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5753B1 - Automatic teller machine - Google Patents
Automatic teller machin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65753B1 KR102165753B1 KR1020190033648A KR20190033648A KR102165753B1 KR 102165753 B1 KR102165753 B1 KR 102165753B1 KR 1020190033648 A KR1020190033648 A KR 1020190033648A KR 20190033648 A KR20190033648 A KR 20190033648A KR 102165753 B1 KR102165753 B1 KR 10216575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ray
- bottom plate
- throat
- rib
- medium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6—Handling of valuable papers
- G07D11/165—Picking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20—Controlling or monitoring the operation of devices; Data handling
- G07D11/22—Means for sensing or dete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ile Re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 상기 본체의 전면에 제공되는 접객부; 상기 매체의 분리 및 집적이 수행되도록 상기 본체 내에 마련되는 입출금부; 상기 입출금부와 상기 접객부의 사이에서 왕복 이동하면서 매체를 이송하는 트레이부; 및 상기 트레이부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스로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부는, 상기 트레이부의 저면을 구성하는 트레이 저판; 및 상기 트레이 저판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트레이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스로트부는, 상기 스로트부의 저면을 구성하는 스로트 저판; 및 상기 스로트 저판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제공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 리브와 상기 지지 부재는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배치되고, 측면에서 보았을 때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도록 구비되는, 금융 자동화 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A customer service part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A deposit/withdrawal unit provided in the main body to perform separation and integration of the medium; A tray part for transferring media while reciprocating between the deposit/withdrawal part and the customer service part; And a throat portion providing a movement path of the tray portion, wherein the tray portion comprises: a tray bottom plate constituting a bottom surface of the tray portion; And a tray rib protruding from a lower surface of the tray bottom plate, wherein the throat portion comprises: a throat bottom plate constituting a bottom surface of the throat portion; And a support member provided to protrude from the throat bottom plate, wherein the tray rib and the support member are disposed so as not to interfere with each other, and at least partially overlapped when viewed from the side, a financial automation device may be provided. have.
Description
본 발명은 금융 자동화 기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nancial automation device.
일반적으로 금융 자동화 기기(ATM, Automated Teller Machine)는 금융 서비스와 관련하여 시간 및 장소에 구애를 받지 않고 은행 직원 없이 카드나 통장을 이용하여 현금 및 수표의 입출금과 같은 금융 서비스를 무인으로 제공할 수 있는 자동화 장치이다. In general, automated teller machines (ATM) can provide unattended financial services such as deposit and withdrawal of cash and checks using a card or passbook without a bank employee, regardless of time and place in relation to financial services. It is an automated device.
금융 자동화 기기는 입출금 여부에 따라 출금기, 입금기 및 입출금기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금융 자동화 기기는 현금의 입출금은 물론 수표의 입출금, 통장 정리, 지로요금 납부, 티켓 발매 등 여러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Financial automation devices can be classified into a cash machine, a deposit machine, and a deposit and withdrawal machine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o deposit or withdraw. These automated financial devices are used not only for depositing and withdrawing cash, but also for depositing and withdrawing checks, organizing bankbooks, paying giro bills, and selling tickets.
종래의 금융 자동화 기기는 현금, 수표와 같은 매체를 투입받는 방식에 따라 크게 두 가지 타입으로 나뉘는데, 하나는 포켓 타입으로서 입출금부가 포켓 형상으로 구비되어 고객이 매체를 포켓 내부로 투입하도록 하는 타입이고, 다른 하나는 프리젠트 타입으로서 입출금부에 형성된 슬롯을 통해 매체가 투입 및 인출되는 타입이다. Conventional financial automation devices are largely divided into two types according to the method of receiving media such as cash and checks. One is a pocket type, which is a type in which the deposit and withdrawal part is provided in a pocket shape so that the customer inserts the media into the pocket. The other is a present type, in which media is inserted and withdrawn through a slot formed in the deposit/withdrawal unit.
이 중, 포켓 타입의 경우 고객이 입금을 하기 위해 매체를 입출금부로 투입하기 위해서는 손을 포켓 내부까지 넣어야 하는데, 고객이 소속된 문화권에 따라서는 이렇게 기계 내부로 신체의 일부를 넣는 것 자체를 꺼려하는 경우가 많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포켓 타입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서, 고객이 손을 입출금부에 넣지 않고도 매체를 입출금할 수 있는 프리젠트 타입이 적용될 수 있으나, 이러한 프리젠트 타입은 보안에 다소 취약하고, 한번에 입출금할 수 있는 매체 수량이 매우 제한적이어서, 한번에 많은 금액을 입출금하고자 하는 고객은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Among them, in the case of the pocket type, in order for the customer to put the media into the deposit and withdrawal department in order to make a deposit, he must put his hand inside the pocket. There is a problem that there are many cases. As an alternative to solving this pocket-type problem, a presentation type that allows customers to deposit and withdraw media without putting their hands in the deposit and withdrawal unit may be applied, but this presentation type is somewhat vulnerable to security and allows deposit and withdrawal at once. Since the quantity is very limited, there is a problem that customers who want to deposit and withdraw a large amount at once may feel uncomfortable.
