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165857B1 - 착용식 센싱 디바이스를 이용한 생체 데이터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착용식 센싱 디바이스를 이용한 생체 데이터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5857B1
KR102165857B1 KR1020180130611A KR20180130611A KR102165857B1 KR 102165857 B1 KR102165857 B1 KR 102165857B1 KR 1020180130611 A KR1020180130611 A KR 1020180130611A KR 20180130611 A KR20180130611 A KR 20180130611A KR 102165857 B1 KR102165857 B1 KR 1021658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ng device
biometric data
wearable sensing
data
contain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0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8472A (ko
Inventor
박진영
이서준
Original Assignee
박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진영 filed Critical 박진영
Priority to KR10201801306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5857B1/ko
Publication of KR202000484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84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5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5857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02Sensor mounted on worn i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71Specific aspects of physiological measurement analysis
    • A61B5/7275Determining trends in physiological measurement data; Predicting development of a medical condition based on physiological measurements, e.g. determining a risk fac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th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ology (AREA)
  • Psychiat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착용식 센싱 디바이스를 이용한 생체 데이터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 데이터 모니터링 시스템은 모니터링 대상자의 신체에 착용되어 생체 데이터를 감지하는 착용식 센싱 디바이스(10); 상기 착용식 센싱 디바이스(10)에 의해 감지된 생체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리더기(20); 상기 데이터 리더기(20)로부터 상기 생체 데이터를 전송받아 분석하는 데이터 서버(30); 및 상기 데이터 서버(30)에 의해 얻어진 데이터 분석 결과를 표시하는 모니터링 단말기(4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착용식 센싱 디바이스를 이용한 생체 데이터 모니터링 시스템{BIOLOGICAL DATA MONITORING SYSTEM USING WEARABLE SENSING DEVICE}
본 발명은 생체 데이터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모니터링 대상자의 신체에 착용되는 착용식 센싱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생체 데이터를 감지하고 분석하는 생체 데이터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IT 기술, 통신 기술 및 센싱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병원에 가지 않더라도 일상 생활 속에서 생체 데이터를 수집하여 사람의 건강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돕는 다양한 기술들이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생체 데이터 모니터링 기술들은 하루 일과 중의 몇 시간 동안의 생체 데이터를 감지하여 건강 상태를 수시로 체크하는 방식이 적용되기도 하고, 건강 상태를 수시 체크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비교적 긴 기간 동안, 가령 수개월 동안, 생체 데이터를 누적적으로 수집하여 해당 기간 동안의 건강 상태의 변화를 분석하는 방식이 적용되기도 한다.
후자와 같은 방식으로 사람의 건상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기술의 경우, 막대한 양의 생체 데이터가 수집되는 환경에서도 관련 IT 기기들이 별다른 문제 없이 최대한 원활하게 작동될 수 있도록 모니터링 시스템의 최적화가 특히 요구된다.
본 발명은 착용식 센싱 디바이스를 이용한 생체 데이터 모니터링 시스템이 막대한 양의 생체 데이터가 수집되는 환경에서 사용되는 경우에도 그 시스템에 구비된 IT 기기들이 최대한 원활하게 작동될 수 있도록 최적화된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모니터링 대상자의 신체에 착용되어 생체 데이터를 감지하는 착용식 센싱 디바이스(10); 상기 착용식 센싱 디바이스(10)에 의해 감지된 생체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리더기(20); 상기 데이터 리더기(20)로부터 상기 생체 데이터를 전송받아 분석하는 데이터 서버(30); 및 상기 데이터 서버(30)에 의해 얻어진 데이터 분석 결과를 표시하는 모니터링 단말기(40);를 포함하는, 착용식 센싱 디바이스를 이용한 생체 데이터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데이터 리더기(20)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착용식 센싱 디바이스(10)로부터 상기 생체 데이터를 수신하며, 와이파이 통신을 통해 상기 데이터 서버(30)에 상기 생체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착용식 센싱 디바이스(10)는 손가락 착용 디바이스(11)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고, 상기 손가락 착용 디바이스(11)는 생체 데이터 감지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싱 