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0464B1 - Devices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doors - Google Patents
Devices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door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70464B1 KR102170464B1 KR1020200024533A KR20200024533A KR102170464B1 KR 102170464 B1 KR102170464 B1 KR 102170464B1 KR 1020200024533 A KR1020200024533 A KR 1020200024533A KR 20200024533 A KR20200024533 A KR 20200024533A KR 102170464 B1 KR102170464 B1 KR 10217046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or
- sensor
- opening
- closing
- uni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0554 iris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204 blood vesse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055 memory stora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도어 개폐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도어의 개폐를 차단 제어하는 도어록 구동부와,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되는 신호에 따라 도어가 개폐되는 방향을 판단하여 상기 도어록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되어, 도어가 개폐되는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에 의해 도어가 개폐되는 방향을 판단하여 도어가 닫히는 것으로 판단되면 도어록 구동부를 작동하여 도어록이 도어의 열림을 방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사용자가 도어를 닫는 과정에서 닫힘이 완료되기 이전에 다시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가 출입하는 순간에 불순한 목적을 가진 자가 도어를 열고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도어 개폐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opening/closing control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a sensing unit for detect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a door, a door lock driving unit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and a direction in which the door is opened and closed according to a signal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It is composed of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door lock driving unit by determining the door lock driving unit,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oor is closed by determini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door is opened and closed by a sensor that detects the position at which the door is opened and closed, the door lock drive unit operates the door lock to prevent the door from being opened. By being able to prevent i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user from opening the door again before the closing is completed in the process of closing the door, so that at the moment the user enters or enters,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can prevent a person with an impure purpose from opening and entering the door It relates to a control device.
최근 1인 가구가 증가함에 따라 주거침입 범죄도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에 주거 침입을 방지하고자 키패드를 이용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잠금장치로부터 지문인식, 홍체인식 등을 이용하는 다양한 잠금장치가 제공되어 사용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게 되었다.With the recent increase in single-person households, crimes against intrusion into housing are also on the rise. Accordingly, various locking devices using fingerprint recognition, iris recognition, etc. are provided from a locking device for entering a password using a keypad to prevent intrusion into a dwelling, thereby promoting the safety of the user.
그 일례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257592호 무선 디지털 도어 자물쇠 개폐 장치가 제안되었다. 이 장치는 자물쇠 개폐 장치와, 외측에 설치되는 키패드 입력 단자, 그리고 리모콘 단자로 구성되며 상기 장치들은 각각의 컨트롤을 위한 회로와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내측 자물쇠 개폐 장치의 회로는 무선 RF수신부와 모터 드라이브부와 메모리 저장부와 개폐 장치 마이콤부와 각종 센서 입력부와 동작 신호음 발생부와 개폐 장치 전원부와 기계장치 위치 해독부로 구성되며, 외장 장치는 모터와 잠금 슬라이더와 접촉 스위치와 잠금 스위치와 수동 노브와 건전지 하우징과 자동 버튼과 고정문틀에 설치되는 걸림쇠를 구비하고, 상기 외측 키패드 입력 단자 회로는 키입력 및 각종 표시 단자와 동작음 출력부와 마이콤부와 LED 및 스피커 제어부와 비상 제어부와 전원부와 송신 RF 출력부로 구성되며, 외장부는 입력 키패드와 콜버튼과 LED 표시장치와 스피커를 구비하는 것이다.As an example, the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257592 wireless digital door lock opening and closing device has been proposed. This device consists of a lock opening/closing device, a keypad input terminal installed on the outside, and a remote control terminal. The devices have circuits and devices for each control, and the circuit of the inner lock opening/closing device is a wireless RF receiver and a motor. It consists of a drive unit, a memory storage unit, an open/close unit, a microcomputer unit, a variety of sensor input units, an operation sound generator, an open/close unit power supply unit, and a mechanical unit position decoding unit.The external unit includes a motor, a lock slider, a contact switch, a lock switch, and a manual knob. It has a battery housing, an automatic button, and a latch installed on the fixed door frame, and the outer keypad input terminal circuit includes key input, various display terminals, operation sound output unit, microcomputer unit, LED, speaker control unit, emergency control unit, power supply unit, and transmission RF. It is composed of an output unit, and the external unit includes an input keypad, a call button, an LED display device, and a speaker.
