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2176B1 - Apparatus and method for reinforcing basic of steel tower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reinforcing basic of steel tow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72176B1 KR102172176B1 KR1020180119001A KR20180119001A KR102172176B1 KR 102172176 B1 KR102172176 B1 KR 102172176B1 KR 1020180119001 A KR1020180119001 A KR 1020180119001A KR 20180119001 A KR20180119001 A KR 20180119001A KR 102172176 B1 KR102172176 B1 KR 10217217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nut
- anchor
- force
- stiffener
- pul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42—Foundations for poles, masts or chimney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28—Stressing the soil or the foundation structure while forming found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50—Anchored found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1—Height being adjustable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탑 기초 보강장치 및 보강방법에 관한 것으로, 기존 설치된 철탑 기초대(1)에 천공한 천공홀(7)에 삽입하여 상기 천공홀(7)과 연통되도록 상기 기초대(1) 하부의 암지반에 천공한 연장홀(9)까지 삽입하며 외경에 나사산이 형성된 앵커(100)와 상기 앵커(100)에 조립되며 외경을 확장하여 상기 암지반 외벽에 고정되는 인발력 보강자재(200)와 상기 앵커(100)에 조립되며 상기 앵커(100)에 인발력 및 압축력을 가하는 앵커플레이트 보강자재(4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진입로 개설 및 철탑 기초 굴착이 필요없이 철탑 보강 공사가 가능하며 현장적용이 용이하고 현장에 적용되어 구조적 안정성 확보되는 이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inforcing device and a method for reinforcing a pylon foundation, and is inserted into a hole 7 drilled in the existing pylon foundation 1 to communicate with the drilling hole 7 at the bottom of the foundation 1 Inserted up to the extension hole 9 drilled into the rock ground, and assembled to the anchor 100 and the anchor 100 having an outer diameter threaded, and extending the outer diameter, a pulling force reinforcing material 200 fixed to the outer wall of the rock ground and the It is assembled to the anchor 100 and includes an anchor plate reinforcing material 400 that applies a pulling force and a compressive force to the anchor 100.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reinforce the steel tower without the need for opening an access road and excavating the foundation of the steel tower, and it is easy to apply on-site and is applied to the site to secure structural stability.
Description
본 발명은 철탑 기초 보강장치 및 보강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전철탑의 기초 보강공사를 위한 철탑 기초 보강장치 및 보강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el tower foundation reinforcement apparatus and a reinforcement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eel tower foundation reinforcement apparatus and a reinforcement method for foundation reinforcement work of a distribution tower.
배전철탑은 지상에 기초구조물을 동반하고 있기 때문에 지하에 매설된 기초의 시공성, 폭우에 의한 지반의 지각변동, 지형변화, 인근에 대형축조물 조성 등으로 기초 부동변위가 발생하게 되면 구조적으로 강도가 저하되거나 심각한 변형을 나타낸다.Since the distribution tower is accompanied by the foundation structure on the ground, the strength of the foundation decreases structurally when floating displacement occurs due to the workability of the foundation buried under the ground, crust change of the ground due to heavy rain, topography change, and the creation of large structures in the vicinity. Or shows severe deformation.
따라서 철탑의 시공상태를 확인하여 연약지반이거나 하중조건 및 지형변화 등으로 기초 부동변위가 발생한 경우 철탑 역T형 기초대 보강공사를 수행하여 기초를 보강하게 된다.Therefore, if the construction condition of the steel tower is checked and the foundation is soft ground, or if the foundation floating displacement occurs due to changes in load conditions and topography, the steel tower reverse T-type foundation reinforcement work is performed to reinforce the founda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탑 역T형 기초 보강공사는 철탑 기초의 인발력을 보강하는 인발보강 치환공법(a), 수평력을 보강하는 수평보강 치환공법(b), 및 복합적 보강 방법인 덧씌우기 공법(c)을 적용할 수 있으며, 철탑 상부로부터 전달되는 하중, 즉 압축력, 인발력, 수평력 등의 하중을 고려하여 보강공법이 결정된다. As shown in Fig. 1, the reinforcement of a steel tower inverted T-type foundation is a pull-out reinforcement replacement method (a) for reinforcing the pull-out force of the steel tower foundation, a horizontal reinforcement replacement method (b) for reinforcing horizontal force, and a composite reinforcing method, overlaying. Construction method (c) can be applied, and the reinforcement method is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loads transmitted from the top of the tower, such as compressive force, pulling force, and horizontal force.
이러한 철탑 역T형 기초 보강공사는 벌목, 절토, 성토를 통해 진입도로를 개설하고, 굴착장비(백호 등) 및 자재운반 차량이 철탑 기초공사 현장까지 진입하여 철탑 부지를 굴착한 후, 철탑 역T 기초(1) 철근배근, 거푸집 조립, 콘크리트 타설(3), 되메우기 순서로 철탑 기초를 보강한다.In the reinforcement of the tower's inverted T-type foundation, an access road is opened through logging, cutting, and embankment, and excavation equipment (backhoe, etc.) and material transport vehicles enter the tower foundation construction site to excavate the tower site, and then the tower reverse T Foundation (1) Reinforce the tower foundation in the order of reinforcement, formwork assembly, concrete placement (3), and backfill.
그리고, 철탑 기초 보강이 완료되면, 기초 주변의 부지정리, 훼손지 복구, 배수공사 등을 시행한다. 즉, 진입도로로 이용한 산지는 도로 원상복구와 초류종자 파종, 나무식재 등을 통해 훼손지를 원상복구 하고, 농지는 농지정리한 후 소유자 등의 입회하에 복구 상태 등을 확인받고 관할관청(해상국립공원, 지자체) 등에 산지·농지 복구 준공검사를 득해야 한다.And, when the reinforcement of the foundation of the steel tower is completed, site arrangement around the foundation, restoration of damaged areas, and drainage work are carried out. In other words, the mountain area used as the access road is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through restoration of the road, seeding of grass seed, and planting trees, and the farmland is cleared and the restoration status is checked in the presence of the owner, etc., and the competent authority (National Marine Park, Local government) etc., etc.
그런데, 대부분의 배전철탑은 도서지역의 전력공급시설로 건설된 위치가 육지측 해안의 산악지역과 도서(섬)측 해안의 산악지역이며, 이중 상당부분이 해상국립공원 내에 위치하고 있어 설치위치가 제한된 지리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However, most of the power distribution towers are located in the mountainous area on the shore of the land and the mountainous area on the coast of the island (island), and many of them are located in the maritime national park, so the installation location is limited. It has geographic characteristics.
또한, 최근 관광레져 산업의 활성화로 전망 좋은 해안이나 도서지역에 해안 도로 개설로 펜션 신축이 증가하고 있어 해안지역이나 산악지역에 위치한 철탑의 부지 소유자 및 인근 주민들로부터 배전철탑 철거 요구가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다. In addition, due to the recent revitalization of the tourism and leisure industry, new pension construction is increasing by opening coastal roads in coastal or island areas with good prospects.Therefore, demands for the removal of distribution towers from owners and neighbors of steel towers located in coastal or mountainous areas are increasing rapidly. to be.