이러한 두 가지 타입의 문제점들을 보완하기 위해 포켓 타입과 프리젠트 타입을 융합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으나, 구조가 복잡해지고 실용성이 떨어진다는 이유로 실제 상용화까지는 아직 요원한 실정이다. 이에 대한 대안 중 하나로서, 트레이부가 접객부와 입출금부 사이를 왕복 이동하면서 매체를 이송하는 방식이 가능할 수 있다. 이에, 포켓 타입과 프리젠트 타입의 문제점들을 보완할 수 있는 획기적인 구조를 갖는 입출금부에 대한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se two types of problems, there is an attempt to fuse the pocket type and the present type, but the actual commercialization is still difficult due to the complicated structure and poor practicality. As one of the alternatives to this, a method of transferring the medium while the tray unit reciprocates between the reception unit and the deposit/withdrawal unit may be possible. Accordingly, there is an urgent need for research on a deposit/withdrawal unit having an innovative structure that can compensate for the problems of the pocket type and the present type.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포켓 타입과 프리젠트 타입 각각의 문제점들을 해결하면서도 트레이부의 이송 경로상에 매체가 낙하될 경우 이를 감지하여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는 금융 자동화 기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while solving the problems of each of the pocket type and the present type, when a medium falls on the conveying path of the tray, it can be detected and handled easily. It is to provide a financial automation devic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체; 상기 본체의 전면에 제공되는 접객부; 상기 매체의 분리 및 집적이 수행되도록 상기 본체 내에 마련되는 입출금부; 상기 입출금부와 상기 접객부의 사이에서 왕복 이동하면서 매체를 이송하는 트레이부; 및 상기 트레이부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스로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부는, 상기 트레이부의 저면을 구성하는 트레이 저판; 및 상기 트레이 저판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트레이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스로트부는, 상기 스로트부의 저면을 구성하는 스로트 저판; 및 상기 스로트 저판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제공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 리브와 상기 지지 부재는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배치되고, 측면에서 보았을 때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도록 구비되는, 금융 자동화 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invention, the body; A customer service part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A deposit/withdrawal unit provided in the main body to perform separation and integration of the medium; A tray part for transferring media while reciprocating between the deposit/withdrawal part and the customer service part; And a throat portion providing a movement path of the tray portion, wherein the tray portion comprises: a tray bottom plate constituting a bottom surface of the tray portion; And a tray rib protruding from a lower surface of the tray bottom plate, wherein the throat portion comprises: a throat bottom plate constituting a bottom surface of the throat portion; And a support member provided to protrude from the throat bottom plate, wherein the tray rib and the support member are disposed so as not to interfere with each other, and at least partially overlapped when viewed from the side, a financial automation device may be provided. have.
또한, 상기 스로트부는, 상면이 노출되도록 상기 스로트 저판 또는 상기 지지 부재의 내부에 매립 설치되고, 상기 트레이부로부터 상기 스로트 저판 상에 상기 매체가 적어도 일부 낙하되는 경우 이를 감지하는 매체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는, 금융 자동화 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hroat unit is installed buried inside the throat bottom plate or the support member so that the top surface is exposed, and a medium detection sensor that detects when at least a part of the medium falls on the throat bottom plate from the tray unit A financial automation device may be provided that further includes.
또한, 적어도 상기 트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매체 감지 센서로부터 감지 신호를 전달받도록 구비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매체 감지 센서에 의해 상기 매체의 낙하가 감지되면 상기 트레이부가 상기 접객부를 향해 이동하도록 상기 트레이부를 제어하는, 금융 자동화 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it further comprises a control unit provided to control at least the tray unit and to receive a detection signal from the media detection sensor, wherein the control unit is the tray unit toward the reception unit when the fall of the medium is detected by the media detection sensor. A financial automation device may be provided that controls the tray to move.
또한, 상기 트레이부는, 상기 트레이 저판의 하면에 형성되고, 단부가 상기 매체 감지 센서의 상면에 접촉될 수 있는 위치에 구비되는 브러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부가 상기 접객부와 상기 입출금부의 사이에서 왕복 이동함에 따라 상기 브러쉬의 말단이 상기 매체 감지 센서의 상면을 쓸고 지나가면서 상기 매체 감지 센서의 상면이 청소되는, 금융 자동화 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ray unit further includes a brush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tray bottom plate and provided at a position such that an end thereof can contact an upper surface of the medium detection sensor, and the tray unit reciprocates between the reception unit and the deposit/withdrawal unit. A financial automation device may be provided in which the upper surface of the medium detection sensor is cleaned as the end of the brush sweeps the upper surface of the medium detection sensor as it moves.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체; 상기 본체의 전면에 제공되는 접객부; 상기 매체의 분리 및 집적이 수행되도록 상기 본체 내에 마련되는 입출금부; 상기 입출금부와 상기 접객부의 사이에서 왕복 이동하면서 매체를 이송하는 트레이부; 및 상기 트레이부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스로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부는, 상기 트레이부의 저면을 구성하는 트레이 저판; 및 상기 트레이 저판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트레이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스로트부는, 상기 스로트부의 저면을 구성하는 스로트 저판; 및 상기 스로트 저판으로부터 상기 트레이 저판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제공되는 저판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 리브와 상기 저판 리브는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배치되고, 측면에서 보았을 때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도록 구비되는, 금융 자동화 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A customer service part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A deposit/withdrawal unit provided in the main body to perform separation and integration of the medium; A tray part for transferring media while reciprocating between the deposit/withdrawal part and the customer service part; And a throat portion providing a movement path of the tray portion, wherein the tray portion comprises: a tray bottom plate constituting a bottom surface of the tray portion; And a tray rib protruding from a lower surface of the tray bottom plate, wherein the throat portion comprises: a throat bottom plate constituting a bottom surface of the throat portion; And a bottom plate rib provided to protrude from the throat bottom plate toward the tray bottom plate, wherein the tray rib and the bottom plate rib are disposed so as not to interfere with each other, and at least partially overlapped when viewed from the side, financial automation Appliances may be provided.
