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170874B1 - 송신 장치, 수신 장치, 송신 방법 및 수신 방법 - Google Patents

송신 장치, 수신 장치, 송신 방법 및 수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0874B1
KR102170874B1 KR1020137031022A KR20137031022A KR102170874B1 KR 102170874 B1 KR102170874 B1 KR 102170874B1 KR 1020137031022 A KR1020137031022 A KR 1020137031022A KR 20137031022 A KR20137031022 A KR 20137031022A KR 102170874 B1 KR102170874 B1 KR 1021708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rch space
control information
downlink control
component carrier
mapp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31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6062A (ko
Inventor
아야코 호리우치
아키히코 니시오
Original Assignee
선 페이턴트 트러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 페이턴트 트러스트 filed Critical 선 페이턴트 트러스트
Publication of KR201500160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60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08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087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1/00Orthogonal multiplex systems, e.g. using WALSH codes
    • H04J11/0069Cell search, i.e. determining cell identity [cell-ID]
    • H04J11/0086Search parameters, e.g. search strategy, accumulation length, range of search,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or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or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12Arrangements for wireless medium access control, e.g. by allocating physical layer transmission capac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04W72/127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of downlink data fl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2211/00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orthogonal multiplex systems
    • H04J2211/003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orthogonal multiplex systems within particular systems or standards
    • H04J2211/005Long term evolution [L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04L5/005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of common pilots, i.e. pilots destined for multiple user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ePDCCH에 있어서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을 적절히 행할 수 있는 송신 장치. 이 장치에 있어서, 설정부(102)는, 복수의 컴포넌트 캐리어(CC:Component Carrier)를 이용해서 통신을 행할 때, 제 1 CC 내의 데이터 할당 가능 영역에 포함되는, 복수의 할당 단위군 중 동일한 할당 단위군 내에, 제 1 CC용 제어 정보를 할당하는 후보인 제 1 서치 스페이스와, 복수의 CC 중의 제 1 CC 이외의 제 2 CC용 제어 정보를 할당하는 후보인 제 2 서치 스페이스를 설정하고, 송신부(106)는, 제 1 서치 스페이스 및 제 2 서치 스페이스 각각에 매핑된 제어 정보를 송신한다.

Description

송신 장치, 수신 장치, 송신 방법 및 수신 방법{TRANSMISSION DEVICE, RECEIVING DEVICE, TRANSMISSION METHOD, AND RECEIVING METHOD}
본 발명은 송신 장치, 수신 장치, 송신 방법, 및 수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셀룰러 이동체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는, 정보의 멀티미디어화에 수반하여, 음성 데이터뿐만 아니라, 정지 화상 데이터 및 동영상 데이터 등의 대용량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일반화되어 가고 있다. 또, LTE-어드밴스드(Advanced)(Long Term Evolution Advanced)에서는, 광대역의 무선 대역, 멀티플 인풋 멀티플 아웃풋(Multiple-Input Multiple-Output)(MIMO) 전송 기술, 간섭 제어 기술을 이용해서 고전송 레이트를 실현하는 검토가 활발히 행해지고 있다.
또, M2M(Machine to Machine) 통신 등, 각종 기기가 무선 통신 단말로서 도입되는 것 및 MIMO 전송 기술에 의해 단말의 다중수가 증가하는 것을 고려하면, 제어 신호에 사용되는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하향 회선 제어 채널)가 매핑되는 영역(즉, 'PDCCH 영역')의 리소스 부족이 염려된다. 이 리소스 부족에 따라 제어 신호(PDCCH)를 매핑할 수 없게 되면, 단말에 대한 하향 회선 데이터의 할당을 행할 수 없다. 이 때문에, 하향 회선 데이터가 매핑되는 리소스 영역(즉,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영역')이 비어 있는데도 사용하지 못하고, 시스템 스루풋(system throughput)이 저하해 버릴 염려가 있다.
이 리소스 부족을 해소하는 방법으로서 무선 통신 기지국 장치(이하, '기지국'이라고 약칭함) 배하(配下)의 단말을 향한 제어 신호를, 데이터 영역에도 배치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그리고, 이 기지국 배하의 단말용 제어 신호가 매핑되는 리소스 영역은, 인핸스드(Enhanced) PDCCH(ePDCCH) 영역, New-PDCCH(N-PDCCH) 영역, 또는, X-PDCCH 영역 등으로 불린다. 이와 같이 데이터 영역에 제어 신호(즉, ePDCCH)를 매핑함으로써, 셀 엣지 부근에 존재하는 단말에 송신되는 제어 신호에 대한 송신 전력 제어, 또는, 송신되는 제어 신호에 의해 다른 셀에 주어지는 간섭 제어 혹은 다른 셀로부터 자셀(自cell)에 주어지는 간섭 제어가, 실현 가능하게 된다.
또, LTE-어드밴스드(Advanced)에서는, 각 기지국의 커버 에리어를 확대시키기 위해서, 기지국과 무선 통신 단말장치(이하, '단말'이라고 약칭함. UE(User Equipment)로 불리는 일도 있음) 사이에, 무선 통신 중계국 장치(이하, '중계국'이라고 약칭함)를 설치하고, 기지국과 단말 간의 통신을 중계국을 경유하여 행하는, 중계(Relay) 기술이 검토되고 있다. 중계 기술을 이용하면, 기지국과 직접 통신할 수 없는 단말도 중계국을 경유하여 통신할 수 있다. LTE-어드밴스드에 있어서 도입된 중계 기술에서는, 중계용 제어 신호는 데이터 영역에 배치되고 있다. 이 중계용의 제어 신호를 확장하여 단말용의 제어 신호에 사용될 가능성이 있는 점으로부터, 중계용의 제어 신호가 매핑되는 리소스 영역은, R-PDCCH라고도 불린다.
LTE(Long Term Evolution)에서는, 하향 회선(DL:Downlink)의 데이터 할당을 지시하는 DL 그랜트(DL grant)(DL assignment라고도 불림), 및, 상향 회선(UL:Uplink)의 데이터 할당을 지시하는 UL 그랜트(UL grant)가, PDCCH에 의해 송신된다. DL 그랜트에 의해, 이 DL 그랜트가 송신된 서브 프레임내의 리소스가 단말에 대해서 할당된 것이 통지된다. 한편, UL 그랜트에 관해서는, UL 그랜트(grant)에 의해 미리 정해져 있는 대상 서브 프레임내의 리소스가, 단말에 대해서 할당된 것이 통지된다.
LTE-어드밴스드(Advanced)에서는, 데이터 영역에, 중계국용의 회선 제어 신호를 배치하는 영역(중계국용 R-PDCCH(Relay용 PDCCH) 영역)이 설치된다. 이 R-PDCCH에도, PDCCH와 마찬가지로, DL 그랜트 및 UL 그랜트가 배치된다. R-PDCCH에서는, DL 그랜트가 퍼스트 슬롯(1st slot)에 배치되고, UL 그랜트가 세컨트 슬롯(2nd slot)에 배치된다(비특허 문헌 1 참조). DL 그랜트를 퍼스트 슬롯에만 배치함으로써, DL 그랜트의 복호 지연이 짧아져서, 중계국은 DL데이터에 대한 ACK/NACK의 송신(FDD에서는, DL grant의 수신으로부터 4 서브프레임 후에 송신됨) 에 대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기지국으로부터 R-PDCCH를 이용해 송신된 회선 제어 신호를, 중계국은, 기지국으로부터 하이어 레이어 시그널링(higher layer signaling)에 의해 지시된 리소스 영역(즉, '서치 스페이스(Search Space)') 내에서 모니터함으로써, 자국(自局)앞으로의 회선 제어 신호를 찾아낸다.
여기서, R-PDCCH에 대응하는 서치 스페이스는, 하이어 레이어 시그널링에 의해, 기지국으로부터 중계국에 통지된다.
LTE 및 LTE-어드밴스드에서는, 1 RB(Resource Block)는, 주파수 방향으로는 12개의 서브캐리어를 가지고, 시간 방향으로는 0.5 msec의 폭을 가진다. RB를 시간 방향으로 2개 조합시킨 단위는, RB페어(RB pair)라고 불린다(예를 들면, 도 1 참조). 즉, RB페어는, 주파수 방향으로는 12개의 서브캐리어를 가지고, 시간 방향으로는 1msec의 폭을 가진다. 또, RB페어가 주파수축상의 12개의 서브캐리어의 덩어리를 나타낼 경우, RB페어는, 간단히 RB로 불리는 일이 있다. 또, 물리 레이어에서는, RP페어는, PRB 페어(Physical RB pair)라고도 불린다. 또, 1개의 서브캐리어와 1개의 OFDM 심볼에 의해 규정되는 단위가, 리소스 요소(RE:Resource Element)이다(도 1 참조).
또, RB에 PDSCH가 할당되는 경우의 할당 리소스의 단위는, RB단위의 경우와, RBG(Resource block group) 단위의 경우가 있다. RBG란, 복수의 인접하는 RB를 종합한 단위이다. 또, RBG 사이즈(RBG size)는, 통신 시스템의 밴드폭에 의해 결정되고 있고, LTE에서는 RBG 사이즈로서 1, 2, 3, 4가 정의되어 있다.
또, PDCCH 및 R-PDCCH는, 어그리게이션 레벨로서 레벨 1, 2, 4, 8의 4개의 레벨을 가진다(예를 들면, 비특허 문헌 1 참조). 그리고, 레벨 1, 2, 4, 8은, 6, 6, 2, 2종류의 '매핑 후보'를 각각 가진다. 여기서, 매핑 후보란, 제어 신호가 매핑되는 영역의 후보이고, 복수의 매핑 후보에 의해 서치 스페이스가 구성된다. 1개의 단말에 대해서 1개의 어그리게이션 레벨이 설정되면, 그 어그리게이션 레벨이 가지는 복수의 매핑 후보 내의 1개에, 제어 신호가 실제로 매핑된다. 도 2는, R-PDCCH에 대응하는 서치 스페이스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각 타원은, 각 어그리게이션 레벨의 서치 스페이스를 나타내고 있다. 각 어그리게이션 레벨의 각 서치 스페이스에 있어서의 복수의 매핑 후보는, VRB(Virtual Resource Block)에 있어서는 연속적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VRB에 있어서의 각 리소스 영역 후보는, 상위 레이어의 시그널링에 의해, PRB(Physical Resource Block)에 매핑된다.
ePDCCH에 대응하는 서치 스페이스는, 단말 개별적으로 설정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또 ePDCCH의 설계에 대해서는, 상기한 R-PDCCH의 설계의 일부를 사용할 수도 있고, R-PDCCH의 설계와 완전히 다른 설계로 할 수도 있다. 실제로, ePDCCH의 설계와 R-PDCCH의 설계를 다르게 하는 것도 검토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R-PDCCH 영역에서는, DL 그랜트는 제 1 슬롯에 매핑되고, UL 그랜트는 제 2 슬롯에 매핑된다. 즉, DL 그랜트가 매핑되는 리소스와, UL 그랜트가 매핑되는 리소스는, 시간축에서 분할되어 있다. 이것에 비해서, ePDCCH에서는, DL 그랜트가 매핑되는 리소스와 UL 그랜트가 매핑되는 리소스가 주파수축(즉, 서브캐리어 또는 PRB 페어)에서 분할되는 것 및, RB페어 내의 RE를 복수의 그룹으로 분할하는 것도 검토되고 있다.
또, LTE-어드밴스드에서는, 대역 확장 기능(CA:Carrier Aggregation)이 서포트되고 있다. CA는, LTE-어드밴스드에 있어서 신규로 도입된 기능이며, 컴포넌트 캐리어(Component Carrier)(CC)라 불리는 LTE의 시스템 대역을 복수 묶음으로써 최대 전송 레이트의 향상을 실현한다(비특허 문헌 2 참조). 단말이 복수의 CC를 이용할 경우, 1개의 CC가 프라이머리 셀(Primary Cell)(PCell)로서 설정되고, 나머지 CC가 세컨더리(Secondary) CC(SCell)로서 설정된다. PCell 및 SCell의 설정은 단말마다 달라도 좋다.
또, LTE-어드밴스드에서는, PDCCH에 있어서 CC단위로 셀간 간섭 제어를 행하는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cross carrier scheduling)이라 불리는 리소스 할당 방법이 도입되어 있다.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에서는, 기지국은, 회선 품질이 양호한 CC의 PDCCH 영역에서 다른 CC의 DL 그랜트 및 UL 그랜트를 송신할 수 있다(예를 들면, 도 3 참조).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을 적용하면, 인접하는 셀 사이에서 다른 CC로부터 PDCCH를 송신함으로써, PDCCH의 셀간 간섭을 저감시킬 수 있다.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에서는, CC별로 리소스 할당 정보가 송신되기 때문에, 할당 CC수에 비례하여 PDCCH가 증가한다. 따라서, CC수가 증가할수록, 각 서치 스페이스가 타단말 사이에서 중복하여, 블로킹(blocking)(충돌) 발생율이 높아진다. 또, 타단말간에서의 블로킹 뿐만이 아니라, 1개 단말앞으로의 다른 CC의 PDCCH간에서도 블로킹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1개 단말의 PDCCH 간에서의 블로킹은, 동일 단말에 동시 할당 가능한 CC수를 제한하여, 단말당 최대 전송 레이트를 제한해 버린다. 그 때문에, LTE-어드밴스드의 PDCCH에서는, 서치 스페이스의 산출 시에, UE ID에 더해, CC별로 부여되는 CIF(Carrier Indication Field)를 이용함으로써, 각 CC용으로 서로 다른 연속된 CCE 영역을 서치 스페이스로서 설정하는 것이 적용되고 있다.
또, ePDCCH의 할당 방법으로서 ePDCCH를 주파수 대역상의 서로 가까운 위치에 모아서 할당하는 '로컬라이즈드(localized) 할당'과, ePDCCH를 주파수 대역상에 분산시켜 할당하는 '디스트리뷰티드 (distributed) 할당'이 검토되고 있다(예를 들면, 도4 참조). 로컬라이즈드 할당은, 주파수 스케줄링 게인을 얻기 위한 할당 방법이고, 회선 품질 정보에 기초하여 회선 품질이 좋은 리소스에 ePDCCH를 할당할 수가 있다. 디스트리뷰티드 할당은, 주파수축상에 ePDCCH를 분산시켜서 주파수 다이버시티 게인을 얻을 수 있다. LTE-어드밴스드에서는, 로컬라이즈드 할당용 서치 스페이스 및 디스트리뷰티드 할당용 서치 스페이스의 양쪽을 설정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예를 들면, 도4 참조).
또, ePDCCH에서는, 각 PRB 페어를 복수의 리소스에 분할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PRB 페어 내에서 분할된 리소스를 eCCE(enhanced control channel elements) 또는 eREG(enhanced resource element group)라고 부르는 일이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eCCE를 간단히 'CCE'라고 부르는 일도 있다. PDCCH에서는, 1개의 CCE를 구성하는 RE수는 36 Res로 고정적으로 설정되어 있지만, ePDCCH에서는, 1개의 CCE를 구성하는 RE수는 분할 방법에 따라 가변적이다. 분할 방법으로서 서브캐리어 단위로 분할하는 방법, 또는, 리소스(RE) 그룹을 생성해서 분할하는 방법이 생각된다. 도 5는, 복수의 PRB 페어가 ePDCCH의 서치 스페이스로 설정되어 있고, 각 PRB 페어를 서브캐리어 단위로 4개의 CCE로 분할한 예를 나타낸다. 도 5에 있어서, 각 PRB 페어에서 분할된 CCE의 각각을, CCE#(4N), CCE#(4N+1), CCE#(4N+2), CCE#(4N+3)이라고 부른다(단, N=0, 1, 2, 3).