이러한 도어 자물쇠 개폐 장치는 디지털 키패드 입력 방식으로, 무선 연결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그 작동 방법에 있어서는 외측에서의 도어 잠금 해제는 비밀번호 입력으로 가능하고, 내측에서의 도어 잠금 해제는 리모콘, 수동 노브, 자동 열림 버튼으로 동작하게 되며, 도어의 잠금은 도어의 닫힘과 동시에 자동으로 동작하도록 되어 있고, 도어 내측에서는 별도의 수동 이중 잠금을 위한 장치들을 구비하는 것이다.The door lock opening/closing device is a digital keypad input method and takes the form of a wireless connection. The door is operated by an open button, and the door is automatically locked at the same time as the door is closed, and a separate manual double locking device is provided inside the door.
다른 일례의 장치는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08-0005303호의 디지털 도어록이다.Another example of the device is a digital door lock of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08-0005303.
이 장치는 현관 출입문 도어 내측에 실내측 도어록을 가지며 이를 괘해정하는 키입력장치를 도어 외측에 갖는 한편 상기 키입력장치를 가지며, 상기 키입력 장치는 숫자(0~9)와 기호(*, #)로 된 보턴키입력부나 메모리칩(EEPROM)이 내장된 전자키나 마그네틱부나 IC칩을 갖는 출입 카드나 지문이나 홍체, 혈관 등 신체의 특정부위를 암호로 설정시켜 접촉하는 전자식 도어 해정 수단을 선택적으로 가지며, 현관 출입문 도어 내측에는 장착되는 실내측 도어록은 데드볼트를 작동하는 수동레버와 자동 개폐 버튼을 갖는 통상의 디지털 도어록에 있어서, 실내측 도어록에 전자식 도어 해정 수단을 구비한 것이다.This device has an interior door lock on the inside of the front door door and has a key input device on the outside of the door and has the key input device, and the key input device includes numbers (0 to 9) and symbols (*, #). It has an electronic key input unit with a button key input unit, an electronic key with a built-in memory chip (EEPROM), an access card with a magnetic unit or an IC chip, or an electronic door unlocking means that contacts specific parts of the body such as fingerprints, irises, blood vessels, etc. , The interior door lock mounted on the inside of the entrance door door is a conventional digital door lock having a manual lever for operating a dead bolt and an automatic opening/closing button, and an electronic door unlocking means is provided in the interior door lock.
상기 전자식 도어 해정 수단으로는 메모리칩(EEPROM)이 내장된 전자키 메모리칩 인식부와 자동 개폐 버튼을 2~3개 구비하여 이 버튼을 누르거나 순차적으로 미리 설정한 순서대로 번호(암호)를 누를 경우 실내측 도어록이 해정 될 수 있게 하거나, 또는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 인식 터치부, IC칩이 내장된 카드식 키 인식부, 마그네틱 키인식부, 인체에 흐르는 미세한 전기(정전기)를 감지하는 정전기 인식부 등으로 도어록을 해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 electronic door unlocking means includes an electronic key memory chip recognition unit with a built-in memory chip (EEPROM) and two to three automatic opening/closing buttons, and pressing this button or sequentially pressing a number (password) in a preset order. In this case, the interior door lock can be unlocked, or a fingerprint recognition touch unit that recognizes a fingerprint, a card-type key recognition unit with an IC chip embedded, a magnetic key recognition unit, and static electricity recognition that detects minute electricity (static electricity) flowing through the human body The door lock can be unlocked with wealth.
이들 도어록 장치들은 사용자가 도어를 닫은 상태에서 도어록이 작동을 하여 도어가 잠금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In these door lock devices, the door lock is operated while the user closes the door to keep the door locked.
그러나, 최근의 주거 침입 사례를 보면, 위와 같은 잠금수단을 개방할 수 없는 침입자들이 현관에서 대기하고 있거나, 미행을 시도하여 현관문에 도달한 다음, 사용자가 현관문을 열고 들어가는 순간에 뒤를 따라 들어가며 침입하는 수법을 시도하고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recent residential intrusion, intruders who cannot open the above locking means are waiting at the front door, or attempting to follow and reaching the front door, and then following the moment when the user opens the front door and enters. Trying to break in.
이러한 침입행위는 잠금장치가 해제되어 도어의 개폐가 자유로운 상태에서 순식간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용자는 불측의 피해를 입게 된다.This intrusion occurs in an instant while the locking device is released and the door is opened and closed freely, and the user suffers unforeseen damage.
