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166378B1 - 분리 가능한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분리 가능한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6378B1
KR102166378B1 KR1020140059289A KR20140059289A KR102166378B1 KR 102166378 B1 KR102166378 B1 KR 102166378B1 KR 1020140059289 A KR1020140059289 A KR 1020140059289A KR 20140059289 A KR20140059289 A KR 20140059289A KR 102166378 B1 KR102166378 B1 KR 1021663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clip
mounting groove
mounting
various embodiment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9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1878A (ko
Inventor
정보현
김종두
전용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592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6378B1/ko
Priority to PCT/KR2015/004904 priority patent/WO2015174783A1/en
Priority to CN201580025392.XA priority patent/CN106462187B/zh
Priority to US14/713,169 priority patent/US9715253B2/en
Priority to EP15167827.3A priority patent/EP2945040B1/en
Publication of KR201501318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1878A/ko
Priority to US15/657,691 priority patent/US10133311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63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637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4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detachable, e.g. for remote us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2External expansion units, e.g. docking st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일정 깊이의 거치홈을 포함하는 제1바디와, 상기 제1바디에서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클립과, 일단은 상기 거치홈의 단속을 받으며, 타단은 상기 클립의 단속을 받아 상기 제1바디와 중첩되는 방식으로 결합되며, 상기 거치홈에 일정 각도로 거치되어 사용되는 제2바디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하여, 자체 구조 및 클립만으로 전자 장치의 장착 및 거치를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결합 구조로 인한 전자 장치의 전체 부피 증가를 방지하여 제품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분리 가능한 전자 장치{DETACHABLE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분리 가능한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 통신 산업의 발달로 말미암아 이동 통신 단말기(스마트 폰), 전자수첩, 개인 복합 단말기, TV(Television), 랩탑 컴퓨터, 태블릿 PC 등의 전자 장치는 현대 사회의 필수품이 되어가면서, 빠르게 변화하는 정보 전달의 중요한 수단이 되고 있다. 이러한 전자 장치는 데이터 입출력을 동일한 영역에서 수행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GUI(Graphical User Interface) 환경을 통해 사용자의 작업을 편리하게 하고, 웹 환경을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멀티 미디어들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상술한 전자 장치들은 휴대성이 극대화되어가는 현재의 추세에 맞게 다양한 방식으로 변모하고 있으며, 다양한 부가 기능을 소화할 수 있는 사용 편의성까지 갖춘 것이 특징이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의 후면에 일정 각도로 개폐 가능한 지지 부재를 설치하여 전자 장치를 일정 각도로 거치시켜 동영상 등을 감상할 수도 있으며, 별도의 보호 케이스를 구비하고 전자 장치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방식으로 설치되어, 휴대시, 전자 장치의 외관을 보호하기도 한다.
이러한 다양한 부가 장치들은 전자 장치의 사용을 더욱 편리하게 하며, 좀더 유용한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는 추세이다.
종래의 분리형 전자 장치는 커버 장치의 외곽에 복수의 고정 리브를 신장시켜 장착되는 전자 장치의 테두리를 감싸는 방식으로 구성되었으나, 이는 커버 장치의 외관 사이즈가 커지며 장/탈착을 위해서 각 고정 부분을 눌러줘야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또한, 종래의 분리형 전자 장치는 커버 장치와 장착되는 전자 장치에 복수의 자석을 배치하여 자력에 의해 상호 고정되었으나, 이러한 구성 역시 커버 장치의 적어도 일부가 자력에 반응하는 금속 물질로 이루어져야 하는 바, 설계 제약이 이따른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분리 가능한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분리되거나 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는 분리 가능한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적어도 두 개의 바디가 서로 손쉽게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구현되는 분리 가능한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상호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결합 구조로 인한 장치 전체의 부피 증가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구현되는 분리 가능한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분리된 바디들이 서로 연동하여 동작함으로써 사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구현되는 분리 가능한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분리시 하나의 바디를 이용하여 나머지 하나의 바디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구현되는 분리 가능한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에 있어서, 일정 깊이의 거치홈을 포함하는 제1바디와, 상기 거치홈과 대향되는 위치에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힌지 클립과, 일단은 상기 거치홈의 단속을 받으며, 타단은 상기 힌지 클립의 단속을 받아 상기 제1바디와 중첩되는 방식으로 결합되며, 상기 거치홈에 일정 각도로 거치되어 사용되는 제2바디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전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전자 장치와 중첩되는 방식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전자 장치를 수용하기 위한 장착면과, 상기 장착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2전자 장치를 일정 각도로 거치시키기 위한 거치홈 및 상기 장착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2전자 장치의 적어도 일부를 단속하는 힌지 클립을 포함하되, 상기 제2전자 장치는 일단이 상기 거치홈에 의해 단속받고, 타단은 상기 힌지 클립에 의해 단속을 받아 상기 제1전자 장치에 결합되는 제1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분리 가능한 전자 장치는 자체 구조 및 힌지 클립만으로 전자 장치의 장착 및 거치를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결합 구조로 인한 전자 장치의 전체 부피 증가를 방지하여 제품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환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1바디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바디에 힌지 클립이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바디에 힌지 클립이 설치된 후, 제2바디가 단속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힌지 클립의 최대 개방 위치가 단속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힌지 클립의 최대 개방 위치가 단속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바디의 하부 케이스 프레임에 힌지 클립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바디에 제2바디가 장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바디에 제2바디가 거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바디와 제2바디가 자동으로 연동되기 위한 스위칭 수단을 포함하는 제1바디의 구성도이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바디와 제2바디가 자동으로 연동되기 위한 스위칭 수단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3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힌지 클립의 사시도이다.
도 13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힌지 클립이 적용된 제1바디의 사시도이다.
