제1 연결관(51)과 공기펌프(56) 사이의 제2 연결관(55)의 일 부분에서 분기점(57)을 형성하도록 분기되어 공기가 유출될 수 있는 제3 연결관(61)을 구비한다.
제3 연결관(61)과 공기펌프(56)의 흡기구는 항시 외부에 노출되어 있도록 지상에 설치된다.
각 연결관들은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부잔교(1)가 해중에 침강하거나 수면에 부상함에 따라 구부러지거나 펴질 수 있도록 고무 또는 수지 소재로 구성되고 충분한 길이를 갖는 가요성 호스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기점(57)과 공기펌프(56) 사이에는 공기가 공기펌프(56)로부터 분기점(57) 방향으로만 통과할수 있도록 체크밸브(58)가 설치되어 공기펌프(56)가 가동하지 않을 시 공기가 공기펌프(56)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3 연결관(61)에는 퍼지밸브(62)가 설치되어 부력탱크(10)에 공기를 주입할 시 제3 연결관(61)을 폐쇄하여 공기가 유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체크밸브(58)를 제외한 각 밸브들은 전기적 신호에 의해 개폐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수동으로 조작 가능한 솔레노이드 밸브로 구성된다.
상판(30)에는 상판(30)의 기운 정도를 감지할 수 있는 수평감지부(64)가 설치된다.
수평감지부(64)는 상판(30)이 평평한 상태로 정의된 기준상태로부터 상판이 상대적으로 기울어진 정도를 측정하는 자이로스코프 센서가 설치되거나 상판(30)의 각 모서리에 설치되어 수면으로부터의 이격거리를 측정하는 레벨센서로 구성된 것일 수 있다.
수평감지부(64)는 제어부(6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수평감지부(64)에서 측정된 상판(30)이 기울어진 정도와 방향에 따른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제어부(65)는 퍼지밸브(62), 부력조절밸브(52), 공기펌프(56)를 제어할 수 있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판(30)을 수평상태로 유도하도록 정해진 시퀀스에 따라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부잔교(1)의 작동예 및 효과는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부잔교(1)는 부력탱크(10)의 부력공간(11)에 공기가 채워져 있고 부력조절밸브(52)와 퍼지밸브(62)가 닫힌 상태에서 수면에 띄워지면 부력공간(11)의 공기압에 의해 해수의 유입이 차단되어 부력탱크(10)에서 발생시키는 부력이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의 다목적 부잔교(1)는 수면에 부유되며 해수면의 높이에 상관없이 선박이 접안할 수 있는 부잔교로서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부잔교(1)가 수면에 부유된 상태에서 파도나 태풍에 의해 부잔교(1)가 뒤집어지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부력조절밸브(52)들과 퍼지밸브(62)를 개방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부잔교(1)를 침강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각 부력탱크(10)를 둘러싸고 있는 해수의 압력에 의해 각 부력공간(11)의 공기는 제3 연결관(61)을 통해 외기로 밀려 유출된다. 부력공간(11)이 공기에서 물로 치환됨에 따라 부력이 감소하게 되고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부잔교(1)의 자중에 의해 해저면까지 침강하게 된다.
다목적 부잔교(1)가 침강하는 작동이 완료된 후에는 부력조절밸브(52)와 퍼지밸브(62)의 개폐여부는 더 이상의 작동 효과를 발생시키지는 않으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폐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상태의 다목적 부잔교(1)는 해중에 침강되어 파도나 태풍에 의해 충격을 받아 파손되거나 뒤집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다목적 부잔교(1)가 해중에 침강한 상태에서 해수면에 부유시키기 위해 부력조절밸브(52)들을 개방시키고, 퍼지밸브(62)를 차단시킨 후 공기펌프(56)을 작동시켜 공기를 유입시킨다. 이를 통해 부력공간(11)으로 유입된 압축공기는 내부공간(11)의 해수를 밀어내고 해수는 물출입구(15)를 통해 유출된다.