이에 주거 침입을 막기 위한 도어 개폐 제어 장치로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잠금이 이루어지는 잠금장치 이외에, 또는 이들 잠금장치와 더불어 사용자가 도어를 열고 출입하는 과정에서 도어가 완전히 닫히기 전, 또는 도어가 닫히는 도중에 타인에 의해 도어가 다시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도어의 개폐 제어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Therefore, as a door opening/closing control device to prevent intrusion into the house, in addition to a locking device that locks while the door is closed, or in addition to these locking devices, when the user opens the door and enters or exits, the door is completely closed, or while the door is closed. Accordingly, there is a demand for a door opening/closing control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the door from being opened again.
본 발명은 종래의 도어 잠금장치가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잠금이 이루어지게 됨에 따라 사용자가 출입하는 과정에서 불순한 목적을 가진 자가 도어를 열고 침입할 수 있는 위험으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할 수 있는 도어 개폐 제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door opening/closing control device capable of protecting a user from the risk that a person with an impure purpose may open the door and intrude in the process of entering and exiting as the conventional door locking device is locked while the door is closed. Want to provide.
이에 본 발명은 사용자가 도어를 닫는 과정에서 닫힘이 완료되기 이전에 다시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가 출입하면서 도어가 닫히기 전에 불순한 목적을 가진 자가 순간적으로 도어를 열고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도어 개폐 제어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user from opening the door again before the closing is completed in the process of closing the door, so that a person with an impure purpose can instantaneously open the door and invade before the door is closed while the user enter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oor opening/closing control device.
본 발명이 의도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특징은 도어 개폐 장치에 있어서, 도어의 개폐 방향과 개폐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되는 신호에 따라 도어가 개폐되는 방향과 개폐 상태를 판단하 제어부와; 상기 도어가 설치되는 실외측 바닥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록을 구동하여 도어의 열림을 차단하는 도어록 구동부(30)를 포함하여,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되는 신호에 의해 상기 제어부에서 도어가 닫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는 도어록 구동부의 작동신호를 출력하고, 구동부는 도어록을 작동하여 도어의 재열림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A technical feature for achieving the object intend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a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comprising: a sensing unit detecting an opening and closing direction and an opening and closing state of the door; A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a direction in which the door is opened and closed according to a signal sensed by the sensing unit; Including a door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따르면, 상기 감지부는 실외측에서 도어에 일정 거리를 두고 설치되는 제1 센서와, 상기 제1 센서보다 도어에서 멀리 설치되는 제2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제1 센서 및 제2 센서의 감지 신호에 의해 상기 도어록 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되, 제1 센서로부터 제2 센서로 도어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순서의 감지 신호에 의해 도어가 열리는 것으로 판단하고, 제2 센서로부터 제1 센서로 도어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순서의 감지 신호에 의해 도어가 닫히는 것으로 판단되면, 구동부를 작동시키는 신호를 출력하여 도어록을 돌출시키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technical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ing unit includes a first sensor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door from an outdoor side, and a second sensor installed farther from the door than the first sensor, and the control unit comprises a first sensor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oor lock driving unit by a detection signal from a second sensor, and determining that the door is opened by a detection signal in an order in which the movement of the door is detected from the first sensor to the second sensor, and 1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oor is closed by a detection signal in an order in which the movement of the door is detected by the sensor, a signal for operating the driving unit is output to protrude the door lock.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의 신호를 수신하여 도어의 개폐 상태를 판단하며, 도어가 닫힌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도어록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technical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an open/close state of the door by receiving a signal from the sensing unit,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oor is closed, the lock state of the door lock is released.