도 13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힌지 클립에 의해 제1바디에 장착된 제2바디가 분리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과 연관되어 기재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이 도면에 예시되고 관련된 상세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또는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되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등의 표현은 개시(disclosure)된 해당 기능, 동작 또는 구성 요소 등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하나 이상의 기능, 동작 또는 구성 요소 등을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또는"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단어들의 어떠한, 그리고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A 또는 B"는, A를 포함할 수도, B를 포함할 수도, 또는 A 와 B 모두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 째", "둘 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실시예들의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수식할 수 있지만, 해당 구성 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표현들은 해당 구성 요소들의 순서 및/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표현들은 한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사용자 기기와 제2 사용자 기기는 모두 사용자 기기이며,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 요소는 제2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 요소도 제1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 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상기 어떤 구성 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 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 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 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통신 기능이 포함된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스마트 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전화기(mobile phone), 화상전화기, 전자북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탑 PC(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컴퓨터(netbook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의료기기, 카메라(camera), 또는 웨어러블장치(wearable device)(예: 전자 안경과 같은 head-mounted-device(HMD), 전자의복, 전자팔찌, 전자목걸이, 전자앱세서리(appcessory), 전자문신, 또는 스마트 와치(smart watch))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통신 기능을 갖춘 스마트 가전 제품(smart home appliance)일 수 있다. 스마트 가전 제품은, 예를 들자면, 전자 장치는 텔레비전, DVD(digital video disk) 플레이어, 오디오,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공기 청정기, 셋톱 박스(set-top box), TV 박스(예를 들면, 삼성 HomeSyncTM, 애플TVTM, 또는 구글 TVTM), 게임 콘솔(game consoles), 전자 사전, 전자 키, 캠코더(camcorder), 또는 전자 액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장치는 각종 의료기기(예: MRA(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CT(computed tomography), 촬영기, 초음파기 등),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GPS 수신기(global positioning system receiver), EDR(event data recorder), FDR(flight data recorder), 자동차인포테인먼트(infotainment) 장치, 선박용전자장비(예: 선박용항법장치 및 자이로콤파스 등), 항공전자기기(avionics), 보안기기, 차량용헤드유닛, 산업용 또는 가정용 로봇, 금융기관의 ATM(automatic teller's machine) 또는 상점의 POS(point of sale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통신 기능을 포함한 가구(furniture) 또는 건물/구조물의 일부, 전자 보드(electronic board), 전자 싸인 입력장치(electronic signature receiving device), 프로젝터(projector), 또는 각종 계측기기(예: 수도, 전기, 가스, 또는 전파 계측 기기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다양한 장치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flexible)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대해서 살펴본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이용되는 사용자라는 용어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사람 또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장치(예: 인공지능 전자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101을 포함하는 네트워크환경 1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상기 전자 장치 101은 버스 110, 프로세서 120, 메모리 130, 입출력 인터페이스 140, 디스플레이 150, 통신인터페이스 16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스 110은 전술한 구성 요소들을 서로 연결하고, 전술한 구성 요소들 간의 통신(예: 제어 메시지)을 전달하는 회로일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 120은, 예를 들면, 상기 버스 110을 통해 전술한 다른 구성 요소들(예: 상기 메모리 130,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 140, 상기 디스플레이 150,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 160 등)로부터 명령을 수신하여, 수신된 명령을 해독하고, 해독된 명령에 따른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130은, 상기 프로세서 120 또는 다른 구성 요소들(예: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 140, 상기 디스플레이 150,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 160 등)로부터 수신되거나 상기 프로세서 120 또는 다른 구성 요소들에 의해 생성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130은, 예를 들면, 커널 131, 미들웨어 132,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133 또는 어플리케이션 134 등의 프로그래밍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각각의 프로그래밍 모듈들은 소프트웨어, 펌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커널 131은 나머지 다른 프로그래밍 모듈들, 예를 들면, 상기 미들웨어 132, 상기 API 133 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134에 구현된 동작 또는 기능을 실행하는데 사용되는 시스템 리소스들(예: 상기 버스 110, 상기 프로세서 120 또는 상기 메모리 130 등)을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널 131은 상기 미들웨어 132, 상기 API 133 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134에서 상기 전자 장치 101의 개별 구성 요소에 접근하여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미들웨어 132는 상기 API 133 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134가 상기 커널 131과 통신하여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중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들웨어 132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134로부터 수신된 작업 요청들과 관련하여, 예를 들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134 중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상기 전자 장치 101의 시스템 리소스(예: 상기 버스 110, 상기 프로세서 120 또는 상기 메모리 130 등)를 사용할 수 있는 우선 순위를 배정하는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작업 요청에 대한 제어(예: 스케쥴링 또는 로드 밸런싱)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API 133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134가 상기 커널 131 또는 상기 미들웨어 132에서 제공되는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예를 들면, 파일 제어, 창 제어, 화상 처리 또는 문자 제어 등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 또는 함수(예: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134는 SMS/MMS 어플리케이션, 이메일 어플리케이션, 달력 어플리케이션, 알람 어플리케이션, 건강 관리(health care) 어플리케이션(예: 운동량 또는 혈당 등을 측정하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환경 정보 어플리케이션(예: 기압, 습도 또는 온도 정보 등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상기 어플리케이션 134는 상기 전자 장치 101과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 104) 사이의 정보 교환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상기 정보 교환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은, 예를 들어,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특정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알림 전달(notification relay) 어플리케이션, 또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 관리(device management)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알림 전달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전자 장치 101의 다른 어플리케이션(예: SMS/MMS 어플리케이션, 이메일 어플리케이션, 건강 관리 어플리케이션 또는 환경 정보 어플리케이션 등)에서 발생한 알림 정보를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 104)로 전달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상기 알림 전달 어플리케이션은, 예를 들면,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 104)로부터 알림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은, 예를 들면, 상기 전자 장치 101과 통신하는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 104)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기능(예: 외부 전자 장치 자체(또는, 일부 구성 부품)의 턴 온/턴 오프 또는 디스플레이의 밝기(또는, 해상도) 조절),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서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예: 통화 서비스 또는 메시지 서비스))을 관리(예: 설치, 삭제 또는 업데이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134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 104)의 속성(예: 전자 장치의 종류)에 따라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전자 장치가 MP3 플레이어인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 134는 음악 재생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유사하게, 외부 전자 장치가 모바일 의료기기인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 134는 건강 관리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134는 전자 장치 101에 지정된 어플리케이션 또는 외부 전자 장치(예: 서버 106 또는 전자 장치 104)로부터 수신된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 140은, 입출력 장치(예: 센서, 키보드 또는 터치 스크린)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예를 들면, 상기 버스 110를 통해 상기 프로세서 120, 상기 메모리 130,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 