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5774B1 - METHOD FOR CONTROLLING NETWORK CONNECTION OF IoT DEVICE - Google Patents
METHOD FOR CONTROLLING NETWORK CONNECTION OF IoT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65774B1 KR102165774B1 KR1020140149084A KR20140149084A KR102165774B1 KR 102165774 B1 KR102165774 B1 KR 102165774B1 KR 1020140149084 A KR1020140149084 A KR 1020140149084A KR 20140149084 A KR20140149084 A KR 20140149084A KR 102165774 B1 KR102165774 B1 KR 10216577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ot
- terminal
- service
- base station
- communica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8—Load balancing or load distribution
- H04W28/0875—Load balancing or load distribution to or through Device to Device [D2D] links, e.g. direct-mode link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84—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detecting congestion or overload during communic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0—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broadcasted inform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사물 통신 단말의 네트워크 연결 제어 방법은, 사물 통신 단말의 단말 특성을 포함하는 단말 프로파일 정보를 서비스 프로파일 관리 서버 내 단말 프로파일 DB에 등록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 프로파일 DB로부터 상기 단말 프로파일 정보를 인출하여 사물 통신 기지국으로 전달하는 과정과, 상기 사물 통신 기지국이 상기 단말 프로파일 정보를 포함하는 사물 통신용 연결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사물 통신 단말로 브로드 캐스팅하는 과정과, 상기 사물 통신 단말로부터 사물 통신 기지국으로 접속이 시도될 때, 사물 통신 서비스 플랫폼을 위한 세션을 설정하여 사물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for controlling network connection of an IoT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ocess of registering terminal profile information including terminal characteristics of an IoT terminal in a terminal profile DB in a service profile management server, and the terminal profile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profile DB. The process of retrieving and transmitting the message to the IoT base station, the process of generating an IoT connection control message including the terminal profile information by the IoT base station and broadcasting it to the IoT terminal, and the communication of things from the IoT terminal. When access to the base station is attempted, a process of providing an IoT communication service by establishing a session for an IoT communication service platform may be includ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사물 통신 단말의 네트워크 연결을 제어하는 기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물 통신 전용의 기지국을 이용하여 최적의 사물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적합한 사물 통신 단말의 네트워크 연결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ique for controlling network connection of an IoT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controlling a network connection of an IoT terminal suitable for providing an optimal IoT service using a base station dedicated to an IoT communication terminal.
최근 들어, 무선 통신 기술의 발달과 그에 따른 무선 통신 인프라의 급격한 확충 등에 기반하여 사물 통신 서비스, 즉 사람과 사람간의 일반적인 이동통신 서비스 이외에도 기계와 기계간의 통신 서비스에 대한 활용 및 적용이 다양한 분야로 확산되고 있다.In recent years, based on the development of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the rapid expansion of wireless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the use and application of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services in addition to things communication services, that is, general mobile communication services between people and people, has spread to various fields. Has become.
즉, 이러한 기계와 기계간의 통신 서비스는, 예컨대 IoT(Internet of Things), M2M(Machine to Machine communication),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 스마트 디바이스 통신(Smart Device communication) 또는 사물 지향 통신(Machine oriented communication) 등과 같이 다양한 용어로 정의되고 있는데, 이하에서는 사물 통신 서비스라고 통칭하기로 한다.That is, such a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service is, for example, Internet of Things (IoT), Machine to Machine communication (M2M),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Smart Device communication, or Machine-oriented communication. ) Is defined in various terms, but hereinafter it will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n object communication service.
종래 기술에 따르면, 사물 통신 단말들에게 그 단말 특성에 최적화된 사물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용 기지국을 활용하는 기술은 현재까지 제안된 바가 없는데,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사물 통신 단말의 사물 통신 서비스에 적합한 전용 기지국을 설계하여 사물 통신용 네트워크 노드를 최적화할 필요성이 있다.According to the prior art, a technology using a dedicated base station that provides an object communication service optimized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object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IoT terminal has not been proposed until now, but considering this point, it is suitable for the object communication service of the IoT terminal. There is a need to optimize network nodes for communication of things by designing a dedicated base station.
본 발명은, 서비스 프로파일 관리 서버가 단말 프로파일 정보를 전용의 사물 통신 기지국으로 전달하면, 사물 통신 기지국이 단말 프로파일 정보를 포함하는 사물 통신용 연결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여 사물 통신 단말로 브로드 캐스팅하고, 이를 통해 사물 통신 단말이 해당 사물 통신 기지국에 접속하여 사물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새로운 사물 통신 단말의 네트워크 연결 제어 기법을 제안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ervice profile management server transmits the terminal profile information to the dedicated IoT base station, the IoT base station generates an IoT connection control message including the terminal profile information and broadcasts it to the IoT terminal. We propose a new IoT network connection control method that allows an IoT terminal to access a corresponding IoT base station to receive an IoT service.
또한, 본 발명은, 사물 통신 전용의 기지국 그룹 내 각 기지국이 단말 프로파일 정보와 서비스 그룹별의 대역 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사물 통신용 연결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여 사물 통신 단말로 브로드 캐스팅하고, 이를 통해 사물 통신 단말이 다수의 주파수 대역별 사물 통신 기지국 중 어느 하나에 접속하여 주파수 대역별의 사물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새로운 사물 통신 단말의 네트워크 연결 제어 기법을 제안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ach base station in a base station group dedicated to things communication generates an IoT connection control message including terminal profile information and band allocation information for each service group, and broadcasts it to an IoT terminal. A new technology for controlling a network connection of an IoT terminal in which a terminal accesses one of a plurality of IoT base stations for each frequency band to receive an IoT service for each frequency band is proposed.