또한, 상기 입출금부는, 상기 트레이부가 출입하는 상기 입출금부의 입구를 개폐하기 위해 회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빌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저판 리브는, 상기 접객부로부터 상기 입출금부를 향해 연장 형성되고, 상기 빌 스토퍼가 최상단 위치로 회전되었을 때 상기 빌 스토퍼의 끝단의 연직 하방인 지점까지 상기 저판 리브가 연장 형성되는, 금융 자동화 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eposit/withdrawal part includes a bill stopper rotatably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entrance of the deposit/withdrawal part through which the tray part enters and exits, and the bottom plate rib extends from the reception part toward the deposit/withdrawal part, and the bill stopper is When rotated to the top position, the bottom plate rib extends to a point that is vertically below the end of the bill stopper, a financial automation device may be provided.
또한, 상기 저판 리브는 상기 스로트 저판의 일부가 상향 절곡되어 형성되는, 금융 자동화 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ttom plate rib may be provided with a financial automation device formed by bending a portion of the throat bottom plate upward.
또한, 상기 스로트부는, 상면이 노출되도록 상기 스로트 저판 또는 상기 지지 부재의 내부에 매립 설치되고, 상기 트레이부로부터 상기 스로트 저판 상에 상기 매체가 적어도 일부 낙하되는 경우 이를 감지하는 매체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는, 금융 자동화 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hroat unit is installed buried inside the throat bottom plate or the support member so that the top surface is exposed, and a medium detection sensor that detects when at least a part of the medium falls on the throat bottom plate from the tray unit A financial automation device may be provided that further includes.
또한, 상기 스로트부는, 상기 저판 리브 및 상기 트레이 리브와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스로트 저판으로부터 돌출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부재와 상기 저판 리브는 서로 높이가 동일하거나 상이하게 형성되는, 금융 자동화 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hroat portion includes a support member protruding from the throat plate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bottom plate rib and the tray rib, and the support member and the bottom plate rib are formed to have the same height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An automated device may be provided.
본 발명의 실시예는 포켓 타입과 프리젠트 타입의 문제점들을 보완하면서, 트레이부의 이송 경로상에 매체가 낙하될 경우 이를 감지하여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supplementing the problems of the pocket type and the present type, when a medium falls on the conveying path of the tray unit, it is possible to detect and easily process the media.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 자동화 기기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트레이부와 스로트부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금융 자동화 기기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1의 금융 자동화 기기의 스로트부의 저판 상에 매체가 낙하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4의 스로트부의 저판 상에 낙하된 매체가 트레이부에 의해 저판 상으로부터 제거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financial autom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ross-section AA of FIG. 1.
3 is a side view of a tray portion and a throat portion of FIG. 2.