모듈(11a) 및 상기 데이터 리더기(20)와의 무선통신을 위한 센싱 디바이스 통신모듈(11b)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착용식 센싱 디바이스(10)는 구강내 착용 디바이스(12)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고, 상기 구강내 착용 디바이스(12)는 생체 데이터 감지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싱 모듈(12a) 및 상기 데이터 리더기(20)와의 무선통신을 위한 센싱 디바이스 통신모듈(12b)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데이터 리더기(20)는 상기 착용식 센싱 디바이스(10)와의 전자통신을 위한 제1 리더기 통신모듈(580) 및 상기 데이터 서버(30)와의 전자통신을 위한 제2 리더기 통신모듈(590)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데이터 리더기(20)는 상기 착용식 센싱 디바이스(10)의 보관 또는 세척을 위해 상기 착용식 센싱 디바이스(10)를 수용할 수 있는 용기 파트(100); 및
상기 용기 파트(100)가 안착되며 상기 제1 및 제2 리더기 통신모듈(580, 590)를 구비한 스테이션 파트(500);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용기 파트(100)에는 초음파 진동자(250)가 내장되고, 상기 용기 파트(100)의 저면에는 상기 초음파 진동자(250)에 연결된 제1 및 제2 진동자 단자(241, 242)가 구비되고, 상기 스테이션 파트(500)의 상면에는 상기 제1 및 제2 진동자 단자(241, 242)에 각각 접촉되는 제1 및 제2 전기공급 단자(511, 512)가 구비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용기 파트(100)는 원통 형상일 수 있고, 상기 스테이션 파트(500)는 상기 용기 파트(100)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의 원기둥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진동자 단자(241, 242)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전기공급 단자(511, 512)는 원형 단자로 구비되고 상기 데이터 리더기(20)의 중심축(X)을 중심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용기 파트(100)는 상측이 개방된 용기 본체(200, 200A) 및 상기 용기 본체(200, 200A)의 상측을 개폐하기 위한 용기 커버(300);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스테이션 파트(500)는 상기 세척 대상물의 살균을 위한 UV 램프(530)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용기 파트(100)의 바닥부(230)에는 상기 UV 램프(530)로부터 나오는 UV 광을 상기 용기 파트(100) 내에 확산시키기 위한 확산렌즈(23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테이션 파트(500)에는 상기 UV 램프(530)로부터 나오는 UV 광을 상기 용기 파트(100) 내부로 안내하는 광안내홀(531)이 형성되고, 상기 광안내홀(531)에는 광투과창(535)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용기 파트(100)는 상측이 개방된 용기 본체(200, 200A) 및 상기 용기 본체(200)의 상측을 개폐하기 위한 용기 커버(300)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고, 상기 용기 커버(300)에는 상기 UV 램프(530)로부터 상기 용기 파트(100)에 제공된 UV 광을 외부로부터 시인 가능하게 하는 커버창(32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용기 파트(100)는 원통 형상이고, 상기 스테이션 파트(500)는 상기 용기 파트(100)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의 원기둥 형상일 수 있고, 상기 UV 램프(530), 상기 광투과창(535), 상기 확산렌즈(231) 및 상기 커버창(320)은 상기 데이터 리더기(20)의 중심축(X)을 따라 정렬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식 센싱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생체 데이터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구비되는 착용식 센싱 디바이스의 일 실시예를 보이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1의 시스템에 구비되는 착용식 센싱 디바이스의 다른 실시예를 보이는 개략도이다.
도 4는 도 1의 시스템에 구비되는 데이터 리더기의 일 실시예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리더기의 분해하여 보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리더기의 용기 본체의 저면을 보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리더기의 스테이션 파트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리더기의 종방향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따른 착용식 센싱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생체 데이터 모니터링 시스템의 실시예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착용식 센싱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생체 데이터 모니터링 시스템은 사람의 생체 데이터를 감지하고 이를 분석하여 사람의 건강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식 센싱 디바이스(10), 데이터 리더기(20), 데이터 서버(30) 및 모니터링 단말기(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착용식 센싱 디바이스(10)는 모니터링 대상자의 신체에 착용되어 생체 데이터를 감지하는 구성이고, 데이터 리더기(20)는 착용식 센싱 디바이스(10)에 의해 감지된 생체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를 데이터 서버(30)로 전송하는 구성이고, 데이터 서버(30)는 데이터 리더기(20)로부터 상기 생체 데이터를 전송받아 이를 저장 및 분석하는 구성이며, 모니터링 단말기(40)는 데이터 서버(30)에 의해 산출된 데이터 분석 결과를 표시하는 구성이다.
이하에서 이들 각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1. 착용식 센싱 디바이스 (10)
착용식 센싱 디바이스(10)는 모니터링 대상자의 신체에 착용되어 그 대상자의 생체 데이터를 감지한다.