더욱이, 본 발명은, 사물 통신 전용의 기지국으로부터 기지국 과부하 상태 정보가 접수되면, 서비스 프로파일 관리 서버가 기지국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기지국 부하 분산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여 사물 통신 전용의 기지국 그룹으로 전달하고, 기지국 그룹 내 각 기지국이 기지국 변경 접속 정보를 포함하는 사물 통신용 연결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여 사물 통신 단말로 브로드 캐스팅하며, 이를 통해 사물 통신 단말이 다수의 주파수 대역별 사물 통신 기지국 중 다른 하나의 주파수 대역별 사물 통신 기지국으로 변경 접속할 수 있는 새로운 사물 통신 단말의 네트워크 연결 제어 기법을 제안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base station overload status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dedicated to object communication, the service profile management server generates a base station load balancing control message including the base station status information and delivers it to the base station group dedicated to the thing communication, Each base station in the group generates an IoT connection control message including base station change access information and broadcasts it to an IoT communication terminal.Through this, the IoT communication terminal is an object for each frequency band of the other of the communication base stations for each frequency band. We propose a network connection control method for a new IoT terminal capable of changing access to a communication base station.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ones mentioned above, and another problem to be solved that i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s. will be.
본 발명은, 일 관점에 따라, 사물 통신 단말의 단말 특성을 포함하는 단말 프로파일 정보를 서비스 프로파일 관리 서버 내 단말 프로파일 DB에 등록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 프로파일 DB로부터 상기 단말 프로파일 정보를 인출하여 사물 통신 기지국으로 전달하는 과정과, 상기 사물 통신 기지국이 상기 단말 프로파일 정보를 포함하는 사물 통신용 연결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사물 통신 단말로 브로드 캐스팅하는 과정과, 상기 사물 통신 단말로부터 사물 통신 기지국으로 접속이 시도될 때, 사물 통신 서비스 플랫폼을 위한 세션을 설정하여 사물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사물 통신 단말의 네트워크 연결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ocess of registering terminal profile information including terminal characteristics of an object communication terminal to a terminal profile DB in a service profile management server, and retrieving the terminal profile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profile DB to communicate things. The process of transmitting to the base station, the process of the IoT base station generating an IoT connection control message including the terminal profile information and broadcasting it to the IoT terminal, and an attempt to access the IoT base station from the IoT terminal When configured, a method for controlling network connection of an IoT terminal including a process of providing an IoT service by establishing a session for an IoT service platform is provided.
본 발명은, 다른 관점에 따라, 사물 통신 단말의 단말 특성을 포함하는 단말 프로파일 정보와 사물 통신 서비스 특성을 포함하는 서비스 프로파일 정보를 서비스 프로파일 관리 서버 내 단말 프로파일 DB에 등록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 프로파일 정보와 서비스 프로파일 정보에 따른 서비스 그룹별의 할당 대역 정보를 포함하는 대역 구분의 선택 접속 지령을 생성하여 다수의 주파수 대역별 사물 통신 기지국을 포함하는 기지국 그룹으로 전달하는 과정과, 상기 기지국 그룹 내 각 기지국이 상기 단말 프로파일 정보와 상기 서비스 그룹별의 대역 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사물 통신용 연결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사물 통신 단말로 브로드 캐스팅하는 과정과, 상기 사물 통신 단말에 의해 상기 다수의 주파수 대역별 사물 통신 기지국 중 어느 하나가 서비스 대상 기지국으로 선택되어 접속이 시도될 때, 사물 통신 서비스 플랫폼을 위한 세션을 설정하여 주파수 대역별의 사물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사물 통신 단말의 네트워크 연결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ocess of registering terminal profile information including terminal characteristics of an object communication terminal and service profile information including object communication service characteristics in a terminal profile DB in a service profile management server, and the terminal profile A process of generating a selection access command for selecting a band classification including allocation band information for each service group according to information and service profile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it to a base station group including an IoT base station for each frequency band, and for each of the base station groups. A process in which a base station generates an IoT connection control message including the terminal profile information and band allocation information for each service group and broadcasts it to the object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object for each frequency band by the object communication terminal Network connection control method of an IoT terminal comprising the process of providing an IoT communication service for each frequency band by establishing a session for an IoT service platform when any one of the communication base stations is selected as a service target base station and an access is attempted Provides.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 따라, 다수의 주파수 대역별 사물 통신 기지국 중 어느 하나에서 과부하가 발생될 때 기지국 과부하 상태 정보를 생성하여 서비스 프로파일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서비스 프로파일 관리 서버가 상기 기지국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기지국 부하 분산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다수의 주파수 대역별 사물 통신 기지국으로 전달하는 과정과, 상기 다수의 주파수 대역별 사물 통신 기지국이 기지국 변경 접속 정보를 포함하는 사물 통신용 연결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사물 통신 단말로 브로드 캐스팅하는 과정과, 상기 사물 통신 단말로부터 상기 기지국 변경 접속 정보에 의거하여 기지국 변경 접속이 시도될 때, 변경 선택된 주파수 대역별 사물 통신 기지국이 사물 통신 서비스 플랫폼을 위한 세션을 설정하여 변경된 주파수 대역을 통해 사물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사물 통신 단말의 네트워크 연결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nd transmits base station overload status information to a service profile management server when an overload occurs in any one of a plurality of frequency band-specific IoT base stations, and the service profile management server A process of generating a base station load balancing control message including the base station status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it to the plurality of frequency band-specific IoT base stations, and the multi-frequency band-specific IoT base station connection for things communication including base station change access information The process of generating a control message and broadcasting it to the IoT terminal, and when a base station change connection is attempted based on the base station change access information from the IoT terminal, the IoT base station for each frequency band selected for change is an IoT service platform. Provides a method for controlling network connection of an IoT terminal including a process of providing an IoT service through a changed frequency band by setting a session for the communication.