본 발명에 따른 개폐제어장치는 도어가 개폐되는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에 의해 도어가 개폐되는 방향을 판단하여 도어가 닫히는 것으로 판단되면 도어록 구동부를 작동하여 도어록이 도어의 열림을 방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사용자가 도어를 닫는 과정에서 닫힘이 완료되기 이전에 다시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가 출입하는 순간에 불순한 목적을 가진 자가 도어를 열고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opening/closing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the direction in which the door is opened and closed by a sensor that detects the position where the door is opened,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oor is closed, the door lock drive unit is operated to prevent the door from being opened, In the process of closing the door by the us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oor from being reopened before the closing is completed, and thus, it is possible to prevent a person with an impure purpose from opening and entering the door at the moment the user enters or exit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 제어 장치의 시스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록 구동부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도어가 개폐 제어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1 is a system block diagram of a door opening and closing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door lock driv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oor is opened and clos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특징과 장점은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되는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에 의해 본 발명의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 들로 구현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장치, 요소의 방향 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실시예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며,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제2"와 같은 용어가 본 발명을 설명하는 실시예와 청구항에 사용되는데, 이러한 용어가 상대적인 중요성을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The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configuration and arrangement of element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or illustrated in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different embodiments, and can be carried out in various ways. In addition, the expressions and predicates used in the embodiments with respect to terms such as device, direction of an element, etc., are used only to simplify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indicate or imply that the related device or element should simply have a specific direction. Does not. For example,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in the embodiments and claims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but such terms are not intended to represent or imply relative importance.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발명의 용어와 개념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에 입각하여 기재한 것으로 해석하여야 한다.In addition,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not limited to their usual or dictionary meanings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order for the inventor to explain the terms and concepts of the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been described based on the meaning and concept that match.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게 변경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의 균등한 범위 내에서 해석되어져야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ased on a preferred embodiment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implement various modific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such description.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xamples presented, and i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echnical idea described in the claims to be described below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Should be interpreted in
다음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 제어 장치의 시스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1 is a system block diagram of a door opening/closing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도어 개폐 제어 장치는 감지부(10), 제어부(20) 및 도어록 구동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1, the door opening/closing contro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감지부(10)는 도어(D)의 개폐 방향과 개폐 상태를 감지하여 도어록 구동부(30)를 작동시키기 위한 신호를 제어부(20)로 출력한다.The
제어부(20)는 상기 감지부(10)에서 감지되는 신호에 따라 도어(D)가 개폐되는 방향과 개폐 상태를 판단하여 상기 도어록 구동부(30)를 제어한다.The
도어록 구동부(30)는 상기 도어(D)가 설치되는 실외측 바닥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록(310)을 구동하여 도어(D)가 닫히는 도중 다시 열리는 것을 차단한다.The door
구체적으로, 감지부(10)는 도어(D)의 개폐 방향과 개폐 상태를 감지하는 제1 센서(110)와 제2 센서(120) 및 제3 센서(130)로 구성된다.Specifically, the
도 2를 참조하면, 제1 센서(110)와 제2 센서(120)는 도어(D)가 설치되는 실외측 바닥에 설치되어 도어(D)가 개폐되는 것을 감지하여 감지된 신호를 제어부(30)로 출력한다.Referring to FIG. 2, the
제1 센서(110)는 실외측 바닥면에서 도어(D)에 근접한 위치에 설치되고, 제2 센서(120)는 실외측 바닥면에서 제1 센서(110) 보다 도어(D)에서 멀리 설치된다.The
제1 센서(110)와 제2 센서(120)의 위치는 감지 가능 범위에 따라 설정된다.The positions of the
제3 센서는(130)는 도어(D)의 문틀에 설치되어 도어(D)의 개폐 상태, 즉, 도어(D)가 닫힌 상태를 감지하여 감지된 신호를 제어부(30)로 출력한다.The
상기 제1 센서(110), 제2 센서(120) 및 제3 센서(130)는 도어(D)의 동작을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Various types of sensors capable of detecting the operation of the door D may be used as the
예를 들면, 마그네틱 센서, 적외선 센서, 포토센서와 같이 도어의 동작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마그네틱 센서일 수 있다. 이는 센서의 종류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도어(D)의 개폐를 센싱할 수 있는 센서라면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For example, a magnetic sensor, an infrared sensor, and a photo sensor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sensor capable of detecting an operating state of a door, and preferably a magnetic sensor. This does not limit the type of sensor, and of course, any sensor capable of sens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D may be used without limitation.