여기서, 모니터링 대상자는 자신의 건강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착용식 센싱 디바이스(10)를 착용하는 사람으로서 어떤 질병이 있어 그 치유 목적의 일환으로 모니터링을 희망하는 사람일 수도 있고 별다른 질병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건강한 일상을 유지하거나 건강 상태의 증진을 위해 모니터링을 희망하는 사람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는 다양한 유형의 착용식 센싱 디바이스(10)가 적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착용식 센싱 디바이스(10)는 모니터링 대상자의 손가락에 착용 가능한 형태로 제작된 손가락 착용 디바이스(1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가락 착용 디바이스(11)는 손가락에 끼우기 용이하게 반지 같은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손가락 착용 디바이스(11)는 생체 데이터 감지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싱 모듈(11a)과, 데이터 리더기(20)와의 무선통신을 위한 센싱 디바이스 통신모듈(11b)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도 2의 예에서, 손가락 착용 디바이스(11)는 2개의 센싱 모듈(11a)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센싱 모듈(11a)의 개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센싱 모듈(11a)은 하나 이상의 생체 데이터 감지 센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센싱 모듈(11a)은 산소 포화도를 감지하여 호흡 패턴을 분석하기 위한 PPG(photoplethysmogram) 센서, 체온감지를 위한 온도센서 및 바이오피드백 감지를 위한 진동자 중에서 한 가지 이상을 구비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착용식 센싱 디바이스(10)는 모니터링 대상자의 구강 내에 착용되는 구강내 착용 디바이스(12)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구강내 착용 디바이스(12)는 전형적으로 이갈이 교정을 위해 수면 중에 착용하는 MAD 기구(Mandibular Advancement Device)일 수도 있고, 평상 시에 착용되는 틀니 등의 치과보철물일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강내 착용 디바이스(12)는 생체 데이터 감지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싱 모듈(12a)과, 데이터 리더기(20)와의 무선통신을 위한 센싱 디바이스 통신모듈(12b)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도 3의 예에서, 구강내 착용 디바이스(12)는 2개의 센싱 모듈(12a)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센싱 모듈(12a)의 개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센싱 모듈(12a)은 하나 이상의 생체 데이터 감지 센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센싱 모듈(12a)은 이갈이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압전센서, 수면 중 머리 움직임이나 호흡패턴을 분석하기 위한 가속도센서(또는 자이로스코프), 체온감지를 위한 온도센서 및 바이오피드백 감지를 위한 진동자 중에서 한 가지 이상을 구비하는 것일 수 있다.
2. 데이터 리더기(20)
데이터 리더기(20)의 주 기능은 착용식 센싱 디바이스(10)에 의해 감지된 생체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를 데이터 서버(30)로 전송하는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데이터 리더기(20)는 근거리 무선통신(예: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착용식 센싱 디바이스(10)로부터 생체 데이터를 수신하며, 와이파이(WiFi) 통신을 통해 데이터 서버(30)에 생체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일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데이터 리더기(20)는 착용식 센싱 디바이스(10)와 데이터 서버(30) 사이에서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허브(hub)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 이외에도, 착용식 센싱 디바이스(10)를 착용하지 않은 동안 그것을 보관하기 위한 보관용기로서의 기능 및 더 나아가 착용식 센싱 디바이스(10)를 초음파 진동으로 세척하기 위한 초음파 세척기로서의 기능도 겸비한다.
이처럼 본 실시예의 데이터 리더기(20)는 통신 허브 기능뿐만 아니라 보관 용기 기능 및 세척기 기능을 갖는 바, 이와 같은 다기능 구현을 위해 설계된 본 실시예의 데이터 리더기(20)의 세부 구성에 대해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리더기(20)는 용기 파트(100) 및 스테이션 파트(500)를 포함한다.
용기 파트(100)는 내부에 착용식 센싱 디바이스(10)를 수용할 수 있는 부분이다. 또한 용기 파트(100)에는 초음파 진동을 위한 매체로서 세척액(예: 물)이 수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데이터 리더기(20)를 세척기로 사용할 때 용기 파트(100) 안에 착용식 센싱 디바이스(10)와 함께 세척액이 수용될 수 있으며, 이때 세척 대상물은 세척액에 잠기도록 배치된다.
본 실시예의 데이터 리더기(20)가 단순히 착용식 센싱 디바이스(10)의 보관용기로 사용될 경우에는 용기 파트(100) 내에 세척액이 투입될 필요가 없다.
도 8을 참조하면, 용기 파트(100)에는 초음파 진동자(250)가 내장된다. 본 실시예의 데이터 리더기(20)가 세척기로 사용될 때 초음파 진동자(250)에 의해 용기 파트(100) 안의 세척액에 초음파 진동이 유발되며, 그 진동 에너지에 의해 착용식 센싱 디바이스(10) 표면에 뭍은 이물질들이 제거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용기 파트(100)의 저면(232)에는 초음파 진동자(2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및 제2 진동자 단자(241, 242)가 구비된다.