이러한 상황에서 배전철탑 기초 보강공사를 위해 굴착장비 진입을 위한 진입로 개설이나 진입도로 경과지내 위치한 토지 소유자의 토지 사용 동의를 얻기가 어려워 산지, 농지 일시점용 허가시 필요한 토지사용 승낙서를 지자체에 제출할 수 없기 때문에 인허가는 물론 공사도 불가한 실정이다. 그리고 토지 소유자의 사용 동의를 얻더라도 협의기간이 수개월에서 수년이 소요되므로 인허가 지연 등으로 공사 시행이 장기간 중지되는 실정이다.Under such circumstances, it is difficult to open an access road to enter the excavation equipment for the foundation reinforcement of the distribution tower or to obtain the consent of the land owner located within the access road, so that it is impossible to submit the land use consent required for the temporary use of mountain or farmland to the local government. Therefore, it is not possible to permit construction as well as permits. And even if the land owner's consent to use is obtained, the consultation period takes several months to several years, so the construction is suspended for a long time due to delays in licensing.
본 발명의 목적은 진입로 개설 및 철탑 기초 굴착이 필요없이 철탑 보강 공사가 가능하며 현장적용이 용이하고 구조적 안정성 확보되는 철탑 기초 보강장치 및 보강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eel tower foundation reinforcement device and a reinforcement method that enables a steel tower reinforcement construction without the need for opening an access road and excavating the foundation of a steel tower, making it easy to apply on-site, and ensuring structural stability.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기존 설치된 철탑 기초대에 천공한 천공홀에 삽입하여 상기 천공홀과 연통되도록 상기 기초대 하부의 암지반에 천공한 연장홀까지 삽입하며 외경에 나사산이 형성된 앵커와 상기 앵커에 조립되며 외경을 확장하여 상기 암지반 외벽에 고정되는 인발력 보강자재와 상기 앵커에 조립되며 상기 앵커에 인발력 및 압축력을 가하는 앵커플레이트 보강자재를 포함한다.According to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xtension hole drilled into the rock ground below the foundation to communicate with the drilled hole by inserting it into the drilled hole drilled in the existing pylon foundation. It includes an anchor that is inserted up to and has an outer diameter threaded to the anchor, a pull-out force reinforcing material that is fixed to the outer wall of the rock ground by expanding the outer diameter, and an anchor plate reinforcement material that is assembled to the anchor and applies a pulling force and compression force to the anchor. .
상기 인발력 보강자재는 외경이 확장되어 암지반 외벽에 고정되는 인발보강재와 상기 인발보강재의 외경이 확장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인발보강재 커플러와 상기 인발보강재의 위치를 고정하는 인발보강재 높이조절너트와 회전에 의해 힘을 상기 인발보강재에 전달하는 인발력 보강너트와 상기 인발력 보강너트에서 전달되는 힘을 상기 인발보강재에 전달하는 원형 플레이트를 포함한다.The pull-out force reinforcing material is a pull-out stiffener fixed to the outer wall of the rock ground by expanding its outer diameter, a pull-out stiffener coupler that supports the pull-out stiffener so that the outer diameter of the pull-out stiffener can be expanded, and a pull-out stiffener height adjustment nut that fixes the position of the pull-out stiffener and rotates. It includes a pulling force reinforcing nut for transmitting a force to the pulling stiffener and a circular plate for transmitting the force transmitted from the pulling force reinforcing nut to the pulling stiffener.
상기 인발력 보강자재는 상기 앵커에 인발보강재 높이조절너트, 인발보강재 커플러, 인발보강재, 원형 플레이트 및 인발력 보강너트 순서로 상부에서 하부로 조립된다.The pulling force reinforcing material is assembled from top to bottom in the order of a pulling stiffener height adjustment nut, a pulling stiffener coupler, a pulling stiffener, a circular plate and a pulling force reinforcing nut to the anchor.
상기 인발력 보강너트를 회전시켜 상기 인발보강재를 조이기 위한 인발력 보강너트 조임재를 더 포함한다.It further comprises a pulling force reinforcing nut tightening material for tightening the pulling reinforcing material by rotating the pulling force reinforcing nut.
상기 인발보강재는 길이방향 일측이 개구된 원통 형상이고, 상기 인발보강재 커플러는 외경이 점차적으로 커지는 원뿔대 형상으로 되어, 상기 인발력 보강너트를 회전시키면 상기 인발보강재 커플러의 외경에 상기 인발보강재의 내경이 삽입되어 조여짐으로써 상기 인발보강재의 외경이 확장된다.The pull-out stiffener has a cylindrical shape with one side ope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pull-out stiffener coupler has a truncated cone shape whose outer diameter gradually increases, and when the pulling force reinforcing nut is rotated, the inner diameter of the pull-out stiffener is inserted into the outer diameter of the pull-out stiffener coupler. By being tightened, the outer diameter of the drawn reinforcement is expanded.
상기 원형 플레이트와 상기 인발보강재 커플러는 상기 시멘트 밀크가 통과하는 통공 및 통로가 형성된다.The circular plate and the pull-out reinforcement coupler have a through hole and a passage through which the cement milk passes.
상기 앵커에 조립되며 상기 기초대와 암지반 사이에 위치되어 수평력을 보강하는 수평력 보강자재를 포함한다.It is assembled to the anchor and is located between the foundation and the rock and includes a horizontal force reinforcing material for reinforcing horizontal force.
상기 수평력 보강자재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수평력보강재와 상기 수평력보강재의 상부와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수평력보강재의 위치를 고정하는 상부너트와 하부너트를 포함한다.The horizontal force reinforcing material includes a horizontal force stiffener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an upper nut and a lower nut that are positioned above and below the horizontal force stiffener to fix the position of the horizontal force stiffener.
상기 앵커플레이트 보강자재는 상기 천공홀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앵커에 압축력을 전달하는 압축력 보강너트와 상기 기초대의 상면에 위치하여 압축력과 인발력을 지지하는 플레이트와 상기 압축력 보강너트와 상기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압축력 보강너트와 상기 플레이트를 일체화시키는 높이조절용 와셔와 상기 플레이트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와셔와 상기 앵커의 최상단에 조립되며 상기 앵커 및 상기 플레이트를 조여 인발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앵커에 힘을 전달하는 인발력 인류너트와 상기 인발력 인류너트를 수평으로 유지하는 수평조절용 와셔와 상기 인발력 인류너트와 상기 수평조절용 와셔의 사이에 위치되는 평와셔를 포함한다.The anchor plate reinforcement material is positioned between the compression force reinforcing nut and the plate to support compression force and pulling force by being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and the compression force reinforcing nut positioned above the perforated hole to transmit the compressive force to the anchor. The compression force reinforcing nut and the height adjustment washer that integrates the plate, the upper washer positioned on the top of the plate, and a pulling force that is assembled at the top end of the anchor and tightens the anchor and the plate to generate a pulling force and transmits a force to the anchor It includes a horizontal adjustment washer for maintaining the human nut and the pulling force human nut horizontally, and a flat washer positioned between the pulling force human nut and the horizontal adjustment washer.