3GPP TS 36.216 V10.1.0 "Physical layer for relaying operation" 3GPP TS 36.213 V10.4.0 "Physical layer procedures"
상술한 ePDCCH에 있어서도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의 적용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ePDCCH에 있어서의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의 적용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검토되고 있지 않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ePDCCH에 있어서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을 적절하게 행할 수 있는 송신 장치, 수신 장치, 송신 방법 및 수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형태의 송신 장치는, 복수의 컴포넌트 캐리어(CC:Component Carrier)를 이용해서 통신을 행할 때, 제 1 CC 내의 데이터 할당 가능 영역에 포함되는 복수의 할당 단위군(群) 중의 동일한 할당 단위군 내에, 상기 제 1 CC용 제어 정보를 할당하는 후보인 제 1 서치 스페이스와, 상기 복수의 CC 중 상기 제 1 CC 이외의 제 2 CC용 제어 정보를 할당하는 후보인 제 2 서치 스페이스를 설정하는 설정 수단과, 상기 제 1 서치 스페이스 및 상기 제 2 서치 스페이스 각각에 매핑된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구비하는 구성을 취한다.
본 발명의 한 형태의 수신 장치는, 복수의 컴포넌트 캐리어(CC:Component Carrier)를 이용해서 통신을 행할 때, 제 1 CC 내의 데이터 할당 가능 영역에 포함되는, 복수의 할당 단위군 중 동일한 할당 단위군 내에, 상기 제 1 CC용 제어 정보를 할당하는 후보인 제 1 서치 스페이스와, 상기 복수의 CC 중 상기 제 1 CC 이외의 제 2 CC용 제어 정보를 할당하는 후보인 제 2 서치 스페이스를 설정하는 설정 수단과, 상기 제 1 서치 스페이스 및 상기 제 2 서치 스페이스 각각에 매핑된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을 구비하는 구성을 취한다.
본 발명의 한 형태의 송신 방법은, 복수의 컴포넌트 캐리어(CC:Component Carrier)를 이용해서 통신을 행할 때, 제 1 CC 내의 데이터 할당 가능 영역에 포함되는, 복수의 할당 단위군 중 동일한 할당 단위군 내에, 상기 제 1 CC용 제어 정보를 할당하는 후보인 제 1 서치 스페이스와, 상기 복수의 CC 중 상기 제 1 CC 이외의 제 2 CC용 제어 정보를 할당하는 후보인 제 2 서치 스페이스를 설정하고, 상기 제 1 서치 스페이스 및 상기 제 2 서치 스페이스 각각에 매핑된 제어 정보를 송신한다.
본 발명의 한 형태의 수신 방법은, 복수의 컴포넌트 캐리어(CC:Component Carrier)를 이용해서 통신을 행할 때, 제 1 CC 내의 데이터 할당 가능 영역에 포함되는, 복수의 할당 단위군 중 동일한 할당 단위군 내에, 상기 제 1 CC용 제어 정보를 할당하는 후보인 제 1 서치 스페이스와, 상기 복수의 CC 중 상기 제 1 CC 이외의 제 2 CC용 제어 정보를 할당하는 후보인 제 2 서치 스페이스를 설정하고, 상기 제 1 서치 스페이스 및 상기 제 2 서치 스페이스 각각에 매핑된 제어 정보를 수신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ePDCCH에 있어서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을 적절하게 행할 수 있다.
도 1은 PRB 페어의 설명에 제공하는 도면,
도 2는 R-PDCCH에 대응하는 서치 스페이스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논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Non cross carrier scheduling) 및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Cross carrier scheduling)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ePDCCH의 로컬라이즈드(localized) 할당 및 디스트리뷰티드 (distrivuted) 할당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ePDCCH의 분할의 설명에 제공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기지국의 주요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단말의 주요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기지국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서치 스페이스 설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PRB 번들링(bundling)을 고려한 서치 스페이스 설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따른 안테나 포트와 DMRS의 송신 전력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따른 서치 스페이스 설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따른 기타 서치 스페이스 설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따른 서치 스페이스 설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베리에이션에 따른 서치 스페이스 설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중복되므로 생략한다.
[실시 형태 1]
[통신 시스템의 개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은, 송신 장치와 수신 장치를 가진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송신 장치를 기지국(100)으로, 수신 장치를 단말(200)로서 설명한다. 이 통신 시스템은, 예를 들면, LTE-어드밴스드 시스템이다. 그리고, 기지국(100)은, 예를 들면, LTE-어드밴스드 시스템에 대응하는 기지국이며, 단말(200)은, 예를 들면, LTE-어드밴스드 시스템에 대응하는 단말이다.
도 6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기지국(100)의 주요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기지국(100)에 있어서, 설정부(102)는, 복수의 CC를 이용해서 통신을 행할 때, 제 1 CC 내의 데이터 할당 가능 영역(PDSCH 영역)에 포함되는, 복수의 할당 단위군(여기에서는 RBG) 중의 동일한 할당 단위군 내에, 제 1 CC용 제어 정보(DL assignment 및 UL grant 등)를 할당하는 후보인 제 1 서치 스페이스와, 복수의 CC 중의 제 1 CC 이외의 제 2 CC용 제어 정보를 할당하는 후보인 제 2 서치 스페이스를 설정한다.
송신부(106)는, 설정부(102)에서 설정된 상기 제 1 서치 스페이스 및 제 2 서치 스페이스 각각에 매핑된 제어 정보를 송신한다.
도 7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단말(200)의 주요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단말(200)에 있어서, 설정부(205)는, 복수의 CC를 이용해서 통신을 행할 때, 제 1 CC 내의 데이터 할당 가능 영역(PDSCH 영역)에 포함되는, 복수의 할당 단위군(여기에서는 RBG) 중 동일한 할당 단위군 내에, 제 1 CC용 제어 정보(DL assignment 및 UL grant 등)를 할당하는 후보인 제 1 서치 스페이스와, 복수의 CC 중의 제 1 CC 이외의 제 2 CC용 제어 정보를 할당하는 후보인 제 2 서치 스페이스를 설정한다.
제어 신호 수신부(206)는, 설정부(205)에서 설정된 상기 제 1 서치 스페이스 및 제 2 서치 스페이스 각각에 매핑된 제어 정보를 추출한다. 이것에 의해, 기지국(100)으로부터 송신된 제어 정보가 수신된다.
[기지국(100)의 구성]
도 8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기지국(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에 있어서, 기지국(100)은, 할당 정보 생성부(101)와, 설정부(102)와, 오류 정정 부호화부(103)와, 변조부(104)와, 신호 할당부(105)와, 송신부(106)와, 수신부(107)와, 복조부(108)와, 오류 정정 복호부(109)를 가진다.
할당 정보 생성부(101)는, 송신해야 할 하향 회선 데이터 신호(DL데이터 신호) 및, 상향 회선(UL)에 할당하는 상향 회선 데이터 신호(UL데이터 신호)가 있는 경우, 데이터 신호를 할당할 리소스(RB)를 결정하고, 할당 정보(DL assignment 및 UL grant)를 생성한다. DL 어사인먼트(DL assignment)는, DL데이터 신호의 할당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UL 그랜트는, 단말(200)로부터 송신되는 UL데이터 신호의 할당 리소스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DL 어사인먼트는 신호 할당부(105)에 출력되고, UL 그랜트는 수신부(107)에 출력된다.
설정부(102)는,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 정보에 기초하여, ePDCCH를 사용하는 단말(200) 각각에 대해서 PCell 및 SCell의 서치 스페이스를 설정한다. 서치 스페이스는 복수의 매핑 후보에 의해 구성된다. 각 '매핑 후보'는 어그리게이션 레벨의 값과 동일한 수의 CCE로 구성된다. 또, 'CCE'는, 각 PRB 페어가 소정수로 분할됨으로써 얻어진다. 또,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 정보에는, 예를 들면, 단말(200) 각각에 대해서 설정되는 PCell 및 SCell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다.
예를 들면, 설정부(102)는, 단말(200)에 설정하는 PCell의 서치 스페이스(서치 스페이스에 사용되는 CCE 및 RB)를 결정한다. 또, 해당 단말(200)에 대해서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이 설정되는 경우, 설정부(102)는, PCell의 서치 스페이스, 미리 보지(保持)하고 있는 계산식 및, SCell을 식별할 수 있는 값(예를 들면 CIF)으로부터, SCell의 서치 스페이스를 결정한다. 상기 계산식에서는, 동일 단말용의 ePDCCH가 동일 RBG에서 송신되도록, 동일 RBG 내의 PRB 페어가 우선적으로 서치 스페이스로서 설정된다. 또, 상기 계산식에서는, 동일 CC로부터 송신되는 제어 정보가 매핑될 수 있는 각 CC의 서치 스페이스가 충돌하지 않도록, SCell의 서치 스페이스는, CIF를 이용하여 PCell의 서치 스페이스가 설정된 PRB 페어로부터 쉬프트 된 PRB 페어에 설정된다. 설정부(102)에 있어서의 서치 스페이스 설정 처리의 상세한 것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설정부(102)는, 설정한 서치 스페이스에 관한 정보(이하에서는, '서치 스페이스 정보'라고 불리는 일이 있음)를 신호 할당부(105)에 출력한다. 또, 설정부(102)는, PCell의 서치 스페이스로 설정된 PRB 페어에 관한 정보를 제어 정보로서 오류 정정 부호화부(103)에 출력한다.
오류 정정 부호화부(103)는, 송신 데이터 신호(DL데이터 신호) 및, 설정부(102)로부터 받는 제어 정보가 입력되면, 입력된 신호를 오류 정정 부호화하여, 변조부(104)에 출력한다.
변조부(104)는, 오류 정정 부호화부(103)로부터 받는 신호에 대해서 변조 처리를 실시하고, 변조 후의 데이터 신호를 신호 할당부(105)에 출력한다.
신호 할당부(105)는, 할당 정보 생성부(101)로부터 받는 할당 정보(DL assignment 및 UL grant)를, 설정부(102)로부터 받는 서치 스페이스 정보에 나타나는 CCE(매핑 후보 단위의 CCE) 중 어느 것인가에 할당한다. 또, 신호 할당부(105)는, 변조부(104)로부터 받는 데이터 신호를, 할당 정보 생성부(101)로부터 받는 할당 정보(DL assignment)에 대응하는 하향 회선 리소스에 할당한다.
이렇게 해서 할당 정보 및 데이터 신호가 소정의 리소스에 할당됨으로써, 송신 신호가 형성된다. 형성된 송신 신호는 송신부(106)에 출력된다.
송신부(106)는, 입력 신호에 대해서 업컨버트 등의 무선 송신 처리를 실시하고, 안테나를 경유하여 단말(200)에 송신한다.
수신부(107)는, 단말(200)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안테나를 경유해 수신하여, 복조부(108)에 출력한다. 구체적으로는, 수신부(107)는, 할당 정보 생성부(101)로부터 받은 UL 그랜트가 나타내는 리소스에 대응하는 신호를 수신 신호로부터 분리하고, 분리된 신호에 대해서 다운 컨버트 등의 수신 처리를 실시한 후에 복조부(108)에 출력한다.
복조부(108)는, 입력 신호에 대해서 복조 처리를 실시하고, 얻어진 신호를 오류 정정 복호부(109)에 출력한다.
오류 정정 복호부(109)는, 입력 신호를 복호하고, 단말(200)로부터의 수신 데이터 신호를 얻는다.
[단말(200)의 구성]
도 9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단말(2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에 있어서, 단말(200)은, 수신부(201)와, 신호 분리부(202)와, 복조부(203)와, 오류 정정 복호부(204)와, 설정부(205)와, 제어 신호 수신부(206)와, 오류 정정 부호화부(207)와, 변조부(208)와, 신호 할당부(209)와, 송신부(210)를 가진다.
수신부(201)는, 기지국(100)으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안테나를 경유해 수신하여, 다운 컨버트 등의 수신 처리를 실시한 후에 신호 분리부(202)에 출력한다.
신호 분리부(202)는, 수신부(201)로부터 받는 수신 신호 중, 리소스 할당에 관한 제어 신호를 추출하고, 추출된 신호를 제어 신호 수신부(206)에 출력한다. 또, 신호 분리부(202)는, 제어 신호 수신부(206)로부터 출력된 DL 어사인먼트가 나타내는 데이터 리소스에 대응하는 신호(즉, DL데이터 신호)를 수신 신호로부터 추출하고, 추출된 신호를 복조부(203)에 출력한다.
복조부(203)는, 신호 분리부(202)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복조하고, 해당 복조된 신호를 오류 정정 복호부(204)에 출력한다.
오류 정정 복호부(204)는, 복조부(203)로부터 출력된 복조 신호를 복호하고, 얻어진 수신 데이터 신호를 출력한다. 오류 정정 복호부(204)는, 특히, 기지국(100)으로부터 제어 신호로서 송신된, 'PCell의 서치 스페이스로 설정된 PRB 페어에 관한 정보'를 설정부(205)에 출력한다.
설정부(205)는,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 정보에 기초하여, ePDCCH를 사용하는 자기(自機)(단말(200))에 설정된 서치 스페이스를 특정한다. 예를 들면, 설정부(205)는, 우선, 오류 정정 복호부(204)로부터 받는 정보에 기초하여, PCell의 서치 스페이스로 설정할 PRB 페어를 특정한다. 그 다음에, 설정부(205)는, PCell의 서치 스페이스, 미리 보지하고 있는 계산식 및, SCell을 식별할 수 있는 값(예를 들면 CIF)으로부터, SCell의 서치 스페이스를 특정한다. 상기 계산식은, 기지국(100)과 단말(200) 사이에서 공유된다. 즉, 설정부(205)는, 설정부(102)와 동일하게 하여, 자기(自機)의 서치 스페이스를 설정한다. 설정부(205)는, 서치 스페이스로서 설정된 PRB 페어 및 CCE에 관한 정보를 제어 신호 수신부(206)에 출력한다. 또한, 설정부(205)에 있어서의 서치 스페이스 설정 처리의 상세한 것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제어 신호 수신부(206)는, 신호 분리부(202)로부터 받는 신호 성분에 있어서, 설정부(205)로부터 받는 정보에 나타나는 CCE에 대해서 블라인드 복호를 행함으로써, 자기앞으로의 제어 신호(DL assignment 또는 UL grant)를 검출한다. 즉, 제어 신호 수신부(206)는, 설정부(205)에서 설정된 서치 스페이스를 구성하는 복수의 매핑 후보 내의 1개에 매핑된 제어 신호를 수신한다. 제어 신호 수신부(206)는, 검출한 자기앞으로의 DL 어사인먼트를 신호 분리부(202)에 출력하고, 검출한 자기앞 UL 그랜트를 신호 할당부(209)에 출력한다.