본 발명은, 사물 통신 단말(사물 통신 가입자 단말)의 서비스 특성에 적합한 전용의 기지국(사물 통신 기지국)을 제공하여 사물 통신 서비스에 최적화된 라디오 억세스 망에 캠핑(Camping)되는 최적화된 네트워크의 구축 및 구성을 통해 사물 통신 서비스를 위한 망의 운영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edicated base station (object communication base station) suitable for service characteristics of an object communication terminal (object communication subscriber terminal) to construct an optimized network camping on a radio access network optimized for an object communication service, and Through the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simplify the operation structure of the network for the IoT service.
또한, 본 발명은, 사물 통신 전용의 기지국을 별도로 제공하기 때문에, 다수의 사물 통신 단말에서 발생하는 시그널링 및 트래픽들이 일반 가입자(Mass) 단말의 서비스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separately provides a base station dedicated to IoT communication,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effect of signaling and traffic occurring in a plurality of IoT terminals on service stability of a general subscriber (Mass) terminal.
더욱이, 본 발명은, 사물 통신 서비스의 특성에 따라 서로 다른 대역별 주파수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들을 별도록 구분하여 운영함으로써, 사물 통신의 서비스 가입자들에게 서비스 특성에 최적화된 사물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Moreov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oT service optimized for service characteristics to service subscribers of IoT service by separately operating base stations that provide frequency services for different band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IoT service. have.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사물 통신 단말에서의 네트워크 연결을 제어하는 방법을 적용하는데 적합한 사물 통신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사물 통신 단말에게 네트워크 연결 제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에 기반하여 사물 통신 단말에게 네트워크 연결 제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사물 통신 기지국의 과부하 여부에 기반하여 사물 통신 단말에게 네트워크 연결 제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n IoT service system suitable for apply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network connection in an IoT terminal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ain process of providing a network connection control service to an IoT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main process of providing a network connection control service to an IoT terminal based on different frequency band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main process of providing a network connection control service to an IoT terminal based on whether an IoT base station is overload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본 발명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여기에서,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의 범주를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공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되어야 할 것이다.First,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to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e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only the present embodiments are intended to complet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common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Since it is provided by way of example in order to allow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clearly understand the scope of the invention, the technical scope of the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아울러, 아래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 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인 것으로, 이는 사용자, 운용자 등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쳐 기술되는 기술사상을 토대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intentions or customs of users and operators.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technical idea describ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사물 통신 단말에서의 네트워크 연결을 제어하는 방법을 적용하는데 적합한 사물 통신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로서, 서비스 프로파일 관리 서버(102), 데이터베이스(104), 다수의 사물 통신 기지국(106/1 106/n)으로 된 기지국 그룹(106), 다수의 사물 통신 단말(108/1 108/n)로 된 단말 그룹(108), 네트워크 노드(110) 등을 포함할 수 있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IoT service system suitable for apply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network connection in an IoT terminal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 service
도 1을 참조하면, 서비스 프로파일 관리 서버(10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원격지의 사물 통신 서비스 서버(도시 생략)로부터 사물 통신 단말의 단말 특성(사물 통신 단말 구분자 등)을 포함하는 단말 프로파일 정보가 제공될 때, 이를 전달받아 데이터베이스(104) 내 단말 프로파일 DB(104a)에 등록(저장)하고, 기 설정된 일정 주기(예컨대, 수분 주기)에 단말 프로파일 정보를 단말 프로파일 DB(104a)로부터 인출하여 기지국 그룹(106) 내 각 사물 통신 기지국(106/1 106/n)으로 전달(송출)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service
여기에서, 단말 프로파일 정보의 송출(기지국 그룹으로의 전달)은, 기 설정된 일정 주기 뿐만 아니라, 사물 통신 서비스 서버로부터 신규 단말 프로파일 정보가 제공(수집)되거나 혹은 단말 갱신 프로파일 정보가 제공(수집)될 때 실행될 수도 있다.Here, the transmission of the terminal profile information (delivery to the base station group) is not only for a predetermined period, but also for providing (collecting) new terminal profile information from the IoT service server or providing (collecting) terminal update profile information. May be executed when.
또한, 서비스 프로파일 관리 서버(10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원격지의 사물 통신 서비스 서버로부터 사물 통신 단말의 단말 특성(사물 통신 단말 구분자 등)을 포함하는 단말 프로파일 정보와 사물 통신 서비스 특성(사물 통신 서비스 구분자 등)을 포함하는 서비스 프로파일 정보가 제공될 때, 이를 전달받아 데이터베이스(104) 내 단말 프로파일 DB(104a)에 등록(저장)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ice
그리고, 서비스 프로파일 관리 서버(102)는 기 설정된 일정 주기(예컨대, 수분 주기 등)에 단말 프로파일 정보와 서비스 프로파일 정보에 따른 서비스 그룹별의 할당 대역 정보를 포함하는 대역 구분의 선택 접속 지령을 생성하여 다수의 주파수 대역별 사물 통신 기지국(예컨대, 고대역 사물 통신 기지국, 중대역 사물 통신 기지국, 저대역 사물 통신 기지국)을 포함하는 기지국 그룹(106) 내 각 사물 통신 기지국(106/1 106/n)으로 전달(송출)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rvice
여기에서, 서비스 그룹별의 할당 대역 정보(예컨대, 1.8GHz 이상의 고주파 대역 정보, 1.8GHz와 800MHz 사이의 중대역 대역 정보와 800MHz 이하의 저주파 대역 정보)를 포함하는 대역 구분의 선택 접속 지령의 송출(기지국 그룹으로의 전달)은, 기 설정된 일정 주기 뿐만 아니라, 사물 통신 서비스 서버로부터 신규 단말 프로파일 정보와 서비스 프로파일 정보가 제공(수집)되거나 혹은 단말 갱신 프로파일 정보와 서비스 프로파일 정보가 제공(수집)될 때 실행될 수도 있다.Here, the transmission of a selection access command for selecting a band division including information on an allocated band for each service group (e.g., information on a high frequency band of 1.8 GHz or more, information on a mid-band band between 1.8 GHz and 800 MHz, and information on a low frequency band of 800 MHz or less) Transmission to a base station group) is performed when new terminal profile information and service profile information are provided (collected) from the IoT service server as well as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or when terminal updated profile information and service profile information are provided (collected). It can also be implemented.