제어부(20)는 센서부(10)에서 송신되는 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도어(D)가 닫히는 것을 감지하면, 도어록 구동부(30)를 작동시키는 구동신호를 출력하여 도어(D)의 열림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When the
여기서, 제어부(20)는 도어(D)의 움직임이 제1 센서(110)를 경과하여 제2 센서(120)에 도달하는 순서로 감지 신호가 입력되면 도어(D)가 열리는 것으로 판단하고, 도어(D)의 움직임이 제2 센서(120)를 경과하여 제1 센서(110)에 도달하는 순서로 감지 신호가 입력되면 도어(D)가 닫히는 것으로 판단한다.Here, the
이에 따라, 도어(D)가 닫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20)가 도어록 구동부(30)를 작동하여 도어(D)의 재열림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도어(D)가 완전히 닫히면 제3 센서(130)의 감지신호에 따라 제어부(20)는 구동부(30)를 원상복귀하게 됨으로써 이후에 도어(D)의 열림이 가능하게 된다.Accordingly,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oor D is closed, the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록 구동부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도어가 개폐 제어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of a door lock driv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oor is opened and clos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a를 참조하면, 도어록 구동부(30)는 솔레노이드(300)와 도어록(310)으로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3A, the door
이 도어록 구동부(30)는 실외측의 제1 센서(110)와 제2 센서(120) 사이에서 바닥면 내부에 위치된다.The door
솔레노이드(300)는 제1 센서(110)와 제2 센서(120) 사이의 바닥면 내부에 설치되어 제어부(20)의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한다.The
도어록(310)은 바닥면에 형성되는 홈(H)에 출몰 가능하게 되어 솔레노이드(300)의 작동에 따라 홈(H)으로부터 출몰하며 도어(D)가 개폐될 수 있게 한다.The
즉, 도 4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도어(D)의 움직임이 제1 센서(110)를 경과하여 제2 센서(120)에 도달하는 순서로 감지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20)는 도어(D)가 닫히는 것으로 판단하여 도어록 구동부(30)에 작동신호를 인가하지 않는다.That is, as shown in FIG. 4A, when a detection signal is input in the order in which the movement of the door D passes through the
이후에, 도 4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도어(D)의 움직임이 제2 센서(120)를 경과하여 제1 센서(110)에 도달하는 순서로 감지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20)는 도어(D)가 닫히는 것으로 판단하여 도어록 구동부(30)에 작동신호를 인가하고, 이 작동신호에 따라 솔레노이드(300)가 작동하면, 도어록(310)이 상승하여 홈(H)에서 돌출되어 도어(D)가 열리는 방향으로 다시 열리는 것을 방지하게 됨으로써, 도어(D)가 닫히는 도중 재열림이 방지된다.Thereafter, as shown in FIG. 4B, when a detection signal is input in the order in which the movement of the door D passes through the
위와 같은 본 발명은 키입력장치, 또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인식하는 인식 장치, 예를 들면 지문, 홍체인식장치를 포함하는 잠금장치에 추가적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잠금장치 없이 독자적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may be additionally installed in a key input device or a recognition device for recognizing a user's biometric information, for example, a fingerprint, a locking device including an iris recognition device, and may be installed independently without the locking device. .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So far, we have looked at the center of the preferred embodiment for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것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된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related to one of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us various equivalents and modifie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examples.
따라서 본 발명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의 균등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xamples presented, and i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echnical idea described in the claims to be described below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here may be embodiments in which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예를 들면, 위의 설명에서는 도어(D)가 개폐되는 방향을 감지하기 위해 제1 센서(110)와 제2 센서(120)가 실외측 바닥에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통상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의 회전시 발생하는 펄스를 감지하는 장치, 또는, 도어(D)의 개폐에 따라 전기적으로 ON/OFF되는 스위칭 수단의 전기적 신호에 의해 도어(D)가 개폐되는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above description,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또한, 도어(D)가 개폐된 상태를 감지하는 제3 센서(130)의 경우도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의 회전시 발생하는 펄스를 감지하는 장치, 또는, 도어(D)의 개폐에 따라 전기적으로 ON/OFF되는 스위칭 수단의 전기적 신호에 의해 도어(D)가 닫힌 상태를 감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변경 가능한 실시예로서, 도 3b는 도어록 구동부(3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도어록(310a)이 고정축(311)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출몰하는 구성으로, 솔레노이드(300a)가 작동하는 동력이 기어 전동부(320)를 통해 도어록(310a)을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As a changeable embodiment, FIG. 3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door