오류 정정 부호화부(207)는, 송신 데이터 신호(UL데이터 신호)가 입력되면, 그 송신 데이터 신호를 오류 정정 부호화하여, 변조부(208)에 출력한다.
변조부(208)는, 오류 정정 부호화부(207)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변조하고, 변조 신호를 신호 할당부(209)에 출력한다.
신호 할당부(209)는, 변조부(208)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제어 신호 수신부(206)로부터 받는 UL 그랜트에 따라 할당하여, 송신부(210)에 출력한다.
송신부(210)는, 입력 신호에 대해서 업 컨버트 등의 송신 처리를 실시하여, 송신한다.
[기지국(100) 및 단말(200)의 동작]
이상의 구성을 가지는 기지국(100) 및 단말(20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단말(200)에 대해서 복수의 CC가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 단말(200)앞 제어 신호(DL assignment 또는 UL grant)의 할당 리소스로서 ePDCCH가 사용되고, 해당 ePDCCH에 대해서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이 설정(configure)되어 있다고 한다. 또,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에 있어서, 단말(200)에 설정된 각 CC용 제어 신호가 할당되는 CC를 PCell이라고 한다. 즉, PCell에는, 단말(200)앞으로의 PCell용 제어 정보가 할당되는 서치 스페이스 및, SCell용 제어 정보가 할당되는 서치 스페이스가 각각 설정된다.
여기서, ePDCCH에서는, PDCCH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각 CC의 ePDCCH간의 블로킹을 경감시킬 필요가 있다. 또, ePDCCH는, PDSCH 영역(데이터 할당 가능 영역)에 배치되므로, ePDCCH간의 블로킹에 더해, PDSCH와의 블로킹도 경감시킬 필요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PDSCH는 RBG 단위로 할당된다. 따라서, 기지국(100)에서는, ePDCCH로서 사용되는 PRB 페어를 포함하는 RBG에는, ePDCCH의 존재를 인식할 수 없는 단말, 예를 들면 rel. 8, 9, 10의 단말에 PDSCH로서 데이터를 할당할 수가 없다. 이 때문에, ePDCCH에 사용되는 PRB 페어를 포함하는 RBG를 보다 적게하고, PDSCH로서 사용할 수 있는 RBG를 보다 많이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기지국(100)의 설정부(102)는, ePDCCH에 대해서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을 적용할 때, 단말(200)에 설정된 복수의 CC의 ePDCCH의 서치 스페이스를 동일 RBG내에 우선적으로 설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설정부(102)는, 단말(200)에 설정된 PCell 내의 PDSCH 영역에 포함되는 복수의 RBG 중, 동일 RBG내에 PCell용의 ePDCCH의 서치 스페이스 및 SCell용의 ePDCCH의 서치 스페이스를 설정한다. 그 때, 설정부(102)는, 상기 동일 RBG 내의 다른 PRB 페어를, PCell용의 ePDCCH의 서치 스페이스 및 SCell용의 ePDCCH의 서치 스페이스로 각각 설정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시의 서치 스페이스 설정예로서 각 CC에 설정된 CIF의 값(CIF 번호)을 이용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구체적으로는, 설정부(102)는, 동일 RBG내에 있어서, PCell의 서치 스페이스로 설정된 PRB 페어를 순회 쉬프트시킨 PRB 페어(상기 PCell의 서치 스페이스로 설정된 PRB 페어와는 다른 PRB 페어)를, SCell의 서치 스페이스로 설정한다. 이 때, 설정부(102)는, 순회 쉬프트량으로서, 각 SCell에 설정된 CIF 번호를 이용한다. 즉, 설정부(102)는, 기본이 되는 CC(여기에서는 PCell)의 서치 스페이스로서 설정된 PRB 페어가 속하는 RBG와 동일한 RBG내에 있어서, PCell의 PRB 페어를 각 SCell에 설정된 CIF 번호분만큼 순회 쉬프트시킨 PRB 페어를, 해당 CIF 번호의 SCell의 서치 스페이스로 설정한다.
또, 설정부(102)는, 순회 쉬프트량에 상당하는 CIF 번호(CIF=0, 1, 2,…로 함)가 RBG 사이즈(1 RBG를 구성하는 PRB 페어수) 이상일 경우, PCell의 서치 스페이스가 설정된 PRB 페어가 속하는 RBG에 인접한 다른 RBG 내의 PRB 페어를, 해당 CIF 번호의 SCell의 서치 스페이스로 설정한다. 즉, 설정부(102)는, RBG 사이즈 이상의 CIF 번호에 대응하는 SCell의 서치 스페이스를, PCell의 서치 스페이스가 설정된 RBG에 인접하는 RBG 내의 RB로 쉬프트한다.
예를 들면, 설정부(102)는, 다음 수학식 (1)에 따라, SCell의 서치 스페이스를 설정한다.
Figure 112013106429268-pct00001
수학식 (1)에 있어서, nCL은 CIF 번호를 나타내고(nCL=0, 1, 2,…), NRB, nCL은 CIF 번호가 nCL인 CC의 서치 스페이스의 RB번호를 나타내며, NRB , 0은 기본이 되는 CC인 PCell(nCL=0)의 서치 스페이스의 RB번호(PRB 페어의 번호)를 나타내고, NRBG ,0은 PCell(nCL=0)의 서치 스페이스가 설정된 RBG 번호를 나타낸다. 또, 함수 floor(x)는, 수치 x의 소수점 이하를 잘라 버린 값을 되돌리는 함수를 나타내고, 연산자 mod는 모듈로 연산을 나타낸다.
수학식 (1)의 제 1 항[floor(nCL/RBGsize)·RBGsize]는, CIF 번호가 nCL인 SCell의 서치 스페이스에 대한, PCell로부터의 RBG 단위에서의 쉬프트량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제 1 항의 값이 0이면, PCell과 동일 RBG 내에 서치 스페이스가 설정된다.
수학식 (1)의 제 2 항[NRBG,0·RBGsize]는, PCell의 서치 스페이스가 설정된 RBG(RBG 번호가 NRBG ,0)를 구성하는 PRB 페어의 RB번호 중 최소의 RB번호를 나타내고, RB번호 쉬프트량의 기준치가 된다.
수학식 (1)의 제 3 항[(NRB ,0+nCL) mod(RBGsize)]는, CIF 번호가 nCL인 SCell의 서치 스페이스에 대한, PCell의 서치 스페이스(NRB ,0)로 설정된 PRB 페어에 대응하는 RB번호로부터의 RBG내에서의 쉬프트량을 나타낸다.
즉, 수학식 (1)의 제 2 항 및 제 3 항에 의해 순회 쉬프트를 나타내고 있다.
이것에 의해,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시의 각 CC의 서치 스페이스는, PCell의 서치 스페이스로 설정된 PRB 페어와 동일한 RBG내에 있어서, 그 PRB 페어를 CIF 번호분만큼 순회 쉬프트시킨 다른 PRB 페어에 각각 설정된다. 또, CIF 번호가 RBG 사이즈 이상일 경우에는, 해당 CIF 번호의 SCell의 서치 스페이스는, PCell의 서치 스페이스가 설정된 RBG에 인접하는 RBG 내의 PRB 페어에 설정된다.
도 10은, 단말(200)에 대해서 PCell과 2개의 SCell이 설정된 경우의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시에 있어서의 서치 스페이스 설정예를 나타낸다.
도 10에서는, RBG 사이즈를 3으로 하고(RBGsize=3), 한쪽 SCell의 CIF 번호를 1로 하고(CIF=1), 다른쪽 SCell의 CIF 번호를 3으로 한다(CIF=3). 또, 도 10에서는, 어그리게이션 레벨을 4로 한다. 또, 도 10에 나타내는 것처럼, PCell(CIF=0)의 서치 스페이스는, RBG#0에 속하는 RB#1(CCE0~CCE3) 및, RBG#2에 속하는 RB#7(CCE4~CCE7)에 설정되어 있다.
우선, CIF=1(RBG 사이즈(=3) 미만)의 SCell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에 나타내는 것처럼, 설정부(102)는, PCell의 서치 스페이스가 설정된 RB#1 및 RB#7을 CIF 번호분(즉, 1 RB)만큼 순회 쉬프트시킨 RB#2 및 RB#8을, CIF=1의 SCell의 서치 스페이스로 설정한다. 도 10에 나타내는 것처럼, PCell의 서치 스페이스로 설정된 PRB 페어(RB#1, RB#7)와 CIF=1의 SCell의 서치 스페이스로 설정된 PRB 페어(RB#2, RB#8)는, 동일 RBG(RBG#0, RBG#2) 내에 설정되고, 그리고 또, 서로 다르다.
그 다음에, CIF=3(RBG 사이즈(=3) 이상)의 SCell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0에 나타내는 것처럼, 설정부(102)는, CIF=3의 SCell의 서치 스페이스 설정 시, PCell의 서치 스페이스가 설정된 RB#1 및 RB#7을 CIF 번호분(즉, 3 RB)만큼 순회 쉬프트시킨다. 단, CIF 번호(=3)는 RBG 사이즈(RBGsize=3) 이상이므로, 설정부(102)는, PCell의 서치 스페이스가 설정된 RBG#0, RBG#2에 인접하는 RBG#1, RBG#3내에, CIF=3의 SCell의 서치 스페이스를 설정한다. 즉, 설정부(102)는, RBG#1에 속하는 RB#4 및, RBG#3에 속하는 RB#10을, CIF=3의 SCell의 서치 스페이스로 설정한다.
즉, 도 10에 나타내는 것처럼, RBG 사이즈 미만의 CIF 번호(CIF=1, 2)의 SCell의 서치 스페이스는, PCell(CIF=0)의 서치 스페이스가 설정된 PRB 페어가 속하는 RBG내에서 순회 쉬프트 된 다른 PRB 페어에 각각 설정된다. 한편, RBG 사이즈 이상의 CIF 번호(CIF=3, 4)의 SCell의 서치 스페이스는, PCell(CIF=0)의 서치 스페이스가 설정된 PRB 페어가 속하는 RBG에 인접하는 RBG내에 설정된다. 그 때, 도 10에 나타내는 것처럼, SCell의 서치 스페이스는, 상기 인접하는 RBG내에 있어서, PCell의 서치 스페이스가 설정된 RBG#0 내에 있어서의 RB#1(및 RBG#2의 RB#7)의 위치(즉, RBG 내의 최소 RB번호로부터 2번째 RB)에 대응하는 PRB 페어(RBG#1의 RB#4, 및, RBG3의 RB#10)를 출발점으로 하여 순회 쉬프트된 PRB 페어에 각각 설정된다.
도 10에 나타내는 동그라미 친 숫자 '0'~'4'는, PCell의 서치 스페이스로 설정된 PRB 페어(동그라미 친 수 '0'. 도 10에서는 RB#1에 대응) 를 기준으로 하는 순회 쉬프트 패턴(쉬프트 순서)을 나타낸다.
한편, 단말(200)의 설정부(205)는, 설정부(102)와 동일하게 하여, 단말(200)에 설정된 각 CC의 서치 스페이스를 특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설정부(205)는, 우선, PCell의 서치 스페이스로 설정된 PRB 페어에 관한 정보(예를 들면, RBG 번호 및 RB번호)를 기지국(100)으로부터 취득한다. 그 다음에, 설정부(205)는, PCell의 서치 스페이스로 설정된 PRB 페어를 각 SCell에 설정된 CIF의 번호(CIF 번호)분만큼 순회 쉬프트시킨 PRB 페어를, 해당 SCell의 서치 스페이스로 설정한다. 또, 설정부(205)는, CIF 번호가 RBG 사이즈 이상일 경우에는, PCell의 서치 스페이스로 설정된 PRB 페어가 속하는 RBG에 인접하는 RBG내에, 해당 SCell의 서치 스페이스를 설정한다. 예를 들면, 설정부(205)는, PCell의 서치 스페이스로 설정된 RB 및, 미리 보지하고 있는 계산식(수학식 (1))에 기초하여, SCell의 서치 스페이스를 설정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기지국(100) 및 단말(200)은, 복수의 CC를 이용해서 단말(200)과 통신을 행할 때, PCell 내의 PDSCH 영역에 포함되는, 복수의 PRB 페어로 각각이 구성되는 복수의 RBG 중 동일한 RBG내에, PCell용의 제어 정보를 할당하는 후보인 서치 스페이스와, SCell(PCell 이외의 CC)용의 제어 정보를 할당하는 후보인 서치 스페이스를 설정한다.
이와 같이 하여,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시의 ePDCCH의 서치 스페이스가 RBG 단위로 설정되기 쉬워짐으로써, PDSCH 영역에 있어서, 데이터를 할당할 수 있는 RBG를 보다 많이 확보할 수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RBG 단위로 할당되는 PDSCH와, ePDCCH의 서치 스페이스와의 블로킹 발생율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기지국(100) 및 단말(200)은, 각 CC의 ePDCCH의 서치 스페이스로서, 동일 RBG 내의 다른 PRB 페어를 각각 설정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각 CC의 동일 어그리게이션 레벨의 ePDCCH간에서의 블로킹 발생율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PCell의 서치 스페이스에 기초하여, 다른 CC(SCell)의 서치 스페이스가 설정되므로, CC마다 서치 스페이스를 개별적으로 설정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서치 스페이스의 설정에 필요하게 되는 상위 레이어의 비트수를 삭감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서치 스페이스 설정 시, PCell의 서치 스페이스로부터의 순회 쉬프트량을 결정하는 파라미터로서 기존의 파라미터인 각 CC의 CIF 번호를 이용한다. 이것에 의해, 서치 스페이스 설정을 위한 파라미터를 새로이 사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서치 스페이스의 설정에 필요한 비트수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CIF 번호가 RBG 사이즈 이상일 경우, 해당 CIF 번호의 SCell의 서치 스페이스를, PCell의 서치 스페이스가 설정된 RBG에 인접하는 RBG 내의 RB로 쉬프트시킨다. 이것에 의해, CIF 번호가 RBG 사이즈 이상이어, PCell의 서치 스페이스와 동일한 RBG내에 해당 SCell의 서치 스페이스를 설정할 수 없는 경우에도, 해당 SCell의 서치 스페이스를, PCell의 서치 스페이스와 비교적 동일한 회선 품질이 예상되는 리소스에 설정할 수 있다. 단말(200)에 설정되는 복수의 CC에 대응하는 서치 스페이스를, 회선 품질이 동일한 정도인 리소스에 설정함으로써, 각 CC에 있어서 선택되는 어그리게이션 레벨 및 송신 방법(예를 들면 송신 다이버시티의 유무) 등을 CC간에서 가지런히 할 수 있으므로, 기지국(100)의 스케줄링 처리가 용이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ePDCCH에 있어서도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을 적절히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RBG 사이즈가 3인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RBG 사이즈는 3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RBG 사이즈를 4로 해도 좋다. 또, RBG 사이즈가 4인 경우, PRB 번들링(PRB bundling) 단위를 고려하여, PCell의 서치 스페이스에 대한 쉬프트 패턴을 결정해도 좋다. PRB 번들링이란, 참조 신호로서, 단말별로 다른 빔을 보낼 수 있는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를 사용하는 경우에, 인접하는 복수의 PRB 페어에 있어서 동일 프리코딩을 사용하여, 채널 추정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기술이다. 동일 프리코딩을 사용하는 단위(PRB 번들링 단위)는 PRG(Precoding Resource block Group) 라고 불린다. PRG의 사이즈(PRG 사이즈)는, RBG 사이즈와 마찬가지로, 시스템 대역폭에 포함되는 PRB 페어의 수에 따라 다른 값이 설정된다. 예를 들면, RBG 사이즈가 4 또는 2인 경우, PRG 사이즈는 2이고, RBG 사이즈가 3인 경우, PRG 사이즈는 3이다. 따라서, RBG 사이즈가 4인 경우, 동일 RBG내에 포함되는 4개의 PRB 페어가 2개의 PRB 페어마다 1개의 PRG를 구성한다(도 11 참조). 따라서, 동일 RBG 내의 2개의 PRB 페어만이 ePDCCH에 사용되고, 나머지 2개의 PRB 페어를 PDSCH에 할당하는 경우에는, 동일 프리코딩을 가정(假定)할 수 있는 PRG에 속하는 2개의 PRB 페어를 PDSCH에 할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기지국(100) 및 단말(200)은, 예를 들면 RBG 사이즈가 4인 경우에는, PCell의 서치 스페이스로 설정된 PRB 페어가 속하는 PRG내의 PRB 페어를 우선적으로 SCell의 서치 스페이스로 설정하면 된다. 즉, 기지국(100) 및 단말(200)은, 동일 PRG를 구성하는 2개의 PRB 페어 중 한쪽 PRB 페어를 PCell의 서치 스페이스로 설정하고, 다른쪽 PRB 페어를 SCell의 서치 스페이스로 설정한다.