4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the financial automation device of FIG. 1.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medium is dropped on a bottom plate of a throat portion of the financial automation device of FIG. 1.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medium dropped on the bottom plate of the throat portion of FIG. 4 is removed from the bottom plate by a tray por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특허 청구 가능한 본 발명의 여러 측면(aspects) 중 하나이며, 하기의 설명은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기술의 일부를 이룰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된 구성 또는 기능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을 명료하게 하기 위해 생략할 수 있다.Hereinafter, a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following description is one of several aspects of the invention that are claimable, and the following description may form part of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However,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known configurations or functions may be omitted to clarify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포함할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includ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embodiment, it is to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Further, 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corresponding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connected' or'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the middle. Should be.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금융 자동화 기기(1)는, 본체(10), 입출금부(20), 트레이부(30), 접객부(40), 스로트부(50) 및 제어부(60)를 포함할 수 있다.1 to 4, a
구체적으로, 본체(10)는 금융 자동화 기기(1)의 외관을 구성하며, 전방측에 접객부(40)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접객부(40)는 매체나 수표와 같은 매체(M)를 투입 또는 수취하기 위해 마련되는 접객 공간 및 이를 구성하는 주변 부재들의 집합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Specifically, the
본체(10)의 내부에는 입출금부(20), 트레이부(30), 접객부(40), 스로트부(50) 및 제어부(60)가 마련될 수 있다. Inside the
입출금부(20)는 입출금을 위한 매체(M)의 분리 및 집적을 수행하기 위해, 본체(10) 내에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입출금부(20)는 빌 스토퍼(200), 하우징(210), 분리 집적 모듈(220) 및 리프팅 모듈(230)을 포함할 수 있다. The deposit/
예를 들어, 빌 스토퍼(200)는 입출금부(20)의 하우징(210)에 회동 가능하게 제공되며, 트레이부(30)가 입출되는 입출금부(20)의 입구를 필요에 따라 개폐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다시 말해서, 빌 스토퍼(200)는 트레이부(30)가 입출금부(20)에서 인출된 경우에는 개방되고, 트레이부(30)가 입출금부(20)의 내부로 투입된 경우에는 폐쇄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하우징(210)은 본체(10)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고, 하우징(210)의 내부에는 분리 집적 모듈(220)이 배치될 수 있다. 분리 집적 모듈(220)은 분리 롤러(222) 및 집적 롤러(224)를 포함할 수 있다. 분리 롤러(222)는 트레이부(30)에 의해 이송된 매체(M)를 분리할 수 있고, 집적 롤러(224)는 분리 롤러(222)에서 분리된 매체(M) 중 리젝트권 또는 출금을 위해 반송되는 매체(M)를 트레이부(30)에 집적할 수 있다.The
그리고 리프팅 모듈(230)은 하우징(210) 내에 제공될 수 있고, 트레이부(30)를 상하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리프팅 모듈(230)의 상하 방향 이동에 의해, 트레이부(30)에 집적되어 있던 매체(M)는, 본체(10) 내부의 반송로를 통해 반송될 수 있다. 또한, 리프팅 모듈(230)의 의해, 본체(10) 내에 있던 매체(M)는 트레이부(30)로 집적될 수 있는 위치에 놓여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트레이부(30)는 입출금부(20)와 접객부(40)의 사이를 왕복 이동하면서 매체(M)를 본체(10) 내에서 이송할 수 있다. 이러한 트레이부(30)는 접객부(40)에서 고객으로부터 매체(M)를 공급받아 입출금부(20)로 이동하여 해당 매체(M)를 분리 저장하고, 입출금부(20)에서 출금 대상인 매체(M)를 공급받아 접객부(40)로 이송하여 매체(M)를 고객에게 전달할 수 있다. The
이를 위해, 트레이부(30)는 트레이 바디(300), 트레이 저판(310), 클램핑 플레이트(320), 트레이 리브(330) 및 브러쉬(340)를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트레이 바디(300)는 입출금부(20)와 접객부(40) 사이에 마련된 이동 경로를 따라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트레이 저판(310)은 트레이부(30)의 저면을 구성하며, 트레이 바디(300)가 하우징(210)에 투입되었을 때 리프팅 모듈(230)에 고정될 수 있도록 제공된다. 또한, 트레이 저판(310) 상에는 매체(M)가 집적되는 공간이 형성된다. The
클램핑 플레이트(320)는 트레이 바디(300)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트레이 저판(310) 상에 집적된 매체(M)를 가압하여 트레이 바디(300)에 대하여 움직이지 못하도록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트레이부(30)에는 클램핑 플레이트(320)의 상하 구동을 위한 구동 부재(미도시)가 추가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클램핑 플레이트(320)는 자중에 의해 매체(M)를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클램핑 플레이트(320)는 상술한 구동 부재 또는 별도의 다른 부재에 의해 하 방향으로 가압되어 매체(M)를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The clamping
트레이 리브(330)는 트레이 저판(310)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기 형상으로 제공되며, 한 개 또는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트레이 리브(330)가 복수 개로 제공되는 경우, 트레이 저판(310)의 하면에 대하여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열될 수도 있고, 불규칙한 패턴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열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후술할 스로트부(50)의 스로트 저판(500) 상에 낙하한 매체가 트레이부(30)의 이동에 의해 접객부(40)를 향해 배출되어 손쉽게 제거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트레이부(30)가 접객부(40)를 향해 이동하면서, 트레이 리브(330)에 의해 낙하된 매체가 간섭됨에 따라 접객부(40)를 향해 함께 이동되어 제거될 수 있다.The