용기 파트(100)는 상측이 개방된 용기 본체(200)와, 용기 본체(200)의 상측을 개폐하기 위한 용기 커버(300)를 포함한다.
용기 본체(200)는 내부 수용 공간을 제공하는 부분이다. 용기 커버(300)가 결합되지 않고 상측이 개방된 상태에서 용기 본체(200) 안으로 착용식 센싱 디바이스(10)가 단독으로 또는 세척액과 함께 투입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용기 본체(200)는 측면부(210) 및 바닥부(230)를 포함한다. 측면부(210)의 상단부에는 용기 커버(300)가 결합되는 결합부(211)가 형성된다. 바닥부(230)에는 전술한 초음파 진동자(250)와 그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및 제2 진동자 단자(241, 242)가 구비된다.
용기 본체(200)의 바닥부(230)는 2개 부분(230A, 230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부분(230A)은 바닥부(230)의 상부를 이루는 부분이고 제2 부분(230B)은 바닥부(230)의 하부를 이루는 부분이다. 제1 부분(230A)은 측면부(210)와 동일 재질로 일체로 형성되고, 제2 부분(230B)은 다른 재질로 형성된다. 예로써, 제1 부분(230A) 및 그와 일체인 측면부(210)는 금속 재질(예: 스테인레스 스틸)로 제조되고 제2 부분(230)은 플라스틱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용기 본체(200)의 바닥부(230)의 중앙부에는 상하로 연장된 광안내홀(235)이 형성된다. 광안내홀(235) 내에는 확산렌즈(231)가 구비된다. 예로써 확산렌즈(231)는 투명 내지 반투명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산렌즈(231)는 광안내홀(235) 내에서 상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후술하는 UV 램프(530)가 제공하는 UV 광은 확산렌즈(231)를 통해 용기(100) 내에 고르게 확산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용기 커버(300)는 커버 본체(310)와 그 중심부에 구비된 커버창(320)을 포함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용기 커버(300)에 구비된 커버창(320)을 통해 용기 파트(100) 내에 UV 광이 제공되고 있는지 여부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커버창(320)은 투명 또는 반투명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수 있다. 한편 커버 본체(310)는 금속 재질(예: 스테인레스 스틸)로 제조될 수 있다.
스테이션 파트(500)는 전술한 용기 파트(100)가 올려져 안착될 수 있는 부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스테이션 파트(500) 내에는 UV 램프(530)가 구비된다. 스테이션 파트(500)의 중심부에는 UV 램프(530)의 상측에 배치된 광안내홀(531)이 형성된다. 스테이션 파트(500)의 광안내홀(531)은 전술한 용기 바닥부(230)의 광안내홀(235)에 정렬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광안내홀(531) 내에는 광투과창(535)이 구비된다.
UV 램프(530)로부터 나온 UV 광은 용기 파트(100) 내에 제공되어 세척 대상물인 착용식 센싱 디바이스(10)를 살균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UV 램프(530)를 통해 대상물을 살균 처리할 때 용기 파트(100)에는 세척액 없이 대상물만 수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용기 바닥부(230)의 광안내홀(235)에는 확산렌즈(231)가 배치되고 스테이션 파트(500)의 광안내홀(531)에는 확산렌즈(535)가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그와 반대로 용기 바닥부(230)의 광안내홀(235)에는 광투과창이 배치되고 스테이션 파트(500)의 광안내홀(531)에는 확산렌즈가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광안내홀(235, 531) 각각에 광투과창이 공통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고, 광안내홀(235, 531) 각각에 확산렌즈가 공통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스테이션 파트(500)의 측면 일측에는 LED창(555)이 구비되고, 측면 타측에는 충전포트(560)가 구비된다.