더욱이, 서비스 프로파일 관리 서버(10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기지국 그룹(106) 내의 특정 기지국(예컨대, 고대역 또는 중대역 또는 저대역 사물 통신 기지국)으로부터 기지국 과부하 상태 정보가 제공(수집)되면, 기지국 과부하 상태 정보를 특정 기지국에 대한 부하 관리 정보로서 데이터베이스(104) 내 기지국 프로파일 DB(104b)에 저장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Moreover, the service
또한, 서비스 프로파일 관리 서버(102)는, 기지국 과부하 상태 정보가 수집될 때, 기지국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기지국 부하 분산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여 기지국 그룹(106) 내 각 주파수 대역별 사물 통신 기지국(예컨대, 고대역, 중대역 및 저대역 사물 통신 기지국)으로 전달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base station overload status information is collected, the service
다음에, 기지국 그룹(10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위해 다수의 사물 통신 기지국(사물 통신 전용 기지국)들로 구성되거나 혹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위해 다수의 주파수 대역별 사물 통신 기지국(다수의 고대역 또는 중대역 또는 저대역 사물 통신 전용 기지국)들로 구성될 수 있는데, 기지국 그룹(106)을 형성하는 사물 통신 전용의 각 기지국은, 사물 통신 전용의 기지국 장비 또는 기지국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Next, the
일례로서, 총 100개의 사물 통신 기지국이 기지국 그룹(106)으로 구축된 경우라고 가정할 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모든 사물 통신 기지국이 동일한 주파수 대역으로 사물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As an example, assuming that a total of 100 IoT base stations are constructed as the
또한, 총 100개의 사물 통신 기지국이 기지국 그룹(106)으로 구축된 경우라고 가정할 때,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 또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예컨대 40개의 기지국이 고대역 사물 통신 기지국으로 기능하고, 30개의 기지국이 중대역 사물 통신 기지국으로 기능하고, 나머지 30개의 기지국이 저대역 사물 통신 기지국으로 기능하도록 구축될 수 있다.In addition, assuming that a total of 100 IoT base stations are constructed as the
그리고, 기지국 그룹(106) 내 각 사물 통신 기지국(106/1 106/n)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단말 프로파일 정보를 포함하는 사물 통신용 연결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여 단말 그룹(108) 내 각 사물 통신 단말(108/1 108/n)로 브로드 캐스팅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each of the IoT
또한, 각 사물 통신 기지국(106/1 106/n)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단말 프로파일 정보와 서비스 그룹별의 대역 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사물 통신용 연결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여 단말 그룹(108) 내 각 사물 통신 단말(108/1 108/n)로 브로드 캐스팅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each of the IoT
더욱이, 각 사물 통신 기지국(106/1 106/n), 즉 다수의 주파수 대역별 사물 통신 기지국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위해, 기지국에서 과부하가 검출될 때 그에 따른 과부하 상태 정보를 생성하여 서비스 프로파일 관리 서버(102)로 전달(전송)하고, 이에 응답하여 서비스 프로파일 관리 서버(102)로부터 기지국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기지국 부하 분산 제어 메시지가 제공될 때, 기지국 변경 접속 정보를 포함하는 사물 통신용 연결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여 단말 그룹(108) 내 각 사물 통신 단말(108/1 108/n)로 브로드 캐스팅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Moreover, each IoT base station (106/1 106/n), that is, an IoT base station for each frequency band, generates overload status information accordingly when an overload is detected in the base station for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base station load balancing control message including base station status information is provided from the service
여기에서, 사물 통신용 연결 제어 메시지는, 예컨대 단말 프로파일 정보가 삽입된 SIB(System Information Block) 시그널링(Signaling) 메시지를 통해 각 사물 통신 단말들에게 브로드 캐스팅될 수 있다.Here, the connection control message for IoT communication may be broadcast to each of the IoT terminals through, for example, a System Information Block (SIB) signaling message in which terminal profile information is inserted.
부가하여, 각 사물 통신 기지국(예컨대, 고대역 또는 중대역 또는 저대역 사물 통신 기지국)은 사물 통신 단말로부터 접속 시도(또는 기지국 변경 접속 시도)가 있을 때, 해당 사물 통신 단말이 서비스 허락된 정당한 단말인지의 여부를 인증하는 등의 접속 절차를 진행함으로써, 사물 통신 서비스 플랫폼을 위한 세션을 설정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물 통신 기지국은 서비스 허락된 정당한 단말이 아닐 경우 해당 사물 통신 단말의 접속 시도를 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each IoT base station (e.g., high-band or mid-band or low-band IoT base station) is a legitimate terminal for which the corresponding IoT terminal is allowed to service when there is an access attempt (or base station change access attempt) from an IoT terminal. A function such as setting up a session for an IoT service platform can be provided by performing an access procedure such as authenticating whether or not it is recognized. Here, the IoT base station may reject an access attempt of the corresponding IoT terminal if it is not a legitimate terminal for which service is permitted.