브러쉬(340)는 트레이 리브(330)와 마찬가지로 트레이 저판(310)의 하면에 형성되며, 후술할 스로트부(50)의 매체 감지 센서(520)의 상면에 브러쉬(340)의 단부가 접촉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러쉬(340)는 트레이 저판(310)의 하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복수의 미세사들의 번들로서 구비될 수 있으며, 트레이부(30)의 왕복 이동시마다 브러쉬(340)의 말단이 매체 감지 센서(520)의 상면을 쓸고 지나가면서 매체 감지 센서(520)의 상면에 쌓인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The
접객부(40)는 고객에 의한 입금 또는 출금이 용이하도록 본체(10)의 전방측에 마련될 수 있다. 접객부(40)에서는 매체(M)가 접객구를 통해 금융 자동화 기기(1)의 내부로 투입되거나 배출될 수 있다. 접객부(40)는 접객구를 개폐하기 위해서, 제어부(60)의 제어 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접객부 셔터(41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스로트부(50)는 트레이부(30)가 접객부(40)와 입출금부(20)의 사이를 왕복 이동할 수 있는 경로를 구성하며, 본체(10)를 이루는 프레임 중 일부로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로트부(50)는 본체(10)의 내부에 구비되어, 트레이부(30)가 이동하는 통로를 구성하는 프레임으로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스로트부(50)는 예를 들어 철, 알루미늄 등의 금속 재질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일 예로 판금 공정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에 불과하고, 스로트부(50)의 제작 공정에 있어서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The
또한, 스로트부(50)는 스로트 저판(500), 지지 부재(510), 매체 감지 센서(520) 및 저판 리브(530)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스로트 저판(500)은 스로트부(50) 중에서도 저면을 구성하는 판 형상의 부재로서, 트레이부(3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로트 저판(500)에 의해 트레이부(30)가 직접적으로 지지되지 않고, 트레이부(30)의 하면으로부터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The
지지 부재(510)는 스로트 저판(500)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제공되는 부재로서, 한 개 또는 복수 개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지지 부재(510)는 내부에 매체 감지 센서(520)가 매립 설치되어 지지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공간은 상면이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매체 감지 센서(520)는 상면이 노출되도록 지지 부재(510)의 내부에 매립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매체 감지 센서(520)가 지지 부재(510)의 내부에 매립 설치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매체 감지 센서(520)는 상면이 노출되도록 스로트 저판(500) 내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매체 감지 센서(520)는 광 검지 센서로 제공될 수 있으며, 발광부와 수광부를 내부에 모두 구비하여 발광부로부터 방출된 빛이 매체 감지 센서(520)의 상측에 낙하된 매체로부터 반사된 후 수광부로 입사되는 빛을 검지하여 검지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렇게 발생된 검지 신호는 후술할 제어부(60)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매체 감지 센서(520)는 지지 부재(510)에 대하여 하나만 제공될 수도 있고, 복수 개로 제공되어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열되는 것도 가능하다. 복수 개로 제공되는 경우, 일 예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열될 수도 있다.The
저판 리브(530)는 스로트 저판(500)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리브로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판 리브(530)는 스로트 저판(500)을 판금으로 제작할 때, 모재의 일부분이 상향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저판 리브(530)는 별도로 제작되어 스로트 저판(500)에 용접, 접착 등의 방식으로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저판 리브(530)는 한 개 또는 복수 개 형성될 수 있으며, 일 예로 복수 개가 구비되어 스로트 저판(500)의 중앙 지점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이 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저판 리브(530) 및 지지 부재(510)와 트레이 리브(330)는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측면에서 보았을 때 서로 적어도 일부는 중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트레이부(30)로부터 낙하한 매체가 저판 리브(530) 및 지지 부재(510)의 상측에 놓일 수 있고, 스로트 저판(500)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이렇게 낙하한 매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측면에서 보았을 때 저판 리브(530) 및 지지 부재(510)와 적어도 일부 중첩되는 트레이 리브(330)에 의해 간섭되어 접객부(4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The
또한, 저판 리브(530)는 접객부(40)로부터 입출금부(20)를 향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저판 리브(530)는 빌 스토퍼(200)에 의해 입출금부(20)의 하우징(210)이 완전히 개방된 상태, 즉 빌 스토퍼(200)가 최상단 위치로 회전된 상태에서 빌 스토퍼(200)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지 않는 지점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빌 스토퍼(200)가 최상단 위치로 회전되었을 때 빌 스토퍼(200)의 끝단의 연직 하방인 지점까지 저판 리브(530)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저판 리브(530)에 의해 빌 스토퍼(200)가 간섭되지 않을 수 있으면서도 스로트 저판(500) 상의 매체(M)가 낙하될 수 있는 영역 전체를 커버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또한, 저판 리브(530)는 지지 부재(510)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저판 리브(530)와 지지 부재(510)의 높이는 동일하게 형성되거나, 저판 리브(530)보다 지지 부재(510)가 더 낮은 높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제어부(60)는 트레이부(30)와 연결되어 트레이부(30)를 구동시켜서 접객부(40)와 입출금부(20) 사이에서 왕복이동을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매체 감지 센서(520)와 연결되어 매체 감지 센서(520)에서 발생되는 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매체의 낙하 여부를 인식하고, 낙하된 매체를 다시 접객부(40)를 통해 배출시키기 위해 트레이부(30)를 구동시킬 수 있다. The
