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9007B1 - 콘택트 렌즈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콘택트 렌즈 제조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69007B1 KR102169007B1 KR1020180135305A KR20180135305A KR102169007B1 KR 102169007 B1 KR102169007 B1 KR 102169007B1 KR 1020180135305 A KR1020180135305 A KR 1020180135305A KR 20180135305 A KR20180135305 A KR 20180135305A KR 102169007 B1 KR102169007 B1 KR 10216900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ct lens
- base curve
- curve
- main stage
- process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2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7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6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2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9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9
- 238000003754 machi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6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373 ind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748 scrat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393 scratch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038—Production of contact lens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48—Moulds for len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yeglasses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도 1의 콘택트 렌즈 제조 장치에 사용되는 성형 몰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성형 몰드의 베이스 커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성형 몰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콘택트 렌즈 제조 장치의 몰드 투입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콘택트 렌즈 제조 장치에서 분리 장치가 위치되는 부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콘택트 렌즈 제조 장치에서 성형 몰드가 분리 홀의 위쪽에 위치된 상태로 프론트 커브와 베이스 커브가 분리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1의 콘택트 렌즈 제조 장치에서 베이스 커브가 메인 스테이지에 안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1의 콘택트 렌즈 제조 장치에서 새로운 성형 몰드가 분리 홀과 정렬되게 위치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1의 콘택트 렌즈 제조 장치에서 보조 분리 장치가 위치된 부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1의 콘택트 렌즈 제조 장치에서 가압 핸드가 콘택트 렌즈와 베이스 커브의 부착 상태를 저감시키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1의 콘택트 렌즈 제조 장치에서 둘레 가공 장치가 위치된 부분의 사시도다.
도 13은 도 1의 콘택트 렌즈 제조 장치에서 둘레 가공 장치가 위치되는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의 콘택트 렌즈 제조 장치에서 콘택트 렌즈의 외측 둘레가 절단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도 1의 콘택트 렌즈 제조 장치의 보조 픽업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 및 도 17은 보조 픽업 부재가 콘택트 렌즈의 반출을 보조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도 1의 콘택트 렌즈 제조 장치의 베이스 커브 수거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20: 몰드 공급 라인 200: 분리 장치
210: 분리 스테이지 230: 정렬 부재
250: 프론트 커브 수거 부재 300: 메인 스테이지
400: 보조 분리 장치 410: 가압 핸드
500: 둘레 가공 장치 510: 가공 스테이지
700: 적재대 800: 베이스 커브 수거 부재
Claims (13)
- 프론트 커브, 베이스 커브를 포함하며 상기 프론트 커브와 상기 베이스 커브 사이 공간에 콘택트 렌즈가 성형되어 있는 성형 몰드를 투입하는 몰드 투입 장치;
상기 몰드 투입 장치의 후단에 배치되며 상기 성형 몰드에서 상기 프론트 커브를 분리하는 분리 장치;
상기 분리 장치에서 상기 프론트 커브와 분리된 상기 베이스 커브가 상면에 위치되고,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는 메인 스테이지;
상기 메인 스테이지의 회전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분리 장치의 전방에 위치되어, 상기 베이스 커브에 위치된 상기 콘택트 렌즈의 외측 둘레를 가공하는 둘레 가공 장치 포함하되,
상기 메인 스테이지는,
회전 중심에서 설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되고, 상기 베이스 커브가 위치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내측에 관통형성되는 승강 홀을 포함하고,