그리고, 단말 그룹(108) 내 각 사물 통신 단말(108/1 108/n)은, 예컨대 고정식, 거치식 또는 착탈식의 빌트인 단말이거나 휴대용 단말일 수 있는데, 예컨대 차량용 단말, 홈 오토용 단말, 공장용 단말, 센서용 단말 등을 의미할 수 있다.In addition, each of the
여기에서, 각 사물 통신 단말은 브로드 캐스팅을 통해 연결 제어 메시지가 수신될 때 자신의 단말 특성(사물 통신 구분자 : ID)과 연결 제어 메시지 내 단말 프로파일 정보가 일치하는 지의 여부를 체크하고, 단말 특성이 일치할 때 특정의 사물 통신 기지국(또는 고대역 사물 통신 기지국 또는 저대역 사물 통신 기지국)을 서비스 대상 기지국으로 선택하여 접속(또는 기지국 변경 접속)을 요청(시도)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각 사물 통신 단말들은 자신의 사물 통신 구분자 정보를 각각 저장하고 있다.Here, when a connection control message is received through broadcasting, each object communication terminal checks whether its own terminal characteristics (object communication identifier: ID) and terminal profile information in the connection control message match, and the terminal characteristics are When they match, a function such as requesting (attempting) access (or base station change access) by selecting a specific IoT base station (or a high-band IoT base station or a low-band IoT base station) as a service target base station can be provided. . To this end, each of the things communication terminals stores their own information about a communication identifier.
마지막으로, 네트워크 노드(110)는, 비록 도면에서의 상세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예컨대 이동성 관리 노드(MME : Mobility Management Entity), 신호 처리 노드(SGW : Serving Gateway), 패킷 처리 노드(PGW : PDN Gateway) 등을 포함하는 물리적 노드(Physical Node) 또는 가상 노드(Virtualized Node)를 의미할 수 있는 것으로, 각 사물 통신 단말의 사용자들에게 다양한 형태의 사물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Finally, the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사물 통신 서비스 시스템을 통해 사물 통신 단말에게 네트워크 연결 제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일련의 과정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Next, a series of processes for providing a network connection control service to an IoT terminal through an IoT communication service system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사물 통신 단말에게 네트워크 연결 제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ain process of providing a network connection control service to an IoT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서비스 프로파일 관리 서버(102)에서는 원격지의 사물 통신 서비스 서버로부터 사물 통신 단말의 단말 특성(사물 통신 단말 구분자 등)을 포함하는 단말 프로파일 정보가 전달(수집)되면, 이 수집된 단말 프로파일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04) 내 단말 프로파일 DB(104a)에 등록(저장)하는데(단계 202), 이러한 단말 프로파일 정보의 등록은 단말 프로파일 정보가 수집될 때마다 실행될 수 있다.2, in the service
다음에, 시간 카운트를 통해 현재 시점이 송출 시점, 즉 기 설정된 일정 주기가 되는 지의 여부를 체크하는데(단계 204), 여기에서의 체크 결과 송출 시점인 것으로 판단되면, 서비스 프로파일 관리 서버(102)에서는 단말 프로파일 정보를 단말 프로파일 DB(104a)로부터 인출하여 기지국 그룹(106) 내 각 사물 통신 기지국(106/1 106/n)으로 전달(송출)한다(단계 206).Next, through the time count, it is checked whether the current time is a transmission time, that is, a predetermined period (step 204).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urrent time is a transmission time as a result of the check, the service
여기에서, 단말 프로파일 정보는, 기 설정된 일정 주기 뿐만 아니라, 사물 통신 서비스 서버로부터 신규 단말 프로파일 정보가 제공(수집)되거나 혹은 단말 갱신 프로파일 정보가 제공(수집)될 때 기지국 그룹(106) 내 각 사물 통신 기지국(106/1 106/n)에 전달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Here, the terminal profile information is each object in the
이에 응답하여, 기지국 그룹(106) 내 각 사물 통신 기지국(106/1 106/n)에서는 단말 프로파일 정보를 포함하는 사물 통신용 연결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여 단말 그룹(108) 내 각 사물 통신 단말(108/1 108/n)로 브로드 캐스팅한다(단계 208). 여기에서, 사물 통신용 연결 제어 메시지는, 예컨대 단말 프로파일 정보가 삽입된 SIB(System Information Block) 시그널링(Signaling) 메시지를 의미할 수 있다.In response to this, each
이후, 각 사물 통신 단말에서는 브로드 캐스팅을 통해 수신된 연결 제어 메시지를 분석하고(단계 210), 분석 결과 때 자신의 단말 특성(사물 통신 구분자 : ID)과 연결 제어 메시지 내 단말 프로파일 정보가 일치하는 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212).Thereafter, each of the things communication terminals analyzes the connection control message received through broadcasting (step 210), and determines whether the terminal characteristics (object communication identifier: ID) and the terminal profile information in the connection control message match when the analysis result Whether or not it is checked (step 212).