예를 들면, 기지국(100) 및 단말(200)은, PCell의 서치 스페이스로 설정된 PRB 페어를, 해당 PRB 페어가 속하는 PRG내에서 우선적으로 쉬프트시킨 후에, 해당 PRB 페어가 속하는 RBG내에서 쉬프트 시키도록, RB의 쉬프트의 순서(쉬프트 패턴)를 설정해도 좋다. 도 11에서는, PCell(CIF=0)의 서치 스페이스로 설정된 PRB 페어가 속하는 PRG내의 PRB 페어가, CIF=1의 SCell의 서치 스페이스로 설정된다. 그 다음에, PCell(CIF=0)의 서치 스페이스로 설정된 PRB 페어가 속하는 PRG 이외의 PRB 페어이며, PCell(CIF=0)의 서치 스페이스로 설정된 PRB 페어가 속하는 RBG 내의 PRB 페어가, CIF=2, 3의 SCell의 서치 스페이스로 설정된다. 또한, 도 11에 나타내는 2개의 도면은 어느 쪽도 PCell의 하향 회선으로 송신되는 신호가 배치되는 리소스(즉, 동일 리소스)를 나타내고 있다. 즉, 도 11은, 설명의 편의상, 1개의 CC(PCell) 내에 설정되는 각 CC의 서치 스페이스를 CC별로 각각 나누어 나타내고 있다. 또, 도 11에 표시되는 동그라미 친 숫자 '0'~ '3'은, PCell의 서치 스페이스로 설정된 PRB 페어(동그라미 친 숫자 '0')를 기준으로 하는 순회 쉬프트 패턴을 나타낸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RBG를 고려해서 서치 스페이스를 설정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서브밴드(Subband) CQI의 보고시에 이용되는 서브밴드의 단위를 고려하여 서치 스페이스를 설정해도 좋다. 여기서, 서브밴드의 단위는, 단말이 기지국으로 회선 품질을 보고할 때에 회선 품질을 평균화하는 PRB 페어의 단위이다. 예를 들면, 서브밴드는 6개의 PRB 페어로 구성된다. 예를 들면, 리소스 할당 방법이 로컬라이즈드(localized) 할당(localized allocation)일 경우, 기지국은 회선 품질 보고에 기초하여 ePDCCH를 송신하는 PRB 페어를 결정할 수 있다. 또, 회선 품질의 피드백이 서브밴드 단위일 경우, 동일 서브밴드에 속하는 PRB 페어는 기지국측에서는 동일한 회선 품질로 간주된다. 그래서, 기지국(100) 및 단말(200)은, 복수 CC의 각 서치 스페이스를 동일 서브밴드 내(즉, 동일 Subband 내의 다른 PRB 페어)로 설정해도 좋다. 즉, 기지국(100) 및 단말(200)은, 동일 RBG내보다 우선적으로 동일 서브밴드 내의 PRB 페어 내에 있어서, PCell의 서치 스페이스로 설정된 PRB 페어를 순회 쉬프트 시켜, SCell의 서치 스페이스를 설정해도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복수의 CC의 ePDCCH를 동일 회선 품질이 예상되는 RB에 각각 배치할 수 있으므로, 각 CC의 ePDCCH간에서 수신 품질의 격차가 없어져, ePDCCH의 어그리게이션 레벨의 선택을 CC별로 바꿀 필요가 없게 된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PCell의 서치 스페이스로 설정된 PRB 페어에 대한 순회 쉬프트에 의해 SCell의 서치 스페이스를 설정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SCell의 서치 스페이스 설정은 순회 쉬프트를 이용하는 경우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PCell의 서치 스페이스로 설정된 PRB 페어에 대해서, 동일 RBG에 속하는 서로 다른 PRB 페어가 SCell의 서치 스페이스로 우선적으로 설정되는 등의 방법이면 된다.
[실시 형태 2]
본 실시 형태는, 참조 신호의 전력에 착안한 서치 스페이스 설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기지국 및 단말은, 실시 형태 1에 따른 기지국(100) 및 단말(200)과 기본 구성이 공통되므로, 도 8, 9를 원용해서 설명한다.
LTE-어드밴스드(Advanced)에서는, 단말마다 프리코딩을 바꿀 수 있는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를 참조 신호로 하여, ePDCCH를 복조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DMRS가 할당되는 복수의 안테나 포트를 동일 PRB 페어 내에 설정함으로써(예를 들면 도 1 참조),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송신을 적용할 수 있다.
또, LTE-어드밴스드에서는, 복수의 단말앞으로의 ePDCCH를 동일 PRB 페어에 다중해서 송신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이 때, 단말마다 다른 프리코딩을 적용하면, 다른 안테나 포트에 할당된 DMRS를 각각 송신할 필요가 있다.
그렇지만, 동일 PRB 페어에 있어서 복수의 안테나 포트로부터 DMRS를 송신할 경우에는, 각 안테나 포트의 송신 전력을 줄이지 않으면 안된다는 과제가 있다. 도 12는 안테나 포트와 DMRS와의 송신 전력 관계를 나타낸다. 도 12(a)는, PRB 페어 내의 모든 CCE(CCE0~CCE3)가 동일 단말(UE#0)에 할당되고, 안테나 포트 7(port7)만이 사용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12(b)는, PRB 페어 내의 모든 CCE(CCE0~CCE3)가 다른 단말(UE#0~UE#3)에 각각 할당되고, 안테나 포트 7, 8, 9, 10이 각각 사용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12(a) 및 도 12(b)에서는 전(全) 안테나 포트의 총송신 전력을 일정하다고 한다.
도 12(a)에 나타내는 것처럼, 안테나 포트 7만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 12(b)에 나타내는 안테나 포트 7, 8, 9, 10을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해서, 안테나 포트(port7) 당 DMRS의 송신 전력을 4배로 해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동일 PRB 페어 내에서는, 단말수가 적을수록, 사용되는 안테나 포트수가 보다 적게 되어, 파워 부스팅에 의한 송신 전력 증가가 가능하게 된다.
DMRS의 수신 품질은, 채널 추정 정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매우 중요하고, DMRS의 송신 전력을 증가시키는 것은, ePDCCH의 수신 품질 향상에 대해서 효과적이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ePDCCH에 대해서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을 적용할 때, 기지국(100)의 설정부(102)는, 단말(200)에 설정된 복수 CC의 ePDCCH의 서치 스페이스(CCE)를 동일 PRB 페어 내에 우선적으로 설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설정부(102)는, 단말(200)에 설정된 PCell 내의 PDSCH 영역에 포함되는 복수의 PRB 페어 중, 동일 PRB 페어 내에 PCell용의 ePDCCH의 서치 스페이스 및 SCell용의 ePDCCH의 서치 스페이스를 설정한다. 그 때, 설정부(102)는, 상기 동일 PRB 페어 내의 다른 CCE(eREG)를, PCell용의 ePDCCH의 서치 스페이스 및 SCell용의 ePDCCH의 서치 스페이스로 각각 설정한다.
또, 설정부(102)는, 복수 CC의 ePDCCH의 서치 스페이스를 동일 PRB 페어 내에 설정할 경우, 각 CC의 ePDCCH의 참조 신호로서 동일 안테나 포트에 할당되는 DMRS를 설정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시의 서치 스페이스 설정예로서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로, 각 CC에 설정된 CIF 번호를 이용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구체적으로는, 설정부(102)는, 동일 PRB 페어 내에 있어서, PCell의 서치 스페이스로 설정된 CCE를 순회 쉬프트 시킨 CCE(상기 PCell의 서치 스페이스로 설정된 CCE와는 다른 CCE)를, SCell의 서치 스페이스로 설정한다. 이 때, 설정부(102)는, 순회 쉬프트량으로서 각 SCell에 설정된 CIF 번호를 이용한다. 즉, 설정부(102)는, 기본이 되는 CC(여기에서는 PCell)의 서치 스페이스로서 설정된 CCE와 동일한 PRB 페어 내에 있어서, PCell의 CCE를 각 SCell에 설정된 CIF 번호분만큼 순회 쉬프트시킨 CCE를, 해당 CIF 번호의 SCell의 서치 스페이스로 설정한다.
또, 설정부(102)는, 순회 쉬프트량에 상당하는 CIF 번호(CIF=0, 1, 2, …라고 함)가 PRB 페어를 구성하는 CCE수이상일 경우, PCell의 서치 스페이스가 설정된 CCE가 속하는 PRB 페어에 인접하는 다른 PRB 페어 내의 CCE를, 해당 CIF 번호의 SCell의 서치 스페이스로 설정한다. 즉, 설정부(102)는, PRB 페어가 구성하는 CCE수이상인 CIF 번호에 대응하는 SCell의 서치 스페이스를, PCell의 서치 스페이스가 설정된 PRB 페어에 인접하는 PRB 페어 내의 CCE로 쉬프트 한다.
예를 들면, 설정부(102)는, 수학식 (2)와 수학식 (3)에 따라, SCell의 서치 스페이스를 설정한다. 또한, 식 (2)는 서치 스페이스가 설정되는 CCE가 배치되는 eREG의 번호(eREG 번호)를 나타내고, 식 (3)은 서치 스페이스가 설정되는 PRB 페어의 번호(RB번호)를 나타낸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eREG 번호는, 1 PRB 페어 내에서 부여되는 번호로서 정의하고, eREG 사이즈는, 1 PRB 페어당 eREG 분할수로 한다. 따라서, eREG 분할수가 K인 경우, eREG 번호는#0~#(K-1)이 된다.
Figure 112013106429268-pct00002
Figure 112013106429268-pct00003
식 (2) 및 식 (3)에 있어서, nCL은 CIF 번호를 나타내고(nCL=0, 1, 2,…), NRB, nCL은 CIF 번호가 nCL인 CC의 서치 스페이스의 RB번호를 나타내고, NRB , 0는 기본이 되는 CC인 PCell(nCL=0)의 서치 스페이스의 RB번호를 나타내고, NRBG ,0은 PCell(nCL=0)의 서치 스페이스가 설정된 RBG 번호를 나타내고, NeREG ,0은 PCell(nCL=0)의 서치 스페이스가 설정된 eREG 번호를 나타내고, NeREG , nCL은 CIF 번호가 nCL인 CC의 서치 스페이스가 설정된 eREG 번호를 나타낸다. 또, eREGsize는 1 PRB 페어당의 eREG의 분할수이고, 여기에서는 1 PRB 페어당 CCE수(CCE 분할수)와 동일한 수라고 한다. 또, 함수 floor(x)는, 수치 x의 소수점 이하를 잘라 버린 값을 되돌리는 함수를 나타내고, 연산자 mod는 모듈로 연산을 나타낸다.
이것에 의해,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시의 각 CC의 서치 스페이스는, PCell의 서치 스페이스로 설정된 CCE가 속하는 PRB 페어 내에 있어서, 그 CCE에 대응하는 eREG를 CIF 번호분만큼 순회 쉬프트시킨 다른 eREG에 각각 설정된다. 또, CIF 번호가 1 PRB 페어를 구성하는 CCE수(eREG 분할수) 이상일 경우에는, 해당 CIF 번호의 SCell의 서치 스페이스는, PCell의 서치 스페이스가 설정된 PRB 페어에 인접하는 PRB 페어 내의 CCE(eREG)에 설정된다.
도 13은, 단말(200)에 대해서 PCell과 2개의 SCell이 설정되었을 경우의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시에 있어서의 서치 스페이스 설정예를 나타낸다. 또한, 도 13에 나타내는 3개의 도면은 어느 것도 PCell의 하향 회선으로 송신되는 신호가 배치되는 리소스(즉, 동일 리소스)를 나타내고 있다. 즉, 도 13은, 설명의 편의상, 1개의 CC(PCell) 내에 설정되는, 3개의 CC의 서치 스페이스를 CC별로 각각 나누어 나타내고 있다.
도 13에서는, 한쪽 SCell의 CIF 번호를 1이라 하고(CIF=1), 다른쪽 SCell의 CIF 번호를 4라고 한다(CIF=4). 또, 도 13에서는, 어그리게이션 레벨을 1이라고 한다. 또, 도 13에서는, 1 PRB 페어당 eREG수(eREG 분할수)를 4라고 한다(eREGsize=4). 또, 도 13에 나타내는 것처럼, PCell(CIF=0)의 서치 스페이스는, RB#1에 속하는 eREG#0(CCE0), RB#4에 속하는 eREG#1(CCE5), RB#7에 속하는 eREG#2(CCE10), 및, RB#10에 속하는 eREG#3(CCE15)에 설정되어 있다.
우선, CIF=1(eREG 분할수 4 미만)의 SCell에 대해 설명한다. 도 13에 나타내는 것처럼, 설정부(102)는, PCell의 서치 스페이스가 설정된 RB#1내의 eREG#0을 CIF 번호분(즉, 1 eREG)만큼 순회 쉬프트 시킨 RB#1내의 eREG#1(CCE0)을, CIF=1의 SCell의 서치 스페이스로 설정한다. 마찬가지로, 도 13에 나타내는 것처럼, 설정부(102)는, PCell의 서치 스페이스가 설정된 RB#4내의 eREG#1을 1 eREG만큼 순회 쉬프트 시킨 RB#4내의 eREG#2(CCE5)를, CIF=1의 SCell의 서치 스페이스로 설정한다. 도 13에 나타내는 PCell의 서치 스페이스가 설정된 다른 PRB 페어(RB#7 및 RB#10)에 대한 SCell의 서치 스페이스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도 13에 나타내는 것처럼, PCell의 서치 스페이스로 설정된 CCE(eREG)와 CIF=1의 SCell의 서치 스페이스로 설정된 CCE(eREG)는, 동일 PRB 페어(RB#1, RB#4, RB#7 및 RB#10) 내에 설정된다. 그래서, 설정부(102)는, PCell용 ePDCCH 및 CIF=1의 SCell에 대해서, 동일 안테나 포트에 할당된 DMRS를 설정한다. 즉, PCell의 서치 스페이스에서 송신되는 ePDCCH용의 DMRS에 할당되는 안테나 포트와, SCell의 서치 스페이스에서 송신되는 ePDCCH용의 DMRS에 할당되는 안테나 포트는 동일한 것이 된다.