160에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 140은 터치 스크린을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의 터치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프로세서 120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 140은, 예를 들면, 상기 버스 110을 통해 상기 프로세서 120, 상기 메모리 130,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 160으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기 입출력 장치(예: 스피커 또는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 140은 상기 프로세서 120을 통하여 처리된 음성 데이터를 스피커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150은 사용자에게 각종 정보(예: 멀티미디어 데이터 또는 텍스트 데이터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 160은 상기 전자 장치 101과 외부 장치(예: 전자 장치 104 또는 서버 106) 간의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 160은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을 통해서 네트워크 162에 연결되어 상기 외부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상기 무선통신은, 예를 들어, Wifi(wireless fidelity), BT(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또는 cellular 통신(예: LTE, LTE-A, CDMA, WCDMA, UMTS, WiBro또는 GSM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선통신은, 예를 들어,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RS-232(recommended standard 232)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네트워크 162는 통신 네트워크(telecommunications network)일 수 있다. 상기 통신 네트워크는 컴퓨터 네트워크(computer network), 인터넷(internet),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또는 전화망(telephone network)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 101과 외부 장치 간의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예: transport layer protocol, data link layer protocol 또는 physical layer protocol)은 어플리케이션 134,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133, 상기 미들웨어 132, 커널 131 또는 통신 인터페이스 160 중 적어도 하나에서 지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두 개의 바디들이 서로 분리될 수 있는 전자 장치에 대하여 도시하고 기술하였으나, 그 이상의 개 수로 분리되어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적어도 두 개의 바디가 전자 장치로써 작용하며, 상호 연동되는 개념으로 개시되어 있으나, 서로 연동되지 않고 개별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별개의 전자 장치들일 수 있다. 또한, 각 바디 중 적어도 하나는 전자 부품을 포함하지 않는 액세서리 장치(예: 커버 장치)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로써 적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바디를 디스플레이를 갖는 태블릿 PC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디스플레이를 갖지 않는 휴대용 전자 장치에도 역시 적용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10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를 참고하면, 분리 가능한 전자 장치 10은, 예를 들면, 하나의 전자 장치 20의 상부에서 나머지 하나의 전자 장치 30을 정해진 각도(도 2c의 θ1)로 거치할 수 있다. 이러한 두 전자 장치는 서로 연결됨으로써 하나의 전자 장치 10 형태로 사용될 수 있으며, 각각의 전자 장치들 20, 30이 개별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분리 가능한 전자 장치 10은 제1바디 20과, 제1바디 20과 결합되는 제2바디 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바디 30은 사용하지 않을 경우,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중첩되는 방식으로 제1바디 20과 결합되어 전자 장치 10의 휴대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바디 30의 디스플레이 31은 제1바디 20의 장착면 211과 접하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바디 30의 배면이 제1바디 20의 장착면 211과 접하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바디 30은 사용될 경우, 제1바디 20에서 분리되며, 제1바디 20의 장착면 211에 형성된 거치홈 24에 의해 일정 각도로 거치시켜 사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장방형의 제2바디 30과 제1바디 20은 대체적으로 동일한 형태 및 크기로 형성되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제1바디 20의 장착면 211의 일부 영역만을 이용하여 제2바디 30을 수용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바디 20은, 예컨대, 통신 모듈, 안테나, 프로세서, 메모리, 배터리, 컨넥터, 버튼, 또는 카메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바디 20은 제2바디 20를 통하여 데이터를 입력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키 버튼 231을 포함하는 키 어셈블리 23(예: 키보드 장치)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바디 20은 근거리 통신 수단에 의해 제2바디 30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바디 20은 제2바디 30과 컨넥터, 접점, 케이블 등을 통해 유선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바디 20은 블루투스, 와이파이, 지그비, NFC 등 공지의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바디 20은 제2바디 30과 연결되기 위한 연결 버튼 2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연결 버튼 232는 제1바디 20(예: 커버 장치)와 제2바디 30(예: 태블릿 컴퓨터)의 통신 연결을 on 또는 off할 수 있는 버튼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제2바디 30이 제1바디 20의 거치홈 24에 거치되는 동작만으로 자동으로 제1바디 20과 제2바디 30은 서로 연동될 수도 잇다. 이러한 구성은 상세히 후술될 것이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바디 30은 제1바디 20에 형성된 거치홈 24의 자체 구조만으로 일정 각도(도 2c의 θ)로 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바디 30은 제1바디 20과 중첩되는 방식으로 장착될 경우, 제2바디 30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이 거치홈 24에 의해 단속받을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바디 20에는 별도의 개폐가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힌지 클립 25이 배치됨으로서, 제2바디 30가 제1바디 20에 중첩되는 방식으로 포개어졌을 때, 제2바디 30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단속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바디 30의 서로 대향되는 영역이 제1바디 20상에서 단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힌지 클립 25와 거치홈 24는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위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바디 20의 장착면 211에는 적어도 하나의 댐퍼 212가 더 설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댐퍼 212는 제1바디 20에 장착되는 제2바디 30를 지지함으로써 외부의 충격을 완충시켜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바디 20은 전면 케이스 프레임 21과 후면 케이스 프레임 22가 결합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면 케이스 프레임 21은 제2바디 30을 수용하기 위한 장착면 211으로 활용되며, 후면 케이스 프레임 22는 제1바디 20의 외관 일부로써 기여될 수 있으며, 힌지 클립 25가 장착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 클립 25는 일정 각도로 개폐가 가능하며, 일정 변곡 각도를 기준으로 개방되려는 방향과 폐쇄되려는 방향으로 가압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 클립 25가 폐쇄되었을 경우, 상부에 중첩되는 방식으로 장착된 제2바디 30의 외면 일부를 가압함으로써 제2바디 3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바디 30는 디스플레이 31을 포함하는 태블릿 PC와 같은 휴대용 전자 장치일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31의 주변에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부품 32가 더 설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전자 부품 32는 스피커 모듈, 마이크로폰 모듈, 카메라 모듈, 각종 센서 모듈, 안테나 모듈, 키 버튼 어셈블리, 각종 물리적 인터페이스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10의 제1바디 20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제1바디 20은 상부 케이스 프레임 21과 하부 케이스 프레임 22가 결합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케이스 프레임 21은 제2바디 30이 장착될 수 있는 장착면 211을 제공할 수 있다. 상부 케이스 프레임 21은 데이터 입력 수단으로 사용되는 복수의 키 버튼 231을 포함하는 키버튼 어셈블리 23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케이스 프레임 21은 제2바디 30을 거치시키기 위한 거치홈 24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거치홈 24는 저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곡형으로 형성되어 제2바디 30이 거치홈 24의 안내를 받아 회전을 유도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제2바디 30을 제1바디 20에서 완전히 분리시킨 후 다시 거치홈 24에 거치시키는 구성외에도, 제2바디 30의 거치홈 24에 삽입된 부분을 축으로 회전시키는 동작만으로 거치 동작이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사용자에게 노트북의 커버를 개방시키는 것과 같은 경험감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거치홈 24는 제2바디 30이 제1바디 20과 중첩되는 방식으로 장착될 경우, 제2바디 30의 일부를 y축 방향으로 수용할 수 있는 공간(도 9c의 2411)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거치홈 24는 제2바디 30을 일정 각도로 거치시킴과 동시에 제2바디 30이 제1바디 20에 장착될 경우, 제2바디 30의 일부를 단속할 수 있는 역할을 겸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거치홈 24의 양단에는 가이드 리브 243을 상방향으로 신장시킴으로써, 거치홈 24을 이용하여(거치홈을 회전축으로) 회동되는 제2바디 30이 x축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바디 20의 저부에는 개폐 가능한(회동 가능한) 힌지 클립 25가 설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 클립 25는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개폐 가능하게 동작하며, 일정 변곡 각도를 기준으로 개방되려는 방향과 폐쇄되려는 방향으로 가압받을 수 있다. 따라서, 제2바디 30이 제1바디 20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힌지 클립 25가 도시된 바와 같이 폐쇄되어 제2바디 30의 일부 영역을 지지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바디 20에 힌지 클립 25가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를 참고하면, 제1바디 20에는 저부에 힌지 클립 25을 장착하기 위한 힌지 클립 장착부 221이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 클립 장착부 221은 제1바디 20의 하부 케이스 프레임 22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상부 케이스 프레임 21에 형성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 클립 25에 개방되려는 방향 또는 폐쇄되려는 방향으로 가압력을 제공하기 위한 힌지 캠 모듈 251, 252이 힌지 클립 25와 힌지 클립 장착부 221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 클립 25는 상부 케이스 프레임 21 및 하부 케이스 프레임 22의 일정 부분씩 나뉘어서 설치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 클립 25는 별도로 구비된 고정 피스에 고정된 모듈 형태로 상, 하부 케이스 프레임 21, 22에 고정될 수도 있다.