상기 단계(212)에서의 체크 결과, 사물 통신 단말의 단말 특성(사물 통신 구분자 : ID)과 연결 제어 메시지 내 단말 프로파일 정보가 일치하면, 해당 사물 통신 단말에서는 기지국 그룹(106) 내 특정의 사물 통신 기지국을 서비스 대상 기지국으로 선택하여 접속을 시도(요청)할 수 있다(단계 214).As a result of the check in
그 결과, 서비스 대상 기지국(사물 통신 기지국)에서는 해당 사물 통신 단말이 서비스 허락된 정당한 단말인지의 여부를 인증하는 등의 접속 절차를 진행함으로써 사물 통신 서비스 플랫폼을 위한 세션(통신 세션)을 설정하며(단계 216), 이를 통해 해당 사물 통신 단말에게 사물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service target base station (object communication base station) establishes a session (communication session) for the IoT service platform by performing an access procedure such as verifying whether the corresponding IoT terminal is a legitimate terminal for which service is permitted ( Step 216), through this, an IoT communication service may be provided to a corresponding IoT communication terminal.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에 기반하여 사물 통신 단말에게 네트워크 연결 제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3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main process of providing a network connection control service to an IoT terminal based on different frequency band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서비스 프로파일 관리 서버(102)에서는 원격지의 사물 통신 서비스 서버로부터 사물 통신 단말의 단말 특성(사물 통신 단말 구분자 등)을 포함하는 단말 프로파일 정보와 사물 통신 서비스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프로파일 정보가 전달(수집)되면, 이 수집된 단말 프로파일 정보와 서비스 프로파일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04) 내 단말 프로파일 DB(104a)에 등록(저장)하는데(단계 302), 이러한 단말 프로파일 정보와 서비스 프로파일 정보의 등록은 관련 프로파일 정보가 수집될 때마다 실행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service
다음에, 시간 카운트를 통해 현재 시점이 송출 시점, 즉 기 설정된 일정 주기가 되는 지의 여부를 체크하는데(단계 304), 여기에서의 체크 결과 송출 시점인 것으로 판단되면, 서비스 프로파일 관리 서버(102)에서는 단말 프로파일 정보와 서비스 프로파일 정보에 따른 서비스 그룹별의 할당 대역 정보(고주파 대역 정보 및 저주파 대역 정보)를 포함하는 대역 구분의 선택 접속 지령을 생성하여 기지국 그룹(106) 내 각 사물 통신 기지국으로 전달(송출)한다(단계 306).Next, through the time count, it is checked whether the current time is a transmission time, that is, a predetermined period (step 304).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urrent time is a transmission time as a result of the check, the service
여기에서, 기지국 그룹(106) 내 각 주파수 대역별 사물 통신 기지국은, 예컨대 고대역 사물 통신 기지국 또는 또는 중대역 사물 통신 기지국 또는 저대역 사물 통신 기지국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고대역 사물 통신 기지국은, 예컨대 음악 스트리밍 등과 같은 서비스를 고대역 주파수(예컨대, 1.8GHz 이상의 주파수 등)를 이용하여 사물 통신 단말들에게 제공할 수 있고, 저대역 사물 통신 기지국은, 예컨대 주기적 모니터링 정보, 주기적 센싱 정보 등과 같은 서비스를 저대역 주파수(예컨대, 800MHz 이하의 주파수 등)를 이용하여 사물 통신 단말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Here, the IoT base station for each frequency band in the
그리고, 단말 프로파일 정보와 서비스 프로파일 정보는, 기 설정된 일정 주기 뿐만 아니라, 사물 통신 서비스 서버로부터 신규 단말 프로파일 정보와 서비스 프로파일 정보가 제공(수집)되거나 혹은 단말 갱신 프로파일 정보와 서비스 프로파일 정보가 제공(수집)될 때 기지국 그룹(106) 내 각 사물 통신 기지국에 전달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terminal profile information and service profile information are provided (collected) or updated terminal profile information and service profile information are provided (collected) from the IoT service server as well as a predetermined period. ) May be set to be transmitted to each IoT base station in the
이에 응답하여, 기지국 그룹(106) 내 각 사물 통신 기지국(예컨대, 고대역 또는 중대역 또는 저대역 사물 통신 기지국)에서는 단말 프로파일 정보와 서비스 그룹별의 대역 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사물 통신용 연결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여 단말 그룹(108) 내 각 사물 통신 단말로 브로드 캐스팅한다(단계 308). 여기에서, 사물 통신용 연결 제어 메시지는, 예컨대 단말 프로파일 정보가 삽입된 SIB(System Information Block) 시그널링(Signaling) 메시지를 의미할 수 있다.In response, each of the IoT base stations (eg, high-band, mid-band, or low-band IoT base stations) in the
이후, 각 사물 통신 단말에서는 브로드 캐스팅을 통해 수신된 연결 제어 메시지를 분석하고(단계 310), 분석 결과 때 자신의 단말 특성(사물 통신 구분자 : ID)과 연결 제어 메시지 내 단말 프로파일 정보가 일치하는 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312).Thereafter, each IoT terminal analyzes the connection control message received through broadcasting (step 310), and determines whether the terminal characteristics (object communication identifier: ID) and the terminal profile information in the connection control message match at the analysis result. Whether or not it is checked (step 312).
상기 단계(312)에서의 체크 결과, 사물 통신 단말의 단말 특성(사물 통신 구분자 : ID)과 연결 제어 메시지 내 단말 프로파일 정보가 일치하면, 해당 사물 통신 단말에서는 기지국 그룹(106) 내 특정의 주파수 대역별 사물 통신 기지국, 즉 고대역 사물 통신 기지국, 중대역 사물 통신 기지국과 저대역 사물 통신 기지국 중 자신의 서비스 프로파일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고대역 또는 중대역 또는 저대역)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을 서비스 대상 기지국으로 선택하여 접속을 시도(요청)할 수 있다(단계 314).As a result of the check in
그 결과, 서비스 대상 기지국(고대역 또는 중대역 또는 저대역 사물 통신 기지국)에서는 해당 사물 통신 단말이 서비스 허락된 정당한 단말인지의 여부를 인증하는 등의 접속 절차를 진행함으로써 사물 통신 서비스 플랫폼을 위한 세션(통신 세션)을 설정하며(단계 316), 이를 통해 해당 사물 통신 단말에게 사물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service target base station (high-band, mid-band, or low-band IoT base station) proceeds with an access procedure such as verifying whether the corresponding IoT terminal is a legitimate terminal for which service is permitted, thereby providing a session for the IoT service platform. A (communication session) is established (step 316), through which an IoT service can be provided to the corresponding IoT terminal.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사물 통신 기지국의 과부하 여부에 기반하여 사물 통신 단말에게 네트워크 연결 제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4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main process of providing a network connection control service to an IoT terminal based on whether an IoT base station is overload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기지국 그룹(106)을 구성하는 각 주파수 대역별 기지국, 예컨대 고대역 사물 통신 기지국, 중대역 사물 통신 기지국 및 저대역 사물 통신 기지국들은 자신의 서비스 권역에 들어와 있는 사물 통신 단말들에게 사물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때(단계 402), 기지국의 과부하가 발생하는 지의 여부를 모니터링한다(단계 404). 여기에서, 사물 통신 기지국의 과부하는, 예컨대 사람들이 일시적으로 많이 몰리는 장소 혹은 시간 때에 따라 발생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base stations for each frequency band constituting the
상기 단계(404)에서의 체크 결과, 과부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기지국(고대역 또는 중대역 또는 저대역 사물 통신 기지국)에서는 과부하 검출에 따른 과부하 상태 정보를 생성하여 서비스 프로파일 관리 서버(102)로 전달(전송)하고(단계 406), 서비스 프로파일 관리 서버(102)에서는 과부하 상태 정보를 해당 기지국의 부하 관리 정보로서 데이터베이스(104) 내 기지국 프로파일 DB(104b)에 저장한다(단계 408).If it is determined that an overload has occurred as a result of the check in
이후, 서비스 프로파일 관리 서버(102)에서는 기지국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기지국 부하 분산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여 기지국 그룹(106) 내 각 사물 통신 기지국(고대역 또는 중대역 또는 저대역 사물 통신 기지국)으로 전달(송출)한다(단계 410).Thereafter, the service