상기 둘레 가공 장치는,
가공 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메인 스테이지의 위쪽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가공 스테이지; 및
상기 메인 스테이지의 아래쪽에 위치되어, 상기 베이스 커브의 저면에 힘을 가하는 가압 회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 회전 부재는 상기 지지부의 이동 경로 상에 위치되고,
상기 가압 회전 부재는,
설정 길이를 갖는 로드 형상으로 제공되고, 상단의 폭이 상기 가공 홀의 폭에 대응되는 가공 로드; 및
상기 가공 로드를 상기 승강 홀을 통해 승강 시키고, 상기 가공 로드를 회전 시키는 가공 구동부를 포함하는 콘택트 렌즈 제조 장치. - 삭제
- 프론트 커브, 베이스 커브를 포함하며 상기 프론트 커브와 상기 베이스 커브 사이 공간에 콘택트 렌즈가 성형되어 있는 성형 몰드를 투입하는 몰드 투입 장치;
상기 몰드 투입 장치의 후단에 배치되며 상기 성형 몰드에서 상기 프론트 커브를 분리하는 분리 장치;
상기 분리 장치에서 상기 프론트 커브와 분리된 상기 베이스 커브가 상면에 위치되고,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는 메인 스테이지;
상기 메인 스테이지의 회전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분리 장치의 전방에 위치되어, 상기 베이스 커브에 위치된 상기 콘택트 렌즈의 외측 둘레를 가공하는 둘레 가공 장치 포함하되,
상기 메인 스테이지는,
회전 중심에서 설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되고, 상기 베이스 커브가 위치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내측에 관통형성되는 승강 홀을 포함하고,
상기 둘레 가공 장치는,
가공 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메인 스테이지의 위쪽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가공 스테이지; 및
상기 메인 스테이지의 아래쪽에 위치되어, 상기 베이스 커브의 저면에 힘을 가하는 가압 회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둘레 가공 장치는,
상기 가공 홀을 통해 상기 베이스 커브의 상면에 위치된 상기 콘택트 렌즈를 픽업하는 픽업 부재를 더 포함하는 콘택트 렌즈 제조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 부재는 상기 가공 스테이지의 상면에서 위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연결부에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고,
상기 가공 홀은 상기 픽업 부재의 일단의 이동 경로 아래쪽에 위치되는 콘택트 렌즈 제조 장치. - 프론트 커브, 베이스 커브를 포함하며 상기 프론트 커브와 상기 베이스 커브 사이 공간에 콘택트 렌즈가 성형되어 있는 성형 몰드를 투입하는 몰드 투입 장치;
상기 몰드 투입 장치의 후단에 배치되며 상기 성형 몰드에서 상기 프론트 커브를 분리하는 분리 장치;
상기 분리 장치에서 상기 프론트 커브와 분리된 상기 베이스 커브가 상면에 위치되고,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는 메인 스테이지;
상기 메인 스테이지의 회전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분리 장치의 전방에 위치되어, 상기 베이스 커브에 위치된 상기 콘택트 렌즈의 외측 둘레를 가공하는 둘레 가공 장치 포함하되,
상기 메인 스테이지는,
회전 중심에서 설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되고, 상기 베이스 커브가 위치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내측에 관통형성되는 승강 홀을 포함하고,
상기 둘레 가공 장치는,
가공 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메인 스테이지의 위쪽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가공 스테이지; 및
상기 메인 스테이지의 아래쪽에 위치되어, 상기 베이스 커브의 저면에 힘을 가하는 가압 회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공 홀의 직경은 상기 베이스 커브의 상면에 위치된 상기 콘택트 렌즈의 평면상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콘택트 렌즈 제조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장치와 상기 둘레 가공 장치의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콘택트 렌즈가 상기 베이스 커브와 밀착된 정도를 저감하는 보조 분리 장치를 더 포함하는 콘택트 렌즈 제조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분리 장치는,
상기 베이스 커브의 양측을 가압하는 핑거를 갖는 가압 핸드; 및
상기 핑거의 이격 거리 및 상기 핸드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상기 핸드를 구동하는 구동기를 포함하는 콘택트 렌즈 제조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둘레 가공 장치와 상기 분리 장치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콘택트 렌즈가 분리된 상태의 상기 베이스 커브를 회수하는 베이스 커브 수거 부재를 더 포함하는 콘택트 렌즈 제조 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커브 수거 부재는,
일단이 상기 메인 스테이지의 상면과 설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되는 수거 배관; 및