도 4b 및 4c를 참고하면, 힌지 클립 25는 힌지 캠 모듈 251, 252이 수용되는 힌지구 2503이 양단에 형성된 원통형 힌지암 2502과, 힌지암 2502에서 연장 형성되어 폐쇄 동작에 의해 제2바디 30을 가압하기 위한 가압편 2501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 캠 모듈 251, 252는 바디 2512, 2522의 외측으로 회전 가능한 힌지 캠 2511, 2521이 돌출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힌지 캠 모듈 251, 252는 본원 출원인이 2002년 12월 17일자로 특허 출원 제2002-0080529호로 출원한 힌지 모듈 구성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 캠 모듈 251의 바디 2512는 힌지 클립 25의 힌지암 2502에 형성된 힌지구 2503에 고정될 수 있으며, 힌지 캠 2511은 제1바디 30의 힌지 캠 장착부 221에 고정될 수 있다. 또 하나의 힌지 캠 모듈 252 역시 동일한 방식으로 힌지 클립 25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힌지 클립 25가 회전될 경우, 힌지 캠 모듈 251의 바디 2512는 함께 회전할 수 있으며, 힌지 캠 2511은 회전 없이 그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 클립 25는 힌지 캠 모듈 251, 252 이외에도 스프링(예: 코일형 스프링, 판형 스프링 등)을 이용하여 자동 개폐 동작이 구현될 수도 있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바디에 힌지 클립이 설치된 후, 제2바디가 단속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c를 참고하면, 힌지 캠 모듈의 힌지 캠 2511은 힌지 클립 25가 폐쇄되려는 방향으로 일정 가압력 F를 갖도록 일정 각도 θ2로 설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각도 θ2는 0도 ~ 20도의 범위에서 설정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가압력 F는 힌지 클립 25의 초기 체결력을 강화시키고, 회전 후 사용자가 원치 않는 자동 닫힘을 방지할 수도 있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바디 30이 제1바디 20에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힌지 클립 25가 폐쇄되는 경우, 힌지 클립 25의 가압편 2501은 제1바디 20 방향으로 각도 θ2만큼 더 회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바디 30이 제1바디 20에 중첩되는 방식을 장착된 상태에서, 힌지 클립 25의 가압편 2501은 일정 가압력을 보유하며, 후퇴되는 상태가 되며, 가압편 2501의 전진하려는 가압력 F에 의해 제2바디 30은 제1바디 20에서 이탈되지 않고 견고히 단속받을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힌지 클립 25의 최대 개방 위치가 단속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를 참고하면, 힌지 클립 25는 제1바디 20에서 개폐 가능한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설치될 수 있으나, 힌지 캠 모듈에 의해 개방되려는 방향으로 가압받기 때문에 적당한 개방 위치에서 정지시킬 필요가 있다. 이러한 스토퍼 구조는 하부 케이스 프레임 22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1걸림부 2201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 클립 25가 완전히 개방된 위치에서 힌지 클립 25의 가압편 2501이 걸릴 수 있는 제1걸림부 2201을 제1바디 20의 하부 케이스 프레임 22에 형성함으로써, 힌지 클립 25의 과도한 회전 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 클립 25의 최대 개방 위치는 가압편 2501과 제1바디 20의 후면이 평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을 정도의 위치이며, 후방으로 더 이상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힌지 클립 25의 최대 개방 위치가 단속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를 참고하면, 힌지 클립 25는 제1바디 20에서 개폐 가능한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설치될 수 있으나, 힌지 캠 모듈에 의해 개방되려는 방향으로 가압받기 때문에 적당한 개방 위치에서 정지시킬 필요가 있다. 이러한 스토퍼 구조는 하부 케이스 프레임 22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2걸림부 2202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 클립 25가 완전히 개방되었다고 판단되는 위치에서 힌지 클립 25의 가압편 2501이 걸릴 수 있는 제2걸림부 2202를 제1바디 20의 하부 케이스 프레임 22에 형성함으로써, 힌지 클립 25의 과도한 회전 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 클립 25의 최대 개방 위치는 가압편 2501과 제1바디 20의 후면이 평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을 정도의 위치이며, 후방으로 더 이상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6a 및 도 6b는 힌지 클립 25의 가압편 2501이 제1바디 20의 후면에서 완전히 노출된 상태를 나타내며, 도 7a 및 도 7b는 힌지 클립 25의 가압편 2501이 제1바디 20의 후면에서 일부가 노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제1바디 20의 설계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바디 20의 하부 케이스 프레임 22에 힌지 클립 25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고하면, 제1바디 20의 하부 케이스 프레임 22에는 힌지 캠 모듈 251의 힌지 캠 2511이 삽입될 수 있는 개구 2213을 포함하는 힌지 캠 고정부 2211이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또 하나의 힌지 캠 모듈 252 역시 하부 케이스 프레임 22에 형성된 또 다른 힌지 캠 고정부 2212에 동일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 캠 고정부 2211은 힌지 클립 25에 돌출되는 힌지 캠 2511을 수용할 수 있으며, 힌지 캠 2511을 축으로 힌지 클립 25이 회전되도록 장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 캠 2511은 개구 2213에 관통되는 방식으로 장착됨으로써, 개구 2213를 통하여 힌지 캠 2511을 힌지 클립 25 방향으로 가압하여 힌지 클립 25을 제1바디 20에서 분리시킬 수 있다. 이러한 용이한 분리 구조는 힌지 클립 25가 파손되거나 교체할 필요가 있을 경우 유리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바디 20에 제2바디 30이 장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제1바디 20의 거치홈 24에 제2바디 30의 일단을 삽입한 후, 화살표 방향으로 제2바디 30의 타단을 하강시킬 수 있다. 그후, 제2바디 30이 완전히 제1바디 20과 접촉될 경우, 힌지 클립 25를 폐쇄시켜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바디 30의 타단 역시 힌지 클립 25에 의해 단속시킬 수 있다.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이 완료되면, 제1바디 20과 제2바디 30은 일치하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별도의 결합용 리브 등이 요구되지 않기 때문에 결합 구조를 위한 제1바디 20의 불필요한 부피 증가가 배제될 수 있다.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홈 24는 제1지지부 241과 제2지지부 242가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지지부 241은 제2바디 30이 장착되었을 때, 거치홈 24의 상부에서 제2바디 30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방식으로 형성됨으로서, 제2바디 30의 장착 공간 24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장착 공간 2411에 장착된 제2바디 30은 제1지지부 241의 지지를 받기 때문에 제2바디 30이 제1바디 20에서 수직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바디 20에 제2바디 30이 거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a 및 도 10b를 참고하면, 제2바디 30을 제1바디 20에서 분리시키기 위하여 힌지 클립 25를 도 10a의 화살표 방향으로 개방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힌지 클립 25는 일정 각도 이상으로 개방될 때, 자동으로 최대 개방 위치까지 개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 클립 25가 개방된 후, 제2바디 30의 단부를 들어올려 거치홈 24을 축으로 회전시키면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바디 30은 제1바디 20에서 일정 개폐 각도 θ1으로 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에에 따르면,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경우, 제1바디 20은 제1지지부 241 및 제2지지부 242의 지지를 받아 일정 각도로 거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바디 20의 거치홈 24에 형성되는 제1지지부 241 및 제2지지부 242의 형상 및 위치를 변경하여 설계하면, 제2바디 30은 제1바디 20에서 거치 각도가 변경될 수 있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바디 20과 제2바디 30이 자동으로 연동되기 위한 스위칭 수단 26을 포함하는 제1바디 20의 구성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를 참고하면, 제1바디 20의 거치홈 24의 적소에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칭 수단 26이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스위칭 수단 26은 제1바디 20에 제2바디 30이 거치됨을 감지하여, 제1바디 20와 제2바디 30이 기능적으로 자동으로 연동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스위칭 수단 26은 거치홈 24내에서 돌출되며, 제2바디 30가 거치되었을 경우, 제2바디 30에 의해 물리적으로 가압받을 수 있는 공지의 다양한 스위칭 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스위칭 장치로는 택트 스위치가 사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자동 연동 기능은 제2바디 30가 제1바디 20에 거치되었을 때, 제1바디 20의 전원을 on시킬 수 있으며, 분리될 경우에는 제1바디 20의 전원을 off시킴으로서 power saving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자동 연동 기능은 제2바디 30가 제1바디 20에 거치되었을 때, 제1바디 20의 블루투스 기능을 on시킴으로서 제2바디 30과 통신 가능한 상태로 자동 페어링될 수 있으며, 분리될 경우에는 제1바디 20의 블루투스 기능을 자동으로 off시키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은 사용자에게 장치의 사용 편리성을 제공함과 동시에 불필요한 전원 낭비를 방지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자동 연동 기능은 제2바디 30가 제1바디 20에 거치되었을 때, 제1바디 20의 해당 기능을 on시키고, 이에 연동하여 제2바디 30의 기능을 재차 연동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바디 30의 전원을 on/off 하거나, 모드 변경에 활용할 수도 있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바디 20과 제2바디 30이 자동으로 연동되기 위한 스위칭 수단 27, 28, 29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2a를 참고하면, 제2바디 30이 제1바디 20에 거치되었을 경우, 이 동작 또는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 수단으로 마그네트(magnet) 33와 자력 감지 센서 27을 사용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자력 감지 센서 27은 마그네틱 리드 스위치, 홀 센서(hall sensor)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바디 20에 자력 감지 센서 27을 배치하고, 제2바디 30에 마그네트 33를 배치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자력 감지 센서 27과 마그네트 33은 제2바디 30가 제1바디 20에 거치되었을 때, 자력 감지 센서 27이 반응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자력 감지 센서 27과 마그네트 33은 그 위치가 서로 바뀌어 구현될 수도 있다.