이에 응답하여, 기지국 그룹(106) 내 각 사물 통신 기지국(고대역 또는 중대역 또는 저대역 사물 통신 기지국)에서는 기지국 변경 접속 정보를 포함하는 사물 통신용 연결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여 단말 그룹(108) 내 각 사물 통신 단말로 브로드 캐스팅한다(단계 412). 여기에서, 사물 통신용 연결 제어 메시지는, 예컨대 단말 프로파일 정보가 삽입된 SIB(System Information Block) 시그널링(Signaling) 메시지를 의미할 수 있다.In response, each IoT base station (high-band, mid-band, or low-band IoT base station) in the
이후, 각 사물 통신 단말에서는 브로드 캐스팅을 통해 수신된 연결 제어 메시지에 포함된 기지국 변경 접속 정보에 의거하여 기지국의 접속을 변경(예컨대, 고대역 사물 통신 기지국에서 저대역 사물 통신 기지국으로의 접속 변경) 시도(요청)할 수 있는데(단계 414), 여기에서의 체크 결과 접속 변경 시도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기존의 기지국을 통해 설정된 세션이 그대로 유지될 것이다(단계 416).Thereafter, each of the IoT terminals changes the access to the base station based on the base station change access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onnection control message received through broadcasting (e.g., change the connection from the high-band IoT base station to the low-band IoT base station). It can be attempted (requested) (step 414).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connection change attempt as a result of the check here, the session established through the existing base station will be maintained (step 416).
상기 단계(414)에서의 체크 결과, 해당 사물 통신 단말이 기지국 그룹(106) 내 특정의 주파수 대역별 사물 통신 기지국을 서비스 대상 기지국으로 변경 선택하여 접속을 시도(요청)하면(단계 418), 서비스 대상 기지국(고대역 또는 중대역 또는 저대역 사물 통신 기지국)에서는 해당 사물 통신 단말이 서비스 허락된 정당한 단말인지의 여부를 인증하는 등의 접속 변경 절차를 진행함으로써 사물 통신 서비스 플랫폼을 위한 세션(통신 세션)을 설정하며(단계 420), 이를 통해 해당 사물 통신 단말에게 사물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As a result of the check in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 등이 가능함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즉,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etc.,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easy to see that this is possible. That is,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the technical idea,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후술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Accordingly,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and all technical thought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서비스 프로파일 관리 서버가 단말 프로파일 정보를 전용의 사물 통신 기지국으로 전달하면, 사물 통신 기지국이 단말 프로파일 정보를 포함하는 사물 통신용 연결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여 사물 통신 단말로 브로드 캐스팅하고, 이를 통해 사물 통신 단말이 사물 통신 기지국에 접속하여 사물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사물 통신 단말의 네트워크 연결 제어 기법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ervice profile management server transmits the terminal profile information to a dedicated IoT base station, the IoT base station generates an IoT connection control message including the terminal profile information and broadcasts it to the IoT terminal. And,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network connection control method of an IoT terminal capable of accessing an IoT base station to receive an IoT communication service.
이러한 기술적 구성을 포함하는 본 발명은, 사물 통신 단말의 서비스 특성에 적합한 전용의 사물 통신 기지국을 제공함으로써, 사물 통신 서비스에 최적화된 라디오 억세스 망에 캠핑(Camping)되는 최적화된 네트워크의 구축 및 구성을 통해 사물 통신 서비스를 위한 망의 운영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such a technical configuration, by providing a dedicated thing communication base station suitable for the service characteristics of the thing communication terminal, the construction and configuration of an optimized network camping in a radio access network optimized for an IoT service.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simplify the operation structure of the network for the IoT service.
102 : 서비스 프로파일 관리 서버
104 : 데이터베이스
106 : 기지국 그룹
106/1 106/n : 사물 통신 기지국
108 : 단말 그룹
108/1 108/n : 사물 통신 단말102: Service Profile Management Server
104: database
106: base station group
106/1 106/n: an object communication base station
108: terminal group
108/1 108/n: communication terminal
Claims (8)
상기 사물 통신용 연결 제어 메시지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연결 제어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단말 프로파일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지국들 별로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 중 상기 사물 통신 단말의 서비스 프로파일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으로 접속 시도를 요청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사물 통신용 연결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에서,
상기 사물 통신 단말은 상기 단말 프로파일 정보와 상기 서비스 프로파일 정보에 따른 상기 서비스 그룹별 대역 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대역 구분의 선택 접속 지령을 기초로 선택된 상기 기지국을 통해 상기 사물 통신용 연결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는 사물 통신 단말의 네트워크 연결 제어 방법.The IoT terminal provides, from each of the IoT base stations for each frequency band, information on band allocation for each service group according to service profile information including characteristics of an IoT service and terminal profile information including terminal characteristics of the IoT terminal. A process of receiving a connection control message for communication of things, including,
In response to reception of the IoT connection control message, based on the terminal profil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onnection control message, a service of a frequency band corresponding to the service profile of the IoT terminal among frequency band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base stations Including the process of requesting an access attempt to the base station providing,
In the process of receiving the connection control message for communication of things,
The object communication terminal receives the connection control message for the object communication through the base station selected on the basis of a selection access command for selecting a band classification including the terminal profile information and the band allocation information for each service group according to the service profile information Network connection control method of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사물 통신 단말의 상기 서비스 프로파일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의 서비스는,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를 포함하는 고주파수 대역을 이용한 서비스, 또는 모니터링 정보 제공 서비스 또는 센싱 정보 제공 서비스를 포함하는 저주파수 대역을 이용한 서비스를 포함하는
사물 통신 단말의 네트워크 연결 제어 방법.The method of claim 5,
The service of the frequency band corresponding to the service profile of the IoT terminal,
Including a service using a high frequency band including a music streaming service, or a service using a low frequency band including a monitoring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or a sensing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Network connection control method of an IoT terminal.