이때, 매체 감지 센서(520)의 상측으로 트레이부(30)가 지나가거나, 매체 감지 센서(520)의 상측에 트레이부(30)가 멈추는 등 매체 감지 센서(520)에 의해 트레이부(30)가 감지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제어부(60)는 트레이부(30)를 구동시킴과 동시에 트레이부(30)의 위치 또한 파악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레이부(30)가 스텝 모터의 동작에 의해 구동되는 경우, 제어부(60)는 스텝 모터의 스텝수를 카운트하여 트레이부(30)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으며, 별도의 트레이부(30) 위치 검지를 위한 센서가 추가로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렇게 제어부(60)가 트레이부(30)의 위치를 식별하여, 트레이부(30)가 감지 신호를 발생시킨 매체 감지 센서(520)의 상측에 있는 것으로 인식된 경우에는, 해당 매체 감지 센서(520)로부터 수신한 감지 신호는 무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이러한 제어부(60)는 예컨대 소형 내장형 컴퓨터로 이루어질 수 있고, 프로그램, 메모리, CPU로 이루어지는 데이터 처리부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매체 감지 센서(520)로부터 낙하된 매체의 감지 신호를 받아서, 매체의 낙하 여부를 인식한 후, 트레이부(30)를 구동시켜서 낙하된 매체를 배출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은, 컴퓨터 기억 매체 예컨대 플렉시블 디스크, 컴팩트 디스크, 하드 디스크, MO(광자기 디스크) 등의 메모리에 저장되어서 제어부(60)에 인스톨될 수 있다.The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금융 자동화 기기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functions and effects of the financial automation device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고객이 접객부(40)를 통해 매체(M)를 투입하기 위해, 제어부(60)는 트레이부(30)를 제어하여 접객부(40)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접객부 셔터(410)가 오픈되면, 트레이 바디(300)는 접객부(40)를 통과하여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후, 트레이부(30)는 접객부(40) 내 매체(M)의 투입을 위해 대기할 수 있으며, 접객부(40)에 대기 중인 트레이부(30)에 고객이 매체(M)를 트레이부(30) 상에 투입할 수 있다. 이후, 트레이부(30)는 접객부(40)의 후방으로 이동되며, 접객부 셔터(410)가 클로즈된다. Referring to FIGS. 5 and 6, in order for the customer to input the medium M through the
접객부 셔터(410)가 클로즈되면, 제어부(60)는 트레이부(30)를 입출금부(20)로 퇴피시킬 수 있으며, 트레이부(30)의 이동시 클램핑 플레이트(320)가 하강하여 매체(M)를 클램핑한 상태로 이동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시하지 않은 구동 부재에 의해 클램핑 플레이트(320)가 하강될 수 있으며, 일 예로 클램핑 플레이트(320)의 자중에 의해 매체(M)가 클램핑 플레이트(320)와 트레이 저판(310)의 사이에서 가압되어 클램핑될 수 있다. 입출금부(20) 내에 트레이부(30)가 안착되어 수용되면, 분리 롤러(222)에 의해 매체(M)가 낱장으로 분리되어 본체(10) 내의 카세트(미도시)로 반송되어 수납될 수 있다.When the
한편, 클램핑 플레이트(320)에 의해 매체(M)를 클램핑 한 상태에서도, 매체(M)의 상태(구김 정도, 손상 정도 등)에 따라 클램핑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거나, 고객이 실수로 트레이부(30)의 하측으로 매체(M)를 투입하는 등의 여러 가지 이유들에 의해 매체(M)가 스로트 저판(500) 상에 낙하될 수 있다. 이렇게 낙하된 매체(M')는 지지 부재(510)와 저판 리브(530) 상에 안착될 수 있다. 이렇게 낙하된 매체(M')는 매체 감지 센서(520)에 의해 감지될 수 있으며, 매체 감지 센서(520)는 낙하된 매체(M')를 감지한 후 감지 신호를 발생시켜서 제어부(60)로 전달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even in the state where the medium M is clamped by the clamping
제어부(60)는 낙하된 매체(M')의 감지 신호를 수신하면, 입출금부(20) 측으로 퇴피된 트레이부(30)를 다시 접객부(40)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트레이 저판(310)의 하면에 돌출 형성된 트레이 리브(330)에 의해 간섭되어 트레이부(30)와 함께 이동될 수 있으며, 이렇게 이동된 매체(M')는 접객부(4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이때, 트레이부(30)가 접객부(40)에 접근함에 따라 접객부 셔터(410)가 열리게 되므로, 낙하된 매체(M')는 접객부(40)를 통과하여 고객에게 다시 전달될 수 있다.When the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트레이부의 이송 경로상에 매체가 낙하될 경우 이를 감지하여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n effect that when a medium falls on the conveying path of the tray unit, it can be detected and processed easily.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각 구성요소의 재질, 크기 등을 적용 분야에 따라 변경하거나, 실시형태들을 조합 또는 치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명확하게 개시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으로 한정적인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You can understand. For example, a person skilled in the art may change the material, size, etc. of each component according to the field of application, or combine or substitute embodiments to implement it in a form that is not clearly disclos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does not go beyond the scope of.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should not be understood as limiting, and it should be said that these modified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technical idea described i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 금융 자동화 기기 10: 본체
20: 입출금부 200: 빌 스토퍼
210: 하우징 220: 분리 집적 모듈
230: 리프팅 모듈 30: 트레이부
300: 트레이 바디 310: 트레이 저판
320: 클램핑 플레이트 330: 트레이 리브
340: 브러쉬 40: 접객부
410: 접객부 셔터 50: 스로트부
500: 스로트 저판 510: 지지 부재
520: 매체 감지 센서 530: 저판 리브
60: 제어부1: financial automation device 10: main body
20: deposit and withdrawal 200: bill stopper
210: housing 220: separate integration module
230: lifting module 30: tray part
300: tray body 310: tray bottom plate
320: clamping plate 330: tray rib
340: brush 40: customer service
410: reception part shutter 50: throat part
500: throat bottom plate 510: support member
520: medium detection sensor 530: bottom plate rib
60: control unit
Claims (9)
상기 본체의 전면에 제공되는 접객부;
매체의 분리 및 집적이 수행되도록 상기 본체 내에 마련되는 입출금부;
상기 입출금부와 상기 접객부의 사이에서 왕복 이동하면서 상기 매체를 이송하는 트레이부; 및
상기 트레이부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스로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부는,
상기 트레이부의 저면을 구성하는 트레이 저판; 및