도 12b 및 12c를 참고하면, 제2바디 30이 제1바디 20에 거치되었을 경우, 이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 수단으로 물리적 스위치 28 또는 터치 센서 29를 제1바디 20에 설치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스위치 28 또는 터치 센서 29는 제1바디 20에 제2바디 30이 장착된 상태에서 거치된 상태로 변경될 때, 이를 감지함으로써 상술한 대응 기능들을 수행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스위칭 수단 또는 감지 수단을 제2바디 30이 개폐 동작을 수행하는 거치홈 24의 거동 영역내에 배치하여 제2바디의 최종 개방 또는 폐쇄 상태뿐만 아니라 개방되거나 폐쇄되는 동작 중에도 이 동작 또는 상태를 검출하여, 보다 다양한 전자 장치의 기능 활용에 이용할 수 있다.
도 13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힌지 클립 1300의 사시도이다.
도 13a를 참고하면, 힌지 클립 1300은 힌지암 1302와 힌지암 1302에서 연장 형성되는 가압부 1301을 포함할 수 있으며, 힌지암 1302에는 힌지 캠 모듈 1310이 설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암 1302의 중앙 부분은 외측으로 돌출된 만곡부 1303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3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힌지 클립 1300이 적용된 제1바디 20의 사시도이다. 도 13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힌지 클립 1300에 의해 제1바디 20에 장착된 제2바디 30이 분리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b 및 도 13c를 참고하면, 힌지 클립 1300이 제1바디 20에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후, 개방되었을 때, 만곡부 1303은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만곡부 1303은 제1바디 20의 장착면 211보다 높게 돌출되는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바디 20과 제2바디 30이 중첩되도록 결합된 상태에서 힌지 클립 1300을 개방시키면, 만곡부 1303에 의해 제2바디 30은 높이 h만큼 상방향으로 밀려 올라가게 되며, 사용자에게 편리하게 제2바디 30을 제1바디 20에서 분리시킬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미도시되었으나, 상술한 만곡부를 회전축 기준으로 비대칭 형상 등으로 설계하여, 힌지 클립이 개방되었을 경우, 제2바디 30을 상방향으로 들어올려주며, 제2바디 30을 누르는 동작만으로 만곡부에 회전력이 작용하여, 힌지 클립이 자동으로 제2바디를 단속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 1401의 블록도 1400을 도시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전자 장치 1401은,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 101의 전체 또는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전자 장치 1401은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application processor) 1410, 통신 모듈 1420,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카드 1424, 메모리 1430, 센서 모듈 1440, 입력 장치 1450, 디스플레이 1460, 인터페이스 1470, 오디오 모듈 1480, 카메라 모듈 1491, 전력관리 모듈 1495, 배터리 1496, 인디케이터 1497 및 모터 149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P 1410은 운영체제 또는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상기 AP 1410에 연결된 다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고,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포함한 각종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AP 1410은, 예를 들면, SoC(system on chip)로 구현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AP 1410은 GPU(graphic processing unit, 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모듈 1420(예: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 160)은 상기 전자 장치 1401(예: 상기 전자 장치 101)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다른 전자 장치들(예: 전자 장치 104 또는 서버 106) 간의 통신에서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통신 모듈 1420은 셀룰러 모듈 1421, Wifi 모듈 1423, BT 모듈 1425, GPS 모듈 1427, NFC 모듈 1428 및 RF(radio frequency) 모듈 142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셀룰러 모듈 1421은 통신망(예: LTE, LTE-A, CDMA, WCDMA, UMTS, WiBro 또는 GSM 등)을 통해서 음성 통화, 영상 통화, 문자 서비스 또는 인터넷 서비스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셀룰러 모듈 1421은, 예를 들면, 가입자 식별 모듈(예: SIM 카드 1424)을 이용하여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의 구별 및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셀룰러 모듈 1421은 상기 AP 1410이 제공할 수 있는 기능 중 적어도 일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셀룰러 모듈 1421은 멀티 미디어 제어 기능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셀룰러 모듈 1421은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P: communication 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셀룰러 모듈 1421은, 예를 들면, SoC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4에서는 상기 셀룰러 모듈 1421(예: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 상기 메모리 1430 또는 상기 전력관리 모듈 1495 등의 구성 요소들이 상기 AP 1410과 별개의 구성 요소로 도시되어 있으나,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AP 1410이 전술한 구성 요소들의 적어도 일부(예: 셀룰러 모듈 1421)를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AP 1410 또는 상기 셀룰러 모듈 1421(예: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은 각각에 연결된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다른 구성 요소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에 로드(load)하여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AP 1410 또는 상기 셀룰러 모듈 1421은 다른 구성 요소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하거나 다른 구성 요소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store)할 수 있다.