상기 앵커플레이트 보강자재는 상기 앵커에 압축력 보강너트, 높이조절용 와셔, 플레이트, 상부 와셔, 수평조절용 와셔, 평와셔 및 인발력 인류너트의 순서로 상부에서 하부로 조립된다.The anchor plate reinforcing material is assembled from top to bottom in the order of a compression force reinforcing nut, a height adjustment washer, a plate, an upper washer, a horizontal adjustment washer, a flat washer, and a pulling force man nut to the anchor.
기존 설치된 철탑 기초대에 천공홀을 천공하고 상기 천공홀과 연통되도록 상기 기초대 하부의 암지반까지 연장홀을 천공하는 단계와 상기 앵커의 하부측에 인발력 보강자재를 조립하고 상기 인발력 보강자재가 상기 연장홀에 위치되게 상기 앵커를 상기 천공홀을 통해 상기 연장홀까지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인발력 보강자재의 외경을 확장하여 상기 암지반 외벽에 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연장홀과 상기 천공홀에 시멘트 밀크를 주입하여 상기 앵커와 암반을 일체화시킨 후, 상기 앵커에 앵커플레이트 보강자재를 조립하여 상기 앵커에 인발력과 압축력을 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Drilling a perforation hole in the existing pylon foundation, drilling an extension hole to the rocky ground under the foundation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perforation hole, and assembling a pulling force reinforcing material on the lower side of the anchor, and the pulling force reinforcing material Inserting the anchor to the extension hole through the perforation hole so as to be located in the extension hole, expanding the outer diameter of the pulling force reinforcing material and fixing it to the outer wall of the rock ground, and applying cement milk to the extension hole and the perforated hole. After injecting to integrate the anchor and the rock mass, assembling an anchor plate reinforcing material to the anchor to apply a pulling force and a compressive force to the anchor.
상기 인발력 보강자재는 상기 앵커에 인발보강재 높이조절너트, 인발보강재 커플러, 인발보강재, 원형 플레이트 및 인발력 보강너트가 상부에서 하부로 순서대로 조립된다.The pull-out force reinforcement material is a pull-out stiffener height adjustment nut, a pull-out stiffener coupler, a pull-out stiffener, a circular plate, and a pull-out force-reinforcement nut are assembled to the anchor in order from top to bottom.
상기 인발력 보강너트를 보강너트 조임재로 회전시켜 상기 인발보강재의 내경이 상기 원형 플레이트의 외경에 조여져 상기 인발보강재의 외경이 확장되게 한다.The pulling force reinforcing nut is rotated with a reinforcing nut tightening material so that the inner diameter of the pulling stiffener is tightened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circular plate so that the outer diameter of the pulling stiffener is expanded.
상기 연장홀과 상기 천공홀에 시멘트 밀크를 주입하기 전, 상기 앵커에 수평력을 보강하는 수평력 보강자재를 조립하여 상기 수평력 보강자재가 상기 기초대와 암지반 사이에 위치하도록 한다.Before injecting cement milk into the extension hole and the perforation hole, a horizontal force reinforcing material for reinforcing horizontal force is assembled to the anchor so that the horizontal force reinforcing material is located between the foundation and the rock.
상기 수평력 보강자재는 상기 앵커에 하부너트, 수평력보강재 및 상부너트의 순서로 조립되고, 상기 하부너트와 상기 상부너트가 상기 수평력보강재의 위치를 고정한다.The horizontal force reinforcing material is assembled to the anchor in a sequence of a lower nut, a horizontal force reinforcement, and an upper nut, and the lower nut and the upper nut fix the position of the horizontal force reinforcement.
상기 앵커플레이트 보강자재는 상기 앵커에 압축력 보강너트, 높이조절용 와셔, 플레이트, 상부 와셔, 수평조절용 와셔, 평와셔 및 인발력 인류너트의 순서로 상부에서 하부로 조립한다.The anchor plate reinforcing material is assembled from top to bottom in the order of a compression force reinforcing nut, a height adjustment washer, a plate, an upper washer, a horizontal adjustment washer, a flat washer, and a pulling force man nut to the anchor.
본 발명은 기존 설치된 철탑 기초대와 이를 지지하고 있는 암지반을 천공한 후 앵커를 삽입하며 앵커에 인발력 보강자재, 수평력 보강자재, 앵커플레이트 보강자재 등을 결합하고 기초대와 앵커, 암지반을 시멘트 밀크로 일체화시켜 부족한 인발력 및 부족한 수평력을 보강하면서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n anchor is inserted after drilling the existing steel tower foundation and the rock ground supporting it, and a pull-out reinforcing material, a horizontal force reinforcing material, an anchor plate reinforcing material, etc. are combined to the anchor, and the foundation, anchor, and rock ground are cemented. By integrating with milk, structural stability is secured while reinforcing insufficient pulling force and insufficient horizontal forc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작업공간이 협소하고 무거운 인장장치 등 중장비의 진입이 어려운 장소의 기존 설치된 철탑 기초대의 인발력 및 수평력 보강이 가능하므로 공사가 용이하고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공사비가 저렴하고, 종래 마이크로 파일 보강 공법과 비교시 개착식(대형 중장비 사용)이 아니므로 점용면적이 최소화되고 친환경적인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reinforcement of the pulling force and horizontal force of the foundation of the existing steel tower in a place where the work space is narrow and heavy equipment is difficult to enter, such as a heavy tensioning device, so that construction is easy, the construction period can be shortened, and the construction cost is low. And,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micropile reinforcement method, since it is not an open-ended type (using large heavy equipment), the occupied area is minimized and there is an eco-friendly effect.