상기 수거 배관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수거 배관에 음압을 제공하는 흡입기를 포함하는 콘택트 렌즈 제조 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스테이지에는 상기 지지부의 내측에 관통형성되는 승강 홀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커브 수거 부재는,
상기 승강 홀의 이동 경로의 아래쪽에 위치되고, 상기 승강 홀을 향해 기체를 분사하는 가압관을 더 포함하는 콘택트 렌즈 제조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장치는,
상기 성형 몰드가 위치되고, 상기 몰드 투입 장치와 연결되는 정렬 라인 및 상기 정렬 라인의 일 지점에 분리 홀이 형성되어 있는 분리 스테이지;
상기 분리 홀과 상하로 정렬되게 위치되어, 상기 성형 몰드의 상면을 가압하는 가압 부재를 포함하는 콘택트 렌즈 제조 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홀의 직경은 상기 베이스 커브의 폭 보다 크고, 상기 프론트 커브의 폭 보다 작게 형성되는 콘택트 렌즈 제조 장치.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장치는, 상기 몰드 투입 장치를 통해 공급된 상기 성형 몰드를 상기 분리 홀과 상하로 정렬되게 이송하는 정렬 부재를 더 포함하는 콘택트 렌즈 제조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35305A KR102169007B1 (ko) | 2018-11-06 | 2018-11-06 | 콘택트 렌즈 제조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35305A KR102169007B1 (ko) | 2018-11-06 | 2018-11-06 | 콘택트 렌즈 제조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52111A KR20200052111A (ko) | 2020-05-14 |
KR102169007B1 true KR102169007B1 (ko) | 2020-10-22 |
Family
ID=70737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35305A Active KR102169007B1 (ko) | 2018-11-06 | 2018-11-06 | 콘택트 렌즈 제조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69007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18145B1 (ko) * | 2016-01-04 | 2017-03-20 | 뉴바이오 (주) | 콘택트렌즈 몰드 분리장치 |
KR101809483B1 (ko) * | 2017-05-24 | 2018-01-18 | 가정만 | 콘택트 렌즈 분리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34142B1 (ko) * | 2010-01-27 | 2012-04-09 | 박화성 | 수직형 콘택트렌즈 절삭장치 |
-
2018
- 2018-11-06 KR KR1020180135305A patent/KR102169007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18145B1 (ko) * | 2016-01-04 | 2017-03-20 | 뉴바이오 (주) | 콘택트렌즈 몰드 분리장치 |
KR101809483B1 (ko) * | 2017-05-24 | 2018-01-18 | 가정만 | 콘택트 렌즈 분리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52111A (ko) | 2020-05-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192300B2 (ja) | 光学ガラス素材の移載装置 | |
KR102011911B1 (ko) | 렌즈 자동 생산 시스템 | |
CN110668681B (zh) | 球镜头用传送装置 | |
CN110436187B (zh) | 镜头用传递装置 | |
KR101013019B1 (ko) | 웨이퍼 이송 시스템 및 이송 방법 | |
JP4841323B2 (ja) | 成形装置 | |
KR20150031014A (ko) | 카메라 줌 렌즈 조립장치 및 방법 | |
KR102169007B1 (ko) | 콘택트 렌즈 제조 장치 | |
KR101998393B1 (ko) | 필름 보호용 홀더 제거 장치 | |
KR20190002304A (ko) | 산업용 로봇의 핸드 및 산업용 로봇 | |
CN210943865U (zh) | 用于载具的分离传送机构 | |
CN117086587B (zh) | 一种用于磁性产品高精度自适应组装装置 | |
JP2665018B2 (ja) | 成形型の分解・組立装置 | |
KR20090039379A (ko) | 멀티 고화소 다촛점 렌즈 성형 시스템 | |
KR102410119B1 (ko) | 금형 분리 장치 | |
KR101564688B1 (ko) | 필터 검사방법 및 필터 검사장치 | |
KR20190044356A (ko) | 렌즈 세척 및 검사장치 | |
KR102152000B1 (ko) | 커브 패키지 제조 장치 | |
JPWO2008004662A1 (ja) | 光学素子の成型装置及び光学素子の成型方法 | |
KR101253069B1 (ko) | 아암 공구의 단부 및 몰딩 장치의 정렬을 평가하기 위한디바이스 및 방법 | |
KR100851359B1 (ko) | 브레이크 패드 제조시스템용 브레이크 패드의 부품이송장치 | |
KR102011915B1 (ko) | 원료 공급장치가 개선된 렌즈 자동 생산 시스템 | |
JP2005219989A (ja) | 光学素子の搬送装置及び搬送方法 | |
JPH1036126A (ja) | 光学部品の成形装置 | |
KR20250065005A (ko) | 듀얼 핀 이젝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칩 분리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10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1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716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10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10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0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