상기 Wifi 모듈 1423, 상기 BT 모듈 1425, 상기 GPS 모듈 1427 또는 상기 NFC 모듈 1428 각각은, 예를 들면, 해당하는 모듈을 통해서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4에서는 셀룰러 모듈 1421, Wifi 모듈 1423, BT 모듈 1425, GPS 모듈 1427 또는 NFC 모듈 1428이 각각 별개의 블록으로 도시되었으나, 한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 1421, Wifi 모듈 1423, BT 모듈 1425, GPS 모듈 1427 또는 NFC 모듈 1428 중 적어도 일부(예: 두 개 이상)는 하나의 integrated chip(IC) 또는 IC 패키지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셀룰러 모듈 1421, Wifi 모듈 1423, BT 모듈 1425, GPS 모듈 1427 또는 NFC 모듈 1428 각각에 대응하는 프로세서들 중 적어도 일부(예: 셀룰러 모듈 1421에 대응하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 및 Wifi 모듈 1423에 대응하는 Wifi 프로세서)는 하나의 SoC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RF 모듈 1429는 데이터의 송수신, 예를 들면, RF 신호의 송수신을 할 수 있다. 상기 RF 모듈 1429는, 도시되지는않았으나, 예를 들면, 트랜시버(transceiver), PAM(power amp module), 주파수필터(frequency filter) 또는 LNA(low noise amplifi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RF 모듈 1429는 무선 통신에서 자유 공간상의 전자파를 송수신하기 위한 부품, 예를 들면, 도체 또는 도선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4에서는 셀룰러 모듈 1421, Wifi 모듈 1423, BT 모듈 1425, GPS 모듈 1427 및 NFC 모듈 1428이 하나의 RF 모듈 1429를 서로 공유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한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 1421, Wifi 모듈 1423, BT 모듈 1425, GPS 모듈 1427 또는 NFC 모듈 1428 중 적어도 하나는 별개의 RF 모듈을 통하여 RF 신호의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SIM 카드 1424는 가입자 식별 모듈을 포함하는 카드일 수 있으며, 전자 장치의 특정 위치에 형성된 슬롯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SIM 카드 1424는 고유한식별정보(예: ICCID(integrated circuit card identifier)) 또는 가입자정보(예: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1430(예: 상기 메모리 130)은 내장 메모리 1432 또는 외장 메모리 14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장메모리 1432는, 예를 들면, 휘발성 메모리(예를들면, DRAM(dynamic RAM), SRAM(static RAM), SDRAM(synchronous dynamic RAM) 등)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 예를 들면, OTPROM(one time programmable ROM),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mask ROM, flash ROM, NAND flash memory, NOR flash memory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내장 메모리 1432는 Solid State Drive (SSD)일 수 있다. 상기 외장메모리 1434는 flash drive, 예를 들면, CF(compact flash), SD(secure digital), Micro-SD(micro secure digital), Mini-SD(mini secure digital), xD(extreme digital) 또는 Memory Stick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외장메모리 1434는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전자장치 1401과 기능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장치 1401은 하드드라이브와 같은 저장 장치(또는 저장 매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 모듈 1440은 물리량을 계측하거나 전자 장치 1401의 작동 상태를 감지하여, 계측 또는 감지된 정보를 전기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센서 모듈 1440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1440A, 자이로 센서 1440B, 기압 센서 1440C, 마그네틱 센서 1440D, 가속도 센서 1440E, 그립 센서 1440F, 근접 센서 1440G, color 센서 1440H(예: RGB(red, green, blue) 센서), 생체 센서 1440I, 온/습도 센서 1440J, 조도 센서 1440K 또는 UV(ultra violet) 센서 1440M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상기 센서 모듈 1440은, 예를 들면, 후각 센서(E-nose sensor, 미도시), EMG 센서(electromyography sensor, 미도시), EEG 센서(electroencephalogram sensor, 미도시), ECG 센서(electrocardiogram sensor, 미도시), IR(infra red) 센서(미도시), 홍채 센서(미도시) 또는 지문 센서(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 모듈 1440은 그 안에 속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장치 1450은 터치 패널(touch panel) 1452, (디지털) 펜 센서(pen sensor) 1454, 키(key) 1456 또는 초음파(ultrasonic) 입력 장치 145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패널 1452는, 예를 들면, 정전식, 감압식, 적외선 방식 또는 초음파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터치 입력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 패널 1452는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정전식의 경우, 물리적 접촉 또는 근접 인식이 가능하다. 상기 터치 패널 1452는 택타일 레이어(tactile layer)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터치 패널 1452는 사용자에게 촉각 반응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펜 센서 1454는, 예를 들면,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받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한 방법 또는 별도의 인식용 쉬트(sheet)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키 1456은, 예를 들면, 물리적인 버튼, 광학식 키 또는 키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초음파(ultrasonic) 입력 장치 1458은 초음파 신호를 발생하는 입력 도구를 통해, 전자 장치 1401에서 마이크(예: 마이크 1488)로 음파를 감지하여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는 장치로서, 무선 인식이 가능하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 1401은 상기 통신 모듈 1420을 이용하여 이와 연결된 외부 장치(예: 컴퓨터 또는 서버)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1460(예: 상기 디스플레이 150)은 패널 1462, 홀로그램 장치 1464 또는 프로젝터 146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널 1462는, 예를들면, LCD(liquid-crystal display) 또는 AM-OLED(active-matrix organic light-emitting diode) 등일 수 있다. 상기 패널 1462은, 예를 들면, 유연하게(flexible), 투명하게(transparent) 또는 착용할 수 있게(wearable)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패널 1462는 상기 터치 패널 1452와 하나의 모듈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홀로그램 장치 1464는 빛의 간섭을 이용하여 입체 영상을 허공에 보여줄 수 있다. 상기 프로젝터 1466은 스크린에 빛을 투사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스크린은, 예를 들면, 상기 전자 장치 1401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1460은 상기 패널 1462, 상기 홀로그램 장치 1464, 또는 프로젝터 1466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 1470은, 예를 들면,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1472, USB(universal serial bus) 1474, 광 인터페이스(optical interface) 1476 또는 D-sub(D-subminiature) 147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 1470은,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통신 인터페이스 160에 포함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상기 인터페이스 1470은, 예를 들면, MHL(mobile high-definition link) 인터페이스, SD(secure Digital) 카드/MMC(multi-media card) 인터페이스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규격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모듈 1480은 소리(sound)와 전기 신호를 쌍방향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상기 오디오 모듈 1480의 적어도 일부 구성 요소는, 예를 들면, 도 1 에 도시된 입출력 인터페이스 140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모듈 1480은, 예를 들면, 스피커 1482, 리시버 1484, 이어폰 1486 또는 마이크 1488 등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소리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 1491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장치로서, 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이미지 센서(예: 전면 센서 또는 후면 센서), 렌즈(미도시), ISP(image signal processor, 미도시) 또는 플래쉬(flash, 미도시)(예: LED 또는 xenon lamp)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력 관리 모듈 1495는 상기 전자 장치 1401의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전력 관리 모듈 1495는,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 충전 IC(charger integrated circuit) 또는 배터리 또는 연료게이지(battery or fuel gaug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PMIC는, 예를 들면, 집적회로 또는 SoC 반도체 내에 탑재될 수 있다. 