도 1은 종래의 철탑 역T형 기초 보강공사 방법을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철탑 기초 보강장치로 철탑의 역T 기초대를 보강한 모습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철탑 기초 보강장치를 보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철탑 기초 보강장치에서 인발력 보강자재를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철탑 기초 보강장치에서 수평력 보강자재를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철탑 기초 보강장치에서 앵커플레이트 보강자재를 보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철탑 기초 보강장치에서 앵커플레이트 보강자재의 결합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철탑 기초 보강장치에서 인발력 보강자재와 앵커플레이트 보강자재만 적용한 예를 보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철탑 기초 보강장치에서 수평력 보강자재와 앵커플레이트 보강자재만 적용한 예를 보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철탑 기초 보강장치를 이용한 철탑 기초 보강방법의 시험 방법을 보인 개요도.1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steel tower inverted T-type foundation reinforcement method.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everse T foundation of the steel tower is reinforced with the steel tower foundation reinforce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ront view showing a steel tower foundation reinforce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view showing a pull-out force reinforcing material in the steel tower foundation reinforce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horizontal force reinforcing material in the steel tower foundation reinforce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n anchor plate reinforcement material in the steel tower foundation reinforce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nchor plate reinforcement material in the steel tower foundation reinforce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only a pull-out reinforcing material and an anchor plate reinforcing material are applied in the steel tower foundation reinforc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only the horizontal force reinforcement material and the anchor plate reinforcement material are applied in the steel tower foundation reinforce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test method of a pylon foundation reinforcement method using the pylon foundation reinforce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철탑 기초 보강장치(10)는 앵커(100), 인발력 보강자재(200), 수평력 보강자재(300) 및 앵커플레이트 보강자재(40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ure 2, the steel tower
본 발명의 철탑 기초 보강장치(10)는 기존 배전철탑의 역T형 기초 보강을 위한 것이다. 역T형 기초를 철탑 기초대 또는 기초대라 칭한다.The steel tower
철탑 기초 보강장치(10)는 철탑 기초대(1)와 이를 지지하고 있는 암지반을 천공한 후 앵커(100)를 삽입하고 암지반에 인발력 보강자재(200)를 설치하며, 기초대(1)와 암지반 사이에 수평력 보강자재(300)를 설치하여 고정한 다음, 시멘트 밀크(500)를 주입하여 기초대(1)와 앵커(100), 암지반을 일체화시켜서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한다. The pylon foundation reinforcement device (10) inserts the
앵커(100)는 강봉으로 되며 외경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앵커(100)의 외경에 형성된 나사산은 앵커(100)에 인발력 보강자재(200), 수평력 보강자재(300) 및 앵커플레이트 보강자재(400)를 조립하기 위한 것이다.The
앵커(100)는 기존 설치된 철탑 기초대(1)에 천공하는 천공홀(7)에 삽입하여 천공홀(7)과 연통되도록 기초대(1) 하부의 암지반에 천공하는 연장홀(9)까지 삽입한다. 천공홀(7)은 기초대(1)에 설치된 철탑(5)의 주주재와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형성한다. 천공홀(7)과 연장홀(9)은 기초대(1)에 수직으로 형성한다. 기초대(1)의 상부 규격을 고려할 때 천공홀의 직경은 75~88mm 범위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앵커의 직경은 26~32mm 범위일 수 있다.The
인발력 보강자재(200)는 앵커(100)의 하부에 조립된다. 인발력 보강자재(200)는 외경을 확장하여 암지반 외벽에 고정되어 인발력을 보강한다. 수평력 보강자재(300)는 앵커(100)의 하부 또는 중간 부분에 조립되며 기초대(1)와 암지반 사이에 위치되어 수평력을 보강한다. 앵커플레이트 보강자재(400)는 앵커(100)의 상부에 조립되며 앵커(100)에 인발력 및 압축력을 가한다.The pulling
인발력 보강자재(200)와 수평력 보강자재(300)는 앵커(100)에 선택적으로 조립될 수 있다. The pulling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발력 보강자재(200)는 인발보강재 높이조절너트(210), 인발보강재 커플러(220), 인발보강재(230), 원형 플레이트(240) 및 인발력 보강너트(250)를 포함하며, 이들은 앵커(100)에 상부에서 하부로 순차적으로 조립된다. 3 and 4, the pulling
인발보강재 높이조절너트(210)는 인발보강재(230)의 위치를 고정한다. 인발보강재 높이조절너트(210)는 양호한 암지반에 인발보강재(230)가 위치하도록 앵커(100)에 가장 먼저 조립되어 인발보강재(230)의 위치를 고정한다. 인발보강재 높이조절너트(210)는 길이가 긴 육각너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경에 앵커(100)의 외경 나사산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The pull stiffener
인발보강재 커플러(220)는 인발보강재(230)의 외경이 확장할 수 있도록 인발보강재(230)를 지지한다. 인발보강재 커플러(220)는 외경이 점차적으로 커지는 원뿔대 형상으로 된다. 인발보강재 커플러(220)의 외경에 인발보강재(230)의 내경이 조여지면서 인발보강재(230)의 외경이 확장된다. 인발보강재 커플러(220)는 외경을 둘러 길이방향으로 시멘트 밀크(500)가 통과하는 다수 개의 통로(221)가 형성된다. 통로(221)는 요입된 통홀 형상으로 형성된다. The drawn
인발보강재 커플러(220)의 외경은 좁은 부분이 인발보강재(230)의 내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고 넓은 부분이 인발보강재(230)의 내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커, 인발보강재(230)의 외경이 인발보강재 커플러(220)의 내경에 조여지는 것에서 인발보강재(230)의 외경을 확장할 수 있다.The outer diameter of the drawn
인발보강재(230)는 인발력 보강너트(250)를 회전시키면 외경이 확장되어 암지반 외벽에 고정된다. 인발보강재(230)는 길이방향 일측이 개구된 원통 형상이다. 인발보강재 커플러(220)의 외경에 인발보강재(230)의 내경이 삽입되어 조여짐으로써 인발보강재(230)의 개구부(231)가 벌어짐으로써 인발보강재(230)의 외경이 확장될 수 있다.When the pull-out
원형 플레이트(240)는 인발력 보강너트(250)에서 전달되는 힘을 인발보강재(230)에 전달한다. 원형 플레이트(240)는 시멘트 밀크(500)가 통과하는 다수 개의 통공(241)이 형성된다. The