부력공간(11)에서 물에서 공기로 치환된 부피와 비례하여 부력이 발생되고 부력이 자중을 초과함에 의해 수면으로 인양된다. 다목적 부잔교(1)가 수면으로 완전히 인양 된 후 부력공간(11) 내의 공기가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부력조절밸브(52)들을 폐쇄시킴으로써 다목적 부잔교(1)가 부유하는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한편, 수평감지부(64)는 상판(30)이 수평상태에서 벗어났을때 기울어진 방향과 정도를 전달하기 위한 제1 신호를 제어부(65)로 송신한다. 제어부(65)가 제1 신호를 수신하면 해당 위치의 부력조절밸브(52)를 개방하고 공기펌프(56)를 가동시켜 해당 위치의 부력탱크(10)의 부력을 증대시키거나 다른 부력조절밸브(52)와 퍼지밸브(62)를 개방하여 부력탱크(10)의 부력을 감소시킴을 통해 상판(30)을 평형상태로 조정할 수 있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부잔교(2)가 도시되어 있다.
받침부(70)를 제외한 다른 요소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함에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를 따르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부잔교(2)는 상판을 상방으로 지지하도록 상판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받침부(7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판(30)에는 받침부(70)가 삽입될 수 있는 지름을 갖는 받침부 고정공(39)이 상판(30)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관통 형성되고 받침부(70)는 일측에 받침부 고정공(39)보다 더 큰 크기의 받침머리(71)가 형성되어 받침부(70)가 하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삽입된다.
삽입된 받침부(70)는 받침부 고정부재(72)가 체결되어 받침부(70)가 상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지지한다. 받침부(70)는 타측에는 지름이 좁아지도록 연장 형성된 받침못(73)이 형성된다.
받침부(7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과 나사결합되어 결합될 수 있으나 프레임부와 일체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부잔교(2)는 침강 시 해저면에 박혀 고정됨으로써 심층 해류에 의해 떠내려 가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 도크92)가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 도크(3)는 내부에 부력공간(11)에 공기와 물의 비율에 따라 자중과 부력이 유동적으로 변화하는 복수개의 부력탱크들(10)과, 부력탱크들(10)로부터 지지되어 부력탱크들(10)이 부상함에 의해 수면에 노출된 상면이 도로를 형성하는 상판(30)과, 상판(30)의 양측에 힌지결합되어 상판(30)에 대해 상방 또는 하방에 배치될 수 있고 외주면에 보조공기출입구(83)와 보조물출입구(85)가 형성된 보조부력탱크(80)와, 각각의 공기출입구(13)와 보조공기출입구(83)에 접속되어 공기를 주입하거나 유출되는 공기를 배출할 수 있는 공기주입유닛(50)을 구비한다.
보조부력탱크(80)를 제외한 다른 요소들은 상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에 따라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보조부력탱크(80)의 일단에는 보조물출입구(85)에 접속되어 소정 길이로 연장 형성되는 보조물출입관(84)이 설치되고, 보조물출입관(84)에는 필요에 따라 해수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키기 위한 별도의 마개부재(86)가 결합될 수 있다.
보조부력탱크(80)는 상판(30)의 양 측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결합 된다.이를 위해 상판(30)의 양 측부에는 회동축(33)이 삽입될 수 있는 제1 고정공(32)이 형성된 복수개의 제1 고정부(31)들이 일정 간격으로 돌출 형성된다.
보조부력 탱크(80)의 일단에는 제1 고정공(32)에 대응하여 제2 고정공(88)이 형성된 복수개의 제2 고정부(87)가 돌출 형성된다. 상판(30)과 보조부력 탱크(80)는 제1 고정부(31)와 제2 고정부(87)가 교차되도록 결합되고 제1 고정공(32)과 제2 고정공(88)에 회동축(33)이 삽입됨으로써 힌지결합 된다.
보조부력탱크(80)의 길이방향으로의 양 단에는 고리 등을 걸수 있도록 제2 고정고리(89)가 형성된다. 상판(30) 보조부력탱크(80)가 결합되지 않은 양 단에 제2 고정고리(89)와 대응되어 로프 등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제1 고정고리(35)가 형성된다. 상판(30)에 대한 보조부력탱크(80)의 각도는 사슬 또는 로프 등으로 형성된 고정부재(94)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각 보조공기출입구(83)에는 보조부력조절밸브(92)에 의해 개폐될 수 있는 복수개의 보조연결관(91)이 접속되고 보조연결관(91)은 제2 연결관(55)과 연결됨을 통해 부력탱크(10)와 동일한 원리로 부력의 조절이 가능하다.
보조부력탱크(80)의 하면에는 복수개의 웨이트고정축(96)이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웨이트고정축(96)이 삽입될 수 있는 웨이트고정공(97)이 형성된 웨이트부재(98)가 결합되고, 웨이트고정공(97)보다 더 큰 지름으로 형성된 웨웨이트고정부재(99)가 웨이트고정축(96)과 나가결합함으로써 웨이트부재(98)가 웨이트 고정축(96)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압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 도크의 작동예 및 효과는 다음과 같다.