상기 트레이 저판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트레이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스로트부는,
상기 스로트부의 저면을 구성하는 스로트 저판; 및
상기 스로트 저판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제공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 리브와 상기 지지 부재는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배치되고, 측면에서 보았을 때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도록 구비되는,
금융 자동화 기기.main body;
A customer service part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A deposit/withdrawal unit provided in the main body to perform separation and integration of media;
A tray part for transferring the medium while reciprocating between the deposit/withdrawal part and the reception part; And
And a throat portion providing a moving path of the tray portion,
The tray part,
A tray bottom plate constituting a bottom surface of the tray part; And
And a tray rib protruding from a lower surface of the tray bottom plate,
The throat portion,
A throat bottom plate constituting a bottom surface of the throat portion; And
It includes a support member provided to protrude from the throat plate,
The tray rib and the support member are disposed so as not to interfere with each other, and are provided to overlap at least a portion when viewed from the side,
Financial automation device.
상기 스로트부는,
상면이 노출되도록 상기 스로트 저판 또는 상기 지지 부재의 내부에 매립 설치되고, 상기 트레이부로부터 상기 스로트 저판 상에 상기 매체가 적어도 일부 낙하되는 경우 이를 감지하는 매체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는,
금융 자동화 기기.The method of claim 1,
The throat portion,
A medium detection sensor further comprising a medium detection sensor that is buried and installed inside the throat bottom plate or the support member so that the upper surface is exposed, and detects when at least a part of the medium falls on the throat bottom plate from the tray part,
Financial automation device.
적어도 상기 트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매체 감지 센서로부터 감지 신호를 전달받도록 구비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매체 감지 센서에 의해 상기 매체의 낙하가 감지되면 상기 트레이부가 상기 접객부를 향해 이동하도록 상기 트레이부를 제어하는,
금융 자동화 기기.The method of claim 2,
Further comprising a control unit provided to control at least the tray unit and receive a detection signal from the medium detection sensor,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tray unit so that the tray unit moves toward the reception unit when a fall of the medium is detected by the medium detection sensor,
Financial automation device.
상기 트레이부는,
상기 트레이 저판의 하면에 형성되고, 단부가 상기 매체 감지 센서의 상면에 접촉될 수 있는 위치에 구비되는 브러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부가 상기 접객부와 상기 입출금부의 사이에서 왕복 이동함에 따라 상기 브러쉬의 말단이 상기 매체 감지 센서의 상면을 쓸고 지나가면서 상기 매체 감지 센서의 상면이 청소되는,
금융 자동화 기기.The method of claim 2,
The tray part,
Further comprising a brush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tray bottom plate and provided at a position at which an end thereof can contact an upper surface of the medium detection sensor,
As the tray part reciprocates between the reception part and the deposit/withdrawal part, the end of the brush sweeps the upper surface of the medium detection sensor, thereby cleaning the upper surface of the medium detection sensor,
Financial automation device.
상기 본체의 전면에 제공되는 접객부;
매체의 분리 및 집적이 수행되도록 상기 본체 내에 마련되는 입출금부;
상기 입출금부와 상기 접객부의 사이에서 왕복 이동하면서 상기 매체를 이송하는 트레이부; 및
상기 트레이부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스로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부는,
상기 트레이부의 저면을 구성하는 트레이 저판; 및
상기 트레이 저판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트레이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스로트부는,
상기 스로트부의 저면을 구성하는 스로트 저판; 및
상기 스로트 저판으로부터 상기 트레이 저판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제공되는 저판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 리브와 상기 저판 리브는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배치되고, 측면에서 보았을 때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도록 구비되는,
금융 자동화 기기.main body;
A customer service part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A deposit/withdrawal unit provided in the main body to perform separation and integration of media;
A tray part for transferring the medium while reciprocating between the deposit/withdrawal part and the reception part; And
And a throat portion providing a moving path of the tray portion,
The tray part,
A tray bottom plate constituting a bottom surface of the tray part; And
And a tray rib protruding from a lower surface of the tray bottom plate,
The throat portion,
A throat bottom plate constituting a bottom surface of the throat portion; And
A bottom plate rib provided to protrude from the throat bottom plate toward the tray bottom plate,
The tray rib and the bottom rib are disposed so as not to interfere with each other, and are provided to overlap at least a portion when viewed from the side,
Financial automation device.