인발력 보강너트(250)는 회전에 의해 힘을 인발보강재(230)에 전달하여 인발보강재(230)의 외경을 확장시킨다. 구체적으로, 인발력 보강너트(250)를 회전시키면 인발보강재 커플러(220)의 외경에 인발보강재(230)의 내경이 삽입되어 조여짐으로써 인발보강재(230)의 외경이 확장되고 인발보강재(230)가 암지반 외벽에 밀착 고정된다.The pulling
인발력 보강너트(250)는 상면에 양측 조임홈(251)이 형성된다. 양측 조임홈(251)은 인발력 보강너트(250)를 회전시키기 위한 인발력 보강너트 조임재(260)의 양측 조임돌기(261)가 결합된다. The pulling
인발력 보강너트 조임재(260)는 인발력 보강너트(250)를 회전시켜 인발보강재(230)를 조이기 위한 것이다. 인발력 보강너트 조임재(260)는 상하 개구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 외경에는 롱 파이프와 결합하기 위한 나사산(263)이 형성되고 반대되는 타측 외경에는 양측 조임돌기(261)가 하방으로 돌출된다. The pulling force reinforcing
인발력 보강너트 조임재(260)의 나사산(263)에 롱 파이프(270)를 나사 결합한 상태에서 천공홀(7)에 위치한 앵커(100)에 결합하고, 인발력 보강너트 조임재(260)의 양측 조임돌기(261)를 인발력 보강너트(250)의 양측 조임홈(251)에 결합하여 롱 파이프(270)를 회전시킴에 의해 인발력 보강너트(25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인발력 보강너트 조임재(260)는 인발력 보강너트(250)를 회전시켜 인발보강재(230)의 외경을 확장한 다음에는 앵커(100)에 결합한 상태를 제거할 수 있다. 즉, 인발력 보강너트 조임재(260)는 롱 파이프(270)와 결합하여 인발력 보강너트(250)를 회전시키기 위한 공구로서 사용된다.In the state in which the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력 보강자재(300)는 하부너트(310), 수평력보강재(320) 및 상부너트(330)를 포함하며, 앵커(100)에 하부너트(310), 수평력보강재(320) 및 상부너트(330)의 순서로 결합된다.3 and 5, the horizontal
상부너트(330)와 하부너트(310)는 수평력보강재(320)의 상부와 하부에 위치되어 수평력보강재(320)의 위치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부너트(330)와 하부너트(310)는 수평력보강재(320)가 기초대(1)와 암지반 사이에 위치하도록 수평력보강재(320)의 위치를 고정한다. The
수평력보강재(320)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수평력보강재(320)는 앵커(100)에 조립되어 수평력을 보강한다. 예를 들어, 수평력보강재(320)는 길이 2m, 두께 10.5mm, 직경 60mm의 강철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너트(330)와 하부너트(310)는 수평력보강재(320)가 기초대(1)와 암지반을 경계로 상부 1m, 하부 1m에 위치하도록 수평력보강재(320)의 삽입 위치를 조절한다.The
상부너트(330)와 하부너트(310)는 공구홈(311,331)이 형성된다. 공구홈(311,331)은 상부너트(330)와 하부너트(310)를 앵커에 조립하기 위해 상부너트(330)와 하부너트(310)를 회전시키기 위한 공구가 결합되는 홈일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공구홈(311,331)은 롱 파이프와 결합되는 너트 조임재의 돌기가 결합될 수 있다. 또는, 상부너트(330)와 하부너트(310)는 공구가 상부너트(330)와 하부너트(310)의 외경을 잡아 회전시킬 수도 있다.The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플레이트 보강자재(400)는 압축력 보강너트(410), 높이조절용 와셔(420), 플레이트(430), 상부 와셔(440), 수평조절용 와셔(450), 평와셔(460) 및 인발력 인류너트(470)를 포함한다. 앵커플레이트 보강자재(400)는 앵커(100)에 압축력 보강너트(410), 높이조절용 와셔(420), 플레이트(430), 상부 와셔(440), 수평조절용 와셔(450), 평와셔(460) 및 인발력 인류너트(470)의 순서로 상부에서 하부로 조립된다.3 and 6, the anchor
압축력 보강너트(410)는 천공홀(7)의 상부에 위치하여 앵커(100)에 압축력을 전달한다. 압축력 보강너트(410)의 상면에는 결합돌기(411)가 돌출된다. 결합돌기(411)는 높이조절용 와셔(420)의 끼움홈(421)에 결합된다. The compressive
높이조절용 와셔(420)는 압축력 보강너트(410)와 플레이트(430)의 사이에 위치하여 압축력 보강너트(410)와 플레이트(430)를 일체화시킨다. 플레이트(430)를 회전시키면 기초대(1)의 천공홀(7)에 위치하는 압축력 보강너트(410)도 동시에 회전하여 상하로 높이를 조정하고 플레이트(430)와 압축력 보강너트(410)를 일체화시킨다. The
높이조절용 와셔(420)는 외경 일부가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내경 하부에 끼움홈(421)이 형성되고 내경 상부에 끼움돌기(423)가 형성된다. 높이조절용 와셔(420)의 끼움홈(421)에 압축력 보강너트(410)의 결합돌기(411)가 결합되고 높이조절용 와셔(420)의 끼움돌기(423)는 플레이트(430)의 결합홈(433)에 결합된다.The
압축력 보강너트(410)의 결합돌기(411)가 높이조절용 와셔(420)의 끼움홈(421)에 결합되고, 높이조절용 와셔(420)의 끼움돌기(423)가 플레이트(430)의 결합홈(433)에 결합되어 압축력 보강너트(410)가 플레이트(430)와 일체화되고, 플레이트(430)를 회전시키면 압축력 보강너트(410)도 동시에 회전한다. The
플레이트(430)는 기초대(1)의 상면에 위치하여 압축력과 인발력을 지지한다.The
플레이트(430)는 원통 형상으로 되며 상부와 하부에 삽입홈(431,432)이 형성된다. 플레이트(430)의 하부 삽입홈(431)에 높이조절용 와셔(420)가 위치되고 플레이트(430)의 상부 삽입홈(432)에 상부 와셔(440)가 위치된다. 하부 삽입홈(431)과 상부 삽입홈(432)은 높이조절용 와셔(420)와 상부 와셔(440)의 외경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플레이트(430)의 하부 삽입홈(431)에 요입된 결합홈(433)이 더 형성된다. 플레이트(430)의 하부 삽입홈(431)에 형성된 결합홈(433)에 높이조절용 와셔(420)의 끼움돌기(423)가 결합된다. The
상부 와셔(440)는 플레이트(430)의 상부에 위치한다. 상부 와셔(440)는 플레이트(430)의 상부 삽입홈(432)에 대응되도록 외경 일부가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부 와셔(440)는 플레이트(430)와 수평조절용 와셔(450) 간의 조임력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The
수평조절용 와셔(450)는 인발력 인류너트(470)를 수평으로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기초대(1)의 상면에 발생하는 경사를 수평조절용 와셔(450)를 설치하여 인발력 인류너트(470)의 수평을 유지한다. 수평조절용 와셔(450)는 좌우 경사를 포함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평와셔(460)는 인발력 인류너트(470)와 수평조절용 와셔(450)의 사이에 위치된다. 평와셔(460)는 인발력 인류너트(470)와 수평조절용 와셔(450)의 마찰력을 높여 인발력 인류너트(470)를 조이는 힘이 플레이트(430)에 전달되게 한다.The
인발력 인류너트(470)는 앵커(100)의 최상단에 조립되며 앵커(100) 및 플레이트(430)를 조여 인발력을 발생시키고 앵커(100)에 힘을 전달한다. 인발력 인류너트(470)는 내경에 앵커(100)의 외경 나사산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앵커(100)에 조여질 수 있다.Pulling force The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대(1)의 상면에 플레이트(430)가 위치되고 천공홀(7)의 상부에 압축력 보강너트(410)가 배치되며, 압축력 보강너트(410)는 높이조절용 와셔(420)에 의해 플레이트(430)와 일체화 된다. 즉, 압축력 보강너트(410)의 결합돌기(411)가 높이조절용 와셔(420)의 끼움홈(421)에 결합되고, 높이조절용 와셔(420)의 일부가 플레이트(430)의 하부 삽입홈(431)에 삽입되면서 높이조절용 와셔(420)의 끼움돌기(423)가 플레이트(430)의 결합홈(433)에 결합되어 압축력 보강너트(410)와 플레이트(430)가 일체화된다. As shown in Figure 7, the