보조부력탱크(80)가 상판(30)으로부터 상방으로 향하도록 회동하고 고정부재(94)가 제1 고정고리(35) 및 제2 고정고리(89)에 체결된 상태에서 선박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100)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로팅 도크(3)가 수면에 부양한 상태에서 상판(30)이 수면보다 더 낮으나 본 발명에 따른 플로팅도크(3)의 자중과 부력탱크(10) 및 보조부력탱크(80)가 발생시키는 부력이 평형을 이루는 위치까지 본 발명에 따른 플로팅 도크(3)를 침강시킬 수 있도록 조절할 수 있다. 상판(30)이 수면보다 낮게 침강된 상태에서 선박이 수용공간(100)에 진입한 후 부력탱크(10)의 부력을 조정함을 통해 선박을 인양할 수 있게 된다.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으나 선박이 상판(30) 상에서 소정의 자세로 인양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거치대가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선박을 인양한 상태의 본 발명에 따른 플로팅도크(3)는 사용자로 하여금 상판(30)에서 선박에 대한 청소 또는 정비 등의 일련의 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어촌의 소형선박의 상가수리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부잔교와 이를 이용한 플로팅 도크는 도면에 도시된 일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2 : 다목적 부잔교 3 : 플로팅 도크
10 : 부력탱크 30 : 상판
40 : 프레임 50 : 공기주입유닛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내부에 부력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부력공간과 연통된 물출입구와 공기출입구가 형성되어 상기 부력공간에 충진된 공기와 물의 비율에 따라 자중과 부력이 유동적으로 변화하는 복수개의 부력탱크들과, 상기 부력탱크들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부력탱크들이 부상함에 의해 수면에 노출된 상면이 도로를 형성하는 상판과, 각각의 상기 공기출입구에 접속되어 공기를 주입하거나 유출되는 공기를 배출할수 있는 공기주입유닛을 포함하는 다목적 부잔교와;
    상기 상판의 상부에 선박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상판의 양 측부에 상기 상판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고, 내부에 보조부력공간이 형성되며, 하부에 외기와 연통된 보조물출입구가 형성되고, 상부에 상기 공기주입유닛이 연결되는 보조공기출입구가 형성되어, 상기 보조부력공간에 충진된 공기와 물의 비율에 따라 상기 상판의 상면이 해중에 침강한 상태에서 일부가 수상에 부상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한쌍의 보조부력탱크;를 구비하는 다목적 부잔교를 이용한 플로팅 도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부력탱크는 상기 상판으로부터 하방으로 배치될 수 있게 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상판의 양측단과 힌지결합되고,
    상기 보조부력탱크가 상기 상판에 대해 회동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고정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부잔교를 이용한 플로팅 도크.
KR1020200022309A 2020-02-24 2020-02-24 다목적 부잔교와 이를 이용한 플로팅 도크 Active KR1021731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2309A KR102173166B1 (ko) 2020-02-24 2020-02-24 다목적 부잔교와 이를 이용한 플로팅 도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2309A KR102173166B1 (ko) 2020-02-24 2020-02-24 다목적 부잔교와 이를 이용한 플로팅 도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3166B1 true KR102173166B1 (ko) 2020-11-02

Family

ID=73397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2309A Active KR102173166B1 (ko) 2020-02-24 2020-02-24 다목적 부잔교와 이를 이용한 플로팅 도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3166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8580B1 (ko) 2020-11-12 2021-02-22 보성포리테크 주식회사 플로팅 도크 시스템
KR102275400B1 (ko) 2021-03-19 2021-07-12 (주)네오테크 파랑 영향 감쇄형 부잔교
KR102312883B1 (ko) * 2021-04-06 2021-10-13 목포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노후 선박을 개조한 플로팅 도크
CN115042930A (zh) * 2022-06-13 2022-09-13 武汉理工大学 一种压载水舱及浮船坞
CN116005545A (zh) * 2022-12-27 2023-04-25 河南科技大学 一种可沉入水下的浮桥结构
CN116161178A (zh) * 2023-04-26 2023-05-26 昆明力暖科技有限公司 一种智慧水务数据采集装置
KR20230087757A (ko) * 2021-12-10 2023-06-19 주식회사 오션하이브 해양생물 차단 구조물이 설치된 수중 침하식 부교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6925Y1 (ko) 2002-11-21 2003-03-11 김임만 부잔교