상기 기어 전동부(320)는 래크(321)와 피니언(322)으로 구성되어, 래크(321)는 솔레노이드(300a)에 의해 진퇴 작동하고, 래크(321)에 치합되는 피니언(322)에는 고정축(322)이 고정되어 도어록(310a)을 회전시켜줄 수 있게 되어 있다.The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도어록(310, 310a)을 작동시키기 위한 동력원으로, 솔레노이드(300, 300a) 이외에 모터를 사용하고, 모터의 회전동력을 직선왕복운동으로 변환시켜줄 수 있는 기어 전동부를 구성하여 도어록(310)을 승강이동시킬거나, 모터의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기어 전동부를 구성하여 도어록(310a)을 회전 작동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s a power source for operating the door locks 310 and 310a, a motor is used in addition to the
10: 감지부 20: 제어부
30: 도어록 구동부 110: 제1 센서
120: 제2 센서 130: 제3 센서
300, 300a: 솔레노이드 310, 310a: 도어록
320: 기어 전동부 321: 래크
322: 피니언10: sensing unit 20: control unit
30: door lock driving unit 110: first sensor
120: second sensor 130: third sensor
300, 300a:
320: gear transmission 321: rack
322: pinion
Claims (3)
도어(D)의 개폐 방향과 개폐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10)와;
상기 감지부(10)에서 감지되는 신호에 따라 도어(D)가 개폐되는 방향과 개폐 상태를 판단하 제어부(20)와;
상기 도어(D)가 설치되는 실외측 바닥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록(310을 구동하여 도어(D)의 열림을 차단하는 도어록 구동부(30)를 포함하여,
상기 감지부(10)에서 감지되는 신호에 의해 상기 제어부(20)에서 도어(D)가 닫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20)는 도어록 구동부(30)의 작동신호를 출력하고, 구동부(20)는 도어록(310, 310a)을 작동하여 도어(D)의 재열림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 제어 장치.
In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A sensing unit 10 for sensing an opening/closing direction and an opening/closing state of the door D;
A control unit 20 for determining a direction in which the door D is opened and closed according to a signal detected by the detection unit 10 and an open/close state;
Including a door lock driving unit 30 for blocking the opening of the door (D) by driving the door lock (310) installed so as to be able to appear on the outdoor floor where the door (D) is installed,
When the control unit 20 determines that the door D is closed by the signal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10, the control unit 20 outputs an operation signal of the door lock driving unit 30, and the driving unit 20 Door opening and closing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e-opening of the door (D) by operating the door locks (310, 310a).
상기 감지부(10)는,
실외측에서 도어(D)에 일정 거리를 두고 설치되는 제1 센서(110)와, 상기 제1 센서(110)보다 도어(D)에서 멀리 설치되는 제2 센서(120)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20)는,
제1 센서(110) 및 제2 센서(120)의 감지 신호에 의해 상기 도어록 구동부(30)의 작동을 제어하되,
제1 센서(110)로부터 제2 센서(120)로 도어(D)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순서의 감지 신호에 의해 도어(D)가 열리는 것으로 판단하고,
제2 센서(120)로부터 제1 센서(110)로 도어(D)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순서의 감지 신호에 의해 도어(D)가 닫히는 것으로 판단되면, 구동부(30)를 작동시키는 신호를 출력하여 도어록(310, 310a)을 돌출시키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 제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ensing unit 10,
A first sensor 110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outdoor side to the door D, and a second sensor 120 installed farther from the door D than the first sensor 110,
The control unit 20,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oor lock driving unit 30 by detection signals of the first sensor 110 and the second sensor 120,
It is determined that the door D is opened by a detection signal in the order in which the movement of the door D is detected from the first sensor 110 to the second sensor 120,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oor D is closed by a detection signal in the order in which the movement of the door D is detected from the second sensor 120 to the first sensor 110, a signal for operating the driving unit 30 is output. Door opening/closing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door locks 310 and 310a protrude.