스테이션 파트(500) 내에는 LED창(555)과 마주하게 배치된 LED 램프(550)가 배치되어 있으며, LED 램프(550)로부터 나온 LED 광은 LED창(555)을 통해 외부로 비춰진다. 도 4에서는 LED 램프(550)가 청색광을 제공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지만, LED 램프(550)는 적색광 또는 황색광을 발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LED 램프(550)는 스테이션 파트(500)의 작동 상태에 따라 청색광, 적색광, 황색광을 선택적으로 발하는 삼색 LED 램프(550)일 수도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이션 파트(500)는 스테이션 본체부(501) 및 상측 표면부(502)로 구성될 수 있다. 스테이션 본체부(501)는 금속 재질(예: 스테인레스 스틸)로 제조되는 반면 상측 표면부(502)를 플라스틱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도 4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파트(100)는 대략 원통 형상으로 구비되고 스테이션 파트(500)는 대략 납작한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된다. 용기 파트(100)에는 세척 대상물 및 세척액이 수용되므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이션 파트(500)에 비해 용기 파트(100)의 높이가 더 높게 설계된다. 그리고 용기 파트(100)의 저면은 약간 볼록하고 스테이션 파트(500)의 상면은 약간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어서, 용기 파트(100)가 스테이션 파트(500) 상에 올려진 경우 용기 파트(100)는 안정감 있게 스테이션 파트(500) 상에 놓여지게 되며 두 파트(100, 500) 간의 일체감도 높아진다.
이러한 형상을 가진 본 실시예의 데이터 리더기(2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커버창(320), 광투과창(231), 확산렌즈(535) 및 UV 램프(530)가 데이터 리더기(20)의 중심축(X)을 따라 정렬되는 배치를 갖는다.
그리고,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용기 파트(100)에 구비된 제1 및 제2 진동자(241, 242) 및 스테이션 파트(500)에 구비된 제1 및 제2 전기공급 단자(511, 512)는 원형 단자 형태로 구비되며 데이터 리더기(20)의 중심축(X)을 둘러싸는 배치를 갖는다. 단자들(241, 242, 511, 512)이 이러한 형태 및 배치를 가짐으로써, 스테이션 파트(500) 상에 용기 파트(100)가 놓여지면 단자 간 접촉을 위한 맞춤 조작의 필요 없이 제1 및 제2 진동자(241, 242)와 제1 및 제2 전기공급 단자(511, 512)가 자동적으로 상호 접촉된 상태가 된다.
본 실시예의 데이터 리더기(20)는 서로 분리된 용기 파트(100)와 스테이션 파트(500)로 구성되어 있다. 평상 시에 용기 파트(100)와 스테이션 파트(500)가 서로 결합된 상태로 유지될 필요 없이 착용식 센싱 디바이스(10)를 세척하고자 하는 경우 양자를 결합시키면 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데이터 리더기(20)는 비교적 소형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가방 등에 넣어 휴대하기에 불편함이 없다. 사용자는 데이터 리더기(20) 전체를 휴대하고 다닐 수도 있고 용기 파트(100) 만을 휴대하고 다닐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스테이션 파트(500)가 병원 등의 공공장소에 공용으로 제공된다면 사용자는 자신의 용기 파트(100)를 공용의 스테이션 파트(500)에 장착시켜 사용할 수 있다.
이처럼 본 실시예의 데이터 리더기(20)는 휴대 용이성이 있기 때문에 가지고 다니면서 그 안에 착용식 센싱 디바이스(20)를 보관하기에 용이하다. 따라서 세 착용식 센싱 디바이스(20)가 개인 프라이버시에 다소 민감함이 있는 인공틀니와 같은 치과보철물인 경우, 사용자는 이를 사전에 용기 파트(100)에 넣어 휴대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타인에게 노출되는 장소라 하더라도 자신의 프라이버시가 보호되는 상태로 데이터 리더기(20)를 센싱 디바이스(20)에 대한 보관용기 또는 세척기로 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스테이션 파트(500)의 내부에는 제어기판(570), 제1 리더기 통신모듈(580) 및 제2 리더기 통신모듈(590)이 구비된다.
제어기판(570)은 충전포트(560)를 통해 외부로부터 받은 전기를 초음파 진동자(250), UV 램프(530), LED 램프(550) 및 통신모듈들(580, 590)에 공급하는 역할 및 이들 구성들(250, 530, 550, 580, 590)의 전기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1 리더기 통신모듈(580)은 모니터링 대상자가 착용 중인 착용식 센싱 디바이스(10)와의 전자통신을 위한 통신모듈이고, 제2 리더기 통신모듈(590)은 데이터 서버(30)와의 전자통신을 위한 통신모듈이다.
제1 리더기 통신모듈(580)은 착용식 센싱 디바이스(10)와의 블루투스(Bluetooth) 통신을 통해 그로부터 생체 데이터를 수신받는다. 그리고 제2 리더기 통신모듈(590)은 데이터 서버(30)와의 와이파이(WiFi) 통신을 통해 그에 생체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와 같이 데이터 리더기(20)의 스테이션 파트(500)에 제1 및 제2 리더기 통신모듈(580, 590)이 구비함으로써, 데이터 리더기(20)는 착용식 센싱 디바이스(10)에 의해 감지된 생체 데이터를 리딩하여 이를 데이터 서버(30)에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3. 데이터 서버(30)
데이터 서버(30)는 착용식 센싱 디바이스(10)에 의해 감지된 착용자의 생체 데이터를 데이터 리더기(20)를 통해 전송받아 이를 저장하고 분석한다.