KR200432359Y1 (ko) * 2006-07-27 2006-12-04 신승호 고밀도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부력관을 부력제로 이용한부잔교
KR101026543B1 (ko) * 2010-10-20 2011-04-01 주식회사 마린코리아 부력체 지지장치와 이를 이용한 부유구조체
KR20140003793U (ko) 2012-12-11 2014-06-19 김재운 폰툰 조립체
KR101716339B1 (ko) * 2016-07-05 2017-03-14 고덕선 수평 복원력이 빠른 부력구조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6925Y1 (ko) 2002-11-21 2003-03-11 김임만 부잔교
KR200432359Y1 (ko) * 2006-07-27 2006-12-04 신승호 고밀도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부력관을 부력제로 이용한부잔교
KR101026543B1 (ko) * 2010-10-20 2011-04-01 주식회사 마린코리아 부력체 지지장치와 이를 이용한 부유구조체
KR20140003793U (ko) 2012-12-11 2014-06-19 김재운 폰툰 조립체
KR101716339B1 (ko) * 2016-07-05 2017-03-14 고덕선 수평 복원력이 빠른 부력구조물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8580B1 (ko) 2020-11-12 2021-02-22 보성포리테크 주식회사 플로팅 도크 시스템
KR102275400B1 (ko) 2021-03-19 2021-07-12 (주)네오테크 파랑 영향 감쇄형 부잔교
KR102312883B1 (ko) * 2021-04-06 2021-10-13 목포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노후 선박을 개조한 플로팅 도크
KR20230087757A (ko) * 2021-12-10 2023-06-19 주식회사 오션하이브 해양생물 차단 구조물이 설치된 수중 침하식 부교
KR102615900B1 (ko) * 2021-12-10 2023-12-20 주식회사 오션하이브 해양생물 차단 구조물이 설치된 수중 침하식 부교
CN115042930A (zh) * 2022-06-13 2022-09-13 武汉理工大学 一种压载水舱及浮船坞
CN115042930B (zh) * 2022-06-13 2024-02-20 武汉理工大学 一种压载水舱及浮船坞
CN116005545A (zh) * 2022-12-27 2023-04-25 河南科技大学 一种可沉入水下的浮桥结构
CN116161178A (zh) * 2023-04-26 2023-05-26 昆明力暖科技有限公司 一种智慧水务数据采集装置
CN116161178B (zh) * 2023-04-26 2023-09-08 昆明力暖科技有限公司 一种智慧水务数据采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3166B1 (ko) 다목적 부잔교와 이를 이용한 플로팅 도크
US10514021B2 (en) Underwater energy storage and electricity
US6050207A (en) Description and operation of a flood control device for most any object
US20090288612A1 (en) Submersible mooring grid
KR101605092B1 (ko) 진공 유동방지 장치를 구비한 부유체
KR20140029880A (ko) 에어백 폰툰
US4465399A (en) Artificial reef assembly construction and a method
US6554534B1 (en) Flexible structur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quality of liquids
AU2008294758B2 (en) An off-shore structure, a buoyancy structure, and method for installation of an off-shore structure
CN110053730A (zh) 半潜式平台及其压载系统
KR101875877B1 (ko) 평형성 보강형 부잔교
KR101716339B1 (ko) 수평 복원력이 빠른 부력구조물
KR101727011B1 (ko) 수위 변화에 대응하는 부유식 수상 시설물 조립체
KR101058393B1 (ko) 도크 겸용 작업선
KR200453349Y1 (ko) 선박 접안 시설물
KR102185915B1 (ko) 부유식 수상 구조물의 시공구조
KR102185775B1 (ko) 수면하 부력체를 이용한 부유식 수상 구조물의 시공구조
WO2005105568A1 (ja) 簡易マリーナ装置及び船舶の管理方法
CN110409286B (zh) 一种泡沫陶瓷结构组装成的海上浮桥
ES2913839A9 (es) Plataforma flotante para construcción de grandes estructuras de hormigón
KR102218580B1 (ko) 플로팅 도크 시스템
KR102293272B1 (ko) 다용도 승하강 수상부유 구조물
RU79084U1 (ru) Плавучая платформа
KR101716340B1 (ko) 수평 복원력이 빠른 부력구조물
KR101766979B1 (ko) 수중물체를 상,하강시키는 수중 발란스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22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22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7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81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10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10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9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0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