상기 제어부(20)는,
도어(D)의 개폐 상태를 판단하여 도어(D)가 완전히 닫힌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도어록(310, 310a)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 제어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control unit 20,
The door opening/closing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oor D is completely closed by determining an open/closed state of the door D, the locked state of the door locks 310 and 310a is release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15344 | 2020-02-10 | ||
KR1020200015344 | 2020-02-10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70464B1 true KR102170464B1 (en) | 2020-10-28 |
Family
ID=73018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24533A Active KR102170464B1 (en) | 2020-02-10 | 2020-02-27 | Devices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door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70464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92091B1 (en) * | 2023-02-28 | 2024-08-06 | 주식회사 상송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 Door Open and Close Device |
KR20240140461A (en) * | 2023-03-17 | 2024-09-24 | 강철규 | Opening method of automatic opening door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57592Y1 (en) | 2001-07-09 | 2001-12-24 | 강태수 | wireless digital lock device for being used to open and shut the door |
KR200417599Y1 (en) * | 2006-03-14 | 2006-06-02 | 장희성 | Piston Type Door Stop |
KR20080005303U (en) | 2007-05-08 | 2008-11-12 | 인영식 | Digital door lock with various electronic key input means on the indoor side |
KR20110062324A (en) * | 2009-12-03 | 2011-06-10 | 박영호 | Oil damper to reduce the opening and closing speed of the swing door |
KR20110078460A (en) * | 2009-12-31 | 2011-07-07 | 신재혁 | Safety device to prevent rapid opening and closing of door |
KR20150127623A (en) * | 2013-03-14 | 2015-11-17 | 예일 시큐리티 인코포레이티드 | Door closer |
KR20180129499A (en) * | 2017-05-26 | 2018-12-05 | 박지원 | security door closer break gear |
-
2020
- 2020-02-27 KR KR1020200024533A patent/KR102170464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57592Y1 (en) | 2001-07-09 | 2001-12-24 | 강태수 | wireless digital lock device for being used to open and shut the door |
KR200417599Y1 (en) * | 2006-03-14 | 2006-06-02 | 장희성 | Piston Type Door Stop |
KR20080005303U (en) | 2007-05-08 | 2008-11-12 | 인영식 | Digital door lock with various electronic key input means on the indoor side |
KR20110062324A (en) * | 2009-12-03 | 2011-06-10 | 박영호 | Oil damper to reduce the opening and closing speed of the swing door |
KR20110078460A (en) * | 2009-12-31 | 2011-07-07 | 신재혁 | Safety device to prevent rapid opening and closing of door |
KR20150127623A (en) * | 2013-03-14 | 2015-11-17 | 예일 시큐리티 인코포레이티드 | Door closer |
KR20180129499A (en) * | 2017-05-26 | 2018-12-05 | 박지원 | security door closer break gear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92091B1 (en) * | 2023-02-28 | 2024-08-06 | 주식회사 상송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 Door Open and Close Device |
KR20240140461A (en) * | 2023-03-17 | 2024-09-24 | 강철규 | Opening method of automatic opening door |
KR102731068B1 (en) | 2023-03-17 | 2024-11-14 | 강철규 | Opening method of automatic opening doo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70464B1 (en) | Devices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doors | |
US20080224859A1 (en) | Door lock control system integrated with sensing and audio/image identification functions | |
GB2447660A (en) | Control system integrated with sensing and audio/image identification functions which control a door lock and/or an engine ignition | |
KR101952522B1 (en) | Auto Door-lock Switchgear and the method | |
CN208650667U (en) | a smart lock | |
KR101980861B1 (en) | Fingerprint recognition electronic lock system equipped with alarm function and interlocked with smart phone and security management method using the lock system | |
KR20050106339A (en) | Door lock providing multiple authentication | |
KR20080005303U (en) | Digital door lock with various electronic key input means on the indoor side | |
KR20210099305A (en) | Smart door-lock device | |
CN208518477U (en) | A smart lock capable of detecting the coincidence of door leaf and door frame | |
KR200257592Y1 (en) | wireless digital lock device for being used to open and shut the door | |
US11560736B2 (en) | Method for operating a door and components related to the same | |
JP4328179B2 (en) | Security system | |
KR200392382Y1 (en) | Door lock apparatus | |
JP2023111291A (en) | automatic open door | |
CN109763738B (en) | Automatic door | |
KR20140002117A (en) | Opening and closing system for an automatic door | |
KR200392381Y1 (en) | Door lock apparatus | |
KR200448138Y1 (en) | Door lock with double lock | |
KR101633394B1 (en) | Enhanced security triple locking system having stopper | |
KR102650483B1 (en) | Doorlock device having indoor and ouroor fingerprint recognition modules | |
US11739564B2 (en) | Method for operating a door and components related to the same | |
KR20020059293A (en) | Crime prevention door system | |
GB2380224A (en) | A locking arrangement comprising two independent locking mechanisms | |
KR20080002659U (en) | Auxiliary key type digital door lock automatically unlocked when operating the door hand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22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0030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22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101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10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10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0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