또, 도 13에 나타내는 것처럼, PCell의 서치 스페이스와 CIF=1의 SCell의 서치 스페이스 CCE는, 동일 PRB 페어(RB#1, RB#4, RB#7 및 RB#10) 내의 서로 다른 CCE(eREG)에 설정된다.
그 다음에, CIF=4(eREG 분할수 4이상)의 SCell에 대해 설명한다. 도 13에 나타내는 것처럼, 설정부(102)는, CIF=4의 SCell의 서치 스페이스 설정 시, PCell의 서치 스페이스가 설정된 RB#1내의 eREG#0을 CIF 번호분 (즉, 4 eREG)만큼 순회 쉬프트시킨다. 단, CIF 번호(=4)는 eREG 사이즈(eREGsize=4) 이상이므로, 설정부(102)는, PCell의 서치 스페이스가 설정된 RB#1에 인접하는 RBG#2내에, CIF=4의 SCell의 서치 스페이스를 설정한다. 즉, 설정부(102)는, RB#2내의 eREG#0(CCE0)을, CIF=4의 SCell의 서치 스페이스로 설정한다. 마찬가지로, 도 13에 나타내는 것처럼, 설정부(102)는, PCell의 서치 스페이스가 설정된 RB#4내의 eREG#1을 4 eREG만큼 쉬프트시킨 RB#5내의 eREG#1(CCE5)을, CIF=4의 SCell의 서치 스페이스로 설정한다. 도 13에 나타내는 PCell의 서치 스페이스가 설정된 다른 PRB 페어(RB#7 및 RB#10)에 대한 SCell의 서치 스페이스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한편, 단말(200)의 설정부(205)는, 설정부(102)와 동일하게 하여, 단말(200)에 설정된 각 CC의 서치 스페이스를 특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설정부(205)는, 우선, PCell의 서치 스페이스로 설정된 PRB 페어 및 eREG에 관한 정보를 기지국(100)으로부터 취득한다. 그 다음에, 설정부(205)는, PCell의 서치 스페이스로 설정된 PRB 페어 내에 있어서, PCell의 서치 스페이스가 설정된 eREG를 각 SCell에 설정된 CIF 번호분만큼 순회 쉬프트 시킨 eREG를, 해당 CIF 번호의 SCell의 서치 스페이스로 설정한다. 또, 설정부(205)는, CIF 번호가 eREG 사이즈 이상일 경우에는, PCell의 서치 스페이스로 설정된 PRB 페어에 인접한 PRB 페어 내의 eREG에, 해당 CIF 번호의 SCell의 서치 스페이스를 설정한다. 예를 들면, 설정부(205)는, PCell의 서치 스페이스로 설정된 RB, eREG 및, 미리 보유하고 있는 계산식(식 (2) 및 식 (3)) 에 기초하여, SCell의 서치 스페이스를 설정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기지국(100) 및 단말(200)은, 복수의 CC를 이용해서 단말(200)과 통신을 행할 때, PCell 내의 PDSCH 영역에 포함되는, 복수의 CCE로부터 각각이 구성되는 복수의 PRB 페어 중의 동일한 PRB 페어 내에, PCell용의 제어 정보를 할당하는 후보인 서치 스페이스와, SCell(PCell 이외의 CC) 용의 제어 정보를 할당하는 후보인 서치 스페이스를 설정한다.
이와 같이 하여, 단말(200)에 설정된 복수 CC의 ePDCCH의 서치 스페이스가 동일 PRB 페어 내에 우선적으로 설정됨으로써, 보다 적은 안테나 포트를 이용하여 DMRS를 송신할 수 있다(예를 들면 도 12(a)참조). 이렇게 함으로써, 1개의 단말(200)에 대해서, 파워 부스팅에 의해 DMRS의 송신 전력을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에, ePDCCH의 채널 추정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로, 기지국(100) 및 단말(200)은, 각 CC의 ePDCCH의 서치 스페이스로서, 동일 PRB 페어 내의 다른 eREG를 각각 설정하므로, 각 CC의 ePDCCH간에서의 블로킹 발생 확률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로, 서치 스페이스 설정 시, PCell의 서치 스페이스로부터의 순회 쉬프트량을 결정하는 파라미터로서 기존의 파라미터인 각 CC의 CIF 번호를 이용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서치 스페이스 설정을 위한 파라미터를 새로이 사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서치 스페이스의 설정에 필요하게 되는 비트수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CIF 번호가 eREG 분할수(CCE 분할수) 이상일 경우, 해당 CIF 번호의 SCell의 서치 스페이스를, PCell의 서치 스페이스가 설정된 PRB 페어에 인접한 PRB 페어 내의 eREG로 쉬프트 시킨다. 이것에 의해,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로, 해당 SCell의 서치 스페이스를, PCell의 서치 스페이스와 비교적 동일한 회선 품질이 예상되는 리소스에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말(200)에 설정되는 복수의 CC에 대응하는 서치 스페이스를, 회선 품질이 비슷한 정도인 리소스에 설정함으로써, 각 CC에 있어서 선택되는 어그리게이션 레벨 및 송신 방법(예를 들면 송신 다이버시티의 유무) 등을 CC간에서 가지런히 할 수가 있으므로, 기지국(100)의 스케줄링 처리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3에 나타내는 것처럼, 각 CC의 서치 스페이스에 대응하는 CCE 번호(CCE0~CCE15)를 변경시키지 않고, eREG 번호 및 RB번호와 CCE 번호와의 대응 관계를 CC마다 변경시켰다. 그러나, 도 14에 나타내는 것처럼, CCE 번호와 eREG 번호와의 관계를 변경시키지 않고, SCell의 서치 스페이스로 설정하는 CCE의 CCE 번호를 순회 쉬프트시켜서, SCell의 서치 스페이스를 설정해도 괜찮다. 즉, 도 13에서는, 각 CC의 서치 스페이스로 설정되는 CCE는, 어느 CC에 있어서도 CCE0, CCE5, CCE10, CCE15이다. 이것에 비해서, 도 14에서는, 각 PRB 페어(RB번호)의 eREG 번호와 CCE 번호와의 대응 관계는 변하지 않고, 각 CC의 서치 스페이스로 설정되는 CCE의 CCE 번호가 CC마다 다르다.
[실시 형태 3]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실시 형태 1의 동작(PRB 페어 단위의 서치 스페이스 설정)과 실시 형태 2의 동작(CCE 단위의 서치 스페이스 설정)을 전환시키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기지국 및 단말은, 실시 형태 1에 따른 기지국(100) 및 단말(200)과 기본 구성이 공통되므로, 도 8, 9를 원용해서 설명한다.
구체적으로는, 기지국(100)의 설정부(102)는,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시에 있어서, 단말(200)에 설정된 복수의 CC의 ePDCCH 중, 동일 어그리게이션 레벨이면서 동일 할당 방법(localized 할당 및 distributed 할당)의 ePDCCH를, PCell의 1 PRB 페어 내에(중복하지 않음) 복수 배치할 수 있는지 없는지를 판단한다. 설정부(102)는, 상기 판단에 있어서 배치 가능할 경우에는 실시 형태 2의 동작을 적용하고, 배치할 수 없는 경우에는 실시 형태 1의 동작을 적용한다.
즉, 설정부(102)는, PCell의 서치 스페이스와 SCell의 서치 스페이스를 동일 PRB 페어 내의 다른 CCE(eREG)에 각각 설정할 수 있는 경우, 실시 형태 2와 마찬가지로, PCell 내의 PDSCH에 포함되는 복수의 PRB 페어 중, 동일 PRB 페어 내의 다른 CCE를, PCell의 서치 스페이스 및 SCell의 서치 스페이스로 각각 설정한다.
한편, 설정부(102)는, PCell의 서치 스페이스와 SCell의 서치 스페이스를 동일 PRB 페어 내의 다른 CCE(eREG)에 각각 설정할 수 없는 경우,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로, PCell 내의 PDSCH 영역에 포함되는 복수의 RBG 중, 동일 RBG 내의 다른 PRB 페어를, PCell의 서치 스페이스 및 SCell의 서치 스페이스로 각각 설정한다.
다시 말하면, 설정부(102)는, 상기 판단의 결과에 따라, 서치 스페이스의 설정 단위(할당 단위)를 PRB 페어(실시 형태 1)와 CCE(실시 형태 2)에서 전환하고, 각 CC의 서치 스페이스를 우선적으로 설정하는 범위(할당 단위군)를 RBG(실시 형태 1)와 PRB 페어(실시 형태 2)에서 전환한다.
여기서, 동일 어그리게이션 레벨이면서 동일 할당 방법의 ePDCCH를 1 PRB 페어 내에 복수 배치할 수 있는지 없는지를 판단하는 조건의 일례로서 조건 1(localized 할당), 및 조건 2(distributed 할당)에 대해 설명한다.
조건 1 : 로컬라이즈드(localized) 할당에 있어서, 어그리게이션 레벨이, 1 PRB 페어당 CCE 분할수의 절반(半)수 이하인지 여부.
예를 들면, 1 PRB 페어당 CCE 분할수가 4인 경우, 어그리게이션 레벨이 2 (1 PRB 페어당 CCE 분할수÷2) 이하 (여기에서는 Aggregation level 1, 2)이면, 동일 PRB 페어 내에 복수의 ePDCCH를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설정부(102)는, 실시 형태 2의 동작을 적용한다.
한편, 1 PRB 페어당 CCE 분할수가 4인 경우, 어그리게이션 레벨이 2(1 PRB 페어당 CCE 분할수÷2)보다 크면 (여기에서는 Aggregation level 4), 동일 PRB 페어 내의 CCE에 1개의 ePDCCH만이 배치되고, 복수의 ePDCCH를 배치할 수 없다. 따라서, 설정부(102)는, 실시 형태 1의 동작을 적용한다.
조건 2 : 디스트리뷰디드(distributed) 할당에 있어서, 1 PRB 페어당 서치 스페이스로 설정되는 CCE수가 1 PRB 페어당 CCE 분할수 이하인지 여부.
예를 들면, 1 PRB 페어당 CCE 분할수가 4인 경우, 디스트리뷰티드 할당에 있어서, 1 PRB 페어당 ePDCCH의 서치 스페이스로 설정되는 CCE수가 2(1 PRB 페어당 CCE 분할수÷2) 이하이면, 동일 PRB 페어 내에 복수의 ePDCCH를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설정부(102)는 실시 형태 2의 동작을 적용한다.
한편, 1 PRB 페어당 CCE 분할수가 4인 경우, 디스트리뷰티드 할당에 있어서, 1 PRB 페어당 ePDCCH의 서치 스페이스로 설정되는 CCE수가 2보다 많으면, 동일 PRB 페어 내에 복수의 ePDCCH를 배치할 수 없다. 따라서, 설정부(102)는, 실시 형태 1의 동작을 적용한다.
이와 같이, 설정부(102)는, 조건((1) 또는 (2))에 따라, 서치 스페이스 설정 방법을 전환하여 적용하므로, 조건에 따라 서치 스페이스로 설정되는 리소스가 다르다.
도 15는, 실시 형태 1의 동작을 적용했을 경우의 서치 스페이스 설정, 및, 실시 형태 2의 동작을 적용했을 경우의 서치 스페이스 설정예를 나타낸다. 즉, 도 15에 나타내는 2개의 도면은 어느 쪽도 PCell의 하향 회선에서 송신되는 신호가 배치되는 리소스(즉, 동일 리소스)를 나타내고 있다. 즉, 도 15는, 설명의 편의상, 1개의 CC(PCell) 내에 설정되는, 2개의 CC의 서치 스페이스를 CC별로 각각 나누어 나타내고 있다.
도 15에서는, 1 PRB 페어당 CCE 분할수를 4로 하고, 어그리게이션 레벨을 4로 한다. 또, 도 15에서는, PCell에는, 로컬라이즈드(localized) 할당용 서치 스페이스(4CCE)가 RB#1, RB#4, RB#7, RB#10에 각각 설정되고, 디스트리뷰티드(distributed) 할당용 서치 스페이스가 RB#1, RB#4, RB#7, RB#10 내의 각각 1개의 eREG(사선으로 나타냄)에 설정된다. 또, SCell의 CIF 번호를 1(CIF=1)이라 한다.
즉, 도 15에서는, 로컬라이즈드 할당에 있어서, 어그리게이션 레벨(=4)이 2(1 PRB 페어당 CCE 분할수÷2)보다 크기 때문에, 설정부(102)는, 로컬라이즈드 할당용의 서치 스페이스 설정에 대해서, 실시 형태 1의 동작을 적용한다. 즉, 설정부(102)는, PCell의 서치 스페이스로서 설정된 PRB 페어와 동일한 RBG내에 있어서, PCell의 PRB 페어를 SCell에 설정된 CIF 번호(CIF=1)분만큼 순회 쉬프트시킨 PRB 페어를, SCell의 서치 스페이스로 설정한다.
한편, 도 15에서는, 디스트리뷰티드 할당에 있어서, 1 PRB 페어당 서치 스페이스로 설정되는 CCE수(=1 CCE)가 (CCE 분할수÷2) 이하이므로, 설정부(102)는, 디스트리뷰티드 할당용의 서치 스페이스 설정에 대해서, 실시 형태 2의 동작을 적용한다. 즉, 설정부(102)는, PCell의 서치 스페이스로서 설정된 eREG와 동일한 PRB 페어 내에 있어서, PCell의 eREG를 SCell에 설정된 CIF 번호(CIF=1) 분만큼 순회 쉬프트 시킨 eREG를, SCell의 서치 스페이스로 설정한다.
이와 같이, 도 15에 나타내는 것처럼, CIF=1의 SCell의 서치 스페이스는, 로컬라이즈드 할당용과 디스트리뷰티드 할당용에서 다른 RB에 설정된다.
또한, 단말(200)의 설정부(205)는, 상술한 설정부(102)와 동일한 처리를 행하여, 서치 스페이스를 설정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기지국(100) 및 단말(200)은, 서치 스페이스 설정에 있어서, 단말(200)에 설정된 복수의 CC의 ePDCCH를, 1 PRB 페어 내에(중복하지 않게) 배치할 수 있는지 없는지 라는 조건에 따라, 실시 형태 1의 동작과 실시 형태 2의 동작을 전환한다.