데이터 서버(30)는 기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래밍 소프트웨어를 통해 착용자의 생체 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착용자의 건강 상태, 질병 상태 등을 판정할 수 있다.
데이터 서버(30)에는 데이터 리더기(20)로부터 전송되는 생체 데이터가 비교적 장기간(예: 수 개월) 누적적으로 저장되어 분석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 서버(30)는 비교적 장기간 동안 누적된 착용자의 생체 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해당 기간 동안의 건강 상태 내지 질병 상태의 변화를 분석할 수 있다.
4. 모니터링 단말기(40)
모니터링 단말기(40)는 데이터 서버(30)에 의해 얻어진 분석 결과를 표시하는 구성이다.
모니터링 단말기(40)에는 분석 결과 표시를 위해 프로그램된 어플리케이션 내지 소프트웨어가 설치되어 있어 데이터 서버(30)가 제공하는 분석 결과를 화면 상에 시각적으로 표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니터링 단말기(40)는 착용자 즉 모니터링 대상자 본인을 위한 착용자 단말기(41)일 수도 있고, 모니터링 대상자와 사전 협의된 병원측 담당자 단말기(42)일 수도 있다. 이때, 착용자 단말기(41)는 전형적으로 스마트폰일 수 있으며, 병원측 담당자 단말기(42)는 전형적으로 담당 의사가 사용하는 데스크탑 컴퓨터 또는 노트북 컴퓨터일 수 있다.
모니터링 대상자 본인은 착용자 단말기(41)에 표시되는 분석 결과로부터 건강 상태 내지 질병 상태를 자신이 직접 모니터링하는 것이 가능하고, 담당 의사는 병원측 담당자 단말기(42)에 표시되는 분석 결과로부터 모니터링 대상자의 건강 상태 내지 질병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그 대상자에 대한 의료 서비스에 활용할 수 있다.
착용식 센싱 디바이스(10)에 의해 감지된 생체 데이터는 데이터 리더기(20)를 통해 데이터 서버(30)에 저장되고, 모니터링 단말기(40)에는 데이터 서버(30)로부터 제공되는 분석 결과가 표시된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와 달리, 착용식 센싱 디바이스(10)에 의해 감지된 생체 데이터가 모니터링 단말기(40)에 직접 전송되어 저장 및 분석되는 방식에서는, 모니터링 단말기(40)의 데이터 저장 공간 또는 데이터 처리 성능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 생체 데이터 분석이 제대로 수행되기 어려우며, 특히 모니터링 단말기(40)가 스마트폰인 경우 이러한 문제점이 두드러지게 나타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와 달리, 착용식 센싱 디바이스(10)에 의해 감지된 생체 데이터가 모니터링 단말기(40)에 직접 전송되어 저장 및 분석되는 방식에서는, 착용식 센싱 디바이스(10)로부터 생체 데이터가 감지되는 동안에는 모니터링 단말기(40)와 착용식 센싱 디바이스(10) 간에 무선통신(예: Bluetooth) 연결상태가 유지되어야 하므로, 모니터링 단말기(40)를 다른 전자기기와 무선통신 접속할 수 없는 불편이 따를 수 있고, 모니터링 단말기(40)가 OFF된 경우 생체 데이터의 수집이 누락될 염려도 있으며, 모니터링 단말기(40)의 배터리 소모 속도가 지나치게 증가되는 문제점도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 역시 모니터링 단말기(40)가 스마트폰인 경우 특히 두드러지게 나타날 수 있다.
이와 달리, 본 실시예에 따른 생체 데이터 모니터링 시스템에서는 착용식 센싱 디바이스(10)에 의해 감지된 생체 데이터가 데이터 리더기(20)를 통해 데이터 서버(30)에 저장되고 모니터링 단말기(40)에는 데이터 서버(30)로부터 제공되는 분석 결과가 표시되는 방식이 적용되므로 전술한 문제점들이 전혀 나타나지 않는다.