그에 따라, 인발력 인류너트(470)를 조이면 플레이트(430)가 상부 방향으로 잡아당겨지면서 플레이트(430)에 의한 인발력이 앵커(100)에 전달되고, 시멘트 밀크(500)와 압축력 보강너트(410)에 의한 압축력이 앵커(100)에 전달된다. Accordingly, when the pulling force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발력 보강자재(200)와 수평력 보강자재(300)는 앵커(100)에 선택적으로 조립될 수 있다. 8 and 9, the pulling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100)의 하부에 인발력 보강자재(200)를 조립하고, 앵커(100)의 상부에 앵커플레이트 보강자재(400)를 조립하여 앵커(100)에 인발력과 압축력을 가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8, the pulling
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100)의 하부 또는 중간 부분에 수평력 보강자재(300)를 조립하고, 앵커(100)의 상부에 앵커플레이트 보강자재(400)를 조립하여 앵커(100)에 인발력과 압축력을 가할 수 있다. 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9, the horizontal
또는, 앵커(100)에 인발력 보강자재(200)와 수평력 보강자재(300) 중 선택된 1종 이상만 조립될 수도 있다.Alternatively, only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pull-out
한편, 철탑 기초 보강장치(10)를 이용한 철탑 기초 보강방법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a)기존 설치된 철탑 기초대(1)에 천공홀(7)을 천공하고 천공홀(7)과 연통되도록 기초대(1) 하부의 암지반까지 연장홀(9)을 천공하는 단계와 b)앵커(100)의 하부측에 인발력 보강자재(200)를 조립하고 인발력 보강자재(200)가 연장홀(9)에 위치되게 앵커(100)를 천공홀(7)을 통해 연장홀(9)까지 삽입하는 단계와 c)인발력 보강자재(200)의 외경을 확장하여 암지반 외벽에 고정하는 단계와 d)연장홀(9)과 천공홀(7)에 시멘트 밀크(500)를 주입하여 앵커(100)와 암지반을 일체화시킨 후, 앵커(100)에 앵커플레이트 보강자재(400)를 조립하여 앵커(100)에 인발력과 압축력을 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On the other hand, the pylon foundation reinforcement method using the pylon
a) 단계에서 기초대(1) 및 암지반의 천공은 휴대용 보링장치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휴대용 보링장치는 작업자가 파지하고 운반하기 용이하다.In step a), drilling of the
b) 단계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발력 보강자재(200)는 앵커(100)에 인발보강재 높이조절너트(210), 인발보강재 커플러(220), 인발보강재(230), 원형 플레이트(240) 및 인발력 보강너트(250)의 순서로 조립한다. 인발력 보강자재(200)가 조립된 앵커(100)를 천공홀(7)을 통해 연장홀(9)까지 삽입한다. In step b), as shown in Figure 4, the pull-out reinforcing
c) 단계에서, 인발력 보강너트 조임재(260)를 활용하여 암지반의 연장홀(9)에 위치한 인발력 보강너트(250)를 회전시켜 힘을 인발보강재(230)에 전달된다. 인발력 보강너트 조임재(260)로 인발력 보강너트(250)를 회전시키면 인발보강재 커플러(220)의 외경에 인발보강재(230)의 내경이 삽입되어 조여짐으로써 인발보강재(230)의 개구부(231)가 벌어지면서 외경이 확장된다. 즉, 인발보강재(230)의 외경 확장을 통해 인발보강재(230)가 암지반 외벽에 단단히 고정되게 한다.In step c), the pulling
d) 단계에서, 천공홀(7)과 연장홀(9)에 시멘트 밀크(그라우트)를 주입하여 양생시킨다.In step d), cement milk (grout) is injected into the
이때, 원형 플레이트(240)에 통공(241)이 형성되고 인발보강재 커플러(220)의 외경에 통로(221)가 형성되어 있어 시멘트 밀크(500)가 통공(241)과 통로(221)를 통해 연장홀(9) 하부까지 원활히 주입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through
연장홀(9)과 천공홀(7)에 시멘트 밀크(500)를 주입하기 전, 앵커(100)에 수평력을 보강하는 수평력 보강자재(300)를 조립하여 수평력 보강자재(300)가 기초대(1)와 암지반 사이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Before injecting the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력 보강자재(300)는 앵커(100)에 하부너트(310), 수평력보강재(320) 및 상부너트(330)의 순서로 조립한다. 하부너트(310)와 상부너트(330)가 수평력보강재(320)의 위치를 기초대(1)와 암지반 사이에 위치하도록 고정한다. As shown in FIG. 5, the horizontal
시멘트 밀크(500)의 양생 후, 앵커(100)에 앵커플레이트 보강자재(400)를 조립한다. After curing the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플레이트 보강자재(400)는 앵커(100)에 압축력 보강너트(410), 높이조절용 와셔(420), 플레이트(430), 상부 와셔(440), 수평조절용 와셔(450), 평와셔(460) 및 인발력 인류너트(470)의 순서로 조립된다. As shown in Figure 6, the anchor
압축력 보강너트(410)는 천공홀(7)의 상부에 위치하고 플레이트(430)는 기초대(1)의 상면에 지지되며, 압축력 보강너트(410)와 플레이트(430)는 높이조절용 와셔(420)에 의해 일체로 고정되어 플레이트(430)의 회전시 압축력 보강너트(410)도 일체로 회전된다. 이 상태에서 인발력 인류너트(470)를 조임으로써 앵커(100)에 인발력과 압축력을 가할 수 있다.The compress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은 기존 설치된 철탑 기초대(1)와 이를 지지하고 있는 암지반을 천공한 후, 인발력 보강자재(200)를 조립한 앵커(100)를 천공홀(7)에 삽입하여 인발력 보강자재(200)가 암지반 외벽에 고정되게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fter drilling the existing installed
또한, 앵커(100)에 수평력 보강자재(300)를 조립하고, 수평력 보강자재(300)가 기초대(1)와 암지반 사이에 위치되게 고정한다. In addition, the horizontal
이 후, 천공홀(7)에 시멘트 밀크(500)를 주입하고 양생한 다음, 앵커(100)의 상부에 앵커플레이트 보강자재(400)를 조립하여 앵커(100)에 인발력 및 압축력을 가하는 것에서 기존 설치된 철탑 기초대(1)를 보강할 수 있다.Thereafter,
이는 천공 장비가 소형이므로 종래의 대형 중장비가 필요없어 진입도록 개설을 필요로 하지 않고 토지 소유자 및 관할관청의 허가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한, 천공홀(7)과 연장홀(9)에 주입된 시멘트 밀크(500)만 양생하므로 양생 기간이 15일~20일로 종래 콘크리트 타설로 양생시 90일~180일 소요되던 것 대비 공사 기간을 대폭 줄일 수 있다.Since the drilling equipment is small, it does not require a conventional large heavy equipment, so it does not require opening to enter, and does not require permission from land owners and competent authorities. In addition, since only the
또한 대형 중장비가 필요없고 앵커와 각종 보강자재를 인력으로 운반 가능하므로 공사비가 저렴하다. 또한, 종래 마이크로 파일 보강 공법과 비교시 개착식(대형 중장비 사용)이 아니므로 점용면적이 최소화되고 친환경적이다. In addition, the construction cost is low because it does not require large heavy equipment and can transport anchors and various reinforcing materials by manpower. In addition,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micropile reinforcement method, since it is not an open-close type (use of large heavy equipment), the occupied area is minimized and is eco-friendly.
이하에서는 상술한 철탑 기초 보강장치를 이용한 철탑 기초 보강방법이 인발력과 수평력 보강이 가능한지 확인하기 위하여 실험한 결과를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method for reinforcing a pylon foundation using the above-described pylon foundation reinforcing device will be described through experimental results in order to confirm whether reinforcing pulling force and horizontal force are possible.