상기 수신하는 과정은,
상기 단말 프로파일 정보가 갱신될 때마다 수행되는
사물 통신 단말의 네트워크 연결 제어 방법.The method of claim 5,
The receiving process,
Performed whenever the terminal profile information is updated
Network connection control method of an IoT terminal.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49084A KR102165774B1 (en) | 2014-10-30 | 2014-10-30 | METHOD FOR CONTROLLING NETWORK CONNECTION OF IoT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49084A KR102165774B1 (en) | 2014-10-30 | 2014-10-30 | METHOD FOR CONTROLLING NETWORK CONNECTION OF IoT DE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50587A KR20160050587A (en) | 2016-05-11 |
KR102165774B1 true KR102165774B1 (en) | 2020-10-14 |
Family
ID=56025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49084A Active KR102165774B1 (en) | 2014-10-30 | 2014-10-30 | METHOD FOR CONTROLLING NETWORK CONNECTION OF IoT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65774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53650B1 (en) * | 2016-09-19 | 2019-03-04 |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 Networlk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CN108886501B (en) | 2016-09-12 | 2023-03-24 | Sk电信有限公司 | Internet of things equipment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
KR102010432B1 (en) * | 2017-11-15 | 2019-08-13 |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 Method for management of IoT device and IoT gateway |
KR20210002367A (en) | 2019-05-31 | 2021-01-08 |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OF THE IoT DEVICE |
KR102702815B1 (en) * | 2021-04-27 | 2024-09-05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SERVICE PROFILE DISCOVERY AND CONNECTION MANAGEMENT METHOD FOR INTERWORKING WITH IoT DEVICES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2754485A (en) * | 2010-02-12 | 2012-10-24 | 交互数字专利控股公司 | Access control and congestion control in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
TWI533629B (en) * | 2010-12-28 | 2016-05-11 | 內數位專利控股公司 | Triggering devices that are not attached to a wireless network |
KR101730185B1 (en) | 2010-12-31 | 2017-05-11 | 한국과학기술원 | Method for supplying knowledge service and system of the same |
EP2708057A4 (en) * | 2011-05-09 | 2015-05-06 | Intel Corp | Techniques for machine-to-machine device management |
US20130339438A1 (en) * | 2011-12-02 | 2013-12-19 | Qualcomm Incorporated | Systems and methods for group based access control of machine to machine devices |
KR101479950B1 (en) * | 2012-10-12 | 2015-01-07 | 주식회사 케이티 |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QoS for M2M Devices |
-
2014
- 2014-10-30 KR KR1020140149084A patent/KR102165774B1/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50587A (en) | 2016-05-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745187B1 (en) | Method, and associated parameter for routing initial access request message of terminal in mobile communication | |
KR102387532B1 (en) | Method and apparatus of registration type addition for service negotiation | |
CN109151906B (en) | Communication method, network equipment, terminal equipment and system | |
US10299269B2 (en) | Flexible multicarrier NB-IoT operation in a network | |
US10911937B2 (en) | Method for allocating temporarily a subscription to a credential container | |
US11172405B2 (en) | Method for checking change in wireless connection type of terminal in third-party application server | |
KR102165774B1 (en) | METHOD FOR CONTROLLING NETWORK CONNECTION OF IoT DEVICE | |
EP2487944B1 (en) | Area-based access control method for terminals which carry out m2m communication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JP2020509635A (en) | Network slice selection method, user equipment, and network device | |
CN107182061B (en) | Communication connection method and device | |
US20150110052A1 (en) | Discovery and Operation of Hybrid Wireless Wide Area and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
KR101795679B1 (en) | Access point initiated neighbor report request | |
US20170006536A1 (en) | Method of and apparatus for network acces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isolated e-utran operation for public safety | |
RU2015129521A (en) | METHOD FOR CARRYING OUT COMMUNICATION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A MULTIPLE ACCESS NETWORK AND SUPPORTING THIS DEVICE | |
US20190268230A1 (en) | System and method for enforcing group policies for mtc devices to perform background data transfers | |
US20150245191A1 (en) |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 |
JP2016524393A (en) | Proximity service permiss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 |
IL264304A (en) | A system and methods for availing services in an international roaming by using proactive commands | |
US8880033B2 (en) | Scalable addressing of machine-to-machine terminals in communication networks | |
US11044605B2 (en) | Network based non-IP data delivery service authorization for wireless networks | |
KR102233595B1 (en) | Method and device for proximity discovery among ues | |
KR102112610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 |
US11510024B2 (en) | System and method for geo-fencing of fixed wireless access | |
CN102904971B (en) | Obtain method and the device of object IP address | |
CN102625276A (en) | Method and system for activating a termina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03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112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4103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1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005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0012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005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032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00716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0062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05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20032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10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10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9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