상기 입출금부는,
상기 트레이부가 출입하는 상기 입출금부의 입구를 개폐하기 위해 회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빌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저판 리브는,
상기 접객부로부터 상기 입출금부를 향해 연장 형성되고, 상기 빌 스토퍼가 최상단 위치로 회전되었을 때 상기 빌 스토퍼의 끝단의 연직 하방인 지점까지 상기 저판 리브가 연장 형성되는,
금융 자동화 기기.The method of claim 5,
The deposit and withdrawal unit,
Includes a bill stopper rotatably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entrance of the deposit/withdrawal part through which the tray part enters,
The bottom plate rib,
It is formed extending from the reception part toward the deposit/withdrawal part, and the bottom plate rib is formed to extend to a point vertically below the end of the bill stopper when the bill stopper is rotated to the uppermost position,
Financial automation device.
상기 저판 리브는 상기 스로트 저판의 일부가 상향 절곡되어 형성되는,
금융 자동화 기기.The method of claim 5,
The bottom plate rib is formed by bending a portion of the throat bottom plate upward,
Financial automation device.
상기 스로트부는,
상면이 노출되도록 상기 스로트 저판 또는 상기 저판 리브의 내부에 매립 설치되고, 상기 트레이부로부터 상기 스로트 저판 상에 상기 매체가 적어도 일부 낙하되는 경우 이를 감지하는 매체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는,
금융 자동화 기기.The method of claim 5,
The throat portion,
Further comprising a medium detection sensor that is buried and installed inside the throat bottom plate or the bottom plate rib so that the upper surface is exposed, and detects when at least a part of the medium falls on the throat bottom plate from the tray part,
Financial automation device.
상기 스로트부는,
상기 저판 리브 및 상기 트레이 리브와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스로트 저판으로부터 돌출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부재와 상기 저판 리브는 서로 높이가 동일하거나 상이하게 형성되는,
금융 자동화 기기.The method of claim 5,
The throat portion,
And a support member protruding from the throat bottom plate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bottom plate rib and the tray rib,
The support member and the bottom rib are formed to have the same height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Financial automation devic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33648A KR102165753B1 (en) | 2019-03-25 | 2019-03-25 | Automatic teller machin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33648A KR102165753B1 (en) | 2019-03-25 | 2019-03-25 | Automatic teller machin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15746A KR20200115746A (en) | 2020-10-08 |
KR102165753B1 true KR102165753B1 (en) | 2020-10-15 |
Family
ID=72883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33648A Active KR102165753B1 (en) | 2019-03-25 | 2019-03-25 | Automatic teller machin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65753B1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310412B2 (en) | 2015-03-12 | 2018-04-11 | 富士通フロンテック株式会社 | Paper sheet handling equipment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28143Y2 (en) * | 1986-12-26 | 1995-06-28 | 富士通株式会社 | Carrier |
KR20060112827A (en) * | 2005-04-28 | 2006-11-02 |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 Financial Automation Equipment with Cassette Structure |
KR100966676B1 (en) * | 2007-12-28 | 2010-06-29 |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 Financial Automation Equipment |
KR20140077439A (en) | 2012-12-14 | 2014-06-24 |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 Apparatus for receiving and dispensing |
-
2019
- 2019-03-25 KR KR1020190033648A patent/KR102165753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310412B2 (en) | 2015-03-12 | 2018-04-11 | 富士通フロンテック株式会社 | Paper sheet handling equipmen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15746A (en) | 2020-10-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20087077A (en) | Bill deposit and withdrawal machine | |
CN103426231B (en) | Bill handling device and automatic trading apparatus | |
CN103258367A (en) | Medium transaction device | |
WO2014188804A1 (en) | Medium collection device and medium processing device | |
EP3101632B1 (en) | Financial device and medium stacking apparatus | |
KR101909021B1 (en) | Financial device | |
WO2016059839A1 (en) | Medium accommodating device and medium transaction device | |
KR100961576B1 (en) | Paper media feeder and its control method | |
JP6398592B2 (en) | Medium storage apparatus and medium transaction apparatus | |
KR102165753B1 (en) | Automatic teller machine | |
WO2014155644A1 (en) | Paper sheet handling device and automatic transaction device | |
CN103426230B (en) | Bill handling device and automatic trading apparatus | |
US11514762B2 (en) | Automated teller machine | |
JP2016062235A (en) | Sheet delivery mechanism and sheet processing device | |
JP6593150B2 (en) | Medium discrimination device and automatic transaction device | |
KR101631791B1 (en) | Financial device | |
CN110570579A (en) | Self-service terminal of finance | |
KR20200054149A (en) | Cash Management Apparatus for automatic banking | |
KR102152896B1 (en) | Automatic teller machine | |
KR20200034255A (en) | Cash Management Apparatus for automatic banking | |
KR102573029B1 (en) | Apparatus for bill receiving and dispensing | |
JP2008299544A (en) | Cash processor | |
KR20190021593A (en) | Media processing apparatus and financial device thereof | |
KR101940733B1 (en) | Banknote storage and financial device thereof | |
KR102030518B1 (en) | Apparatus for receiving and dispensing bil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32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5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71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10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10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0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