도 10에는 본 발명에 의한 철탑 기초 보강장치를 이용한 철탑 기초 보강방법의 시험 방법을 보인 개요도가 도시되어 있다.FIG. 10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test method of a method for reinforcing a foundation for a steel tower using the apparatus for reinforcing a foundation for a steel tow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시험장소: 전남 무안군 몽탄면 봉산리 산 115Test location: Mount 115, Bongsan-ri, Mongtan-myeon, Muan-gun, Jeollanam-do
시험천공: 6공[직경 75mm 3공, 직경 88mm 3공]Test drilling: 6 holes [
천공수량: 24m[직경 75mm-4m×3공, 직경 88mm-4m×3공]Drilling quantity: 24m [diameter 75mm-4m×3 holes, diameter 88mm-4m×3 holes]
천공지반: 연암지반Drilled ground: soft rock ground
시험기간: 10일Test period: 10 days
재료 구성Anchor reinforcement
Material composition
Drilling depth
앵커 φ26.5mmPerforation φ75mm
Anchor φ26.5mm
75kN(수)560kN(person)
75kN(male)
앵커 φ32.0mmPerforation φ88mm
Anchor φ32.0mm
80kN(수)802kN(person)
80kN(male)
(인): 인발력, (수): 수평력(Person): Pulling force, (Number): Horizontal force
표 1의 시험 결과로 부터, 실제로 운용중인 배전철탑에서 인발력과 수평력을 보강함을 확인하였고 이로서, 현장 적용 용이성을 확인하였다.From the test results in Table 1, it was confirmed that the pull-out force and the horizontal force were reinforced in the actual distribution tower in operation, and as a result, the ease of application in the field was confirmed.
상술한 철탑 기초 보강방법은 진입로 개설 및 부지 굴착이 필요없어 벌목, 절성토, 사토처리 등으로 발생되는 자연환경의 훼손이 없고 건설장비로 작업하지 않기 때문에 소음, 진동, 비산먼지가 거의없는 친환경 보강공법이다.The above-described method of reinforcing the foundation of the steel tower does not require opening of an access road and excavation of the site, so there is no damage to the natural environment caused by logging, cutting soil, and sand treatment, and since no construction equipment is used, there is little noise, vibration, and scattering dust. It is a construction method.
상술한 철탑 기초 보강장치는 앵커플레이트 보강자재가 기초대의 상면 위로 노출되는 노출형으로 기존 설치된 철탑의 기초대에 설치되지만, 앵커플레이트 보강자재가 기초대에 형성한 천공홀에 매립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매립형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The above-described pylon foundation reinforcement device is an exposed type in which the anchor plate reinforcement material is exposed above the upper surface of the foundation, and is installed on the foundation of the existing pylon, but the anchor plate reinforcement material is embedded in the perforated hole formed in the foundation and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It can also be installed in a buried type.
본 발명은 도면과 명세서에 최적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권리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isclosed in the drawings and the specification, the best embodiments. Here, specific terms have been used, but these are only used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used to limit the meaning or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 기초대 3: 철탑(주주재)
7: 천공홀 9: 연장홀
10: 철탑 기초 보강장치 100: 앵커
200: 인발력 보강자재 210: 인발력보강재 높이조절너트
220: 인발보강재 커플러 221: 통로
230: 인발보강재 231; 개구부
240; 원형 플레이트 241: 통공
250: 인발력 보강너트 251: 조임홈
260: 인발력 보강너트 조임재 261: 조임돌기
263: 나사산 270: 롱 파이프
300: 수평력 보강자재 310: 하부너트
320: 수평력보강재 330: 상부너트
400: 앵커플레이트 보강자재 410: 압축력 보강너트
411: 결합돌기 420: 높이조절용 와셔
421: 끼움홈 ` 423: 끼움돌기
430; 플레이트 431: 삽입홈
433: 결합홈 440: 상부 와셔
450: 수평조절용 와셔 460: 평와셔
470: 인발력 인류너트 500: 시멘트 밀크1: foundation 3: steel tower (mainly)
7: drilling hole 9: extension hole
10: pylon foundation reinforcement device 100: anchor
200: pulling force reinforcing material 210: pulling force reinforcing material height adjustment nut
220: drawn stiffener coupler 221: passage
230: drawn
240; Round plate 241: through hole
250: pull-out reinforcing nut 251: tightening groove
260: pulling force reinforcing nut fastener 261: tightening protrusion
263: thread 270: long pipe
300: horizontal force reinforcing material 310: lower nut
320: horizontal force stiffener 330: upper nut
400: anchor plate reinforcement material 410: compression force reinforcement nut
411: coupling protrusion 420: washer for height adjustment
421: fitting groove `423: fitting protrusion
430; Plate 431: insertion groove
433: coupling groove 440: upper washer
450: horizontal adjustment washer 460: flat washer
470: pulling force human nut 500: cement milk
Claims (18)
상기 앵커에 조립되며 외경을 확장하여 상기 암지반의 외벽에 고정되는 인발력 보강자재; 및
상기 앵커에 조립되며 상기 앵커에 인발력 및 압축력을 가하는 앵커플레이트 보강자재를 포함하고,
상기 인발력 보강자재는
외경이 확장되어 암지반 외벽에 고정되는 인발보강재;
상기 인발보강재의 외경이 확장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인발보강재 커플러;
상기 인발보강재의 위치를 고정하는 인발보강재 높이조절너트;
회전에 의해 힘을 상기 인발보강재에 전달하는 인발력 보강너트; 및
상기 인발력 보강너트에서 전달되는 힘을 상기 인발보강재에 전달하는 원형 플레이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탑 기초 보강장치.An anchor having a threaded outer diameter inserted into the perforated hole drilled in the existing pylon foundation and inserted into the extension hole drilled in the rock under the foundation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perforated hole;
A pull-out reinforcing material assembled to the anchor and fixed to the outer wall of the rock by expanding an outer diameter; And
It is assembled to the anchor and includes an anchor plate reinforcing material for applying a pulling force and a compressive force to the anchor,
The pulling force reinforcing material
A drawn stiffener whose outer diameter is expanded and fixed to the outer wall of the rock ground;
A pull-out stiffener coupler supporting so that the outer diameter of the pull-out stiffener can be expanded;
A pull stiffener height adjustment nut for fixing the position of the pull stiffener;
A pulling force reinforcing nut that transmits a force to the pulling stiffener by rotation; And
A circular plate for transmitting the force transmitted from the pulling force reinforcing nut to the pulling stiffener;
Steel tower foundation reinforcement device comprising a.
상기 인발력 보강자재는
상기 앵커에 인발보강재 높이조절너트, 인발보강재 커플러, 인발보강재, 원형 플레이트 및 인발력 보강너트 순서로 상부에서 하부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탑 기초 보강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ulling force reinforcing material
A steel tower foundation reinforce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anchor is assembled from top to bottom in the order of a pull-out stiffener height adjustment nut, a pull-out stiffener coupler, a pull-out stiffener, a circular plate, and a pull-out force reinforcing nut.
상기 인발력 보강너트를 회전시켜 상기 인발보강재를 조이기 위한 인발력 보강너트 조임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탑 기초 보강장치.The method of claim 3,
A steel tower foundation reinforc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a pull-out force reinforcing nut tightening member for tightening the pull-out reinforcing member by rotating the pull-out force reinforcing nut.
상기 인발보강재는 길이방향 일측이 개구된 원통 형상이고, 상기 인발보강재 커플러는 외경이 점차적으로 커지는 원뿔대 형상으로 되어, 상기 인발력 보강너트를 회전시키면 상기 인발보강재 커플러의 외경에 상기 인발보강재의 내경이 삽입되어 조여짐으로써 상기 인발보강재의 외경이 확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탑 기초 보강장치.The method of claim 4,
The pull-out stiffener has a cylindrical shape with one side ope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pull-out stiffener coupler has a truncated cone shape whose outer diameter gradually increases, and when the pull-out force reinforcing nut is rotated, the inner diameter of the pull-out stiffener is inserted into the outer diameter of the pull-out stiffener coupler. The steel tower foundation reinforce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diameter of the drawn reinforcement is expanded by being tightened.