충전 방식은 유선과 무선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충전 IC는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으며, 충전기로부터의 과전압 또는 과전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충전 IC는 유선 충전 방식 또는 무선 충전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한 충전 IC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충전 방식으로는, 예를 들면, 자기공명 방식, 자기유도 방식 또는 전자기파 방식 등이 있으며, 무선 충전을 위한 부가적인 회로, 예를 들면, 코일 루프, 공진 회로 또는 정류기 등의 회로가 추가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게이지는, 예를 들면, 상기 배터리 1496의 잔량, 충전 중 전압, 전류 또는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1496은 전기를 저장 또는 생성할 수 있고, 그 저장 또는 생성된 전기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 1401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1496은, 예를 들면, 충전식전지(rechargeable battery) 또는 태양전지(solar battery)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디케이터 1497은 상기 전자 장치 1401 혹은 그 일부(예: 상기 AP 1410)의 특정 상태, 예를 들면, 부팅 상태, 메시지 상태 또는 충전 상태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모터 1498은 전기적 신호를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전자 장치 1401은 모바일 TV 지원을 위한 처리 장치(예: GPU)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TV 지원을 위한 처리 장치는, 예를 들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또는 미디어플로우(media flow) 등의 규격에 따른 미디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전술한 구성 요소들 각각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부품(component)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 요소의 명칭은 전자 장치의 종류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구성 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일부 구성 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 요소들 중 일부가 결합되어 하나의 개체(entity)로 구성됨으로써, 결합되기 이전의 해당 구성 요소들의 기능을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사용된 용어 "모듈"은, 예를 들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firmware)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단위(unit)를 의미할 수 있다. "모듈"은 예를 들어, 유닛(unit), 로직(logic), 논리블록(logical block), 부품(component) 또는 회로(circuit) 등의 용어와 바꾸어 사용(interchangeably use)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모듈"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도 있다. "모듈"은 기계적으로 또는 전자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은, 알려졌거나 앞으로 개발될, 어떤 동작들을 수행하는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칩, FPGAs(field-programmable gate arrays) 또는 프로그램 가능 논리 장치(programmable-logic de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예: 모듈들 또는 그 기능들) 또는 방법(예: 동작들)의 적어도 일부는, 예컨대, 프로그래밍 모듈의 형태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에 저장된 명령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예: 상기 프로세서 1410)에 의해 실행될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상기 명령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는, 예를 들면, 상기 메모리 1430이 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래밍 모듈의 적어도 일부는, 예를 들면, 상기 프로세서 210에 의해 구현(implement)(예: 실행)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래밍 모듈의 적어도 일부는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예를 들면, 모듈, 프로그램, 루틴, 명령어 세트 (sets of instructions) 또는 프로세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마그네틱 매체(Magnetic Media)와, CD-ROM(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ersatile Disc)와 같은 광기록매체(Optical Media)와,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와, 그리고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명령(예: 프로그래밍모듈)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 또는 프로그래밍 모듈은 전술한 구성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거나, 일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 프로그래밍 모듈 또는 다른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heuristic)한 방법으로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동작은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전자 장치 20: 제1바디
25: 힌지 클립 30: 제2바디

Claims (24)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다른 전자 장치를 수용하기 위한 장착면;
    상기 장착면에 형성된 거치홈; 및
    상기 장착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클립을 포함하고,
    상기 다른 전자 장치가 상기 거치홈에 지정된 각도로 거치된 상태에서, 상기 거치홈은 지정된 거치 각도로 상기 다른 전자 장치를 지지하고,
    상기 다른 전자 장치가 상기 전자 장치와 중첩되는 방식으로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거치홈은 상기 다른 전자 장치의 일단을 단속하고, 상기 클립은 상기 다른 전자 장치의 타단을 단속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전자 장치는 상기 클립에 의해 단속이 해제된 후, 상기 거치홈을 회전축으로 상기 거치 각도까지 회전되는 방식으로 개방되는 전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홈의 양단은 상방향으로 상기 전자 장치의 적어도 상면까지 신장되는 가이드 리브가 형성되어 상기 다른 전자 장치가 좌측 및 우측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전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홈은 상기 다른 전자 장치가 상기 전자 장치에 중첩되는 방식으로 장착되었을 때, 상기 다른 전자 장치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여 단속하기 위한 장착 공간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홈은 상기 다른 전자 장치가 수용되었을 때, 상기 다른 전자 장치의 후면을 지지하기 위한 제1지지부 및 상기 다른 전자 장치의 전면을 지지하기 위한 제2지지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은,
    중공형 힌지암;
    상기 힌지암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전자 장치에 장착된 상기 다른 전자 장치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감싸는 방식으로 가압하는 가압편; 및
    상기 힌지암의 중공 부분에서 힌지 캠이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힌지 캠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클립은 상기 힌지 캠 모듈의 힌지 캠이 상기 전자 장치에 고정되는 방식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전자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은 상기 힌지 캠 모듈에 의해 일정 변곡 각도를 기준으로 개방되려는 방향 또는 폐쇄되려는 방향으로 가압받도록 설치되는 전자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은 최초 설치시, 상기 가압편이 상기 전자 장치의 내측 방향으로 일정 가압 각도를 갖도록 가압력을 보유하게 설치되는 전자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편의 가압 각도는 0도 ~ 20도의 범위를 갖도록 설치되는 전자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암의 중앙 부분은 외측으로 만곡진 만곡부로 형성하여, 상기 클립이 개방되었을 때, 장착된 상기 다른 전자 장치를 상방향으로 밀어올리도록 구성되는 전자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다른 전자 장치가 상기 전자 장치에 거치되었음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 수단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수단은 상기 다른 전자 장치에 설치되는 마그네트의 자력을 감지하기 위하여 상기 전자 장치에 설치되는 자력 감지 센서인 전자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수단은 상기 다른 전자 장치의 거치 동작을 감지하기 위하여 상기 거치홈 내에 배치되는 물리적 스위칭 장치 및 터치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인 전자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수단에 의해 상기 다른 전자 장치가 상기 전자 장치에 거치됨을 감지하면,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다른 전자 장치는 기능적으로 연동되는 전자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은 상기 전자 장치 및 상기 다른 전자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전원 온/오프 기능,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다른 전자 장치 간의 근거리 무선통신 연결 기능, 전원 절약 기능, 및 모드 변경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다른 전자 장치는 개별적으로 동작하거나, 서로 연동되어 동작하는 전자 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장착면 상에 데이터 입력 수단으로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키 버튼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전자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와 기능적으로 연동될 때, 상기 전자 장치의 키 버튼 입력을 수용하고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은 상기 거치홈과 대향되는 방향에 설치되는 전자 장치.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다른 전자 장치가 상기 전자 장치에서 개방되거나 폐쇄되는 과정 중의 동작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 수단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은 완전히 개방되었을 때, 상기 다른 전자 장치를 상방향으로 밀어올리는 만곡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부는, 상기 다른 전자 장치를 상기 전자 장치 방향으로 가압하는 동작만으로 회전되어 상기 다른 전자 장치를 단속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전자 장치.
  23. 전자 장치에 있어서,
    다른 전자 장치를 수용하기 위한 장착면;
    상기 장착면에 형성되어, 상기 다른 전자 장치를 일정 각도로 거치시키기 위한 거치홈; 및
    상기 장착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다른 전자 장치의 적어도 일부를 단속하는 클립을 포함하되,
    상기 거치홈은,
    상기 다른 전자 장치가 상기 일정 각도로 거치될 때, 상기 다른 전자 장치의 후면을 지지하고, 상기 다른 전자 장치가 상기 장착면에 중첩되도록 결합될 때, 상기 다른 전자 장치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방식으로 단속하는 장착 공간을 포함하는 제1지지부; 및
    상기 다른 전자 장치가 상기 일정 각도로 거치될 때, 상기 다른 전자 장치의 전면을 지지하는 제2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른 전자 장치는 일단이 상기 거치홈을 피봇축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지지부 및 상기 제2지지부에 의해 거치되고, 상기 제1지지부의 장착 공간 및 상기 클립에 의해 상기 전자 장치와 중첩되는 방식으로 결합되는 전자 장치.