10 : 착용식 센싱 디바이스
11 : 손가락 착용 디바이스
12 : 구강내 착용 디바이스
20 : 데이터 리더기
30 : 데이터 서버
40 : 모니터링 단말기
41 : 착용자 단말기
42 : 병원측 담당자 단말기
100 : 용기 파트
200, 200A : 용기 본체
300 : 용기 커버
500 : 스테이션 파트
231 : 확산렌즈
235 : 광안내홀
241 : 제1 진동자 단자
242 : 제2 진동자 단자
250 : 초음파 진동자
310 : 커버 본체
320 : 커버창
511, 512 : 제1 및 제2 전기공급 단자
530 : UV 램프
531 : 광투과홀
535 : 광투과창
550 : LED 램프
555 : LED창
560 : 충전포트
570 : 제어기판
580 : 제1 리더기 통신모듈
590 : 제2 리더기 통신모듈

Claims (15)

  1. 모니터링 대상자의 신체에 착용되어 생체 데이터를 감지하는 착용식 센싱 디바이스(10);
    상기 착용식 센싱 디바이스(10)에 의해 감지된 생체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리더기(20);
    상기 데이터 리더기(20)로부터 상기 생체 데이터를 전송받아 분석하는 데이터 서버(30); 및
    상기 데이터 서버(30)에 의해 얻어진 데이터 분석 결과를 표시하는 모니터링 단말기(40);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리더기(20)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착용식 센싱 디바이스(10)로부터 상기 생체 데이터를 수신하며, 와이파이 통신을 통해 상기 데이터 서버(30)에 상기 생체 데이터를 전송하며,
    상기 데이터 리더기(20)는 상기 착용식 센싱 디바이스(10)와의 전자통신을 위한 제1 리더기 통신모듈(580) 및 상기 데이터 서버(30)와의 전자통신을 위한 제2 리더기 통신모듈(590)을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리더기(20)는
    상기 착용식 센싱 디바이스(10)의 보관 또는 세척을 위해 상기 착용식 센싱 디바이스(10)를 수용할 수 있는 용기 파트(100); 및
    상기 용기 파트(100)가 안착되며 상기 제1 및 제2 리더기 통신모듈(580, 590)을 구비한 스테이션 파트(500);를 포함하는,
    착용식 센싱 디바이스를 이용한 생체 데이터 모니터링 시스템.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착용식 센싱 디바이스(10)는 손가락 착용 디바이스(11)를 포함하며,
    상기 손가락 착용 디바이스(11)는 생체 데이터 감지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싱 모듈(11a) 및 상기 데이터 리더기(20)와의 무선통신을 위한 센싱 디바이스 통신모듈(11b)을 포함하는,
    착용식 센싱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생체 데이터 모니터링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착용식 센싱 디바이스(10)는 구강내 착용 디바이스(12)를 포함하며,
    상기 구강내 착용 디바이스(12)는 생체 데이터 감지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싱 모듈(12a) 및 상기 데이터 리더기(20)와의 무선통신을 위한 센싱 디바이스 통신모듈(12b)을 포함하는,
    착용식 센싱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생체 데이터 모니터링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기 파트(100)에는 초음파 진동자(250)가 내장되고, 상기 용기 파트(100)의 저면에는 상기 초음파 진동자(250)에 연결된 제1 및 제2 진동자 단자(241, 242)가 구비되고, 상기 스테이션 파트(500)의 상면에는 상기 제1 및 제2 진동자 단자(241, 242)에 각각 접촉되는 제1 및 제2 전기공급 단자(511, 512)가 구비된,
    착용식 센싱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생체 데이터 모니터링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용기 파트(100)는 원통 형상이고, 상기 스테이션 파트(500)는 상기 용기 파트(100)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의 원기둥 형상인,
    착용식 센싱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생체 데이터 모니터링 시스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진동자 단자(241, 242)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전기공급 단자(511, 512)는 원형 단자로 구비되고 상기 데이터 리더기(20)의 중심축(X)을 중심으로 배열된
    착용식 센싱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생체 데이터 모니터링 시스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기 파트(100)는
    상측이 개방된 용기 본체(200, 200A) 및
    상기 용기 본체(200, 200A)의 상측을 개폐하기 위한 용기 커버(300);를 포함하는,
    착용식 센싱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생체 데이터 모니터링 시스템.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션 파트(500)는 상기 착용식 센싱 디바이스(10)의 살균을 위한 UV 램프(530)를 포함하는,
    착용식 센싱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생체 데이터 모니터링 시스템.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용기 파트(100)의 바닥부(230)에는 상기 UV 램프(530)로부터 나오는 UV 광을 상기 용기 파트(100) 내에 확산시키기 위한 확산렌즈(231)가 구비되는,
    착용식 센싱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생체 데이터 모니터링 시스템.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션 파트(500)에는 상기 UV 램프(530)로부터 나오는 UV 광을 상기 용기 파트(100) 내부로 안내하는 광안내홀(531)이 형성되고, 상기 광안내홀(531)에는 광투과창(535)이 배치된,
    착용식 센싱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생체 데이터 모니터링 시스템.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용기 파트(100)는
    상측이 개방된 용기 본체(200, 200A) 및