상기 원형 플레이트와 상기 인발보강재 커플러는 시멘트 밀크가 통과하는 통공 및 통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탑 기초 보강장치. The method of claim 4,
The circular plate and the pull-out reinforcement coupler is a steel tower foundation reinforce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with a through hole and a passage through which cement milk passes.
상기 앵커에 조립되며 상기 기초대와 암지반 사이에 위치되어 수평력을 보강하는 수평력 보강자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탑 기초 보강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teel tower foundation reinforcement device comprising a horizontal force reinforcing material assembled to the anchor and positioned between the foundation and the rock to reinforce a horizontal force.
상기 수평력 보강자재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수평력보강재; 및
상기 수평력보강재의 상부와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수평력보강재의 위치를 고정하는 상부너트와 하부너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탑 기초 보강장치.The method of claim 7,
The horizontal force reinforcing material is
A horizontal force stiffener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An upper nut and a lower nut positioned above and below the horizontal force stiffener to fix the position of the horizontal force stiffener;
Steel tower foundation reinforcement device comprising a.
상기 앵커플레이트 보강자재는
상기 천공홀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앵커에 압축력을 전달하는 압축력 보강너트;
상기 기초대의 상면에 위치하여 압축력과 인발력을 지지하는 플레이트;
상기 압축력 보강너트와 상기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압축력 보강너트와 상기 플레이트를 일체화시키는 높이조절용 와셔;
상기 플레이트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와셔;
상기 앵커의 최상단에 조립되며 상기 앵커 및 상기 플레이트를 조여 인발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앵커에 힘을 전달하는 인발력 인류너트;
상기 인발력 인류너트를 수평으로 유지하는 수평조절용 와셔; 및
상기 인발력 인류너트와 상기 수평조절용 와셔의 사이에 위치되는 평와셔;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탑 기초 보강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nchor plate reinforcement material
A compression force reinforcing nut positioned above the perforation hole to transmit a compression force to the anchor;
A plate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and supporting a compressive force and a pulling force;
A height adjustment washer positioned between the compression force reinforcing nut and the plate to integrate the compression force reinforcing nut and the plate;
An upper washer positioned above the plate;
A pulling force human nut assembled at the top end of the anchor and generating a pulling force by tightening the anchor and the plate and transmitting a force to the anchor;
A horizontal adjustment washer for maintaining the pulling force human nut horizontally; And
A flat washer positioned between the pulling force human nut and the horizontal adjustment washer;
Steel tower foundation reinforcement device comprising a.
상기 앵커플레이트 보강자재는
상기 앵커에 압축력 보강너트, 높이조절용 와셔, 플레이트, 상부 와셔, 수평조절용 와셔, 평와셔 및 인발력 인류너트의 순서로 상부에서 하부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탑 기초 보강장치.The method of claim 9,
The anchor plate reinforcement material
A steel tower foundation reinforce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anchor is assembled from top to bottom in the order of a compression force reinforcement nut, a height adjustment washer, a plate, an upper washer, a horizontal adjustment washer, a flat washer, and a pulling force human nu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19001A KR102172176B1 (en) | 2018-10-05 | 2018-10-05 | Apparatus and method for reinforcing basic of steel tow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19001A KR102172176B1 (en) | 2018-10-05 | 2018-10-05 | Apparatus and method for reinforcing basic of steel tow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39285A KR20200039285A (en) | 2020-04-16 |
KR102172176B1 true KR102172176B1 (en) | 2020-10-30 |
Family
ID=70454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19001A Active KR102172176B1 (en) | 2018-10-05 | 2018-10-05 | Apparatus and method for reinforcing basic of steel tow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72176B1 (e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147574A (en) * | 2006-12-13 | 2008-06-26 | Nikon Corp | Pedestal, support structure for exposure apparatus, and the exposure apparatus |
KR101608624B1 (en) * | 2015-07-16 | 2016-04-01 | 한국전력공사 | Method for lifting the height of tower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62883B1 (en) | 2006-08-29 | 2006-12-28 | 대한전기감리(주) | Reinforcement structure of transmission tower |
KR20120031433A (en) * | 2010-09-24 | 2012-04-03 | 김민우 | Method of constructing thread bar anchor in bedrock having high uplift resistance force and thread bar anchor used therein |
KR20120005763U (en) * | 2011-02-07 | 2012-08-17 | 이상선 | A cross beam establish of a temporary bridge |
-
2018
- 2018-10-05 KR KR1020180119001A patent/KR102172176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147574A (en) * | 2006-12-13 | 2008-06-26 | Nikon Corp | Pedestal, support structure for exposure apparatus, and the exposure apparatus |
KR101608624B1 (en) * | 2015-07-16 | 2016-04-01 | 한국전력공사 | Method for lifting the height of tow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39285A (en) | 2020-04-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718792A (en) | Prefabricated retaining-wall elements for protection, consolidation and/or facing of excavations, ground anchor and assembly devices, and procedure for application of these elements and devices | |
US10968894B2 (en) | Wind turbine foundation and method of constructing a wind turbine foundation | |
US12241567B2 (en) | System and method for protection of under-slab utilities from changes in soil volume | |
KR102264250B1 (en) | Block style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 |
KR100760293B1 (en) | Tunnel construction method in low toffee section | |
US6939084B2 (en) | Soil nailing system | |
KR100966148B1 (en) | Ground adhering soil nailing structure and ground reinforcement method using the same | |
CN109252542B (en) | A kind of tree root stump lightweight retaining wall for road widening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US20120301227A1 (en) | Foundation pile and installing method thereof | |
JP2006225926A (en) | Banking construction method utilizing backfilling material such as fluidized soil, pit sand, local soil and crushed stone | |
KR20060097957A (en) | Bamboo Reinforcement Method for Ground Excavation and Slope Support | |
KR102172176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reinforcing basic of steel tower | |
KR100854551B1 (en) | Acupressure plate and PC panel combined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 |
US20240102583A1 (en) | System and Method for Protection of Under-Slab Utilities From Changes in Soil Volume | |
CN115717397A (en) | Larsen steel sheet pile and prestressed anchor cable combined supporting construction method | |
JP3099039B2 (en) | Embankment culvert | |
CN205369232U (en) | Slurry -leakage -proof structure of bored pile | |
CN217480204U (en) | Lattice beam slope protection structure | |
CN220487597U (en) | Structure for preventing rotation of planting head and pipe joint of rectangular pipe jacking machine | |
JPH10204883A (en) | Execution method of reinforcing bank wall | |
KR102613254B1 (en) | Self-standing fixing type pile and construction method of earth retaining facilities including it | |
KR20100134374A (en) | Surface protection structure using natural stone and construction method | |
JP2003278169A (en) | Structure for strengthening bearing power of ground of land | |
JPH10102790A (en) | Repairing method of periphery of concrete structure | |
JPS62236924A (en) | Self-erection of po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00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3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101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10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10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0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