이것에 의해, 복수 CC의 ePDCCH를 1 PRB 페어 내에 중복되지 않게 배치할 수 있는 경우에는, 동일 PRB 페어 내의 서로 다른 CCE(eREG)에 각 CC의 서치 스페이스를 설정함으로써, 동일 어그리게이션 레벨의 ePDCCH간에서의 블로킹 발생 확률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 실시 형태 2에서 설명한 것처럼, 동일 PRB 페어 내에 복수 CC의 서치 스페이스를 설정함으로써, 동일 안테나 포트를 할당할 수가 있어, DMRS의 송신 전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 복수 CC의 ePDCCH를 1 PRB 페어 내에 중복되지 않게 배치할 수 없는 경우에는, 동일 RBG 내의 서로 다른 PRB 페어에 각 CC의 서치 스페이스를 설정함으로써, 동일 어그리게이션 레벨의 ePDCCH간에서의 블로킹 발생 확률을 저감시킬 수 있다.
여기서, 1개의 단말(200)에 대해서 복수의 CC가 설정되는 경우, 동일한 채널에서 제어 신호가 송신된다. 이 때문에, DL 그랜트 간 또는 UL 그랜트 간에서는 동일한 어그리게이션 레벨 및 동일한 송신 방법(할당 방법)이 설정되어, ePDCCH가 송신될 확률이 높아진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와 같이, 동일 어그리게이션 레벨의 ePDCCH간에서의 블로킹 발생 확률을 저감시키는 것은, 시스템 운용상의 블로킹 확률을 저감시키는 일에 효과적이다.
이상, 본 발명의 각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했다.
[다른 실시 형태]
[1]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PCell의 서치 스페이스를 기준으로 하여 SCell의 서치 스페이스를 설정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다. 그러나, LTE-어드밴스드에서는, 어느 SCell로부터 다른 SCell로의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도 서포트되고 있다. 이 경우, 상기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기준 서치 스페이스로서 이용한 PCell의 서치 스페이스에 관한 파라미터 대신에,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 원(元)(다른 CC의 서치 스페이스가 설정되는 CC)에 대응하는 SCell의 서치 스페이스에 관한 파라미터를 이용하면 된다. 또는, 상기 각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PCell에 관한 파라미터를 그대로 적용하여,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원의 SCell에 대해서도, 다른 SCell와 동일한 서치 스페이스 설정 처리를 적용해도 좋다.
[2] LTE-어드밴스드에서는, 단말이 접속해 있는 기지국(송신 포인트/수신 포인트라고도 불림)에 있어서, 하향 회선 데이터(PDSCH)를 PCell에 할당하고, 상향 회선 데이터(PUSCH)를 SCell에 할당하는 등, 하향 회선과 상향 회선에서 다른 운용을 적용하는 일도 검토되고 있다. 이러한 운용의 경우,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을 적용하여, 예를 들면, UL 그랜트(grant)를 어느 CC(예를 들면 PCell)로부터 송신하고, 상향 회선 데이터를 다른 CC(예를 들면 SCell)로부터 송신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상기 각 실시 형태를 적용함으로써, 이러한 운용에 있어서도 ePDCCH를 이용한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을 적절하게 행할 수 있다.
[3] 상기 각 실시 형태는 CoMP(Coordinated Multi Point transmission and reception)의 운용에도 적용할 수 있다. CoMP란, 복수의 기지국 또는 송수신 포인트(Transmission Point 또는 Reception Point)에서 동시에 신호를 송수신하거나, 순간적으로 송수신 포인트를 전환시키거나 하는 운용이다. 즉, CoMP 운용에 있어서의 복수의 기지국 또는 송수신 포인트를,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CC(PCell 및 SCell)와 동일하게 취급하면 된다. 보다 상세한 것은,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CC(PCell 및 SCell)의 각각을, CoMP 운용에 있어서의 각 기지국(또는 송수신 포인트)에 대체시켜, 상기 각 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하여, 각 기지국용 제어 신호가 할당되는 서치 스페이스를 각각 설정하면 된다. 예를 들면, 상기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PCell을 제 1 기지국에 의해 이용되는 대역으로서 대체시키고, 상기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SCell을 상기 제 1 기지국과는 다른 제 2 기지국에 의해 이용되는 대역으로서 대체시키면 된다. 이것에 의해, 동일 주파수(특정 1개의 기지국 또는 송수신 포인트에 설정된 주파수)에 있어서, 복수의 기지국 또는 송수신 포인트용의 제어 신호를, 다른 서치 스페이스에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향 회선에 있어서, UL 그랜트를 어느 기지국(수신 품질이 양호한 기지국. 예를 들면 매크로 셀)의 대역에 할당하고, 상향 회선 데이터(PUSCH)를 다른 기지국(단말 부근에 위치하는 기지국. 예를 들면 피코 셀)의 대역에 할당해도 좋다.
[4] DL 그랜트용 서치 스페이스로서, 송신 모드에 따라 결정되는 하향 회선용 DCI 포맷(format)별로 서치 스페이스를 설정해도 좋다. 예를 들면, LTE-어드밴스드에서는, 하향 회선용의 서치 스페이스로서 1 CC당 2개의 서치 스페이스를 설정할 필요가 있다. 기지국(100) 및 단말(200)은, 이 2개의 서치 스페이스에 대해서도, 상기 각 실시 형태와 동일한 방법(예를 들면 순회 쉬프트 패턴에 기초한 방법)을 이용해서, 각 서치 스페이스를 설정하면 된다(도 16 참조).
단, DCI 포맷(format) 0(UL grant용)과 DCI 포맷 1A(DL grant용)는 동일 사이즈이며, 동시에 블라인드 복호할 수 있다. 그래서, 기지국(100)은, UL 그랜트용 서치 스페이스로서 DCI 포맷 4/DCI 포맷 0/DCI 포맷 1A용의 서치 스페이스를 설정하고, DL 그랜트용 서치 스페이스로서 송신 모드에 의존하는 하향 회선용 DCI 포맷용 서치 스페이스를 설정해도 좋다.
또, DCI 포맷 1A는, 송신 모드에 의해 결정되는 하향 회선용 DCI 포맷 등의 비트수가 많은 DCI 포맷을 이용해서 통신할 수 없는 경우등에 사용되기 때문에, DCI 포맷 1A의 사용 빈도는 낮다. 따라서, DCI 포맷 1A의 서치 스페이스는, UL 그랜트(DCI format 0)와 동일한 서치 스페이스로 설정되고, 동일 PRB 페어에서 UL 그랜트와 DL 어사인먼트를 동시에 송신할 수 없어도 그다지 문제는 아니다. 또, DCI 포맷 4는, 상향 회선의 송신 모드에 따라 사용하는지 않는지가 바뀌므로, 단말(200)은, 사용할 경우에만 블라인드 복호해도 된다.
이상과 같이 1 CC당 소정수의 서치 스페이스를 설정하고, 또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을 행하는 경우, 수학식 (1) 또는 수학식 (2), (3)에 있어서의 nCL을, nCL*(소정수)로 대체함으로써, 상기 각 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6에 나타내는 것처럼, 기지국(100) 및 단말(200)은, 1 CC당 2개의 서치 스페이스(DL grant용 서치 스페이스 및 UL grant용 서치 스페이스)를 설정하고, 또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을 행하는 경우, 수학식 (1) 또는 수학식 (2), (3)의 nCL을, nCL*2로 대체시켜 운용할 수 있다. 즉, 기지국(100) 및 단말(200)은, PCell 및 SCell의 각각에 있어서, 제어 정보의 포맷마다 소정수(도 16에서는 2개)의 다른 서치 스페이스가 설정되는 경우, 동일 RBG내에 있어서, PCell의 서치 스페이스로 설정된 PRB 페어를, CIF 번호(도 16에서는 CIF=1)를 소정수배(倍)한 값(도 16에서는2=(1*2)) 분만큼 순회 쉬프트시킨 PRB 페어를, SCell의 서치 스페이스로 설정한다.
[5]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CCE를 PRB 페어의 분할 단위로서 설명을 했지만, CCE를 더욱 분할한 것을 PRB 페어의 분할 단위로 하고, 해당 분할 단위에 대해서, 상기 각 실시 형태를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CCE를 더 분할한 단위를 eREG(또는, 간단하게 'REG'라고 불리는 일도 있음)라고 정의하고, eREG 단위에 대해서, 상기 각 실시 형태를 적용해도 좋다. 예를 들면, 기지국(100) 및 단말(200)은, PCell 내의 PDSCH 영역에 포함되는 복수의 CCE 중에서, 동일 CCE내의 다른 eREG를, PCell의 서치 스페이스 및 SCell의 서치 스페이스로 설정해도 좋다.
[6] 또, 상기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순회 쉬프트량을 결정하는 파라미터로서 이용한 값은, CIF 번호에 한하지 않고, 기지국(100)과 단말(200) 사이에서 공유하고 있는 다른 식별 번호라도 된다.
[7] 상기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안테나 포트란, 1개 또는 복수의 물리 안테나로 구성되는, 논리적인 안테나를 가리킨다. 즉, 안테나 포트는 반드시 1개의 물리 안테나를 가리키는 것은 아니고, 복수의 안테나로 구성되는 어레이 안테나 등을 가리키는 일이 있다.
예를 들면 3GPP LTE에 있어서는, 안테나 포트가 몇개의 물리 안테나로 구성되는지는 규정되지 않고, 기지국이 다른 참조 신호 (Reference signal)를 송신할 수 있는 최소단위로서 규정되어 있다.
또, 안테나 포트는 프리코딩 벡터(Precoding vector)의 가중치를 곱셈하는 최소단위로서 규정되는 일도 있다.
[8]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본 발명을 하드웨어에서 구성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하드웨어와의 제휴에 있어서 소프트웨어에서도 실현할 수도 있다.
또, 상기 각 실시 형태의 설명에 이용한 각 기능 블록은, 전형적으로는 집적회로인 LSI로서 실현된다. 이들은 개별적으로 1칩화되어도 좋고, 일부 또는 모두를 포함하도록 1칩화되어도 좋다. 여기에서는, LSI라고 했지만, 집적도의 차이에 의해, IC, 시스템 LSI, 슈퍼 LSI, 울트라 LSI라고 호칭되는 일도 있다.
또, 집적회로화의 수법은 LSI에 한하는 것은 아니고, 전용 회로 또는 범용 프로세서로 실현해도 좋다. LSI 제조 후에, 프로그램하는 것이 가능한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LSI 내부의 회로 셀의 접속 혹은 설정을 재구성 가능한 리컨피규러블 프로세서를 이용해도 좋다.
또, 반도체 기술의 진보 또는 파생하는 별개의 기술에 의해 LSI에 대체되는 집적회로화의 기술이 등장하면, 당연히, 그 기술을 이용해서 기능 블록의 집적화를 행해도 좋다. 바이오 기술의 적용 등이 가능성으로서 있을 수 있다.
본 개시의 송신 장치는, 복수의 컴포넌트 캐리어(CC:Component Carrier)를 이용해서 통신을 행할 때, 제 1 CC 내의 데이터 할당 가능 영역에 포함되는 복수의 할당 단위군 중 동일한 할당 단위군 내에, 상기 제 1CC용 제어 정보를 할당하는 후보인 제 1 서치 스페이스와, 상기 복수의 CC 중 상기 제 1CC 이외의 제 2CC용 제어 정보를 할당하는 후보인 제 2 서치 스페이스를 설정하는 설정 수단과, 상기 제 1 서치 스페이스 및 상기 제 2 서치 스페이스 각각에 매핑된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구비하는 구성을 취한다.
본 개시의 송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설정 수단은, 상기 동일한 할당 단위군 내의 다른 할당 단위를, 상기 제 1 서치 스페이스 및 상기 제 2 서치 스페이스에 각각 설정한다.
본 개시의 송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할당 단위는 물리 리소스 블록(PRB:Physical Resource Block) 페어이며, 상기 할당 단위군은 리소스 블록 그룹(RBG:Resource Block Group) 또는 서브밴드이며, 상기 설정 수단은, 상기 제 1CC 내의 데이터 할당 가능 영역에 포함되는 복수의 RBG 중, 동일 RBG내 또는 동일 서브 밴드 내의 다른 PRB 페어를, 상기 제 1 서치 스페이스 및 상기 제 2 서치 스페이스로 각각 설정한다.
본 개시의 송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설정 수단은, 상기 동일 RBG 또는 상기 동일 서브밴드내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치 스페이스로 설정된 제 1 PRB 페어를 순회 쉬프트 시킨, 상기 제 1 PRB 페어와는 다른 제 2 PRB 페어를, 상기 제 2 서치 스페이스로 설정한다.
본 개시의 송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순회 쉬프트의 양(量)은, 상기 제 2 CC에 설정된 CIF(Carrier Indication Field)의 값이다.
본 개시의 송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설정 수단은, 상기 순회 쉬프트의 양이 RBG를 구성하는 PRB 페어수 이상일 경우, 상기 제 1 PRB 페어가 속하는 RBG에 인접한 다른 RBG 내의 제3 PRB 페어를, 상기 제 2 서치 스페이스로 설정한다.
본 개시의 송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설정 수단은, 상기 동일 RBG보다 우선적으로, 상기 동일 서브 밴드내에 있어서, 상기 제 1 PRB 페어를 순회 쉬프트시킨 상기 제 2 PRB 페어를 상기 제 2 서치 스페이스로 설정한다.
본 개시의 송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설정 수단은, 상기 동일 RBG내에, PRB 번들링 단위인 복수의 PRG(Precoding Resource block Group)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PRG 중, 상기 제 1 PRB 페어가 포함되는 PRG내의 PRB 페어를 우선해서, 상기 제 2 서치 스페이스로 설정한다.
본 개시의 송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RBG를 구성하는 PRB 페어수가 4개일 경우, 상기 PRG를 구성하는 PRB 페어수가 2개이고, 상기 설정 수단은, 상기 동일 PRG를 구성하는 2개의 PRB 페어 중 한쪽의 PRB 페어를 상기 제 1 서치 스페이스로 설정하고, 다른쪽의 PRB 페어를 상기 제 2 서치 스페이스로 설정한다.
본 개시의 송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할당 단위는 제어 채널 요소(CCE:Control Channel Element)이고, 상기 할당 단위군은 물리 리소스 블록(PRB:Physical Resource Block) 페어이며, 상기 설정 수단은, 상기 제 1 CC 내의 데이터 할당 가능 영역에 포함되는 복수의 PRB 페어 중, 동일 PRB 페어 내의 다른 CCE를, 상기 제 1 서치 스페이스 및 상기 제 2 서치 스페이스로 각각 설정한다.
본 개시의 송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설정 수단은, 상기 동일 PRB 페어 내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치 스페이스로 설정된 제 1 CCE를 순회 쉬프트시킨, 상기 제 1 CCE와는 다른 제 2 CCE를, 상기 제 2 서치 스페이스로 설정한다.
본 개시의 송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순회 쉬프트의 양은, 상기 제 2 CC에 설정된 CIF(Carrier Indication Field)의 값이다.
본 개시의 송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설정 수단은, 상기 순회 쉬프트의 양이 PRB 페어를 구성하는 CCE수 이상일 경우, 상기 제 1 CCE가 속하는 PRB 페어에 인접한 다른 PRB 페어 내의 제3 CCE를, 상기 제 2 서치 스페이스로 설정한다.