    상기 용기 본체(200)의 상측을 개폐하기 위한 용기 커버(300)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 커버(300)에는 상기 UV 램프(530)로부터 상기 용기 파트(100)에 제공된 UV 광을 외부로부터 시인 가능하게 하는 커버창(320)이 구비된,
    착용식 센싱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생체 데이터 모니터링 시스템.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용기 파트(100)는 원통 형상이고, 상기 스테이션 파트(500)는 상기 용기 파트(100)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의 원기둥 형상이며,
    상기 UV 램프(530), 상기 광투과창(535), 상기 확산렌즈(231) 및 상기 커버창(320)은 상기 데이터 리더기(20)의 중심축(X)을 따라 정렬된,
    착용식 센싱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생체 데이터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180130611A 2018-10-30 2018-10-30 착용식 센싱 디바이스를 이용한 생체 데이터 모니터링 시스템 Expired - Fee Related KR1021658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0611A KR102165857B1 (ko) 2018-10-30 2018-10-30 착용식 센싱 디바이스를 이용한 생체 데이터 모니터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0611A KR102165857B1 (ko) 2018-10-30 2018-10-30 착용식 센싱 디바이스를 이용한 생체 데이터 모니터링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8472A KR20200048472A (ko) 2020-05-08
KR102165857B1 true KR102165857B1 (ko) 2020-10-14

Family

ID=70677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0611A Expired - Fee Related KR102165857B1 (ko) 2018-10-30 2018-10-30 착용식 센싱 디바이스를 이용한 생체 데이터 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5857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6699B1 (ko) * 2009-07-29 2016-09-12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무선 근거리 기반 생체 신호 측정 단말기 및 방법
KR20160110847A (ko) * 2015-03-13 2016-09-22 주식회사 소소 다중 생체신호를 이용한 건강 이상 징후 알람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8472A (ko) 2020-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18289B1 (en) Ring for optically measuring biometric data
JP6496754B2 (ja) データ収集のためのウェアラブルデバイスの位置決め
US9044136B2 (en) Wearable mini-size intelligent healthcare system
JP4662767B2 (ja) 指紋装置とオキシメータ装置とを組み合わせた装置
CA2935565C (en) Continuous analyte monitoring system
JP7122306B2 (ja) 医療モニタリングのための医療装置、医療システム及び方法
KR20170012159A (ko) 바이오메트릭 기반 정보 통신 및 수면 모니터링을 위한 생의학 디바이스
KR20060128625A (ko) 신체 활동 측정 단말기
TW201810104A (zh) 用於無線生物醫學裝置充電之方法及設備
BR102016017120A2 (pt) dispositivos biomédicos para monitoração em tempo real de condições médicas usando comunicação de informações baseadas em dados biométricos
JP2024506641A (ja) 埋込可能モニタのための無線通信および電力節約
ES2749621T3 (es) Estuche de almacenamiento con capacidad de comunicación y adquisición de datos médicos
JP2001178692A (ja) 入院患畜の遠隔監視装置
KR20100049862A (ko) 위급 상황을 통보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EP2967351A1 (en) Continuous optode fluorescent measurement system
US20200121198A1 (en) Multi-parameter vital signs monitoring device for early warning score system
EP3649629B1 (fr) Systeme, dispositif et procede pour surveiller de maniere personnalisee l'etat de sante d'au moins un patient a risque
KR102165857B1 (ko) 착용식 센싱 디바이스를 이용한 생체 데이터 모니터링 시스템
KR101906550B1 (ko) 웨어러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테라피 시스템
ES2931874T3 (es) Dispositivo de monitorización médica individual del tipo reloj conectado y procedimiento de monitorización médica individual de un usuario correspondiente
KR101849857B1 (ko) 웨어러블 생체 진단 장치
KR102404926B1 (ko) 스마트폰으로 제어가능한 여성 y존 관리, 특히 산도 습도 및 온도 센서를 활용한 여성 헬스 케어 장치 및 관리 방법
CN109688913A (zh) 用于对办公室职员的活动和工作环境风险因素进行评估的装置
Kamble et al. Heart Rate Monitoring By Using pulse sensor
RU225476U1 (ru) Смарт-час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0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3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100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10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10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7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