  24. 삭제
KR1020140059289A 2014-05-16 2014-05-16 분리 가능한 전자 장치 Active KR1021663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9289A KR102166378B1 (ko) 2014-05-16 2014-05-16 분리 가능한 전자 장치
PCT/KR2015/004904 WO2015174783A1 (en) 2014-05-16 2015-05-15 Detachable electronic device
CN201580025392.XA CN106462187B (zh) 2014-05-16 2015-05-15 可分离的电子装置
US14/713,169 US9715253B2 (en) 2014-05-16 2015-05-15 Detachable electronic device
EP15167827.3A EP2945040B1 (en) 2014-05-16 2015-05-15 Detachable electronic device
US15/657,691 US10133311B2 (en) 2014-05-16 2017-07-24 Detachable electronic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9289A KR102166378B1 (ko) 2014-05-16 2014-05-16 분리 가능한 전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1878A KR20150131878A (ko) 2015-11-25
KR102166378B1 true KR102166378B1 (ko) 2020-10-15

Family

ID=53189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9289A Active KR102166378B1 (ko) 2014-05-16 2014-05-16 분리 가능한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9715253B2 (ko)
EP (1) EP2945040B1 (ko)
KR (1) KR102166378B1 (ko)
CN (1) CN106462187B (ko)
WO (1) WO20151747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30656B2 (en) * 2010-11-12 2014-05-20 Apple Inc. Unitary housing for electronic device
KR102439789B1 (ko) * 2016-01-04 2022-09-02 삼성전자주식회사 거치 기능을 가지는 전자 장치
TWI650527B (zh) * 2017-07-31 2019-02-11 和碩聯合科技股份有限公司 可攜式電子裝置及控制方法
TWI648657B (zh) * 2017-10-23 2019-01-21 群光電子股份有限公司 鍵盤裝置及系統操作方法
CN109753160B (zh) * 2017-11-08 2022-04-19 群光电子股份有限公司 键盘装置及系统操作方法
CN112015282A (zh) * 2019-05-30 2020-12-01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键盘套及具有所述键盘套的电子装置
TWI811068B (zh) * 2022-08-18 2023-08-01 神基科技股份有限公司 傳輸座與電子裝置
TWI847686B (zh) * 2023-05-10 2024-07-01 佳世達科技股份有限公司 燈具裝置及其之使用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92195A1 (en) * 2010-10-13 2012-04-19 Sunrex Technology Corp. Protective Device for an Electronic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29757A (en) * 1989-10-18 1993-07-20 Sharp Kabushiki Kaisha Computer device having detachable keyboard mounted on a rotatable display
US5175672A (en) * 1990-08-09 1992-12-29 Outbound Systems, Inc. Housing apparatus for portable computer systems
KR20020080529A (ko) 2001-04-16 2002-10-26 김현성 의료계용 전자문서교환 시스템 및 방법
US6788527B2 (en) * 2002-05-31 2004-09-0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Tablet computer keyboard and system and method incorporating same
US6856506B2 (en) * 2002-06-19 2005-02-15 Motion Computing Tablet computing device with three-dimensional docking support
KR20040054037A (ko) * 2002-12-17 2004-06-2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힌지 모듈
US7082028B2 (en) * 2004-07-08 2006-07-25 Swivel It, Inc. Rotatable computer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US9010537B2 (en) 2010-11-04 2015-04-21 Jeffrey D. Carnevali Protective enclosure for touch screen device
US20100238620A1 (en) 2009-03-23 2010-09-23 Ram David Adva Fish Magnetic Notebooks and Tablets
US7911779B1 (en) * 2009-09-30 2011-03-22 L&P Property Management Company Computer docking station
KR101084651B1 (ko) * 2010-03-05 2011-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확장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휴대 전자기기
TWI439215B (zh) * 2010-05-28 2014-05-21 Asustek Comp Inc 擴充基座及使用其之電子裝置
US8934219B2 (en) * 2011-03-24 2015-01-13 Nokia Corporation Electronic apparatus with a detachable display
TWI457791B (zh) * 2011-05-13 2014-10-21 Wistron Corp 擴充鍵盤裝置
US9218024B2 (en) * 2011-06-23 2015-12-22 Zagg Intellectual Property Holding Co., Inc. Accessory and support for electronic devices, systems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s
KR101302470B1 (ko) 2012-01-04 2013-09-02 김은희 블루투스용 키보드를 구비한 케이스
TWI502311B (zh) * 2012-01-06 2015-10-01 Wistron Corp 可攜式電子裝置之擴充裝置
TWI498866B (zh) * 2012-01-17 2015-09-01 First Dome Corp Multi-directional support structure of flat panel display device
US20130214661A1 (en) 2012-02-22 2013-08-22 Brian Dale McBroom Folding Tablet Keyboard Case
TWI459884B (zh) * 2012-03-21 2014-11-01 Inventec Corp 支撐結構
US9069527B2 (en) 2012-07-26 2015-06-30 Brydge Llc Tablet support apparatus
US9494976B2 (en) 2012-09-11 2016-11-15 Logitech Europe S.A. Protective cover for a tablet computer
JP5710662B2 (ja) * 2013-02-07 2015-04-30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電子機器
US8599542B1 (en) * 2013-05-17 2013-12-03 Zagg Intellectual Property Holding Co., Inc. Combined cover, keyboard and stand for tablet computer with reversable connection for keyboard and reading configuration
US9348363B2 (en) * 2013-12-28 2016-05-24 Intel Corporation Counterbalance system for computer assembl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92195A1 (en) * 2010-10-13 2012-04-19 Sunrex Technology Corp. Protective Device for an Electronic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45040B1 (en) 2022-09-07
WO2015174783A1 (en) 2015-11-19
US20150331455A1 (en) 2015-11-19
US10133311B2 (en) 2018-11-20
EP2945040A1 (en) 2015-11-18
US20170322599A1 (en) 2017-11-09
KR20150131878A (ko) 2015-11-25
CN106462187A (zh) 2017-02-22
CN106462187B (zh) 2019-10-18
US9715253B2 (en) 2017-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6378B1 (ko) 분리 가능한 전자 장치
US10701194B2 (en) Electronic device with metal frame antenna
KR102202228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207206B1 (ko) 액세서리 장치의 정보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방법 및 관련된 액세서리 장치
KR102241291B1 (ko)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213812B1 (ko) 2축 힌지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장치
KR102181156B1 (ko) 무선 충전을 위한 커버 부재와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208441B1 (ko) 화면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194301B1 (ko) 전자 장치들의 통신 연결 방법 및 장치
KR102219857B1 (ko)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214485B1 (ko) 전기적 연결 장치 및 그것을 갖는 전자 장치
KR102207114B1 (ko)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이의 운용 방법
US9747067B2 (en)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152924B1 (ko) 전도체를 이용한 안테나 및 전자 장치
CN107111747B (zh) 用于驱动指纹传感器的方法和电子设备
CN107111342A (zh) 包括旋转体的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
US20160109936A1 (en) Display control method and protective cover in electronic device
US20160088476A1 (en) Electronic device, accessory device, and method of authenticating accessory device
US10594350B2 (en) Method of recognizing flip cover of electronic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flip cover
KR102267534B1 (ko) 방수 구조를 갖는 전자 장치
KR102197008B1 (ko) 프레임 결합 구조 및 그것이 적용된 전자 장치
KR102241831B1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운영 방법
KR102178301B1 (ko) 전환 정보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220766B1 (ko) 메시지를 구성하는 전자 장치와 방법 및 메시지를 수신하여 실행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와 방법
KR102243235B1 (ko) 전자 장치, 그 제어 방법, 기록 매체 및 상기 전자 장치와 연동되는 이어잭 단자 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51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051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4051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4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717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10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10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9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