본 개시의 송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치 스페이스에서 송신되는 제어 정보용 참조 신호에 할당되는 안테나 포트와, 상기 제 2 서치 스페이스에서 송신되는 제어 정보용 참조 신호에 할당되는 안테나 포트는 동일하다.
본 개시의 송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설정 수단은, 상기 제 1 서치 스페이스와 상기 제 2 서치 스페이스를 상기 동일 PRB 페어 내의 다른 CCE에 각각 설정할 수 없는 경우, 상기 할당 단위를 물리 리소스 블록(PRB:Physical Resource Block) 페어로 하여, 상기 할당 단위군을 리소스 블록 그룹(RBG:Resource Block Group) 또는 서브밴드로서, 상기 제 1 CC 내의 데이터 할당 가능 영역에 포함되는 복수의 RBG 중, 동일 RBG내 또는 동일 서브밴드 내의 다른 PRB 페어를, 상기 제 1 서치 스페이스 및 상기 제 2 서치 스페이스로 각각 설정한다.
본 개시의 송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설정 수단은, 로컬라이즈드 할당에 있어서의 어그리게이션 레벨이 1개의 PRB 페어를 구성하는 CCE수의 절반수보다 큰 경우, 상기 제 1 서치 스페이스와 상기 제 2 서치 스페이스가 상기 동일한 PRB 페어 내의 다른 CCE에 각각 설정할 수 없다고 판단한다.
본 개시의 송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설정 수단은, 디스트리뷰티드 할당에 있어서, 1개의 PRB 페어당의 서치 스페이스로 설정되는 CCE수가, 1개의 PRB 페어를 구성하는 CCE수의 절반수보다 많은 경우, 상기 제 1 서치 스페이스와 상기 제 2 서치 스페이스가 상기 동일한 PRB 페어 내의 다른 CCE에 각각 설정할 수 없다고 판단한다.
본 개시의 송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CC는 프라이머리 셀이고, 상기 제 2 CC는 세컨더리 셀이다.
본 개시의 송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CC는 제 1 기지국에 의해 이용되는 대역이고, 상기 제 2 CC는 상기 제 1 기지국과는 다른 제 2 기지국에 의해 이용되는 대역이다.
본 개시의 송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CC 및 상기 제 2 CC의 각각에 있어서, 제어 정보의 포맷마다 소정수의 다른 서치 스페이스가 설정되는 경우, 상기 설정 수단은, 상기 동일 RBG 또는 상기 동일 서브밴드내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치 스페이스로 설정된 제 1 PRB 페어를, 상기 CIF의 값을 상기 소정수 배가 된 값만큼 순회 쉬프트시킨 상기 제 2 PRB 페어를, 상기 제 2 서치 스페이스로 설정한다.
본 개시의 송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할당 단위는 리소스 요소 그룹(REG:Resource Element Group)이고, 상기 할당 단위군은 제어 채널 요소(CCE:Control Channel Element)이며, 상기 설정 수단은, 상기 제 1 CC 내의 데이터 할당 가능 영역에 포함되는 복수의 CCE 중, 동일 CCE내의 다른 REG를, 상기 제 1 서치 스페이스 및 상기 제 2 서치 스페이스로 각각 설정한다.
본 개시의 수신 장치는, 복수의 컴포넌트 캐리어(CC:Component Carrier)를 이용해서 통신을 행할 때, 제 1 CC 내의 데이터 할당 가능 영역에 포함되는, 복수의 할당 단위군 중 동일한 할당 단위군 내에, 상기 제 1 CC용 제어 정보를 할당하는 후보인 제 1 서치 스페이스와, 상기 복수의 CC 중 상기 제 1 CC 이외의 제 2 CC용 제어 정보를 할당하는 후보인 제 2 서치 스페이스를 설정하는 설정 수단과, 상기 제 1 서치 스페이스 및 상기 제 2 서치 스페이스 각각에 매핑된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을 구비하는 구성을 취한다.
본 개시의 송신 방법은, 복수의 컴포넌트 캐리어(CC:Component Carrier)를 이용해서 통신을 행할 때, 제 1 CC 내의 데이터 할당 가능 영역에 포함되는, 복수의 할당 단위군 중 동일한 할당 단위군 내에, 상기 제 1 CC용 제어 정보를 할당하는 후보인 제 1 서치 스페이스와, 상기 복수의 CC 중 상기 제 1 CC 이외의 제 2 CC용 제어 정보를 할당하는 후보인 제 2 서치 스페이스를 설정하고, 상기 제 1 서치 스페이스 및 상기 제 2 서치 스페이스 각각에 매핑된 제어 정보를 송신한다.
본 개시의 수신 방법은, 복수의 컴포넌트 캐리어(CC:Component Carrier)를 이용해서 통신을 행할 때, 제 1 CC 내의 데이터 할당 가능 영역에 포함되는, 복수의 할당 단위군 중 동일한 할당 단위군 내에, 상기 제 1 CC용 제어 정보를 할당하는 후보인 제 1 서치 스페이스와, 상기 복수의 CC 중 상기 제 1 CC 이외의 제 2 CC용 제어 정보를 할당하는 후보인 제 2 서치 스페이스를 설정하고, 상기 제 1 서치 스페이스 및 상기 제 2 서치 스페이스 각각에 매핑된 제어 정보를 수신한다.
2012년 5월 9일에 출원한 특허출원 2012-107677의 일본 출원에 포함되는 명세서, 도면 및 요약서의 개시 내용은, 모두 본원에 원용된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ePDCCH에 있어서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을 적절하게 행할 수 있는 것으로서 유용하다.
100 : 기지국 200 : 단말
101 : 할당 정보 생성부 102, 205 : 설정부
103, 207 : 오류 정정 부호화부 104, 208 : 변조부
105, 209 : 신호 할당부 106, 210 : 송신부
107, 201 : 수신부 108, 203 : 복조부
109, 204 : 오류 정정 복호부 202 : 신호 분리부
206 : 제어 신호 수신부

Claims (28)

  1. 제 1 컴포넌트 캐리어의 데이터 영역에 포함되는 복수의 물리 리소스 블록 세트(PRB 세트) 중 하나의 PRB 세트 내에 제 1 서치 스페이스와 제 2 서치 스페이스를 설정하는 설정부로서, 상기 제 2 서치 스페이스는 제 2 컴포넌트 캐리어에 설정된 CIF(Carrier Indicator Field)의 값을 이용해서 설정되며, 상기 제 1 서치 스페이스는 상기 제 1 컴포넌트 캐리어의 제 1 하향 제어 정보를 매핑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매핑 후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서치 스페이스는 상기 제 2 컴포넌트 캐리어의 제 2 하향 제어 정보를 매핑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매핑 후보를 포함하는, 상기 설정부와,
    상기 제 1 서치 스페이스로 상기 제 1 하향 제어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제 2 서치 스페이스로 상기 제 2 하향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부
    를 구비하는 통신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PRB 세트 각각은 복수의 컨트롤 채널 엘리먼트(CCE)를 포함하고,
    상기 설정부에서, 상기 제 2 서치 스페이스에 포함되는 상기 하나 이상의 매핑 후보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CCE는, 상기 제 1 서치 스페이스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매핑 후보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CCE를, 상기 제 2 컴포넌트 캐리어에 설정된 CIF의 값만큼 순회 쉬프트함으로써 얻어지는
    통신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순회 쉬프트는 상기 복수의 PRB 세트의 각각 내에서 행해지는
    통신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매핑 후보는 상기 데이터 영역 중의 하향 제어 채널(EPDCCH) 후보이고, 어그리게이션 레벨의 값과 동수의 CCE에 의해서 구성되는
    통신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PRB 세트 각각은 복수의 컨트롤 채널 엘리먼트(CCE)를 포함하고,
    각 CCE는 복수의 리소스 엘리먼트 그룹(REG)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서치 스페이스에 있어서의 CCE 번호와 REG 번호의 대응 관계는 상기 제 1 서치 스페이스에 있어서의 상기 CCE 번호와 상기 REG 번호의 대응 관계와 같은
    통신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부는 상기 제 2 서치 스페이스를 상기 하나의 PRB 세트 내에서 제 1 서치 스페이스와 주파수 영역에서 겹치지 않는 리소스에 설정하는
    통신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컴포넌트 캐리어는 프라이머리 셀이고, 상기 제 2 컴포넌트 캐리어는 세컨더리 셀인
    통신 장치.
  8. 제 1 컴포넌트 캐리어의 데이터 영역에 포함되는 복수의 물리 리소스 블록 세트(PRB 세트) 중 하나의 PRB 세트 내에 제 1 서치 스페이스와 제 2 서치 스페이스를 설정하되, 상기 제 2 서치 스페이스는 제 2 컴포넌트 캐리어에 설정된 CIF(Carrier Indicator Field)의 값을 이용해서 설정되며, 상기 제 1 서치 스페이스는 상기 제 1 컴포넌트 캐리어의 제 1 하향 제어 정보를 매핑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매핑 후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서치 스페이스는 상기 제 2 컴포넌트 캐리어의 제 2 하향 제어 정보를 매핑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매핑 후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서치 스페이스로 상기 제 1 하향 제어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제 2 서치 스페이스로 상기 제 2 하향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통신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PRB 세트 각각은 복수의 컨트롤 채널 엘리먼트(CCE)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서치 스페이스에 포함되는 상기 하나 이상의 매핑 후보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CCE는, 상기 제 1 서치 스페이스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매핑 후보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CCE를, 상기 제 2 컴포넌트 캐리어에 설정된 CIF의 값만큼 순회 쉬프트함으로써 얻어지는
    통신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순회 쉬프트는 상기 복수의 PRB 세트의 각각 내에서 행해지는
    통신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매핑 후보는 상기 데이터 영역 중의 하향 제어 채널(EPDCCH) 후보이고, 어그리게이션 레벨의 값과 동수의 CCE에 의해서 구성되는
    통신 방법.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PRB 세트 각각은 복수의 컨트롤 채널 엘리먼트(CCE)를 포함하고,
    각 CCE는 복수의 리소스 엘리먼트 그룹(REG)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서치 스페이스에 있어서의 CCE 번호와 REG 번호의 대응 관계는 상기 제 1 서치 스페이스에 있어서의 상기 CCE 번호와 상기 REG 번호의 대응 관계와 같은
    통신 방법.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서치 스페이스를 상기 하나의 PRB 세트 내에서 제 1 서치 스페이스와 주파수 영역에서 겹치지 않는 리소스에 설정하는
    통신 방법.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컴포넌트 캐리어는 프라이머리 셀이고, 상기 제 2 컴포넌트 캐리어는 세컨더리 셀인
    통신 방법.
  15. 제 1 컴포넌트 캐리어를 위한 제 1 하향 제어 정보와 제 2 컴포넌트 캐리어를 위한 제 2 하향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제 1 컴포넌트 캐리어의 데이터 영역에 포함되는 복수의 물리 리소스 블록 세트(PRB 세트) 중 하나의 PRB 세트 내에 설정된 제 1 서치 스페이스 및 제 2 서치 스페이스를 특정하는 특정부로서, 상기 제 2 서치 스페이스는 상기 제 2 컴포넌트 캐리어에 설정된 CIF(Carrier Indicator Field)의 값을 이용해서 설정되어 있고, 상기 제 1 서치 스페이스는 상기 제 1 하향 제어 정보를 매핑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매핑 후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서치 스페이스는 상기 제 2 하향 제어 정보를 매핑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매핑 후보를 포함하는, 상기 특정부와,
    상기 특정된 제 1 서치 스페이스를 복호함으로써 상기 제 1 하향 제어 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특정된 제 2 서치 스페이스를 복호함으로써 상기 제 2 하향 제어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부
    를 구비하는 단말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PRB 세트 각각은 복수의 컨트롤 채널 엘리먼트(CCE)를 포함하고,
    상기 특정부에서, 상기 제 2 서치 스페이스에 포함되는 상기 하나 이상의 매핑 후보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CCE는, 상기 제 1 서치 스페이스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매핑 후보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CCE를, 상기 제 2 컴포넌트 캐리어에 설정된 CIF의 값만큼 순회 쉬프트함으로써 얻어지는
    단말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순회 쉬프트는 상기 복수의 PRB 세트의 각각 내에서 행해지는
    단말 장치.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매핑 후보는 상기 데이터 영역 중의 하향 제어 채널(EPDCCH) 후보이고, 어그리게이션 레벨의 값과 동수의 CCE에 의해서 구성되는
    단말 장치.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PRB 세트 각각은 복수의 컨트롤 채널 엘리먼트(CCE)를 포함하고,
    각 CCE는 복수의 리소스 엘리먼트 그룹(REG)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서치 스페이스에 있어서의 CCE 번호와 REG 번호의 대응 관계는 상기 제 1 서치 스페이스에 있어서의 상기 CCE 번호와 상기 REG 번호의 대응 관계와 같은
    단말 장치.
  20.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서치 스페이스는, 상기 하나의 PRB 세트 내에서 제 1 서치 스페이스와 주파수 영역에서 겹치지 않는 리소스에 설정되어 있는
    단말 장치.
  21. 제 1 컴포넌트 캐리어를 위한 제 1 하향 제어 정보와 제 2 컴포넌트 캐리어를 위한 제 2 하향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 1 컴포넌트 캐리어의 데이터 영역에 포함되는 복수의 물리 리소스 블록 세트(PRB 세트) 중 하나의 PRB 세트 내에 설정된 제 1 서치 스페이스 및 제 2 서치 스페이스를 특정하되, 상기 제 2 서치 스페이스는 상기 제 2 컴포넌트 캐리어에 설정된 CIF(Carrier Indicator Field)의 값을 이용해서 설정되어 있고, 상기 제 1 서치 스페이스는 상기 제 1 하향 제어 정보를 매핑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매핑 후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서치 스페이스는 상기 제 2 하향 제어 정보를 매핑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매핑 후보를 포함하고,
    상기 특정된 제 1 서치 스페이스를 복호함으로써 상기 제 1 하향 제어 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특정된 제 2 서치 스페이스를 복호함으로써 상기 제 2 하향 제어 정보를 검출하는,
    통신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PRB 세트 각각은 복수의 컨트롤 채널 엘리먼트(CCE)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서치 스페이스에 포함되는 상기 하나 이상의 매핑 후보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CCE는, 상기 제 1 서치 스페이스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매핑 후보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CCE를, 상기 제 2 컴포넌트 캐리어에 설정된 CIF의 값만큼 순회 쉬프트함으로써 얻어지는
    통신 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순회 쉬프트는 상기 복수의 PRB 세트의 각각 내에서 행해지는
    통신 방법.
  24.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매핑 후보는 상기 데이터 영역 중의 하향 제어 채널(EPDCCH) 후보이고, 어그리게이션 레벨의 값과 동수의 CCE에 의해서 구성되는
    통신 방법.
  25.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PRB 세트 각각은 복수의 컨트롤 채널 엘리먼트(CCE)를 포함하고,
    각 CCE는 복수의 리소스 엘리먼트 그룹(REG)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서치 스페이스에 있어서의 CCE 번호와 REG 번호의 대응 관계는 상기 제 1 서치 스페이스에 있어서의 상기 CCE 번호와 상기 REG 번호의 대응 관계와 같은
    통신 방법.
  26.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서치 스페이스는, 상기 하나의 PRB 세트 내에서 제 1 서치 스페이스와 주파수 영역에서 겹치지 않는 리소스에 설정되어 있는
    통신 방법.
  27. 제 1 컴포넌트 캐리어의 데이터 영역에 포함되는 복수의 물리 리소스 블록 세트(PRB 세트) 중 하나의 PRB 세트 내에 제 1 서치 스페이스와 제 2 서치 스페이스를 설정하되, 상기 제 2 서치 스페이스는 제 2 컴포넌트 캐리어에 설정된 CIF(Carrier Indicator Field)의 값을 이용해서 설정되며, 상기 제 1 서치 스페이스는 상기 제 1 컴포넌트 캐리어의 제 1 하향 제어 정보를 매핑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매핑 후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서치 스페이스는 상기 제 2 컴포넌트 캐리어의 제 2 하향 제어 정보를 매핑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매핑 후보를 포함하는, 처리와,
    상기 제 1 서치 스페이스로 상기 제 1 하향 제어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제 2 서치 스페이스로 상기 제 2 하향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처리
    를 제어하는 집적 회로.
  28. 제 1 컴포넌트 캐리어를 위한 제 1 하향 제어 정보와 제 2 컴포넌트 캐리어를 위한 제 2 하향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처리와,
    상기 제 1 컴포넌트 캐리어의 데이터 영역에 포함되는 복수의 물리 리소스 블록 세트(PRB 세트) 중 하나의 PRB 세트 내에 설정된 제 1 서치 스페이스 및 제 2 서치 스페이스를 특정하되, 상기 제 2 서치 스페이스는 상기 제 2 컴포넌트 캐리어에 설정된 CIF(Carrier Indicator Field)의 값을 이용해서 설정되어 있고, 상기 제 1 서치 스페이스는 상기 제 1 하향 제어 정보를 매핑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매핑 후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서치 스페이스는 상기 제 2 하향 제어 정보를 매핑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매핑 후보를 포함하는, 처리와,
    상기 특정된 제 1 서치 스페이스를 복호함으로써 상기 제 1 하향 제어 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특정된 제 2 서치 스페이스를 복호함으로써 상기 제 2 하향 제어 정보를 검출하는 처리
    를 제어하는 집적 회로.
KR1020137031022A 2012-05-09 2013-04-25 송신 장치, 수신 장치, 송신 방법 및 수신 방법 Active KR1021708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107677 2012-05-09
JPJP-P-2012-107677 2012-05-09
PCT/JP2013/002799 WO2013168389A1 (ja) 2012-05-09 2013-04-25 送信装置、受信装置、送信方法、及び受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6062A KR20150016062A (ko) 2015-02-11
KR102170874B1 true KR102170874B1 (ko) 2020-10-28

Family

ID=49550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31022A Active KR102170874B1 (ko) 2012-05-09 2013-04-25 송신 장치, 수신 장치, 송신 방법 및 수신 방법

Country Status (20)

Country Link
US (7) US9438400B2 (ko)
EP (4) EP2816855B1 (ko)
JP (2) JP6176533B2 (ko)
KR (1) KR102170874B1 (ko)
CN (3) CN103563469B (ko)
BR (1) BR112013031729B1 (ko)
CY (1) CY1120691T1 (ko)
DK (1) DK2816855T3 (ko)
ES (1) ES2688823T3 (ko)
HR (1) HRP20181523T1 (ko)
HU (1) HUE039684T2 (ko)
LT (1) LT2816855T (ko)
MX (1) MX336451B (ko)
PL (1) PL2816855T3 (ko)
PT (1) PT2816855T (ko)
RS (1) RS57814B1 (ko)
RU (1) RU2601738C2 (ko)
SI (1) SI2816855T1 (ko)
SM (1) SMT201800494T1 (ko)
WO (1) WO201316838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12789B2 (en) * 2017-08-11 2021-12-28 Huawei Technologies Co., Ltd. Information sending method and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816855B1 (en) 2012-05-09 2018-06-27 Sun Patent Trust Cross-Carrier Scheduling in E-PDCCH
CN103796309A (zh) * 2012-10-31 2014-05-14 华为终端有限公司 控制信息的传输方法、基站及用户设备
WO2014165678A2 (en) * 2013-04-03 2014-10-09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Epdcch common search space design for one or more carrier types
WO2016122242A2 (ko) * 2015-01-29 2016-08-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하향링크 제어 정보 수신 방법 및 사용자기기와, 하향링크 제어 정보 전송 방법 및 기지국
CN105991250B (zh) 2015-02-10 2020-08-0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基站、用户终端及载波调度指示方法和装置
CN106688283B (zh) 2015-03-20 2020-08-07 株式会社东芝 无线通信用集成电路以及无线通信方法
WO2016152686A1 (ja) 2015-03-20 2016-09-29 株式会社 東芝 無線通信用集積回路
RU2669590C1 (ru) * 2015-05-29 2018-10-12 Хуавэй Текнолоджиз Ко., Лтд.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соотнесения ресурсов
JP6755298B2 (ja) * 2015-07-06 2020-09-16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ワイヤレスシステムにおけるデータ送信のためのリソース割り当て
EP3410762B1 (en) * 2016-01-27 2024-02-21 NTT DoCoMo, Inc. User terminal, wireless base sta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WO2017188734A1 (ko) * 2016-04-26 2017-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하향링크 신호 수신 방법 및 사용자기기와, 하향링크 신호 전송 방법 및 기지국
US10791548B2 (en) 2016-05-02 2020-09-29 Qualcomm Incorporated Search space design for control channel in wireless communication
US20190190572A1 (en) * 2016-08-03 2019-06-20 Ntt Docomo, Inc. User terminal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ES2906677T3 (es) * 2016-08-11 2022-04-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Procedimiento y aparato de transmisión de datos en redes celulares de próxima generación
KR102780499B1 (ko) * 2016-11-30 2025-03-11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 장치
US11777684B2 (en) 2016-12-23 2023-10-03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network device and terminal device
AU2018206059B2 (en) * 2017-01-05 2022-11-17 Nokia Technologies Oy Downlink Control Channel Monitoring
CN108512642B (zh) * 2017-05-05 2021-03-02 华为技术有限公司 确定参考信号序列的方法、终端设备、网络设备
WO2018205259A1 (en) * 2017-05-12 2018-11-15 Qualcomm Incorporated Precoder resource group allocation methods for mimo communication
US11038646B2 (en) * 2017-06-26 2021-06-15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and apparatuses for shared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CN109275192B (zh) * 2017-07-18 2022-12-13 华为技术有限公司 用于传输信息的方法和设备
CA3066296C (en) * 2017-07-31 2022-07-26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terminal device
CN109413743B (zh) * 2017-08-18 2020-10-2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确定物理资源块绑定的大小的方法和用户终端
JP2019047466A (ja) * 2017-09-07 2019-03-22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基地局装置、および、通信方法
WO2019066569A1 (en) * 2017-09-28 2019-04-04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MULTIPLE CARRIER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9688625B (zh) * 2017-10-19 2021-01-15 中国移动通信有限公司研究院 一种控制信息的发送方法、检测方法、网络设备及终端
CN108900229B (zh) * 2018-01-12 2019-08-27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的方法、网络设备和终端设备
US10461822B2 (en) 2018-01-12 2019-10-29 Huawei Technologies Co., Ltd. Communication method, network device, and terminal device
CN110958094B (zh) * 2018-09-27 2023-03-28 中国移动通信有限公司研究院 一种物理下行控制信道的配置方法、检测方法和设备
EP3651397A1 (en) 2018-11-12 2020-05-13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User equipment and network node involved in the transmission of signals
US11304218B2 (en) * 2019-07-24 2022-04-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ntrol signaling design for improved resource utilization
WO2021151224A1 (en) * 2020-01-29 2021-08-05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cross-carrier scheduling from a secondary cell to a primary cell
US11792812B2 (en) * 2020-04-02 2023-10-17 Qualcomm Incorporated Search space configurations for multi-component carrier scheduling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76962A1 (en) 2009-09-28 2011-03-31 Qualcomm Incorporated Control information signaling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20482B2 (en) 2002-01-23 2006-03-28 Qualcomm Incorporated Reallocation of excess power for full channel-state information (CSI)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systems
US7586881B2 (en) * 2004-02-13 2009-09-08 Broadcom Corporation MIMO wireless communication greenfield preamble formats
KR20080085654A (ko) * 2007-03-19 2008-09-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셀룰라 다중 반송파 시스템에서 스케줄링 방법 및 스케줄링정보 송신 방법
JP5122684B2 (ja) * 2008-07-30 2013-01-16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pdcchモニタリング方法及び装置
CN102265677B (zh) * 2008-11-04 2015-05-06 苹果公司 在第一载波中提供下行链路控制结构以指示在第二个,不同载波中的控制信息
CN101478808B (zh) * 2009-01-21 2014-03-1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下行控制信息的发送及检测方法
GB2467599A (en) 2009-02-10 2010-08-11 Nec Corp Communications device storing new network access data from smart card
JP5219894B2 (ja) 2009-03-16 2013-06-26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基地局装置及び情報送信方法
EP3745616A1 (en) * 2009-04-24 2020-12-02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ntrol signal for merging carriers in transmission
CN101610564B (zh) * 2009-04-29 2015-04-0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下行控制信息的发送和检测方法
CN101714892B (zh) * 2009-11-02 2014-12-3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下行控制信息的传输方法及系统
CN101715237B (zh) * 2009-11-05 2015-09-1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基于竞争的上行传输方法及装置
KR101763596B1 (ko) * 2010-01-06 2017-08-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수의 컴포넌트 캐리어를 지원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크로스-캐리어 스케쥴링을 통한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EP2343849B1 (en) 2010-01-07 2019-05-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enhancing features of uplink reference signals
KR101769371B1 (ko) * 2010-01-11 2017-08-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크기를 조정한 dci를 이용한 pdcch 송수신 방법 및 장치
CA2793053C (en) * 2010-03-25 2016-08-16 Sharp Kabushiki Kaisha Communication method, mobile station apparatus, base station apparatus 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O2011126329A2 (ko) * 2010-04-07 2011-10-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캐리어 접합 시스템에서 pdcch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JP5073779B2 (ja) * 2010-04-30 2012-11-14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基地局装置及びユーザ端末
EP3767866A1 (en) * 2010-04-30 2021-01-20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a control channel for carrier aggregation
US20110267948A1 (en) * 2010-05-03 2011-11-03 Koc Ali T Techniques for communicating and managing congestion in a wireless network
CN101860896B (zh) * 2010-06-13 2016-06-1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确定用户专有搜索空间的方法和装置
KR20110138073A (ko) * 2010-06-18 2011-12-2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채널 자원 그룹핑 방법 및 장치
JP5462085B2 (ja) * 2010-06-21 2014-04-02 株式会社Nttドコモ 基地局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KR20120000447A (ko) 2010-06-25 2012-01-02 (주) 비케이씨디엔이 무릎 통증완화 및 예방을 위한 탈부착 내외측 웨지를 구비한 인솔
TW201215027A (en) * 2010-08-19 2012-04-01 Htc Corp Method of handling uplink reporting trigger and configuration and related communication device
US8792438B2 (en) * 2010-10-07 2014-07-29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search space reconfiguration in a communications system
JP2012107677A (ja) 2010-11-16 2012-06-07 Denso Corp 可変バルブタイミング装置
KR101884352B1 (ko) 2011-03-14 2018-08-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의 전송 방법 및 장치
JP5587824B2 (ja) * 2011-05-02 2014-09-10 株式会社Nttドコモ 無線基地局装置、移動端末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通信方法
WO2012150823A2 (ko) 2011-05-05 2012-1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하향링크 신호 수신방법 및 사용자기기와, 하향링크 신호 전송방법 및 기지국
CN102368871B (zh) * 2011-11-10 2014-06-04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pdcch资源的配置应用方法及装置
EP2816855B1 (en) * 2012-05-09 2018-06-27 Sun Patent Trust Cross-Carrier Scheduling in E-PDCCH
US10116422B2 (en) * 2012-11-02 2018-10-30 Qualcomm Incorporated Managing cross-carrier scheduling in carrier aggregation with EPDCCH in LT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76962A1 (en) 2009-09-28 2011-03-31 Qualcomm Incorporated Control information signal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12789B2 (en) * 2017-08-11 2021-12-28 Huawei Technologies Co., Ltd. Information sending method and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563469A (zh) 2014-02-05
SI2816855T1 (sl) 2018-10-30
EP3522438B1 (en) 2020-07-01
US20180175980A1 (en) 2018-06-21
US20140126506A1 (en) 2014-05-08
US20170207887A1 (en) 2017-07-20
CN108111292A (zh) 2018-06-01
EP3709557B1 (en) 2021-12-22
MX336451B (es) 2016-01-20
RU2601738C2 (ru) 2016-11-10
KR20150016062A (ko) 2015-02-11
CN108173636A (zh) 2018-06-15
EP3367605A1 (en) 2018-08-29
BR112013031729A8 (pt) 2017-07-11
EP3709557A1 (en) 2020-09-16
US12021764B2 (en) 2024-06-25
PL2816855T3 (pl) 2019-01-31
CN108173636B (zh) 2021-01-15
US9438400B2 (en) 2016-09-06
US20200092054A1 (en) 2020-03-19
US20190253209A1 (en) 2019-08-15
CN108111292B (zh) 2020-11-13
JP2017200224A (ja) 2017-11-02
US20210288766A1 (en) 2021-09-16
EP3522438A1 (en) 2019-08-07
BR112013031729A2 (pt) 2016-12-13
SMT201800494T1 (it) 2018-11-09
RS57814B1 (sr) 2018-12-31
JP6176533B2 (ja) 2017-08-09
PT2816855T (pt) 2018-10-24
RU2013154543A (ru) 2015-06-20
EP2816855A1 (en) 2014-12-24
BR112013031729B1 (pt) 2022-08-16
US20160337095A1 (en) 2016-11-17
CY1120691T1 (el) 2019-12-11
US9929836B2 (en) 2018-03-27
ES2688823T3 (es) 2018-11-07
US10523381B2 (en) 2019-12-31
JPWO2013168389A1 (ja) 2016-01-07
LT2816855T (lt) 2018-10-10
JP6366026B2 (ja) 2018-08-01
HRP20181523T1 (hr) 2018-11-16
EP2816855B1 (en) 2018-06-27
MX2013015090A (es) 2014-02-11
HUE039684T2 (hu) 2019-01-28
EP3367605B1 (en) 2019-06-05
WO2013168389A1 (ja) 2013-11-14
US9647813B2 (en) 2017-05-09
DK2816855T3 (en) 2018-10-15
CN103563469B (zh) 2018-03-13
US10326567B2 (en) 2019-06-18
EP2816855A4 (en) 2015-04-01
US11057168B2 (en) 2021-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0874B1 (ko) 송신 장치, 수신 장치, 송신 방법 및 수신 방법
US12225551B2 (en) Base station, terminal, transmission method, and reception method
KR101903209B1 (ko) 송신 장치, 수신 장치, 송신 방법, 및 수신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122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4061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6090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101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9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2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83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10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10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8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9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